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4908B1 - 통화 중 음성 분석 결과를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통화 중 음성 분석 결과를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4908B1
KR100834908B1 KR20060095449A KR20060095449A KR100834908B1 KR 100834908 B1 KR100834908 B1 KR 100834908B1 KR 20060095449 A KR20060095449 A KR 20060095449A KR 20060095449 A KR20060095449 A KR 20060095449A KR 100834908 B1 KR100834908 B1 KR 100834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calling terminal
service
cal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95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9390A (ko
Inventor
이길수
임재실
Original Assignee
(주)티아이스퀘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23039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3490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아이스퀘어 filed Critical (주)티아이스퀘어
Priority to KR20060095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4908B1/ko
Priority to PCT/KR2007/004768 priority patent/WO2008039031A1/en
Priority to CNA200780036555XA priority patent/CN101523935A/zh
Publication of KR20080029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9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26Recognition of special voice characteristics, e.g. for use in lie detectors; Recognition of animal vo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망에서 실시간으로 통화자의 감정을 분석하여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교환기로부터 제1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제1 호 접속 요청 신호는 발신 단말이 착신 단말로 호를 시도하기 위하여 교환기로 전송한 서비스 기능 코드를 포함하는 호 설정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것임-; 제1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착신 단말로 제2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제2 호 접속 응답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착신 단말로부터 제2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2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상응하여 교환기로 제1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제1 호 접속 응답 신호 및 제2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의하여 형성된 통화로를 통해 수행되는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 사이의 통화중에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음성을 분석하는 단계; 및 음성 분석 결과를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감정, 분석, 러브콜, 발신 단말

Description

통화 중 음성 분석 결과를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the result of voice analysi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자의 감정을 분석하여 발신 단말로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와 통신 사업자간의 연동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가 기능 코드 및 착신번호를 입력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접속하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에서 무선 인터넷 메뉴 방식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접속하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가 서비스 제공 장치의 기능 통화를 위해 무선 인터넷에 접속한 뒤 메시지 전달을 시도하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의 단말에 있는 전화번호부 메뉴를 수정해서 서비스를 직접 접속해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노드 방식에 의한 서비 스 절차는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8은 종래의 SN(Service Node) 방식에서 발신자와 착신자간에 통화로를 구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종래의 3자 회의를 위한 통화로의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러브콜 또는 거짓말 탐지콜의 경우처럼 착신자의 음성을 녹음하여 분석하기 위한 이중 회의 통화로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탐지콜인 경우처럼 발신자의 음성을 녹음하여 분석하기 위한 이중 회의 통화로 구성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러브콜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하여 IVR(Interactive Voice Response) 시나리오를 나타낸 순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러브콜을 접속하는 절차를 나타낸 단말의 화면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종료 후에 러브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단문 메시지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넷을 통한 러브콜 서비스의 관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따라 유선 인터넷에서 러브콜 서비스의 관리 기능 중에서 러브콜 서비스를 사용하는 고객의 러브콜 사용 이력을 조회할 때의 화면 예시도들.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선 인터넷에서 러 브콜 서비스의 관리 기능 중에서 녹음 파일 리스트 확인 및 파일 청취 기능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 서비스 제공 장치
121 : IP(Intelligent Peripheral) 서버
129 : APS(Application Server) 서버
103 : 사용자 단말
본 발명은 통신망에서 실시간으로 통화자의 감정을 분석하여 발신자에게 통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성 분석이라 함은 음성 파형으로부터 음원과 성도의 특성을 기술하는 파라미터와 언어 정보나 발성자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에 이러한 음성 분석 기술은 전화기에 별도의 장치를 부착하여 적외선 센서를 통하여 측정한 값을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음성 분석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고가의 별도의 장치를 구매하여야 하며, 여러 가지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종래에는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VM(Virtual Machine) 소프트웨어를 다운받아 통화 중에 목소리의 떨림 현상을 분석하여 통화 결과를 분석하는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통화 결과 분석 방법은 VM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은 단말기에 대해서만 서비스가 가능하며, VM을 이용하여 전화를 걸기 때문에 사용 절차가 복잡해서 사용자의 이용 방법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통화가 종료된 뒤 그 결과를 알 수 있기 때문에 통화 중에 상대방의 감정을 알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VM 소프트웨어를 다운받기 위한 콘텐츠 다운로드 비용 및 무선인터넷 사용료가 추가로 부가되므로 사용자에게 지출되는 비용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무선 통신망에서 통화자(착신자 혹은 발신자)의 감정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발신 가입자에게 그 결과를 즉시 알려줌으로써 통화하는 동안의 감정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례로 발신자가 연인과 통화할 때 착신자인 연인의 애정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측정된 결과를 가청음으로 실시간으로 알려준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화가 종료된 뒤 단문 메시지 또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상세한 분석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화 중 착신자의 진실 정도를 분석하여 진실성의 분석 결과를 실시간으로 가청음을 통해 발신자에게 알려주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통화가 종료된 뒤 단문 메시지 또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확인하는 기능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신자와 통화하면서 발생하는 발신자의 스트레스를 분석하여 스트레스 정도를 실시간으로 가청음을 통해 발신자에게 알려주는 것이다. 