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9825A - 시동 버튼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동 버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9825A
KR20090109825A KR1020080035244A KR20080035244A KR20090109825A KR 20090109825 A KR20090109825 A KR 20090109825A KR 1020080035244 A KR1020080035244 A KR 1020080035244A KR 20080035244 A KR20080035244 A KR 20080035244A KR 20090109825 A KR20090109825 A KR 20090109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start button
fob
smart key
ke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7278B1 (ko
Inventor
김종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5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278B1/ko
Publication of KR20090109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1Mechanic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ands-free locking or un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동 버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동 버튼 시스템은 차량 시동을 위해 구비되는 포브키와, 자동 시동을 위해 온오프되는 시동버튼과, 비상 시동 시에 상기 시동버튼의 온오프 횟수를 통해 암호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암호가 미리 저장된 암호와 일치하는 경우 비상 시동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스마트키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포브홀더를 구비하지 않고 시동버튼의 온오프 횟수를 이용하여 암호를 입력받아 비상시에 시동을 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포브(FOB), 포브홀더, 시동 버튼, 비상 시동

Description

시동 버튼 시스템{STARTING BUTTON SYSTEM}
본 발명은 시동 버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브홀더를 구비하지 않고 포브키의 배터리가 로우상태인 경우 등의 비상시에 시동버튼을 통해 암호를 입력받아 비상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동 버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자동차 시동은 운전자가 키를 키뭉치에 삽입하여 회전하는 방식으로 엔진의 시동을 수행함과 아울러 스티어링(steering) 샤프트(shaft)의 로킹(locking)을 해제한다. 최근에는 PIC유닛(Personal Identification Card Unit) 즉, 스마트키 유닛을 이용한 자동 시동 방법이 일부 고급형 자동차에 적용됨으로써 편의성을 대폭 향상하고 있다.
스마트키 유닛을 이용한 엔진의 시동방법은 포브(FOB)키를 운전자가 소지하거나 자동차 내에 보관할 경우 변속레버를 파킹단(P)에 위치하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후 시동버튼을 누르면 포브키와 스마트키 유닛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시동을 걸고, 시동을 끌 때에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변속레버를 파킹단으로 전환한 후 시동버튼을 누르는 것이다.
이러한 시동방법은 무선통신을 기본으로 하는 것이므로 포브키의 배터리가 로우 상태이거나, 포브키 또는 스마트키 유닛 등이 무선통신을 할 수 없는 상태에서는 시동을 걸 수 없으므로 비상 시동 방법을 이용하여야 한다.
비상 시동 방법으로는 포브키 홀더에 포브키를 삽입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포브키 홀더에 포브키를 삽입하는 방식은 통상적으로 운전석 우측의 스티어링 컬럼(steering column)의 측면에 포브키 홀더를 설치하고, 상기 포브 키 홀더에 트랜스폰더(transponder) 통신모듈을 내장하여 포브키 홀더에 포브키를 삽입하면 포브키 내의 안테나코일이 트랜스폰더의 데이터를 읽음으로써 비상시동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포브키 홀더에 포브키를 삽입하는 비상 시동 방식은 포브키 홀더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함으로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고, 포브키 홀더에 포브키를 삽입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포브홀더를 구비하지 않고 시동버튼의 온오프 횟수를 이용하여 암호를 입력받아 비상시에 시동을 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를 개선한 시동 버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동 버튼 시스템은 차량 시동을 위해 구비되는 포브키와, 자동 시동을 위해 온오프되는 시동버튼과, 비상 시동 시에 상기 시동버튼의 온오프 횟수를 통해 암호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암호가 미리 저장된 암호와 일치하는 경우 비상 시동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스마트키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상 시동 시는 상기 포브키의 배터리가 로우(low)상태인 경우나 상기 포브키와 상기 스마트키 유닛이 무선통신을 할 수 없는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키 유닛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포브 키의 배터리가 로우상태인 경우의 경고 및 암호 입력 경고를 표시하는 클러스터를 더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시동 버튼의 온오프되는 시간을 체크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의 체크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암호 와 상기 미리 저장된 암호를 비교하는 마이크로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입력받은 암호가 미리 저장된 암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일치 횟수를 체크하여 상기 불일치 횟수가 일정횟수 이상이면 일정시간동안 시동이 안 걸리는 시동 페일 모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시동 버튼이 일정시간 이상 온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암호의 입력이 시작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일정시간 이하의 온오프상태가 교번적으로 발생하면 입력되는 암호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포브홀더를 구비하지 않고 시동버튼의 온오프 횟수를 이용하여 암호를 입력받아 비상시에 시동을 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시동 버튼 시스템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동 버튼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동 버튼 시스템은 스마트키 유닛(100), 시동버튼(200), LF 안테나(300), RF 리시버(400), 포브(Fob) 키(500), 자기진단기기(600) 및 클러스터(700)를 포함한다.
