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9084A -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9084A
KR20090109084A KR1020097011862A KR20097011862A KR20090109084A KR 20090109084 A KR20090109084 A KR 20090109084A KR 1020097011862 A KR1020097011862 A KR 1020097011862A KR 20097011862 A KR20097011862 A KR 20097011862A KR 20090109084 A KR20090109084 A KR 20090109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aluronic acid
coupling agent
crosslinked
acid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1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8849B1 (ko
Inventor
제롬 아시우스
니콜라스 리비에르
베네딕트 아시우스
Original Assignee
스티펠 래버러토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티펠 래버러토리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스티펠 래버러토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109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8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0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45Hydrogels or hydrocoll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42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06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 C08B37/0024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beta-D-Glucans; (beta-1,3)-D-Glucans, e.g. paramylon, coriolan, sclerotan, pachyman, callose, scleroglucan, schizophyllan, laminaran, lentinan or curdlan; (beta-1,6)-D-Glucans, e.g. pustulan; (beta-1,4)-D-Glucans; (beta-1,3)(beta-1,4)-D-Glucans, e.g. lichenan;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272-Acetamido-2-deoxy-beta-glucan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3Chitin, i.e. 2-acetamido-2-deoxy-(beta-1,4)-D-glucan or N-acetyl-beta-1,4-D-glucosamine; Chitosan, i.e. deacetylated product of chitin or (beta-1,4)-D-glucosamine;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3Glycosaminoglycans or mucopolysaccharides, e.g. keratan sulfate; Derivatives thereof, e.g. fucoidan
    • C08B37/0072Hyaluronic acid, i.e. HA or hyaluronan; Derivatives thereof, e.g.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lan) or hyaluron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커플링제 및 보조 커플링제를 사용하여 히알루론산을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히알루론산을 생성하는 단계, pH 범위를 8 내지 12로 조절한 반응계에서 상기 활성화된 히알루론산과 적어도 50 중량%의 올리고펩타이드 또는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크로스링킹제를 반응시켜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을 생성하는 단계, 반응계의 pH를 5 내지 7 범위로 조절하는 단계, 상기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을 유기 용매에 침전시켜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 섬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선택적으로, 상기 생성된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 섬유를 건조하는 단계를 통해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을 제조하는 방법,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신규한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 및 이를 포함하는 심미적 및/또는 복원 수술에 사용되는 주사가능한 임플란트 또는 충전물에의 용도를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 및 이의 제조방법{Cross-linked hyaluronic acid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특히 미용 분야에 사용되는 신규한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히알루론산은 D-글루쿠론산 단위와 N-아세틸-D-글루코사민 단위로 이루어지는 폴리사카라이드로, 특히 복원수술 또는 안과적 수술 또는 기타 심미적 분야에서 주름 충전물로 사용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본 출원에서 히알루론산은 특히 그 생체적합성 및 물리화학적 성질 때문에 다른 충전물보다 선호된다. 그러나, 히알루론산은 빠르게 분해되어서 반복적으로 주사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효소 및/또는 박테리아 공격, 온도 또는 자유 라디칼과 같은 다양한 분해 인자들로부터 덜 민감하게 만들어 생체 내에서의 분해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작용 기간을 늘릴 수 있는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의 다양한 제조방법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제조방법은 자연적인 히알루론산의 하이드록실 및/또는 산 작용기를 특히 에테르화, 에스테르화 또는 아미드화하는 방법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특히 아미드화함으로써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을 제조하는 종래 기술은, 제조된 히알루론산 유도체가 특히 제품을 멸균한 후에, 수용성 매질(aqueous medium)에서 제형화(formulate)되고 주사제화(syringe)하기 어렵고/또는 분해 인자에 충분한 저항성을 갖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미국특허출원 2001/0393369에 따르면, 예컨대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르보디이미드(EDC, 1-ethyl-3-(3-dimethylaminopropyl) carbodiimide)와 같은 활성화제 및 폴리리신(polylysine)과 같은 친핵체(nucleopholile)와 히알루론산을 산성 매질(acidic medium)에서 반응시켜 수불용성 히알루론산을 제조할 수 있다.
pH 7 이하에서는 기대되었던 아미드화 반응이 분자내 에스테르화 반응과 경쟁적으로 일어나게 되는데, 분자내 에스테르화 반응이 일어나면 히알루론산이 활성화 히알루론산 에스테르로 되는 1차 알코올의 셀프-크로스링킹(self-crosslinking)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부수적인 반응은 특히 반응 혼합물의 점도(고형화) 및 불투명도를 높여, 물과 수불용성 폴리머의 불균질한 혼합물을 형성하게 한다. 그 결과 목적하는 히알루론산을 제형화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유럽특허출원 EP-1 535 952 에, pH 2 내지 9, 바람직하게는 4 내지 7.5 범위에서 EDC 및 NHS의 존재 하에 폴리리신(polylysine)과 히알루론산을 인시츄(in-situ) 반응시켜 형성된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으로 이루어지는 코팅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코팅이 제공된 아이템은 특히 심미적 수술에서 인공 보철물(prosthesis)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문헌에는 유기 용매에 침전된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은 건조 형태로 만들 수 있어 즉각적으로 하이드로겔(hydrogel)로 제 형화될 수 있다는 점이 기재되어 있지 않다.
