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4101A -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 Google Patents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4101A
KR20090094101A KR1020097012950A KR20097012950A KR20090094101A KR 20090094101 A KR20090094101 A KR 20090094101A KR 1020097012950 A KR1020097012950 A KR 1020097012950A KR 20097012950 A KR20097012950 A KR 20097012950A KR 20090094101 A KR20090094101 A KR 20090094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storage box
edge
edge portion
house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2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4544B1 (ko
Inventor
아키라 히라사와
Original Assignee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94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4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5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0Holders; Receptacles for piled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출구에 필름을 설치하지 않고도, 가정용 박엽지(薄葉紙)의 유지성 및 인출성이 양호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납 상자의 인출구의 에지에, 그 인출구의 중심 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에지부와, 제1 에지부의 양단 측으로부터 인출구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에지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그 제1 에지부의 간격을 3mm 이상 17mm 이하로 하고, 제1 에지부를 향해 제2 에지부가 이루는 각도를 165 도 이상 175도 이하로 함으로써, 가정용 박엽지의 인출성 및 유지성의 양쪽을 만족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Description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HOUSEHOLD TISSUE PAPER STORAGE BOX}
본 발명은, 티슈 페이퍼, 키친 페이퍼, 페이퍼 타올 등의 가정용 박엽지(薄葉紙)를 수납하는 상자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박엽지의 하나인 티슈 페이퍼를 수납하는 티슈 페이퍼 수납 상자(이하, 수납 상자라고 함)의 시판품은 종이로 구성되어 있다. 이 수납 상자의 상면에는 티슈 페이퍼를 꺼내기 위한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인출구는, 수납 상자가 사용자의 수중에 건네질 때까지는, 커버부에 의해 덮혀져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그 커버부를 파단용 절취선을 따라 절취하는 것에 의해 인출구가 형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수납 상자에 있어서의 티슈 페이퍼의 인출 구조로서, 크게 나누어, 2종류의 구조가 알려져 있다. 하나는, 인출구의 에지에 아래쪽으로부터 폴리에틸렌 등의 투명한 수지 필름이 미리 접착되고, 이 수지 필름의 중앙에 형성된 슬릿으로부터 티슈 페이퍼를 꺼내는 구조이다. 다른 하나는, 상기 수지 필름이 없이 커버부를 파단용 절취선으로 절취하여 형성된 인출구로부터 티슈 페이퍼를 꺼내는 구조, 이른바 필름을 접착하지 않은 구조이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이 중, 전자의 인출 구조에 의하면, 인출구의 에지에 수지 필름을 미리 접착하므로, 수고와 비용이 커지는 것에 더하여, 티슈 페이퍼를 다 사용한 후에, 쓰레기의 분리 수거를 위해 사용자가 수지 필름과 상자 본체(종이)를 분리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후자의 인출 구조에 의하면 이와 같은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 특허 2004-208765호 공보
도 1은 제1 실시예의 티슈 페이퍼 수납 상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티슈 페이퍼 수납 상자의 사용 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티슈 페이퍼 수납 상자의 사용 시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의 티슈 페이퍼 수납 상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티슈 페이퍼 수납 상자의 사용 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티슈 페이퍼 수납 상자의 사용 시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티슈 페이퍼 수납 상자의 제1 에지부 근방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티슈 페이퍼 수납 상자(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2: 티슈 페이퍼(가정용 박엽지)
3: 파단용 절취선
11: 인출구
11-1, 11-5: 제1 에지부
11-2, 11-4, 11-6, 11-8: 제2 에지부
11-3, 11-7: 제3 에지부
12: 커버부
13a: 날개부
13b: 양쪽 날개부
14: 절취용 선
15: 손가락 구멍
C1: 길이 방향 중심선
C2: 폭 방향 중심선
그러나, 후자의 필름을 접착하지 않은 구조의 수납 상자에 있어서는, 새로운 문제가 생긴다. 즉, 필름을 접착하지 않은 구조의 수납 상자에 있어서는, 인출구의 폭(인출구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치수)이 작으면, 티슈 페이퍼를 인출할 때 인출구의 하드한 에지에 티슈 페이퍼가 강하게 마찰되게 되어, 인출 저항이 커져, 티슈 페이퍼가 찢어지거나 하여 인출성이 좋지 않을 뿐만아니라, 비록 찢어지지 않아도 마찰에 의한 지분(紙紛) 즉 종이가루의 발생으로 이어져 문제가 생긴다.
