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7147A - 통화와 푸시형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voip 단말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화와 푸시형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voip 단말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7147A
KR20090107147A KR1020080032492A KR20080032492A KR20090107147A KR 20090107147 A KR20090107147 A KR 20090107147A KR 1020080032492 A KR1020080032492 A KR 1020080032492A KR 20080032492 A KR20080032492 A KR 20080032492A KR 20090107147 A KR20090107147 A KR 20090107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p terminal
call
terminal
account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2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0695B1 (ko
Inventor
최태훈
박정철
김상일
Original Assignee
최태훈
(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태훈, (주)원 filed Critical 최태훈
Priority to KR1020080032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695B1/ko
Publication of KR20090107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7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5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adapted to provide push services, e.g. data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 통화와 더불어 푸시형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VOIP 단말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VOIP 단말기로부터의 발호 또는 상기 VOIP 단말기로의 발호에 연동하여, 상기 VOIP 단말기로부터 발호된 전화번호 또는 상기 VOIP 단말기로 발호한 전화번호에 대응되게 저장된 계정 접속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계정 접속 정보를 상기 VOIP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VOIP 단말기가 상기 계정 접속 정보에 따라 상기 계정에 접속하면, 상기 VOIP 단말기로 상기 계정에 대응되는 착신전 푸시형 웹 서비스 컨텐츠에 따른 웹 페이지를 푸시하는 단계; 상기 VOIP 단말기와 상대측 단말기간의 통화경로가 형성되면, 상기 VOIP 단말기로 상기 계정에 대응되게 미리 저장된 착신후 푸시형 웹 서비스 컨텐츠에 따른 웹 페이지를 푸시하는 단계; 상기 착신전 또는 착신후 푸시형 웹 서비스 컨텐츠에 따른 웹 페이지 푸시 중에, 이벤트가 발생하는 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착신전 또는 착신후 푸시형 웹 서비스 컨텐츠에 따라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를 상기 VOIP 단말기로 푸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80032492
VOIP 단말기, 푸시형 웹 서비스, 매시업(mashup)

Description

통화와 푸시형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VOIP 단말기, 시스템{CALL SERVICE AND PUSH-TYPED WEB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VOIP TERMINAL}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해 전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화 통화와 더불어 푸시형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VOIP 단말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웹(Web) 이용은 고객이 서버로 얻고 싶은 정보에 대한 리퀘스트 메시지를 전송하면, 상기 서버가 상기 리퀘스트에 대응되는 리스폰스 메시지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고객이 원하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하는 풀형 서비스 형태를 가진다.
그러나 인터넷 기술의 급진적인 진보에 따라 서버측이 주체적으로 정보 및 타이밍을 선택하여 클라이언트측으로 제공하는 푸쉬형 서비스가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클라이언트의 상황을 예측하여 정보 및 타이밍을 선택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 중 하나로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통화를 수반하는 푸쉬형 정보통신 시스템을 명칭으로 하여 특허출원된 제10-2007-7006346호가 있다.
상기 출원된 발명은 통화원측 전화기가 통화처측 컴퓨터에 직접 연결하면, 상기 통화처측 컴퓨터가 상기 통화원측 전화기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통화원측 컴퓨터로 선택 정보를 푸시하는 것을 개시한다.
상기 출원된 발명은 통화원과 통화처측 전화기가 연결됨에 따라 상기 통화원과 상기 통화처측 컴퓨터의 접속정보를 상대 컴퓨터로 제공하여, 두 컴퓨터간을 연결시키고, 그후 상기 통화처측 컴퓨터에 의한 푸시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므로, 통화원의 통화시도에 더불어 푸시형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즉, 통화 시도에 연동하여 착신측의 요청에 따른 푸시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통화 연결 전의 대기 중에 착신측의 서비스에 대한 이해를 돕거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는 없었다.
