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8013A - 차량용 차일드록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차일드록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8013A
KR20090098013A KR1020080023144A KR20080023144A KR20090098013A KR 20090098013 A KR20090098013 A KR 20090098013A KR 1020080023144 A KR1020080023144 A KR 1020080023144A KR 20080023144 A KR20080023144 A KR 20080023144A KR 20090098013 A KR20090098013 A KR 20090098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hild lock
obstacle
door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7057B1 (ko
Inventor
요이치 나가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3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057B1/ko
Publication of KR20090098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뒷자석 탑승자의 하차시 장애요소를 확인한 후 안전하게 도어를 열고 하차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차일드록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뒷좌석 승객의 차량 하차시 도어 주변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를 구분하여 장애물이 없는 상황에서 안전하게 도어를 열고 하차할 수 있는 차일드록 제어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하차시의 안전사고로부터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주변 차량이나 자차의 손상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차량용 차일드록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차일드록, 하차, 도어 개폐, 측방장애물, 후방장애물, 하차시 안전성, 차량 손상

Description

차량용 차일드록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child lock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뒷자석 탑승자의 하차시 장애요소를 확인한 후 안전하게 도어를 열고 하차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차일드록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측에는 어린이가 탑승했을 경우에 차 내부에서 도어를 임의적으로 열지 못하도록 하는 대신에 차량의 외부에서만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조작되는 차일드록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초기에 차일드록 스위치를 조작하여 차일드록 기능을 활성화시키면, 기계적인 조작에 의해 도어의 내측 손잡이가 작동되는 것을 금지시켜서 어린이 등의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일드록은 자동차의 후부 도어측에 설치되는 장치이며, 도어부에 설치된 차일드록 스위치(100)를 유효측(ON)으로 해 놓으면 후부 도어를 차 실내에서 열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작동은 차일드록 스위치를 유효측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안쪽 도어 노브와 도어 개폐장치의 링크구조가 해제되는 원리에 의해 구현된다.
차일드록의 일반적인 사용형태는 "후부 좌석에 태운 어린이에 대한 보호" 이지만 "차 실내측에서 도어 열림 조작을 할 수 없다" 는 기능을 고려하면 "안이한 도어 열림 조작으로 자차 도어에 대한 차량 등의 인접물 손상을 방지한다" 라는 목적으로의 사용도 생각할 수 있다.
최근 차량 대형화에 의해 주차장 등에서의 도어 개폐에 신경쓰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하차시 도어를 열었을 때의 힘으로 인접차에 손상을 입히거나, 또는 장애물로 인해 자차에 손상을 입을 경우가 있어 특히, 어린이가 도어를 열 때는 동승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어른이더라도 강풍시에는 연 도어가 바람에 흔들려서 자차 도어나 인접차에 손상을 입힐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해서 일예로 미츠비시 자동차 공업은 운전자에게 마케팅 조사를 실시하여 슬라이드 도어를 부착한 경자동차를 판매하였다.
한편, 주차나 정지시의 주위상황 혹은 승차하고 있는 사람에 따라서는 도어 열림 조작에 문제가 없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도 운전자 혹은 동승자가 일단 하차하여 후부 도어를 외부에서 열어주는 조작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7-126842호에서는 "운전석 부근에 설치된 차일드록 스위치에 의해 차일드록의 조작이 가능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차일드록 해제시의 주위 안전확인, 판단 등이 운전자에게 맡겨져 있어 운전자의 부담경감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과제가 있다.
