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7920A - 퓨트레신 고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퓨트레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퓨트레신 고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퓨트레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07920A KR20090107920A KR1020090018781A KR20090018781A KR20090107920A KR 20090107920 A KR20090107920 A KR 20090107920A KR 1020090018781 A KR1020090018781 A KR 1020090018781A KR 20090018781 A KR20090018781 A KR 20090018781A KR 20090107920 A KR20090107920 A KR 200901079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trescine
- gene
- promoter
- encoding
- gene enco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3/00—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13/001—Amines; Imi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201/00—Transferases transferring one-carbon groups (2.1)
- C12Y201/03—Carboxy- and carbamoyltransferases (2.1.3)
- C12Y201/03003—Ornithine carbamoyltransferase (2.1.3.3)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203/00—Acyltransferases (2.3)
- C12Y203/01—Acyltransferases (2.3) transferring groups other than amino-acyl groups (2.3.1)
- C12Y203/01057—Diamine N-acetyltransferase (2.3.1.57)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205/00—Transferases transferring alkyl or aryl groups, other than methyl groups (2.5)
- C12Y205/01—Transferases transferring alkyl or aryl groups, other than methyl groups (2.5) transferring alkyl or aryl groups, other than methyl groups (2.5.1)
- C12Y205/01016—Spermidine synthase (2.5.1.16)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206/00—Transferases transferring nitrogenous groups (2.6)
- C12Y206/01—Transaminases (2.6.1)
- C12Y206/01082—Putrescine aminotransferase (2.6.1.82)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401/00—Carbon-carbon lyases (4.1)
- C12Y401/01—Carboxy-lyases (4.1.1)
- C12Y401/01017—Ornithine decarboxylase (4.1.1.17)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603/00—Ligases forming carbon-nitrogen bonds (6.3)
- C12Y603/01—Acid-ammonia (or amine)ligases (amide synthases)(6.3.1)
- C12Y603/01011—Glutamate--putrescine ligase (6.3.1.11)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퓨트레신 생성 대사경로를 가지는 미생물에서, 퓨트레신(putrescine)의 분해 또는 이용 경로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약화 또는 결실되어 있는 퓨트레신 고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 및 이를 혐기조건하에서 배양하여 퓨트레신을 고수율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퓨트레신(putrescine) 고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은 산업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퓨트레신을 고수율로 제조하는데 유용하다.
퓨트레신, 변이, 미생물, 포도당
Description
본 발명은 퓨트레신 고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퓨트레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퓨트레신(putrescine)의 분해 또는 이용 경로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약화 또는 결실되어 있는 퓨트레신 고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 및 이를 혐기조건하에서 배양하여 퓨트레신을 고수율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퓨트레신(또는 1,4 부탄다이아민)은 나일론 4, 6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4, 6의 생산을 위한 중요한 원료물질로서, 수소 시안화물(hydrogen cyanide) 첨가에 의해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로 생산되는 숙시노니트릴(succinonitrile)의 수소화에 의한 산업적 규모에서 주로 생산되었다. 이들 화학물질의 합성경로에서는 비 재생적인 석유화학적 산물을 원료 물질로서 필요로 하며, 상대적으로 다중 단계(multi step), 다중 반응기 설계(muti-reactor design) 뿐만 아니라, 값비싼 촉 매시스템과 관련한 높은 온도와 압력이 필요하다. 게다가 매우 강한 독성과 가연성이 있는 반응물이기 때문에 기존의 화학합성 경로는 환경적인 측면에서 좋지 않다. 이에, 상기 화학생산공정의 대안으로 재생가능한 바이오매스 유래 탄소원으로부터 퓨트레신을 생산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퓨트레신은 박테리아에서 동식물과 같은 전범위의 유기체에서 발견되는 폴리아민의 한 종류이다. 예를 들면, 퓨트레신은 세포 증식과 정상 세포성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산화적 스트레스에 방어 기작에도 중요한 물질로 알려져 있다(Tkachenko et al., Arch. Microbiol., 176:155-157, 2001). 한편 세포 내 폴리아민 함량은 생합성, 분해, 흡수, 분비에 의해서 정교하게 조절된다(Igarashi and Kashiwagi et al., J. Bacteriol., 170(7):3131-3135, 1988). 대장균에서의 퓨트레신 농도는 약 2.8g/l로 매우 높다고 알려져 왔다. 또한 미생물들은 고농도의 폴리아민에 잠재적으로 좋은 내성을 갖고 있다. 예를들면, Mimitsuka 등은 Corynebacterium glutamicum은 30g/L 이상의 카다베린(cadaverine) 존재 하에서도 성장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산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고농도의 폴리아민(퓨트레신)을 생산하기 위하여 미생물을 이용하려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
유럽공개특허(EP0726240A1)에서는 값싼 산업 폐기물 혹은 주요 구성원으로 단백질을 가진 물질들을 이용하여 발효를 통해 퓨트레신을 생산하는 방법을 개시하였지만, 개시 물질들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퓨트레신과 카다베린 생산을 얻기 위해서는 많은 정제 단계들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럽공개특 허(EP1784496A1)는 탄소원으로써 포도당이 추가된 최소염배지(minimal salt medium)에서 미생물 성장에 따른 퓨트레신 생화학적 합성을 개시하였다. 이는 오르니틴의 퓨트레신으로의 변형을 향상 시키기 위해,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ornithine decarboxylase)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speC 또는 speF를 과발현(overexpression)시켜,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의 활성을 증가시켰다. 그러나,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 활성이 증가함에 따라 퓨트레신 함유량이 증가 되었을 때, 퓨트레신 생합성의 저해가 있고, 퓨트레신의 분해 유도작용이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garashi and Kashiwagi et al., Biochem. J., 347:297-303, 2000).
미생물내에서의 퓨트레신 분해 및 이용 활성도에 대한 연구는 다음과 같다. Bowman 등은 speE 유전자 산물인 스퍼미딘 합성효소(spermidine synthase)가 대장균 내에서 퓨트레신으로부터 스퍼미딘(spermidine)의 생합성을 촉진시키는 것을 보고하였다(Bowman et al., J. Biol. Chem., 248:2480-2486, 1973). spermidine synthase (EC:2.5.1.16)는 거의 모든 세포시스템에서 spermidine의 합성을 위해 존재한다.
Haywood 등은 효모인 Candida boidinii가 N-acetyltransferase에 의해 acetylates 퓨트레신을 N-acetylputrescine로 아세틸화시킨다고 보고하였다. 대장균에서 speG 유전자 산물인 spermidine acetyltransferase는 효모의 N-acetyltransferase와 상동성(homology)이 매우 높아서 putrescine acetyltransferase를 소유하는 것이 요구된다(Haywood and Large, Eur. J. Biochem., 148:277-283, 1985).
또한 Samsonova 등은 대장균에서 γ-glutamylation 없이 YgjG putrescine transaminase 및 YdcW dehydrogenase 복합 작용에 의해 퓨트레신은 γ-aminobutyric acid로 전환된다는 또 다른 퓨트레신 분해 경로에 대해서 설명하였다(Samsonova et al., BMC Microbiol., 3:2, 2003; Samsonova et al., FEBS Lett., 579:4107-4112, 2005).
그리고, Kurihara 등은 'Puu pathway'라 하여, 퓨트레신 분해 경로는 대장균 내의 γ-glutamylated 대사체와 연관깊다고 분명하게 보고하였다. 이 경로의 γ-glutamylation 통해 알데하이드 중간체인 γ-aminobutyraldehyde를 안정화 시킬 수 있다. puuA 유전자의 산물인 γ-glutamylputrescine synthetase은 퓨트레신을 γ-glutamyl-L-퓨트레신으로 형질전환시키면서 이 경로의 첫 번째 반응을 촉진시킨다. 또한 Puu 이화 경로(catabolic pathway)는 대장균이 유일한 질소원으로서 퓨트레신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성장할 때, 주요한 요소가 된다고 밝혔다. 또한 puuP 유전자 산물인 putrescine importer는 Puu 이화 경로와 주요 putrescine importer 에 관련있다고 보았다(Kurihara et al., J. Biol. Chem., 280:4602-4608, 2005).
