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2036B1 - 인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식 치료제 - Google Patents

인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식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2036B1
KR100672036B1 KR1019990002009A KR19990002009A KR100672036B1 KR 100672036 B1 KR100672036 B1 KR 100672036B1 KR 1019990002009 A KR1019990002009 A KR 1019990002009A KR 19990002009 A KR19990002009 A KR 19990002009A KR 100672036 B1 KR100672036 B1 KR 100672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sthma
phosphorus
present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2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1511A (ko
Inventor
곽의종
한창균
이강진
류근호
조용백
정인호
김대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02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2036B1/ko
Publication of KR20000051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1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61K36/355Lonicera (honeysuc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식 치료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약제로 사용되는 인동(忍冬)으로부터 추출한 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식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인동추출물, 천식

Description

인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식 치료제{Asthma Therapeutics using Lonicera japonica extrac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동 추출물의 농도별 항원 유도 기관지 수축 억제율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인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식 치료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약제로 사용되는 인동(忍冬)으로부터 추출한 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식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인동은 우리나라의 전국 각지의 산야지에서 자생하는 인동과의 반상록 덩굴성 관목 식물로서, 꽃은 '금은화', 잎과 줄기는 '인동등'이라고도 하며 약제로 널리 사용하여온 무독한 한방 생약이다. 상기 인동에 함유된 유효 성분으로는 로니세린(Lonicerin) 등의 플라보노이드; 오크나플라본(ochnaflavon) 등의 바이플라보노이드; 사포닌의 일종이며 신물질인 로니세로사이드(Loniceroside) A, B[대한민 국공개특허 제94-2267호]; 로가닌(Loganin), 보겔로사이드(Vogeloside)등의 이리도이드글리코사이드 등이 알려져 있다. 한방에서는 예로부터 상기 인동을 모든 옹저(속과 겉의 염증)에 유효하다 하여 관절염, 기관지염 등의 치료에 사용하여 왔는데, 최근에는 상기 약효 이외에도 유행성 감기, 각종 화농성 감염증, 습열로 인한 관절의 발적, 종창, 간독성 보호 및 세포 면역 능력 저하에도 약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도해향약 대사전, 영림사, (1990); 중약대사전, 도서출판정담, p4471∼4479 (1998)].
본 발명자들은 상기 인동 추출물에 대한 소염제 및 진통제로서의 유용함을 검증하고자 임상을 실시하던 중에 상기 인동 추출물이 종래에 알려져 있던 약효 이외에 특히 천식에 대해서도 탁월한 활성을 갖는 것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천식 치료에 필수적인 항알러지 효과 및 각종 자극에 의한 발작적 기관지 수축을 억제하여 주는 효과가 우수한 인동 추출물을 함유한 독성 및 부작용이 없는 천식 치료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인동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천식 치료제를 그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천식 치료제로 사용하기 위한 적당한 인동 추출물로는 본 출원인에 의한 한국 특허 제163813호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추출한 추출물이 천식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인동 추출물은 본 출원인의 한국 특허 제163813호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는 바, 그 제조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동의 꽃이 지고난 후 채취하여 건조하고 마쇄한 인동줄기와 인동의 개화기에 채취하여 건조하고 마쇄한 인동잎을 7 : 3 내지 5 : 5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물로 환류 추출한 후에 여과하고, 상기 여액에 동량의 수포화 저급 알콜을 첨가하여 층분리한 다음, 저급 알콜층을 감압 농축하여 인동 엑기스를 추출·정제한다.
