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990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11990A KR20230111990A KR1020220008114A KR20220008114A KR20230111990A KR 20230111990 A KR20230111990 A KR 20230111990A KR 1020220008114 A KR1020220008114 A KR 1020220008114A KR 20220008114 A KR20220008114 A KR 20220008114A KR 20230111990 A KR20230111990 A KR 202301119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
- bracket
- air
- inlet
- mix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6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3570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4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8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080 ambient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8—Connections of the tub with the ambient air, e.g. air intake or ven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공간을 형성하고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터브, 터브의 전방에 배치되어 터브를 개폐하는 도어, 및 도어에 장착되고, 터브 내부로부터 유입되는 습공기 및 터브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건공기를 유동시켜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터브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장치는 습공기 및 건공기가 유동하고 혼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브라켓, 및 브라켓에 장착되고, 습공기와 건공기가 혼합된 혼합공기를 강제유동시키는 강제유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에 유입되는 습공기 및 건공기가 강제유동장치로 유입되기 전의 위치에서 서로 혼합되어 혼합공기가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장치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수납된 세척대상물인 식기, 조리기구 등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기기이다. 이때,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수에는 세제가 포함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 세척조 내에서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수납부, 수납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및 세척수를 저장하고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식기세척기를 사용함으로써, 식사 후 세척대상물을 세척하는 설거지에 드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에 이바지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에는 건조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건조장치는 세척과정에서 세척수를 가열하여 터브 내부에 수용된 식기를 헹구는 가열헹굼과정이 진행된 후에 작동할 수 있다.
건조장치는 터브 내부에서 유입되는 습공기와 터브 외부에서 유입되는 건공기를 혼합시키고 혼합공기을 식기세척기 외부로 배출하여 터브 내부의 습도를 지속적으로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장치는 터브 내부의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터브에 수용된 식기의 표면에 남은 세척수를 증발시켜 식기를 건조시킬 수 있다.
터브로부터 건조장치로 유입되는 습공기는 상대적으로 고온이고, 외부로부터 건조장치로 유입되는 건공기는 상대적으로 저온이다.
고온의 습공기와 저온의 건공기가 혼합되면, 고온의 습공기에 증기상태로 존재하는 세척수에서 응축이 일어나 액상의 물인 응축수가 발생하는 결로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응축수는 건조장치의 내벽에 응결되고, 중력에 의해 낙하할 수 있다.
중력에 의해 낙하한 응축수는 혼합공기의 배출구를 통해 식기세척기가 배치된 위치의 바닥에 흥건히 고일 수 있다. 이렇게 고인 응축수는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치워야 하는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건조장치에서 생성된 혼합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덕트가 구비될 수 있다. 혼합공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덕트의 내벽에 응결되고, 중력에 의해 낙하하여 덕트의 배출구를 통해 식기세척기가 배치된 위치의 바닥으로 누출될 수 있다.
따라서, 건조장치가 작동하는 식기세척기의 건조과정에서 덕트에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건조장치와 관련된 기술은 한국등록특허 10-0556778(이하, 선행기술)에 개시된다. 도 15는 선행기술에 개시된 도면이다.
선행기술에는 격막(200)을 구비하는 흡입팬(31)이 개시된다. 흡입팬(31)은 터브로부터 유입되는 습공기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건공기를 강제유동시킨다. 그러나, 흡입팬(31) 내부에서는 격막(200)으로 습공기와 건공기의 유동공간은 서로 분리되고, 따라서 흡입팬(31) 내부에서는 습공기와 건공기가 거의 혼합되지 않는다.
결국, 습공기와 건공기는 흡입팬(31)에서 거의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응축덕트로 유입된다. 이러한 경우에 거의 혼합되지 않은 상태의 습공기는 높은 습도로 인해 응축덕트의 내벽에 응축이 되고, 따라서 응축덕트의 내벽에 심각한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터브로부터 유입되는 습공기는 흡입팬(31)의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유입되어 격막(200)이 부딪혀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유동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터브로부터 유입되는 습공기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건공기의 유동공간이 흡입팬(31)의 격막(200)에 의해 분리되므로, 흡입팬(31)에서의 습공기의 유동공간은 매우 좁다.
이러한 급격한 유동방향의 변경 및 유동공간의 협소함으로 인해, 터브로부터 흡입팬(31)으로 유입되는 습공기의 유량은 매우 작고, 이로 인해 식기세척기에서 건조효율은 매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습공기와 건공기가 원활하게 혼합되는 구조를 가진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터브로부터 유입되는 습공기의 유량이 증가되는 구조를 가진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응축수의 외부누출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식기세척기의 일 실시예는 건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장치는 도어에 장착되고, 터브 내부로부터 유입되는 습공기 및 터브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건공기를 유동시켜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터브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장치는 브라켓 및 강제유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은 습공기 및 건공기가 유동하고 혼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브라켓에는 밸브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강제유동장치는 브라켓에 장착되고, 습공기와 건공기가 혼합된 혼합공기를 강제유동시킬 수 있다.
브라켓은 제1유입구, 제2유입구 및 장착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입구는 건조장치의 외부와 연통되고 건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제2유입구는 제1유입구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터브와 연통되고 습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장착공간부는 제1유입구 및 제2유입구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혼합공기가 유입되고, 강제유동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강제유동장치는 임펠러 및 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는 장착공간부에 장착될 수 있다. 케이싱은 임펠러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브라켓과 결합할 수 있다.
