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1852A - 평면 물질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방법 및 다층 구조 - Google Patents

평면 물질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방법 및 다층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1852A
KR20090111852A KR1020097017488A KR20097017488A KR20090111852A KR 20090111852 A KR20090111852 A KR 20090111852A KR 1020097017488 A KR1020097017488 A KR 1020097017488A KR 20097017488 A KR20097017488 A KR 20097017488A KR 20090111852 A KR20090111852 A KR 20090111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layer
circuit board
joined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7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6440B1 (ko
Inventor
제럴드 와이딘거
마르커스 레이트겝
요한네스 스타르
귄터 와이츠슬베게
안드리아스 즈룩
Original Assignee
에이티 앤 에스 오스트리아 테크놀로지 앤 시스템테크니크 악치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T0010007U external-priority patent/AT10030U1/d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티 앤 에스 오스트리아 테크놀로지 앤 시스템테크니크 악치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에이티 앤 에스 오스트리아 테크놀로지 앤 시스템테크니크 악치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90111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92Moving otherwise than only rectilinearly or only rotative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88Composite multilayer circuits, i.e. comprising insulating layers having different properties
    • H05K3/4691Rigid-flexible multilayer circuits comprising rigid and flexible layers, e.g. having in the bending regions only flexible lay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 H05K1/183Components mounted in and supported by recessed area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127PCB or component having an integral separable or breakable par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44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building the multilayer layer by layer, i.e. build-up multilayer circuits
    • H05K3/4652Adding a circuit layer by laminating a metal foil or a preformed metal foil patter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55Manufacturing circuit on or in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속 단계로 적어도 1개의 다른, 실질적으로 평면 물질층(9)에 접속된 실질적으로 평면 물질층(2)의 일부를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질층(2, 9)이 직접적으로 상호접속되지 않은 구역은 부분(11)이 나중에 제거되는 구역에 제공되며, 상기 제1 구역은 상호접속될 물질층이 서로에 점착되지 않게 하는 물질(8)을 도포하는 것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다층 구조, 및 다층 인쇄회로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용도 및 다층 인쇄회로판을 제조하기 위한 다층 구조에도 관한 것이다.
다층 인쇄회로판, 평면 물질층, 상호접속, 다층 구조

Description

평면 물질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방법 및 다층 구조{Method for removing a part of a planar material layer and multilayer structure}
본 발명은 결합 과정에서 적어도 1개의 다른, 실질적으로 평탄한 또는 평면 물질층에 의해 결합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또는 평면 물질층의 일부 또는 서브부분(subportion)을 제거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서로에 의해 결합될 적어도 2개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또는 평면 물질층에 의해 형성된 다층화된 또는 다층 구조에 관한 것이다.
다음의 기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층 인쇄회로판의 제조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방법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단층 또는 다층 구조는 다양한 적용 분야에 사용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하며, 적어도 1개의 다른 실질적으로 평탄한 물질층에 의해 결합된 후, 실질적으로 평탄한 물질층으로부터 서브부분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다층 구조와 관련하여 적용가능하며, 다층 구조의 제조 후, 서브부분을 벗겨내거나, 또는 층 중의 하나를 제거한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결합시킬 물질층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사용된 적어도 1개의 결합층의 프리콘펙셔닝(preconfectioning) 및 그와 관련된 높은 작업 비용뿐만 아니라 결합 후 이러한 물질층으로부터 서브부분을 벗겨내거나 또는 제거하기 위하여, 결합될 다층의 적합한 배향 또는 등록(registration)에 필요한 고 비용으로 인하여 복잡한 방법 및 구조가 알려져 있다. 실질적으로 평탄한 물질층은, 예컨대, 결합될 종이상 또는 카드보드와 같은 층 또는 요소, 실질적으로 호일, 시트 또는 금속 플레이트 등과 같은 실질적으로 플레이트 형상 또는 시트 형상의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평탄한 또는 플레이트 형상의 물질을 결합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예컨대 그의 적어도 서브부분 제거를 경우에 따라 후속적으로 필요로 하는 측면에서, 결합 과정 동안 결합될 물질층의 접착을 확실히 하는 호일의 서브부분이 우묵 들어가게(recess) 제공되어 접착 특성을 갖는 호일을 프리콘펙션(preconfection)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접착성 호일 이외에, 프리콘펙션된 분리 호일은 뒤이어 제거될 서브부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호일 또는 접착성 호일 및/또는 분리 호일의 프리콘펙션은 비용이 많이 소모되며 또 이러한 프리콘펙션처리된 호일의 개재(interposition)를 통하여 결합될 물질층의 등록과 배향에 대한 요건이 높아지게 하는 것이 분명하다.
다층 전자 부품 및 특히 다층 인쇄 회로판의 제조와 관련하여, 지난 수년간 그 복잡성이 증대된 이러한 전자 부품의 디자인은 일반적으로 활성 성분과 인쇄 회로판의 성분 사이의 결합점 수의 증대를 초래하며, 크기의 증가 감소는 동시에 이러한 결합점 사이의 거리 감소를 수반하였다. 인쇄 회로판의 제조와 관련하여, 소위 고밀도 인터본드(HDI) 중의 몇 개의 회로판 층을 통하여 마이크로바이어스((microvias)에 의해 이러한 성분 결합점의 풀어짐(disentanglement)이 제안되어 있다.