상기 인동 엑기스는 로니세로사이드(Loniceroside)-A, 로니세로사이드-B, 로니세린(Lonicerin) 및 로가닌(Loganin)이 전체 엑기스 조성중에 각각 0.5 ∼ 3.0 중량%, 0.5 ∼ 3.0 중량%, 0.5 ∼ 2.0 중량% 및 2.0 ∼ 5.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인동엑기스를 크로톤 오일 유도 마우스 귀 부종법(Croton oil induced mice ear edema test), 마이코 박테리움 부틸리쿰 유도 염증 테스트(Mycobacterium Butylicum induced Arthritis Test) 및 초산 유도 마우스 롸이딩 테스트(Acetic acid induced mice writhing test)의 방법을 이용하여 약효를 실험한 결과, 상기 인동 엑기스가 소염 진통 활성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는 별도로 상기 인동 엑기스를 능동 피부 아나필락시법(Passice cutaneous anaphylasxis test) 및 적출 기관지 수축 억 제 실험(Antigene induced Broncho-contraction in lsolated trachea)의 방법으로 약효를 실험한 결과, 상기 인동 엑기스가 상기 소염 진통 효과 이외에도 알러지 억제 효과 및 기관지 수축 억제 효과를 통하여 천식 치료에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본 출원인의 한국 특허 제163813호에 기재한 방법에의하여 얻어진 인동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천식 치료 효과가 더욱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것은 상기 인동 추출물을 특정 추출 방법으로 제조함으로써 인동 엑기스내의 유효 성분인 로니세로사이드-A, 로니세로사이드-B, 로니세린 및 로가닌 등의 성분이 소정 함량 이상으로 함유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인동 추출물은 천식 치료제의 용도로 통상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형화하여 정제, 시럽 및 캡슐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만일 상기 제형을 정제로 할 경우에는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글리코산전분, 결정셀룰로오스, 옥수수전분 및 경질무수규산 등의 담체를 혼합 사용하여 약물의 흡수 및 분포에 영향을 주어 그 효과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 이밖에도 상기 인동 추출물은 젤라틴형의 캡슐제제, 시럽 및 현탁액의 형태로도 투여가 가능한데, 이 경우 적절한 액상 제약학적 담체에는 향미제 또는 착색제가 시럽을 형성하기 위해 첨가하는 에틸알콜, 솔비톨(sorbitol) 및 물이 함께 포함된다.
특히, 상기 인동 추출물을 인체에 투여할 경우, 상기 인동 추출물이 천연 추출물임에 따라 기타 합성 의약품과 비교하여 부작용이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실 제 독성 시험 결과에서도 생체에 아무런 부작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LD50=5g/kg 이상, 생약학회지 Vol.25, No.4, 1994].
본 발명의 분말 엑기스상의 인동 추출물은 성인의 경우 엑기스 160mg 또는 240mg의 용량으로 1일 3회 10 ∼ 20일간 투여하면 발작성 기침, 호흡 곤란 등의 천식 증세가 현저히 완화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인동 추출물이 천식 치료에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경북 안동 지역에서 11월말에 채취한 인동 줄기를 잘 건조시켜 1.0 ∼ 1.5㎝의 크기로 세절하고, 동지역에서 6월말에 채취한 인동잎을 잘 건조시켜 3 ∼ 5㎜로 마쇄한 후 줄기 700g과 잎 300g을 취하여 8ℓ의 물을 가한 후, 잘 교반하여 주면서 5시간 동안 환류 추출후 여액을 모으고, 잔사를 모아 7ℓ의 물을 가한 후, 2시간 동안 가온 추출하여 앞의 여액과 혼합함으로써 물 추출 효율을 높이고, 추출 여액과 동량의 수포화 n-부틸알콜을 가하여 2회 층분리한 후, n-부틸알콜층을 모아 60∼ 70℃로 감압 농축한 다음, 0.8ℓ의 증류수를 가하여 공비 농축한 후 동량의 증류수를 가하여 용해시키고 막 여과하여 불용 성분을 제거한 다음, 동결 건조하여 41g의 분말 엑기스를 얻었다.
이 엑기스에 잔류하는 부틸 알콜의 양은 159ppm이었고, 유효 성분 조성은 로니세로사이드-A 1.34%, 로니세로사이드-B 1.52%, 로니세린 1.1% 및 로가닌 4.96%였다.
제제예 1
상기 제조예에 의해 제조된 분말 엑기스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경구 투여용 정제를 제조하였다.
〈조 성〉
분말 엑기스 160㎎
경질무수규산 20㎎
옥수수전분 87㎎
결정셀룰로오스 72㎎
글리콘산전분나트륨 60㎎
스테아린산마그네슘 6㎎
제제예 2
상기 제조예에 의해 제조된 분말 엑기스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시럽제를 제조하였다.
