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1787A - 화상 기록 장치 및 화상 기록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기록 장치 및 화상 기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1787A
KR20090091787A KR1020097012872A KR20097012872A KR20090091787A KR 20090091787 A KR20090091787 A KR 20090091787A KR 1020097012872 A KR1020097012872 A KR 1020097012872A KR 20097012872 A KR20097012872 A KR 20097012872A KR 20090091787 A KR20090091787 A KR 20090091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image
related information
recordin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2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시 나카무라
미키오 와타나베
사토루 오카모토
토시하루 우에노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91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7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2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attached to the image data, e.g. file header, transmitted message header, information on the same page or in the same computer file as th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89Recording image signals; Reproducing recorded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39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wo 2D image sensors having a relative position equal to or related to the interocular dist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3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contrast or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image signals, e.g. hill climbing metho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4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processing required or performed, e.g. for reproduction or before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4Storage or retrieval of pre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 H04N2201/3277The additional information being stored in the same storage device as the imag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3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character code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화상 기록 장치는 표준 포맷에 의해 규정된 제 1 화상 데이터(1), 및 상기 표준 포맷에 의해 규정된 1개 이상의 제 2 화상 데이터(2, 3...)를 취득하는 화상 데이터 취득 유닛; 상기 제 1 및 제 2 화상 데이터 중 2개 이상의 화상 데이터에 관련되는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관련 정보 생성 유닛; 상기 제 1 화상 데이터(1)가 저장된 제 1 화상 데이터 영역(A1),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2, 3...)가 저장된 제 2 화상 데이터 영역(A2), 및 상기 관련 정보가 저장된 관련 정보 기록 영역(A3)을 포함하는 기록용 화상 파일을 생성하는 기록용 화상 파일 생성 유닛; 및 상기 기록용 화상 파일을 기록하는 기록 유닛을 포함한다.
화상 기록 장치, 화상 데이터 취득 유닛, 관련 정보 생성 유닛, 기록용 화상 파일 생성 유닛, 기록 유닛

Description

화상 기록 장치 및 화상 기록 방법{IMAGE RECORDING DEVICE AND IMAGE RECORDING METHOD}
본 발명은 화상 기록 장치 및 화상 기록 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히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1개의 화상 파일에 저장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2003-299016호 공보는 헤더, 화상 데이터 및 화상 테일(tail)을 포함하는 디지털 저장 장치 및 디지털 화상 디코딩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화상 파일의 사용에 의거하여 복수의 화상 데이터가 1개의 화상 파일에 저장될 수 있다. 1개의 화상 파일에 저장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가 처리될 때에 그러한 화상 데이터에 공통되는 관련 정보를 취득하고 관련 정보를 사용하여 처리 내용을 제어함으로써 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1개의 화상 파일에 포함되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에 관련 정보를 용이하게 참조할 수 없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3-299016호 공보는 화상 데이터 및 화상 테일에 저장된 데이터를 양쪽에 공통되는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처리하는 것은 개시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1개의 화상 파일에 저장할 때에 복수의 화상 데이터에 관련 정보를 용이하게 참조할 수 있는 화상 기록 장치 및 화상 기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는 표준 포맷에 의해 규정된 제 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표준 포맷에 의해 규정된 1개 이상의 제 2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화상 데이터 취득 유닛, 상기 제 1 및 제 2 화상 데이터 중 2개 이상의 화상 데이터에 관련되는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관련 정보 생성 유닛, 상기 제 1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 제 1 화상 데이터 영역,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 제 2 화상 데이터 영역, 및 상기 관련 정보가 저장된 관련 정보 기록 영역을 포함하는 기록용 화상 파일을 생성하는 기록용 화상 파일 생성 유닛, 및 상기 기록용 화상 파일을 기록하는 기록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록용 화상 파일에 복수의 화상 데이터에 공통인 관련 정보가 용이하게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취득 유닛은 1개 이상의 촬영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다시점으로부터 촬영된 동일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 생성 유닛은 상기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입체 화상을 출력할 때에 사용될 화상의 조합에 관련되는 화상 조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기록용 화상 파일 생성 유닛은 상기 화상 조합 정보를 상기 관련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입체적으로 보기 위한 다시점에서 촬영된 시차 화상을 1개의 기록용 화상 파일에 저장할 때에 입체 표시를 위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관련 정보를 동일한 파일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2개 이상의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화상 선택 유닛, 및 상기 선택된 화상 데이터를 입체적으로 볼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입체 화상 출력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 생성 유닛은 상기 선택된 화상 데이터가 상기 입체 화상 출력 유닛에 출력될 때에 출력되고 참조된 상기 선택된 화상 데이터의 이력을 나타내는 참조 이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기록용 화상 파일 생성 유닛은 상기 참조 이력 정보를 상기 관련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록용 화상 파일에 복수의 화상 데이터 각각의 참조 이력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예를 들면 출력처 소자의 3차원 표시 기능에 따라 최적의 화상 데이터의 조합 등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2 실시형태 내지 제 5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 생성 유닛은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의 촬영시에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거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기록용 화상 파일 생성 유닛은 상기 거리 데이터를 상기 관련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6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리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생성되는 거리 히스토그램 데이터 또는 거리 화상 데이터이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 및 제 7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거리 데이터를 상기 관련 정보로서 상기 기록용 화상 파일에 저장함으로써 거리 데이터에 대한 기준값으로부터 그 편차에 의거하여 상기 거리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상 데이터 조합에 의거한 거리 산출의 유효성이 판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상 데이터를 편집하거나 상기 화상 데이터를 입체적으로 표시할 때에 거리 산출 유효성이 높은 화상 데이터 조합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실제감이 있는 입체 표시가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 내지 제 7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화상 데이터를 편집하는 편집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련 정보 생성 유닛은 상기 제 1 또는 제 2 화상 데이터가 편집될 때에 상기 제 1 또는 제 2 화상 데이터에 행해지는 편집 내용을 나타내는 편집 이력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기록용 화상 파일 생성 유닛은 상기 편집 이력 정보를 상기 관련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록용 화상 파일에 복수의 화상 데이터 각각의 편집 이력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예를 들면 복수의 화상 데이터에 동일한 편집 처리가 이루어지거나 기록용 화상 파일이 편집 이력 정보를 사용하여 편집 처리전의 상태로 복원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 내지 제 8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화상 데이터, 및 상기 관련 정보의 변경을 검출하기 위한 변경 검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변경 검출용 데이터 생성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록용 화상 파일 생성 유닛은 상기 변경 검출용 데이터를 상기 관련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의하면, 기록용 화상 데이터를 다른 유저에 송신했을 때에 송신처 유저에 의해 수신된 기록용 화상 데이터의 변경이 통신 경로 상에서 발생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 의하면, 화상 기록 방법은 표준 포맷에 의해 규정된 제 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표준 포맷에 의해 규정된 1개 이상의 제 2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화상 데이터 취득 공정, 상기 제 1 및 제 2 화상 데이터 중 2개 이상의 화상 데이터에 관련되는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관련 정보 생성 공정, 상기 제 1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 제 1 화상 데이터 영역,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 제 2 화상 데이터 영역, 및 상기 관련 정보가 저장된 관련 정보 기록 영역을 갖는 기록용 화상 파일을 생성하는 기록용 화상 파일 생성 공정, 및 상기 기록용 화상 파일을 기록하는 기록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0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취득 공정에서는 1개 이상의 촬영 수단을 사용하여 다시점으로부터 촬영된 동일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가 취득된다.