관련된 인쇄 회로판의 디자인 및 구조의 복잡성의 증가와 미니어쳐화 이외에, 회로판에서 접을 수 있거나 또는 굽힐 수 있는 결합을 제공하는 점에서 추가의 요건이 생기며, 이것은 하이브리드 기술의 개발 및 소위 리지드-플렉시블(rigid-flexible) 인쇄회로판의 사용을 초래하였다. 인쇄회로판의 리지드 부분 또는 서브부분뿐만 아니라 리지드 부분과 같은 플렉시블 부분 결합을 포함하는 이러한 리지드-플렉시블 인쇄회로판은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디자인과 구조 면에서 다른 추가적인 자유 옵션을 제공하며 또한 미니어처화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리지드-플렉시블 인쇄회로판의 제조를 위하여, 회로판의 리지드 부분과 플렉시블 부분에 상응하며 유전체 물질로 제조된 결합층이 상기 부분 사이에 제공되며, 예컨대, 열처리에 의해, 결합될 회로판의 리지드 및 플렉시블 부분의 결합을 유발하는, 적절한 시트 형상의 층 또는 필름의 배열은 흔히 비교적 두꺼운 층을 초래할 것이다. 이러한 두꺼운 층은 다층 회로판의 제조에서 목적하는 미니어처화를 방해할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바이어스의 형성을 위해 후속 레이저 보어홀(borehole) 기하에 필요한 등록 정확도의 손실을 초래한다. 비도전성 물질층 또는 유전체 층으로 공지된 이러한 두꺼운 층은 또한 회로판의 리지드 부분과 플렉시블 부분 사이에 필요한 접속의 제조를 위한 부가적인 가공 또는 가공 단계 및/또는 더욱 복잡한 디자인을 포함하며, 이는 인쇄회로판의 리지드 부분의 후속 분할(division)로서 작용할 적절한 프리콘펙션 또는 포매팅이 실시되기 때문이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 특히 결합 요소 또는 호일, 또는 분리 호일의 프리콘펙셔닝 또는 포매팅을 피하면서, 본 발명은 단단한 방식으로 제조되므로, 특히 복잡한 제조 단계가 생략하거나 감소될 수 있도록 처음에 정의된 종류의 방법 및 다층 구조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처음에 정의된 종류의 방법은 서브부분의 후속 제거 영역 또는 구역(zone)에서, 결합될 물질층의 접착을 방지하는 물질을 도포하는 것에 의해 물질층 사이의 직접적 결합으로부터 자유롭게 유지된 부분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브부분의 후속 분할 또는 제거 영역에서, 후속 제거할 서브부분이, 다른 제공될 물질층에 접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무 결합 영역(bond-free area)을 제공함으로써, 제거할 서브부분 또는 부분을 포함한 물질층의 후속 분할은 분할 단계를 실현하기 위한, 예컨대 상기 서브부분의 후속 제거를 위한 분할 깊이에 관련하여 극히 정확한 허용범위(tolerance)를 준수할 필요없이 신뢰성있게 실시될 수 있다. 그러나 무 결합 또는 비점착성 영역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서브부분의 후속 분할 및 제거 영역에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층의 프리콘펙셔닝 및/또는 포매팅을 없앨 수 있게 되어 배열하고 결합시킬 물질층 및 결합에 사용할 층의 생산 또는 제조를 위한 제조 단계는 촉진될 것이다. 서브부분의 후속 분할 또는 제거 영역에서 접착층 또는 결합층, 또는 제공할 층의 프리콘펙셔닝을 없앨 수 있다는 사실로 인하여, 결합할 금속층 사이의 접착 방지 물질의 중간층 또는 결합층과 같은 얇은 또는 더 얇은 것이라도 충분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물질층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 결합 영역의 형성을 위한 접착 방지 부분은 간단한 방식으로 도포되거나 제공될 수 있다.
인쇄회로판의 제조와 관련하여, 인쇄회로판, 특히 리지드-플렉시블 인쇄회로판의 미니어처화는 제조할 전체 인쇄회로판을 최소화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을 것이며, 그에 의해 필수적인 프리콘펙셔닝 또는 포매팅을 필요로 하는 두꺼운 층을 제공할 때 등록 정확도와 관련하여 공지된 종래 기술에서의 상술한 문제를 신뢰성있게 피할 수 있을 것이다.
후속 제거될 서브부분 영역에 제공되는, 결합될 물질층 사이에서 결합으로부터 자유롭게 유지되는 부분을 형성하기 위하여,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서브부분의 후속 제거 영역에서, 왁스성 페이스트를 결합할 물질층 사이에 도포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러한 왁스성 페이스트는 간단하고 신뢰성있는 방식으로 또 따라서 서브부분의 후속 분리 또는 제거 면에서 정확하게 신뢰성있고 안전하게, 결합될 물질층 상에 또는 물질층들 중의 하나에 도포될 수 있어, 간편화된 공정 제어에서 결합할 물질층의 결합 후에, 서브부분의 간편한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왁스성 페이스트 형태의 접착 방지 물질을 도포하는 것에 의해, 후속 제거될 서브부분 영역에서 결합되지 않은 영역, 또는 물질층 사이에서 접착 결합으로부터 자유로운 부분이 제공되기 때문이다.
물질층 중의 하나의 서브부분의 후속 제거를 위해 결합으로부터 자유롭게 유지되는 부분을 특히 간단하고 또 정확한 위치로 도포하기 위해,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접착 방지 물질은 인쇄 공정에 의해, 특히 스크린-인쇄, 스텐실-인쇄, 옵셋 인쇄, 플렉소인쇄, 탐폰 인쇄, 잉크 젯 인쇄 등에 의해 도포될 수 있고, 또 경우에 따라 후속 건조 및/또는 경화 공정을 거치는 것으로 제안된다.
간편한 가공을 위하여, 이러한 왁스성 페이스트는 예컨대 극성 또는 비극성 유기 용매 중의 마이크로-분산액 형태로 도포될 수 있다.
접착 방지 물질의 특히 간단하고 신뢰성있는 가공을 위하여,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접착 방지 물질은 분리 성분, 결합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분리 성분은 후속 제거될 서브부분 영역에서, 결합될 물질층 사이의 접착이 신뢰성있게 방지되게 한다. 결합제는, 특히, 지지체에 접착 방지 물질, 또는 결합 과정 동안 결합될 물질층 중의 하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또 완전하고 문제없는 도포를 가능하게 하는 유동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에틸 셀룰로오스가 바람직한 결합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합제는 예컨대 분리 효과, 또는 접착 방지 작용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평탄한 물질층을 결합하는 물질로 이동할 것이다. 용매는 예컨대 접착 방지 물질의 간단하고 신뢰성있는 가공을 가능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결합될 물질층의 접착을 방지하는 유용하고 가공가능한 물질을 용이하고 신뢰성있게 제공하기 위하여,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접착 방지 물질이 실질적으로 평탄한 물질층을 결합하는 것에 대한 극성에서 차이를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접착의 방지, 또는 분리 효과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물질층과 접착 방지 물질을 결합하는 물질 사이에서 비혼화성(incompatibility) 및 극성의 차이를 기본으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접착 방지 물질로서는 비극성 화합물이 사용되어야 하고, 예컨대 천연 또는 합성 기원의 왁스가 이에 적합하다.