이에, 본 발명자들은 퓨트레신을 생산하는 미생물에서, 퓨트레신(putrescine)의 분해 또는 이용 경로에 관여하는 스퍼미딘 합성효소(spermidine synth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E), 스퍼미딘 N-아세틸트랜스퍼라제(spermidine N-acetyltransfer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G), 오르니틴 카바모일트랜스퍼라제(ornithine carbamoyltransferase) I를 코딩하는 유전자(argI) 및 퓨트레신 임포 터(putrescine importer)를 코딩하는 유전자(puuP)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약화 또는 결실시킨 변이균주를 제조하고, 이를 혐기조건에서 배양한 결과, 퓨트레신을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퓨트레신(putrescine)의 분해 또는 이용 경로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약화 또는 결실되어 있고, 퓨트레신의 고생산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 및 상기 변이 미생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변이 미생물을 혐기조건하에서 배양하여, 퓨트레신을 고수율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퓨트레신(putrescine)의 분해 또는 이용 경로에 관여하는 스퍼미딘 합성효소(spermidine synth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E), 스퍼미딘 N-아세틸트랜스퍼라제(spermidine N-acetyltransfer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G), 오르니틴 카바모일트랜스퍼라제(ornithine carbamoyltransferase) I를 코딩하는 유전자(argI) 및 퓨트레신 임포터(putrescine importer)를 코딩하는 유전자(puuP)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약화 또는 결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퓨트레신(putrescine)의 분해 또는 이용 경로에 관여하는 스퍼미딘 합성효소(spermidine synth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E), 스퍼미딘 N-아세틸트랜스퍼라제(spermidine N-acetyltransfer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G), 오르니틴 카바모일트랜스퍼라제(ornithine carbamoyltransferase) I를 코딩하는 유전자(argI) 및 퓨트레신 임포터(putrescine importer)를 코딩하는 유전자(puuP)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약화 또는 결실되어 있고, arginine 생합성을 위한 오페론을 코딩하는 유전자(argECBH), 아세틸오르니틴 아미노 트랜스아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argD) 및 유도 가능한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inducible ornithine decarboxylase)와 퓨트레신/오르니틴 안티포터(putrescine/ornithine antiporter)를 코딩하는 유전자(speF-pot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 프로모터가 strong promoter로 치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퓨트레신(putrescine)의 분해 또는 이용 경로에 관여하는 스퍼미딘 합성효소(spermidine synth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E), 스퍼미딘 N-아세틸트랜스퍼라제(spermidine N-acetyltransfer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G), 오르니틴 카바모일트랜스퍼라제(ornithine carbamoyltransferase) I를 코딩하는 유전자(argI) 및 퓨트레신 임포터(putrescine importer)를 코딩하는 유전자(puuP)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약화 또는 결실되어 있고, arginine 생합성을 위한 오페론을 코딩하는 유전자(argECBH) , 아세틸오르니틴 아미노 트랜스아민아제 를 코딩하는 유전자(argD) 및 유도 가능한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inducible ornithine decarboxylase)와 퓨트레신/오르니틴 안티포터(putrescine/ornithine antiporter)를 코딩하는 유전자(speF-pot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 프로모터가 strong promoter로 치환되어 있으며,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ornithine decarboxyl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C)가 도입 또는 증폭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변이 미생물을 배양하여 퓨트레신을 생성시킨 다음, 배양액으로부터 퓨트레신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함으로써, 산업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퓨트레신을 고수율로 제조하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에서 "약화"란 해당 유전자의 일부 염기를 변이, 치환, 또는 삭제시키거나 일부 염기를 도입시켜 해당유전자에 의해 발현되는 효소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해당 유전자의 효소가 관여하는 생합성경로의 일부 또는 상당부분을 차단하는 모든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결실'이란 해당 유전자의 일부 또는 전체 염기를 변이, 치환, 또는 삭제시키거나, 일부 염기를 도입시켜 해당유전자가 발현되지 않도록 하거나 발현되더라도 효소활성을 나타내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해당 유전자의 효소가 관여하는 생합성경로를 차단하는 모든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증폭"이란 해당 유전자의 일부 염기를 변이, 치환, 또는 삭제시키거나, 일부 염기를 도입시키거나, 또는 동일한 효소를 코딩하는 다른 미생물 유래의 유전자를 도입시켜 대응하는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도 1은 포도당으로부터 퓨트레신의 합성경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미생물에서, 퓨트레신(putrescine)의 분해 또는 이용 경로에 관여하는 유전자(speE, speG, argI, puuP)를 약화 또는 결실시키면 퓨트레신을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상기 퓨트레신(putrescine)의 분해 또는 이용 경로에 관여하는 유전자(speE, speG, argI, puuP)의 감소된 활성도는 각각의 야생형 수준과 비교하여 감소된 전사적, 번역적 효율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퓨트레신(putrescine)의 분해 또는 이용 경로에 관여하는 스퍼미딘 합성효소(spermidine synth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E), 스퍼미딘 N-아세틸트랜스퍼라제(spermidine N-acetyltransfer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G), 오르니틴 카바모일트랜스퍼라제(ornithine carbamoyltransferase) I를 코딩하는 유전자(argI) 및 퓨트레신 임포터(putrescine importer)를 코딩하는 유전 자(puuP)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결실시킨 변이 미생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변이 미생물의 퓨트레신 생성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퓨트레신(putrescine)의 분해 또는 이용 경로에 관여하는 스퍼미딘 합성효소(spermidine synth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E), 스퍼미딘 N-아세틸트랜스퍼라제(spermidine N-acetyltransfer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G), 오르니틴 카바모일트랜스퍼라제(ornithine carbamoyltransferase) I를 코딩하는 유전자(argI) 및 퓨트레신 임포터(putrescine importer)를 코딩하는 유전자(puuP)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약화 또는 결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변이 미생물은 퓨트레신(putrescine)의 분해 또는 이용 경로에 관여하는 γ-글루타밀퓨트레신 합성효소(γ-glutamylputrescine syntase)를 코딩하는 유전자(puuA), 퓨트레신 트랜스아민아제(putrescine transaminase)를 코딩하는 유전자(ygjG) 및 오르니틴 카바모일트랜스퍼라제(ornithine carbamoyltransferase) F를 코딩하는 유전자(argF)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추가로 약화 또는 결실될 수도 있다.
상기 오르니틴 카바모일트랜스퍼라제(ornithine carbamoyltransferase) F를 코딩하는 유전자(argF)는 오르니틴 카바모일트랜스퍼라제(ornithine carbamoyltransferase) I를 코딩하는 유전자(argI)의 이소엔자임(isoenzyme)이고, 상기 γ-글루타밀퓨트레신 합성효소(γ-glutamylputrescine syntase)를 코딩하는 유전자(puuA)는 상기 퓨트레신 임포터(putrescine importer)를 코딩하는 유전자(puuP)의 이웃 유전자이며, 퓨트레신 트랜스아민아제(putrescine transaminase)를 코딩하는 유전자(ygjG)는 퓨트레신(putrescine)의 분해에 관여하는 유전자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변이 미생물은 또한, 퓨트레신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되도록 lac operon repressor를 코딩하는 유전자(lacI)가 추가로 결실될 수 있다. 상기 퓨트레신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gdhA, argA, argB, argC, argD, argE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변이 미생물은 또한,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ornithine decarboxyl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C)가 추가로 도입 또는 증폭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라제(ornithine decarboxyl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C)는 strong promoter를 함유하는 발현벡터 형태로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strong promoter는 trc promoter, tac promoter, T7 promoter, lac promoter 및 trp promoter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미생물은 글루코즈로부터 퓨트레신을 생성하는 미생물이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실러스 속(Bacillus sp.), 코리네박테리움 속(Corynebacterium sp.), 에스케리치아 속(Escherichia sp.), 피치아 속(Pichia sp.),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haromyces sp.)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퓨트레신의 분해 또는 이용 경로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결실되어 있는 변이 미생물에서, arginine 생합성을 위한 오페론을 코딩하는 유전자(argECBH), 아세틸오르니틴 아미노 트랜스아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argD) 및 유도 가능한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inducible ornithine decarboxylase)와 퓨트레신/오르니틴 안티포터(putrescine/ornithine antiporter)를 코딩하는 유전자(speF-pot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유전자의 프로모터를 strong promoter로 치환시키면 퓨트레신을 더욱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퓨트레신(putrescine)의 분해 또는 이용 경로에 관여하는 유전자(speE, speG, argI, puuP) 및 lac operon repressor를 코딩하는 유전자(lacI)가 결실된 변이 미생물에서, arginine 생합성을 위한 오페론을 코딩하는 유전자(argECBH)의 프로모터를 strong promoter인 trc로 치환시킨 변이 미생물(XQ33), argECBH와 유도 가능한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inducible ornithine decarboxylase)와 퓨트레신/오르니틴 안티포터(putrescine/ornithine antiporter)를 코딩하는 유전자(speF-potE)의 프로모터를 trc로 치환시킨 변이 미생물(XQ37), argECBH, speF-potE와 아세틸오르니틴 아미노 트랜스아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argD)의 프로모터를 trc로 치환시킨 변이 미생물(XQ39) 및 argECBH, speF-potE, argD와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ornithine decarboxyl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C)의 프로모터를 trc로 치환시킨 변이 미생물(XQ43)을 제조하고, 이들 변이 미생물의 퓨트레신 생성능이 급격히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관점에서, 퓨트레신(putrescine)의 분해 또는 이용 경로에 관여하는 스퍼미딘 합성효소(spermidine synthase)를 코딩하는 유전 자(speE), 스퍼미딘 N-아세틸트랜스퍼라제(spermidine N-acetyltransfer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G), 오르니틴 카바모일트랜스퍼라제(ornithine carbamoyltransferase) I를 코딩하는 유전자(argI) 및 퓨트레신 임포터(putrescine importer)를 코딩하는 유전자(puuP)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약화 또는 결실되어 있고, arginine 생합성을 위한 오페론을 코딩하는 유전자(argECBH), 아세틸오르니틴 아미노 트랜스아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argD) 및 유도 가능한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inducible ornithine decarboxylase)와 퓨트레신/오르니틴 안티포터(putrescine/ornithine antiporter)를 코딩하는 유전자(speF-pot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 프로모터가 strong promoter로 치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rginine 생합성을 위한 오페론을 코딩하는 유전자(argECBH)는 공동 조절 오페론(divergent operon) 으로서, 측면에 두개의 convergent 프로모터인 argEp , argCBHp와 내부에 오퍼레이터(operator)를 포함한다. 상기 두 프로모터들은 arginine에 의해 억제된다(Charlier and Glansdorff, 2004). 따라서, argECBH 오페론의 야생형 프로모터(native promoter)를 strong promoter로 치환시키면 Ornithine에 대한 대사 플럭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argE는 N-acetylornithinase를 코딩하는 유전자이고, argC는 N-acetylglutamylphosphate reductase를 코딩하는 유전자이고, argB는 N-acetylglutamate kinase를 코딩하는 유전자이고, argH는 argininosuccinase를 코딩 하는 유전자이다.
또한, 낮은 pH에서 유도되는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inducible ornithine decarboxylase)와 퓨트레신/오르니틴 안티포터(putrescine/ornithine antiporter)를 코딩하는 유전자(speF-potE)는 inducible ornithine decarboxylase와 putrescine/ornithine antiporter를 코딩한다. 따라서, speF-potE 오페론의 야생형 프로모터(native promoter)를 strong promoter로 치환시키면 speF-potE operon을 항시적으로 발현시킬 수 있으므로, 퓨트레신의 생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세틸오르니틴 아미노 트랜스아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argD)의 프로모터는 arginine에 의해 억제된다(Charlier and Glansdorff, 2004). 따라서, argD 오페론의 야생형 프로모터(native promoter)를 strong promoter로 치환시키면 Ornithine에 대한 대사 플럭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변이 미생물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γ-글루타밀퓨트레신 합성효소(γ-glutamylputrescine syntase)를 코딩하는 유전자(puuA), 퓨트레신 트랜스아민아제(putrescine transaminase)를 코딩하는 유전자(ygjG) 및 오르니틴 카바모일트랜스퍼라제(ornithine carbamoyltransferase) F를 코딩하는 유전자(argF)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추가로 약화 또는 결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은 퓨트레신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되도록 lac operon repressor를 코딩하는 유전자(lacI)가 추가로 결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ornithine decarboxyl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C)는 strong promoter를 함유하는 발현벡터 형태로 도입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 프로모터의 치환 및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ornithine decarboxyl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C)의 도입과 관련된 strong promoter는 trc promoter, tac promoter, T7 promoter, lac promoter 및 trp promoter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예는 퓨트레신(putrescine)의 분해 또는 이용 경로에 관여하는 스퍼미딘 합성효소(spermidine synth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E), 스퍼미딘 N-아세틸트랜스퍼라제(spermidine N-acetyltransfer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G), 오르니틴 카바모일트랜스퍼라제(ornithine carbamoyltransferase) I를 코딩하는 유전자(argI) 및 퓨트레신 임포터(putrescine importer)를 코딩하는 유전자(puuP)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약화 또는 결실되어 있고, arginine 생합성을 위한 오페론을 코딩하는 유전자(argECBH), 아세틸오르니틴 아미노 트랜스아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argD) 및 유도 가능한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inducible ornithine decarboxylase)와 퓨트레신/오르니틴 안티포터(putrescine/ornithine antiporter)를 코딩하는 유전자(speF-pot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 프로모터가 strong promoter로 치환되어 있으며,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ornithine decarboxyl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C)가 도입 또는 증폭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변이 미생물을 배양하여 퓨트레신을 생성시킨 다음, 배양액으로부터 퓨트레신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변이 미생물의 배양 및 퓨트레신의 수득 과정은 종래 발효공정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배양방법(회분식 배양, 유가식 배양) 및 퓨트레신의 분리 및 정제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퓨트레신의 생물공학적 생산은 세포 내 혹은 세포 외(in vivo or in vitro)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하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특정 벡터와 숙주세포로 퓨트레신 생성 미생물인 에스케리치아 속(Escherichia sp.) 미생물만을 예시하였으나, 다른 종류의 벡터와 퓨트레신 생성 미생물들을 사용하는 것 역시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라 할 것이다.
