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5957A - 잔디용 활엽 다년생 잡초 방제제 및 잔디용 활엽 다년생 잡초의 방제 방법 - Google Patents

잔디용 활엽 다년생 잡초 방제제 및 잔디용 활엽 다년생 잡초의 방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5957A
KR20090105957A KR1020097016127A KR20097016127A KR20090105957A KR 20090105957 A KR20090105957 A KR 20090105957A KR 1020097016127 A KR1020097016127 A KR 1020097016127A KR 20097016127 A KR20097016127 A KR 20097016127A KR 20090105957 A KR20090105957 A KR 20090105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ss
group
broad
control agent
w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6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1755B1 (ko
Inventor
아키라 오노
야스지 오쿠니시
다카시 사토
Original Assignee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5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7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6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647Triazoles; Hydrogenated triazoles
    • A01N43/653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nitrogen compounds
    • A01N33/1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nitrogen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to-oxygen bonds
    • A01N33/18Nitro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4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nitrogen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by a single or double bond, this nitrogen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derivative or of a thio analogue of a carboxylic group, e.g. amino-carboxylic acids
    • A01N37/48Nitro-carboxyl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aryloxy- or arylthio-aliphatic or cycloaliphatic compounds, containing the group or, e.g. phenoxyethylamine, phenylthio-acetonitrile, phenoxyacetone
    • A01N39/02Aryloxy-carboxyl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aryloxy- or arylthio-aliphatic or cycloaliphatic compounds, containing the group or, e.g. phenoxyethylamine, phenylthio-acetonitrile, phenoxyacetone
    • A01N39/02Aryloxy-carboxyl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A01N39/04Aryloxy-acet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3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01N43/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기존의 잔디용 제초제로는 방제가 곤란한 활엽 다년생 잡초, 및/또는 기존의 제초제에 저항성을 갖는 잡초에 대해서도 높은 제초 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잔디류에 대해 충분한 안전성을 나타내는 잔디용 활엽 다년생 잡초 방제제, 그리고 이 방제제를 토양 또는 경엽에 시용하는 잔디 활엽 다년생 잡초의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식 (1) 로 나타내는 1,5-디페닐-1H-1,2,4-트리아졸-3-카르복실산아미드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잔디용 활엽 다년생 잡초 방제제, 이 방제제를 토양 또는 경엽에 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활엽 다년생 잡초의 방제 방법.
Figure 112009047054913-PCT00011
(식 중, R 은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10 의 알킬기 등을 나타내고, X1 은 할로겐 원자 또는 탄소수 1 ∼ 3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2 는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Y1, Y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불소 원자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잔디용 활엽 다년생 잡초 방제제 및 잔디용 활엽 다년생 잡초의 방제 방법 {BROAD-LEAVED PERENNIAL WEED CONTROL AGENT FOR GRASS, AND METHOD FOR CONTROL OF BROAD-LEAVED PERENNIAL WEED IN GRASS}
본 발명은 1,5-디페닐-1H-1,2,4-트리아졸-3-카르복실산아미드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잔디용 활엽 다년생 잡초 방제제, 및 이 방제제를 토양 또는 경엽 (莖葉) 에 시용하는 잔디 활엽 다년생 잡초의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7년 2월 6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07-027072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잔디는 골프장, 공원, 일반 가정의 뜰, 하천 부지, 과수원 하초 등에서의 미관의 유지, 방재, 레크리에이션 장소의 제공 등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미관을 유지하면서 잔디를 건전하게 생육시키는 과정에서 문제가 되는 것이 잡초의 방제이다. 또한, 잔디에 번식하는 잡초는 잔디의 생육을 억제하는 원인이 되고, 그 종자가 의복에 부착되거나, 병해충의 온상이 된다.
그래서, 종래부터 제초제를 사용하여 잔디에 번식하는 잡초를 방제하는 것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제초제에 의한 방제 기술에서는, 사용하는 제초제의 살초 스펙트럼이 좁아, 방제 효과가 불충분한 경우나 처리 방법이 한정되어 있고, 또한 처리 적기폭 (適期幅) 이 좁은 것, 환경에 대한 안전성 등의 여러가지 문제를 갖고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동일한 작용성의 제초제 연용 (連用) 에 의한 저항성을 갖는 잡초가 발생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에 관련하여, 1,5-디페닐-1H-1,2,4-트리아졸-3-카르복실산아미드 유도체가 제초 활성을 갖는 것은, 특허 문헌 1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 기재된 화합물의 하나인 플루폭삼 (ISO 명 : flupoxam ; CAS 명 : 1-[4-클로로-3-[(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폭시)메틸]페닐]-5-페닐-1H-1,2,4-트리아졸-3-카르복사미드, Reg. No.119126-15-7) 은, 유럽에서 보리류용 제초제로서 등록되어 있다.
또한 플루폭삼은, 잔디용 토양 제초제로서, 재단법인 일본 식물 조절제 연구 협회에서 2002년부터 위탁 시험에 제공되고 있다. 이것은, 들잔디나 금잔디 등의 잔디류에 약해가 없고, 또한 잔디에 발생하는 별꽃 등의 활엽 1 년생 잡초나 바랭이의 벼과 잡초에 대해 높은 방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 (비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플루폭삼이 잔디에 발생하는 활엽 다년생 잡초나, 기존의 제초제에 저항성을 갖는 잡초에 대해서도 우수한 제초 활성을 갖는 것은 알려지지 않았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313779호
비특허 문헌 1 : 2003년도 춘하작 잔디 관계 제초제·생육 조절제 시험 성적 집록 (2003년 12월 재단법인 일본 식물 조절제 연구 협회)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종래 기술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기존의 잔디용 제초제로는 방제가 곤란한 잡초, 및/또는 기존의 제초제에 저항성을 갖는 잡초에 대해서도 높은 제초 효과를 갖고, 또한 잔디류에 대해 안전성을 나타내는 잔디용 활엽 다년생 잡초 방제제, 및 이 방제제를 토양 또는 경엽에 시용하는 잔디 활엽 다년생 잡초의 방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검토한 결과, 하기 식 (1) 에 나타내는 1,5-디페닐-1H-1,2,4-트리아졸-3-카르복실산아미드 유도체가 잔디에 대한 안전성이 높고, 토양 처리 또는 경엽 처리에 의해 기존의 잔디용 제초제로는 방제가 곤란한 활엽 다년생 잡초나, 기존의 제초제에 저항성을 갖는 잡초에 대해서도 높은 제초 효과를 갖고, 게다가 처리 적기폭이 넓은 제초 활성 성분인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의 제 1 에 의하면, 식 (1)
[화학식 1]
Figure 112009047054913-PCT00001
(식 중, R 은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10 의 알킬기, 탄소수 3 ∼ 7 의 시클로알킬기로 치환된 탄소수 1 ∼ 3 의 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7 ∼ 9 의 아르알킬기를 나타내고, X1 은 할로겐 원자 또는 탄소수 1 ∼ 3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2 는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Y1, Y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불소 원자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1,5-디페닐-1H-1,2,4-트리아졸-3-카르복실산아미드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잔디용 활엽 다년생 잡초 방제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방제제에 있어서는, 상기 잔디가, 들잔디, 금잔디, 비로드 잔디, 버뮤다그래스, 세인트 오거스틴그래스, 크리핑 벤트그래스, 켄터키 블루그래스, 페레니얼 라이그래스 및 페스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활엽 다년생 잡초가, 쇠뜨기, 땅비수리, 토끼풀, 괭이밥, 콩제비꽃, 피막이풀, 질경이, 봄망초, 좀씀바귀, 민들레 및 쑥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에 의하면, 본 발명의 잔디용 활엽 다년생 잡초 방제제를 토양 또는 경엽에 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활엽 다년생 잡초의 방제 방법이 제공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잔디용 활엽 다년생 잡초 방제제는, 기존의 잔디용 제초제로는 방제가 곤란한 활엽 다년생 잡초나, 기존의 제초제에 저항성을 갖는 잡초에 대해서도 높은 방제 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방제 효과의 발현이 빠르다. 또한, 잔디류에 대해 충분한 안전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방제 방법에 의하면, 잔디에 대해 안전하게, 또한 기존의 잔디용 제초제로는 방제가 곤란한 활엽 다년생 잡초나, 기존의 제초제에 저항성을 갖는 잡초에 대해서도 높은 제초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잔디용 활엽 다년생 잡초 방제제
본 발명의 잔디용 활엽 다년생 잡초 방제제 (이하, 「본 발명의 방제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는,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1,5-디페닐-1H-1,2,4-트리아졸-3-카르복실산아미드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한다.
