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0541B1 - 차량용 룸미러 - Google Patents

차량용 룸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0541B1
KR100950541B1 KR1020080120315A KR20080120315A KR100950541B1 KR 100950541 B1 KR100950541 B1 KR 100950541B1 KR 1020080120315 A KR1020080120315 A KR 1020080120315A KR 20080120315 A KR20080120315 A KR 20080120315A KR 100950541 B1 KR100950541 B1 KR 100950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memory
room mirror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0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호
Original Assignee
유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현호 filed Critical 유현호
Priority to KR1020080120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5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15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information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2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sensors or transdu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5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cameras, video cameras or video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81Types of network addresses using addresses fo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or wireless sensor networks, e.g. Zigbee add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룸 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전·후방 및 좌·우측 영상 정보를 취득하는 A/V 입력부(120);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GPS 모듈(113); 상기 A/V 입력부(12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GPS 모듈(113)로부터 제공된 신호와 차량의 운행 정보 및 상기 A/V 입력부(120)를 통해 취득된 정보에 대한 메모리(160) 저장을 제어하고,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정보에 대한 사용자 요구에 상응하는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190); 하프 반사 코팅으로 구성된 거울의 소정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19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시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정보를 표시하는 제 1 디스플레이부(151);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LED)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른 정보를 차량의 전방 방향에서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승차가능 여부 또는 행선지 정보를 표시하는 제 2 디스플레이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 룸 미러, 행선지

