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5257A -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5257A
KR20090105257A KR1020080030602A KR20080030602A KR20090105257A KR 20090105257 A KR20090105257 A KR 20090105257A KR 1020080030602 A KR1020080030602 A KR 1020080030602A KR 20080030602 A KR20080030602 A KR 20080030602A KR 20090105257 A KR20090105257 A KR 20090105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amera
video
informa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6014B1 (ko
Inventor
박은화
강희민
Original Assignee
(주)에이직뱅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직뱅크 filed Critical (주)에이직뱅크
Priority to KR1020080030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014B1/ko
Priority to PCT/KR2009/001528 priority patent/WO2009145422A2/ko
Publication of KR20090105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Studio Devic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에 설치하여 차량 주행 또는 정차시 차량 내외적으로 변화되는 영상을 기록하여 차량 사고 또는 차량 테러 등에 대한 진실규명을 위한 증거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본체에(built-in) 전방과 후방에 대한 영상을 취득할 수 있는 카메라를 구성하는 듀얼 카메라 본체 일체형 타입을 제공하고자 한 것으로, 본체를 간단하게 설치하여 차량의 전방영상(forward view)과 내부영상(interior view) 및 그 측면/후방영상(side view)을 수집 기록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본 발명은 외부 메모리 타입을 채용하여 착탈식 외부 메모리에 직접 영상을 기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돌발상황에서도 메모리에 기록된 영상의 보존이 용이하며 또한 사용자가 편리하게 외부 메모리를 탈착하여 개인용 컴퓨터(PC)에서 해당 영상을 확인함은 물론 필요한 영상의 보관이 손쉬운 영상기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Figure P1020080030602
영상기록, 차량영상기록, DVR, PVR, 블랙박스, 자동차블랙박스

Description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Single unit video camera recoder}
본 발명은 차량 내에 설치하여 차량 주행 또는 정차시 차량 내외적으로 변화되는 영상을 기록하여 차량 사고 또는 차량 테러 등에 대한 진실규명을 위한 증거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수가 증가하면서 필연적으로 자동차에 의한 교통사고가 증가하고 있다. 더욱이 다양한 교통사고 요인을 제공하는 복잡한 도심내에서의 교통사고율은 늘어가는 추세이다.
교통사고의 경우 순간적인 상황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교통사고의 원인 및 가해자와 피해자를 규명하기가 쉽지 않으며, 대부분 현장 상황 및 현장 목격자들의 증언에 따라 교통사고를 처리하게 됨에 따라서 정확한 교통사고를 판단하기 쉽지 않았다.
특히 인적이 드문 외곽지역의 도로 또는 고속도로와 같은 자동차 전용도로에서의 교통사고의 경우 잘못된 교통사고 처리로 인하여 피해자와 가해자가 뒤바뀌는 등 그 폐해가 많았다.
근래에는 교통사고의 원인 규명 등을 위해 자동차내에 설치하여 차량 외부 영상을 기록하는 차량용 영상기록장치(DVR)가 개발되고 상용화되고 있으며, 특히나 근래에는 자동차의 운행기록을 위한 차량용 블랙박스의 법제정 추진에 따라 그 기술이 활발히 개발 논의 되고 있다.차량용임을 감안하여 이와 같은 영상기록장치는 차량의 전원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차량용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원 노이즈 및 전원이 불규칙하게 나올 수 있는 점을 감안하여 전원 안정화수단이 필요하며, 또한 저전력 설계가 필요하다.