더욱이 상기 출원된 발명은 고객이 두 개의 단말기를 제어토록 함으로써 그 조작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VOIP 단말기를 통해 전화 서비스와 푸시형 웹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전화와 푸시형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VOIP 단말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화와 푸시형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이벤트에 따라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설정한 시나리오를 가지는 착신전 및 착신후 푸시형 웹 서비스 컨텐츠를 계정 정보, 계정 접속 정보 및 전화번호에 대응되게 저장하는 단계; VOIP 단말기로부터의 발호 또는 상기 VOIP 단말기로의 발호에 연동하여, 상기 VOIP 단말기로부터 발호된 전화번호 또는 상기 VOIP 단말기로 발호한 전화번호에 대응되게 저장된 계정 접속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계정 접속 정보를 상기 VOIP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VOIP 단말기가 상기 계정 접속 정보에 따라 상기 계정에 접속하면, 상기 VOIP 단말기로 상기 계정에 대응되는 착신전 푸시형 웹 서비스 컨텐츠에 따른 웹 페이지를 푸시하는 단계; 상기 VOIP 단말기와 상대측 단말기간의 통화경로가 형성되면, 상기 VOIP 단말기로 상기 계정에 대응되게 미리 저장된 착신후 푸시형 웹 서비스 컨텐츠에 따른 웹 페이지를 푸시하는 단계; 상기 착신전 또는 착신후 푸시형 웹 서비스 컨텐츠에 따른 웹 페이지 푸시 중에, 일정 시간 경과 또는 상기 VOIP 단말기의 조작정보 또는 상기 상대측 단 말기로부터의 조작정보 제공 중 하나 이상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착신전 또는 착신후 푸시형 웹 서비스 컨텐츠에 따라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를 상기 VOIP 단말기로 푸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통화 시도에 연동하여 착신측의 요청에 따른 푸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통화 연결 전부터의 대기 중에 착신측의 서비스에 대한 이해를 돕거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객이 단순히 VOIP 단말기를 통해 전화통화를 시도하는 것만으로 VOIP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푸시형 웹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조작의 편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ARS 시스템과 콜 센터 등에 적용될 때에는 고객에게 음성과 텍스트로 동시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전달 속도가 느린 음성 서비스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착신측과 발신측에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웹 페이지를 제공하여, 상기 발신측의 고객과 상기 착신측의 업무자가 빠른 속도로 작업을 이행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통화와 푸시형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구성>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와 푸시형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 스템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시스템은 크게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00)과 서비스 중계 서버(110), VOIP 단말기(112)로 구성된다.
상기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00)은 PSTN 또는 인터넷, 무선 망 등을 통해 서비스 중계 서버(110)와 연결된다.
상기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100)은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와 ARS 시스템(106) 및 내부 전화 단말기들(108)간을 연결하는 사설 교환기(104), 상기 사설 교환기(104)를 통해 접속된 고객 단말기(112)로 ARS 서비스를 제공하는 ARS 시스템(106), 상기 사설 교환기(104)를 통해 VOIP 단말기(112)와 접속되는 내부 전화 단말기들(108)과,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에 접속하여 착신번호의 등록 및, 푸시형 웹 서비스의 시나리오 정보를 전송하는 컴퓨터들(102)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내부 전화 단말기들(108)과 컴퓨터들(102)은 서로 대응되며, 서로 대응되는 전화 단말기들(108)과 컴퓨터들(102)에 대한 설정정보는 서비스 중계 서버(110)에 저장된다.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는 VOIP 단말기(112)와 인터넷 또는 PS수, 무선 망 등을 통해 접속하여, 상기 VOIP 단말기(112)로의 전화 통화 서비스와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메시업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는 상기 VOIP 단말기(112)로부터의 호신호 또는 상기 VOIP 단말기(112)로의 호신호 발생에 연동하여, 상기 VOIP 단말기(112)로의 푸시형 웹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는 상기 VOIP 단말기(112)로부터의 발호 발생시 착신측 전화번호에 대응되게 부여된 계정에 대응되게 등록된 푸시형 웹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VOIP 단말기(112)로의 호 발생시에는 상기 발호측 단말기의 전화번호에 대응되게 부여된 계정에 대응되게 등록된 푸시형 웹 서비스를 상기 VOIP 단말기(112)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는 상기 푸시형 웹 서비스의 제공시에 상기 통화경로상에 송수신되는 신호로부터 착신, 특정 번호 인입, 포인팅 정보 입력 등의 이벤트를 검출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시에 그 이벤트 발생에 대응되는 시나리오에 따라 푸시할 웹 페이지를 선택하여, 선택된 웹 페이지를 상기 VOIP 단말기(112)로 푸시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는 이벤트에 대응되게 진행하는 시나리오를 가지는 푸시형 웹 서비스를 고객용과 업무용으로 나누어 제공받아, VOIP 단말기(112) 및 서비스 제공자의 컴퓨터(102)로 제공하여, 서비스 제공자가 고객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작업 효율을 증대한다.
상기 VOIP 단말기(112)는 발호 또는 착신, 링음 출력을 이행하며, 상기 발호 또는 착신, 링음 출력에 따라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가 제공하는 푸시형 웹 서비스에 따라 푸시되는 웹 페이지 출력을 이행한다.
