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583B1 - 세포 노화 및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항암 조성물 - Google Patents

세포 노화 및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항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583B1
KR102443583B1 KR1020220033299A KR20220033299A KR102443583B1 KR 102443583 B1 KR102443583 B1 KR 102443583B1 KR 1020220033299 A KR1020220033299 A KR 1020220033299A KR 20220033299 A KR20220033299 A KR 20220033299A KR 102443583 B1 KR102443583 B1 KR 102443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tumor
formula
compound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3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수
맹문기
김샛별
김익환
김한수
Original Assignee
(주)오스티오뉴로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스티오뉴로젠 filed Critical (주)오스티오뉴로젠
Priority to CN202280027127.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7157074A/zh
Priority to CA3206762A priority patent/CA3206762A1/en
Priority to AU2022260753A priority patent/AU2022260753A1/en
Priority to BR112023021489A priority patent/BR112023021489A2/pt
Priority to PCT/KR2022/005410 priority patent/WO2022225259A1/ko
Priority to JP2023564576A priority patent/JP2024515711A/ja
Priority to EP22791959.4A priority patent/EP432781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6Non-condensed piperazines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rifampin, thiothix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Abstract

본 발명은 세포 노화 및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 화합물은 암세포와 정상세포를 구별하여 암세포 특이적으로 세포 노화와 세포사멸을 동시에 유도할 수 있어, 암세포 특이적 표적화 물질을 부착할 필요가 없고, 흔히 항암제가 정상세포를 공격하여 발생되는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한 이중 작용에 기인하여 강력한 항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세포 노화 및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항암 조성물 {Anti-Cancer Composition Inducing Cellular Senescence and Apoptosis}
본 발명은 세포 노화 및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종양 또는 암 세포 특이적으로 세포 노화 및 세포사멸을 유도하여 항종양 또는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항종양 또는 항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양(tumor)은 신체 조직의 자율적인 과잉 성장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자라난 덩어리를 의미하며, 양성종양(benign tumor)과 악성종양(malignant tumor)으로 구분할 수 있다. 양성종양이 비교적 성장 속도가 느리고 전이(metastasis; 종양이 원래 발생한 곳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이동함)되지 않는 것에 반해 악성종양은 주위 조직에 침윤하면서 빠르게 성장하고 신체 각 부위에 확산되거나 전이되어 생명을 위협하게 된다. 따라서 악성종양을 암과 동일한 의미로 생각할 수 있다.
신체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인 세포(cell)는 정상적으로는 세포 자체의 조절 기능에 의해 분열 및 성장하고, 수명이 다하거나 손상되면 스스로 사멸(죽어 없어짐)하여 전반적인 수의 균형을 유지한다. 그러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이러한 세포 자체의 조절 기능에 문제가 생기면 정상적으로는 사멸해야 할 비정상 세포들이 과다 증식하게 되며, 경우에 따라 주위 조직 및 장기에 침입하여 종괴(덩어리)를 형성하고 기존의 구조를 파괴하거나 변형시키는데, 이러한 상태를 암(cancer)으로 정의할 수 있다.
세포 주기를 표적화하는 소분자는 줄기세포 분화의 전신적 억제 또는 항상성 면역의 악화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의학적 위험성 때문에 암을 유발할 수 있다고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플라본이나 이소플라본에서 주로 발견되는 크로몬 스캐폴드 (chromone-scaffold)와 같은 천연 약물 스캐폴드는 천연물로써 대부분 안전하다는 것이 입증되었기 때문에 의학적 용도로 개발할 이점이 있다. 실제로, 크로몬 스캐폴드 유도체 중 하나인 SB203580은 항암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Yan W et al., Toxicol Lett 2016; 259: 28-34. DOI: 10.1016/j.toxlet.2016.07.591).
플라본은 폴리페놀 패밀리 멤버로, 식물계에서만 10,000개 이상의 화합물 그룹이 독점적으로 발견되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식물계 화합물 (phytochemical)은 식물을 방사선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플라본은 항산화 또는 항염증 잠재력으로 인해 관절염 및 천식과 같은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는 데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으며, 크로몬 (Chromone, 1,4-benzopyrone-4-one)은 플라본과 이소플라본을 구성하는 중심 화학 지지체이다.
본 발명자들은 최근 Artemisia 종으로부터의 크로몬 스캐폴드 함유 화합물인 유파틸린 (eupatilin)과 본 발명 화합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1166호)이 액틴 중합체를 분해하여 섬유증을 억제하고 그 결과 상피-중간엽-전이(EMT)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한 바 있다 (Kim H-S et al., bioRxiv 2020; 770404. DOI: 10.1101/770404).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자들은 추가 연구를 진행하던 중 본 발명 화합물이 여러 공격적인 암 세포주에서 복제 노화 (replicative senescence, RS) 및 종양유전자 유도 노화 (oncogene-induced senescence, OIS)의 강력한 유도제로서, 이와 같은 세포 노화 기작에 의해 암 세포의 제어되지 않는 증식을 억제하고, NAD 생합성에 의한 NAD/NADH 비율의 역전 및 ROS 상향 조절을 통해 종양화로부터 탈출을 유도하며, 그 밖에도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일련의 작용을 통해 암 치료를 위한 강력한 치료제로 기능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1166호
Yan W et al., Toxicol Lett 2016; 259: 28-34. DOI: 10.1016/j.toxlet.2016.07.591 Kim H-S et al., bioRxiv 2020; 770404. DOI: 10.1101/770404
본 발명은 세포 노화 및 세포사멸을 동시에 유도하는 크로몬 스캐폴드 유도체의 항종양 및/또는 항암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 또는 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2028857367-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1-5의 알킬, C5-6의 고리형 알킬, O 또는 N 중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C5-6의 고리형 알킬, C6-12의 아릴, 또는 O 또는 N 중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C5-6의 헤테로아릴이고,
R2는 수소, 에틸, 아세틸, 아세톡시, 카르복시, 벤조일옥시 또는 3,4,5-트리 하이드록시벤조일옥시이고,
R3는 수소, 하이드록시, 메틸, 메톡시, 아세톡시, 카르복시 또는 벤조일옥시이고,
R4는 수소, 하이드록시, 메틸, 메톡시, 아세톡시, 카르복시 또는 벤조일옥시이고,
R5는 수소, 하이드록시, 메틸, 메톡시, 아세톡시, 카르복시 또는 벤조일옥시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 또는 암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2028857367-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1-5의 알킬, C5-6의 고리형 알킬, O 또는 N 중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C5-6의 고리형 알킬, C6-12의 아릴, 또는 O 또는 N 중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C5-6의 헤테로아릴이고,
R2는 수소, 에틸, 아세틸, 아세톡시, 카르복시, 벤조일옥시 또는 3,4,5-트리 하이드록시벤조일옥시이고,
R3는 수소, 하이드록시, 메틸, 메톡시, 아세톡시, 카르복시 또는 벤조일옥시이고,
R4는 수소, 하이드록시, 메틸, 메톡시, 아세톡시, 카르복시 또는 벤조일옥시이고,
R5는 수소, 하이드록시, 메틸, 메톡시, 아세톡시, 카르복시 또는 벤조일옥시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 또는 암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2028857367-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1-5의 알킬, C5-6의 고리형 알킬, O 또는 N 중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C5-6의 고리형 알킬, C6-12의 아릴, 또는 O 또는 N 중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C5-6의 헤테로아릴이고,
R2는 수소, 에틸, 아세틸, 아세톡시, 카르복시, 벤조일옥시 또는 3,4,5-트리 하이드록시벤조일옥시이고,
R3는 수소, 하이드록시, 메틸, 메톡시, 아세톡시, 카르복시 또는 벤조일옥시이고,
R4는 수소, 하이드록시, 메틸, 메톡시, 아세톡시, 카르복시 또는 벤조일옥시이고,
R5는 수소, 하이드록시, 메틸, 메톡시, 아세톡시, 카르복시 또는 벤조일옥시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R1은 메틸, 에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또는 페닐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R1은 메틸이고,
R2는 수소이고,
R3는 수소, 하이드록시 또는 메톡시이고,
R4는 하이드록시 또는 메톡시이고,
R5는 수소, 하이드록시 또는 메톡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5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22028857367-pat00004
[화학식 3]
Figure 112022028857367-pat00005
[화학식 4]
Figure 112022028857367-pat00006
[화학식 5]
Figure 112022028857367-pat00007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암은 혈액암 또는 고형암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혈액암은 백혈병, 악성림프종, 다발성골수종 또는 재생불량성 빈혈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형암은 뇌종양, 양성성상세포종, 악성성상세포종, 뇌하수체 선종, 뇌수막종, 뇌림프종, 핍지교종, 두개내인종, 상의세포종, 뇌간종양, 두경부 종양, 후두암, 구인두암, 비강암, 비인두암, 침샘암, 하인두암, 갑상선암, 구강암, 흉부종양, 소세포성 폐암, 비소세포성 폐암, 흉선암, 종격동 종양, 식도암, 유방암, 남성유방암, 복부종양, 위암, 간암, 담낭암, 담도암, 췌장암, 소장암, 대장암, 항문암, 방광암, 신장암, 남성생식기종양, 음경암, 전립선암, 여성생식기종양,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난소암, 자궁육종, 질암, 여성외부생식기암, 여성요도암 또는 피부암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i) 복제 노화 (replicative senescence, RS) 및/또는 종양유전자 유도 노화 (oncogene-induced senescence, OIS)의 유도에 의한 종양 또는 암 세포 특이적 증 식의 억제;