한편, 티슈 페이퍼의 인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출구의 면적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하면, 티슈 페이퍼의 인출성은 향상되지만, 이번에는 티슈 페이퍼의 유지성이 악화되어 티슈 페이퍼의 수납 상자 내에 빠지기 쉽게 되는 동시에, 인출구로부터 먼지 등이 들어가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행해진 것이며, 가정용 박엽지의 인출성 및 유지성 양쪽을 만족시킬 수 있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는, 교호적으로 절첩되어 적층된 가정용 박엽지가 내부에 수납되고, 상면의 커버부가 파단용 절취선을 따라 절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버부를 절취하여 형성되는 인출구를 통해 내부의 가정용 박엽지를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된 대략 직육면체형이며 상면이 직사각형인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는, 상기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의 상면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인출구의 전체 길이는, 상기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의 길이 방향으로 크고, 또한 그 폭 방향으로 작아지도록 설정되고, 상기 인출구의 에지는, 상기 인출구의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의 중심 측에 위치하여 그 인출구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산형 돌기로 이루어지는 각부(角部)를 가지고, 상기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상면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쌍의 제1 에지부와, 상기 제1 에지부의 양단 측으로부터 상기 인출구의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에지부와, 상기 제2 에지부의 외단 측끼리를 연결하도록 곡선형 에지에 의해 구성되는 제3 에지부가 연결되어, 전 주위에 걸쳐 연속되는 루프형을 이루고, 상기 한쌍의 제1 에지부가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간극 간격으로서 상기 폭 방향의 간격이 3mm 이상 17mm 이하로 되고, 상기 제1 에지부를 협지한 상기 제2 에지부가 그 제1 에지부 측을 향해 이루는 각도가 165도 이상 175도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의 길이 방향 중심선」이란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의미한다. 또한, 「인출구의 전체 길이」란 인출구의 최대 길이를 말한다. 또한, 「산형 돌기로 이루어지는 각부」에 있어서의 「산형 돌기」란, 돌기의 끝이 날카로워져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만 아니고, 돌기의 끝이 부드러운 것도 포함한다. 이로써, 「각부」도 각이 진 선두부(先頭部)인 것을 의미하는 것만 아니고, 부드러운 곡선형을 이루는 선두부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지부는, 복수 개의 산형 돌기에 의해 구성되는 파형(波形)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제2 에지부는, 상기 인출구 내측을 향한 볼록형(凸形) 또는 오목형(凹形)의 곡선형 에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제3 에지부에는, 상기 인출구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단 측으로부터 상기 인출구의 중심 측을 향해 길게 뻗어 대향하는 양쪽 날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의 에지에 형성되는 날개부의 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절취용 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의 인출구에 있어서, 그 인출구의 중심 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제1 에지부의 양단 측으로부터 인출구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에지부를 형성함으로써, 그 제1 에지부가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간극 간격이 인출구의 폭 방향의 폭으로 좁은 영역으로 할 수 있어, 그 제1 에지부나 제2 에지부가 가정용 박엽지와 접촉함으로써, 가정용 박엽지가 인출구로부터 수납 상자 내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대기하는 가정용 박엽지의 유지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1 에지부의 간극 간격이 양호한 간격인 3mm ~ 17mm가 되고, 제1 에지부를 향해 제2 에지부가 이루는 각도가 양호한 각도인 165도 ~ 175도로 되어 있으므로, 그 제1 에지부나 제2 에지부가 가정용 박엽지와 접촉함으로써, 가정용 박엽지에 바람직한 인출 저항이 부여되게 되어, 가정용 박엽지의 인출성이 향상된다.
(제1 실시예)
도 1은, 필름을 접착하지 않은 구조의 티슈 페이퍼 수납 상자(이하, 수납 상자라고 함)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이 수납 상자의 사용 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이 수납 상자의 사용 시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여기서, 「필름을 접착하지 않은」이란 인출구에, 슬릿부가 형성된 수지 필름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수납 상자(1)는, 예를 들면, 길이 방향의 길이가 160 ~ 250mm, 폭 방향의 길이가 100 ~ 120mm, 높이가 50 ~ 120mm의 대략 직육면체형로 형성된 수납 상자이며, 이 수납 상자(1) 내에 티슈 페이퍼(2)…가 팝업 가능하게 적층되어 수납된다.