이와 관련하여,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접착 방지 물질은 탄화수소 왁스와 오일,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화합물을 기본으로 하는 왁스와 오일, 유기 폴리플루오로 화합물, 지방산 및 알코올 또는 폴리아미드의 에스테르, 실리코유기 화합물을 기본으로 하는 왁스와 오일 및/또는 그의 혼합물이 제시된다. 이러한 왁스와 오일은, 그 사용 목적의 점에서, 결합될 물질층의 함수로서 선택될 수 있도록 상이한 입체 구조와 상이한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이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탄화수소 왁스와 오일은 예컨대 파라핀과 같이 합성 또는 천연 기원일 수 있다. 또한, 특히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에틸렌 화합물을 기본으로 하는 합성 왁스와 오일 이외에, 이 생성물 그룹의 변형물도 적용될 수 있다. 폴리플루오로-유기 화합물 또는 유기 폴리플루오로-화합물을 기본으로 하는 합성 왁스와 오일이 관련되는 한, PTFE를 예시할 수 있다. 지방산, 및 일가 또는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를 기본으로 하는 왁스와 오일은 팔미트산 또는 스테아르산 유도체, 카르나우바 왁스 등과 같은 합성 또는 천연 기원일 수 있다. 실리코유기 화합물의 예는 실리콘 및 실리콘 오일을 포함한다.
결합될 물질층의 적용과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접착 방지 물질에는,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라서, 무기 및/또는 유기 충전제 및 첨가제가 제공되는 것이 또한 제시되어 있다.
접착 방지 물질의 도포를 통한 비-결합에 의해 소망하는 분리 효과를 얻기 위하여,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접착 방지 물질은 적어도 100℃, 특히 120℃의 연화점 또는 융점을 갖는 것으로 제시되어 있다. 접착 방지 물질의 이러한 고 연화점 또는 융점은, 예컨대 인쇄회로판의 제조에서, 부가적으로 도포된 접착층이 적층 과정 동안 경화되게 하고, 결합 또는 압축 주기 동안 추가의 온도 증가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물질 또는 접착 방지 물질이 액화되어, 접착 방지 물질에 의해 제공되고 서브부분의 후속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데 필요한 비-결합 영역을 보호하는 것이 안전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제시된다. 결합 과정 동안, 후속적으로 제거될 서브부분에서 액체층의 형성에 의한 접착 방지 물질은 결합될 물질층의 연속적인 결합, 예컨대 아교접착을 방해할 것이다.
접착 방지 물질에 대하여 비교적 고 연화점을 제공하고 또 예컨대 220℃ 미만의 비점을 갖는 용매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접착 방지 물질을 도포하는 동안 예컨대 조기 건조 측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생기지 않게 확실히 할 것이다. 이러한 비점은 또한 용매가 온도의 추가 승온으로 실질적으로 완전히 제거되거나 증발되게 할 것이다.
제거될 서브부분의 무-결합(bond-free) 영역을 유지하면서, 또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바와 같이, 상기의 접착을 방지하면서 소망하는 박층 두께를 얻기 위하여,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접착 방지 물질은 25㎛ 미만, 특히 15 ㎛ 미만의 층 두께로 도포되는 것이 제안된다. 그러나 50 ㎛ 이하의 층 두께, 또는 그 이상도 포함될 수 있다.
앞서 몇 회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인쇄회로판의 제조에서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고, 이와 관련하여,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결합될 실질적으로 평탄한 물질층은 다층 인쇄회로판의 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제안된다.
이와 관련하여, 결합될 물질층은 적층 공정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제안되며, 그에 의해, 특히 다층 인쇄회로판의 제조와 관련하여 특수한 요건 및 이러한 인쇄회로판의 제조에 사용된 물질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 방지 물질의 상술한 물질 특성으로 인하여 예컨대 접착 방지 물질의 연화점 뿐만 아니라 상기 물질에 함유된 용매의 비점을 고려하는 것으로 제시된다.
결합될 평탄한 물질층을 결합한 후, 제거할 서브부분의 특히 신뢰성있고 또 간편한 제거 또는 분리를 위하여, 제거될 서브부분의 에지 영역(edge region)을 밀링, 스크래칭, 절단, 특히 레이저 절단에 의해 제한 및/또는 제거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제안된다. 이러한 밀링, 스크래칭, 절단 등의 과정은 결합될 평탄한 물질과 상응하도록 정확하고 신뢰성있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때 다층 인쇄회로판의 제조와 관련된 것에서와 같이 약간의 두께를 갖는 물질을 사용하여도 분리 과정의 정확하고 신뢰성있는 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지적된 바와 같이, 지켜야할 허용범위(tolerance) 요건은 접착 방지 물질층에 의해 감소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처음에 정의된 종류의 다층 구조는 또한 물질층 사이의 결합을 실현한 후에 제거될 서브부분 영역에서, 결합될 물질층 사이의 직접 결합을 갖지 않게 유지된 영역은 결합될 물질층의 접착을 방지하는 물질의 도포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적어도 2개의 평탄한 물질층 사이에 결합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제거될 서브부분의 후속 제거는 접착 방지 물질을 간단히 적용하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또한, 결합될 실질적으로 평탄한 물질층의 향상된 배향 또는 등록이 확실하게 될 것이다.
결합될 실질적으로 평탄한 물질층의 후속 제거될 서브부분 영역에서 무 결합 영역의 간단한 형성을 위해, 접착 방지 물질이 왁스 페이스트로 구성되는 것이 제안된다.
서브부분이 후속적으로 제거될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접착 방지 물질은 탄화수소 왁스와 오일,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화합물을 기본으로 하는 왁스와 오일, 유기 폴리플루오로 화합물, 지방산 및 알코올 또는 폴리아미드의 에스테르, 실리코유기 화합물을 기본으로 하는 왁스와 오일 및/또는 그의 혼합물이 제시된다.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 방지 물질에는 무기 및/또는 유기 충전제 및 첨가제가 제공되는 것이 또한 제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의 전체적으로 얇은 두께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의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 방지 물질은 25㎛ 미만, 특히 15 ㎛ 미만의 층 두께로 도포되는 것이 제안된다.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결합될 실질적으로 평탄한 물질층은 다층 인쇄회로판의 층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제안된다.
결합될 물질층이 적층 공정에 의해 결합되는 점에서 특히 신뢰성있는 결합이 제공될 것이다.