더욱이, 미국특허 US 6,630,457 에는, EDC 와 같은 카르보디이미드(carbodiimide)에 의해 활성화된 히알루론산의 1차 아민과, NHS와 같은 N-하이드록시설포숙신이미드 유도체를 pH 7.0 내지 8.5 범위에서 반응시켜 제조된 변형된(modified) 히알루론산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화합물은 예컨대, 글루타르알데히드(glutaraldehyde)와 같은 생리학적인 조건에서 크로스링크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생성된 하이드로겔은 글루코시데이즈(glucosidase)에 민감하여 50시간 이내에 실질적으로 완전히 붕해 된다. 붕해 기전은 세포 및 성장 인자에 대한 벡터로서 고려하면 사용에 부합하지만, 예컨대 심미적 수술에서 충전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마지막으로, 국제출원 WO 2006/021644에, 히알루론산을 EDC와 같은 커플링제 및 NHS와 같은 촉매로 활성화시키고, 이어서 pH 4 내지 10 범위, 즉 pH 4 내지 6 범위에서 다이리신(dilysine)과 같은 폴리펩타이드와 반응시켜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을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선택적으로는, 침전상(precipitation phase) 동안 추출 수율(the yield of extraction)을 증가시키기 위해 반응이 끝날 무렵에 pH 를 6 내지 7 범위로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크로스링킹을 산성 매질에서 수행하는 경우에는 후에 선택적으로 중화시키고, 염기성 매질에서 수행하는 경우에는 후속적인 pH 조정이 불필요하다.
본 출원인은, 반응상(reaction phase) 동안 산성 pH를 유지하는 것이 아미드화 반응에 항상 바람직한 것은 아니라는 점, 그리고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반응상(reaction phase) 동안 산성 pH를 유지하는 경우 생성된 제품의 물리화학적 성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수적인 반응, 특히 분자 내 에스테르화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건조 형태(dry form)로 생성됨으로써 수용성 매질에서 재형성(reformulated)되기 쉬워 결과적으로 안정한 물리화학적 성질을 갖는 하이드로겔을 만들 수 있는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에 대한 요구가 있다. 탄성 모듈(G) 및 손실각(δ, 델타)가 30 미만인 경우에 물리화학적 성질이 안정하다고 본다. 상기 하이드로겔은 임플란트(implant) 제조에 사용되기 위해 열처리, 특히 멸균 처리될 수 있다. 임플란트는 효소적 및/또는 세균성 공격, 온도 및 자유 라디칼과 같은 다양한 붕해 인자에 충분히 안정하여 인 비보(in vivo)에서 적어도 4개월 이상 완전히 흡수되지 않아야 한다.
이에, 본 출원인은 유기 용매 중에서 히알루론산이 폴리펩타이드와 크로스링크되어 침전될 때의 pH가, 그 유동성(rheological properties), 그리고 온도, 자유 라디칼 및 효소(예컨대, 히알루로니데이즈(hyaluronidase))와 같은 붕해 인자에 대한 민감성을 결정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출원인은 많은 실험을 통해서, 온도 붕해(thermal degradation)에 비교적 민감하지 않은, 즉 침전된 화합물의 재용해(resolubilization) 및 멸균(sterilization) 후에도 그 유동성(rheological properties)을 유지할 수 있는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을 생성할 수 있는 최적의 침전 조건을 밝혀냈다. 이는 마치 일단 재형성(reformulated)되면,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이 침전될 때의 분자 구조를 기억하는 것과 같다. 또한, 상기 분자 배열(molecular arrangement)은 폴리머가 재용해(resolubilized)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이론에 반드시 얽매일 필요 없이, 상기 기재된 과정은, 크로스링킹제(crosslinking agent)와의 공유결합뿐만 아니라 침전시에 발생하는 이온결합 및/또는 수소결합을 통해, 히알루론산 마크로분자 네트워크(macromolecular network)의 밀도화(densify) 및 고형화(solidify)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은 하기를 포함하는 과정을 통해 생성되는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을 목적으로 한다:
- 커플링제 및 보조 커플링제를 사용하여 히알루론산을 활성화(activation)하여 활성화된 히알루론산을 생성하는 단계,
- pH 범위를 8 내지 12로 조절한 반응계(reaction medium)에서 상기 활성화된 히알루론산과 적어도 50 중량%의 올리고펩타이드 또는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크로스링킹제를 반응시켜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을 생성하는 단계,
- 반응계의 pH를 5 내지 7 범위로 조절하는 단계,
-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을 유기 용매에 침전시켜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 섬유(crosslinked hyaluronic acid fibers)를 생성하는 단계, 및
- 선택적으로, 상기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 섬유를 건조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은 수용성이다. 즉, 상기 방법으로 생성된 상기 탈수 섬유(dehydrated fibers) 1g은 1 리터의 생리식염수 용액 중에서 교반 없이도 몇 시간 후면 수 분 이내에 분해되고 완전히 용해된다.
상기 과정에서 사용된 히알루론산은 일반적으로 자연적인 상태, 즉, 생명체 내에 존재하는 상태 또는 세균성 발효(bacterial fermentation)가 이루어질 때 박테리아로부터 분비된 상태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은 500,000 내지 7,000,000 달톤(Dalton)이고, 일반적으로 나트륨염의 상태로 사용된다.
히알루론산은 크로스링킹되기 전에 커플링제(coupling agent) 및 보조 커플링제(auxiliary coupling agent)에 의해 활성화 된다.
커플링제의 예로는, 수용성 카르보디이미드, 예컨대,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르보디이미드(EDC, 1-ethyl-3-(3-dimethylaminopropyl) carbodiimide), 1-에틸-3-(3-트리메틸아미노프로필) 카르보디이미드(ETC, 1-ethyl-3-(3-trimethylaminopropyl) carbodiimide) 및 1-시클로헥실-3-(2-모르폴리노에틸) 카르보디이미드(CMC, 1-cyclohexyl-3-(2-morpholinoethyl) carbodiimide), 이들의 염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EDC가 바람직하게 사용되었다.