수납 상자(1)의 상면(1a)에는, 티슈 페이퍼(2)…를 꺼내기 위한 인출구(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인출구(11)는, 최초의 사용 시에, 수납 상자(1)의 상면(1a)에 형성된 루프형의 파단용 절취선(3)을 따라 수납 상자(1)의 일부인 커버부(12)를 절취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경우, 파단용 절취선(3)은 연속하여 루프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커버부(12)를 파단용 절취선을 따라 잘라내면, 인출구(11)의 에지도 연속하여 루프형을 이루게 된다. 수납 상자(1)는 이 상태에서 사용된다. 여기서, 「연속하여 루프형을 이룬다」는 것은, 에지의 도중을 커트인(cut-in)하여, 파열된 곳이 없이 전체가 연속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인출구(11)는 수납 상자(1)의 상면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이 인출구(11)의 치수는, 수납 상자(1)의 길이 방향에서 폭 방향과 비교해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인출구(11)의 길이 방향 길이는, 수납 상자(1)의 상면의 길이 방향 길이의 60 ~ 96%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한을 60%로 한 것은, 60%보다 작게 하면, 티슈 페이퍼의 양단이 강하게 마찰되어 인출성이 악화되기 때문이다.
이 인출구(11)는, 대략 V자 형상의 에지(11-1)와, 직선형의 에지(11-2)와, 대략 ε형상의 에지(11-3)와, 직선형의 에지(11-4)와, 대략 V자 형상의 에지(11-5)와, 직선형의 에지(11-6)와, 대략 ε형상의 에지(11-7)와, 직선형의 에지(11-8)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루프형의 에지에 의해 구획된다.
이 중, 대략 V자 형상의 에지(11-1)와 (11-5)는, 각각 2개의 직선형의 에지가 교차하는 산형 돌기로 이루어지는 각부의 선단이, 인출구(11)의 내측으로서 수납 상자(1)의 상면(1a)의 길이 방향 중심선(C1)(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향해 돌출되고, 그 길이 방향 중심선(C1)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쌍의 제1 에지부이며, 인출구(11)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중심 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직선형의 에지(11-2, 11-4, 11-6, 11-8)는, 각각 제1 에지부(11-1, 11-5)의 양단 측으로부터 인출구(11)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에지부이며, 제1 에지부(11-1, 11-5)의 단부와 연속되어 동일 직선을 이 루도록 연장되어 있다.
또한, 대략 ε형상의 에지(11-3, 11-7)는, 각각 제2 에지부(11-2, 11-4, 11-6, 11-8)에 있어서의 인출구(11)의 중심 측으로부터 떨어진 외단 측끼리를 연결하도록 곡선형 에지에 의해 구성되는 제3 에지부이며, 인출구(11)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인출구(11)의 형상은, 수납 상자(1)의 상면(1a)의 길이 방향 중심선(C1) 및 폭 방향 중심선(C2)의 각각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인출구(11)는, 수납 상자(1)의 상면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제1 인출구 부분(11a)과, 수납 상자(1) 상면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3 인출구 부분(11c, 11c)와, 제1 인출구 부분(11a)과 제3 인출구 부분(11c)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인출구 부분(11b, 11b)으로 대별된다.
이 중, 제1 인출구 부분(11a)은, 한쌍의 제1 에지부(11-1, 11-5)에 협지된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서 인출구(11)의 폭 방향의 폭 중 가장 좁은 영역이며, 대략 드럼(drum)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 제1 인출구 부분(11a)의 폭 방향 중심선(C2)을 따른 방향의 폭은, 3mm 이상 17mm 이하로 되어 있다. 환언하면, 한쪽의 제1 에지부(11-1)와 다른 쪽의 제1 에지부(11-5)가 길이 방향 중심선(C1)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간극 간격으로서 폭 방향의 간격이 3mm 이상 17mm 이하로 되어 있다. 즉, 제1 에지부에 있어서의 V자의 선단부가 대향하는 간격이 3mm 이상, 제1 에지부와 제2 에지부의 경계점이 대향하는 간격이 17mm 이하로 되어 있다.