종래 영상기록장치는 대부분 카메라의 설치 및 그 영상의 기록/저장방법에 그 기술의 특징을 두고 개발되고 있으며, 차량용임을 감안하여 전력 공급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영상기록장치는 다수개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각 방향의 영상을 얻도록 하여 다양한 위치에서의 영상을 얻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으나, 실제로 다수개의 카메라로 부터 얻어지는 영상을 처리하기 위한 디지털 처리수단(DSP), 다수개의 카메라 영상을 취득하기위한 수단 등에 따라 전원설계에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제작비용이 상승하며, 또한 차량의 내부에 설치함에 있어서,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소모전력, 메모리 공간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메모리 저장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영상기록장치의 본체내에 구성될 메모리수단에 따라 효율적이지 못할 뿐 아니라, 차량내에 설치함에 있어서도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본체에(built-in) 전방과 후방에 대한 영상을 취득할 수 있는 카메라를 구성하는 듀얼 카메라 본체 일체형 타입을 제공하고자 한 것으로, 본체를 간단하게 설치하여 차량의 전방영상(forward view)과 내부영상(interior view) 및 그 측면/후방영상(side view)을 수집 기록할 수 있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메모리 타입을 채용하여 착탈식 외부 메모리에 직접 영상을 기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돌발상황에서도 메모리에 기록된 영상의 보존이 용이하며 또한 사용자가 편리하게 외부 메모리를 탈착하여 개인용 컴퓨터(PC)에서 해당 영상을 확인함은 물론 필요한 영상의 보관이 손쉬운 영상기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자동차의 속도, 위치 등의 자동차의 운행정보를 촬영된 영상정보에 함께 기록하여 이후 PC에서 운용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재생될 수 있는 영상파일형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차량 운행상태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영상기록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방 및 내부 그리고 사이드, 후방 영상을 얻기 위하여 본체 케이스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전방/후방 카메라와, 주변 소리를 입력받기 위한 내장 마이크와, 전방/후방 카메라로 부터 취득된 비디오 및 내장 마이크로 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기록 저장 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엔코더와, 자동차의 운행정보를 얻기 위한 차량 운행정보감지수단과, 엔코더로 부터 변환된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기록 저장하기 위한 외부메모리수단과, 외부 메모리수단과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외부메모리 인터페이스수단과, 사용자의 키이 조작을 위한 키이입력수단과, 내부 기능 제어를 위한 펌웨어 프로그램 및 기록되는 데이터의 임시 저장수단인 내부 메모리수단과,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코더와, 디코더로 부터 변환된 오디오신호를 외부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와, 현재 시간정보를 제공하는 시간정보 제공부와, 차량속도, 시간과 같이 사용자에게 전달될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과, 전/후방 카메라로 부터 취득된 비디오 및 내장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외장 메모리카드에 기록저장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양한 위치에서의 영상을 위하여 종래에서 본체와 분리된 카메라를 각 위치에 각각 설치해야 하는 종래의 영상기록장치와는 달리 본 발명은 본체에 일체로 구성된 듀얼 카메라를 구성한 것으로, 본체만을 간단히 설치하여 차량의 전방 및 내부, 그리고 각 사이드, 후방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카메라 및 마이크로 얻어진 비디오, 오디오 등의 차량 비밀정보를 SD 메모리카드에 직접 기록하도록 하여, SD 메모리카드를 통해 간단히 정보를 확인 및 보관이 가능하며, 사고 등에 의해 장치로 부터 이탈되거나, 전원공급이 차단되더라도 SD메모리카드에 정보가 보존된다.
한편 영상출력수단을 구성하여 차량내의 영상표시가 가능한 단말기 등에 연결하여 현재 촬영저장되는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착 시 촬영 각도를 정확하게 확인하고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할 때마다 손쉽게 차량내에서 저장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의 전방 및 내부 그리고 사이드, 후방 영상을 얻기 위한 전방/후방 카메라(10,20)와, 주변 소리를 입력받기 위한 내장 마이크(30)와, 카메라(10,20)로 부터 취득된 영상 및 내장 마이크(30)로 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기록 저장 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엔코더(40)와, 차량의 충돌, 가감속을 감지하기 위한 G센서(50)와, 엔코더(40)로 부터 변환된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가 기록 저장되는 SD메모리(60)와, SD메모리(60)의 탈장착을 위한 SD 메모리슬롯(70)과, 사용자의 키이 조작을 위한 키이입력부(80)와, 내부 기능 제어를 위한 펌웨어 프로그램 및 모드설정데이터가 기록되는 내부 메모리부(90)와, GPS 위성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차량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GPS 모듈(100)과,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코더(110)와, 디코더(110)로 부터 변환된 오디오신호를 외부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20)와, 현재 시간정보를 제공하는 시간정보 제공부(130)와, 차량속도, 시간 등과 같이 사용자에게 전달될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40)와, 전/후방 카메라(10,20)로 부터 취득된 영상 및 내장 마이크(30)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SD 메모리카드에 기록저장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150)와,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공급부(160)와, 내부메모리(90), 장착된 SD메모리의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데이터 입출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차량내 네비게이션, 티브이 등과 같은 표시단말장치에 연결하여 SD 메모리카드(60)에 저장된 영상신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SD 메모리카드(60)에 저장된 영상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영상출력모듈(180)과, SD 메모리카드(60)에 저장된 영상운행정보를 원격지의 관리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190)과, 야간영상 촬영시 피사체의 촬영을 확실하게 하기 위한 적외선렌즈부(200)와, 적외선렌즈부(200)의 동작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주/야간 또는 어두운 곳을 판단하기 위한 광센서(2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구성에 따르면,
전면/후방 카메라(10)(20)는 차량의 영상을 취득하기 위한 수단으로, 케이스의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케이스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성되는 듀얼 카메라 본체 케이스 일체형 타입으로 구성된다.