보조 커플링제의 예로는,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NHS, N-hydroxysuccinimide), N-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HOBt, N-hydroxybenzotriazole), 3,4-디하이드로-3-하이드록시-4-옥소-1,2,3-벤조트리아졸(HOOBt, 3,4-dihydro-3-hydroxy-4-oxo-1,2,3-benzotriazole), 1-하이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HAt, 1-hydroxy-7-zazbenzotriazole) 및 N-하이드록시설포숙신이미드(sulpho-NHS, N-hydroxysulphosuccinimide),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NHS를 사용하는데 제한이 없다면,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바람직하게 사용한다.
커플링제 및 보조 커플링제의 역할은 하기 실시예 1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히알루론산 카르복실산 단위(unit)에 대한 커플링제의 몰 비(molar ratio)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이다.
또한, 커플링제에 대한 보조 커플링제의 몰 비는 1:1 내지 3:1이 유리하고, 바람직하게는 1.5:1 내지 2.5:1이며, 경계값을 포함하고, 가장 바람직한 몰 비는 2이다.
커플링제로 히알루론산을 활성화시키는 반응은, 예컨대 pH 3 내지 6, 바람직하게는 pH 4 내지 5 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반응계(reaction medium)에서의 히알루론산의 농도는, 예컨대 0.1 내지 5 중량%, 예컨대 0.1 내지 1 중량%이고, 경계값을 포함한다.
크로스링킹제는 적어도 50 중량%의 올리코펩타이드 또는 폴리펩타이드(랜덤(random), 블록(block), 세그멘티드(segmented), 그라프트(grafted), 또는 스타 호모-(star homo) 또는 코폴리펩타이드(copolypeptide))를 포함하고, 유리하게는 이들로 이루어진다. 크로스링킹제는 일반적으로 염의 형태이고, 특히 염산염(hydrochloride) 또는 선택적으로 브롬화수소산염(hydrobromide), 특히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trifluoroacetate)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폴리펩타이드의 예는, 리신(lysine), 히스티딘(histidine) 및/또는 아르기닌(arginine) 호모(homo-) 및 코폴리머(copolymer)이고, 특히 예컨대 다이리신(dilysine)과 같이 적어도 2개 또는 적어도 5개의 리신 단위를 갖는 폴리리신(polylysines), 폴리히스티틴(polyhistidines) 및 폴리아르기닌(polyarginines)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아미노산은 D 형태 및/또는 L 형태일 수 있다. 다이리신 및 그의 염, 그리고 이들의 유도체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련된 폴리펩타이드의 아민 작용기의 수는 관련된 히알루론산의 카르복실산 작용기의 수에 대해 1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커플링제를 크로스링킹제의 아민 작용기 수에 대하여 화학량론적인(stoichiometric) 양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정의 첫 번째 단계의 마지막에서, 활성화된 히알루론산 카르복실산 작용기의 양은 두 번째 단계에서 가해질 아민 작용기의 양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커플링제를 히알루론산 카르복실산 작용기에 대해 화학량론적인 양으로 사용한다. 이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과정의 첫 번째 단계의 마지막에서, 모든 히알루론산 카르복실산 작용기가 활성화되고, 두 번째 단계에서 사용된 크로스링킹제의 양(카르복실산 작용기의 몰 수에 대한 크로스링킹제의 몰 수)은 예컨대 30% 미만, 바람직하게는 10%미만, 또는 약 5%일 수 있다.
크로스링킹 반응은 일반적으로 당업자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진 온도 조건 및 시간 동안 수행되는데, 온도는 예컨대, 0 내지 45 ℃,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이고, 시간은 1 내지 10 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시간이다. 아미드 결합의 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반응의 pH 범위를 8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0 로 하고, 경계값을 포함한다. 상기 pH를 조절하는 데는 어떠한 염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바람직하게는 약한 친핵성 염기(weakly nucleophilic base), 예컨대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DIEA, diisopropylethylamine)과 같은 아민을 사용한다.
반응은 일반적으로 염화나트륨 수용액과 같은 용매에서 수행된다.
반응계에서의 히알루론산 농도는 예컨대, 0.01 내지 5 중량%이고, 예컨대 0.1 내지 1 중량%이며, 경계값을 포함한다.
반응 후에, 반응계의 pH를 5 내지 7,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7의 값으로 조절한다. pH 조절에는 염산과 같은 어떠한 산을 사용하여도 무방하고, 수득된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의 침전이 이루어지기 전에 pH를 조절한다. 침전 단계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테르 또는 아세톤, 이들의 혼합물 등의 유기 용매에서 수행되고, 본 발명에서는 예컨대 에탄올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용매는 반응계 부피의 5 내지 20배, 예컨대 약 10 배의 양으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선택적인 건조 단계는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의 탈수된 형태로 수득하는 것이 조작 및 보관에 있어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보관은 특히 영하 온도의 조건에서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의 제조 방법을 제시한다.