상기 식 (1) 중, R 은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10 의 알킬기, 탄소수 3 ∼ 7 의 시클로알킬기로 치환된 탄소수 1 ∼ 3 의 알킬기, 치환 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7 ∼ 9 의 아르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를 나타낸다.
상기 R 의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10 의 알킬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n-헵틸기, n-옥틸기, n-노닐기, n-데실기 등의 탄소수 1 ∼ 10 의 알킬기 ; 플루오로메틸기, 디플루오로메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2,2,2-트리플루오로에틸기, 펜타플루오로에틸기, 퍼플루오로프로필기, 퍼플루오로부틸기, 퍼플루오로펜틸기 등의 불소 원자로 치환된 탄소수 1 ∼ 10 의 알킬기 ; 를 들 수 있다.
탄소수 3 ∼ 7 의 시클로알킬기로 치환된 탄소수 1 ∼ 3 의 알킬기의 탄소수 1 ∼ 3 의 알킬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를 들 수 있다.
탄소수 3 ∼ 7 의 시클로알킬기로는,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3 ∼ 7 의 시클로알킬기로 치환된 탄소수 1 ∼ 3 의 알킬기의 구체예로는, 시클로프로필메틸기, 시클로펜틸메틸기, 시클로헥실메틸기, 2-시클로프로필에틸기, 2-시클로펜틸에틸기, 2-시클로헥실에틸기, 3-시클로프로필프로필기, 3-시클로펜틸프로필기, 3-시클로헥실프로필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7 ∼ 9 의 아르알킬기의 탄소수 7 ∼ 9 의 아르알킬기로는, 벤질기, 페네틸기, 3-페닐프로필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7 ∼ 9 의 아르알킬기, 및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의 치환기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 ; 메틸기, 에틸기 등의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 메톡시기, 에톡시기 등의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 ; 니트로기 ; 시아노기 ;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르알킬기 및 페닐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복수의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X1 은, 할로겐 원자 또는 탄소수 1 ∼ 3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X1 의 할로겐 원자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탄소수 1 ∼ 3 의 알킬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를 들 수 있다.
X2 는,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X2 의 할로겐 원자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등을 들 수 있다.
Y1, Y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불소 원자를 나타낸다.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1,5-디페닐-1H-1,2,4-트리아졸-3-카르복실산아미드 유도체의 구체예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313779호 (명세서 중 표 1) 에 기재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1,5-디페닐-1H-1,2,4-트리아졸-3-카르복실산아미드 유도체로는, 플루폭삼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제제는 잔디에 대한 안전성이 높고, 토양 처리 또는 경엽 처리 에 의해, 기존의 잔디용 제초제로도 방제가 곤란한 활엽 다년생 잡초나, 기존의 제초제에 저항성을 갖는 잡초에 대해서도 높은 제초 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처리 적기폭이 넓은 제초제이다.
본 발명의 방제제를 사용할 수 있는 잔디로는, 잔디로서 사용되는 초종 (草種) 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들잔디, 금잔디, 비로드 잔디, 버뮤다그래스, 세인트 오거스틴그래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난지형 잔디 ; 크리핑 벤트그래스, 켄터키 블루그래스, 페레니얼 라이그래스, 페스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한지형 잔디 ;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금잔디 (Zoysia tenuifolia) 나, 들잔디 (Zoysia japonica) 가 바람직하다. 금잔디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제제가 방제 대상으로 하는 잡초로는, 벼과 1 년생 잡초, 활엽 잡초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잔디용 활엽 다년생 잡초 방제제는, 바람직하게는 활엽 잡초를 방제 대상으로 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활엽 다년생 잡초를 방제 대상으로 한다. 그 중에서도, 쇠뜨기, 땅비수리, 토끼풀, 괭이밥, 콩제비꽃, 피막이풀, 질경이, 봄망초, 좀씀바귀, 민들레 및 쑥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활엽 다년생 잡초를 방제 대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괭이밥이나, 콩제비꽃이나 질경이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제제는, 이른바 제초제 저항성을 갖는 잡초에도 우수한 방제 효과를 갖는다.