결합될 실질적으로 평탄한 물질층의 결합 후에, 제거될 서브부분의 신뢰성있는 제거는 제거될 서브부분의 에지 영역이 밀링, 스크래칭, 절단, 특히 레이저 절단에 의해 제한 및/또는 제거될 수 있는 점에서 달성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더욱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제안된다.
앞서 몇 회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또는 그의 바람직한 구체예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 또는 그의 바람직한 구체예는 다층 인쇄회로판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제안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용도와 관련하여, 인쇄회로판에서 공동(cavities), 특히 3차원 공동을 제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식으로 제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의 더욱 바람직한 용도는 인쇄회로판에 적어도 1개의 채널의 제조, 인쇄회로판에서 공동, 특히 3차원 공동의 제조를 위한 무 결합 영역의 제조, 인쇄회로판의 옵셋 및/또는 스텝트(stepped) 서브부분의 제조, 다층 인쇄회로판의 인테리어 내에 또는 내부 층에서 적어도 1개 요소, 특히 등록 요소의 비 결합 및/또는 리지드-플렉시블 인쇄회로판의 제조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서 개략적으로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구체예를 들어 더욱 자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될 다층 구조의 평탄한 물질층의 제1 구체예를 통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로서 리지드-플렉시블 인쇄회로판의 리지드 부분 형태의 개략적 단면이다.
도 2는 도 1과 유사하게 도시한 것으로, 제거할 리지드 부분 서브부분의 후속 분할 영역에 밀링 에지가 제공되어 있는 리지드-플렉시블 인쇄회로판의 리지드 부분을 통한 단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와 유사하게 도시된 것으로, 인쇄회로판의 리지드 부분 및 플렉시블 부분에 의해 형성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물질층 사이에 직접 결합을 방지하기 위한 무 결합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후속 분리 영역뿐만 아니라 밀링 에지에 접착 방지 물질이 제공되거나 도포되어 있는 리지드-플렉시블 인쇄회로판의 리지드 부분을 통한 단면을 도시한다.
도 4는 앞의 도면과 유사하게 도시한 다른 단면을 도시하며, 제2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물질층으로서 리지드-플렉시블 인쇄회로판의 비도전성 또는 유전체 물질층 및 플렉시블 부분은 제1 물질층의 리지드 부분 상에 배열되거나 또는 고정된다.
유사한 단면의 도 5는 리지드 부분의 분할 후에 리지드-플렉시블 인쇄회로판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로서 인쇄회로판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물질층의 변형된 구체예를 통한 개략적 단면이다.
도 7은 접착 방지 물질층이 도포된 도 6에 도시된 평탄한 물질층을 통한 개략적 단면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로서 다층 인쇄회로판을 생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1개의 다른 평탄한 물질층에 의해 결합된 도 6 및 7에 도시된 평탄한 물질층을 통한 개략적 단면을 도시한다.
도 9는 도 8과 유사하게 도시된 것으로, 절단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거나 또는 한정되는 후속 제거될 다층 구조의 서브부분을 통한 개략적 단면을 도시한다.
도 10은 절단되거나 또는 경계가 정해진 서브부분이 제거된 도 9와 유사한 것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여 리지드-플렉시블 인쇄회로판으로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의 제1 구체예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다.
도 1은 다층 구조로서 뒤이어 제조될 리지드-플렉시블 인쇄회로판의 실질적으로 제1 평탄 또는 평면 물질층으로서 리지드, 다층 부분(1)의 개략도이다. 개별 금속 또는 구리층(2)은 예컨대 프리프레그층(3) 및 코어(4)에 의해 분리된다. 개별 구리층(2) 사이의 접속은 마이크로바이어스(5) 및 패세이지(passage)(6)를 통하여 표시된다.
리지드-플렉시블 인쇄회로판의 제조를 위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조될 리지드-플렉시블 인쇄회로판의 리지드 다층 부분(1)의 뒤이은 분할 영역에 밀링 에지(7)가 형성된다.
무 결합 영역(bond-free area)을 제공하기 위하여, 또는 뒤이어 분할될 인쇄회로판 리지드 부분(1)과 플렉시블 부분에 의해 결합하기 위한 인쇄회로판의 제2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물질층으로 제공되고 배열될 비도전성 또는 유전성 물질층 사이에서 직접 결합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구체예에서 접착 또는 점착을 방지하는 물질(8)은 밀링 에지(7)의 형성 이후에 후속 분할 영역 및 밀 링 에지(7)에 의해 형성된 채널 또는 그루브(groove)에 제공된다. 접착 방지 물질은 예컨대 왁스성 페이스트(8)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왁스성 페이스트(8)는 간단한 방법 단계에 의해, 예컨대 인쇄 공정에 의해, 특히 스크린 인쇄 또는 스텐실 인쇄에 의해 후속 분할 영역뿐만 아니라 밀링 에지(7)에 도포되거나 도입될 수 있다. 사용되는 물질(8) 또는 왁스성 페이스트에 따라서, 건조 및/또는 경화 공정이 상기 물질 또는 페이스트(8)의 도포 이후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물질 또는 페이스트(8)는 극성 또는 비극성 유기 용매 중의 마이크로 분산액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간단한 가공성 및 간단한 취급을 위하여, 페이스트(8)는 또한 예컨대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테플론계 왁스 및/또는 그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으로 제안된다.