제조방법은 상기 언급된 단계 외에, 상기 탈수된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과 수용성 용매, 예컨대 염화나트륨 용액, 생리 식염수 용액(saline solution) 또는 주사 가능한 버퍼용액((injectable buffered solution) 특히, 포스페이트 버퍼된 생리 식염수 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solution))을 혼합하여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하이드로겔 중 히알루론산의 농도는 1 내지 4 w/v%,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 w/v%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수용성 용매에 상기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이드로겔은, 멸균(예컨대, 118 내지 130 ℃에서 2 내지 30분 동안) 후의 탄성 모듈(elastic modulus, G')이 적어도 100 Pa 이상, 예컨대 200 내지 600 Pa 이고, 경계값을 포함한다. 또한, 93 ℃에서 1시간 동안 스토빙(stoving)한 후에, 탄성 모듈의 편차(elastic modulus variation)는 30%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20%미만이다. 또한, 점성 모듈(viscous modulus, G")은 50 내지 200 Pa 이고, 손실각(loss angle, δ, Inv tan(G"/G'))은 15 내지 35°이며, 점도(viscosity, η)는 1000 내지 3000 Pa.s이다. 탄성 모듈, 점성 모듈 및 손실각의 측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한다: 하이드로겔을 25℃의 온도에서 4cm, 4°의 콘-플레이트 지오메트리(cone-plate geometry)로 처리한다. 이는 1% 강제 변형시킨 1 Hz 비파괴 점탄성 시험(non-destructive viscoelastic test)이다. 탄성 모듈은 TA 인스트루먼트 사의 AR 1000 레오미터(rhe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동일한 장치를 5×10-2sec-1 전단응력 그래디언트(shear gradient)를 사용하여 점성을 측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50 중량%의 올리고펩타이드 또는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크로스링킹제로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멸균 하이드로겔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멸균 하이드로겔은 93 ℃에서 1시간 동안 스토빙(stoving)한 후에, 탄성 모듈의 편차가 3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이드로겔은 바람직하게는 임플란트의 제조에 사용된다.
상기 임플란트는 특히, 섬유 조직(fibrous tissue)의 피하(subcutaneously, hypodermally) 또는 피내(intradermally)에 주사될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는 상기 하이드로겔 외에, 적어도 하나의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셀룰로오스 유도체(예컨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cellulose)),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글루코사미노글리칸(glucosaminoglycan)(예컨대, 히알루론산 나트륨(sodium hyaluronate), 및/또는 생체적합성(biocompatible)이고 생체흡수가능한(bioresorbable) 물질, 예컨대 폴리락트산(PLA, polylactic acid), 폴리글리콜산(PGA, polyglycolic acid), 폴리(락티-코-글리콜)산(PLGA, poly(lactic-co-(glycolic) acids), 트리칼슘 포스페이트(TCP, tricalcium phosphate), 또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P, hydroxyapatit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벡터 플루이드(vector flui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을 포함하는 임플란트의 상기 미네랄의 예는 특히 WO 2004/069090 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는 생체흡수가능한 것으로 생체 내에서 6 내지 18 개월이 경과한 후에 붕해될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는, 특히 하기에 사용될 수 있다:
- 히알루론산이 결핍된 장기(organ) 또는 캐비티(cavity)의 보충(supplementing)(전형적으로, 피부과 영역, 심미적 수술, 또는 정형외과 처치),
- 외과적 간섭(surgical intervention)이 일어나는 동안 유출된 볼륨(volume)의 복원(reconstituting)(전형적으로, 안과 수술), 또는
- 정상(normal) 또는 손상된(damaged) 진피(dermis)에의 국부적 적용(topical application)(전형적으로, 미용 영역 또는 피부과 영역).
상기 임플란트는 특히 사람의 얼굴 주름(facial wrinkles), 잔주름(fine lines), 및/또는 상처(scars)를 충전(filling)하는데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심미적(aesthetic) 및/또는 복원 수술(repair surgery)에 사용되는 주사 가능한 임플란트의 제조에 있어서의, 또는, 충전물(filling products), 특히 주름(wrinkles), 잔주름(fine lines), 상처(scars) 또는 지방이영양증(lipodystrophies)과 같은 피부의 결손(depression of the skin)에 대한 충전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상기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의 용도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 상세히 설명하며, 다만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폴리펩타이드와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의 합성
1. 반응식(reaction scheme)
반응식을 하기와 같이 도시할 수 있다(예: 다이리신):
Figure 112009034671228-PCT00001
크로스링킹 반응(반응식 1)은 두 개의 히알루론산 사슬의 카르복실산 작용기와 다이리신의 아민 작용기 사이에서 더블 펩타이드 커플링(double peptide coupling)이 일어남으로써 이루어진다. 커플링제로는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EDC) 및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NHS)가 사용되었다.
커플링반응의 메커니즘을 다음과 같이 도시할 수 있다:
Figure 112009034671228-PCT00002
첫번째 단계는 히알루론산의 카르복실산 작용기가 EDC 커플링제의 카르보디이미드 작용기를 공격하는 친핵성 공격(nucleophilic attack)으로 이루어진다. 생성된 O-아실우레아(O-acylurea)는 NHS와 치환되어 더욱 안정한 활성 에스테르(activated ester)(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우레아 생성)를 형성한다. O-아실우레아는 약간 산성인 수용성 매질 내에서 또한 긴 반응 시간 동안 불활성 N-아실우레아(inert N-acylurea)로 재배열될 수 있다. 마지막 단계는 아민 작용기 중 하나(원자 입체 배열상 바람직하게는 맨 끝의 작용기)가 활성 에스테르에 친핵성 공격하여 NHS를 방출하면서(release)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1. 프로토콜(protocol)
1단계: 스웰링 상( swelling phase )
500ml 의 유리 반응기에서 밀리큐 워터(milliQ water) 300ml에 염화나트륨 3g을 연속적으로 가한다. 소니케이터(sonicator)에서 염화나트륨을 용해시킨 후, 히알루론산(HTL Sarl, batch No. PH 1016, Mw=2.6×106 달톤, 이하 HA) 2g을 염 용액(salt solution)이 포함되어 있는 반응기에 넣고, HA 섬유(fibers)를 가능한 조심스럽게 손으로 풀어준다. 불균질의 매질(heterogeneous medium)을 스파츌러(spatula)로 1 분 동안 저어준 후에, 반응기를 4 ℃에서 15분 동안 교반 없이 놓아두고, 반응계(reaction medium) 보호를 위해 알루미늄 포일로 덮는다.
