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2702A - 통풍 작용을 갖는 이젝터 장치 - Google Patents

통풍 작용을 갖는 이젝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2702A
KR20090112702A KR1020097017028A KR20097017028A KR20090112702A KR 20090112702 A KR20090112702 A KR 20090112702A KR 1020097017028 A KR1020097017028 A KR 1020097017028A KR 20097017028 A KR20097017028 A KR 20097017028A KR 20090112702 A KR20090112702 A KR 20090112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duct
ejector
flow
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7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3276B1 (ko
Inventor
피터 텔
Original Assignee
제렉스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렉스 에이비 filed Critical 제렉스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90112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4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F5/02 - F04F5/42
    • F04F5/48Control
    • F04F5/52Control of evacuating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25J15/061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 B25J15/0675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of the ejecto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0808Suction grippers
    • B65H3/0883Construction of suction grippers or their hol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0808Suction grippers
    • B65H3/0891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de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su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suction means
    • B66C1/0212Cir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suction means
    • B66C1/0256Operating and control devices
    • B66C1/0268Venturi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suction means
    • B66C1/0293Single lifting units; Only one suction c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 공기 덕트(2)를 통하여 이젝터(1)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부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이젝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젝터 장치는, 압축 공기 덕트 내에 배치되어,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이젝터에 압축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는 밸브 부재, 이젝터와 부압에 의해 구동되는 파지 부재 사이에 배치된 공기 흡입 덕트(3), 및 공기 흡입 덕트와 연통되게 배치되고, 열림 위치에 있을 때 파지 부재를 주위 공기와 소통시키는 통기 밸브(7; 70)를 포함한다. 이젝터 장치는, 밸브 부재가 압축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밸브(5; 50); 상기 유동 방향으로 제1 밸브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제2 밸브(6; 60); 제1 밸브와 제2 밸브 사이에 배치되어, 두 밸브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압축 공기가 유동하는 압축 공기 덕트의 유동부(2'), 및 제1 밸브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제2 밸브의 열림 또는 닫힘 위치와는 무관하게 계속해서 닫힘 공기 압력을 받게 하기 위하여, 유동부(2')와 연통되어 있는 통기 밸브(7; 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축 공기 덕트, 이젝터, 공기 흡입 덕트, 통기 밸브, 제1 밸브, 제2 밸브

Description

통풍 작용을 갖는 이젝터 장치{EJECTOR DEVICE WITH VENTILATION ACTION}
본 발명은, 산업 공정에 유용한 부압을 발생시키기 위해, 압축 공기에 의해 구동되는 이젝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흡입 컵 등의 흡입 파지 수단(suction grip means)을 포함하는 이젝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흡입 파지 수단에는 파지된 물품의 탈착을 위한 파지 부재의 능동 통풍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유형의 이젝터 장치는, 순차적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트 또는 노즐을 통해 고압으로 공기 유동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이젝터를 포함한다. 압축 공기는 압축 공기의 공급원에 연결된 압축 공기 덕트를 통해 이젝터에 공급된다. 이젝터는, 개별 제트의 출구 또는 노즐 사이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이젝터를 관통하여 압축 공기의 유동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배출되는 공간과 연통되어 있다. 상기 배출 공간은 공기 흡입 덕트를 통해,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흡입컵 형태의 하나 이상의 파지 부재와 연통되어 있다.
이젝터로의 압축 공기의 유동은 압축 공기 덕트 내에 배치된 밸브에 의해 조절되고, 이젝터로의 유동을 부분 제한할 수 있도록 압축 공기의 유동을 적절히 개방 및 차단시킬 수 있다. 밸브는 제어 부재와 결합될 수도 있는데, 이 제어 부재는 작동 프로그램 상의 지시 및/또는 공기 흡입 덕트와 연결되어 있는 압력 센서에 의해 감지된 검출 부압에 따라 압축 공기의 유동을 조절한다. 가장 분산화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흡입컵은 하나 이상의 전용 이젝터, 밸브 유닛 및 제어 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이젝터 장치에 있어서, 파지된 물체의 탈착을 가능토록 하기 위해, 흡입컵의 능동 통풍 기능을 설치하여, 단기간의 작동 사이클을 얻는 것이 종래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통풍 기능부는 통상 전기식 작동 밸브를 포함하고, 이 전기식 작동 밸브는 개방시, 주위 압력 또는 압축 공기를 흡입컵 아래에 위치한 배출 공간으로 들여보낸다.