실시예 1:
퓨트레신(putrescine)의 분해 또는 이용 경로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결실 된 변이 미생물의 제조
본 발명에 있어서, 염색체 상의 유전자들(puuA, puuP, ygjG, speE, speG, argF, argI)의 결실은 이중교차상동 재조합(double-crossover homologous recombination)에 의해서 수행되었다(Datsenko, K. A., & Wanner, B. L. Proc. Natl. Acad. Sci., 97:6640-6645, 2000). lox71-chloramphenicol marker (CmR)-lox66 카세트는 타겟 유전자의 상단서열(upstream)과 하단서열(downstream)과 상동하는 50개의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들을 사용하여 PCR을 통해 제조하였다. lox71-CmR-lox66 카세트를 포함하는 pECmulox(Kim, J.M., Lee, K.H. & Lee, S.Y., FEMS Microbiol. Lett., 278: 78-85, 2008)를 PCR의 주형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PCR 산물들은 λ recombinase를 포함하는 전기충격용 대장균 세포(electrocompetent cells)에 트랜스포메이션시켰다. 콜로니들은 클로로암페니콜(Cm; 34μg/ml)을 포함하는 Luria-Bertani (LB) agar (Sambrook, J., Fritsch E. F., & Maniatis, T.,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3rd edition,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2000) 플레이트에서 선택되었다. CmR 의 성공적인 유전자 대체는 direct colony PCR에 의해서 확인되었다. 상기 항생제 마커는 차후에 temperature-sensitive replication origin과 IPTG-inducible cre recombinase (Palmeros et al., Gene, 247(1):255-264, 2000)를 포함하는 helper plasmid pJW168에 의해 제거되었다.
1-1: WL3110 균주의 제조
서열번호 1과 2의 프라이머, 주형으로써 플라스미드인 pECmulox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함으로써, lacI 유전자가 결실된 PCR 산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제조된 PCR 산물을 정제한 후, λ recombinase를 함유하는 전기충격용 대장균(W3110)에 electroporation하여 WL3110(W3110 ΔlacI)를 제조하였다.
[서열번호 1] : 5'-GTGAAACCAGTAACGTTATACGATRTCGCAGAGTATGCCGGTGTCTCTTAGAT TGGCAGCATTACACGTCTTG-3'
[서열번호 2] : 5'-TCACTGCCCGCTTTCCAGTCGGGAAACCTGTCGTGCCAGCTGCATTAATGCAC TTAACGGCTGACATGGG-3'
1-2: XQ08 균주의 제조
서열번호 3 및 4의 프라이머, 주형으로써 플라스미드인 pECmulox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함으로써, speE 유전자가 결실된 PCR 산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제조된 PCR 산물을 정제한 후, 상기 1-1에서 제조된 WL3110 균주에 electroporation하여 XQ08 균주(W3110 ΔlacI ΔspeE)를 제조하였다.
[서열번호 3]: 5'-CGCCTGAATAATTTCGGTTGAGAGATGGCGTAAGGCGTCGTTATCTGTCG GACACTATAGAACGCGGCCG-3'
[서열번호 4]: 5'-ATGTTGCGCCCTTTTTTTACGGGTGTTAACAAAGGAGGTATCAACCCATG CCGCATAGGCCACTAGTGGA-3'
1-3: XQ17 균주의 제조
서열번호 5 및 6의 프라이머, 주형으로써 플라스미드 pECmulox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함으로써, puuA 유전자가 결실된 PCR 산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제조된 PCR 산물을 정제한 후, 상기 1-1에서 제조된 WL3110 균주에 electroporation하여 XQ17 균주(W3110 ΔlacI ΔpuuA)를 제조하였다.
[서열번호 5]: 5'-GATGAAACAACCCCGCAAGGGGTATTACGCGTTTTTCAACATCCACTCAAGAC ACTATAGAACGCGGCCG-3'
[서열번호 6]: 5'-CGAGCGGAAAACAAACCAAAGGCGAAGAATCATGGAAACCAATATCGTTGCCGC ATAGGCCACTAGTGGA-3'
1-4: XQ22 균주의 제조
서열번호 6 및 7의 프라이머, 주형으로써 플라스미드 pECmulox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함으로써, puuP 유전자가 결실된 PCR 산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제조된 PCR 산물을 정제한 후, 상기 1-3에서 제조된 XQ17 균주(W3110 ΔlacI ΔpuuA)에 electroporation하여 XQ22 균주(W3110 ΔlacI ΔpuuP ΔpuuA)를 제조하였다.
[서열번호 6]: 5'-CGAGCGGAAAACAAACCAAAGGCGAAGAATCATGGAAACCAATATCGTTGCCGC ATAGGCCACTAGTGGA-3'
[서열번호 7]: 5'-TCACCATCATACAACGGCACTTTGCGATAGCGGCGGATCAGATACCATAAGAC ACTATAGAACGCGGCCG-3'
1-5: XQ23 균주의 제조
서열번호 8 및 9의 프라이머, 주형으로써 플라스미드 pECmulox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함으로써, speE 유전자가 결실된 PCR 산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제조된 PCR 산물을 정제한 후, 상기 1-1에서 제조된 WL3110 균주에 electroporation하여 XQ23-1 균주(W3110 ΔlacI ΔspeE)를 제조하였다.
[서열번호 8]: 5'-CGCCTGAATAATTTCGGTTGAGAGATGGCGTAAGGCGTCGTTATCTGTCG GACACTATAGAACGCGGCCG-3'
[서열번호 9]: 5'-ATGTTGCGCCCTTTTTTTACGGGTGTTAACAAAGGAGGTATCAACCCATG CCGCATAGGCCACTAGTGGA-3'
서열번호 10 및 11의 프라이머, 주형으로써 플라스미드 pECmulox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함으로써, speG 유전자가 결실된 PCR 산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제조된 PCR 산물을 정제한 후, 앞서 제조된 XQ23-1 균주(W3110 ΔlacI ΔspeE)에 electroporation하여 XQ23-2 균주(W3110 ΔlacI ΔspeE ΔspeG )를 제조하였다.
[서열번호 10]: 5'-GAATGTAAGGACACGTTATGCCAAGCGCCCACAGTGTTAAGCTACGCCCG GACACTATAGAACGCGGCCG-3'
[서열번호 11]: 5'-CTATTGTGCGGTCGGCTTCAGGAGAGTCTGACCCGGTGTTTTGTGCTCTG CCGCATAGGCCACTAGTGGA-3'
서열번호 12 및 13의 프라이머, 주형으로써 플라스미드 pECmulox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함으로써, argI 유전자가 결실된 PCR 산물을 제조하였다.
[서열번호 12]: 5'-TAATGTGATGCCGGGATGGTTTGTATTTCCCGGCATCTTTATAGCGATA GGACACTATAGAACGCGGCCG-3'
[서열번호 13]: 5'-CCATATAAATTGAATTTTAATTCATTGAGGCGTTAGCCACAGGAGGGAT CCCGCATAGGCCACTAGTGGA-3'
다음으로, 제조된 PCR 산물을 정제한 후, 이를 주형으로 하고, 서열번호 14 및 15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제조된 PCR 산물을 정제한 후, 앞서 제조된 XQ23-2 균주(W3110 ΔlacI ΔspeE ΔspeG )에 electroporation하여 XQ23 균주(W3110 ΔlacI ΔspeE ΔspeG ΔargI )를 제조하였다.
[서열번호 14]: 5'-ATAGCAATAGAACACTTTGGGTGGAAGAATAGACCTATCACTGCATAAA ATAATGTGATGCCGGGATGGTT-3'
[서열번호 15]: 5'-CCACCTTTGTGACAAAGATTTATGCTTTAGACTTGCAAATGAATAATCAT CCATATAAATTGAATTTTAA-3'
1-6: XQ26 균주의 제조
상기 1-3에서 제조된 puuA 유전자가 결실된 PCR 산물 및 상기 1-4에서 제조된 puuP 유전자가 결실된 PCR 산물을 순차적으로 XQ23 균주(W3110 ΔlacI ΔspeE ΔspeG ΔargI )에 electroporation하여 XQ26 균주(W3110 ΔlacI ΔspeE ΔspeG ΔargI ΔpuuP ΔpuuA)를 제조하였다.
1-7: XQ27 균주의 제조
서열번호 16 및 17의 프라이머, 주형으로써 플라스미드 pECmulox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함으로써, ygjG 유전자가 결실된 PCR 산물을 제조하였다.
[서열번호 16]: 5'-CTGCAATACTTAAATCGGTATCATGTGATACGCGAGCCTCCGGAGCATATGA CACTATAGAACGCGGCCG-3'
[서열번호 17]: 5'-CGTCGTATCGCCATCCGATTTGATATTACGCTTCTTCGACACTTACTCGCCC GCATAGGCCACTAGTGGA-3'
제조된 PCR 산물을 정제한 후, 상기 1-5에서 제조된 XQ23-2 균주(W3110 ΔlacI ΔspeE ΔspeG )에 electroporation하여 XQ27-1 균주(W3110 ΔlacI ΔspeE ΔspeG ΔygjG)를 제조하고, 여기에 상기 1-3에서 제조된 puuA 유전자가 결실된 PCR 산물 및 상기 1-4에서 제조된 puuP 유전자가 결실된 PCR 산물을 순차적으로 electroporation하여 XQ27 균주(W3110 ΔlacI ΔspeE ΔspeG ΔygjG ΔpuuP ΔpuuA)를 제조하였다.
