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4704A - 단위건물유닛 삽입형 건축물의 설계지원시스템 - Google Patents

단위건물유닛 삽입형 건축물의 설계지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4704A
KR20090114704A KR1020080040481A KR20080040481A KR20090114704A KR 20090114704 A KR20090114704 A KR 20090114704A KR 1020080040481 A KR1020080040481 A KR 1020080040481A KR 20080040481 A KR20080040481 A KR 20080040481A KR 20090114704 A KR20090114704 A KR 20090114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uilding
slab
frame
buil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숙
이재성
이재연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40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4704A/ko
Publication of KR20090114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47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위건물유닛 삽입형 건축물의 설계지원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a) 벽체 및 슬래브로 구성되되 설비시설이 구비된 벽식 구조체용 골조; 의 내부로 유닛 바닥 슬래브와 유닛 바닥 슬래브 상부에 연직으로 결합되는 유닛 벽체로 구성되는 단위건물유닛; 을 삽입하기 위하여, 벽식 구조체용 골조의 내부 공간 중 단위건물유닛을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선택된 공간에 삽입되는 단위건물유닛의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단위건물유닛의 기능에 대한 복수 개의 평면 또는 입면 중에서 평면 및 입면을 선택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를 통하여 선택된 단위건물유닛을 벽식 구조체용 골조 내부로 슬라이딩시켜 삽입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건물유닛 삽입형 건축물의 설계지원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의사결정에 따라 보육시설, 노인시설, 커뮤니티 시설, 사무실, 게스트하우스, 그린하우스, 특수주거시설 등의 기능을 갖는 단위건물유닛을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위건물유닛은 평면별, 입면별 다양한 유형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의 기호도에 대한 건축물의 적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위건물, 유닛, 골조, 삽입

Description

단위건물유닛 삽입형 건축물의 설계지원시스템{DESIGN SUPPORT SYSTEM FOR ADAPTABLE BUILDING}
본 발명은 벽식 구조체용 골조 또는 라멘 구조체용 골조 내부로 각종 기능성 단위건물유닛을 자유롭게 삽입 또는 제거할 수 있는 단위건물유닛 삽입형 건축물의 설계지원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여기에서 벽식 구조체에 적용되는 단위건물유닛 삽입형 건축물의 설계지원시스템은 (a) 벽체 및 슬래브로 구성되되 설비시설이 구비된 벽식 구조체용 골조; 의 내부로 유닛 바닥 슬래브와 유닛 바닥 슬래브 상부에 연직으로 결합되는 유닛 벽체로 구성되는 단위건물유닛; 을 삽입하기 위하여, 벽식 구조체용 골조의 내부 공간 중 단위건물유닛을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선택된 공간에 삽입되는 단위건물유닛의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단위건물유닛의 기능에 대한 복수 개의 평면 또는 입면 중에서 평면 및 입면을 선택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를 통하여 선택된 단위건물유닛을 벽식 구조체용 골조 내부로 슬라이딩시켜 삽입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다.
건축물의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변화하면서, 기존 공간 간의 불합리한 배치는 구조물 전체 기능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건축물의 임의의 공간에 보육시설, 노인시설, 커뮤니티 시설, 사무실, 게스트하우스, 그린하우스, 특수주거시설 등의 각종 기능성이 부가된 공간을 자유롭게 재배치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보육시설, 노인시설 등은 외부에 떨어진 기관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은 상황에 있는바, 이러한 시설을 공동주택 내에 배치하여 지역사회 차원에서 직접 보살필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공간의 자유로운 재배치가 가능한 단위건물유닛 삽입형 건축물에 대하여 동일자로 특허출원하였다. 단위건물유닛 삽입형 건축물은 벽체 및 슬래브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비시설이 구비된 벽식 구조체용 골조; 및, 유닛 바닥 슬래브와 유닛 바닥 슬래브 상부에 연직으로 결합되는 유닛 벽체로 구성되는 단위건물유닛;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단위건물유닛은 상기 벽식 구조체용 골조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삽입 또는 제거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앞서 설명한 기능별 공간의 자유로운 재배치 외에도, 동일한 기능을 갖는 공간이라도 사용자에 따라 원하는 평면이나 입면 형상이 다르기 때문에, 계획 단계에서 사용자별 요구 또는 요구의 변화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즉, 건축물 내 융통성 있는 공유 공간의 경우, 공간 활용에 대한 주민의 의견취합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하여 상호 의논하여 공유 공간의 위치 및 기능을 선택해 나갈 수 있는 주민참여지원도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하여 일차적으로 선택되는 공간, 평면 또는 입면을 직접 건축물에 반영하여 계획 단계에서부터 사용자가 스스로 설계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건축물의 임의의 공간에 일정한 기능을 갖는 단위건물유닛을 자유로이 설계할 수 있는 단위건물유닛 삽입형 건축물의 설계지원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계획단계에서부터 다양한 유형의 평면별 또는 입면별 단위건물유닛의 선택이 가능한 단위건물유닛 삽입형 건축물의 설계지원시스템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벽체 및 슬래브로 구성되되 설비시설이 구비된 벽식 구조체용 골조; 의 내부로 유닛 바닥 슬래브와 유닛 바닥 슬래브 상부에 연직으로 결합되는 유닛 벽체로 구성되는 단위건물유닛; 을 삽입하기 위하여, 벽식 구조체용 골조의 내부 공간 중 단위건물유닛을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선택된 공간에 삽입되는 단위건물유닛의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단위건물유닛의 기능에 대한 복수 개의 평면 또는 입면 중에서 평면 및 입면을 선택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를 통하여 선택된 단위건물유닛을 벽식 구조체용 골조 내부로 슬라이딩시켜 삽입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건물유닛 삽입형 건축물의 설계지원시스템을 제공한다.