브라켓은 브라켓에 유입되는 습공기 및 건공기가 강제유동장치로 유입되기 전의 위치에서 서로 혼합되어 혼합공기가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혼합공기는 임펠러의 회전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임펠러의 직경방향으로 임펠러에 유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브라켓은 제1유입구 및 제2유입구가 건공기 및 습공기의 유동경로의 전방에 배치되고, 장착공간부가 건공기 및 습공기의 유동경로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건조장치는 밸브장치, 커버 및 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밸브장치는 브라켓에 장착되고, 습공기의 유로에 배치되고, 제2유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커버는 브라켓과 결합하여 밸브장치 및 강제유동장치를 수용할 수 있다. 덕트는 브라켓 및 커버의 출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강제유동장치로부터 배출되는 혼합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브라켓은 제1격벽, 제1연통부, 제2격벽 및 제1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격벽은 제1유입구의 일부를 형성하고, 건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연통부는 커버와 연통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2격벽은 제2유입구가 형성되고, 제1연통부를 브라켓의 내부공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제1배출구는 장착공간부를 통과한 혼합공기가 배출되고, 덕트의 입구와 연통될 수 있다. 제1배출구는 커버와 결합하여 혼합공기가 배출되는 부위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에도 제1배출구와 대응하는 형상의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는 제3격벽, 제2연통부 및 제3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3격벽은 제1격벽과 함께 제1유입구의 일부를 형성하고, 제1격벽과 결합하고, 건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연통부는 제1연통부와 결합하여 브라켓과 연통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3유입구는 제2연통부와 터브를 연통시키고, 터브로부터 건조장치로 습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건조장치는, 제3유입구에 장착되고, 터브의 내측에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습공기가 제3유입구로 유입되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터브로부터 건조장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밸브장치는 밸브부, 밸브제어모듈 및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부는 개폐부를 작동시켜 브라켓에 구비되는 제2유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밸브제어모듈은 밸브부에 장착되어 밸브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개폐부는 밸브부에 결합하고, 밸브부의 작동에 따라 제2격벽과 접촉하거나 제2격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제2유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브라켓은 제2유입구와 장착공간부 사이에 배치되고, 브라켓의 내벽에 형성되고, 브라켓의 내벽에 응축되는 응축수를 브라켓의 바닥으로 하강시키는 제1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는 제2유입구와 장착공간부 사이에 배치되고, 커버의 내벽에 형성되고, 커버의 내벽에 응축되는 응축수를 커버의 바닥으로 하강시키는 제2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덕트는 제3유도부 및 회수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유도부는 덕트의 내벽에 혼합공기의 유동방향으로 복수로 배열되고, 덕트의 내벽에 응축되는 응축수를 덕트의 하부로 하강시킬 수 있다.
회수홀은 제3유도부의 하측에 형성되고, 터브와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하강한 응축수가 터브로 회수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공간을 형성하고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터브, 터브의 전방에 배치되어 터브를 개폐하는 도어, 및 도어에 장착되고, 터브 내부로부터 유입되는 습공기 및 터브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건공기를 유동시켜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터브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장치는 습공기 및 건공기가 유동하고 혼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브라켓, 및 브라켓에 장착되고, 습공기와 건공기가 혼합된 혼합공기를 강제유동시키는 강제유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에 유입되는 습공기 및 건공기가 강제유동장치로 유입되기 전의 위치에서 서로 혼합되어 혼합공기가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습공기와 건공기는 강제유동장치로 유입되기 전의 위치에서 서로 혼합되어 혼합공기가 되고, 혼합공기는 임펠러를 통과하면서 더욱 혼합되어 습공기와 건공기의 혼합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분히 혼합된 혼합공기가 덕트로 유입되므로 덕트에서의 결로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강제유동장치는 격막이 구비되지 않으며, 혼합공기가 임펠러의 직경방향으로 임펠러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로부터 유입되는 습공기는 격막에 의해 유동방향이 변경되지 않고, 습공기의 유동공간이 임펠러가 장착되는 공간 전체로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습공기의 유량이 현저히 향상되어, 건조장치의 건조효율이 향상되고 식기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건조장치 내부에는 제1유도부, 제2유도부 및 제3유도부를 포함하는 유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유도부는 건조장치의 내부에 발생하는 응축수를 터브 내부로 다시 회수하여 건조장치에 발생한 응축수가 세탁기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5는 라이너에 건조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라이너에 건조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라이너에 건조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에서 커버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선행기술로 개시된 것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5는 라이너에 건조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라이너에 건조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라이너에 건조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에서 커버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선행기술로 개시된 것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상하방향"은 식기세척기가 일상적으로 사용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식기세척기의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좌우방향"은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전후방향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모두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양측방향" 또는 "측방향"은 좌우방향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이들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혼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세척공간(21)을 형성하고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터브(2)(tub), 베이스(4)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세척공간(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3), 터브(2) 하부에 구비되어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4)(sump), 터브(2)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대상물을 수납하는 수납부(5), 및 수납부(5)에 수납된 세척대상물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6, 7, 9)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3)는 상기 터브(2)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터브(2)를 개폐할 수 있다. 이때, 세척대상물은 예를 들어, 그릇, 접시, 숫가락, 젓가락 등의 식기, 기타 조리기구일 수 있다. 이하에서 세척대상물을 식기로 지칭할 수 있다.
