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2741B1 - 유파틸린의 신규 용도 - Google Patents

유파틸린의 신규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741B1
KR101292741B1 KR1020110099349A KR20110099349A KR101292741B1 KR 101292741 B1 KR101292741 B1 KR 101292741B1 KR 1020110099349 A KR1020110099349 A KR 1020110099349A KR 20110099349 A KR20110099349 A KR 20110099349A KR 101292741 B1 KR101292741 B1 KR 101292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ease
estrog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treatment
eupatill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9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5083A (ko
Inventor
최정혜
이경태
김지현
백남인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99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2741B1/ko
Priority to CN201280046194.8A priority patent/CN103917232B/zh
Priority to US14/348,453 priority patent/US9301943B2/en
Priority to PCT/KR2012/007841 priority patent/WO2013048158A2/ko
Publication of KR20130035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5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66Lactones having six-membered rings, e.g. delta-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파틸린의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 (neurodegenerative disease) 또는 비만 (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료, 개선 및/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 및/또는 식품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암과 같은 부작용 가능성이 없거나 적으며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 (neurodegenerative disease) 또는 비만 (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효과적으로 치료, 개선 및/또는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유파틸린의 신규 용도{Novel use of eupatilin}
본 발명은 유파틸린의 신규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파틸린의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또는 비만 (Obesity)과 같은 에스트로겐 부족에 의한 질환 또는 증세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 용도에 관한 것이다.
유파틸린(eupatilin)은 염증성장질환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음이 알려져 있고(대한민국 특허 제10-0414453호 참조), 라스 발암유전자 활성화에 필수적인 효소인 파네실 전달효소의 활성 및 신생혈관형성을 저해하여 발암유전자 발현억제제, 항암제, 암전이 억제, 당뇨병성 망막증, 각막이식시 생기는 신생혈관에 의한 실명 예방제로 쓰일 수 있음이 알려져 있는 물질이다(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2-0090672 참조). 또한, 항암과 관련하여, 매트릭스메탈로프로티나아제(Matrix metalloproteinase:MMP)의 활성과 침윤, 이동성 저해에 의해 유방암의 진행과 전이를 억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21998호 참조).
한편, 에스트로겐(estrogen)은 난소에서 생산되는 호르몬으로, 탄소수 18개의 에스테란핵을 가지는 스테로이드 화합물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에스트론(E1), 에스트라디올(E2), 에스트리올(E3) 세 종류가 잘 알려져 있다. 에스트로겐은 생리주기조절의 기능 외에도 여러 장기에서 다양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간에서 콜레스테롤 생산을 조절하고, 뼈에서는 골밀도를 유지하고, 자궁벽의 성숙에 작용한다. 또한 최근에는 신경세포의 생존과 지방생성과정에도 중요하게 작용함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에스트로겐이 폐경기에 난소 기능의 정지로 인하여 체내 농도의 저하가 일어나면, 혈중 에스트로겐이 감소되어 열성홍조, 발한, 불면증, 우울증, 및 두통 등을 포함하는 통상 갱년기 장애가 나타나게 되고, 골밀도 감소로 인한 골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체내 에스트로겐 감소로 혈관계에서 플라크(plaque)가 형성될 위험이 증가하여 죽상경화증 등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이 일어나며 신경세포의 손상에 따른 파킨슨과 알츠하이머 같은 퇴행성뇌질환이 증가하고 지방생성과정의 조절부재에 따른 비만이 일어날 수 있다(Deroo BJ, Korach KS. (2006) "Estrogen receptors and human disease"J Clin Invest. Mar;116(3):561-70.PMID: 16511588).
이와 같은 에스트로겐 감소로 인한 갱년기 장애 등을 개선하기 위해 동물유래 에스트로겐을 투여하는 호르몬 요법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유방암, 심혈관질환, 발작, 혈액응고 등의 잠재적 부작용이 있음이 WHI(Women's health initiative)의 광범위 무작위-위약-조절 연구발표를 통해 보고되었다(Rossouw JE, Anderson GL, Prentice RL, et al. (2002). "Risks and benefits of estrogen plus progestin in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principal results From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88 (3): 32133. PMID 12117397, Anderson GL, Limacher M, Assaf AR, et al. (2004). "Effects of conjugated equine estrogen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hysterectomy: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91 (14): 170112. PMID 15082697).
따라서, 이와 같은 부작용 가능성이 없거나 적으며, 에스트로겐효과를 나타내어 에스트로겐 부족으로 인한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 (neurodegenerative disease) 또는 비만 (Obesity) 등에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특허 제10-041453호, 2004. 4. 3, 요약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2-0090672, 2002.12. 5, 요약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21998호, 2006.11.30, 요약
Deroo BJ, Korach KS. (2006) "Estrogen receptors and human disease"J Clin Invest. Mar;116(3):561-70.PMID: 16511588 Rossouw JE, Anderson GL, Prentice RL, et al. (2002). "Risks and benefits of estrogen plus progestin in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principal results From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88 (3): 32133. PMID 12117397. Anderson GL, Limacher M, Assaf AR, et al. (2004). "Effects of conjugated equine estrogen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hysterectomy: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91 (14): 170112. PMID 1508269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암 등의 부작용 가능성이 없거나 적으며, 에스트로겐효과를 나타내어 에스트로겐 부족으로 인한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 (neurodegenerative disease) 또는 비만 (Obesity) 등에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의 신규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파틸린이 부작용 가능성이 없거나 적으면서,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냄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Figure 112011076416640-pat00001
