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820B1 - 쑥잎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갖는 성분의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쑥잎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갖는 성분의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820B1
KR101516820B1 KR1020080103573A KR20080103573A KR101516820B1 KR 101516820 B1 KR101516820 B1 KR 101516820B1 KR 1020080103573 A KR1020080103573 A KR 1020080103573A KR 20080103573 A KR20080103573 A KR 20080103573A KR 101516820 B1 KR101516820 B1 KR 101516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coagulation
inhibitory action
polysaccharide
leaf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4437A (ko
Inventor
최수부
유호
Original Assignee
광동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광동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3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820B1/ko
Publication of KR20100044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8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쑥잎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유해성분의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쑥잎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유해성분의 제거방법은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물리화학적 성질이 다른 것임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으로 동시에 제거됨으로써 위염, 위궤양에 효과가 있는 애엽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애엽, 혈액응고 억제성분

Description

쑥잎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갖는 성분의 제거방법{Elimination method of the ingredient inhibiting blood coagulation in Artemisia}
본 발명은 쑥잎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유해성분의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쑥(Artemisia mongolica, A. asiatica, A. princeps, A. argyi 등)은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여러나라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독특한 향기와 맛을 갖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말린 쑥잎을 애엽이라 하며, 한방에서는 애엽을 자궁을 온난케 하는 한약재라 하여 자궁출혈, 임신중의 출혈, 강장보혈, 부인병, 설사치료제로 쓰여 왔다.
쑥의 물 추출물은 혈액 응고시간을 현저히 연장시키며(약학회지 제28권제2호 69-77(1984)), 쑥으로부터 추출한 플라본(flavone)은 항암효과가 있고(Tetrahedron Vol. 26, 99.1603-1615),(Chem. Pharm. Bull. 32(2) 723-727. 1984),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고(J. of Chemical Ecology, Vol. 19, No.11(1993)), 항보체작용을 하여 숙주의 방어체제를 도와서 알러지 및 염증에 효과가 있고(Chem. Pharm. Bull. 33(5)2028-2034(1985)), 혈압강하 작용과 진정작용(Indian J. Med. Res.60,(1972))을 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7777호에는 애엽에서 추출된 유파틸린의 위장질환 치료에 관한 의약적 용도가 개시되어 있으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59-155314호에는 유파틸린이 항알러지 효과가 있음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1751호에는 애엽에서 분리된 자세오시딘(jaceosidin)의 위장질환 치료제로서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414453호에는 유파틸린과 자세오시딘을 함유한 애엽추출물이 염증성 장질환에도 효과가 있음을 밝히고 있지만, 애엽에서 분리된 유파틸린이나 자세오시딘과 같은 성분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쑥추출물 자체를 사용하는 것이 위장질환 치료제로서의 유용성이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
그런데, 애엽 물 추출물에는 폴리사카리드라는 혈액응고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유해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쑥잎을 미리 물로 추출하여 수용성분인 혈액응고억 제 작용을 나타내는 유해성분을 제거한 고농도 에탄올 추출물의 용도가 알려져 있다. 즉,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1751호에는 쑥잎을 미리 물로 추출하여 수용성분인 혈액응고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유해성분을 제거하거나 또는 70~100% 에탄올로 추출함으로써,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수용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쑥 추출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4-51766호에서는 애엽추출물에 알칼리 용액을 첨가하여 위염 및 위궤양 효과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혈액응고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인 디쿠마롤을 제거하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
디쿠마롤은 간장내에서의 비타민 K 의존적 항응고 요소인 II, VII, IX 및 X의 합성을 저해하며, 개에서 APTT(activatedpartial thromboplastin time)와 PT(prothrombin time)을 연장시키며, 혈소판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디쿠마롤은 1985년 Levine에 의하여 썩은 전동싸리(spoiled sweet clover)에서 분리된 이후, 미나리과 식물(ConioselinumUnivittatum)에도 0.44mg/dl 정도 함유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같은 연구자들에 의하여 태국에서 판매중인 알코올성 생약 추출액에도 종류에 따라 0.58, 1.86 및 6.00mg/dl 정도의 디쿠마롤이 함유되어 있으며, 주로 2주에서 2개월 사이의 영아에서 발병하는 선천성 비타민 K 결핍증(Idiopathic vitamin K deficiency)의 원인이 이를 복용한 산모의 모유에 기인할 가능성을 제기한 바 있다. 