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1544A -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1544A
KR20090101544A KR1020080026724A KR20080026724A KR20090101544A KR 20090101544 A KR20090101544 A KR 20090101544A KR 1020080026724 A KR1020080026724 A KR 1020080026724A KR 20080026724 A KR20080026724 A KR 20080026724A KR 20090101544 A KR20090101544 A KR 20090101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insert
injection
hol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2177B1 (ko
Inventor
강대환
Original Assignee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6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2177B1/ko
Publication of KR20090101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1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08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 좌우 및 상하로 직교 이송되는 이송로봇의 일단에 일체로 고정되는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는, 전후, 좌우 및 상하로 직교 이송되는 이송로봇의 일단에 사출금형으로부터 사출물이 인출된 캐비티 내에 인서트용 너트를 인서트 공급하기 위한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는, 이송로봇에 수직 고정되며, 플레이트 전면(前面)에 다수의 인서트용 너트를 수납하기 위한 요(凹)홈 형태의 너트수용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그 바닥면 하측으로 사출물 내의 인서트 위치와 대응되는 너트인출홀과 이의 위치까지 인서트용 너트를 이송시킬 수 있게 너트이송로가 구비된 너트정렬플레이트와; 상기 너트이송로의 입구측과 대응되는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너트수용부에 수납된 인서트용 너트를 각기 독립적으로 진공흡입하여 상기 너트이송로 측으로 회동 배열시킴과 동시에 공기분사를 통해 너트인출홀까지 공급하는 너트배열공급수단과; 상기 너트인출홀과 대응되도록 너트정렬플레이트의 배면에 설치되며, 실린더의 길이가변에 따른 인서트핀의 돌출이송작용을 통해 너트정렬플레이트의 너트인출홀에 공급 정렬된 인서트용 너트를 사출물이 인출된 캐비티 내에 인서트 공급하는 너트인서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너트정렬플레이트의 전면(前面) 및 하단에는 인서트용 너트의 수납을 위해 너트수용부를 밀폐시킴과 동시에 너트배열공급수단을 통한 공기분사작용에 의해 너트이송로를 따라 공급된 너트인출홀로부터 인서트용 너트의 이탈 방지 및 상기 너트인출홀까지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를 최초 공급 상태로 유지 정렬시키기 위한 커버부재 및 흡입력을 통해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에서 인서트용 너트가 고정된 사출물을 인출하기 위한 사출물 인출지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급피더 및 인서트 정렬부재를 비롯하여 이송로 배열수단, 진공피팅부재, 진공/분사 피팅부재, 너트상승수단, 너트이탈 방지수단이 구비된 너트공급부재로 이루어진 종래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에 비해 그 장치적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와 더불어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에 인서트용 너트를 인서트 공급시키기 위한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가 인서트용 너트를 수납한 상태로 이송로봇에 직접 설치 고정되게 때문에 종래와 같이 인서트 작업공정과는 별도의 너트공급 및 너트정렬을 위한 인서트 준비 작업공정 및 이에 대한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시킴은 물론, 장치에 대한 제조단가 및 판매단가를 절감시켜 제작자나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 역시 저하시킬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The device for supplying the insert nuts}
본 발명은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후, 좌우 및 상하로 직교 이송되는 이송로봇에 고정되어 이와 대응되는 사출금형으로부터 사출물이 인출된 캐비티 내에 인서트용 너트를 인서트 공급하는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와 함께 그 하단에 흡입력을 통해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에서 인서트용 너트가 고정된 사출물을 인출하기 위한 사출물 인출지그를 설치 구성함으로써, 공급피더 및 인서트 정렬부재를 비롯하여 이송로 배열수단, 진공피팅부재, 진공/분사 피팅부재, 너트상승수단, 너트이탈 방지수단이 구비된 너트공급부재로 이루어진 종래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에 비해 그 장치적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와 더불어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에 인서트용 너트를 인서트 공급시키기 위한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가 인서트용 너트를 수납한 상태로 이송로봇에 직접 설치 고정되게 때문에 종래와 같이 인서트 작업공정과는 별도의 너트공급 및 너트정렬을 위한 인서트 준비 작업공정 및 이에 대한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시킴은 물론, 장치에 대한 제조단가 및 판매단가를 절감시켜 제작자나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 역시 저하시킬 수 있도록 한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서트 사출이라 함은 인서트물이라 불리우는 구조물을 사출 금형에 미리 삽입하고 사출 성형하여 사출성형품(이하, 사출물이라 함) 내에 인서트부재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을 말하며, 여기에는 로봇을 이용해 인서트부재를 파지, 사출금형에 투입하여 인서트 사출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인서트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인서트 시스템이 있어 진동을 통해 투입된 인서트부재를 자동으로 정렬하여 원하는 위치에 공급되도록 하는 인서트부재 정렬지그(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404988호)가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하여 실용신안 등록되었는데, 이는 진동작용을 통해 인서트용 너트를 공급하는 공급피더와; 상기 공급피더로부터 공급된 인서트용 너트를 일렬로 정렬시키는 인서트 정렬부재와; 상기 인서트 정렬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를 각기 독립적으로 수납함과 동시에 이송바 구동실린더의 길이가변으로 너트공급부재의 너트이송로 상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열시키는 이송로 배열수단과; 상기 이송로 배열수단과 연계되어 인서트 정렬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가 이송로 배열수단의 너트수납 이송바 상에 각기 독립적으로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너트수납 이송바에 진공력을 작용시키는 진공피팅부재와; 상기 너트수납 이송바에 수납된 인서트용 너트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2차 진공력을 작용시킴과 아울러 상기 너트이송로 상에 각기 대응되도록 배열된 인서트용 너트 상에 공기를 분사시켜 상기 