가공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또한 페이스트(8)에 무기 및/또는 유기 충전제 및/또는 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제조할 리지드-플렉시블 인쇄회로판의 얇은 층 두께 또는 전체 두께를 달성하기 위하여, 페이스트 또는 접착 방지 물질(8)은 후속 분할 영역에 25㎛ 미만, 특히 20 ㎛ 미만의 층 두께로 도포되는 것이 제안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구체예에서, 밀링 에지(7)의 형성은 접착 방지 물질 또는 페이스트(8)를 도포하기 전에 제공되며, 상기 페이스트(8)는 인쇄회로판의 리지드 및 특히 다층 부분의 후속 분할 영역에 도포될 수 있으며, 그 이후에 밀링 에지(7)는 도포된 물질(8)을 통하여 통과할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방지 물질 또는 왁스성 페이스트(8)를 후속 분할 영역뿐만 아니라 밀링 에지(7)에 도포한 이후에 비-도전성 또는 유전성 물질의 결합층(9)의 도포 또는 배열을 실시하며, 상기 결합층(9)은 예컨대 원래 공지된 호일, 예컨대 프리프레그 또는 RCC 호일로 구성되거나, 또는 액체 유전체 물질로 구성된다. 비-도전성 또는 유전체 물질의 층(9)에 이어, 제조할 리지드-플렉시블 인쇄회로판의 플렉시블 서브부분(10)이 제공되며, 이때 제조할 리지드-플렉시블 인쇄회로판의 플렉시블 부분(10)은 리지드 부분(1)과 마찬가지로, 몇 개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접착 방지 물질(8) 또는 왁스성 페이스트의 배열에 의해, 제공할 비도전성 또는 유전체 물질층(9)에 대한 프리콘펙셔닝 및/또는 포매팅이 밀링 에지(7)의 영역 중의 후속 분할 영역에서 개시되어, 제공될 비도전성 또는 유전체 물질층(9)에 대한 제조 단계가 간편화되거나 감소될 것이다.
제조할 리지드-플렉시블 인쇄회로판의 리지드 부분(1) 상에, 물질(8)을 도포하는 영역 중의 무 결합 영역을 제공함으로써, 더 얇은 층 두께의 층(9)을 얻으며, 상기 두께는 예컨대 50 ㎛ 미만, 특히 40 ㎛ 미만으로 선택될 수 있다. 제조할 리지드-플렉시블 인쇄회로판의 리지드 부분(1) 및 플렉시블 부분(10) 사이에 배열될 비도전성 물질층의 이러한 얇은 층 두께의 제공은 제조할 리지드-플렉시블 인쇄회로판의 전체 두께 감소를 촉진할 뿐만 아니라 결합시킬 부분의 위치와 등록 정확도와 뒤이은 패세이지(passage) 또는 마이크로바이어스가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다층 구조로서 리지드 부분(1)과 플렉시블 부분(10)에 의해 형성된 리지드-플렉시블 인쇄회로판을 통한 단면을 도시하며, 분할부(11)는 밀링 에지(7) 영역 중의 분리된 리지드 서브부분(12, 13) 사이에 제조되어 있다. 상기 분할부(11)는 평탄한 물질층의 결합 후에 후속 제거될 서브부분을 구성한다. 또한 리지드-플렉시블 인쇄회로판의 플렉시블 부분(10)과 분리된 리지드 서브부분(12, 13) 사이의 접속은 부가적인 마이크로바이어스 또는 패세이지(14)에 의해 달성되는 것도 제시되어 있다.
도 5에 따라 도시된 내용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제거할 분할부 또는 서브부분(11)의 절단 깊이 측면에서 아주 정확한 허용범위(tolerance)를 지킬 필요없이 분할부의 생성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후속 방법 단계는 비결합 표면을 제공하거나 접착 방지 물질(8)의 도포를 통하여 결합을 방지하는 것에 의해 실시된다.
인쇄회로판의 리지드 부분(1), 또는 후속 분리된 리지드 부분(12, 13), 및 플렉시블 부분(10) 사이에 배열될 비도전성 또는 유전성 물질의 접착 방지 물질 또는 왁스성 페이스트(8) 및 층(9)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전기 및 전자 장치에서 특정 유해 물질을 사용할 때 필요한 법적 제한을 용이하게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접착 방지 물질 또는 왁스성 페이스트(8)의 도포를 통하여 무 결합 영역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플렉시블 부분(10)과 리지드 부분(1) 사이에 배열될 층(9)의 제조 또는 생성에서뿐만 아니라 분할을 실현하기 위한 후속 방법 단계에서 간단한 방법 단계가 가능하다.
플렉시블 부분(10)뿐만 아니라 리지드 부분(1)을 결합하기 위한 얇은 층 두께, 및 상호분리된 리지드 부분(12, 13) 및 따라서 얻을 수 있는 얇은 층 두께뿐만 아니라 그에 의해 생기는 등록 정확성에서의 향상을 이용함으로써, 대형 포맷에서도, 예컨대 18 x 24 인치 이상의 HDI 회로판의 제조 포맷에서도 아주 복잡한 성분에 대한 플렉시블 층(10)을 갖는 인쇄회로판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예시적 목적으로 나타낸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다층 리지드 인쇄회로판, 또는 인쇄회로판의 리지드 부분(1)의 구체예는 다층 구조로서 다층 인쇄회로판의 간편화된 예를 도시할 뿐이며, 다수의 또는 복수의 도전성층(2) 및 마이크로바이어스(5) 또는 패세이지(6, 14)를 통한 피드쓰루(feedthrough)는 제조할 성분의 소망하는 복잡성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제조할 다층 인쇄회로판의 포맷의 변형 다층 구조의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예시적 구체예에서, 이러한 인쇄회로판의 구조화된 코어는 일반적으로 (20)으로 표시되며, 코어(20)은 도 6에 도시된 상부층이 구조화되어 있는 몇 개의 층을 포함한다.
1 또는 몇 개의 층으로 구성되며 서브부분에서 실질적으로 평탄한 물질층을 구성하는 코어(2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적인 실질적으로 평탄한 물질층인 다른 층과 결합하기 위하여 접착 방지 물질 또는 접착 방지 물질(21)이 제공되며, 상기 접착 방지 물질은 예컨대 스크린-인쇄에 의해 도포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20)에 의해 형성된 실질적으로 평탄한 물질층 상에 접착 방지 물질(21)을 도포한 이후, 평탄한 코어(20)와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물질층(22, 23) 사이의 예컨대 적층 공정에 의한 원래 공지된 방식의 결합이 실시되며, 접착 방지 물질을 갖는 서브부분은 다시 도 8 중의 (21)에 의해 표시 된다. 도 8에 도시된 평탄한 물질층(23)은 다시 그의 상부 표면에서 구조화(structured)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물질층(20, 22, 23) 사이의 결합 과정 후, 실질적으로 평탄한 물질층(23)의 서브부분(25)의 경계 또는 한정은 절단, 특히 레이저 절단에 의해 실시되는 반면에, 도 9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절단선 또는 경계성 임프레션(impression)(24)을 형성한다. 제거될 서브부분(25) 아래에 제공된 접착 방지 물질(21)은 절단선 또는 경계성 임프레션(24)을 형성한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단하고 신뢰성있게 서브부분(25)를 제거한다.
