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1137A - 가변식 도로표지장치 - Google Patents

가변식 도로표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1137A
KR20090111137A KR1020080036748A KR20080036748A KR20090111137A KR 20090111137 A KR20090111137 A KR 20090111137A KR 1020080036748 A KR1020080036748 A KR 1020080036748A KR 20080036748 A KR20080036748 A KR 20080036748A KR 20090111137 A KR20090111137 A KR 20090111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
frame
cover panel
pillar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7257B1 (ko
Inventor
이희장
Original Assignee
(주)페이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페이브테크 filed Critical (주)페이브테크
Priority to KR1020080036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7257B1/ko
Publication of KR20090111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96Overhead structures, e.g. gantries; Foundation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with rotatable, swingable or adjustable signs or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식 도로표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노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기둥과; 상기 기둥에 구비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것으로, 그 전면이나 전후면에 상기 정보내용이 게시되고 외부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여 표지면적이 조절되는 표지판과; 상기 표지판을 가동하여 표지판의 표지면적을 조절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표지판의 표지면적을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조절할 수 있으므로 표지판에 미치는 강풍에 충분히 대비가 가능하고, 특히 상기 표지면적의 조절을 자동 및 수동은 물론 중앙관제소에서 원격제어를 통해 할 수 있어 그만큼 운용하기가 편리하고, 또한 표지판에 게시된 내용을 수정해야 하거나 유지관리가 필요한 경우에 해당 표지판을 일단 도로의 외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작업할 수 있으므로 교통소통에 방해되지 않는다.
Figure P1020080036748
표지판, 표지장치, 가변식표지, 도로표시판

Description

가변식 도로표지장치{Variable signboard device}
본 발명은 가변식 도로표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통행하는 일반도로나 고속도로 등에는 다양한 종류의 도로표지판이 시설되어 있다. 이러한 도로표지판은 해당 지점에서 어느 곳까지의 거리 및 방향을 알려 주는 이정표의 역할을 함은 물론 안전운전을 유도하기 위한 각종 도로정보를 알려준다.
상기한 도로표지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운전자의 눈에 잘 띄는 것이다. 도로표지판이 운전자나 혹은 탑승자에게 잘 보이지 않는다면 도로표지판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있으나 마나한 것이 된다.
도로표지판이 잘 보일 수 있도록, 도로표지판은 도로의 주변에 기둥을 세우고 상기 기둥에 이를테면 외팔보 형태로 설치하거나 (도 1참조) 또는 가령 교통량이 많은 다차선 도로일 경우 도로 양측에 기둥을 세우고 기둥과 기둥 사이에 설치할 수 도 있다.(도 2참조)
도 1 및 도 2는 종래 도로표지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도로표지장치(11)는, 지면(A)에 수직으로 세워진 기둥(17)과, 상기 기둥(17)의 상단부에 지지빔(15)을 통해 고정되는 표지판(13)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둥(17)은 예컨대 인도(人道)에 설치되며 충분한 높이를 가지고 특히 표지판(13)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또한 상기 지지빔(15)은 표지판(13)을 최대한 도로측으로 내밀수 있도록 수평 연장되며 고정용 브라켓 등으로 표지판(13)을 지지한다.