내장마이크(30)는 차량주변의 오디오를 취득하기 위한 수단으로, 케이스내에 내장된다.
엔코더(40)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이고, 디코더(110)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들은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엔코더(40)는 전방/후방 카메라(10,20) 및 내장마이크(30)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디코더(110)는 내부 메모리(90)에 저장된 음성파일을 외부로 출력함에 있어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이다.
G센서(50)는 지자기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G센서(Gravity sensor)는 자동차의 가속도를 계산해 달린 거리를 파악할 수 있으며, 말 그대로 중력을 이용해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장치로써, 자동차의 충돌을 판단하기 위한 수단이다.
SD메모리슬롯(70)은 외부 메모리수단인 SD메모리(60)의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 수단이다.
본 발명에서 SD 메모리(60)를 외부 메모리수단으로 구성한 것으로, 외부 메모리수단을 이에 한정하지 않고 CF메모리를 비롯하여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그 인터페이스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외부 메모리수단을 구성하도록 외부 메모리 인터페이스수단을 구성할 수 있으며, 외장 하드와 같은 대형 메모리장치를 구성하도록 하고 이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키이입력부(80)는 사용자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수단으로, 전원 온/오프, 동작모드 및 설정값 입력키이와, 동작실행키이를 포함한다.
내부 메모리(90)는 영상 기록 및 기능 제어를 위한 펌웨어의 등록 저장 및 기능제어에 필요한 연산정보 등의 처리를 위한 메모리수단이다.
또한 내부 메모리(90)는 SD메모리카드(60)에 데이터를 저장하기위한 버퍼(buffer)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GPS모듈(100)은 GPS위성으로 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자동차의 위치 정보 및 차량의 가감속 정보를 얻기 위한 수단이다.
여기서, GPS 모듈(100)은 교통안전을 위한 위험지역 등의 안내를 위한 각 위치에 따른 디텍터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시간정보제공부(130)는 리얼타임(real time)을 제공하기 위한 시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표시부(140)는 본 실시 예에서는 장치의 소형화 및 비용을 고려하여 디짓트(digit)타입으로 숫자 및 간단한 문자 형태를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소정의 LCD 패널을 채용하여 구성하여 보다 나은 형태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60)는 충방전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차량의 DC(12V) 전압을 공급받아 충전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배터리와 같은 전원공급수단없이 차량에서만 사용하는 점을 고려하여 시거잭과 같은 전원공급단자에 연결하여 차량의 DC(12V) 전압을 직접 공급받아 동작하는 전원공급수단(power supply)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차량의 DC 전압을 공급받아 동작하게 되는 경우에는 차량의 시동이 걸린 상태 또는 ACC ON인 상태에서만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50)는 전방/후방 카메라(10,20), 내장마이크(30)로 부터 취득된 비 디오/오디오 신호를 SD메모리슬롯(70)에 장착된 SD 메모리(60)에 기록하고, 또한 GPS모듈(100) 및 G센서(50)로 부터 얻어지는 차량 운행정보를 이용한 영상기록 및 운행안내 제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입출력부(170)는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수단으로 장착된 SD메모리(60), 내부 메모리(90)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하여 구성된다.
펌웨어관리, 기록된 영상의 입출력을 위하여 구성된다.
