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7807A -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레이저 포인터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레이저 포인터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7807A
KR20090097807A KR1020090020150A KR20090020150A KR20090097807A KR 20090097807 A KR20090097807 A KR 20090097807A KR 1020090020150 A KR1020090020150 A KR 1020090020150A KR 20090020150 A KR20090020150 A KR 20090020150A KR 20090097807 A KR20090097807 A KR 20090097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pointer
visibility
film
refractive index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7532B1 (ko
Inventor
가츠노리 다카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97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having particles on the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1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02B27/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for imaging minute objects, e.g. light-poin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LCD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에 있어서의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 그것을 사용한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레이저 포인터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에 있어서의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으로서, 하기 헤이즈값 (H) 과, 상기 필름의 시인측 표면의 하기 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 가, 하기 식 (1) 의 관계를 만족시킨다.
H ≥ -445Ra + 80 (1)
H : JIS K 7136 (2000 년판) 에 준한 헤이즈값 (흐림도) (%)
Ra : JIS B 0601 (1994 년판) 에서 규정하는 산술 평균 표면 조도 (㎛)
화상 표시 장치, 시인성 향상 필름, 헤이즈값 산술 평균 표면 조도

Description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레이저 포인터 표시 방법{LASER POINTER VISIBILITY IMPROVING FILM,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AND LASER POINTER DISPLAY METHOD}
본 발명은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레이저 포인터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회의나 발표회 등에서의 프레젠테이션에서는 프로젝터를 사용하여 자료 화상을 스크린이나 벽에 투영하는 것이 많이 행해져 왔다. 이 때, 발표자는 프레젠테이션 화상 상의 어느 장소에 레이저광을 투사하는 레이저 포인터를 사용하여, 스크린 등을 가리키면서 프레젠테이션을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프로젝터를 사용한 스크린 투영의 경우, 투영되는 화상에 있어서는, 콘트라스트가 저하되거나 화질이 나빠지는 과제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액정 디스플레이 (LCD) 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PDP) 는 70 인치를 초과하는 대형화가 진행되어 있어, 프로젝터 투영이 아니라, 이들 디스플레이 자체에 직접 화상을 표시하게 하여 프레젠테이션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에 의한 직접 표시로 프레젠테이션을 실시하는 경우, 디스플레이가 자발광이기 때문에, 레이저 포인터에 의한 레이저광 투사가 잘 보이지 않는다. 또, 디스플레이 자체의 표시 품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 표면에 있어서의 방현성이 향상되면, 레이저 포인터의 투사광의 반사도 억제되기 때문에,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이 향상하지 않는다는 과제가 발생한다. 최근에는 레이저 포인터를 디스플레이 상에서 화면 지시 조작을 행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로서 사용할 가능성도 있어 (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 그 시인성은 더욱 더 중요해지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34983호 (제 2 페이지)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36181호
그래서, 본 발명은 LCD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에 있어서의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 그것을 사용한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레이저 포인터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은,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에 있어서의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으로서, 하기 헤이즈값 (H) 과, 상기 필름의 시인측 표면의 하기 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 가 하기 식 (1)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 ≥ -445Ra + 80 (1)
여기에서, H 는 JIS K 7136 (2000 년판) 에 준한 헤이즈값 (흐림도) 이고, Ra 는 JIS B 0601 (1994 년판) 에서 규정하는 산술 평균 표면 조도이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 및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갖는 편광판으로서, 상기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이 상기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 또는 편광판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이 상기 본 발 명의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이고, 상기 편광판이 상기 본 발명의 편광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터 표시 방법은 레이저 포인터에 의해 화상 표시 장치의 임의의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레이저 포인터 표시 방법으로서, 상기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레이저 포인터를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은, 상기 헤이즈값 (H) 과 상기 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 가 상기 관계로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LCD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에 있어서의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 또는 이것을 사용한 편광판을 화상 표시 장치, 특히 고정세한 LCD 에 적용하면, 표시 특성이 우수한 화상 표시 장치로 할 수 있으며, 프레젠테이션용 스크린으로서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은 고정세한 LCD 이외의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헤이즈값 (H) 과 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 의 관계는 H ≥ -445Ra + 80 의 관계에 있다. 상기 헤이즈값 (H) 의 값은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 는 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이즈값 (H) 이 80% 이하이면, 화상 표시 장치의 화상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 가 0.5㎛ 이하이면, 반사광의 산란에 의해 화상이 뿌옇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헤이즈값 (H) 은 5 ∼ 80% 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75% 의 범위이다. 상기 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 는 0.05 ∼ 0.5㎛ 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7 ∼ 0.4㎛ 의 범위이다.
본 발명과 그 효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추찰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추찰에 의해 전혀 제한되지 않는다. 즉, 필름의 시인측 표면이 표면 요철이 작고 헤이즈도 없는 경우에는, 레이저광은 정반사의 방향으로 표면 반사분 밖에 되돌아오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규정하고 있는 헤이즈값 (H) 과 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의 경우에는, 헤이즈값 (H) 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레이저광의 산란 기회를 늘리고, 또한 필름의 시인측 표면에 요철을 갖게 함으로써, 정반사의 방향 이외로도 광을 반사시킬 수 있기 때문에, 레이저 포인터의 경사 방향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정면에서 보아도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에서는, 사용하는 레이저 포인터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630 ∼ 670㎚ 의 파장의 반도체 레이저 (적색 레이저 포인터) 및 532㎚ 의 파장의 YAG 레이저 (녹색 레이저 포인터) 그 밖의 파장의 각 색 레이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보다 바람직하게 시인성 향상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적색 레이저광이다.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투명 플 라스틱 필름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미립자를 함유하는 시인성 수지층을 갖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립자를 함유하는 시인성 수지층에 의해, 상기 레이저광의 산란이나 상기 시인측 표면의 요철을 소정 범위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또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재질이나 두께를 선택할 수도 있게 되기 때문에, 사용 환경 등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에 있어서, 상기 시인성 수지층 상에 반사 제어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 제어층은 상기 시인성 수지층보다 굴절률이 낮은 저굴절률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밝은 환경 하에서 프레젠테이션을 실시하는 경우, 최표면에 막두께를 제어한 저굴절률층을 형성함으로써, 레이저 포인터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광 주변 파장 이외의 파장의 반사 강도를 억제함으로써 레이저 포인터의 콘트라스트가 상승하여, 시인성이 보다 향상된다.
이 경우, 상기 시인성 수지층과 상기 저굴절률층의 굴절률차가 0.1 이상이고, 하기 식 (2) 로 정의되는 저굴절률층의 광학 막두께가 60 ∼ 110㎚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막두께 = 저굴절률층의 굴절률 × 저굴절률층의 막두께 (2)
또, 상기 반사 제어층이 상기 시인성 수지층보다 굴절률이 높은 고굴절률층인 것도 바람직하다. 어두운 환경 하에서 프레젠테이션을 실시하는 경우, 최표면에 막두께를 제어한 고굴절률층을 형성함으로써, 레이저 포인터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광 주변 파장의 반사 강도를 높임으로써 레이저 포인터의 콘트라스트가 상승하여, 시인성이 보다 향상된다.
