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8835A -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8835A
KR20140128835A KR20130047789A KR20130047789A KR20140128835A KR 20140128835 A KR20140128835 A KR 20140128835A KR 20130047789 A KR20130047789 A KR 20130047789A KR 20130047789 A KR20130047789 A KR 20130047789A KR 20140128835 A KR20140128835 A KR 20140128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mage processing
processing apparatus
vehicle im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7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1515B1 (ko
Inventor
이세호
Original Assignee
팅크웨어(주)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팅크웨어(주),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팅크웨어(주)
Priority to KR1020130047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515B1/ko
Publication of KR20140128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차 중 발생한 사고의 유무 및 사고 이벤트 회수를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알려주고, 자체 학습 능력을 통해 배터리 잔량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Image-processing Apparatus for Car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주차 중 발생한 사고의 유무 및 사고 이벤트 회수를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알려주고, 자체 학습 능력을 통해 배터리 잔량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많은 자동차 소유주들은 교통사고의 원인 규명이 용이하고, 교통사고로 인한 당사자간의 분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차량용 블랙박스를 장착하는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세계 각 국가들은 이러한 이점들에 따라 차량용 블랙박스 의무 장착을 권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블랙박스는 차량 주행을 멈추고 주차모드로 들어가면, 주차모드 기간 동안에 외부충격을 감지하여 이벤트 영상을 녹화한다. 차량을 주차해둔 운전자는 차량의 시동을 키고 블랙박스가 정상동작 되기 전까지는 사고 유/무를 확인 하기가 어렵다.
대부분의 블랙박스는 차량의 상시전원인 차량용 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오랜 기간 동안 주차모드로 동작할 경우 차량 배터리를 다 소모하여 차량방전이 발생할 수 있다. 차량방전으로 인해 블랙박스가 정상동작하지 않지만 운전자는 외부에서 블랙박스 동작 여부를 알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차량 배터리의 방전으로 차량의 시동이 걸리지 않는 경우도 종종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블랙박스의 동작 여부는 운전자(등록된 자)를 제외하고는 외부에 노출 되지 않는 방식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주차 중 운전자에게 사고의 유무 및 사고 이벤트 횟수를 알려주며, 자체 학습 능력을 통해 배터리 잔량을 외부에 표시할 수 있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는, 차량에 장착 가능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외부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차량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외부표시장치; 및 상기 차량이 주차 중인 경우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를 주차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를 주행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가 주차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차량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외부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은, 차량에 장착 가능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주차 중인 경우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를 주차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를 주행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가 주차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차량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차량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에 구비된 외부표시장치를 통해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정보 제공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차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 차량 운전자는 대부분 차량 외부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블랙박스는 주차모드 기간 동안 발생된 사고 이벤트 및 배터리상태를 수시로 확인하여 차량 외부로 알림 기능을 수행하여 운전자에게 보다 신속하고 안정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자체 학습을 통해 차종마다 다른 차량배터리 상태를 확인하여 블랙박스 동작 여부를 외부로 표기하여 운전자가 외부에서 블랙박스의 동작 상태를 확인한 후 즉각적으로 대응을 하여 보다 안정된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블랙박스의 동작여부는 등록된 자만이 확인할 수 있어 외부인들은 동작여부를 확인하지 못해 항상 주의하고 경계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처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로 호칭되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는 카메라 모듈(101), 마이크(102), 신호처리부(103), 저장부(104), 통신부(105), 전원부(106), 제어부(107), 충격감지부(108), 위치정보모듈(109), 디스플레이(110), 음향출력모듈(111), 외부표시장치(112), 인터페이스(113) 및 입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1)은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측면, 내부의 영상을 촬영하여 신호처리부(103)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촬영된 영상은, 상기 신호처리부(103)에서 압축 과정을 거친 후 저장부(104)에 저장되거나 압축 과정 없이 바로 저장부(104)에 저장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1)은 시스템의 구성에 따라 1개의 카메라로 구성되어 전방만을 촬영하거나, 복수의 카메라로 구성된 경우 전방, 후방, 측면, 차량 내부 등의 사용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카메라의 녹화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마이크(102)는 차량의 외부 또는 내부의 음성이나 소리를 녹음하여 신호처리부(103)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녹음된 음성이나 소리는 신호처리부(103)로 전송되어 압축 과정을 거친 후 저장부(104)에 저장되거나 압축 과정 없이 바로 저장부(104)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녹음된 음성이나 소리는 외부 충격에 의한 소리나 차량 내/외부의 상황과 관련된 것으로서 영상과 함께 당시의 상황을 인식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신호처리부(103)는 카메라 모듈(101)로부터 촬영된 영상데이터의 용량을 줄이기 위해 압축한다. 