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9794A - 장착하는 동안 위치 편차가 없고 장착한 후 스트레스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점유 공간이 작은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장착하는 동안 위치 편차가 없고 장착한 후 스트레스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점유 공간이 작은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9794A
KR20090089794A KR1020090011820A KR20090011820A KR20090089794A KR 20090089794 A KR20090089794 A KR 20090089794A KR 1020090011820 A KR1020090011820 A KR 1020090011820A KR 20090011820 A KR20090011820 A KR 20090011820A KR 20090089794 A KR20090089794 A KR 20090089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tact portion
terminal portion
terminal
electric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코 사토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9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7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presenting a contact carrying strip, e.g. edge-like str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47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with a fastener through a screw hole in the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제 (2n/2) 접촉 부분 단(2-21)에 속하는 접촉 부분(221a 및 221b)을 갖는 접촉자의 단말 부분(222a 및 222b)은 제 1 단말 부분 단(1-22) 및 제 2 단말 부분 단(2-22)에 교대로 할당되도록 배열된다.

Description

장착하는 동안 위치 편차가 없고 장착한 후 스트레스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점유 공간이 작은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SMALL IN OCCUPANCY SPACE AND FREE FROM POSITIONAL DEVIATION DURING MOUNTING OPERATION AND FROM GENERATION OF STRESS AFTER MOUNTING THEREON}
본 출원은 2008년 2월 19일자로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08-37058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상기 출원 명세서는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특히 절연체와 상기 절연체의 폭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접촉자(contact)를 갖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접촉자가 각각 대응 커넥터와 같은 제 1 접속 대상과 접촉 가능한 접촉 부분(contact portion) 및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제 2 접속 대상에 고정 접속되도록 되어 있는 단말 부분(terminal portion)을 갖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전기 커넥터로서, 복수의 접촉자의 접촉 부분은 절연체(하우징)의 세로 방향(높이 방향)으로 겹쳐 배열된 복수의 접촉 부분 단(contact portion tier)에 배열되는 한편, 각각의 접촉 부분 단에 속하는(배열되거나 위치하 는) 접촉 부분을 갖는 상기 접촉자의 단말 부분은 상기 절연체의 세로 방향으로 겹쳐 배열된 2 개의 단말 부분 단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로 할당되도록 배열된 전기 커넥터가 있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허 공보(JP-A) H7-335343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는 복수의 접촉자의 접촉 부분이 절연체의 폭 방향에 수직한 세로 방향으로 겹쳐 배열된 제 1 내지 제 4 접촉 부분 단에 배열된 전기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전기 커넥터에서, 제 1 접촉 부분 단에 속하는 접촉 부분을 갖는 접촉자의 단말 부분과 제 2 접촉 부분 단에 속하는 접촉 부분을 갖는 접촉자의 단말 부분은 제 1 단말 부분 단에 배열되는 한편, 제 3 접촉 부분 단에 속하는 접촉 부분을 갖는 접촉자의 단말 부분과 제 4 접촉 부분 단에 속하는 접촉 부분을 갖는 접촉자의 단말 부분은 제 2 단말 부분 단에 배열된다.
상기한 전기 커넥터와 같이 짝수의 접촉 부분 단을 갖는 전기 커넥터에서, 접촉자의 단말 부분은 2 개의 단말 부분 단에 균형있게 할당될 수 있다.