일본의 기존의 제초제에 저항성을 갖는 잡초로는, 예를 들어 JHRWG (일본 제 초제 저항성 워킹 그룹 : Japan Herbicide Resistance Working Group) 의 홈페이지에 상세하게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일본 이외의 나라에서도, 예를 들어 Herbicide Resistance Action Co㎜ittee 의 홈페이지 등에 다종 다양한 제초제 저항성을 갖는 잡초를 나타내고 있어, 잡초 방제상의 문제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제초제 저항성을 갖는 잡초의 구체예로는, 빛에 의한 활성 산소 라디칼의 발생이 주요 작용 기작으로 알려져 있는 제 4 급 암모늄계인 파라콰트의 저항성을 갖는 잡초, 광합성 저해가 주요 작용 기작으로 알려져 있는 트리아진계 제초제인 시마진의 저항성을 갖는 잡초, 분기 아미노산 생합성 (ALS) 저해가 주요 작용 기작으로 알려져 있는 술포닐우레아계 제초제의 저항성을 갖는 잡초, 미소관 중합 저해제로서 알려져 있는 디니트로아닐린계 제초제인 트리플루랄린의 저항성을 갖는 잡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 4 급 암모늄계인 파라콰트의 저항성을 갖는 잡초로는, 망초속의 봄망초, 망초, 큰망초, 뽀리뱅이, 실망초, 왜떡쑥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잡초는 활성 산소 제거계 (SOD) 의 발달에 의해 저항성을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고, 동일한 작용 기작을 갖는 니트로디페닐에테르계나 고리형 이미드계인 Protox 저해제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저항성을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트리아진계 제초제인 시마진의 저항성을 갖는 잡초로는, 새포아풀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술포닐우레아계 제초제의 저항성을 갖는 잡초로는, 물옥잠, 타케토외풀, 미국외풀, 논뚝외풀, 밭둑외풀, 물별, 구와말, 마디꽃, 개올챙이고랭이, 물달 개비, 수원고랭이, 벗풀, 뚝새풀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디니트로아닐린계 제초제인 트리플루랄린의 저항성을 갖는 잡초로는, 뚝새풀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중에서도, 본 발명의 방제제가 방제의 대상으로 하는 잡초로는, 특히 종자가 바람에 의해 전파되어, 잔디에 많이 발생하는 망초속 잡초나 새포아풀을 들 수 있다. 또한, 술포닐우레아 저항성을 갖는 잡초를 들 수 있다.
향후, 일본에서도 더욱 다종 다양한 제초제 저항성을 갖는 잡초가 발생할 것이 예측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방제제는, 본 발명의 방제제 이외의 제초제 처리에 의해 새롭게 발생한 저항성을 갖는 잡초에 대해서도 높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기대된다.
일반적으로, 제초제 저항성은 동일한 작용성을 갖는 제초제를 연용함으로써 발생한다. 본 발명의 방제제에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되는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1,5-디페닐-1H-1,2,4-트리아졸-3-카르복실산아미드 유도체의 작용 기작은 불분명하지만, 기존의 제초제에 저항성을 갖는 잡초에 대해, 토양 또는 경엽 처리의 1 회 처리에 의해 충분한 방제 효과를 나타낸다.
보다 높은 방제 효과를 얻을 목적이나 새로운 저항성 발생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본 발명의 방제제와 다른 농약 활성 성분의 혼합 처리, 체계 처리, 복수 회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어내거나 하는 경종적 방제와 조합한 종합 유해 생물 관리 (IPM) 등과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처리에 의해, 본 발명의 방제제의 사용약량을 저감시키는 효과도 겸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제제와 혼합할 수 있는 농약 활성 성분은, 액체인지 고체인지, 혹은 유기 화합물인지 무기 화합물인지, 또한 단일 화합물인지 혼합물인지 등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하기에 나타내는 살균제, 살충제, 살진드기제, 식물 생장 조절제, 제초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농약 활성 성분은 1 종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혼용함으로써, 효력, 약해, 저항성을 갖는 잡초 발달에 대해, 상가 효과나 현저한 상승 효과가 얻어지는 경우가 있다.
살균제 :
염기성 염화구리, 염기성 황산구리 등의 구리제 ;
황제 : 티우람, 지네브, 만네브, 만코제브, 지람, 프로피네브, 폴리카바메이트 등.
폴리할로알킬티오제 : 캡탄, 폴펫, 디클로르플루아니드 등.
유기 염소제 : 클로로탈로닐, 프탈라이드 등.
유기 인제 : IBP, EDDP, 트리클로포스메틸, 피라조포스, 포세틸 등.
벤즈이미다졸제 : 티오파네이트메틸, 베노밀, 카르벤다짐, 티아벤다졸 등.
디카르복시이미드제 : 이프로디온, 프로시미돈, 빈클로졸린, 플루오르이미드 등.
카르복시아미드제 : 옥시카르복신, 메프로닐, 플루톨라닐, 테클로프탈람, 트리클라미드, 펜시쿠론, 티플루자미드, 펜티오피라드 등.
아실알라닌제 : 메탈락실, 옥사딕실, 푸랄락실 등.
메톡시아크릴레이트제 : 크레속심메틸, 아족시스트로빈, 메토미노스트로빈 등.
아닐리노피리미딘제 : 안도프린, 메파니피림, 피리메타닐, 디프로지닐 등.
SBI 제 : 트리아디메폰, 트리아디메놀, 비테르타놀, 미크로부타닐, 헥사코나졸, 프로피코나졸, 트리플루미졸, 프로클로라즈, 페프라조에이트, 페나리몰, 피리페녹스, 트리폴린, 플루실라졸, 에타코나졸, 디클로부트라졸, 플루오트리마졸, 플루트리아펜, 펜코나졸, 디니코나졸, 이마잘릴, 트리데모르프, 펜프로피모르프, 부티오베이트, 에폭시코나졸, 메트코나졸 등.
항생 물질제 : 폴리옥신, 블라스티사이딘 S, 카스가마이신, 발리다마이신, 황산디히드로스트렙토마이신 등.
그 밖의 살균제 : 프로파모카르브염산염, 퀸토젠, 히드록시이소옥사졸, 메타술포카르브, 아닐라진, 이소프로티올란, 프로베나졸, 키노메티오나트, 디티아논, 디노캡, 디클로메진, 페림존, 플루아지남, 피로퀴론, 트리시클라졸, 옥소리닉산, 디티아논, 이미녹타진아세트산염, 시목사닐, 피롤니트린, 디에토펜카르브, 비나파크릴, 레시틴, 탄산수소나트륨, 페나미노설프, 도딘, 디메토모르프, 페나진옥사이드, 카르프로파미드, 플루술파미드, 플루디옥소닐, 파목사돈 등.
살충·살진드기제 :
유기 인 및 카바메이트계 살충제 : 펜티온, 페니트로티온, 다이아지논, 클로르피리포스, ESP, 바미도티온, 펜토에이트, 디메토에이트, 포르모티온, 말라티온, 트리클로르폰, 티오메톤, 포스메트, 디클로르보스, 아세페이트, EPBP, 메틸파라티 온, 옥시디메톤메틸, 에티온, 살리티온, 시아노포스, 이속사티온, 피리다펜티온, 포사론, 메티다티온, 술프로포스, 클로르펜빈포스, 테트라클로르빈포스, 디메틸빈포스, 프로파포스, 이소펜포스, 에틸티오메톤, 프로페노포스, 피라클로포스, 모노크로토포스, 아진포스메틸, 알디카르브, 메소밀, 티오디카르브, 카르보푸란, 카르보술판, 벤푸라카르브, 푸라티오카르브, 프로폭술, BPMC, MTMC, MIPC, 카르바릴, 피리미카브, 에티오펜카르브, 페녹시카르브 등.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 : 페르메트린, 시페르메트린, 델타메트린, 펜발레레이트, 펜프로파트린, 피레트린, 알레트린, 테트라메트린, 레스메트린, 디메트린, 프로파트린, 페노트린, 프로트린, 플루발리네이트, 시플루트린, 시할로트린, 플루시트리네이트, 에토펜프록스, 시클로프로트린, 트랄로메트린, 시라플루오펜, 브로펜프록스, 아크리나트린 등.
