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8343A - 고함량의 유파틸린을 함유하는 쑥 추출물 - Google Patents

고함량의 유파틸린을 함유하는 쑥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8343A
KR20090088343A KR1020090022430A KR20090022430A KR20090088343A KR 20090088343 A KR20090088343 A KR 20090088343A KR 1020090022430 A KR1020090022430 A KR 1020090022430A KR 20090022430 A KR20090022430 A KR 20090022430A KR 20090088343 A KR20090088343 A KR 20090088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anol
extract
mugwort
eupatilin
high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훈식
박준상
염대일
오진섭
Original Assignee
지엘팜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엘팜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엘팜텍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88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83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판올로 추출하여 얻은 쑥 추출물에 대한 것으로서, 이를 통해 항위염 물질인 유파틸린을, 기존 기술에 비해 고함량으로 함유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제거 공정 없이 혈액응고억제 물질이 완전히 제거된 쑥 추출물을 확보할 수 있다.
쑥(Artemisia), 쑥 추출물(Artemisia extract), 프로판올(propanol)

Description

고함량의 유파틸린을 함유하는 쑥 추출물{ARTEMISIA EXTRACT CONTAINING HIGH CONTENT OF EUPATILIN}
(Artemisia mongolica, A. asiatica, A. princeps var. orientalis, A. argyi, A. montana 등)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약초로서 예로부터 강장보혈, 부인병, 설사치료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규명된 화학성분으로서 이소쿠마린, 쿠마린, 디테르펜락톤 등이 있으며 유파틸린, 자세오시딘 등의 플라보이노이드 성분 등도 확인되었다.
대한약전외 한약(생약)규격집에서는 상기 쑥의 잎 및 어린줄기를 일컬어 애엽(艾葉, Artemisiae argyi Herb)이라 지칭하고 있다.
이 중 플라보노이드 성분인 유파틸린(eupatilin)은 항알러지 효과(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9-155314호)가 알려진 바 있으며 최근 국내에서도 위장질환 치료제로서의 효용성에 대해서도 밝혀진 바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127777) 더불어, 또 다른 플라보노이드 성분인 자세오시딘(jaseocidin) 역시 동일한 위장질환 치료제로서 사용 가능함이 특허로 등록된 바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181751)
한편, 대한민국 특허등록 181751에서는, 쑥으로부터 정제한 유파틸린 또는 자세오시딘의 항위염 효과에 비해 쑥 추출물 자체의 항위염 효과가 더욱 뛰어나 해당 추출물 중 미지의 물질들이 항위염 효과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추정 기술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쑥 추출물 자체가 유효 개별성분인 유파틸린 또는 자세오시딘에 비해 그 효과가 높다 하더라도 대한민국 등록특허 181751에서 보듯이, 쑥 추출물 중 개별 유효성분의 함유율이 높을수록 비례적으로 위병변 억제효과가 높아지는 경향이 명확하게 나타나 있어 해당 추출물 중 유효성분 함유량을 증가시키는 것은 그 치료효과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는 기회를 확보할 수 있다 하겠다.
더불어, 대한민국 특허공개 2006-0002639에서는, 쑥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억제 성분 즉, 쿠마린(coumarin)류가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이 가운데 디쿠마롤(Dicoumarol) 성분이 추출 과정에서 포함된다고 적시하고 있다. 선행기술에 기술된 바와 같이 디쿠마롤은 소량의 투약으로도 혈소판 수를 급격히 감소시킬 수 있고 간독성도 보고된 바 있어 의학적 용도로 사용할지라도 매우 신중을 기해 투약되어야 하는 성분에 해당한다. 더욱이, 위염 또는 위궤양 환자는 위장 손상에 의한 위출혈이 동반되는 경우가 허다하므로 이 같은 성분은 반드시 제거되어야만 약효 증가를 더욱 기대할 수 있다 하겠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기존의 대한민국 특허등록 181751에 따른 알코올 또는 알코올 수용액 추출물에서는 이 성분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음을 적시하고 있으며 이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1) 애엽 잎을 알코올 또는 알코올 수용액으로 추출하는 단계(단계1), 2) 상기 단계1에서 얻어진 추출물에 알칼리 용액을 첨 가하고 80℃에서 1시간 이상 반응시키는 단계(단계2), 3) 상기 단계2에서 얻어진 추출물에 산성 용액을 첨가하여 중화시키는 단계(단계3) 및 4) 상기 단계3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는 단계(단계4)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즉, 선행기술에 단계2 및 단계3의 알칼리 처리 및 이의 중화 과정을 포함시킴으로써 디쿠마롤 성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 추출법과 달리 추출 용매를 에탄올에서 프로판올로 치환할 경우, 예상치 않게 높은 유파틸린 함량을 확보할 수 있음과 더불어 별도의 추가 공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혈액응고억제성분인 디쿠마롤이 포함되지 않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위병변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유파틸린이 고함량으로 함유되고 별도의 제거공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혈액응고성분인 디쿠마롤이 포함되지 않는 쑥 추출물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쑥(애엽)을 프로판올로 추출, 농축하여 고농도의 유파틸린을 함유하는 쑥 프로판올 추출물에 대한 것으로 추출, 농축 과정에서 혈액응고억제 물질 즉, 디쿠마롤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을 포함시키지 않더라도 디쿠마롤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쑥은 황해쑥(Artemisia argyi), 쑥(A. princeps var. orientalis, A. asiatica), 산쑥(A. montana), 참쑥(A. mongolica) 및 대한약전외 한약(생약)규격집에 정의된 동속식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프로판올은 1-프로판올(n-프로판올) 또는 2-프로판올(이소프로판올)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쑥에 상기 프로판올을 가해 통상의 생약추출물 즉, 침지법, 환류법을 통해 추출 및/또는 재추출하여 이를 적절한 방법으로 여과한 뒤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 바로 농축하여 쑥 프로판올 추출물을 최종 확보한다.