상기 표지판(13)은 경량의 금속판으로 제작되며 그 전면에 필요한 내용이 게시되어 운전자나 보행자가 그 내용을 볼 수 있게 한다. 상기 표지판(13)에 게시되는 내용은 표지판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두 개의 기둥(17)이 도로를 사이에 두고 도로 양측에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타입의 도로표지장치(11)는 모든 도로에서 자주 만날 수 있다. 여하튼 상기 두 개의 기둥(17) 사이에는 수평의 지지빔(15)이 구비되고 지지빔(15)에 표지판(13)이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도로표지장치(11)는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는 다는 단점을 갖는다. 공지의 사실과 같이 상기 표지판(13)은 (시인성을 위하여 어느 정도 이상의 넓이를 가지므로, 마치 돛단배의 돛처럼) 바람의 압력을 그대로 받아 예컨대 강풍의 풍압을 이기지 못하고 변형되거나 또는 지지빔으로부터 이탈되기도 하고, 심할 경우에는 기둥(17)이 풍하중을 이기지 못하고 휘어지는 경우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표지판의 표지면적을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조절할 수 있으므로 표지판에 미치는 강풍에 충분히 대비가 가능하고, 특히 상기 표지면적의 조절을 자동 및 수동은 물론 중앙관제소에서 원격제어를 통해 할 수 있어 그만큼 운용하기가 편리하고, 또한 표지판에 게시된 내용을 수정해야 하거나 유지관리가 필요한 경우에 해당 표지판을 일단 도로의 외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작업할 수 있으므로 교통소통에 방해되지 않는 가동식 도로표지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운전자나 탑승자 또는 보행자에게 각종 정보를 알려주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노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기둥과; 상기 기둥에 구비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것으로, 그 전면이나 전후면에 상기 정보내용이 게시되고 외부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여 표지면적이 조절되는 표지판과; 상기 표지판을 가동하여 표지판의 표지면적을 조절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표지판을 그 내부 영역에 포함할 수 있도록 사각틀의 형태를 취하고 표지판의 테두리부를 수용 지지하는 수용슬릿을 가지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를 축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표지판은; 상기 프레임의 수용슬릿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샤프트의 축회전시 샤프트에 감겨 케이싱의 내부로 말려 들어가 그 표지면적이 줄어들고, 샤프트의 역회전시 케이싱의 외부로 풀려 나와 펼쳐져 그 전면 또는 전후면의 정보를 게시하는 타입의 표지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둥은 도로를 사이에 두고 두 개소 이상의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은; 도로의 상부에서 상기 기둥을 연결하며 위 아래로 배치되는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지판은;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사이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상하부프레임의 사이에서 펼쳐진 상태로 정보를 게시하고 필요에 따라 상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그 표지면적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표지판은; 상기 상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하여 포개어지거나 펼쳐지는 다수의 이동표지패널과, 상기 상하부프레임에 고정되며, 이동해온 이동표지패널을 그 내부에 수용하는 고정표지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표지패널에 연결 고정되는 인장라인과, 상기 프레임 및 기둥에 설치되고 상기 인장라인을 통해 이동표지패널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이동표지패널을 포켓부에 수납하거나 포켓부에 수납되어 있는 이동표지패널을 포켓부 외부로 인출하여 펼치는 인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지판은; 상기 상하부프레임에 지지된 상태로 일측 기둥측으로 말려 들어가 표지면적이 줄어들고 반대방향으로 펼쳐져 표지면적이 증가하는 타입의 표지판이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 또는 기둥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샤프트와,상기 샤프트를 축회전시켜 펼쳐져 있는 표지판을 샤프트로 감는 모터와, 상기 표지판의 선단부에 연결 고정되는 인장라인과, 상기 프레임 및 기둥에 설치되고 상기 인장라인을 통해 표지판을 당겨 펼치는 인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프레임의 사이에는, 상기 표지판의 표지면적이 작아지도록 조절됨에 따라 외부로 나타나 보이며, 그 전면 또는 전후면에 표지판을 대신하는 정보가 게시되어 있는 보조표지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 또는 기둥에는 상기 구동부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해당 지역의 풍속을 알아내어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풍속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표지판의 표지면적을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조절할 수 있으므로 표지판에 미치는 강풍에 충분히 대비가 가능하고, 특히 상기 표지면적의 조절을 자동 및 수동은 물론 중앙관제소에서 원격제어를 통해 할 수 있어 그만큼 운용하기가 편리하고, 또한 표지판에 게시된 내용을 수정해야 하거나 유지관리가 필요한 할 경우에 해당 표지판을 일단 도로의 외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작업할 수 있으므로 교통소통에 방해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도로표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도로표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도로표지장치(21)는, 지면(A)에 대해 수직으로 고정되는 기둥(17)과, 상기 기둥(17)의 상측부에 설치되는 사각틀 형태의 프레임(25)과, 상기 프레임(25)의 내부 영역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표지판(27)과, 상기 프레임(25)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표지판(27)을 승강시키는 권취부(29)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둥(17)에는 풍속계(31)와 제어부(33)가 구비된다. 상기 풍속계(31)는 기둥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해당 지점의 풍속을 계측하여 상기 제어부(33)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3)는 기둥(17)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풍속계(31)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기초로 상기 권취부(29)를 구동해야 할지 판단하고 필요시 권취부(29)를 구동한다.