너트이송로를 따라 그 끝단인 너트인출홀까지 공급될 수 있게 상기 이송로 배열수단과 연계 설치된 진공/분사 피팅부재와; 상기 너트공급부재의 너트인출홀에 공급 정렬된 인서트용 너트를 상승시켜 인접한 인서트물 공급다이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너트상승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진공/분사 피팅부재를 통한 공기분사시 너트공급부재로부터 인서트용 너트의 이탈 방지 및 너트인출홀까지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를 최초 공급 상태로 유지 정렬시킴과 아울러, 상기 너트상승수단에 의해 너트공급부재로부터 상승된 인서트용 너트의 인출불량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인출불량 감지센서가 설치된 너트이탈 방지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인서트부재 정렬지그의 경우 사출물이 인출된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에 인서트용 너트를 인서트 공급하기 전(前) 준비과정으로서 상기 인서트용 너트를 정렬시키기 위한 장치적 구성이 매우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음과 아울러, 상기 인서트용 너트를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에 인서트 시키는 주작업 공정 이외에 상기 인서트용 너트를 정렬시키기 위한 준비작업공정 즉, 너트공급 및 너트정렬을 위한 인서트 준비 작업공정을 별도로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 인서트용 너트를 인서트 시키기 위한 전체적인 작업공정이 증가함과 동시에 작업시간 역시 오래 걸리게 되는 등의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장치적 구성이 복잡함과 동시에 인서트용 너트를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에 인서트 시키는 주작업 공정과는 별도로 너트공급 및 너트정렬을 위한 인서트 준비 작업공정을 별도로 수행함으로써, 이에 따른 인서트 준비 작업공정 및 작업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과 아울러, 상기 장치에 대한 제조단가 및 판매단가 역시 증가함으로 인해 제작자나 사용자가 경제적으로 부담을 느끼게 되는 등의 문제점 역시 있었다.
그리고, 종래 인서트부재 정렬지그의 경우 공급피더 및 인서트 정렬부재를 비롯하여 이송로 배열수단, 진공피팅부재, 진공/분사 피팅부재, 너트상승수단, 너트이탈 방지수단이 구비된 너트공급부재로 이루어진 장치적 구성 및 크기가 매우 복잡하면서도 넓은 면적을 차지하기 때문에 종래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의 크기만큼 차지하는 설치장소의 데드면적이 증가함과 동시에 이와는 대조적으로 설치장소에 대한 유효면적이 줄어들게 되는 등 별도의 목적으로 설치장소의 일부분을 유용하는데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전후, 좌우 및 상하로 직교 이송되는 이송로봇에 고정되어 이와 대응되는 사출금형으로부터 사출물이 인출된 캐비티 내에 인서트용 너트를 인서트 공급하는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와 함께 그 하단에 흡입력을 통해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에서 인서트용 너트가 고정된 사출물을 인출하기 위한 사출물 인출지그를 설치 구성함으로써, 공급피더 및 인서트 정렬부재를 비롯하여 이송로 배열수단, 진공피팅부재, 진공/분사 피팅부재, 너트상승수단, 너트이탈 방지수단이 구비된 너트공급부재로 이루어진 종래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에 비해 그 장치적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단순한 구조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이송로봇에 고정된 상태에서 사출물이 인출된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에 인서트용 너트를 직접 인서트 시키는 등 상기 인서트용 너트에 대한 인서트 작업공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에 인서트용 너트를 인서트 공급시키기 위한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가 인서트용 너트를 수납한 상태로 이송로봇에 직접 설치 고정되게 때문에 종래와 같이 인서트 작업공정과는 별도의 너트공급 및 너트정렬을 위한 인서트 준비 작업공정 및 이에 대한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시킴과 동시에 장치에 대한 제조단가 및 판매단가를 절감시켜 제작자나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 역시 저하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경우 종래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중 공급피더 및 인서트 정렬부재를 제거한 상태로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를 구성하여 이송로봇의 일단에 일체로 고정시킴으로써 종래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가 설치되었던 설치장소의 데드면적을 유효면적으로 전환시켜 별도의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는, 전후, 좌우 및 상하로 직교 이송되는 이송로봇의 일단에 사출금형으로부터 사출물이 인출된 캐비티 내에 인서트용 너트를 인서트 공급하기 위한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는, 이송로봇에 수직 고정되며, 플레이트 전면(前面)에 다수의 인서트용 너트를 수납하기 위한 요(凹)홈 형태의 너트수용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그 바닥면 하측으로 사출물 내의 인서트 위치와 대응되는 너트인출홀과 이의 위치까지 인서트용 너트를 이송시킬 수 있게 너트이송로가 구비된 너트정렬플레이트와;
상기 너트이송로의 입구측과 대응되는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너트수용부에 수납된 인서트용 너트를 각기 독립적으로 진공흡입하여 상기 너트이송로 측으로 회동 배열시킴과 동시에 공기분사를 통해 너트인출홀까지 공급하는 너트배열공급수단과;
상기 너트인출홀과 대응되도록 너트정렬플레이트의 배면에 설치되며, 실린더의 길이가변에 따른 인서트핀의 돌출이송작용을 통해 너트정렬플레이트의 너트인출홀에 공급 정렬된 인서트용 너트를 사출물이 인출된 캐비티 내에 인서트 공급하는 너트인서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너트정렬플레이트의 전면(前面)에는 인서트용 너트의 수납을 위해 너트수용부를 밀폐시킴과 동시에 너트배열공급수단을 통한 공기분사작용에 의해 너트이송로를 따라 공급된 너트인출홀로부터 인서트용 너트의 이탈 방지 및 상기 너트인출홀까지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를 최초 공급 상태로 유지 정렬시키기 위한 커버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너트정렬플레이트 하단에는 흡입력을 통해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에서 인서트용 너트가 고정된 사출물을 인출하기 위한 사출물 인출지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는, 전후, 좌우 및 상하로 직교 이송되는 이송로봇에 고정되어 이와 대응되는 사출금형으로부터 사출물이 인출된 캐비티 내에 인서트용 너트를 인서트 공급하는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와 함께 그 하단에 흡입력을 통해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에서 인서트용 너트가 고정된 사출물을 인출하기 위한 사출물 인출지그를 설치 구성함으로써, 공급피더 및 인서트 정렬부재를 비롯하여 이송로 배열수단, 진공피팅부재, 진공/분사 피팅부재, 너트상승수단, 너트이탈 방지수단이 구비된 너트공급부재로 이루어진 종래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에 비해 그 장치적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단순한 구조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이송로봇에 