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9638A - 저단 피치 잠금 구현 타입 시트 록킹 장치 - Google Patents

저단 피치 잠금 구현 타입 시트 록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9638A
KR20090109638A KR1020080034994A KR20080034994A KR20090109638A KR 20090109638 A KR20090109638 A KR 20090109638A KR 1020080034994 A KR1020080034994 A KR 1020080034994A KR 20080034994 A KR20080034994 A KR 20080034994A KR 20090109638 A KR20090109638 A KR 20090109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ower rail
rail
pitch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4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1947B1 (ko
Inventor
이종순
정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080034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947B1/ko
Publication of KR20090109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60N2/0862Movement of the latch sliding
    • B60N2/0875Movement of the latch sliding in a vertic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05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omega-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12Location of the latch
    • B60N2/0818Location of the latch inside the r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시트 록킹 장치는 시트와 차체 바닥 사이에 각각 구비된 어퍼·로워 레일(1,2)사이로 설치되어, 시트 조정 시 핸들 앗세이(10)의 조작을 통해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록커 앗세이(3)를 구비하되, 상기 록커 앗세이(3)는 로어 레일(2)의 록킹 홀(2a)에 끼워지는 다수 걸림 단을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록킹 홀(2a)간 피치(Pitch)간격보다 짧은 간격인 중첩 여유 간격(c)을 갖도록 서로 엇갈리게 중첩되면서, 상기 로워 레일(2)의 폭(횡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 개의 록킹 플레이트(4,5,6,7)로 이루어짐에 따라, 시트 록킹 장치의 조립 상태에서 어퍼·로워 레일(1,2)에 대한 록커 앗세이(3)의 점유 길이를 짧게 함과 더불어, 시트 조정 작업 후 로어 레일(2)의 록킹 홀(2a)이 갖는 간격인 피치(Pitch)에 대해 서로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제1·2·3·4 록킹 플레이트(4,5,6,7)가 갖는 중첩 여유 간격(c)으로 인해, 어퍼 레일(1)의 이동 거리를 4개의 록킹 플레이트의 경우 1/4로 피치(Pitch)로 줄여 쿠션 이동 조정을 보다 짧은 간격으로 줄이면서도, 항상 안정적인 잠금 상태를 형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게 된다.
피치, 시트레일, 중첩

Description

저단 피치 잠금 구현 타입 시트 록킹 장치{Lower pitch locked type seat locking device in vehicle}
본 발명은 시트 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단 피치 잠금 구현 타입 시트 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객이 착석하는 시트(Seat)는 승객의 신체조건이 다름에 따라, 시트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조절할 수 있으면서, 조절 상태를 고정하는 록킹 장치를 갖추게 된다.
이러한 록킹 장치는 통상적으로, 승객이 착석하는 쿠션 부위 쪽에 장착되어 잠금 해제 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어퍼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어퍼 레일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때 가이드 작용을 하도록 차체 바닥(Floor) 패널 부위에 고정되는 로어 레일이 구비되며, 잠금 해제 시 어퍼 레일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잠금 시 로어 레일과 결합되는 록커 앗세이(Locker Assembly)로 구성되어진다.
이와 더불어 레일에 내장되어 잠금 해제 시, 록커 앗세이 부위를 조작하는 조작 레버 등이 구비되어진다.