<VOIP 단말기의 구성>
상기한 VOIP 단말기(112)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좀더 설명한다.
상기 VOIP 단말기(112)는 제어모듈(200), 메모리부(202), 통신모듈(204), 사용자 입력장치(206), 오디오 신호 처리기(208), 스피커(210), 마이크(212), 비디오 신호 처리기(214), 디스플레이 장치(216)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모듈(200)은 상기 VOIP 단말기(112)를 전반적으로 제어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통화와 푸시형 웹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한다. 즉, 상기 제어모듈(200)은 착신 또는 발신, 링음 수신에 따른 호처리를 이행함과 동시에 상기 착신 또는 발신, 링음 수신에 연동되게 서비스 중계 서버(110)가 푸시하는 웹 페이지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200)은 사용자 입력장치(206)를 통해 입력되는 포인팅 정보 또는 문자정보를 미리 정의해둔 방식에 따라 음성 주파수 대역의 신호 또는 특정 프로토콜로 코딩하여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로 송신한다.
상기 메모리부(202)는 상기 제어모듈(200)의 처리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통신모듈(204)은 인터넷을 통한 전화 통화 및 웹 접속을 위한 통신을 담당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206)는 터치 패널 또는 키패드 등으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정보를 상기 제어모듈(200)로 제공한다.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기(208)는 통화 서비스 제공을 위해 제어모듈(200)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210)로 출력하거나, 마이크(212)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제어모듈(200)로 제공한다.
상기 비디오 신호 처리기(214)는 상기 제어모듈(200)의 제어에 따른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16)로 출력한다.
<서비스 중계 서버의 구성>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의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는 전화 통화 서비스와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매시 업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는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응되게 계정을 할당하는 계정 할당 모듈(300), 상기 전화번호 및 그에 대응되는 계정, 상기 계정을 통해 푸시하여 서비스할 시나리오를 가진 푸시형 웹 서비스 컨텐츠, 서비스 제공자의 전화 단말기와 컴퓨터간을 대응시킨 설정정보 등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모듈(302), 상기 푸시형 웹 서비스 컨텐츠에 따라 시나리오에 따른 웹 페이지를 푸시하는 푸시 모듈(304), 상기 푸시 모듈(304)로 시나리오 진행을 위한 이벤트를 제공하는 이벤트 생성 모듈(306), 호처리 모듈(308)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통화경로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로부터 획득된 고객 또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의 시나리오 진행 신호이거나, 내부 타이머에 의한 타임 아웃 이벤트이다. 또한 상기 시나리오 진행 신호는 다음 단계로의 진행 또는 뷰잉된 웹 페이지에 표식된 특정 단계로 진행토록 명령하기 위한 고객 또는 서비스 제공자의 사용자 입력장치의 조작정보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는 다음 단계 또는 특정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웹 페이지를 상기 VOIP 단말기(112)로 푸시한다. 특히, 상기 고객 또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의 음성 주파수 대역을 통해 코딩된 조작정보를 디코딩하여 획득하거나, 미리 정의해둔 프로토콜을 통해 수신받아 획득될 수 있다.
<제1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통화와 푸시형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푸시형 웹 서비스 컨텐츠 등록 과정>
먼저 서비스 제공자가 시나리오를 가지는 웹 컨텐츠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서비스 제공자는 자신의 컴퓨터(102) 등을 통해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에 접속하여 자신의 전화번호를 입력한다(400단계).
상기 전화번호를 입력받은 서비스 중계 서버(110)는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푸시형 웹 서비스 계정을 할당하고, 상기 계정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컴퓨터(102)로 제공한다(402단계).
또한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컴퓨터(102)로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푸시형 웹 서비스 컨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하도록 요청한다(404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자는 상기의 요청에 따라 시나리오를 가지는 푸시형 웹 서비스 컨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로 전송한다(406단계).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전화번호, 상기 계정 정보, 상기 푸시형 웹 서비스 컨텐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종료한다(408단계).
