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0257A - 식기 세척 건조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0257A
KR20090110257A KR1020090033281A KR20090033281A KR20090110257A KR 20090110257 A KR20090110257 A KR 20090110257A KR 1020090033281 A KR1020090033281 A KR 1020090033281A KR 20090033281 A KR20090033281 A KR 20090033281A KR 20090110257 A KR20090110257 A KR 20090110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washing
air
regulating valve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4553B1 (ko
Inventor
노리요시 마토바
게이지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110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8Connections of the tub with the ambient air, e.g. air intake or ven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하우징과, 하우징내에 마련되는 동시에 피세정물이 수납되는 세정조와, 세정조내의 세정수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와, 세정조내의 공기를 하우징외에 배출하는 배기구와, 제 1 경로를 거쳐서 세정조내에 외기를 공급하는 송풍 장치와, 배기구와 세정조를 연통하는 제 2 경로와, 제 1 경로로부터 분기해서 제 2 경로와 접속하는 제 3 경로와, 제 1 경로로부터 제 3 경로가 분기되는 분기부에 마련된 풍량 분배 장치를 구비하고, 풍량 분배 장치는 소정의 풍압까지 제 1 경로를 폐색하는 동시에 제 3 경로를 개방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

Description

식기 세척 건조기{DISH CLEANING AND 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주방 등에 설치되어 피세정물의 수납 및 자동 세정, 건조를 실행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식기 세척 건조기는 세정 행정중에 다습한 배기가 배기구로부터 발생한다. 그 때문에 배기구 주위의 주방 기기, 식기 세척 건조기 본체에 결로가 발생한다. 그 대책으로서 배기 경로내에 새로 마련한 배기 보조 장치로부터 외기를 취입하고, 고내 배기와 혼합함으로써, 배기중의 습도를 내려서 발생된 결로량을 저감시키고 있다.
도 5는 일본 특허 공개 제 2000-166847 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의 식기 세척 건조기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식기 세척 건조기는 세정조(101), 세정 장치(104), 히터(105), 팬(106), 배기구(107) 및 배기 보조 장치(108)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세정조(101)는 피세정물을 수납한다. 세정 장치(104)는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 노즐(102) 및 세정수를 가압하는 세정 펌프(103)를 갖는다. 히터(105)는 세정수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이다. 팬(106)은 세정조(101)에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 장치이다. 세정조(101) 내부의 공기는 배기 구(107)에서 배기된다. 배기 보조 장치(108)는 배기구(107)에 마련되어 외기를 혼합시키기 위한 송풍 장치의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식기 세척 건조기에서는 팬(106)과 배기 보조 장치(108)를 위한 2 개의 외기 취입구가 있다. 그 때문에, 어느 일방의 송풍 장치를 정지한 경우, 혹은 일방의 송풍 장치의 압력보다 타방의 송풍 장치의 압력이 크게 상회한 경우, 세정조(101)내의 고온 다습한 증기가 송풍 경로를 역류해서 외기 취입구로부터 배출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외기 취입구는 전장 부품이 존재하는 제품 하우징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장 부품에 고온 증기가 부착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식기 세척 건조기는 하우징과, 하우징내에 마련되는 동시에 피세정물이 수납되는 세정조와, 세정조내의 세정수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와, 세정조내의 공기를 하우징외로 배출하는 배기구와, 제 1 경로를 거쳐서 세정조내에 외기를 공급하는 송풍 장치와, 배기구와 세정조를 연통하는 제 2 경로와, 제 1 경로로부터 분기해서 제 2 경로와 접속하는 제 3 경로와, 제 1 경로로부터 제 3 경로가 분기되는 분기부에 마련된 풍량 분배 장치를 구비하고, 풍량 분배 장치는 소정의 풍압까지 제 1 경로를 폐색하는 동시에 제 3 경로를 개방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식기 세척 건조기는 세정 행정시, 소정의 풍압보다도 낮은 풍압에서 송풍하고, 송풍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풍량의 대부분을 제 3 경로에 분배하기 때문 에 배기구 부근의 결로를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세정조내의 고온 다습한 공기가 송풍 경로인 제 1 경로를 역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 건조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식기 세척 건조기는 하우징(24), 세정조(1), 가열 장치인 히터(5), 배기구(7), 송풍 장치인 팬(6), 제 2 경로(11), 제 3 경로(12), 풍량 분배 장치(14)를 구비하고 있다. 세정조(1)의 바닥부에는 세정 장치(4), 히터(5)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세정조(1)는 슬라이드체(25)를 거쳐서 하우징(24)내에 전후 방향에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고, 식기 등의 피세정물을 수납한다. 세정 장치(4)는 세정수를 피세정물에 분출하는 세정 노즐(2)과, 세정수를 가압하는 세정 펌프(3)를 갖는다. 히터(5)는 세정수를 가열해 승온시키는 가열 장치이다.