고정된 상태에서 사출물이 인출된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에 인서트용 너트를 직접 인서트 시키는 등 상기 인서트용 너트에 대한 인서트 작업공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에 인서트용 너트를 인서트 공급시키기 위한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가 인서트용 너트를 수납한 상태로 이송로봇에 직접 설치 고정되게 때문에 종래와 같이 인서트 작업공정과는 별도의 너트공급 및 너트정렬을 위한 인서트 준비 작업공정 및 이에 대한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시킴과 동시에 장치에 대한 제조단가 및 판매단가를 절감시켜 제작자나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 역시 저하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 역시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경우 종래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중 공급피더 및 인서트 정렬부재를 제거한 상태로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를 구성하여 이송로봇의 일단에 일체로 고정시킴으로써 종래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가 설치되었던 설치장소의 데드면적을 유효면적으로 전환시켜 별도의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 등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 중 너트정렬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 중 너트정렬플레이트 상에 너트배열공급수단이 취부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 중 너트인서트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의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 10. 너트정렬플레이트
12. 너트수용부 13. 너트이송로
14. 너트인출홀 16. 커버부재
17. 너트취출구 20. 너트배열공급수단
21. 너트배열회동부재 22. 너트수납홈
23. 공기흡입분사홀 24. 진공/분사 피팅부재
24a. 피팅부재결합홀 26. 타임벨트
27. 회동실린더 31, 43, Cy. 실린더
32. 가동플레이트 33, 44. 가이드봉
34, 45. 가이드부시 37. 인서트핀
38. 고정플레이트 40. 사출물 인출지그
41. 실린더고정브라켓 42. 인출관고정플레이트
46. 사출물 인출관 47. 흡착부재
Cv. 캐비티 Rf. 이송로봇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를 도면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 중 너트정렬플레이트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 중 너트정렬플레이트 상에 너트배열공급수단이 취부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 중 너트인서트수단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1)는, 전후, 좌우 및 상하로 직교 이송되는 이송로봇(Rf)을 통해 사출물이 인출된 캐비티(Cv) 내에 인서트용 너트를 인서트 공급시키기 위한 인서트 주 작업공정과는 별도로 공급피더, 인서트 정렬부재 및 너트공급부재에 의한 인서트용 너트 공급 및 공급된 인서트용 너트 정렬을 위한 인서트 준비 작업공정을 수행하면서 설치장소의 일정공간을 데드면적으로 차지하는 종래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대신에, 장치적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단순한 구조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이송로봇(Rf)에 고정된 상태에서 사출물이 인출된 사출금형의 캐비티(Cv) 내에 인서트용 너트를 직접 인서트 시키는 등 상기 인서트용 너트에 대한 인서트 작업공정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종래와 같이 인서트 작업공정과는 별도의 너트공급 및 너트정렬을 위한 인서트 준비 작업공정 및 이에 대한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시킴과 동시에 장치에 대한 제조단가 및 판매단가를 절감시켜 제작자나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 역시 저하시킬 수 있으며, 종래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가 설치되었던 설치장소의 데드면적을 유효면적으로 전환시켜 별도의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후, 좌우 및 상하로 직교 이송되는 이송로봇(Rf)의 일단에 사출금형으로부터 사출물이 인출된 캐비티(Cv) 내에 인서트용 너트를 인서트 공급하기 위한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1)가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송로봇(Rf)의 일단에 일체로 고정되는 본 발명에 대한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1)의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로봇(Rf)에 수직 고정되며, 플레이트 전면(前面)에 다수의 인서트용 너트를 수납하기 위한 요(凹)홈 형태의 너트수용부(12)를 구비함과 동시에 그 바닥면 하측으로 사출물 내의 인서트 위치와 대응되는 너트인출홀(14)과 이의 위치까지 인서트용 너트를 이송시킬 수 있게 너트이송로(13)가 구비된 너트정렬플레이트(10)와; 상기 너트이송로(13)의 입구측과 대응되는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너트수용부(12)에 수납된 인서트용 너트를 각기 독립적으로 진공흡입하여 상기 너트이송로(13) 측으로 회동 배열시킴과 동시에 공기분사를 통해 너트인출홀(14)까지 공급하는 너트배열공급수단(20)과; 상기 너트인출홀(14)과 대응되도록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배면에 설치되며, 실린더(31)의 길이가변에 따른 인서트핀(37)의 돌출이송작용을 통해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너트인출홀(14)에 공급 정렬된 인서트용 너트를 사출물이 인출된 캐비티(Cv) 내에 인서트 공급하는 너트인서트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전면(前面)에는 인서트용 너트의 수납을 위해 너트수용부(12)를 밀폐시킴과 동시에 너트배열공급수단(20)을 통한 공기분사작용에 의해 너트이송로(13)를 따라 공급된 너트인출홀(14)로부터 인서트용 너트의 이탈 방지 및 상기 너트인출홀(14)까지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를 최초 공급 상태로 유지 정렬시키기 위한 커버부재(16)가 더 구비되어 있고, 또한 상기 너트정렬플레이트(10) 하단에는 흡입력을 통해 사출금형의 캐비티(Cv) 내에서 인서트용 너트가 고정된 사출물을 인출하기 위한 사출물 인출지그(40)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커버부재(16)와 사출물 인출지그(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되는 커버부재(16) 및 사출물 인출지그(40)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1) 중 상기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경우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이 직사각 형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플레이트 전면(前面)에는 종래와 같이 별도의 인서트용 너트를 수용하면서 진동작용을 통해 수용된 인서트용 너트를 공급할 수 있게 진동자가 구비된 진동피더장치 없이 이송로봇(Rf)의 일단에 직립되게 볼트 고정된 상태로 다수의 인서트용 너트를 수납함과 동시에 상기와 같이 수납된 상태에서 플레이트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너트배열공급수단(20) 측으로 직접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요(凹)홈 형태의 