이에 따라 승객이 조작 레버를 조작하면 록커 앗세이가 로어 레일에 대한 잠 금 상태를 해제하게 되고, 이와 같은 로어 레일과 록커 앗세이 간 잠금 해제는 어퍼 레일의 전·후 방향 이동을 가능케 함에 따라, 승객은 쿠션 부위에 장착된 어퍼 레일을 로어 레일을 따라 조정하면서 최적의 시트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시트의 이동과 고정을 가능케 하는 록커 앗세이는 잠금과 해제 작용을 하는 록킹 플레이트(Locking Plate)가 로어 레일에 등 간격으로 형성된 록킹 홀에 일치 즉, 로어 레일의 록킹 홀 간격인 피치(Pitch)에 록킹 플레이트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 단이 일치되는 경우에만 시트의 이동 거리가 완료됨에 따라, 작동 과정 시 로어 레일의 록킹 홀과 록킹 플레이트의 결합 위치를 일치시켜 주어야 만 하는 불편이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조작 시 피치(Pitch) 일치라는 불편을 초래하는 록커 앗세이 잠금 구조는 록킹 플레이트와 로어 레일 간 치수 오차에 대한 여유(Margin)를 갖지 못하게 함은 물론, 장시간 사용에 따른 변형 상태에서 시트 조정 작업 시 잠금 상태가 불완전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경향도 증가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시트 쿠션에 장착된 어퍼 레일과 차체 바닥(Floor)에 체결된 로어 레일 사이에서, 잠금과 해제 작용을 하는 록커 앗세이(Locker Assembly)를 이루는 록킹 플레이트가 상기 로어·어퍼 레일사이 폭(횡 방향)으로 중첩된 다수 개로 이루어짐에 따라, 로어·어퍼 레일 사이로 위치되는 록커 앗세이의 점유 공간을 최대한 축소함과 더불어, 시트 조정 후 잠금 작용 시, 다수 개의 록킹 플레이트가 로어 레일에 끼워져 로어 레일의 물림단면 축소를 최소화하면서도 로어 레일의 강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시트 록킹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록킹 장치는 로어 레일에 끼워져 고정 력을 형성하는 록커 앗세이(Locker Assembly)가 로어·어퍼 레일사이 폭(횡 방향)으로 중첩된 다수 개의 록킹 플레이트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로어 레일이 갖는 피치(Pitch)에 대해 다수 록킹 플레이트의 피치(Pitch)가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 있음에 따라, 시트 조정 후 잠금 작용 시 로어 레일에 끼워지는 록킹 플레이트 중 일부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고정 력을 형성함과 더불어, 시트 재조정 시에는 로어 레일에 끼워지지 않았던 일부 록킹 플레이트가 다시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작용을 구현해, 로어 레일의 록킹 홀 간격인 피치(Pitch)에 대해 록킹 플레이트의 피치가 짧아지면서도 항상 안정적인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 록킹 장치가 시트 쿠션에 장착되어 쿠션과 함께 전·후 이동되는 어퍼 레일과;
서로 등 간격을 갖고 다수로 개구된 록킹 홀이 가공되어져, 차체 바닥에 고정된 상태에서 끼워진 상기 어퍼 레일이 전·후 이동되도록 결합되는 로어 레일;
상단 부위가 어퍼 레일쪽에 위치되고 하단 부위가 로어 레일쪽에 결합되어 져, 시트 조정에 따른 어퍼 레일의 이동 시 로어 레일의 록킹 홀에 대해 해제와 잠금 작용을 하도록, 로어·어퍼 레일의 폭(횡 방향)에 서로 엇갈리면서 일측으로 서로가 중첩 여유 간격을 갖고 중첩된 다수 개의 록킹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록커 앗세이 및;
시트 조정을 위한 이동 시 록킹 플레이트를 올려 로어 레일에 대한 상기 록커 앗세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함과 더불어, 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어퍼·로어 레일에 내장되어진 핸들 앗세이;
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위해 상기 록커 앗세이는 로어 레일의 다수 록킹 홀간 간격인 피치(Pitch)에 비해 짧은 간격을 갖고 서로 엇갈리게 중첩된 다수 개의 제1·2·3·4 록킹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제1·2·3·4 록킹 플레이트의 하단 부위로 로어 레일의 록킹 홀에 끼워지도록, 상기 록킹 홀간 피치(Pitch)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갖는 제1·2·3 걸림단을 각각 형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 록킹 장치를 이루는 로어 레일에 끼워져 고정 력을 형성하는 록커 앗세이(Locker Assembly)가 로어·어퍼 레일사이 폭(횡 방향)으로 중첩된 다수 개의 록킹 플레이트로 이루어짐에 따라, 조립 시 록커 앗세이의 점유 공간이 최대로 축소함과 더불어 로어 레일의 물림단면 축소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전체적인 강도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로어 레일이 갖는 피치(Pitch)에 대해 다수 록킹 플레이트의 피치(Pitch)가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 있음에 따라, 로어 레일의 록킹 홀 간격인 피치(Pitch)에 대해 록킹 플레이트의 피치가 짧아지면서도 항상 