이 한쌍의 제1 에지부(11-1, 11-5)의 간극 간격이 3mm 미만이면, 수납 상자(1)로부터 티슈 페이퍼(2)를 인출할 때 인출구(11)의 에지에 티슈 페이퍼(2)가 강하게 마찰되어 인출 저항이 커지므로, 티슈 페이퍼(2)가 찢어지거나 하여 인출성이 악화되는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특히, 최초의 1세트의 티슈 페이퍼(2)를 인출구(11)로부터 꺼내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한편, 한쌍의 제1 에지부(11-1, 11-5)의 간극 간격이 17mm보다 크면, 티슈 페이퍼(2)의 인출성은 향상되지만, 그 에지부에 의한 티슈 페이퍼(2)의 유지성이 악화되어 버리므로, 티슈 페이퍼(2)가 수납 상자(1) 내로 빠져버리기 쉬운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보다 바람직한 한쌍의 제1 에지부(11-1, 11-5)의 간극 간격은, 3mm 이상 15mm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mm 이상 8mm 이하이다.
또한, 제2 인출구 부분(11b)은, 제2 에지부(11-2)와 (11-4)에 협지된 영역과, 제2 에지부(11-6)와 (11-8)에 협지된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이며, 제1 인출구 부분(11a)보다 인출구(11)의 길이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그 인출구(11)의 길이 방향의 외측을 향해 간격이 넓어지도록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제1 에지부(11-1)를 사이에 두고 제2 에지부(11-2)와 (11-8)의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 θ와, 제1 에지부(11-5)를 사이에 두고 제2 에지부(11-4)와 (11-6)의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 θ가 각각 165도 이상 175도 이하로 되어 있다. 이 제1 에지부를 협지한 제2 에지부가 이루는 각도 θ가 165도 미만이면, 인출구(11)의 에지와 티슈 페이퍼(2)와의 접촉이 적기 때문에 인출 저항이 작아져, 그 에지부에 의한 티슈 페이퍼(2)의 유지성이 악화되어 버리므로, 티슈 페이퍼(2)가 수납 상자(1)내로 빠져버리기 쉬운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한편, 이 제1 에지부를 협지한 제2 에지부가 이루는 각도 θ가 175도보다 크면, 인출구(11)의 에지와 티슈 페이퍼(2)와의 접촉이 증가하여 티슈 페이퍼(2)의 유지성은 향상되지만, 수납 상자(1)로부터 티슈 페이퍼(2)를 인출할 때 인출구(11)의 에지에 티슈 페이퍼(2)가 강하게 마찰되어 인출 저항이 커지므로, 티슈 페이퍼(2)가 찢어지거나 하여 인출성이 악화되는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특히, 최초의 1세트의 티슈 페이퍼(2)를 인출구(11)로부터 꺼내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에지부는, 제1 에지부의 양단과 동일 직선을 이루도록 연이어져 있으므로, 이 실시예 1에 있어서, 제2 에지부가 제1 에지부를 향해 이루는 각도 θ는, 제1 에지부의 V자형의 첨단 꼭지각의 각도로 간주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에지부가 제1 에지부를 향해 이루는 각도의 것보다 바람직한 각도 θ는 168도 이상 173도 이하이다.
또한, 제3 인출구 부분(11c)은, 수납 상자(1)의 상면(1a)의 길이 방향에서 보면, 제2 인출구 부분(11b)보다 외측에 존재하며, 제3 에지부(11-3, 11-7) 측으로서 인출구(11)의 외단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이 제3 인출구 부분(11c)의 에지에는, 대략 ε형상의 제3 에지부(11-3)와 (11-7)에 있어서의 각각의 중앙 측의 날카로워진 돌기부가 자유단 에지를 구성하고, 인출구(11)의 중심 측을 향해 길게 돌출된 각각의 양쪽 날개부(13b)가 폭 방향 중심선(C2)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양쪽 날개부(13b)는, 인출구(11)의 길이 방향의 양단 측으로부터 길이 방향 중심선(C1)을 따른 방향으로 길게 뻗어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양쪽 날개부(13b)가 티슈 페이퍼(2)와 접촉함으로써 티슈 페이퍼(2)가 수납 상자(1) 내로 빠져 버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 상자(1)의 상면(1a)에는, 제2 에지부와 제3 에지부의 경계점(절곡점)을, 수납 상자(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가상선을 따르도록 직선형의 절취용 선(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상선을 따른 절취용 선(14)과 제2 에지부와 제1 에지부에 의해 에워싸여 이루어지는 대략 이등변 삼각형 형상을 이루는 부분이, 인출구(11)의 내측을 향해 길게 돌출된 날개부(13a)로 되어 있다.