1-8: XQ29 균주의 제조
상기 1-7에서 제조된 ygjG 유전자가 결실된 PCR 산물을 상기 1-6에서 제조된 XQ26 균주(W3110 ΔlacI ΔspeE ΔspeG ΔargI ΔpuuP ΔpuuA)에 electroporation 하여 XQ29 균주(W3110 ΔlacI ΔspeE ΔspeG ΔygjG ΔargI ΔpuuP ΔpuuA)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프로모터의 치환
퓨트레신의 생성능을 향상시기키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변이 균 주(XQ26)의 프로모터를 strong promoter인 trc로 치환시켰다.
2-1: XQ33 균주의 제조
argECBH 오페론의 야생형 프로모터(native promoter)에 대한 trc 프로모터로의 교환은 하기의 내용에 따라 수행하였다.
융합된 lox71-클로로암페니콜 항생제 마커-lox66 DNA 절편은 주형으로 pECmulox, 프라이머로 서열번호 18, 19를 사용하여 첫 번째 PCR을 통해 획득하였다.
[서열번호 18]: 5'-TATCCGCTCACAATTCCACACATTATACGAGCCGGATGATTAATTGTCAA CAGCTGACACTATAGAACGCGGCCG-3'
[서열번호 19]: 5'-TATCCGCTCACAATTCCACACATTATACGAGCCGGATGATTAATTGTCAA CAGCTCCGCATAGGCCACTAGTGGA-3'
trc 프로모터를 도입하기 위하여, 첫번째 PCR산물을 주형으로서 사용하고, 서열번호 20 및 21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2번째 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서열번호 20]: 5'-CGCTGGCACCCACAATCAGCGTATTCAACATGGTCTGTTTCCTGTGTGAA ATTGTTATCCGCTCACAATTCCACA-3'
[서열번호 21]: 5'-TCTCGATAAATGGCGGTAATTTGTTTTTCATGGTCTGTTTCCTGTGTGA AATTGTTATCCGCTCACAATTCCACA-3'
최종 PCR 산물로 상동성 부위를 도입하기 위하여, 두 번째 PCR산물을 주형으로 하고, 서열번호 22와 23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3번째 PCR반응을 수행하였다.
[서열번호 22]: 5'-ATGTTCATATGCGGATGGCGATTTACATAGGTCACTAGCTCTGCGCCAGC GTAGCCGCTGGCACCCACAATCAGC-3'
[서열번호 23]: 5'-TCGAGTGCCTCTTCCGTGGCGCTTATTGAAGGTGTGGCAATCAGAGCGCG GTAAATCTCGATAAATGGCGGTAAT-3'
최종 PCR 산물을 상기 1-6에서 제조된 XQ26 균주(W3110 ΔlacI ΔspeE ΔspeG ΔargI ΔpuuP ΔpuuA )에 electroporation 하여 재조합 미생물을 제작한 다음, 이를 클로로암페니콜(chloroamphenicol)이 포함된 아가(agar)고체 배지에서 배양하면서 이중 상동성 재조합(double homologous recombination)이 진행된 세포만을 스크리닝하여, XQ33 균주(W3110 ΔlacI ΔspeE ΔspeG ΔargI ΔpuuP ΔpuuA PargECBH::Ptrc)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제조된 균주를 trc 프로모터로의 프로모터 교환은 DNA 서열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2-2: XQ37 균주의 제조
speF-potE 오페론의 야생형 프로모터(native promoter)에 대한 trc promoter로의 교환은 하기 방식에 따라 수행하였다.
첫 번째 PCR 반응은 주형으로써 플라스미드인 pECmulox와 상기의 서열번호 19와 하기의 서열번호 24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서열번호 24]: 5'-ACTAAGGGCACTTCAGCGTACAGGTCTTCCTGACTCTCTGTAGACACTATA GAACGCGGCCG-3'
두 번째 PCR반응은 첫 번째 PCR산물을 주형으로서 사용하고, 서열번호 25 및 26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서열번호 25]: 5'-AGCTTCGACTTTCACTTCTTCAATGCCCGTTAGTCTACCGACTAAGGGCAC TTCAGCGTA-3'
[서열번호 26]: 5'-AATCACTAACCGCAATTTTTAATTTTGACATGGTCTGTTTCCTGTGTGAAA TTGTTATCCGCTCACAATTCCACA-3'
세 번째 PCR반응은 두 번째 PCR산물을 주형으로 하고. 서열번호 27 및 28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서열번호 27]: 5'-AAGGCGGACAACTCATATTATGAAGTTTGCTCATCGCAATAGCTTCGACTTT CACTTCTT-3'
[서열번호 28]: 5'-CGACTTTCATTAATGTAGATACATTCTCGCTGCGTGGTAAAACAGTCCGGGC AAGAATCACTAACCGCAATTTTTAA-3'
최종 PCR 산물을 상기 2-1에서 제조된 XQ33 균주(W3110 ΔlacI ΔspeE ΔspeG ΔargI ΔpuuP ΔpuuA PargECBH::Ptrc)에 electroporation 하여 재조합 미생물을 제작한 다음, 이를 클로로암페니콜(chloroamphenicol)이 포함된 아가(agar)고체 배지에서 배양하면서, 이중 상동성 재조합(double homologous recombination)이 진행된 세포만을 스크리닝하여 XQ37 균주(W3110 ΔlacI ΔspeE ΔspeG ΔargI ΔpuuP ΔpuuA PargECBH::Ptrc PspeF-potE::Ptrc)를 제조하였다. trc 프로모터로의 프로모터 교환은 DNA 서열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2-3: XQ39 균주의 제조
argD 오페론의 야생형 프로모터(native promoter)에 대한 trc promoter로의 교환은 하기 방식에 따라 수행하였다.
첫 번째 PCR반응은 pECmulox를 주형으로 하고 상기의 서열번호 19와 하기의 서열번호 29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서열번호 29]: 5'-CAACTGCTGGCTAATTTCCTGCATCGCTGATTTCTGATTGGACACTATAGAA CGCGGCCG-3
두 번째 PCR반응은 첫 번째 PCR산물을 주형으로서 사용하고, 서열번호 30 및 31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서열번호 30]: 5'- GCAGTTCCATCCAGAAAGTATTCTTAGCGAACAAGGACATCAACTGCTGG CTAATTTCCT-3'
[서열번호 31]: 5'- CGCGTGTAATTGCTGTTTGTTCAATTGCCATGGTCTGTTTCCTGTGTGAAA TTGTTATCCGCTCACAATTCCACA-3'
세 번째 PCR반응은 첫 번째 PCR산물을 주형으로서 사용하고, 서열번호 32 및 33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서열번호 32]: 5'- TTATGGGGATTCGCCATCGCCAGTGGGATCTGGAAGGTGTGCAGTTCCATC CAGAAAGTA-3'
[서열번호 33]: 5'- CGGAGCATAAATCGGCAGGATCACTTCATCGAAAGTCGCGCGTGTAATTGC TGTTTGT-3'
최종 PCR산물은 상기 2-2에서 제조된 XQ37 균주(W3110 ΔlacI ΔspeE ΔspeG ΔargI ΔpuuP ΔpuuA PargECBH::Ptrc PspeF-potE::Ptrc)에 electroporation 하여 XQ39 균주(W3110 ΔlacI ΔspeE ΔspeG ΔargI ΔpuuP ΔpuuA PargECBH::Ptrc PspeF-potE::Ptrc PargD::Ptrc)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제조된 균주를 클로로암페니콜(chloroamphenicol)이 포함된 아가(agar)고체 배지에서 배양하면서 이중 상동성 재조합(double homologous recombination)이 진행된 세포만을 스크리닝하였다. trc 프로모터로의 프로모터 교환은 DNA 서열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2-4: XQ43 균주의 제조
speC 유전자의 야생형 프로모터(native promoter)에 대한 trc promoter로의 교환은 하기 방식에 따라 수행하였다. 첫 번째 PCR 반응은 pECmulox를 주형으로 하고 상기의 서열번호 19와 하기의 서열번호 36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서열번호 36]: 5'-TTTGCCCGATGCACGCCATCTCCTTACATTCTCTCGCTTATCGCCGTTTCGAC ACTATAGAACGCGGCCG-3'
두 번째 PCR반응은 첫 번째 PCR산물을 주형으로서 사용하고, 서열번호 37 및 38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서열번호 37]: 5'-TGCCATGATTGCGCGAATTTTCTCCTCTCTGTACGGAGTTTGCCCGATGCAC GCCAT-3'
[서열번호 38]: 5'-TACTGGCGGCAATATTCATTGATTTCATGGTCTGTTTCCTGTGTGAAATTG TTATCCGCTCACAATTCCACACAT-3'
세 번째 PCR반응은 두 번째 PCR산물을 주형으로서 사용하고, 서열번호 39 및 40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서열번호 39]: 5'-GATGGCTTGTTTGTTCGCAAAGTCCTGGCTTGCACGCTTTAGCGAAAGGTGC CATGATTGCGCGAATTT-3'
[서열번호 40]: 5'-ATCTCCCAACGCCACCACGCGACGATGAGAAGAAAGTCGGGATACCAGTTC ACTACTGGCGGCAATATTCATTGA-3'
최종 PCR산물은 상기 2-3에서 제조된 XQ39 균주(W3110 ΔlacI ΔspeE ΔspeG ΔargI ΔpuuP ΔpuuA PargECBH::Ptrc PspeF-potE::Ptrc PargD::Ptrc)에 electroporation 하여 재조합 미생물을 제작한 다음, 이를 클로로암페니콜(chloroamphenicol)이 포함된 아가(agar)고체 배지에서 배양하면서 이중 상동성 재조합(double homologous recombination)이 진행된 세포만을 스크리닝하여 XQ43 균주(W3110 ΔlacI ΔspeE ΔspeG ΔargI ΔpuuP ΔpuuA PargECBH::Ptrc PspeF-potE::Ptrc PargD::Ptrc PspeC::Ptrc)를 제조하였다. trc 프로모터로의 프로모터 교환은 DNA 서열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변이 미생물을 이용한 퓨트레신의 제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표 1의 변이 균주(E. coli K12 WL3110 변이체)들을 4g/L (NH4)2HPO4, 13.5g/L KH2PO4, 1.7g/L citric acid, 0.7g/L MgSO4·7H2O, 0.5% (v/v) trace metal solution으로 구성되는 최소 R배지(Lee, S. Y., & Chang, H. N., Biotechnol. Lett., 15: 971-974, 1993)에서 플라스크 컬쳐하였다. Trace metal solution은 1리터당 5M HCl: 10g FeSO4·7H2O, 2.25g ZnSO4·7H2O, 1g CuSO4·5H2O, 0.5g MnSO4·5H2O, 0.23g Na2B4O7·10H2O, 2g CaCl2·2H2O, 및 0.1g (NH4)6Mo7O24을 포함한다. 포도당(100g/l) 저장 용액은 별도로 멸균시켰고, 최종 농도 10g/l까지 멸균된 배지에 추가 하였다.