네오니코티노이드계 화합물 ;
벤조일우레아계 및 그 밖의 살충제 : 디플루벤즈론, 클로르플루아즈론, 헥사플루무론, 트리플루무론, 플루페녹스론, 플루시클록스론, 부프로페진, 피리프록시펜, 메토프렌, 벤조에핀, 디아펜티우론, 아세타미프리드, 이미다크로프리드, 니텐피람, 피프로닐, 카르탑, 티오사이클램, 벤술탑, 황산니코틴, 로테논, 메타알데히드, 기계유, BT 나 곤충병원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 농약, 페로몬제 등.
살선충제 : 페나미포스, 포스티아제이트 등.
살진드기제 : 클로르벤질레이트, 페니소브로모레이트, 지코홀, 아미트라즈, BPPS, 벤조메이트, 헥시티아족스, 산화 펜부타주석, 폴리낙틴, 퀴노메티오네이트, CPCBS, 테트라디폰, 아베르멕틴, 밀베멕틴, 클로펜테진, 시헥사틴, 피리다벤, 펜피록시메이트, 테부펜피라드, 피리미디펜, 페노티오카르브, 디에노클로르 등.
식물 생장 조절제 : 지베렐린류 (예를 들어 지베렐린 A3, 지베렐린 A4, 지베렐린 A7), IAA, NAA 등.
제초제 : 아시플루오르펜, 아트라진, 아라클로르, 이속사벤, 이소프로투론, 이마자퀸, 이마제타피르, 이마조술푸론, 에톡시술푸론, 에토푸메세이트, 엔도탈, 옥사디아존, 옥사디아르길, 오리잘린, 오르토벤카르브, 카펜스트롤, 퀴노클라민, 퀸클로랙, 글리포사이트, 글리포시네이트, 클로마존, 클로르프로팜, 자이트론, 시아나진, 디우론, 디캄바, 시클로술파무론, 디클로베닐, 디클로폽-메틸, 디티오필, 시노술푸론, 디플루페니칸, 디펜조콰트, 신메틸린, 술코트리온, 세톡시딤, 다이무론, 티오벤카르브, 테닐클로르, 트랄콕시딤, 트리아지플람, 트리아조페나미드, 트리클로피르, 트리플루랄린, 트리플록시술푸론, 나프로아닐리드, 나프로파미드, 니코술푸론, 베나핀, 파라콰트, 할로술푸론메틸, 비페녹스, 피페로포스, 피라졸레이트, 피리티오백, 피리데이트, 피리부티카르브, 페녹사프로프-에틸, 펜메디팜, 부타미포스, 플라자술푸론, 플람프로프에틸, 플루미클로락-펜틸, 플루티아셋-메틸, 플루메트술람, 프레티라크롤, 프로디아민, 프로파닐, 프로피자미드, 플로라술람, 브로목시닐, 베트로딘, 펜디메탈린, 벤술푸론-메틸, 벤조일프로프에틸, 벤타존, 펜디메탈린, 벤푸레세이트, 포메사펜, 메타미트론, 메트술푸론메틸, 메트리부진, 림술푸론, 레나실, ACN, CAT, DCBN, EPTC, MCPP, MDBA, 2,4-D, 2,4-DB 등.
공력 (共力)·해독제·약해 경감제 : 옥타클로로디프로필에테르, 피페로닐부 톡사이드, 사이네피린, IBTA, 베녹사코르, 클로퀸토셋메틸, 시오메트리닐, 디클로르미드, 펜클로라졸에틸, 펜클로림, 플루라졸, 플락소페니미, 푸릴라졸, 메펜피르디에틸, MG191, 나프탈릭 언하이드라이드, 옥사베트리닐 등.
방균·방곰팡이·방조 (防藻) 제 : 트리알킬트리아민,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프로필알코올, 트리스니트로, 클로로부탄올, 프로노폴, 글루타르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Figure 112009047054913-PCT00002
-브롬신암알데히드, 스케인 M-8, 케이슨 CG, NS-500W, BIT, n-부틸 BIT, 이소티오시안산알릴, 티아벤다졸, 2-벤즈이미다졸릴카르바민산메틸, 라우리시딘, 바이오반, 트리클로카르반, 할로카르반, 글라시이시칼, 벤조산, 소르브산, 카프릴산, 프로피온산, 10-운데실렌산, 소르브산칼륨, 프로피온산칼륨, 벤조산칼륨, 프탈산모노마그네슘, 운데실렌산아연, 8-히드록시퀴놀린, 퀴놀린구리, TMTD, 트리클로산, 디클로헤르아닐리드, 트리플루아니드, 이리단백, 난백 리소자임, 벤티아졸, 카밤나트륨, 트리아진, 테부코나졸, 히노키티올, 테트라클로로이소프탈로니트릴, 텍타말 38, 글루콘산클로르헥시딘, 클로르헥시딘염산염, 폴리헥사메틸렌비구아니드, 폴리비구아니드염산염, 단토프롬, 크라이단토, 피리티온나트륨, 징크피리티온, 덴실, 캇파피리티온, 티몰, 이소프로필메틸페놀, OPP, 페놀, 부틸바라벤, 에틸파라벤,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메타크레졸, 오르토크레졸, 파라크레졸, 오르토페닐페놀나트륨, 클로로펜, 파라클로르페놀, 파라클로로메타자일레이트, 파라클로로크레졸, 플루오로폴펫, 폴리리진, 바이오판 P-1487, 죠트메틸파라톨릴술폰, 폴리비닐피롤리돈파라클로로이소시아넬, 과산화수소, 안정화 이산화염소, 과아세트산, 나프텐산구리, 노파론 AG300, 염화은, 산화티탄, 은, 인산아연칼슘, 실버에이 스, 은아연알루미노규산염, 은아연제올라이트, 노바론 AGZ330, 포론킬러, 다이머 136, 펜잘코늄클로라이드, 디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바닥크 2250/80, 염화벤조토늄, 하이아민 3500J, 브롬화세틸암모늄, 세트리미드, CTAB, 세타블론, 다이머 38, 염화펜잘코늄, 바닥크 170P, DC-5700,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 키토산, 디우론, DCMU, 프리펜톨 A6, CMI, 2Cl-OIT, BCM, ZPT, BNP, OIT, IPBC, TCMSP 등.