본 발명은 통풍 작용이 보다 향상된 이젝터 장치로서,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키고, 또한 파지된 물체에 대해 신속하면서도 확실하게 통풍시킬 수 있는 이젝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라 배치된 이젝터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종속 청구항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가 규정되어 있다.
요약을 하자면, 본 발명으로서 이젝터 장치는 압축 공기 제어식 통기 밸브를 구비하며, 이 통기 밸브에 의해, 통기 밸브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파지 부재 안으로 주위 압력이 공급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이젝터 장치는, 파지 부재 내에 소정의 부압을 유지하기 위하여, 이젝터를 단속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것과는 무관하게, 닫힘 공기 압력이 통구 밸브에 계속적으로 가해지도록, 배치된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압축 공기 덕트를 통해 이젝터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부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이젝터 장치로서, 압축 공기 덕트 내에 배치되어,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이젝터로 압축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는 밸브 부재, 이젝터와 부압에 의해 구동되는 파지 부재 사이에 배치된 공기 흡입 덕트, 및 공기 흡입 덕트와 연통되게 배치되고, 열림 위치에 있을 때 파지 부재를 주위 공기와 소통시키는 통기 밸브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 부재는 압축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밸브; 상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제1 밸브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제2 밸브;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2 밸브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 밸브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압축 공기를 유동시키는 압축 공기 덕트의 유동부; 및 상기 제1 밸브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제2 밸브의 열림 또는 닫힘 위치와는 무관하게 계속해서 닫힘 공기 압력을 받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유동부와 연통되어 있는 통기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밸브는, 닫히게 되면, 압축 공기 덕트에 의해 통기 밸브를 주위 공기와 연통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통기 밸브는 열림 위치에 대하여 편향된다. 이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통기 밸브는 탄성 밸브 바디를 포함하고, 이 밸브 바디는 제1 밸브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시트에 대하여 밀봉하게 되고, 공기 흡입 덕트 쪽으로는 개방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유동부의 주위 압력으로, 밸브 바디의 스프링력은, 공기 흡입 덕트 내의 부압에 대항하여 시트로부터 밸브 바디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정해진다. 바람직하게, 밸브 바디는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로부터 유도된 고유의 편향력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밸브 바디는 단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 또는 1 바(bar) 이상, 바람직하게는 최저 2 바(bar)까지의 압력차에서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안정하며, 보다 더 큰 압력차에서는, 가역적 휨 변형(reversible bending deformation)을 보인다.
바람직하게는, 통기 밸브는, 평면도에서 볼 때 원형이고, 원뿔면을 가지는 밸브 바디를 포함하고, 이 밸브 바디는 상기 시트에 대향하며, 공기 흡입 덕트와 연결된 통기 덕트의 원통형 입구부의 대응 원뿔형 단부에 대해 밀봉하게 된다. 상기 밸브 바디의 상기 원뿔면의 방사상 바깥 부분에는, 비교적 두께가 작은 링 형상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 바디의 주변 영역은 이젝터 장치의 하우징 내에 고정된다.