도 6 내지 10에 도시된 구체예에서, 부가적인 층은 개별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물질층 사이에 표시되며, 부가적 층은 다층 인쇄회로판의 제작과 관련하여 공지된 것이므로 여기서 자세히 논의하지 않는다.
도 6 내지 10에 따른 구체예로부터, 왁스 페이스트로 구성된 접착 방지 물질(21)을 도포하는 것에 의해 실질적으로 평탄한 물질 또는 물질층(20, 22, 23)을 결합시키도록 제공된 무 결합 영역은 그에 의해 결합될 적어도 1개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층(23)의 서브부분의 간단하고 신뢰성있는 제거를 허용할 것이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되고 논의된 바와 같은 절단 및 예컨대 레이저 절단 작업은 도 1 내지 5에 따른 구체예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밀링 작업으로 대체될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1개의 물질층(23)의 스크래칭 또는 유사한 분리 작업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도 6 내지 10에 따른 구체예로부터, 공동(26), 특히 3차원 공동은 예컨대 서 브부분(25)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 다층 인쇄회로판의 서브부분 또는 개별 층에서 생성될 수 있음이 분명하다.
또한, 서브부분 또는 요소(25)의 제거에 의해 형성된 공동(26)은 다층 회로판의 내부 영역 또는 내부층에서 분리된 요소의 뒤이은 배열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서브부분의 제거는 특수한 용도를 위한 옵셋 및/또는 스텝트 서브부분을 갖는 인쇄회로판의 제작을 허용한다.
상술한 구체예에서 언급한 물질 이외에 접착 방지 물질(8, 21)은 각각 예컨대 탄화수소 왁스와 오일,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화합물을 기본으로 하는 왁스와 오일, 유기 폴리플루오로 화합물, 지방산 및 알코올 또는 폴리아미드를 기본으로 하는 에스테르, 실리코유기 화합물을 기본으로 하는 왁스와 오일 및/또는 그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 구체예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다층 인쇄회로판의 다층 구조를 형성하는 대신에, 이러한 다층 구조는 예컨대 호일 또는 시트- 또는 판상 물질과 같이, 인쇄회로판의 제조에 사용된 물질과는 상이한 물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결합층을 위하여 예컨대 접착성 또는 결합 호일의 프리콘펙셔닝 또는 포매팅을 포기한 실질적으로 평탄한 물질층의 간단하고 신뢰성있는 결합 후 또는 결합하는 동안,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물질층의 간편화된 결합 이후에 접착 방지 물질(8 또는 21)을 제공하거나 또는 도포하는 것에 의해 서브부분을 간단하고 신뢰성있게 제거할 수 있다.
접착 방지 물질(8 또는 21)의 도포를 위한 상기 예시된 구체예에서 언급된 스크린 인쇄와 같은 인쇄 방법 이외에, 옵셋 인쇄, 플렉소 인쇄, 탐폰 인쇄, 잉크-젯 인쇄 등이 접착 방지물질의 성질을 고려하여 제공되거나 사용될 수 있다.
뒤이어 제거될 부분(11 또는 25)을 신뢰성있게 분리하거나 제거하기 위하여, 접착 방지 물질(8 또는 21)을 특히 왁스성 페이스트 형태로 사용할 때, 접착 방지 물질이 극성에서 적절한 차이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평탄한 물질층을 결합시키는 것과 비혼화성을 나타내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인쇄회로판의 제조와 관련하여, 다층 인쇄회로판의 층에 흔히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 페놀성 수지 및 구리와 극성 차이 및 비혼화성을 예컨대 고려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접착 방지 물질(8 또는 21)의 구조화된 도포 옵션에 의해, 특히 뒤이은 다층 구조의 제거가능한 서브부분(11, 25)의 제거와 관련한 후속 방법 단계가 간단한 방식으로 실시될 것이다.
간단한 인쇄 수법에 의해 도포가능한 접착 방지 물질층(8, 21)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종래 기술에서 예컨대 분리 호일 대신 제공되었던 포매팅 및 콘펙셔닝 수법이 생략될 수 있다.
접착 방지 물질(8, 21)로 왁스성 페이스트를 사용할 때, 예컨대 서브부분(11, 25)의 제거한 후에 경우에 따라 잔류하는 접착 방지 물질(8, 21)의 잔류물은 간단하고 신뢰성있는 방식으로, 특히 완전한 방식으로 다시 제거될 수 있어 유리하다.
특히, 인쇄회로판의 제조 또는 가공과 관련하여, 접착 방지 물질(8 또는 21) 의 비 결합 또는 제공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국소적 두께 감소에 의해 부가적인 성분에 대한 공간(26) 형성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특히 또 실질적으로 이러한 다층 인쇄회로판의 내부에서 이러한 공간(26)의 제공은 인쇄회로판의 미니어처화의 요건을 고려하기 위하여 이러한 성분의 매립에 의해 다층 인쇄회로판의 전체 두께의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국소적 두께 감소에 의해, 예컨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 존재하는 접착 방지 물질(21)의 제거 후에 제거된 서브부분(25) 영역에 배열될 부가적 성분을 리세스(recesss)부 또는 공동(26)의 하부에 직접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6에 제공된 물질층(20)의 경우에서 각 접촉 요소 또는 도전성 구조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이어 제조될 공동(26) 영역에 간단한 방식으로 배열할 수 있다.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공동(26)을 형성하면서 서브부분(25)의 후속 제거는 개방형 또는 경우에 따라 밀폐형의 3차원 공동의 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조건으로부터 벗어날 때 다층 인쇄회로판의 다른 층을 제공할 수 있다.
접착 방지 물질(8 내지 21)의 적절한 선택 또는 배열에 의해, 예컨대 제1 구체예를 참고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다층 콘덕터 구조의 몇 개 층 상에 공동(26)의 형성이 가능하다.
인쇄회로판의 제조와 관련하여, 서브부분(25)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 등록 요소의 간편화된 비결합을 제공할 수 있다.
스텝트 또는 옵셋 서브부분의 형성은 예컨대 다층 인쇄회로판의 인터리브(interleave) 또는 중첩부의 생성을 허용한다.