스트레스 측정 기능에서는 스트레스 측정값이 특정 수치 이상이면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프로그램 및 콘텐츠로 이동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여 스트레스 해소를 권유하는 기능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측정치를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통화 별, 날짜 별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여 개인의 측정값을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발신 단말, 착신 단말, 교환기와 결합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통화중 통화자의 감정을 분석하여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로부터 제1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제1 호 접속 요청 신호는 상기 발신 단말이 상기 착신 단말로 호를 시도하기 위하여 상기 교환기로 전송한 서비스 기능 코드를 포함하는 호 설정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것임-; 상기 제1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제2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호 접속 응답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제2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교 환기로 제1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호 접속 응답 신호 및 상기 제2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의하여 형성된 통화로를 통해 수행되는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 사이의 통화중에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음성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음성 분석 결과를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중 음성 분석 결과를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 신호는 상기 발신 단말에서 상기 착신 단말의 전화 번호 및 무선 인터넷 연결 버튼 입력에 의하여 생성된 것임-; 상기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부가 서비스 목록을 포함하는 부가 서비스 통합 화면을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단말과의 무선 인터넷 접속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발신 단말은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의 WML 또는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기능 코드를 통해 상기 교환기로 상기 호 설정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 설정 요청 신호는 상기 발신 단말에서 제공하는 메뉴를 통해 전송되거나, 상기 발신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서비스 기능 코드, 상기 착신 단말의 번호 및 통화 버튼을 입력 받음으로써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성 분석 결과는 통화중 실시간으로 가청음을 통해 상기 발신 단 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 사이에 형성된 상기 통화로를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분석 결과를 단문 메시지를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 사이에 형성된 상기 통화로를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분석 결과의 상세 내용을 웹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발신 단말, 착신 단말, 교환기와 결합하여 통화중 통화자의 감정을 분석하여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로부터 제1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여기서 상기 제1 호 접속 요청 신호는 상기 발신 단말이 상기 착신 단말로 호를 시도하기 위하여 상기 교환기로 전송한 서비스 기능 코드를 포함하는 호 설정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것임-; 상기 제1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제2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 상기 제2 호 접속 응답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제2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제2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교환기로 제1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 상기 제1 호 접속 응답 신호 및 상기 제2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의하여 형성된 통화로를 통해 수행되는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 사이의 통화중에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음성을 분석하는 수단; 상기 음성 분석 결과를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수단을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 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발신 단말 또는 착신 단말에서 제공되는 음성을 분석하여 통화자의 감정 상태를 분석하고 상기 통화자의 감정 상태의 분석 결과를 통화중 실시간으로 발신 단말로 가청음으로 제공하는 IP(Intelligent Peripheral) 서버; 및 IP 서버의 요청에 따라 기존 서버와 연동하여 그 결과를 응답하는 APS(Application Server) 서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발신 단말로 무선 인터넷을 통해 통화 연결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발신 단말로 상기 감정 상태의 분석 결과의 이력 조회 및 감정 분석 결과의 순위 보기를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웹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자의 감정을 분석하여 발신 단말로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는 기존 서비스 네트워크(101),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20), 인터넷 망(133)을 통해 결합하는 WAP 사용자(135), WEB 사용자(137)를 포함한다.
기존 서비스 네트워크(101)는 사용자 단말(103), 교환장치(105), 인증서버(107), 과금 서버(109), 메시지 서비스 센터(111) 및 웹 포탈(113)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3)은 해당 서비스 제공자의 가입자를 의미하며, 해당 서비스를 받기 위한 전화 발신자를 의미한다. 전화 착신자는 도 1에는 표현되어 있지 않으며 해당 서비스 제공자의 가입자가 아니어도 상관이 없다. 교환장치(105)는 서비스 제공자의 전화망을 의미하며, 예로 공중전화 통신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들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의 전화망은 다른 사업자의 유무선 전화망과 연결되어 있다. 인증 서버(107)는 서비스 제공자의 사용자의 가입 정보를 관리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부터 사용자의 인증을 요청받는 경우에 그 결과를 전송한다. 과금 서버(109)는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부터 사용자에게 서비스한 결과의 상세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로부터 사용액을 청구하는데 사용된다.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111)는 서비스 제공 장치(120)가 사용자의 호를 종료한 후에 착신자의 감정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단문 메시지로 전송한다. 웹 포탈(111)은 서비스 제공 장치(120) 내의 웹 서버(123)와 연결하여 사용자의 UI(User Interface)를 제공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IP(Intelligent Peripheral) 서버(121), 웹 서버(123), 데이터베이스(DB) 서버(125), 보조 저장 장치(RAID, 127), APS(Application Server) 서버(129) 및 OMS(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Server) 서버(131)를 포함한다.
IP(Intelligent Peripheral) 서버(121)는 서비스 제공 장치(120)의 주요 서 버로 사용자의 호가 인입되면 착신자에게 호를 발생하여 통화로를 연결하고 정해진 주기로 착신자의 음성을 녹음하여 착신자의 감정을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발신자에게 가청음으로 알려주고 또한 그 결과를 APS(Application Server) 서버(129)에 전송한다. APS(Application Server) 서버(129)는 서비스 제공자의 기존 서버와 연동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IP 서버(121)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정보를 받아 인증 서버(107)에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고, 사용자가 호를 종료하면 상세한 감정 분석 결과를 SMSC(111)에게 단문메시지 전송을 요청하다. 또한 주기적으로 과금 데이터를 과금 서버(109)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웹 서버(123)는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통화연결 메뉴를 제공할 뿐 아니라, 착신자 감정 분석 결과의 이력 조회, 착신자 감정분석 결과 순위 보기를 웹이나 무선인터넷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치이다. OMS (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Server) 서버(131)는 본 서비스 제공 장치를 운용/관리 할 수 있는 장치이다.