(ii) 종양 또는 암세포 NAD/NADH 비율의 역전;
(iii) 종양 또는 암세포 ROS의 상향 조절; 및
(ii) 종양 또는 암 세포 특이적 세포사멸 유도; 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작용에 의해 항종양 또는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은 암세포와 정상세포를 구별하여 암세포 특이적으로 세포 노화와 세포사멸을 동시에 유도할 수 있어, 암세포 특이적 표적화 물질을 부착할 필요가 없고, 흔히 항암제가 정상세포를 공격하여 발생되는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상기한 이중 작용에 기인하여 강력한 항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2 화합물(ONG41008), 유파틸린 (ONG21002), 다른 크로몬 스캐폴드 함유 유도체 처리에 따른 A549 세포에서의 세포 노화 유도 효과를 비교한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2 화합물(ONG41008)의 농도별 처리 24시간 경과 후 (a) p53, (b) p21, (c) p16의 발현량 및 세포 내 위치 변화를 A549 세포에서 관찰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2 화합물(ONG41008) (10 μM) 처리 72시간 경과 후 p16의 발현량 및 세포 내 위치 변화를 A549 세포에서 관찰한 결과이다.
도 4a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2 화합물(ONG41008)의 농도별 처리 24시간 경과 후 p21, p16, p53, p-p53의 발현량 변화를 웨스턴 블롯으로 관찰한 결과이고 (해당 단백질 밴드의 위치는 노란색으로 표시됨), 도 4b는 TGFβ에 의해 A549 세포 증식을 유도한 후,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2 화합물(ONG41008) 처리에 따른 세포 변화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2 화합물(ONG41008) 처리 후 시간 경과 ((a) 24 시간, (b) 48 시간, (c) 72 시간)에 따른 A549 세포의 세포 노화와 다핵화 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2 화합물(ONG41008) 또는 SAHA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를 관찰하고 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7a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2 화합물(ONG41008)이 A549 세포의 세포 주기에 미치는 영향을 웨스턴 블롯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7b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2 화합물(ONG41008)을 농도 별로 처리하고 상기 화합물이 A549 세포의 세포 주기에 미치는 영향을 PI 염색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7c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2 화합물(ONG41008) 또는 SAHA를 농도별로 처리하고 A549 세포의 NAD/NADH 비율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이다.
도 7d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2 화합물(ONG41008)이 A549 세포의 ROS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2 화합물(ONG41008) 처리에 따른 A549 세포의 세포사멸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9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2 화합물(ONG41008) 또는 파클리탁셀 처리에 따른 H358 세포의 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CCK-8 분석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10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2 화합물(ONG41008) 처리에 따른 H358 세포의 유사분열 붕괴를 보여주는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2 화합물(ONG41008)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H1299 세포의 다핵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2 화합물(ONG41008) 또는 파클리탁셀 처리에 따른 PANC1 세포의 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CCK-8 분석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1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2 화합물(ONG41008) 처리에 따른 PANC1 세포의 다핵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2 화합물(ONG41008) 또는 SAHA 처리에 따른 MCF7 세포의 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CCK-8 분석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1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2 화합물(ONG41008) 처리에 따른 MCF7 세포의 다핵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2 화합물(ONG41008) 또는 SAHA 처리에 따른 PC3 세포의 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CCK-8 분석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17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2 화합물(ONG41008) 또는 SAHA 처리에 따른 PC3 세포의 세포사멸을 Caspase 3/7 분석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18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2 화합물(ONG41008) 처리에 따른 PC3 세포의 다핵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9는 인간 정상 폐 섬유아세포에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2 화합물(ONG41008), 닌테다닙 또는 SAHA를 처리하고 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CCK-8 분석으로 비교한 결과이다.
도 20은 인간 정상 폐 섬유아세포에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2 화합물(ONG41008), 닌테다닙 또는 SAHA를 처리하고 세포사멸 유도 여부를 비교한 결과이다.
도 2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화학식 2 화합물(ONG41008)과 유파틸린(ONG21002)의 항암(또는 항종양) 효과 유도의 작용 기전을 다른 크로몬 스캐폴드 유도체와 비교하여 정리한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생체 내에서 세포 주기는 증식 (proliferation), 분화 (differentiation), 세포사멸 (apoptosis)이 조화될 수 있도록 정교하게 조절되는데, 이러한 정교한 조절 기능에 장애가 발생하면 심각한 질병이 발생할 수 있고, 특히 통제되지 않는 세포 증식은 암과 같은 인체에 매우 치명적인 동시에 난치성인 질환을 발병시킨다. 따라서, 암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세포 증식을 억제할 필요가 있는데, 세포 증식 억제 기능을 보이는 항암제는 세포 증식 억제 기능과 더불어 많은 부작용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크로몬 스캐폴드 유도체 중 하나인 본 발명 화합물이 세포 노화 (즉, 복제 노화 및 발암 유전자 유도에 의한 노화)에 의해 다양한 암 세포주의 통제되지 않는 증식 상태를 해소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흥미롭게도, 본 발명 화합물은 정상세포에서는 이러한 세포 노화를 유도하지 않아 정상세포 증식을 저해하지는 않는 것으로 확인된 바, 일반 항암제에서와 같이 암세포를 표적화하는 물질을 별도로 부착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본 발명 화합물을 마우스 또는 쥐에 경구 투여하였을 때, 병리학적 이상이나 독성이 관찰되지 않음을 추가로 검증된 바 (전임상 연구 번호: U-18156, 투여량 1g), 본 발명 화합물은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항암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관점에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 또는 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22028857367-pat00008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1-5의 알킬, C5-6의 고리형 알킬, O 또는 N 중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C5-6의 고리형 알킬, C6-12의 아릴, 또는 O 또는 N 중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C5-6의 헤테로아릴이고,
R2는 수소, 에틸, 아세틸, 아세톡시, 카르복시, 벤조일옥시 또는 3,4,5-트리 하이드록시벤조일옥시이고,
R3는 수소, 하이드록시, 메틸, 메톡시, 아세톡시, 카르복시 또는 벤조일옥시이고,
R4는 수소, 하이드록시, 메틸, 메톡시, 아세톡시, 카르복시 또는 벤조일옥시이고,
R5는 수소, 하이드록시, 메틸, 메톡시, 아세톡시, 카르복시 또는 벤조일옥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관점에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 또는 암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22028857367-pat00009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1-5의 알킬, C5-6의 고리형 알킬, O 또는 N 중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C5-6의 고리형 알킬, C6-12의 아릴, 또는 O 또는 N 중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C5-6의 헤테로아릴이고,
R 2는 수소, 에틸, 아세틸, 아세톡시, 카르복시, 벤조일옥시 또는 3,4,5-트리 하이드록시벤조일옥시이고,
R3는 수소, 하이드록시, 메틸, 메톡시, 아세톡시, 카르복시 또는 벤조일옥시이고,
R4는 수소, 하이드록시, 메틸, 메톡시, 아세톡시, 카르복시 또는 벤조일옥시이고,
R5는 수소, 하이드록시, 메틸, 메톡시, 아세톡시, 카르복시 또는 벤조일옥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3 관점에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 또는 암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2028857367-pat00010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1-5의 알킬, C5-6의 고리형 알킬, O 또는 N 중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C5-6의 고리형 알킬, C6-12의 아릴, 또는 O 또는 N 중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C5-6의 헤테로아릴이고,
R2는 수소, 에틸, 아세틸, 아세톡시, 카르복시, 벤조일옥시 또는 3,4,5-트리 하이드록시벤조일옥시이고,
R3는 수소, 하이드록시, 메틸, 메톡시, 아세톡시, 카르복시 또는 벤조일옥시이고,
R4는 수소, 하이드록시, 메틸, 메톡시, 아세톡시, 카르복시 또는 벤조일옥시이고,
R5는 수소, 하이드록시, 메틸, 메톡시, 아세톡시, 카르복시 또는 벤조일옥시이다.