터브(2)는 세척공간(21)을 형성하고 식기를 수용하며, 상기 세척공간(21)에는 수납부(5) 및 분사암(6, 7, 9)이 구비될 수 있다. 터브(2)는 일면이 개방된 형상이며, 상기 개방된 일면은 도어(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3)는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세척공간(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3)의 하부가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3)는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터브(2)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3)가 개방되면 수납부(5)가 식기세척기(1) 외부로 인출될 수 있으며, 외부로 인출된 수납부(5)는 도어(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섬프(4)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저장부(41), 저장부(41)를 터브(2)와 구분하는 섬프 커버(42), 외부로부터 저장부(41)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43), 저장부(41)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44), 및 저장부(41)의 세척수를 분사암(6, 7, 9)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45)와 공급유로(46)를 포함할 수 있다.
섬프 커버(42)는 섬프(4) 상부에 구비되며, 터브(2)와 섬프(4)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섬프 커버(42)에는 분사암(6, 7, 9)을 통해 세척공간(21)으로 분사된 세척수를 회수하기 위한 복수개의 회수구들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분사암(6, 7, 9)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공간(21)의 하부로 낙하하고, 섬프 커버(42)를 거쳐 다시 섬프(4)의 저장부(41)로 회수될 수 있다.
급수펌프(45)는 저장부(41)의 측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며, 분사암(6, 7, 9)으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급수펌프(45)의 일단은 저장부(41)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급유로(46)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펌프(45) 내부에는 임펠러(451) 및 모터(45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모터(453)에 전력이 공급되면 임펠러(451)가 회전하고, 저장부(41)의 세척수가 공급유로(46)를 거쳐 분사암(6, 7, 9)으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급유로(46)는 급수펌프(45)에서 공급된 세척수를 분사암(6, 7, 9)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공급유로(46)는 하부 분사암(6)에 연결되는 제1공급유로(461), 상부 분사암(7) 및 탑노즐(9)에 연결되는 제2공급유로(463), 및 공급유로들(461, 467)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공급유로 전환밸브(46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공급유로 전환밸브(465)는 각 공급유로들(461, 463)이 순차적으로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동시에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세척공간(21)에는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5)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는 2개의 수납부(2)가 구비된 식기세척기(1)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식기세척기(1)는 하나의 수납부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3개 이상의 수납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납부의 수에 따라서 분사암의 수도 달라질 수 있다.
수납부(5)는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하부 랙(51)과 상부 랙(53)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랙(51)은 상기 세척공간(21)에 배치되고, 식기가 수납될 수 있다. 상부 랙(53)은 상기 하부 랙(51)의 상측에 배치되고, 식기가 수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랙(53)의 상측과 탑노즐(9) 사이의 공간에는 탑 랙이 배치되고, 식기가 수납될 수 있다.
하부 랙(51)은 섬프(4) 상부에 위치하며, 상부 랙(53)은 하부 랙(51)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 랙(51)과 상부 랙(53) 및 탑 랙은 터브(2)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브(2) 내주면에는 레일형태의 거치대가 구비되고, 랙(51, 53) 하부에는 휠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납부(5)를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식기를 수납하거나, 또는 세척이 완료된 식기를 꺼낼 수 있다.
상기 분사암은 터브(2) 내에 구비되어 수납부(5)의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분사암은 하부 분사암(6), 상부 분사암(7) 및 탑노즐(9)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분사암(6)은 상기 하부 랙(51)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식기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부 분사암(7)은 상기 하부 랙(51)과 상기 상부 랙(53)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식기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하부 분사암(6)은 섬프 커버(4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부 랙(51)에 수납된 식기를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부 분사암(7)은 하부 분사암(6) 상부에 위치하며, 상부 랙(53)에 수납된 식기를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탑노즐(9)은 세척공간(21)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부 랙(51) 및 상부 랙(53)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공급유로(461)는 하부 분사암(6)으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고, 제2 공급유로(463)는 상부 분사암(7) 및 탑노즐(9)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는 베이스(8)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8)는 상기 터브(2)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2)가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8)는 섬프(4)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펌프, 공기공급장치(100) 기타 식기세척기(1)에 구비되는 각종 장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8)는 외벽을 가지고 식기세척기(1) 전체를 지지하고, 상기 외벽에 의해 각종 장치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3)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3)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3)의 배면사시도이다.
도어(3)는 상기 터브(2)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터브(2)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3)는 상기 터브(2)에 대하여 회전하는 방식으로 상기 터브(2)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3)의 외부면에는 사용자가 도어(3)를 개폐할 수 있도록 손잡이(31)가 장착될 수 있다.
도어(3)에는 라이너(32)가 구비될 수 있다. 라이너(32)는 도어(3)가 닫혀 터브(2)를 폐쇄하는 경우에 상기 터브(2) 내부의 세척수가 식기세척기(1)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터브(2)와 도어(3) 사이를 밀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라이너(32)는 터브(2)와 도어(3) 사이를 밀폐하기 위해 도어(3)의 내부면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라이너(32)의 내부면에는 세제 등이 투입되고 수용되는 수용장치(33)가 구비될 수 있다. 수용장치(33)에 수용된 세제는 세척과정에서 필요한 양만큼 터브(2) 내부로 투입되어 세척수에 섞일 수 있다.
라이너(32)와 도어(3)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공간에는 건조장치(10)가 구비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의 상기 건조장치(10)가 작동하여 터브(2)의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건조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10)의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라이너(32)에 건조장치(10)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라이너(32)에 건조장치(10)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라이너(32)에 건조장치(10)가 장착된 상태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10)에서 커버(400)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10)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건조장치(10)는 상기 도어(3)에 장착되고, 상기 터브(2) 내부로부터 유입되는 습공기 및 상기 터브(2)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건공기를 유동시켜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터브(2)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습공기는 터브(2) 내부로부터 건조장치(10)에 유입되는 습도가 높은 공기을 의미하고, 건공기는 터브(2) 외부로부터 건조장치(10)에 유입되는 식기세척기(1)의 주위의 습도가 낮은 공기을 의미한다. 습공기는 건공기보다 습도가 높다.