〈조 성〉
분말 엑기스 4,000㎎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5% 에탄올용액 60㎎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5% 에탄올용액 40㎎
안식향산나트륨 5% 수용액 100㎎
바나나분말 10% 수용액 600㎎
D-솔비톨 140,000㎎
증류수 196㎖
실험예 1
상기 제조예에 의해 제조된 분말 엑기스의 기관지 수축 저해 효과에 대한 실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으며, 기관지 수축 유도는 오브알부민(Ovalbumin)을 이용하여 유도하고 그 결과는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방법〉
기니아픽(Guinea pig)을 실혈 치사시킨 후, 기관지를 적출하여 피지오그래프를 이용하여 적출기관지의 장력 변화를 정량함으로써 기관지 수축의 억제율을 산출하였다. 이때 상기 제조예에서 얻어진 상기 분말엑기스를 적출기관지의 배양액에 최종 농도가 각각 0.1㎎/㎖, 0.3㎎/㎖, 1.0㎎/㎖가 되도록 넣어준 후, 오브알부민으로 적출 기관지의 수축을 유도시키고 그 수축의 감소 정도를 산출하였다.
투여 약물 및 농도(㎎/㎖) 기관지 수축 억제율
대조군 -
인동엑기스 0.1㎎/㎖ 37
인동엑기스 0.3㎎/㎖ 52
인동엑기스 1.0㎎/㎖ 81
실험예 2
상기 제조예에 의해 제조된 분말 엑기스의 항원에 의해 미리 감작시킨 기니아픽(Guinea pig)으로부터 기관지를 적출하여 항원유도 기관지 수축 저해 효과 실험을 실시하였고, 기관지 수축 유도는 오브알부민을 이용하여 유도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실험방법〉
체중 350 ∼ 400g의 기니아픽에 각각 100㎎의 오브알부민을 근육 주사와 복강 주사로 투여하여 감작시키고, 다시 24시간 후에 50㎎을 근육 주사로 감작시킨 기니아픽을 20일 후에 실혈 치사시킨 후, 기관지를 적출하여 피지오그래프를 이용하여 적출기관지의 장력 변화를 정량함으로써 기관지 수축의 억제율을 산출하였다.
이때 카바콜(cabachol)을 반복 투여하여 적축기관지의 수축 역치를 구한 다음, 상기 제조예에서 얻어진 분말엑기스를 적출 기관지의 배양액에 최종 농도가 각각 0.1㎎/㎖, 0.3㎎/㎖, 1.0㎎/㎖가 되도록 넣어준 후 감작시킨 항원과 동일한 오브알부민으로 적출 기관지의 수축을 유도시키고 그 수축의 감소 정도를 산출하였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추출물은 항원 유도 기관지 수축 억제 효과가 매우 우수하였다.
실험예 3
상기 제조예에 의해 제조된 분말 엑기스의 알러지 억제 효과에 대한 실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으며, 알러지는 알부민(egg albumin)으로 유도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방법〉
흰쥐의 등표면에 IgE를 함유하는 항혈청을 0.1㎖ 투여하였고, 24시간 경과후 알부민과 에반스블루를 함유하는 항원을 정맥 주사하였다. 이때 상기 제조예에서 얻어진 약물은 항원 투여 1시간 전에 경구 투여하였다. 항원 투여 30분 후 치사된 흰쥐의 등표피를 관찰하여 파랗게 팽진된 부분의 지름을 측정하였다.
투여 약물 및 농도 기관지 수축 억제율
대조군 -
인동엑기스 100㎎/㎏ 41
인동엑기스 200㎎/㎏ 53
인동엑기스 400㎎/㎏ 68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추출물은 알러지 억제 효과가 매우 우수하였다.
실험예 4
상기 제조예에 의해 제조된 분말 엑기스상의 인동 추출물을 2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엑기스 160mg 또는 240mg의 용량으로 1일 3회 10 ∼ 20 일간 투여하면서 약물 효과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천식의 일반적인 증상인 기관지염증, 자극에 의한 기관지 수축, 기관지 과민성 증상에 대한 완화 효과가 84%의 유효율을 보였고이를 통해 상기 인동 추출물이 천식 치료에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동 추출물은 종래의 소염 진통 활성 뿐만 아니라 천식을 비롯한 상기도 감염증 치료에도 우수한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천식 치료를 위한 생약 제조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로니세로사이드(Loniceroside) A가 0.5 ~ 3.0 중량%, 로니세로사이드 B가 0.5 ~ 3.0 중량%, 로니세린(Lonicerin)이 0.5 ~ 2.0 중량%, 로가닌(Loganin)이 2.0 ~ 5.0 중량% 포함되어 있는 인동 물 추출물의 부틸알콜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천식 치료제.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동 물 추출물의 부틸알콜 분획물이 1일 3회 160mg 또는 240mg로 투여되도록 제형화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천식 치료제.