미국에서는 쿠마린의 랫트에 대한 간독성 실험결과를 근 거로 하여 1954년 식품의 향신료로서 사용을 중지시켰으며, 뒤이어 1965년 영국에서도 쿠마린의 사용이 중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애엽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폴리사카리드류의 화합물과 쿠마린 계열의 화합물인 디쿠마롤인 유해성분을 제거하면서도 애엽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꾸준히 연구되어 왔으나, 종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1751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은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수용성분만을 제거한 것이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4-51766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은 알카리(organic bases) 수용액에 잘 녹는 디쿠마롤 성분만을 제거한 것으로서, 애엽에 함유되어 있는 물리적/화학적 성질이 상이한 상기 혈액응고 억제성분(폴리사카리드, 디쿠마롤)을 각각 제거하는 방법은 보고되어 있을 뿐 두 억제 성분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쑥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성분(폴리사카리드, 디쿠마롤)의 물리적/화학적 성질의 특이성을 이용하여 혈액응고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유해성분인 폴리사카리드 및 디쿠마롤을 동시에 제거 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쑥잎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두 종류의 유해성분인 폴리사카리드 및 디쿠마롤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두 종류의 유해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애엽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혈액응고 억제성분(폴리사카리드, 디쿠마롤)의 물리적/화학적 성질의 특이성에 의거하여 두 종류의 유해성분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첫째, 애엽을 수용성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둘째, 상기 단계 1에서 얻어진 애엽추출물을 농축한 농축액을 순수한 알코올 용매로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셀라이트 종이필터를 통해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 및
셋째, 상기 단계 2에서 얻어진 알코올 여액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애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에서 애엽추출물의 제조과정 중에 제거하고자 하는 혈액응고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은 폴리사카리드 성분과 디쿠마롤 성분이다.
애엽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 작용을 갖는 폴리사카리드는 유로닉산(uronic acid)과 람로스(rhamnose)를 주성분으로 하는 분자량 10,000내외의 산성 폴리사카라이드로서, 수용성이다(약학회지 제28권제2호 69-77(1984)).
또한, 애엽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 작용을 갖는 디쿠마롤은 하기 화학식 1표 로시되는 화합물로서, 융점이 287~293℃이며, 알카리(organic bases) 수용액에 잘 녹으며, 벤젠 및 클로로포름엔 약간 녹는 성질이 있고, 물, 알코올 및 에테르엔 거의 녹지 않는 성질을 갖고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73301747-pat00001
본 발명의 제1단계는 애엽을 수용성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로서, 수용성 유기용매는 수용성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헥산,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등이 있으며, 바람직한 수용성 유기용매는 메탄 올, 에탄올, 클로로포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제1단계에서 추출된 애엽 추출물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1751호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이나, 하기 실험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혈액응고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수용성분인 폴리사카리드 성분이 많이 제거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른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유해성분인 디쿠마롤 성분을 제거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애엽을 수용성 유기용매로 추출한 다음 필수적으로 순수한 알코올 용매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셀라이트 종이필터를 통해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단계에서 사용되는 순수한 알코올 용매는 순도가 100%인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0%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2단계에서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폴리사카리드 성분과 디쿠마롤 성분을 실리카겔컬럼그로마토그래피나 셀라이트 종이필터를 사용하여 제거하는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실리카겔컬럼크로마토그래피의 방 법을 사용하여 제거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조된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장질환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통상의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감미제 등을 혼합하여 경구투여용 제제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부형제로는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옥수수전분, 만니톨,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등이 바람직하고, 결합제로는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포비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이 바람직하고, 붕해제는 크로스카르멜로오스나트륨, 전분글리콘산나트륨,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 크로스포비돈 등이 바람직하며, 활택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스테아릴푸마르산나트륨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구투여용 제제로는 정제, 캡슐제, 과립제, 고체분산체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애엽 추출물은 1일 10 내지 1000mg을 1회 내지 수회 나누어 경구투여 할 수 있으며,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폴리사카리드 성분과 디쿠마롤 성분을 함유하지 않아 종래 기술에 의한 애엽 추출물보다 안전하여 거의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본 발명은 애엽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두 종류의 유해성분인 폴리사카리드 성분과 디쿠마롤 성분을 동시에 제거되어, 안전성이 확보된 애엽 추출물을 제공함으로써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장질환 치료용 제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수용성 유기용매에 의한 애엽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애엽 추출물이 혈액응고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유해성분인 폴리사카리드 성분과 디쿠마롤 성분을 제거할 수 있는 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단계에서 수용성 유기용매에 의하여 추출되는 애엽추출물을 비교대상으로 하였다.