주위 공기에 개방되는 하나 이상의 유입 덕트는, 일 단부가 통기 덕트의 원통형 입구부의 영역에서 개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통기 밸브 바디가 통기 덕트의 입구부로부터 상승되면, 상기 유입 덕트를 통해, 공기 흡입 덕트는 주위 공기와 연통하게 된다. 또한, 유입 덕트는 복수의 개별 덕트(discrete ducts)를 포함하는데, 이 개별 덕트는 통기 덕트 주변에 균일하게 배열되어 있으면서, 통기 덕트의 입구부와 동일 평면 상에 개방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유입 덕트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심으로 하여 통기 덕트의 입구부 주변에 개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젝터 장치의 제2 밸브는 공기 흡입 덕트 내의 유동 압력에 따라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를 전환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밸브는, 통합 또는 외부 제어 부재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제1 밸브의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의 전환을 제어하는 파일롯 밸브와 결합될 수 있다. 파일롯 밸브는, 예컨대 전자석 또는 압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세부구성 및 장점이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다른 이젝터 장치의 전기 및 공압 블록 선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이젝터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이젝터 장치 내에 포함된 밸브 바디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이젝터 장치 내에 포함된 통기 밸브(vent valve)의 일 실시예의 밸브 시트를 나타내는, 도 2에서 면 Ⅳ-Ⅳ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젝터 장치는 개략적인 전기 및 공압 블록 선도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본 선도에서, 참조 번호 1은 이젝터를 나타내고, 이 이젝터는 압축 공기(P)의 외부원에 의하여 압축 공기 덕트(2)를 통해 구동되어, 부압을 발생시킨다. 이 부압은 이젝터로부터 공기 흡입 덕트(3)을 지나 파지 부재, 예를 들면 흡입컵(4)으로 공급된다. 압축 공기 덕트(2) 내에 밸브 부재가 설치되어, 이젝터(1)로의 압축 공기의 유동을 각각 소통 및 차단시키기 위해 제어된다. 밸브 부재는, 압축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의 제1 밸브와, 제1 밸브의 하류측에 배치된 제2 밸브를 포함한다. 밸브가 열림 위치에 있게 되면, 압축 공기의 외부원과의 연결은 이젝터를 통한 압축 공기의 유동을 위해 개방되고, 압축 공기 덕트(2)를 통해, 그 유동부(2')는 제1 밸브와 제2 밸브 사이에서 유동한다. 통기 밸브(7)는 유동 소통부(flow communication)(8)에 의해 상기 유동부(2')와 연결되고, 제1 밸브의 열림 위치에서 상기 유동 소통부를 통해 압축 공기의 영향을 받게 되어, 통기 밸브(7)는 도 1에 도시되는 닫힘 위치로 전환된다. 통기 밸브(7)는 다시 통기 덕트(9)를 통해 공기 흡입 덕트(3)와 연통된다. 제1 밸브(5)가 닫히면, 압축 공기 덕트의 상기 유동부는 주위 공기에 개방되고, 그 결과, 통기 밸브(7)가 개방되어, 통기 덕트(9)를 통해 공기 흡입 덕트(3)가 주위 공기에 연결된다. 통기 밸브(7)는 열림 위치 쪽으로 편향된다. 완성도를 위해, 역류 방지 밸브(non-return valve)(10)가 공기 흡입 덕트(3) 내에 삽입되어, 이젝터가 차단될 때, 이젝터로부터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제2 밸브(6)는 파지 부재(4) 내에 원하는 부압을 유지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이를 위해, 도 1의 점선(11)은, 제2 밸브(6)가 공기 흡입 덕트(3) 내의 유동 압력에 따라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를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제2 밸브의 전환은 통기 밸브(7)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통기 밸브(7)는 밸브 사이에 배치되는 압축 공기 덕트의 유동부(2') 뿐만 아니라, 유동 소통부(8)에 의해, 제1 밸브(5)가 열림 위치에 있는 한 제2 밸브의 위치와는 무관하게, 닫힘 공기 압력의 영향을 받기 쉽다.
