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3915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3915A
KR20230103915A KR1020220119923A KR20220119923A KR20230103915A KR 20230103915 A KR20230103915 A KR 20230103915A KR 1020220119923 A KR1020220119923 A KR 1020220119923A KR 20220119923 A KR20220119923 A KR 20220119923A KR 20230103915 A KR20230103915 A KR 20230103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air
impeller
cover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9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만
강덕원
김정곤
정민재
김정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8/077,428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210343A1/en
Publication of KR20230103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39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8Connections of the tub with the ambient air, e.g. air intake or ven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식기세척기의 일 실시예는, 세척공간을 형성하고 식기를 수용하는 터브, 터브의 전방에 배치되어 터브를 개폐하는 도어, 및 도어에 장착되고, 터브 내부로부터 유입되는 습공기 및 터브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건공기를 유동시켜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터브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장치를 포함하고, 건조장치는, 습공기 및 건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브라켓,브라켓에 장착되고, 습공기와 건공기가 혼합된 혼합공기를 강제유동시키는 임펠러, 브라켓과 결합하는 커버, 및 브라켓과 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임펠러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임펠러로 유입된 혼합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에어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장치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수납된 세척대상물인 식기, 조리기구 등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기기이다. 이때,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수에는 세제가 포함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 세척조 내에서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수납부, 수납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및 세척수를 저장하고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식기세척기를 사용함으로써, 식사 후 세척대상물을 세척하는 설거지에 드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에 이바지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에는 건조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건조장치는 세척과정에서 세척수를 가열하여 터브 내부에 수용된 식기를 헹구는 가열헹굼과정이 진행된 후에 작동할 수 있다.
건조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한국공개특허 10-2007-0120254에 개시된다.
건조장치는 터브 내부에서 유입되는 습공기와 터브 외부에서 유입되는 건공기를 혼합시키고 혼합공기를 식기세척기 외부로 배출하여 터브 내부의 습도를 지속적으로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장치는 터브 내부의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터브에 수용된 식기의 표면에 남은 세척수를 증발시켜 식기를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장치 내부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의 유동경로 상에는 틈새가 발생할 수 있고, 공기가 이러한 틈새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면, 건조장치의 작동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건조장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경로는 기밀을 유지할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건조장치를 효과적으로 실링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또한, 건조장치 내부에는 임펠러가 장착될 수 있는데, 임펠러의 입구에 다다른 공기는 급격한 유동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임펠러의 입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공기의 순환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의 순환 유동은 건조장치의 작동효율을 낮추므로, 순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또한, 건조장치 내부에 각종 부품을 장착하기 위해 건조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브라켓과 커버는 전체적으로 복잡한 입체적인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과 커버는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는데, 이러한 입체적인 구조로 인해 사출성형 후에 사출된 브라켓과 커버를 금형으로부터 인출하기 어려운 부분인 언더컷이 발생할 수 있다.
건조장치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제작비용을 줄이기 위해 이러한 언더컷을 회피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한편, 건조장치에서 임펠러가 작동하는 경우 터브 내부의 습공기는 건조장치 내부를 유동할 수 있다. 건조장치에는 임펠러를 구동하기 위해 구동모터가 구비될 수 있는데, 건조장치 내부를 유동하는 습공기는 구동모터에 유입될 수 있다. 습공기가 구동모터에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경우 구동모터 내부의 부품들은 습공기에 의해 부식될 수 있다.
따라서 임펠러가 작동하는 동안 습공기가 건조장치에 배치되는 구동모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가 유동하는 부분을 효과적으로 실링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건조장치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장치의 내부에서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하도록 하고, 공기의 순환 유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건조장치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언더컷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건조장치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작업이 용이한 구조를 가진 건조장치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장치 내부를 유동하는 습공기가 임펠러를 구동하는 구동모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조를 가진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식기세척기의 일 실시예는, 브라켓은 임펠러의 회전축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임펠러가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커버와 결합하는 제1부싱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는 임펠러의 회전축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에어가이드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제1부싱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부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부싱과 제2부싱은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부싱은 후술하는 가이드링과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부싱은 제1피스, 제2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피스는 브라켓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피스는 제1피스의 내측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는 바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에는 제2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통공은 임펠러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대략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는 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일부가 덕트의 내부에 놓일 수 있다. 연장부에는 덕트와 결합을 위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는 브라켓 및 커버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브라켓, 커버 및 덕트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혼합공기가 브라켓, 커버 및 덕트의 접촉부위에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실링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돌기는 브라켓, 커버 및 덕트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틈새를 실링하여, 이러한 틈새로 혼합공기가 유출되어 응축수가 되어 식기세척기의 바닥에 고이거나, 식기세척기의 주위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는, 제2통공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고, 커버를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커버의 유동공간으로부터 임펠러로 혼합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벨마우스를 포함할 수 있다.
벨마우스는 제2통공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제2통공의 가장자리를 커버를 향해 곡선으로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의 공간에서 제2통공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커버를 통과하는 혼합공기는 제2통공의 가장자리에서 와류를 형성하지 않고 제2통공을 안정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는, 바디로부터 브라켓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벨마우스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가이드링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링은 벨마우스를 둘러싸도록 구비되고 브라켓을 향해 돌출됨으로써, 제2통공을 통과한 혼합공기가 임펠러를 향하여 원활하게 직진하도록 혼합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링은 제2통공을 통과하여 임펠러로 유입되는 혼합공기가 벨마우스 부위에서 순환유동을 일으키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혼합공기의 유동방향으로 보아 가이드링은 제2통공을 지나서 임펠러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링은 벨마우스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벨마우스에 인접하여 제2통공을 통과한 혼합공기는 유동방향이 변경되어 임펠러의 직경방향으로 유동하다가 가이드링에 가로막혀 다시 임펠러의 직경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유동방향이 변경되어 임펠러로 유입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의 일 실시예는, 세척공간을 형성하고 식기를 수용하는 터브, 터브의 전방에 배치되어 터브를 개폐하는 도어, 및 도어에 장착되고, 터브 내부로부터 유입되는 습공기 및 터브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건공기를 유동시켜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터브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장치를 포함하고, 건조장치는, 습공기 및 건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브라켓, 브라켓에 장착되고, 습공기와 건공기가 혼합된 혼합공기를 강제유동시키는 임펠러, 브라켓과 결합하는 커버, 및 브라켓과 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임펠러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임펠러로 유입된 혼합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에어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은, 임펠러의 회전축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임펠러가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커버와 결합하는 제1부싱을 포함하고, 에어가이드는, 임펠러의 회전축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에어가이드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제1부싱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부싱을 포함하고, 제1부싱과 제2부싱은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브라켓은, 임펠러의 장착공간을 형성하고 임펠러의 회전축방향으로 제1통공이 형성되는 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는, 제1통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커버와 연통되는 제2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장치는, 브라켓 및 커버의 출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임펠러로 배출되는 혼합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는, 제2통공이 형성되는 바디, 및 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일부가 덕트의 내부에 놓이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는, 덕트의 내측면 양측에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연장부가 결합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연장부는, 한 쌍의 결합돌기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1삽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은, 한 쌍의 결합돌기 중 다른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2삽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는, 브라켓 및 커버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브라켓, 커버 및 덕트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혼합공기가 브라켓, 커버 및 덕트의 접촉부위에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실링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는, 제2통공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고, 커버를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커버의 유동공간으로부터 임펠러로 혼합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벨마우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는, 바디로부터 브라켓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벨마우스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가이드링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링은, 제2부싱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영역, 및 제2부싱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서 에어가이드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제2영역과 제1부싱은 서로 중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링은, 제2통공을 통과하여 임펠러로 유입되는 혼합공기가 벨마우스 부위에서 순환유동을 일으키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건조장치는, 케이싱에 배치되고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고, 케이싱은, 구동모터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외부의 건공기가 케이싱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슬릿홀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은 구동모터가 장착되는 외부패널과, 외부패널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외부패널과 함께 케이싱 내부로 유입되는 건공기가 유동하는 유동부를 형성하는 내부패널을 포함하고, 슬릿홀은 구동모터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외부패널에 형성될 수 있다.