세절한 쑥잎 100g을 50% 에탄올 1ℓ로 10시간씩 3회 추출하고 추출여액을 감압농축하여 농축액 14.1g을 수득하여 비교예 1로 하였다.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6> 각종 수용성 유기용매에 의한 애엽 추출물의 제조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 표 1에 기재된 수용성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쑥잎을 추출하고 그 농축액을 각각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6으로 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73301747-pat00002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4> 본 발명에 따른 애엽 추출물의 제조
상기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에서 얻은 각각의 농축액을 하기 표2에 기재된 각각의 순순한 알코올 용매와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셀라이트 종이필터를 수행하여 얻은 여액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여 얻은 각각의 고형분을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4로 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73301747-pat00003
<실험예 1>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의 함량 분석
상기 실시예 1 내지 24 및 비교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애엽 추출물을 표준액 10㎕를 가지고 하기 조건으로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시험하여 검출된 폴리사카리드 및 디쿠마롤의 함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액체크로마토그라프법에 의한 분석조건>
칼 럼 : Inertsil ODS-II C 4.6mm ID * 150mm L
이동상 : 1% 초산암모늄, 0.5% 초산 완충액:아세토니트릴(60:40) 혼액
유 속 : 1ml/min
검 출 : UV, 360nm
Figure 112008073301747-pat00004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수용성 유기용매에 의한 애엽 추출물(제1단계)인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의 애엽 추출물은 각각의 폴리사카리드 및 디쿠마롤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1751호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과 유사한 것으로서,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수용성분인 폴리사카라이드 성분이 제거될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본 발명자에 의한 실험에서는 폴리사카라이드 성분이 만족할 만큼 제거되지 않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인 디쿠마롤은 거의 제거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24은 각각의 수용성 유기용매에 의한 애엽 추출물(제1단계 및 제2단계)을 100% 알코올 용매를 처리하여 실리카겔컬럼 및 셀라이트 종이필터를 수행한 애엽 추출물로서, 혈액응고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폴리사카리드 및 디쿠마롤의 함량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24의 애엽 추출물 중에서, 셀라이트 종이필터를 수행한 실시예 7 내지 12, 실시예 19 내지 24의 함량 보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한 실시예 1 내지 6, 실시예 13 내지 18의 애엽 추출물에서 혈액응고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폴리사카리드 및 디쿠마롤의 함량이 적게 측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24의 애엽 추출물 중에서, 수용성 유기용매로 추출된 애엽 추출물(제1단계)을 순수한 100% 에탄올 용매를 사용하여 실리카겔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처리(제2단계)한 실시예 14 및 실시예 16 에서 혈액응고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폴리사카리드 및 디쿠마롤의 함량이 거의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애엽 추츨물은 애엽 추출물에 함유된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폴리사카리드 및 디쿠마롤이 모두 동시에 현저하게 제거되어 안전성이 확보됨으로써 애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장질환 치료용 제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애엽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정제의 제조
실시예 14의 애엽 고형분 60 mg
규산칼슘 20 mg
유당 130 mg
미결정셀룰로오스 100 mg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적량
탈크 적량
코팅제 적량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4의 애엽 고형분 60 mg
유당 160 mg
전분 적량
통상의 캅셀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캅셀제를 제조한다.