본 발명의 제1, 제2, 제3 관점에 있어서, R1은 메틸, 에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또는 페닐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제2, 제3 관점에 있어서,
R1은 메틸이고,
R2는 수소이고,
R3는 수소, 하이드록시 또는 메톡시이고,
R4는 하이드록시 또는 메톡시이고,
R5는 수소, 하이드록시 또는 메톡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제2, 제3 관점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5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22028857367-pat00011
[화학식 3]
Figure 112022028857367-pat00012
[화학식 4]
Figure 112022028857367-pat00013
[화학식 5]
Figure 112022028857367-pat00014
.
본 발명의 제1, 제2, 제3 관점에 있어서, 상기 암은 혈액암 또는 고형암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제2, 제3 관점에 있어서, 상기 혈액암은 백혈병, 악성림프종, 다발성골수종 또는 재생불량성 빈혈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제1, 제2, 제3 관점에 있어서, 상기 고형암은 뇌종양, 양성성상세포종, 악성성상세포종, 뇌하수체 선종, 뇌수막종, 뇌림프종, 핍지교종, 두개내인종, 상의세포종, 뇌간종양, 두경부 종양, 후두암, 구인두암, 비강암, 비인두암, 침샘암, 하인두암, 갑상선암, 구강암, 흉부종양, 소세포성 폐암, 비소세포성 폐암, 흉선암, 종격동 종양, 식도암, 유방암, 남성유방암, 복부종양, 위암, 간암, 담낭암, 담도암, 췌장암, 소장 암, 대장암, 항문암, 방광암, 신장암, 남성생식기종양, 음경암, 전립선암, 여성생식기종양,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난소암, 자궁육종, 질암, 여성외부생식기암, 여성요도암 또는 피부암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제1, 제2, 제3 관점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i) 복제 노화 (replicative senescence, RS) 및/또는 종양유전자 유도 노화 (oncogene-induced senescence, OIS)의 유도에 의한 종양 또는 암 세포 특이적 증 식의 억제;
(ii) 종양 또는 암세포 NAD/NADH 비율의 역전;
(iii) 종양 또는 암세포 ROS의 상향 조절; 및
(ii) 종양 또는 암 세포 특이적 세포사멸 유도; 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작용에 의해 항종양 또는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 그 자체, 또는 약학적, 식품학적으로 허용된 담체와 혼합한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0.0001 내지 100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비경구 투여시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주사, 자궁내 경막주사, 뇌혈관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고,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 조성물의 일일 투여량은 조성물에 함유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기준으로 체중 1㎏ 당 약 0.0001 내지 100㎎, 또는 0.001 내지 10㎎일 수 있으며, 하루 1회 내지 수회 나누어 투여될 수 있으나 투여대상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할 것이다.
임상 투여 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이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은 인간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개선,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들 중 의약품보다 작용이 경미한 물품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약사법에 따르면 의약외품이란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한 것으로, 인간이나 동물의 질병 치료나 예방에 쓰이는 제품,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않는 제품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은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투여형 제형일 수 있다. 각 제형에 있어서 의약외품 조성물은 다른 성분들을 기타 의약외품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임의로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억제 또는 완화)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증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의약외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 성분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그 자체,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된 담체와 혼합한 조성물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함량은 상기 약학 조성물 중의 함량 및 투여량을 기준으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 식품 조성물의 가장 바람직한 양태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른 양태로서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 묵, 죽, 라면이나 국수 등의 면류,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의 조미식품, 소스, 과자, 발효유나 치즈 등의 유가공품, 김치나 장아찌 등의 절임식품, 과실, 채소, 두유, 발효음료 등의 음료수의 일반적인 식품 형태도 가능하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품 첨가제일 수 있다.
한편, 식품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는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A549 세포주에 대한 항암 효과
1-1. 세포 배양 및 시약
A549 세포주는 한국 세포주 은행에서 구입하였으며 RPMI1640 (10% FBS + 1% P/S)에서 배양하였다. 화학적으로 합성된 ONG41008 (화학식 2), ONG21001 (유파틸린)은 Syngene International Ltd.(Bangalore, India)에서 입수하여 DMSO에 50mM의 스톡 농도로 용해하고 -20 ℃에서 분취량으로 보관하였다. 농도에 따른 DMSO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Hispidulin은 Sigma(SML0582)에서, Jaceosidin은 Selleckchem(S0931)에서, Apigenin은 Sigma(10798)에서 구입하였다.
본 발명에서 일실시예로 사용된 ONG41008은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22028857367-pat00015
1-2. 본 발명 화합물에 의한 A549 세포의 세포 노화 유도 효과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인 A549 세포를 배지에 접종한 후 24시간 배양하고,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 (20 μM) 처리 유무에 따른 유전자 발현량 변화를 확인하여 상향 또는 하향 조절된 유전자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배양된 세포를 차가운 PBS로 두 번 세척하고 TaKaRa MiniBEST Universal RNA 추출 키트(Takara, Japan)를 사용하여 수확하였다. RNA는 제조사 프로토콜에 따라 동일한 키트를 사용하여 정제되었다. RNA는 cDNA 합성 키트(PCRBio Systems, London, UK)를 사용하여 역전사되었다. 합성된 cDNA는 StepOne Plus(Applied Biosystems, Life Technologies) 및 2x qPCRBio Probe Mix Hi-ROX(PCRBio)로 증폭되었다. ΔΔCt 방법을 사용하여 mRNA 수준 간의 비교를 수행했으며 GAPDH를 내부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처리된 판독값은 기본 매개변수와 함께 Tophat 및 Cufflink를 사용하여 Homo sapiens 참조 게놈에 매핑되었다. 기본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Cuffdiff를 사용하여 미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Cuffdiff의 FPKM 값을 정규화하고 R TCC(패키지 태그 수 비교)를 사용하여 정량화하여 통계적 유의성(예: P 값) 및 차등 발현(예: 배수 변경)을 결정하였다. 유전자 발현 값은 사내에서 개발된 R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배수 변경 값을 사용하여 Volcano 플롯으로 플롯되었다.
