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1010A - 띠형상물의 재봉 방법 - Google Patents

띠형상물의 재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1010A
KR20090091010A KR1020090008921A KR20090008921A KR20090091010A KR 20090091010 A KR20090091010 A KR 20090091010A KR 1020090008921 A KR1020090008921 A KR 1020090008921A KR 20090008921 A KR20090008921 A KR 20090008921A KR 20090091010 A KR20090091010 A KR 20090091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rubber tape
strip
tape
shaped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2518B1 (ko
Inventor
오사무 야스자와
히로미치 구라타
Original Assignee
야마토미신 세이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토미신 세이조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토미신 세이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91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6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ttaching bands, ribbons, strips, or tapes or for bindin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10Work-feeding means with rotary circular feed memb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6Presser fee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9/00Workpiece carri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02Mechanical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간이한 방법으로 띠형상물의 절단 단부를 짧게 할 수 있는 띠형상물의 재봉 방법이 제공된다. 주머니 형상 직물(70)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71)에 신축성의 띠형상물(T)을 공급 롤러(50, 51)쌍에 의해 공급하면서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71)에 띠형상물(T)을 긴장 상태로 재봉한다. 재봉 위치가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71)에 있어서의 띠형상물(T)의 재봉 종단부(Ts)에 이르렀을 때, 상기 띠형상물(T)의 공급을 정지한 후, 띠형상물(T)에 공급 방향의 반대 방향의 인장력을 부여하고, 재봉 종단부(Ts) 근방에서 띠형상물(T)을 절단한다.

Description

띠형상물의 재봉 방법{METHOD FOR SEWING BELT-SHAPED OBJECT}
본 발명은, 브리프나 수영복, 조깅 팬츠 등의 통 형상 직물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에, 고무 등의 신축성 띠형상물을 재봉하는 띠형상물의 재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브리프나 조깅 팬츠 등의 통 형상 직물에 있어서의, 허리 둘레부 또는 좌우의 가랑이부 등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에, 고무 등의 신축성 띠형상물을 재봉하기 위한 재봉틀의 전형적인 종래 기술은, 일본 특허 공고 소화 제63-6067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7-51478호 공보, 및 일본 특허 제373576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도 10은 일본 특허 제3735768호 공보에 개시된 것과 동일한 재봉틀(1)의 사시도이다. 도 10의 재봉틀(1)은, 오버록 재봉틀인 재봉틀 본체(8)에, 고무 테이프(T) 등의 띠형상물을 공급하는 띠형상물 공급 기구(2)를 포함한다. 띠형상물 공급 기구(2)는, 대롤러(4)와 소롤러(5)를 갖는 공급부를 포함하며, 대롤러(4)는 스테핑 모터(6)에 의해 타이밍 벨트(7)를 통해 회전 구동되고, 소롤러(5)는 대롤러(4)에 탄발적으로 접촉하여 종동 회전한다. 이러한 띠형상물 공급 기구(2)는 바늘판(9)의 상방에 설치되고, 또한 재봉틀(1)의 상방에는 도시하지 않은 띠형상물 송입 장치가 설치된다. 이 띠형상물 송입 장치는, 띠형상물인 고무 테이프(T)를 권회(卷回)한 릴을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하고 있으며, 릴로부터 권출(卷出)된 고무 테이프(T)는 띠형상물 공급 기구(2)의 대롤러(4)와 소롤러(5) 사이에 끼워지고, 대롤러(4)가 회전 구동함으로써 하방의 바늘판(9)을 향하여 공급된다.
바늘판(9) 상에는 노루발(10)이 배치되고, 이 노루발(10)에는, 띠형상물 공급 기구(2)로부터 공급되는 고무 테이프(T)가 삽입되는 띠형상물 안내구(11)가 마련된다. 이 띠형상물 안내구(11)에 삽입된 고무 테이프(T)는 노루발(10) 아래로 송출된다.
또한, 바늘판(9)에는 천(직물) 이송 방향(A)으로 연장되는 이송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이 이송홈에는 이송 톱니가 바늘판(9) 상면에 출몰 가능하게 배치되며, 이 이송 톱니가 이송홈 내에서 천 이송 방향으로 타원 운동함으로써, 노루발(10)의 누름판(12)과 바늘판(9) 사이에 끼워지는 직물을 천 이송 방향(A)으로 송출한다. 또한, 이송되는 직물을 절단하여, 직물의 단을 가지런히 하는 메스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바늘판(9)의 측부에 설치된다.