Description

차량용 룸미러 {a rear view mirror}
본 발명은 차량의 룸 미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랙박스 기능, DMB 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하이패스 기능 및 MP3 등의 멀티미디어 기능이 내장된 차량용 룸 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룸 미러는 운전자가 고개를 돌리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 내부의 상황을 주시할 수 있도록 하거나 차량의 후방 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차량의 내부의 운전자 전방에 설치된다.
또한, 블랙박스는 항공기의 성능과 주행 상태를 기록하는 비행기록계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차량 사고가 빈번하고 차량 사고의 원인 및 운전자의 과실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렵기 어렵고, 주차 시 등의 운전자가 차량를 떠나 있을 때 차량를 파손하고 도주한 일들이 빈번하므로, 고급 차량에는 자동자의 운전 기록은 물론 사고 시점의 주변 상황을 기록하는 차량용 블랙박스가 장착되어 출시되고 있다. 또한, 정부 기관에서도 차량 사고 등을 분석하기 위하여 차량 블랙박스를 장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의 전후방 및 좌우측에 카메라를 장착하고 차량의 각종 센서들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량의 주행 상태, 차량 사고 시의 상황 및 주정차 시 차량 주변에서 일어난 일들을 기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가 출고될 때 장착될 수 있으나, 이미 출고되어 사용하고 있는 차량들에는 장착되지 않으므로, 블랙박스를 별도로 설치하게 된다.
또한, 최근의 이동 통신 및 인공 위성 통신 등의 발달로 인하여, GPS, 네비게이션, DMB 등의 제품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고, 이와 같은 제품들이 차량에 장착된다.
따라서, 여러가지 제품들이 차량의 룸 내부에 설치되므로 차량 내부가 복잡하고 이들 제품들을 장착하기가 어려웠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용 룸 미러에 상기 블랙박스 기능, DMB 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하이패스 기능 및 MP3 등의 멀티미디어 기능 등을 내장하고, 상기 각 기능을 재생 시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 및 외부 기기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접속단자 및 기능 키를 설치하여 룸 미러를 통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룸 미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업용 차량에서 GPS 기능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차량용 룸미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 사고의 원인을 명확히 제공할 수 있는 블랙박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룸미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 미러는 차량의 운행과 관련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 미러의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차량의 전·후방 및 좌·우측 영상 정보를 취득하는 A/V 입력부(120);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GPS 모듈(113); 상기 A/V 입력부(12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GPS 모듈(113)로부터 제공된 신호와 차량의 운행 정보 및 상기 A/V 입력부(120)를 통해 취득된 정보에 대한 메모리(160) 저장을 제어하고,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정보에 대한 사용자 요구에 상응하는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190); 하프 반사 코팅으로 구성된 거울의 소정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19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시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정보를 표시하는 제 1 디스플레이부(151);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LED)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른 정보를 차량의 전방 방향에서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승차가능 여부 또는 행선지 정보를 표시하는 제 2 디스플레이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 미러의 다른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A/V 입력부가 상기 후방 카메라로부터 영상정보를 zigbee 무선방식으로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점이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 미러의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는 제어부는 차량 주변의 밝기에 따라 그 밝기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 미러의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차량 사고 발생시 자동으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소정 수신장치로 전송하는 점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 미러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차량 사고의 원인을 명확히 밝힐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상업용 차량에서 룸 미러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셋째, 하나의 장치에 다양한 디바이스를 집적함으로써 각 디바이스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넷째, 차량 사고 발생 시 자동으로 사고 정보를 인근 수신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응급 처치가 가능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 미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미러의 전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미러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 미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구성도이다.
차량용 룸미러(100)의 내부 구성을 살펴보면, 크게 무선통신부(110), A/V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서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전원공급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분은 그 기능에 따라 분리한 것이며, 그 위치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무선 통신부(110)는 다시, DMB 모듈(111), 하이패스 모듈(112), GPS 모듈(113) 및 이동통신 모듈(11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성에 따라 GPS 모듈(113)을 제외한 통신 모듈은 각각 선택적으로 채택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각 모듈의 설치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DMB 모듈(111)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청취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이패스 모듈(112)은 톨 게이트에서 통행료를 정산하기 위해 사용된다. GPS 모듈(113)은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동통신 모듈(114)은 필요에 따라 이동통신 기지국에 소정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나 차량 도난이 발생한 경우, 미리 저장된 수신국으로 해당 사실을 통보한다.