한편, 차량 상황 및 주위 상황을 고려하여 차일드록을 동작시키는 내용의 기술로서,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1-190272호가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충돌이나 수몰 등 차량에 뜻밖의 사태가 발생한 경우 차일드록을 자동적으로 해제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차일드록의 해제 동작 타이밍에 대해서는 차량의 뜻밖의 사태가 일어난 후 뿐이고, 뜻밖의 사태가 발생하기 전 단계에 대해서는 기술적으로 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뒷좌석 승객의 차량 하차시 도어 주변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를 구분하여 장애물이 없는 상황에서 안전하게 도어를 열고 하차할 수 있는 차일드록 제어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하차시의 안전사고로부터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주변 차량이나 자차의 손상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차량용 차일드록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차량용 차일드록 제어장치는 차일드록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한 차일드록 액추에이터와, 상기 차일드록 액추에이터의 구동 제어를 위한 제어수단과, 차량 후부 좌석 탑승정보 취득을 위한 승원감지 취득수단과, 차량 정지정보 취득을 위한 차량 정지정보 취득수단과, 차량 주변의 장애물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차량 장애물 감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승원감지 취득수단과 차량정지정보 취득수단에서 차량이 정지한 정보와 승원이 탑승한 정보를 취득하고, 차량 장애물 감지수단에 의해 차량 주변에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차일드록을 자동으로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차량 뒷좌석 승객의 하차시, 차량 차일드록 스위치를 오토 포지션에 세팅하여 차일드록을 잠금상태로 유지하는 단계, 차량 후부 좌석에 사람이 타고 있 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사람이 타고 있는 경우 차량이 정지상태에 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차량 정지상태에서 차량 주변, 예를 들면 차량 측방이나 후방에 장애물이 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차량 주변에 장애물이 없는 경우 차일드록을 해제시키는 단계에 의해서 승객은 장애물이 없는 상황에서 안전하게 도어를 열고 하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차일드록 제어 시스템은 뒷좌석 승객이 차량에서 내릴 때 도어 주변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는 도어를 열지 못하도록 하고, 장애물이 없는 상황에서는 차일드록을 해제하여 도어를 열고 안전하게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차량 하차시 승객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인접 차량이나 장애물에 손상을 입힐 우려나 자차가 손상을 입을 우려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종전과 같이 운전자나 동승자가 도어를 열어주는 등의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따른 차일드록 스위치의 장착위치를 나타내 는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일드록의 제어를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일드록의 일 예로서, 3가지 모드로 조작가능한 차일드록 스위치가 제공된다.
예를 들면, 기존에 구비되어 있던 유효 포지션 및 무효 포지션에 더하여 본 발명의 차일드록 제어 시스템이 가동하는 모드인 오토 포지션이 추가로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차일드록 스위치(17)를 조작하여 오토 포지션에 놓으면 장애물 유무에 따라 차일드록은 잠금 또는 해제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따른 각 유닛의 차량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본 발명의 시스템 가동 및 이때의 가동을 위한 정보 수집 등을 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여러 유닛, 예를 들면 센서류, 카메라, 액추에이터 등의 대략적인 배치를 보여주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일부 유닛들은 그 위치가 적절히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차량 주변의 측방 장애물 감지를 위한 수단으로 초음파 센서(10)의 경우 좌우측 후부 도어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카메라(11)의 경우는 좌우측 전부 도어 외측과 차량 전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차량 후방으로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인 후방 접근차량 감지수단(18)은 차량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차일드록을 실질적으로 잠금 및 해제시켜주는 차일드록 액추에이 터(12)는 후부 도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의 차일드록 액추에이터는 도어 노브와 도어 개폐장치 간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한 메카니즘과 연동가능한 공지의 액추에이터를 적용할 수 있다.
그 밖에 차일드록 액추에이터(12)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3), 차량 후부 좌석의 탑승정보를 취득하는 승원감지 취득수단(14), 차량 정지정보를 취득하는 차량 정지정보 취득수단(15), 카메라(11)에서 촬영한 화상으로부터 장애물을 감지하는 화상처리수단(16) 등도 각각 적당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로부터 얻은 화상 정보를 화상처리수단에서 처리하여 장애물을 감지하는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택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따른 차일드록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여기서, 실시예 1은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장애물을 감지하는 방법으로 차일드록을 제어하는 시스템의 예이고, 실시예 2는 차외 촬영 카메라를 이용하여 장애물을 감지하는 방법으로 차일드록을 제어하는 시스템의 예이다.
장애물 정보와 관련하여, 차량 주변의 측방이나 후방, 또는 측방과 후방 모두의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인 초음파 센서(13)는 후부 도어의 도어 노브부나 차량 후방에 설치되며, 후부 도어 부근의 장애물이나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제어수단측에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카메라(11)의 경우에도 후부 도어 주변의 장애물 또는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 등을 촬영하고, 이렇게 촬영한 화상을 화상처리수단(16)으로 보내어 처리되게 한 다음, 이때의 처리된 정보, 즉 장애물 유무나 후방차량 접근 유무에 대한 정보를 제어수단측에 제공한다.