고무 테이프(T)를 꿰매 붙이는 경우에, 오퍼레이터는, 노루발(10)의 띠형상물의 띠형상물 안내구(11)에 공급된 고무 테이프(T) 아래에 직물을 세트하고, 재봉틀(1)을 구동시켜 재봉한다. 재봉틀(1)을 구동시키면, 직물의 측부가 메스 장치로 절단되면서 이송되고, 고무 테이프(T)가 공급되어, 직물의 단을 따라서 고무 테이프(T)를 꿰매 붙일 수 있다. 또한, 고무 테이프(T)를 공급하는 스테핑 모터(6)의 이송 속도를, 직물의 이송 속도보다도 늦춤으로써, 롤러(4, 5)로부터 바늘 낙하 위 치까지의 사이의 고무 테이프(T)에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여, 긴장 상태에서, 고무 테이프(T)가 직물에 꿰매 붙여진다.
이렇게 하여, 직물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고무 테이프(T)가 꿰매 붙여지고,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를 일주하여 고무 테이프(T)를 꿰매 붙이는 것이 완료되면, 대롤러(4)와 소롤러(5) 아래에 배치되는 메스 장치(3)로 고무 테이프(T)를 절단한다. 오퍼레이터는, 이러한 고무 부착 작업을 연속하여 행한다.
도 11은 전술한 재봉틀(1)에 의해 고무 테이프(T)가 각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에 꿰매 붙여진 브리프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의 브리프(20)에 있어서, 허리 둘레부(개구 둘레 가장자리부)(21)에서는, 고무 테이프(T)의 재봉 및 고무 테이프(T)의 절단 직후의 상태를, 좌우의 가랑이부(개구 둘레 가장자리부)(22, 23)에서는, 고무 테이프(T)의 재봉 및 고무 테이프(T)의 절단 후에, 추가적으로 절단 단부(절단 여유 부분)를 절제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허리 둘레부(21)에 있어서의 고무 테이프(T)의 재봉은, 통 형상 직물로서의 브리프(20)를 순환 이동시키면서 재봉되고, 결과적으로 솔기가 a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다. 고무 테이프(T)의 재봉부가 일주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메스 장치(3)에 의해 고무 테이프(T)가 절단된다. 이 절단 시에,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무 테이프(T)의 재봉된 종단부에는 이후에 절단되게 되는 부분(이하 절단 단부라 함)(Te)이 남는다. 절단 단부(Te)는 절제된 후 폐기된다. 절단 단부(Te)의 길이(L)는 통상 4 ㎝ 정도이며, 대량의 브리프(20)의 재봉 처리를 행하는 재봉 공장에서는, 폐기되는 고무 테이프(T)의 양은 무시할 수 없는 것이 실정이고, 재료 비용이 높아지는 것은 물론, 자원 절약의 관 점에서도 그 발본적인 해결이 요망되었다.
일본 특허 공고 소화 제63-60679호 공보에서는, 고무 테이프의 시단부가 재봉 위치에 가까워지면, 고무 테이프를 절단하고 가압판을 작동시켜 절단 단부에 브레이크 작용을 부여한 상태에서 재봉을 계속하며, 절단 단부를 인장한 상태로 하여 직물에 꿰매 붙이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고무 테이프의 종단부를 재봉 처리하도록 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폐기되어야 할 절단 단부가 발생하지 않고, 절단 단부도 긴장 상태로 꿰매 붙여진다. 그러나, 가압판에 의한 브레이크력의 조정 정도에 따라서는, 절단 단부의 긴장 상태와 다른 부분의 긴장 상태가 달라, 신체에 장착했을 때에 위화감을 느끼게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고무 테이프의 재봉 시단부와 종단부를 완전히 일치시키는 것도 어려우며, 불일치 정도에 따라서는, 상품의 품질상 문제가 되는 것도 예상된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7-51478호 공보에는, 재봉 시에 테이프 이송 모터의 회전 속도를 작게 하거나 또는 역회전시킴으로써 테이프의 이송량을 변화시켜, 직물의 임의의 길이 범위에 걸쳐서 개더링을 실시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7-51478호 공보에 있어서의 테이프 이송 모터의 회전 속도 또는 역회전 제어는, 어디까지나 개더링을 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테이프의 절단 단부의 처리를 의도한 것이 아니다.