안정적인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저단 피치 잠금 구현 타입 시트 록킹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록킹 장치는 시트 쿠션에 장착되어 쿠션과 함께 전·후 이동되는 어퍼 레일(1)과, 차체 바닥(Floor)에 고정되어져 상기 어퍼 레일(1)이 전·후 이동되도록 결합되는 로어 레일(2), 시트 조정 시 로어 레일(2)에 대한 어퍼 레일(1)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록커 앗세이(3) 및 시트 조정을 위한 이동 시 록킹 플레이트를 올려 로어 레일(2)에 대한 상기 록커 앗세이(3)의 잠금 상태를 해제함과 더불어, 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어퍼·로어 레일(1,2)에 내장되어진 핸들 앗세이(10)로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어퍼 레일(1)은 로어 레일(2)로 수용되면서 로어 레일(2)의 양 쪽 끝단에 의해 어퍼 레일(1)이 감싸인 구조를 갖으며, 통상 어퍼 레일(1)과 로어 레일(2)은 시트 쿠션의 양 쪽 측면을 따라 위치되는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로어 레일(2)의 바닥 면에 뚫려진 록킹 홀(2a)은 서로 등 간격을 갖고 길이 방향(종 방향)으로 다수로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록커 앗세이(3)는 상단 부위가 어퍼 레일(1)쪽에 위치되고 하단 부위가 로어 레일(2)쪽에 결합되어져, 시트 조정에 따른 어퍼 레일(1)의 이동 시 로어 레일(2)의 록킹 홀(2a)에 대해 해제와 잠금 작용을 하도록, 로어·어퍼 레일의 폭(횡 방향)에 서로 엇갈리면서 중첩된 다수 개의 록킹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록커 앗세이(3)는 로어·어퍼 레일(2,1)사이 폭(횡 방향)으로 중첩된 다수 개의 제1·2·3·4 록킹 플레이트(4,5,6,7)로 구성되는데, 이는 시트 조정 시 도 1(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3·4 록킹 플레이트(4,5,6,7)가 조정이 완료된 후 로어 레일(2)의 록킹 홀(2a)에 서로 선택적(일례로, 제1·2 록킹 플레이트(4,5)또는, 제2·3 록킹 플레이트(5,6)또는, 제3·4 록킹 플레이트(6,7))으로 끼워짐에 따라, 로어 레일(2)의 다수 록킹 홀(2a)간 간격인 피치(Pitch)를 록킹 플레이트의 수량만큼 1/n(4개의 록킹 플레이트의 경우 1/4로 피치를 줄임)로 줄여 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2·3·4 록킹 플레이트(4,5,6,7)는 도 2(가)내지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가 중첩 여유 간격(c)을 갖도록 제1 록킹 플레이트(4)를 기준으로 해, 제2·3·4 록킹 플레이트(5,6,7)가 각각 중첩 여유 간격(c)으로 어긋나게 중첩되어진다.
또한, 상기 제1·2·3·4 록킹 플레이트(4,5,6,7)에는 동일한 형상으로 로어 레일(2)의 록킹 홀(2a)에 끼워지는 다수의 걸림 단을 하부에 형성하는데, 상기 걸림 단은 록킹 홀(2a)간 피치(Pitch)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갖는 제1·2·3 걸림단(4a,5a,6a,7a, 4b,5b,6b,7b,4c,5c,6c,7c)을 각각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제1·2·3 걸림단(4a,5a,6a,7a,4b,5b,6b,7b,4c,5c,6c,7c)은 제1 걸림단(4a,5a,6a,7a)을 기준으로 해 제2 걸림단(4b,5b,6b,7b)이 록킹 홀(2a)간 피치(Pitch)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단(4b,5b,6b,7b)에 대해 제3 걸림단(4c,5c,6c,7c)도 록킹 홀(2a)간 피치(Pitch)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핸들 앗세이(10)는 시트 조정 시, 제1·2·3·4 록킹 플레이트(4,5,6,7)를 들어 올려 로어 레일(2)에 대한 어퍼 레일(1)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작용을 하며, 이를 위해 상기 핸들 앗세이(10)는 도 1(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3·4 록킹 플레이트(4,5,6,7)를 록커 부시를 매개로 수용하면서 조립되는 록커 가이드를 구비하며, 시트 안쪽으로 손으로 잡고 조작하는 핸들 레버가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함께 길게 구비되는데, 이러한 핸들 앗세이(10) 구조는 시트 조정을 위해 시트 록킹 장치에 적용되는 통상적인 구성을 갖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시트 록킹 장치는 시트와 차체 바닥 사이에 각각 구비된 어퍼·로워 레일(1,2)사이로 설치되어, 시트 조정 시 핸들 앗세이(10)의 조작을 통해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록커 앗세이(3)를 구비하되, 상기 록커 앗세이(3)는 로어 레일(2)의 록킹 홀(2a)에 끼워지는 다수 걸림 단을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록킹 홀(2a)간 피치(Pitch)간격보다 짧은 간격인 중첩 여유 간격(c)을 갖도록 서로 엇갈리게 중첩되면서, 상기 로워 레일(2)의 폭(횡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 개의 록킹 플레이트(4,5,6,7)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게 된다.
