KR20090116141A - 가변 단면 압출용 금형장치 - Google Patents

가변 단면 압출용 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6141A
KR20090116141A KR1020080041884A KR20080041884A KR20090116141A KR 20090116141 A KR20090116141 A KR 20090116141A KR 1020080041884 A KR1020080041884 A KR 1020080041884A KR 20080041884 A KR20080041884 A KR 20080041884A KR 20090116141 A KR20090116141 A KR 20090116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usion
die
hole
mold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7645B1 (ko
Inventor
최석우
임성주
이근안
최호준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41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645B1/ko
Publication of KR20090116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5/00Profiling tools for metal extruding
    • B21C25/02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02Making uncoated products
    • B21C23/18Making uncoated products by impact extru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Of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이 아닌 펀치의 이송을 통해 가변압출홀을 가변하여 압출 성형함으로써, 금형의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가변 단면 압출용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압출 금형은, 플래튼 일면에 설치한 홀더형 브래킷과; 컨테이너에 가압 상태로 상기 홀더형 브래킷 상면에 장착하여 압출소재를 압출 성형할 수 있게 중앙에 고정압출홀을 형성한 립과; 상기 립 후방에 장착하여 압출소재를 가변하면서 압출 성형할 수 있게 양측에 무빙장치부를 설치하고, 중앙에 가변용 가변압출홀을 형성한 프런트다이와; 상기 프런트다이 후방에 장착한 미들다이와; 상기 플래튼에 가압 상태로 상기 미들다이 후방에 장착하여 압출소재의 압출력을 지탱하는 볼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금형 양측에 구비된 펀치의 이동을 통해 압출홀을 가변시켜 제품을 제조함으로써, 금형 구조 개선에 따른 금형의 단순화를 실현시킬 수 있고, 금형 가공에 소요되는 가공비와 금형 제조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압출, 압출 금형, 펀치, 압출홀, 가변.

Description

가변 단면 압출용 금형장치{Apparatus for extruding variable a shape of manufacture}
본 발명은 압출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형이 아닌 펀치의 이송을 통해 가변압출홀을 가변하여 압출 성형함으로써, 금형의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가변 단면 압출용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출 가공은 소재(素材)를 용기(容器)에 넣고 다이의 구멍으로부터 밀어냄으로써, 단면적을 소재보다도 작고 일정한 긴 제품으로 만드는 금속 가공방법의 하나로, 그 소재로는 융점이 낮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것이 주로 사용이 된다.
이러한, 알루미늄재를 이용한 압출 가공은 내구성과 재활용성의 우수성으로 인해 최근 승용차나 트럭 등과 같은 차량의 샤시 부재, 차체 부재, 범퍼 등과 같은 부품 가공에 채용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압출 가공법은 크게 정압출법과 역압출법으로 분류되는데, 먼저 정압출법은 압출되는 금속의 방향이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하는 방향과 동일한 경우의 압출방법 이고, 역압출법은 압출되는 금속의 방향이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하는 방향과 반대의 경우의 압출방법을 말한다. 그리고, 고온하에서 하는 압출을 열간 압출가공이라 하고, 실온에서 하는 압출을 냉간 압출가공이라고 한다.
이 중, 상기한 정압출법에 의한 압출 가공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컨테이너의 선단부에 생산하고자 하는 단면 형상의 구멍부를 갖는 압출용 금형을 고정하고,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 가열한 압출소재를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압출소재를 가압기(메인스템)에 의해 압출용 금형측으로 가압하여 구멍부로부터 압출소재를 압출함으로써, 원하는 형상의 제품을 압출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즉, 압출용 금형의 구멍부가 일정한 단면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압출 생산되는 제품 역시 길이 방향을 향하여 일정한 단면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품의 단면 형상은 압출용 금형의 구멍부 형상과 같으므로 압출용 금형의 구멍 모양을 적당히 바꿈으로써, 환봉, 각봉, 형재, 관 및 기타 임의의 것을 만들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압출 가공은 금속재료로 이루어진 압출소재를 구멍으로부터 밀어내야 하는 특성상 매우 큰 힘이 소요됨으로써, 대규모의 기계설비와 함께 고온 및 고압에 견딜 수 있는 공구 등이 필요한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압출 가공을 통해 제조된 제품의 경우, 제품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단면 형상만을 갖고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굴곡이 필요하거나 제품의 단면 형상이 가변되는 제품 생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제품에 따라 응력 분포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제품 전체에 걸쳐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므로 제품 일부 분에서는 필요 이상의 크기 및 강도를 갖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됨으로써, 비경제적인 동시에 제품의 경량화 및 구조 단순화를 방해하는 폐단도 있었다.