A/V 입력부(120)는 차량의 전·후방 및 좌·우측 영상정보를 취득한다. 룸미러에 구비된 1, 2, 3 카메라(121)와 차량의 후방에 설치된 4카메라(122) 및 상기 4카메라(122)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zigbee 모듈(123), 차량 내부에서 발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차량 후방에 설치된 4카메라(122)에 의해 촬영된 정보는 zigbee 통신 방식으로 zigbee 모듈(123)에 수신되고, 다시 제어부(190)로 전달된다. 즉, 차량 후방으로부터의 추돌 사고에 대한 추후 사고 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1, 2, 3 카메라(121)는 차량의 진행 방향 및 룸미러의 좌·우 측에 설치된다.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전방을 향해 설치된 카메라는 121-1, 운전자의 좌측 방향에 설치된 카메라는 121-2, 그리고 운전자의 우측 방향에 설치된 카메라는 121-3으로 표기한다. 핸드폰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체촬상소자(CCD) 센서 또는 CMOS 센서를 이용한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곳이다. 상기 무선통신부 중 어느 하나의 모듈을 조작하거나, 룸미러에 저장된 정보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다. 경우에 따라 긴급 상황이나 위험 상황에 대비하여 비상 버튼을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사고나 위험한 상태임을 외부에 알릴 수 있도록 한다. 즉,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나 차량 내부에서 벌어지는 상황 등에 대한 정보를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 경찰서 등 외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센서부(140)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전복 여부를 감지하고, 차량 화재에 의한 내부의 온도 변화 또는 주차 중인 차량에 대한 접근 등을 실시간 감지하기 위해, 가속도 센서, 온도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등의 다수의 센서를 구비한다. 상기 적외선 센서는 차량의 전진 또는 후진 주차 시에 사용되는 센서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비디오 출력부 및 오디오 출력부로 이루어진다. 비디오 출력부는 제 1 디스플레이부(151) 및 제 2 디스플레이부(152)로 구성되며, 오디오 출력부는 스피커(15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51)는 룸미러(100)의 하프 반사 코팅된 액정디스플레이(LCD)로서 차량 내부 방향의 거울(mirror) 소정 부위에 형성된다. 평소에는 차량의 후방을 확인하기 위한 거울 역할을 하고, 디스플레이 동작시 액정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을 출력한다. 제 2 디스플레이부(152)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LED)로 구성된다. 차량의 진행 방향에서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출력한다.
메모리(160)는 본 발명에 따른 룸미러를 이루고 있는 각 장치에서 필요한 구동 프로그램 및 상기 A/V 입력부(120)를 통해 제공된 영상 정보를 저장한다. 플래쉬 메모리 등을 사용하여 차량 운행 중 음성이나 영상 정보를 압축하여 저장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외부 메모리(20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기능을 구현한다. 연결 방식으로는 USB 방식이나 RS232C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80)는 각 구성요소에서 필요한 구동 전압을 제공한다. 구동 전압은 차량으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고, 차량 사고로 인해 외부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내장된 비상 건전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제어부(190)는 각 구성요소의 전반적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A/V 입력부(12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GPS 모듈(113)로부터 제공된 신호와 차량의 운행 정보 및 상기 A/V 입력부(120)를 통해 취득된 정보를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저장되는 정보는 MPEG/JPEG 등의 압축 방식으로 저장된다.
멀티미디어 모듈(191)은 상기 DMB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정보 또는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영상 정보 또는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재생하기 위해 사용된다.
미설명 부호 200은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룸 미러에 접속 가능한 외부 메모리를 나타낸다.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정보를 외부 메모리로 백업하거나,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메모리(160)로 읽어들일 때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되는 외부 메모리(200)로는 리무버블 플래쉬 메모리(removable FLASH memory)나 스마트 미디어 카드(smart Media Card), 컴팩트 플래쉬 카드(compact FLASH card) 또는 메모리 스틱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차량이 운행 중인 경우, 주차 상태인 경우에 따라 상기 A/V 입력부(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행 중인 경우, 상기 A/V 입력부(120)를 통해 취득된 영상 정보는 일정 기간을 주기로 외부 기기로 전송되거나, 별도로 구비된 백업장치를 통해 백업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정은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90)는 상기 A/V 입력부(120)로부터의 정보 뿐만 아니라, GPS 모듈(113)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도 함께 저장한다. 즉, 현재시각 정보 및 차량의 현재 위치, 차량의 속도 정보 등이 함께 저장된다. 이러한 정보는 교통 사고 발생시 사고의 원인을 명확히 규명할 수 있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정보는 하프 반사 코팅된 제 1 디스플레이부(151)를 구동시켜 확인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를 이루는 구성 요소 중 DMB 모듈(111), 하이패스 모듈(112)의 동작은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특별한 설명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제어부(190)는 차량 주변의 밝기에 따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152)의 밝기를 제어한다. 즉, 낮에는 주변이 밝아서 상대적으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152)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가 잘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주간에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152)의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제어한다. 야간의 경우에는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152)의 출력을 낮추도록 제어한다.
또한, 차량 사고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90)는 자동으로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정보와 GPS 모듈(113)으로부터 제공된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소정 수신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즉, 이동통신 모듈(114)을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특정 전화번호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전송되는 정보는 비디오 신호 및/또는 오디오 신호가 될 수 있다. 이로서 사고 차량에 탑승한 사고자에 대한 긴급한 의료 조치 및 구난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차량 사고 뿐만 아니라, 주차된 차량에 대한 괴한의 침입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4)이 인터넷 접속 기능을 구비한다면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 및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GPS 모듈(113)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디스플레이부(152)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디스플레이부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 4a는 택시 등의 상업용 차량이나, 카풀(car pool)에서 행선지 정보를 출력한 예이다. 예를 들어, 현재 차량이 "교대" 방면으로 진행하는 경우라면 외부에서 현재 차량이 "교대"를 향해 진행 중인 것을 알 수 있다. 택시의 경우라면 합승 승객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와 더불어 GPS 모듈(113)로부터 제공되는 현재 위치 정보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기능을 사용하여 "교대"라고 입력하는 경우에 제 2 디스플레이부(152)를 통해 해당 정보를 표시한다. 한편, 현재 차량이 진행 중인 방향에 대한 정보와 함께 진행방향에 위치한 관공서나 병원 또는 특정 건물 등 일반인들이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지형지물 정보를 GPS 모듈(113)로부터 제공받아 표시하게 된다.
도 4b는 택시 등의 상업용 차량에서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즉, 승객이 요금을 정산하고 하차한 경우, 다음 승객을 위해 "빈차"임을 나타낸 경우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미러의 전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미러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 미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구성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디스플레이부의 동작 예시도이다.