제1 밸브(5)는 압축 공기 덕트(2)의 열림 및 닫힘을 위한 지시에 따라 제어된다. 이를 위해, 제1 밸브(5)는 외부 또는 통합 제어 부재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파일롯 밸브(12)와 연결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구현된 이젝터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이젝터 장치는 하우징(100)을 포함하며, 이 하우징(100)은 하나 이상의 이젝터(1), 및 본 실시예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되는 개별 흡입컵(4) 형태의 하나 이상의 파지 부재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하우징(100)은 이젝터가 하우징 내에 설치되도록 이젝터 시트(101)를 포함하지만, 또한 이젝터가 하우징 외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부(13)를 구비한 하우징의 외부로 개방되어 있는 압축 공기 덕트(2)를 통하여 이젝터(1)에 압축 공기가 공급되고, 압축 공기 덕트(2)에 의해 이젝터가 압축 공기의 외부원과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압축 공기는 이젝터의 출구를 통해, 가능하다면 흡음재(sound absorber)(14)를 통해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공급된다. 이젝터(1)는 단단형 또는 다단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순서대로 배치된 단일 또는 복수의 노즐이나 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젝터(1)는, 대칭을 이루는 회전식 바디를 가지며, 이젝터 시트(101)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쉘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개구(15)를 포함하는, 도시된 다단형 이젝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젝터 시트(101)로부터, 공기 흡입 덕트(3)는 흡입컵(4)(도 2에서, 도면 안쪽)으로 연장되어, 흡입컵에 부압을 공급한다. 하우징(10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많은 수의 하우징 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로봇암 또는 기타 다른 이동식 기계 부품 등의 이동식 운반 부재에 하우징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이젝터(1)로의 압축 공기의 유동은 밸브 부재에 의해 제어되며, 유동 방향(P)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 밸브 부재는 이젝터의 상류측의 압축 공기 덕트 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밸브 부재는, 유동 방향으로 제1 밸브(50)와, 제1 밸브의 하류측에 배치된 제2 밸브(60)를 포함한다. 제1 밸브(50)는 피스톤(51)을 포함하며, 이 피스톤(51)은, 로드(52)의 단부에서 밸브 바디(53)를 지지하고, 제1 밸브가 열리면, 이 밸브 바디(53)는 시트(54)로부터 상승된다. 피스톤 및 누수 유동 덕트(leakage flow duct)(55)를 통해 제한된 누수 유동이 차단되면, 압축 공기 덕트(2) 내의 유동을 위해, 제1 밸브가 열린다. 누수 유동은 파일롯 밸브(12)에 의해 제어된다. 바람직하게는, 파일롯 밸브(12)는, 내부 또는 외부에 기억된 작업 계획 및/또는 이젝터 장치 동작의 계속적인 관측에 의한 제어 부재(20)(상세히 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전기로 구동된다. 파일롯 밸브(12)는 종래의 전자기 밸브 또는 압전 소자를 포함한 종래의 압전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누수 유동 덕트(55)가 닫히면, 피스톤에 대해 압력이 증가하여, 제1 밸브는 도 2에 도시되는 열림 위치가 된다. 제1 밸브가 열림 위치에 있게 되면, 제1 밸브의 밸브 바디(53)는 배기관(56)을 막는다.
제2 밸브(60)는, 작동 사이클 동안, 필요하다면, 이젝터에 압축 공기를 단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제어된 압력 하에서 작동될 수 있으므로, 미리 결정되거나, 가능하다면 조절가능한 부압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밸브(60)는 피스톤(61)을 포함하고, 이 피스톤(61)은 중공형 로드(62)의 단부에서 밸브 바디(63)를 지지하며, 제2 밸브가 열리면, 이 밸브 바디(63)는 시트(64)로부터 상승된다. 밸브 로드, 피스톤 및 누수 유동 덕트(65)를 통해 제한된 누수 유동이 차단되면, 제2 밸브(60)는 안축 공기 덕트(2) 내의 유동을 위해 열린다. 누수 유동은 흡입 덕트(3) 및 흡입컵(4) 내의 유동 압력에 따라 제어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제2 밸브(60)는, 가요성 공기 유동 방지 격판(67)을 포함하는 압력 제어 밸브(66)와 결합된다. 상기 격판(67)은 닫힘 위치로 스프링 편향되어 있고, 그 편향된 측면은 공기 흡입 덕트(3) 내의 압력에 노출되며, 그 배향 측면은 누수 유동 덕트(65)를 통해 압축 공기 덕트(2) 내의 압력에 노출된다. 공기 흡입 덕트 내에 부압이 형성되면, 편향 스프링(bias spring)(68)의 힘은 압도되고, 그 결과 상기 격판은 압축 공기 덕트(2) 내에 압력을 만들어내어, 누수 유동을 위하여 누수 유동 덕트(65) 및 출구(65')를 통해 열리기 때문에, 밸브 바디(63)는 시트(64)에 대항하여 밀봉하게 된다. 닫힘 위치에서, 이젝터(1)를 통한 압축 공기의 유동은 중단된다. 공기 흡입 덕트(3) 내에 압력이 소정의 부압보다 크게 증가하면, 누수 유동 덕트(65)는 닫히고, 그 결과 밸브 바디(63)는, 도 2에 도시되는 열림 위치가 된다. 