LB 배지에서 활성화된 100μL 세포 컬쳐들을 예비 최소배지로 접종시킨 후, 30℃, 220 rpm으로 24시간동안 최대 OD600이 5가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후, 이 들 중 1ml을 동일한 배지 50mL을 포함하는 350-mL baffled flask에 첨가한 후, 30℃, 220 rpm으로 15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세포를 분리한 후에, 해리된 상등액을 HPLC로 분석하였다. 상등액에 포함된 아민들은 휴렛페커드 1100 시리즈 장비(230nm 영역)에서 ophthaldialdehyde(OPA) 유도체로 검출하였다. 이 장비는 a C18-reverse phase column equilibrated to buffer A (buffer A, 45% 0.1 M sodium acetate pH 7.2/Methanol buffer B methanol)를 사용한다. 분석은 다음의 조건(1-6min 100% A equilibration, 6-10min linear gradient from 0 to 30% buffer B, 10-15min 30% to 50% buffer B, 15-19min 50% to 100% buffer B, 19-23min 100% buffer B and 23-25 min from 100% to 30% buffer B, 25-28min from 30% B to 100% A with a flow rate of 0.8 ml/min)에서 수행되었다. 이때, 보정을 위하여 표준물질을 사용하였으며, 측정된 퓨트레신(putrescine)의 농도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Strain | Genotype | Putrescine concentration (mg/L) |
WL3110 | W3110 ΔlacI | 0 |
XQ08 | W3110 ΔlacI ΔspeE | 0.65 |
XQ17 | W3110 ΔlacI ΔpuuA | 0 |
XQ22 | W3110 ΔlacI ΔpuuP ΔpuuA | 0.6 |
XQ23 | W3110 ΔlacI ΔspeE ΔspeG ΔargI | 1.8 |
XQ26 | W3110 ΔlacI ΔspeE ΔspeG ΔargI ΔpuuP ΔpuuA | 8.5 |
XQ27 | W3110 ΔlacI ΔspeE ΔspeG ΔygjG ΔpuuP ΔpuuA | 4.2 |
XQ29 | W3110 ΔlacI ΔspeE ΔspeG ΔygjG ΔargI ΔpuuP ΔpuuA | 8.5 |
XQ33 | W3110 ΔlacI ΔspeE ΔspeG ΔargI ΔpuuP ΔpuuA PargECBH::Ptrc | 28.3 |
XQ37 | W3110 ΔlacI ΔspeE ΔspeG ΔargI ΔpuuP ΔpuuA PargECBH::Ptrc PspeF-potE::Ptrc | 510 |
XQ39 | W3110 ΔlacI ΔspeE ΔspeG ΔargI ΔpuuP ΔpuuA PargECBH::Ptrc PspeF-potE::Ptrc PargD::Ptrc | 820 |
XQ43 | W3110 ΔlacI ΔspeE ΔspeG ΔargI ΔpuuP ΔpuuA PargECBH::Ptrc PspeF-potE::Ptrc PargD::Ptrc PspeC::Ptrc | 827 |
표 1로부터, 퓨트레신(putrescine)의 분해 또는 이용 경로에 관여하는 유전자(puuP, puuA, speE, speG, argI)가 결실된 변이 미생물들은 결실된 유전자의 종류 및 그 수에 따라 퓨트레신의 생성능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변이 미생물의 arginine 생합성을 위한 오페론을 코딩하는 유전자(argECBH), 아세틸오르니틴 아미노 트랜스아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argD) 및 유도 가능한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inducible ornithine decarboxylase)와 퓨트레신/오르니틴 안티포터(putrescine/ornithine antiporter)를 코딩하는 유전자(speF-potE),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를 코딩하는 유전자(speC) 프로모터가 strong promoter로 교환된 경우, 퓨트레신의 생성능이 더욱 증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ornithine decarboxylase)를 코딩하는 유전자(
speC
)의 증폭
4-1: 플라스미드 pKKSpeC 제조
항시적, 생합성적 E.coli W3110의 speC를 코딩하는 ornithine decarboxylase는 tac promoter의 강한 유전자 발현을 진행하는 pKK223-3 (Pharmacia Biotech, Uppsala, Sweden) 발현벡터로 클로닝하였다. E. coli W3110 (derived from E. coli K-12, λ-, F-, prototrophic)의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합성된 서열번호 34와 35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함으로써, speC 절편(2156bp)을 제조하였다.
[서열번호 34]: 5'-CAGCGAATTCATGAAATCAATGAATATTGCC-3'
[서열번호 35]: 5'-CATTCTGCAGTTACTTCAACACATAACCGTA-3'
다음으로 제조된 speC 절편(2156bp) 및 pKK223-3 플라스미드에 제한효소( EcoRI 와 PstI)를 처리한 후, T4 DNA ligase를 처리하여, 제한효소로 절단된 speC 절편 및 pKK223-3 플라스미드를 중합시킴으로써, high copy number의 재조합 플라스미드인 벡터 pKKSpeC를 제조하였다.
4-2: 플라스미드 p15SpeC 제조
항시적, 생합성적 E. coli W3110의 speC를 코딩하는 ornithine decarboxylase는 tac promoter의 강한 유전자 발현을 진행하는 pTac15K(p15A origin, low copies, KmR;KAISTMBELstock) 발현벡터로 클로닝하였다. E. coli W3110 (derived from E. coli K-12, λ-, F-, prototrophic)의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 고, 합성된 서열번호 34와 35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함으로써, speC 절편(2156bp)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제조된 speC 절편(2156bp) 및 pTac15K 플라스미드에 제한효소( EcoRI 와 PstI)를 처리한 후, T4 DNA ligase를 처리하여, 제한효소로 절단된 speC 절편 및 pTac15K 플라스미드를 중합시킴으로써, low copy number의 재조합 플라스미드인 벡터 p15SpeC를 제조하였다.
4-3: WL3110/pKKSpeC 균주의 제조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WL3110 균주에 상기 4-1에서 제조된 pKKSpeC 벡터를 도입시켜 WL3110/pKKSpeC 균주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제조된 균주를 암피실린(ampicillin)이 포함된 아가(agar)고체 배지에서 배양하면서 재조합된 변이 미생물들을 선별하였다.
4-4: XQ17/pKKSpeC 균주의 제조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XQ17 균주에 상기 4-1에서 제조된 pKKSpeC 벡터를 도입시켜 XQ17/pKKSpeC 균주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제조된 균주를 암피실린(ampicillin)이 포함된 아가(agar)고체 배지에서 배양하면서 재조합된 변이 미생물들을 선별하였다.
4-5: XQ22/pKKSpeC 균주의 제조
실시예 1-4에서 제조된 XQ22 균주에 상기 4-1에서 제조된 pKKSpeC 벡터를 도입시켜 XQ22/pKKSpeC 균주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제조된 균주를 암피실린(ampicillin)이 포함된 아가(agar)고체 배지에서 배양하면서 재조합된 변이 미생물들을 선별하였다.
4-6: XQ26/pKKSpeC 균주의 제조
실시예 1-6에서 제조된 XQ26 균주에 상기 4-1에서 제조된 pKKSpeC 벡터를 도입시켜 XQ26/pKKSpeC 균주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제조된 균주를 암피실린(ampicillin)이 포함된 아가(agar)고체 배지에서 배양하면서 재조합된 변이 미생물들을 선별하였다.
4-7: XQ33/pKKSpeC 균주의 제조
실시예 2-1에서 제조된 XQ33 균주에 상기 4-1에서 제조된 pKKSpeC 벡터를 도입시켜 XQ33/pKKSpeC 균주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제조된 균주를 암피실린(ampicillin)이 포함된 아가(agar)고체 배지에서 배양하면서 재조합된 변이 미생물들을 선별하였다.
4-8: XQ37/pKKSpeC 균주의 제조
실시예 2-2에서 제조된 XQ37 균주에 상기 4-1에서 제조된 pKKSpeC 벡터를 도입시켜 XQ37/pKKSpeC 균주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제조된 균주를 암피실 린(ampicillin)이 포함된 아가(agar)고체 배지에서 배양하면서 재조합된 변이 미생물들을 선별하였다.
4-9: XQ39/pKKSpeC 균주의 제조
실시예 2-3에서 제조된 XQ39 균주에 상기 4-1에서 제조된 pKKSpeC 벡터를 도입시켜 XQ39/pKKSpeC 균주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제조된 균주를 암피실린(ampicillin)이 포함된 아가(agar)고체 배지에서 배양하면서 재조합된 변이 미생물들을 선별하였다.
4-10: XQ43/p15SpeC 균주의 제조
실시예 2-4에서 제조된 XQ43 균주에 상기 4-2에서 제조된 p15SpeC 벡터를 도입시켜 XQ43/p15SpeC 균주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제조된 균주를 암피실린(ampicillin)이 포함된 아가(agar)고체 배지에서 배양하면서 재조합된 변이 미생물들을 선별하였다.
실시예 5:
ornithine decarboxylase를 코딩하는 유전자(
speC
)가 증폭된 변이 미생물을 이용한 퓨트레신의 제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변이 균주들을 실시예 3과 동일한 배지를 함유하는 shake flask에서 배양하였다.