영상 데이터는 각 프레임들이 시간을 축으로 여러 장 모여 있는 형태를 지닌다. 즉, 주어진 시간 동안 연속으로 촬영된 사진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영상의 용량은 압축을 하지 않은 경우 매우 크고, 이를 메모리에 그대로 저장하는 경우 매우 비효율적이므로, 디지털 변환된 영상에 대해 반드시 압축을 해야 한다. 동영상 압축에는 프레임 간의 상관관계, 공간적인 상관관계 및 저주파 성분에 민감한 시각의 특성을 이용한 방법 등이 사용된다. 원본 데이터는 압축으로 인해 손실되기 때문에, 차량의 교통사고 상황을 식별할 수 있을 만큼 적절한 비율로 압축되어야 한다. 동영상의 압축 방식으로는 H.264, MPEG4, H.263, H.265/HEVC 등의 다양한 비디오 코덱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고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에서 지원하는 방식으로 영상데이터가 압축된다.
또한 신호처리부(103)는 마이크(102)로부터 녹음된 데이터를 압축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03)는 녹화된 영상과 음성 데이터를 압축할 뿐만 아니라 암호화를 하여 데이터의 접근을 제한할 수도 있다.
저장부(104)는 녹화된 영상과 음성데이터를 저장 주기에 의해 저장 주기 단위로 영상과 음성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 또는 두 개의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주기가 30초이면 처음 30초 동안 녹화된 영상과 음성을 압축하여 동영상 파일 형태로 저장하고 반복적으로 30초 동안의 녹화 영상과 음성을 압축하여 저장한다.
저장부(104)는 녹화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데이터를 저장 영역을 나누어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 중 녹화된 데이터와 주차 중 녹화된 데이터를 폴더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고, 상시 녹화된 데이터와 이벤트에 의해 녹화된 데이터를 폴더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04)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내부에 구성되거나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에 구비된 포트를 통해 착탈식으로 구성되거나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외부에 존재할 수 있다. 저장부(104)가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내부에 구성된 경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나 플래쉬 메모리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저장부(104)가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에 착탈식으로 구성된 경우, SD카드, Micro SD카드, USB메모리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저장부(105)가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외부에 구성된 경우 통신부(105)를 통해 다른 기기 또는 서버에 있는 저장공간에 존재할 수 있다.
통신부(105)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가 서버나 다른 차량 또는 다른 기기와 녹화된 영상이나 음성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연결을 구성해 준다. 또한 통신부(105)는 차량 정보나 주변 정보를 서버나 다른 차량 또는 다른 기기 간에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부(105)는 WIFI, Bluetooth, 3G, LTE, WIMAX, WIGI 등의 무선 네트워크나 EtherNet, MODEM 등의 유선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다.
전원부(106)는 외부의 전원을 입력 받거나 자체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가 구동될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한다. 차량이 시동 상태이면 차량의 전원이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에 공급되어 충전지를 충전시키고,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는 충전지의 전원이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에 공급된다.
제어부(107)는 통상적으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07)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은 제어부(107) 내부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07)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07)는 차량의 주행 여부나 충격감지부(108)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동작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07)는 차량이 주행 중일 때는 상시 녹화 기능을 수행하거나 충격감지부(108)에 감지된 충격 이벤트에 의해서 이벤트 녹화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07)는 차량이 주차 중일 때는 충격감지부(108)에 감지된 충격 이벤트나 카메라 모듈(101)에 녹화되는 물체의 움직임을 판단하여 주차 녹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충격감지부(108)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거나 가속도의 변화량이 일정 이상일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켜 제어부(107)로 전송한다. 충격감지부(108)는 충격이나 가속도를 감지하기 위해 가속도센서, 지자계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09)은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위치정보 모듈(109)은 차량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는 카메라모듈(101)에 의해 녹화되는 영상과 음성을 실시간 또는 나중에 확인할 수 있고 제어부(107)에서의 녹화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화면에 표시할 수 있고 터치 입력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쉽게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고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11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11)은 통신부(105)에서 수신되거나 저장부(104)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11)은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11)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 모듈(111)은, 이어폰잭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잭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출력되는 음향을 들을 수 있다.