이 경우, 상기 시인성 수지층과 상기 고굴절률층의 굴절률차가 0.1 이상이고, 하기 식 (3) 으로 정의되는 고굴절률층의 광학 막두께가 150 ∼ 240㎚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막두께 = 고굴절률층의 굴절률 × 고굴절률층의 막두께 (3)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에 있어서, 상기 시인성 수지층이 하드코트층을 겸하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기재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은,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편면 또는 양면에, 미립자를 함유하는 시인성 수지층을 갖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가시광의 광선 투과율이 우수하고 (바람직하게는 광선 투과율 90% 이상), 투명성이 우수한 것 (바람직하게는 헤이즈값 1% 이하)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형성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TAC) 등의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형 성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폴리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고리형 내지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계 폴리머, 염화비닐계 폴리머, 나일론이나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폴리머 등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형성 재료로는, 예를 들어 이미드계 폴리머, 술폰계 폴리머,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폴리머, 폴리페닐렌술피드계 폴리머, 비닐알코올계 폴리머, 염화비닐리덴계 폴리머, 비닐부티랄계 폴리머, 아릴레이트계 폴리머, 폴리옥시메틸렌계 폴리머, 에폭시계 폴리머나 상기 폴리머의 블렌드물 등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광학적으로 복굴절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은, 예를 들어 보호 필름으로서 편광판에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로는, TAC,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계 폴리머, 고리형 내지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등으로 형성된 필름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는 편광자 자체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TAC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호층을 필요로 하지 않아 편광판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기 때문에, 편광판 또는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수를 감소시켜, 생산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구성이면, 편광판을 보다 박층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가 편광자인 경우에는, 시인성 수지층이 종래의 보호층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또, 이와 같은 구성이면,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은, 예를 들어 액정 셀 표면에 장착 되는 경우, 커버 플레이트로서의 기능을 겸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강도, 취급성 등의 작업성 및 박층성 등의 점을 고려하면, 10 ∼ 500㎛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300㎛ 의 범위이며, 최적으로는 30 ∼ 200㎛ 의 범위이다.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굴절률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1.30 ∼ 1.80 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1.40 ∼ 1.70 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은, 그 시인측 표면을 요철 구조로 하여 정반사의 방향 이외로도 광을 반사시킴으로써, 경사 방향으로부터 조사된 광의 정면으로부터의 시인성도 확보하기 위해, 수지에 미립자를 함유한 시인성 수지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인성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로는, 예를 들어 열 경화형 수지, 열 가소형 수지, 자외선 경화형 수지,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 2 액 혼합형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자외선 조사에 의한 경화 처리와 같은 간단한 가공 조작으로 효율적으로 시인성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는 자외선 중합 개시제 (광중합 개시제) 가 배합된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계, 우레탄계, 실리콘계, 에폭시계 등의 각종의 것을 들 수 있다. 이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는 자외선 경화형의 모노머, 올리고머, 폴리머 등이 함유된다. 특히 바람직 하게 사용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는 자외선 중합성의 관능기를 갖는 것, 그 중에서도 상기 관능기를 2 개 이상, 특히 3 ∼ 6 개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나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다가 알코올의 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의 아크릴레이트 수지, 다가 알코올의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등의 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디이소시아네이트, 다가 알코올 및 아크릴산의 히드록시알킬에스테르로부터 합성되는 다관능성의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수지, 다가 알코올 및 메타크릴산의 히드록시메타크릴에스테르 등으로부터 합성되는 다관능성의 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아크릴레이트계 관능기를 갖는 폴리에테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알키드 수지, 스피로아세탈 수지, 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티올폴리엔 수지 등도 필요에 따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멜라민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알키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도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아세토페논, 벤조페논, 크산톤, 3-메틸아세토페논, 4-클로로벤조페논, 4,4'-디메톡시벤조페논, 벤조인프로필에테르, 벤질디메틸케탈, N,N,N',N'-테트라메틸-4,4'-디아미노벤조페논, 1-(4-이소프로필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밖에 티오크산톤계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는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 상기 수지로서 시판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미립자로는, 예를 들어 무기 미립자와 유기 미립자가 있다. 상기 무기 미립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산화규소 미립자, 산화티탄 미립자, 산화알루미늄 미립자, 산화아연 미립자, 산화주석 미립자, 탄산칼슘 미립자, 황산바륨 미립자, 탤크 미립자, 카올린 미립자, 황산칼슘 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또, 유기 미립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분말 (PMMA 미립자), 실리콘 수지 분말, 폴리스티렌 수지 분말,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분말, 아크릴스티렌 수지 분말, 벤조구아나민 수지 분말, 멜라민 수지 분말, 폴리올레핀 수지 분말, 폴리에스테르 수지 분말, 폴리아미드 수지 분말, 폴리이미드 수지 분말, 폴리불화에틸렌 수지 분말 등을 들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폴리스티렌 공중합체 미립자를 들 수 있다. 이들 무기 미립자 및 유기 미립자는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미립자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비드상의 대략 구형이어도 되고, 분말 등의 부정형의 것이어도 된다. 상기 미립자의 중량 평균 입경은, 예를 들어 1 ∼ 10㎛ 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3 ∼ 8㎛ 의 범위이다. 상기 미립자로는 대략 구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애스펙트비가 1.5 이하인 대략 구형의 미립자이다.
상기 미립자의 배합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미립자의 배합 비율은, 상기 시인성 수지층 형성 재료 100 중량부에 대해, 예를 들어 2 ∼ 40 중량부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4 ∼ 20 중량부의 범위 이다.
상기 미립자와 상기 시인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수지의 계면에 발생하는 광 산란이나 간섭 무늬를 방지하거나 하는 관점에서, 상기 미립자와 상기 수지의 굴절률차를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섭 무늬는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에 입광된 외광의 반사광이 무지개색의 색상을 나타내는 현상이다. 최근, 오피스 등에서는 명료성이 우수한 삼파장 형광등이 다용되고 있으며, 삼파장 형광등 아래에서는 간섭 무늬가 현저하게 나타난다. 상기 시인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수지의 굴절률은 1.4 ∼ 1.6 의 범위가 일반적이기 때문에, 이 굴절률의 범위에 가까운 굴절률의 미립자가 바람직하다. 상기 미립자와 상기 시인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수지의 굴절률의 차는 0.0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굴절률과 상기 시인성 수지층의 굴절률의 차를 d 로 한 경우, 상기 d 는 0.0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 가 0.06 이하이면, 간섭 무늬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d 는 0.04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시인성 수지층이 하드코트층을 겸하고 있는 경우에는, 두께는, 예를 들어 0.5 ∼ 30㎛ 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3 ∼ 25㎛ 의 범위이다. 상기 시인성 수지층이 30㎛ 보다 두꺼워지면, 필름이 컬하기 쉬워져 실용상 문제가 있으며, 0.5㎛ 보다 얇아지면 하드코트층으로서의 강도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시인성 향상 필름은, 예를 들어 상기 성분을 함유하는 수지, 상기 미립자 및 용매를 함유하는 시인성 수지층 형성 재료를 준비하고, 상기 시인성 수 지층 형성 재료를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도공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상기 도막을 경화시켜 상기 시인성 수지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디부틸에테르, 디메톡시메탄, 디메톡시에탄, 디에톡시에탄, 프로필렌옥사이드, 1,4-디옥산, 1,3-디옥소란, 1,3,5-트리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MEK), 디에틸케톤, 디프로필케톤, 디이소부틸케톤,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메틸시클로헥사논, 포름산에틸, 포름산프로필, 포름산n-펜틸,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프로피온산메틸, 프로피온산에틸, 아세트산n-펜틸, 아세틸아세톤, 디아세톤알코올, 아세토아세트산메틸, 아세토아세트산에틸,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1-부탄올, 2-부탄올, 1-펜탄올, 2-메틸-2-부탄올, 시클로헥산올, 아세트산이소부틸, 메틸이소부틸케톤 (MIBK), 2-옥타논, 2-펜타논, 2-헥사논, 2-헵타논, 3-헵타논,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시인성 수지층 형성 재료에는 각종 레벨링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레벨링제로는, 예를 들어 불소계 또는 실리콘계 레벨링제를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계 레벨링제이다. 상기 실리콘계 레벨링제로는, 예를 들어 반 응성 실리콘,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메틸알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실리콘계 레벨링제 중에서 상기 반응성 실리콘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성 실리콘을 첨가함으로써, 표면에 슬라이딩성이 부여되어, 내찰상성이 장기간에 걸쳐 지속하게 된다. 또, 상기 반응성 실리콘으로서 히드록실기를 갖는 것을 사용하면, 후술하는 반사 제어층 (저굴절률층) 으로서 실록산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상기 시인성 수지층 상에 형성한 경우, 상기 반사 제어층과 상기 시인성 수지층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상기 레벨링제의 배합량은, 상기 수지 성분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예를 들어 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 ∼ 5 중량부의 범위이다.