침지법을 사용하는 경우, 쑥에 프로판올을 가해 충분한 시간 동안 침지하고 이를 적절한 방법으로 여과한 뒤 감압농축하여 추출물을 획득한다.
환류법을 사용할 경우, 여과병에 쑥을 넣고 이 병에 프로판올을 계속 환류시켜 추출액을 얻은 뒤 마찬가지로 적절한 방법으로 여과한 뒤 감압농축하여 최종 추출물을 획득한다.
본 발명을 통해 고함량의 유파틸린을 함유할 뿐만 아니라 약효가 더욱 개선되고 특히, 별도의 추가 제거공정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혈액응고억제성분이 포함되지 않는 쑥 추출물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1>
쑥 (Artemisia princeps Pamp. var. orientalis) 2kg에 2-프로판올 20kg을 가해 약 24시간 동안 환류추출하고 이를 400mesh 천으로 여과한다. 잔류물에 2-프로판올 46kg을 추가로 가해 이를 400mesh 천으로 여과하여 합친 뒤, 49℃ 부근을 유지하며 감압농축하여 프로판올 쑥 추출물 100g을 얻었다. (수득율 20:1)
<실시예2>
쑥 (Artemisia princeps Pamp. var. orientalis) 2kg에 2-프로판올 20kg을 가해 약 24시간 동안 침지추출하고 이를 1500mesh 천으로 여과한다. 잔류물에 2-프로판올 46kg을 추가로 가해 이를 400mesh 천으로 여과하여 합친 뒤, 47-48℃ 부근을 유지하며 감압농축하여 프로판올 쑥 추출물 100g을 얻었다. (수득율 20:1)
<실시예3>
쑥 (Artemisia princeps Pamp. var. orientalis) 2kg에 1-프로판올 20kg을 가해 약 24시간 동안 환류추출하고 이를 1500mesh 천으로 여과한다. 잔류물에 2-프로판올 46kg을 추가로 가해 이를 400mesh 천으로 여과하여 합친 뒤, 47-48℃ 부근을 유지하며 감압농축하여 프로판올 쑥 추출물 100g을 얻었다. (수득율 20:1)
<실시예4>
쑥 (Artemisia princeps Pamp. var. orientalis) 3kg에 2-프로판올 39kg을 가해 약 24시간 동안 환류추출하고 이를 3㎛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다. 잔류물에 2-프로판올 7.5kg을 추가로 가해 이를 3㎛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합친 뒤, 49-57℃ 부근을 유지하며 감압농축하여 프로판올 쑥 추출물 150g을 얻었다. (수득율 20:1)
<비교예1>
쑥 (A. asiatica) 1kg에 에탄올(약전) 10kg을 가해 약 24시간 동안 추출하고 이를 400mesh 천으로 여과한다. 잔류물에 에탄올(약전) 23kg을 추가로 가해 이를 400mesh 천으로 여과하여 합친 뒤, 49℃ 부근을 유지하며 감압농축하여 에탄올 쑥 추출물 50g을 얻었다. (수득율 20:1)
<실험예1> 추출용매에 따른 유파틸린 함량 비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와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추가적으로 1 batch씩을 제조하여 얻은 쑥 추출물 중 약효성분인 유파틸린의 함유량은 다음과 같다.