도 1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가변 단면 압출 성형 방법 및 그 압출 금형"(국내 등록번호 제10-0334421호)에 대한 것으로, 상기한 압출 금형은 제1 금형(10)과 제2 금형(11)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제1 금형(10)에는, 한쪽 플랜지의 최대 두께 치수와 동일한 치수 폭을 갖는 플랜지부 형성공(15)과, 상기 플랜지부 형성공(15)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웹 형성공(16)과, 상기 웹 형성공(16)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 형성공(15)보다도 큰 폭을 갖는 플랜지부 연통공(17)을 가지고 이루어진 제1 압출공(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제2 금형(11)에는, 다른쪽 플랜지의 최대 두께 치수와 동일한 치수 폭을 갖는 플랜지부 형성공(27)과, 상기 플랜지부 형성공(27)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웹 형성공(28)과, 상기 웹 형성공(28)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 형성공(27)보다도 큰 폭을 갖는 플랜지부 연통공(29)을 가지고 이루어진 제2 압출공(3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금형(10)과 제2 금형(11)은, 상기 제1 압출공(14)과 상기 제2 압출공(30)이 서로의 웹 형성공(16)(28)을 연통시키고, 또 한쪽 금형의 플랜지부 형성공(15)을 다른쪽 금형의 플랜지부 연통공(29) 측에 위치시켜 성형재의 압출 방향으로 순차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웹 형성공(16)(28)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처럼, 제1 금형(10)과 제2 금형(11)의 상대적인 이송 작용을 통해 도 2 내지 도 4와 같은 프레임 제품을 성형할 수 있게 된다.(X 형태로 빗금친 부분이 성형되는 부분임)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압출 금형은 금형을 이송하여 제품을 가변 형성함으로써, 금형의 이송을 담당하는 실린더에 높은 하중이 전가되어 실린더의 원활한 작동을 장담하기 어렵고, 특히 금형의 이송을 통해 압출 성형체에 추가적인 휨 모멘트가 발생될 수 있는 우려가 있어, 이로 인해 압출 제품의 품질을 현저하게 떨어뜨리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더욱이, 금형이 이송되는 구조 특성으로 인해 금형의 이송을 가이드하기 위한 별도의 다른 부품(하우징)을 금형 외부에 더 구비해야 함으로써, 결국 압출 금형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이는 곧 압출 금형의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금형을 이송시키지 않고 펀치의 이송을 통해 압출홀을 가변하여 제품을 압출 성형함으로써, 금형의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궁극적으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가변 단면 압출용 금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인스템과 펀치의 이동 작동을 실린더를 통해 이동하여 금형의 정밀 이송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가변 단면 압출 금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컨테이너와 플래튼 사이에 압출 금형을 장착하되, 컨테이너 중앙에 관통되는 메인스템을 이용하여 압출 금형 중앙의 압출홀을 통해 압출소재를 가압함으로써 제품을 압출 생산하는 압출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출 금형은, 플래튼 일면에 설치한 홀더형 브래킷과; 컨테이너에 가압 상태로 상기 홀더형 브래킷 상면에 장착하여 압출소재를 최초로 압출 성형할 수 있게 중앙에 고정압출홀을 형성한 립과; 상기 립 후방에 장착하여 압출소재를 가변하면서 압출 성형할 수 있게 양측에 무빙장치부를 설치하고, 중앙에 가변압출홀을 형성한 프런트다이와; 상기 프런트다이 후방에 장착한 미들다이와; 상기 플래튼에 가압 상태로 상기 미들다이 후방에 장착하여 압출소재의 압출력을 지탱하는 볼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홀더형 브래킷 하단 양측에는 홀더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양측 홀더프레임 사이에 립과 프런트다이와 미들다이 및 볼스터를 순차적으로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무빙장치부는 프런트다이 양측에 슬라이딩홀을 각각 형성하고, 가변압출홀을 가변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홀에 슬라이딩 이송 가능하게 펀치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펀치 단부에 로드를 갖는 이송실린더를 각각 장착한다.