이들 중에서도,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농약 활성 성분이 ACN, CAT, DCBN, MCPP, MDBA, 알라클로르, 이속사벤, 이마자퀸, 이마조술푸론, 에톡시술푸론, 엔도탈, 옥사디아르길, 오리잘린, 오르토벤카르브, 카펜스트롤, 퀴노클라민, 자이트론, 시클로술파무론, 디티오필, 시노술푸론, 신메틸린, 테닐클로르, 트리아지플람, 트리클로피르, 트리플록시술푸론, 나프로파미드, 바나핀, 할로술푸론메틸, 비페녹스, 피리부티카르브, 부타미포스, 플라자술푸론, 프로디아민, 프로피자미드, 플로라술람, 베트로딘, 펜디메탈린, 메트술푸론메틸, 림술푸론, 레나실 등의 잔디용의 제초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농약 이외의 성분으로서, 비료나 식물 활력제, 착색제 등의 그 밖의 농업용 자재와 혼합 제제화하거나, 혼용 처리하거나, 체계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제제는, 통상 유기 용매, 증량제, 물 등과 혼합하고, 필요에 따라 계면 활성제 그 밖의 제제용 보조제 등을 첨가하여, 수화제, 과립 형상 수화제, 가루제, 에어졸, 현탁제, 유탁제, 서스포에멀션, 마이크로캡슐 제제, 마이크로에멀션 제제, 페이스트 형상 제제 등으로 제제화하여 사용된다.
계면 활성제로는, 통상적인 농약용 제제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면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 양쪽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C12 ∼ 18), POE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C12 ∼ 18), 자당지방산에스테르 등의 당에스테르형으로 계면 활성제, POE 지방산에스테르 (C12 ∼ 18), POE 수지산에스테르, POE 지방산디에스테르 (C12 ∼ 18) 등의 지방산에스테르형 계면 활성제 ; POE 알킬에테르 (C12 ∼ 18) 등의 알코올형 계면 활성제 ; POE 알킬 (C8 ∼ 12) 페닐에테르, POE 디알킬 (C8 ∼ 12) 페닐에테르, POE 알킬 (C8 ∼ 12) 페닐에테르포르말린 축합물 등의 알킬페놀형 계면 활성제 ;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 알킬 (C12 ∼ 18)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형 계면 활성제 ; POE 알킬아민 (C12 ∼ 18), POE 지방산아미드 (C12 ∼ 18) 등의 알킬아민형 계면 활성제 ; POE 지방산비스페닐에테르 등의 비스페놀형 계면 활성제 ; POA 벤질페닐 (또는 페닐페닐) 에테르, POA 스티릴페닐 (또는 페닐페닐) 에테르 등의 다방향고리형 계면 활성제 ; POE 에테르 및 에스테르형 실리콘 및 불소계 계면 활성제 등의 실리콘계, 불소계 계면 활성제 ; POE 피마자유, POE 경화 피마자유 등의 식물유형 계면 활성제 ; 등을 들 수 있다.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알킬술페이트 (C12 ∼ 18, Na, NH4, 알칸올아민), POE 알킬에테르술페이트 (C12 ∼ 18, Na, NH4, 알칸올아민), POE 알킬페닐에테르 술페이트 (C12 ∼ 18, NH4, 알칸올아민, Ca), POE 벤질 (또는 스티릴) 페닐 (또는 페닐페닐) 에테르술페이트 (Na, NH4, 알칸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술페이트 (Na, NH4, 알칸올아민) 등의 술페이트형 계면 활성제 ; 파라핀 (알칸) 술포네이트 (C12 ∼ 22, Na, Ca, 알칸올아민), AOS (C14 ∼ 16, Na, 알칸올아민), 디알킬술포숙시네이트 (C8 ∼ 12, Na, Ca, Mg), 알킬벤젠술포네이트 (C12, Na, Ca, Mg, NH4, 알킬아민, 알칸올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모노 또는 디알킬 (C3 ∼ 6) 나프탈렌술포네이트 (Na, NH4, 알칸올아민, Ca, Mg), 나프탈렌술포네이트·포르말린 축합물 (Na, NH4), 알킬 (C8 ∼ 12) 디페닐에테르디술포네이트 (Na, NH4), 리그닌술포네이트 (Na, Ca), POE 알킬 (C8 ∼ 12) 페닐에테르술포네이트 (Na), POE 알킬 (C12 ∼ 18) 에테르술포숙신산하프에스테르 (Na) 등의 술포네이트형 계면 활성제 ; 카르복실산형 지방산염 (C12 ∼ 18, Na, K, NH4, 알칸올아민), N-메틸-지방산사르코시네이트 (C12 ∼ 18, Na), 수지산염 (Na, K) 등의 POE 알킬 (C12 ∼ 18) 에테르포스페이트 (Na, 알칸올아민) ; POE 모노 또는 디알킬 (C8 ∼ 12) 페닐에테르포스페이트 (Na, 알칸올아민), POE 벤질 (또는 스티릴) 화페닐 (또는 페닐페닐) 에테르포스페이트 (Na, 알칸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폴리머 (Na, 알칸올아민), 포스파티딜콜린·포스파티딜에탄올이민 (레시틴), 알킬 (C8 ∼ 12) 포스페이트 등의 포스페이트형 계면 활성제 ; 등을 들 수 있다.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알킬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C12 ∼ 18), 메틸·폴리옥시에틸렌·알킬암모늄클로라이드 (C12 ∼ 18), 알킬·N-메틸피리듐브로마이드 (C12 ∼ 18), 모노 또는 디알킬 (C12 ∼ 18) 메틸화암모늄클로라이드, 알킬 (C12 ∼ 18) 펜타메틸프로필렌디아민디클로라이드 등의 암모늄형 계면 활성제 ; 알킬디메틸벤잘코늄클로라이드 (C12 ∼ 18), 벤제토늄클로라이드 (옥틸페녹시에톡시에틸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벤잘코늄형 계면 활성제 ; 등을 들 수 있다.