상기 시인성 수지층 형성 재료에는 필요에 따라 성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안료, 충전제, 분산제,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계면 활성제, 산화 방지제, 틱소트로피화제 등이 첨가되어도 된다. 이들 첨가제는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 2 종류 이상 병용해도 된다.
상기 시인성 수지층 형성 재료를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 상에 도공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파운틴 코팅법, 다이 코팅법, 스핀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롤 코팅법, 바 코팅법 등의 도공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시인성 수지층 형성 재료를 도공하여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 상에 도막을 형성하고, 상기 도막을 경화시킨다. 상기 경화에 앞서, 상기 도막을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는, 예를 들어 자연 건조이어도 되고, 바람을 내뿜는 풍건이어도 되고, 가열 건조이어도 되며, 이들을 조합한 방법이어도 된다.
상기 도막의 경화 수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자외선 경화 또는 전리 방사선 경화가 바람직하다. 그 수단에는 각종 활성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는데, 자외선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에너지선원으로는, 예를 들어 고압 수은 램프, 할로겐 램프, 크세논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질소 레이저, 전자선 가속 장치, 방사성 원소 등의 선원이 바람직하다. 에너지선원의 조사량은, 자외선 파장 365㎚ 에서의 적산 노광량으로서 50 ∼ 5000mJ/㎠ 가 바람직하다. 조사량이 50mJ/㎠ 이상이면 경화가 보다 충분해져, 형성되는 시인성 수지층의 경도도 보다 충분한 것이 된다. 또, 5000mJ/㎠ 이하이면, 형성되는 시인성 수지층의 착색을 방지할 수 있어, 투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상기 시인성 수지층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은, 전술한 방법 이외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에 있어서, 상기 헤이즈값 (H) 및 상기 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 는 상기의 관계를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헤이즈값 (H) 및 상기 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 는, 예를 들어 상기 시인성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 상기 시인성 수지층의 두께, 상기 미립자의 종류, 상기 미립자의 중량 평균 입경 등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당업자가 과도한 시행 착오를 하지 않고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에서는, 상기 시인성 수지층이 하드코트층을 겸하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은 하드코트 필름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하드코트층을 형성하는 하드코트 수지로서, 시판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에 있어서, 상기 시인성 수지층 상에 반사 제어층을 배치해도 된다. 상기 반사 제어층을 형성함으로써, 프레젠테이션 환경에 따른 최적의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반사 제어층은 시인성 수지층 상에 단층의 광학 박막 (반사 제어층) 을 형성함으로써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의 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층 반사 방지층의 형성에는, 예를 들어 웨트 방식인 파운틴 코팅, 다이 코팅, 스핀 코팅, 스프레이 코팅, 그라비아 코팅, 롤 코팅, 바 코팅 등의 도공법이 채용된다.
반사 제어층의 형성 재료는, 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수지 등의 수지계 재료, 수지 중에 콜로이달 실리카 등의 무기 미립자를 분산시킨 하이브리드계 재료, 테트라에톡시실란, 티탄테트라에톡시드 등의 금속 알콕시드를 사용한 졸-겔계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형성 재료에 있어서, 표면의 방오염성을 부여하기 위해 불소기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명실 (明室) 에서의 프레젠테이션에서 적색 레이저 포인터를 사용하는 경우,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의 하나로 공기와 시인성 수지층의 계면에서의 광의 반사를 들 수 있다. 따라서, 명실 환경에서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반사 제어층은 레이저 포인터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광 주변 파장 이외의 파장의 표면 반사를 저감시키는 저굴절률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시인성 수지층과 상기 저굴절률층의 굴절률차가 0.1 이상이고, 저굴절률층의 굴절률 × 저굴절률층의 막두께로 정의되는 저굴절률층의 광학 막두께가 60 ∼ 110㎚ 의 범위이면, 레이저광 주변 파장 이외의 파장의 표면 반사를 저감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저굴절률층의 형성 재료에는 중공이고 구상인 산화규소 초미립자가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규소 초미립자는, 평균 입자경이 5 ∼ 3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200㎚ 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규소 초미립자는, 예를 들어 세공을 갖는 외각 (外殼) 의 내부에 공동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 구상이며, 그 공동 내에 상기 산화규소 초미립자의 조제시의 용매 및 기체의 적어도 일방을 포함한 것이다. 또, 상기 산화규소 초미립자의 상기 공동을 형성하기 위한 전구체 물질이 상기 공동 내에 잔존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각의 두께는 1 ∼ 50㎚ 정도의 범위이고, 또한 상기 산화규소 초미립자의 평균 입자경의 1/50 ∼ 1/5 정도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각은 복수의 피복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산화규소 초미립자에 있어서, 상기 세공이 폐색되고, 상기 공동이 상기 외각에 의해 밀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저굴절률층 중에 있어서, 상기 산화규소 초미립자의 다공질 또는 공동이 유지되어 있어, 상기 저굴절률층의 굴절률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중공이고 구상인 산화규소 초미립자의 제 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33611호에 개시된 실리카계 미립자의 제조 방법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한편, 암실에서의 프레젠테이션에서 적색 레이저 포인터를 사용하는 경우, 외광에 의한 표면 반사의 영향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반사 제어층은 레이저 포인터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광 주변 파장의 반사 강도를 높이는 고굴절률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시인성 수지층과 상기 고굴절률층의 굴절률차가 0.1 이상이고, 고굴절률층의 굴절률 × 고굴절률층의 막두께로 정의되는 고굴절률층의 광학 막두께가 150 ∼ 240㎚ 의 범위이면, 레이저광 주변 파장의 반사 강도를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고굴절률층의 형성 재료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나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고굴절률층의 굴절률은 고굴절률의 초미립자를 첨가하여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굴절률의 초미립자로는, 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PMMA),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멜라민 수지 등의 각종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가교 또는 미가교의 유기 초미립자, 산화알루미늄, 산화칼슘,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산화아연 등의 무기 초미립자, 산화주석, 산화인듐, 산화카드뮴, 산화안티몬, 또는 이들의 복합물 등의 도전성 무기 초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반사 제어층에 각종 활성 에너지 경화성의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반사 제어층의 형성 재료를 상기 시인성 수지층 상에 도공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상기 도막을 경화시킨다. 상기 도막의 경화 수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자외선 경화 또는 전리 방사선 경화가 바람직하다. 그 수단에는 각종 활성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는데, 자외선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에너지선원으로는, 예를 들어 고압 수은 램프, 할로겐 램프, 크세논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질소 레이저, 전자선 가속 장치, 방사성 원소 등의 선원이 바람직하다. 에너지선원의 조사량은, 자외선 파장 365㎚ 에서의 적산 노광량으로서 50 ∼ 5000mJ/㎠ 가 바람직하다. 조사량이 50mJ/㎠ 이상이면, 경화가 보다 충분해져, 형성되는 시인성 수지층의 경도도 보다 충분한 것이 된다. 또, 5000mJ/㎠ 이하이면, 형성되는 시인성 수지층의 착색을 방지할 수 있어, 투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경화에 앞서, 상기 도막을 건조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는, 예를 들어 자연 건조이어도 되고, 바람을 내뿜는 풍건이어도 되고, 가열 건조이어도 되며, 이들을 조합한 방법이어도 된다.