여기서, 상기 시나리오를 가지는 푸시형 웹 서비스의 예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상기 푸시형 웹 서비스는 크게 착신전 푸시형 웹 서비스와 착신후 푸시형 웹 서비스로 구성되며, 상기 착신후 푸시형 웹 서비스는 ARS 시스템(106)을 위한 서비스와 전화 단말기(108)를 위한 서비스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착신전 푸시형 웹 서비스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전화번호에 대한 발신이 시도됨과 동시에 상기 서비스 제공자를 안내하는 기본 페이지를 푸시하고, 상기 기본 페이지 중 일부에 표식된 링크정보를 클릭하면 상기 링크정보에 대응되는 페이지를 푸시하고, 상기 기본 페이지 중 일부에 표식된 검색창에 텍스트를 입력하여 검색을 요청하면 상기 검색결과에 대응되는 페이지를 푸시하고, 상기 기본 페이지의 표시 중에 고객에 의한 조작정보가 입력되지 않으면 시간 경과에 따라 다음 페이지를 푸시하도록 하는 시나리오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착신전 푸시형 웹 서비스는 VOIP 단말기(112)에 의한 발호후 착신 대기중 또는 VOIP 단말기(112)로의 발호후 상기 VOIP 단말기(112)에 의한 착신전 대기중시에 상기 VOIP 단말기(112)에 제공되어, 상기 VOIP 단말기(112)를 통해 발호한후에 고객이 서비스 제공자의 기본정보를 제공받거나,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VOIP 단말기(112)로의 발호가 이루어질 때에 상기 고객에 의한 착신전에 서비스 제공자의 기본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이는 대기시의 지루함 해소 또는 빠른 정보 조회, 또는 발신측에 대한 정보 조회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착신후 푸시형 웹 서비스 중 ARS 시스템(106)을 위한 서비스는 착 신이 이루어져 ARS 서비스가 개시되면 상기 ARS 서비스의 시나리오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를 푸시하도록 하는 시나리오를 가진다.
또한 상기 착신후 푸시형 웹 서비스 중 전화 단말기(108)를 위한 서비스는 상기 VOIP 단말기(112)와의 통화경로가 형성된 전화 단말기에 대응되게 미리 설정된 서비스 제공자 컴퓨터(102)와 상기 VOIP 단말기(112)로 일부 정보가 동일한 웹 페이지를 각각 푸시하며, 상기 VOIP 단말기(112) 또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컴퓨터(112)의 조작에 따른 신호, 또는 DTMF 신호, 또는 시간경과에 대응되게 다음 페이지를 푸시하도록 하는 시나리오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부 정보가 동일한 웹 페이지를 고객의 VOIP 단말기(112)와 서비스 제공자의 컴퓨터(112)에 동시에 제공하여, 고객이 문의하고자 하는 내용을 서비스 제공자 측에서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착신전 푸시형 웹 서비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신전 푸시형 웹 서비스 제공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VOIP 단말기(112)에 의해 서비스 제공자의 전화번호가 발호되거나,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전화 단말기(118) 또는 ARS 시스템(106)에 의해 VOIP 단말기(112)의 전화번호가 발호되면(500단계),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는 상기 발호에 의한 호처리를 이행하여, 상기 VOIP 단말기(112)로는 링백톤 또는 링음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100)의 전화 단말기(108) 또는 ARS 시스템(106)으로는 PSTN을 통해 링음 또는 링백톤 데이터를 전송한다(502단계).
상기한 발호에 의한 호처리가 이행됨과 동시에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전화번호에 대응되게 저장된 푸시형 웹 서비스 제공을 위한 계정의 접속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함과 아울러, 상기 접속 정보를 상기 VOIP 단말기(112)로 제공한다(508단계).
상기 VOIP 단말기(112)는 상기 접속 정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에 접속하며(510단계),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는 상기 접속 정보에 따른 계정에 대응되게 저장된 착신전 푸시형 웹 서비스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로드하여, 착신전 시나리오에 따라 푸시형 웹 서비스를 상기 VOIP 단말기(112)로 제공한다(512단계). 상기 푸시형 웹 서비스에 따라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푸시받은 VOIP 단말기(112)는 상기 웹 페이지를 출력한다(514단계).
이후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는 시간 경과 또는 VOIP 단말기(112)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장치 조작에 따른 정보, 서비스 제공자의 전화 단말기(108)의 조작정보, ARS 시스템(106)의 신호발생 등의 이벤트를 수집하고, 상기한 이벤트들이 수집되면, 상기 수집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시나리오에 따라 웹 푸시 서비스를 제공한다(516,518단계). 상기 푸시형 웹 서비스에 따라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푸시받은 VOIP 단말기(112)는 상기 웹 페이지를 출력한다(520단계).