이러한 특징을 갖춤에 따라 시트 록킹 장치의 조립 상태에서 어퍼·로워 레일(1,2)에 대한 록커 앗세이(3)의 점유 길이를 짧게 함과 더불어, 시트 조정 작업 후 로어 레일(2)의 록킹 홀(2a)이 갖는 간격인 피치(Pitch)에 대해 서로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제1·2·3·4 록킹 플레이트(4,5,6,7)가 갖는 중첩 여유 간격(c)으로 인해, 어퍼 레일(1)의 이동 거리를 4개의 록킹 플레이트의 경우 1/4로 피치(Pitch)로 줄여 쿠션 이동 조정을 보다 짧은 간격으로 줄이면서도, 항상 안정적인 잠금 상태를 형성할 수 있는 특징도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시트 록킹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쿠션에 장착되어 쿠션과 함께 전·후 이동되는 어퍼 레일(1)과 차체 바닥(Floor)에 고정된 로어 레일(2)사이로 위치되어져, 시트 조정 시 손으로 잡고 조작하는 핸들 앗세이(10)를 통해 거동하면서 로어 레일(2)에 형성된 록킹 홀(2a)에 대해 끼워지거나 빠져 나오는 다수의 제1·2·3·4 록킹 플레이트(4,5,6,7)로 이루어진 록커 앗세이(3)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록커 앗세이(3)는 시트 조정 시 시트의 조정 간격을 짧게 줄여주면서도 안정적인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상기 록커 앗세이(3) 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 레일(2)의 다수 록킹 홀(2a)간 간격인 피치(Pitch)보다 짧은 간격으로 각각 중첩 여유 간격(c)으로 어긋나게 중첩되면서, 로어 레일(2)의 폭(횡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 개의 제1·2·3·4 록킹 플레이트(4,5,6,7)로 구성됨에 기인하게 된다.
이로 인해 시트 조정 시 시트의 조정 이동 거리가 보다 짧게 조정될 수 있는데 즉, 도 1(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 레일(2)의 록킹 홀(2a)에 제1·2 록킹 플레이트(4,5)가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시트를 재조정하기 위해 핸들 앗세이(10)를 조작하게 되면, 도 3(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커 앗세이(3)가 로어 레일(2)의 록킹 홀(2a)로부터 빠져 나와 시트에 가해진 힘에 의해 어퍼 레일(1)이 밀려나게 된다.
이와 같이 로어 레일(2)에서 이탈된 록커 앗세이(3)의 제1·2·3·4 록킹 플레이트(4,5,6,7)는 로어 레일(2)에 대한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위치 이동으로 인해 도 3(나),(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 레일(2)의 록킹 홀(2a)에 끼워지는 제1·2·3·4 록킹 플레이트(4,5,6,7)가 달라지게 되는데, 즉 이동 전 제1·2 록킹 플레이트(4,5)가 로어 레일(2)의 록킹 홀(2a)에 끼워졌다면, 이동 후 로어 레일(2)의 록킹 홀(2a)에 제2·3 록킹 플레이트(5,6)가 끼워지고, 이어 다시 쿠션 조정이 되는 경우는 제3·4 록킹 플레이트(6,7)가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록킹 플레이트(4,5,6,7)의 선택적인 결합 작용은 길이가 기 설정된 로어 레일(2)의 록킹 홀(2a)간 피치(Pitch)에 대해, 록킹 플레이트(4,5,6,7)의 이동을 줄여 주게 되는데 즉, 상기 록킹 홀(2a)간 간격인 피치(Pitch)보다 짧은 간격으로 각각 중첩 여유 간격(c)으로 어긋나게 중첩됨에 따라, 일례로 시트 조정 후 잠금 상태에서는 로어 레일(2)의 록킹 홀(2a)에 끼워진 1·2 록킹 플레이트(4,5)에 비해, 제3·4 록킹 플레이트(6,7)는 상기 록킹 홀(2a)간 살 부위에 위치된 상태를 갖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상기 제1·2·3·4 록킹 플레이트(4,5,6,7)와 로어 레일(2)간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1개의 록킹 플레이트(4)를 이용하는 경우는 로어 레일(2)의 록킹 홀(2a)간 간격(b)인 피치(Pitch)와 록킹 플레이트(4)의 간격(a)인 피치(Pitch)가 서로 일치됨에 따라, 도 4(가)내지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이동 시 록킹 플레이트(4)의 이동 거리는 로어 레일(2)의 록킹 홀(2a)간 간격(b)인 피치(Pitch)로 제한되고, 이는 시트의 조정을 위한 이동이 로어 레일(2)의 록킹 홀(2a)간 간격으로 커질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게 된다.