여기서, 차량의 후방으로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수단의 다른 예로서, 차량 후방에 설치할 수 있는 레이저, 레이더 등으로부터 차량 후부에서의 접근차량정보를 받을 수 있다.
차량 정보 및 승원 감지 정보 제공과 관련한 차량 정지정보 취득수단(15)은 차량이 정차상태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어수단측에 제공하고, 승원감지 취득수단(14)은 뒷좌석에 승객이 타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어수단측에 제공한다.
이때, 차량 정지정보 취득수단(15)은 자동 변속기를 채택하고 있는 차량의 경우 오토 시프트 레버의 P레인지 신호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수단측에 제공하는 형태의 것을 적용할 수 있고, 승원감지 취득수단(14)은 공지의 승원감지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13)은 장애물 정보, 차량 정보, 승원 감지 정보를 제공받아 차일드록 액추에이터(12)의 가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의 제어수단(13)은 차량에 설치되는 ECU 등의 컨트롤 유닛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차일드록 스위치가 오토 포지션 상태에서 위의 각 감지수단이나 정보취득수단과 통신하여 정보를 받고, 이렇게 받은 정보를 순차 처리하고 상황에 따라 차일드록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미리 잠가 놓은 차일드록을 해제하는 제어를 한다.
이와 같이 위의 실시예 1,2는 주차장에서의 하차, 노상정지시에서의 하차 등과 같은 상황에서 편의를 제공할 수 있고, 차일드록이 갖는 안전성을 해치지 않도록 시스템의 동작필수사항 중의 하나로서 차량 정차상태의 조건, 후방에서의 접근 차량이 없는 조건 등을 고려한 시스템으로 구축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따른 차일드록 제어 시스템의 플로챠트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차일드록 제어를 위해 제공받는 장애물 정보는 인접 차량의 존재 유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거나, 또는 후방 접근 차량의 존재 유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거나, 위의 두가지 정보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또, 키의 위치에 관계없이 엔진 동작시 및 정지시의 양쪽 모두에서 본 발명의 시스템이 가동될 수 있다.
먼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일드록의 상태를 판단하여(ST100) 차일드록 스위치가 오토 포지션에 세팅되어 있는 상태에서 차일드록을 잠금상태로 유지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T110).
여기서, 차일드록 스위치가 온 모드(ST120), 오프 모드(ST130) 조건이면 시스템을 종료한다.
다음, 후부 좌석에 사람이 타고 있는 지를 판단하고(ST140), 사람이 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차일드록 잠금상태가 계속 유지되고, 사람이 타고 있는 경우 다음 단계로 진행된다.
후부 좌석에 사람이 타고 있는 상태에서 차량이 정지 상태인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T150).
차량 정지 상태가 아니면 차일드록 잠금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차량 정지 상태인 경우 도어 측방 주변에 인접 차량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T160).
또는, 차량 정지 상태에서 도어 후방에 접근 차량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T200).
도어 측방이나 차량 후방에 차량이나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으면 차일드록을 해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T170).
이렇게 차일드록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후부 좌석 승원이 해당 도어를 오픈 조작하여 안전하게 하차할 수 있다.
하차 이후, 즉 해당 도어에 대해 승원이 도어 열림 조작을 한 경우(ST180) 다시 자동적으로 차일드록이 잠김으로써(ST190), 본 발명의 시스템 시작단계로 리턴되어 위와 같은 단계들이 재차 가동될 수 있다.