본 발명에서 '에스트로겐 활성'은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의 체내에서 생성되는 에스트로겐이 나타내는 생리활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유파틸린의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 (neurodegenerative disease) 또는 비만 (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료, 개선 및/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 및/또는 식품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파틸린(eupatil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 (neurodegenerative disease) 또는 비만 (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유파틸린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공지의 화합물로, 합성된 것이거나, 유파틸린을 함유하는 천연물에서 분리된 것일 수 있으며, 자체 제조하거나 시판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파틸린은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일 수 있으며, 그 밖에 용매화물, 프로드럭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 (neurodegenerative disease) 또는 비만 (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은 에스트로겐 부족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에스트로겐 부족은 난소절제 또는 폐경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골질환은 바람직하게는 골다공증, 골감소증 또는 치주질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심혈관계질환은 죽상경화증일 수 있다.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파킨슨병 또는 알츠하이머병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치료 또는 예방은 유파틸린의 에스트로겐 활성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에스트로겐 활성은 선택적 에스트로겐 활성일 수 있다.
상기 선택적 에스트로겐 활성은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내되, 선택적으로 암세포 증식은 억제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암세포는 유방암세포 또는 자궁내막암세포일 수 있다.
상기 에스트로겐 활성은 유파틸린의 에스트로겐수용체베타에 대한 작용제(agonist)로 작용, 바람직하게는 조직선택적 작용제로 작용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직선택적 작용제’는 조직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용제로 작용한다는 의미이다.
상기 골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은 유파틸린의 골형성인자 활성 증가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99.9중량%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파틸린(eupatil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 (neurodegenerative disease) 또는 비만 (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에서 언급된 사항이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개선'은 '치료'에 포함되며, 상태 또는 증세가 호전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식품조성물은 음료를 포함하는 식품에 다양하게 포함될 수 있고, 음료, 껌, 차, 건강기능식품 등의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등의 제형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대한민국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10219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가공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한 식품을 말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말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은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나트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유파틸린을 투여를 필요로 하는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 (neurodegenerative disease) 또는 비만 (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료 또는 예방법을 제공하며, 유파틸린의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 (neurodegenerative disease) 또는 비만 (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료 또는 예방용 제제 제조를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서 언급된 사항은 모순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방법, 및 용도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유파틸린 또는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유효성분을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배합하여 제제화하여 투여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및/또는 젤라틴 등을 첨가하여 제조한다. 또한, 마그네슘, 탈크 등 윤활제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또는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주사가능한 액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 비강세척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주사가능한 액제, 현탁제, 유제는 물, 비수성용제나 현탁용제와 유효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비수성용제와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가능한 에스테르 등일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및/또는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시 피하주사, 정맥주사 또는 근육내 주사로 투여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거나, 용도 및 방법 중 사용되는 유파틸린은 성인 여성 기준으로 1일 0.0001 ~ 100 mg/kg, 바람직하게는 0.001~10mg/kg의 용량으로 사용가능하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는 상기 투여량 및 투여횟수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유파틸린은 약학적으로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을 첨가하여 제제화할 수 있으며, 제제화에 관한 내용은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등의 문헌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암과 같은 부작용 가능성이 없거나 적으며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 (neurodegenerative disease) 또는 비만 (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효과적으로 치료, 개선 및/또는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유방암세포(MCF-7세포주)에 에스트로겐(E2)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루시퍼레이즈 실험결과 그래프이다.