LB 배지에서 활성화된 100μL 세포 컬쳐들을 예비 최소배지로 접종시킨 후, 30℃, 220 rpm으로 30시간 동안 최대 OD600이 5가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후, 이들 중 1ml을 동일한 배지 50mL을 포함하는 350-mL baffled flask에 첨가한 후, 30℃, 220 rpm으로 27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세포를 분리한 후에, 해리된 상등액을 HPLC로 실시예 3과 동일한 조건에서 분석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Strain/plasmid | Putrescine concentration(mg/L) |
WL3110/pKKSpeC | 220 |
XQ17/pKKSpeC | 368 |
XQ22/pKKSpeC | 400 |
XQ26/pKKSpeC | 433 |
XQ33/pKKSpeC | 910 |
XQ37/pKKSpeC | 1100 |
XQ39/pKKSpeC | 1189 |
XQ43/p15SpeC | 1317 |
표 2로부터, ornithine decarboxylase speC와 함께 동시발현되었을 때, 감소된 퓨트레신 분해 및 이용 활성도를 갖는 변이 미생물들(WL3110/pKKSpeC, XQ17/pKKSpeC, XQ22/pKKSpeC, XQ26/pKKSpeC, XQ33/pKKSpeC, XQ37/pKKSpeC , XQ39/pKKSpeC 및 XQ43/p15SpeC)은 pKKSpeC 또는 p15SpeC가 도입되지 않은 표 1의 변이 미생물(WL3110, XQ17, XQ22, XQ26, XQ33, XQ37, XQ39 및 XQ43)보다 퓨트레신 생산이 월등히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XQ37/pKKSpeC 균주의 유가식 배양을 통한 퓨트레신의 제조
감소된 퓨트레신 분해 및 이용 활성도의 포텐셜을 증가된 오르니신 디카르복실레이즈 활성도와 함께 유가식 발효에서 분석하였다. 유가식 발효는 R배지 2리터 에 10g/l 농도의 포도당을 첨가한 후, 6.6리터 발효기(Bioflo 3000; New Brunswick Scientific Co., Edison, NJ)에서 수행하였다. LB배지에서 활성화된 XQ37/pKKSpeC 컬쳐 중 1ml을 동일한 배지 50mL을 포함하는 350-mL baffled flask에 첨가한 후, 30℃, 220rpm으로 24시간동안 OD600이 5가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예비 컬쳐 200ml은 그 후 발효기로 접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용존산소(Dissolved oxygen)는 850 rpm의 교반속도를 자동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포화공기 20%로써 유지되었다. 포도당 고갈에 따라 고정된 pH 6.8보다 0.02 정도로 더 올라갔을 때, 포도당 농도롤 3g/l 이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공급 용액은 자동적으로 추가되었다. 또한 공급용액은 500g/l의 포도당과 200g/L의 (NH4)2SO4 를 포함한다. 포도당 고갈에 따른 pH증가의 짧은 시간을 제외하면, 대부분 28% (v/v) 암모니아 용액을 추가시킴으로써 pH를 6.8로 유지시켰다. 샘플을 채취하고, 원심분리를 사용하여 세포를 분리한 후에 해리된 상등액을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HPLC 분석하였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XQ37/pKKSpeC균주는 접종 55.8시간 후, 14.3g/l의 퓨트레신을 생산하였고, 최대 퓨트레신 생산성(productivity)는 접종 47시간 후, 0.28g L-1 h-1 이었다.
실시예 7:
XQ39 균주의 유가식 배양을 통한 퓨트레신의 제조
XQ37/pKKSpeC 균주 대신에 XQ39 균주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가식 발효를 수행하였고, 발효액을 HPLC로 분석하였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XQ39 균주는 접종 36시간 후, 14.7g/l의 퓨트레신을 생산하였 고, 최대 퓨트레신 생산성(productivity)는 접종 31시간 후, 0.42g L-1 h-1 이었다.
실시예 8:
XQ43 균주의 유가식 배양을 통한 퓨트레신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XQ43균주를 2g/L (NH4)2HPO4, 6.75g/L KH2PO4, 0.85g/L citric acid, 0.7g/L MgSO4·7H2O, 0.5% (v/v) trace metal solution으로 구성되는 최소 R/2배지(Qian et al., Biotechnol.and Bioeng, 101(3): 587-601, 2008)에 3g/L of (NH4)2SO4가 추가된 배지 50ml 에서 플라스크 컬쳐하였다.
Trace metal solution은 1리터당 5M HCl: 10g FeSO4·7H2O, 2.25g ZnSO4·7H2O, 1g CuSO4·5H2O, 0.5g MnSO4·5H2O, 0.23g Na2B4O7·10H2O, 2g CaCl2·2H2O, 및 0.1g (NH4)6Mo7O24을 포함한다. 포도당(100g/l) 저장 용액은 별도로 멸균시켰고, 최종 농도 10g/l까지 멸균된 배지에 추가 하였다. 이 때, LB배지에서 활성화된 XQ43 컬쳐 중 1ml을 상기에 제시된 배지 50mL을 포함하는 350mL baffled flask에 첨가한 후, 37℃, 220rpm으로 24시간동안 OD600이 3.3이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예비 컬쳐 200ml은 그 후 발효기로 접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용존산소(Dissolved oxygen)는 1000 rpm의 교반속도를 자동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포화공기 20%로써 유지되었다.
XQ43 균주의 유가식 발효는 상기와 동일한 배지에 10g/l 농도의 포도당을 첨가한 후, 6.6리터 발효기(Bioflo 3000; New Brunswick Scientific Co., Edison, NJ)에서 수행하였다. 포도당 고갈에 따라 고정된 pH 6.8보다 0.01 정도로 더 올라갔을 때, 포도당 농도롤 2g/l 이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공급 용액은 자동적으로 추가되었다. 또한 공급용액은 522g/l의 포도당과 8g/L의 MgSO4 170g/L의 (NH4)2SO4 를 포함한다. 포도당 고갈에 따른 pH증가의 짧은 시간을 제외하면, 대부분 10 M KOH 용액을 추가시킴으로써 pH를 6.8로 유지시켰다. 샘플을 채취하고, 원심분리를 사용하여 세포를 분리한 후에 해리된 상등액을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HPLC 분석하였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XQ43균주는 접종 30시간 후, 18.0g/l의 퓨트레신을 생산하였고, 최대 퓨트레신 생산성(productivity)은 접종 28시간 후, 0.63g L-1 h-1 이었다.
실시예 9:
XQ43/p15SpeC 균주의 유가식 배양을 통한 퓨트레신의 제조
XQ43 균주 대신에 XQ43/p15SpeC 균주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가식 발효를 수행하였고, 발효액을 HPLC로 분석하였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XQ43/p15SpeC 균주는 접종 37시간 후, 21.7g/l의 퓨트레신을 생산하였고, 최대 퓨트레신 생산성(productivity)는 접종 37시간 후, 0.58g L-1 h-1 이었다.
도 1은 포도당으로부터 퓨트레신의 합성경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XQ37/pKKSpeC cells로부터 포도당을 이용한 유가식 발효에서 퓨트레신의 생산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XQ39 cells로부터 포도당을 이용한 유가식 발효에서 퓨트레신의 생산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XQ43 cells로부터 포도당을 이용한 유가식 발효에서 퓨트레신의 생산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XQ43/p15SpeC cells로부터 포도당을 이용한 유가식 발효에서 퓨트레신의 생산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110>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120> Variant Microorganism Having Putrescine Producing Ability and
Method for Preparing Putrescine Using the Same
<130> p09-b036
<150> KR10-2008-0033125
<151> 2008-04-10
<160> 40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7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1
<400> 1
gtgaaaccag taacgttata cgatrtcgca gagtatgccg gtgtctctta gattggcagc 60
attacacgtc ttg 73
<210> 2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2
<400> 2
tcactgcccg ctttccagtc gggaaacctg tcgtgccagc tgcattaatg cacttaacgg 60
ctgacatggg 70
<210> 3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3
<400> 3
cgcctgaata atttcggttg agagatggcg taaggcgtcg ttatctgtcg gacactatag 60
aacgcggccg 70
<210> 4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
<400> 4
atgttgcgcc ctttttttac gggtgttaac aaaggaggta tcaacccatg ccgcataggc 60
cactagtgga 70
<210> 5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5
<400> 5
gatgaaacaa ccccgcaagg ggtattacgc gtttttcaac atccactcaa gacactatag 60
aacgcggccg 70
<210> 6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6
<400> 6
cgagcggaaa acaaaccaaa ggcgaagaat catggaaacc aatatcgttg ccgcataggc 60
cactagtgga 70
<210> 7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7
<400> 7
tcaccatcat acaacggcac tttgcgatag cggcggatca gataccataa gacactatag 60
aacgcggccg 70
<210> 8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8
<400> 8
cgcctgaata atttcggttg agagatggcg taaggcgtcg ttatctgtcg gacactatag 60
aacgcggccg 70
<210> 9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9
<400> 9
atgttgcgcc ctttttttac gggtgttaac aaaggaggta tcaacccatg ccgcataggc 60
cactagtgga 70
<210> 10
<211> 6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10
<400> 10
aatgtaagga cacgttatgc caagcgccca cagtgttaag ctacgcccgg acactataga 60
acgcggccg 69
<210> 11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11
<400> 11
ctattgtgcg gtcggcttca ggagagtctg acccggtgtt ttgtgctctg ccgcataggc 60
cactagtgga 70
<210> 12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12
<400> 12
taatgtgatg ccgggatggt ttgtatttcc cggcatcttt atagcgatag gacactatag 60
aacgcggccg 70
<210> 13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13
<400> 13
ccatataaat tgaattttaa ttcattgagg cgttagccac aggagggatc ccgcataggc 60
cactagtgga 70
<210> 14
<211> 7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14
<400> 14
atagcaatag aacactttgg gtggaagaat agacctatca ctgcataaaa taatgtgatg 60
ccgggatggt t 71
<210> 15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15
<400> 15
ccacctttgt gacaaagatt tatgctttag acttgcaaat gaataatcat ccatataaat 60
tgaattttaa 70
<210> 16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16
<400> 16
ctgcaatact taaatcggta tcatgtgata cgcgagcctc cggagcatat gacactatag 60
aacgcggccg 70
<210> 17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17
<400> 17
cgtcgtatcg ccatccgatt tgatattacg cttcttcgac acttactcgc ccgcataggc 60
cactagtgga 70
<210> 18
<211> 7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18
<400> 18
tatccgctca caattccaca cattatacga gccggatgat taattgtcaa cagctgacac 60
tatagaacgc ggccg 75
<210> 19
<211> 7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19
<400> 19
tatccgctca caattccaca cattatacga gccggatgat taattgtcaa cagctccgca 60
taggccacta gtgga 75
<210> 20
<211> 7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20
<400> 20
cgctggcacc cacaatcagc gtattcaaca tggtctgttt cctgtgtgaa attgttatcc 60
gctcacaatt ccaca 75
<210> 21
<211> 7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21
<400> 21
tctcgataaa tggcggtaat ttgtttttca tggtctgttt cctgtgtgaa attgttatcc 60
gctcacaatt ccaca 75
<210> 22
<211> 7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22
<400> 22
atgttcatat gcggatggcg atttacatag gtcactagct ctgcgccagc gtagccgctg 60
gcacccacaa tcagc 75
<210> 23
<211> 7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23
<400> 23
tcgagtgcct cttccgtggc gcttattgaa ggtgtggcaa tcagagcgcg gtaaatctcg 60
ataaatggcg gtaat 75
<210> 24
<211> 6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24
<400> 24
actaagggca cttcagcgta caggtcttcc tgactctctg tagacactat agaacgcggc 60
cg 62
<210> 25
<211> 6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25
<400> 25
agcttcgact ttcacttctt caatgcccgt tagtctaccg actaagggca cttcagcgta 60
60
<210> 26
<211> 7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26
<400> 26
aatcactaac cgcaattttt aattttgaca tggtctgttt cctgtgtgaa attgttatcc 60
gctcacaatt ccaca 75
<210> 27
<211> 6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27
<400> 27
aaggcggaca actcatatta tgaagtttgc tcatcgcaat agcttcgact ttcacttctt 60
60
<210> 28
<211> 7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28
<400> 28
cgactttcat taatgtagat acattctcgc tgcgtggtaa aacagtccgg gcaagaatca 60
ctaaccgcaa tttttaa 77
<210> 29
<211> 6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29