상기 반사 제어층에 열경화성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반사 제어층을 형성할 때의 건조 및 경화의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60 ∼ 150℃ 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70 ∼ 130℃ 의 범위이다. 또, 상기 건조 및 경화 후, 다시 가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반사 제어층을 갖는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이 얻어진다. 상기 가열 처리의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40 ∼ 130℃ 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50 ∼ 100℃ 의 범위이다. 상기 가열 처리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가열 처리는 핫플레이트, 오븐, 벨트노(爐) 를 사용한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반사 제어층을 갖는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화상 표시 장치에 장 착하는 경우, 상기 반사 제어층이 최외층이 되는 빈도가 높기 때문에, 외부 환경으로부터 오염되기 쉽다. 반사 제어층은 단순한 투명판 등에 비하여 오염이 눈에 띄기 쉬워, 예를 들어, 지문, 손때, 땀이나 정발료 등의 오염물의 부착에 의해 표면 반사율이 변화되거나, 부착물이 하얗게 떠올라 보여 표시 내용이 선명해지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오염물의 부착 방지 및 부착된 오염물의 제거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불소기 함유의 실란계 화합물 또는 불소기 함유의 유기 화합물 등으로 형성되는 오염 방지층을 상기 반사 제어층 상에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에 있어서,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 및 상기 시인성 수지층의 적어도 일방에 대해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 표면을 표면 처리하면, 상기 시인성 수지층 또는 편광자 또는 편광판과의 밀착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 상기 시인성 수지층 표면을 표면 처리하면, 상기 반사 제어층 또는 편광자 또는 편광판과의 밀착성이 더욱 향상된다. 상기 표면 처리로는, 예를 들어 저압 플라즈마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코로나 처리, 화염 처리, 산 또는 알칼리 처리를 들 수 있다.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로서, TAC 필름을 사용한 경우의 표면 처리로는 알칼리 처리가 바람직하다. 이 알칼리 처리는, 예를 들어 TAC 필름 표면을 알칼리 용액에 접촉시킨 후, 수세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용액으로는, 예를 들어 수산화칼륨 용액,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용액의 수산화물 이온의 규정 농도는 0.1 ∼ 3.0N (mol/ℓ)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2.0N (mol/ℓ) 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은 통상적으로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측을 점착제나 접착제를 통하여 액정 표시 장치 (LCD) 나 일렉트로루미네선스 디스플레이 (ELD) 에 사용되고 있는 광학 부재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부착시에,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 표면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은 각종의 표면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상기 광학 부재로는, 예를 들어 편광자 또는 편광판을 들 수 있다. 편광판은 편광자의 편측 또는 양측에 투명 보호 필름을 갖는다고 하는 구성이 일반적이다. 편광자의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표리의 투명 보호 필름은 동일한 재료이어도 되고, 상이한 재료이어도 된다. 편광판은 통상적으로 액정 셀의 양측에 배치된다. 또, 편광판은, 2 장의 편광판의 흡수축이 서로 거의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적층한 광학 부재 에 대하여, 편광판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접착제나 점착제 등을 사용하여 편광자 또는 편광판과 적층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능을 가진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편광자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 등의 이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1 축 연신한 것,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과 요오드 등의 이색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편광자가 편광 이색비가 높아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데, 예를 들어 5 ∼ 80㎛ 정도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여 1 축 연신한 편광자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의 수용액에 침지시킴으로써 염색하고, 원래 길이의 3 ∼ 7 배로 연신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요오드의 수용액은 필요에 따라 붕산이나 황산아연, 염화아연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 별도로 붕산이나 황산아연, 염화아연 등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침지시켜도 된다. 또, 필요에 따라, 염색 전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물에 침지시켜 수세해도 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수세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으며, 이 밖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팽윤시킴으로써 염색 얼룩 등의 불균일을 방지한다는 효과도 있다. 연신은 요오드로 염색한 후에 실시해도 되고, 염색하면서 연신해도 되며, 또 연신하고 나서 요오드로 염색해도 된다. 붕산이나 요오드화칼륨 등의 수용액 중이나 수욕 중에서도 연신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투명 보호 필름으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 차폐성, 위상차값의 안정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예를 들어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또, 투명 보호 필름으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43529호 (WO01/37007) 에 기재된 고분자 필름을 들 수 있다. 상기 공보에 기재된 고분자 필름은, 예를 들어, (A) 측쇄에 치환 이미드기 및 비치환 이미드기 중 적어도 일방의 이미드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B) 측쇄에 치환 페닐기 및 비치환 페닐기 중 적어도 일방의 페닐기 및 니트릴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고분자 필름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고분자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이소부틸렌과 N-메틸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교호 공중합체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고분자 필름을 들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필름은, 상기 수지 조성물을 필름상으로 압출 성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필름은 위상차가 작고, 광탄성 계수가 작기 때문에, 편광판 등의 보호 필름에 적용한 경우에는, 변형에 의한 불균일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또 투습도가 작기 때문에, 가습 내구성이 우수하다.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은 편광 특성이나 내구성 등의 면에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제 필름 및 노르보르넨계 수지제 필름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의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어, 상품명 「후지택」(후지 사진필름사 제조), 상품명 「제오노아」(닛폰 제온사 제조), 상품명 「아톤」(JSR 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강도, 취급성 등의 작업성, 박층성 등의 면에서, 예를 들어 1 ∼ 500㎛ 의 범위이다. 상기의 범위이면, 편광자를 기계적으로 보호하여, 고온 고습 하에 노출되어도 편광자가 수축되지 않아, 안정적인 광학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의 두께 는, 바람직하게는 5 ∼ 200㎛ 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150㎛ 의 범위이다.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적층한 편광판의 구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 상에 투명 보호 필름, 편광자 및 투명 보호 필름을 이 순서로 적층한 구성이면 되며,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 상에 편광자, 투명 보호 필름을 이 순서로 적층한 구성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편광판 등의 각종 광학 부재는, CRT, 액정 표시 장치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PDP) 및 일렉트로루미네선스 디스플레이 (ELD) 등의 각종 화상 표시 장치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종래의 화상 표시 장치와 동일한 구성이다. 예를 들어, 화상 표시 장치가 LCD 인 경우, 액정 셀, 편광판 등의 광학 부재, 및 필요에 따라 조명 시스템 (백라이트 등) 등의 각 구성 부품을 적절히 조립하고, 구동 회로를 삽입하거나 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 상기 액정 셀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TN 형, STN 형, π 형 등의 여러 가지 타입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액정 셀의 편측 또는 양측에 상기 광학 부재를 배치한 액정 표시 장치나, 조명 시스템으로 백라이트 또는 반사판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광학 부재는 액정 셀의 편측 또는 양측에 배치 할 수 있다. 액정 셀의 양측에 광학 부재를 배치하는 경우, 이들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에는, 예를 들어 확산판, 보호판, 프리즘 어레이, 렌즈 어레이 시트, 광 확산판, 백라이트 등의 각종의 광학 부재 및 광학 부품을 배치해도 된다.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터 표시 방법은, 상기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레이저 포인터의 레이저광을 직접 투사하여 포인트 표시를 행하는 것이다. 상기 레이저 포인터 표시 방법에 있어서는,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밝기) 에 따른 종류의 반사 제어층을 갖는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명실 환경 하에서는 상기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구성하는 시인성 수지층보다 굴절률이 낮은 반사 제어층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암실 환경 하에서는 상기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구성하는 시인성 수지층보다 굴절률이 높은 반사 제어층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에 맞춰 상기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장착해도 된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비교예와 함께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전혀 한정 내지 제한되지 않는다. 또,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 있어서의 물성값의 측정 및 평가는, 하기의 방법에 의해 실시하였다.