외부표시장치(112)는 LED나 라이트 등의 발광소자로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동작상태를 알리거나 버튼이나 터치 등의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13)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113)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부(12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시스템 구성_사용자인식>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상세한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는, 카메라모듈(101), 저장부(104), 제어부(107) 및 출력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전술한 디스플레이부(110), 음향출력모듈(111) 및 외부표시장치(1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카메라모듈(101)은 CCD 또는 CMOS와 같은 촬상 소자를 통해 입력된 빛을 영상으로 변환하게 되는데, 사용자의 안면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어부에 전달한다.
제어부(107)는 저장부(104)로부터 기 저장되어있는 사용자의 안면 영상 데이터와 카메라모듈(101)로부터 전달받은 안면 영상데이터를 비교/대조하여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출력부(140)는 제어부(107)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에 따라 사용자가 기 등록된 사용자일 경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이벤트 관련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제어부(107)는 카메라모듈(101)을 통해 차량의 내부나 외부의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제어부(107)는 차량이 주행 중일 경우 상시 녹화모드나 외부충격에 의한 이벤트 녹화모드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07)는 차량이 주차 중일 경우 상시 녹화모드나 외부충격이나 물체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이벤트 녹화모드를 수행한다.
상시 녹화 모드와 이벤트 녹화모드, 주차 중, 주행 중에 촬영된 녹화영상에 저장부(130)에 저장될 때, 확인이 용이하도록 서로 다른 폴더에 저장될 수 있다.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할 경우 운전자임을 인식하여 차량의 블랙박스(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에 해당함)에 저장된 녹화 영상에 대한 정보나 블랙박스에 전원 공급으로 인한 차량용 배터리의 잔량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방식으로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외부표시장치(112)를 이용하거나 음성 출력을 통해 알려줄 수 있다.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이벤트 관련 정보는, 차량을 주차하고 난 이후(주차모드)의 사고나 이벤트 녹화의 횟수, 차량용 배터리의 잔량 정보일 수 있다. 차량을 주차하고 난 이후의 사고나 이벤트 녹화의 횟수는 외부표시장치(112, LED, LCD등)를 이용하여 이벤트의 회수만큼 점멸(또는 숫자 표시)되어 외부에 있는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도3> 이벤트 발생 + 사용자 접근판단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 및 차량용 영상 처리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 및 차량용 영상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07)는 이벤트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0].
제어부(107)는, 상기 S100 단계의 판단 결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이벤트 발생내역을 저장하고[S110], 등록된 사용자가 접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20].
제어부(107)는, 등록된 사용자가 접근하는 경우 이벤트 관련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130].
상기 이벤트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이벤트 녹화 횟수나 차량용 배터리의 잔량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일정 크기 이상의 강한 충격에 의한 이벤트의 발생 여부이거나 차량용 배터리의 용량이 부족할 경우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자체 배터리의 용량이 부족할 경우 발생할 수도 있다.
<시스템 구성_스마트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처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처리 시스템의 상세한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처리 시스템은,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와 차량용 스마트키(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는, 카메라모듈(101), 저장부(104), 통신부(105), 제어부(107) 및 출력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용 스마트키(300)는, 통신부(320) 및 제어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05)는 사용자가 소유한 스마트키(300)로부터 발생되는 고유의 식별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07)로 전달하고 제어부(107)는 이를 저장부(104)에 기 등록된 식별신호와 비교/대조하여 동일한 신호에 해당할 경우 출력부(140)를 통해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이벤트 관련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이벤트 정보는 사용자에게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외부표시장치(112)나 음향출력모듈(111)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이벤트 정보는 사용자의 스마트키(300)로 직접 전송되거나 사용자의 다른 단말기로 전송되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도5> 이벤트 발생 + 사용자 접근판단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 및 차량용 영상 처리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 및 차량용 영상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07)는 이벤트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0].