그 결과, 본 발명 화합물 처리 유무에 따라 세포 노화 (cellular senescence)에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 양상이 두드러지게 변화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데이터 미도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크로몬 스캐폴드 함유 유도체인 점에 착안하여, 세포 노화를 유도하는 효과가 다른 크로몬 스캐폴드 함유 유도체에서도 발휘되는 효과인지 확인하고자 면역세포화학 (immunocytochemistry)을 진행하였다.
A549 세포주에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 유파틸린 (ONG21001) 또는 다른 크로몬 스캐폴드 함유 유도체인 히스피듈린 (Hispidulin), 자세오시딘 (Jaceosidin), 아피제닌 (Apigenin)을 각각 20 μM씩 처리하고 72시간 경과 후, 세포를 4% 파라포름알데히드를 사용하여 고정하고, 0.4% TritonX100으로 투과화하여, 1% BSA로 블로킹하였다. 실온에서 4시간 동안 Rhodamine Phalloidin (Thermo Fisher, Massachusetts, UK)과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세척 후, 세포를 Alexa Fluor 488 (Abcam, Cambridge, UK) 접합된 이차 항체와 함께 배양하였다. EVOS M7000(Invitrogen, CA, USA)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핵은 DAPI로 대조염색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과 유파틸린 (ONG21001) 처리된 세포에서 특이적으로 세포노화의 형태학적 변화인 세포 편평화 (cell flatness)를 관찰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과 유파틸린 (ONG21001) 이 처리된 A549 세포에서 편평 세포 형태가 관찰되었으나, 다른 크로몬 스캐폴드 함유 유도체를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이러한 세포 노화의 형태학적 특징이 관찰되지 않아, 세포 노화는 다양한 크로몬 스캐폴드 함유 유도체 중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특이적 효과임을 알 수 있었다.
1-3. 본 발명 화합물에 의한 A549 세포의 복제 노화
여러 종양 억제 단백질이 세포 주기 진행의 중단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P53은 인산화되어 주로 p21 또는 p16과 결합함으로써 세포 주기를 억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처리가 A549 세포에서 TP53-p21-p16을 축으로 하는 복제 노화를 유도하는지 확인하고자 면역세포화학 (immunocytochemistry)을 진행하였다.
A549 세포주에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을 각각 1, 5, 10, 20 μM 처리하고 24 시간 또는 72 시간 경과 후, 세포를 4% 파라포름알데히드를 사용하여 고정하고, 0.4% TritonX100으로 투과화하여, 1% BSA로 블로킹하였다. 실온에서 4시간 동안 Anti-p53(Cell signaling technology, Beverly, MA), Anti-p21(Abcam, Cambridge, UK), Anti-p16-INK4A(Proteintech, IL, USA)과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세척 후, 세포를 Alexa Fluor 488 (Abcam, Cambridge, UK) 접합된 이차 항체와 함께 배양하였다. EVOS M7000(Invitrogen, CA, USA)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핵은 DAPI로 대조염색하였다.
그 결과, 도 2a -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μM 처리시 TP53 단백질 발현량은 변하지 않않지만 핵 국소화는 관찰되었고, p21은 상향 조절과 함께 핵 국소화되었다. p16은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의 농도에 비례하여 상향 조절되었으며 핵과 핵 주변부에 동시에 위치하였다.
화합물 처리 24시간보다 화합물 처리 72시간에 세포 형태가 더 균일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다핵화 된 A549 세포가 제거된다는 것을 반영한다. p16의 핵으로의 최대 전위 (translocation)는 72시간에 완료된 것으로 보이고, 이처럼 p16이 포화된 A549 세포는 세포사멸 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도 3).
TP53의 인산화는 세포 주기 정지 (arrest)를 조절하는데 필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바, phospho-specific TP53 항체를 사용하여 웨스턴 블랏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A549 세포를 100 mm 세포 배양 접시에 1 x 106 cells/well로 분주하고 밤새 배양한 다음 다양한 농도의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로 처리하였다. 24시간 후, 세포 용해물을 14,000 x 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정화하고 상청액을 수집하였다. 단백질 농도는 Bradford assay(Thermo Fisher, Massachusetts, USA)로 정량하였다. 그 후, 25 ㎍의 세포 단백질을 10% SDS-PAGE 젤에 로딩하고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으로 트랜스퍼하였다. 5% BSA로 블로킹 후, 멤브레인을 Anti-p53 (Cell signaling technology, Beverly, MA), Anti-phosphor-p53 (Cell signaling technology, Beverly, MA), Anti-p21 (Abcam, Cambridge, UK), Anti-p16-INK4A (Proteintech, IL, USA), Anti-GAPDH (Abcam, Cambridge, UK)와 4 ℃에서 밤새 인큐베이션 하였다. 완전히 세척한 후, 멤브레인을 HRP-접합된 이차 항체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ECL 시약 (Abfrontier, Korea)과 Uvitec HD9 (UVITEC, UK)를 사용하여 단백질 밴드를 시각화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 농도 증가에 비례하여 TP53이 인산화 되었으며 (도 4a) TP53의 총량은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또한, p21과 p16이 모두 농도 의존적 방식으로 유도되어 도 2a - 2c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한편, A549 세포를 추가로 증식시키기 위하여 TGFβ(5ng/ml)를 처리하여 A549 세포를 자극하고, 이 때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 (10 μM) 처리 유무에 따른 세포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 처리된 A549 세포의 상당 부분이 6 일째 부터 죽기 시작하여 15 일째 완전한 세포사멸이 유도되는 반면 대조군 A549는 활기찬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청색 및 적색 원은 각각 대조군 A549 세포 및 ONG41008 화합물 처리된 A549 세포를 나타낸다.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 10 μM에 노출된 모든 세포는 72시간 동안 세포사멸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보였다 (도 4b).
1-4. 본 발명 화합물에 의한 A549 세포의 세포 노화 매개 세포사멸
본 발명 화합물에 의해 A549 세포가 복제 노화로 빠르게 전환하여 세포사멸이 유도되는 것으로 예측되는바, 본 발명 화합물 처리에 따른 세포사멸을 관찰하였다. 세포사멸의 특징 중 하나는 다핵화 (multinuceation, MNC)로, 특히 암세포의 다핵화는 발암유전자 유도에 의한 노화 (Oncogene-Induced Senescence, OIS)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 10 μM을 A549 세포에 24시간, 48시간 또는 72시간 처리하여 세포 노화를 확립하였고, 면역세포화학을 수행하여 형태학적 변화와 함께 다핵화를 관찰하였다. 상피-중간엽 전이(EMT) 양성 조절자인 ZEB1이 발현 대조군으로 사용되었다.
그 결과,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 처리 24 시간에 A549에서 세포 편평화가 명확히 확인되었고, 다핵화도 관찰되기 시작하였으며, 처리 48 시간 후 가장 많은 수의 다핵화가 관찰되었고, 처리 72 시간에서는 오히려 그 수가 감소하였는데, 이는 세포사멸의 의한 결과로 예상된다 (도 5a - 5c).