(헤이즈값 (H))
헤이즈값 (H) 의 측정 방법은 JIS K 7136 (2000 년판) 의 헤이즈 (흐림도) 에 준하고, 헤이즈미터 HR300 (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사 제조) 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의 시인성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에, MATSUNAMI 사 제조의 유리판 (두께 1.3㎜) 을 점착제로 부착시키고, 고정밀도 미세 형상 측정기 (상품명;서프코더 ET4000, (주) 고사카 연구소 제조) 를 사용하여 상기 시인성 수지층의 표면 형상을 측정하여, 상기 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 를 구하였다. 또한, 상기 고정밀도 미세 형상 측정기는 상기 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 를 자동 산출한다. 상기 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 는 JIS B 0601 (1994 년판) 에 기초하는 것이다.
(시인성 수지층의 두께)
상기 시인성 수지층의 두께는 미츠토요 제조의 마이크로 게이지식 두께계로 측정하였다.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에 시인성 수지층을 형성한 코트 필름의 두께를 측정하고, 상기 기재의 두께를 뺌으로써 시인성 수지층의 막두께를 산출하였다.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 및 시인성 수지층의 굴절률)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 및 시인성 수지층의 굴절률은 아베 굴절률계 (아타고사 제조, 상품명 : DR-M4/1550) 를 사용하고, 중간파에 모노브로모나프탈렌을 사용하고,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 및 상기 수지층의 측정면에 대해 측정광을 입사시키도록 하여, 상기 장치에 규정된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반사 제어층의 막두께)
반사 제어층의 막두께는 오오츠카 전자 (주) 제조의 순간 멀티 측광 시스템인 MCPD2000 (상품명) 을 사용하여, 간섭 스펙트럼의 파형으로부터 산출하였다.
(미립자의 굴절률)
미립자를 슬라이드 유리 상에 올리고, 굴절률 표준액을 미립자 상에 적하하고, 커버 유리를 씌워 시료를 제조한다. 그 시료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미립자의 윤곽이 굴절률 표준액과의 계면에서 가장 잘 안 보이는 굴절률 표준액의 굴절률을 미립자의 굴절률로 하였다.
(시인성 평가 1 : 실시예 1 ∼ 8, 비교예 1 ∼ 14)
(1)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시인성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에 흑색 아크릴판 (두께 2.0㎜, 미츠비시 레이욘사 제조) 을 두께 약 20㎛ 의 점착제에 의해 부착시켜, 이면의 광반사를 없앤 샘플을 제조하였다.
(2) 시그마 코키 제조의 고니오포토미터를 사용하고, 30 도 입사각으로 650㎚ 의 파장의 반도체 레이저 (적색 레이저 포인터 상정) 및 532㎚ 의 파장의 YAG 레이저 (녹색 레이저 포인터 상정) 를 입사시켜, 정면 방향의 반사 강도를 측정하였다. 후술하는 참고예에서 제조한 클리어 하드코트층 부착 필름의 반사 강도를 1 로 했을 때, 다음의 기준에 의해 판정하였다.
판정 기준
AA : 반사 강도비가 5 이상
A : 반사 강도비가 3 이상
B : 반사 강도비가 3 미만
(시인성 평가 2 (명실 환경에서의 평가) : 실시예 9)
300Lx 의 환경 하에서, 적색 레이저 포인터 (플러스 비전 (주) 제조의 레이저 포인터 LP-050 (상품명), 파장 650㎚) 를 30 도 입사로 입사시켜, 정면 방향으로부터 시인성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저굴절률층 도공 후에 시인성이 향상된 것이 관찰되는 경우에는 「G」로 하였다.
(시인성 평가 3 (암실 환경에서의 평가) : 실시예 10)
암실에서 적색 레이저 포인터 (플러스 비전 (주) 제조의 레이저 포인터 LP-050 (상품명), 파장 650㎚) 을 30 도 입사로 입사시켜, 정면 방향으로부터 시인성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고굴절률층 도공 후에 시인성이 향상된 것이 관찰되는 경우에는 「G」로 하였다.
(실시예 1)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로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코니카 미놀타 옵토 (주) 제조, 상품명 「KC4UY」, 두께 40㎛) 을 준비하였다. 또, 시인성 수지층 형성 재료로서, KZ6211 (JSR (주) 제조의 하드코트 수지, 고형분 : 50 중량%, 굴절률 : 1.49) 의 수지 고형분 100 중량부당, 레벨링제 (다이닛폰 잉크 화학 공업 (주) 제조, 상품명 「GRANDIC PC-4131」, 고형분 100% 인 것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시켜 고형분 10 중량% 로 한 것) 의 고형분이 0.5 중량부, 미립자로서 테크 폴리머 XX41AA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주) 제조, 아크릴 비드, 사이즈 : 8㎛, 굴절률 : 1.505) 30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MIBK 에 의해 고형분 농도가 45 중량% 가 되도록 희석시키고, 초음파 세정기를 사용하여 5 분간 교반을 실시한 것을 준비하였다.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편면에, 상기 시인성 수지층 형성 재료를 와이어 바로 도공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이 때, 시인성 수지층의 두께가 10㎛ 가 되도록 상기 도막의 두께를 조정하였다. 이어서, 60℃ 에서 1 분간 가열함으로써 상기 도막을 건조시켰다. 그 후, 고압 수은 램프로 적산 광량이 300mJ/㎠ 인 자외선을 조사하고, 경화 처리하여 두께 10㎛ 인 시인성 수지층을 형성하여, 본 실시예에 관련된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미립자로서 테크 폴리머 XX91AA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주) 제조, 아크릴 비드, 사이즈 : 3㎛, 굴절률 : 1.545) 15 중량부를 사용하고, 희석을 아세트산에틸에 의해 고형분 농도가 40 중량% 가 되도록 조정을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시인성 수지층 형성 재료를 준비하였다. 실시예 1 과 동일한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편면에, 상기 시인성 수지층 형성 재료를 와이어 바로 도공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이 때, 시인성 수지층의 두께가 13㎛ 가 되도록 상기 도막의 두께를 조정하였다. 이어서, 100℃ 에서 1 분간 가열함으로써 상기 도막을 건조시켰다. 그 후, 고압 수은 램프로 적산 광량이 300mJ/㎠ 인 자외선을 조사하고, 경화 처리하여 두께 13㎛ 인 시인성 수지층을 형성하여, 본 실시예에 관련된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미립자로서 테크 폴리머 XX43AA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주) 제조, 아크릴 비드, 사이즈 : 8㎛, 굴절률 : 1.525) 10 중량부를 사용하고, 희석을 MEK 에 의해 고형분 농도가 40 중량% 가 되도록 조정을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시인성 수지층 형성 재료를 준비하였다. 실시예 1 과 동일한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편면에, 상기 시인성 수지층 형성 재료를 와이어 바로 도공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이 때, 시인성 수지층의 두께가 13㎛ 가 되도록 상기 도막의 두께를 조정하였다. 이어서, 60℃ 에서 1 분간 가열함으로써 상기 도막을 건조시켰다. 그 후, 고압 수은 램프로 적산 광량이 300mJ/㎠ 인 자외선을 조사하고, 경화 처리하여 두께 13㎛ 인 시인성 수지층을 형성하여, 본 실시예에 관련된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로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후지 필름 (주) 제조, 상품명 「TD80UL」, 두께 80㎛, 굴절률 1.48) 을 준비하였다. 또, 시인성 수지층 형성 재료로서, 유니디크 17-806 (다이닛폰 잉크 화학 공업 (주) 제조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 고형분 : 80 중량%, 굴절률 : 1.53) 의 수지 고형분 100 중량부당, 레벨링제 (다이닛폰 잉크 화학 공업 (주) 제조, 상품명 「메가팩 F470」) 0.5 중량부, IRGACURE 184 (치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조의 광중합 개시제) 5 중량부, 미립자로서 케미스노 SX350 (소켄 화학 (주) 제조, 폴리스티렌 입자, 사이즈 : 3.5㎛, 굴절률 : 1.59) 14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톨루엔에 의해 고형분 농도가 45 중량% 가 되도록 희석시킨 것을 준비하였다.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편면에, 상기 시인성 수지층 형성 재료를 바 코터로 도공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이 때, 시인성 수지층의 두께가 5㎛ 가 되도록 상기 도막의 두께를 조정하였다. 이어서, 100℃ 에서 3 분간 가열함으로써 상기 도막을 건조시켰다. 그 후, 메탈 할라이드 램프로 적산 광량이 300mJ/㎠ 인 자외선을 조사하고, 경화 처리하여 두께 5㎛ 인 시인성 수지층을 형성하여, 본 실시예에 관련된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제조하였다. 시인성 수지층의 굴절률은 1.53 이었다.
(실시예 5)