도 2는 자궁내막암세포(이시가와세포주)에 에스트로겐(E2)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루시퍼레이즈 실험결과 그래프이다.
도 3은 유방암세포(MCF-7세포주)에 유파틸린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루시퍼레이즈 실험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자궁내막암세포(이시가와세포주)에 유파틸린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루시퍼레이즈 실험결과 그래프이다.
도 5는 골세포에 에스트로겐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루시퍼레이즈 실험결과 그래프이다.
도 6은 골세포에 유파틸린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루시퍼레이즈 실험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 및 제조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나, 하기 실시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나 제조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파틸린의 에스트로겐 활성 확인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이 에스트로겐 부족으로 인한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 (neurodegenerative disease) 또는 비만 (Obesity)에 효과적임은 잘 알려져 있다(Estrogen receptors and human disease. Deroo BJ, Korach KS. J Clin Invest. 2006 Mar;116(3):561-70. Review.PMID: 16511588 참조). 따라서, 유파틸린이 다양한 에스트로겐 반응 세포(estrogen responsive cell)에서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냄을 다음 실험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유파틸린이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 (neurodegenerative disease) 또는 비만 (Obesity) 등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1-1. 유파틸린의 준비
강화쑥에서 공지의 방법(Inhibitory effect of eupatilin and jaceosidin isolated from Artemisia princeps on carrageenan-induced inflammation in mice. J Ethnopharmacol. 2009 Sep 25;125(3):497-500. 등 참조)으로 분리, 정제 후 구조 및 순도를 확인하여 준비한 유파틸린(5,7-dihydroxy-3’,4’6-trimethoxyflavone; CAS Registry Number: 22368-21-4)을 백남인 교수(경희대학교, 대한민국)로부터 제공받았다. 구체적으로, 대한민국 강화도 지역에서 채취한 사자발쑥을 경희대학교 천연물화학 실험실에 voucher specimen(KHU05067)로 기탁하였다. 기탁한 표본(specimen)과 동일한 종류의 사자발쑥을 80% 에탄올로 추출하고 감압상태에서 증발시킨 후, 물에 현탁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EtOAc)로 추출하였다. 이 에틸아세테이트분획을 n-hexane과 EtOAc의 단계구배(7:1, 5:1, 3:1, 1:1, v/v)로 siica gel(4 cm×20 cm)에 크로마토그래프하여 20개의 분획(SSE-1~SSE-20) 을 얻었다. 분획 16(SSE-16)을 CHCl3-MeOH solvent pairs (30:1,v/v)로 다시 재분획하여 compound 1(SSE-16-4)을 얻었다. compound 1은 물리화학적성상, 스펙트로스코픽 분석과 기존문헌과의 비교를 통해 유파틸린으로 확인되었다. 순도는 HPLC 시스템(영린 기기, 대한민국)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95% 이상이었다. 유파틸린: 황색을 띠는 가루. mp 226-228℃; IR (KBr, cm-1) 3390, 3266, 1655, 1514; EI-MS m/z (70 eV): 344 [M+]
1-2. 세포의 준비
MCF-7(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인간 유방암 세포주), Ishikawa(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자궁내막암 세포주), MG-63{인간 골육종(osteosarcoma); 골아세포(osteoblast) 유사 세포주}를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서 입수하였다. BG-1(자궁암세포주)는 Dr. Korach (NIH, 미국)로부터 제공받았다. 세포는 10% fetal bovine serum(FBS), 100 U/ml 페니실린, 및 100 U/ml 스트렙토마이신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ble's medium)에서 섭씨 37도, 5% 이산화탄소하에서 배양하였다.
1-3. 루시퍼라제 실험(luciferase assay)
루시퍼라제 실험은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이 결합하여 루시퍼라제 활성을 나타내는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에스트로겐 활성 여부를 판정하는 실험으로,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시약은 별도 언급이 없는 한 Gibco(Karlwruhe, 독일)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다.
루시퍼라제 리포터 플라스미드는 3×ERE TATA luc.(addgene, cambridge, 미국)를 사용하였고, 트랜스팩션율을 조절하기 위해 내부 콘드롤 플라스미드인 phRenilla-luciferase-CMV (Promega, Mannheim, 독일)를 함께 트랜스팩션하였다. 배양은 6 웰 플레이트에 2×105 세포/웰의 농도로 하여, 100U/ml 페니실린, 100mg/ml 스트렙토마이신, 1mM 소듐 피루베이트, 1mM 글루타민, 및 차콜 덱스트란 처리된 10% fetal bovine serum(FBS)이 보충된 페놀레드 미함유 DMEM(Dulbecco's modified Eable's medium)에서 실시하였다. 세포를 50~60% 컨플루언스(confulence)로 배양한 후, 배지는 제거하였고 세포는 제조업자의 지시에 따라 섭씨 37도, 5% 이산화탄소 하에서 6시간 동안 플라스미드 DNA 컨스트럭트와 2㎍/ml의 폴리에틸렌이민(PEI)를 함유하는 혈청미함유 OPTI-MEM 배지 상에 두었다. 웰당 1㎍의 3×ERE TATA luc와 100ng의 phRL-CMV 플라스미드를 트랜스팩션하였다.
트랜스팩션 기간 경과 후, 차콜 덱스트란 처리된 10% FBS가 보충된 페놀미함유 DMEM으로 교체하였고, 세포는 유파틸린 처리 전에 섭씨 37도, 5% 이산화탄소 하에서 하룻밤 배양하였다.
18시간 배양 후 배지는 유파틸린 함유 배지로 교체하였다. 단백질은 24시간 후 추출하였고,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듀얼 루시퍼라제 애세이 키트(Dual Luciferase Assay kit; Promega, Madison, WI)를 이용하여 루미노미터(luminometer,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로 파이어플라이와 레닐라 루시퍼라제 활성(firefly and Renilla luciferase activity)을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은 3배수로, 최소한 3회 실시하였다. 루시퍼라제 실험을 위해 총 세포 라이세이트(lysate)를 준비하여, 파이어플라이 루시퍼라제 활성을 분석하였고, 제조사(프로메가)의 지시에 따라 레닐라 루시퍼라제 활성으로 표준화하였다. 또한, 특정 단백질의 세포 수치를 넉다운(knock down) 하기 위해 siRNAs(small interfering RNAs)를 3×ERE TATA luc 및 phRL-CMV와 함께 트랜스팩션한 세포를 준비하여 siRNA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와 동일하게 유파틸린 등을 처리하였다. siRNA는 바이오니아(bioneer) (대전, 한국)에서 합성한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농도 50nM로 처리하였다. siERα는 ERα의 발현을 억제하는 siRNA를 의미하고, siERβ는 ERβ의 발현을 억제하는 siRNA를 의미한다.
비교를 위해 유파틸린 대신 에스트로겐인 17-β-에스트라디올(이하, E2로 약칭한다.)을 처리한 군을 비교군으로 하였고, 유파틸린이나 E2를 처리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유파틸린 처리군과 동일하게 처리한 미처리군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유파틸린과 E2 처리 농도는 하기 표에 기재되어 있으며, 미처리군에 대한 루시퍼라제 활성을 기준인 1로 하여 상대적인 배수를 표에 나타내었다.
각종 세포에 대한 루시퍼라제 실험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표 1은 MCF7 세포주에 대한 결과이고, 표 2는 BG-1 세포주에 대한 결과이고, 표 3은 이시가와 세포에 대한 결과이며, 표 4는 MG63세포주에 대한 결과이다.