또한, 세정조(1)의 외벽 바닥부에는 송풍 장치인 팬(6)이 마련되어 있다. 세정조(1)내의 공기를 배출해서 세정조(1)내를 건조시키기 위해서 세정조(1)내에 외기가 송풍된다.
또한, 세정조(1)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7)를 하우징(24)의 전면 상부에 갖고 있다. 세정조(1)의 전면 하방에는 제 1 경로(10)로부터 외기를 유입시키 는 유입구(8)가 마련되고, 세정조(1) 내벽 전면 상방에는 세정조(1)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유입구(9)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세정 행정, 헹굼 행정, 건조 행정의 각 행정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세정조(1)의 전면 외벽에 마련되어 있다.
팬(6)과 세정조(1)를 연통하는 제 1 경로(10)가 세정조(1)의 바닥부의 외벽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경로(10)를 통해서 팬(6)으로부터 세정조(1)에 외기를 공급한다.
또한, 배기구(7)와 세정조(1)의 유출구(9)를 연통하는 제 2 경로(11)를 통해서 세정조(1)내의 공기를 배기구(7)로부터 하우징(24) 밖으로 배기한다. 제 3 경로(12)는 제 1 경로(10)로부터 분기해서 제 2 경로(11)에 접속된다. 제 3 경로(12)는 세정조(1)의 전면에 대략 연직 방향으로 마련되고, 팬(6)으로부터 제 2 경로(11)에 외기를 공급하고 있다. 또한, 혼합부(13)는 제 2 경로(11)와 제 3 경로(12)가 교차하는 개소이다. 혼합부(13)에서는 세정조(1)내로부터 배기된 공기와 외기가 혼합한다.
제 1 경로(10) 및 제 3 경로(12)는 진동 등에 의한 용착 혹은 시일 패킹을 이용하여 나사에 의해, 세정조(1)의 전면 외벽에 누수 등이 있지 않도록 시일되어 고정되어 있다.
제 1 경로(10)로부터 제 3 경로(12)가 분기되는 분기부에는 풍량 분배 장치(14)가 마련되어 있다. 풍량 분배 장치(14)는 제 1 조절 밸브(15)를 제 1 경로(10) 도중의 분기부 근방, 제 2 조절 밸브(16)를 제 3 경로(12)의 분기부 근방에 갖고 있다. 제 1 조절 밸브(15)는 팬(6)으로부터 공급되는 외기의 풍압에 의해 개방도가 변화된다. 제 2 조절 밸브(16)는 마찬가지로 팬(6)으로부터 공급되는 외기의 풍압에 의해 개방도가 변화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 건조기의 팬으로부터 공급되는 외기가 제 3 경로로 흐르는 때의 풍량 분배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동식기 세척 건조기의 팬으로부터 공급되는 외기가 제 1 경로로 흐르는 때의 풍량 분배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동식기 세척 건조기의 풍량 분배 장치의 사시도이다. 또한, 풍량 분배 장치(14)는 제 1 조절 밸브(15)와, 제 2 조절 밸브(16)와, 그들의 결합부 근방의 회전축받이(17)를 일체화한 연결체이다. 회전축받이(17)는 분기부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해서 마련된 회전축(18)에 삽입되어 있다. 회전축(18)은 풍량 분배 장치(14) 근방의 제 1 경로(10)의 내벽으로부터 대략 수평으로 돌출하고 있다. 풍량 분배 장치(14)는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받이(17)에 축지되어 있다.