이 절취용 선(14)은, 날개부(13a)가 형성된 아래 쪽으로 가압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몰드에 의해 가압하여 형성된 직선형의 움푹한 곳이며, 날개부(13a)의 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서는, 직선형의 절취용 선(14)으로 하고 있지만, 수납 상자(1)의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한 원호형의 절취용 선이라도 된다. 또한, 이 절취용 선(14)은 날개부(13a)가 형성된 아래 전역에 연장되는 것은 아니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13a)에 있어서의 밑부로부터 선단부까지의 돌출 길이 는, 대향하는 날개부(13a, 13a) 사이에 티슈 페이퍼(2)…가 유지되는 정도면 되고, 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티슈 페이퍼(2)…의 크기나 수납 상자(1)의 폭 방향의 길이 및 인출구(11)의 크기에 따라 적당히 결정하면 된다.
커버부(12)는 인출구(1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 커버부(12)에는, 반원형의 파단용 절취선이 형성되고, 이 파단용 절취선의 내부에 손가락을 대어 힘을 가하면, 파단용 절취선의 내부가 수납 상자(1)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손가락 구멍(15)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수납 상자(1)에 수납되는 티슈 페이퍼(2)에 대하여 설명하면, 티슈 페이퍼(2)는, 그 절첩축 방향의 길이가 100 ~ 245mm로 되어 있다.
이 티슈 페이퍼(2)…는 2매가 1세트(1단위)로 되고, 1세트 1세트가 계속하여 상자로부터 꺼낼 수 있도록 교호적으로 절첩되어 있고, 한쪽의 날개부(13a)에 유지되어 있는 티슈 페이퍼 1세트를 밖으로 인출했을 때, 다음의 티슈 페이퍼 1세트가 수납 상자(1)의 내부로부터 다른 쪽의 날개부(13a)에 유지되는 위치까지 인출되도록 접는 방법으로 되어 있다. 즉, 티슈 페이퍼(2)…는 1세트마다 인출할 때, 한쌍의 날개부(13a)의 각각에 교호적으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납 상자(1)이면, 바람직한 간격으로 형성된 제1 인출구 부분(11a)이나, 바람직한 각도로 형성된 제2 인출구 부분(11b)을 구비하는 인출구(11)에 있어서의 날개부(13a)가, 티슈 페이퍼(2)와 바람직하게 접촉하게 되어, 티슈 페이퍼(2)의 인출성 및 유지성의 양쪽을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4는, 필름을 접착하지 않은 구조의 수납 상자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이 수납 상자의 사용 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이 수납 상자의 사용 시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 제2 실시예의 수납 상자(1)는 다음의 점에서 제1 실시예의 수납 상자와 공통되어 있다.
첫째, 이 제2 실시예의 수납 상자(1)는 크기 및 외형이 제1 실시예의 수납 상자와 공통되어 있다.
둘째, 이 제2 실시예의 수납 상자(1)는, 수납 상자(1)의 내부에 수납되는 티슈 페이퍼(2)의 크기 및 수납 구조가 제1 실시예의 수납 상자와 공통되어 있다.
셋째, 이 제2 실시예의 수납 상자(1)는, 인출구(11)가 커버부(12)를 파단용 절취선(3)을 따라 절취되어 형성되는 점, 인출구(11)가 수납 상자(1)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점, 인출구(11)의 치수가 수납 상자(1)의 길이 방향으로 크고, 또한 그 폭 방향으로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점, 인출구(11)의 형상이 수납 상자(1)의 상면(1a)의 길이 방향 중심선(C1) 및 폭 방향 중심선(C2)의 각각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되어 있는 점, 인출구(11)의 에지가 사용 상태로 전 주위에 걸쳐 연속하여 루프형을 이루고 있는 점에서 제1 실시예의 수납 상자와 공통되어 있다.
넷째, 이 제2 실시예의 수납 상자(1)는, 수납 상자(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인출구(11)의 양측에, 커버부(12)를 절취한 상태로, 수납 상자(1)의 길이 방향 중심선(C1)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쌍의 날개부(13a)가 형성되어 있는 점, 각 날개부(13a)의 아래 쪽에 절취용 선(14)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예의 수납 상자와 공통되어 있다.