KR1019990002009A 1999-01-22 1999-01-22 인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식 치료제 KR100672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009A KR100672036B1 (ko) 1999-01-22 1999-01-22 인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식 치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009A KR100672036B1 (ko) 1999-01-22 1999-01-22 인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식 치료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511A KR20000051511A (ko) 2000-08-16
KR100672036B1 true KR100672036B1 (ko) 2007-01-19

Family

ID=19572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2009A KR100672036B1 (ko) 1999-01-22 1999-01-22 인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식 치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20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1296A3 (en) * 2009-12-07 2011-10-13 Pharmaking Co., Ltd. Anti-inflammatory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from broussonetia papyrifera and lonicera japonic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814A (ko) * 2000-10-20 2001-01-05 윤용길 해소 및 기관지 천식 치료포(布)
AU2006349688B9 (en) * 2006-10-24 2012-02-02 Sk Chemicals Co., Ltd. Oleanane triterpene saponin compounds which are effective on treatment of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and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KR20190109220A (ko) 2018-03-16 2019-09-25 주식회사 헬릭스미스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3813B1 (ko) * 1994-09-29 1998-12-01 조민호 인동으로부터 유효활성 성분을 추출·정제하는 방법과 그 추출물을 함유한 생약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3813B1 (ko) * 1994-09-29 1998-12-01 조민호 인동으로부터 유효활성 성분을 추출·정제하는 방법과 그 추출물을 함유한 생약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1296A3 (en) * 2009-12-07 2011-10-13 Pharmaking Co., Ltd. Anti-inflammatory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from broussonetia papyrifera and lonicera japonic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511A (ko)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dberg et al. Inventory of plants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in Tanzania. Part III. Plants of the families Papilionaceaevitaceae
Jaiarj et al. Anticough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sidium guajava Linn. leaf extract
KR101445010B1 (ko) 소염, 부기제거, 진통에 사용되는 중국 생약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Somboro et al. An ethnobotanical and phytochemical study of the African medicinal plant Guiera senegalensis JF Gmel
Panda Handbook on medicinal herbs with uses: medicinal plant farming, most profitable medicinal plants in India, medicinal plants farming in India, plants used in herbalism, medicinal herbs you can grow, medicinal herbs and their uses, medicinal herbs, herbal & medicinal plants, growing medicinal herb, most profitable medicinal herbs growing with small investment, herbal medicine herbs
KR100372561B1 (ko)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AU2003260985B2 (en) Extraction and purification method of active constituents from stem of Lonicera japonica Thunb., its usage for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drug
Johnson et al. Mimosa pudica Linn-a shyness princess: A review of its plant movement, active constituents, uses and pharmacological activity
KR20080003701A (ko) 낙석등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약제
US7618663B2 (en) Anti-arthritic herbal composition and method thereof
EP2512444B1 (en) Mixtures of plants in spagyric mother tincture for dry cough in babies
Dharani et al. An Illustrated Guide to Medicinal Plants of East Africa
Rai et al. Review on betel leaf used in various ailments
KR100672036B1 (ko) 인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식 치료제
Arambewela et al. Effect of Alpinia calcarata rhizomes on ethanol-induced gastric ulcers in rats
Rani et al. Ethnomedicinal, Pharmacological and Phytochemical Screening of Supari (Areca catechu Linn.): A Review
US7172772B2 (en) Herbal composition for gastrointestinal disorders
KR20190119020A (ko) 지칭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JP5030366B2 (ja) アレルギー性疾患治療用組成物
JP4979053B2 (ja) リンドウ抽出物を含む制癌剤、健康補助食品及び薬用化粧品、並びにリンドウ抽出物の製造方法
KR100552991B1 (ko) 진교로부터 유효 활성 성분의 추출·정제 방법과 그 추출물을함유한 생약 조성물
Rambhau et al. Phytochemical & Pharmacological activity of Agnimantha (Clerodendrum phlomidis linn. f)–A review
Shekokar et al. A phytopharmacological review of prospective of bhrungaraj (Eclipta alba Hassk.)
Tiwari et al. Preliminary phytochemical investigation of alcoholic extract of Bauhinia vahlii
Ezhilarasan Pharmacognostical, Phytochemical including Isolation of Cryptolepine and In Vitro Antioxidant, Alpha-Amylase Effect, Antimycobacterial and In Vivo Antihistaminic Activities of Sida acuta Burm.(Lea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