팬(6)으로부터 공급되는 외기의 풍압에 의해, 풍량 분배 장치(14)의 제 1 조절 밸브(15) 및 제 2 조절 밸브(16)의 개방도를 각각 연동해서 변화시키고, 혼합부(13)에 있어서의 외기와 세정조(1)내로부터 배기된 공기와의 혼합 비율을 변화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풍량 분배 장치(14)는 제 2 조절 밸브(16)의 개방도가 증대하면, 제 1 조절 밸브(15)의 개방도가 저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팬(6)의 운전 정지시, 제 1 조절 밸브(15)가 대략 수평이 되는 것에 의해 제 1 경로(10)가 폐쇄되고, 제 2 조절 밸브(16)의 본체부(16a)는 대략 수직이 되고 제 3 경로(12)는 개방 상태가 된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팬(6)으로부터 공급되는 외기의 풍압이 소정의 수치보다 커지면, 제 1 조절 밸브(15)가 완전히 개방된다, 즉 제 1 경로(10)가 완전히 개방된다. 이 때, 제 2 조절 밸브(16)는 제 3 경로(12)를 대략 폐색한다. 또한, 제 2 조절 밸브(16)의 선단부는 대략 수직 상태의 본체부(16a)로부터 제 1 경로(10)와 제 3 경로(12)의 격벽(28)측에, 즉 도 2에서는 시계회전 방향으로 굴곡되는 굴곡부(16b)가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제 1 조절 밸브(15)가 제 1 경로(10)를 막고 있는 때, 제 2 조절 밸브(16)는 제 1 조절 밸브(15)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중한다. 그리고, 팬(6)의 풍압이 소정치보다 낮은 경우 혹은 팬(6)의 운전 정지시, 제 1 조절 밸브(15)를 폐쇄하려고 하는 방향, 즉 도 2에 있어서 시계회전 방향에 힘이 작용한다.
이렇게, 풍량 분배 장치(14)는 소정의 풍압까지 제 1 경로(10)를 대략 폐색하는 동시에 제 3 경로(12)를 대략 개방한다. 또한, 제 1 조절 밸브(15) 및 제 2 조절 밸브(16)는 제 1 경로(10) 및 제 3 경로(12)를 각각 개폐하고, 소정의 풍압까지 제 1 조절 밸브(15)는 제 1 경로(10)를 대략 폐색한다.
또한, 차폐 리브(21a, 21b)가 풍량 분배 장치(14)의 벽면에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차폐 리브(21a, 21b)는 각각 제 1 조절 밸브(15), 제 2 조절 밸브(16)의 일단이 접촉한다. 따라서, 제 1 조절 밸브(15) 또는 제 2 조절 밸브(16)가 폐쇄되어 있는 때, 제 1 조절 밸브(15) 또는 제 2 조절 밸브(16)와 풍량 분배 장치(14)의 벽면과의 간극이 채워져 있다. 그 때문에, 제 1 조절 밸브(15) 또는 제 2 조절 밸브(16)가 폐쇄되어 있을 때, 제 1 조절 밸브(15) 또는 제 2 조절 밸브(16)로부터 제 1 경로(10) 또는 제 3 경로(12)에 새는 외기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조(1)는 급수관(21)과, 배수관(23)이 접속되는 동시에 슬라이드체(25)에 수납되어 있다. 여기서, 급수관(21)은 세정수를 공급하는 급수 밸브(20)를 구비하고 있다. 