구동모터는 외부패널에 장착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외부패널은 구동부가 장착되는 홈을 형성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슬릿홀은 절곡부와 구동부가 구동부의 직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슬릿홀은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슬릿홀은 구동모터를 둘러싸는 원호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브라켓의 제1부싱은 에어가이드의 제2부싱 및 가이드링과 중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건조장치 내부에서 공기가 임펠러로 유입되는 부위가 효과적으로 실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장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경로는 기밀이 유지되어 건조장치의 작동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입체적이고 비교적 복잡한 형상을 가진 실링돌기를 복잡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브라켓 또는 커버에 형성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간단한 형상을 가진 에어가이드에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 또는 커버에 실링돌기에 대응하는 구조를 형성함으로 인해 언터컷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출성형에 의해 건조장치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제작시간 및 제작단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에어가이드의 제2통공의 가장자리에 벨마우스가 형성됨으로써, 커버의 공간으로부터 에어가이드의 제2통공으로 유입되는 혼합공기의 유동이 원활해지고, 이에 따라 건조장치의 작동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가이드링은 제2통공을 통해 유입되는 혼합공기의 유동방향을 가이드하여, 벨마우스에 인접한 위치에서 혼합공기의 순환유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임펠러로 혼합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고, 임펠러는 순환유동에 의해 회전이 방해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임펠러의 전기소비를 줄일 수 있고, 건조장치의 작동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한번의 융착공정 또는 결합작업을 진행함으로써 브라켓, 에어가이드, 커버의 조립이 완료되어, 건조장치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건조장치의 제작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건조장치의 조립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케이싱에는 슬릿홀이 형성되고, 구동모터가 작동하여 임펠러가 회전하면 슬릿홀을 통해 외부의 건공기가 케이싱에 형성되는 유동부로 유입되어 습공기가 유동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습공기가 유동부를 통해 구동부 내부로 유입되어 구동부 내부의 부품을 부식시키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배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에서 몸체부를 떼어낸 상태의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에서 커버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5를 반대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7은 브라켓, 커버 및 에어가이드를 분해한 상태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서 B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20은 도 19와 비교를 위해 도시된 비교예의 도면이다.
도 21은 도 18에서 C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22는 건조장치에서 구동모터가 배치된 케이싱 부분을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서 AA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에서 BB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상하방향"은 식기세척기가 일상적으로 사용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식기세척기의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좌우방향"은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전후방향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모두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양측방향" 또는 "측방향"은 좌우방향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이들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혼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식기세척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세척공간(21)을 형성하고 세척대상물인 식기를 수용하는 터브(2)(tub), 베이스(4)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터브(2)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터브(2)를 개폐하는 도어(3), 터브(2) 하부에 구비되어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4)(sump), 터브(2)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대상물을 수납하는 수납부(5), 및 수납부(5)에 수납된 세척대상물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6, 7, 9)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식기는 예를 들어, 그릇, 접시, 숫가락, 젓가락, 기타 조리기구일 수 있다.
터브(2)는 세척공간(21)을 형성하고 식기를 수용하며, 상기 세척공간(21)에는 수납부(5) 및 분사암(6, 7, 9)이 구비될 수 있다. 터브(2)는 일면이 개방된 형상이며, 상기 개방된 일면은 도어(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3)는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세척공간(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3)의 하부가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3)는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터브(2)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3)가 개방되면 수납부(5)가 식기세척기 외부로 인출될 수 있으며, 외부로 인출된 수납부(5)는 도어(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섬프(4)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저장부(41), 저장부(41)를 터브(2)와 구분하는 섬프 커버(42), 외부로부터 저장부(41)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43), 저장부(41)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44), 및 저장부(41)의 세척수를 분사암(6, 7, 9)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45)와 공급유로(46)를 포함할 수 있다.
섬프 커버(42)는 섬프(4) 상부에 구비되며, 터브(2)와 섬프(4)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섬프 커버(42)에는 분사암(6, 7, 9)을 통해 세척공간(21)으로 분사된 세척수를 회수하기 위한 복수개의 회수홀들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분사암(6, 7, 9)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공간(21)의 하부로 낙하하고, 섬프 커버(42)를 거쳐 다시 섬프(4)의 저장부(41)로 회수될 수 있다.
급수펌프(45)는 저장부(41)의 측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며, 분사암(6, 7, 9)으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급수펌프(45)의 일단은 저장부(41)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급유로(46)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펌프(45) 내부에는 임펠러(451) 및 모터(45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모터(453)에 전력이 공급되면 임펠러(451)가 회전하고, 저장부(41)의 세척수가 공급유로(46)를 거쳐 분사암(6, 7, 9)으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급유로(46)는 급수펌프(45)에서 공급된 세척수를 분사암(6, 7, 9)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공급유로(46)는 하부 분사암(6)에 연결되는 제1공급유로(461), 상부 분사암(7) 및 탑노즐(9)에 연결되는 제2공급유로(463), 및 공급유로들(461, 467)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공급유로 전환밸브(46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공급유로 전환밸브(465)는 각 공급유로들(461, 463)이 순차적으로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동시에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세척공간(21)에는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5)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는 2개의 수납부(2)가 구비된 식기세척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식기세척기는 하나의 수납부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3개 이상의 수납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납부의 수에 따라서 분사암의 수도 달라질 수 있다.
수납부(5)는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하부 랙(51)과 상부 랙(53)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랙(51)은 상기 세척공간(21)에 배치되고, 식기가 수납될 수 있다. 상부 랙(53)은 상기 하부 랙(51)의 상측에 배치되고, 식기가 수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랙(53)의 상측과 탑노즐(9) 사이의 공간에는 탑 랙이 배치되고, 식기가 수납될 수 있다.
하부 랙(51)은 섬프(4) 상부에 위치하며, 상부 랙(53)은 하부 랙(51)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 랙(51)과 상부 랙(53) 및 탑 랙은 터브(2)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브(2) 내주면에는 레일형태의 거치대가 구비되고, 랙(51, 53) 하부에는 휠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납부(5)를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식기를 수납하거나, 또는 세척이 완료된 식기를 꺼낼 수 있다.
상기 분사암은 터브(2) 내에 구비되어 수납부(5)의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분사암은 하부 분사암(6), 상부 분사암(7) 및 탑노즐(9)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분사암(6)은 상기 하부 랙(51)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식기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부 분사암(7)은 상기 하부 랙(51)과 상기 상부 랙(53)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식기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하부 분사암(6)은 섬프 커버(4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부 랙(51)에 수납된 식기를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부 분사암(7)은 하부 분사암(6) 상부에 위치하며, 상부 랙(53)에 수납된 식기를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탑노즐(9)은 세척공간(21)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부 랙(51) 및 상부 랙(53)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공급유로(461)는 하부 분사암(6)으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고, 제2 공급유로(463)는 상부 분사암(7) 및 탑노즐(9)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식기세척기는 베이스(8)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8)는 상기 터브(2)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2)가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8)는 섬프(4)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펌프, 열풍공급장치 기타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각종 장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8)는 외벽을 가지고 식기세척기 전체를 지지하고, 상기 외벽에 의해 각종 장치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3)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3)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3)의 배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3)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어(3)는 상기 터브(2)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터브(2)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3)는 상기 터브(2)에 대하여 회전하는 방식으로 상기 터브(2)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3)의 외부면에는 사용자가 도어(3)를 개폐할 수 있도록 손잡이(31)가 장착될 수 있다.
도어(3)는 몸체부(30)와 라이너(3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30)는 도어(3)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31)가 장착될 수 있다.