추출물 Batch No. 유파틸린 함량
개별값 평균
에탄올 쑥 추출물 (비교예 1) No. 1 0.73% 약 0.98%
No. 2 1.22%
프로판올 쑥 추출물 (실시예 1) No. 1 1.81% 약 1.90%
No. 2 1.98%
결과적으로,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프로판올 추출물에서 약효성분인 유파틸린이 약 2배 가량 증가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더욱이, 도1에서와 같이 유파틸린뿐만 아니라 기타 성분도 유사 비율로 증가한 결과를 나타내어, 선행기술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단일 약효성분이 아닌 추출물 자체의 약효가 더욱 증가되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본 발명은 기타 약효성분의 함유율도 크게 증가시킨 쑥 추출물을 확보할 수 있음을 개시한다고 할 수 있다.
<실험예2> 혈액응고억제 성분인 디쿠마롤 측정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판올추출물 중 디쿠마롤 성분 함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시험법으로 측정하였다.
시험법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 (HPLC법)
컬럼 캅셀팩 C18 (4.6 x 250mm; 5㎛)
유속 1.0mL/min
검출 UV 350nm
주입량 10㎕
이동상 이동상 A 5mM 메탄설폰산나트륨 및 10mM 인산칼륨 혼
액(pH 3.0)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이동상 그라디에이션(gradiation)
시간(분) 이동상 A 이동상 B
10 50 50
15 50 50
30 60 40
34 50 50
40 50 50
도2에 기재된 시험결과에서와 같이, 실시예 1 및 3의 추출물에서 디쿠마롤 성분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쑥 프로판올 추출물은 프로판올을 이용한 추출 공정 이외에 별도의 추가 공정을 가하지 않더라도 기존 에탄올 추출물과 달리 디쿠마롤 성분이 포함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3> 쑥 프로판올 추출물의 위염병변 억제 효과
실시예1에 따라 제조된 쑥 추출물을 약 1.5배에 해당하는 부형제(마이크로셀락)에 가해 희석, 건조하여 이 희석건조물을 대상으로 통상의 염산-에탄올 유발 위 손상 랫드(rat) 모델에서 위점막보호 효과를 평가하였다. 대조군으로서는, 비교예1에 따라 제조된 쑥 에탄올 추출물을 함유하는 동아제약 스티렌정을 분말화하여 사용하였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1에 따라 제조된 쑥 프로판올 추출물은 위손상 억제효과가 뚜렷하였고 그 효과는 투여용량에 비례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쑥 에탄올 추출물을 함유하여 시판되고 있는 스티렌정과 추출물로서 동량을 투약한 그룹 3 및 그룹 5를 비교할 때, 위병변 억제 효과가 더욱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1 및 비교예1에 따라 제조된 각 추출물에 대한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른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2a 및 2b는 실시예1 및 실시예3에 따라 제조된 쑥 프로판올 추출물에 대한 혈액응고억제 물질, 디쿠마롤(Dicoumarol) 함유 유무를 확인한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3a 및 3b는 실시예1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에 대한 위병변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Claims (4)

  1. 쑥을 프로판올로 추출한 위병변에 유효한 쑥 프로판올 추출물로서, 별도의 디쿠마롤 제거 공정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프로판올 추출물.
  2. 제 1항에 있어서, 쑥은 황해쑥(Artemisia argyi), 쑥(A. princeps var. orientalis, A. asiatica), 산쑥(A. montana), 참쑥(A. mongolica)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프로판올 추출물.
  3. 제 1항에 있어서, 프로판올은 1-프로판올 또는 2-프로판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프로판올 추출물.
  4. 제 1항에 있어서, 쑥 추출물의 수득율은 최종 추출물을 기준으로 하여 20: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프로판올 추출물.