본 발명의 제 12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1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 생성 공정에서는 상기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입체 화상을 출력할 때에 사용될 화상의 조합에 관련되는 화상 조합 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기록용 화상 파일 생성 공정에서는 상기 화상 조합 정보가 상기 관련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제 13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2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방법은 상기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2개 이상의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화상 선택 공정, 및 상기 선택된 화상 데이터를 입체적으로 볼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여 입체 화상 출력 소자에 변환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공정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4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3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 생성 공정에서는 상기 선택된 화상 데이터가 상기 입체 화상 출력 소자에 출력될 때에 출력되고 참조된 상기 선택된 화상 데이터의 이력을 나타내는 참조 이력 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기록용 화상 파일 생성 공정에서는 상기 참조 이력 정보가 상기 관련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제 15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1 실시형태 내지 제 14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의한 화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 생성 공정에서는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의 촬영시에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거리 데이터가 생성되고, 상기 기록용 화상 파일 생성 공정에서는 상기 거리 데이터가 상기 관련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제 16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5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거리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생성되는 거리 히스토그램 데이터 또는 거리 화상 데이터이다.
본 발명의 제 17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0 실시형태 내지 제 16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의한 화상 기록 방법은 상기 제 1 및 제 2 화상 데이터를 편집하는 편집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련 정보 생성 공정에서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화상 데이터가 편집될 때에 상기 제 1 또는 제 2 화상 데이터에 행해지는 편집 내용을 나타내는 편집 이력 정보가 생성되며, 상기 기록용 화상 파일 생성 공정에서는 상기 편집 이력 정보가 상기 관련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제 18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0 실시형태 내지 제 17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의한 화상 기록 방법은 상기 제 1 및 제 2 화상 데이터, 및 관련 정보의 변경을 검출하기 위한 변경 검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변경 검출용 데이터 생성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록용 화상 파일 생성 공정에서는 상기 변경 검출용 데이터가 상기 관련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록용 화상 파일에 복수의 화상 데이터에 공통인 관련 정보가 용이하게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입체적으로 보기 위한 복수의 시점에서 촬영된 시차 화상을 1개의 기록용 화상 파일에 저장할 때에 입체 표시를 위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관련 정보가 동일한 파일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기록용 화상 파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관련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 도 4F는 화상 데이터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 도 5C는 도 4A ~ 도 4F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거리 히스토그램 데이터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거리 히스토그램 데이터의 생성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7는 복수의 대응점에 대하여 산출된 거리 히스토그램 데이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관련 정보로서 촬영시에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거리 화상을 저장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관련 정보로서 깊이 화상을 저장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기록용 화상 파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편집 이력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C는 기록용 화상 파일(F12)의 편집 처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기록용 화상 파일(F12)의 편집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기록용 화상 파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참조 이력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관련 정보로서 변경 검출용 데이터를 저장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촬영 장치 10: 촬영 유닛
12: 메인 CPU 14: 조작 유닛
16: 전원 제어 유닛 18: 배터리
20: 버스 22: ROM
24: 플래시 ROM 26: SDRAM
28: VRAM 30: 모니터
32: 표시 제어 유닛 34: 2D/3D 모드 스위칭 플래그
36: 플래시 발광 유닛 38: 플래시 제어 유닛
40: 촬영 렌즈 42: 줌 렌즈
44: 포커스 렌즈 46: 조리개
42C: 줌 렌즈 제어 유닛(Z 렌즈 제어 유닛)
44C: 포커스 렌즈 제어 유닛(F 렌즈 제어 유닛)
46C: 조리개 제어 유닛 48: 촬상 센서
50: 타이밍 제너레이터(TG) 52: 아날로그 신호 처리 유닛
54: A/D 변환기 56: 화상 입력 컨트롤러
58: 디지털 신호 처리 유닛 60: AF 검출 유닛
62: AE/AWB 검출 유닛 64: 압축/신장 처리 유닛
66: 화상 파일 생성 유닛 68: 미디어 제어 유닛
70: 메모리 카드
이하, 첨부 도면에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 및 화상 기록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제 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영 장치(1)는 복수의 촬영 유닛(10-1, 10-2, ... 10-N)(N≥2)을 포함하고, 다시점으로부터 촬영된 동일한 피사체의 시차 화상을 취득하여 소정의 포맷으로 기록용 화상 파일로서 기록하는 장치이다.
메인 CPU(12)[이하, CPU(12)라고 함]는 조작 유닛(14)으로부터의 입력에 의거하여 소정의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촬영 장치(1)의 전체 동작을 일괄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전원 제어 유닛(16)은 배터리(18)로부터의 전력을 제어하여 촬영 장치(1)의 각 유닛에 동작 전력을 공급한다.
CPU(12)는 버스(20)를 통하여 ROM(22), 플래시 ROM(24), SDRAM(26) 및 VRAM(28)에 접속된다. ROM(22)은 CPU(12)에 의해 행해지는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플래시 ROM(24)은 유저를 위한 설정 정보 등의 촬영 장치(1) 동작에 관련된 각종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SDRAM(26)은 CPU(12)의 연산 영역 및 화상 데이터의 일시 저장 영역(워크 메모리)을 포함한다. VRAM(28)은 표시용 화상 데이터 전용의 일시 저장 영역을 포함한다.
모니터(30)는 예를 들면, 컬러 액정 패널 등의 표시 장치로 구성되고, 촬영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표시 유닛으로서 사용되면서 각종 설정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GUI로서 사용된다. 게다가, 모니터(30)는 촬영 모드 동안에 필드 앵글을 확인하기 위한 전자 파인더로서 사용된다. 모니터(30)의 표면에 호그백(hogback) 형상의 렌즈 그룹을 갖는 소위 렌티큘러(lenticular) 렌즈가 배치되고, 유저는 화상이 표시될 때에 3차원 화상(3D 화상)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다. 표시 제어 유닛(32)은 촬상 센서(48) 또는 메모리 카드(70)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용 화상 신호(예를 들면, NTSC 신호, PAL 신호 또는 SCAM 신호)로 변환하여 모니터(30)에 출력하고, 또한 소정의 문자 및 그래픽 정보(예를 들면, 온스크린 표시 데이터)를 모니터(30)에 출력한다. 게다가, 표시 제어 유닛(32)은 소정의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USB, IEEE1394, 또는 LAN)를 통하여 접속된 외부 표시 장치에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조작 유닛(14)은 셔터 버튼, 전원/모드 스위치, 모드 다이얼, 십자 버튼, 줌 버튼, MENU/OK 버튼, DISP 버튼 및 BACK 버튼 등의 조작 입력 수단을 포함한다.