또한, 일본 특허 제3735768호 공보에는, 고무 테이프의 재봉 종료 직전에, 띠형상물 공급 기구를 재봉 위치에 접근시키고, 그 후, 고무 테이프를 절단하여, 절단 단부를 그대로 직물에 꿰매 붙임으로써, 소위 무장력 부분을 짧게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 경우, 폐기되어야 할 절단 단부는 발생하지 않으나, 약간의 무장력 부분이 남는 것은 불가피하다. 게다가, 일본 특허 제3735768호 공보에 개시된 띠형상물 공급 기구를 재봉 위치에 접근시키기 위한 기구는, 스테핑 모터 등의 구동부를 포함하는 띠형상물 공급 기구 전체를 위 아래로 이동시키는 띠형상물 공급 이동 실린더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그 때문에, 장치가 대규모가 되고, 또한 기존의 재봉틀에 적용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이한 방법으로 띠형상물의 절단 단부를 짧게 할 수 있는 띠형상물의 재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통 형상 직물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에 신축성의 띠형상물을 공급 롤러쌍에 의해 공급하면서 상기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에 띠형상물을 재봉하는 띠형상물의 재봉 방법으로서,
재봉 위치가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띠형상물의 재봉 종단부에 이르렀을 때, 상기 띠형상물의 공급을 정지한 후, 띠형상물에 공급 방향의 반대 방향의 인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상기 재봉 종단부 근방에서 띠형상물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형상물의 재봉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급 정지 후의 띠형상물에 대한 인장력의 부여를, 상기 공급 롤러쌍을 정지시킨 후, 띠형상물의 공급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공급 롤러쌍을 회전시킴으로써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띠형상물의 재봉 방법에 따르면, 신축성의 띠형상물은, 공급 롤러쌍에 의해 공급되면서 띠형상물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에 순차적으로 재봉된다. 이때, 띠형상물은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의 둘레 방향에 걸쳐서 장력이 가해진 상태로 재봉된다. 그리고, 상기 재봉이,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띠형상물의 재봉 종단부에 이르렀을 때, 상기 띠형상물의 공급을 정지한 후, 띠형상물에 공급 방향의 반대 방향의 인장력을 부여시킨 상태로 한 후에 상기 재봉 종단부 근방에서 띠형상물을 절단하기 때문에, 이 절단 직전의 상태에서는, 재봉 종단부와 공급 롤러쌍 사이에서 띠형상물이 신장된 상태가 되고, 절단에 의해 재봉 종단부에 남는 절단 여유 부분이 되는 절단 단부가 수축한다. 이 절단 단부는 절제되어 폐기되지만, 수축에 의해 짧아져 있기 때문에, 대량으로 재봉을 행해도, 종래에 비하여 띠형상물의 폐기량은 현저히 적어진다.
또한, 상기 공급 정지 후의 띠형상물에 대한 인장력의 부여를, 상기 공급 롤러쌍을 정지시킨 후, 띠형상물의 공급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공급 롤러쌍을 회전시킴으로써 행하도록 하면, 인장력의 부여가 간이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게다가, 기존의 재봉틀에 대하여, 조금도 설계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동작 프로그램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띠형상물의 절단 단부를 짧게 하는 처리를 실행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재봉틀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있어서 매우 유익하다.
본 발명의 목적, 특색 및 이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띠형상물의 재봉 방법을 이용하면, 재봉 종료후 절제되어 폐기되는 띠형상물의 절단 단부를 매우 간단하게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띠형상물의 재봉 방법이 적용되는 재봉틀(30)의 사시도이다. 재봉틀(30)은 편평봉(flat seam stitch) 재봉틀인 재봉틀 본체(31)에 띠형상물 공급 기구(32)가 부착되어 구성되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축성의 띠형상물로서 고무 테이프(T)를 공급하여, 예컨대 브리프나 조깅 팬츠 등의 허리 둘레부 또는 가랑이부 등과 같은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에 고무를 부착하는 경우에 이용한다.
재봉틀 본체(31)의 실린더 베드부(35) 상에는 수평으로 바늘판(36)이 배치되고, 바늘판(36) 상에는 노루발(37)이 배치된다. 이 노루발(37)은 재봉틀 본체(31)에 축 지지되며, 또한 노루발(37)은 비틀림 스프링(도 2 참조)(38)에 의해 하방으로 압박된다. 노루발(37) 아래의 바늘판(36)에는, 바늘(39)(도 2 참조)이 삽입 관통되는 바늘 낙하부(도시하지 않음), 및 천(직물) 이송 방향(A)으로 연장되는 이송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이 이송홈 내에는 이송홈 내에서 바늘(39)의 상하 왕복 이동에 동기하여 바늘판(36)의 상면에 출몰 가능하게 타원 운동을 행하며, 바늘판(36) 상의 직물을 천 이송 방향(A)으로 이송하는 이송 톱니(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또한, 노루발(37)의 천 이송 방향(A) 상류측(도 2의 우측) 근방에는, 이송되는 직물의 가장자리를 절단하여 정돈하는 메스 장치(40)(도 2 참조)가 설치된다.