양쪽성 계면 활성제로는, 디알킬 (C8 ∼ 12) 디아미노에틸베타인, 알킬 (C12 ∼ 18) 디메틸벤질베타인 등의 베타인형 계면 활성제 ; 디알킬 (C8 ∼ 12) 디아미노에틸글리신, 알킬 (C12 ∼ 18) 디메틸벤질글리신 등의 글리신형 계면 활성제 ;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계면 활성제는 1 종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탁제, 서스포에멀션, 마이크로캡슐 제제, 마이크로에멀션 제제에서 사용되는 유기 용매로는, 식물유, 석유계 직사슬 탄화수소, 방향족 탄화수소, 예를 들어 알킬화나프탈렌, 바람직하게는
Figure 112009047054913-PCT00003
-메틸나프탈렌 ; 지방족 또는 지환식 탄화수소, 예를 들어 파라핀 또는 시클로헥산 ; 글리콜 그리고 그들의 에테르, 예를 들어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또는 모노에틸에테르 ; 에스테르, 예를 들어 올레산메틸, 2염기산 (아디프산, 글루타르산, 숙신산) 디메틸에스테르류 ; 케톤 예를 들어 시클로헥사논, 이소포론 또는 디 아세톤알코올 ; 복소고리 화합물 예를 들어 N-메틸-2-피롤리돈, γ-부티로락톤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수화제, 과립 형상 수화제, 가루제에 사용되는 증량제 (담체) 로는, 예를 들어 염화칼륨, 인산염, 인산수소염, 황산암모늄 등의 무기염 ; 천연 광물 가루, 산화규소 등의 흡유성이 높은 무기 합성 증량제 ; 를 들 수 있다. 또한, 자당, 유당 등의 당류 ; 우레아, 전분, 덱스트린,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유도체, 곡물 가루, 톱밥 등의 유기물 ; 도 증량제로서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제제에는, 동결 방지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동결 방지제의 구체예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탁제, 수화 현탁제에 있어서, 농약 활성 성분 입자의 침강·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히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 및 그 금속염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비닐알코올 유도체, 폴리비닐피롤리돈, 천연검류, 벤토나이트 등의 증점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제제에는, 필요에 따라 탄산칼슘, 염화칼륨, 황산나트륨 등의 무기염류 ; 시트르산, 말산, 푸마르산, 스테아르산 등의 유기산 및 그들의 염 ; 유당, 자당 등의 당류 ; 알루미나 가루, 실리카겔, 제올라이트,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인산지르코늄, 인산티탄, 산화티탄, 산화아연, 하이드로탈사이트, 카올리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탤크, 클레이 등의 무기 첨가제 ; 갈산n-프로필,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등의 산화 방지제 ; 트리폴리인산나트륨, 인산2수소나트륨, 인산암모늄 등의 pH 조절제나 완충화제 ; 식용 청색 1 호, 메틸렌블루, 피그먼트레드 48 등의 착색제 ; 방부제 ; 활제 ; 자외선 흡수제 ; 대전 방지제 ; 등의 다른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제제는, 안정제와 같은 고형 또는 액 형상 보조제, 예를 들어 고형 파라핀, 유동 파라핀, 에폭시화한 또는 에폭시화하지 않은 식물유 (예를 들어 에폭시화한 코코넛유, 채종유 또는 대두유), 소포제 (예를 들어 실리콘오일), 점도 조절제, 결합제, 접착제, 다른 유효 성분 (예를 들어 살세균제, 살곰팡이제, 살박테리아제, 살충제 또는 살진드기제) 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방제제는, 이미 알려진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방제제가 유탁제 (emulsion, oil in water) 인 경우에는, 유효 성분과 유화제 및 유화 안정제를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을 물에 첨가하면서 호모게나이즈하거나, 유효 성분과 유화제 및 유화 안정제를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에 물을 서서히 첨가하면서 호모게나이즈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현탁제 (suspension concentrate) 인 경우에는, 유효 성분과 젖음제, 분산제, 증점제, 방부제, 소포제 등을 혼합하여 비즈를 충전한 습식 분쇄기로 분쇄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서스포에멀션 (suspoemulsion) 인 경우에는, 유액제 (emulsion, oil in water) 와 수화 현탁제 (suspension concentrate) 를 쓰리원 모터 등으로 교반함으 로써 제조할 수 있다.
수화제 (wettable powder) 인 경우에는, 우르막스 (닛소 엔지니어링사 제조) 등의 제트 밀로 공기 분쇄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과립 형상 수화제 (water dispersible granule) 인 경우에는, 수화제에 물을 첨가하고 혼련하고 압출하고 건조시켜 정립 (整粒) 함으로써 제조되고, 가루제 (dust) 는 원체 (原體) 와 증량제의 일부나 기타 성분을 혼합하여 제트 밀로 분쇄한 농후 분말을 제조하고, 증량제로 희석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제제화된 본 발명의 방제제는, 그대로, 혹은 물 등으로 희석시켜, 종자, 식물체, 수면 또는 토양에 시용된다. 또한, 다른 살균제, 제초제, 비료, 토양 개량제 등과 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농업용 조성물의 시용량은, 2 종의 유효 성분 화합물의 혼합비, 기상 조건, 제제 형태, 시용 방법, 시용 장소, 방제 대상 병해, 대상 작물 등에 따라 상이한데, 통상 1 헥타르당 유효 성분 화합물량으로 하여 1 ∼ 1000 g, 바람직하게는 10 ∼ 100 g 이다.
본 발명의 방제제의 산포 방법이나 산포 시기는, 기존의 농약이 취할 수 있는 일반적인 산포 기계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활엽 다년생 잡초의 방제는, 잡초의 발생 전, 발생 후 어느 시기에 산포해도 높은 효과가 얻어지는데, 보다 높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많은 종자가 발아하고, 약제가 충분히 흡수되고, 게다가 신규 발생을 장기간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경엽 처리가 바람직하다. 활엽 다년생 잡초 이외의 초종에 있어서도 경엽 처리에 의해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전혀 한정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플루폭삼 50.6 중량% 과립 수화제의 제조
플루폭삼(1-[4-클로로-3-[(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폭시)메틸]페닐]-5-페닐-1H-1,2,4-트리아졸-3-카르복시아미드) 50.6 중량부, 라우릴황산나트륨 (상품명 : 뉴카르겐 LX-C, 타케모토 유지사 제조) 1.0 중량부, 염화칼륨 10.0 중량부, 규조토 (상품명 : 쿠니라이트 201, 쿠니미네 공업사 제조) 27.4 중량부, 나프탈렌술폰산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의 나트륨염 (상품명 : 뉴카르겐 PS-P, 타케모토 유지사 제조) 6.0 중량부, 폴리카르복실산 금속염 (상품명 : 뉴카르겐 WG-5, 타케모토 유지사 제조) 5.0 중량부를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해머 밀로 분쇄한 것에 물 45 부를 첨가하여, 혼련하고, 0.7 ㎜ 의 스크린을 사용하여 압출 조립 (造粒) 하고, 70 ℃ 에서 24 시간 건조시키고, 0.59 ∼ 0.84 ㎜ 의 체에 남은 부분을 분취하여, 플루폭삼 50.6 중량% 과립 수화제를 얻었다. 얻어진 과립 수화제를 약제 A 로 한다.
대조제로는, 이하의 시판 제제품을 사용한다.
약제 B : 프로디아민 63 % 과립 수화제 (상품명 : 쿠사브록, 신젠타사 제조)
약제 C : 디티오필 32 % 유제 (상품명 : 딕토란, 다우사 제조)
약제 D : MCPP 50 % 액제 (상품명 : MCPP, 마루와 바이오사 제조)
약제 E : 2,4-D 아민염 49.5 % 액제 (상품명 : 2,4-D[이시하라]아민염, 이시 하라 산업사 제조)
약제 F : 비페녹스 38 % 플로아블 제제 (상품명 : 위랄, 바이엘 크롭사이언스사 제조)
약제 G : 펜디메탈린 45 % 플로아블 제제 (상품명 : 웨이업, BASF 사 제조)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방제제의 효과에 관한 시험예를 나타낸다.