다섯째, 이 제2 실시예의 수납 상자(1)는, 인출구(11)가 제1 인출구 부분(11a)과, 제2 인출구 부분(11b, 11b)과, 제3 인출구 부분(11c, 11c)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 제1 인출구 부분(11a)이 길이 방향 중심선(C1)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1 에지부에 협지된 영역인 점, 제2 인출구 부분(11b)이 길이 방향 중심선(C1)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2 에지부에 협지된 영역인 점, 제3 인출구 부분(11c)이 제2 인출구 부분(11b)보다 외측에 존재하여 인출구(1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외단에 위치하는 점에서 제1 실시예의 수납 상자와 공통되어 있다.
여섯째, 이 제2 실시예의 수납 상자(1)는, 커버부(12)에 손가락 구멍(15)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예의 수납 상자와 공통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2 실시예의 수납 상자(1)는, 적당히, 제1 실시예의 수납 상자의 설명 부분에서 나타낸 것과 동일한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다음에, 이 제2 실시예의 수납 상자(1)가 제1 실시예의 수납 상자와 상위한 점을 설명한다.
이 제2 실시예의 수납 상자(1)의 인출구(11)는, 대략 파형 형상의 에지(11-1)와, 완만한 곡선형 에지(11-2)와, 대략 W자 형상의 에지(11-3)와, 완만한 곡선형 에지(11-4)와, 대략 파형 형상의 에지(11-5)와, 완만한 곡선형 에지(11-6)와, 대략 W자 형상의 에지(11-7)와, 완만한 곡선형 에지(11-8)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루프형의 에지에 의해 구획된다.
이 중, 대략 파형 형상의 에지(11-1)와 (11-5)는, 각각 10개의 직선형의 에지가 지그재그로 늘어선 복수 개의 산형 돌기로 이루어지는 톱니형의 복수 개(도면 중 4개)의 선단을, 수납 상자(1)의 상면(1a)의 길이 방향 중심선(C1)을 향해, 그 길이 방향 중심선(C1)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쌍의 제1 에지부이며, 인출구(11)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중심 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완만한 곡선형 에지(11-2, 11-4, 11-6, 11-8)는, 각각 제1 에지부(11-1, 11-5)의 양단 측으로부터 인출구(11)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에지부이며, 인출구(11)의 내측을 향해 약간 볼록형(凸形)으로 팽창하여 길게 뻗도록 극소의 곡률을 가지고, 완만한 곡선을 이루고 있다.
또한, 대략 W자 형상의 에지(11-3, 11-7)는, 각각 제2 에지부(11-2, 11-4, 11-6, 11-8)에 있어서의 인출구(11)의 중심 측으로부터 떨어진 외단 측끼리를 연결하도록 곡선형 에지에 의해 구성되는 제3 에지부이며, 인출구(11)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2 에지부(11-2, 11-4, 11-6, 11-8)와 제3 에지부(11-3, 11-7)의 경계는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도록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한쌍의 제1 에지부(11-1, 11-5)에 협지된 영역인 제1 인출구 부분(11a)은, 인출구(11)의 폭 방향의 폭에서 가장 좁은 영역이며, 대략 양날톱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제1 인출구 부분(11a)의 폭 방향 중심선(C2)을 따른 방향의 폭은, 3mm 이상 17mm 이하로 되어 있다. 환언하면, 한쪽의 제1 에지부(11-1)와 다른 쪽의 제1 에지부(11-5)가 길이 방향 중심선(C1)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간극 간격으로서 폭 방향의 간격이 3mm 이상 17mm 이하로 되어 있다. 즉, 제1 에지부에 있어서의 톱니형의 첨단이 대향하는 간격이 3mm 이상, 그 톱니형의 V자 바닥이 대향하는 간격이 17mm 이하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에지부(11-2)와 (11-4)에 협지된 영역과, 제2 에지부(11-6)와 (11-8)에 협지된 영역인 제2 인출구 부분(11b)은, 제1 인출구 부분(11a)보다 인출구(11)의 길이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고, 그 인출구(11)의 길이 방향의 외측을 향해 간격이 넓어지도록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제2 인출구 부분(11b)에 대응하는 제2 에지부가 제1 에지부를 향해 이루는 각도 θ로서, 제1 에지부(11-1)와 제2 에지부(11-2, 11-8)의 경계점 근방에 있어서의 제2 에지부의 각각의 접선이 제1 에지부 측에서 교대로 이루는 꼭지각의 각도 θ와, 제1 에지부(11-5)와 제2 에지부(11-4, 11-6)의 경계점 근방에 있어서의 제2 에지부의 각각의 접선이 제1 에지부 측에서 교대로 이루는 꼭지각의 각도 θ는 각각 165도 이상 175도 이하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인출구 부분(11b)에 대응하여 가상 꼭지각을 이루는 제2 에지부의 접선은, 제1 에지부와 제2 에지부의 경계점 근방의 접선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에지부와 제3 에지부의 경계점 근방의 접선이나, 제2 에지부의 중앙 근방의 접선인 등, 수납 상자(1)의 형상 등에 따라 특정되어 있는 접선이면 된다. 또한, 제2 에지부(11-2, 11-4, 11-6, 11-8))는, 인출구(11)의 내측에 대하여 약간 오목형으로 파이도록 극소의 곡률을 가지는 완만한 곡선이어도 된다.