재봉틀 본체(31)의 전면(前面)에는, 띠형상물 공급 기구(32)가 부착된다. 띠형상물 공급 기구(32)는, 띠형상물의 공급 롤러쌍[대롤러(50) 및 소롤러(51)] 및 메스 장치(52)를 구비한 공급부(53)와, 구동원인 스테핑 모터(55)를 포함한다. 띠 형상물 공급 기구(32)의 상방에는 고무 테이프(T)를 공급 롤러쌍(50, 51)에 공급하는 테이프 이송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급 롤러쌍(50, 51)의 이송 작용에 의해, 고무 테이프(T)가 바늘 낙하 위치를 향하여 공급된다.
도 2는 띠형상물 공급 기구(32)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절단면선 Ⅲ-Ⅲ에서 본 개략적 단면도이다. 스테핑 모터(55)는 모터 부착대(60)에 유지되고, 모터 부착대(60)는 롤러 장치 부착대(61)(도 2, 도 3에서는 생략)에 부착된다. 스테핑 모터(55)의 출력축에는 타이밍 풀리가 고정되고, 타이밍 벨트를 통해 타이밍 풀리(모두 도시하지 않음)가 회전한다. 타이밍 풀리는, 대롤러(50)에 축(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테핑 모터(55)에 의해 대롤러(50)를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소롤러(51)는, 롤러 링크(62)에 축 지지되어 있으며, 비틀림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대롤러(50)에 탄발적으로 접촉한다. 또한, 오퍼레이터가, 롤러 링크(62)에 연결되는 롤러 가압 레버(도시하지 않음)를 누름으로써, 롤러 링크(62)가 전방으로 끌어올려져, 소롤러(51)를 대롤러(5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무 테이프(T)를 세트하기 위해서는, 소롤러(51)를 이격시킨 상태에서, 대롤러(50)와의 간극에 고무 테이프(T)를 삽입하고, 소롤러(51)를 원래대로 복귀시킨다.
대롤러(50) 및 소롤러(51)는, 외주면이 널링(knurling) 가공되어 있기 때문에, 대롤러(50)와 소롤러(51)에 의해, 고무 테이프(T)를 확실하게 협지(挾持)할 수 있다. 또한, 대롤러(50)를 스테핑 모터(55)로 회전 구동시키면, 소롤러(51)가 종동 회전하면서, 대롤러(50)와 소롤러(51)에 의해 협지되는 고무 테이프(T)가 하방 으로 송출된다.
띠형상물 공급 기구(32)의 롤러 장치 부착대(61)에는, 포토인터럽터 등의 광학적 검출기에 의해 실현되는 테이프 센서(56)가 설치된다. 바늘판(36)의 천 이송 방향(A)의 상류측 근방에는, 반사판(57)이 부착된다. 반사판(57)은 테이프 센서(56)의 발광 소자(56a)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광로 상에 위치하고, 그 반사광이 테이프 센서(56)의 수광(受光) 소자(56b)로 지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대롤러(50)와 소롤러(51) 바로 아래에는 메스 장치(52)가 부착된다. 메스 장치(52)는 고정 메스(52A)와 가동 메스(52B)를 포함하며, 이들 사이를 고무 테이프(T)가 통과하여 송출되고, 재봉 종료 시에, 가동 메스(52B)를 작동시킴으로써, 고무 테이프(T)를 절단할 수 있다. 가동 메스(52B)는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된다. 노루발(37)에는, 띠형상물 안내구(41)가 형성되고, 메스 장치(52)를 통해 송출된 고무 테이프(T)는 띠형상물 안내구(41)에 삽입되어, 노루발(37)의 하면으로 안내된다.
이러한 구성의 재봉틀(30)에 있어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재봉 대상인 통 형상 직물로서의 브리프(70)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 예컨대 허리 둘레부(71)에 고무 테이프(T)를 그 둘레 방향을 따라서 재봉하는 경우, 노루발(37)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테이프(T)가 띠형상물 안내구(41)에 공급되고, 이 테이프(T) 아래에 브리프(70)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허리 둘레부(71)를 재봉틀 본체(31)의 실린더 베드부(35)에 세트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는 실린더 베드부(35)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으나, 브리프(70)를 실린더 베드부(35)에 세트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브리프(70)의 허리 둘레부(71)가 바늘판(36)과 노루발(37) 사이에 협지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해 작동하는 상기 이송 톱니(도시하지 않음)가 작동하면, 브리프(70)는 천 이송 방향(A)으로 순환하도록 이송된다. 이 천 이송 동작과 동기하여 바늘(39)의 상하 왕복 동작이 개시되고, 공급 롤러쌍(50, 51)이 작동하여, 테이프(T)가 노루발(37)의 하면으로 안내되며, 브리프(70)의 허리 둘레부(71) 상에 고무 테이프(T)가 재봉되어 간다. 이때, 메스 장치(40)도 절단 상태로 되며, 이송되는 브리프(70)의 가장자리(74)를 절단하여 정돈한다. 고무 테이프(T)의 공급 속도는 천 이송 속도보다 약간 작게 되며, 이에 따라 고무 테이프(T)는 장력을 가진 상태로 브리프(70)의 허리 둘레부(71)에 재봉되어 간다.