너트수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너트수용부(12)의 바닥면 하측에는 사출물 내의 인서트 위치와 대응되는 너트인출홀(14)과 이의 위치까지 인서트용 너트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너트이송로(13)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너트인출홀(14)의 경우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전면(前面)에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16)의 너트취출구와 대응되고, 상기 너트이송로(13)의 경우 너트배열공급수단(20) 중 너트배열회동부재(21)의 너트수납홈(22)과 대응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너트수용부(12)의 바닥면 하단에는 너트인출홀(14) 및 너트이송로(13)를 포함하는 하나의 인서트 영역부위(11)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너트이송로(13)를 통해 너트인출홀(14) 측으로 이송된 인서트용 너트 이외에 상기 너트수용부(12)에 수납된 별도의 인서트용 너트들이 상기 너트인출홀(14)과 너트이송로(13)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너트수용부(12)의 바닥면으로부터 너트인출홀(14) 및 너트이송로(13)를 포함하는 인서트 영역부위가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전방(前方)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인서트 영역부위의 양측에는 너트인서트수단(30)의 가이드봉(33)이 삽착됨과 동시에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전면(前面)으로부터 볼트 체결이 이루어져 상기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배면(背面)에 고정될 수 있도록 가이드봉결합홀(18c)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더욱이 상기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양측 테두리 및 상하측 중앙과 상기 인서트 영역부위의 상단 양측면에는 볼트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홀(12a)과 함께 상기 이송로봇(Rf)에 너트정렬플레이트(10)를 볼트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송로봇결합홀(18d)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전면(前面)에 요(凹)홈 형태로 형성된 너트수용부(12)의 경우 수납된 인서트용 너트가 너트배열공급수단(20) 즉, 너트배열회동부재(21)의 너트수납홈(22) 측으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전체 형상이 사각형태를 이루면서 하단부가 중앙측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1) 중 상기 너트배열공급수단(20)의 경우 너트이송로(13)의 입구측과 대응되는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너트수용부(12)에 수납된 인서트용 너트를 각기 독립적으로 진공흡입하여 상기 너트이송로(13) 측으로 회동 배열시킴과 동시에 공기분사를 통해 너트인출홀(14)까지 공급하는 요소로서, 도 1,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이송로(13)의 입구측과 대응되는 상태로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바닥면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너트수용부(12)에 수납된 인서트용 너트를 진공흡입작용을 통해 각기 독립적으로 수납함과 동시에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너트이송로(13) 측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열시키는 너트배열회동부재(21)와; 상기 너트배열회동부재(21)의 배면 중앙에 설치되며, 진공흡입 및 공기분사작용을 통해 너트배열회동부재(21) 측에 인서트용 너트를 각기 독립 수납시킴과 동시에 상기 너트이송로(13) 측과 각기 대응되도록 회동된 너트배열회동부재(21)로부터 각기 독립적으로 수납된 인서트용 너트를 상기 너트이송로(13)를 따라 그 끝단인 너트인출홀(14)까지 공급되도록 하는 진공/분사 피팅부재(24)와; 상기 너트배열회동부재(21)와 연결된 타임벨트(26)를 통해 회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너트배열회동부재(21)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실린더(27)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너트배열회동부재(21)의 경우 전체 형상이 원동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에는 진공/분사 피팅부재(24)에 의한 진공흡입작용을 통해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너트수용부(12)에 수납된 인서트용 너트를 각기 수납 흡착할 수 있도록 "U"자 형상의 너트수납홈(22)이 각기 독립적이면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너트배열회동부재(21)의 배면 중앙에는 진공/분사 피팅부재(24)를 결합시켜 상기 진공/분사 피팅부재(24)를 통해 상기 너트배열회동부재(21)의 외주면에 각기 독립적으로 형성된 너트수납홈(22)에 진공흡입 및 공기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피팅부재결합홀(24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각 너트수납홈(22)과 피팅부재결합홀(24a) 사이에는 진공/분사 피팅부재(24)에 의한 진공흡입 및 공기분사작용이 너트수납홈(22)에 작용되어 상기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너트수용부(12)에 수납된 인서트용 너트를 상기 너트수납홈(22)에 각기 수납 흡착시키고, 또한 상기 너트수납홈(22)에 수납 흡착된 인서트용 너트를 상기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너트이송로(13)를 따라 그 끝단에 형성된 너트인출홀(14)까지 이송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상호 연통된 구조를 이루기 위한 공기흡입분사홀(23)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1) 중 상기 너트인서트수단(30)의 경우 너트인출홀(14)과 대응되도록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배면에 설치되어 실린더(31)의 길이가변에 따른 인서트핀(37)의 돌출이송작용을 통해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너트인출홀(14)에 공급 정렬된 인서트용 너트를 사출물이 인출된 캐비티(Cv) 내에 인서트 공급하는 요소로서, 도 1,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배면에 설치되며, 공급된 공기에 의해 로드의 길이가 가변되는 실린더(31)와; 상기 로드 일단에 고정되며, 실린더(31)의 길이가변에 따라 전후 이송되는 가동플레이트(32)와; 상기 너트인출홀(14)과 각기 대응되도록 가동플레이트(32)에 결착되며, 로드 신장에 의한 가동플레이트(32)의 전방(前方) 이송을 통해 돌출되면서 상기 너트인출홀(14)에 공급 정렬된 인서트용 너트를 상기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전면(前面)에 설치되는 커버부재(16)의 너트취출구(17)를 거쳐 전방(前方)에 위치된 캐비티(Cv) 내에 인서트 시키는 인서트핀(37)과; 상기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가이드봉결합홀(18c)에 일단이 결합 고정된 상태로 가동플레이트(32)의 각 모서리 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며, 실린더(31)의 길이가변에 따른 가동플레이트(32)의 전후 이송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봉(33); 및 이와 슬라이드 결합된 가이드부시(34)와; 상기 실린더(31) 및 가이드봉(33)의 타단을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38)로 이루어져 있다.