미립자로서 테크 폴리머 XX42AA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주) 제조, 아크릴 비드, 사이즈 : 8㎛, 굴절률 : 1.515) 10 중량부를 사용하고, 희석에 의한 고형분 농도가 50 중량% 가 되도록 조정을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시인성 수지층 형성 재료를 준비하였다. 실시예 1 과 동일한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편면에, 상기 시인성 수지층 형성 재료를 와이어 바로 도공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이 때, 시인성 수지층의 두께가 13㎛ 가 되도록 상기 도막의 두께를 조정하였다. 이어서, 80℃ 에서 1 분간 가열함으로써 상기 도막을 건조시켰다. 그 후, 고압 수은 램프로 적산 광량이 300mJ/㎠ 인 자외선을 조사하고, 경화 처리하여 두께 13㎛ 인 시인성 수지층을 형성하여, 본 실시예에 관련된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희석을 톨루엔에 의해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마찬가지로 시인성 수지층 형성 재료를 준비하였다. 실시예 1 과 동일한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편면에, 상기 시인성 수지층 형성 재료를 와이어 바로 도공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이 때, 시인성 수지층의 두께가 13㎛ 가 되도록 상기 도막의 두께를 조정하였다. 이어서, 60℃ 에서 1 분간 가열함으로써 상기 도막을 건조시켰다. 그 후, 고압 수은 램프로 적산 광량이 300mJ/㎠ 인 자외선을 조사하고, 경화 처리하여 두께 13㎛ 인 시인성 수지층을 형성하여, 본 실시예에 관련된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시인성 수지층의 두께를 16㎛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본 실시예에 관련된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시인성 수지층의 두께를 10㎛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본 실시예에 관련된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4 의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제조하고, 추가로 상기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의 시인성 수지층 상에 저굴절률층인 반사 제어층을 형성하였다. 반사 제어층의 형성은, 다음과 같이 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반사 제어층의 형성 재료로서, 저굴절률 수지 (TU2217, JSR (주) 제조, 고형분 : 2 중량%, 굴절률 : 1.37) 를 준비하였다. 이 반사 제어층 형성 재료를 시인성 수지층 상에 와이어 바를 사용하여 도공하고, 80℃ 에서 1 분 간 가열함으로써 도막을 건조시켰다. 그 후, 고압 수은 램프로 적산 광량이 300mJ/㎠ 인 자외선을 조사하고, 경화 처리하여 두께 50㎚ 인 반사 제어층 (굴절률 1.37) 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4 의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제조하고, 추가로 상기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의 시인성 수지층 상에 고굴절률층인 반사 제어층을 형성하였다. 반사 제어층의 형성은, 다음과 같이 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반사 제어층의 형성 재료로서, 고굴절률 수지 (KZ6662, JSR (주) 제조, 고형분 : 49 중량%, 굴절률 : 1.75) 를 MIBK 에 의해 고형분 2 중량% 로 희석시켜 준비하였다. 이 반사 제어층 형성 재료를 시인성 수지층 상에 와이어 바를 사용하여 도공하고, 80℃ 에서 2 분간 가열함으로써 도막을 건조시켰다. 그 후, 고압 수은 램프로 적산 광량이 300mJ/㎠ 인 자외선을 조사하고, 경화 처리하여 두께 120㎚ 인 반사 제어층 (굴절률 1.75) 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1)
테크 폴리머 XX42AA 를 5 중량부로 변경하고, 시인성 수지층의 두께를 10㎛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한 방법으로 본 비교예에 관련된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미립자로서 테크 폴리머 XX83AA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주) 제조, 아크릴 비드, 사이즈 : 5㎛, 굴절률 : 1.525) 5 중량부를 사용하고, 희석을 아세트산에틸 에 의해 고형분 농도가 50 중량% 가 되도록 조정을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시인성 수지층 형성 재료를 준비하였다. 도막의 건조를 100℃ 에서 실시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본 비교예에 관련된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미립자로서 테크 폴리머 XX54AA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주) 제조, 아크릴 비드, 사이즈 : 8㎛, 굴절률 : 1.496) 10 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한 방법으로 본 비교예에 관련된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미립자로서 테크 폴리머 XX15AA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주) 제조, 아크릴 비드, 사이즈 : 3㎛, 굴절률 : 1.515) 10 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 과 동일한 방법으로 본 비교예에 관련된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미립자로서 테크 폴리머 XX45AA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주) 제조, 아크릴 비드, 사이즈 : 5㎛, 굴절률 : 1.496) 5 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 과 동일한 방법으로 본 비교예에 관련된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미립자로서 테크 폴리머 XX80AA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주) 제조, 아크릴 비드, 사이즈 : 5㎛, 굴절률 : 1.515) 10 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한 방법으로 본 비교예에 관련된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미립자로서 테크 폴리머 XX45AA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주) 제조, 아크릴 비드, 사이즈 : 5㎛, 굴절률 : 1.496) 10 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한 방법으로 본 비교예에 관련된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8)
미립자로서 테크 폴리머 XX90AA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주) 제조, 아크릴 비드, 사이즈 : 3㎛, 굴절률 : 1.535) 10 중량부를 사용하고, 희석을 아세트산에틸에 의해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 와 마찬가지로 시인성 수지층 형성 재료를 준비하였다. 도막의 건조를 60℃ 에서 실시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 과 동일한 방법으로 본 비교예에 관련된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9)
미립자로서 테크 폴리머 XX92AA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주) 제조, 아크릴 비드, 사이즈 : 5㎛, 굴절률 : 1.545) 5 중량부를 사용하고, 희석을 톨루엔에 의해 고형분 농도가 45 중량% 가 되도록 조정을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 와 마찬가지로 시인성 수지층 형성 재료를 준비하였다. 도막의 건조를 60℃ 에서 실시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 과 동일한 방법으로 본 비교예에 관련된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0)
미립자로서 테크 폴리머 XX79AA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주) 제조, 아크릴 비드, 사이즈 : 5㎛, 굴절률 : 1.505) 10 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 과 동일한 방법으로 본 비교예에 관련된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1)
미립자로서 테크 폴리머 XX89AA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주) 제조, 아크릴 비드, 사이즈 : 3㎛, 굴절률 : 1.525) 15 중량부를 사용하고, 희석을 고형분 농도가 45 중량% 가 되도록 조정을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 과 동일한 방법으로 본 비교예에 관련된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2)
미립자로서 테크 폴리머 XX15AA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주) 제조, 아크릴 비드, 사이즈 : 3㎛, 굴절률 : 1.515) 5 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 과 동일한 방법으로 본 비교예에 관련된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3)
미립자로서 테크 폴리머 XX80AA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주) 제조, 아크릴 비드, 사이즈 : 5㎛, 굴절률 : 1.515) 5 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 과 동일한 방법으로 본 비교예에 관련된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4)
미립자로서 테크 폴리머 XX28AA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 (주) 제조, 아크릴 비드, 사이즈 : 3㎛, 굴절률 : 1.496) 5 중량부를 사용하고, 희석에 의한 고형분 농도가 40 중량% 가 되도록 조정을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본 비교예에 관련된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제조하였다.