고무 테이프(T)의 재봉 중, 브리프(70)는 직물단을 가지런히 하기 위해서 가능한 한 적은 폭으로 메스 장치(40)에 의해 절단되고, 직물 가이드(G)에 의해 직물단(70E)을 가이드 받으면서 테이프(T)와 함께 이송되어 간다. 테이프 센서(56)의 반사판(57)은 직물 가이드(G)의 선단부 상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브리프(70)의 직물단(70E)이 아니라, 테이프의 재봉 시단부(Ts)를 검지한다. 고무 테이프(T)의 재봉이 진행되고, 고무 테이프(T)의 재봉단이 일주하여, 재봉 시단부(Ts)가 반사판(57) 위를 통과하면, 수광 소자(56b)는 발광 소자(56a)로부터 반발광을 수광하지 않게 된다. 수광 소자(56b)에 반사광이 수광되지 않음을 검출하고 나서, 고무 테이프(T)의 재봉 시단부(Ts)가 상기 띠형상물 안내구(41)에 이르는 시간을 산출하여, 천 이송의 정지 및 공급 롤러쌍(50, 51)의 정지가 이루어진다. 즉, 재봉 시단부(Ts)가 띠형상물 안내구(41)에 이르면, 재봉 종단부가 된다. 그 후, 스테핑 모 터(55)가 역회전하고, 이에 따라, 대롤러(50)도 역회전하여, 대롤러(50)와 소롤러(51)에 의해 협지된 고무 테이프(T)에 인장력이 부여된다. 브리프(70)는 재봉이 완료된 고무 테이프(T)와 함께, 바늘판(36)과 노루발(37)에 의해 협지되어 있기 때문에, 고무 테이프(T)는 공급 반대 방향으로 인장되고, 이 협지 부분과 공급 롤러쌍(50, 51) 사이에서 신장된 상태가 된다. 이 신장된 상태에서 메스 장치(52)가 작동하여, 고무 테이프(T)가 절단된다. 도 4는 통상의 재봉 상태를, 도 5는 재봉 완료 후, 고무 테이프(T)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전술한 재봉틀(30)에 의해 고무 테이프(T)가 각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에 꿰매 붙여진 브리프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의 브리프(70)에 있어서, 허리 둘레부(71)에서는, 고무 테이프(T)의 재봉 및 고무 테이프(T)의 절단 직후의 상태를, 좌우의 가랑이부(72, 73)에서는, 고무 테이프(T)의 재봉 및 고무 테이프(T)의 절단 후 추가적으로 절단 단부(절단 여유 부분)를 절제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허리 둘레부(71)에 있어서의 고무 테이프(T)의 재봉은, 통 형상 직물로서의 브리프(70)를 순환 이동시키면서 재봉이 이루어지고, 결과적으로 재봉은 a 방향을 따라서 이루어진다.
고무 테이프(T)의 재봉부가 일주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메스 장치(52)에 의해 고무 테이프(T)의 절단이 이루어진다. 이 절단 시에,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봉의 종단부에는 고무 테이프(T)의 절단 단부(Te)가 남고, 그 후, 절단 단부(Te)는 절제되어 폐기된다. 이 절단 단부(Te)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신장된 상태에서 절단되기 때문에, 절단 후 수축되어, 그 길이(Ls)는 도 11의 경우의 길이(L) 보다 대폭으로 짧아진다. 따라서, 절제 및 폐기되는 고무 테이프(T)의 양이 적어져, 대량의 재봉 처리가 이루어지는 재봉 공장에서는 자원 절약 및 비용 삭감에 유효하다.
도 7은 재봉틀(30)의 제어 블록도이다. 재봉틀(30)은 제어부(제어 회로)(63)에 의해, 재봉틀 회전 모터(64), 띠형상물 공급 기구(32)의 스테핑 모터(55), 및 고무 테이프(T)를 절단하는 메스 장치(52)의 가동 메스 구동 실린더(도시하지 않음) 및 직물의 가장자리부를 절단하여 정돈하는 메스 장치(40)를 제어한다. 이 제어부(63)는 입력되는 신호(S1∼S4)에 응답하여 이들을 제어한다. 신호(S1∼S3)는, 오퍼레이터의 발 밑에서 조작되는 페달(65)로부터 출력되며, 신호(S1)는 앞밟기 신호, 신호(S2)는 중립 신호 및 신호(S3)는 뒤밟기 신호이다. 또한, 신호(S4)는 테이프 센서(56)로부터 출력되는 직물 유무 신호이다.