특히 상기 권취부(29)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동조작부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해당 지역의 정전(停電)시에는 제어부(33)와 권취부(29)가 동작하지 못하므로, 수동조작부를 두어 상기 표지판(27)을 작업자가 수동으로 승강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수동조작부로서 이를테면 상기 권취부(29) 내부의 샤프트(29c)를 감은 상태로 기둥 내부를 통해 하부로 늘어뜨려진 체인(38)과, 상기 기둥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체인에 걸리는 스프라켓(40)과, 커버(17a)를 열고 상기 스프라켓(40)을 회전시켜 체인(38)을 통해 샤프트(29c)를 회전시키는 크랭크식 조절핸들(42)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조절핸들(42)은 기둥에 수납할 수 도 있고 작업자가 휴대할 수 도 있다.
상기 커버(17a)는 상기 기둥(17)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부(33)를 수동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스프라켓(40)을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커버이다. 상기 커버(17a)를 개방하여 제어부(33)를 수동으로 조작하거나 스프라켓(40)을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25)은 기둥(17)에 고정된 상태로 도로변측으로 내민 사각틀로서 그 내향면에 표지판수용슬릿(25a)을 갖는다. 상기 표지판수용슬릿(25a)은 표지판(27)의 테두리부를 수용 지지하며 표지판(27)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권취부(29)는 상기 프레임(25)의 상측부에 구비된 케이싱(29a)과, 상기 케이싱(29a)의 내부에 구비된 모터(29b)와, 상기 모터(29b)의 구동축에 연결되며 회전 가능하도록 베어링(29d) 지지되고 축회전하는 샤프트(29c)를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29c)는 상기 표지판(27)을 말아, 모터(29b)의 구동이나 수동조작시 표지판(27)을 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리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표지판(27)은 마치 상점(商店)에 설치되는 방범용 셔터와 마찬가지로 상기 샤프트(29c)에 감길 수 있다. 특히 상기 표지판(27)의 전면(前面) 또는 전후면에는 교통정보나 기타 필요한 정보가 게시되어 있어 일반적인 표지판의 기능을 한다.
따라서 예컨대 상기 모터(29b)를 구동하여 표지판(27)을 풀어 내리면, 표지판(27)이 상기 표지판수용슬릿(25a)에 가이드되며 하강하여 프레임(25)의 내부에서 지지된 상태로 통상의 표지판 역할을 하고, 샤프트(29c)를 역회전시켜 표지판(27)을 감아 올리면 프레임(25)의 내부 영역이 비워진다.
한편, 상기 구성을 갖는 가변식 도로표지장치(21)는 강풍(强風)이 불 경우 동작한다. 즉 풍압에 의한 도로표지장치(21)의 변형이나 파손 등이 예상될 때 상기 표지판(27)을 감아 올려 표지판(27)의 표지면적을 줄임으로써 표지판(27)에 풍하중이 걸리는 것을 막는 것이다.
상기한 동작의 실행 여부는 풍속계(31)와 제어부(33)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풍속계(31)는 도로표지장치(21) 주변을 지나는 바람의 풍속을 항시 체크하며 그 결과를 제어부(33)에 전달한다. 제어부(33)는 풍속계(31)로부터 전달된 풍속정보를 기초로 상기 권취부(29)를 동작시킬지 동작시키지 않을지 결정한다.
