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5001A - 콜릿 척의 구성 부재, 콜릿, 조임 너트 및 콜릿 척 - Google Patents

콜릿 척의 구성 부재, 콜릿, 조임 너트 및 콜릿 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5001A
KR20090085001A KR1020087030034A KR20087030034A KR20090085001A KR 20090085001 A KR20090085001 A KR 20090085001A KR 1020087030034 A KR1020087030034 A KR 1020087030034A KR 20087030034 A KR20087030034 A KR 20087030034A KR 20090085001 A KR20090085001 A KR 20090085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t
chuck
contact
contact surface
tightening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0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코 기타무라
Original Assignee
다이쇼와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쇼와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쇼와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5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0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20Longitudinally-split sleeves, e.g. collet chucks
    • B23B31/201Characteriz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 B23B31/2012Threaded cam actuator
    • B23B31/20125Axially fixed cam, mov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20Longitudinally-split sleeves, e.g. collet chucks
    • B23B31/201Characteriz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 B23B31/202Details of the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12Chucks having means to amplify the force produced by the actuating means to increase the clamp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20Collet chucks
    • B23B2231/201Operating surfaces of collets, i.e. the surface of the collet acted on by the oper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7Socket type
    • Y10T279/17411Spring biased jaws
    • Y10T279/17487Moving-cam actuator
    • Y10T279/17504Threaded cam slee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7Socket type
    • Y10T279/17411Spring biased jaws
    • Y10T279/17487Moving-cam actuator
    • Y10T279/17504Threaded cam sleeve
    • Y10T279/17512Loose ja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7Socket type
    • Y10T279/17564Loose jaws
    • Y10T279/17572Moving-cam actuator
    • Y10T279/17581Threaded cam slee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콜릿 척의 구성 부재, 콜릿, 조임 너트 및 콜릿 척에 관한 것으로서, 공구의 파지력을 증강할 수 있는 콜릿 척의 구성 부재, 콜릿 및 조임 너트 및 콜릿 척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수단으로서 내부가 가는 형상의 테이퍼 구멍(22)을 갖는 척 본체(20)와, 테이퍼 구멍(22)에 끼워 맞추는 제 1 테이퍼면(44)을 구비한 신축 가능한 콜릿(40)과, 척 본체(20)에 결합되는 조임 너트(60)를 구비한 콜릿 척(10)에 있어서, 콜릿(40)의 전단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외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2 테이퍼면(46)과, 조임 너트(60)의 전단부 내주면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내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3 테이퍼면(70)과, 각각과 접촉하는 제 1 접촉면(82) 및 제 2 접촉면(86)을 갖는 증력 콜릿(80)을 구비하고, 조임 너트(60)를 척 본체(20)에 조인 상태에서, 증력 콜릿(80)의 제 1 접촉면(82)보다 전방이 콜릿(40)을 전방으로 압압하는 상태로 콜릿(40)의 외주면과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콜릿 척의 구성 부재, 콜릿, 조임 너트 및 콜릿 척{MEMBER FOR COLLET CHUCK, COLLET, TIGHTENING NUT, AND COLLET CHUCK}
본 발명은 공작 기계의 주축에 드릴이나 엔드밀 등의 공구를 장착하는 콜릿 척에 관한 것이다.
종래, 드릴이나 엔드밀 등의 공구를 파지(把持)하여 공작 기계의 주축에 장착하는 콜릿 척이 알려져 있고, 이와 같은 콜릿 척에서는 공구의 파지를 확실히 실시하여 고정밀도의 절삭 가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여러 가지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콜릿 척(100)에서는 전단부에 내부가 가는 형상의 테이퍼 구멍(102)을 갖는 척 본체(104)와, 테이퍼 구멍(102)에 끼워 맞추는 제 1 테이퍼면(106)을 갖고 직경을 축소 가능한 콜릿(108)과, 이 콜릿(108)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척 본체(104)에 결합되는 조임 너트(110)를 구비한다.
콜릿(108)의 전단부 외주면에는 고리 형상 홈(112)이 형성되고, 또한 이 고리 형상 홈(112)의 제 1 테이퍼면(106)과 인접하는 둘레측 벽에 제 1 테이퍼면(106)과 역경사의 제 2 테이퍼면(114)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조임 너트(110)의 내주면에는 테이퍼면(116)이 형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 219310호 참조).