배수관(23)은 세정수를 배수하는 배수 밸브(22)를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드체(25)는 하우징(24)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체(25)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통풍구(2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유입구(8)는 세정 행정 혹은 헹굼 행정에 있어서의 세정조(1)내의 세정수의 수위보다도 아래에 설치함으로써, 유입구(8)를 세정조(1)내의 세정수에 의해 봉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1 조절 밸브(15), 제 2 조절 밸브(16)로부터 제 1 경로, 제 3 경로, 세정조(1)내로 새는 외기를 보다 확실하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세정조(1)내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검지 장치(27)가 하우징(24)내에 마련되어 있다. 온도 검지 장치(27)가 소정의 온도, 50℃를 검지하면, 팬(6)이 구동되도록 제어장치를 동작시킨다. 여기서, 세정조(1) 내의 온도 50℃는 세정조(1)내에 증기가 발생해 배기구(7) 근방에 결로가 부착되기 쉬운 온도이다. 이것에 의해, 팬(6)은 운전할 필요가 없는 행정중에서는 정지하기 때문에 보다 효율이 좋은 식기 세척 건조기의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식기 세척 건조기에 대해서 이하 그 동작,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하우징(24)으로부터 슬라이드체(25)를 인출하고, 피세정물인 식기를 세정조(1)내에 수납하고, 슬라이드체(25)를 원래 상태로 되돌려서 세정을 개시한다. 세정 행정 개시와 함께 급수 밸브(20)를 개성하고, 급수관(21)으로부터 세정조(1)에 급수한다. 소정량의 급수가 실행되면 급수 밸브(20)를 폐성하고, 급수를 정지한다. 히터(5) 및 세정 장치(4)인 세정 펌프(3)의 운전에 의해 세정 노즐(2)로부터 온수를 분출시키고, 피세정물인 식기에 온수를 뿜어낸다. 세정수가 분출하는 반력에 의해 세정 노즐(2)이 회전하고, 피세정물에 세정수를 널리 퍼지게 해서 세정성을 높이고 있다.
세정 행정에 있어서, 히터(5)가 세정수를 가열함으로써, 세정조(1)내의 공기의 온도가 일정한 온도, 예를 들면 50℃ 정도가 되면 팬(6)이 운전한다. 여기서 세정조(1)내의 공기의 온도가 50℃ 정도가 되면, 배기구(7)에 있어서 결로가 발생하기 쉽다. 이 때, 팬(6)은 제어장치에 의해 간헐 운전으로 송풍하기 때문에 송풍량은 적고, 풍량 분배 장치(14)에 가해지는 풍압은 낮다. 팬(6)의 간헐 운전에서는 팬(6)이 약 0.1초 구동한 후에 약 1.9초 정지한다라는 동작이 반복되고, 풍량 분배 장치(14)에 보내는 공기의 풍압을 제한하고 있다.
제 1 조절 밸브(15)는 받는 풍압이 자중보다도 낮은 경우, 제 1 조절 밸브(15)는 대략 수평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 1 경로(10)를 폐색하고, 팬(6)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대부분이 제 3 경로(12)에 보내진다. 이로써, 히터(5)에 의해 가열된 세정수가 세정조(1)내의 공기를 가열하므로, 유출구(9)에서 고온 다습한 공기가 배출된다. 이 고온 다습한 공기는 혼합부(13)에 있어서 팬(6)으로부터 제 3 경로(12)를 통해서 보내지는 외기와 혼합해서 온도 및 습도가 저하된 공기가 되어서 배기구(7)로 배출된다.
세정 행정에 있어서, 히터(5)를 운전해 온수에 의해 세정하는 경우를 도시했지만, 피세정물의 더러움이 적은 경우는 히터(5)를 운전하지 않고 급수 온도에 의해 세정하면 좋다. 또한, 피세정물의 오염이 심한 경우, 식기 등에 기름때가 달라 붙어 있는 경우 등은 세제를 넣어서 세정을 실행한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고내 온도가 일정한 온도가 되면, 팬(6)은 간헐 운전을 한다. 세정 행정이 종료하면 배수 밸브(22)를 개성해서 세정수를 배수관(23)으로부터 하우징(24)의 외부에 배수하고, 배수가 끝나면 배수 밸브(22)를 폐성한다.