미 설명 부호 36은 인서트핀(37)을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 가이드하기 위한 핀홀더(36)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1) 중 상기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전면(前面)에 설치되는 커버부재(16)의 경우 인서트용 너트의 수납을 위해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너트수용부(12)를 밀폐시킴과 동시에 너트배열공급수단(20) 즉, 너트배열회동부재(21)의 배면 중앙에 설치 고정된 진공/분사 피팅부재(24)를 통한 공기분사작용에 의해 상기 너트배열회동부재(21)의 너트수납홈(22)으로부터 너트이송로(13)를 따라 너트인출홀(14)까지 공급된 인서트용 너트가 상기 너트인출홀(1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너트인출홀(14)까지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를 최초 공급 상태로 유지 정렬시키기 위한 요소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이 직사각 형태의 판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재질로서 반투명하거나 투명한 수지재질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커버부재(16)의 경우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너트수용부(12) 내에 수납된 인서트용 너트를 작업자가 확인하기 좋도록 투명한 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16)의 경우 너트인출홀(14)과 연통되는 너트취출구(17)를 구비하면서 상기 너트인출홀(14)에 공급 정렬된 인서트용 너트를 상기 너트인서트수단(30)을 통해 사출물이 인출된 캐비티(Cv) 내에 인서트 시킬 수 있도록 실린더(Cy)의 길이가변에 따라 상기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전면(前面)으로부터 상하 슬라이드 이송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16)의 양측 테두리 및 상하측 중앙에는 실린더(Cy)의 길이가변에 따른 커버부재(16)의 상하 슬라이드 이송작용을 통해 상호 일치된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너트인출홀(14)과 커버부재(16)의 너트취출구(17)로부터 인서트용 너트에 대한 인서트핀(37)의 인서트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장공형태의 이송홀(18b)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이송홀(18b)의 경우 커버부재(16)와 대응되는 상기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양측 테두리 및 상하측 중앙에 형성된 나사홀(12a)과 각기 대응되어 볼트(18a)에 의해 고정되지만, 상기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너트인출홀(14)과 상기 커버부재(16)의 너트취출구(17)를 상호 일치시키기 위하여 실린더(Cy)의 길이가변이 이루어질 경우 이와 연동적으로 장공형태의 이송홀이 볼트(18a)을 기점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커버부재(16)의 상하 슬라이드 이송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너트정렬플레이트(10)와 커버부재(16)의 양측면에는 실린더(Cy)의 길이가변을 통해 상하 이송되는 커버부재(16)의 이송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5) 및 이와 대응되는 "ㄷ"자 형태의 이송홀(19)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 다음,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1) 중 상기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하단에 설치되는 사출물 인출지그(40)의 경우 흡입력을 통해 사출금형의 캐비티(Cv) 내에서 인서트용 너트가 인서트 고정된 사출물을 인출하기 위한 요소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하단에 고정되는 실린더고정브라켓(41)과; 상기 실린더고정브라켓(41)의 중앙에 고정되며, 공급된 공기에 의해 로드의 길이가 가변되는 실린더(43)와; 상기 로드 일단에 고정되며, 상하측에 장공형태의 인출관고정홀(42a)을 구비하면서 실린더(43)의 길이가변에 따라 전후 이송되는 인출관고정플레이트(42)와; 상기 인출관고정플레이트(42)에 일단이 결합 고정된 상태로 실린더고정브라켓(41)의 상하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며, 실린더(43)의 길이가변에 따른 인출관고정플레이트(42)의 전후 이송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봉(44); 및 이와 슬라이드 결합된 가이드부시(45)와; 상기 인출관고정플레이트(42)의 인출관고정홀(42a)에 고정되며, 흡입력을 통해 사출금형으로부터 인서트용 너트가 인서트 고정된 사출물을 인출하는 사출물 인출관(46)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사출물 인출관(46)의 일단에는 사출물에 대한 흡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흡착부재(47)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흡착부재(47)의 경우 탄성을 갖는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음과 아울러 중앙이 관통되면서 전면(前面)이 확대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송로봇(Rf)의 일단에 사출금형으로부터 사출물이 인출된 캐비티(Cv) 내에 인서트용 너트를 인서트 공급하기 위한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1)가 일체로 고정하여 본 발명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 대신에,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2006년 04월 20일자로 실용신안 등록된 호스슈팅방식을 이용한 인서트 너트 정렬 공급장치(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414953호)를 본 발명과 같이 이송로봇(Rf)의 일단에 일체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1)의 작동과정을 도면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의 작동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전후, 좌우 및 상하로 직교 이송되는 이송로봇(Rf)의 일단에 사출금형으로부터 사출물이 인출된 캐비티(Cv) 내에 인서트용 너트를 인서트 공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1) 즉,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하단에 