또, 상기 볼스터 전방에 장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홈에 웨어플레이트를 장착하며, 상기 웨어플레이트 전면에 다수의 흑연봉을 돌출 장착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금형을 이동시키지 않고 금형 양측에 구비된 펀치를 이동시켜 가변압출홀을 가변시키고 이를 통해 압출 성형품을 제조함으로써, 금형 구조 개선에 따른 금형의 단순화를 실현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금형 가공에 소요되는 가공비와 금형 제조 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대적으로 고하중을 받게 되는 금형 대신에 금형 양측에 구비되는 펀치를 이동시켜 제품을 가변 압출하므로, 펀치 이송용 이송실린더에 걸리는 하중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압출 가공되는 성형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한편, 압출 성형품(제품)의 조직구조가 균일한 최종 제품을 확보하기가 용이하며, 제품 치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프런트다이 양측에 구비된 펀치를 통해 압출소재를 압출 성형하는 구 조 특성으로 인해, 베어링부(리드부)의 위치가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압출성형체에 휨 모멘트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압출 성형체의 조직을 균일하게 성형하는 한편, 유리한 정속압출을 행하기 용이한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압출 금형장치에 대해 도시한 것으로, 컨테이너(100)와, 압출 금형(200)과, 플래튼(300)으로 구성된다.
도 5를 통해 설명하면, 먼저 컨테이너(100)는 압출 금형장치 전방에 고정 장착되는 것으로, 중앙에 장입홀(110)을 형성하여 그 내부에 압출소재를 내장 구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압출소재는 적절하게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재질로써 봉 형상의 것을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100) 일측방에는 유압실린더(120)가 장착되고, 상기 유압실린더(120) 단부에는 상기 압출소재를 가압할 수 있게 봉 형상의 메인스템(130)이 장착된다. 즉, 상기 유압실린더(120)의 유압 작용을 통해 메인스템(130)을 압출소재에 접촉한 상태에서 전, 후 이동함으로써, 압출소재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플래튼(300)은 압출 금형장치 후방에 고정 장착되는 것으로, 중앙에 관통홀(310)을 형성하여 그 내부에 압출 가공된 제품이 빠져나오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래튼(300) 전면에는 압출 금형(200)이 고정 장착된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인 압출 금형(200)은 상기 컨테이너(100)와 플래튼(300) 사이에 장착되어 압출소재를 가변시키면서 압출 가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홀더형 브래킷(210)과, 립(220)과, 프런트다이(230)와, 미들다이(240)와, 볼스터(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과 도 7을 통해 설명하면, 먼저 홀더형 브래킷(210)은 상기 플래튼(300) 전면 하단에 고정 장착되는 것으로, 계단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하고, 홀더형 브래킷(210) 양측에 홀더프레임(211)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홀더프레임(211) 사이에는 수평의 안착부(212)를 형성하여, 상기 안착부(212) 상면에 립(220)과, 프런트다이(230)와, 미들다이(240) 및 볼스터(250)를 순차적으로 장착 구비한다.
그리고, 립(220)은 전방의 돌출된 일면이 컨테이너(100)의 후면에 가압 상태로 밀착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립(220) 중앙에는 고정압출홀(225)을 형성하여 컨테이너(100)로부터 가압되는 압출소재를 최초로 압출 가공한다. 즉, 고정압출홀(225) 전방의 동일축 선상에 압출소재가 구비된 컨테이너(100)의 장입홀(110)이 배치되므로, 메인스템(130)의 가압을 통해 압출소재를 고정압출홀(225) 방향으로 가압하여 압출 가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압출홀(225)은 양측에 세로공이 형성되고, 상기 세로공 하단에 가로공이 연결 형성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압출홀(225)의 세로공은 압출하고자 하는 제품의 세로부 폭보다 넓게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압출홀(225)의 형상은 제조하고자 하는 제품이 H빔과 같은 경우 고정압출홀(225)의 형상 역시 'H'자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고, 이 외에도 제조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상에 따라 고정압출홀(225)의 형상을 자유롭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을 구성함에 있어서 자명한 사항에 해당된다.