즉,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공간, 기능, 평면, 입면을 선택할 수 있고, 계획단계에서 이들의 자유로운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본 발명의 단위건물유닛 삽입형 건축물의 설계지원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건축물의 임의의 공간에 일정한 기능을 갖는 단위건물유닛을 자유로이 설계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단위건물유닛 삽입형 건축물의 설계지원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계획단계에서부터 다양한 유형의 평면별 또는 입면별 단위건물유닛의 선택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기호도에 대한 건축물의 적응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도시 미관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a) 벽체(12) 및 슬래브(14)로 구성되되 설비시설이 구비된 벽식 구조체용 골조(10); 의 내부로 유닛 바닥 슬래브(32)와 유닛 바닥 슬래브(32) 상부에 연직으로 결합되는 유닛 벽체(34)로 구성되는 단위건물유닛(30); 을 삽입하기 위하여, 벽식 구조체용 골조(10)의 내부 공간 중 단위건물유닛(30)을 삽입하기 위 한 공간을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선택된 공간에 삽입되는 단위건물유닛(30)의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단위건물유닛(30)의 기능에 대한 복수 개의 평면 또는 입면 중에서 평면 및 입면을 선택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를 통하여 선택된 단위건물유닛(30)을 벽식 구조체용 골조(10) 내부로 슬라이딩시켜 삽입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건물유닛(30) 삽입형 건축물의 설계지원시스템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벽식 구조체용 골조(10)와 단위건물유닛(30)으로 구성되는 단위건물유닛(30) 삽입형 건축물의 공간 계획을 위한 설계지원시스템이다.
본 발명을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단위건물유닛(30) 삽입형 건축물의 설계지원시스템은 (a) 벽체(12) 및 슬래브(14)로 구성되되 설비시설이 구비된 벽식 구조체용 골조(10); 의 내부로 유닛 바닥 슬래브(32)와 유닛 바닥 슬래브(32) 상부에 연직으로 결합되는 유닛 벽체(34)로 구성되는 단위건물유닛(30); 을 삽입하기 위하여, 벽식 구조체용 골조(10)의 내부 공간 중 단위건물유닛(30)을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선택하는 단계가 선행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단위건물유닛(30) 삽입형 건축물의 실시예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1의 단위건물유닛(30) 삽입형 건축물은 벽식 구조체에 적용되는 것으로, 벽식 구조체용 골조(10)는 벽체(12) 및 슬래브(14)로 구성되며, 벽체(12)와 슬래 브(14) 외에 보 부재도 포함 가능하다. 이때, 벽식 구조체용 골조(10)의 측면 중 적어도 1면은 단위건물유닛(30)이 자유로이 삽입 또는 제거되도록 개방되어야 한다.
그리고 벽식 구조체용 골조(10)에는 전기, 난방, 조명, 급수, 배수 따위의 설비시설이 미리 구비될 것을 요한다. 이때 설비시설은 각 층 슬래브(14) 내부, 또는 슬래브(14) 상부나 하부에 위치된다. 특히, 슬래브(14) 상부나 하부에 설비시설을 위치시킬 경우에는 설비시설을 위한 별도의 설비공간(20)을 구획함으로써, 단위건물유닛(30)과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한다. 물론, 에어덕트, 파이프덕트 등의 설비시설은 단위건물유닛(30)과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수직 방향의 연속성을 확보하여 둔다.