Claims (5)

  1. 애엽을 에탄올, 메탄올 또는 클로로포름 중에서 선택되는 수용성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얻어진 애엽 추출물을 농축하여 농축액을 순수한 알코올 용매로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셀라이트 종이필터를 통하여 알코올 여액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애엽 추출물에 함유된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폴리사카라이드 및 디쿠마롤을 감소시키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셀라이트 종이필터에 사용한 순수한 알코올 용매는 100% 에탄올 또는 메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엽 추출물에 함유된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폴리사카라이드 및 디쿠마롤을 감소시키는 방법.
  3. 삭제
  4. 애엽을 에탄올, 메탄올 또는 클로로포름 중에서 선택되는 수용성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얻어진 애엽 추출물을 농축하여 농축액을 100% 에탄올 또는 메탄올 용매로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셀라이트 종이필터를 통해 혈액응고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폴리사카라이드 및 디쿠마롤을 감소시킨 알코올 여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에서 얻어진 알코올 여액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애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5. 삭제
KR1020080103573A 2008-10-22 2008-10-22 쑥잎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갖는 성분의 제거방법 KR101516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573A KR101516820B1 (ko) 2008-10-22 2008-10-22 쑥잎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갖는 성분의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573A KR101516820B1 (ko) 2008-10-22 2008-10-22 쑥잎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갖는 성분의 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437A KR20100044437A (ko) 2010-04-30
KR101516820B1 true KR101516820B1 (ko) 2015-04-30

Family

ID=42219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573A KR101516820B1 (ko) 2008-10-22 2008-10-22 쑥잎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갖는 성분의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8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1751B1 (ko) * 1994-12-30 1999-05-01 유충식 위장질환 치료제용 쑥추출물
KR20060002639A (ko) * 2004-07-03 2006-01-09 동아제약주식회사 혈액응고 억제성분이 제거된 애엽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1751B1 (ko) * 1994-12-30 1999-05-01 유충식 위장질환 치료제용 쑥추출물
KR20060002639A (ko) * 2004-07-03 2006-01-09 동아제약주식회사 혈액응고 억제성분이 제거된 애엽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437A (ko) 201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7317B2 (ja) 化合物の医薬品的使用
ES2613381T3 (es) Nuevos extractos de Cynara scolymus, Coffea spp. y Olea Europaea para el tratamiento de síndrome metabólico
RU2438692C2 (ru) Растительный экстракт и его терапевтическое применение
US6737085B2 (en) Apocynum venetum extract for use as antidepressant
JP2009542634A (ja) 絡石藤抽出物を含有する炎症性疾患の予防及び治療用医薬組成物
CN111787909A (zh) 包含小檗碱的组合物
KR100623164B1 (ko) 뇌신경 보호효과를 갖는 신규한 은행잎 엑스를 정제하는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US8945633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containing an ethyl acetate fraction of dried extract of Trachelospermi caulis as an active ingredien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fraction
WO2007083190A2 (en) Water insoluble helichrysum extract,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JP2016535091A (ja) ハマナツメ抽出物及びハマナツメ抽出物の用途
WO2020091265A1 (ko)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5267885B2 (ja) 絡石藤とイチヤクソウの混合抽出物を含有する炎症性疾患の予防及び/又は治療用医薬組成物
KR101516820B1 (ko) 쑥잎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갖는 성분의 제거방법
MXPA05002081A (es) Extractos mejorados de psidium huajava, metodos para su obtencion y su uso para el tratamiento de padecimientos gastrointestinales.
CN100444849C (zh) 刺蒺藜提取物的新用途
KR20130094490A (ko) 백합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개선된 의약 제형
WO1999059605A1 (en) Use of crataegus formulations for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neoplastic diseases
KR101083873B1 (ko) 애엽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 억제작용을 갖는 성분의 제거방법
EP2182967A1 (en) Process for preparing vitis vinifera pip extract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rheumatoid arthritis comprising the same
CN103446456A (zh) 治疗高血压和高血脂疾病的方法和使用的中药组合物
CN102641342A (zh) 一种治疗肾病的中药提取物和制备方法
CN106467509A (zh) 丹酚新酸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TWI618540B (zh) Composition for preventing renal toxicity caused by drug toxicity,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Its use
KR100672036B1 (ko) 인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식 치료제
WO2011147754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ngereicherten extraktes aus blättern von vitis vinifera 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