다음에 실행하는 헹굼 공정에서는 세제를 투입하지 않고, 세정 행정과 마찬가지로 급수하고, 히터(5) 및 세정 펌프(3)의 운전에 의해, 세정 노즐(2)로부터 온수를 분출시켜서 피세정물인 식기에 온수를 뿜어 순환시킨다. 헹굼 공정에 있어서도 세정 행정과 마찬가지로, 일정한 온도를 검지한 후, 팬(6)의 간헐 운전을 실행한다. 이로써, 고온 다습한 세정조(1)내의 공기와 외기를 혼합하고, 배기구(7)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저감한다.
또한, 이 헹굼 운전후에 실행하는 건조 행정에 있어서는 피세정물을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건조시키는 행정을 위해서, 최종 헹굼 운전에서는 피세정물을 따뜻하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최종 헹굼 운전은 60℃ 내지 70℃ 정도의 고온수에서 실시되고, 균제거 처리도 실행할 수 있다. 헹굼 운전 종료후는 세정 운전 종료시와 마찬가지로 세정조(1)내의 헹굼수를 배수한다.
팬(6)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풍압이 낮은 때, 제 2 조절 밸브(16)는 제 1 조절 밸브(15)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중하는데, 즉 도 2에 있어서 시계회전 방향으로 모멘트가 작용하므로, 더욱 제 1 조절 밸브(15)의 자중이 가해져서 제 1 조절 밸브(15)는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실행하는 건조 운전에서는 소정의 시간까지, 최종 헹굼 운전과 마찬가지로 팬(6)의 간헐 운전을 실행하고, 그 후 팬(6)을 연속 운전시킨다.
팬(6)을 연속 운전시킴으로써, 제 2 조절 밸브(16)보다 면적이 큰 제 1 조절 밸브(15)가 제 1 경로(10)를 개방하는 방향, 즉 도 3에 있어서 반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1 조절 밸브(15)의 회전에 의해, 제 1 경로(10)는 개방되어서 팬(6)으로부터 세정조(1)내에 공기가 공급된다. 제 1 조절 밸브(15)의 회전에 연동해서 제 1 조절 밸브(15)보다 면적이 작은 제 2 조절 밸브(16)는 제 3 경로(12)를 폐색하는 방향, 즉 도 3에 있어서 반 시계회전 방향에 회전한다. 제 2 조절 밸브(16)의 회전과 동시에 팬(6)으로부터 혼합부(13)에 공기가 거의 송풍되지 않게 된다.
이렇게 건조 행정에서는 소정의 시간, 팬(6)을 간헐 운전하고, 세정조(1)내의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저하시킨 후, 팬(6)의 연속 운전을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연결체를 회전시키고, 팬(6)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대부분을 세정조(1)내에 보내고, 세정조(1)내의 식기의 건조를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다.
즉, 송풍 장치인 팬(6)은 간헐 운전 혹은 연속 운전을 실행한다. 그리고 풍량 분배 장치(14)는 송풍 장치가 간헐 운전하는 때, 제 1 경로(10)를 폐색하고, 송 풍 장치가 연속 운전하는 때, 제 1 경로(10)를 개방한다.