1-5. 본 발명 화합물에 의한 A549 세포의 발암유전자 유도에 의한 노화
암세포를 제거하는 본 발명 화합물의 작동 양식 (MOA)은 발암유전자 유도에 의한 노화에 의한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항암제는 세포 주기 조절, DNA 복제 또는 염색질 리모델링 등을 표적으로 하는데, 본 발명 화합물을 처리한 A549 세포에서는 DNA 복제 및 DNA 복구에 관여하는 HIST1H4K(H4 Clustered Histone 12)의 발현량 변화가 관찰된 바 있다 (데이터 미도시). 이에, 가역적 범히스톤 데아세틸라제(HDAC) 억제제인 SAHA(suberoylanilide hydroxamic acid)와 본 발명 화합물이 세포 주기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A549 세포를 24시간 동안 96개 웰 플레이트에 분주한 다음, 상이한 농도의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 또는 SAHA에 노출시켰다. 이후 세포를 TMRE (abcam, ab113852)와 함께 37 ℃의 어두운 곳에서 30 분 동안 공동 인큐베이션하고,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를 검사하였다. 20μM FCCP 처리된 세포를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세포 생존은 SAHA 처리 후 24 시간에 급격히 감소하여, 72 시간에 세포의 실질적 생존이 최대로 억제되는 것을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반면,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에 의한 억제 효과는 48시간에 시작되어 모든 세포가 제거될 때까지 4일까지 계속하여 증가하였다. 이는 발암유전자 유도에 의한 노화가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 처리 48 시간에 시작하여 72 시간까지 계속되는 것으로 확인된 면역세포화학에 의한 데이터와도 유사한 맥락이었다 (도 5a - 5c). SAHA와 ONG41008 화합물의 IC50는 약 20배 차이를 보였다(도 6).
종합하면, SAHA는 염색질 리모델링 과정에 대한 광범위한 HDAC 억제 효과로 인해 빠른 세포사멸을 유도하지만, 이 과정에서 다양한 바람직하지 못한 효과를 함께 유도하는 반면, 본 발명 화합물은 발암유전자 유도에 의한 노화를 통해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해석되고, 이와 같은 차이에 기인하여 본 발명의 세포사멸 유도 효과와 지속 시간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1-6. 본 발명 화합물에 의한 A549 세포의 G2/M 세포 주기 정지 및 NAD/NADH 비율 변화
본 발명 화합물과 TP53, p16, p21와 관련성은 본 발명 화합물이 세포 주기 제어에 중요하게 기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 화합물이 세포 주기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확인하고자, A549 세포에 본 발명 화합물을 처리하고 24 시간에 웨스턴 블랏을 수행하고, 각각 24시간과 48시간에 PI 염색을 수행하여 세포 주기 분석을 진행하였다.
웨스턴 블랏을 위하여, A549 세포를 100mm 세포 배양 접시에 1 × 106 cells/well로 분주하고 밤새 배양한 후,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 50 μM 또는 Fisetin (Glantham, GL7384-100MG) 50 μM로 처리하였다. Fisetin은 세포 노화 유도제로, G0/G1 phase의 정지(arrest)를 유도한다. 24시간 후, 세포 용해물을 14,000 × 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정화하고 상청액을 수집하였다. 단백질 농도는 Bradford assay(Thermo Fisher, Massachusetts, USA)로 정량하였다. 그 후, 25 ㎍의 세포 단백질을 10% SDS-PAGE 젤에 로딩하고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으로 트랜스퍼 하였다. 5% BSA로 블로킹한 후, 멤브레인을 4 ℃에서 밤새 Anti-CDK2 (Cell signaling Technology, MA), Anti-CDK4 (Cell signaling Technology, MA), Anti-GAPDH (Abcam, Cambridge, UK) 항체와 함께 인큐베이션 하였다. 완전히 세척한 후, 멤브레인을 HRP-접합된 이차 항체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ECL 시약(Abfrontier, Korea)과 Uvitec HD9(UVITEC, UK)를 사용하여 단백질 밴드를 시각화하였다.
PI 염색을 위하여, A549 세포를 100mm 세포 배양 접시에 2 × 105cells/ml로 분주하고 24시간 후 수확하여 PBS로 세포를 세척한 후,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 10 μM, 20 μM, 50 μM 또는 대조군 배지를 각각 첨가하였다. 24시간 후, 세포를 수확하고 냉각된 70% 에탄올에 고정한 후, 200ug/ml RNase(Abcam, 139418)를 함유한 프로피디움 요오드화물 (propidium iodide)로 37 ℃ 암실에서 30분 동안 염색하였다. 세포 주기의 각 단계는 Accuri C6 Plus(BD Bioscience)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은 50 μM에서 CDK2와 CDK6 발현을 억제하여 G1-S-G2 phase의 정지(arrest)를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7a, 7b). 따라서, 본 발명 화합물은 종양유전자 유도 노화 (Oncogene-Induced Senescence, OIS)에 의해 유사분열 붕괴(mitotic collapse)를 초래하고, 결과적으로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사 조절은 세포 주기 조절 또는 세포사멸을 제어하는 핵심 동인으로 여겨져 왔다. NAD/NADH 비율은 해당과정과 TCA 주기를 포함한 에너지 대사를 조절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며, 발병 또는 노화와 같은 미토콘드리아 기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 화합물이 A549 세포에서 NAD/NADH 비율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조사 프로토콜에 따라 NAD+/NADH Colorimetric Assay Kit (Abcam, ab65348)를 사용하여 A549 세포 용해물에서 총 NAD를 추출하고 정량화하였다. 1 x 106 세포를 400 ㎕ NAD/NADH 추출 완충액에 용해시키고 10kD 스핀 컬럼 (ab93349)을 통해 여과하고 순수 또는 1/5 희석하여 측정하였다. 요약하면, 총 NAD의 양은 표준 곡선(pmol)을 반응 웰에 첨가된 샘플 부피(㎕)로 나누고 희석 계수를 곱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 A549 세포가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로 자극되었을 때 NAD 생합성이 증가되어 NAD/NADH 비율이 현저히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 7c). 반면, SAHA는 이러한 효과를 전혀 유도하지 못하였다. A549 세포 자체의 NAD/NADH 비율은 마이너스 값을 나타내어 A549 세포는 호기성 해당과정을 독점적으로 이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은 NAD의 세포내 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경로에서 속도 제한 효소인 Nampt (니코틴아미드 포스포리보실트랜스퍼라제)가 본 발명 화합물의 주요 표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 화합물은 NAD/NADH 비율을 60~100 범위로 정규화할 수 있어, 이와 같이 정규화된 NAD/NADH 비율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처리된 암세포에서 ROS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1 x 104 cells/ml의 A549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24시간 경과 후, 세포에 10uM H2DCFDA (Invitrogen, CA)를 처리하고 37℃의 암실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이후,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 또는 양성 대조군으로 ROS 유도제인 TBHP (Abcam, UK)를 다양한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세포 내 ROS는 형광 현미경 (Thermo, MA)으로 검사하고 형광 분광기(Perkin Elmer, MA)로 정량화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을 처리하는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ROS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도 7d), 이는 NAD/NADH 비율이 증가하며 암세포의 ROS 생산에 영향을 미쳐 발암유전자 유도에 의한 노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비교예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 화합물은 암세포와 정상세포를 구별하여 암세포 특이적으로 작용하는데, 이는 본 발명 화합물의 크로몬 스캐폴드가 NAD, NADH, pH 또는 ATP를 포함하는 세포내 미세 환경을 구성하는 일부 구성요소를 에너지 센서로 인식하기 때문일 수 있다.
1-7. 본 발명 화합물 처리에 따른 세포사멸 역학 분석
본 발명 화합물 처리 후 시간 경과에 따른 A549 세포의 세포사멸을 관찰하고자, TUNEL 분석과 7AAD 분석을 진행하였다.
TUNEL 분석은 제조사 지침에 따라 TUNEL assay kit (Abcam, ab66110)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A549 세포를 100mm 세포 배양 접시에 2 × 105 cells/ml로 분주하고 24시간 후 수확하여 PBS로 세척한 후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 10 μM, 20 μM, 50 μM 또는 대조군 배지를 각각 첨가하였다. 24시간 후, 세포를 수확하여 냉각된 70% 에탄올에 고정하고 DNA 표지 용액 50 ㎕ (TdT 반응 완충액 10 ㎕, TdT Enzyme 0.75 ㎕, Br-dUTP 8 ㎕, ddH2O 32.5 ㎕)를 첨가하였다. 37 ℃에서 1 시간 인큐베이션 후, 세포를 300 ㎕ 린스 완충액으로 2회 세척하고 항체 용액 (5 ㎕의 Anti-BrdU-Red 항체, 95 ㎕ 린스 완충액)을 제조하여 세척한 세포에 첨가하고 실온의 암실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300 ㎕의 7-AAD/RNase 용액을 마지막에 첨가하였다. 각 시료는 Accuri C6 Plus (BD Bioscienc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 처리 48 시간에서 세포사멸이 관찰되기 시작하여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 처리 72 시간에는 화합물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사멸이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도 8).