(농도)

미처리
(0)

E2처리
(10-7M)

파틸린처리
(0.01㎍/ml)

유파틸린처리
(0.1㎍/ml)

유파틸린처리
(1㎍/ml)

루시퍼라제 활성
(배)

1.0

2.8

2.4

2.3

2.8


(농도)

미처리
(0)

E2처리
(10-7M)

유파틸린처리
(0.01㎍/ml)

유파틸린처리
(0.1㎍/ml)

유파틸린처리
(1㎍/ml)

루시퍼라제 활성
(배)

1.0

4.1

2.9

3.3

3.7


(농도)

미처리
(0)

E2처리
(10-7M)

유파틸린처리
(0.01㎍/ml)

유파틸린처리
(0.1㎍/ml)

유파틸린처리
(1㎍/ml)

루시퍼라제 활성
(배)

1.0

2.1

1.4

1.9

2.9


(농도)

미처리
(0)

E2처리
(10-7M)

유파틸린처리
(0.01㎍/ml)

유파틸린처리
(0.1㎍/ml)

유파틸린처리
(1㎍/ml)

루시퍼라제 활성
(배)

1.0

1.5

2.1

1.7

1.6
상기 결과로부터 유파틸린은 다양한 에스트로겐 반응 세포(estrogen responsive cell)인 유방암세포, 자궁암세포, 자궁내막암세포, 골아세포 등에서 에스트로겐인 에스트라디올(E2)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내는 유파틸린이 에스트로겐 부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퇴행성뇌질환 (neurodegenerative disease) 또는 비만 (Obesity) 등의 치료, 개선 및/또는 예방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유파틸린의 선택적 에스트로겐 활성에 의한 부작용 억제 효과 확인
종래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내는 동물성유래 에스트로겐 활성 물질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인 암 등을 억제하는 유파틸린의 효과를 하기와 같은 실험에 의해 확인하였다.
2-1.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확인
세포 생존율을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mn bromide; Sigma-Aldrich) assay로 산정하여, 유파틸린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MCF7 유방암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식종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세포에10-8M , 10-7M E2 혹은 0.1㎍/ml, 1㎍/ml의 유파틸린을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채취일에 50㎕ MTT 용액(PBS 중 5mg/ml)을 배지에 첨가하고 섭씨 37도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MTT 함유 배지는 제거하고 세포는 DMSO(100ul)에서 30분간 용해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마이크로플레이트 스펙트로포토미터(SpectraMax;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를 이용하여 광학 밀도(optical density) 540nm에서 결정하였다.
E2처리군에 대한 대조군은 vehicle인 ethanol, eupatilin처리군에 대한 대조군은 DMSO로 하였다.
생존율은 대조군에 대한 값을 100으로 하여 상대적인 비율을 나타낸 것이고, 사멸율 역시 대조군에 대한 값을 100으로 하여 상대적인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표 5는 에스트로겐(E2) 처리시 유방암 세포주의 생존율 확인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표 6은 유파틸린 처리시 유방암 세포주의 사멸율 확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농도)

미처리
(0)

E2처리
(10-8M)

E2처리
(10-7M)

세포 생존율
(대조군 대비 %)

0

18.5

21.4


(농도)

미처리
(0)

유파틸린처리
(0.1㎍/ml)

유파틸린처리
(1㎍/ml)

세포 사멸율
(대조군 대비 %)

0

21.5

24.5
2-2. 암세포 증식 억제 기전 확인
상기 1-3.에서 실시한 루시퍼라제 실험 중 siRNA를 처리한 암세포에 대한 결과를 활용하여, siERα를 처리하여 ERα의 발현을 억제한 암세포 또는 siERβ를 처리하여 ERβ의 발현을 억제한 암세포에 대한 유파틸린의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암세포 증식 억제 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E2는 10-7M 농도 처리한 경우에 대한 것이고, 유파틸린은 0.1, 1.0㎍/ml농도 처리에 대한 것이다.