접착 방지 물질(8 또는 21)의 도포를 통한 서브부분 또는 부분의 제거에 의해, 예컨대 인쇄회로판에 결함이 있는 경우에 그의 완전한 교체보다는 서브부분의 제거에 의해 인쇄회로판의 수선을 할 수 있도록 고 손상 또는 손실율에 경우에 따라 처리되는 성분 영역에서 사전조치로서 접착 방지 물질이 제공되는 경우 매립된 성분을 갖는 기존의 또는 파퓰레이트된(populated) 인쇄회로판의 수선 옵션을 제공할 수 있어, 결합될 적어도 2개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물질층으로 구성된 다층 구조의 간단한 제공 또는 성분의 간편한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26)

  1. 서브부분(11, 25)의 후속 제거 영역에서, 물질층(2, 9, 20, 23) 사이에서 직접 결합으로부터 자유롭게 유지되는 영역은, 결합될 물질층의 접착을 방지하는 물질(8, 21)을 도포하는 것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과정에서 적어도 1개의 다른 실질적으로 평탄한 또는 평면 물질층(9)에 의해 결합되는 실질적으로 평탄 또는 평면 물질층(2)의 서브부분 또는 부분을 제거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부분(11, 25)의 후속 제거 영역에서, 왁스성 페이스트를 결합될 물질층 사이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방지 물질(8, 21)은 인쇄 방법, 특히 스크린 인쇄, 스텐실 인쇄, 옵셋 인쇄, 플렉소인쇄, 탐폰 인쇄, 잉크-젯 인쇄 등에 의해 도포되며, 선택적으로 따라 후속 건조 및/또는 경화 공정에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방지 물질(8, 21)은 분리 성분, 결합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방지 물질(8, 21)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물질층 결합에 대하여 극성의 차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방지 물질(8, 21)은 탄화수소 왁스와 오일,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화합물을 기본으로 하는 왁스와 오일, 유기 폴리플루오로-화합물, 지방산 및 알코올 또는 폴리아미드의 에스테르, 실리코유기 화합물을 기본으로 하는 왁스와 오일 및/또는 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방지 물질(8, 21)에 무기 및/또는 유기 충전제 및 첨가제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방지 물질(8, 21)은 적어도 100℃, 특히 120℃의 연화점 또는 융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방지 물질(8, 21)은 25㎛ 미만, 특히 15 ㎛ 미만의 층 두께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될 상기 실질적으로 평탄 한 물질층은 다층 인쇄회로판의 층(2, 4, 9, 20, 22, 23)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할 상기 물질층 (2, 4, 9, 20, 22, 23)은 적층 공정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거될 상기 서브부분(11, 25)의 에지 영역은 밀링, 스크래칭, 절단, 특히 레이저 절단에 의해 제한되거나 및/또는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적어도 2개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또는 평면 물질층이 서로 결합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물질층(2, 9, 20, 23) 사이의 결합을 실현한 후, 제거될 서브부분(11, 25) 영역에서, 결합될 물질층 사이의 직접 결합으로부터 자유롭게 유지되는 영역은 결합될 물질층의 접착을 방지하는 물질(8, 21)을 도포하는 것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방지 물질(8, 21)은 왁스 페이스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방지 물질(8, 21)은 탄화수소 왁스와 오일,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화합물을 기본으로 하는 왁스와 오일, 유기 폴리플루오로-화합물, 지방산 및 알코올 또는 폴리아미드의 에스테르, 실리코유기 화합물을 기본으로 하는 왁스와 오일 및/또는 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
  16. 제 13항, 제 14항 또는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방지 물질(8, 21)에 무기 및/또는 유기 충전제 및 첨가제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
  17. 제 13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방지 물질(8, 21)은 25㎛ 미만, 특히 15 ㎛ 미만의 층 두께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
  18. 제 13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될 상기 실질적으로 평탄한 물질층은 다층 인쇄회로판의 층(2, 4, 9, 20, 22, 23)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
  19. 제 13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할 상기 물질층 (2, 4, 9, 20, 22, 23)은 적층 공정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
  20. 제 13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거될 상기 서브부분(11, 25)의 에지 영역은 밀링, 스크래칭, 절단, 특히 레이저 절단에 의해 제한되거나 및/또는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
  21. 다층 인쇄회로판을 제조하기 위한,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 또는 제 13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층 구조의 용도.
  22. 제 21항에 있어서, 공동, 특히 3차원 공동을 인쇄회로판에 제조하기 위한 용도.
  23. 제 21항에 있어서, 인쇄회로판에 적어도 1개의 채널을 제조하기 위한 용도.
  24. 제 21항에 있어서, 다층 인쇄회로판의 내부 또는 내층에서 적어도 1개의 요소, 특히 등록 요소를 비결합시키기 위한 용도.
  25. 제 21항에 있어서, 인쇄회로판의 옵셋 및/또는 스텝트 서브부분을 제조하기 위한 용도.
  26. 제 21항에 있어서, 리지드-플렉시블 인쇄회로판을 제조하기 위한 용도.