사출물 인출지그(40)가 설치 고정된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1)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먼저, 캐비티(Cv) 내에 인서트용 너트가 인서트 고정된 상태의 사출물을 인출하기 위하여 이송로봇(Rf)을 통해 사출금형 쪽으로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1)를 이송시키되, 사출작업이 완료된 상기 캐비티(Cv) 내의 사출물과 상기 사출물 인출지그(40)가 상호 대응되는 위치로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1)를 이송시킨 다음 실린더(43)의 길이가변에 의해 사출물 인출관(46)이 고정된 인출관고정플레이트(42)가 가이드봉(44) 및 가이드부시(45)의 가이드작용에 따라 캐비티(Cv) 측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사출물 인출관(46)으로부터 흡입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사출물 인출관(46)의 일단에 설치된 흡착부재(47)가 캐비티(Cv) 내의 사출물에 흡착되게 되고, 상기와 같이 흡착부재(47)가 사출물에 흡착된 상태에서 실린더(43)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면 이와 연동적으로 캐비티(Cv) 측으로 돌출되었던 인출관고정플레이트(42)가 후방(後方)으로 이동하면서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출금형의 캐비티(Cv) 내에서 인서트용 너트가 인서트 고정된 사출물이 상기 캐비티(Cv)로부터 분리 인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사출물 인출지그(40)의 진공 흡입작용을 통해 사출금형의 캐비티(Cv) 내에서 인서트용 너트가 인서트 고정된 사출물이 인출되게 되면 상기 사출물이 인출된 캐비티(Cv) 내로 인서트용 너트를 인서트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송로봇(Rf)의 수직 하향 이송작용을 통해 상기 캐비티(Cv)와 대응되는 위치로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1)를 이송시킨 후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바닥면 하단에 너트이송로(13)의 입구측과 대응되는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너트배열회동부재(21)의 너트수납홈(22)이 하향으로 회동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배열회동부재(21) 배면 중앙의 피팅부재결합홀(24a) 고정된 진공/분사 피팅부재(24)의 진공흡입작용을 통해 상기 너트배열회동부재(21)의 외주면에 형성된 너트수납홈(22) 내부로 상기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너트수용부(12)에 수납된 인서트용 너트가 수납 흡착되게 된다.
이후, 타임벨트(26)를 통해 너트배열회동부재(21)와 연결된 회동실린더(27)가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너트배열회동부재(21) 역시 타임벨트(26)를 통해 전달된 회동력을 통해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너트이송로(13) 입구측과 상호 대응되도록 상기 너트배열회동부재(21)의 너트수납홈(22) 내에 수납 흡착된 인서트용 너트를 배열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너트배열회동부재(21)의 회동작용을 통해 너트수납홈(22) 내에 흡착된 인서트용 너트가 상기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너트이송로(13) 입구측에 배열되게 되면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너트배열회동부재(21) 배면 중앙의 피팅부재결합홀(24a) 고정된 진공/분사 피팅부재(24)의 공기분사작용을 통해 상기 너트배열회동부재(21)의 너트수납홈(22)으로부터 수납 흡착되어 있던 인서트용 너트가 상기 너트정렬플레이트(10)에 형성된 너트이송로(13)를 따라 그 끝단인 너트인출홀(14)까지 이송 공급됨과 동시에 최초 공급 상태로 유지 정렬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너트인출홀(14)에 이송 공급되어 정렬된 인서트용 너트를 상기 너트인출홀(14)과 대응되도록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배면에 설치된 너트인서트수단(30)을 통해 사출물이 인출된 캐비티(Cv) 내에 원활한 인서트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前) 단계로서, 도 6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Cy)의 길이가변을 통해 상기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전면(前面)에 설치된 커버부재(16)를 상방(上方)으로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너트인서트수단(30)을 통한 인서트용 너트의 캐비티(Cv) 내 인서트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너트인출홀(14)과 상기 커버부재(16)의 너트취출구(17)의 위치가 서로 일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실린더(Cy)의 길이가변에 따른 커버부재(16)의 슬라이드 이송작용을 통해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너트인출홀(14)과 커버부재(16)의 너트취출구(17)가 서로 일치되게 되면 도 6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31)의 길이가변에 따른 가동플레이트(32)가 가이드봉(33) 및 가이드부시(34)의 가이드작용을 통해 전방(前方)으로 슬라이드 이송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가동플레이트(32) 상에 설치 고정된 인서트핀(37) 역시 전방(前方)으로 돌출되는 과정에서 너트인출홀(14)에 공급 정렬된 인서트용 너트를 상기 너트인출홀(14)로부터 이탈시킴과 아울러 이와 함께 상기 너트정렬플레이트(10)의 전면(前面)에 설치되는 커버부재(16)의 너트취출구(17)를 거쳐 전방(前方)에 위치된 사출금형의 캐비티(Cv) 내에 인서트 공급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1)를 이용해 사출금형의 캐비티(Cv) 내에 인서트용 너트를 인서트 공급시키기 위한 한 사이클 공정이 완료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을 계속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인서트용 너트가 고정된 사출물의 대량생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Claims (12)