제어부(107)는, 상기 S200 단계의 판단 결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이벤트 발생내역을 저장하고[S210], 등록된 사용자가 접근하는 경우 이벤트 관련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220].
사용자의 접근을 판단하는 방법으로서, 사람이 차량에 접근하여 차량에 일정 이상을 충격을 가할 경우나 이벤트 녹화를 수행하면서 녹화 영상 내에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여 사용자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접근을 판단하는 방법으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물체(또는 객체) 인식에 의해 사용자임을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임이 판단되었을 경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음성 출력이나 외부표시장치(112)를 통해 이벤트 알림의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카메라모듈(101)을 통해 미리 정해진 제스처를 입력하거나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마이크(102)를 통해 음성을 입력하여 이벤트의 알림을 승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차량에 일정 충격을 가해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에 충격 이벤트로 인식하여 이벤트의 알림을 승인할 수도 있다.
이벤트의 알림이 승인되면 사용자에게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외부표시장치(112)나 음성출력을 통해 이벤트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벤트의 알림이 승인되면 사용자의 스마트키(300)로 직접 전송되거나 사용자의 다른 단말기로 이벤트 관련 정보가 전송되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접근판단_안면인식>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 및 차량용 영상 처리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 및 차량용 영상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07)는, 사용자 안면을 인식하여[S300] 등록된 안면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310].
제어부(170)는, 상기 S310 단계의 판단 결과 등록된 사용자 안면인 경우 등록된 사용자로 판단하고[S320], 이벤트 관련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330].
사용자의 안면을 인식하는 방법으로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녹화 영상에서 특정 얼굴의 존재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만들게 되는데, 이와 같은 기능들을 프레임 단위나 픽셀단위로 수행하면서 얼굴을 구성한다고 생각되는 특정 패턴들을 검색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인식되면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의 카메라모듈(101)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위치 방향으로 외부표시장치(112)의 방향을 조정하여 이벤트 관련 정보를 보여 주거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접근판단_스마트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 및 차량용 영상 처리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 및 차량용 영상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07)는, 스마트키(300)의 식별신호를 수신하고[S400], 기 등록된 스마트키 식별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410], 기 등록된 스마트키 식별신호인 경우 등록된 사용자로 판단하고[S420], 이벤트 관련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430].
스마트키(300)의 식별신호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에서 직접 수신할 수 있거나, 차량에서 스마트키(300)의 식별신호를 인식하여 차량의 운전자로 판단될 경우에 스마트키 식별 확인 신호를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접근판단_안면인식+스마트키>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은,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 및 차량용 영상 처리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 및 차량용 영상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07)는, 사용자의 안면을 식별하고[S500], 기 등록된 사용자 안면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510].
제어부(107)는, 상기 S510 단계의 판단 결과 기 등록된 사용자 안면인 경우, 등록된 사용자로 판단하고[S520], 등록된 사용자로 판단된 사람에게 이벤트 관련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530].
한편 제어부(107)는, 상기 S510 단계의 판단 결과 기 등록된 사용자 안면이 아닌 경우 등록된 스마트키 식별신호를 수신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540].
제어부(107)는, 상기 S540 단계의 판단 결과, 등록된 스마트키 식별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S520 단계 및 상기 S53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7)는, 사용자의 안면 인식을 수행하여 등록된 사용자인지 판단이 어려울 경우 사용자에게 스마트키 신호를 요청하여 스마트키 식별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차량 운전자가 차량 외부에서 블랙박스(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에 해당함)의 외부표시장치(112)를 통해 인지할 수 있는 이벤트 정보나 블랙박스의 음성 출력를 확인하고 차량에 승차할 경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는 이벤트와 관련된 녹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110)나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운전자가 외부표시장치(112)의 경고 정보를 확인 후 차량 시동을 켜면, 저장되어 있는 사고 이벤트 발생 횟수 등을 운전자에게 음성(또는 화면)으로 알려 주며, 자동으로 네비게이션 단말과 연동하여 사고 동영상을 보여줄 수 있다.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를 차량의 상시 전원인 차량용 배터리와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배터리 잔량을 수시로 확인하여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100) 내의 외부표시장치(112)를 통하여 차량 배터리 용량을 등록된 사람에게 알려줄 수 있다.