하지만 도 5(가)내지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1·2 록킹 플레이트(4,5)를 이용하게 되면, 상기 제1·2 록킹 플레이트(4,5)의 간격(a,a')인 피치(Pitch)는 로어 레일(2)의 록킹 홀(2a)간 간격(b)인 피치(Pitch)와 서로 일치되지만, 상기 제1·2 록킹 플레이트(4,5)가 서로 어긋나게 중첩되어 중첩 여유 간격(c)을 형성함에 따라, 제1 록킹 플레이트(4)의 제1·2·3 걸림단(4a,4b,4c)이 로어 레일(2)의 록킹 홀(2a)에 끼워지는 반면, 제2 록킹 플레이트(5)의 제1·2·3 걸림단(5a,5b,5c)은 로어 레일(2)의 록킹 홀(2a)간 살 부위로 위치된 상태를 유지해 주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2 록킹 플레이트(4,5)의 불일치는 시트 이동 시, 제2 록킹 플레이트(5)의 제1·2·3 걸림단(5a,5b,5c)이 로어 레일(2)의 록킹 홀(2a)쪽에 끼워질 수 있는 간격 즉, 중첩 여유 간격(c)만큼 만 이동함을 의미하고, 이는 로어 레일(2)의 록킹 홀(2a)간 형성된 피치(Pitch)에 비해 짧은 중첩 여유 간격(c)을 갖고 제1·2 록킹 플레이트(4,5)가 중첩됨에 기인함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다수의 중첩된 록킹 플레이트가 갖는 중첩 여유 간격(c)은 록킹 플레이트의 중첩 개수에 좌우되므로, 만약 제1·2·3·4 록킹 플레이트(4,5,6,7)인 경우는 로어 레일(2)의 록킹 홀(2a)간 형성된 피치(Pitch)에 비해 1/4 간격을 갖도록 짧게 중첩 여유 간격(c)을 형성해 줌에 따라, 시트 조정 시 로어 레일(2)의 록킹 홀(2a)간 형성된 피치(Pitch)에 비해 1/4 간격으로 짧은 거리를 이동하면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시트의 전·후 간격 조정이 완료되어 핸들 앗세이(10)를 원위치 시키게 되면, 로어 레일(2)의 록킹 홀(2a)에 끼워졌던 제1·2 록킹 플레이트(4,5)가 빠져 나옴과 동시에 제2·3 록킹 플레이트(5,6)가 끼워진 상태로 전환되어 고정력을 유지해 주게 되며, 이어 다음 조정 단계에서는 제2·3 록킹 플레이트(5,6)가 빠져 나옴과 동시에 제3·4 록킹 플레이트(6,7)가 끼워진 상태로 전환되어 어퍼 레일(1)과 로어 레일(2)이 서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저단 피치 잠금 구현 타입 시트 록킹 장치의 구성도
도 2(가)내지 (다)는 본 발명에 따른 록커 앗세이(Locker Assembly)의 구성도
도 3(가)내지 (다)는 본 발명에 따라 시트 이동 시, 록커 앗세이(Locker Assembly)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시트 이동 시 본 발명과 대비되도록, 1개의 록킹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록커 앗세이(Locker Assembly)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시트 이동 시, 다수개의 록킹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록커 앗세이(Locker Assembly)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어퍼 레일 2 : 로어 레일
2a : 록킹 홀 3 : 록커 앗세이
4,5,6,7 : 제1·2·3·4 록킹 플레이트
4a,5a,6a,7a : 제1 걸림단 4b,5b,6b,7b : 제2 걸림단
4c,5c,6c,7c : 제3 걸림단
10 : 핸들 앗세이
P : 록킹 피치(Locking Pitch)

Claims (2)

  1. 시트 쿠션에 장착되어 쿠션과 함께 전·후 이동되는 어퍼 레일(1)과;
    서로 등 간격을 갖고 다수로 개구된 록킹 홀(2a)이 가공되어져, 차체 바닥에 고정된 상태에서 끼워진 상기 어퍼 레일(1)이 전·후 이동되도록 결합되는 로어 레일(2);
    상단 부위가 어퍼 레일(1)쪽에 위치되고 하단 부위가 로어 레일(2)쪽에 결합되어져, 시트 조정에 따른 어퍼 레일(1)의 이동 시 로어 레일(2)의 록킹 홀(2a)에 대해 해제와 잠금 작용을 하도록, 로어·어퍼 레일의 폭(횡 방향)에 서로 엇갈리면서 일측으로 서로가 중첩 여유 간격(c)을 갖고 중첩된 다수 개의 록킹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록커 앗세이(3) 및;
    시트 조정을 위한 이동 시 록킹 플레이트를 올려 로어 레일(2)에 대한 상기 록커 앗세이(3)의 잠금 상태를 해제함과 더불어, 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어퍼·로어 레일(1,2)에 내장되어진 핸들 앗세이(10);
    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단 피치 잠금 구현 타입 시트 록킹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커 앗세이(3)는 로어 레일(2)의 다수 록킹 홀(2a)간 간격인 피치(Pitch)에 비해 짧은 간격을 갖고 서로 엇갈리게 중첩된 다수 개의 제1·2·3·4 록킹 플레이트(4,5,6,7)로 구성되며,