  1. 전후, 좌우 및 상하로 직교 이송되는 이송로봇의 일단에 사출금형으로부터 사출물이 인출된 캐비티 내에 인서트용 너트를 인서트 공급하기 위한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는, 이송로봇에 수직 고정되며, 플레이트 전면(前面)에 다수의 인서트용 너트를 수납하기 위한 요(凹)홈 형태의 너트수용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그 바닥면 하측으로 사출물 내의 인서트 위치와 대응되는 너트인출홀과 이의 위치까지 인서트용 너트를 이송시킬 수 있게 너트이송로가 구비된 너트정렬플레이트와;
    상기 너트이송로의 입구측과 대응되는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너트수용부에 수납된 인서트용 너트를 각기 독립적으로 진공흡입하여 상기 너트이송로 측으로 회동 배열시킴과 동시에 공기분사를 통해 너트인출홀까지 공급하는 너트배열공급수단과;
    상기 너트인출홀과 대응되도록 너트정렬플레이트의 배면에 설치되며, 실린더의 길이가변에 따른 인서트핀의 돌출이송작용을 통해 너트정렬플레이트의 너트인출홀에 공급 정렬된 인서트용 너트를 사출물이 인출된 캐비티 내에 인서트 공급하는 너트인서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수용부의 바닥면 하단에 너트인출홀 및 너트이송로를 포함하는 하나의 인서트 영역부위를 형성하되, 상기 너트이송로를 통해 너트인출홀 측으로 이송된 인서트용 너트 이외에 상기 너트수용부에 수납된 별도의 인서트용 너트들이 상기 너트인출홀과 너트이송로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너트수용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인서트 영역부위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 영역부위의 양측에는 너트인서트수단의 가이드봉이 삽착됨과 동시에 볼트 체결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봉결합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너트정렬플레이트의 양측 테두리 및 상하측 중앙과 상기 인서트 영역부위의 상단 양측면에는 볼트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홀과 상기 이송로봇에 너트정렬플레이트를 볼트 고정시키기 위한 이송로봇결합홀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수용부는 수납된 인서트용 너트가 너트배열공급수단 측으로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전체 형상이 사각형태를 이루면서 하단부가 중앙측으로 경사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정렬플레이트의 전면(前面)에는 인서트용 너트의 수납을 위해 너트수용부를 밀폐시킴과 동시에 너트배열공급수단을 통한 공기분사작용에 의해 너트이송로를 따라 공급된 너트인출홀로부터 인서트용 너트의 이탈 방지 및 상기 너트인출홀까지 공급되는 인서트용 너트를 최초 공급 상태로 유지 정렬시키기 위한 커버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너트인출홀과 연통되는 너트취출구를 구비하면서 상기 너트인출홀에 공급 정렬된 인서트용 너트를 상기 너트인서트수단을 통해 사출물이 인출된 캐비티 내에 인서트 시킬 수 있도록 실린더의 길이가변에 따라 상기 너트정렬플레이트의 전면(前面)으로부터 상하 슬라이드 이송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양측 테두리 및 상하측 중앙에는 실린더의 길이가변에 따른 커버부재의 상하 슬라이드 이송작용을 통해 상호 일치된 너트정렬플레이트의 너트인출홀과 커버부재의 너트취출구로부터 인서트용 너트에 대한 인서트핀의 인서트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너트정렬플레이트의 양측 테두리 및 상하측 중앙에 형성된 나사홀과 대응되어 볼트 고정되는 장공형태의 이송홀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정렬플레이트 및 커버부재의 양측면에는 실린더의 길이가변을 통해 상하 이송되는 커버부재의 이송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 및 이와 대응되는 "ㄷ"자 형태의 이송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배열공급수단은 너트이송로의 입구측과 대응되는 상태로 너트정렬플레이트의 바닥면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너트수용부에 수납된 인서트용 너트를 진공흡입작용을 통해 각기 독립적으로 수납함과 동시에 회동되어 너트이송로 측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열시키는 너트배열회동부재와;
    상기 너트배열회동부재의 배면 중앙에 설치되며, 진공흡입 및 공기분사작용을 통해 너트배열회동부재 측에 인서트용 너트를 각기 독립 수납시킴과 동시에 상기 너트이송로 측과 각기 대응되도록 회동된 너트배열회동부재로부터 각기 독립적으로 수납된 인서트용 너트를 상기 너트이송로를 따라 그 끝단인 너트인출홀까지 공급되도록 하는 진공/분사 피팅부재와;
    상기 너트배열회동부재와 연결된 타임벨트를 통해 회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너트배열회동부재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배열회동부재는 전체 형상이 원통체로 형성되되, 그 외주면에는 인서트용 너트를 수납하기 위한 "U"자 형상의 너트수납홈이 각기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너트배열회동부재의 배면 중앙에는 진공/분사 피팅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피팅부재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 진공/분사 피팅부재에 의한 진공흡입 및 공기분사가 너트수납홈에 작용되도록 각 너트수납홈과 피팅부재결합홀이 상호 연통되도록 하는 공기흡입분사홀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인서트수단은 너트정렬플레이트의 배면에 설치되며, 공급된 공기에 의해 로드의 길이가 가변되는 실린더와;
    상기 로드 일단에 고정되며, 실린더의 길이가변에 따라 전후 이송되는 가동플레이트와;
    상기 너트인출홀과 각기 대응되도록 가동플레이트에 결착되며, 로드 신장에 의한 가동플레이트의 전방(前方) 이송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너트인출홀에 공급 정렬된 인서트용 너트를 상기 커버부재의 너트취출구를 거쳐 전방(前方)에 위치된 캐비티 내에 인서트 시키는 인서트핀과;
    상기 너트정렬플레이트의 가이드봉결합홀에 일단이 결합 고정된 상태로 가동플레이트의 각 모서리 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며, 실린더의 길이가변에 따른 가동플레이트의 전후 이송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봉; 및 이와 슬라이드 결합된 가이드부시와;
    상기 실린더 및 가이드봉의 타단을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정렬플레이트 하단에는 흡입력을 통해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에서 인서트용 너트가 고정된 사출물을 인출하기 위한 사출물 인출지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 인출지그는 너트정렬플레이트의 하단에 고정되는 실린더고정브라켓과;