(참고예)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로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코니카 미놀타 옵토 (주) 제조, 상품명 「KC4UY」, 두께 40㎛) 을 준비하였다. 또, 클리어 하드코트층 형성 재료로서, 유니디크 17-806 (다이닛폰 잉크 화학 공업 (주) 제조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 고형분 : 80 중량%, 굴절률 : 1.53) 의 수지 고형분 100 중량부당, 레벨링제 (다이닛폰 잉크 화학 공업 (주) 제조, 상품명 「GRANDIC PC-4131」, 고형분 100% 인 것을 아세트산에틸로 희석시켜 고형분 10 중량% 로 한 것) 의 고형분이 0.5 중량부, IRGACURE 184 (치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조의 광중합 개시제) 5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톨루엔에 의해 고형분 농도가 50 중량% 가 되도록 희석시키고, 초음파 세정기를 사용하여 5 분간 교반한 것을 준비하였다.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편면에 상기 클리어 하드코트층 형성 재료를 바 코터로 도공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이 때, 클리어 하드코트층의 두께가 10㎛ 가 되도록 상기 도막의 두께를 조정하였다. 이어서, 100℃ 에서 3 분 간 가열함으로써 상기 도막을 건조시켰다. 그 후, 메탈 할라이드 램프로 적산 광량이 300mJ/㎠ 인 자외선을 조사하고, 경화 처리하여 두께 10㎛ 인 클리어 하드코트층을 형성하여, 본 참고예에 관련된 클리어 하드코트층 부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클리어 하드코트층의 굴절률은 1.53 이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에 대하여 각종 특성의 측정 또는 평가를 실시하였다. 하기 표 1 에 실시예 1 ∼ 8 및 비교예 1 ∼ 14 의 각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의 각종 특성의 측정 및 상기 시인성 평가 1 의 결과를 나타낸다. 또,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의 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 를 X 축, 헤이즈값 (H) 을 Y 축으로 한 XY 평면에, 식 (1) 의 기준식을 비스듬한 실선으로 나타낸 후, 이것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의 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 와 헤이즈값 (H) 의 값을 플롯한 것을 도 1 및 도 2 에 나타냈다.
Figure 112009014434256-PAT00001
상기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 (1)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본 실시예의 모든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은, 적색 및 녹색의 레이저 포인터를 상정한 쌍방의 파장에 있어서, 경사 방향으로부터의 광 조사에 대해서도 정면 방향의 반사 강도를 충분히 얻을 수 있어, 시인성이 우수하였다. 이에 대해, 비교예인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은, 적색 및 녹색 모두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이 불충분하였다.
실시예 9 에서 얻어진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에 대하여 상기 시인성 평가 2 를, 실시예 10 에서 얻어진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에 대하여 상기 시인성 평가 3 을 실시한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굴절률 반사 제어층 시인성 평가
시인성 수지층 반사 제어층 차 (절대값) 막두께 (㎚) 광학 막두께 (㎚) 평가 2 평가 3
실시예 9 1.53 1.37 0.16 50 68.5 G -
실시예 10 1.53 1.75 0.22 120 210.0 - G
상기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9 에서 얻어진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은, 실시예 4 에서 얻어진 것에 비하여 명실에서의 시인성 향상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10 에서 얻어진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은, 실시예 4 에서 얻어진 것에 비하여 암실에서의 시인성 향상이 관찰되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은 방현성이 우수하고, 또한 당해 화상 표시 장치를 프레젠테이션용 스크린으로서 사용한 경우에도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은, 예를 들어 편광판 등의 광학 소자, CRT, LCD, PDP 및 ELD 등의 각종 화상 표시 장치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용도는 제한되지 않고 넓은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 은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의 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 와 헤이즈값 (H) 의 값을 시인성 평가 1 (650㎚ 레이저 사용시) 의 결과별로 플롯 한 그래프.
도 2 는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의 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 와 헤이즈값 (H) 의 값을 시인성 평가 1 (532㎚ 레이저 사용시) 의 결과별로 플롯한 그래프.

Claims (13)

  1.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에 있어서의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으로서,
    하기 헤이즈값 (H) 과, 상기 필름의 시인측 표면의 하기 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 가, 하기 식 (1)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
    H ≥ -445Ra + 80 (1)
    H : JIS K 7136 (2000 년판) 에 준한 헤이즈값 (흐림도) (%)
    Ra : JIS B 0601 (1994 년판) 에서 규정하는 산술 평균 표면 조도 (㎛)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이즈값 (H) 이 80% 이하, 상기 산술 평균 표면 조도 (Ra) 가 0.5㎛ 이하인,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미립자를 함유하는 시인성 수지층을 갖는 것인,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인성 수지층 상에 반사 제어층이 형성되어 있는,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제어층이 상기 시인성 수지층보다 굴절률이 낮은 저굴절률층인,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인성 수지층과 상기 저굴절률층의 굴절률차가 0.1 이상이고, 하기 식 (2) 로 정의되는 상기 저굴절률층의 광학 막두께가 60 ∼ 110㎚ 의 범위인,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
    광학 막두께 = 저굴절률층의 굴절률 × 저굴절률층의 막두께 (2)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제어층이 상기 시인성 수지층보다 굴절률이 높은 고굴절률층인,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인성 수지층과 상기 고굴절률층의 굴절률차가 0.1 이상이고, 하기 식 (3) 으로 정의되는 상기 고굴절률층의 광학 막두께가 150 ∼ 240㎚ 의 범위인, 레 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
    광학 막두께 = 고굴절률층의 굴절률 × 고굴절률층의 막두께 (3)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인성 수지층이 하드코트층을 겸하고 있는,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
  10. 편광자 및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갖는 편광판으로서,
    상기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이, 제 1 항에 기재된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11.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이, 제 1 항에 기재된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2. 편광판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로서,
    상기 편광판이 제 10 항에 기재된 편광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13. 레이저 포인터에 의해 화상 표시 장치의 임의의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레이 저 포인터 표시 방법으로서,
    제 1 항에 기재된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레이저 포인터를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포인터 표시 방법.