또한 이하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습도는 절대습도와 상대습도를 통칭한다. 또한 이하에서, 혼합공기는 전술한 습공기와 건공기가 건조장치(10) 내부에서 서로 혼합된 공기을 의미한다. 혼합공기의 습도는 습공기보다 낮고 건공기보다 높을 수 있다.
건조장치(10)는 세척과정에서 세척수를 가열하여 터브(2) 내부에 수용된 식기를 헹구는 가열헹굼과정이 진행된 후에 작동할 수 있다.
건조장치(10)는 터브(2) 내부에서 유입되는 습공기와 터브(2) 외부에서 유입되는 건공기를 혼합시키고 혼합공기을 식기세척기(1) 외부로 배출하여 터브(2) 내부의 습도를 지속적으로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장치(10)는 터브(2) 내부의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터브(2)에 수용된 식기의 표면에 남은 세척수를 증발시켜 식기를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장치(10)는 도어(3)와 라이너(32) 사이의 공간에 장착될 수 있다. 건조장치(10)에 구비되는 덕트(500)의 하단에는 마운트부(11)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마운트부(11)는 덕트(500)의 하부에 장착되고 동시에 도어(3)의 하부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덕트(500)를 도어(3)의 하부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건조장치(10)는 브라켓(200) 및 강제유동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200)은 상기 습공기 및 상기 건공기가 유동하고 혼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브라켓(200)에는 밸브장치(100)가 장착될 수 있다.
습공기와 건공기는 서로 분리되어 브라켓(200)에 유입되고, 브라켓(200)의 내부에서 강제유동장치(300)의 임펠러(310)로 유입되기 이전에 혼합되어 혼합공기가 될 수 있다. 혼합공기는 임펠러(310)를 통과하면서 더욱 혼합되어 덕트(500)로 유입될 수 있다.
브라켓(200)은 제1유입구(210), 제2유입구(230) 및 장착공간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입구(210)는 상기 건조장치(10)의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건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제1유입구(210)는 대기와 직접 연결되고, 따라서, 주위의 공기가 제1유입구(210)를 통해 건조장치(10)로 유입될 수 있다. 건공기는 주위의 대기일 수 있다.
제2유입구(230)는 상기 제1유입구(210)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2)와 연통되고 상기 습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제2유입구(230)는 밸브장치(1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따라서, 밸브장치(100)를 작동시켜 건조장치(10)로 습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장착공간부(260)는 상기 제1유입구(210) 및 상기 제2유입구(23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혼합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강제유동장치(300)가 장착될 수 있다. 혼합공기는 장착공간부(260)를 통과하여 덕트(500)로 유입될 수 있다. 장착공간부(260)에는 강제유동장치(300)의 임펠러(310)가 배치될 수 있다.
강제유동장치(300)는 상기 브라켓(200)에 장착되고, 상기 습공기와 상기 건공기가 혼합된 혼합공기를 강제유동시킬 수 있다. 습공기와 건공기는 강제유동장치(300)에 의해 브라켓(200) 내부로 유입되어 혼합되고, 혼합공기는 강제유동장치(300)에 의해 브라켓(200)에서 강제유동장치(300), 덕트(500)를 순차적으로 거쳐 덕트(5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강제유동장치(300)는 임펠러(310) 및 케이싱(320)을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310)는 상기 장착공간부(260)에 장착되고, 임펠러(310)는 전기를 인가받아 회전하여 건조장치(10)의 내부의 건공기, 습공기 및 혼합공기를 강제유동시킬 수 있다.
임펠러(310)는 장착공간부(260)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장착공간부(260)로 유입되는 혼합공기는 임펠러(310)에 의해 더욱 혼합되어 제1배출구(270)를 통해 덕트(500)로 유입될 수 있다.
케이싱(320)은 상기 임펠러(310)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브라켓(200)과 결합할 수 있다. 케이싱(320)은 브라켓(200)과 결합하여 상기 장착공간부(260)을 일측면을 폐쇄할 수 있다. 장착공간부(260)의 타측면은 커버(40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착공간부(260)에 유입된 혼합공기는 개방된 제1배출구(270)로 전부 배출되어 덕트(500)로 유입될 수 있다.
브라켓(200)은 상기 브라켓(200)에 유입되는 상기 습공기 및 상기 건공기가 상기 강제유동장치(300)로 유입되기 전의 위치에서 서로 혼합되어 혼합공기가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습공기와 건공기는 브라켓(200) 내부의 유동공간에서 유동경로로 보아 강제유동장치(300)의 임펠러(310) 전방에서 서로 혼합되어 혼합공기가 될 수 있다.
도 9에서 건공기의 유동방향은 실선 화살표로 도시되고, 습공기의 유동방향은 은선(hidden line) 화살표로 도시되었다. 건공기는 식기세척기(1)의 외부에서 제1유입구(210)를 통해 브라켓(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습공기는 터브(2) 내부에서 제1연통부(240)에 형성되는 제2유입구(230)를 통해 브라켓(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습공기와 건공기는 브라켓(200) 내부에서 강제유동장치(300) 이전의 위치에서 서로 혼합되어 혼합공기가 되고, 상기 혼합공기는 상기 강제유동장치(300)에 구비되는 임펠러(310)로 유입되어 더욱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다.