라이너(32)는 몸체부(30)와 터브(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30)와 결합할 수 있다. 라이너(32)는 도어(3)가 닫혀 터브(2)를 폐쇄하는 경우에 상기 터브(2) 내부의 세척수가 식기세척기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터브(2)와 도어(3)의 몸체부(30) 사이를 밀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라이너(32)는 터브(2)와 도어(3) 사이를 밀폐하기 위해 도어(3)의 내부면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라이너(32)의 내부면에는 세제 등이 투입되고 수용되는 수용장치(33)가 구비될 수 있다. 수용장치(33)에 수용된 세제는 세척과정에서 필요한 양만큼 터브(2) 내부로 투입되어 세척수에 섞일 수 있다.
도어(3)의 라이너(32)와 몸체부(3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공간에는 건조장치(10)가 구비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의 상기 건조장치(10)가 작동하여 터브(2)의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건조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건조장치(10)는 상기 도어(3)에 장착되고, 상기 터브(2) 내부로부터 유입되는 습공기 및 상기 터브(2)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건공기를 유동시켜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터브(2)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장치(10)는 몸체부(30)와 라이너(32) 사이의 공간에 장착될 수 있다. 건조장치(10)에 구비되는 덕트(600)의 하단에는 마운트부(11)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마운트부(11)는 덕트(600)의 하부에 장착되고 동시에 몸체부(30)의 하부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덕트(600)를 도어(3)의 하부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습공기는 터브(2) 내부로부터 건조장치(10)에 유입되는 습도가 높은 공기를 의미하고, 건공기는 터브(2) 외부로부터 건조장치(10)에 유입되는 식기세척기의 주위의 습도가 낮은 공기를 의미한다. 습공기는 건공기보다 습도가 높다.
또한 이하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습도는 절대습도와 상대습도를 통칭한다. 또한 이하에서, 혼합공기는 전술한 습공기와 건공기가 건조장치(10) 내부에서 서로 혼합된 공기를 의미한다. 혼합공기의 습도는 습공기보다 낮고 건공기보다 높을 수 있다.
건조장치(10)는 세척과정에서 세척수를 가열하여 터브(2) 내부에 수용된 식기를 헹구는 가열헹굼과정이 진행된 후에 작동할 수 있다.
건조장치(10)는 터브(2) 내부에서 유입되는 습공기와 터브(2) 외부에서 유입되는 건공기를 혼합시키고 혼합공기를 식기세척기 외부로 배출하여 터브(2) 내부의 습도를 지속적으로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장치(10)는 터브(2) 내부의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터브(2)에 수용된 식기의 표면에 남은 세척수를 증발시켜 식기를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장치(10)에는 터브(2)와 상기 건조장치(10) 내부를 연통시키는 제3유입구(310)가 형성될 수 있다. 터브(2)의 습공기는 상기 제3유입구(310)를 통해 건조장치(10)로 유입될 수 있다.
제3유입구(310)는 라이너(32)에서 상기 터브(2)를 향하는 면에 배치될 수 있다. 건조장치(10)는 제3유입구(31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건조장치(10)에 결합하는 매쉬부재(820)를 포함할 수 있다.
매쉬부재(820)는 복수의 리브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유입구(310)를 통해 습공기가 건조장치(10)로 유입될 수 있으나, 비교적 큰 물체는 상기 매쉬부재(820)에 의해 건조장치(10)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매쉬부재(820)는 터브(2)에 있는 큰 물체가 건조장치(1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3유입구(310)에 손가락을 접촉하는 경우에, 손가락이 제3유입구(310)를 통해 건조장치(10)로 빨려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건조장치(10)는 패킹부재(810)(도 10 참조), 네임플레이트(830)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킹부재(810)는 매쉬부재(820)와 라이너(32)의 일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매쉬부재(820)와 라이너(32)의 일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틈새를 밀폐할 수 있다.
네임플레이트(830)는 매쉬부재(820)의 일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네임플레이트(830)는 제3유입구(310)를 가리지 않도록 매쉬부재(820)의 일부분에 장착되고, 건조장치(10)의 명칭, 기능 등이 기재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3)에서 몸체부(30)를 떼어낸 상태의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에서 커버(30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10)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건조장치(10)는 브라켓(100), 임펠러(200), 커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100)은 상기 습공기 및 상기 건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습공기와 건공기는 서로 분리되어 브라켓(100)에 유입되고, 브라켓(100)의 내부에서 임펠러(200)로 유입되기 이전에 혼합되어 혼합공기가 될 수 있다. 혼합공기는 임펠러(200)를 통과하면서 더욱 혼합되어 덕트(600)로 유입될 수 있다.
임펠러(200)는 상기 브라켓(100)에 장착되고, 상기 습공기와 상기 건공기가 혼합된 혼합공기를 강제유동시킬 수 있다. 습공기와 건공기는 임펠러(200)에 의해 브라켓(100) 내부로 유입되어 혼합되고, 혼합공기는 임펠러(200)에 의해 브라켓(100)에서 임펠러(200), 덕트(600)를 순차적으로 거쳐 덕트(6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커버(300)는 상기 브라켓(100)과 결합하여 밸브장치(400) 및 상기 임펠러(200)를 수용할 수 있다. 커버(300)는 브라켓(100)과 결합하여 습공기 및 건공기가 유동하는 유동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커버(300)는 제2지지부(3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304)는 커버(300)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브라켓(100)을 향하여 돌출되고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제2지지부(304)는 서로 적절히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지지부(304)는 브라켓(100)에 형성되는 제1지지부(105)와 함께 건조장치(10) 내부에 장착되는 부품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00)은 상기 건조장치(10)의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건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구(11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유입구(110)는 대기와 직접 연결되고, 따라서, 주위의 공기가 제1유입구(110)를 통해 건조장치(10)로 유입될 수 있다. 건공기는 주위의 대기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유입구(110)는 브라켓(1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복수의 홀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유입구(110) 를 형성하는 복수의 홀 각각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홀들은 브라켓(100)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임펠러(200)가 회전함에 따라, 건공기는 상기 제1유입구(110)를 통해 브라켓(100)으로 유입되어 습공기와 혼합되어 혼합공기가 되어 임펠러(20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00)은 상기 제1유입구(110)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2)와 연통되고 상기 습공기가 유입되는 제2유입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유입구(120)는 밸브장치(4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건조장치(10)가 작동하면 밸브장치(400)는 제2유입구(120)를 개방하고, 따라서 터브(2)의 습공기는 상기 제2유입구(120)를 통해 브라켓(100)으로 유입되어 건공기와 혼합될 수 있다.
건조장치(10)는 밸브장치(400), 덕트(600), 에어가이드(700)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장치(400)는 상기 브라켓(100)에 장착되고, 상기 습공기의 유로에 배치되고, 상기 제2유입구(120)를 개폐할 수 있다.
밸브장치(400)는 제2유입구(120)를 개폐하여 상기 제2유입구(120)를 통해 덕트(600)로부터 건조장치(10)로 습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밸브장치(400)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밸브장치(400) 중 일부가 개방되거나 또는 전부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밸브장치(400)가 제2유입구(120)의 개도(open rate)를 조절하여 터브(2)로부터 건조장치(10)로 유입되는 습공기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예를 들어 하나의 밸브장치(400)가 구비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덕트(600)는 상기 브라켓(100) 및 상기 커버(300)의 출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임펠러(200)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혼합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덕트(600)의 입구는 브라켓(100)의 제1배출구(180)와 연통되고, 덕트(600)의 출구는 대기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덕트(600)의 출구에서 배출되는 혼합공기는 주위의 공기에 비해 습도가 높다.
덕트(600)는 유도부(610)와 회수홀(640)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도부(610)는 상기 덕트(600)의 내벽에 상기 혼합공기의 유동방향으로 복수로 배열되고, 상기 덕트(600)의 내벽에 응축되는 응축수를 상기 덕트(600)의 하부로 하강시킬 수 있다.