한편, 차일드록이 개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승원에 의한 해당 도어 열림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차량이 발진 상태이거나 또는 장애물이 발생(도어 부근, 혹은 후방 차량)이 발생된 경우일 수 있으므로, 이렇게 차일드록 해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상태가 된 경우는 다시 차일드록이 잠기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일드록 스위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따른 차일드록 스위치의 장착위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따른 각 유닛의 차량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일드록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차일드록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일드록 제어 시스템의 플로챠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차일드록 제어 시스템의 플로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초음파 센서 11 : 카메라
12 : 차일드록 액추에이터 13 : 제어수단
14 : 승원감지 취득수단 15 : 차량 정지정보 취득수단
16 : 화상처리수단 17 : 차일드록 스위치(노브)
18 : 후방 접근차량 감지수단

Claims (5)

  1. 차일드록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한 차일드록 액추에이터;
    상기 차일드록 액추에이터의 구동 제어를 위한 제어수단;
    차량 후부 좌석 탑승정보 취득을 위한 승원감지 취득수단;
    차량 정지정보 취득을 위한 차량 정지정보 취득수단;
    차량 주변의 장애물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차량 장애물 감지수단;
    상기 차일드록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승원감지 취득수단과 차량정지정보 취득수단에서 차량이 정지한 정보와 승원이 탑승한 정보를 취득하고, 차량 장애물 감지수단에 의해 차량 주변에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차일드록을 자동으로 해제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일드록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 장애물 감지수단은 차량 측방의 장애물 유무를 감지하는 차량 측방장애물 감지수단 또는 차량 후방의 장애물 유무를 감지하는 차량 후방장애물 감지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일드록 제어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량 측방장애물 감지수단은 초음파 센서 또는 차 량 측방 환경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에서 장애물을 감지하는 화상처리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일드록 제어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량 후방장애물 감지수단은 초음파 센서 또는 차량 후방 환경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에서 장애물을 감지하는 화상처리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일드록 제어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일드록의 스위치는 유효 포지션과 무효 포지션을 포함하고 본 시스템이 가동하는 오토 포지션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일드록 제어장치.
KR1020080023144A 2008-03-13 2008-03-13 차량용 차일드록 제어장치 KR101417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144A KR101417057B1 (ko) 2008-03-13 2008-03-13 차량용 차일드록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144A KR101417057B1 (ko) 2008-03-13 2008-03-13 차량용 차일드록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013A true KR20090098013A (ko) 2009-09-17
KR101417057B1 KR101417057B1 (ko) 2014-07-09

Family

ID=41357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144A KR101417057B1 (ko) 2008-03-13 2008-03-13 차량용 차일드록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0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377A (ko) * 2016-08-30 2018-03-09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차량 후방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N115637901A (zh) * 2022-10-09 2023-01-24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oms的儿童锁控制系统、方法及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04301B2 (en) 2017-12-27 2020-07-07 Hyundai Motor Company Safety exit assist system and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4781A (ko) * 1996-12-27 1998-09-25 오상수 자동차의 도어 자동 잠금장치
KR20040013539A (ko) * 2002-08-07 2004-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차일드록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4098743A (ja) * 2002-09-05 2004-04-02 Honda Motor Co Ltd 車両の自動ドアロック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377A (ko) * 2016-08-30 2018-03-09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차량 후방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N115637901A (zh) * 2022-10-09 2023-01-24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oms的儿童锁控制系统、方法及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7057B1 (ko)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5920B2 (en) Safety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door from opening into traffic
US20160002959A1 (en) Proactive safety methods, devices and systems, and safety methods and devices for blocking operation of latches for occupant ingress and egress closure panels
JP4415710B2 (ja) 開閉制御装置
JP2008296777A (ja) 車両用開閉制御装置
CN104417435A (zh) 环景停车模式的控制方法
CN111497781B (zh) 车辆控制装置
JP2009083618A (ja) 電子ミラーシステム
CN216352486U (zh) 车门自动解锁系统和车辆
KR20140045609A (ko) 능동형 도어락 시스템
CN107083882A (zh) 一种防碰撞车门延时开启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417057B1 (ko) 차량용 차일드록 제어장치
JP2011235709A (ja)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装置及び車両制御方法
JP4144448B2 (ja) 車両後方表示装置
JP5625178B2 (ja) 乗降口開閉装置を備えた車両
EP2072335A1 (en) Mirror drive control device of vehicle
JP2021008793A (ja) ドア開閉制御システム
JP3815331B2 (ja) 車両の開閉体制御装置
KR100718466B1 (ko) 전동차용 도어 개폐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N206785164U (zh) 一种防碰撞车门延时开启系统及配备其的汽车
JP2003252201A (ja) 鉄道車両における乗降客ドアの異物検知装置
JP7052175B2 (ja) ドア開閉制御システム
JP2008144418A (ja) チャイルドロック装置及び該装置の制御方法
JP7125035B2 (ja) ドア開閉制御システム
JP2008140013A (ja) 障害物検出装置
JP2007016512A (ja) ドアロック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