다음으로, 도 8의 플로우차트 및 도 9의 타이밍차트를 참조하여, 재봉틀(30)의 제어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에 있어서의 시각(t0)은, 이전회의 재봉 작업이 종료되고, 다음의 재봉 작업에 착수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시각(t1)에 있어서, 페달(65)이 뒤로 밟혀지고(단계 ST1), 페달(65)의 뒤밟기 신호(S3)에 응답하여 제어부(63)는 노루발(37)을 상승 위치가 되게 하며, 이 상태에서는, 재봉이 종료된 브리프(70)를 빼내고, 새롭게 재봉할 직물(70)을 바늘판(36) 상에 세트할 수 있다. 이때, 스테핑 모터(55)가 정회전하여, 소정량만큼 고무 테이프(T)가 공급되고, 고무 테이프(T)가 띠형상물 안내구(41)에까지 삽입된다(단계 ST2). 직물(70)의 세트 및 고무 테이프(T)의 삽입 및 소정 위치에의 장착이 끝나면, 시각(t2)에서 페달(65)이 뒤로 밟혀지는 것이 오프(OFF) 되어 중립 위치로 복귀된다. 페달(65)로부터의 중립 신호(S2)에 응답하여, 제어부(63)는 노루발(37)을 하강 위치로 내리고, 이에 따라, 바늘판(36) 상에서, 고무 테이프(T)가 직물(70)에 겹쳐진 상태로 위로부터 노루발(37)에 의해 가압된다.
다음으로, 시각(t3)에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페달(65)을 앞밟기 위치까지 앞으로 밟아(단계 ST3), 재봉 작업을 개시한다. 그러면, 앞밟기 신호(S1)가 제어부(63)에 입력되고, 이것에 응답하여 제어부(63)는, 재봉틀 회전 모터(64)를 회전시켜 재봉틀을 구동시키며, 띠형상물 공급 기구(32)의 스테핑 모터(55)를 정회전시킨다(단계 ST4). 이에 따라, 직물(70)과 함께 고무 테이프(T)가 공급되고, 직물(70)에 고무 테이프가 꿰매 붙여져서 송출된다. 또한, 이때, 메스 장치(메스드롭)(40)는 절단 위치에 있으며, 직물(70)의 송출과 아울러, 허리 둘레부(71)의 가장자리(74)가 절단되어 정돈된다.
이렇게 하여, 직물(70)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허리 둘레부)(71)에 고무 테이프(T)를 꿰매 붙이고, 재봉의 종료가 가까워지면, 시각(t4)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 센서(56)가 온(ON)되어 테이프단이 있는 것을 검지하고, 그 신호(S4)가 제어부(63)에 입력된다(단계 ST5). 이때, 메스 장치(메스드롭)(40)가 작동하고(단계 ST6), 메스 장치(40)에 의한 직물(70)의 절단이 정지된다. 그 후, 시각(t5)에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페달(65)을 밟는 것을 정지하면, 재봉틀 회전 모터(64) 및 스테핑 모터(55)의 회전이 정지되어, 고무 테이프(T)의 재봉 작업이 종료된다.
시각(t6)에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페달(65)을 뒤로 밟으면(단계 ST7), 이 뒤 밟기 신호(S3)에 응답하여 제어부(63)는, 스테핑 모터(55)를 역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고무 테이프(T)가 공급 반대 방향으로 인장되어 끌어올려진다(단계 ST8). 동시에 실 절단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작동하여, 재봉실의 절단이 이루어진다(단계 ST9). 이어서, 제어부(63)는 메스 장치(52)를 작동시켜, 끌어올림에 의해 신장된 고무 테이프(T)를 절단하고, 노루발(37)을 상승 위치로 한다(단계 ST10).