DBS(Database Server) 서버(125)는 가입자 정보, 음성 분석 결과 대한 정보 등 본 장치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장치이다. RAID(127)는 동일한 중요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는 장치를 말한다. RAID(127)를 이용하면, 이중화된 DBS서버에게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를 공유하고 데이터의 입출력 작업이 균형을 이루어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와 통신 사업자간의 연동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IP 서버(121), APS 서버(129), DB 서버(125), 웹 서버(123) 및 OMS 서버(131)를 포함한다.
IP 서버(121)는 서비스 제공자의 교환기와 SS7 ISUP(ISDN User Part) 신호 방식으로 연동하고, 발신자 또는 착신자의 음성을 저장하여 실시간으로 음성을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APS 서버(129)는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플랫폼과 TCP/IP기반으로 서비스 제공자의 연동 규격에 따라 연동하여 가입자 인증 요청,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 과금 정보 전송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DB 서버(125)는 가입자 정보, 가입자 서비스 결과, 과금 정보, 서버 정보, 운용 로그 등을 저장한다.
웹 서버(123)는 서비스 제공자의 웹 포탈(113)과 연동하여 가입자의 서비스 결과를 조회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제공한다. OMS 서버(131)는 시스템 형상 관리, 통계 관리, 시스템경보 관리, 운용 정보 관리 등을 운용자 수행할 수 있는 UI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서비스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 접속 방법은 크게 세 가지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가입자가 Feature Code와 착신번호를 누른 후 통화 버튼을 누르는 방법이고, 둘째는 이동통신 가입자인 경우에 착신번호를 누른 후 휴대폰의 무선 인터넷 키를 이용하는 방법이고 마지막 셋째는 휴대폰 단말기의 메뉴를 이용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첫째 방법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둘째 방법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셋째 방법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가 기능 코드 및 착신번호를 입력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접속하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도에서 설명하는 절차에 의하면 발신 가입자는 직접 본 서비스를 위한 기능 코드(Feature Code 또는 특정번호)와 착신번호를 입력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는 유선망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발신 가입자가 "Feature Code + 착신번호 + 통화버튼"을 입력하여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로 다이얼링을 시도한다(단계 301). MSC는 해당 "Feature Code +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발신자의 HLR로 Feature Request를 전송하게 된다(단계 303). 발신 HLR에서는 해당 서비스를 확인하여 MSC로 Feature Request 결과값을 전송하는데 이 때 IP 서버의 Routing Address를 포함한다(단계 305). MSC는 수신된 Routing Address에 따라 해당 착신 호를 IP 서버로 전달하게 된다(단계 307). 유선 통신망에서는 각 교환기의 데이터베이스에 특번이 입력되어 있으며 해당 특번에 해당하는 라우팅 테이블에 따라 호가 IP 서버까지 라우팅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에서 무선 인터넷 메뉴 방식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접속하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도에서 설명하는 방법은 착신번호를 누른 후 휴대폰의 무선 인터넷 키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발신 가입자가 윙크(WINC; Wireless Internet Number contents) 방식의 무선 인터넷 페이지에서 음성 분석 서비스 메뉴를 선택한 후 해당 서비스 장치로 실시간 음성 분석 서비스에 대한 호가 접속하는 라우팅 절차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발신 가입자가 착신 가입자의 전화번호 및 무선 인터넷 연결 버튼(매직엔키, Nate, EZ-i 키 등)을 입력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접속한다. 이 절차는 이동통신사업자의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해 윙크(WINC)방식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접속한다(단계 401).
서비스 제공 장치는 착신자와 기능 통화를 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 페이지를 발신자에게 출력한다(단계 403). 여기서, 각각의 부가 서비스에 대한 각 메뉴는 전화를 걸 수 있는 WML 혹은 ME 코드로서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음성 분석 서비스 메뉴의 경우 <Feature Code>+<착신번호>에 해당하는 Tel Tag를 포함하고 있다.
발신 가입자가 메시지 음성 분석 서비스 메뉴를 선택하면 현재 연결된 무선 인터넷의 연결을 중단하고 MSC(Mobile Switching Center)로 호를 시도한다(단계 405). 발신 가입자에게 호 설정 요구를 받은 MSC는 HLR로 해당 호를 어디로 라우팅할 것인지 요청한다(단계 407). HLR은 수신한 전화번호(서비스 Feature Code+착신번호)를 분석하여 MSC로 라우팅 정보를 전송한다(단계 409). 상기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MSC는 발신 가입자의 서비스의 호를 IP 서버로 라우팅한다(단계 411).