<400> 29
caactgctgg ctaatttcct gcatcgctga tttctgattg gacactatag aacgcggccg 60
60
<210> 30
<211> 6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30
<400> 30
gcagttccat ccagaaagta ttcttagcga acaaggacat caactgctgg ctaatttcct 60
60
<210> 31
<211> 7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31
<400> 31
cgcgtgtaat tgctgtttgt tcaattgcca tggtctgttt cctgtgtgaa attgttatcc 60
gctcacaatt ccaca 75
<210> 32
<211> 6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32
<400> 32
ttatggggat tcgccatcgc cagtgggatc tggaaggtgt gcagttccat ccagaaagta 60
60
<210> 33
<211> 5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33
<400> 33
cggagcataa atcggcagga tcacttcatc gaaagtcgcg cgtgtaattg ctgtttgt 58
<210> 34
<211> 3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34
<400> 34
cagcgaattc atgaaatcaa tgaatattgc c 31
<210> 35
<211> 3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35
<400> 35
cattctgcag ttacttcaac acataaccgt a 31
<210> 36
<211> 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36
<400> 36
tttgcccgat gcacgccatc tccttacatt ctctcgctta tcgccgtttc gacactatag 60
aacgcggccg 70
<210> 37
<211> 5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37
<400> 37
tgccatgatt gcgcgaattt tctcctctct gtacggagtt tgcccgatgc acgccat 57
<210> 38
<211> 7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38
<400> 38
tactggcggc aatattcatt gatttcatgg tctgtttcct gtgtgaaatt gttatccgct 60
cacaattcca cacat 75
<210> 39
<211> 6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39
<400> 39
gatggcttgt ttgttcgcaa agtcctggct tgcacgcttt agcgaaaggt gccatgattg 60
cgcgaattt 69
<210> 40
<211> 7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
<400> 40
atctcccaac gccaccacgc gacgatgaga agaaagtcgg gataccagtt cactactggc 60
ggcaatattc attga 75
Claims (31)
- 퓨트레신(putrescine)의 분해 또는 이용 경로에 관여하는 스퍼미딘 합성효소(spermidine synth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E), 스퍼미딘 N-아세틸트랜스퍼라제(spermidine N-acetyltransfer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G), 오르니틴 카바모일트랜스퍼라제(ornithine carbamoyltransferase) I를 코딩하는 유전자(argI) 및 퓨트레신 임포터(putrescine importer)를 코딩하는 유전자(puuP)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약화 또는 결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
- 제1항에 있어서, γ-글루타밀퓨트레신 합성효소(γ-glutamylputrescine syntase)를 코딩하는 유전자(puuA), 퓨트레신 트랜스아민아제(putrescine transaminase)를 코딩하는 유전자(ygjG) 및 오르니틴 카바모일트랜스퍼라제(ornithine carbamoyltransferase) F를 코딩하는 유전자(argF)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추가로 약화 또는 결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
- 제1항에 있어서, 퓨트레신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 현이 증가되도록 lac operon repressor를 코딩하는 유전자(lacI)가 추가로 결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
- 제1항에 있어서,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ornithine decarboxyl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C)가 추가로 도입 또는 증폭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ornithine decarboxyl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C)는 strong promoter를 함유하는 발현벡터 형태로 도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strong promoter는 trc promoter, tac promoter, T7 promoter, lac promoter 및 trp promoter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바실러스 속(Bacillus sp.), 코리네박테리움 속(Corynebacterium sp.), 에스케리치아 속(Escherichia sp.), 피치아 속(Pichia sp.),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및 사카로마이세스 속( Saccharomyces sp.)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
- 퓨트레신(putrescine)의 분해 또는 이용 경로에 관여하는 스퍼미딘 합성효소(spermidine synth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E), 스퍼미딘 N-아세틸트랜스퍼라제(spermidine N-acetyltransfer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G), 오르니틴 카바모일트랜스퍼라제(ornithine carbamoyltransferase) I를 코딩하는 유전자(argI) 및 퓨트레신 임포터(putrescine importer)를 코딩하는 유전자(puuP)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약화 또는 결실되어 있고, arginine 생합성을 위한 argECBH 오페론을 코딩하는 유전자(argECBH), 아세틸오르니틴 아미노 트랜스아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argD) 및 유도 가능한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inducible ornithine decarboxylase)와 퓨트레신/오르니틴 안티포터(putrescine/ornithine antiporter)를 코딩하는 유전자(speF-pot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 프로모터가 strong promoter로 치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
- 제8항에 있어서, γ-글루타밀퓨트레신 합성효소(γ-glutamylputrescine syntase)를 코딩하는 유전자(puuA), 퓨트레신 트랜스아민아제(putrescine transaminase)를 코딩하는 유전자(ygjG) 및 오르니틴 카바모일트랜스퍼라제(ornithine carbamoyltransferase) F를 코딩하는 유전자(argF)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추가로 약화 또는 결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
- 제8항에 있어서, 퓨트레신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되도록 lac operon repressor를 코딩하는 유전자(lacI)가 추가로 결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
- 제8항에 있어서,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ornithine decarboxyl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C)가 추가로 도입 또는 증폭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ornithine decarboxyl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C)는 strong promoter를 함유하는 발현벡터 형태로 도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
- 제8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strong promoter는 trc promoter, tac promoter, T7 promoter, lac promoter 및 trp promoter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바실러스 속(Bacillus sp.), 코리네박테리움 속(Corynebacterium sp.), 에스케리치아 속(Escherichia sp.), 피치아 속(Pichia sp.),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및 사카로마이세스 속( Saccharomyces sp.)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
- 퓨트레신 생성 대사경로를 가지는 미생물에서, 퓨트레신(putrescine)의 분해 또는 이용 경로에 관여하는 스퍼미딘 합성효소(spermidine synth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E), 스퍼미딘 N-아세틸트랜스퍼라제(spermidine N-acetyltransfer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G), 오르니틴 카바모일트랜스퍼라제(ornithine carbamoyltransferase) I를 코딩하는 유전자(argI) 및 퓨트레신 임포터(putrescine importer)를 코딩하는 유전자(puuP)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약화 또는 결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의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γ-글루타밀퓨트레신 합성효소(γ-glutamylputrescine syntase)를 코딩하는 유전자(puuA), 퓨트레신 트랜스아민아제(putrescine transaminase)를 코딩하는 유전자(ygjG) 및 오르니틴 카바모일트랜스퍼라제(ornithine carbamoyltransferase) F를 코딩하는 유전자(argF)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약화 또는 결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의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퓨트레신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되도록 lac operon repressor를 코딩하는 유전자(lacI)를 추가로 결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의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ornithine decarboxyl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C)를 추가로 도입 또는 증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의 제조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ornithine decarboxyl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C)는 strong promoter를 함유하는 발현벡터 형태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의 제조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strong promoter는 trc promoter, tac promoter, T7 promoter, lac promoter 및 trp promoter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의 제조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발현벡터는 pKKSpeC 또는 p15Spe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의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바실러스 속(Bacillus sp.), 코리네박테리움 속(Corynebacterium sp.), 에스케리치아 속(Escherichia sp.), 피치아 속(Pichia sp.),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및 사카로마이세스 속( Saccharomyces sp.)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의 제조방법.
- 퓨트레신 생성 대사경로를 가지는 미생물에서, 퓨트레신(putrescine)의 분해 또는 이용 경로에 관여하는 스퍼미딘 합성효소(spermidine synth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E), 스퍼미딘 N-아세틸트랜스퍼라제(spermidine N-acetyltransfer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G), 오르니틴 카바모일트랜스퍼라제(ornithine carbamoyltransferase) I를 코딩하는 유전자(argI) 및 퓨트레신 임포터(putrescine importer)를 코딩하는 유전자(puuP)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약화 또는 결실시킨 다음, arginine 생합성을 위한 오페론을 코딩하는 유전자(argECBH), 아세틸오르니틴 아미노 트랜스아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argD) 및 유도 가능한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inducible ornithine decarboxylase)와 퓨트레신/오르니틴 안티포터(putrescine/ornithine antiporter)를 코딩하는 유전자(speF-pot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프로모터를 strong promoter로 치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의 제조방법.
- 제23항에 있어서, γ-글루타밀퓨트레신 합성효소(γ-glutamylputrescine syntase)를 코딩하는 유전자(puuA), 퓨트레신 트랜스아민아제(putrescine transaminase)를 코딩하는 유전자(ygjG) 및 오르니틴 카바모일트랜스퍼라제(ornithine carbamoyltransferase) F를 코딩하는 유전자(argF)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약화 또는 결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의 제조방법.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퓨트레신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되도록 lac operon repressor를 코딩하는 유전자(lacI)가 추가로 결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의 제조방법.
- 제23항에 있어서,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ornithine decarboxyl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C)를 추가로 도입 또는 증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의 제조방법.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오르니틴 디카르복실라제(ornithine decarboxylase)를 코딩하는 유전자(speC)는 strong promoter를 함유하는 발현벡터 형태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의 제조방법.