회수홀(640)은 상기 유도부(610)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터브(2)와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유도부(610)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하강한 응축수가 상기 터브(2)로 회수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유도부(610)는 복수의 돌출부가 상기 혼합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배열되어 형성되고, 길이방향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회수홀(640)은 유도부(610)가 하향하는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따라서, 유도부(610)를 따라 하강하는 응축수는 용이하게 회수홀(640)에 다다를 수 있다.
덕트(600) 내부를 유동하는 혼합공기에서 응축수가 발생하여 덕트(600)의 내벽에 응결되는 결로가 발생할 수 있다. 덕트(600) 내벽에 발생한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하강하다가 덕트(600)의 내벽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유도부(6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여 덕트(600)의 하부에 모일 수 있다.
덕트(600)의 하부에 모인 응축수는 회수홀(640)을 통해 유동할 수 있다. 회수홀(640)에는 예를 들어 호스 등이 장착될 수 있고, 상기 호스는 터브(2) 내부와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유도부(610)를 따라 하강하는 응축수는 회수홀(640), 호스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터브(2)로 회수될 수 있다. 터브(2) 내부로 회수된 응축수는 터브(2)의 하측에 배치된 섬프(4)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덕트(600)의 내벽에 발생한 응축수는 터브(2)로 회수될 수 있다.
한편, 덕트(600)에는 상기 회수홀(640)과 이격된 위치에 덕트(600)를 도어(3)에 장착하기 위해 볼트 등의 결합기구가 체결되는 체결홀(620)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700)는 상기 브라켓(100)과 상기 커버(3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임펠러(200)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임펠러(200)로 유입된 상기 혼합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700)는 임펠러(200)에 의해 강제유동하는 혼합공기가 설정된 유동방향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고, 임펠러(200)를 실링하여 습공기가 브라켓(100)과 커버(300) 사이의 설계된 경로를 벗어나 다른 공간으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브라켓(100)은 제1연통부(160), 격벽부(170), 제1배출구(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통부(160)는 상기 커버(300)와 연통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연통부(160)는 커버(300)에 형성되는 제2연통부(320)와 결합하여 습공기의 유동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유동공간에 유입된 습공기는 제2유입구(120)를 통해 유동하여 임펠러(200)로 유입될 수 있다.
격벽부(170)는 상기 제2유입구(120)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통부(160)를 상기 브라켓(100)의 내부공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연통부(160)와 브라켓(100)의 내부공간은 격벽부(170)에 의해 분리되고, 격벽부(170)에는 복수의 제2유입구(1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유입구(120)는 밸브장치(400)의 개폐부(4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제1배출구(180)는 상기 임펠러(200)를 통과한 상기 혼합공기가 배출되고, 상기 덕트(600)의 입구와 연통될 수 있다. 제1배출구(180)는 커버(300)와 결합하여 혼합공기가 배출되는 부위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300)에도 상기 제1배출구(180)와 대응하는 형상의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300)는 제2연통부(320)와 제3유입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연통부(320)는 상기 제1연통부(160)와 결합하여 상기 브라켓(100)과 연통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3유입구(310)는 상기 제2연통부(320)와 상기 터브(2)를 연통시키고, 상기 터브(2)로부터 상기 건조장치(10)로 상기 습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건조과정에서 임펠러(200)가 작동하면, 덕트(600)에 있는 습공기는 제3유입구(310), 제1연통부(160)와 제2연통부(320)가 형성되는 공간, 및 제2유입구(1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브라켓(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밸브장치(400)는 밸브부(410), 밸브제어모듈(420), 개폐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부(410)는 개폐부(430)를 작동시켜 브라켓(100)에 구비되는 제2유입구(120)를 개폐할 수 있다.
밸브제어모듈(420)은 상기 밸브부(410)에 장착되어 상기 밸브부(4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밸브제어모듈(420)은 밸브부(410)를 작동시키고, 밸브부(410)는 개폐부(430)를 작동시켜 상기 제2유입구(120)를 개폐할 수 있다.
개폐부(430)는 상기 밸브부(410)에 결합하고, 상기 밸브부(410)의 작동에 따라 상기 격벽부(170)와 접촉하거나 상기 격벽부(170)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유입구(120)를 개폐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가 건조과정을 진행하면, 밸브제어모듈(420)에 의해 개폐부(430)가 격벽부(170)로부터 이격되고 제2유입구(120)가 개방되며, 제2유입구(120)를 통해 상기 건조장치(10)로 습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의 건조과정이 종료되면 밸브제어모듈(420)에 의해 개폐부(430)가 격벽부(170)와 접촉하여 제2유입구(120)가 폐쇄되며, 이에 따라 터브(2) 내부에 있는 습공기가 건조장치(10)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00)은, 상기 임펠러(200)의 장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임펠러(200)의 회전축방향으로 제1통공(141)이 형성되는 케이싱(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40)은 브라켓(1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임펠러(200)의 회전축에 결합하고, 상기 임펠러(20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00)를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200)는 케이싱(140)에 장착되어 브라켓(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구동모터(500)의 일부는 브라켓(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임펠러(200)에는 상기 임펠러(20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회전축(210)이 구비될 수 있다. 제1회전축(210)은 상기 임펠러(200)의 회전중심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500)에는 상기 구동모터(500)의 회전중심에 제2회전축(510)이 구비될 수 있다.
제1회전축(210)은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회전축(510)이 제1회전축(210)의 상기 중공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구동모터(500)와 상기 임펠러(200)는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500)의 제2회전축(51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회전축(210)과 임펠러(200)는 회전할 수 있다.
구동모터(500)는 상기 제1통공(141)에 삽입되어 상기 임펠러(200)와 결합할 수 있고, 구동모터(500)의 일부는 케이싱(140)의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제1통공(141)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브라켓(100)의 케이싱(140)에 결합할 수 있다.
터브(2)로부터 건조장치(10)로 유입되는 습공기는 상대적으로 고온이고, 외부로부터 건조장치(10)로 유입되는 건공기는 상대적으로 저온이다.
고온의 습공기와 저온의 건공기가 혼합되면, 고온의 습공기에 증기상태로 존재하는 세척수에서 응축이 일어나 액상의 물인 응축수가 발생하는 결로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응축수는 건조장치(10)의 내벽에 응결되고, 중력에 의해 낙하할 수 있다.
중력에 의해 낙하한 응축수는 혼합공기의 배출구를 통해 식기세척기가 배치된 위치의 바닥에 흥건히 고일 수 있다. 이렇게 고인 응축수는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치워야 하는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장치(10)에서 결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건조장치(10)에서 결로현상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건조장치(10) 내부에서 건공기와 습공기의 혼합이 원활하게 일어나는 것이 적절하다.