2단계: 크로스링킹 상( crosslinking phase )
반응 혼합물을 냉장고에서 꺼내어 주위 온도(ambient temperature)(18 내지 25 ℃)에서 10 분 동안 교반한다(외관상 용액은 완전히 투명하고 균질하여야 하고, 액체 꿀과 같이 약간의 점성이 있어야 한다).
반달 모양의 테플론 교반기(half-moon-shaped Teflon stirrer)를 이용해 기계적으로 교반한다. 회전 속도는 60 rpm이다.
다음으로,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ACROS, 98% 순도, 이하 NHS) 464 mg(4.03 mmol)을 밀리큐 워터(milliQ water) 5 ml에 녹인 용액을 헤모라이시스 튜브(hemolysis tube)에 준비하고, NHS가 전부 녹을 때까지 휘젓는다. 상기 용액을 5 ml/min 의 속도로 반응계에 적하한다.
혼합물을 5분간 교반하고, 밀리큐 워터(milliQ water) 4 ml 중 313 mg(2.02 mmol)의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용액(Sigma-Aldrich, ref. 03450-5G, 이하 EDC)을 가한다. 강하게 휘저어 용해시킨 후, 5 ml/min 의 속도로 적하한다.
혼합물을 30 분간 교반한 후, 다이리신(dilysine) 수용액을 반응계에 1 ml/min 의 속도로 가한다. 상기 용액은 밀리큐 워터(milliQ water) 1 ml 중에 다이리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BACHEM사 제품, ref. G2675) 233 mg(0.67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diisopropylethylamine)(ACROS 사 제품, ref. 115225000, 이하 DIEA) 1302 μl(10.08 mmol)을 헤모라이시스 튜브(haemolysis tube)에서 휘저어 용해한 용액이다. 상기 혼합물은 격렬하게 교반하면 일시적으로 섞이는 에멀젼을 형성하는 2개의 분리된 층을 나타낸다. 반응계에 가할 때는 가능한 혼합된 에멀젼 형태로 가한다. 반응계의 pH는 8.5 내지 10.5 이어야 한다.
전체를 3 시간 동안 교반한다.
3단계: 정제 상( purification phase )
교반을 완료한 후, 침전이 일어나기 전에 1M 염산을 가하여 용액의 pH를 5.7 로 맞춘다.
기계적인 교반기(mechanical stirrer)와 갈퀴 모양(rake-shaped)의 교반 봉(stirring rod)이 구비된 1 리터 용량의 반응기를 준비한다. 95°에탄올 420 ml를 상기 반응기에 넣고, 매우 빠른 속도(약 1000 rpm)로 기계적으로 교반한다.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 42 ml을 50 ml 시린지를 이용하여 흡인하고, 라미나(lamina)로 연속적으로 반응기에 첨가한다. 용액은 맑고, 무색이며, 약간 점성이다.
첨가가 끝나자마자, 2 분 동안 추가로 교반한다. 교반 봉을 반응기에서 제거 하고 생성된 폴리머를 한 쌍의 핀셋을 이용하여 공극률 II(porosity II)의 프릿(frit)에 펼친다. 폴리머는 진공 플라스크(vacuum flask)에서 매우 빠르게, 최대 15 초 이내에 건조되고, 최소 12 시간 동안 진공 하에서 데시케이터(desicator) 안에서 건조시킨다.
최종 생성물은 완전히 백색이다.
4단계: 재형성 상( reformulation phase )
2.4% 겔 10 ml를 준비하기 위해서, 건조된 크로스링크된 폴리머 240 mg 을 뚜껑이 있는(시린지 배출구에 뚜껑이 있는) 표준 폴리프로필렌 시린지에 도입한다. 버퍼된 용액 10 ml를 고체에 가하고, 전체를 4 ℃에서 12 내지 15 시간 동안 방치하여 부풀어지도록 한다.
시린지를 냉장고에서 꺼낸 후, 기계적 교반기를 이용하여 빠르게(1000 rpm의 속도로) 교반한다. 사용된 교반 봉(stirring rod)은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숫가락 모양의 실험실용 스파츌러이다. 이 경우 약 5 분 간 교반하였지만, 교반 시간은 점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최종적으로 생성된 겔은 무색이고 완전히 균질하여야 한다.
실시예 2: 붕해 또는 지속성 테스트
원칙: 당업자 수준에서 인 비보(in vivo)에서 다양한 붕해 인자에 대한 폴리머의 저항성을 예측하기 위한 가혹 붕해 시험(accelerated degradation test)을 수행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수행된 가혹 시험은, 미리 멸균하고 그 후 93 ℃에서 1 시간 동안 가열상(heating phase)을 거친 크로스링크된 제품의 유동 특성(rheological characteristics)을 측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가열하는 동안의 탄성 모듈(G')의 손실률을 계산한다. 손실률이 적을수록 열에 저항성이 있는 제품이고, 다른 붕해 인자에도 내구성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시험으로 인 비보(in vivo)에서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의 붕해율을 예측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주름에 충전을 유지하는 기간을 예측할 수 있다.
제품 시험:
시험에는 멸균된 제품을 사용한다.
하기 제품과 함께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몇 개의 제품도 시험하였다:
- 제품 1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히알루론산이고,
- 제품 2는, 히알루론산의 COOH 단위의 몰 수에 대하여 45 mol% EDC; 90 mol% NHS 및 15 mol% 다이리신(dilysine)이고 DIEA/NHS 비가 2.22 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어진 히알루론산이다.
결과:
하기 표 1에 다양한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의 시험 결과를 나타냈다. 표 1은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의 붕해 시험 결과이다.