스프링의 편향력은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이용가능한 조절 나사(69)에 의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는 분산형 진공 시스템 내에 포함된 이젝터 장치의 기능부들을 고도로 통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이젝터 장치는, 파지된 물품을 떼어내면 주위 공기를 흡입컵으로 공급할 수 있는 압축 공기 제어 방식의 통기 밸브(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구체적으로, 이젝터 장치는, 파지 부재 내에 소정의 부압을 유지하기 위해 이젝터를 단속적으로 구동하는 것과는 무관하게, 작동 사이클 동안, 닫힘 공기 압력이 통구 밸브에 계속적으로 가해지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밸브 바디(71)와 밸브 시트(72)를 포함하는 통기 밸브(70)가 도시되어 있다. 밸브 바디(71)는 유동 덕트(73)를 통해, 압축 공기 덕트(2)의 유동부(2'), 더 구체적으로는 제1 밸브의 시트(54)와 제2 밸브의 시트(64) 사이의 유동부(2')와 연통되어 있다. 밸브 시트(72)는 공기 흡입 덕트(3)와 연통되어 있는 통기 덕트(74)의 원통형 입구부에서 형성된다. 통기 덕트의 원통형 입구부에서, 밸브 시트(72)는 원뿔형 접촉면을 가지며, 이 접촉면은 밸브 바디(71)에 형성된 대향하는 원뿔형 접촉면(75)과 일치하다. 밸브 바디의 접촉면(75)은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밸브 바디의 중앙 돌출부(76) 상에 배치된다. 원뿔형 접촉면(75)의 방사상 바깥 부분에는, 비교적 두께가 작은 링 형상부(77)가 형성되어 있으며, 링 형상부의 주변 영역(78)은 이젝터 장치의 하우징(100) 내에 고정되거나, 복합 하우징(100) 내에 포함된 부품 내에 고정된다.
밸브 바디(71)는 열림 위치로 편향된다. 밸브 바디(71)는 형상 복원력을 갖는 탄력 부재로 적절히 제조되며, 단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 또는 1 바(bar) 이상, 바람직하게는 2 바(bar)까지의 압력차에서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안정하도록 특정 치수로 제조된다. 유동 덕트(73)를 통해 보다 큰 압력이 단방향으로 가해지면, 밸브 바디는 가역 휨 변형(reversible bending deformation)을 받게 되어, 밸브 시트(72)에 대항하여 밀봉한다. 제2 밸브(60)의 열림 또는 닫힘 위치와는 무관하게, 제1 밸브(50)가 열림 위치에 있게 되면, 유동 덕트(73)를 통해 필요한 밀봉 압력이 계속해서 유지된다. 제1 밸브가 닫히게 되면, 밸브 바디(71)가 제1 밸브의 배기관(56)을 통해 주위 공기에 연결되므로, 밸브 바디는 본래 형상으로 복원되고, 원뿔형 접촉면(75)은 통기 덕트(74)의 시트(72)로부터 상승된다.
밸브 바디(71)는, 재료 내에 통합되거나 밸브 바디의 외부에 적용될 수 있는 섬유, 스트립, 플레이트의 형태의 유기물, 금속, 또는 또다른 무기물의 강화와는 무관하게, 천연 고무, 혼합 고무 또는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이를 나타내지 않고도, 통기 밸브의 밸브 바디는 제2 밸브의 압력 제어 밸브(66)와 공동으로, 상술한 구성 원리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원리에 따라 실질적으로 조절가능한 편향 부재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기 밸브의 열림 위치에서, 공기 흡입 덕트(3)는 통기 덕트(74)를 통해 주위 공기와 연결된다. 이를 위해, 통기 덕트는 하나 이상의 유입 덕트(79)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 유입 덕트(79)는 주위 공기에 개방되며, 그 일 내측 단부가 통기 덕트의 원통형 입구부의 영역에서 개방되도록 하기 위하여, 통기 덕트에 평행하게 뻗어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여러개의 유입 덕트(79)는, 내측 단부가 통기 덕트의 입구부와 동일 평면 상에 개방되고, 외측 단부가 공통 유입부(80)에서 개방되도록, 동심으로 균일하게 통기 덕트(74) 주변에 배치된다. 또한, 유입 덕트(79)는 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동심으로 하여 통기 덕트의 입구부 주변에 개방된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기술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세부구성은 개별적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을 통해 첨부된 청구항에서 규정된 해결수단에 바람직하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세부구성은 청구항에서 제공된 주 해결수단에서 벗어나지 않고 변경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이젝터 2 압축 공기 덕트
2' 압축 공기 덕트의 유동부 3 공기 흡입 덕트
4 파지 부재/흡입컵 5 제1 밸브
6 제2 밸브 7 통기 밸브
8 유동 소통부 9 통기 덕트
10 역류 방지 밸브(non-return valve) 11 압력 제어선
12 파일롯 밸브 13 압축 공기 연결부
14 흡음재 15 개구
20 제어 부재 50 제1 밸브
51 피스톤 52 로드
53 밸브 바디 54 시트
55 누수 유동 덕트 56 배기관
60 제2 밸브 61 피스톤
62 로드 63 밸브 바디
64 시트 65, 65' 누수 유동 덕트
66 압력 제어 밸브 67 격판(diaphragm)
68 스프링 69 조절 나사
70 통기 밸브 71 통기 밸브 바디
72 밸브 시트 73 유동 덕트
74 통기 덕트 75 접촉면
76 돌출부 77 링 형상부
78 주변 영역 79 유입 덕트
80 유입부 100 하우징
101 이젝터 시트

Claims (14)