전원/모드 스위치는 촬영 장치(1)를 위한 전원의 온/오프 스위칭을 위한 수 단, 및 촬영 장치(1)의 동작 모드(재생 모드 및 촬영 모드)를 스위칭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모드 다이얼은 촬영 장치(1)의 촬영 모드를 스위칭하기 위한 조작 수단이며, 모드 다이얼이 설정되는 위치에 따라 2차원 정지 화상이 촬영되는 2D 정지 화상 촬영 모드, 2차원 동화상이 촬영되는 2D 동화상 촬영 모드, 3차원 정지 화상이 촬영되는 3D 정지 화상 촬영 모드, 및 3차원 동화상이 촬영되는 3D 동화상 촬영 모드 사이에서 촬영 모드가 스위칭된다. 촬영 모드가 2D 정지 화상 촬영 모드 또는 2D 동화상 촬영 모드로 설정되면 2D/3D 모드 스위칭 플래그(34)에서 2차원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2D 모드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설정된다. 게다가, 촬영 모드가 3D 정지 화상 촬영 모드 또는 3D 동화상 촬영 모드로 설정되면 2D/3D 모드 스위칭 플래그(34)에서 3차원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3D모드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설정된다. 2D/3D 모드 스위칭 플래그(34)를 참조하여 CPU(12)는 모드가 2D 모드 또는 3D 모드인지를 판별한다.
셔터 버튼은 소위 "반 누름" 및 "완전히 누름"의 2단계 스트로크형 스위치로 구성된다. 정지 화상 촬영 모드에서 셔터 버튼이 반 눌리면 촬영 준비 처리[즉, AE(Automatic Exposure: 자동노출), AF(Automatic Focusing:자동 포커싱), 및 AWB(Automatic White Balancing: 자동 화이트 밸런싱)]가 행해지고, 셔터 버튼이 완전히 눌리면 화상을 촬영하고 기록하기 위한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동화상 촬영 모드에서 셔터 버튼이 완전히 눌리면 동화상의 촬영이 시작되고, 다시 셔터 버튼이 완전히 눌리면 촬영이 종료된다. 셔터 버튼이 완전히 눌린 동안에 동화상의 촬영이 행해지고, 완전히 누름이 해제되면 촬영이 종료되도록 설정을 구성할 수도 있다. 게다가, 정지 화상 촬영용 셔터 버튼 및 동화상 촬영용 셔터 버튼이 분리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십자 버튼은 상하좌우 4방향으로 누를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각 방향에서의 버튼에는 촬영 장치(1) 동작 모드 등에 대응되는 기능이 할당된다. 예를 들면, 촬영 모드에서 좌측 버튼에는 매크로 기능의 온/오프를 스위칭하는 기능이 할당되고, 우측 버튼에는 플래시 모드를 스위칭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또한, 촬영 모드에서 상측 버튼에는 모니터(30)의 명도를 변경하는 기능이 할당되고, 하측 버튼에는 셀프 타이머의 온/오프를 스위칭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재생 모드에서 좌측 버튼에는 프레임 어드밴스 기능이 할당되고, 우측 버튼에는 프레임 리턴 기능이 할당된다. 또한, 재생 모드에서 상측 버튼은 모니터(30)의 명도를 변경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하측 버튼은 재생되고 있는 화상을 삭제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또한, 각종 설정을 행할 때에 버튼에는 모니터(30)에 표시된 커서를 각 버튼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이 할당된다.
줌 버튼은 촬영 유닛(10-1, 10-2, ... 10-N)의 줌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 수단이며, 망원 시야측으로의 줌을 지시하는 줌텔레 버튼, 및 광각으로의 줌을 지시하는 줌 와이드 앵글 버튼을 포함한다.
MENU/OK 버튼은 메뉴 화면 호출(MENU 기능)을 위해 사용되고, 또한 선택된 내용의 결정, 처리 실행을 위한 지시 등(OK 기능)을 위해 사용되어 촬영 장치(1)에 대한 설정에 따라 할당된 기능이 스위칭될 수 있다. 메뉴 화면에 MENU/OK 버튼은 예를 들면, 노출 값, 색조, 촬영 감도, 및 기록 화소 카운트 등의 화질 조정, 셀프 타이머 설정, 노출 측정 방식 스위칭, 디지털 줌이 사용될지의 여부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1)가 갖는 모든 조정 항목에 대한 설정이 행해진다. 촬영 장치(1)는 이 메뉴 화면에 설정된 조건에 따라 동작한다.
DISP 버튼은 모니터(30) 상의 표시 내용을 스위칭하기 위한 지시 등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되고, BACK 버튼은 입력 조작을 캔슬하기 위한 지시 등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플래시 발광 유닛(36)은 예를 들면, 방전 관(크세논 관)으로 구성되고 어두운 피사체나 역광의 피사체 등을 촬영할 때 필요에 따라 발광한다. 플래시 제어 유닛(38)은 플래시 발광 유닛(방전 관)(36)을 발광시키는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메인 콘덴서를 포함하고, CPU(12)로부터의 플래시 발광 명령에 따라 메인 콘덴서의 배터리 충전, 플래시 발광 유닛(36)의 방전(발광)의 타이밍 및 방전 시간을 제어한다.
그 다음에, 촬영 장치(1)의 촬영 기능이 설명된다. 촬영 유닛(10)은 촬영 렌즈(40)[줌 렌즈(42), 포커스 렌즈(44) 및 조리개(46)], 줌 렌즈 제어 유닛(Z 렌즈 제어 유닛)(42C), 포커스 렌즈 제어 유닛(F 렌즈 제어 유닛)(44C), 조리개 제어 유닛(46C), 촬상 센서(48), 타이밍 제너레이터(TG)(50), 아날로그 신호 처리 유닛(52), A/D 변환기(54), 화상 입력 컨트롤러(56) 및 디지털 신호 처리 유닛(58)을 포함한다. 도 2에서 촬영 유닛(10-1, 10-2, ..., 10-N)에서의 구성성분은 각각 참조 부호 1, ..., N을 제공한다.
줌 렌즈(42)는 도시되지 않은 줌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광학 축을 따라 전후로 이동한다. CPU(12)는 줌 렌즈 제어 유닛(42C)을 통하여 줌 액츄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줌 렌즈(42)의 위치를 제어하고 줌을 행한다.
포커스 렌즈(44)는 도시되지 않은 포커스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광학 축을 따라 전후로 이동한다. CPU(12)는 포커스 렌즈 제어 유닛(44C)을 통하여 포커스 액츄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포커스 렌즈(44)의 위치를 제어하고 포커싱을 행한다.