도 5는 도 4의 부연 설명으로 발신자가 서비스 제공 장치의 기능 통화를 위 해 무선 인터넷에 접속한 뒤 메시지 전달을 시도하는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본 절차는 서비스 사업자의 내부 망 또는 서비스 절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발신자가 착신 가입자의 전화번호 및 무선 인터넷 연결 버튼(매직엔키, Nate, 또는EZ-i 키)을 입력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의 웹 서버로 접속한다(단계 501). 서비스 제공 장치는 착신자와 기능 통화를 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 페이지를 발신자에게 출력한다(단계 503). 가입자는 기능 통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메뉴에 해당하는 메뉴 번호를 선택한다(단계 505).
발신자 또는 착신자의 음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음성 파일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현재 접속된 무선 인터넷의 접속 연결을 해제한다(단계 507). 이후 발신 가입자는 본 서비스 Feature Code(또는 특번)와 발신자가 입력한 착신번호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로의 접속을 위해 교환기로 호 설정을 요구한다(단계 509).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의 단말에 있는 전화번호부 메뉴를 수정해서 서비스를 직접 접속해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본 도에서 설명하는 절차를 따르는 경우 윙크 메뉴 방식에서 설명한 무선 인터넷의 메뉴에 접속하지 않고 직접 교환기(MSC)로 호를 시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발신자가 전화번호부의 신규 메뉴(601)에서 부가 서비스 메뉴를 입력하면, 부가 서비스 메뉴(603)가 단말의 표시부에 출력된다. 부가 서비스 메뉴(603)에서 "러브콜"이 입력된 경우, 단말기는 전화번호부의 착신자 전화번호 앞에 음성 분석 서비스에 해당하는 기능 코드(Feature Code)를 추가해 준다. 즉, "러브콜" 메뉴를 선택하면 휴대폰 단말기는 실시간 음성 분석 서비스를 나타내는 기능코드(Feature Code(예: # 혹은 *66)) + 착신 가입자 전화번호를 MSC로 전송하여 호를 시도하게 된다.
도 3 내지 6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양한 접속 방식을 가지고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의 접속 절차를 통하여 유무선통신망에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유무선 통신망 시스템과 SN(Service Node) 접속 방식을 이용하여 호 처리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입장에서는 세 가지의 다른 방식에 의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접속하게 되나, 발신 단말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접속하기 위하여 교환기로 전송하는 호 설정 요구 신호는 세 가지 방식에서 모두 동일한 신호에 해당된다. 어느 경우에도 상기 호 설정 요구 신호는 본 서비스를 위한 특정 기능 코드 및 착신 단말의 번호를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노드 방식에 의한 서비스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발신자가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교환기(MSC)로 호 설정 요구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701). 상기 호 설정 요구 신호는 서비스를 위한 기능 코드(Feature Code) 및 착신번호를 포함한다.
MSC는 발신자의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로 FEATREQ를 전송하여 IP서버로 호를 라우팅하기 위한 Prefix 정보를 질의한다(단계 703). HLR은 IP 서버로 라우팅 하기위한 Prefix 정보를 MSC로 전송한다(단계 705). MSC는 HLR에서 제공한 정보를 참조하여 IP 서버로 발/착신번호를 포함하여 호를 라우팅(Routing)한다(단계 707). IP 서버는 예로 "안녕하세요? 러브콜 서비스입니다."와 같은 서비스 안내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송출할 수 있다(단계 709).
이후 IP 서버는 수신한 발신자 정보를 이용하여 APS 서버로 가입자 인증을 요청한다(단계 711). APS 서버는 서비스 제공자의 인증 서버로 인증을 요청하고 그 결과를 수신한 후에 IP 서버로 그 결과를 통보한다(단계 713). IP 서버는 발신자 인증 결과가 비정상적이면 MSC로 해당 호에 대하여 해제 신호를 전송하고, 발신자 인증 결과가 정상적이면 착신 번호를 이용하여 MSC로 아웃바운드 콜(Outbound Call)을 요청한다(단계 715).
MSC는 착신자로 호 설정 요구를 시도한다(단계 717). 착신자가 걸려온 호에 대해 응답하면(단계 719), MSC는 IP 서버로 응답(Answer) 신호를 전달한다(단계 721).
IP 서버는 출중계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한 후에 입출계호에 대하여 MSC로 응답(Answer) 신호를 전달한다(단계 723). 이후 MSC는 발신자의 호에 대해 응답한다(단계 725).
IP 서버는 착/발신자의 통화로를 연결하고 발신자와 착신자는 통화를 수행한다(단계 727). 이때 IP 서버는 서비스 종류가 러브콜 또는 거짓말 탐지콜인 경우에는 착신자의 음성을, 서비스 종류가 스트레스 탐지콜인 경우에는 발신자의 음성을 녹음하여 주기적으로(예, 10초 간격으로) 녹음된 파일을 음성 분석 엔진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분석이 완료되면 그 결과를 실시간으로 가청음을 통하여 발신자에게 알려주고 또한 APS 서버로도 전송한다(단계 729). APS 서버에서는 수신한 가입자의 분석 정보를 분석시각, 발신번호, 착신번호, 분석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단계 731).
발신자가 통화를 완료하고 통화 중인 호를 해제하면 (단계 733), MSC는 IP 서버에게 호 해제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735). IP 서버는 출중계호를 해제하기 위해 MSC로 호 해제 신호를 전송하고(단계 737), MSC는 착신자에게 호 해제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739).