전술한 선행기술에서, 습공기와 건공기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흡입팬에 유입된다. 또한, 흡입팬에 격막이 구비되고, 상기 격막이 습공기와 건공기가 흡입팬 내부에서 서로 혼합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러한 선행기술의 구조에서는 습공기와 건공기가 흡입팬으로부터 배출될 때까지 거의 혼합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습공기와 건공기는 브라켓(200)의 내부에서 유동경로 상으로 임펠러(310)의 전방에서 서로 만나서 혼합되어 혼합공기가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공기는 임펠러(310)에 유입되어 더욱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임펠러(310)로부터 배출되어 덕트(500)로 유입되는 혼합공기는, 선행기술에서 흡입팬으로부터 배출되어 응축덕트로 유입되는 혼합공기와 비교하여, 습공기 및 건공기가 훨씬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일 수 있다.
습공기와 건공기가 균일하게 혼합된 덕트(500)에 유입된 혼합기의 상대습도는 브라켓(200) 내부로 유입된 습공기에 비해 상대습도가 낮다. 혼합공기는 상대습도가 낮아짐에 따라 상기 습공기에 비해 노점(dew point)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고온의 습공기는 건공기와 혼합되어 혼합공기가 되고, 혼합공기는 습공기에 비해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혼합공기가 습공기에 비해 노점온도가 낮으므로, 덕트(500)에서 혼합공기의 온도는 노점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덕트(500)에서 혼합공기의 응축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습공기와 건공기는 강제유동장치(300)로 유입되기 전의 위치에서 서로 혼합되어 혼합공기가 되고, 혼합공기는 임펠러(310)를 통과하면서 더욱 혼합되어 습공기와 건공기의 혼합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분히 혼합된 혼합공기가 덕트(500)로 유입되므로 덕트(500)에서의 결로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혼합공기는 상기 임펠러(310)의 회전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임펠러(310)의 직경방향으로 상기 임펠러(310)에 유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브라켓(200)은 상기 제1유입구(210) 및 상기 제2유입구(230)가 상기 건공기 및 상기 습공기의 유동경로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장착공간부(260)가 상기 건공기 및 상기 습공기의 유동경로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200)의 구조로 인해, 습공기와 건공기는 임펠러(310)에 유입되기 전에 서로 혼합되어 혼합공기가 되고, 혼합공기가 임펠러(310)를 통과하여 덕트(500)로 배출될 수 있다.
전술한 선행기술에서 터브(2)로부터 유입되는 습공기는 흡입팬의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유입되어 격막에 부딪혀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유동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터브(2)로부터 유입되는 습공기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건공기의 유동공간이 흡입팬의 격막에 의해 분리되므로, 흡입팬에서의 습공기의 유동공간은 매우 좁다.
실시예의 임펠러(310)에는 선행기술의 격막에 대응되는 구조가 없으며, 습공기는 건공기와 혼합되어 임펠러(310)의 직경방향으로 임펠러(310)에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습공기는 급격한 유동방향의 변경이 없고, 선행기술에 비해 훨씬 넓은 유동공간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실시예의 건조장치(10)는 임펠러(310)가 작동하면, 선행기술과 비교하여, 습공기가 원활하게 유동하고 터브(2)로부터 유입되는 습공기의 유량이 현저히 증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강제유동장치(300)는 격막이 구비되지 않으며, 혼합공기가 임펠러(310)의 직경방향으로 임펠러(310)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2)로부터 유입되는 습공기는 격막에 의해 유동방향이 변경되지 않고, 습공기의 유동공간이 임펠러(310)가 장착되는 공간 전체로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습공기의 유량이 현저히 향상되어, 건조장치(10)의 건조효율이 향상되고 식기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4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2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건조장치(10)는 밸브장치(100), 커버(400) 및 덕트(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밸브장치(100)는 상기 브라켓(200)에 장착되고, 상기 습공기의 유로에 배치되고, 상기 제2유입구(230)를 개폐할 수 있다.
밸브장치(100)는 제2유입구(230)를 개폐하여 상기 제2유입구(230)를 통해 덕트(500)로부터 건조장치(10)로 습공기를 유입시기커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밸브장치(100)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밸브장치(100) 중 일부가 개방되거나 또는 전부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밸브장치(100)가 제2유입구(230)의 개도(open rate)를 조절하여 터브(2)로부터 건조장치(10)로 유입되는 습공기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예를 들어 하나의 밸브장치(100)가 구비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커버(400)는 상기 브라켓(200)과 결합하여 상기 밸브장치(100) 및 상기 강제유동장치(300)를 수용할 수 있다. 커버(400)는 브라켓(200)과 결합하여 습공기 및 건공기가 유동하는 유동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덕트(500)는 상기 브라켓(200) 및 상기 커버(400)의 출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강제유동장치(300)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혼합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덕트(500)의 입구는 브라켓(200)의 제1배출구(270)와 연통되고, 덕트(500)의 출구는 대기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덕트(500)의 출구에서 배출되는 혼합공기는 주위의 공기에 비해 습도가 높다.