예를 들면, 아이리스 조리개로 구성되는 조리개(46)는 도시되지 않은 조리개 액츄에이터에 의해 구동되어 동작한다. CPU(12)는 조리개 제어 유닛(46C)을 통하여 조리개 액츄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조리개(46)의 어퍼처량(조리개 스톱)을 제어하고 촬상 센서(48)로 입사되는 광량을 제어한다.
CPU(12)는 촬영 유닛에서의 촬영 렌즈(40-1, 40-2, ..., 40-N)를 동기로 구동한다. 다시 말해, 촬영 렌즈(40-1, 40-2, …, 40-N)의 포커스는 항상 동일한 포커스 거리(줌 배율)를 갖도록 설정되어, 항상 동일한 피사체에 포커스가 맞도록 조절된다. 또한, 항상 동일한 입사 광량(조리개 스톱)을 갖도록 조리개가 조정된다.
촬상 센서(48)는 예를 들면, 컬러 CCD 고체 촬상 센서로 구성된다. 촬상 센서(CCD)(48)의 수광면에는 다수의 포토다이오드가 2차원으로 배열되어 있고, 각 포토다이오드에는 소정의 배열로 컬러 필터가 배치되어 있다. 촬영 렌즈(40)를 통하여 CCD의 수광면 상에 촬상된 피사체의 광학 화상은 이러한 포토다이오드에 의해 입사 광량에 따른 신호 전하로 변환된다. 각 포토다이오드에 축적된 신호 전하는 CPU(12)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TG(50)에 의해 주어지는 구동 펄스에 의거하여 신호 전하에 따른 전압 신호(화상 신호)로서 촬상 센서(48)로부터 순차적으로 판독된다. 촬상 센서(48)는 전자 셔터 기능을 포함하고, 전하가 포토다이오드에 축적되는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노광 시간(셔터 속도)이 제어된다.
본 실시예에서 촬상 센서(48)로서 CCD가 사용되지만, CMOS 센서 등의 다른 구성의 촬상 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 유닛(52)은 촬상 센서(48)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에 포함되는 리셋 노이즈(저주파)를 제거하기 위한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CDS), 및 화상 신호를 증폭하여 특정 레벨의 크기를 갖도록 제어하기 위한 AGS 회로를 포함하고, 촬상 센서(48)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를 상관 이중 샘플링 처리하고 그것을 증폭시킨다.
A/D 변환기(54)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 유닛(52)으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디지털 화상 신호로 변환한다.
화상 입력 컨트롤러(56)는 A/D 변환기(54)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를 로드하여 SDRAM(26)에 저장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 유닛(58)은 동기화 회로[싱글 플레이트 CCD 상의 컬러 필터 배열로 인한 컬러 신호의 공간적인 스큐(skew)를 보간하여 컬러 신호를 서로 동기화된 하나로 변환하는 처리 회로], 화이트 밸런스 조정 회로, 그라데이션 변환 처리 회로(예를 들면, 감마 보정 회로), 윤곽 보정 회로, 휘도 및 컬러차 신호 생성 회로 등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SDRAM(26)에 저장된 R, G 및 B 화상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행한다. 다시 말해, R, G 및 B 화상 신호는 디지털 신호 처리 유닛(58)에서 휘도 신호(Y 신호) 및 컬러차 신호(Cr 및 Cb 신호)로 구성되는 YUV 신호로 변환되고, 그라데이션 변환 처리(예를 들면, 감마 보정) 등의 소정의 처리가 신호에 행해진다. 디지털 신호 처리 유닛(58)에 의해 처리된 화상 데이터는 VRAM(28)에 저장된다.
촬영된 화상이 모니터(30)에 출력되는 경우, VRAM(28)으로부터 화상 데이터가 판독되어 버스(20)를 통하여 표시 제어 유닛(32)으로 송신된다. 표시 제어 유닛(32)은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를 위한 소정 포맷에서의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모니터(30)에 출력한다.
AF 검출 유닛(60)은 화상 입력 컨트롤러(56-1, 56-2, ..., 56-N) 중 어느 하나로부터 로드되는 R, G 및 B의 각 컬러에 대한 화상 신호를 로드하고, AF 제어에 필요한 초점 평가값을 산출한다. AF 검출 유닛(60)은 G 신호의 고주파 성분만을 통과시키는 하이패스 필터, 절대값 설정 처리 유닛, 화면에 설정된 소정의 포커스 에리어 내의 신호를 자르는 포커스 에리어 추출부, 및 포커스 에리어 내의 절대값 데이터를 가산하는 적산부를 포함하고, 이 적산부에 의해 가산된 포커스 에리어 내의 절대값 데이터를 초점 평가값으로서 CPU(12)에 출력한다.
AF 제어 동안에 CPU(12)는 AF 검출 유닛(60)으로부터 출력되는 초점 평가값이 국부적인 최대값이 되는 위치를 조사하고, 그 위치로 포커스 렌즈(42)를 이동시킴으로써 주요 피사체 상의 포커싱을 행한다. 다시 말해, CPU(12)는 AF 제어 동안에 우선, 포커스 렌즈(42)를 근거리로부터 무한거리까지 이동시키고, 그 이동 과정에서 AF 검출 유닛(60)으로부터 초점 평가값을 순차적으로 취득하여 그 초점 평가 값이 국부적인 최대값이 되는 위치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된 초점 평가값이 국부적인 최대값이 되는 위치를 포커싱된 위치로서 판정하여 그 위치로 포커스 렌즈(42)를 이동시킨다. 그 결과, 포커스 에리어에 위치되는 피사체(주요 촬영 피사체)가 포커싱될 수 있다.
AE/AWB 검출 유닛(62)은 화상 입력 컨트롤러(56-1, 56-2, ..., 56-N) 중 어느 하나로부터 로드되는 R, G 및 B의 각 컬러의 화상 신호를 로드하고, AE 제어 및 AWB 제어에 필요한 적산값을 산출한다. 다시 말해, AE/AWB 검출 유닛(62)은 1개의 화면을 복수의 에리어(예를 들면, 8×8 = 64에리어)로 분할하고, 분할된 에리어 각각에 대하여 R, G 및 B 신호의 적산값을 산출한다.
AE 제어 동안에 CPU(12)는 AE/AWB 검출 유닛(62)에서 산출된 각 에리어에 대한 R, G 및 B 신호의 적산값을 취득하고, 피사체의 명도(광도 측정값)를 산출하여 적정한 노광량을 취득하기 위한 노출을 설정, 즉 촬영 감도, 조리개 스톱, 셔터 속도, 스트로브 광 플래싱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설정한다.
또한, AWB 제어 동안에 CPU(12)는 AE/AWB 검출 유닛(62)에 의해 산출된 각 에리어에 대한 R, G 및 B 신호의 적산값을 디지털 신호 처리 유닛(58)으로 입력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 유닛(58)은 AE/AWB 검출 유닛(62)에 의해 산출된 적산값에 의거하여 화이트 밸런스 조정용 게인값을 산출한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 유닛(58)은 AE/AWB 검출 유닛(62)에 의해 산출된 적산값에 의거하여 광원 유형을 검출한다.