한편, 홀수의 접촉 부분 단을 갖는 전기 커넥터에서, 중앙 접촉 부분 단(예를 들어, 접촉 부분 단의 총 개수가 3 개일 때는 제 2 접촉 부분 단, 또는 접촉 부분 단의 총 개수가 5 개일 때는 제 3 접촉 부분 단)에 속하는 접촉 부분을 갖는 접촉자의 단말 부분은 제 1 단말 부분 단과 제 2 단말 부분 단 중 단 하나에만 할당된다. 따라서, 하나의 단말 부분 단은 다른 하나의 단말 부분 단보다 많은 수의 단말 부분을 갖는다. 이러한 단말 부분의 개수의 차이는 양 단말 부분 단의 점유 공간에 있어서, 특히 전기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의 크기의 차이를 유발한다. 전체 전기 커넥터의 점유 공간은 보다 큰 점유 공간을 갖는 단말 부분 단에 의존하기 때문에,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은 전기 커넥터의 소형화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플레이트(plate) 형상의 제 2 접속 대상을 양 단말 부분 단 사이에 끼우도록 되어 있는 종류의 전기 커넥터에서, 제 2 접속 대상의 하나의 플레이트 표면에 접속하기 위한 단말 부분의 개수는 다른 하나의 플레이트 표면에 접속하기 위한 단말 부분의 개수보다 커진다. 따라서, 제 2 접속 대상에 대한 전기 커넥터의 안정성이 불충분해져, 전기 커넥터가 단말 부분을 땜납하기 전에는 정확한 위치로부터 오프셋 되도록 임시 고정되려 하고, 단말 부분을 땜납한 후에는 원치 않는 스트레스가 땜납된 부분에 인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촉 부분이 홀수의 접촉 부분 단에 배열된 접촉자를 갖고, 점유 공간이 작으며, 접속 대상에 장착하는 동안 위치 편차가 없고, 장착한 후에 원치 않는 스트레스를 발생시키지 않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연체와 상기 절연체의 폭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접촉자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접촉자는 각각 제 1 접속 대상에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도록 되어 있는 접촉 부분과, 제 2 접속 대상에 고정 접속되도록 되어 있는 단말 부분을 갖고, 상기 접촉자의 상기 접촉 부분은 상기 절연체의 폭 방향에 수직한 세로 방향으로 겹쳐 배열된 제 1 접촉 부분 단 내지 제 (2n-1) (변수 n은 2 이상의 정수) 접촉 부분 단에 배열되며, 제 1 접촉 부분 단 내지 제 ((2n/2)-1) 접촉 부분 단에 속하는 접촉 부분을 갖는 상기 접촉자의 상기 단말 부분은 상기 절연체의 세로 방향으로 겹쳐 배열된 제 1 단말 부분 단 및 제 2 단말 부분 단 중 제 1 단말 부분 단에 배열되고, 제 ((2n/2)+1) 접촉 부분 단 내지 제 (2n-1) 접촉 부분 단에 속하는 접촉 부분을 갖는 상기 접촉자의 상기 단말 부분은 상기 제 2 단말 부분 단에 배열되며, 제 (2n/2) 접촉 부분 단에 속하는 접촉 부분을 갖는 상기 접촉자의 상기 단말 부분은 상기 제 1 단말 부분 단과 상기 제 2 단말 부분 단에 교대로 할당되도록 배열되는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제 (n-m) (변수 m은 1 이상이며 n보다 작은 정수) 접촉 부분 단에 속하는 접촉 부분을 갖는 접촉자와 제 (n+m) 접촉 부분 단에 속하는 접촉 부분을 갖는 접촉 자는 동일한 형상일 수도 있다. 제 (2n/2) 접촉 부분 단에 속하는 접촉 부분을 갖는 접촉자는 동일한 형상일 수도 있다.
제 2 접속 대상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 1 단말 부분 단과 제 2 단말 부분 단은 각각 제 2 접속 대상의 제 1 플레이트 표면과 제 2 플레이트 표면에 고정 접속될 수도 있다.
접촉자는 탄성을 가질 수도 있다. 제 1 단말 부분 단과 제 2 단말 부분 단은 그 사이에 제 2 접속 대상을 세로 방향으로 유지하도록, 각각 제 2 접속 대상의 제 1 플레이트 표면과 제 2 플레이트 표면에 대하여 가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은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따라 명확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 도 2A 내지 도 2D,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전기 커넥터는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 절연체(10; 하우징), 절연체(10)의 폭 방향(W)으로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금속 접촉자, 및 절연체(10)를 커버하는 금속 쉘(30; shell)을 포함한다.
접촉자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대응 커넥터와 같은 제 1 접속 대상에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도록 되어 있는 접촉 부분(121, 221a, 221b 및 321)과, 제 2 접속 대상으로서의 인쇄 회로 기판(500, 도 4에만 도시됨)의 패드(pad) 또는 랜드(land)에 땜납되도록 되어 있는 단말 부분(122, 222a, 222b, 및 322)을 갖는다. 도 4에서, 도면 부호 600은 인쇄 회로 기판(500)을 갖는 전자 장치 또는 전자 모듈의 하우징의 일부 또는 패널을 나타낸다.