이렇게 제 1 조절 밸브(15)가 전부 개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 2 조절 밸브(16)는 제 1 조절 밸브(15)가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중되는데, 즉 도 3에 있어서 반 시계회전 방향에 모멘트가 작용하므로, 제 1 조절 밸브(15)의 전부 개방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연동해서 가동하는 제 1 조절 밸브(15)와, 제 2 조절 밸브(16)를 마련하고, 게다가 제 1 조절 밸브(15)에 의해 제 1 경로(10)를 제 2 조절 밸브(16)에 의해 제 3 경로(12)를 개폐시킨다. 그리고 제 1 경로(10)의 폐쇄시에는 제 3 경로(12)가 개방되고, 제 3 경로(12)의 폐쇄시에는 제 1 경로(10)가 개방되도록 구성한다. 그 결과, 한개의 팬(6)의 간헐 운전, 연속 운전의 전환에 의한 송풍량의 변화에 의해, 제 1 경로(10)와 제 3 경로(12)에의 안정한 송풍의 전환이 가능하다. 그리고 세정 행정시, 고온 다습한 세정조(1)내의 공기가 외기와 혼합되어서 배기구(7)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 및 습도가 저하된다. 또한, 배기구(7) 주위에 발생하는 결로가 저감되어서 충분한 건조 성능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이로써 고온 다습한 세정조(1)내의 공기가 저압력측의 송풍 경로를 역류해 외기 취입구인 통풍구(26)로 배출되고, 하우징(24)내의 전장 부품에 고온 증기가 부착된다는 과제가 해결된다.
또한, 제 2 조절 밸브(16)는 팬(6)의 운전 정지시에, 대략 연직 상태의 본체부(16a)와 굴곡부(16b)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송풍 장치 정지시에 있어서 대략 연직 상태보 다 시계회전측으로 경사한 각도에서 정지하는 본체부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다. 즉 본체부만으로도 팬(6)에서의 외기의 풍압이 소정치보다 낮은 경우, 시계회전 방향으로 모멘트가 작용하고, 풍압이 소정치보다 높은 경우에 반 시계회전 방향으로 모멘트를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풍량 분배 장치(14)는 제 1 경로(10)의 도중에 마련한 구성에 대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팬(6)의 근방에 마련해도 좋다.
또한, 팬(6)의 간헐 운전과 연속 운전의 전환에 의해, 제 1 조절 밸브(15) 및 제 2 조절 밸브를 회동시켰지만, 팬(6)의 저속 회전 운전과 고속 회전 운전의 전환에 의해, 제 1 조절 밸브(15) 및 제 2 조절 밸브(16)를 회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식기 세척 건조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동식기 세척 건조기의 팬으로부터 공급되는 외기가 제 3 경로에 흐르는 때의 풍량 분배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동식기 세척 건조기의 팬으로부터 공급되는 외기가 제 1 경로에 흐르는 때의 풍량 분배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동식기 세척 건조기의 풍량 분배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식기 세척 건조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세정조 2 : 세정 노즐
4 : 세정 장치 5 : 히터
6 : 팬 7 : 배기구
10 : 제 1 경로 11 : 제 2 경로
12 : 제 3 경로 14 : 풍량 분배 장치
15 : 제 1 조절 밸브 16 : 제 2 조절 밸브
18 : 회전축 21 : 급수관
21a, 21b : 차폐 리브 23 : 배수관
24 : 하우징 25 : 슬라이드체

Claims (6)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마련되는 동시에 피세정물이 수납되는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내의 세정수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와,
    상기 세정조내의 공기를 상기 하우징 외로 배출하는 배기구와,
    제 1 경로를 거쳐서 상기 세정조내에 외기를 공급하는 송풍 장치와,
    상기 배기구와 상기 세정조를 연통하는 제 2 경로와,
    상기 제 1 경로로부터 분기해서 상기 제 2 경로와 접속하는 제 3 경로와,
    상기 제 1 경로로부터 상기 제 3 경로가 분기되는 분기부에 마련된 풍량 분배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풍량 분배 장치는 소정의 풍압까지 상기 제 1 경로를 폐색하는 동시에 상기 제 3 경로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풍량 분배 장치는 개방도가 풍압의 변화에 의해 변화되는 제 1 조절 밸브 및 제 2 조절 밸브를 갖고, 상기 제 1 조절 밸브 및 상기 제 2 조절 밸브는 상기 제 1 경로 및 상기 제 3 경로를 각각 개폐하고, 소정의 풍압까지 상기 제 1 조절 밸브는 상기 제 1 경로를 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장치는 간헐 운전 혹은 연속 운전을 실행하고, 상기 풍량 분배 장치는 상기 송풍 장치가 간헐 운전하는 때는 상기 제 1 경로를 폐색하고, 상기 송풍 장치가 연속 운전하는 때는 상기 제 1 경로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절 밸브와 상기 제 2 조절 밸브는 연동해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로부터 외기를 유입시키는 유입구를 거쳐서 상기 세정조내에 상기 외기가 송풍되고, 상기 유입구는 세정 행정 혹은 헹굼 행정에 있어서의 상기세정수의 수위보다 하방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조내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검지 장치가 상기 하우징내에 마련되고, 상기 온도 검지 장치가 소정의 온도를 검지하면, 상기 송풍 장치가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 건조기.