압축/신장 처리 유닛(64)은 CPU(12)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입력된 화상 데이 터에 압축 처리를 행하여 소정 포맷에서의 압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정지 화상에는 JPEG 규격에 준거한 압축 처리가 행해지면서 동화상에는 MPEG2, MPEG4 또는 H.264 규격에 준거한 압축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압축/신장 처리 유닛(64)은 CPU(12)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입력된 압축 화상 데이터에 신장 처리를 행하여 비압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화상 파일 생성 유닛(66)은 상기 압축/신장 처리 유닛(64)에 의해 생성된 JPEG 포맷에서의 복수의 파일이 저장된 기록용 화상 파일을 생성한다.
미디어 제어 유닛(68)은 CPU(12)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메모리 카드(70)에 대하여 데이터의 판독/기록을 제어한다.
[기록용 화상 파일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기록용 화상 파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기록용 화상 파일(F10)은 제 1 화상 데이터 영역(A1), 관련 정보 영역(A3) 및 제 2 화상 데이터 영역(A2)을 포함한다.
제 1 화상 데이터 영역(A1)에는 화상 데이터 및 그 화상 데이터를 위한 헤더의 1세트가 저장되고, 제 2 화상 데이터 영역(A2)에는 화상 데이터 및 그 화상 데이터를 위한 헤더의 복수 세트가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촬영 장치(1)는 촬영 유닛(10-1)을 통하여 취득된 화상 데이터(1)를 제 1 화상 데이터 영역(A1)에 저장하고, 촬영 유닛(10-2 ~ 10-N)에 의해 취득된 1개 이상의 화상 데이터[각각 화상 데이터(2~N), N은 2보다 큰 정수]를 제 2 화상 데이터 영역(A2)에 저장한다. 이 예에서 제 2 화상 데이터 영역(A2)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수는 "N-1"이지만, 제 2 화상 데이터 영역에 저장될 화상 데이터의 수는 1개 이상이다.
도 1에 나타낸 예에서 화상 데이터(1)는 Exif 포맷이고 화상 데이터(2~N)는 JPEG 포맷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화상 데이터(1~N)의 포맷은 서로 상이할 수 있고 모두 동일할 수도 있다. 또한, 각 화상 데이터의 포맷은 상기 이외의 표준 포맷(예를 들면, TIFF 포맷, 비트맵(BMP) 포맷, GIF 형식 또는 PNG 포맷 등)일 수 있다.
관련 정보 영역(A3)은 제 1 화상 데이터 영역(A1)과 제 2 화상 데이터 영역(A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관련 정보 영역(A3)은 화상 데이터에 관련되는 관련 정보이며, 제 1 화상 데이터 영역(A1) 및 제 2 화상 데이터 영역(A2)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1~N) 중 적어도 2개에 공통인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
도 3은 관련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2개의 관련 정보 데이터(D1 및 D2)를 나타낸다.
관련 정보 데이터(D1 및 D2)는 관련 정보의 데이터 유형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관련 정보 ID)를 각각 포함한다. 관련 정보 피스(D1 및 D2)의 관련 정보ID의 값은 "입체적으로 보기 위한 다시점의 조합"이며, 관련 정보(D1 및 D2)가 다시점 화상 데이터(1~N) 중 2개 이상을 조합함으로써 입체적인 표시를 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이다.
도 3에서 시점 카운트는 입체적인 표시를 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화상 데이터의 수를 나타낸다. 시점 ID는 입체적인 표시를 행할 때에 사용되는 화상 데이터를 지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예를 들면, 관련 정보 데이터(D1)의 시점 ID = "1,3,5"은 화상 데이터(1, 3 및 5)를 사용하여 입체적인 표시가 행해지는 것을 나타낸다. 포인터는 기록용 화상 파일(F10)에서의 각 화상 데이터의 판독 시작 위치를 지정하는 포인터이다. 거리 히스토그램 데이터는 시점 ID에 의해 지정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생성된 피사체(예를 들면, 주요 피사체 인물)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 기록용 화상 파일에서 복수의 화상 데이터에 공통인 관련 정보가 용이하게 기록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입체적으로 보기 위한 다시점에서 촬영된 시차 화상을 1개의 기록용 화상 파일에 저장할 때에 입체적인 표시를 위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관련 정보는 동일한 파일에 저장될 수 있다.
그 다음에, 거리 히스토그램 데이터가 설명될 것이다. 도 4A ~ 도 4F는 화상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A ~ 도 5C는 도 4A ~ 도 4F에서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거리 히스토그램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거리 히스토그램 데이터의 생성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4A ~ 도 4F에 나타낸 예에서 6개의 화상 데이터가 있다. 거리 히스토그램 데이터를 생성할 때에 우선, 화상 데이터(1~6)로부터 거리 히스토그램 데이터의 생성에 사용되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가 선택된다[스텝(S10)]. 그 다음에, 스텝(S10)에서 선택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특징점이 추출된다[스텝(S12)]. 여기서, 특징점은 예를 들면, 피사체 인물의 눈, 코끝, 입 가장자리(입아귀), 턱끝(턱) 등의 화상의 컬러가 변화되는 점이다. 피사체 인물의 눈, 코끝, 입 가장자리(입아귀) 또는 턱끝(턱) 등은 얼굴 검출 기술에 의해 검출된다.
그 다음에, 스텝(S12)에서 추출된 특징점으로부터 대응점이 결정된다[스텝(S14)]. 여기서, 대응점은 특징점 중에서 스텝(S10)에서 선택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 각각에서 서로 대응되는 점이다. 도 4에 나타낸 예에서 대응점은 코끝이다.
그 다음에,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촬영하기 위해 사용된 촬영 유닛(10)의 위치 관계 및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에서의 대응점의 좌표(대응점 좌표)에 의거하여 촬영시의 촬영 장치(1)로부터 대응점까지의 거리가 산출된다[스텝(S16)]. 그리고, 스텝(S10)에서 선택된 화상 데이터의 식별자(시점 ID), 대응점 좌표 및 대응점 거리가 거리 히스토그램 데이터로서 저장된다.
그 다음에, 거리 히스토그램 데이터의 생성에 사용되는 화상 데이터의 조합이 변경되고[스텝(S18)에서의 "No", 스텝(S20)], 스텝(S12)으로 리턴된다. 또한, 스텝(S12~S16)의 각 공정의 연산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스텝(S18)으로 처리가 진행되어 거리 히스토그램 데이터의 생성에 사용되는 화상 데이터의 조합이 변경된다[스텝(S20)].
그리고, 스텝(S12~S20)의 공정이 반복되어 모든 화상 데이터 조합에 의거한 거리 히스토그램 데이터 생성이 종료하면[스텝(S18)에서의 Yes] 처리를 종료한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거리 히스토그램 데이터가 생성된다.