접촉자의 접촉 부분은 절연체(10)의 폭 방향(W)에 수직한 세로 방향(V)으로 순서대로 겹쳐 배열된 제 1 내지 제 (2n-1) (n은 2 이상의 정수)의 접촉 부분 단에 배열된다. 즉, 접촉자의 접촉 부분은 홀수(즉, 3 이상)의 접촉 부분 단에 배열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n은 2로 설정되어, 접촉자의 접촉 부분은 3 개의 접촉 부분 단, 즉 제 1, 제 2, 및 제 3 접촉 부분 단(1-21, 2-21, 및 3-21)에 배열된다.
홀수(즉, 3 이상)의 접촉 부분 단의 제 1 절반인 제 1 내지 제 ((2n/2)-1) 접촉 부분 단에 속하는(배열되거나 위치하는), 즉 본 실시형태에서 제 1 접촉 부분 단(1-21)에 속하는 접촉 부분(121)을 갖는 7 개의 접촉자의 단말 부분(122)은, 절연체(10)의 세로 방향(V)으로 스택(stack)된 제 1 및 제 2 단말 부분 단(1-22 및 2-22) 중 제 1 단말 부분 단(1-22)에 배열된다.
한편, 홀수(즉, 3 이상)의 접촉 부분 단의 제 2 절반인 제 ((2n/2)+1) 내지 제 (2n-1) 접촉 부분 단에 속하는, 즉 본 실시형태에서 제 3 접촉 부분 단(3-21)에 속하는 접촉 부분(321)을 갖는 7 개의 접촉자의 단말 부분(322)은 제 2 단말 부분 단(2-22)에 배열된다.
또한, 홀수(즉, 3 이상)의 접촉 부분 단의 중앙 단인 제 (2n/2) 접촉 부분 단에 속하는, 즉 본 실시형태에서 제 2 접촉 부분 단(2-21)에 속하는 접촉 부분(221a)을 갖는 3 개의 접촉자의 단말 부분(222a)과 접촉 부분(221b)을 갖는 3 개의 접촉자의 단말 부분(222b)은 절연체(10)의 폭 방향(W)으로의 배열순으로 제 1 단말 부분 단(1-22) 및 제 2 단말 부분 단(2-22)에 교대로 할당되도록 배열된다.
이들 6 개의 접촉자 각각에서, 접촉 부분과 단말 부분 사이의 접속 부분은 도 3에서 도면 부호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크랭크(crank) 형상으로 구부려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 제 2 접촉 부분 단(2-21)에 속하는 접촉 부분(221a)을 갖는 접촉자의 단말 부분(222a)은 제 1 단말 부분 단(1-22)에 배열되는 한편, 마찬가지로 제 2 접촉 부분 단(2-21)에 속하는 접촉 부분(221b)을 갖는 접촉자의 단말 부분(222b)은 제 2 단말 부분 단(2-22)에 배열된다.
그 결과, 본 전기 커넥터는 접촉 부분이 홀수의 접촉 부분 단에 배열되는 접촉자를 가지고 있지만, 그 단말 부분은 2 개의 단말 부분 단에 균형있게 할당된다. 따라서, 점유 공간은 작고, 접속 대상에 장착하는 동안 위치 편차가 발생하지 않으며, 장착한 후 원치 않는 스트레스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제 1 및 제 2 단말 부분 단(1-22 및 2-22)은 각각 인쇄 회로 기판(500)의 제 1 및 제 2 플레이트 표면 상의 패드 또는 랜드에 땜납된다. 특히, 본 전기 커넥터의 접촉자는 탄성을 가지며, 따라서 전기 커넥터가 인쇄 회로 기판(500)에 땜납되기 전에, 제 1 및 제 2 단말 부분 단(1-22 및 2-22)이 각각 제 1 및 제 2 플레이트 표면에 대하여 가압되어, 인쇄 회로 기판(500)이 제 1 및 제 2 단말 부분 단(1-22 및 2-22) 사이에서 그 두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본 전기 커넥터는 인쇄 회로 기판(500)에 고정 접속되기 전에 안정적으로 임시 고정될 수 있다.