이러한 과정을 거쳐 착신전 푸시형 웹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착신후 푸시형 웹 서비스-ARS 시스템>
상기한 착신전 푸시형 웹 서비스의 제공중 VOIP 단말기(112)에 의한 발호를 서비스 제공자의 ARS 시스템(106)이 착신하거나, 서비스 제공자의 ARS 시스템(106)에 의한 발호를 VOIP 단말기(112)의 고객이 착신하면(602단계),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는 상기 VOIP 단말기(112)와 상기 ARS 시스템(106)간의 통화 경로를 형성하여, 상기 ARS 시스템(106)에 의한 ARS 서비스가 상기 VOIP 단말기(112)로 제공되게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는 상기 접속된 계정에 대응되게 저장된 ARS 시스템을 위한 착신후 푸시형 웹 서비스 컨텐츠를 독출하여, 착신후 푸시형 웹 서비스를 상기 VOIP 단말기(112)에 제공한다(610단계). 상기 푸시형 웹 서비스를 통해 웹 페이지가 상기 VOIP 단말기(112)에 제공되면, 상기 VOIP 단말기(112)는 상기 웹 페이지를 출력한다(612단계).
이후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는 시간 경과 또는 VOIP 단말기(112)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장치 조작에 따른 정보, 서비스 제공자의 ARS 시스템(106)의 설정신호 발생 등의 이벤트를 수집하고, 상기한 이벤트들이 수집되면, 상기 수집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시나리오에 따라 웹 푸시 서비스를 제공한다(614,616단계). 상기 푸시형 웹 서비스에 따라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푸시받은 VOIP 단말기(112)는 상기 웹 페이지를 출력한다(618단계).
<착신후 푸시형 웹 서비스-전화 단말기 및 컴퓨터>
상기한 착신전 푸시형 웹 서비스의 제공중 VOIP 단말기(112)에 의한 발호를 서비스 제공자의 전화 단말기(108)가 착신하거나, 서비스 제공자의 전화 단말 기(108)에 의한 발호를 VOIP 단말기(112)의 고객이 착신하면(702단계),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는 상기 VOIP 단말기(112)와 상기 전화 단말기(108)간의 통화 경로를 형성하여, 상기 전화 단말기(108)와 상기 VOIP 단말기(112)간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708단계).
이와 동시에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는 상기 접속된 계정에 대응되게 저장된 전화 단말기(108)를 위한 착신후 푸시형 웹 서비스 컨텐츠 중 고객용 컨텐츠를 독출하여, 상기 전화 단말기를 위한 착신후 푸시형 웹 서비스를 VOIP 단말기(112)로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고객에게 제공되는 착신후 푸시형 웹 서비스의 정보 중 일부를 포함하는 업무용 컨텐츠를 독출하여 서비스 제공자의 컴퓨터(102)로 제공한다(710단계). 여기서, 상기 컴퓨터의 접속은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접속과 함께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업무용 컨텐츠는 상기 통화경로가 형성된 전화 단말기에 대응되는 컴퓨터로 제공된다. 상기 고객용 푸시형 웹 서비스 제공에 따라 웹 페이지를 푸시받은 VOIP 단말기(112)는 상기 웹 페이지를 출력하고, 상기 업무용 푸시형 웹 서비스 제공에 따라 웹 페이지를 푸시받은 컴퓨터(102)는 상기 웹 페이지를 출력한다(712단계).
이후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는 시간 경과 또는 VOIP 단말기(112)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장치 조작에 따른 정보, 서비스 제공자의 전화 단말기(108)의 사용자 입력장치 조작에 따른 정보, 상기 컴퓨터(102)의 사용자 입력장치 조작에 따른 정보 등의 이벤트를 수집하고, 상기한 이벤트들이 수집되면, 상기 고객용 및 업무용 푸시형 웹 서비스 콘텐츠에서 상기 수집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시나리오에 따른 웹 페이지를 추출하여, 각각 VOIP 단말기(112) 및 컴퓨터(102)로 제공한다(716단계).
상기 고객용 푸시형 웹 서비스 제공에 따라 웹 페이지를 푸시받은 VOIP 단말기(112)는 상기 웹 페이지를 출력하고, 상기 업무용 푸시형 웹 서비스 제공에 따라 웹 페이지를 푸시받은 컴퓨터(102)는 상기 웹 페이지를 출력한다(718단계).