스마트키 유닛(100)은 포브키(200)의 배터리 상태를 무선통신을 통해 체크하여 포브키(200)의 배터리 상태가 로우(low)상태인 경우, 시동버튼(200)을 통해 입 력받은 암호와 미리 저장해둔 암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시동모터(미도시)를 제어하여 시동이 걸리도록 하고, 불일치하는 경우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키 유닛(100)은 마이크로컴(110) 및 타이머(120)를 구비한다.
마이크로컴(110)은 LF 안테나(300) 및 RF 리시버(400)를 통해 포브키(200)의 배터리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포브키(200)의 배터리 상태가 로우 상태인 경우 클러스터(700)에 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동시에 암호 입력 경고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마이크로컴(110)은 타이머(120)로부터 수신한 시동 버튼(200)의 온오프 시간 결과에 따라 온오프 횟수를 추출하고, 온오프 횟수에 따라 암호를 분석하여 미리 저장해둔 암호와 분석된 암호를 비교한다. 그 결과, 미리 저장해둔 암호와 분석된 암호가 일치하면 시동 모터(미도시)의 전류를 제어하여 시동이 걸리도록 하고, 미리저장해둔 암호와 분석된 암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불일치 연속 회수가 4회 이상인지를 체크하여 3회 이하이면 암호를 재입력받아 재비교하고 4회 이상이면 1시간동안 시동 페일(FAIL) 모드를 유지시킨다.
타이머(120)는 시동 버튼(200)의 온오프 횟수를 구별하기 위한 온오프 시간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마이크로 컴(120)에 전달한다. 타이머(120)를 이용한 시동 버튼(200)의 온오프 시간 계산방법은 추후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시동버튼(200)은 포브키(500)를 소지한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파킹단(P)에 위 치시킨 후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온(ON) 상태가 되면 정상 시동이 수행되도록 하고, 포브키(500)의 배터리 상태가 로우(low) 상태인 경우 즉 비상 시동 시에는 시동버튼(200)을 통해 암호가 입력되도록 한다.
LF 안테나(300)는 스마트키 유닛(100)으로부터 포브키(500)의 배터리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여 포브키(500)로 송신한다.
RF리시버(400)는 포브키(500)로부터 포브키(500)의 배터리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키 유닛(100)에 전달한다.
포브(Fob)키(500)는 LF 안테나(300) 및 RF 리시버(400)를 통해 배터리 상태정보를 스마트키 유닛(100)에 전달한다.