만약, 습공기와 건공기가 건조장치(10) 내부에서 거의 혼합되지 않는 경우, 거의 혼합되지 않은 상태의 습공기는 높은 습도로 인해 건조장치(10)의 내벽에 응축되고 이로 인해 건조장치(10) 내부에 심각한 결로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터브(2)로부터 유입되는 습공기와 건조장치(10)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건공기가 건조장치(10) 내부에서 혼합이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본원발명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브라켓(100)은 제1지지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105)는 브라켓(100)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커버(300)를 향하여 돌출되고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제1지지부(105)는 서로 적절히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지지부(105)는 커버(300)에 형성되는 제2지지부(304)와 함께 건조장치(10) 내부에 장착되는 부품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제1지지부(105) 중 적어도 하나는 제2차단벽(190)과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지지부(105)는 상기 제2차단벽(19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지지부(105)는 가늘고 긴 형상을 가지므로 비교적 강성이 약할 수 있다. 제1지지부(105)가 제2차단벽(190)과 중첩됨으로써, 상기 제2차단벽(190)에 의해 제1지지부(105)의 강성이 보강되어 제1지지부(105)가 약한 강성으로 인해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유입구(110)는 상기 건공기의 유동경로로 보아 상기 임펠러(200)의 입구 이전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유입구(110)를 통해 브라켓(100)으로 유입되는 건공기와 제2유입구(120)를 통해 브라켓(100)으로 유입되는 습공기는 임펠러(200)로 유입되기 이전에 서로 만날 수 있다. 즉, 임펠러(200)로 유입되기 이전에 건공기와 습공기는 서로 만나서 혼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건공기와 습공기는 임펠러(200)로 유입되기 이전에 미리 혼합되어 혼합공기가 되고, 사이 혼합공기는 임펠러(200)를 통과하면서 함유된 건공기와 습공기가 더욱 균일하게 혼합된 혼합공기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구(110)에서 상기 건공기의 유동방향은 상기 제2유입구(120)에서 상기 습공기의 유동방향과 교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유입구(120)를 통과하는 습공기는 브라켓(100)의 상하“‡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한편, 제1유입구(110)는 브라켓(100)의 측방향으로 상기 브라켓(1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유입구(110)를 통해 브라켓(100)으로 유입되는 건공기는 브라켓(100)의 측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건공기와 습공기는 서로 만나는 지점에서 유동방향이 서로 교차할 수 있다. 건공기와 습공기의 유동방향이 서로 교차하는 경우, 유동방향이 서로 평행한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건공기와 상기 습공기의 혼합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유동방향이 교차하는 경우, 건공기와 습공기는 서로의 유동라인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유동하여 서로의 유동라인을 끊어내면서 서로 혼합되기 때문에, 유동방향이 서로 평행한 경우와 비교하여, 서로 더욱 잘 혼합되기 때문이다.
실시예에서, 건공기와 습공기는 임펠러(200)로 유입되기 전의 위치에서 서로 혼합되어 혼합공기가 되고, 혼합공기는 임펠러(200)를 통과하면서 더욱 혼합되어 건공기와 습공기의 혼합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서로 만나는 지점에서 유동방향이 서로 교차하므로, 유동방향이 서로 평행한 경우와 비교하여 서로 더욱 잘 혼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공기와 습공기의 혼합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분히 혼합된 혼합공기가 덕트(600)로 유입되므로 덕트(600)에서의 결로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밸브제어모듈(420)은 외부 전원, 통신선 등과 연결을 위해 적어도 일부가 브라켓(1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건조장치(10)의 제1유입구(110)를 통해 건조장치(10)의 브라켓(100) 내부에 함유된 수증기, 브라켓(100)의 내벽에 응축된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배출된 물은 건조장치(10)의 외부에 배치된 부품, 특히 밸브제어모듈(420)에 침투하여 상기 밸브제어모듈(420)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에 대비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100)은, 상기 브라켓(100)의 외부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유입구(1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제1차단벽(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벽(13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유입구(110)와 상기 밸브제어모듈(4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유입구(110)를 통해 유출되는 상기 습공기가 상기 밸브제어모듈(420)로 향하여 유동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유입구(120)를 통해 터브(2)로부터 건조장치(10)로 유입된 습공기는 일부가 제1유입구(110)를 통해 건조장치(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유입구(110)에서 배출된 습공기는 밸브제어모듈(420)로 유동하면, 상기 밸브제어모듈(420)의 부품을 부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차단벽(130)은 상기 브라켓(100)의 외부표면으로 돌출되고, 제1유입구(110)와 밸브제어모듈(420) 사이에 배치되어, 제1유입구(110)로 배출된 습공기가 밸브제어모듈(420)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차단벽(130)의 높이는 제1유입구(110)로부터 밸브제어모듈(420)로 유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동시에 브라켓(100)의 전체부피가 과도하게 커지지 않도록 할 것을 적절히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제1차단벽(130)은 제1셀(131)과 제2셀(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셀(131)은 상기 제1유입구(110)와 상기 밸브제어모듈(4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셀(132)은 상기 제1셀(131)의 하단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유입구(110)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셀(131)과 제2셀(132)은 제1유입구(110)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이에 따라 제1유입구(110)와 밸브제어모듈(420) 사이의 습공기의 유동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제2셀(132)을 브라켓(100)의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셀(132)은 그 끝단으로 갈수록 상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제2셀(132)의 상면 또는 하면에 응축수가 발생하더라도 응축수는 제2셀(132)의 경사를 따라 흘러 다시 제1유입구(110)로 흘러 들어가거나 제2셀(132)에 연결된 제1셀을 따라 브라켓(100)의 아래쪽으로 하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축수가 제1유입구(110)로부터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도어(3)의 상부에는 식기세척기를 제어하는 컨트롤패널이 배치될 수 있다. 제2셀(132)은 제1유입구(110)의 상측을 가로막아 상기 제2셀(132)의 상측에 있는 상기 컨트롤패널로 제1유입구(110)를 통해 유출될 수 있는 응축수 또는 습공기가 컨트롤패널에 도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차단벽(130)은 제1유입구(110)를 통해 배출되는 습공기가 밸브제어모듈(420)로 유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습공기에 의한 밸브제어모듈(420)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100)은, 상기 브라켓(100)의 내부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유입구(1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제2차단벽(19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벽(130)과 상기 제2차단벽(190)은 제1유입구(110)의 형성으로 인해 강성이 부족해진 브라켓(100)에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2차단벽(19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유입구(110)와 상기 밸브제어모듈(4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브라켓(100)의 내벽에 응결되어 부착되는 응축수가 상기 제1유입구(110)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브라켓(100)의 내벽에는 결로에 의한 응축수가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응축수는 일부가 제1유입구(110)를 통해 건조장치(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유입구(110)에서 배출된 응축수는 브라켓(100)의 외부표면을 따라 밸브제어모듈(420)로 유동하면, 상기 밸브제어모듈(420)의 부품을 부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차단벽(190)은 상기 브라켓(100)의 내부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유입구(110)와 밸브제어모듈(420) 사이에 배치되어, 응축수가 상기 제1유입구(110)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차단벽(190)은 응축수가 제1유입구(110)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므로, 응축수가 제1유입구(110)로 배출되어 밸브제어모듈(420)로 유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차단벽(190)의 높이는 응축수가 브라켓(100)의 내벽에서 제1유입구(110)로 배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동시에 브라켓(100) 내부에서 건공기와 습공기의 유동을 크게 방해하지 않도록 할 것을 적절히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제2차단벽(190)은 제1파트(191)와 제2파트(19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파트(191)는 상기 제1유입구(110)와 상기 밸브제어모듈(4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파트(192)는 상기 제1파트(191)의 하단으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유입구(110)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파트(191)와 제2파트(192)는 제1유입구(110)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이에 따라 브라켓(100)의 내벽에 부착된 응축수는 상기 제1유입구(110)를 통해 브라켓(100)의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밸브제어모듈(420)로 유동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차단벽(190)은 브라켓(100)의 내벽에 부착된 응축수가 제1유입구(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축수가 제1유입구(110)를 통해 배출되어 밸브제어모듈(420)로 유동하는 것이 차단되어, 응축수에 의한 밸브제어모듈(420)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제2파트(192)는 제1유입구(110)와 제3유입구(310)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분사암(6, 7, 9)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매쉬부재(820), 제3유입구(310), 제2유입구(120)를 뚫고 건조장치(10) 내부로 들어오더라도, 침투한 세척수가 제1유입구(110)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7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70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5를 반대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브라켓(100)은 상기 임펠러(200)의 회전축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임펠러(200)가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300)와 결합하는 제1부싱(101)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700)는 상기 임펠러(200)의 