실시예 2. H358, H1299 세포에 대한 항암 효과
2-1. 세포 배양 및 시약
비소세포폐암 1차 세포인 H358, H1299는 모두 한국 세포주은행에서 구입하였으며, RPMI1640 (10% FBS + 1% P/S)에서 배양하였다. 화학적으로 합성된 ONG41008은 Syngene International Ltd.(Bangalore, India)에서 입수하여 DMSO에 50mM의 스톡 농도로 용해하고 -20 ℃에서 분취량으로 보관하였다.
2-2. 본 발명 화합물에 의한 H358 세포의 증식 억제
본 발명 화합물에 의한 H358 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 CCK-8 분석으로 확인하고, 난소암, 유방암, 폐암 또는 위암의 치료에 사용이 승인된 항암 치료제인 파클리탁셀에 의한 효과와 비교하였다.
H358 세포를 24시간 동안 3 x 104 세포/웰이 되도록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였다.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 또는 파클리탁셀 (Abcam, ab120143)을 각각 0.1, 1, 10, 20, 30, 50 μM로 처리하고 72 시간 경과 후 세포 생존율은 제조사 프로토콜에 따라 cell counting kit-8 (Dojindo, CK04) 로 측정하였다. 또한,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 처리 72 시간 경과한 후 H358 세포를 광학현미경 (EVOS M7000)으로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과 파클리탁셀 모두 30 μM 이상 처리에서 유사한 수준으로 비소세포폐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시켰으며, 단, 파클리탁셀과 ONG41008의 IC50는 약 14배 차이를 보였다 (도 9). 한편,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 10 μM 처리 72 시간 경과 후 H358 세포의 유사분열 붕괴가 관찰되었다 (도 10).
2-3. 본 발명 화합물에 의한 H1299 세포의 다핵화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면역세포화학을 수행하여 세포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도 11에서와 같이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 처리에 따라 발암유전자 유도에 의한 노화의 지표인 다핵화가 관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PANC1 세포에 대한 항암 효과
3-1. 세포 배양 및 시약
인간 췌장암 세포주인 PANC1 세포는 한국 세포주 은행에서 구입하였으며, RPMI1640 (10% FBS + 1% P/S)에서 배양하였다.
화학적으로 합성된 ONG41008은 Syngene International Ltd.(Bangalore, India)에서 입수하여 DMSO에 50mM의 스톡 농도로 용해하고 -20 ℃에서 분취량으로 보관하였다.
3-2. 본 발명 화합물에 의한 PANC1 세포의 증식 억제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에 의한 PANC1 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를 CCK-8 분석으로 확인하고, 파클리탁셀에 의한 효과와 비교하였다.
실험방법은 사용된 세포만 제외하고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은 파클리탁셀과 비교하여 10 μM 이상의 농도에서 더 우수한 췌장암 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를 발휘하였으며,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의 PANC1에 대한 IC50는 11.8μM, 파클리탁셀의 PANC1에 대한 IC50는 84.7 μM로 확인되었다 (도 12).
3-3. 본 발명 화합물에 의한 PANC1 세포의 다핵화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면역세포화학을 수행하여 세포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13에서와 같이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 처리에 따라 발암유전자 유도에 의한 노화의 지표인 다핵화가 관찰되었다.
실시예 4. MCF7 세포에 대한 항암 효과
4-1. 세포 배양 및 시약
인간 유방암 세포주인 MCF7 세포는 한국 세포주 은행에서 구입하였으며, RPMI1640 (10% FBS + 1% P/S)에서 배양하였다.
화학적으로 합성된 ONG41008은 Syngene International Ltd.(Bangalore, India)에서 입수하여 DMSO에 50mM의 스톡 농도로 용해하고 -20 ℃에서 분취량으로 보관하였다.
4-2. 본 발명 화합물에 의한 MCF7 세포의 증식 억제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에 의한 MCF7 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를 CCK-8 분석으로 확인하고, SAHA에 의한 효과와 비교하였다.
실험방법은 사용된 세포와 양성 대조군 시약만 제외하고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은 SAHA와 매우 유사한 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발휘하였으며,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의 MCF7에 대한 IC50는 15.38 μM, SAHA의 MCF7에 대한 IC50는 11.18 μM로 확인되었다 (도 14).
4-3. 본 발명 화합물에 의한 MCF7 세포의 다핵화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면역세포화학을 수행하여 세포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도 15에서와 같이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 처리에 따라 발암유전자 유도에 의한 노화의 지표인 다핵화가 관찰되었다.
실시예 5. PC3 세포에 대한 항암 효과
5-1. 세포 배양 및 시약
인간 전립선암 세포주인 PC3 세포는 한국 세포주 은행에서 구입하였으며, RPMI1640 (10% FBS + 1% P/S)에서 배양하였다.
화학적으로 합성된 ONG41008은 Syngene International Ltd.(Bangalore, India)에서 입수하여 DMSO에 50mM의 스톡 농도로 용해하고 -20 ℃에서 분취량으로 보관하였다.
5-2. 본 발명 화합물에 의한 PC3 세포의 증식 억제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에 의한 PC3 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를 CCK-8 분석으로 확인하고, SAHA에 의한 효과와 비교하였다.
실험방법은 사용된 세포와 양성 대조군 시약만 제외하고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의 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구체적으로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의 PC3에 대한 IC50는 32.05 μM로 확인되었고, SAHA의 PC3에 대한 IC50는 3.84 μM로 확인되었다 (도 16). 비록 PC3에 대한 IC50는 SAHA가 더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도 SAHA와 유사한 수준으로 PC3 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5-3. 본 발명 화합물에 의한 PC3 세포의 세포사멸 유도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에 의한 PC3 세포의 세포사멸 유도 효과를 Caspase-3/7 활성으로 확인하고, SAHA에 의한 효과와 비교하였다.
Caspase-3/7 활성은 Caspase-3/7 assay kit(Promega, G8091)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다양한 농도의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 또는 SAHA로 처리된 세포를 수확하고 얼음 위에서 용해시켰다. 이후 BCA(Thermo, 23227)로 단백질을 측정하여 세포 용해 완충액 50ul 당 단백질 50ug으로 조절하였다. 이후 제조사 프로토콜에 따라 Caspase-3/7 활성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도 17에서와 같이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과 SAHA는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PC3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경우,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의 EC50는 20.37 μM, SAHA의 EC50는 13.51 μM로 확인되었다.
5-4. 본 발명 화합물에 의한 PC3 세포의 다핵화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면역세포화학을 수행하여 세포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18에서와 같이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 처리에 따라 발암유전자 유도에 의한 노화의 지표인 다핵화가 관찰되었다.
비교예. 본 발명 화합물이 정상세포에 미치는 영향
1-1. 세포 배양 및 시약
인간 정상 폐 섬유아세포 (Normal Human Lung Fibroblasts, NHLF)는 Lonza (CC-2512)에서 구입하였으며, Fibroblast Growth medium (0.1% insulin, 0.1% hFGF-B, 0.1%GA-1000, 2%FBS)에서 배양하였다.
화학적으로 합성된 ONG41008은 Syngene International Ltd.(Bangalore, India)에서 입수하여 DMSO에 50mM의 스톡 농도로 용해하고 -20 ℃에서 분취량으로 보관하였다.