차종마다 장착된 배터리는 종류 및 용량이 다양하여 정형화된 잔량 표기 방식으로는 배터리 상태 확인에 대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자체 학습 능력을 통해 배터리 잔량을 외부에 표기하는 스마트한 블랙박스 기능을 제공하여, 차량의 배터리 잔량을 측정 후 자체학습을 통해 해당 차종에 적합한 배터리 잔량을 표기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다고 판단될 경우, 해당 시점의 배터리 전압 레벨을 기억하여, 다음 충전 후 방전 시에 기억된 배터리 전압레벨에 도달할 경우, 배터리 잔량 부족 경고를 표기할 수 있다.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레벨은, 배터리 차량이 부족하여 전원이 차단되기 일정 시간 이전의 전압 레벨이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정보 제공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101: 카메라모듈
104: 저장부 105: 통신부
109: 위치정보모듈 300: 스마트키

Claims (8)

  1. 차량에 장착 가능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외부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차량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외부표시장치; 및
    상기 차량이 주차 중인 경우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를 주차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를 주행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가 주차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차량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외부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와 관련된 정보는,
    이벤트 발생 유무, 이벤트 발생 회수 및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에 구비된 배터리 잔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표시장치는 LED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LED의 점멸 및 점멸 방식을 제어하여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외부 영상에 대해 안면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거나, 상기 차량의 스마트키의 상기 차량에 대한 접근을 인식함으로써, 상기 등록된 사용자의 상기 차량 접근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5. 차량에 장착 가능한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주차 중인 경우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를 주차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를 주행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가 주차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차량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차량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에 구비된 외부표시장치를 통해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와 관련된 정보는,
    이벤트 발생 유무, 이벤트 발생 회수 및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에 구비된 배터리 잔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외부표시장치는 LED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LED의 점멸 및 점멸 방식을 제어하여 상기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외부 영상에 대해 안면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거나, 상기 차량의 스마트키의 상기 차량에 대한 접근을 인식함으로써, 상기 등록된 사용자의 상기 차량 접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
KR1020130047789A 2013-04-29 2013-04-29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102151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789A KR102151515B1 (ko) 2013-04-29 2013-04-29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789A KR102151515B1 (ko) 2013-04-29 2013-04-29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835A true KR20140128835A (ko) 2014-11-06
KR102151515B1 KR102151515B1 (ko) 2020-09-03

Family

ID=52454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789A KR102151515B1 (ko) 2013-04-29 2013-04-29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5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9651A1 (ko) * 2020-07-21 2022-01-27 (주)텔레컨스 이벤트 영상 녹화 장치, 영상 제공 장치 및 영상 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9211A (ko) * 2002-09-25 2004-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난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5225323A (ja) * 2004-02-12 2005-08-25 Fujitsu Ten Ltd 車両監視装置および操作端末
KR20090105257A (ko) * 2008-04-02 2009-10-07 (주)에이직뱅크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9211A (ko) * 2002-09-25 2004-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난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5225323A (ja) * 2004-02-12 2005-08-25 Fujitsu Ten Ltd 車両監視装置および操作端末
KR20090105257A (ko) * 2008-04-02 2009-10-07 (주)에이직뱅크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9651A1 (ko) * 2020-07-21 2022-01-27 (주)텔레컨스 이벤트 영상 녹화 장치, 영상 제공 장치 및 영상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515B1 (ko)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445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벤트 처리 방법
KR102087073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EP32323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video data, terminal, and server
KR102134583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US9311762B2 (en) Vehicle control system
JP6978247B2 (ja) 操作監視システム
KR101748273B1 (ko) 차량 헤드 유닛, 사용자 단말, 및 차량의 비상상황 알림 방법
KR20090105257A (ko) 카메라 일체형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
KR102117575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관리 방법
JP2020098514A (ja) 記録制御装置、記録制御システム、記録制御方法、および記録制御プログラム
KR102111755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66716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132831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101508514B1 (ko)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KR102129048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314196B1 (ko) 도로 주변에 구비된 인프라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101380958B1 (ko) 휴대단말과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차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111758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KR102151515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20160071024A (ko) 영상데이터 전송기능을 갖춘 차량용 블랙박스
JP7322437B2 (ja) 記録制御装置、記録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337472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266315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077553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20150070497A1 (en) Recording apparatus for vehicles and method of recor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