데이터입출력부(170)는 RS232C 시리얼 포트(171)로 구성될 수 있으며, USB 등과 같은 다양한 인터페이스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영상출력모듈(180)은 SD메모리(60)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외부로 출력하여 외부 단말기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수단(TV encoder)으로, 저장된 영상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디코더(181)와, 디코딩된 영상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영상출력부(18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영상출력모듈(180)은 차량내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티브이 등과 같은 영상 출력수단을 갖는 단말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치를 설치할 때 촬영각도 설정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통신모듈(190)은 내부 정보 즉, SD 메모리(60)에 저장된 영상운행정보를 원격지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동통신, GSM, WCDMA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통신모듈을 적용할 수 있다.
적외선렌즈부(200)는 야간 또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대로 된 영상이 얻어질 수 없음을 감안하여 적외선을 발생시켜 보다 정확한 영상을 얻기 위한 수단이다.(일반적으로 카메라부에 설치되며 장치의 외관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음.)
광센서(210)는 외부의 빛의 세기를 판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어부(150)에서 외부의 빛의 세기를 판단하여 적외선렌즈부(200)의 동작여부를 결정하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다.
제어부(150)는 시간정보제공부(130)로 부터의 시간정보에 따라서 주간/야간을 판단하고 그 촬영모드를 결정하여 적외선렌즈부(200)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으며, 광센서(210)로 부터 입력된 신호를 판단하여 주간모드에서라도 어두운 곳인 경우 적외선렌즈부(200)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그 제어모드를 포함한다.
또한 센서인터페이스수단을 더 포함하여 보다 더 정확한 차량 운행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센서인터페이스수단은 차량으로 부터 직접 얻어질 수 있는 운행정보 제동, 가속, 감속 등을 판단하기 위하여 차량 운행정보수집을 위한 대상으로 부터 해당신호를 입력받기위한 수단이다.
실시 예로 차량내 휴즈(fuse)박스내의 각 차량운행정보를 얻을 수 있는 대상으로 부터 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한다.
브레이크등, 비상등, 깜빡이(사이드) 등으로 부터 신호를 수신받아서 차량의 제동, 정차여부, 회전판단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또한 속도게이지의 RPM 신호단과 연결하여 차량의 제동, 가감속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이의 외관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케이스의 전면과 후면으로 전방 카메라(10)와 후방카메라(20)가 구성되어, 전방카메라(10)에 의해 전방 영상이 촬영되도록 하고, 후방카메라(30)에 의해 내부 및 좌우 그리고 후방까지 촬영이 되도록 한다.
도 4에서와 같이 룸미러에 소정의 설치장치에 의해 설치될 수 있을 정도의 사이즈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의 설치 예를 나타낸다.
상측으로 SD 메모리슬롯(70)이 구성되고, 후면으로 스피커(120)의 음이 외부로 출력되도록 스피커음 출력홀(121)이 구성된다.
후면으로 내장마이크(30)의 음입력을 위한 음입력홀(31)이 구성된다.
또한 전원공급포트(161)가 구성된다.
설치는 영상출력모듈(180)에 차량 내의 네비게이션과 같은 영상단말장치를 연결하여 화면각도를 잡아 룸미러에 설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2개의 카메라가 본체 케이스에 일체형으로 구성된 듀얼 타입 영상기록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차량의 전방 및 후방(내부,양 사이드,후방)의 영상을 취득하여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영상기록장치를 설치하면 전방 카메라(10)에 의해 전방에서 취득할 수 있으며, 후방 카메라(20)의 촬영각에 따라 도 6에서와 같이 내부와 양 사이드 그리고 후방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전방 카메라(10)와 후방 카메라(20)에 의해 취득된 영상과 내장마이크(30)를 통해 얻어지는 오디오신호는 엔코더(40)로 입력되고, 엔코더(40)에서 이들 아날로그 신호를 SD메모리카드(60)에 기록 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엔코딩한다.
제어부(150)에서는 이와 같이 엔코딩된 신호를 SD메모리슬롯(70)에 기록저장(녹화)한다.
이때 제어부(150)에서는 GPS모듈(100)과 G센서(50)를 통해 얻어지는 자동차의 위치 정보 및 충돌(collision) 및 가감속 정보(acceleration/brake)를 상기의 비디오/오디오 신호와 함께 기록 저장한다.