한편, 단위건물유닛(30)은 유닛 바닥 슬래브(32)와 유닛 바닥 슬래브(32) 상부에 연직으로 결합되는 유닛 벽체(34)로 구성되며, 그 외에 유닛 벽체(34) 상부에 결합되는 유닛 천정 슬래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건축물 전체 또는 일부를 벽식 구조체용 골조(10)인 벽체(12)와 슬래브(14)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벽식 구조체용 골조(10)만으로 이루어진 건축물 부분 중에서, 단위건물유닛(30)을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선택한다. 이러한 선택은 사용자의 요구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단위건물유닛(30)의 기능에 따른다.
다음으로 (b) 상기 선택된 공간에 삽입되는 단위건물유닛(30)의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가 실시된다.
여기에서 단위건물유닛(30)의 기능은 보육시설용, 노인시설용, 커뮤니티 시설용, 사무실용, 게스트하우스, 그린하우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이 가능하며, 이러한 기능은 추후에 추가 가능하다. 단위건물유닛(30)은 건축용 패널이나 철골 부재를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미리 공장 생산하여 둘 수 있다.
그리고 단위건물유닛(30)의 기능을 선택한 후에는, (c) 상기 단위건물유닛(30)의 기능에 대한 복수 개의 평면 또는 입면 중에서 평면 및 입면을 선택한다.
이 단계는 동일한 기능의 단위건물유닛(30)이라도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평면이나 입면을 융통성 있게 채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c)단계 이후에, (c)단계를 통하여 선택된 단위건물유닛(30)을 벽식 구조체용 골조(10) 내부로 삽입시켜 건축물의 외관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는 시뮬레이션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수요자는 선택된 단위건물유닛(30)과 건축물과의 전체적인 기능 또는 외관상의 조화를 고려하여, 공간, 기능, 평면, 입면의 유형에 대한 재선택을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d) 상기 (c)단계를 통하여 선택된 단위건물유닛(30)을 벽식 구조체용 골조(10) 내부로 슬라이딩시켜 삽입하는 단계를 통하여 단위건물유닛(30) 삽입형 건축물의 공간계획을 마무리한다.
도2에서는 복도식 구조로 이루어진 벽식 구조체용 골조(10)와 벽식 구조체용 골조(10)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삽입 가능한 단위건물유닛(30)의 입단면도가 개시되어 있다.
이때, 단위건물유닛(30)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한 실시예로, 도3의 (a)에 개시된 레일바퀴(40) 및 가이드레일(42)을 들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단위건물유닛(30)은 외부에 면하는 유닛 바닥 슬래브(32), 또는 유닛 바닥 슬래브(32)와 유닛 벽체(34)에 결합되는 레일바퀴(40)가 포함되고, 상기 벽식 구조체용 골조(10)는 레일바퀴(40)에 대응하도록 슬래브(14), 또는 슬래브(14)와 벽체(12)에 결합되는 가이드레일(42)이 포함되어, 단위건물유닛(30)은 가이드레일(42)을 따른 레일바퀴(40)의 이동에 의하여 벽식 구조체용 골조(10)에 삽입 또는 제거되는 것이다.
도3의 (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레일바퀴(40)와 가이드레일(42)은 각각 단위건물유닛(30)의 유닛 바닥 슬래브(32) 하부면과 벽식 구조체용 골조(10)의 슬래브(14) 상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외에도 단위건물유닛(30)의 유닛 벽체(34) 외측면과 벽식 구조체용 골조(10)의 벽체(12) 내측면에 레일바퀴(40)와 가이드레일(42)이 결합되는 경우도 상정 가능하다. 아울러 유닛 천정 슬래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단위건물유닛(30)은 유닛 천정 슬래브 상부면까지 레일바퀴(40)를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단위건물유닛(30)의 유닛 바닥 슬래브(32)와 벽식 구조체용 골조(10)의 슬래브(14)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공간은 추가적인 배관을 설치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되거나, 상하 세대를 절연시켜 인접 세대간의 소음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3의 (a)와 (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위건물유닛(30)과 벽식 구조체용 골조(10)의 고정은 단위건물유닛(30)의 유닛 바닥 슬래브(32)를 관통하여 각 층 슬래브(14)에 정착되는 포스트(44)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유닛 바닥 슬래브(32)에는 포스트(44)를 삽입할 수 있는 구멍을 미리 제작하여 둠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벽식 구조체용 골조(10)의 슬래브(14)에도 포스트(44)가 안착될 수 있도록 홈을 형성하여 둔다.