1-2. 본 발명 화합물에 의한 세포 증식 억제 여부 확인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에 의해 정상 세포인 NHLF 세포의 세포증식이 억제되는지 여부를 CCK-8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이 경우 SAHA 및 상용화된 항암제인 닌테다닙과 정상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실험방법은 사용된 세포와 양성 대조군 시약만 제외하고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도 19에서와 같이, SAHA와 닌테다닙 모두 인간 정상 폐 섬유아세포 (normal human lung fibroblastoma, NHLF)에 세포 증식을 억제하고 엄청난 독성을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은 세포 증식을 억제시키지 않았다.
1-3. 본 발명 화합물에 의한 세포사멸 여부 확인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에 의해 NHLF 세포의 세포사멸이 유도되는지 확인하고자, (i)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 분석, (ii) Caspase-3 활성 분석, (iii) LDH 세포독성 분석의 3 가지 분석을 진행하였다.
(i)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 분석은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ii) Caspase-3 활성 분석은 Caspase-3 assay kit (abcam, ab37401)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간략하게 서술하면, 다양한 농도의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 또는 닌테다닙으로 처리된 세포를 수확하고 얼음 위에서 용해시켰다. 이후 BCA(Thermo, 23227)로 단백질을 측정하여 세포 용해 완충액 50ul 당 단백질 50ug으로 조절하였다. 이후 제조사 프로토콜에 따라 Caspase-3 활성을 분석하였다.
(iii) LDH 세포독성 분석은 LDH 분석 키트 (abcam, ab56393)를 사용하여 LDH 방출을 검출하였다. 간략하게 서술하면, 다양한 농도의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 또는 닌테다닙 또는 SAHA로 처리된 세포 배양 플레이트를 480 × 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청액(10 ㎕/웰)을 다른 96웰 플레이트로 추출한 후, 100 ㎕ LDG 반응 혼합물을 각 웰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흡광도 값은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에서 450nm에서 측정되었다.
실험 결과, 도 20에서와 같이, MTMP, Caspase3 및 LDH로 측정하였을 때 SAHA와 닌테다닙은 정상세포에서도 강력한 세포사멸을 유도하였지만 ([SAHA] MTMP: IC50 22.36 μM, LDH: EC50 115.0 μM / [닌테다닙] MTMP: IC50 41.02 μM, Caspase3: EC50 128.2 μM, LDH: EC50 218.2 μM),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은 정상세포에서 뚜렷한 세포사멸을 유도하지 않았다.
한편, 추가로 진행한 Caspase3/7 분석에서도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은 암세포주(PC3)에서와 달리 caspase3/7 활성을 유도하지 않는 바, 본 발명 화학식 2 화합물 (ONG41008)이 정상세포에 세포사멸을 유도하지 않음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데이터 미도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종양세포 또는 암세포 특이적 세포 노화 (복제 노화 (replicative senescence, RS) 및 종양유전자 유도 노화 (oncogene-induced senescence, OIS))의 강력한 유도제로서, 제어되지 않는 증식 루프로부터 세포 노화의 방식으로 이들 세포를 해방시키는 동시에, 암세포 특이적 세포사멸을 유도하여 탁월한 항종양 또는 항암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특성은 다양한 크로몬 스캐폴드 유도체 중에서도 본 발명 화합물에서만 발휘되는 고유한 특성이라 할 수 있는데, 다른 크로몬 스캐폴드 유도체로서 C6 위치에 산소를 갖는 Histidulin, Jaceocidin은 항-섬유화 효과는 발휘하나 암 세포 특이적 세포 노화를 유도하거나 노화된 세포를 제거하는 효과는 전혀 발휘하지 못하고, Apigenin은 항-섬유화, 암 세포 특이적 세포 노화 또는 노화 세포를 제거하는 효과를 모두 유도하지 못하며, Fisetin, Quercetin은 세포 사멸은 유도하나 노화 세포를 제거 또는 항-섬유화 효과는 유도하지 못하는바, 본 발명 화합물은 암 세포 특이적 세포 노화 (Senogenic)와 함께 노화된 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 (Senolytic)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확인된 바와 같은 우수한 항종양 또는 항암 특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도 21 참조).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S: 크로몬 스캐폴드, Chromone Scaffold
CSD: 크로몬 스캐폴드 함유 유도체, Chromone Scaffold Derivatives
NHLF: 인간 정상 폐 섬유아세포, Normal Human Lung Fibroblasts
RS: 복제 노화, Replicative senescence
OIS: 발암유전자 유도에 의한 노화, Oncogene-Induced Senescence
MNC: 다핵화, Multinucleation
MTMP: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NAD: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NAMPT: 니코틴아미드 포스포기보실전달효소, Nicotinamide Phosphoribosyltransferase

Claims (24)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 또는 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
    [화학식 1]
    Figure 112022064389491-pat00060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메틸이고,
    R2는 수소이고,
    R3는 수소, 하이드록시 또는 메톡시이고,
    R4는 하이드록시 또는 메톡시이고,
    R5는 수소, 하이드록시 또는 메톡시이고,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은 암 세포 특이적 세포 노화 (senogenic) 및 노화 세포 제거 (senolytic)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5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22028857367-pat00017

    [화학식 3]
    Figure 112022028857367-pat00018

    [화학식 4]
    Figure 112022028857367-pat00019

    [화학식 5]
    Figure 112022028857367-pat00020
    .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혈액암 또는 고형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암은 백혈병, 악성림프종, 다발성골수종 또는 재생불량성 빈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암은 뇌종양, 양성성상세포종, 악성성상세포종, 뇌하수체 선종, 뇌수막종, 뇌림프종, 핍지교종, 두개내인종, 상의세포종, 뇌간종양, 두경부 종양, 후두암, 구인두암, 비강암, 비인두암, 침샘암, 하인두암, 갑상선암, 구강암, 흉부종양, 소세포성 폐암, 비소세포성 폐암, 흉선암, 종격동 종양, 식도암, 유방암, 남성유방암, 복부종양, 위암, 간암, 담낭암, 담도암, 췌장암, 소장암, 대장암, 항문암, 방광암, 신장암,남성생식기종양, 음경암, 전립선암, 여성생식기종양,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난소암, 자궁육종, 질암, 여성외부생식기암, 여성요도암 또는 피부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i) 복제 노화 (replicative senescence, RS) 및/또는 종양유전자 유도 노화 (oncogene-induced senescence, OIS)의 유도에 의한 종양 또는 암 세포 특이적 증식의 억제;
    (ii) 종양 또는 암세포 NAD/NADH 비율의 역전;
    (iii) 종양 또는 암세포 ROS의 상향 조절; 및
    (ii) 종양 또는 암 세포 특이적 세포사멸 유도; 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작용에 의해 항종양 또는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 또는 암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로,
    [화학식 1]
    Figure 112022064389491-pat0006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메틸이고,
    R2는 수소이고,
    R3는 수소, 하이드록시 또는 메톡시이고,
    R4는 하이드록시 또는 메톡시이고,
    R5는 수소, 하이드록시 또는 메톡시이고,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은 암 세포 특이적 세포 노화 (senogenic) 및 노화 세포 제거 (senolytic) 효과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외품 조성물.