제어부(150)에서는 GPS모듈(100) 및 G센서(50)로 부터 입력되는 정보들을 이용하여 기록될 자동차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자동차의 충돌 및 차량의 가감속을 판단하고 이러한 정보를 상기한 비디오/오디오 정보와 함께 기록하게 된다.
한편 센서인터페이스를 구성한 경우라면 차량 휴즈 박스의 운행정보 수집대상에 연결하여 차량의 제동(브레이크등)단에 연결하여 제동에 대한 운행정보를 정확하게 얻어낼 수 있어 제어부(150)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더욱 정확한 운행정보를 영상과 함께 기록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선택한 동작모드에 따라서 영상의 녹화모드를 결정하게 되는 바, 주행모드, 수동모드, 정차모드, 예약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주행모드는 차량의 주행이 시작되는 시점을 판단하여 전방 카메라(10) 및 후방 카메라(20)를 동작시켜 영상을 기록하게 된다.
차량의 주행은 GPS모듈(100) 및 G센서(50)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위치 변화시점 또는 차량의 가속 여부를 판단하여 차량의 주행을 판단하도록 하거나, 상기에서와 같이 센서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서 차량의 주행상태를 판단한다.
또한 차량의 배터리 전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자동차의 시동을 걸기 위한 (ACC ON) 시점에 공급되는 전압을 판단하여 녹화를 시작하도록 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가능하다.
수동모드는 사용자가 키이를 선택하여 녹화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주행중이라 하더라도 사용자가 녹화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 및 녹화를 선택한 경우에 따라 녹화모드를 결정하도록 한다.
예약모드는 사용자가 시간을 설정하도록 하고, 제어부(150)에서는 설정된 시간 동안 녹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정차모드는 차량의 정차 시 차량에 소정한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녹화를 시작하도록 하는 것으로, 주차시켜둔 차량에 외부로 부터 소정한 충격이 있는 경우 자동으로 온 동작하여 영상을 기록저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정차모드인 경우에는 이벤트 발생시(충격) 소정의 정해진 시간동안 영상을 기록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50)에서는 충격이 발생되면 전방/후방 카메라(10,20) 및 내장 마이크(30)를 동작시켜 주위 영상을 촬영하여 기록 저장하면서, 주위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함께 기록하게 된다.
따라서 야간에서의 차량 테러에 대한 증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야간모드상태에서는 제어부(150)에서 적외선렌즈부(200)를 동작시켜 보다 선명한 영상을 얻도록 한다.
또한 광센서(210)에서는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50)로 전달하게 되고, 제어부(150)에서는 이의 신호를 입력받아 적외선렌즈부(200)의 동작을 판단하여 적외선렌즈부(200)를 동작시키게 된다.
전원공급을 고려하여 예약모드 또는 정차모드인 경우처럼 저전력의 스텐바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사생활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촬영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전방카메라 또는 후방카메라만 동작하는 비디오모드, 카메라에 의한 비디오만 기록하고, 오디오는 저장하지 않는 오디오제외모드를 키이입력부(80)를 통해 미리 설정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녹화정보는 SD메모리카드(60)에 직접 기록된다.
녹화정보를 기록함에 있어서, SD메모리카드(60)의 메모리 용량을 확인하고, 메모리용량을 넘어서는 경우 원래의 데이터에 덮어쓰기를 진행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이벤트(사고, 테러)가 발생하거나, 사용자가 선택한 부분에 대해서는 소정의 영역을 기록 유지하도록 하여 덮어쓰기로 인하여 증거자료가 소실 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의 충격으로 인한 부분이 발생하게 되면, 충격이 발생된 부분으로 부터 내부 메모리(90)에 설정된 값(예: 5분)만큼 이전 녹화데이터와 그 이후의 5분 데이 터를 기록유지 데이터로 설정하게 된다.
이후 데이터의 덮어 쓰기 차례가 오더라도 사용자가 삭제하기 전에는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 이벤트 발생으로 부터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해 설정된 값은 장치의 출하 시 고정된 값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키이입력부(80)를 통해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근래에는 메모리의 용량이 대용량화되어가고 있는 상태임으로 충분히 해당 녹화정보를 확인할 정도의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SD메모리카드(60)에 녹화되는 녹화 데이터포맷은 일반 동영상 코덱을 통해 재생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소정의 정해진 재생프로그램을 통해 재생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일반 동영상 재생인 경우에는 일반 동영상파일과 동일하게 전방 카메라(10) 및 후방 카메라(20)에 의해 취득된 영상 및 내장 마이크(3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재생 출력되며, 소정의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재생될 경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일정한 형태의 포맷으로 재생된다.