방제 효과는 하기의 조사 기준에 따라 조사하고, 살초 지수로 나타냈다.
조사 기준
살초율 살초 지수
0 % 0
20 ∼ 29 % 2
40 ∼ 49 % 4
60 ∼ 69 % 6
80 ∼ 89 % 8
100 % 10
또한 1, 3, 5, 7, 9 의 수치는, 각각 0 과 2, 2 와 4, 4 와 6, 6 과 8, 8 과 10 의 중간값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47054913-PCT00004
(방제제 시험예 1) 콩제비꽃 (활엽 다년생 잡초) 방제 효과
치바현 이치하라시 골프장 내 콩제비꽃 발생지에서 2 ㎡ 의 구획을 정하고,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과립 수화제를 수돗물로 희석시켜 산포액을 조제하였다.
이 산포액을, 산포 수량 300 ㎖/㎡ 로 소형 분무기를 사용하여 경엽 처리를 실시하였다. 그 후, 2 주일 간격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제초 활성의 정도를 확인하였다. 시험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시험 결과, 타 약제로는 방제할 수 없는 콩제비꽃을, 약제 A (플루폭삼 50.6 중량% 과립 수화제) 에 의해 방제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9047054913-PCT00005
(방제제 시험예 2) 질경이 방제 효과 확인 시험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과립 수화제를 수돗물로 희석시켜 산포액을 조제하였다. 미리 흙을 채워, 질경이의 종자를 뿌리고, 흙을 덮은 포트에 그 산포액을 산포 수량 200 ㎖/㎡ 로 산포하였다. 약액을 산포한 포트를 유리 온실 내에 넣고, 약 1 주일마다 제초 활성의 정도를 확인하였다. 시험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표 2 로부터, 실시예 1 의 방제제 (약제 A) 를 산포한 경우에는, 처리 후 14 일에 이미 완전한 방제 효과가 얻어졌다. 한편, 비교예에 사용한 다른 방제제 (주요 토양 처리제) 는 완전한 방제 효과를 얻는 데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하였다.
Figure 112009047054913-PCT00006
(방제제 시험예 3) 질경이 방제 효과 확인 시험
방제제 시험예 2 에서 조제한 산포액을 사용하여, 엽령 (葉齡) 1 ∼ 1.5 L, 키 0.5 ∼ 1.5 ㎝ 의 질경이에 대한 방제 시험을 실시하였다. 즉, 미리 질경이 종자를 뿌리고, 유리 온실 내에서 육성하여, 소정 엽령이 된 포트에 시험액을 산포하였다.
시험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표 3 으로부터, 실시예 1 의 방제제 (약제 A) 를 산포한 경우에는, 처리 28 일 후에 거의 완전한 방제 효과가 얻어져, 비교예에 사용한 다른 방제제 (약제 B, C, G) 에 비해 방제 효과의 발현이 빠르고, 또한 방제 효과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9047054913-PCT00007
(방제제 시험예 4) 질경이 방제 효과 확인 시험
방제제 시험예 2 에서 조제한 산포액을 사용하여, 엽령 2 ∼ 3.5 L, 키 1.7 ∼ 3.7 ㎝ 의 질경이에 대한 방제 시험을 실시하였다. 즉, 미리 질경이 종자를 뿌리고, 유리 온실 내에서 육성하여, 소정 엽령이 된 포트에 시험액을 산포하였다.
시험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표 4 로부터, 실시예 1 의 방제제 (약제 A) 를 산포한 경우에는, 처리 33 일 후에 완전한 방제 효과가 얻어졌다. 비교예에 사용한 다른 방제제 (약제 B, C, G) 는 처리 후 50 일에도 완전한 방제 효과는 얻어지지 않아, 약제 A 의 높은 방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112009047054913-PCT00008
(방제제 시험예 5) 괭이밥 경엽 처리 제초 효과 확인 시험
금잔디를 깔고, 육성한 옥외 콘크리트·포트 (0.5 m × 0.5 m, 0.25 ㎡) 에 자연 발생된 괭이밥 (처리시 4-5 엽주 (葉株)) 에, 이하의 표 중에 나타내는 공시약제를 소정 약량 조제하고, 가압 산포기로 산포 수량 200 ㎖/㎡ 로 경엽 산포하였다.
처리 18 일 경과 후, 다시 그 후 2 주일 간격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제초 활성의 정도를 확인하였다. 시험 결과를 표 5 에 나타냈다.
Figure 112009047054913-PCT00009
표 5 로부터, 실시예 1 의 방제제 (약제 A) 를, 유효 성분 약량이 1 ㎡ 당 0.3 g 산포한 경우에는 처리 후 32 일, 유효 성분 약량이 1 ㎡ 당 0.2 g 산포한 경우에는 처리 후 46 일, 유효 성분 약량이 1 ㎡ 당 0.15 g 산포한 경우에는 처리 후 60 일에, 괭이밥에 대해 완전한 방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대조 약제로 한 주요 토양 처리제 (약제 B, C, G) 는 어느 것도 방제 효과를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표에는 기재하지 않았으나, 시험 기간 중 실시예 1 의 방제제 (약제 A), 약제 B, C 및 G 는, 금잔디에 대한 약해는 전혀 보이지 않았다.
이상으로부터, 실시예 1 의 방제제 (약제 A) 는, 기존의 잔디용의 주요 토양 처리제와는 달리, 금잔디에는 높은 안전성을 나타내면서, 괭이밥을 경엽 처리로도 방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4)

  1. 식 (1)
    [화학식 1]
    Figure 112009047054913-PCT00010
    (식 중, R 은 불소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10 의 알킬기, 탄소수 3 ∼ 7 의 시클로알킬기로 치환된 탄소수 1 ∼ 3 의 알킬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페닐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7 ∼ 9 의 아르알킬기를 나타내고,
    X1 은 할로겐 원자 또는 탄소수 1 ∼ 3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2 는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Y1, Y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불소 원자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1,5-디페닐-1H-1,2,4-트리아졸-3-카르복실산아미드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잔디용 활엽 다년생 잡초 방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잔디가, 들잔디, 금잔디, 비로드 잔디, 버뮤다그래스, 세인트 오거스틴그래 스, 크리핑 벤트그래스, 켄터키 블루그래스, 페레니얼 라이그래스 및 페스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잔디용 활엽 다년생 잡초 방제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활엽 다년생 잡초가, 쇠뜨기, 땅비수리, 토끼풀, 괭이밥, 콩제비꽃, 피막이풀, 질경이, 봄망초, 좀씀바귀, 민들레 및 쑥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잔디용 활엽 다년생 잡초 방제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잔디용 활엽 다년생 잡초 방제제를 토양 또는 경엽 (莖葉) 에 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 활엽 다년생 잡초의 방제 방법.