Claims (7)

  1. 차량의 전·후방 및 좌·우측 영상 정보를 취득하는 A/V 입력부(120);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GPS 모듈(113);
    상기 A/V 입력부(12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GPS 모듈(113)로부터 제공된 신호와 차량의 운행 정보 및 상기 A/V 입력부(120)를 통해 취득된 정보에 대한 메모리(160) 저장을 제어하고,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정보에 대한 사용자 요구에 상응하는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190);
    하프 반사 코팅으로 구성된 거울의 소정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19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동시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정보를 표시하는 제 1 디스플레이부(151);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LED)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른 정보를 차량의 전방 방향에서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승차가능 여부 또는 행선지 정보를 표시하는 제 2 디스플레이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룸 미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V 입력부(120)는 상기 후방 영상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zigbee 모듈(12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룸 미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zigbee 모듈(123)은 zigbee 통신 방식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룸 미러.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90)는 차량 주변의 밝기에 따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152)의 밝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룸 미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90)는 차량 사고 발생시 자동으로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정보 또는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소정 수신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룸 미러.
KR1020080120315A 2008-12-01 2008-12-01 차량용 룸미러 KR100950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315A KR100950541B1 (ko) 2008-12-01 2008-12-01 차량용 룸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315A KR100950541B1 (ko) 2008-12-01 2008-12-01 차량용 룸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0541B1 true KR100950541B1 (ko) 2010-03-30

Family

ID=42183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315A KR100950541B1 (ko) 2008-12-01 2008-12-01 차량용 룸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05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197B1 (ko) * 2013-02-18 2013-08-20 주식회사 자이언트스타 졸음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vsdt 룸 미러
KR101445370B1 (ko) * 2013-12-04 2014-10-06 박정석 Mdr 모듈이 장착된 멀티 블랙박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817Y1 (ko) 2001-03-22 2001-10-08 (주)엠에이에스코리아 다기능 차량 룸미러
KR200238772Y1 (ko) 2001-04-07 2001-10-11 조용락 자동차의 다기능 룸미러
KR100613471B1 (ko) * 2005-11-25 2006-08-22 주식회사 나산테크 차량용 안전 시스템
KR100789866B1 (ko) * 2006-09-15 2007-12-28 주식회사 우남 룸미러겸용 터치스크린 카-내비게이션 및 디엠비 에이브이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817Y1 (ko) 2001-03-22 2001-10-08 (주)엠에이에스코리아 다기능 차량 룸미러
KR200238772Y1 (ko) 2001-04-07 2001-10-11 조용락 자동차의 다기능 룸미러
KR100613471B1 (ko) * 2005-11-25 2006-08-22 주식회사 나산테크 차량용 안전 시스템
KR100789866B1 (ko) * 2006-09-15 2007-12-28 주식회사 우남 룸미러겸용 터치스크린 카-내비게이션 및 디엠비 에이브이표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197B1 (ko) * 2013-02-18 2013-08-20 주식회사 자이언트스타 졸음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vsdt 룸 미러
WO2014126304A1 (ko) * 2013-02-18 2014-08-21 주식회사 지엠에스 졸음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vsdt 룸 미러
KR101445370B1 (ko) * 2013-12-04 2014-10-06 박정석 Mdr 모듈이 장착된 멀티 블랙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014B1 (ko)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JP5137981B2 (ja) 車載用監視カメラ
CN202815957U (zh) 车辆监控系统
JP4113560B1 (ja) 記録装置
US20100123779A1 (en) Video recording system for a vehicle
US20080309762A1 (en) In-vehicle mobile digital video surveillance recorder system with GPS visual mapping and navigation
KR101172704B1 (ko) 멀티화각 카메라를 탑재한 차량용 블랙박스
JP2008078793A (ja) 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
KR101257353B1 (ko) 자동차 ecu 또는 자동차의 외부 시그널을 이용한 4 채널 블랙박스 장치 및 방법
KR100775610B1 (ko)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차량 관리 방법
KR101309670B1 (ko) 차량 정보 서비스를 위한 차량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28834A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관리 방법
KR20150044074A (ko) 차량용 영상 통합 제어 시스템
KR100833971B1 (ko) 차량용 관리 시스템
KR100950541B1 (ko) 차량용 룸미러
CN102259621A (zh) 一种防逃逸自动拍摄系统
KR20110077443A (ko) 급발진시 운전자 과실 확인이 가능한 차량용 블랙박스
JP5570064B2 (ja) 車載カメラ制御装置および車載カメラ制御システムならびに車載カメラ制御方法
JP2012194713A (ja) 車載用監視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監視方法
KR20130028214A (ko) 스마트폰 연동형 차량용 블랙박스
JP6793516B2 (ja) 車両動画送信システムおよび車両動画送信方法
US20200275022A1 (en) Automotive driving recorder
KR20160004041U (ko) 컨트롤 마감패널을 이용한 자동차 센터페시아 매립형 네비게이션과 블랙박스 연동장치
JP2021164043A (ja) 撮影装置、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220343658A1 (en) Audio and Video System for Capturing Surroundings of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