<제2실시예>
상기한 본 발명은 푸시형 웹 서비스 제공에 따른 서비스 중계 서버(110)의 부하를 절감하기 위해 호 발생과 더불어 서비스 중계 서버(110)가 VOIP 단말기(112)로 시나리오를 가지는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며, 상기 VOIP 단말기(112) 또는 ARS 시스템 또는 서비스 제공자 전화 단말기로부터의 조작정보, 착신, 시간경과 등의 이벤트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시나리오가 진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VOIP 단말기(112)에 의해 서비스 제공자의 전화번호가 발호되거나,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전화 단말기(118) 또는 ARS 시스템(106)에 의해 VOIP 단말기(112)의 전화번호가 발호되면(800단계),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는 상기 발호에 의한 호처리를 이행하여, 상기 VOIP 단말기(112)로는 링백톤 또는 링음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100)의 전화 단말기(108) 또는 ARS 시스템(106)으로는 PSTN을 통해 링음 또는 링백톤 데이터를 전송한다(802단계).
상기한 발호에 의한 호처리가 이행됨과 동시에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전화번호에 대응되게 저장된 웹 서비스 제공을 위한 계정 의 접속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함과 아울러, 상기 접속 정보를 상기 VOIP 단말기(112)로 제공한다(808단계).
상기 VOIP 단말기(112)는 상기 접속 정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에 접속하며(810단계),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110)는 상기 접속 정보에 따른 계정에 대응되게 저장된 웹 서비스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VOIP 단말기(112)로 제공한다(812단계).
상기 VOIP 단말기(112)는 상기 웹 서비스 컨텐츠를 구동하여 착신, 시간 경과 또는 VOIP 단말기(112)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장치 조작에 따른 정보, 서비스 제공자의 전화 단말기(108)의 조작정보, ARS 시스템(106)의 신호발생 등의 이벤트를 수집하고, 상기한 이벤트들이 수집되면, 상기 수집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시나리오에 대응되게 설정된 웹 페이지를 출력한다(814,816단계).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와 푸시형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VOIP 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서비스 중계 서버의 기능 모듈 구성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통화와 푸시형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통화와 푸시형 웹 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도.

Claims (12)

  1. 통화와 푸시형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벤트에 따라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설정한 시나리오를 가지는 착신전 및 착신후 푸시형 웹 서비스 컨텐츠를 계정 정보, 계정 접속 정보 및 전화번호에 대응되게 저장하는 단계
    VOIP 단말기로부터의 발호 또는 상기 VOIP 단말기로의 발호에 연동하여, 상기 VOIP 단말기로부터 발호된 전화번호 또는 상기 VOIP 단말기로 발호한 전화번호에 대응되게 저장된 계정 접속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계정 접속 정보를 상기 VOIP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VOIP 단말기가 상기 계정 접속 정보에 따라 상기 계정에 접속하면, 상기 VOIP 단말기로 상기 계정에 대응되는 착신전 푸시형 웹 서비스 컨텐츠에 따른 웹 페이지를 푸시하는 단계;
    상기 VOIP 단말기와 상대측 단말기간의 통화경로가 형성되면, 상기 VOIP 단말기로 상기 계정에 대응되게 미리 저장된 착신후 푸시형 웹 서비스 컨텐츠에 따른 웹 페이지를 푸시하는 단계
    상기 착신전 또는 착신후 푸시형 웹 서비스 컨텐츠에 따른 웹 페이지 푸시 중에, 일정 시간 경과 또는 상기 VOIP 단말기의 조작정보 또는 상기 상대측 단말기로부터의 조작정보 제공 중 하나 이상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착신전 또는 착신후 푸시형 웹 서비스 컨텐츠에 따라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를 상기 VOIP 단말기로 푸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후 푸시형 웹 서비스 컨텐츠는 전화 단말기용 컨텐츠를 포함하며,
    상기 전화 단말기용 컨텐츠는 고객용 및 업무용 컨텐츠로 구성되어,
    상기 고객용 컨텐츠에 따른 웹 페이지는 상기 VOIP 단말기로 푸시되고,
    상기 업무용 컨텐츠에 따른 웹 페이지는 상기 전화 단말기에 대응되는 컴퓨터로 푸시되며,
    상기 업무용 컨텐츠의 웹 페이지에는 상기 고객용 컨텐츠의 웹 페이지의 내용 중 일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후 푸시형 웹 서비스 컨텐츠는 ARS 시스템용 컨텐츠를 포함하며,
    상기 ARS 시스템용 컨텐츠의 이벤트에는 상기 ARS 시스템의 ARS 서비스 진행을 나타내는 특정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정보는 미리 정해둔 음성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되어 송신되거나, 미리 정해둔 프로토콜을 통해 송신되며,
    상기 이벤트 발생 체크시에는 상기 VOIP 단말기 또는 상기 상대측 단말기로부터의 조작정보를 추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통화와 푸시형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이벤트에 따라 제공할 웹 페이지를 설정한 시나리오를 가지는 착신전 및 착신후 푸시형 웹 서비스 컨텐츠를 계정 정보, 계정 접속 정보 및 전화번호에 대응되게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VOIP 단말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
    상기 VOIP 단말기로부터의 발호 또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에 의한 VOIP 단말기로의 발호에 연동하여, 상기 VOIP 단말기로부터 발호된 전화번호 또는 상기 VOIP 단말기로 발호한 전화번호에 대응되게 저장된 계정 접속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계정 접속 정보를 상기 VOIP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VOIP 단말기가 상기 계정 접속 정보에 따라 상기 계정에 접속하면, 상기 VOIP 단말기로 상기 계정에 대응되는 착신전 푸시형 웹 서비스 컨텐츠에 따른 웹 페이지를 푸시하고,