중앙 접촉 부분 단에 대하여 대칭으로 일렬로 위치하는 한 쌍의 단을 형성하 는 제 (n-m) (m은 1 이상이며 n 보다 작은 정수) 접촉 부분 단과 제 (n+m) 접촉 부분 단에 대하여, 제 (n-m) 접촉 부분 단, 즉 본 실시형태에서 제 1 접촉 부분 단(1-21)에 속하는 접촉 부분(121)을 갖는 접촉자와, 제 (n+m) 접촉 부분 단, 즉 본 실시형태에서 제 3 접촉 부분 단(3-21)에 속하는 접촉 부분(321)을 갖는 접촉자, 즉 총 14 개의 접촉자는 모두 동일한 형상이다. 접촉 부분(121)을 갖는 접촉자와, 접촉 부분(321)을 갖는 접촉자는 상측 및 하측이 세로 방향(V; 도 3에서 세로 방향)에 대하여 서로 반대되는 상태로 전기 커넥터에 결합된다.
또한, 중앙 접촉 부분 단인 제 (2n/2) 접촉 부분 단, 즉 본 실시형태에서 제 2 접촉 부분 단(2-21)에 속하는 접촉 부분(221a 및 221b)을 갖는 총 6 개의 접촉자는 모두 동일한 형상이다. 접촉 부분(221a)을 갖는 접촉자는 접촉 부분(121)을 갖는 접촉자와 동일한 상태로 결합되는 한편, 접촉 부분(221b)을 갖는 접촉자는 접촉 부분(321)을 갖는 접촉자와 동일한 상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접촉 부분(221a)을 갖는 접촉자와 접촉 부분(221b)을 갖는 접촉자는 상측 및 하측이 세로 방향(V; 도 3에서 세로 방향)에 대하여 서로 반대되는 상태로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전기 커넥터에서, 제 2 접촉 부분 단(2-21)에 속하는 접촉 부분(221a 및 221b)을 갖는 접촉자는 모두 동일한 형상이다. 따라서, 본 전기 커넥터의 모든 단의 접촉자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상기 14 개의 접촉자와 6 개의 접촉자의 형상의 2 가지 종류의 금속 다이(die)만 준비하면 충분하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접촉자의 접촉 부분 단의 개수는 3 개로 한정되지 않고, 홀수인 한, 5 개, 7 개 등일 수도 있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를, 우측 상부 정면 및 좌측 하부 후면에서 본 사시도.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2D는 각각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상면도, 정면도, 후면도, 및 우측면도.
도 3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
도 4는 인쇄 회로 기판에 부착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상면도.

Claims (4)

  1. 절연체와 상기 절연체의 폭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접촉자(contact)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접촉자는 각각 제 1 접속 대상에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도록 되어 있는 접촉 부분(contact portion)과, 제 2 접속 대상에 고정 접속되도록 되어 있는 단말 부분(terminal portion)을 갖고;
    상기 접촉자의 상기 접촉 부분은 상기 절연체의 폭 방향에 수직한 세로 방향으로 겹쳐 배열된 제 1 접촉 부분 단(contact portion tier) 내지 제 (2n-1) (변수 n은 2 이상의 정수) 접촉 부분 단에 배열되며;
    제 1 접촉 부분 단 내지 제 ((2n/2)-1) 접촉 부분 단에 속하는 접촉 부분을 갖는 상기 접촉자의 상기 단말 부분은 상기 절연체의 세로 방향으로 겹쳐 배열된 제 1 단말 부분 단 및 제 2 단말 부분 단 중 상기 제 1 단말 부분 단에 배열되고;
    제 ((2n/2)+1) 접촉 부분 단 내지 제 (2n-1) 접촉 부분 단에 속하는 접촉 부분을 갖는 상기 접촉자의 상기 단말 부분은 상기 제 2 단말 부분 단에 배열되며;
    제 (2n/2) 접촉 부분 단에 속하는 접촉 부분을 갖는 상기 접촉자의 상기 단말 부분은 상기 제 1 단말 부분 단과 상기 제 2 단말 부분 단에 교대로 할당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n-m) (변수 m은 1 이상이며 n보다 작은 정수) 접촉 부분 단에 속하는 접촉 부분을 갖는 상기 접촉자와 제 (n+m) 접촉 부분 단에 속하는 접촉 부분을 갖는 상기 접촉자는 동일한 형상이며;
    제 (2n/2) 접촉 부분 단에 속하는 접촉 부분을 갖는 상기 접촉자는 동일한 형상인 전기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속 대상은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갖고,
    상기 제 1 단말 부분 단과 상기 제 2 단말 부분 단은 각각 상기 제 2 접속 대상의 제 1 플레이트 표면과 제 2 플레이트 표면에 고정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는 탄성을 갖고,
    상기 제 1 단말 부분 단과 상기 제 2 단말 부분 단은 그 사이에 상기 제 2 접속 대상을 상기 세로 방향으로 유지하도록, 각각 상기 제 2 접속 대상의 상기 제 1 플레이트 표면과 상기 제 2 플레이트 표면에 대하여 가압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090011820A 2008-02-19 2009-02-13 장착하는 동안 위치 편차가 없고 장착한 후 스트레스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점유 공간이 작은 전기 커넥터 KR200900897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37058 2008-02-19
JP2008037058A JP2009199743A (ja) 2008-02-19 2008-02-19 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794A true KR20090089794A (ko) 2009-08-24

Family