도 5에서와 같이, 전방 카메라(10) 및 후방 카메라(20)의 영상재생부분과, 아래쪽 차량의 속도, 방향 등의 차량운행정보부분을 포함하여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는 SD메모리카드(60)만을 SD메모리슬롯(70)으로 부터 분리하여 컴퓨터를 통해 해당 영상을 재생하여 볼 수 있으며, 컴퓨터에 소정의 정해진 프로그램을 통해 제어부(150)에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SD메모리카드(60)에 저장된 녹화파일 을 재생하여 볼 수 있다.
또한 차량내에 영상표시단말장치가 있다면, 영상출력모듈(180)에 연결하여 SD메모리카드(60)에 저장된 영상을 재생하여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장치 자체를 차량으로 부터 분리하여 데이터 입출력부(170)를 통해 컴퓨터 또는 단말장치에 연결하여 해당 저장파일을 재생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다.(SD메모리카드 어댑터 기능)
또한 휴대 간편함으로써 별도로 DC충전 어댑터를 이용하여 충전을 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근래에는 배터리의 충전시간에 대비하여 동작시간이 매우 길어 야간동안 동작시켜도 충분할 정도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190)에 구성되는 경우 백업모드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소정의 정해진 백업시간에 따라 SD메모리카드(60)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통신모듈(190)을 통해 전송하도록 한다.
백업모드는 동작여부, 백업시간(전송되는 시간),전송할 정보(운행정보, 영상운행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저 전송통신망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고려하여 데이터 크기가 큰 영상정보대신 비교적 데이터 크기 작은 운행정보만을 전송하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주행중에는 GPS모듈(100)에 포함된 디텍터 기능을 제공한다.
제어부(150)에서는 GPS모듈(100)로 부터 제공되는 디텍터 정보에 따라서 차량의 위치이동에 따라 곡선도로, 위험한 도로, 제한 속도 등을 스피커(120)를 통해 안내한다.
또한 보이스 녹음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키이입력부(80)를 통해 보이스 녹음을 선택하면, 제어부(150)에서는 내장마이크(30)를 통해 해당 음성을 입력받아 SD메모리카드(60)에 저장한다.
또한 셀프카메라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키이입력부(80)를 통해 셀프카메라를 선택하면, 셀프카메라 모드로 전환되고, 후방카메라(20)가 동작된다.
사용자 촬영을 선택하면 후방카메라(20)를 통해 영상을 입력받아 정지영상으로 저장한다.
도 1은 본 발명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의 설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녹화 데이터의 재생 예를 나타낸 도면.

Claims (18)

  1. 자동차의 전방 및 내부 그리고 사이드, 후방 영상을 얻기 위하여 본체 케이스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전방/후방 카메라와, 주변 소리를 입력받기 위한 내장 마이크와, 전방/후방 카메라로 부터 취득된 비디오 및 내장 마이크로 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기록 저장 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엔코더와, 자동차의 운행정보를 얻기 위한 차량 운행정보감지수단과, 외부 메모리 인터페이스수단을 통해 탈장착되며 엔코더로 부터 변환된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기록 저장하기 위한 외부메모리수단과, 외부 메모리수단과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외부메모리 인터페이스수단과, 사용자의 키이 조작을 위한 키이입력수단과, 내부 기능 제어를 위한 펌웨어 프로그램을 위한 내부 메모리수단과,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코더와, 디코더로 부터 변환된 오디오신호를 외부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와, 현재 시간정보를 제공하는 시간정보 제공부와, 차량속도, 시간과 같이 사용자에게 전달될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과, 전/후방 카메라로 부터 취득된 비디오 및 내장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외장 메모리카드에 기록저장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데이터 입출력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외부 메모리수단에 저장된 영상신호를 외부 출력하기 위한 영상출력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정보 감지수단은 GPS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정보 감지수단은 G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디텍터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정보 감지수단에서 감지되는 정보는 차량의 위치정보, 속도, 가감속, 충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으로 부터 직접 얻어질 수 있는 차량운행정보를 판단하기 위하여 차량 운행정보수집 대상으로 부터 해당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센서인터페이스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운행정보수집을 위한 대상은 휴즈박스내 브레이크등휴즈라인, 비상등휴즈라인, 깜빡이(사이드)등과 속도게이지의 RPM 신호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외부 메모리수단은 SD메모리카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전원공급수단은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와 충전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내부메모리수단은 제어수단에 의해 설정되는 동작모드설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동작모드는 녹화모드와 촬영모드를 포함하며,