예컨대 현재 풍속이 미리 설정된 풍속보다 빠를 경우 상기 권취부(29)를 동작시켜 표지판(27)을 위로 감아올리는 것이다. 풍속이 느릴 경우에는 정상상태 (표지판(27)이 내려가 표지판의 기능을 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33)를 위와 같이 자동으로 동작하게 할 수 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 수동으로 조작할 수 도 있다. 이를테면 작업자가 상기 커버(17a)를 열고 제어부(33)를 수동으로 조작하거나 조절핸들(42)을 통해 스프라켓(40)을 회전시킴으로써, 풍속에 관계없이 표지판(27)을 승강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수동제어와 더불어 원격제어도 가능하다. 원격제어에 대해서는 도 16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도로표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한 바와같이, 제 2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도로표지장치(51)는, 도로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설치된 기둥(17)과, 상기 기둥(17)을 연결하는 상하부프레임(53,55)과, 상기 상하부프레임(53,55)의 내부 영역에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상하부프레임(53,55)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표지면적이 조절되는 표지판(61,77)과, 상기 표지판(61,77) 중 후술할 이동표지패널(61,61b) 및 표지판(77)을 동작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상하부프레임(53,55)의 내부 영역에 고정되는 다수의 보조표지판(57)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가지 타입의 표지판(61,77)이 적용되어 있다. 한 가지는 이동표지패널(61a,61b)과 고정표지패널(61c)로 구성된 표지판(61)이고, 나머지 한가지는 샤프트에 감길 수 있는 타입의 표지판(77)이다.
상기 상부프레임(53)과 하부프레임(55)은 상호 평행하며 수평으로 연장되어 양측의 기둥(17)을 연결한다. 상기 상부프레임(53)과 하부프레임(55)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별도의 추가 프레임을 더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상부프레임(53)과 하부프레임(55)의 마주하는 대향면에는 가이드레일(도 10의 69)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레일(69)은 마치 미닫이 창문의 창틀 과 같이 이동표지패널(61a,61b)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한다.
한편, 상기 표지판(61)은 제 1이동표지패널(61a)과 제 2이동표지패널(61b)과 고정표지패널(61c)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2이동표지패널(61a,61b)과 고정표지패널(61c)은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두 장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되 이격된 간격은 서로 달라, 도 9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1이동표지패널(61a)이 제 2이동표지패널(61b)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제 2이동표지패널(61b)이 고정표지패널(61c)에 삽입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2이동표지패널(61b)이 제 1이동표지패널(61a)을 수용한 상태로 고정표지패널(61c)에 삽입됨을 알 수 있다. 상기 고정표지패널(61c)은 상하부프레임(53,55)의 사이에 완전히 고정되어 상기 제 1,2이동표지패널(61a,61b)을 수용하는 이른바 포켓의 역할을 한다.
여하튼 상기와 같이 제 1,2이동표지패널(61a,61b)이 고정표지패널(61c)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전체적인 표지면적이 작아져 풍하중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5로 돌아와 설명을 계속하기로 한다.
상기 보조표지판(57)은 제 1,2이동표지패널(61a,61b)이 고정표지패널(61c)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또는 좌측의 표지판(77)이 케이싱(도 8의 29a)으로 말려 들어감에 따라 외부로 나타나 그 역할을 한다. 상기 보조표지판(57)은 그 면적이 이동표지패널(61a,61b)의 면적보다 작아 풍하중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는다.
상기 보조표지판(57)의 역할은 이동표지패널(61a,61b)과 표지판(77)의 기능을 대신하는 것이다. 즉 풍하중에 대비하기 위하여 고정표지패널(61c)의 내부로 대 피한 이동표지패널(61a,61b)이 게시하던 내용을 대신 게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보조표지판(57)의 전면이나 전후면에는 제 1,2이동표지패널(61a,61b)과 표지판(77)이 게시하던 내용이 게시된다.
아울러 상기 보조표지판(57)은 보조표지판지지구(59)에 의해 해당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보조표지판지지구(59)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용 프레임이다.