도 5(a)에서 시점 ID = 1,3은 화상 데이터(1 및 3)에 의거하여 생성된 거리 히스토그램 데이터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대응점 좌표 = (1, 200, 150)은 화상 데이터(1)에서의 대응점의 위치가 X = 200(픽셀), Y = 150(픽셀)인 것을 나타내고, 대응점 좌표 = (3, 190, 160)은 화상 데이터(3)에서의 대응점의 위치가 X = 190(픽셀), Y = 160(픽셀)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 5A에서 대응점 거리 = 2.5m는 화상 데이터(1 및 3)의 조합으로부터 산출된 대응점까지의 거리가 2.5m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 5B 및 도 5C에 나타낸 예에서 화상 데이터(2 및 4)의 조합으로부터 산출된 대응점까지의 거리는 4.5m이고, 화상 데이터(5 및 6)의 조합으로부터 산출된 대응점까지의 거리는 2.2m이다.
도 5A ~ 도 5C에 나타낸 예에서 화상 데이터(1 및 3)의 조합으로부터 산출된 대응점까지의 거리 2.5m와 화상 데이터(5 및 6)의 조합으로부터 산출된 대응점까지의 거리 2.2m가 가까운 값인 반면에, 화상 데이터(2 및 4)의 조합으로부터 산출된 대응점까지의 거리 4.5m는 크게 벗어난다[즉, 기준값(임의의 값, 예를 들면, 평균값 또는 모드값)으로부터 크게 벗어남]. 그러므로, 화상 데이터(2 및 4)의 조합에 의거한 거리 연산은 유효성이 낮다고 판정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대응점까지의 거리를 관련 정보 데이터로서 기록용 화상 파일(F10)에 저장하는 것은 대응점까지의 거리의 기준값으로부터의 편차에 의거하여 대응점까지의 거리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상 데이터의 조합에 의거한 거리 연산의 유효성을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의 편집 동안에 또는 입체적인 표시를 행할 때에 거리 연산 유효성이 높은 화상 데이터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은 보다 실제감이 있는 입체적인 표시를 성취할 수 있 게 한다.
상기 예에서 거리 히스토그램 데이터로서 대응점 좌표 및 대응점 거리가 저장되었지만, 복수의 대응점 각각에 대한 대응점까지의 거리를 산출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도 7은 복수의 대응점에 대해서 산출된 거리 히스토그램 데이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에서 수평축은 대응점까지의 거리를 나타내고, 수직축은 대응점 거리가 동일한(또는, 대응점 거리가 소정의 범위 내인) 대응점의 수의 누적값(도수)을 나타낸다. 데이터(L1)는 화상 데이터(1 및 2)에 의거하여 생성된 거리 히스토그램 데이터이며, 데이터(L2)는 화상 데이터(3 및 4)에 의거하여 생성된 거리 히스토그램 데이터이다. 도 7에 나타낸 예에서 영역(R1)에 있어서 도수의 편차가 크므로 영역(R1)에서 거리 연산의 오차가 클 것이다. 따라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대응점에 대해서 대응점 거리를 산출하고, 관련 정보 데이터로서 기록용 화상 파일(F10)에 저장함으로써 화면의 각 영역에 대하여 거리 연산의 유효성을 판정할 수 있다.
게다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련 정보 데이터로서 촬영시의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거리 화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도 7의 예에서와 같이, 화면 상의 각 영역에 대하여 거리 연산의 유효성을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화상 데이터 영역(A2)에 깊이 화상(Depth Map: 화상 데이터에서 대응점의 깊이를 흑백 그라데이션에 의해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깊이 화상의 포맷은 비트맵(BMP)에 한정되 지 않는다.
[제 2 실시예]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가 설명된다. 촬영 장치(1) 등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같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기록용 화상 파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기록용 화상 파일(F12)은 제 1 화상 데이터 영역(A1), 제 2 화상 데이터 영역(A2) 및 관련 정보 영역(A3)을 포함한다.
제 1 화상 데이터 영역(A1) 및 제 2 화상 데이터 영역(A2)은 화상 데이터 및 그 화상 데이터의 헤더가 저장된다.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화상 데이터의 헤더는 기록용 화상 파일(F12)에서 각 화상 데이터에 고유한 식별자(ID)를 포함한다.
관련 정보 영역(A3)은 제 1 화상 데이터 영역(A1) 및 제 2 화상 데이터 영역(A2)의 후방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화상 데이터 영역(A1) 및 제 2 화상 데이터 영역(A2)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편집 이력 정보가 관련 정보 영역(A3)에 저장된다.
도 11은 편집 이력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2개의 편집 이력 정보 데이터(E1 및 E2)를 나타낸다.
편집 이력 정보 데이터(E1 및 E2)는 편집 처리 내용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처리 ID), 편집 처리의 대상인 화상 데이터의 ID(처리 대상 화상 ID), 편집 처 리가 행해진 날짜 및 시간 정보 및 처리 내용 데이터 영역(각각 E10 및 E20)을 포함한다. 편집 이력 정보 데이터(E1)에서는 처리 ID = "수정", 처리 대상 화상 ID = 1, 화상 데이터(1)이 수정된 날짜가 DATE 1인 것을 나타낸다. 편집 이력 정보 데이터(E1)의 처리 내용 데이터 영역(E10)에 화상 데이터의 수정 내용에 대응되는 수정 차분 정보가 저장된다.
한편, 편집 이력 정보 데이터(E2)에서는 처리 ID = "삭제", 기록용 화상 파일(F12)에서 화상 데이터의 일부가 삭제되는 날짜는 DATE 2인 것을 나타낸다. 편집 이력 정보 데이터(E2)의 처리 내용 데이터 영역(E20)에 삭제된 화상 데이터 및 그 헤더 정보(삭제 데이터 헤더)가 저장된다.
그 다음에, 기록용 화상 파일(F12)의 편집 처리가 설명될 것이다. 도 12는 기록용 화상 파일(F12)의 편집 처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3은 기록용 화상 파일(F12)의 편집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우선, 메모리 카드(70)로부터 기록용 화상 파일(F12)이 판독되고[스텝(S30)],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 화상 데이터의 헤더 정보 및 관련 정보 데이터(편집 이력 정보)로 분할되어 SDRAM(워크 메모리)(26)에 전개된다[스텝(S32)].