    녹화모드는 주행시 녹화되는 주행모드, 사용자의 키이 입력선택에 따른 수동모드, 정차중 이벤트발생시 촬영이 시작되는 정차모드,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따라 촬영이 시작되는 예약모드이고,
    촬영모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방카메라 또는 후방카메라만 동작하는 비디오모드, 카메라에 의한 비디오만 기록하고 오디오는 저장하지 않는 오디오제외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외부 원격지의 서버로 외부메모리수단에 저장된 영상운행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어수단은 통신모듈을 동작시켜 외부메모리수단에 저장된 영상운행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수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내부메모리수단은 제어수단에 의해 설정되는 백업모드설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백업모드설정정보에는 백업주기, 백업정보(영상운행정보, 운행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15. 제 1항에 적외선광을 발생시키는 적외선광발생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16. 제 1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외부 광세기를 감지하여 제어수단에 그 결과를 전송하여 적외선발생수단의 동작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광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키이입력수단을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후면카메라를 통해 정지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수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키이입력수단을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내장 마이크를 동작시켜 오디오를 저장하도록 하는 제어수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KR1020080030602A 2008-04-02 2008-04-02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KR100936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602A KR100936014B1 (ko) 2008-04-02 2008-04-02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PCT/KR2009/001528 WO2009145422A2 (ko) 2008-04-02 2009-03-25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602A KR100936014B1 (ko) 2008-04-02 2008-04-02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257A true KR20090105257A (ko) 2009-10-07
KR100936014B1 KR100936014B1 (ko) 2010-01-11

Family

ID=41377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602A KR100936014B1 (ko) 2008-04-02 2008-04-02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36014B1 (ko)
WO (1) WO2009145422A2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410B1 (ko) * 2009-10-27 2010-02-19 대영유비텍 주식회사 차량용 복합정보 기록장치
CN102708603A (zh) * 2012-05-22 2012-10-03 新疆亚泰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gis的车辆监控车载记录仪
WO2012165675A1 (ko) * 2011-06-01 2012-12-06 Cho Bu Yeoun 메모리 오류 해결이 가능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록 장치
KR101228495B1 (ko) * 2010-06-07 2013-02-05 김형섭 차량용 텔레매틱스와 블랙박스 융합 단말기기에 적용하여 기존의 상용 cdma 모듈과의 다소 차별성 진보성이 있는 보안성 강한 자동차 전용 cdma 모듈
KR101257353B1 (ko) * 2010-10-29 2013-04-23 (주)미르테크놀로지 자동차 ecu 또는 자동차의 외부 시그널을 이용한 4 채널 블랙박스 장치 및 방법
CN103325158A (zh) * 2012-03-21 2013-09-25 韩国科亚电子股份有限公司 利用文件格式磁道的行驶信息存储系统及方法
KR20140050468A (ko) * 2012-10-19 2014-04-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사고 기록 장치 및 방법
KR101403035B1 (ko) * 2012-07-18 2014-06-03 (주) 세인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탐색장치 및 그 방법
KR20140128835A (ko) * 2013-04-29 2014-11-06 팅크웨어(주)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20190094666A (ko) 2018-02-05 2019-08-14 최규 차량 충격 확인 장치
KR20200087098A (ko) * 2013-04-29 2020-07-20 팅크웨어(주)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WO2021062216A1 (en) * 2019-09-27 2021-04-01 Bluebox Labs, Inc. After-market vehicle copilot device
CN114125386A (zh) * 2021-11-16 2022-03-01 北京天创万安科技装备有限公司 一种用于应急管理的音视频记录采集方法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173B1 (ko) * 2011-01-31 2015-01-30 팅크웨어(주) 차량용 블랙박스에서의 영상 녹화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55847B1 (ko) * 2013-02-04 2014-10-27 타타대우상용차 주식회사 블랙박스와 차선이탈경고기능 겸용 차량운행기록장치