브라켓(200)은 제1격벽(220), 제1연통부(240), 제2격벽(250) 및 제1배출구(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격벽(220)은 상기 제1유입구(210)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건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격벽(220)은 커버(400)에 형성되는 제3격벽(410)과 결합하여 건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구(210)와 습공기가 유입되는 제2유입구(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2유입구(230)로 유입되는 습공기가 인접한 위치에 있는 제1유입구(210)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제1연통부(240)는 상기 커버(400)와 연통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연통부(240)는 커버(400)에 형성되는 제2연통부(420)와 결합하여 습공기의 유동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유동공간에 유입된 습공기는 제2유입구(230)를 통해 유동하여 임펠러(310)로 유입될 수 있다.
제2격벽(250)은 상기 제2유입구(230)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통부(240)를 상기 브라켓(200)의 내부공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연통부(240)와 브라켓(200)의 내부공간은 제2격벽(250)에 의해 분리되고, 제2격벽(250)에는 복수의 제2유입구(230)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유입구(230)는 밸브장치(100)에 장착되는 개폐부(1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제1배출구(270)는 상기 장착공간부(260)를 통과한 상기 혼합공기가 배출되고, 상기 덕트(500)의 입구와 연통될 수 있다. 제1배출구(270)는 커버(400)와 결합하여 혼합공기가 배출되는 부위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400)에도 상기 제1배출구(270)와 대응하는 형상의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400)는 전체적으로 브라켓(20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400)는 상기 브라켓(200)과 결합하여 건공기, 습공기 및 혼합공기가 유동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커버(400)는 제3격벽(410), 제2연통부(420) 및 제3유입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격벽(410)은 상기 제1격벽(220)과 함께 상기 제1유입구(210)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격벽(220)과 결합하고, 상기 건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격벽(410)은 제1격벽(220)과 결합할 수 있고, 건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구(210)와 습공기가 유입되는 제2유입구(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2유입구(230)로 유입되는 습공기가 인접한 위치에 있는 제1유입구(210)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제2연통부(420)는 상기 제1연통부(240)와 결합하여 상기 브라켓(200)과 연통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3유입구(430)는 상기 제2연통부(420)와 상기 터브(2)를 연통시키고, 상기 터브(2)로부터 상기 건조장치(10)로 상기 습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건조과정에서 강제유동장치(300)가 작동하면, 덕트(500)에 있는 습공기는 제3유입구(430), 제1연통부(240)와 제2연통부(420)가 형성되는 공간, 및 제2유입구(23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브라켓(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건조장치(10)는, 상기 제3유입구(430)에 장착되고, 상기 터브(2)의 내측에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습공기가 상기 제3유입구(430)로 유입되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터브(2)로부터 상기 건조장치(1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하우징(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600)은 제3유입구(430)에 장착되어 터브(2) 내부에서 발생하는 음식 찌꺼기 등의 이물질이 건조장치(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600)은 통공을 가진 형태로 예를 들어 매쉬(mesh)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밸브장치(100)는 밸브부(110), 밸브제어모듈(120) 및 개폐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부(110)는 개폐부(130)를 작동시켜 브라켓(200)에 구비되는 제2유입구(230)를 개폐할 수 있다.
밸브제어모듈(120)은 상기 밸브부(110)에 장착되어 상기 밸브부(1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밸브제어모듈(120)은 밸브부(110)를 작동시키고, 밸브부(110)는 개폐부(130)를 작동시켜 상기 제2유입구(230)를 개폐할 수 있다.
개폐부(130)는 상기 밸브부(110)에 결합하고, 상기 밸브부(11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2격벽(250)과 접촉하거나 상기 제2격벽(250)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유입구(230)를 개폐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가 건조과정을 진행하면, 밸브제어모듈(120)에 의해 개폐부(130)가 제2격벽(250)으로부터 이격되고 제2유입구(230)가 개방되며, 제2유입구(230)를 통해 상기 건조장치(10)로 습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의 건조과정이 종료되면 밸브제어모듈(120)에 의해 개폐부(130)가 제2격벽(250)과 접촉하여 제2유입구(230)가 폐쇄되며, 이에 따라 터브(2)내부에 있는 습공기가 건조장치(10)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과정에서 건조장치(10)에 유입되는 건공기와 습공기를 건조장치(10) 내부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여 건조장치(10) 내부에 결로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건조과정 중에 건조장치(10) 내부에서 결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장치(10)는 외부표면이 외부공기 즉 대기에 노출되므로, 터브(2)로부터 건조장치(10) 내부로 유입되는 고온 다습한 습공기는 건조장치(10)의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건조장치(10)의 벽과 접촉하여 온도가 하강하여 상기 건조장치(10)의 내벽에 응축될 수 있다. 이는 비교적 온도가 낮은 혼합공기의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건조장치(10) 내부에 결로가 발생한 경우 응축수가 중력에 의해 하강하여 식기세척기(1)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브라켓(200)은 상기 제2유입구(230)와 상기 장착공간부(26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200)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200)의 내벽에 응축되는 응축수를 상기 브라켓(200)의 바닥으로 하강시키는 제1유도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도부(280)는 복수의 돌출부가 서로 거리를 두고 배열되어 형성되고, 길이방향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200) 내부에서 습공기 또는 혼합공기에서 응축수가 발생하여 브라켓(200)의 내벽에 응결되는 결로가 발생할 수 있다. 브라켓(200) 내벽에 발생한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하강하다가 브라켓(200)의 내벽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유도부(280)의 길이방향을 따라 브라켓(200)의 하부에 모일 수 있다.