KR1020097016127A 2007-02-06 2008-02-01 잔디용 활엽 다년생 잡초 방제제 및 잔디용 활엽 다년생 잡초의 방제 방법 KR1010417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27072 2007-02-06
JP2007027072 2007-02-06
PCT/JP2008/051656 WO2008096675A1 (ja) 2007-02-06 2008-02-01 芝生用広葉多年生雑草防除剤及び芝生用広葉多年生雑草の防除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957A true KR20090105957A (ko) 2009-10-07
KR101041755B1 KR101041755B1 (ko) 2011-06-17

Family

ID=39681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6127A KR101041755B1 (ko) 2007-02-06 2008-02-01 잔디용 활엽 다년생 잡초 방제제 및 잔디용 활엽 다년생 잡초의 방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15273B2 (ko)
JP (2) JPWO2008096675A1 (ko)
KR (1) KR101041755B1 (ko)
CN (2) CN104756995B (ko)
TW (1) TWI355236B (ko)
WO (1) WO20080966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37445B (zh) * 2010-10-08 2015-08-19 陶氏益农公司 用氟硫草定防治对氟乐灵具有抗性的杂草
JP5708917B2 (ja) * 2011-01-05 2015-04-30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除草組成物
JP5827698B2 (ja) * 2012-01-19 2015-12-02 日本曹達株式会社 芝生用イネ科多年生雑草防除剤、および芝生イネ科多年生雑草の防除方法
CN103371188B (zh) * 2012-04-15 2017-03-29 长江大学 一种含嘧啶核苷类抗菌素增效杀菌组合物
CN103340203B (zh) * 2013-07-17 2014-10-22 江苏龙灯化学有限公司 一种增效除草组合物
KR101412092B1 (ko) * 2013-11-28 2014-07-02 주식회사 엔와이테크 저소음형 유압 타격 장치
CN104027912B (zh) * 2014-06-06 2016-08-24 中国矿业大学(北京) 一种防止煤矸石自燃的缓释复合氧化抑制剂及施用量
CN107787985A (zh) * 2016-08-30 2018-03-13 南京华洲药业有限公司 一种含麦草畏与氟胺草唑的除草组合物及其应用
JP7126372B2 (ja) * 2017-04-26 2022-08-26 日本曹達株式会社 抑草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8004A (ja) * 1982-11-25 1984-06-06 Kureha Chem Ind Co Ltd 1,2,4―トリアゾール誘導体及び除草剤
DE3316300A1 (de) * 1982-05-07 1983-11-24 Kureha Kagaku Kogyo K.K., Tokyo Heribizide zusammensetzung mit einem gehalt an einem derivat des 1,2,4-triazols als wirkstoff
CN1058694A (zh) * 1985-10-25 1992-02-19 吴羽化学工业株式会社 含1,2,4-三唑-3-甲酰胺的除草组合物及用该组合物控制杂草的方法
JPS63152366A (ja) * 1985-10-25 1988-06-24 Kureha Chem Ind Co Ltd 1,2,4−トリアゾ−ル−3−カルボン酸アミド、その製造法及びその除草剤としての利用
JPS62138404A (ja) * 1985-12-11 1987-06-22 Hodogaya Chem Co Ltd 除草剤
JPH0778047B2 (ja) * 1987-03-10 1995-08-23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1,5−ジフエニル−1h−1,2,4−トリアゾ−ル−3−カルボン酸アミド誘導体及び該誘導体を含有する除草剤
ES2045184T3 (es) * 1987-10-02 1994-01-16 Ciba Geigy Ag Derivados del acido 1,5-difenil-1,2,4-triazol-3-carboxilico para la proteccion de plantas de cultivo contra la accion fitotoxica de herbicidas.
JPH045282A (ja) * 1990-04-23 1992-01-09 Mitsubishi Petrochem Co Ltd 新規な2―ヒドラジノベンゾチアゾール誘導体及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除草剤
EP0612474A1 (en) 1993-02-26 1994-08-31 Monsanto Europe S.A./N.V. Herbicidal combination comprising a triazole derivative and a diphenylether
JPH07304610A (ja) * 1994-05-11 1995-11-21 Kureha Chem Ind Co Ltd 混合除草剤
DE19958381A1 (de) * 1999-12-03 2001-06-07 Bayer Ag Herbizide auf Basis von N-Aryl-uracilen
JP2003261405A (ja) * 2002-03-05 2003-09-16 Nobuo Kaitani 骨材付き雑草防除材
JP2006273800A (ja) * 2005-03-30 2006-10-12 Bayer Cropscience Kk 芝生用除草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8096675A1 (ja) 2010-05-20
JP6110811B2 (ja) 2017-04-05
KR101041755B1 (ko) 2011-06-17
US8415273B2 (en) 2013-04-09
TWI355236B (en) 2012-01-01
US20100113277A1 (en) 2010-05-06
WO2008096675A1 (ja) 2008-08-14
CN104756995B (zh) 2017-07-28
CN101600349A (zh) 2009-12-09
CN104756995A (zh) 2015-07-08
JP2014156471A (ja) 2014-08-28
TW200901885A (en) 200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1755B1 (ko) 잔디용 활엽 다년생 잡초 방제제 및 잔디용 활엽 다년생 잡초의 방제 방법
KR102324523B1 (ko)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및 그것을 시용하는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JP5502854B2 (ja) 菌類感染から大豆を保護する方法
US9017734B2 (en) Pest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sulphur, an insecticide and an agrochemical excipient
KR102002184B1 (ko) 내부 보조제를 갖는 제초제 유화성 농축액
JP2010505751A (ja) 栽培基質への適用に対する農芸化学的組成物の生物学的作用の改良、適切な製剤及びそれらの使用
CN109561676A (zh) N-取代的吡咯烷酮用于促进农用化学活性成分的渗透的用途
EA013410B1 (ru) Использование фенилсемикарбазонов для обработки семян
EP3893644A2 (en) Method to control a phythopatogenic fungi selected from uncinula necator, plasmopara viticola and gloeosporium ampelophagum in grapes by compositions comprising mefentrifluconazole
KR20140041451A (ko) 농원예용 살균제 조성물
ES2546454T3 (es) Compuesto de clatrato, método para controlar la concentración de una solución acuosa de principio activo agrícola químico y preparación química agrícola
US8652498B2 (en) Pesticidal composition
JP2011502970A (ja) 菌類感染から穀類を保護する方法
CN116075223A (zh) 二硫代氨基甲酸盐杀真菌剂的水性组合物
KR20140031850A (ko) 뿌리혹병의 방제 방법
JP5827698B2 (ja) 芝生用イネ科多年生雑草防除剤、および芝生イネ科多年生雑草の防除方法
RU2812851C1 (ru) Пестиц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элементарную серу и флупирадифурон
JP2008056602A (ja) 芝病害防除組成物
KR20240073041A (ko) 신규한 살충제 조성물
WO2024057330A1 (en) Insecticidal composition
WO2023037300A1 (en) Novel pest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elemental sulphur and acynonapyr
CN114176087A (zh) 一种农药组合物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