KR1020097017488A 2007-02-16 2008-01-30 평면 물질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방법 및 다층 구조 KR1015164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GM100/2007 2007-02-16
AT0010007U AT10030U1 (de) 2007-02-16 2007-02-16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tarr-flexiblen leiterplatte sowie starr-flexible leiterplatte
AT0072807U AT11664U1 (de) 2007-02-16 2007-12-03 Verfahren zum entfernen eines teilbereichs einer flächigen materialschicht sowie mehrlagige struktur und verwendung hiefür
ATGM728/2007 2007-12-03
PCT/AT2008/000027 WO2008098269A1 (de) 2007-02-16 2008-01-30 Verfahren zum entfernen eines teilbereichs einer flächigen materialschicht sowie mehrlagige struktur und verwendung hierfü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852A true KR20090111852A (ko) 2009-10-27
KR101516440B1 KR101516440B1 (ko) 2015-05-04

Family

ID=39473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7488A KR101516440B1 (ko) 2007-02-16 2008-01-30 평면 물질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방법 및 다층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41689B2 (ko)
EP (1) EP2119327B1 (ko)
JP (1) JP5829378B2 (ko)
KR (1) KR101516440B1 (ko)
AT (2) AT11664U1 (ko)
WO (1) WO20080982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11663U1 (de) * 2007-02-16 2011-02-15 Austria Tech & System Tech Haftverhinderungsmaterial, verfahren zum entfernen eines teilbereichs einer flächigen materialschicht sowie mehrlagige struktur und verwendung hiefür
FI122216B (fi) 2009-01-05 2011-10-14 Imbera Electronics Oy Rigid-flex moduuli
AT12321U1 (de) 2009-01-09 2012-03-15 Austria Tech & System Tech Multilayer-leiterplattenelement mit wenigstens einem laserstrahl-stoppelement sowie verfahren zum anbringen eines solchen laserstrahl- stoppelements in einem multilayer- leiterplattenelement
AT12322U1 (de) * 2009-01-27 2012-03-15 Dcc Dev Circuits & Component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ehrlagigen leiterplatte, haftverhinderungsmaterial sowie mehrlagige leiterplatte und verwendung eines derartigen verfahrens
AT12317U1 (de) 2010-04-13 2012-03-15 Austria Tech & System Tech Verfahren zur integration eines elektronischen bauteils in eine leiterplatte sowie leiterplatte mit einem darin integrierten elektronischen bauteil
US8519270B2 (en) * 2010-05-19 2013-08-27 Unimicron Technology Corp.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3096647B (zh) * 2011-10-31 2016-01-13 健鼎(无锡)电子有限公司 弯折式印刷电路板的制造方法
AT13229U1 (de) 2011-12-05 2013-08-15 Austria Tech & System Tec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leiterplatte unter entfernung eines teilbereichs derselben sowie verwendung eines derartigen verfahrens
AT13231U1 (de) 2011-12-05 2013-08-15 Austria Tech & System Tec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leiterplatte unter entfernung eines teilbereichs derselben sowie verwendung eines derartigen verfahrens
CN203015273U (zh) 2012-12-24 2013-06-19 奥特斯(中国)有限公司 印制电路板
EP3075006A1 (de) 2013-11-27 2016-10-05 AT & S Austria Technologie & Systemtechnik Aktiengesellschaft Leiterplattenstruktur
AT515101B1 (de) 2013-12-12 2015-06-15 Austria Tech & System Tech Verfahren zum Einbetten einer Komponente in eine Leiterplatte
AT515447B1 (de) 2014-02-27 2019-10-15 At & S Austria Tech & Systemtechnik Ag Verfahren zum Kontaktieren eines in eine Leiterplatte eingebetteten Bauelements sowie Leiterplatte
US11523520B2 (en) 2014-02-27 2022-12-06 At&S Austria Technologie & Systemtechnik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making contact with a component embedd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US9764532B2 (en) * 2014-07-01 2017-09-19 Isola Usa Corp. Prepregs including UV curable resins useful for manufacturing semi-flexible PCBs
US9997442B1 (en) 2016-12-14 2018-06-12 Advanced Semiconductor Engineering,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45112B1 (ko) * 2019-12-16 2021-12-30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CN114309740B (zh) * 2021-12-24 2023-07-04 丝艾工业科技(海安)有限公司 一种降面铣削装饰件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7808A (en) 1966-12-19 1971-09-21 Phillips Petroleum Co Thermoplastic ink
DE4003344C1 (ko) 1990-02-05 1991-06-13 Fa. Carl Freudenberg, 6940 Weinheim, De
US6293008B1 (en) * 1994-03-23 2001-09-25 Dyconex Pantente Ag Method for producing foil circuit boards
JPH0837381A (ja) 1994-07-21 1996-02-06 Hitachi Chem Co Ltd 端子付多層配線板の製造法
JPH0837378A (ja) 1994-07-21 1996-02-06 Hitachi Chem Co Ltd キャビティ付多層配線板の製造法
US5645673A (en) * 1995-06-02 1997-07-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amination process for producing non-planar substrates
US6245382B1 (en) 1999-02-24 2001-06-12 Datacard, Inc. Method for making protective film
EP1990831A3 (en) * 2000-02-25 2010-09-29 Ibiden Co., Ltd.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and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ing method
JP3820415B2 (ja) * 2002-03-07 2006-09-13 株式会社デンソー プリント基板の製造方法及びプリント基板の構造
DE20221189U1 (de) 2002-09-19 2005-05-19 Ruwel Ag Leiterplatte mit mindestens einem starren Bereich und mindestens einem flexiblen Bereich
JP2006173187A (ja) 2004-12-13 2006-06-29 Fujikura Ltd リジッド・フレックス多層プリント配線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237088A (ja) 2005-02-22 2006-09-07 Sumitomo Metal Electronics Devices Inc 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19327B1 (de) 2011-10-26
AT11664U1 (de) 2011-02-15
JP5829378B2 (ja) 2015-12-09
KR101516440B1 (ko) 2015-05-04
EP2119327A1 (de) 2009-11-18
WO2008098269A1 (de) 2008-08-21
ATE531240T1 (de) 2011-11-15
JP2010518647A (ja) 2010-05-27
US8541689B2 (en) 2013-09-24
US20100059262A1 (en) 201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11852A (ko) 평면 물질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방법 및 다층 구조
US20180257364A1 (en) Use of nonstick material for the production of cavities in a printed circuit board
JP5997218B2 (ja) 多層プリント回路基板を製造する方法、接着防止材料、多層プリント回路基板、およびそのような方法の使用
US8500938B2 (en) Method for producing a flexi-rigid printed circuit board and flexi-rigid printed circuit board
CN101647325B (zh) 除去一部分平面材料层的方法和多层结构
US9999134B2 (en) Self-decap cavity fabrication process and structure
TWI507099B (zh) 剛撓結合板及其製作方法、電路板模組
CN104125727A (zh) 一种多层软板的软硬结合印刷线路板的制作方法
CN102281725A (zh) 电路板的制作方法
CN103068189A (zh) 制造多层电路板的方法以及多层电路板
KR20110081856A (ko) 배선판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9152496A (ja) 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US20240049397A1 (en) Methods to fill through-holes of a substrate with metal paste
JP2006222114A (ja) 多層プリント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4876691B2 (ja) ペースト充填済みプリプレグの製造方法および回路基板の製造方法
US8281485B2 (en) Method of producing a circuit board layer
WO2021108775A1 (en) Pcb fabrication with dielectric powder or suspension
JP2013073970A (ja) 多層配線板および多層配線板の製造方法
TW200847884A (en) Method for removing a partial portion of a flat material layer as well as multi-layered structure and use thereof
JP2002290045A (ja) 多層回路基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