제1유도부(280)는 임펠러(310)가 장착되는 장착공간부(260)와 제2유입구(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유동경로로 보아 임펠러(3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200)의 내벽에 발생한 응축수는 제1유도부(280)에 가로막혀 임펠러(310)로 유입되지 않고, 제1유도부(280)의 길이방향을 따라 브라켓(200)의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유도부(280)의 길이방향은 제1연통부(24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200)의 하부에 모인 응축수는 제1연통부(240)로 다시 하강하고, 제1연통부(240)에 형성된 제2유입구(230) 및 제2연통부(420)에 형성된 제3유입구(430)를 통해 터브(2) 내부로 회수될 수 있다. 터브(2) 내부로 회수된 응축수는 터브(2)의 하측에 배치된 섬프(4)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브라켓(200)의 내벽에 발생한 응축수는 터브(2)로 회수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커버(400)는 상기 제2유입구(230)와 상기 장착공간부(26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400)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400)의 내벽에 응축되는 응축수를 상기 커버(400)의 바닥으로 하강시키는 제2유도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유도부(440)는 복수의 돌출부가 서로 거리를 두고 배열되어 형성되고, 길이방향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커버(400) 내부에서 습공기 또는 혼합공기에서 응축수가 발생하여 브라켓(200)의 내벽에 응결되는 결로가 발생할 수 있다. 커버(400) 내벽에 발생한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하강하다가 커버(400)의 내벽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2유도부(4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커버(400)의 하부에 모일 수 있다.
제2유도부(440)는 임펠러(310)가 장착되는 장착공간부(260)와 제2유입구(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유동경로로 보아 임펠러(3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400)의 내벽에 발생한 응축수는 제2유도부(440)에 가로막혀 임펠러(310)로 유입되지 않고, 제2유도부(4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커버(400)의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유도부(440)의 길이방향은 제2연통부(42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400)의 하부에 모인 응축수는 제2연통부(420)로 다시 하강하고, 제1연통부(240)에 형성된 제2유입구(230) 및 제2연통부(420)에 형성된 제3유입구(430)를 통해 터브(2) 내부로 회수될 수 있다. 터브(2) 내부로 회수된 응축수는 터브(2)의 하측에 배치된 섬프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커버(400)의 내벽에 발생한 응축수는 터브(2)로 회수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덕트(500)는 제3유도부(510) 및 회수홀(5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유도부(510)는 상기 덕트(500)의 내벽에 상기 혼합공기의 유동방향으로 복수로 배열되고, 상기 덕트(500)의 내벽에 응축되는 응축수를 상기 덕트(500)의 하부로 하강시킬 수 있다.
회수홀(520)은 상기 제3유도부(510)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터브(2)와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하강한 응축수가 상기 터브(2)로 회수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3유도부(510)는 복수의 돌출부가 상기 혼합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배열되어 형성되고, 길이방향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회수홀(520)은 제3유도부(510)가 하향하는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따라서, 제3유도부(510)를 따라 하강하는 응축수는 용이하게 회수홀(520)에 다다를 수 있다.
덕트(500) 내부를 유동하는 혼합공기에서 응축수가 발생하여 덕트(500)의 내벽에 응결되는 결로가 발생할 수 있다. 덕트(500) 내벽에 발생한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하강하다가 덕트(500)의 내벽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3유도부(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여 덕트(500)의 하부에 모일 수 있다.
덕트(500)의 하부에 모인 응축수는 회수홀(520)을 통해 유동할 수 있다. 회수홀(520)에는 예를 들어 호스 등이 장착될 수 있고, 상기 호스는 터브(2) 내부와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유도부(510)를 따라 하강하는 응축수는 회수홀(520), 호스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터브(2)로 회수될 수 있다. 터브(2) 내부로 회수된 응축수는 터브(2)의 하측에 배치된 섬프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덕트(500)의 내벽에 발생한 응축수는 터브(2)로 회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건조장치(10) 내부에는 제1유도부(280), 제2유도부(440) 및 제3유도부(510)를 포함하는 유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유도부는 건조장치(10)의 내부에 발생하는 응축수를 터브(2) 내부로 다시 회수하여 건조장치(10)에 발생한 응축수가 세탁기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덕트(500)는 상대적으로 차가운 외부공기 즉, 대기에 노출되어 냉각된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고온인 혼합공기가 덕트(500) 내부를 통과하면 덕트(500)와 혼합공기 사이의 온도차에 의해 혼합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되어 덕트(500)의 내벽에 응축수가 맺힐 수 있다.