회전축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에어가이드(7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제1부싱(101)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부싱(7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싱(101)과 상기 제2부싱(710)은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부싱(101)은 후술하는 가이드링(750)과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부싱(101)은 제1피스(101a), 제2피스(10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피스(101a)는 브라켓(1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피스(101b)는 상기 제1피스(101a)의 내측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피스(101a)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부싱(710)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피스(101b)는 적어도 일부가 에어가이드(700)에 형성되는 가이드링(750)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100)의 제1부싱(101)은 에어가이드(700)의 제2부싱(710) 및 가이드링(750)과 중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건조장치(10) 내부에서 공기가 임펠러(200)로 유입되는 부위가 효과적으로 실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장치(1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경로는 기밀이 유지되어 건조장치(10)의 작동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700)는 상기 제1통공(141)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300)와 연통되는 제2통공(7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혼합공기는 커버(300)에 형성되는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통공(721)을 통과하여 임펠러(200)로 유입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700)는 바디(720), 연장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720)에는 상기 제2통공(7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통공(721)은 상기 임펠러(20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대략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730)는 상기 바디(720)로부터 연장되고, 일부가 상기 덕트(600)의 내부에 놓일 수 있다. 상기 연장부(730)에는 덕트(600)와 결합을 위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덕트(600)는, 상기 덕트(600)의 내측면 양측에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730)가 결합하는 결합돌기(6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결합돌기(630) 중 하나에는 에어가이드(700)와 커버(300)가 결합하고, 나머지 하나에는 브라켓(100)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730)는 한 쌍의 상기 결합돌기(630)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630)가 삽입되는 제1삽입홀(731)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630)가 제1삽입홀(731)에 삽입됨으로써, 에어가이드(700)는 덕트(6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덕트(600)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00)은 한 쌍의 상기 결합돌기(630) 중 다른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630)가 삽입되는 제2삽입홀(102)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630)가 제2삽입홀(102)에 삽입됨으로써, 브라켓(100)은 덕트(6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덕트(600)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커버(300)에는 상기 에어가이드(700)의 제1삽입홀(731)과 상기 덕트(600)의 결합돌기(630)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3삽입홀(301)이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결합돌기(630)는 상기 제1삽입홀(731)과 제3삽입홀(301)에 동시에 결합할 수 있다. 결합돌기(630)가 제3삽입홀(301)에 삽입됨으로써, 커버(300)는 덕트(6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덕트(600)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730)는 상기 브라켓(100) 및 상기 커버(300)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100), 상기 커버(300) 및 상기 덕트(600)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혼합공기가 상기 브라켓(100), 상기 커버(300) 및 상기 덕트(600)의 접촉부위에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실링돌기(7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돌기(732)는 브라켓(100), 상기 커버(300) 및 상기 덕트(6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틈새를 실링하여, 이러한 틈새로 혼합공기가 유출되어 응축수가 되어 식기세척기의 바닥에 고이거나, 식기세척기의 주위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실링돌기(732)는 돌출부위와 함몰부위를 가진 입체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돌기(732)와 동일한 실링효과는 가지는 구조를 브라켓(100) 또는 커버(300)에 형성하는 경우, 브라켓(100)과 커버(300)는 그 형상이 복잡해질 수 있다.
브라켓(100)과 커버(300)는 사출성형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브라켓(100)과 커버(300)는 에어가이드(700)에 비해 복잡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100) 또는 커버(300)에 실링돌기(732)와 대응하는 구조를 형성한다면, 실링돌기(732)와 같은 입체적인 구조로 인해 사출성형 후에 사출된 브라켓(100)과 커버(300)를 금형으로부터 인출하기 어려운 부분인 언더컷(under cut)이 발생할 수 있다.
실링돌기(732)를 상대적으로 구조가 간단한 에어가이드(700)에 형성함으로써, 브라켓(100) 또는 커버(300)에 발생할 수 있는 언더컷을 회피하는 구조, 즉 식기세척기에서 컷오프(cut off)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입체적이고 비교적 복잡한 형상을 가진 실링돌기(732)를 복잡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브라켓(100) 또는 커버(300)에 형성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간단한 형상을 가진 에어가이드(700)에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100) 또는 커버(300)에 실링돌기(732)에 대응하는 구조를 형성함으로 인해 언터컷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출성형에 의해 건조장치(10)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제작시간 및 제작단가를 줄일 수 있다.
도 17은 브라켓(100), 커버(300) 및 에어가이드(700)를 분해한 상태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에서 혼합공기의 유동경로를 화살표로 도시하였다. 혼합공기는 커버(300)에 형성되는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통공(721)을 통과하여 임펠러(200)로 유입되고, 상기 임펠러(200)를 통과하면서 더욱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700)는, 상기 제2통공(721)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커버(300)를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커버(300)의 유동공간으로부터 상기 임펠러(200)로 상기 혼합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벨마우스(7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공기는 커버(300)에 형성되는 공간으로부터 임펠러(200)로 유입되는데, 제2통공(721)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위에서 혼합공기는 유동방향이 90°에 가까울 정도로 급격하게 변경될 수 있다.
벨마우스(740)는 제2통공(721)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제2통공(721)의 가장자리를 상기 커버(300)를 향해 곡선으로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300)의 공간에서 제2통공(721)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상기 커버(300)를 통과하는 혼합공기는 제2통공(721)의 가장자리에서 와류를 형성하지 않고 제2통공(721)을 안정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에어가이드(700)의 제2통공(721)의 가장자리에 벨마우스(740)가 형성됨으로써, 커버(300)의 공간으로부터 에어가이드(700)의 제2통공(721)으로 유입되는 혼합공기의 유동이 원활해지고, 이에 따라 건조장치(10)의 작동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700)는, 상기 바디(720)로부터 상기 브라켓(100)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벨마우스(740)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가이드링(75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링(750)은 벨마우스(740)를 둘러싸도록 구비되고 브라켓(100)을 향해 돌출됨으로써, 제2통공(721)을 통과한 혼합공기가 임펠러(200)를 향하여 원활하게 직진하도록 상기 혼합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링(750)은 제1영역(751)과 제2영역(7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역(751)은 상기 제2부싱(7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영역(752)은 상기 제2부싱(710)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서 상기 에어가이드(7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752)과 상기 제1부싱(101)은 서로 중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가이드링(750)의 제2영역(752)은 브라켓(100)의 제1부싱(101)의 제2피스(101b)와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에어가이드(700)의 제2부싱(710)과 브라켓(100)의 제1부싱(101)의 제1피스(101a)와 중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에어가이드(700)와 브라켓(1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틈새는 효과적으로 실링되고, 이에 따라 에어가이드(700)와 브라켓(100)의 틈새를 통한 혼합공기의 유출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도 19는 도 18에서 B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20은 도 19와 비교를 위해 도시된 비교예의 도면이다.
상기 가이드링(750)은 상기 제2통공(721)을 통과하여 상기 임펠러(200)로 유입되는 상기 혼합공기가 상기 벨마우스(740) 부위에서 순환유동을 일으키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공기의 유동방향으로 보아 가이드링(750)은 제2통공(721)을 지나서 임펠러(200)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링(750)은 벨마우스(740)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벨마우스(740)에 인접하여 제2통공(721)을 통과한 혼합공기는 유동방향이 변경되어 상기 임펠러(200)의 직경방향으로 유동하다가 상기 가이드링(750)에 가로막혀 다시 상기 임펠러(200)의 직경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유동방향이 변경되어 상기 임펠러(20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임펠러(200)의 가장자리 부위에서 혼합공기의 순환유동이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임펠러(200)로 혼합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고, 임펠러(200)는 순환유동에 의해 회전이 방해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임펠러(200)의 전기소비를 줄일 수 있고, 건조장치(10)의 작동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가이드링(750)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 상기 벨마우스(740)에 인접하여 제2통공(721)을 통과한 혼합공기는 유동방향이 변경되어 임펠러(200)의 직경방향으로 계속하여 유동하고, 상기 임펠러(200)의 가장자리로부터 계속 멀어지며 유동할 수 있다.