Figure 112009034671228-PCT00003
상기 표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변형된(modified) 히알루론산은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에 비해 탄성모듈의 하락이 적은 것을 알 수 있고, 이는 붕해 인자에 저항성이 더 강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3: 침전 pH 의 영향
실질적으로 실시예 1과 같이 합성한 후, 에탄올 중에 pH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침전시킨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의 물리화학적 물성을 비교하였다. 화합물의 합성 과정에서의 파라미터는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표 2는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의 합성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나타낸 것이고, 표에서의 값은 히알루론산의 카르복실산 작용기의 몰 수에 대한 것이다.
Figure 112009034671228-PCT00004
실시예 1과 같이 재형성(reformulate)한 후, 90 ℃의 인큐베이터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하기 전과 후에서의 상기 제품들의 물리화학성 성질을 평가하였다. 더욱 상세하게는, 하이드로겔의 점성을 평가하고, 탄성 모듈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냈다.
겔의 탄성(elasticity)과 점성(viscosity)을 평가한 점수를 클래스(Class) 1 내지 5로 표시하였다. 겔의 탄성이 클수록 점수가 높다. 반대로, 불균질성(non-homogeneous)이고/이거나 유체 겔(fluid gel)인 경우에는 점수가 낮다. 표 3은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9034671228-PCT00005
상기 표로부터, 염기성 pH에서 침전된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은 하이드로겔로 재형성되기는 쉽지만, 주름에 충전되는 제품에 적용되기에 적합한 하이드로겔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침전이 일어나는 동안 이온 결합이 불충분하게 일어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게다가, 지나치게 산성인 pH에서 침전된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은 점탄성(viscoelasticity)이 우수한 하이드로겔을 제공하지만(재형성될 수 있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님), 인큐베이터에서 완전히 붕해되므로, 내인성 붕해 인자에 민감할 것이다.
pH 5 내지 7 범위에서 침전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매우 만족할 정도의 점탄성을 갖고 붕해 시험 후에도 실질적으로 거의 감소되지 않는 균질한(homogeneous) 하이드로겔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pH 범위에서, 전기적(electrostatic) 및 공유 결합(covalent bond)으로 형성된 매크로분자 메쉬(macromolecular mesh)가 충전물로서 최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은, 심미적(aesthetic) 및/또는 복원 수술(repair surgery)에 사용되는 주사 가능한 임플란트의 제조, 또는, 충전물(filling products), 특히 주름(wrinkles), 잔주름(fine lines), 상처(scars) 또는 지방이영양증(lipodystrophies)과 같은 피부의 결손(depression of the skin)에 대한 충전물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8)

  1.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
    - 커플링제 및 보조 커플링제를 사용하여 히알루론산을 활성화하여 활성화된 히알루론산을 생성하는 단계,
    - pH 범위를 8 내지 12로 조절한 반응계에서 상기 활성화된 히알루론산과 적어도 50 중량%의 올리고펩타이드 또는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크로스링킹제를 반응시켜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을 생성하는 단계,
    - 반응계의 pH를 5 내지 7 범위로 조절하는 단계,
    - 상기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을 유기 용매에 침전시켜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 섬유를 생성하는 단계, 및
    - 선택적으로, 상기 생성된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 섬유를 건조하는 단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제는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르보디이미드(EDC), 1-에틸-3-(3-트리메틸아미노프로필) 카르보디이미드(ETC), 1-시클로헥실-3-(2-모르폴리노에틸) 카르보디이미드(CMC), 이들의 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커플링제는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NHS), N-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HOBt), 3,4-디하이드로-3-하이드록시-4-옥소-1,2,3-벤조트리아졸(HOOBt), 1-하이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HAt), N-하이드록시설포숙신이미드(sulpho-NHS),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히알루론산의 카르복실산 단위에 대한 상기 커플링제의 몰 비가 5 내지 100%이고 경계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제에 대한 상기 보조 커플링제의 몰 비가 1:1 내지 3:1이고 경계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제로 상기 히알루론산을 활성화시키는 반응이 pH 3 내지 6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타이드가 리신(lysine) 호모폴리머(homopolymer) 또는 코폴리머(copolym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신 호모폴리머가 다이리신(dilysi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제가 크로스링킹제의 아민 작용기기에 대하여 화학량론적인 양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제는 히알루론산의 카르복실산 작용기에 대하여 화학량론적인 양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두 번째 단계에 사용되는 크로스링킹제의 양이 카르복실산 작용기의 몰 수에 대한 크로스링킹제의 몰 수로서 3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링킹 반응이 pH 8 내지 10 의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 pH 범위가 5 내지 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가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을 제조하는 방법.
  16. 수용성 용매 중에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17. 적어도 50 중량%의 올리고펩타이드 또는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크로스링킹제로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멸균 하이드로겔로서, 93℃에서 1시간 동안 스토빙(stoving)한 후의 elastic modulus 가 3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 하이드로겔.
  18. 심미적 및/또는 복원 수술에 사용되는 주사 가능한 임플란트의 제조, 또는 충전물, 특히 주름, 잔주름, 상처, 또는 결손된 피부(skin depression)에 사용되는 충전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의 용도.