  1. 압축 공기 덕트(2)를 통하여 이젝터(1)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부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이젝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축 공기 덕트 내에 배치되어,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이젝터에 압축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는 밸브 부재, 상기 이젝터와 부압에 의해 구동되는 파지 부재 사이에 배치된 공기 흡입 덕트(3), 및 상기 공기 흡입 덕트와 연통되게 배치되고,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파지 부재를 주위 공기와 소통시키는 통기 밸브(7; 70)
    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압축 공기의 유동 방향(p)으로 배치되는 제1 밸브(5; 50),
    상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제1 밸브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제2 밸브(6; 60),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2 밸브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두 밸브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압축 공기가 유동하는 상기 압축 공기 덕트의 유동부(2'), 및
    상기 제1 밸브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밸브의 열림 또는 닫힘 위치와는 무관하게 계속해서 닫힘 공기 압력을 받게 하기 위하여, 상기 유동부(2')와 연통되어 있는 통기 밸브(7; 70)를 포함하는,
    이젝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는,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유동부(2')를 통해 상기 통기 밸브(7; 70)를 상기 주위 공기에 연결시키는, 이젝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밸브(7; 70)는 열림 위치에 대하여 편향되는, 이젝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밸브는, 시트(72)에 대하여 밀봉하고, 상기 공기 흡입 덕트(3) 쪽으로는 개방되는, 탄성 밸브 바디(71)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부(2')의 주위 압력으로, 상기 밸브 바디(71)의 스프링력은, 상기 공기 흡입 덕트(3) 내의 부압에 대항하여 상기 시트(72)로부터 상기 밸브 바디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정해지는, 이젝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바디(71)는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시트(72)로부터 유도된 고유의 편향력을 가지는, 이젝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바디(71)는 단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 또는 1 바(bar) 이상, 바람 직하게는 최저 2 바(bar)까지의 압력차에서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안정하며, 보다 더 큰 압력차에서는, 가역적 휨 변형(reversible bending deformation)을 나타내는, 이젝터 장치.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밸브(7; 70)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원뿔면(75)을 갖는 밸브 바디(71)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바디(71)는 상기 시트(72)에 대향하며, 공기 흡입 덕트(3)와 연결된 통기 덕트(74)의 원통형 입구부(72)의 대응 원뿔형 단부에 대해 밀봉하게 되는, 이젝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바디(71)는, 상기 원뿔면의 방사상 바깥 부분에서, 재료 두께가 비교적 작은 링 형상부(77)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바디(71)의 주변 영역(78)은 상기 이젝터 장치의 하우징 또는 상기 하우징과 연결된 부품 내에 고정되는, 이젝터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위 공기에 개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유입 덕트(79)를 포함하며, 상기 유압 덕트(79)는, 일 단부가 상기 통기 덕트의 상기 원통형 입구부(72)의 영역에서 개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밸브 바디(71)가 상기 통기 덕트(74)의 상기 입구 부로부터 상승될 때, 상기 유입 덕트를 통해, 상기 공기 흡입 덕트(3)는 상기 주위 공기와 연통되는, 이젝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덕트(79)는, 상기 통기 덕트 주변에 균일하게 배열되어 있으면서, 상기 통기 덕트(74)의 상기 입구부와 동일한 평면 상에 개방되는, 복수의 개별 덕트(discrete ducts)를 포함하는, 이젝터 장치.