자기 진단 기기(600)는 자동차의 엔진 결함시 스마트키 유닛(100)으로 통하는 모든 입출력상태의 신호를 점검할 때 사용되며 점등 및 소등시간의 차이에 따라 특정한 펄스신호로 나타나는 출력코드 등과 같은 자기진단암호를 이용하여 해당 진단항목에 대한 이상유무를 점검한다. 본 발명에서 자기 진단 기기(600)는 시동버튼(200)의 암호입력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암호는 숫자 4자리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시동버튼을 이용한 비상 시동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스마트키 유닛(100)의 마이크로컴(110)은 포브키(500)의 배터리 상태를 체크하여(S100) 포브키(500)의 배터리가 로우상태이면 클러스터(700)에 포브키(500)의 배터리가 로우상태임을 표시하고 암호 입력 경고문을 표시하여(S200), 시동 버튼(200)을 통해 암호를 입력받는다(S300). 이때, 마이크로컴(110)은 LF 안테나(300)를 통해 포브키(500)로 배터리 상태 체크를 위한 신호를 송신하고, 이 신호를 수신한 포브키(500)가 배터리 상태 정보를 RF 리시버(400)로 송신하면 RF 리시버(400)는 수신된 배터리 상태 정보를 마이크로컴(110)에 전달한다.
그 후, 마이크로컴(110)은 시동 버튼(200)을 통해 입력받은 암호와 미리 저장된 암호를 비교하여(S400), 입력받은 암호가 미리 저장된 암호와 일치하면 시동 모터(미도시)를 제어하여 시동이 걸리도록 한다(S500).
한편, 마이크로컴(110)은 입력받은 암호가 미리 저장된 암호와 일치하지 않으면 비상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제어하고(S600), 불일치 횟수가 4회 이상인지를 체크하여(S700), 4회 미만이면 시동 버튼(200)을 통해 암호 입력을 다시 받고 4회 이상이면 1시간 시동 페일 모드를 유지한다(S800).
이때, 상기 과정 S300의 시동 버튼(200)을 통해 입력받은 암호는 시동 버튼(200)의 온오프 횟수를 통해 추출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시동 버튼(200)을 통한 암호 입력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타이머(120)가 시동 버튼(200)의 온(on) 시간과 오프(off) 시간을 체크하여 그 결과를 마이크로컴(110)에 전송하고 마이크로컴(110)은 그 결과에 따라 암호를 인식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컴(110)은 초기에 시동 버튼(200)이 T1 시간동안 길게 온상태를 유지하면 암호입력이 시작됨을 인식한다. 이때, T1은 암호 입력을 스마트키 유닛(100)에 알리기 위한 스위치 온(on) 시간으로 3초와 5초 사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암호 입력을 위해 시동버튼(200)의 온오프 시에 T2 시간동안 온 상태를 유지하고 T3 시간동안 오프상태를 유지한다. 예를들어, 스마트키 유닛(100)은 시동 버튼(200)이 2회 온오프되면 즉 온->오프->온->오프로 교번적으로 이동되면 숫자 "2"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시동 버튼(200)이 3회 온오프되면 즉 온->오프->온->오프->온->오프로 교번적으로 이동되면 숫자 "3"이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T2는 암호를 입력하는 중의 스위치가 온(on)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으로 1초와 3초 사이로 설정하고, T3은 암호를 입력하는 중의 스위치가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으로 1초와 3초 사이로 설정한다.