KR1020090022430A 2008-02-14 2009-03-17 고함량의 유파틸린을 함유하는 쑥 추출물 KR200900883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3510 2008-02-14
KR20080013510 2008-02-1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016A Division KR100900725B1 (ko) 2008-02-14 2008-09-23 고함량의 유파틸린을 함유하는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741A Division KR20140041654A (ko) 2008-02-14 2014-03-10 고함량의 유파틸린을 함유하는 쑥 추출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343A true KR20090088343A (ko) 2009-08-19

Family

ID=4098219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016A KR100900725B1 (ko) 2008-02-14 2008-09-23 고함량의 유파틸린을 함유하는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0090022430A KR20090088343A (ko) 2008-02-14 2009-03-17 고함량의 유파틸린을 함유하는 쑥 추출물
KR1020140027741A KR20140041654A (ko) 2008-02-14 2014-03-10 고함량의 유파틸린을 함유하는 쑥 추출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016A KR100900725B1 (ko) 2008-02-14 2008-09-23 고함량의 유파틸린을 함유하는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741A KR20140041654A (ko) 2008-02-14 2014-03-10 고함량의 유파틸린을 함유하는 쑥 추출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100900725B1 (ko)
CN (2) CN10251247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8323A1 (ko) * 2014-01-15 2015-07-23 동아에스티 주식회사 유해물질의 함량을 저감시킨 위장질환 치료용 애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WO2017146309A1 (ko) * 2016-02-22 2017-08-31 (주)오스티오뉴로젠 유파틸린의 상피간엽이행 억제 활성을 이용한 섬유증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로서의 새로운 용도
KR20190075872A (ko) * 2011-07-26 2019-07-01 지엘팜텍주식회사 가금류의 생산성 개선을 위한 사료 조성물
WO2019168237A1 (ko) * 2018-02-27 2019-09-06 (주)오스티오뉴로젠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증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040371A1 (ko) * 2019-08-30 2021-03-04 (주)오스티오뉴로젠 항염증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741B1 (ko) 2011-09-29 2013-08-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파틸린의 신규 용도
KR101779513B1 (ko) * 2015-06-24 2017-09-19 대원제약주식회사 애엽의 이소프로판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CN105232603A (zh) * 2015-10-10 2016-01-13 宁波绿之健药业有限公司 一种艾叶提取物的制备方法
CN106668110A (zh) * 2015-11-06 2017-05-17 沈阳药科大学 艾叶提取物、异泽兰素、棕矢车菊素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5646426B (zh) * 2016-01-22 2017-12-05 山东省中医药研究院 一种利用hsccc法分离艾叶中异泽兰黄素的方法
CN107550965A (zh) * 2017-08-28 2018-01-09 杨凌萃健生物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艾叶提取物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1751B1 (ko) * 1994-12-30 1999-05-01 유충식 위장질환 치료제용 쑥추출물
CN1269547C (zh) * 2003-10-30 2006-08-16 华中科技大学同济医学院附属同济医院 超临界二氧化碳萃取艾有效物质的方法
KR101000951B1 (ko) * 2004-07-03 2010-12-13 동아제약주식회사 혈액응고 억제성분이 제거된 애엽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0900875B1 (ko) * 2006-03-31 2009-06-04 강화군 강화약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5872A (ko) * 2011-07-26 2019-07-01 지엘팜텍주식회사 가금류의 생산성 개선을 위한 사료 조성물
WO2015108323A1 (ko) * 2014-01-15 2015-07-23 동아에스티 주식회사 유해물질의 함량을 저감시킨 위장질환 치료용 애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WO2017146309A1 (ko) * 2016-02-22 2017-08-31 (주)오스티오뉴로젠 유파틸린의 상피간엽이행 억제 활성을 이용한 섬유증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로서의 새로운 용도
WO2019168237A1 (ko) * 2018-02-27 2019-09-06 (주)오스티오뉴로젠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증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040371A1 (ko) * 2019-08-30 2021-03-04 (주)오스티오뉴로젠 항염증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18558A (zh) 2009-09-02
KR100900725B1 (ko) 2009-06-05
KR20140041654A (ko) 2014-04-04
CN101518558B (zh) 2012-11-21
CN102512471A (zh)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725B1 (ko) 고함량의 유파틸린을 함유하는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202913B1 (ko) 식물 추출물 및 그의 치료 용도
CN106420849A (zh) 一种由银杏叶组合物制备的舒血宁注射液及其制备方法
KR100623164B1 (ko) 뇌신경 보호효과를 갖는 신규한 은행잎 엑스를 정제하는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1703352B1 (ko) 애엽 추출물
KR101866620B1 (ko) 참쑥 또는 참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곤충에 유발되는 질병 치료용 조성물
KR20020008809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
KR0181751B1 (ko) 위장질환 치료제용 쑥추출물
KR101044433B1 (ko) 유럽종 포도의 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30130580A (ko) 혼합 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881653B1 (ko) 혈행 개선 팥 껍질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 개선 조성물
KR101888845B1 (ko) 애엽 추출물
JP6523634B2 (ja) 血栓予防治療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83873B1 (ko) 애엽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갖는 성분의 제거방법
KR101899342B1 (ko) 씀바귀 유래 세스퀴테르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20170058888A (ko) 애엽 추출물
KR100387939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
KR101096574B1 (ko) 유럽종 포도의 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427584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
KR102187233B1 (ko) 천사의 나팔꽃 유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EA008763B1 (ru) Стандартизованная смесь стероидных сапонинов,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и ее применение
KR100437576B1 (ko) 신나밀알콜을 포함하는 항진균제 조성물
KR20200070161A (ko) 천사의 나팔꽃 유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516820B1 (ko) 쑥잎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갖는 성분의 제거방법
KR101353306B1 (ko) 백합나무 수피에서 위장 질환 치료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