    상기 제1·2·3·4 록킹 플레이트(4,5,6,7)의 하단 부위로 로어 레일(2)의 록킹 홀(2a)에 끼워지도록, 상기 록킹 홀(2a)간 피치(Pitch)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갖는 제1·2·3 걸림단(4a,5a,6a,7a, 4b,5b,6b,7b,4c,5c,6c,7c)을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단 피치 잠금 구현 타입 시트 록킹 장치.
KR1020080034994A 2008-04-16 2008-04-16 저단 피치 잠금 구현 타입 시트 록킹 장치 KR101371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994A KR101371947B1 (ko) 2008-04-16 2008-04-16 저단 피치 잠금 구현 타입 시트 록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994A KR101371947B1 (ko) 2008-04-16 2008-04-16 저단 피치 잠금 구현 타입 시트 록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638A true KR20090109638A (ko) 2009-10-21
KR101371947B1 KR101371947B1 (ko) 2014-03-07

Family

ID=41537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4994A KR101371947B1 (ko) 2008-04-16 2008-04-16 저단 피치 잠금 구현 타입 시트 록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9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850B1 (ko) * 2011-05-17 2013-02-07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의 시트레일 록킹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0183B2 (ja) * 1995-09-08 2001-05-28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ロック装置
JP3501431B2 (ja) * 1995-10-31 2004-03-02 株式会社タチエス ロングスライドレール
JP2002264703A (ja) 2001-03-05 2002-09-18 T S Tec Kk 自動車用シートのスライドロック機構
KR100610431B1 (ko) 2004-10-02 2006-08-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850B1 (ko) * 2011-05-17 2013-02-07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의 시트레일 록킹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1947B1 (ko) 201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7936B2 (en) Slide locking mechanism for seat
EP2141045B1 (en) Slide mechanism of vehicle seat
US20090218843A1 (en) Longitudinal adjustment apparatus for a vehicle seat
JP4631327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0559459B1 (ko) 자동차용 시트레일 로킹장치
JP4018074B2 (ja) 自動車のシート用のランナ
KR101042306B1 (ko) 양 방향 락킹 타입 시트 트랙 락킹 장치
EP1661752B1 (en) Vehicle seat device
JP5551486B2 (ja) シートのスライドロック装置
KR100993612B1 (ko) 차량용 시트의 트랙 락킹 장치
JP2020526438A (ja) 改善されたロック構成を装備する、車両シートのための摺動デバイス
EP2463144B1 (en) Seat structure
EP2527193B1 (en) Seat slide locking apparatus
KR101371947B1 (ko) 저단 피치 잠금 구현 타입 시트 록킹 장치
JP5430331B2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ロック装置のロックユニット取付構造
JP5374073B2 (ja) 車両用シート
JP2010100171A (ja) シートのスライドロック構造
KR100899675B1 (ko) 차량 시트의 록킹 장치
KR200227060Y1 (ko) 자동차 시트로킹시스템의 로크
CN210101389U (zh) 具有新型锁定装置的滑轨及包括其的汽车座椅
KR20240039695A (ko)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JPH0971161A (ja) シートロック装置
JP4600001B2 (ja) 車両用シート
JP6073657B2 (ja) シートスライドロック装置
JP2005074101A (ja) 自動車用チップアップ・スライド式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