유동하는 혼합공기가 임펠러(200)의 가장자리로부터 계속 멀어지게 되면, 브라켓(1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공기의 순환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혼합공기의 순환유동에 의해 임펠러(200)로 혼합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방해받을 수 있고, 임펠러(200)는 순환유동에 의해 회전이 방해될 수 있다. 따라서, 임펠러(200)의 전기소비가 늘어나고, 건조장치(10)의 작동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가이드링(750)은 제2통공(721)을 통해 유입되는 혼합공기의 유동방향을 가이드하여, 벨마우스(740)에 인접한 위치에서 혼합공기의 순환유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임펠러(200)로 혼합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고, 임펠러(200)는 순환유동에 의해 회전이 방해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임펠러(200)의 전기소비를 줄일 수 있고, 건조장치(10)의 작동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1은 도 18에서 C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7 및 도 21을 참조하면, 브라켓(100)에는 제1홈(10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홈(103)은 상기 제1부싱(101)의 제1피스(101a)의 내측에 브라켓(100)의 내벽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700)는 제1돌출부(701)를 구비할 수 있다. 제1돌출부(701)는 에어가이드(700)의 제2부싱(710)의 단부에서 상기 제1홈(103)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1홈(103)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돌출부(701)는 제1홈(103)에 장착되고, 이에 따라 에어가이드(700)는 다른 별도의 결합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브라켓(100)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브라켓(100)에는 제2홈(10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홈(104)은 상기 제1부싱(101)의 제1피스(101a)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피스(101a)로부터 연장되는 부위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홈(104)은 브라켓(100)의 단면으로 보아 제1홈(103)과 브라켓(100)의 폭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300)는 제2돌출부(30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돌출부(302)는 커버(300)의 가장자리에 상기 제2홈(104)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2홈(104)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300)는 안착부(303)를 구비할 수 있다. 안착부(303)는 제2돌출부(302)에서 상기 제2홈(104)의 내측에 형성되고, 에어가이드(700)의 제2부싱(710)의 측면과 제1부싱(101)의 제1피스(101a)의 끝단을 지지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2홈(104)에 제2돌출부(302)가 장착되고, 제2홈(104)과 제2돌출부(302)에 융착공정을 진행함으로써, 브라켓(100)과 커버(300)는 서로 고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브라켓(100)과 커버(300)가 서로 결합하면, 에어가이드(700)의 제2부싱(710)은 일측에서는 제1돌출부(701)가 브라켓(100)의 제1홈(103)에 안착하고, 타측에서는 커버(300)의 안착부(303)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브라켓(100)과 커버(300)가 융착에 의해 서로 결합하면 이들 사이에 장착되는 에어가이드(700)는 별도의 결합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건조장치(10) 내부에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에어가이드(700)를 브라켓(100)에 장착하거나 또는 에어가이드(700)를 커버(300)에 장착하는 작업을 생략하고, 브라켓(100)과 커버(300)를 융착하는 한번의 작업으로 에어가이드(700)를 건조장치(10)에 장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한번의 융착공정 또는 결합작업을 진행함으로써 브라켓(100), 에어가이드(700), 커버(300)의 조립이 완료되어, 건조장치(1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건조장치(10)의 제작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건조장치(10)의 조립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22는 건조장치(10)에서 구동모터(500)가 배치된 케이싱(140) 부분을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서 AA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케이싱(140)에는 구동모터(500)가 장착될 수 있다. 구동모터(500)는 케이싱(140)에 배치되고 임펠러(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모터(500)는 구동부(520)와 모터장착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520)에는 제2회전축(510)이 결합할 수 있다. 구동부(520)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작동하여 제2회전축(5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모터장착부(530)는 구동부(520)를 케이싱(140)에 장착시킬 수 있다.
케이싱(140)에는 구동부(520)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구동부(520)의 일부가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구동부(520)에 결합된 모터장착부(530)는 케이싱(140)에 결합함으로써, 구동모터(500)는 케이싱(140)에 장착될 수 있다.
구동부(520)는 제2회전축(510)과 결합되고, 제2회전축(510)이 구동부(520)의 외부로 돌출되기 위해, 제2회전축(510)이 관통하는 관통홀(521)이 형성될 수 있다. 임펠러(200)가 회전하면 건조장치(10) 내부에는 터브(2)로부터 유입되는 습공기가 유동하고, 습공기의 일부는 구동부(520) 외부를 유동할 수 있다.
구동부(520) 외부를 유동하는 습공기는 관통홀(521)을 통해 구동부(5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구동부(520) 내부로 유입된 습공기는 구동부(520) 내부에 배치되는 코일 기타 모터의 작동에 필요한 부품을 부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습공기가 관통홀(521)을 통해 구동부(5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습공기가 구동모터(500)의 구동부(5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케이싱(140)에는 슬릿홀(142)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홀(142)은 구동모터(50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외부의 건공기가 상기 케이싱(14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케이싱(140)은 외부패널(140a)과 내부패널(140b)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패널(140a)에는 구동모터(500)가 장착될 수 있다.
내부패널(140b)은 외부패널(140a)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내부패널(140b)은 제2회전축(510)의 단부에 결합하고, 제2회전축(510)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내부패널(140b)에는 임펠러(200)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제2회전축(510)이 회전함에 따라 내부패널(140b)과 임펠러(200)는 함께 회전하고, 임펠러(200)의 회전에 의해 건조장치(10) 내부에 건공기와 습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내부패널(140b)은 외부패널(140a)과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외부패널(140a)과 함께 상기 케이싱(140) 내부로 유입되는 건공기가 유동하는 유동공간 즉, 유동부(143)를 형성할 수 있다.
슬릿홀(142)은 상기 외부패널(140a)에 상기 구동모터(500)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릿홀(142)은 구동모터(50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외부패널(140a)에 형성될 수 있다.
슬릿홀(142)에 의해 유동부(143)는 외부와 연통하고, 이에 따라 외부의 건공기는 슬릿홀(142)을 통해 유동부(143)로 유입될 수 있다.
슬릿홀(142)은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슬릿홀(142)은 상기 구동모터(500)를 둘러싸는 원호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3개의 슬릿홀(142)이 개시되지만, 다른 실시예로 슬릿홀(142)은 2개 또는 4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슬릿홀(142)의 개수는 구동부(520)의 크기, 구동부(520)의 크기, 모터장착부(530)의 형상, 케이싱(140)의 크기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각각의 슬릿홀(142)은 단면이 원형인 구동부(52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적당한 폭을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원호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4는 도 22에서 BB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4에서 건공기의 유동은 실선 화살표로 도시되고, 습공기의 유동은 은선(hidden line)으로 도시된다.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구동부(520)는 외부패널(140a)에 장착될 수 있다. 외부패널(140a)은 구동부(520)가 장착되는 홈을 형성하는 절곡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슬릿홀(142)은 절곡부(144)와 구동부(520)가 구동부(520)의 직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144)는 구동부(520)가 장착되는 홈의 형상을 만들고, 구동부(520)와 이격되는 부위인 제1절곡부(144a)와, 구동부(520)와 접촉하는 부위인 제2절곡부(144b)로 구비될 수 있다.