KR1020097011862A 2006-11-10 2007-10-25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788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609866A FR2908415B1 (fr) 2006-11-10 2006-11-10 Acide hyaluronique reticule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FR0609866 2006-11-10
PCT/FR2007/052245 WO2008056069A1 (fr) 2006-11-10 2007-10-25 Acide hyaluronique réticulé et son procédé de prépa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084A true KR20090109084A (ko) 2009-10-19
KR101478849B1 KR101478849B1 (ko) 2015-01-02

Family

ID=37888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1862A KR101478849B1 (ko) 2006-11-10 2007-10-25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090263447A1 (ko)
EP (1) EP2094736A1 (ko)
JP (1) JP5389661B2 (ko)
KR (1) KR101478849B1 (ko)
CN (1) CN101611063B (ko)
AU (1) AU2007316520B2 (ko)
BR (1) BRPI0718577A2 (ko)
CA (1) CA2668650C (ko)
FR (1) FR2908415B1 (ko)
MX (1) MX2009004969A (ko)
RU (1) RU2456299C2 (ko)
WO (1) WO200805606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971B1 (ko) * 2020-05-19 2021-03-10 주식회사 차메디텍 펩타이드 가교제를 이용한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61734B1 (fr) 2003-04-10 2006-04-14 Corneal Ind Reticulation de polysaccharides de faible et forte masse moleculaire; preparation d'hydrogels monophasiques injectables; polysaccharides et hydrogels obtenus
US8318695B2 (en) 2007-07-30 2012-11-27 Allergan, Inc. Tunably crosslinked polysaccharide compositions
US8697044B2 (en) 2007-10-09 2014-04-15 Allergan, Inc. Crossed-linked hyaluronic acid and collagen and uses thereof
HUE042931T2 (hu) 2007-11-16 2019-07-29 Aclaris Therapeutics Inc Kompozíciók és eljárások purpura kezelésére
US8394782B2 (en) 2007-11-30 2013-03-12 Allergan, Inc. Polysaccharide gel formulation having increased longevity
US8394784B2 (en) 2007-11-30 2013-03-12 Allergan, Inc. Polysaccharide gel formulation having multi-stage bioactive agent delivery
US8450475B2 (en) 2008-08-04 2013-05-28 Allergan, Inc. Hyaluronic acid-based gels including lidocaine
ES2829971T3 (es) 2008-09-02 2021-06-02 Tautona Group Lp Hilos de ácido hialurónico y/o derivados de los mismos, métodos para fabricar los mismos y usos de los mismos
EP2413894B1 (en) * 2009-04-02 2017-01-04 Allergan, Inc. Hair-like shaped hydrogels for soft tissue augmentation
US9114188B2 (en) 2010-01-13 2015-08-25 Allergan, Industrie, S.A.S. Stable hydrogel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ves
US20110172180A1 (en) 2010-01-13 2011-07-14 Allergan Industrie. Sas Heat stable hyaluronic acid compositions for dermatological use
CA2792729C (en) 2010-03-12 2016-06-28 Allergan Industrie, Sas Fluid compositions for improving skin conditions
DK2550027T4 (da) * 2010-03-22 2019-05-13 Allergan Inc Tværbundne polysaccharid- og protein-polysaccharid-hydrogeler til blødvævsforøgelse
IT1399508B1 (it) * 2010-04-22 2013-04-19 Nobil Bio Ricerche Srl Dispositivo per impianto con proprieta' antibatteriche e superficie multifunzionale
US9005605B2 (en) 2010-08-19 2015-04-14 Allergan, Inc. Compositions and soft tissue replacement methods
US8883139B2 (en) 2010-08-19 2014-11-11 Allergan Inc. Compositions and soft tissue replacement methods
US8889123B2 (en) 2010-08-19 2014-11-18 Allergan, Inc. Compositions and soft tissue replacement methods
US8697057B2 (en) 2010-08-19 2014-04-15 Allergan, Inc. Compositions and soft tissue replacement methods
ES2645860T3 (es) * 2010-10-20 2017-12-11 Allergan Holdings France S.A.S. Hilos de ácido hialurónico reticulado y uso de los mismos
CN102757572A (zh) * 2011-04-28 2012-10-31 上海其胜生物制剂有限公司 一种具有双抗特性(抗高温、酶解)的无颗粒化交联透明质酸钠凝胶的制备方法
US20130096081A1 (en) 2011-06-03 2013-04-18 Allergan, Inc. Dermal filler compositions
EP3536307B1 (en) 2011-06-03 2021-10-20 ALLERGAN Industrie, SAS Dermal filler compositions including antioxidants
US9408797B2 (en) 2011-06-03 2016-08-09 Allergan, Inc. Dermal filler compositions for fine line treatment
US9393263B2 (en) 2011-06-03 2016-07-19 Allergan, Inc. Dermal filler compositions including antioxidants
US20130244943A1 (en) 2011-09-06 2013-09-19 Allergan, Inc. Hyaluronic acid-collagen matrices for dermal filling and volumizing applications
US9662422B2 (en) 2011-09-06 2017-05-30 Allergan, Inc. Crosslinked hyaluronic acid-collagen gels for improving tissue graft viability and soft tissue augmentation
AU2015255254B2 (en) * 2011-09-14 2017-07-06 Allergan Industrie, Sas Dermal filler compositions for fine line treatment
AU2012308503B2 (en) * 2011-09-14 2015-08-13 Allergan Industrie, Sas Dermal filler compositions for fine line treatment
KR20210071106A (ko) * 2011-12-08 2021-06-15 알러간 인더스트리 에스에이에스 진피 필러 조성물
FR2997014B1 (fr) 2012-10-24 2015-03-20 Teoxane Composition sterile dermo-injectable
CN102911380B (zh) * 2012-10-29 2015-03-18 北京爱美客生物科技有限公司 透明质酸与生物可降解高分子改性材料及制备方法
US20140315828A1 (en) 2013-04-22 2014-10-23 Allergan, Inc. Cross-linked silk-hyaluronic acid compositions
MX369409B (es) * 2013-06-28 2019-11-07 Galderma Sa Método para la fabricación de un producto perfilado de ácido hialurónico.