또, 후술되는 가변용 가변압출홀(235) 역시 'ㄷ'자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고정압출홀(225)과 같이 가변압출홀(235)의 형상을 자유롭게 변경 및 수정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함에 있어 자명한 사항에 해당한다 할 것이다.
프런트다이(230)는 상기 립(220) 후방에 밀착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한 프런트다이(230)는 립(220)으로부터 압출 가공되는 압출소재의 두께를 가변하면서 압출 성형할 수 있도록 좌, 우 양측에 펀치(232)를 이송시킬 수 있는 무빙장치부를 설치하고, 상기 프런트다이(230) 중앙에는 가변용 가변압출홀(235)을 형성한다.
여기서, 도 8을 통해 무빙장치부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프런트다이(230) 양측에 슬라이딩홀(231)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홀(231)에 안내되어 슬라이딩 이송할 수 있게 슬라이딩홀(231) 내부에 펀치(232)를 각각 삽입 구비하며, 상기 펀치(232) 단부에는 이송실린더(320)에 의해 이송 구동하는 로드(321)를 핀(부호 생략)에 의해 결합 장착하고, 상기 로드(321) 단부에는 이송실린더(320)를 장착 구비한다.
즉, 무빙장치부의 이송실린더(320)를 통해 펀치(232)를 좌, 우로 이송함으로써, 프런트다이(230) 중앙의 가변압출홀(235) 세로공 두께를 가변시키고, 이에 따라 립(220)으로부터 압출 가공되는 압출소재의 세로부 두께를 가변시키면서 압출 가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들다이(240)는 상기 프런트다 이(230) 후방에 밀착 장착되는 것으로, 슬라이딩홀(231)에 끼워지는 펀치(232)의 일면에 면 접촉되게 구비하여 펀치(232)의 이송을 안내하고, 중앙에는 가변압출홀(235)을 통해 가변 형성되는 압출소재가 통과할 수 있게 홀(245)을 형성한다.
볼스터(250)는 플래튼(300) 전면에 가압 상태로 상기 미들다이(240) 후방에 장착하는 것으로, 프런트다이(230)와 미들다이(240)에 가해지는 압출력을 지탱하고, 그 압출력을 플래튼(3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볼스터(250) 중앙에는 가로공과 세로공이 압출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상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 인출홀(255)을 형성하여 프런트다이(230)로부터 압출 가공되는 압출소재를 후방으로 인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볼스터(250) 전방 중앙에는 장착홈(251)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홈(251)에는 웨어플레이트(252)를 장착하며, 상기 웨어플레이트(252) 전면에는 다수의 흑연봉(253)을 사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시켜 돌출 구비하여, 미들다이(240)와 볼스터(250)의 마찰에 따른 미들다이(240) 및 볼스터(250)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압출 금형장치를 통해 압출소재를 압출 가공하여 특정 형상의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컨테이너(100) 중앙의 장입홀(110)에 압출소재를 내장 구비한 후, 컨테이너(100) 일측에 설치된 유압실린더(120)를 구동하여 메인스템(130)으로 압출소재를 가압하게 된다.
이처럼, 메인스템(130)에 의해 가압되는 압출소재는 립(220) 중앙의 고정압출홀(225) 내부에 인입되면서 압출 가공이 시작되는데, 본 발명에 도시된 압출홀들은 좌, 우에 세로공이 형성되고, 상기 세로공 하단에 하나의 가로공이 연결 형성된 'ㄷ'자 형상의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형상의 압출홀을 통해 가공되는 압출 성형품의 제조과정을 일례로 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압출소재는 고정압출홀(225)을 통해 'ㄷ'자 형태로 인입되면서 압출 가공이 진행되고, 메인스템(130)의 가압에 따라 압출소재는 점진적으로 프런트다이(230) 중앙에 조성된 가변용 가변압출홀(235) 내부로 인입이 된다.
이때, 제조하고자 하는 압출제품의 세로공 두께를 일정하게 압출하거나 단면 형상을 일정하게 압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펀치(232)의 이동 작동이 불필요하나, 제품의 단면 형상과 세로공 폭을 가변하면서 압출 가공을 시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압출소재의 가압 이송 중 프런트다이(230) 좌, 우에 설치된 무빙장치부를 구동하여 도 9a 또는 도 9b와 같이 펀치(232)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송시킨다.