그 결과를 도 1~도 4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유방암세포(MCF-7세포주)에 대한 에스트로겐(E2) 처리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자궁내막암세포(이시가와세포주)에 대한 에스트로겐(E2) 처리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유방암세포(MCF-7세포주)에 대한 유파틸린 처리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자궁내막암세포(이시가와세포주)에 대한 유파틸린 처리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 도 4에서 CON은 siRNA 미처리군, siERα는 ERα 발현을 억제하는 siRNA 처리군, siERβ는 ERβ 발현을 억제하는 siRNA 처리군을 의미한다. 또한, 도 1~도 2에서 -는 E2 미처리, +는 E2 처리를 의미하고, 도 3~ 도 4에서 -는 유파틸린 미처리, 0.1, 1은 각각 유파틸린 0.1, 1.0㎍/ml농도 처리를 의미한다.
도 1 ~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에스트로겐(E2)은 유방암 세포와 자궁내막암세포에서 세포증식인자로서 ERα만을 통하여 주로 세포증식을 유도하나, 유파틸린은 ERα와 ERβ 모두에 대해 고르게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즉, 유파틸린이 암세포에서 에스트로겐수용체알파 외에 에스트로겐수용체베타에 대한 작용제(agonist)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상기 2-1.과 2-2.의 결과로부터 유파틸린은 에스트라디올과 달리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며, 이는 에스트라디올이 ERα에만 주로 작용하나, 유파틸린은 유방암 세포와 자궁내막암세포 등에서 ERβ에도 작용함으로써 ERα에 의한 작용을 억제하여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종래 연구결과에 의해서 뒷받침되는 것이기도 하다(Deroo BJ, Korach KS. (2006) “Estrogen receptors and human disease”J Clin Invest. Mar;116(3):561-70.PMID: 16511588 참조).
따라서, 유파틸린은 유방암, 자궁내막암 등의 유발 가능성이 적거나 낮으며, 오히려 억제하여 에스트라디올과 같은 에스트로겐이 나타내는 부작용 가능성이 낮거나 없게 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유파틸린의 골손실 억제 효과 확인
유파틸린이 골세포에서 골밀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골다공증, 골감소증 또는 치주질환과 같은 에스트로겐 부족과 관련된 골질환에 효과적임을 하기의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3-1. 골세포에서 유파틸린의 골밀도 증가 효과 확인
유파틸린 처리한 MG-63세포에서 ALP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골세포에서 유파틸린이 골밀도를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조골세포는 세포분화시 특이적으로 Alkaline phosphatase(ALP) 활성을 나타내므로, ALP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조골세포가 세포분화 여부와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ALP가 p-nitrophenylphosphate를 p-nitrophenol과 phosphate로 분해시키는 것을 이용하여 405nm에서의 대조군의 흡광도에 대한 각각의 물질의 흡광도의 비로 계산하여 ALP활성을 측정함으로써 조골세포에 대한 영향을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MG-63 세포를 식종한 후 18시간 안정화시킨 후 E2는 10-7M, 유파틸린은 0.2, 2.0㎍/ml농도로 처리하였다. 24시간 처리후 라이세이트를 준비하여 30분간 천천히 흔들어 주며, 파라니트로페닐포스페이트(pH 9.8에서 MgCl2로 보충된 1M 디에탄올아민 버퍼 중 20mM)에서 파라니트로페놀이 유리된 것을 측정함으로써 ALP 활성을 실험하였다. 흡광도는 405nm에서 측정하였다. 검량선은 0~0.1 U/ml PBS-T 범위 중 다양한 농도의 보바인 시럼 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 Sigma) 농도를 이용하여 작성하였다. ALP 수치는 대응하는 세포 라이세이트 중 단백질 농도로 보정하였다. 배양 단백질 함량은 bicinchoninic acid protein assay(Thermo Scientific)로 정량하였다. 결과는 시료는 첨가하지 않고 BSA만을 100nM 농도로 첨가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표 7은 MG-63 세포주에서 유파틸린이 ALP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이다.