또한, 제2 인출구 부분(11b)보다 외측에 존재하여, 제3 에지부(11-3, 11-7) 측에 위치하는 제3 인출구 부분(11c)은, 인출구(11)의 외단에 위치하고 있다. 이 제3 인출구 부분(11c)의 에지에는, 대략 W자 형상의 제3 에지부(11-3)와 (11-7)에 있어서의 각각의 중앙 측의 원호형의 돌기부가 자유단 에지를 구성하고, 인출구(11)의 중심 측을 향해 길게 돌출된 각각의 양쪽 날개부(13b)가 폭 방향 중심선(C2)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 상자(1)의 상면(1a)에는, 제2 에지부와 제3 에지부의 경계점(절곡점)을 수납 상자(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가상선을 따라 형성된 절취용 선(14)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상선을 따른 절취용 선(14)과 제2 에지부와 제1 에지부에 의해 에워싸여 이루어지는 대략 등각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는 부분이, 인출구(11)의 내측을 향해 길게 돌출된 날개부(13a)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납 상자(1)라도, 인출구(11)에 있어서의 날개부(13a)가 티슈 페이퍼(2)와 바람직하게 접촉하게 되어, 티슈 페이퍼(2)의 인출성 및 유지성의 양쪽을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외의 변형)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변형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나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각종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인출구(11)의 에지의 곡률이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 에지부의 톱니형의 첨단 돌기부의 수 등은, 임의로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Claims (5)

  1. 교호적으로 절첩되어 적층된 가정용 박엽지(薄葉紙)가 내부에 수납되고, 상면의 커버부가 파단용 절취선을 따라 절취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커버부를 절취하여 형성되는 인출구를 통해 내부의 가정용 박엽지를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된 대략 직육면체형이며 상면이 직사각형인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는, 상기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의 상면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인출구의 전체 길이는, 상기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의 길이 방향에서 크고, 또한 그 폭 방향으로 작아지도록 설정되고,
    상기 인출구의 에지는, 상기 인출구의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의 중심 측에 위치하여 그 인출구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산형 돌기로 이루어지는 각부(角部)를 가지고, 상기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상면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쌍의 제1 에지부와, 상기 제1 에지부의 양단 측으로부터 상기 인출구 의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에지부와, 상기 제2 에지부의 외단 측끼리를 연결하도록 곡선형 에지에 의해 구성되는 제3 에지부가 연결되어, 전 주위에 걸쳐 연속되는 루프형을 이루고,
    상기 한쌍의 제1 에지부가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간극 간격으로서 상기 폭 방향의 간격이 3mm 이상 17mm 이하로 되고, 상기 제1 에지부를 협지한 상기 제2 에지부가 그 제1 에지부 측을 향해 이루는 각도가 165도 이상 175도 이하로 되어 있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지부는, 복수 개의 산형 돌기에 의해 구성되는 파형(波形) 형상으로 되어 있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지부는, 상기 인출구 내측을 향한 볼록형(凸形) 또는 오목형(凹形)의 곡선형 에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가정용 박 엽지 수납 상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에지부에는, 상기 인출구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단 측으로부터 상기 인출구의 중심 측을 향해 길게 뻗어 대향하는 양쪽 날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의 에지에 형성되는 날개부의 기립(起立)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절취용 선이 형성되어 있는,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KR1020097012950A 2006-12-27 2007-12-26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KR1014145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52671A JP4751820B2 (ja) 2006-12-27 2006-12-27 家庭用薄葉紙収納箱