ID=40955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820A KR20090089794A (ko) 2008-02-19 2009-02-13 장착하는 동안 위치 편차가 없고 장착한 후 스트레스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점유 공간이 작은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31526B2 (ko)
JP (1) JP2009199743A (ko)
KR (1) KR20090089794A (ko)
CN (1) CN10151567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5542B2 (ja) * 2009-11-30 2012-03-28 日立電線株式会社 コネクタ
JP5293628B2 (ja) * 2010-02-01 2013-09-18 日立電線株式会社 コネクタ
US8556659B1 (en) * 2012-04-09 2013-10-15 Apple Inc. Receptacle connector with circuitry for determining the configuration of a corresponding plug connector mated therewith
JP6325501B2 (ja) * 2015-09-29 2018-05-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D191414S (zh) * 2017-01-20 2018-07-01 英屬開曼群島商鴻騰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
JP1622376S (ko) * 2018-07-06 2019-01-21
USD1001743S1 (en) * 2020-05-11 2023-10-17 Dongguan Luxshare Technologies Co., Ltd Connector of fa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7980Y2 (ko) 1971-03-17 1977-04-22
US4298237A (en) * 1979-12-20 1981-11-03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Printed wiring board interconnection apparatus
JPH0436789U (ko) * 1990-07-24 1992-03-27
JPH0627975B2 (ja) 1990-08-10 1994-04-13 矢崎総業株式会社 車載用ホログラフィック表示システム
US5199886A (en) * 1991-11-19 1993-04-06 Amp Incorporated Shrouded connector assembly
JPH07335343A (ja) 1994-06-07 1995-12-22 Oki Densen Kk Smt対応基板挟み込み型ic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US5472349A (en) * 1994-10-31 1995-12-05 The Whitaker Corporation Surface mountable board edge connector
US5785537A (en) * 1996-06-26 1998-07-28 Robinson Nugent, Inc. Electrical connector interlocking apparatus
US6811429B2 (en) * 2001-08-31 2004-1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w noise IDC terminal/pin arrangement for flat ribbon cable connectors
JP2007115707A (ja) * 2006-12-18 2007-05-10 Taiko Denki Co Ltd レセプタク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99743A (ja) 2009-09-03
US20090209132A1 (en) 2009-08-20
US7731526B2 (en) 2010-06-08
CN101515672A (zh) 200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9794A (ko) 장착하는 동안 위치 편차가 없고 장착한 후 스트레스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점유 공간이 작은 전기 커넥터
EP2757863A2 (en) Printed circuit board stack
KR20100106938A (ko) 소켓과 헤더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록 기구를 구비한 커넥터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
WO2006006304A1 (ja) 電気接続箱
JP3153473U (ja) 電気コネクタ
JP2014165066A (ja) コネクタ
CN108496232B (zh) 电源装置及其制造方法
JP2014026830A (ja) ヘッダ、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ヘッダの製造方法
JP6075637B2 (ja) 回路構成体及びインレイ
JP2014165065A (ja) コネクタ
JP2006269107A (ja) コネクタ
WO2006006306A1 (ja) 中継コネクタ
JP7369576B2 (ja) 電気コネクタ
JP7299081B2 (ja) ウエハ用クリップおよびコネクタ
JP3156557U (ja) 導電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JP2009147223A (ja) モジュール部品、モジュール及びモジュール部品の製造方法
JP7163891B2 (ja) 電子装置
JP7339639B2 (ja) 電気装置
JP3050837B2 (ja) メモリーモジュールカード群の並列実装形コネクタ
JP2004327219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4291231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装置
JP2023064951A (ja) 電気コネクタ
WO2004057705A1 (ja) 電気コネクタ
JP4787718B2 (ja) タブ端子
JP2006019026A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