본 발명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식 구조체에 적용 가능하나, 이 외에 주상복합 건축물이나 사무용 건축물 등 라멘 구조체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a) 기둥, 슬래브(14) 및 보로 구성되되 설비시설이 구비된 라멘 구조체용 골조; 의 내부에 유닛 바닥 슬래브(32)와 유닛 바닥 슬래브(32) 상부에 연직으로 결합되는 유닛 벽체(34)로 구성되는 단위건물유닛(30); 을 삽입하기 위하여, 라멘 구조체용 골조의 내부 공간 중 단위건물유닛(30)을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선택된 공간에 삽입되는 단위건물유닛(30)의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단위건물유닛(30)의 기능에 대한 복수 개의 평면 또는 입면 중에서 평면 및 입면을 선택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를 통하여 선택된 단위건물유닛(30)을 라멘 구조체용 골조 내부로 슬라이딩시켜 삽입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건물유닛(30) 삽입형 건축물의 설계지원시스템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단위건물유닛(30)의 기능이나 단위건물유닛(30)의 삽입·고정 등은 벽식 구조체에 적용되는 단위건물유닛(30) 삽입형 건축물의 설계지원시스템에 대한 내용을 적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도1은 단위건물유닛 삽입형 건축물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단위건물유닛 삽입형 건축물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입단면도.
도3의 (a)와 (b)는 각각 단위건물유닛이 벽식 구조체용 골조(10)에 삽입·고정되는 수단이 개시된 단면도 및 이에 대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벽식 구조체용 골조
12: 벽체
14: 슬래브
20: 설비공간
30: 단위건물유닛
32: 유닛 바닥 슬래브
34: 유닛 벽체
40: 레일바퀴
42: 가이드레일
44: 포스트

Claims (9)

  1. (a) 벽체(12) 및 슬래브(14)로 구성되되 설비시설이 구비된 벽식 구조체용 골조(10); 의 내부로 유닛 바닥 슬래브(32)와 유닛 바닥 슬래브(32) 상부에 연직으로 결합되는 유닛 벽체(34)로 구성되는 단위건물유닛(30); 을 삽입하기 위하여,
    벽식 구조체용 골조(10)의 내부 공간 중 단위건물유닛(30)을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선택된 공간에 삽입되는 단위건물유닛(30)의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단위건물유닛(30)의 기능에 대한 복수 개의 평면 또는 입면 중에서 평면 및 입면을 선택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를 통하여 선택된 단위건물유닛(30)을 벽식 구조체용 골조(10) 내부로 슬라이딩시켜 삽입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건물유닛(30) 삽입형 건축물의 설계지원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단위건물유닛(30)은 외부에 면하는 유닛 바닥 슬래브(32), 또는 유닛 바닥 슬래브(32)와 유닛 벽체(34)에 결합되는 레일바퀴(40); 가 포함되고,
    상기 벽식 구조체용 골조(10)는 레일바퀴(40)에 대응하도록 슬래브(14), 또 는 슬래브(14)와 벽체(12)에 결합되는 가이드레일(42); 이 포함되되,
    상기 단위건물유닛(30)은 가이드레일(42)을 따른 레일바퀴(40)의 이동에 의하여 벽식 구조체용 골조(10)에 삽입 또는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건물유닛(30) 삽입형 건축물의 설계지원시스템.
  3. 제1항에서,
    상기 단위건물유닛(30)은 유닛 바닥 슬래브(32)를 관통하여 각 층 슬래브(14)에 정착되는 포스트(44)에 의하여 벽식 구조체용 골조(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건물유닛(30) 삽입형 건축물의 설계지원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c)단계 이후에 (c)단계를 통하여 선택된 단위건물유닛(30)을 벽식 구조체용 골조(10) 내부로 삽입시켜 건축물의 외관을 확인하는 단계;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건물유닛(30) 삽입형 건축물의 설계지원시스템.
  5. (a) 기둥, 슬래브(14) 및 보로 구성되되 설비시설이 구비된 라멘 구조체용 골조; 의 내부에 유닛 바닥 슬래브(32)와 유닛 바닥 슬래브(32) 상부에 연직으로 결합되는 유닛 벽체(34)로 구성되는 단위건물유닛(30); 을 삽입하기 위하여,
    라멘 구조체용 골조의 내부 공간 중 단위건물유닛(30)을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선택된 공간에 삽입되는 단위건물유닛(30)의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단위건물유닛(30)의 기능에 대한 복수 개의 평면 또는 입면 중에서 평면 및 입면을 선택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를 통하여 선택된 단위건물유닛(30)을 라멘 구조체용 골조 내부로 슬라이딩시켜 삽입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건물유닛(30) 삽입형 건축물의 설계지원시스템.