    상기 VOIP 단말기와 상대측 단말기간의 통화경로가 형성되면, 상기 VOIP 단 말기로 상기 계정에 대응되게 미리 저장된 착신후 푸시형 웹 서비스 컨텐츠에 따른 웹 페이지를 푸시하고,
    상기 착신전 또는 착신후 푸시형 웹 서비스 컨텐츠에 따른 웹 페이지 푸시 중에, 일정 시간 경과 또는 상기 VOIP 단말기의 조작정보 또는 상기 상대측 단말기로부터의 조작정보 제공 중 하나 이상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지를 체크하고,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착신전 또는 착신후 푸시형 웹 서비스 컨텐츠에 따라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를 상기 VOIP 단말기로 푸시하는 서비스 중계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후 푸시형 웹 서비스 컨텐츠는 전화 단말기용 컨텐츠를 포함하며,
    상기 전화 단말기용 컨텐츠는 고객용 및 업무용 컨텐츠로 구성되어,
    상기 업무용 컨텐츠의 웹 페이지에는 상기 고객용 컨텐츠의 웹 페이지의 내용 중 일부가 포함되며,
    상기 서비스 중계 서버가,
    상기 고객용 컨텐츠에 따른 웹 페이지는 상기 VOIP 단말기로 푸시하고,
    상기 업무용 컨텐츠에 따른 웹 페이지는 상기 전화 단말기에 대응되는 컴퓨터로 푸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후 푸시형 웹 서비스 컨텐츠는 ARS 시스템용 컨텐츠를 포함하며,
    상기 ARS 시스템용 컨텐츠의 이벤트에는 상기 ARS 시스템의 ARS 서비스 진행을 나타내는 특정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정보는 미리 정해둔 음성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되어 송신되거나, 미리 정해둔 프로토콜을 통해 송신되며,
    상기 이벤트 발생 체크시에는 상기 VOIP 단말기 또는 상기 상대측 단말기로부터의 조작정보를 추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VOIP 단말기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한 전화 통화 및 웹 접속을 이행하는 통신모듈;
    사용자로부터의 정보 입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장치;
    웹 페이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로부터의 발호 또는 외부로부터의 링음 데이터의 수신에 연동되어, 계정 접속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계정으로 접속하여 상기 계정을 통한 푸시형 웹 서비스에 따른 웹 페이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음성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여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송출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기.
  10. 통화와 푸시형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벤트에 따라 제공할 웹 페이지를 설정한 시나리오를 가지는 웹 서비스 컨텐츠를 계정 정보, 계정 접속 정보 및 전화번호에 대응되게 저장하는 단계
    VOIP 단말기로부터의 발호 또는 상기 VOIP 단말기로의 발호에 연동하여, 상기 VOIP 단말기로부터 발호된 전화번호 또는 상기 VOIP 단말기로 발호한 전화번호에 대응되게 저장된 계정 접속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계정 접속 정보를 상기 VOIP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VOIP 단말기가 상기 계정 접속 정보에 따라 상기 계정에 접속하면, 상기 VOIP 단말기로 상기 계정에 대응되는 웹 서비스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상기 VOIP 단말기의 웹 서비스 컨텐츠가 구동하여, 착신, 시간경과 및 조작정보 중 어느 한 이벤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시나리오에 따른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통화와 푸시형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이벤트에 따라 제공할 웹 페이지를 설정한 시나리오를 가지는 웹 서비스 컨텐츠를 계정 정보, 계정 접속 정보 및 전화번호에 대응되게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웹 서비스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아, 일정 시간 경과 또는 상기 VOIP 단말기의 조작정보 또는 상기 상대측 단말기로부터의 조작정보 제공 중 하나 이상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지를 체크하고,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를 출력하는 VOIP 단말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
    상기 VOIP 단말기로부터의 발호 또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에 의한 VOIP 단말기로의 발호에 연동하여, 상기 VOIP 단말기로부터 발호된 전화번호 또는 상기 VOIP 단말기로 발호한 전화번호에 대응되게 저장된 계정 접속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계정 접속 정보를 상기 VOIP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VOIP 단말기가 상기 계정 접속 정보에 따라 상기 계정에 접속하면, 상기 VOIP 단말기로 상기 계정에 대응되는 웹 서비스 컨텐츠에 따른 웹 페이지를 다운로드하는 서비스 중계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VOIP 단말기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한 전화 통화 및 웹 접속을 이행하는 통신모듈;
    사용자로부터의 정보 입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장치;
    웹 페이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로부터의 발호 또는 외부로부터의 링음 데이터의 수신에 연동되어, 계 정 접속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계정으로 접속하여 상기 계정을 통해 웹 서비스 컨텐츠를 다운로드받고, 상기 다운로드받은 웹 서비스 컨텐츠를 실행하여, 일정 시간 경과 또는 상기 VOIP 단말기의 조작정보 또는 상기 상대측 단말기로부터의 조작정보 제공 중 하나 이상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지를 체크하고,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웹 페이지를 출력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단말기.