한편, 상기 도면상 좌측에 구비되는 표지판(77)은 도 4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이 샤프트에 감기거나 샤프트로부터 풀려 펼쳐지는 형식의 표지판이다. 특히 상기 표지판(77)은 승강하는 것이 아니라 수평방향으로 펼쳐지거나 감긴다. 즉 후술하는 권취기(도 8의 43)에 의해 펼쳐지거나 모터(도 8의 29b)에 의해 감기는 것이다. 상기 표지판(77)의 전면 또는 전후면에 표지내용이 게시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상하부프레임(53,55)의 수평방향 중앙부에는 지지풀리(63a)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풀리(63a)는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후술하는 와이어(65)를 걸어 지지한다.
도 6 및 도 7은 상기 도 5에 도시한 가변식 도로표지장치의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제 1이동표지패널(61a)의 선단부에 연결블록(67a)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연결블록(67a)은 구동부의 와이어(65)를 제 1이동표지패널(61a)에 연결하는 접속구이다.
상기 구동부는 제 1이동표지패널(61a)을 화살표 x방향으로 당겨 제 2이동표지패널(61b)과 함께 고정표지패널(61c)에 수납하거나, 제 1이동표지패널(61a)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처음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이동표지패널(61a)은 화살표 x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 2이동표지패널(61b)의 연결부(도 11의 61f)에 걸려 제 2이동표지패널(61b)을 밀면서 고정표지패널(61c)에 수납된다. 또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 2이동표지패널(61b)의 걸림턱(도 11의 걸림턱(61m))을 걸어 제 2이동표지패널(61b)을 외부로 끌고 나온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상기 제 2이동표지패널(61b)에는 걸림턱(도 11의 61m,61n)과 연결부(61f)가 마련되고, 제 1이동표지패널(61a)에는 걸림턱(61n)이 구비된다.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제 2이동표지패널(61b)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2이동표지패널(61b)과 제 1이동표지패널(61a)의 기본 구조는 동일하며 다만 걸림턱(61m,61n)과 연결부(61f)가 다르다. 고정표지패널(61c)의 구조도 제 1,2이동표지패널(61a,61b)과 거의 흡사하지만 걸림턱(61n)이 없다.
여하튼,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 2이동표지패널(61b)은, 일정두께의 플레이트 형태를 취하며 일정 간격 이격된 두 장의 표지판본체(61d)와, 상기 표지판본체(61d)의 상하단부에 끼워지며 나사(70)로 고정되는 레일지지부(61e)를 갖는다. 상기 레일지지부(61e)는 대략 H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위 아래로 개방된 슬릿(61k)을 갖는다.
상기 슬릿(61k) 중 내측을 향하는 슬릿은 표지판본체(61d)를 수용하는 홈이고, 외측으로 개방된 슬릿(61k)은 가이드레일(69)을 수용하는 홈이다.
아울러 상측 레일지지부(61e)의 후단부에는 연결부(61f)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61f)는 표지판본체(61d)의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제 2이동표지패널(61b)의 내부로 진입한 제 1이동표지패널(61a)에 걸려 밀리는 부위이다. 제 1이동표지패널(61a) 및 고정표지패널(61c)에는 상기 연결부(61f)가 없다.
또한 상기 제 2이동표지패널(61d)의 선단부 내측에는 걸림턱(61m)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턱(61m)은 도 12b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1이동표지패널(61a)의 걸림턱(61n)을 걸어 제 1이동표지패널(61a)이 제 2이동표지패널(61b)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 제 1이동표지패널(61a)에는 상기 걸림턱(61m)이 없다.
또한 제 2이동표지패널(61b)의 후단부 외측에는 다른 걸림턱(61n)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61n)은 도 12b에 나타낸 바와같이 고정표지패널(61c)의 내측에 구비되어 있는 걸림턱(61m)에 걸리는 돌기로서, 제 2이동표지패널(61b)이 고정표지패널(61c)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는다.