그 다음에, 조작 유닛(14)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SDRAM(26)에 전개된 화상 데이터 또는 그 헤더에 편집 처리가 행해지고[스텝(S34)], 복수의 분할된 화상 데이터가 결합되어 스텝(S34)에서의 편집 처리 내용에 대응되는 편집 이력 정보가 관련 정보 영역(A3)에 기록되며[스텝(S36], 기록용 화상 파일이 생성되어 메모리 카 드(70)에 출력된다[스텝(S38)].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가 수정되는 경우 수정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처리 대상 화상 ID, 수정 날짜 및 시간과 함께 수정 차분 정보가 기록된다. 선택적으로, 화상 데이터가 삭제되는 경우,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삭제 날짜 및 시간과 함께 삭제된 화상 데이터 및 그 헤더 정보가 기록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록용 화상 파일에서 화상 데이터 각각의 편집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것은 복수의 화상 데이터에 동일한 편집 처리를 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편집 이력 정보를 사용하여 기록용 화상 파일(F12)을 편집 처리전의 상태로 복원할 수 있게 한다.
[제 3 실시예]
그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제 3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촬영 장치(1) 등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같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기록용 화상 파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기록용 화상 파일(F14)은 제 1 화상 데이터 영역(A1), 제 2 화상 데이터 영역(A2) 및 관련 정보 영역(A3)을 포함한다.
제 1 화상 데이터 영역(A1) 및 제 2 화상 데이터 영역(A2)의 각각에 화상 데이터 및 그 화상 데이터의 헤더가 저장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련 정보 영역(A3)은 제 1 화상 데이터 영역(A1)과 제 2 화상 데이터 영역(A2)의 후방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화상 데이터 영역(A1) 및 제 2 화상 데이터 영역(A2)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가 모니터(30), 외부 표시 장치 또는 프린터 등에 출력된 이력을 나타내는 참조 이력 정보가 관련 정보 영역(A3)에 저장된다.
도 15는 참조 이력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조 이력 정보는 화상 데이터가 참조된 날짜 및 시간 정보, 화상 데이터가 출력된 기기[모니터(30), 외부 표시 장치 또는 프린터]의 유형을 나타내는 참조 기기 유형 ID, 참조 기기 정보 및 참조된 화상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참조 화상 데이터 ID)를 포함한다. 도 15에 나타낸 예에서 참조 기기 유형 ID = 3D LCD, 참조 화상 데이터 ID = 1,2는 화상 데이터(1 및 2)가 출력된 기기가 3차원 표시가능한 LCD 모니터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참조 기기 정보는 출력처 기기로부터 취득되는 그 기기에 관련되는 정보이며, 예를 들면 상기 LCD 모니터의 사이즈, 입체적인 표시의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상 데이터의 수에 대응되는 출력 시점수(출력 시점 카운트), 및 상기 LCD 모니터를 보기 위한 권장 보기 거리(입체적으로 보기 위해 적합한 거리)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록용 화상 파일에서 복수의 화상 데이터 각각의 참조 이력 정보를 참조하는 것은 예를 들면, 출력처 기기의 3차원 표시 기능에 따라 최적의 참조 화상 데이터 ID, 시점 카운트 등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실시예 각각에서 관련 정보 영역(A3)에 변경 검출용 데이터가 저장된다.
도 16은 관련 정보 데이터로서 변경 검출용 데이터를 저장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에 나타낸 기록용 화상 파일(F16)의 관련 정보 영역(A3)에 변경 검출용 데이터(SIG 1)가 저장된다. 도 16에 나타낸 변경 검출용 데이터(SIG 1)는 제 1 화상 데이터 영역(A1) 및 제 2 화상 데이터 영역(A2)에서의 데이터 및 편집 이력 정보가 유저의 비밀 키(key)에 의해 암호화된 전자 서명이다. 유저는 기록용 화상 파일(F16)을 송신할 때에 이 전자 서명을 해독하기 위한 공개 키를 송신처 유저가 얻을 수 있도록 공개하거나 송신처 유저에게 미리 송신한다. 기록용 화상 파일(F16)을 수신한 후, 송신처 유저는 상기 공개 키를 사용하여 변경 검출용 데이터(SIG1)을 해독하고 기록용 화상 파일(F16)의 데이터와 대조함으로써 데이터 변경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는 상기 처리를 행하는 프로그램을 화상 기록 장치에 적용함으로써도 얻어질 수 있다.

Claims (22)

  1. 표준 포맷에 의해 규정된 제 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표준 포맷에 의해 규정된 1개 이상의 제 2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화상 데이터 취득 유닛;
    상기 제 1 및 제 2 화상 데이터 중 2개 이상의 화상 데이터에 관련되는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관련 정보 생성 유닛;
    상기 제 1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 제 1 화상 데이터 영역,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 제 2 화상 데이터 영역, 및 상기 관련 정보가 저장된 관련 정보 기록 영역을 포함하는 기록용 화상 파일을 생성하는 기록용 화상 파일 생성 유닛; 및
    상기 기록용 화상 파일을 기록하는 기록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화상 데이터를 편집하는 편집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련 정보 생성 유닛은 상기 제 1 또는 제 2 화상 데이터가 편집될 때에 상기 제 1 또는 제 2 화상 데이터에 행해지는 편집 내용을 나타내는 편집 이력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기록용 화상 파일 생성 유닛은 상기 편집 이력 정보를 상기 관련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화상 데이터, 및 상기 관련 정보의 변경을 검출하기 위한 변경 검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변경 검출용 데이터 생성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록용 화상 파일 생성 유닛은 상기 변경 검출용 데이터를 상기 관련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취득 유닛은 1개 이상의 촬영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다시점으로부터 촬영된 동일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 생성 유닛은 상기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입체 화상을 출력할 때에 사용될 화상의 조합에 관련되는 화상 조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기록용 화상 파일 생성 유닛은 상기 화상 조합 정보를 상기 관련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2개 이상의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화상 선택 유닛; 및
    상기 선택된 화상 데이터를 입체적으로 볼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입체 화상 출력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 생성 유닛은 상기 선택된 화상 데이터가 상기 입체 화상 출력 유닛에 출력될 때에 출력되고 참조된 상기 선택된 화상 데이터의 이력을 나타내는 참조 이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기록용 화상 파일 생성 유닛은 상기 참조 이력 정보를 상기 관련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 생성 유닛은 복수의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의 촬영시에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거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기록용 화상 파일 생성 유닛은 상기 거리 데이터를 상기 관련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생성되는 거리 히스토그램 데이터 또는 거리 화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화상 데이터를 편집하는 편집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련 정보 생성 유닛은 상기 제 1 또는 제 2 화상 데이터가 편집될 때에 상기 제 1 또는 제 2 화상 데이터에 행해지는 편집 내용을 나타내는 편집 이력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기록용 화상 파일 생성 유닛은 상기 편집 이력 정보를 상기 관련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화상 데이터, 및 상기 관련 정보의 변경을 검출하기 위한 변경 검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변경 검출용 데이터 생성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록용 화상 파일 생성 유닛은 상기 변경 검출용 데이터를 상기 관련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12. 표준 포맷에 의해 규정된 제 1 화상 데이터, 및 상기 표준 포맷에 의해 규정된 1개 이상의 제 2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화상 데이터 취득 공정;
    상기 제 1 및 제 2 화상 데이터 중 2개 이상의 화상 데이터에 관련되는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관련 정보 생성 공정;
    상기 제 1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 제 1 화상 데이터 영역,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가 저장된 제 2 화상 데이터 영역, 및 상기 관련 정보가 저장된 관련 정보 기 록 영역을 갖는 기록용 화상 파일을 생성하는 기록용 화상 파일 생성 공정; 및
    상기 기록용 화상 파일을 기록하는 기록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화상 데이터를 편집하는 편집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련 정보 생성 공정에서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화상 데이터가 편집될 때에 상기 제 1 또는 제 2 화상 데이터에 행해지는 편집 내용을 나타내는 편집 이력 정보가 생성되며;