- 제23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strong promoter는 trc promoter, tac promoter, T7 promoter, lac promoter 및 trp promoter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의 제조방법.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발현벡터는 pKKSpeC 또는 p15Spe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의 제조방법.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바실러스 속(Bacillus sp.), 코리네박테리움 속(Corynebacterium sp.), 에스케리치아 속(Escherichia sp.), 피치아 속(Pichia sp.),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및 사카로마이세스 속( Saccharomyces sp.)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 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의 제조방법.
- 제1항 내지 제14항중 어느 한 항의 변이 미생물을 배양하여 퓨트레신을 생성시킨 다음, 배양액으로부터 퓨트레신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트레신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8781A KR101188432B1 (ko) | 2008-04-10 | 2009-03-05 | 퓨트레신 고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퓨트레신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3125 | 2008-04-10 | ||
KR1020090018781A KR101188432B1 (ko) | 2008-04-10 | 2009-03-05 | 퓨트레신 고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퓨트레신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7920A true KR20090107920A (ko) | 2009-10-14 |
KR101188432B1 KR101188432B1 (ko) | 2012-10-08 |
Family
ID=41551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18781A KR101188432B1 (ko) | 2008-04-10 | 2009-03-05 | 퓨트레신 고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퓨트레신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88432B1 (ko)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1897B1 (ko) * | 2010-08-03 | 2013-02-08 | 한국과학기술원 | 카다베린 고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카다베린의 제조방법 |
WO2013028030A2 (ko) | 2011-08-24 | 2013-02-28 | 씨제이제일제당 (주) | 발효액에서 1,4-디아미노부탄의 분리 및 정제하는 방법 |
WO2013109121A1 (ko) * | 2012-01-20 | 2013-07-25 | 씨제이제일제당 (주) | 퓨트레신 생산능이 향상된 재조합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하여 퓨트레신을 생산하는 방법 |
WO2013105827A3 (ko) * | 2012-01-11 | 2013-09-26 | 씨제이제일제당 (주) | 퓨트레신 생산능이 향상된 재조합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하여 퓨트레신을 생산하는 방법 |
WO2014065553A1 (ko) | 2012-10-22 | 2014-05-01 | 씨제이제일제당 (주) | 1,4-디아미노부탄의 정제방법, 상기 방법으로 정제된 1,4-디아미노부탄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폴리아미드 |
WO2017159976A1 (ko) * | 2016-03-15 | 2017-09-21 | 씨제이제일제당 (주) | 퓨트레신을 생산하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퓨트레신 생산 방법 |
KR20190002239A (ko) | 2017-06-29 | 2019-01-08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오르니틴 탈탄산 효소의 변이주 개발 방법 및 그의 응용 |
US10450262B2 (en) | 2015-05-08 | 2019-10-22 | Cj Cheiljedang Corporation | Method for purifying 1,4-diaminobutane |
WO2020138919A1 (ko) * | 2018-12-27 | 2020-07-02 | 씨제이제일제당(주) | 오르니틴 탈탄산 효소 변이형 및 이를 이용한 퓨트레신 생산 방법 |
KR102246288B1 (ko) * | 2020-08-13 | 2021-04-29 |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 퓨트레신 생산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퓨트레신 생산방법 |
WO2022216088A1 (ko) * | 2021-04-07 | 2022-10-13 | 씨제이제일제당 (주) | L-아르기닌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아르기닌 생산방법 |
WO2023063763A1 (ko) * | 2021-10-15 | 2023-04-20 | 씨제이제일제당 (주) | L-아르기닌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아르기닌 생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1394B1 (ko) * | 2017-07-19 | 2019-10-22 |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 퓨트레신을 생산하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퓨트레신 생산방법 |
KR102120994B1 (ko) * | 2018-10-10 | 2020-06-10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퓨트레신 생산용 형질전환 메탄자화균 및 이의 용도 |
-
2009
- 2009-03-05 KR KR1020090018781A patent/KR101188432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602314A2 (en) * | 2010-08-03 | 2013-06-12 |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Mutant microorganism having high production of cadaverine, and preparation method of cadaverine using same |
KR101231897B1 (ko) * | 2010-08-03 | 2013-02-08 | 한국과학기술원 | 카다베린 고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카다베린의 제조방법 |
EP2602314A4 (en) * | 2010-08-03 | 2014-03-12 | Korea Advanced Inst Sci & Tech | MUTANT MICROORGANISM HAVING LARGE PRODUCTION OF CADAVERIN, AND PROCESS FOR PREPARING CADAVERIN USING THE SAME |
WO2013028030A2 (ko) | 2011-08-24 | 2013-02-28 | 씨제이제일제당 (주) | 발효액에서 1,4-디아미노부탄의 분리 및 정제하는 방법 |
WO2013028030A3 (ko) * | 2011-08-24 | 2013-05-10 | 씨제이제일제당 (주) | 발효액에서 1,4-디아미노부탄의 분리 및 정제하는 방법 |
KR101286158B1 (ko) * | 2011-08-24 | 2013-07-15 | 씨제이제일제당 (주) | 발효액에서 1,4-디아미노부탄의 분리 및 정제하는 방법 |
US8927774B2 (en) | 2011-08-24 | 2015-01-06 | Cj Cheiljedang Corporation | Method for separating and purifying 1,4-diaminobutane from fermented solution |
KR101493585B1 (ko) * | 2012-01-11 | 2015-02-16 | 씨제이제일제당 (주) | 퓨트레신 생산능이 향상된 재조합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하여 퓨트레신을 생산하는 방법 |
WO2013105827A3 (ko) * | 2012-01-11 | 2013-09-26 | 씨제이제일제당 (주) | 퓨트레신 생산능이 향상된 재조합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하여 퓨트레신을 생산하는 방법 |
US9677099B2 (en) | 2012-01-11 | 2017-06-13 | Cj Cheiledang Corporation | Recombinant microorganisms with an improved productivity of putrescine and method for producing putrescine using the same |
WO2013109121A1 (ko) * | 2012-01-20 | 2013-07-25 | 씨제이제일제당 (주) | 퓨트레신 생산능이 향상된 재조합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하여 퓨트레신을 생산하는 방법 |
US9290771B2 (en) | 2012-01-20 | 2016-03-22 | Cj Cheiljedang Corporation | Recombinant microorganism having an enhanced ability to produce putrescine and a method for producing putrescine using the same |
US9376370B2 (en) | 2012-10-22 | 2016-06-28 | Cj Cheiljedang Corp. | Method for purifying 1,4-diaminobutane, 1,4-diaminobutane purified by said method, and polyamide prepared therefrom |
WO2014065553A1 (ko) | 2012-10-22 | 2014-05-01 | 씨제이제일제당 (주) | 1,4-디아미노부탄의 정제방법, 상기 방법으로 정제된 1,4-디아미노부탄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폴리아미드 |
US10450262B2 (en) | 2015-05-08 | 2019-10-22 | Cj Cheiljedang Corporation | Method for purifying 1,4-diaminobutane |
WO2017159976A1 (ko) * | 2016-03-15 | 2017-09-21 | 씨제이제일제당 (주) | 퓨트레신을 생산하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퓨트레신 생산 방법 |
US11124812B2 (en) | 2016-03-15 | 2021-09-21 | Cj Cheiljedang Corporation | Putrescine-producing microorganism and method for producing putrescine using the same |
KR20190002239A (ko) | 2017-06-29 | 2019-01-08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오르니틴 탈탄산 효소의 변이주 개발 방법 및 그의 응용 |
WO2020138919A1 (ko) * | 2018-12-27 | 2020-07-02 | 씨제이제일제당(주) | 오르니틴 탈탄산 효소 변이형 및 이를 이용한 퓨트레신 생산 방법 |
KR102246288B1 (ko) * | 2020-08-13 | 2021-04-29 |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 퓨트레신 생산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퓨트레신 생산방법 |
WO2022035011A1 (ko) * | 2020-08-13 | 2022-02-17 | 씨제이제일제당 (주) | 퓨트레신 생산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퓨트레신 생산방법 |
WO2022216088A1 (ko) * | 2021-04-07 | 2022-10-13 | 씨제이제일제당 (주) | L-아르기닌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아르기닌 생산방법 |
WO2023063763A1 (ko) * | 2021-10-15 | 2023-04-20 | 씨제이제일제당 (주) | L-아르기닌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아르기닌 생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88432B1 (ko) | 2012-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88432B1 (ko) | 퓨트레신 고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퓨트레신의 제조방법 | |
JP5675353B2 (ja) | プトレッシン高生成能を有する変異微生物及びこれを用いたプトレッシンの製造方法 | |
US9115362B2 (en) | Mutant microorganism having high production of cadaverine, and preparation method of cadaverine using same | |
Qian et al. | Metabolic engineering of Escherichia coli for the production of putrescine: a four carbon diamine | |
US6403342B1 (en) | DNA coding for mutant isopropylmalate synthase L-leucine-producing microorganism and method for producing L-leucine | |
CN104862352B (zh) | 生产o-磷酸丝氨酸的微生物和使用该微生物由o-磷酸丝氨酸生产l-半胱氨酸或其衍生物的方法 | |
RU2355763C2 (ru) | Мутантная ацетолактатсинтаза и способ продукции разветвленных l-аминокислот | |
EP2102347B9 (en) | Corynebacterium glutamicum variety producing l-arginin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CN108463555A (zh) | 生产苯甲醛的方法 | |
CN114341344A (zh) | 用于改进醛脱氢酶活性的工程微生物体和方法 | |
US9534240B2 (en) | Recombinant microorganism producing quinolinic acid and a method for producing quinolinic acid using the same | |
CN112725251A (zh) | 一种生产亚精胺的工程菌 | |
RU2466186C2 (ru) | БАКТЕРИЯ Escherichia coli - ПРОДУЦЕНТ ЯНТАРНОЙ КИСЛОТЫ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ЯНТАРНОЙ КИСЛОТЫ | |
JP2005073696A (ja) | 不活化したnirオペロンを有する腸内細菌科の細菌を用いたL−アミノ酸の製造法 | |
US7220572B2 (en) | Method for producing L-leucine | |
KR101214632B1 (ko) | 타우린 생성용 재조합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타우린의 제조방법 | |
EP2397545B1 (en) | Method for producing amino acid | |
WO2022210228A1 (ja) | 改変型α-イソプロピルマレートシンターゼ | |
JP5504608B2 (ja) | 1,5−ペンタンジアミンの製造方法 | |
US20150031101A1 (en) | Bacterial cell having enhanced succinic acid production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uccinic acid using the same | |
WO2022155554A1 (en) |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aking amide compounds | |
Takors et al. | Platform Engineering of Corynebacteriu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