도 10은 상기 도 5에 도시한 도로표지장치에서의 표지판(61)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상하부프레임(53,55)의 대향면에 6열의 가이드레일(69)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69)에 제 1,2이동표지패널(61a,61b)과 고정표지패널(61c)이 지지되고 있다. 상기 고정표지패널(61c)은 가이드레일(69)에 완전히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보조표지판(57)이 제 1이동표지패널(61a)의 사이공간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 1이동표지패널(61a)은 두 장의 제 2이동표지패널(61b) 사이에 위치하고, 제 2이동표지패널(61b)은 두 장의 고정표지패널(61c) 사 이에 수납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도로표지장치(51)에 적용되는 구동부에 대해 설명을 하기로 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는, 상기 제 1이동표지패널(61a)의 연결블록(67a)에 양단부가 고정되며 기둥(17)의 내부로 연장되는 와이어(65)와, 상기 와이어(65)가 감아도는 고정풀리(63a)와, 상기 기둥(17)의 내부에서 상기 와이어(65)를 받치는 지지풀리(63b,63c)와, 권취기(43)를 포함한다.
상기 권취기(43)는 공지의 것으로서 와이어(65)를 화살표 x방향으로 이동시켜 제 1이동표지패널(61a)을 고정표지패널(61c)로 삽입하여 전체 표지면적을 줄이거나, 와이어(65)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제 1이동표지패널(61a)을 제 2이동표지패널(61b)과 함께 고정표지패널(61c) 외부로 펼친다.
특히 상기 권취기(43)에는 수동조절부(43a)가 구비된다. 상기 수동조절부(43a)는 도 3을 통해 설명한 조절핸들(42)을 통해 작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와이어(65)를 수동으로 감거나 풀 수 있다. 상기 수동조절부(43a)는 공지의 것이다.
도 7은 상기 구동부로서 체인(75)과 다수의 스프라켓(71a,71b,71c)과 구동모터(73)를 적용한 경우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연결블록(67a)에 체인(75)의 양단부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체인(75)은 제 1스프라켓(71a)과 제 2,3스프라켓(71b,71c)에 지지된 상태로 구동모터(73)의 구동스프라켓(73a)에 감겨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73)를 통해 체인(75)을 화살표 x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 1이동표지패널(61a)이 고정표지패 널(61c)측으로 이동해 표지면적이 축소된다.
체인(75)을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 1이동표지패널(61a)이 제 2이동표지패널(61b)을 끌고 고정표지패널(61c)로부터 인출됨은 물론이다.
계속하여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상하부프레임(53,55)과 기둥(17)의 사이에 케이싱(29a)이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29a)의 내부에는 베어링(29d)에 의해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샤프트(29c)와, 상기 샤프트(29c)를 축회전 시키는 모터(29b)와, 상기 샤프트(29c)에 감기며 케이싱(29a) 외부로 풀려 나가거나 케이싱(29a) 내부로 감겨 들어오는 표지판(77)이 구비된다. 상기 표지판(77)은 케이싱(29a)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며 평상시에는 외부로 펼쳐진 상태로 필요 정보를 게시한다.
상기 표지판(77)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는 상기 모터(29b)와 권취기(43)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29b)는 샤프트(29c)를 축회전시켜 표지판(77)을 케이싱(29a) 내부로 감아들이고, 권취기(43)는 표지판(77)을 케이싱(29a) 외부로 인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표지판(77)을 상하부프레임(53,55)의 사이공간으로 인출하기 위하여, 권취기(43)는 와이어(65)를 통해 표지판(77)의 선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65)는 상기한 고정풀리(63a)를 감아 돈 상태로 기둥(17)의 내부로 연장되어 지지풀리(63b,63c)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권취기(43)를 구동하여 와이어(65)를 화살표 y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지판(77)을 인출할 수 있다. 상기 표지판(77)을 인출하 는 권취기(43)에도 수동조절부(43a)가 구비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상기 도 5에 도시한 가변식 도로표지장치에서의 표지패널로 구성된 표지판의 개폐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와 같이 고정표지패널(61c)의 내부에 제 1,2이동표지패널(61a,61b)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표지판(61)을 펼치기 위하여 상기 제 1이동표지패널(61a)을 화살표 F1방향으로 인출시키면, 제 1이동표지패널(61a)이 제 2이동표지패널(61b)을 끌고 고정표지패널(61c)로부터 빠져나온다. 이와같이 제 2이동표지패널(61b)이 딸려 나오는 것은 (상기한 바와같이) 제 1이동표지패널(61a)의 걸림턱(61n)이 제 2이동표지패널(61b)의 걸림턱(61m)에 걸려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제 2이동표지패널(61b)의 걸림턱(61n)은, 고정표지패널(61c)의 걸림턱(61m)에 걸려 더 이상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는다.