이러한 온도차에 의해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덕트(500)의 외부표면에 단열재를 부착하여 덕트(500)의 내벽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식기세척기 2: 터브
3: 도어 31: 손잡이
32: 라이너 33: 수용장치
21: 세척공간 10: 건조장치
11: 마운트부 100: 밸브장치
110: 밸브부 120: 밸브제어모듈
130: 개폐부 200: 브라켓
210: 제1유입구 220: 제1격벽
230: 제2유입구 240: 제1연통부
250: 제2격벽 260: 장착공간부
270: 제1배출구 280: 제1유도부
300: 강제유동장치 310: 임펠러
320: 케이싱 400: 커버
410: 제3격벽 420: 제2연통부
430: 제3유입구 440: 제2유도부
500: 덕트 510: 제3유도부
520: 회수홀 600: 하우징
3: 도어 31: 손잡이
32: 라이너 33: 수용장치
21: 세척공간 10: 건조장치
11: 마운트부 100: 밸브장치
110: 밸브부 120: 밸브제어모듈
130: 개폐부 200: 브라켓
210: 제1유입구 220: 제1격벽
230: 제2유입구 240: 제1연통부
250: 제2격벽 260: 장착공간부
270: 제1배출구 280: 제1유도부
300: 강제유동장치 310: 임펠러
320: 케이싱 400: 커버
410: 제3격벽 420: 제2연통부
430: 제3유입구 440: 제2유도부
500: 덕트 510: 제3유도부
520: 회수홀 600: 하우징
Claims (16)
- 세척공간을 형성하고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터브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터브 내부로부터 유입되는 습공기 및 상기 터브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건공기를 유동시켜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터브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습공기 및 상기 건공기가 유동하고 혼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장착되고, 상기 습공기와 상기 건공기가 혼합된 혼합공기를 강제유동시키는 강제유동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에 유입되는 상기 습공기 및 상기 건공기가 상기 강제유동장치로 유입되기 전의 위치에서 서로 혼합되어 혼합공기가 되도록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건조장치의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건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구;
상기 제1유입구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와 연통되고 상기 습공기가 유입되는 제2유입구; 및
상기 제1유입구 및 상기 제2유입구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혼합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강제유동장치가 장착되는 장착공간부;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유동장치는,
상기 장착공간부에 장착되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브라켓과 결합하는 케이싱
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공기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임펠러의 직경방향으로 상기 임펠러에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유입구 및 상기 제2유입구가 상기 건공기 및 상기 습공기의 유동경로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장착공간부가 상기 건공기 및 상기 습공기의 유동경로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브라켓에 장착되고, 상기 습공기의 유로에 배치되고, 상기 제2유입구를 개폐하는 밸브장치;
상기 브라켓과 결합하여 상기 밸브장치 및 상기 강제유동장치를 수용하는 커버; 및
상기 브라켓 및 상기 커버의 출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강제유동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혼합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덕트
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유입구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건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1격벽;
상기 커버와 연통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연통부;
상기 제2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통부를 상기 브라켓의 내부공간으로부터 분리하는 제2격벽; 및
상기 장착공간부를 통과한 상기 혼합공기가 배출되고, 상기 덕트의 입구와 연통되는 제1배출구
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제1격벽과 함께 상기 제1유입구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격벽과 결합하고, 상기 건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3격벽;
상기 제1연통부와 결합하여 상기 브라켓과 연통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연통부; 및
상기 제2연통부와 상기 터브를 연통시키고, 상기 터브로부터 상기 건조장치로 상기 습공기가 유입되는 제3유입구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제3유입구에 장착되고, 상기 터브의 내측에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습공기가 상기 제3유입구로 유입되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터브로부터 상기 건조장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하우징
을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장치는,
밸브부;
상기 밸브부에 장착되어 상기 밸브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밸브제어모듈; 및
상기 밸브부에 결합하고, 상기 밸브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2격벽과 접촉하거나 상기 제2격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2유입구와 상기 장착공간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내벽에 응축되는 응축수를 상기 브라켓의 바닥으로 하강시키는 제1유도부
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도부는,
복수의 돌출부가 서로 거리를 두고 배열되어 형성되고, 길이방향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제2유입구와 상기 장착공간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내벽에 응축되는 응축수를 상기 커버의 바닥으로 하강시키는 제2유도부
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도부는,
복수의 돌출부가 서로 거리를 두고 배열되어 형성되고, 길이방향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덕트의 내벽에 상기 혼합공기의 유동방향으로 복수로 배열되고, 상기 덕트의 내벽에 응축되는 응축수를 상기 덕트의 하부로 하강시키는 제3유도부; 및
상기 제3유도부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터브와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하강한 응축수가 상기 터브로 회수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회수홀
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유도부는,
복수의 돌출부가 상기 혼합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배열되어 형성되고, 길이방향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8114A KR20230111990A (ko) | 2022-01-19 | 2022-01-19 | 식기세척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8114A KR20230111990A (ko) | 2022-01-19 | 2022-01-19 | 식기세척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11990A true KR20230111990A (ko) | 2023-07-26 |
Family
ID=87427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08114A KR20230111990A (ko) | 2022-01-19 | 2022-01-19 | 식기세척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11990A (ko) |
-
2022
- 2022-01-19 KR KR1020220008114A patent/KR20230111990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41076B2 (en) | Sink | |
CN101164491B (zh) | 洗碗机 | |
KR102384522B1 (ko) | 식기세척기 | |
WO2006028324A1 (en) | A nozzle structure of dish washer | |
KR101054553B1 (ko) | 식기 세척 건조기 | |
AU2019200880A1 (en) | Dishwasher | |
EP3254597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water supply of dishwasher | |
KR20230111990A (ko) | 식기세척기 | |
CN109717814B (zh) | 餐具清洗机 | |
KR20230111991A (ko) | 식기세척기 | |
US11819176B2 (en) | Dishwasher | |
KR20230103448A (ko) | 식기세척기 | |
KR20230103444A (ko) | 식기세척기 | |
KR20230111989A (ko) |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230103915A (ko) | 식기세척기 | |
US20230210343A1 (en) | Dishwasher | |
EP4101968B1 (en) | Dispenser box for washer and dryer combination appliance | |
KR200397407Y1 (ko) | 식기 세척기의 덕트 구조 | |
KR100862325B1 (ko) | 탑마운트 구조를 갖는 식기세척기 | |
KR20230020230A (ko) | 식기세척기 | |
JP2024044642A (ja) | 食器洗浄機 | |
KR20230103442A (ko) | 식기세척기 | |
KR20230109884A (ko) | 식기세척기 | |
JPH11178662A (ja) | 食器洗浄乾燥機付き流し台 | |
KR20230103445A (ko) | 식기세척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