    상기 실린더고정브라켓의 중앙에 고정되며, 공급된 공기에 의해 로드의 길이가 가변되는 실린더와;
    상기 로드 일단에 고정되며, 상하측에 장공형태의 인출관고정홀을 구비하면서 실린더의 길이가변에 따라 전후 이송되는 인출관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인출관고정플레이트에 일단이 결합 고정된 상태로 실린더고정브라켓의 상하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며, 실린더의 길이가변에 따른 인출관고정플레이트의 전후 이송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봉; 및 이와 슬라이드 결합된 가이드부시와;
    상기 인출관고정플레이트의 인출관고정홀에 고정되며, 흡입력을 통해 사출금형으로부터 인서트용 너트가 인서트 고정된 사출물을 인출하는 사출물 인출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물 인출관의 일단에는 사출물에 대한 흡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흡착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흡착부재는 탄성을 갖는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
KR1020080026724A 2008-03-24 2008-03-24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 KR100942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724A KR100942177B1 (ko) 2008-03-24 2008-03-24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724A KR100942177B1 (ko) 2008-03-24 2008-03-24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544A true KR20090101544A (ko) 2009-09-29
KR100942177B1 KR100942177B1 (ko) 2010-02-11

Family

ID=41359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724A KR100942177B1 (ko) 2008-03-24 2008-03-24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21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298B1 (ko) * 2010-04-16 2012-02-14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인서트 사출을 위한 인서트부재 자동 공급장치
CN108817930A (zh) * 2018-08-01 2018-11-16 东莞市欧比迪精密五金有限公司 一种弹夹式自动装螺母机
CN110948838A (zh) * 2018-09-27 2020-04-03 天津滨海光热反射技术有限公司 Smc衬板中螺母装配装置及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672B1 (ko) 2011-03-25 2011-06-28 주식회사 삼광 너트 인서트 장치
KR101454699B1 (ko) 2014-04-22 2014-10-27 주식회사 삼광 수평형 너트 인서트장치
KR101669842B1 (ko) * 2016-05-13 2016-11-09 송준석 인서트자동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
KR102138644B1 (ko) * 2019-03-12 2020-08-11 서달수 가이드롤러 사출성형용 고무링 자동공급장치
KR102286968B1 (ko) 2020-02-04 2021-08-06 김승현 부품 발사장치
TWM608701U (zh) * 2020-11-27 2021-03-01 世德工業股份有限公司 密合鎖固螺帽自動化裝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3721A (ja) 1997-10-22 1999-05-11 Tsutsunaka Plast Ind Co Ltd インサートナット供給装置
KR200414953Y1 (ko) 2006-01-27 2006-04-27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호스슈팅방식을 이용한 인서트 너트 정렬 공급장치
KR200421394Y1 (ko) 2006-04-21 2006-07-13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인서트 너트 및 사출물 이송로봇
KR100754774B1 (ko) 2006-10-27 2007-09-03 주식회사 삼광 휴대폰케이스 제조용 너트 인서트장치의 자동화 공정 및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298B1 (ko) * 2010-04-16 2012-02-14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인서트 사출을 위한 인서트부재 자동 공급장치
CN108817930A (zh) * 2018-08-01 2018-11-16 东莞市欧比迪精密五金有限公司 一种弹夹式自动装螺母机
CN110948838A (zh) * 2018-09-27 2020-04-03 天津滨海光热反射技术有限公司 Smc衬板中螺母装配装置及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2177B1 (ko) 201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177B1 (ko) 인서트 너트 공급장치
KR100952999B1 (ko) 인서트너트 정렬장치가 구비된 취출인서트 로봇시스템
KR101001386B1 (ko) 인서트너트 정렬 공급시스템
KR101010747B1 (ko) 인서트너트 정렬시스템
KR101426068B1 (ko) 콘텍트 렌즈 성형용 몰드 결합장치
JP4842243B2 (ja) 自動組み立て装置
KR200414953Y1 (ko) 호스슈팅방식을 이용한 인서트 너트 정렬 공급장치
KR20070012170A (ko) 의사 코어로의 라벨 주고받기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88533A (ko) 커넥터 조립 및 공급장치
KR101044672B1 (ko) 너트 인서트 장치
KR101407339B1 (ko) 사출성형기용 취출분류장치
CN110856968A (zh) 一种注塑模具及其注塑成型方法
CN210678545U (zh) 一种剪刀脚的装配设备
KR200404988Y1 (ko) 인서트 너트 정렬지그
KR20120078337A (ko) 시트 이송 장치 및 시트 이송 장치가 마련된 가공 장치
KR101502405B1 (ko) 커넥터 조립장치
CN213972235U (zh) 一种标签供料成型装置
ES2922082T3 (es) Mitad de herramienta y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a pieza moldeada por inyección con al menos un inserto
KR100965495B1 (ko) 인서트너트 운반용 카트리지
KR20090115566A (ko) 원소재 투입 및 성형렌즈 취출 자동화장치, 및 원소재 투입및 성형렌즈 취출 방법
KR100884545B1 (ko) 사출물 이송장치
CN218256337U (zh) 一种膜片加静电取料模组及膜片注塑压合机
CN210477601U (zh) 一种注塑胶壳的预埋螺母上料装置
KR20110056741A (ko) 인서트 사출기용 인서트 물 공급장치
CN215699475U (zh) 一种环保型发夹装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