고무 테이프(T)의 절단에 의해, 브리프(70)의 고무 테이프 재봉 작업이 완료되고, 이 상태에서는 노루발(37)이 상승 위치에 있기 때문에,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재봉을 완료한 브리프(70)를 빼낼 수 있다. 그리고, 시각(t8)에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페달(65)을 뒤로 밟는 것을 정지하여 중립 위치로 복귀하면(단계 ST11), 이 중립 신호(S2)에 응답하여 제어부(63)는 메스 장치(40)를 절단 위치(메스드롭 복귀)가 되게 하고(단계 ST12), 노루발(37)을 하강 위치가 되게 하여, 다음 재봉 동작의 대기 상태가 되게 한다. 그 후, 새로운 직물이 세트되고, 단계 ST1∼단계 ST12의 동작이 반복되어, 브리프(70)의 허리 둘레부(71)에 대한 고무 테이프(T)의 재봉이 이루어져 간다. 브리프(70)의 좌우의 가랑이부(72, 73)에 대한 고무 테이프(T)의 재봉도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렇게 하여, 재봉이 완료된 브리프(70)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무 테이프(T)의 절단 단부(Te)가 종래의 경우에 비하여 대폭으로 짧으며, 따라서 대량의 재봉 처리가 이루어지는 재봉 공장에서도, 폐기되는 고무 테이프(T)의 양이 대폭으로 삭감된다. 또한, 기존의 재봉틀(30) 자체의 구조적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동작 프로그램의 변경만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매우 유익하다.
전술한 동작 흐름에 있어서는, 단계 ST5의 테이프단 검지(테이프 센서 온) 후 단계 ST7의 페달의 뒤밟기 신호를 트리거로 하여, 단계 ST8의 테이프 끌어올림(테이프 이송 모터 역회전) 및 그 후의 단계 ST10의 테이프 컷트가 실행되도록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홈질 카운터를 설치하여, 바느질 개시로부터의 홈질 수를 카운트하고, 고무 부착 종료에 대응하는 소정 홈질 수를 카운트했을 때, 제어부(63)에 스테핑 모터(55)의 역회전 신호 및 메스 장치(52)의 작동 신호를 송출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는, 단계 ST5의 테이프단 검지(테이프 센서 온) 신호(S4)를 트리거로 하여, 이 신호(S4)의 입력 후의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스테핑 모터(55)의 역회전 신호 및 메스 장치(52)의 작동 신호를 송출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의 소정 시간은, 도 3에 도시하는 테이프 시단부(Ts)가 직물 센서 신호(S4)의 입력 후 재봉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을 미리 산출하여 설정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띠형상물의 재봉 방법을 편평봉 재봉틀에 적용한 예에 대해서 기술하였으나, 적용 대상이 오버록 재봉틀이어도 좋다.
또한, 재봉 완료 후, 띠형상물에 공급 방향의 반대 방향의 인장력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 공급 롤러쌍을 역회전하는 예에 대해서 기술하였으나, 공급 롤러쌍과 재봉 위치 사이에, 고무 테이프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치(예컨대, 실린더 등에 의해 작동하는 가압부)를 배치하고, 재봉 완료 후 이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직물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에 재봉되는 테이프가 통과하는지의 여부 를 테이프 센서(56)가 검지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직물에 대한 고무 테이프의 겹침 상태를 광 검지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 고무 부착 도중에는, 직물 위에 고무 테이프가 1장만 겹쳐진 상태이며, 허리 둘레부를 일주하면, 고무 테이프가 2중으로 겹쳐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고무 테이프가 1장일 때의 수광량과, 2중으로 겹쳐졌을 때의 수광량의 차에 기초하여, 고무 부착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직물 센서에 의해, 오퍼레이터가 조작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고무 부착 종료를 판단하여, 고무 테이프의 끌어올림 및 절단을 행할 수 있다. 테이프 센서(56)로서는, 예시한 포토인터럽터 방식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식의 것이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띠형상물은 고무 테이프에 한정되지 않고, 신축성이 있는 천 테이프 등이어도 좋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나타내는 것이며, 명세서 본문에는 조금도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띠형상물의 재봉 방법이 적용되는 재봉틀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띠형상물 공급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절단면선 Ⅲ-Ⅲ에서 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띠형상물 공급 기구에 있어서 통상의 재봉 상태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띠형상물 공급 기구에 있어서 재봉 완료 후 고무 테이프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고무 테이프의 재봉이 이루어진 브리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재봉틀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8은 재봉틀에 의한 재봉 동작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제어부의 타이밍차트이다.
도 10은 종래의 재봉틀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재봉틀을 이용하여 종래의 방법에 의해 고무 테이프의 재봉이 이루어진 브리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Claims (2)

  1. 통 형상 직물의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에 신축성의 띠형상물을 공급 롤러쌍에 의해 공급하면서 상기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에 띠형상물을 재봉하는 띠형상물의 재봉 방법으로서,
    재봉 위치가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띠형상물의 재봉 종단부에 이르렀을 때, 상기 띠형상물의 공급을 정지한 후, 띠형상물에 공급 방향의 반대 방향의 인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상기 재봉 종단부 근방에서 띠형상물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형상물의 재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정지 후의 띠형상물에 대한 인장력의 부여를, 상기 공급 롤러쌍을 정지시킨 후, 띠형상물의 공급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공급 롤러쌍을 회전시킴으로써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형상물의 재봉 방법.