    상기 기록용 화상 파일 생성 공정에서는 상기 편집 이력 정보가 상기 관련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화상 데이터, 및 상기 관련 정보의 변경을 검출하기 위한 변경 검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변경 검출용 데이터 생성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록용 화상 파일 생성 공정에서는 상기 변경 검출용 데이터가 상기 관련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취득 공정에서는 1개 이상의 촬영 수단을 사용하여 다시점 으로부터 촬영된 동일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가 취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 생성 공정에서는 입체 화상을 출력할 때에 사용될 화상의 조합에 관련되는 화상 조합 정보가 상기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생성되고;
    상기 기록용 화상 파일 생성 공정에서는 상기 화상 조합 정보가 상기 관련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2개 이상의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화상 선택 공정; 및
    상기 선택된 화상 데이터를 입체적으로 볼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여 입체 화상 출력 소자에 상기 변환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 생성 공정에서는 상기 선택된 화상 데이터가 상기 입체 화상 출력 소자에 출력될 때에 출력되고 참조된 상기 선택된 화상 데이터의 이력을 나타내는 참조 이력 정보가 생성되고;
    상기 기록용 화상 파일 생성 공정에서는 상기 참조 이력 정보가 상기 관련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 생성 공정에서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의 촬영시에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거리 데이터가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생성되고;
    상기 기록용 화상 파일 생성 공정에서는 상기 거리 데이터가 상기 관련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생성되는 거리 히스토그램 데이터 또는 거리 화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화상 데이터를 편집하는 편집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련 정보 생성 공정에서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화상 데이터가 편집될 때에 상기 제 1 또는 제 2 화상 데이터에 행해지는 편집 내용을 나타내는 편집 이력 정보가 생성되며;
    상기 기록용 화상 파일 생성 공정에서는 상기 편집 이력 정보가 상기 관련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화상 데이터, 및 상기 관련 정보의 변경을 검출하기 위한 변경 검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변경 검출용 데이터 생성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록용 화상 파일 생성 공정에서는 상기 변경 검출용 데이터가 상기 관련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KR1020097012872A 2006-12-27 2007-12-27 화상 기록 장치 및 화상 기록 방법 KR200900917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53209 2006-12-27
JP2006353209A JP5101101B2 (ja) 2006-12-27 2006-12-27 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記録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787A true KR20090091787A (ko) 2009-08-28

Family

ID=39588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2872A KR20090091787A (ko) 2006-12-27 2007-12-27 화상 기록 장치 및 화상 기록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315517A1 (ko)
JP (1) JP5101101B2 (ko)
KR (1) KR20090091787A (ko)
CN (1) CN101573971B (ko)
WO (1) WO20080819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0079B2 (en) 2007-02-15 2013-08-27 Pictometry International Corp. Event multiplexer for managing the capture of images
JP4914278B2 (ja) * 2007-04-16 2012-04-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94293B1 (ko) * 2009-04-06 2016-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2010287188A (ja) * 2009-06-15 2010-12-24 Canon Inc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5115570B2 (ja) * 2009-06-16 2013-01-09 株式会社ニコン 電子機器、およびカメラ
JP2011066507A (ja) * 2009-09-15 2011-03-31 Toshiba Corp 画像処理装置
JP2011182381A (ja) * 2010-02-08 2011-09-15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4997327B2 (ja) * 2010-10-01 2012-08-08 株式会社東芝 多視差画像受信装置
JP5050094B2 (ja) * 2010-12-21 2012-10-17 株式会社東芝 映像処理装置及び映像処理方法
JP5782813B2 (ja) 2011-04-27 2015-09-24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US9521395B2 (en) 2011-10-04 2016-12-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9536290B2 (en) * 2012-06-10 2017-01-03 Apple Inc. Tempered auto-adjusting, image-editing operation
US9146942B1 (en) * 2014-11-26 2015-09-29 Visual Supply Company Embedded edit decision list
JP7409385B2 (ja) * 2019-08-30 2024-01-09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データ処理方法、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4862A (en) * 1997-06-13 2000-09-26 Anivis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virtual views of sporting events
JP3272271B2 (ja) * 1997-06-27 2002-04-08 三洋電機株式会社 映像再生装置及び映像記録媒体
JP4097773B2 (ja) * 1998-04-20 2008-06-1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デジタル画像編集システム
JP2001203971A (ja) * 2000-01-19 2001-07-27 Hitachi Ltd 画像データ処理装置
US7466336B2 (en) * 2002-09-05 2008-12-16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and method for composing multi-perspective images
JP2004274091A (ja) * 2003-01-15 2004-09-30 Sharp Corp 画像データ作成装置、画像データ再生装置、画像データ記録方式および画像データ記録媒体
JP2005026800A (ja) * 2003-06-30 2005-01-27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画像処理方法、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US8204133B2 (en) * 2004-10-12 2012-06-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multi-view video using image stitching
JP2006318059A (ja) * 2005-05-10 2006-11-24 Olympus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用プログラム
US7573475B2 (en) * 2006-06-01 2009-08-11 Industrial Light & Magic 2D to 3D image conver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81993A1 (en) 2008-07-10
CN101573971A (zh) 2009-11-04
CN101573971B (zh) 2012-07-25
US20100315517A1 (en) 2010-12-16
JP5101101B2 (ja) 2012-12-19
JP2008167067A (ja) 2008-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1101B2 (ja) 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記録方法
US7929027B2 (en) Image management method
US20110018970A1 (en) Compound-eye imaging apparatus
US20080158346A1 (en) Compound eye digital camera
JP4809294B2 (ja) 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記録方法
JP4815470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5096048B2 (ja) 撮像装置、立体画像再生装置及び立体画像再生プログラム
US815021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US8493470B2 (en) Image recording device and image recording method
JP2008141514A (ja) 複眼デジタルカメラ
JP5322817B2 (ja) 3次元画像撮像装置及び3次元画像表示方法
JP5160460B2 (ja) 立体撮像装置および立体撮像方法
JP2008310187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4748399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4887461B2 (ja) 3次元画像撮像装置及び3次元画像表示方法
JP2008311943A (ja) 画像記録方法及び装置
JP4809295B2 (ja) 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記録方法
JP2010200024A (ja) 立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立体画像表示方法
JP2006128899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