상기한 도 12b의 상태에서 와이어(65)나 체인(75)을 화살표 F2방향으로 당기면, 제 1이동표지패널(61a)이 제 2이동표지패널(61b)의 내부로 진입하여 연결부(61f)에 도달한 후, 연결부(61f)를 가압하며 제 1이동표지패널(61a)과 제 2이동표지패널(61b)이 고정표지패널(61c)의 내부로 함께 삽입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도로표지장치의 구동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계통도이다.
위에 잠시 언급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변식 도로표지장치는, 자체적으로 자동 및 수동으로 작동 가능함은 물론, 중앙 관제소에서 원격으로 제어할 수 도 있다.
상기 관제소는 해당 지역에 시설되어 있는 각 도로표지장치의 제어부(33)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해당 지점의 풍속을 실시간으로 보고 받고 상황에 따라 현지 도로표지장치의 제어부(33)로 하여금 구동부를 동작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도로표지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도로표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도로표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도로표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상기 도 5에 도시한 가변식 도로표지장치 중 이동표지패널의 구동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도 5에 도시한 가변식 도로표지장치의 표지판의 구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상기 도 5에 도시한 가변식 도로표지장치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도 5에 도시한 도로표지장치에서의 이동표지패널 및 고정표지패널의 장착 구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도 5에 도시한 이동표지패널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상기 도 5에 도시한 가변식 도로표지장치에서의 이동표지패널의 개폐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따른 가변식 도로표지장치의 구동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계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도로표지장치 13:표지판 15:지지빔
17:기둥 17a:커버 21:도로표지장치
25:프레임 25a:표지판수용슬릿 27:표지판
29:권취부 29a:케이싱 29b:모터
29c:샤프트 29d:베어링 31:풍속계
33:제어부 35:도로표지장치 43:권취기
43a:수동조절부
51:도로표지장치 53:상부프레임 55:하부프레임
57:보조표지판 59:보조표지판지지구 61:표지판
61a:제 1이동표지패널 61b:제 2이동표지패널 61c:고정표지패널
61d:표지판본체 61e:레일지지부 61f:연결부
61k:슬릿 61m,61n:걸림턱 63a:고정풀리
63b:지지풀리 63c:지지풀리 65:와이어
67a:연결블록 69:가이드레일 70:나사
71a:고정스프라켓 71b:지지스프라켓 71c:지지스프라켓
73:구동모터 73a:구동스프라켓 75:체인
77:표지판 77a:와이어고정부재

Claims (8)

  1.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운전자나 탑승자 또는 보행자에게 각종 정보를 알려주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노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기둥과;
    상기 기둥에 구비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것으로, 그 전면이나 전후면에 상기 정보내용이 게시되고 외부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여 표지면적이 조절되는 표지판과;
    상기 표지판을 가동하여 표지판의 표지면적을 조절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도로표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표지판을 그 내부 영역에 포함할 수 있도록 사각틀의 형태를 취하고 표지판의 테두리부를 수용 지지하는 수용슬릿을 가지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를 축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표지판은;
    상기 프레임의 수용슬릿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샤프트의 축회전시 샤프트에 감겨 케이싱의 내부로 말려 들어가 그 표지면적이 줄어들고, 샤프트의 역회전시 케이싱의 외부로 풀려 나와 펼쳐져 그 전면 또는 전후면의 정보를 게시하는 타입의 표지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도로표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도로를 사이에 두고 두 개소 이상의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은;
    도로의 상부에서 상기 기둥을 연결하며 위 아래로 배치되는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지판은;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사이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상하부프레임의 사이에서 펼쳐진 상태로 정보를 게시하고 필요에 따라 상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그 표지면적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도로표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판은;