호 해제가 완료되면 IP 서버는 APS 서버로 해당 발신자의 서비스가 완료되었음을 통보한다(단계 741). APS 서버는 서비스 결과 및 서비스 로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단계 743).
APS 서버는 서비스명, 통화시각, 서비스 결과를 단문 메시지를 통해 전송하기 위해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로 전송한다(단계 745). SMSC는 발신자에게 해당 문자 메시지(SMS)를 전송한다(단계 747). 이때 단문 메시지 대신에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APS 서버는 해당 서비스 종료 후에 과금 서버로 과금을 위하여 CDR Data를 전송한다(단계 749).
도 8은 일반적인 SN(Service Node) 방식에서 발신자와 착신자간에 통화로를 구성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발신자와 착신자간에 통화를 위해서는 스위치에서 발신측의 발신 채널(Tx Channel)이 착신측에 수신 채널(Rx Channel)에 연결되고, 발신측의 수신 채널(Rx Channel)이 착신측에 발신 채널(Tx Channel)에 연결된다.
상기의 음성 통화로를 구성하면 분석할 음성 데이터를 추출할 수가 없다. 그래서 분석할 음성 파일을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하여 도 9와 같이 3자 회의를 위한 통화로를 구성한다. 3자 회의 통화를 위하여, 발신측 및 착신측의 모두 발신 채널(Tx Channel) 및 착신 채널(Rx Channel)이 콜 믹서(Call Mixer)에 연결되어 있으며, 콜 믹서(Call Mixer)에서 발신측 및 착신측의 발신 채널의 음성을 혼합하여 음성을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일반적인 회의 통화 기능을 사용하여 발/착신자의 음성을 녹음하면 발/착신자의 음성이 혼합되어 특정 부분의 사용자(발신자 또는 착신자)의 음성을 분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통화로를 연결하여 두 가지 종류로 음성을 녹음하여 착신측 또는 발신측 음성만 녹음하여 음성 분석용으로, 혼합 녹음하여 유선인터넷에서 녹음 파일 재생용으로 사용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러브콜 또는 거짓말 탐지콜의 경우처럼 착신자의 음성을 녹음하여 분석하기 위한 이중 회의 통화로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착신측의 발신 채널(Tx Channel)만을 이용하여 착신측 음성만을 녹음하는 부분과 발신측의 발신 채널(Tx Channel)과 착신측(Rx Channel)의 발신 채널을 혼합하여 발착신자가 통화 내용을 녹음하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탐지콜인 경우처럼 발신자의 음성을 녹음하여 분석하기 위한 이중 회의 통화로 구성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발신측의 발신 채널(Tx Channel)만을 이용하여 발신측 음성만을 녹음하는 부분과 발신측의 발신 채널과 착신측의 발신 채널(Tx Channel)을 혼합하여 발착신자가 통화 내용을 녹음하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서비스 제공 장치는 도 10 또는 도 11과 같이 콜 믹서(Call Mixer)에서 착신측 또는 발신측 음성을 녹음하여 음성 분석 엔진으로 송부 한다. 음성 분석 엔진에서는 수학적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출한 음성 세그먼트를 분석한다. 스피치 파형에 대한 광범위 스펙트럼과 미세변화 분석을 결합한 진실, 거짓, 흥분, 스트레스, 근심, 불확실 등 여러 가지 감정 상태를 분석하여 음성 분석 엔진은 그 결과를 수치적으로 출력하면 그 내용으로 실시간으로 발신자에게 음성으로 그 내용을 통보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러브콜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하여 IVR(Interactive Voice Response) 시나리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는 발신자가 Feature Code + 착신번호를 입력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에 연결되었을 때 서비스 제공 장치가 발신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판단하는 시나리오를, 도 13은 서비스 제공 장치가 발신자를 인증하는 시나리오를, 도 14는 발신자가 수신자와 통화하면서 러브콜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시나리오로 나타낸 것이다. 안내 방송 내용 및 음성 분석 과정이 다를 뿐 거짓말 탐지콜, 스트레스 탐지콜의 시나리오 경우에도 러브콜 서비스와 동일하다.
도 12를 참조하면, 발신자의 호가 서비스 제공 장치의 IP 서버로 연결되었을 때 IP 서버는 발신자의 호에 포함되어 있는 기능 코드를 이용하여 서비스의 종류를 판단한다(단계 1201). IP 서버는 서비스의 종류가 러브콜, 거짓말 탐지콜, 스트레스 탐지콜인 경우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나리오를 수행한다(단계 1203, 단계1205, 단계 1207). 이때 기능코드의 번호가 유효하지 아니한 경우 IP 서버는 예로 "죄송합니다. 번호를 확인한 후 다시 걸어주십시오.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와 같은 안내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송출한 후(단계 1209), 연결을 종료한다(단계 1211).
도 13을 참조하면, 예로 러브콜 서비스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경우(단계 1301), 먼저 서비스 제공 장치는 발신자의 가입자 정보를 조회한다(단계 1303).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는 발신자가 가입 고객인지를 판단하여(단계 1305), 가입 고객인 경우 단계 1309를 수행하고, 가입 고객이 아닌 경우 단계 1307을 수행한다.