(농도)

미처리
(0)

E2처리
(10-7M)

유파틸린처리
(0.2㎍/ml)

유파틸린처리
(2.0㎍/ml)

ALP 활성
(대조군 대비 %)

0

18.1

20.5

60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파틸린은 에스트로겐(E2)과 동일하게 골세포에서 ALP 활성을 증가시키며, 이와 같은 활성 증가는 농도의존적임을 알 수 있다.
골세포에서 ALP 활성 증가로부터, 조골세포가 활발하게 분화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파틸린은 골다공증, 골감소증 또는 치주질환과 같은 에스트로겐 부족과 관련된 골질환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3-2. 골세포에서 유파틸린의 골밀도 증가 기전 확인
상기 1-3.에서 실시한 루시퍼라제 실험 중 siRNA를 처리한 MG-63에 대한 결과를 활용하여, siERα를 처리하여 ERα의 발현을 억제한 골세포 또는 siERβ를 처리하여 ERβ의 발현을 억제한 골세포에 대한 유파틸린의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암세포 증식 억제 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E2는 10-7M 농도 처리한 경우에 대한 것이고, 유파틸린은 0.1, 1.0㎍/ml농도 처리에 대한 것이다.
그 결과를 도 5~6에 나타내었다. 도 5는 에스트로겐(E2) 처리 결과를 나타내고, 도 6은 유파틸린 처리 결과를 나타낸다. 도 5와 도 6에서 CON은 siRNA 미처리군, siERα는 ERα 발현을 억제하는 siRNA 처리군, siERβ는 ERβ 발현을 억제하는 siRNA 처리군을 의미한다. 또한, 도 5에서 -는 E2 미처리, +는 E2 처리를 의미하고, 도 6에서 -는 유파틸린 미처리, +는 유파틸린 처리를 의미한다.
도 5~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골세포에서 에스트로겐(E2)이 ERβ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것과 동일하게 유파틸린 역시 ERβ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에스트로겐(E2)이 ERβ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골세포에서 골밀도를 증가시킨다는 것으로 부터(Medicarpin, a legume phytoalexin, stimulates osteoblast differentiation and promotes peak bone mass achievement in rats: evidence for estrogen receptor β-mediated osteogenic action of medicarpin, J Nutr Biochem. 2011, PMID:21333515; Estrogen receptor-beta modulates synthesis of bone matrix proteins in human osteoblast-like MG63 cells. J Cell Biochem. 2003 PMID: 12682916 참조), 유파틸린 역시 ERβ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골세포에서 골밀도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유파틸린이 골세포에서 에스트로겐수용체베타에 대한 작용제(agonist)로 작용하며, 특히 골과 같은 기관에서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기관선택적 작용제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상기 3-1과 3-2의 결과로부터 유파틸린은 골세포에서는 에스트로겐(E2)과 동일하게 ERβ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골세포에서 골밀도를 증가시킴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파틸린은 골다공증, 골감소증 또는 치주질환과 같은 에스트로겐 부족과 관련된 골질환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실시예 1~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유파틸린은 기관선택적으로 작용하여 에스트라디올과 같은 에스트로겐이 나타내는 부작용 가능성이 낮거나 없게 되는 반면 골질환 등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파틸린은 골다공증, 골감소증 또는 치주질환 등을 포함하는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죽상경화증 등을 포함하는 심혈관계질환(cardiovascular disease), 파킨슨병 또는 알츠하이머병 등을 포함하는 퇴행성뇌질환 (neurodegenerative disease) 또는 비만 (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료, 개선 및/또는 예방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제조예 1> 약학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유파틸린 300mg, 옥수수 전분 100mg, 유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식품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유파틸린(4중량 %), 액상과당(0.5중량%), 올리고당(2중량%), 설탕(2중량%), 및 식염(0.5중량%)에 물을 추가하여 잔량을 맞춘 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Claims (13)