KR1020090020150A 2008-03-11 2009-03-10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레이저 포인터 표시 방법 KR1011075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61735A JP5179229B2 (ja) 2008-03-11 2008-03-11 レーザーポインタ視認性向上フィルム、偏光板、画像表示装置およびレーザーポインタ表示方法
JPJP-P-2008-061735 2008-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807A true KR20090097807A (ko) 2009-09-16
KR101107532B1 KR101107532B1 (ko) 2012-01-31

Family

ID=41062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150A KR101107532B1 (ko) 2008-03-11 2009-03-10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레이저 포인터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231713A1 (ko)
JP (1) JP5179229B2 (ko)
KR (1) KR101107532B1 (ko)
CN (1) CN101533110A (ko)
TW (1) TWI416161B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9886A (ko) * 2013-09-11 2015-03-1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저반사 광학 적층체
WO2015056891A1 (ko) * 2013-10-18 2015-04-23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필름
KR20150109854A (ko) * 2014-03-21 2015-10-0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 루미네선스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 루미네선스 필름
KR20180111345A (ko) * 2017-03-31 2018-10-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066579A1 (ko) * 2017-09-29 2019-04-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38399A (ko) *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62267A (ko) * 2017-11-28 2019-06-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172731A1 (ko) * 2018-03-09 2019-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106812A (ko) * 2018-03-09 2019-09-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EP3702147A4 (en) * 2017-11-28 2020-12-23 LG Chem, Ltd.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DISPLAY BOARD AND DISPLAY DEVICE WITH I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822B1 (ko) * 2009-12-22 2017-03-28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발광 장치용 수지 성형체용 재료
WO2014175550A1 (ko) * 2013-04-25 2014-10-3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포인팅 표시장치
KR20140127717A (ko) * 2013-04-25 2014-11-0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포인팅 표시장치
KR101919163B1 (ko) * 2013-08-30 2018-11-1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필름
KR20150050698A (ko) 2013-10-30 2015-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04678672B (zh) * 2015-03-16 2018-03-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致变色模组、显示面板、显示装置和显示方法
WO2018012433A1 (ja) * 2016-07-13 2018-01-18 Jxtgエネルギー株式会社 視認性向上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積層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KR20180087958A (ko) 2017-01-26 2018-08-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감응성 발광 조성물
KR102121387B1 (ko) 2017-01-26 2020-06-1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감응성 발광 조성물
JP6995427B2 (ja) * 2017-11-28 2022-01-14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視認性改善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JP6876983B2 (ja) * 2018-11-07 2021-05-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樹脂判定方法及び装置
CN110888255A (zh) * 2019-11-19 2020-03-17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KR20200046003A (ko) 2020-04-22 2020-05-0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감응성 발광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6988A (ja) * 1991-04-16 1993-05-14 Nippon Soda Co Ltd ハーフミラー用複合酸化物薄膜
JP2001236181A (ja) * 2000-02-22 2001-08-31 Fuji Electric Co Ltd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JP2002231132A (ja) * 2000-07-24 2002-08-16 Asahi Glass Co Ltd Crt用パネルガラスおよびcrt、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2003138033A (ja) * 2001-11-01 2003-05-14 Mitsubishi Chemicals Corp 半導体結晶粒子を含有する薄膜状成形体、及びその用途
JP2003161816A (ja) 2001-11-29 2003-06-06 Nitto Denko Corp 光拡散性シート、光学素子および表示装置
US20040012565A1 (en) * 2002-07-22 2004-01-22 Eastman Kodak Company Interactive display
JP4361754B2 (ja) * 2003-04-24 2009-11-11 日本製紙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
JP2005153273A (ja) * 2003-11-25 2005-06-16 Nitto Denko Corp 樹脂シート、液晶セル基板、液晶表示装置、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用基板、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および太陽電池用基板
JP5010813B2 (ja) * 2005-06-03 2012-08-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該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該偏光板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US20070042173A1 (en) * 2005-08-22 2007-02-22 Fuji Photo Film Co., Ltd. Antireflection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US7848021B2 (en) * 2006-02-17 2010-12-07 Fujifilm Corporation Optical film, antirefl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07249191A (ja) * 2006-02-17 2007-09-27 Fujifilm Corp 光学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KR100852562B1 (ko) * 2006-03-28 2008-08-1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광학 소자,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US8124215B2 (en) * 2006-03-28 2012-02-28 Nitto Denko Corporation Hard-coated antiglare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optical devic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JP5008059B2 (ja) * 2006-04-26 2012-08-22 日東電工株式会社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偏光板、画像表示装置および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9886A (ko) * 2013-09-11 2015-03-1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저반사 광학 적층체
WO2015056891A1 (ko) * 2013-10-18 2015-04-23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광학 필름
KR20150109854A (ko) * 2014-03-21 2015-10-0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 루미네선스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 루미네선스 필름
KR20180111345A (ko) * 2017-03-31 2018-10-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262479B2 (en) 2017-09-29 2022-03-01 Lg Chem, Ltd.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WO2019066579A1 (ko) * 2017-09-29 2019-04-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38399A (ko) *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62267A (ko) * 2017-11-28 2019-06-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EP3702147A4 (en) * 2017-11-28 2020-12-23 LG Chem, Ltd.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DISPLAY BOARD AND DISPLAY DEVICE WITH IT
US11639449B2 (en) 2017-11-28 2023-05-02 Lg Chem, Ltd.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US11833804B2 (en) 2017-11-28 2023-12-05 Lg Chem, Ltd.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20190106812A (ko) * 2018-03-09 2019-09-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172731A1 (ko) * 2018-03-09 2019-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485875B2 (en) 2018-03-09 2022-11-01 Lg Chem, Ltd.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16161B (zh) 2013-11-21
US20090231713A1 (en) 2009-09-17
JP5179229B2 (ja) 2013-04-10
JP2009217065A (ja) 2009-09-24
KR101107532B1 (ko) 2012-01-31
CN101533110A (zh) 2009-09-16
TW200951482A (en)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7532B1 (ko)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레이저 포인터 표시 방법
US8215780B2 (en) Hard-coated antiglare film, and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including the same
JP5252811B2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220286B2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102296B1 (ko)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및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방현 필름
KR100852561B1 (ko) 하드코팅 필름,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광학 소자 및화상 표시 장치
KR100917949B1 (ko) 방현성 하드 코팅 필름,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방현성하드 코팅 필름의 제조방법
KR100852562B1 (ko)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 방현성 하드코팅 필름의 제조방법,광학 소자,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US20070242362A1 (en) Hard-coated antiglare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optical devic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KR101482288B1 (ko) 방현성 하드 코트 필름, 그것을 사용한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그리고 방현성 하드 코트 필름의 제조 방법
JP2008151998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9288655A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偏光板、画像表示装置、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評価方法および製造方法
JP2008090263A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素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9288650A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470433B2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偏光板、画像表示装置
JP2013029858A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