KR1020080032492A 2008-04-08 2008-04-08 통화와 푸시형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voip 단말기, 시스템 KR100950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492A KR100950695B1 (ko) 2008-04-08 2008-04-08 통화와 푸시형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voip 단말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492A KR100950695B1 (ko) 2008-04-08 2008-04-08 통화와 푸시형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voip 단말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7147A true KR20090107147A (ko) 2009-10-13
KR100950695B1 KR100950695B1 (ko) 2010-03-31

Family

ID=41536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2492A KR100950695B1 (ko) 2008-04-08 2008-04-08 통화와 푸시형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voip 단말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06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314A (ko) * 2017-11-13 2019-05-22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통화 기반 실시간 참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99828B1 (ko) * 2023-03-28 2023-11-08 (주)와이즈에이아이 웹 콘텐츠 제공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679A (ko) * 2001-03-07 2002-09-13 주식회사 세움네트웍스 인터브라우징 웹 콘텐츠 푸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JP2002344529A (ja) * 2001-05-21 2002-11-29 Sharp Corp プッシュ型サービスシステム
KR20060082659A (ko) * 2005-01-13 2006-07-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음성 푸시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20070024306A (ko) * 2005-08-25 2007-03-02 주식회사 케이티 상태정보를 활용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들의 통합형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314A (ko) * 2017-11-13 2019-05-22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통화 기반 실시간 참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99828B1 (ko) * 2023-03-28 2023-11-08 (주)와이즈에이아이 웹 콘텐츠 제공 방식의 아웃바운드 ai 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0695B1 (ko) 201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5912B2 (en) Conveying textual content from interactive systems to IP clients
CN110035064B (zh) 通信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5302248B2 (ja) コンピュータと電話の統合
CN111010527B (zh) 一种通过短信链接建立视频通话的方法及相关装置
JP2009182836A (ja) コールセンタ装置
KR101770728B1 (ko) 상담 만족도 조사 시스템 및 방법
KR101007966B1 (ko) 휴대 단말기의 통합 중앙집중식 녹취 시스템 및 방법
US10257362B2 (en) Voice gateway
KR100989363B1 (ko) 통화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KR100950695B1 (ko) 통화와 푸시형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voip 단말기, 시스템
KR100834908B1 (ko) 통화 중 음성 분석 결과를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및장치
US9473915B2 (en) Call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mobile terminal
KR100549782B1 (ko) 범용 사설 교환기와 호환되는 콜센터 시스템
US8588397B2 (en)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including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JP5015828B2 (ja) パーク保留呼情報通知システムおよびその運用方法
KR100592025B1 (ko) 콜 센터에서의 아웃바운드 호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936596B1 (ko) 데이터 망을 이용한 ars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090296607A1 (en) Computer Telephony for Cellular Phones
KR101322479B1 (ko) 통화 상대방의 고객정보 제공 시스템 및 통화 상대방의 고객정보 제공 방법
KR101167574B1 (ko) 콜센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106326B1 (ko) 착신 단말기 전화번호에 매칭된 서브 착신 단말기로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통신 처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
JP6290941B2 (ja) サーバー装置、電話発信システム、サーバー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395093B1 (ko) 고객 관리 장치
JP5851960B2 (ja) 電話サービス選択装置
KR101302775B1 (ko) 통합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