KR1020090033281A 2008-04-17 2009-04-16 식기 세척 건조기 KR1010545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07661A JP4548506B2 (ja) 2008-04-17 2008-04-17 食器洗い乾燥機
JPJP-P-2008-107661 2008-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257A true KR20090110257A (ko) 2009-10-21
KR101054553B1 KR101054553B1 (ko) 2011-08-04

Family

ID=41218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281A KR101054553B1 (ko) 2008-04-17 2009-04-16 식기 세척 건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48506B2 (ko)
KR (1) KR101054553B1 (ko)
CN (2) CN101558986B (ko)
TW (1) TW20094607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8506B2 (ja) * 2008-04-17 2010-09-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乾燥機
JP5516564B2 (ja) * 2011-12-14 2014-06-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JP5785962B2 (ja) * 2013-01-11 2015-09-30 リンナイ株式会社 食器洗浄機
KR20170082033A (ko)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CN106264409B (zh) * 2016-09-05 2019-01-18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的干燥系统及洗碗机
JP6906142B2 (ja) * 2017-10-27 2021-07-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食器洗い機
JP6913855B2 (ja) * 2017-10-27 2021-08-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食器洗い機
CN109549586B (zh) * 2018-12-04 2020-06-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洗碗机烘干方法、洗碗机控制方法和洗碗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7026B2 (ja) * 1987-12-16 1996-07-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浄機の乾燥制御方法
EP0521815B2 (de) * 1991-07-02 1998-03-18 Miele &amp; Cie. GmbH &amp; Co.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r den Spülraum mit der Umgebungsluft verbindenden Entlüftungsöffnung oder dergl.
JPH08332167A (ja) * 1995-06-07 1996-12-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い乾燥機
JP4238887B2 (ja) * 2006-07-14 2009-03-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乾燥機
JP4548506B2 (ja) * 2008-04-17 2010-09-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58986B (zh) 2013-05-08
CN201436974U (zh) 2010-04-14
CN101558986A (zh) 2009-10-21
KR101054553B1 (ko) 2011-08-04
JP2009254617A (ja) 2009-11-05
TW200946070A (en) 2009-11-16
JP4548506B2 (ja) 2010-09-22
TWI353236B (ko)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4553B1 (ko) 식기 세척 건조기
JP2008259665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2384522B1 (ko) 식기세척기
JP2010187796A (ja) 食器洗い機
JP2010187796A5 (ko)
KR101018488B1 (ko) 식기 세척 건조기
KR20180097292A (ko) 식기세척기
CN106998990A (zh) 具有抽吸单元的洗碗机
KR101023324B1 (ko) 식기 세척 건조기
KR102124926B1 (ko) 송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
KR102541159B1 (ko) 식기세척기
JP2008229309A (ja) 食器洗浄機
KR101356513B1 (ko) 식기세척기
KR20080010718A (ko) 식기 세척기
KR100652481B1 (ko) 식기세척기의 건조효율 향상구조
JP2011078569A (ja) 食器洗い機
JP6738196B2 (ja) 洗濯乾燥機
JP7117600B2 (ja) 食器洗い機
KR20100086894A (ko) 식기세척기 운전방법
KR20200018013A (ko) 식기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H0852103A (ja) 食器洗浄機
JP2002078660A (ja) 食器洗浄乾燥機
KR20230103448A (ko) 식기세척기
KR20230111990A (ko) 식기세척기
JP2024044642A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