단계 1307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예로 "러브콜 서비스입니다. 통화 상대의 러브지수를 알려드리며, 정보 이용료는 건당 900원입니다. 월정액 가입자는 한 달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용요금은 월 3500원입니다"와 같은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고 서비스를 종료한다.
단계 1309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착신 번호가 유효한지 확인한다. 이때 착신 번호가 유효한 경우 러브콜 서비스를 제공하고(단계 1313), 유효하지 아니한 경우 발신자에게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고 서비스를 종료한다(단계 1311). 이때 안내 메시지는 예로 "지금 거신 번호는 러브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가 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는 예로 러브콜 서비스의 경우 인증이 완료되면, 발신자와 착신자의 호를 콜 믹서(Call Mixer)를 통해 통화로를 연결한다(단계 1401). 통화로 연결이 완료되어 발신자와 착신자가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는 착신측 음성을 분석하여(단계 1403), 분석 결과를 발신자에게 전송한다(단계 1405). 이때 분석 결과는 예로 가청음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후 통화가 완료되면(단계 1407), 서비스 제공 장치는 녹음된 파일 및 분석 내용을 발신자에게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통해 전송한다(단계 1409).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가 메시지를 통해 전송하는 대신에 발신자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분석 내용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러브콜을 접속하는 절차를 나타낸 단말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착신번호+ 무선인터넷 접속 키"를 입력받아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접속하는 경우(단계 1501). 단말은 다양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메뉴 화면(1503)을 표시부에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하여 감성콜 서비스를 위한 메뉴가 입력되는 경우 감성콜 서비스를 위한 화면(1505)이 단말의 표시부에 출력된다. 이때 감성콜의 메뉴에는 러브콜, 거짓말 탐지콜, 스트레스 탐지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하여 러브콜이 입력되는 경우 단말은 러브콜 전화 연결 화면(1507)을 표시부에 출력하면서 서비스 제공 장치로의 연결을 시도한다. 이때 러브콜은 착신자의 애정 지수를 측정하는 서비스를 나타낸 것 이다. 거짓말 탐지콜 및 스트레스 탐지콜도 동일한 절차에 따라 서비스 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종료 후에 러브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단문 메시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러브콜 서비스에 의한 통화 종료 후, 서비스 제공 장치는 분석 결과 메시지(1601)를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가 자세한 내용을 보기 위해 연결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 무선 인터넷을 통해 분석 결과에 대한 상세 화면(1603)이 단말의 표시부에 출력된다. 이때 러브 지수는 숫자와 그래프 등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넷을 통한 러브콜 서비스의 관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자기번호 + 무선 인터넷 접속키"를 입력받아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접속하는 경우(단계 1701), 단말의 표시부에는 서비스 관리 모드 화면(1703)이 출력된다. 이때 서비스 관리 모드 화면(1703)에서 감성콜 관리 메뉴가 입력되면 감성콜 서비스 목록 화면(1705)이 표시부에 출력된다. 감성콜 서비스 목록 화면(1705)에는 러브콜 메뉴, 거짓말 탐지콜 메뉴, 스트레스 탐지콜 메뉴가 포함되어 있다. 이때 러브콜 메뉴가 입력되는 경우 러브콜 서비스 목록 화면(1707)이 표시부에 출력된다. 러브콜 서비스 목록 화면(1707)에서 최근 통 화 이력이 입력되는 경우 최근 통화 목록(1709)이 표시되고 해당 번호를 입력하면, 번호에 해당되는 러브 지수 화면(1711)이 표시부에 출력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자기번호 + 무선 인터넷 접속키"를 입력받아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접속하는 경우(단계 1801), 단말의 표시부에는 서비스 관리 모드 화면(1803)이 출력된다. 이때 서비스 관리 모드 화면(1803)에서 감성콜 관리 메뉴가 입력되면 감성콜 서비스 목록 화면(1805)이 표시부에 출력된다. 감성콜 서비스 목록 화면(1805)에는 러브콜 메뉴, 거짓말 탐지콜 메뉴, 스트레스 탐지콜 메뉴가 포함되어 있다. 이때 러브콜 메뉴가 입력되는 경우 러브콜 서비스 목록 화면(1807)이 표시부에 출력된다. 러브콜 서비스 목록 화면(1807)에서 러브 Top 10 메뉴가 입력되는 경우 러브콜 Top 10 화면(1809)이 단말의 표시부에 출력된다. 상기 러브콜 Top 10 화면(1809)은 러브콜 사용 이력 중에서 러브 지수가 높은 전화번호를 순서로 나타낸 것이다. 러브콜 Top 10 화면(1809)에서 특정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한 러브 지수 이력 화면(1811)이 표시되고, 특정 통화시간을 입력하면 해당 통화에 대한 상세 러브 지수 화면(1813)을 통해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에서는 러브콜 서비스를 사용하는 고객의 러브콜 사용 이력, 러브콜 사용 이력 중에 Top 10 조회 등을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거짓말 탐지콜인 경우에는 고객의 거짓말 탐지콜 사용 이력 및 거짓말쟁이 Top10 등을 도 17 및 도 18 형태의 화면으로 조회할 수 있으며, 스트레스 탐지콜인 경우에는 고객의 스트레스 탐지콜 사용 이력 및 스트레스 Top 10 등을 도 17 및 도 18 형태의 화면 으로 조회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따라 유선 인터넷에서 러브콜 서비스의 관리 기능 중에서 러브콜 서비스를 사용하는 고객의 러브콜 사용 이력을 조회할 때의 화면 예시도들이다. 도 19는 유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최근 통화 이력 조회 화면이며, 도 20, 도 21 및 도 22는 고객의 러브콜 사용 이력에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23은 러브콜 사용 이력 중에 Top 10 조회 등을 나타낸 화면 예시도이다. 거짓말 탐지콜인 경우에는 고객의 거짓말 탐지콜 사용 이력 및 거짓말쟁이 Top10 등을 도 19, 도 20, 도 21, 도 22 및 도 23의 화면으로 조회할 수 있으며, 스트레스 탐지콜인 경우에는 고객의 스트레스 탐지콜 사용 이력 및 스트레스 Top10 등을 도 19, 도 20, 도 21, 도 22 및 도 23의 화면으로 조회할 수 있다.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선 인터넷에서 러브콜 서비스의 관리 기능 중에서 녹음 파일 리스트 확인 및 파일 청취 기능을 도식으로 나타낸 것이다. 즉 도 24는 러브콜 서비스를 사용하는 고객의 러브콜 사용하면서 대화 내용을 녹음한 목록을 조회하는 기능의 화면 예시도이다. 도 25는 녹음 내용을 재생하면 그에 동기를 맞추어 그 분석 결과를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의 화면 예시도이다. 거짓말 탐지콜 및 스트레스 탐지콜인 경우에도 고객의 녹음 파일 리스트 기능 및 녹음 파일 리스트 청취 기능을 도 24 및 도 25 형태의 화면으로 조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화 사용자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단순한 음성 통화뿐 만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개성을 나타내주는 여러 가지 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화 중에 상대방 또는 자신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여 감정 조절을 위한 데이터로 활용하거나 상대방에게 조언 및 제언이 가능하다. 