  1. 유파틸린(eupatil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또는 비만(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에스트로겐 부족에 의한 것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트로겐 부족은 난소절제 또는 폐경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의한 것인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질환은 골다공증, 골감소증 또는 치주질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약학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파킨슨병 또는 알츠하이머병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약학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또는 예방은 유파틸린의 에스트로겐 활성에 의한 것인 약학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트로겐 활성은 선택적 에스트로겐 활성인 약학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에스트로겐 활성은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내되, 선택적으로 암세포 증식은 억제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암세포는 유방암세포 또는 자궁내막암세포인 약학 조성물.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트로겐 활성은 유파틸린의 에스트로겐수용체베타에 대한 작용제(agonist)로 작용에 의한 것인 약학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은 유파틸린의 골형성인자 활성 증가에 의한 것인 약학 조성물.
  13. 유파틸린(eupatil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bone disease), 갱년기 장애(menopausal disorder), 퇴행성뇌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또는 비만(Obesity)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에스트로겐 부족에 의한 것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KR1020110099349A 2011-09-29 2011-09-29 유파틸린의 신규 용도 KR101292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349A KR101292741B1 (ko) 2011-09-29 2011-09-29 유파틸린의 신규 용도
CN201280046194.8A CN103917232B (zh) 2011-09-29 2012-09-27 异泽兰黄素的新用途
US14/348,453 US9301943B2 (en) 2011-09-29 2012-09-27 Use of eupatilin
PCT/KR2012/007841 WO2013048158A2 (ko) 2011-09-29 2012-09-27 유파틸린의 신규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349A KR101292741B1 (ko) 2011-09-29 2011-09-29 유파틸린의 신규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083A KR20130035083A (ko) 2013-04-08
KR101292741B1 true KR101292741B1 (ko) 2013-08-02