  1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덕트(79)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동심으로 하여 상기 통기 덕트(74)의 상기 입구부 주변에 개방되는, 이젝터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60)는 상기 공기 흡입 덕트(3) 내의 유동 압력에 따라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를 전환시킬 수 있는, 이젝터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50)는 제1 밸브의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의 전환을 제어하는 파일롯 밸브(12)와 결합되는, 이젝터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 밸브는 압전 소자를 포함하는, 이젝터 장치.
KR1020097017028A 2007-01-16 2008-01-09 통풍 작용을 갖는 이젝터 장치 KR1014732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700082-1 2007-01-16
SE0700082A SE530787C2 (sv) 2007-01-16 2007-01-16 Ejektoranordning med luftningsfunktion
PCT/SE2008/050023 WO2008088280A1 (en) 2007-01-16 2008-01-09 Ejector device with ventilation a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702A true KR20090112702A (ko) 2009-10-28
KR101473276B1 KR101473276B1 (ko) 2014-12-16

Family

ID=39636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7028A KR101473276B1 (ko) 2007-01-16 2008-01-09 통풍 작용을 갖는 이젝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62861B2 (ko)
EP (1) EP2104640B1 (ko)
JP (1) JP5209645B2 (ko)
KR (1) KR101473276B1 (ko)
BR (1) BRPI0806682A2 (ko)
SE (1) SE530787C2 (ko)
WO (1) WO20080882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8604B2 (ja) * 2007-08-01 2011-04-27 Smc株式会社 真空発生ユニット
WO2012132047A1 (ja) * 2011-03-28 2012-10-04 株式会社コガネイ エジェクタ
US8956126B2 (en) * 2011-11-08 2015-02-17 Harry Lewis Sernaker Auxiliary sump water evacuation system
US20140161629A1 (en) * 2012-11-07 2014-06-12 Lewis Werner Fleischmann Pneumo-hydraulic Sump Water Evacuation System
DE102014008226A1 (de) * 2014-06-11 2015-12-17 Bilsing Automation Gmbh Vakuumerzeuger nach dem Ejektorprinzip
ES2656674T3 (es) * 2015-06-24 2018-02-28 Danfoss A/S Disposición de eyectores
CA3104707C (en) 2015-08-26 2022-10-18 Berkshire Gre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vacuum valve assemblies for end effectors
CN113954107B (zh) * 2015-09-08 2023-10-27 伯克希尔格雷营业股份有限公司 用于在自动系统中提供高流量真空采集的系统和方法
CA2998790C (en) 2015-09-15 2022-06-14 Berkshire Grey, Inc. Everting end effector for use with an articulated arm in a robotic system
ES2922990T3 (es) 2016-01-08 2022-09-22 Berkshire Grey Operating Company Inc Sistemas de adquisición y movimiento de objetos
EP3193023B1 (en) * 2016-01-15 2023-03-29 Piab Ab Vacuum generator device
EP3255283B1 (en) * 2016-06-10 2019-01-23 Piab Ab Ejector device for suction cups
US10814498B2 (en) 2017-11-07 2020-10-27 Berkshire Gre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dynamic vacuum pressure at an end effector using a single vacuum source
EP3501738B1 (en) * 2017-12-22 2022-03-16 Biesse S.p.A. A suction cup unit for gripping workpieces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6307A (en) * 1971-10-06 1973-02-13 Kms Ind Inc Venturi head for vacuum systems
DE2852681C3 (de) 1978-12-06 1981-11-12 Festo-Maschinenfabrik Gottlieb Stoll, 7300 Esslingen Saugglockenträger
US4432701A (en) * 1981-04-07 1984-02-21 Yoji Ise Vacuum controlling device
US4453755A (en) * 1982-08-06 1984-06-12 Leland F. Blatt Vacuum cup venturi assembly and blow off silencer
JPS59160900U (ja) * 1983-04-15 1984-10-27 株式会社 妙徳 真空発生装置
JPS6098200A (ja) * 1983-11-04 1985-06-01 Asahi Enterp:Kk ベンチユリポンプ