    상기 상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하여 포개어지거나 펼쳐지는 다수의 이동표지패널과,
    상기 상하부프레임에 고정되며, 이동해온 이동표지패널을 그 내부에 수용하는 고정표지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도로표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표지패널에 연결 고정되는 인장라인과,
    상기 프레임 및 기둥에 설치되고 상기 인장라인을 통해 이동표지패널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이동표지패널을 포켓부에 수납하거나 포켓부에 수납되어 있는 이동표지패널을 포켓부 외부로 인출하여 펼치는 인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도로표지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판은;
    상기 상하부프레임에 지지된 상태로 일측 기둥측으로 말려 들어가 표지면적이 줄어들고 반대방향으로 펼쳐져 표지면적이 증가하는 타입의 표지판이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 또는 기둥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샤프트와,상기 샤프트를 축회전시켜 펼쳐져 있는 표지판을 샤프트로 감는 모터와, 상기 표지판의 선단부에 연결 고정되는 인장라인과, 상기 프레임 및 기둥에 설치되고 상기 인장라인을 통해 표지판을 당겨 펼치는 인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도 로표지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프레임의 사이에는, 상기 표지판의 표지면적이 작아지도록 조절됨에 따라 외부로 나타나 보이며, 그 전면 또는 전후면에 표지판을 대신하는 정보가 게시되어 있는 보조표지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도로표지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또는 기둥에는 상기 구동부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해당 지역의 풍속을 알아내어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풍속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도로표지장치.
KR1020080036748A 2008-04-21 2008-04-21 가변식 도로표지장치 KR100997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748A KR100997257B1 (ko) 2008-04-21 2008-04-21 가변식 도로표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748A KR100997257B1 (ko) 2008-04-21 2008-04-21 가변식 도로표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137A true KR20090111137A (ko) 2009-10-26
KR100997257B1 KR100997257B1 (ko) 2010-11-29

Family

ID=41538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748A KR100997257B1 (ko) 2008-04-21 2008-04-21 가변식 도로표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72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181B1 (ko) * 2023-05-19 2023-09-21 (주) 엠파워 가변 속도표지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100Y1 (ko) * 2004-10-14 2005-01-15 문용식 터널내 진입금지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181B1 (ko) * 2023-05-19 2023-09-21 (주) 엠파워 가변 속도표지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7257B1 (ko) 2010-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75984B2 (ja) プラットホームの簡易可動柵
KR101974985B1 (ko) 롤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높이 확장형 경광등
JP2004268634A (ja) 昇降式プラットホーム可動柵
KR102366160B1 (ko) 도로 공사용 이동식 안내 장치
KR102122827B1 (ko) 버스정류소용 방풍쉘터
EP2474458A1 (en) Automatic platform gates
KR100997257B1 (ko) 가변식 도로표지장치
KR100348769B1 (ko) 접철식 현수막 게시대
CN210529559U (zh) 一种升降式限高架
KR200395107Y1 (ko) 폴드업 셔터
US5307857A (en) Balancing device for a raisable-curtain goods-handling door
KR20160076189A (ko) 승하강식 안전 도어 시스템
KR200389410Y1 (ko) 지하철용 스크린도어 개폐장치
EP0555791B1 (en) Self-erecting shelter for motor vehicles in general
KR101805045B1 (ko) 건물외벽 설치용 현수막 게시장치
KR102419997B1 (ko) 현수막 설치장치
JP6561416B2 (ja) プラットホーム可動扉装置
JP2000248767A (ja) 立体駐車設備のゲート装置
JP2006312827A (ja) 屋根装置
CN220247967U (zh) 一种立体车库升降平台配套用的堆积联动门
KR200446922Y1 (ko) 굴곡형 리프트의 수평유지장치
JPH08120654A (ja) ダブルピニオン式開閉機
CN215052410U (zh) 轨道限行卷帘栏
CN116946199A (zh) 全自动驾驶a型车辆气动应急安全装置
CN215482553U (zh) 市政路桥用限高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