이때, 스마트키 유닛(100)은 T4시간동안 오프시간이 유지되면 숫자와 숫자 사이를 구별 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T4는 첫번째 숫자를 입력하고 다음 숫자를 위해 기다리는 스위치 오프 시간으로 3초와 10초 사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포브키의 배터리가 로우(low)상태인 비상시에 시동버튼의 온오프 횟수를 통해 차량 사용자의 암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여, 저장된 암호와 사용자가 시동버튼을 통해 입력한 암호가 일치하고 변속레버를 파킹단(P)에 위치하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후 시동버튼을 누르면 차량의 시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포브키의 배터리가 로우 상태인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자 동차 내의 스마트키 유닛 등이 무선통신을 할 수 없는 상태에서도 시동 버튼(200)을 통해 암호를 입력받아 비상 시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동 버튼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시동버튼을 이용한 비상 시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3은 도 2의 시동버튼을 이용한 암호 입력 예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스마트키 유닛 110 : 마이크로컴
120 : 타이머 200 : 시동 버튼
300 : LF 안테나 400 : RF 리시버
500 : 포브(Fob)키 600 : 자기 진단 기기
700 : 클러스터

Claims (6)

  1. 차량 시동을 위해 구비되는 포브키;
    자동 시동을 위해 온오프되는 시동버튼; 및
    비상 시동 시에 상기 시동버튼의 온오프 횟수를 통해 암호를 입력받아, 입력받은 암호가 미리 저장된 암호와 일치하는 경우 비상 시동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스마트키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버튼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시동 시는 상기 포브키의 배터리가 로우(low)상태인 경우나 상기 포브키와 상기 스마트키 유닛이 무선통신을 할 수 없는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버튼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 유닛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포브 키의 배터리가 로우상태인 경우의 경고 및 암호 입력 경고를 표시하는 클러스터를 더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버튼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시동 버튼의 온오프되는 시간을 체크하는 타이머; 및
    상기 타이머의 체크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암호와 상기 미리 저장된 암호를 비교하는 마이크로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버튼 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입력받은 암호가 미리 저장된 암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일치 횟수를 체크하여 상기 불일치 횟수가 일정횟수 이상이면 일정시간동안 시동이 안 걸리는 시동 페일 모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버튼 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 유닛은 상기 시동 버튼이 일정시간 이상 온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암호의 입력이 시작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일정시간 이하의 온오프상태가 교번적으로 발생하면 입력되는 암호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버튼 시스템.
KR1020080035244A 2008-04-16 2008-04-16 시동 버튼 시스템 KR100957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244A KR100957278B1 (ko) 2008-04-16 2008-04-16 시동 버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244A KR100957278B1 (ko) 2008-04-16 2008-04-16 시동 버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825A true KR20090109825A (ko) 2009-10-21
KR100957278B1 KR100957278B1 (ko) 2010-05-12

Family

ID=41537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244A KR100957278B1 (ko) 2008-04-16 2008-04-16 시동 버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72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111B1 (ko) * 2012-12-18 2014-06-13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 시동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214B1 (ko) 2012-12-06 2013-09-17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포브키의 배터리 상태 알림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3026A (ja) * 2005-03-28 2006-10-12 Mazda Motor Corp スマートキーレスシステム
KR20070078431A (ko) * 2006-01-27 2007-08-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시동방법
KR100785845B1 (ko) 2006-12-12 2007-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동버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111B1 (ko) * 2012-12-18 2014-06-13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차량 시동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7278B1 (ko) 201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75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gramming keys to vehicle to establish primary and secondary drivers
EP1469428B1 (en) Switch device, especially ignition switch, interrogating a transponder by radio waves
JP3333378B2 (ja) 車両診断方法および装置
CN1865640B (zh) 电子钥匙系统的控制装置
US8884739B2 (en) Vehicle security apparatus and system which prevents unauthorized use of a vehicle by immobilization
CN109562736B (zh) 机动车的进入和启动系统和运行方法以及机动车
EP2228269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smart communication system for a vehicle
EP1614592A1 (en) Keyless entry device
US201002772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driver status to a spare key and for programming the spare key to a vehicle
US20090045912A1 (en) Starting control apparatus and starting control method
CN112114542B (zh) 车辆远程控制方法、车辆及可读存储介质
EP2332789B1 (en) Antitheft apparatus for equipment with prime mover
CN114312657A (zh) 车辆的远程启动方法、系统、存储介质及车辆
KR100957278B1 (ko) 시동 버튼 시스템
AU752362B2 (en) Startup/drive authorisation system for a vehicle
JP2006137338A (ja) エンジン始動システム
US20050264399A1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080100427A1 (en) Configurable protocol identification device
KR101063583B1 (ko) Escl 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517864B1 (ko) 차량진단기능을 구비한 원격시동시스템
KR20190125606A (ko) 지문인식 스마트키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JP4815370B2 (ja) 車両用エンジン始動システム
JP2008207602A (ja) エンジン始動制御システム
KR100992706B1 (ko) 이모빌라이저 장착 차량의 암호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90126981A (ko) 자동차의 엔진 시동 버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