KR101518969B1 (ko) * 2014-06-12 2015-05-13 한라마이스터 유한회사 차량의 추돌 사고 및 급발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
KR101616997B1 (ko) * 2014-09-25 2016-04-29 팅크웨어(주) 전자 장치, 블랙 박스, 및 그들의 제어 방법
CN108230489A (zh) * 2018-03-06 2018-06-29 广州勘帝德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G-sensor的远程监控行车记录仪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9338A (ja) * 1998-02-23 1999-08-31 Ths:Kk イベント記録再生装置
KR100469131B1 (ko) * 2003-03-21 2005-02-02 박원일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KR200437472Y1 (ko) * 2007-09-19 2007-12-06 (주)디노시스 차량용 룸미러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410B1 (ko) * 2009-10-27 2010-02-19 대영유비텍 주식회사 차량용 복합정보 기록장치
KR101228495B1 (ko) * 2010-06-07 2013-02-05 김형섭 차량용 텔레매틱스와 블랙박스 융합 단말기기에 적용하여 기존의 상용 cdma 모듈과의 다소 차별성 진보성이 있는 보안성 강한 자동차 전용 cdma 모듈
KR101257353B1 (ko) * 2010-10-29 2013-04-23 (주)미르테크놀로지 자동차 ecu 또는 자동차의 외부 시그널을 이용한 4 채널 블랙박스 장치 및 방법
WO2012165675A1 (ko) * 2011-06-01 2012-12-06 Cho Bu Yeoun 메모리 오류 해결이 가능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기록 장치
CN103325158A (zh) * 2012-03-21 2013-09-25 韩国科亚电子股份有限公司 利用文件格式磁道的行驶信息存储系统及方法
CN102708603A (zh) * 2012-05-22 2012-10-03 新疆亚泰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gis的车辆监控车载记录仪
KR101403035B1 (ko) * 2012-07-18 2014-06-03 (주) 세인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탐색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50468A (ko) * 2012-10-19 2014-04-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사고 기록 장치 및 방법
KR20140128835A (ko) * 2013-04-29 2014-11-06 팅크웨어(주)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20200087098A (ko) * 2013-04-29 2020-07-20 팅크웨어(주)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90094666A (ko) 2018-02-05 2019-08-14 최규 차량 충격 확인 장치
WO2021062216A1 (en) * 2019-09-27 2021-04-01 Bluebox Labs, Inc. After-market vehicle copilot device
CN114125386A (zh) * 2021-11-16 2022-03-01 北京天创万安科技装备有限公司 一种用于应急管理的音视频记录采集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6014B1 (ko) 2010-01-11
WO2009145422A3 (ko) 2010-01-21
WO2009145422A2 (ko)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014B1 (ko)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US20100123779A1 (en) Video recording system for a vehicle
KR100775610B1 (ko)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관리 방법
GB2373392A (en) Image recording and voice monitoring for vehicle
JP2006235732A (ja) ドライブレコーダ
JP2006352391A (ja) 車載画像記録装置
KR20090096661A (ko)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WO2019235127A1 (ja) 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17575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관리 방법
KR101580567B1 (ko)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이벤트 영상 제공 방법
KR100790310B1 (ko) 차량 손괴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11755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719216B1 (ko) 차량사고 자동 녹화 장치 및 방법
JP2023181327A (ja) 自動車用ドライビングレコーダ
CN205113178U (zh) 一种行车记录仪
KR20110077443A (ko) 급발진시 운전자 과실 확인이 가능한 차량용 블랙박스
KR100791523B1 (ko) 차량용 디브이알 시스템
KR20130098005A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기록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93433A (ko) 차량용 단말기의 화면 밝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21176107A (ja) ドライブレコーダ、接近検知方法、及び接近検知プログラム
JP2006200936A (ja) カメラ機能付き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20170121644A (ko) 차량의 주변 정보 감시와 기록을 위한 카메라 장치와 그 제어 방법
KR102077553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950541B1 (ko) 차량용 룸미러
KR20070066662A (ko) 차량 사고 정보 저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