즉, 이송실린더(320)의 구동을 통해 로드(321)를 이송시키게 되면, 상기 로드(321)에 장착된 펀치(232)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송되면서 가변압출홀(235)의 폭을 가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제품의 세로부 두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면서 제품 단면 형상을 변화시키는 가변 압출 성형이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프런트다이(230)를 통해 압출 가공되는 압출소재는 메인스템(130)의 지속적인 가압 작용에 의해 미들다이(240) 중앙의 홀(245)과 볼스터(250) 중앙의 인출홀(255) 내부로 인입되고, 인입된 압출소재는 플래튼(300) 중앙에 형성된 관통 홀(310)을 통해 빠져나가게 되면서 압출 성형 가공을 완료하게 되며, 이에 따라 압출 성형품(제품)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압출 금형장치는 프런트다이(230)를 이동시키지 않고 압출 금형 양측에 구비된 펀치(232)를 이동시켜 압출홀을 가변시키고 이를 통해 압출 성형품을 제조함으로써, 금형 구조 개선에 따른 금형의 단순화를 실현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금형 가공에 소요되는 가공비와 금형 제조 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압출 금형장치는 상대적으로 고하중을 받게 되는 금형(프런트다이) 대신에 금형 양측에 구비되는 펀치(232)를 이동시켜 제품을 가변 압출하므로, 펀치(232) 이송을 위한 이송실린더(320)에 걸리는 하중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압출 가공되는 성형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한편, 압출 성형품(제품)의 조직구조가 균일한 최종 제품을 확보하기가 용이하고, 제품 치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출 금형장치는 프런트다이(230) 양측에 구비된 펀치(232)를 통해 압출소재를 압출 성형하는 구조 특성으로 인해, 베어링부(리드부)의 위치가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압출성형체에 휨 모멘트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압출 성형체의 조직을 균일하게 성형하는 한편, 유리한 정속압출을 행하기 용이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압출성형품의 두께 및 단면 형상 조절을 통해 제품의 위치 중 높은 강도가 필요하거나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은 더 두껍게 형성하고, 그렇지 않은 부분은 얇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품에 추가적인 용접작업이나 후처리 가공 등이 불필요하여 제품 가공 작업이 용이하고 제품의 생산원가 및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제1 금형과 제2 금형을 조합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2 내지 도 4는 종래기술에 의한 제1 금형과 제2 금형에 의해 가변 성형될 수 있는 제품 형상을 도시한 이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압출 금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압출 금형장치 중 압출 금형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압출 금형장치를 절개하여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도 7의 A - A 선의 단면도,
도 9a, 9b는 본 발명에 의한 펀치의 이송에 따른 가변압출홀의 형상 변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컨테이너 110 : 장입홀
120 : 유압실린더 130 : 메인스템
200 : 압출 금형 210 : 홀더형 브래킷
211 : 홀더프레임 212 : 안착부
220 : 립 225 : 고정압출홀
230 : 프런트다이 231 : 슬라이딩홀
232 : 펀치 235 : 가변압출홀
240 : 미들다이 245 : 홀
250 : 볼스터 251 : 장착홈
252 : 웨어플레이트 253 : 흑연봉
255 : 인출홀 300 : 플래튼
310 : 관통홀 320 : 이송실린더
321 : 로드

Claims (4)

  1. 컨테이너와 플래튼 사이에 압출 금형을 장착하되, 컨테이너 중앙에 관통되는 메인스템을 이용하여 압출 금형 중앙의 압출홀을 통해 압출소재를 가압함으로써 제품을 압출 생산하는 압출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출 금형(200)은,
    플래튼(300) 일면에 설치한 홀더형 브래킷(210)과;
    컨테이너(100)에 가압 상태로 상기 홀더형 브래킷(210) 상면에 장착하여 압출소재를 압출 성형할 수 있게 중앙에 고정압출홀(225)을 형성한 립(220)과;
    상기 립(220) 후방에 장착하여 압출소재를 가변하면서 압출 성형할 수 있게 양측에 무빙장치부를 설치하고, 중앙에 가변압출홀(235)을 형성한 프런트다이(230)와;
    상기 프런트다이(230) 후방에 장착한 미들다이(240)와;
    상기 플래튼(300)에 가압 상태로 상기 미들다이(240) 후방에 장착하여 압출소재의 압출력을 지탱하는 볼스터(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단면 압출용 금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형 브래킷(210) 양측에는 홀더프레임(211)을 형성하고, 상기 양측 홀더프레임(211) 사이에 립(220)과 프런트다이(230)와 미들다이(240) 및 볼스터(250)를 순차적으로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단면 압 출용 금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장치부는 프런트다이(230) 양측에 슬라이딩홀(231)을 각각 형성하고, 가변압출홀(235)을 가변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홀(231)에 슬라이딩 이송 가능하게 펀치(232)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펀치(232) 단부에 로드(321)를 갖는 이송실린더(320)를 각각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단면 압출용 금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스터(250) 전방에 장착홈(251)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홈(251)에 웨어플레이트(252)를 장착하며, 상기 웨어플레이트(252) 전면에 다수의 흑연봉(253)을 돌출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단면 압출용 금형장치.