Family

ID=47996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9349A KR101292741B1 (ko) 2011-09-29 2011-09-29 유파틸린의 신규 용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01943B2 (ko)
KR (1) KR101292741B1 (ko)
CN (1) CN103917232B (ko)
WO (1) WO201304815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47681B2 (en) 2011-09-26 2016-09-20 Saudi Arabian Oil Company Apparatus, program product, and methods of evaluating rock properties while drilling using downhole acoustic sensors and a downhole broadband transmitting system
WO2017146309A1 (ko) * 2016-02-22 2017-08-31 (주)오스티오뉴로젠 유파틸린의 상피간엽이행 억제 활성을 이용한 섬유증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로서의 새로운 용도
GB201714777D0 (en) 2017-09-14 2017-11-01 Univ London Queen Mary Agent
CN107812001A (zh) * 2017-12-15 2018-03-20 中国药科大学 柳穿鱼黄素用作6‑OHDA神经毒拮抗剂、α‑突触核蛋白抑制剂和防治帕金森用途
KR101871166B1 (ko) * 2018-02-27 2018-07-02 (주)오스티오뉴로젠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증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91464B1 (ko) * 2019-08-30 2020-03-20 (주)오스티오뉴로젠 항염증용 조성물
CN110496120A (zh) * 2019-09-09 2019-11-26 南开大学 表皮生长因子受体拮抗剂及其应用
KR102160424B1 (ko) * 2020-05-14 2020-09-2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파틸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12353792A (zh) * 2020-10-29 2021-02-12 南通大学 异泽兰黄素在制备预防或治疗酒精性肝病药物中的应用
KR102443583B1 (ko) * 2021-04-20 2022-09-15 (주)오스티오뉴로젠 세포 노화 및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항암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1998A (ko) * 2005-05-24 2006-11-30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유파틸린을 포함하는 유방암 억제용 조성물
KR100742737B1 (ko) * 2005-05-24 2007-07-25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유파틸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간갭 결합 장애 매개 질환의 예방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453B1 (ko) 1996-07-12 2004-04-03 동아제약 주식회사 염증성장질환치료제용쑥추출물
US5874084A (en) * 1996-07-19 1999-02-23 Yng-Wong; Quing Non Using complex herbal formulations to treat hot flashes
KR100445334B1 (ko) * 2001-05-29 2004-08-1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그늘쑥의 잎으로부터 유파티린과 자세오시딘의 추출방법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0900725B1 (ko) * 2008-02-14 2009-06-05 지엘팜텍 주식회사 고함량의 유파틸린을 함유하는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080648B1 (ko) * 2009-02-26 2011-11-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쑥속(Artemisia species)식물의 추출물로부터 원심향류분배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고농도 유파티린(Eupatilin) 및 자세오시딘(Jaceosidine)을 대량으로 분리 및생산하는 방법
US20120277171A1 (en) 2011-04-28 2012-11-01 Jose Luis Silva Martinot Warmi®, natural alternative for the treatment of menopau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1998A (ko) * 2005-05-24 2006-11-30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유파틸린을 포함하는 유방암 억제용 조성물
KR100742737B1 (ko) * 2005-05-24 2007-07-25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유파틸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간갭 결합 장애 매개 질환의 예방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 한국약용작물학회 2008 춘계학술발표회 *
논문1: 한국약용작물학회 2008 춘계학술발표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17232A (zh) 2014-07-09
KR20130035083A (ko) 2013-04-08
CN103917232B (zh) 2015-12-23
US20140288168A1 (en) 2014-09-25
WO2013048158A2 (ko) 2013-04-04
WO2013048158A3 (ko) 2013-05-23
US9301943B2 (en) 201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2741B1 (ko) 유파틸린의 신규 용도
JP7214851B2 (ja) 加工高麗人参抽出物を含む筋肉分化促進用組成物
Tiwari et al. Anti-tumor effects of PC-SPES, an herbal formulation in prostate cancer.
US9486525B2 (en) Anti-neoplastic compositions comprising extracts of black cohosh
Zhang et al. Preconditioning with the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Huang-Lian-Jie-Du-Tang initiates HIF-1α-dependent neuroprotection against cerebral ischemia in rats
Gu et al. Akebia Saponin D suppresses inflammation in chondrocytes via the NRF2/HO-1/NF-κB axis and ameliorates osteoarthritis in mice
Kang et al. Sappanone A protects mice against cisplatin-induced kidney injury
AU2004315105A1 (en) Composition of labdane diterpenes extracted from Andrographis paniculata, useful for the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s, and Alzheimer disease by activation of PPR-gamma receptors
CN102099040A (zh) 用于治疗乳腺癌的睾酮拮抗剂,例如cdb-4124
Zhang et al. Xiaoaiping injection enhances paclitaxel efficacy in ovarian cancer via pregnane X receptor and its downstream molecules
CA2438932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ancer prevention and treatment derived from inula britannica
JP7154616B2 (ja) 骨関連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のための薬学組成物
KR102444282B1 (ko) 초과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감소 관련 질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2110113A (ja) エンテロコッカス・フェカーリス、その培養液またはその死菌体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筋肉の減退、低下及び筋萎縮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の薬学組成物、食品組成物及び食品添加剤
WO2012074184A1 (ko) 스핑고신-1-포스페이트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249930B1 (ko) 마가목 및 현지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파골세포 분화 억제용 또는 연골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sg-ⅱ)
KR102284907B1 (ko) 아스타잔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60896B1 (ko) 이소싸이페롤의 신규 용도
KR20140039809A (ko) 소야사포닌 Aa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16701B1 (ko) 쑥 추출물의 신규 용도
KR102129707B1 (ko) Emodin 유도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대사질환 치료 및 항 비만용 약학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3159003A2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bone growth, preventing bone resorption disorders and for joint health
KR20180034874A (ko) 카테킨 함유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손상 근육의 재생을 촉진하는 약학 조성물
KR102309425B1 (ko) 홍삼 오일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188775B1 (ko) 장생도라지 유래의 조사포닌 분획물을 함유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