  6. 제5항에서,
    상기 단위건물유닛(30)은 외부에 면하는 유닛 바닥 슬래브(32), 또는 유닛 바닥 슬래브(32)와 유닛 벽체(34)에 결합되는 레일바퀴(40); 가 포함되고,
    상기 라멘 구조체용 골조는 레일바퀴(40)에 대응하도록 슬래브(14), 또는 슬래브(14)와 벽체(12)에 결합되는 가이드레일(42); 이 포함되되,
    상기 단위건물유닛(30)은 가이드레일(42)을 따른 레일바퀴(40)의 이동에 의하여 라멘 구조체용 골조에 삽입 또는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건물유닛(30) 삽입형 건축물의 설계지원시스템.
  7. 제5항에서,
    상기 단위건물유닛(30)은 유닛 바닥 슬래브(32)를 관통하여 각 층 슬래 브(14)에 정착되는 포스트(44)에 의하여 라멘 구조체용 골조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건물유닛(30) 삽입형 건축물의 설계지원시스템.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c)단계 이후에 (c)단계를 통하여 선택된 단위건물유닛(30)을 라멘 구조체용 골조 내부로 삽입시켜 건축물의 외관을 확인하는 단계;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건물유닛(30) 삽입형 건축물의 설계지원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3항 또는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단위건물유닛(30)의 기능은 보육시설용, 노인시설용, 커뮤니티 시설용, 사무실용, 게스트하우스, 그린하우스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건물유닛(30) 삽입형 건축물의 설계지원시스템.
KR1020080040481A 2008-04-30 2008-04-30 단위건물유닛 삽입형 건축물의 설계지원시스템 KR200901147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481A KR20090114704A (ko) 2008-04-30 2008-04-30 단위건물유닛 삽입형 건축물의 설계지원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481A KR20090114704A (ko) 2008-04-30 2008-04-30 단위건물유닛 삽입형 건축물의 설계지원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704A true KR20090114704A (ko) 2009-11-04

Family

ID=41555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481A KR20090114704A (ko) 2008-04-30 2008-04-30 단위건물유닛 삽입형 건축물의 설계지원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47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175B1 (ko) * 2022-12-14 2023-08-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데드스페이스를 활용한 mep모듈장치 음압병동 모듈러 시스템
KR102568191B1 (ko) * 2022-12-14 2023-08-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음압병동 모듈러 시스템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175B1 (ko) * 2022-12-14 2023-08-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데드스페이스를 활용한 mep모듈장치 음압병동 모듈러 시스템
KR102568191B1 (ko) * 2022-12-14 2023-08-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음압병동 모듈러 시스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646B1 (ko) 단위건물유닛 삽입형 건축물
US20190186122A1 (en) Prefabricated building module
RU2014134178A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строительства здания
KR20090114704A (ko) 단위건물유닛 삽입형 건축물의 설계지원시스템
JP6291152B2 (ja) 戸建て住宅及びその設計方法
JPH07279449A (ja) 住宅構造
JP6130654B2 (ja) 建物
US3710521A (en) Multistory buildings and walls thereof
JPH04231551A (ja) 建物の内部を作る方法
JPH11324204A (ja) 建物の構造
JP2002303053A (ja) 高層集合住宅
JP2009127214A (ja) 多層建物の床スラブ
JP5627069B2 (ja) 多層建物
JP3261404B2 (ja) 規格化集合住宅のスケルトン構造
JP3584979B2 (ja) 集合住宅
JP4632275B2 (ja) Si集合住宅
JP2003056188A (ja) 片廊下型集合住宅
Ismail et al. Adaptability and Modularity in Housing: a Case Study of Raines Court and Next21
JPH08120955A (ja) 集合住宅
JP5198670B1 (ja) 木造住宅および木造住宅の設計方法
JPH1046842A (ja) 集合住宅
JP2011106164A (ja) 集合住宅
JP6143441B2 (ja) 壁構造、扉の設置方法、扉の撤去方法、及び、建物
Yang Korea's 100-year housing program
JP6101057B2 (ja) 給電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504

Effective date: 2016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