KR1020090008921A 2008-02-22 2009-02-04 띠형상물의 재봉 방법 KR101512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42238 2008-02-22
JP2008042238A JP5212935B2 (ja) 2008-02-22 2008-02-22 帯状物の縫着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010A true KR20090091010A (ko) 2009-08-26
KR101512518B1 KR101512518B1 (ko) 2015-04-15

Family

ID=41039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921A KR101512518B1 (ko) 2008-02-22 2009-02-04 띠형상물의 재봉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212935B2 (ko)
KR (1) KR101512518B1 (ko)
CN (1) CN101514516B (ko)
TW (1) TWI44451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725B1 (ko) * 2010-05-19 2012-01-20 주식회사 미싱이야기 오버로크 재봉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82107B2 (ja) * 2011-10-04 2016-08-31 Juki株式会社 テープ送り出し装置、及びテープ縫い付け装置
CN103842275B (zh) * 2011-10-04 2016-06-01 Juki株式会社 布带送出装置、以及布带缝制装置
JP5965740B2 (ja) * 2012-06-25 2016-08-10 Juki株式会社 テープ縫い付け装置
CN105040284A (zh) * 2015-06-24 2015-11-11 星锐缝纫机(嘉兴)有限公司 同时车缝双面织带的缝纫机
JP6727826B2 (ja) * 2016-02-04 2020-07-22 Juki株式会社 ミシン
JP6913846B2 (ja) * 2016-07-25 2021-08-04 ヤマトミシン製造株式会社 長尺帯状物縫い付け用ミシン
CN106319779A (zh) * 2016-10-21 2017-01-11 苏州匠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地垫的包边条机构
CN109457407B (zh) * 2018-10-23 2020-10-27 温州赛美德箱包有限公司 箱包缝纫机用包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10181C2 (de) * 1984-03-20 1986-07-17 Helmut Tübach Schips Nähmaschine
US5394813A (en) * 1993-10-12 1995-03-07 Pegasus Sewing Machine Mfg. Co., Ltd. Apparatus for sewing an elastic tape on an edge of a workpiece
JP3735768B2 (ja) * 2000-12-06 2006-01-18 ヤマトミシン製造株式会社 ミシン
JP3906375B2 (ja) * 2002-05-09 2007-04-18 ヤマトミシン製造株式会社 縫製装置の制御装置
JP2007130177A (ja) * 2005-11-09 2007-05-31 Atsupu Stone:Kk テープセッター、およびテープセッターを備えているテープ送給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725B1 (ko) * 2010-05-19 2012-01-20 주식회사 미싱이야기 오버로크 재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2518B1 (ko) 2015-04-15
CN101514516A (zh) 2009-08-26
JP5212935B2 (ja) 2013-06-19
TWI444515B (zh) 2014-07-11
JP2009195578A (ja) 2009-09-03
TW201000710A (en) 2010-01-01
CN101514516B (zh)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91010A (ko) 띠형상물의 재봉 방법
US65176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joining fabrics without sewing
US5269239A (en) Automatic attachment of pre-closed elastic waistbands
JPH0523468A (ja) ミシンのテープ縫付け方法及び装置
JPS6360679B2 (ko)
JPH067568A (ja) 縫製装置
KR101859120B1 (ko) 밴드 장력 자동 조절 봉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밴드 봉제 방법
TWI731055B (zh) 高頻縫紉機
CN107653580B (zh) 长条带状物缝制用缝纫机
JP3735768B2 (ja) ミシン
TWI703250B (zh) 縫紉機及縫製裝置、以及縫製方法
US6035794A (en) Automatic collar loading system and method
JPH06319884A (ja) ゴム付け用ミシン
TWI294934B (ko)
JP2010075385A (ja) ベルトループ縫いミシンの制御方法およびベルトループ縫いミシン
JP2018130318A (ja) ミシン
JP2001000766A (ja) ミシン
JPH0623173A (ja) 閉止状の腰部弾性バンドの自動取り付け装置
JPH07163773A (ja) 縁取りテープ及び弾性挿入体
JPH04276288A (ja) 縫製装置
JPH08173663A (ja) 部材布加工装置
JPH0718383Y2 (ja) 走行ミシン用布受台
JPS6023632B2 (ja) ミシンの自動糸調子装置
JPH10263238A (ja) 長尺生地の縁縫装置
JPH07303777A (ja) パンティストッキングの股上部縫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