  10. 삭제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5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22028857367-pat00022

    [화학식 3]
    Figure 112022028857367-pat00023

    [화학식 4]
    Figure 112022028857367-pat00024

    [화학식 5]
    Figure 112022028857367-pat00025
    .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혈액암 또는 고형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암은 백혈병, 악성림프종, 다발성골수종 또는 재생불량성 빈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암은 뇌종양, 양성성상세포종, 악성성상세포종, 뇌하수체 선종, 뇌수막종, 뇌림프종, 핍지교종, 두개내인종, 상의세포종, 뇌간종양, 두경부 종양, 후두암, 구인두암, 비강암, 비인두암, 침샘암, 하인두암, 갑상선암, 구강암, 흉부종양, 소세포성 폐암, 비소세포성 폐암, 흉선암, 종격동 종양, 식도암, 유방암, 남성유방암, 복부종양, 위암, 간암, 담낭암, 담도암, 췌장암, 소장암, 대장암, 항문암, 방광암, 신장암,남성생식기종양, 음경암, 전립선암, 여성생식기종양,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난소암, 자궁육종, 질암, 여성외부생식기암, 여성요도암 또는 피부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i) 복제 노화 (replicative senescence, RS) 및/또는 종양유전자 유도 노화 (oncogene-induced senescence, OIS)의 유도에 의한 종양 또는 암 세포 특이적 증식의 억제;
    (ii) 종양 또는 암세포 NAD/NADH 비율의 역전;
    (iii) 종양 또는 암세포 ROS의 상향 조절; 및
    (ii) 종양 또는 암 세포 특이적 세포사멸 유도; 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작용에 의해 항종양 또는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종양 또는 암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로,
    [화학식 1]
    Figure 112022064389491-pat00062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메틸이고,
    R2는 수소이고,
    R3는 수소, 하이드록시 또는 메톡시이고,
    R4는 하이드록시 또는 메톡시이고,
    R5는 수소, 하이드록시 또는 메톡시이고,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은 암 세포 특이적 세포 노화 (senogenic) 및 노화 세포 제거 (senolytic)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8. 삭제
  19. 삭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5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22028857367-pat00027

    [화학식 3]
    Figure 112022028857367-pat00028

    [화학식 4]
    Figure 112022028857367-pat00029

    [화학식 5]
    Figure 112022028857367-pat00030
    .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혈액암 또는 고형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암은 백혈병, 악성림프종, 다발성골수종 또는 재생불량성 빈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암은 뇌종양, 양성성상세포종, 악성성상세포종, 뇌하수체 선종, 뇌수막종, 뇌림프종, 핍지교종, 두개내인종, 상의세포종, 뇌간종양, 두경부 종양, 후두암, 구인두암, 비강암, 비인두암, 침샘암, 하인두암, 갑상선암, 구강암, 흉부종양, 소세포성 폐암, 비소세포성 폐암, 흉선암, 종격동 종양, 식도암, 유방암, 남성유방암, 복부종양, 위암, 간암, 담낭암, 담도암, 췌장암, 소장암, 대장암, 항문암, 방광암, 신장암,남성생식기종양, 음경암, 전립선암, 여성생식기종양,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난소암, 자궁육종, 질암, 여성외부생식기암, 여성요도암 또는 피부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i) 복제 노화 (replicative senescence, RS) 및/또는 종양유전자 유도 노화 (oncogene-induced senescence, OIS)의 유도에 의한 종양 또는 암 세포 특이적 증식의 억제;
    (ii) 종양 또는 암세포 NAD/NADH 비율의 역전;
    (iii) 종양 또는 암세포 ROS의 상향 조절; 및
    (ii) 종양 또는 암 세포 특이적 세포사멸 유도; 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작용에 의해 항종양 또는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220033299A 2021-04-20 2022-03-17 세포 노화 및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항암 조성물 KR102443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80027127.5A CN117157074A (zh) 2021-04-20 2022-04-14 诱导细胞衰老及细胞死亡的抗癌组合物
CA3206762A CA3206762A1 (en) 2021-04-20 2022-04-14 Anticancer composition inducing cell senescence and cell death
AU2022260753A AU2022260753A1 (en) 2021-04-20 2022-04-14 Anticancer composition inducing cell senescence and cell death
BR112023021489A BR112023021489A2 (pt) 2021-04-20 2022-04-14 Composição farmacêutica, composição quase fármaco, composição alimentar e uso das mesmas
PCT/KR2022/005410 WO2022225259A1 (ko) 2021-04-20 2022-04-14 세포 노화 및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항암 조성물
JP2023564576A JP2024515711A (ja) 2021-04-20 2022-04-14 細胞老化および細胞死を誘導する抗がん組成物
EP22791959.4A EP4327811A1 (en) 2021-04-20 2022-04-14 Anticancer composition inducing cell senescence and cell dea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50983 2021-04-20
KR1020210050983 2021-04-20
KR20210069844 2021-05-31
KR1020210069844 2021-05-31
KR20210093288 2021-07-16
KR1020210093288 2021-07-16
KR1020210186561 2021-12-23
KR20210186561 2021-1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3583B1 true KR102443583B1 (ko) 2022-09-15

Family

ID=83281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3299A KR102443583B1 (ko) 2021-04-20 2022-03-17 세포 노화 및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항암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4327811A1 (ko)
JP (1) JP2024515711A (ko)
KR (1) KR102443583B1 (ko)
AU (1) AU2022260753A1 (ko)
BR (1) BR112023021489A2 (ko)
CA (1) CA3206762A1 (ko)
WO (1) WO202222525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166B1 (ko) 2018-02-27 2018-07-02 (주)오스티오뉴로젠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증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1998A (ko) * 2005-05-24 2006-11-30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유파틸린을 포함하는 유방암 억제용 조성물
KR101292741B1 (ko) * 2011-09-29 2013-08-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파틸린의 신규 용도
KR102091464B1 (ko) * 2019-08-30 2020-03-20 (주)오스티오뉴로젠 항염증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166B1 (ko) 2018-02-27 2018-07-02 (주)오스티오뉴로젠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섬유증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im H-S et al., bioRxiv 2020; 770404. DOI: 10.1101/770404
Yan W et al., Toxicol Lett 2016; 259: 28-34. DOI: 10.1016/j.toxlet.2016.07.59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25259A1 (ko) 2022-10-27
BR112023021489A2 (pt) 2023-12-19
EP4327811A1 (en) 2024-02-28
CA3206762A1 (en) 2022-10-27
JP2024515711A (ja) 2024-04-10
AU2022260753A1 (en) 202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5660B2 (en) Agent containing flavonoid derivatives for treating cancer and inflammation
KR101561552B1 (ko) 리그난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03421A (ko) 섬유화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45507B1 (ko) 가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443583B1 (ko) 세포 노화 및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항암 조성물
KR102470557B1 (ko) 아플리쿠로딘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01030341A1 (fr) Inhibiteurs de l'expression de la cyclo-oxygenase-2
KR101605991B1 (ko) 나프토피라졸릴카르보티오아미드칼콘 유도체 및 그의 항암제로서의 용도
KR101466377B1 (ko) 디메톡시페닐디히드로피라졸릴나프탈레놀 유도체 및 그 제법 및 항암제로서의 용도
CN117157074A (zh) 诱导细胞衰老及细胞死亡的抗癌组合物
US11464787B2 (en) Composition comprising oleanolic acid acetate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renal toxicity induced by medicine
AU2016319127B2 (en) Medicinal Ambrosia plant extracts
AU2002366225B2 (en) Substituted bicyclo[3.3.1]nonan-2,4,9-triones as pharmaceutical active ingredients
KR100583051B1 (ko) 암치료 및 예방을 위한 계피 및 대추 추출물
KR101703827B1 (ko) 신규한 커큐민 유도체 및 이의 용도
KR102618160B1 (ko) 람부탄 씨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플라보노이드를 세노모르픽 제제의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포의 노화 관련 증상 억제 및 노화 관련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조성물
KR100836568B1 (ko) 왕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2415193B1 (ko) 벤즈브로마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30044837A (ko) 나프탈레닐페닐디히드로피라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
KR100961688B1 (ko) 다중약물내성 암세포에 유용한 항암제
KR101342820B1 (ko) 항암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티오플라바논 화합물
KR20200139099A (ko) 피모자이드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10054448A (ko) 코지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1699659B1 (ko) (z)―5―(4―히드록시―3,5―디메톡시벤질리덴)―2―티옥소이미다졸리딘―4―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67480B1 (ko) 피라졸린-1-카르보티오아미드계 나프토칼콘 유도체 및 그의 항암제로서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