현대는 먹고 사는 문제보다는 어떻게 건강하게 사느냐는 문제에 더 관심이 많은데,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런 현대의 참살이(Welling-Being) 경향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일반적인 음성 부가 통화 방식과 같이 "Feature Code + 전화번호 + 통화버튼" 방식뿐 아니라, "착신번호 + 무선 인터넷 접속 키"를 이용하는 방법, 또한 단말기의 메뉴를 이용하는 방법 모두를 지원하는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하고 손쉽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즉, 기존의 "Feature Code + 전화번호 + 통화버튼" 방식을 사용하게 되면 이동 통신에서 제공하는 음성 부가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반드시 Feature Code를 알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 는데,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무선 인터넷 접속 키 또는 단말기 메뉴를 이용해서도 쉽게 접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Feature Code 등을 이용한 간편한 접속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어려운 방식에 대한 편리성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발신 단말, 착신 단말 및 교환기와 결합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통화중 통화자의 감정을 분석하여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로부터 제1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제1 호 접속 요청 신호는 상기 발신 단말에서 제공하는 메뉴를 통해 전송되거나, 상기 발신 단말이 상기 착신 단말로 호를 시도하기 위하여 상기 교환기로 전송한 서비스 기능 코드, 상기 착신 단말의 번호 및 통화 버튼을 입력 받음으로써 전송되는 호 설정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것임-;
    상기 제1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제2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호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제2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교환기로 제1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호 접속 응답 신호 및 상기 제2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의하여 형성된 통화로를 통해 수행되는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 사이의 통화중에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음성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음성 분석 결과를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중 음성 분석 결과를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 신호는 상기 발신 단말에서 상기 착신 단말의 전화 번호 및 무선 인터넷 연결 버튼 입력에 의하여 생성된 것임-;
    상기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부가 서비스 목록을 포함하는 부가 서비스 통합 화면을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발신 단말로부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단말과의 무선 인터넷 접속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발신 단말은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의 WML 또는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기능 코드를 통해 상기 교환기로 상기 호 설정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음성 분석 결과를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분석 결과는 통화중 실시간으로 가청음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음성 분석 결과를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 사이에 형성된 상기 통화로를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분석 결과를 단문 메시지를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화중 음성 분석 결과를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 사이에 형성된 상기 통화로를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분석 결과의 상세 내용을 웹을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화중 음성 분석 결과를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7.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발신 단말, 착신 단말 및 교환기와 결합하여 통화중 통화자의 감정을 분석하여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로부터 제1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여기서 상기 제1 호 접속 요청 신호는 상기 발신 단말에서 제공하는 메뉴를 통해 전송되거나, 상기 발신 단말이 상기 착신 단말로 호를 시도하기 위하여 상기 교환기로 전송한 서비스 기능 코드, 상기 착신 단말의 번호 및 통화 버튼을 입력 받음으로써 전송되는 호 설정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것임-;
    상기 제1 호 접속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제2 호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
    상기 제2 호 접속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제2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제2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교환기로 제1 호 접속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
    상기 제1 호 접속 응답 신호 및 상기 제2 호 접속 응답 신호에 의하여 형성된 통화로를 통해 수행되는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 사이의 통화중에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음성을 분석하는 수단;
    상기 음성 분석 결과를 상기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8. 발신 단말 또는 착신 단말에서 제공되는 음성을 분석하여 통화자의 감정 상태를 분석하며 및 상기 통화자의 감정 상태의 분석 결과를 통화중 실시간으로 발신 단말로 가청음으로 제공하는 IP(Intelligent Peripheral) 서버; 및
    인증 서버, 과금 서버 및 SMSC 서버와 연동하여 가입자 인증 요청, 과금 정보 전송 및 단문 메세지 전송 요청의 기능을 수행하는 APS(Application Server) 서버
    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로 무선 인터넷을 통해 통화 연결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발신 단말로 상기 감정 상태의 분석 결과의 이력 조회 및 감정 분석 결과의 순위 보기를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웹 서버
    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KR20060095449A 2006-09-29 2006-09-29 통화 중 음성 분석 결과를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및장치 KR100834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95449A KR100834908B1 (ko) 2006-09-29 2006-09-29 통화 중 음성 분석 결과를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및장치