KR1020080041884A 2008-05-06 2008-05-06 가변 단면 압출용 금형장치 KR100967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884A KR100967645B1 (ko) 2008-05-06 2008-05-06 가변 단면 압출용 금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884A KR100967645B1 (ko) 2008-05-06 2008-05-06 가변 단면 압출용 금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141A true KR20090116141A (ko) 2009-11-11
KR100967645B1 KR100967645B1 (ko) 2010-07-07

Family

ID=41600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884A KR100967645B1 (ko) 2008-05-06 2008-05-06 가변 단면 압출용 금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6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00231A (zh) * 2019-05-06 2019-07-12 冯程阳 一种铝合金型材挤压成型工艺
CN114669616A (zh) * 2016-11-30 2022-06-28 爱信轻金属株式会社 结构部件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3632A (ja) * 1995-03-08 1996-09-24 Mitsubishi Alum Co Ltd 可変断面押出用ダイスおよび可変断面押出成形方法
JP3584532B2 (ja) * 1995-03-16 2004-11-04 三菱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可変断面押出用ダイスおよび可変断面押出成形方法
JP3610712B2 (ja) * 1996-12-12 2005-01-19 三菱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可変断面押出成形装置
KR100864089B1 (ko) 2007-07-20 2008-10-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단면 형상과 두께 조절이 가능한 압출 금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69616A (zh) * 2016-11-30 2022-06-28 爱信轻金属株式会社 结构部件
CN110000231A (zh) * 2019-05-06 2019-07-12 冯程阳 一种铝合金型材挤压成型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7645B1 (ko) 201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4422B1 (ko) 가변단면압출용 금형 및 가변단면 압출성형방법
CN104647038B (zh) 复合塑性成形设备及其模具换位机构、该机构的定位方法
US200402556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ning and closing stacked hydroforming dies
CN104220184A (zh) 由金属板制至少局部闭合的型材或管状构件的装置和方法
CN101254514A (zh) 汽车桥壳半壳体成形方法及专用成形模具
CN201648497U (zh) 用于制备超细晶材料的十字形等径角挤压模具
KR100967645B1 (ko) 가변 단면 압출용 금형장치
KR100864089B1 (ko) 단면 형상과 두께 조절이 가능한 압출 금형장치
CN105013928A (zh) 一种单动力多模具冲压机
CN208099016U (zh) 一种船形板液压机
KR100865160B1 (ko) 가변 단면 압출용 금형장치
CN103879007A (zh) 双动液压机
CN202498129U (zh) 简易复合冲压模
US5775155A (en) Variable section extrusion die set and variable extrusion molding method
KR100967647B1 (ko) 가변 단면 압출용 압출홀 가변장치
EP2210686B1 (en) Press for hot pressing billets and the like
CN103934298A (zh) 汽车挺柱体冷挤压模具
KR101867948B1 (ko) 두께 가변 구조를 포함하는 압출성형 금형
CN103978056A (zh) 一体式横向挤压制备超细晶材料的装置
CN201394588Y (zh) 异形零件封闭式压力成型锁模机构
CN212917085U (zh) 一种便于调节的多车型侧围整形用侧整装置
CN215697674U (zh) 一种热锻、冷挤混合成型模具
CN205386912U (zh) 一种应用在模具上的同步板
CN203061845U (zh) 一种用于压铸风扇的模具
CN216027508U (zh) 一种用于封闭截面汽车结构件的两侧同时压筋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