ITMI20131193A1 (it) * 2013-07-16 2015-01-17 Ira Srl Acido ialuronico reticolato, processo per la sua preparazione ed applicazioni in ambito estetico
KR101687866B1 (ko) * 2013-11-18 2016-1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카르본산 변성 니트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딥 성형용 라텍스 조성물
CN103724454B (zh) * 2013-12-03 2017-04-12 江南大学 一种透明质酸接枝聚合物囊泡的制备方法
ES2761558T3 (es) 2014-09-30 2020-05-20 Allergan Ind Sas Composiciones de hidrogel estables que incluyen aditivos
CN105713211A (zh) * 2014-12-02 2016-06-29 上海其胜生物制剂有限公司 一种新型皮肤填充剂的制备方法
CN104592420A (zh) * 2014-12-25 2015-05-06 上海景峰制药有限公司 一种交联玻璃酸钠的中间体ha-vs的制备方法
DK3245233T3 (en) * 2015-01-13 2019-01-28 Bmg Pharma S P A PROCEDURE IN WATER FOR THE PREPARATION OF HYBRID ACID ESTERS OF HYALURONIC ACID SODIUM SALT
WO2016128783A1 (en) 2015-02-09 2016-08-18 Allergan Industrie Sa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skin appearance
CN105670011B (zh) * 2016-02-02 2019-01-08 华熙福瑞达生物医药有限公司 一种交联透明质酸干粉及其制备方法及应用
CA3033536A1 (en) 2016-08-24 2018-03-01 Allergan, Inc. Co-crosslinked hyaluronic acid-silk fibroin hydrogels for improving tissue graft viability and for soft tissue augmentation
CN109890847A (zh) 2016-10-31 2019-06-14 丘比株式会社 凝胶组合物和其制造方法
CN106730044B (zh) * 2016-12-28 2020-07-07 创领心律管理医疗器械(上海)有限公司 抗菌水凝胶袋及其制备方法
KR102610937B1 (ko) * 2018-10-30 2023-12-08 (주)아모레퍼시픽 가교 히알루론산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U101045B1 (en) 2018-12-11 2020-06-11 Qventis GmbH Method for the manufacture and use of a bionic hydrogel composition for medical applications
KR20210121020A (ko) * 2018-12-21 2021-10-07 갈더마 홀딩 소시에떼 아노님 고체 입자를 봉입한 히드로겔 조성물
IT201900024117A1 (it) * 2019-12-16 2021-06-16 St Ganassini Spa Di Ricerche Biochimiche Procedimento di sintesi di acido ialuronico reticolato
CN111732741B (zh) * 2020-06-24 2023-04-25 华熙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透明质酸与ε-聚赖氨酸交联的方法及所得复合交联物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4999B1 (en) * 1987-09-18 2001-01-16 Genzyme Corporation Water insoluble derivatives of polyanionic polysaccharides
US5612321A (en) * 1995-06-22 1997-03-18 Hercules Incorporated Antioxidant grafted polysaccharides
US6326479B1 (en) * 1998-01-27 2001-12-04 Boston Probes, Inc. Synthetic polymers and methods, kits or compositions for modulating the solubility of same
US6630457B1 (en) 1998-09-18 2003-10-07 Orthogene Llc Functionalized derivatives of hyaluronic acid, formation of hydrogels in situ using same,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IT1317091B1 (it) * 2000-02-08 2003-05-26 S F I R Societa Fondaria Ind R Gel di acido ialuronico cross-linked con l-amminoacidi ol-amminoesteri bifunzionali.
FR2873379B1 (fr) * 2004-07-23 2008-05-16 Jerome Asius Procede de preparation d'acide hyaluronique reticule, acide hyaluronique reticule susceptible d'etre obtenu par ledit procede, implant contenant ledit acide hyaluronique reticule, et son utilis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971B1 (ko) * 2020-05-19 2021-03-10 주식회사 차메디텍 펩타이드 가교제를 이용한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1235662A1 (ko) * 2020-05-19 2021-11-25 주식회사 차메디텍 펩타이드 가교제를 이용한 히알루론산 기반의 하이드로겔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08415A1 (fr) 2008-05-16
RU2456299C2 (ru) 2012-07-20
MX2009004969A (es) 2009-05-21
EP2094736A1 (fr) 2009-09-02
CA2668650A1 (en) 2008-05-15
FR2908415B1 (fr) 2009-01-23
AU2007316520B2 (en) 2011-09-29
CA2668650C (en) 2015-05-26
CN101611063B (zh) 2013-02-20
KR101478849B1 (ko) 2015-01-02
BRPI0718577A2 (pt) 2014-03-11
JP2010509425A (ja) 2010-03-25
AU2007316520A1 (en) 2008-05-15
RU2009120214A (ru) 2010-12-20
US20090263447A1 (en) 2009-10-22
JP5389661B2 (ja) 2014-01-15
CN101611063A (zh) 2009-12-23
WO2008056069A1 (fr) 200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849B1 (ko) 크로스링크된 히알루론산 및 이의 제조방법
JP6691168B2 (ja) 多糖によって架橋されているタンパク質の調製および/または調合物
US10064889B2 (en) Mercapto-modified biocompatible macromolecule derivatives with low degree of mercapto-modification and the cross-linked materials and uses thereof
JP2018177818A (ja) ヒアルロン酸/コラーゲン系真皮充填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作製するための方法
WO1999010385A1 (fr) Gel d'acide hyaluronique, son procede de production et substance therapeutique le contenant
WO2006021644A1 (fr) Acide hyaluronique reticule soluble dans l'eau, son procede de preparation, implant contenant ledit acide hyaluronique reticule, et son utilisation
EP3806919A1 (en) Hydrogel composition comprising a crosslinked polymer
CA2682291C (en) Device made at least partially of n-acetylchitosan with controlled biodissolution
Xiao et al. Optimized preparation of thiolated hyaluronic acid hydrogel with controllable degree of substit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