PCT/KR2007/004768 WO2008039031A1 (en) 2006-09-29 2007-09-28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the result of voice analysis
CNA200780036555XA CN101523935A (zh) 2006-09-29 2007-09-28 用于传输语音分析结果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95449A KR100834908B1 (ko) 2006-09-29 2006-09-29 통화 중 음성 분석 결과를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및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390A KR20080029390A (ko) 2008-04-03
KR100834908B1 true KR100834908B1 (ko) 2008-06-03

Family

ID=39230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95449A KR100834908B1 (ko) 2006-09-29 2006-09-29 통화 중 음성 분석 결과를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834908B1 (ko)
CN (1) CN101523935A (ko)
WO (1) WO20080390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86139B2 (en) 2009-03-20 2016-07-05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emotion-based user interface
CN103856879B (zh) * 2012-11-29 2017-06-23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查询呈现状态信息的方法和系统、主叫终端、被叫终端
CN102970664A (zh) * 2012-12-07 2013-03-13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增值业务实现方法、设备及系统
CN104811469B (zh) * 2014-01-29 2021-06-04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用于移动终端的情绪共享方法和装置及其移动终端
EP3350980B1 (en) * 2015-09-14 2021-11-03 Cogito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nalyzing, and providing visualizations of multi-party dialog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330A (ko) * 2004-06-18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전달 및 표출 방법과, 그를위한 통신 시스템
KR20060087270A (ko) * 2005-01-28 2006-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화자의 감정 표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80389A1 (en) * 2001-03-29 2002-10-10 Harmonicolor System Co., Ltd. Telephone and method for converting sound to image and displaying on screen thereof
KR20040032451A (ko) * 2002-10-09 2004-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신호 기반의 건강 관리 기능을 갖는 모바일 기기 및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KR20050040291A (ko) * 2003-10-28 2005-05-03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감정 상태 알림 장치 및 방법
KR100993041B1 (ko) * 2004-01-06 2010-11-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서 거짓말 탐지 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0330A (ko) * 2004-06-18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사용자의 감정 전달 및 표출 방법과, 그를위한 통신 시스템
KR20060087270A (ko) * 2005-01-28 2006-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화자의 감정 표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23935A (zh) 2009-09-02
WO2008039031A1 (en) 2008-04-03
KR20080029390A (ko) 200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00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voice message in mobile network
KR20000070637A (ko) 광고 메세지 전송을 포함하는 전화 통신에 관한 방법
KR100834908B1 (ko) 통화 중 음성 분석 결과를 발신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및장치
KR20010099059A (ko) 발신자 확인을 위한 캐릭터 및 문자 전송 서비스 시스템
US8886174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rvice provider awareness
KR100728627B1 (ko) 가입자 감정 기반 통화 연결음 설정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445322B1 (ko) 통신시스템에서의 통화배경음 제공 방법
JP3968279B2 (ja) 代理応答通信システム、代理応答通信方法、代理応答装置及びゲートウェイ装置
KR101098188B1 (ko) 가입자별 정보 관리 및 제공 기능을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WO20070438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video message in w-cdma network
US79409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wireless calling
KR20010044725A (ko) 인터넷망을 이용한 통화 콜백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및 방법
KR100664502B1 (ko) 녹음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704401B1 (ko) 통화 중 단축키를 이용하여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장치
KR100492376B1 (ko) 이동 통신망에서 음성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97069B1 (ko) 통화중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371487B1 (ko) 광고를 이용한 무료 이동 전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986511B1 (ko) 단문메시지가 가능한 일반전화에 푸쉬형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1080407A1 (ru) Способ доставки нацеленной рекламной информации и систем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KR100577919B1 (ko) 전화 발신 중 링백톤 대체음을 이용하여 다른 부가서비스의 음원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02902B1 (ko) 인터넷 연동을 통한 vip고객 ars연결장치 및 그 방법
KR100465916B1 (ko) 무선 통신망에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통합 채널의구성 방법 및 장치
KR20080054051A (ko) 통화 연결음 복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854228B1 (ko) 전화기의 링 신호시 정보 및 광고 제공 방법
KR20010035424A (ko) 유선 전화 자동 응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trial (for invalid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302

Effective date: 20110822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PAY Annual fee payment

Year of fee payment: 5

Payment date: 2012030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