JPS60125089U (ja) * 1984-01-27 1985-08-23 株式会社 妙徳 気体送給弁
JPS619599U (ja) * 1984-06-20 1986-01-21 株式会社 妙徳 エゼクタポンプ
US4750768A (en) * 1986-05-14 1988-06-14 Kumar V Sam Gripper device
JPH0353040Y2 (ko) * 1987-05-30 1991-11-19
US4828306A (en) * 1988-03-07 1989-05-09 Blatt John A Vacuum cup control system
US4950016A (en) * 1989-04-24 1990-08-21 Teknocraft, Inc. Integrated pneumatic valve/sensor assembly for vacuum supply apparatus
US5007803A (en) * 1989-09-28 1991-04-16 Global Pumps, Inc. Air operated vacuum pump
US5188411A (en) * 1991-01-24 1993-02-23 John A. Blatt Vacuum cup control apparatus
US5201560A (en) * 1991-01-24 1993-04-13 John A. Blatt Vacuum cup control apparatus
US5277468A (en) * 1991-01-30 1994-01-11 John A. Blatt Vacuum control apparatus
WO1993005296A1 (en) * 1991-09-10 1993-03-18 Smc Kabushiki Kaisha Fluid pressure apparatus
US5683227A (en) * 1993-03-31 1997-11-04 Smc Corporation Multistage ejector assembly
JPH1130264A (ja) * 1997-07-09 1999-02-02 Unisia Jecs Corp 減衰特性可変型緩衝器
JP2000207033A (ja) * 1999-01-18 2000-07-28 Myotoku Ltd 圧力センサ装置
JP2001012356A (ja) * 1999-06-23 2001-01-16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逆止弁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マイクロポンプ
JP3678950B2 (ja) * 1999-09-03 2005-08-03 Smc株式会社 真空発生用ユニット
DE10033212C1 (de) * 2000-07-07 2002-01-24 Festo Ag & Co Vakuumerzeugervorrichtung
DE20011839U1 (de) * 2000-07-07 2000-12-14 Festo Ag & Co Vakuumerzeugervorrichtung
US6397885B1 (en) * 2001-02-06 2002-06-04 Norgren Automotive, Inc. Vacuum control apparatus for maintain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a vacuum responsive device during loss and resumption of power
DE10118885C1 (de) * 2001-04-18 2002-11-07 Schmalz J Gmbh Vakuumerzeuger
DE50112524D1 (de) * 2001-08-30 2007-07-05 Festo Ag & Co Vakuumerzeugervorrichtung
EP1316732B1 (de) * 2001-11-29 2004-09-08 Festo AG & Co Fluidbetätigte Arbeitsvorrichtung
JP4132897B2 (ja) * 2002-03-19 2008-08-13 株式会社日本ピスコ 真空発生装置
JP2003222100A (ja) * 2003-02-05 2003-08-08 Nippon Pisuko:Kk 真空発生器
JP2005163619A (ja) * 2003-12-02 2005-06-23 Smc Corp 真空発生用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0700082L (sv) 2008-07-17
JP5209645B2 (ja) 2013-06-12
JP2010515863A (ja) 2010-05-13
WO2008088280A1 (en) 2008-07-24
SE530787C2 (sv) 2008-09-09
EP2104640A1 (en) 2009-09-30
BRPI0806682A2 (pt) 2014-05-27
US8662861B2 (en) 2014-03-04
EP2104640B1 (en) 2013-11-06
US20100045057A1 (en) 2010-02-25
KR101473276B1 (ko) 2014-12-16
EP2104640A4 (en) 201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12702A (ko) 통풍 작용을 갖는 이젝터 장치
CN109922932B (zh) 具有伯努利抓取单元和真空抓取单元的抓取装置
US8096598B2 (en) Auto-release venturi with vacuum switch
JP6877465B2 (ja) 真空イジェクタ装置
US8550790B2 (en) Vacuum generator, driven by high-pressure air, and having means arranged therewith for the active release of an object that is gripped in a vacuum-gripper
US9902075B2 (en) Vacuum generator device
KR20050053339A (ko) 진공발생장치
US6554026B1 (en) Device for controlling flowing media
EP3255283B1 (en) Ejector device for suction cups
US11969886B2 (en) Valve device for a vacuum handling device or a vacuum clamping device
CN211738104U (zh) 一种真空机械阀
US20200277971A1 (en) Vacuum breaking device for vacuum generator
TW202200328A (zh) 控制裝置以及機械手臂系統
WO2023237965A1 (en) Suction cup gripping system
JPH10156831A (ja) 原料輸送装置
JP2001030189A (ja) 吸着装置
JPH0542853U (ja) 排気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