슬릿홀(142)은 케이싱(140)의 외부패널(140a)과 구동부(5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슬릿홀(142)이 없을 경우 절곡부(144)는 제2절곡부(144b)로만 구비될 수 있고, 이때 외부패널(140a)과 구동부(520)는 서로 접촉하여 케이싱(140)의 홈은 구동부(52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즉, 외부패널(140a)의 제2절곡부(144b)의 내측면과 구동부(520)가 접촉하여 케이싱(140)의 홈은 밀폐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서는 케이싱(140)에서 슬릿홀(142)이 형성되는 부위에 제1절곡부(144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절곡부(144a)는 제2절곡부(144b)보다 구동부(520)가 장착되는 홈이 더욱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슬릿홀(142)을 형성하는 제1절곡부(144a)의 측면은 제2절곡부(144b)의 측면보다 구동부(520)의 중심으로부터 더욱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절곡부(144a)는 구동부(520)의 직경방향으로 구동부(520)의 외주면과 이격될 수 있고, 이러한 이격된 틈새가 외부패널(140a)에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인 슬릿홀(142)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슬릿홀(142)은 외부패널(140a)과 구동부(520)가 서로 접촉하는 제2절곡부(144b)의 원주면을 따라 구동부(520)의 중심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에 제1절곡부(144a)에 의해 외부패널(140a)의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구동부(520)가 배치되는 외부패널(140a)의 홈의 직경을 살펴보면, 슬릿홀(142)이 형성되는 제1절곡부(144a)에서의 상기 홈의 직경은 제2절곡부(144b)에서 상기 홈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절곡부(144a)와 상기 홈은 서로 접촉하지 않고 이격되는 틈새가 생기고, 이러한 틈새가 슬릿홀(142)이 될 수 있다.
건조장치(10)가 작동하여 임펠러(200)가 회전하면 터브(2)의 습공기는 건조장치(10) 내부로 유입되어 건조장치(10) 내부에서 유동할 수 있다. 습공기는 건조장치(10)에 구비되는 구동모터(500)로 접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공기는 외부패널(140a)과 내부패널(140b) 사이의 틈새를 통해 구동모터(500)의 구동부(520)로 접근하고, 제2회전축(510)이 삽입되는 관통홀(521)과 제2회전축(510) 사이의 틈새를 통해 구동부(520) 내부로 유입되어 구동부(520) 내부의 부품을 부식시킬 수 있다.
습공기가 구동부(5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케이싱(140)의 외부패널(140a)에는 슬릿홀(142)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홀(142)을 통해 유동부(143)로 건조장치(10) 외부의 건공기가 유입되고, 건공기는 습공기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다.
임펠러(200)가 회전하면 브라켓(100) 내부에는 전체적으로 외부보다 낮은 압력 즉, 음압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부의 건조공기는 제1유입구(110)를 통해 브라켓(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임펠러(200)가 회전하면 케이싱(140)의 내부에 있는 유동부(143)에는 음압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임펠러(200)가 회전하면 외부의 건공기는 슬릿홀(142)을 통해 유동부(143)로 유입되고 유동부(143) 내부를 유동할 수 있다. 유동부(143) 내부를 유동하는 건공기는 관통홀(521) 주위를 둘러싸게 되고, 이로 인해 건조장치(10) 내부를 유동하는 습공기는 관통홀(521)로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습공기가 관통홀(521)에 생긴 틈새를 통해 구동부(5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케이싱(140)에는 슬릿홀(142)이 형성되고, 구동모터(500)가 작동하여 임펠러(200)가 회전하면 슬릿홀(142)을 통해 외부의 건공기가 케이싱(140)에 형성되는 유동부(143)로 유입되어 습공기가 유동부(143)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습공기가 유동부(143)를 통해 구동부(520) 내부로 유입되어 구동부(520) 내부의 부품을 부식시키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브라켓
200: 임펠러
300: 커버
400: 밸브장치
500: 구동모터
600: 덕트
700: 에어가이드
810: 패킹부재
820: 매쉬부재
830: 네임플레이트

Claims (20)

  1. 세척공간을 형성하고 식기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터브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장착되고, 상기 터브 내부로부터 유입되는 습공기 및 상기 터브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건공기를 유동시켜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터브 내부를 건조시키는 건조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습공기 및 상기 건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장착되고, 상기 습공기와 상기 건공기가 혼합된 혼합공기를 강제유동시키는 임펠러;
    상기 브라켓과 결합하는 커버;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임펠러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임펠러로 유입된 상기 혼합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에어가이드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임펠러가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와 결합하는 제1부싱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에어가이드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제1부싱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부싱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싱과 상기 제2부싱은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임펠러의 장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방향으로 제1통공이 형성되는 케이싱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제1통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와 연통되는 제2통공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브라켓 및 상기 커버의 출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임펠러로 배출되는 상기 혼합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덕트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제2통공이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일부가 상기 덕트의 내부에 놓이는 연장부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덕트의 내측면 양측에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가 결합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한 쌍의 상기 결합돌기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1삽입홀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한 쌍의 상기 결합돌기 중 다른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제2삽입홀
    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브라켓 및 상기 커버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 상기 커버 및 상기 덕트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혼합공기가 상기 브라켓, 상기 커버 및 상기 덕트의 접촉부위에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실링돌기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제2통공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커버를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커버의 유동공간으로부터 상기 임펠러로 상기 혼합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벨마우스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브라켓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벨마우스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가이드링
    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링은,
    상기 제2부싱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2부싱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서 상기 에어가이드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영역과 상기 제1부싱은 서로 중첩되도록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링은,
    상기 제2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임펠러로 유입되는 상기 혼합공기가 상기 벨마우스 부위에서 순환유동을 일으키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건조장치의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건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구; 및
    상기 제1유입구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와 연통되고 상기 습공기가 유입되는 제2유입구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브라켓에 장착되고, 상기 습공기의 유로에 배치되고, 상기 제2유입구를 개폐하는 밸브장치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커버와 연통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연통부;
    상기 제2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통부를 상기 브라켓의 내부공간으로부터 분리하는 격벽부; 및
    상기 임펠러를 통과한 상기 혼합공기가 배출되고, 상기 덕트의 입구와 연통되는 제1배출구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제1연통부와 결합하여 상기 브라켓과 연통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연통부; 및
    상기 제2연통부와 상기 터브를 연통시키고, 상기 터브로부터 상기 건조장치로 상기 습공기가 유입되는 제3유입구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케이싱에 배치되고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구동모터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외부의 건공기가 상기 케이싱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슬릿홀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구동모터가 장착되는 외부패널과, 상기 외부패널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외부패널과 함께 상기 케이싱 내부로 유입되는 건공기가 유동하는 유동부를 형성하는 내부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홀은 상기 구동모터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외부패널에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외부패널에 장착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패널은 상기 구동부가 장착되는 홈을 형성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릿홀은 상기 절곡부와 상기 구동부가 상기 구동부의 직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KR1020220119923A 2021-12-31 2022-09-22 식기세척기 KR202301039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077,428 US20230210343A1 (en) 2021-12-31 2022-12-08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94349 2021-12-31
KR1020210194349 2021-12-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915A true KR20230103915A (ko) 2023-07-07

Family

ID=87154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9923A KR20230103915A (ko) 2021-12-31 2022-09-22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39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1076B2 (en) Sink
US20080163904A1 (en) Nozzle Structure of Dish Washer
EP2611349B1 (en) A dishwasher
KR102384522B1 (ko) 식기세척기
US20080173338A1 (en) Dishwasher
KR20170096314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세제박스
KR20230103915A (ko) 식기세척기
US20230165429A1 (en) Dishwasher
JP6913855B2 (ja) 食器洗い機
KR20230103444A (ko) 식기세척기
KR100387388B1 (ko) 식기 세척기
KR20230103448A (ko) 식기세척기
US20230210343A1 (en) Dishwasher
KR20230111990A (ko) 식기세척기
KR20230111991A (ko) 식기세척기
JP3877540B2 (ja) 食器洗い機
KR20230111989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397407Y1 (ko) 식기 세척기의 덕트 구조
KR20230103442A (ko) 식기세척기
CN216293971U (zh) 洗碗机
KR20230103445A (ko) 식기세척기
CN219878068U (zh) 扫地机器人基站、扫地机器人系统以及清洁设备
KR102492674B1 (ko) 식기세척기
KR20230109884A (ko) 식기세척기
KR20240002845A (ko) 식기세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