JPJP-P-2006-352671 2006-12-27
PCT/JP2007/074911 WO2008078761A1 (ja) 2006-12-27 2007-12-26 家庭用薄葉紙収納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101A true KR20090094101A (ko) 2009-09-03
KR101414544B1 KR101414544B1 (ko) 2014-07-01

Family

ID=39562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2950A KR101414544B1 (ko) 2006-12-27 2007-12-26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751820B2 (ko)
KR (1) KR101414544B1 (ko)
CN (1) CN101573276B (ko)
WO (1) WO20080787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147B1 (ko) * 2009-11-07 2011-08-03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자동포장용 포장박스의 손잡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6153B1 (ja) 2009-10-23 2010-08-04 広慶 藤本 シート収納箱
CN102633062B (zh) * 2012-04-01 2014-04-16 全利机械股份有限公司 抽取式纤维制品的包装构造
WO2018184655A1 (en) * 2017-04-03 2018-10-11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Dispensing box comprising a stack of sheet products
JP7282502B2 (ja) * 2018-10-31 2023-05-29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薄葉紙入り収納箱
JP7455543B2 (ja) * 2019-09-30 2024-03-26 大王製紙株式会社 シート収納箱
JP7438707B2 (ja) * 2019-09-30 2024-02-27 大王製紙株式会社 シート収納箱
DE202021102693U1 (de) * 2021-05-18 2022-08-23 Ar Packaging Gmbh Faltbech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53516A1 (en) * 1998-04-28 1999-1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 tissue box
CN2326443Y (zh) * 1998-06-25 1999-06-30 谢崇文 片物抽取盒
JP2001278366A (ja) * 2000-03-29 2001-10-10 Crecia Corp ティッシュペーパー用カートン
JP4248431B2 (ja) * 2004-01-16 2009-04-02 王子ネピア株式会社 衛生用紙入りカートン
JP2006182453A (ja) * 2006-02-10 2006-07-13 Daio Paper Corp 家庭用薄葉紙収納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147B1 (ko) * 2009-11-07 2011-08-03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자동포장용 포장박스의 손잡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78761A1 (ja) 2008-07-03
KR101414544B1 (ko) 2014-07-01
CN101573276A (zh) 2009-11-04
JP4751820B2 (ja) 2011-08-17
JP2008162623A (ja) 2008-07-17
CN101573276B (zh)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94101A (ko) 가정용 박엽지 수납 상자
US9738434B2 (en) Sheet storage box
JP5041806B2 (ja) 家庭用衛生薄葉紙の収納箱
CN100422060C (zh) 一种用于吸收性面巾纸片的具有帆形开口的软袋包装件
JP5717789B2 (ja) 開封機能付包装箱
JP4589912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箱
KR20090115183A (ko) 필름용 수납 상자
JP2008222242A (ja) 包装箱
KR20030090638A (ko) 담배케이스와 재단지
JP5069055B2 (ja) 引裂帯付き段ボール箱
JP2007112503A (ja) 衛生用紙収納用カートン
JP2008247477A (ja) リブ付き段ボール箱
JP4538444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箱
JP6326404B2 (ja) 巻回体収容箱及び巻回体入り収容箱
JP2007269372A (ja) 衛生用紙収納箱
JP4409026B2 (ja) ティッシュペーパー用カートン
JP6615270B2 (ja) 衛生用紙収納箱
JP2012144301A (ja) プラスチックシート用切取線、これを備えたプラスチックシート及び包装ケース
JP4485748B2 (ja) 折り曲げ罫線入りプラスチックシート及び罫線刃
JP4083109B2 (ja) ティッシュペーパー収容箱
JP2004001790A (ja) 開封性を改善したティシュペーパー用カートン
JP6541975B2 (ja) 巻回体収容箱及び巻回体入り収容箱
JP4757102B2 (ja) ラップフィルム用収納箱
JPS5829022Y2 (ja) テイシユペ−パ−収納箱
JP4758958B6 (ja) 引裂帯付き段ボール箱の抜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