이와 같은 콜릿 척(100)에서는 조임 너트(110)를 조임으로써 조임 너트(110)의 테이퍼면(116)이 콜릿(108)의 제 2 테이퍼면(114)에 압접(壓接)하고, 조임 너트(110)로부터 콜릿(108)에 축 방향(L)의 압압력(F1)이 작용할 뿐만 아니라 내부 방향 직경 방향으로 압압력(F2)이 작용하여 유효하게 콜릿(106)의 직경을 축소시키도록 되어 있지만, 절삭 조건의 과혹화에 따라 공구 파지력을 더 증강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도 8에 도시한 피긴정 부재(122)의 축단의 숫나사(122a)에 결합하는 긴정(緊定) 너트(124)를 조임으로써 긴정 플랜지(126)를 통해 피긴정 부재(122)의 플랜지부(129)에 공구 등의 피긴정물(130)을 축 방향(L)으로 압압하여 긴정하는 긴정 부재(120)에 관해, 쐐기의 작용에 의해 피긴정물(130)을 축방향(L)으로 강하게 압압하여 긴정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309612호 참조).
이 긴정 부재(120)는 긴정 너트(124) 및 긴정 플랜지(126)의 대향하는 단면이 V자형인 안내면(124a, 126a)에 의해 직경 방향으로 신축 자유롭게 지지된 콜릿(128)을 구비하고, 테이퍼링(132)으로부터 부여되는 축방향(L)의 힘에 의해 콜릿(128)의 외부 직경을 압축하여 긴정 플랜지(126)를 피긴정물(130)측으로 이동시켜 콜릿(128)을 쐐기로서 기능시키고, 피긴정물(130)을 축방향(L)으로 늘려 조이는것이다.
이와 같은 콜릿(128)을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219310호에 기재되어 있는 콜릿 척(100)의 콜릿(106)의 전단부에 적용한 경우, 콜릿(128)은 단면이 V자형인 안내면의 간격을 넓히려고 하는 쐐기로서 기능하는 것이므로, 공구 파지력을 효율적으로 증강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축방향(L)의 힘이 부여된 콜릿(128)은 그 측면(128a, 128b)으로부터 공구를 파지하는 콜릿(108)을 압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콜릿(108)에는 측면(128a)으로부터 축방향 후방으로 압압하는 힘이 작용할 뿐만 아니라, 측면(128b)으로부터 축방향 전방으로 압압하는 힘도 작용하게 되고, 이들 두 방향의 힘이 서로 상쇄되어 축방향 후방으로 큰 압압력이 부여되지 않고, 공구 파지력이 효율적으로 증강되기 어렵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공구의 파지력을 증강할 수 있는 콜릿 척의 구성 부재, 콜릿 및 조임 너트 및 콜릿 척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내부가 가는 형상의 테이퍼 구멍을 갖는 척 본체와, 상기 테이퍼 구멍에 끼워 맞추는 제 1 테이퍼면을 구비한 직경을 축소 가능한 콜릿과, 상기 콜릿 본체에 결합되는 조임 너트를 구비한 콜릿 척의 구성 부재에 있어서, 상기 콜릿의 전단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외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2 테이퍼면과, 상기 조임 너트의 전단부 내주면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내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3 테이퍼면과, 각각과 접촉하는 제 1 접촉면 및 제 2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조임 너트를 상기 척 본체에 조인 상태에서, 상기 제 1 접촉면보다 전방이 상기 콜릿을 전방으로 압압하는 상태로 상기 콜릿의 외주면과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릿 척의 구성 부재이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내부가 가는 형상의 테이퍼 구멍을 갖는 척 본체와, 상기 테이퍼 구멍에 끼워 맞추는 제 1 테이퍼면을 구비한 직경을 축소 가능한 콜릿과, 상기 척 본체에 결합되는 조임 너트를 구비한 콜릿 척의 콜릿에 있어서, 상기 콜릿의 전단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외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2 테이퍼면과, 상기 조임 너트의 전단부 내주면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내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3 테이퍼면과, 각각과 접촉하는 제 1 접촉면 및 제 2 접촉면을 갖는 증력 콜릿을 구비하고, 상기 조임 너트를 상기 척 본체에 조인 상태에서, 상기 증력 콜릿의 상기 제 1 접촉면보다 전방이 상기 콜릿을 전방으로 압압하는 상태로 상기 콜릿의 외주면과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릿 척의 콜릿이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내부가 가는 형상의 테이퍼면을 갖는 척 본체와, 상기 테이퍼 구멍에 끼워 맞추는 제 1 테이퍼면을 구비한 직경을 축소 가능한 콜릿과, 상기 척 본체에 결합되는 조임 너트를 구비한 콜릿 척의 조임 너트에 있어서, 상기 콜릿의 전단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외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2 테이퍼면과, 상기 조임 너트의 전단부 내주면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내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3 테이퍼면과, 각각과 접촉하는 제 1 접촉면 및 제 2 접촉면을 갖는 증력 콜릿을 구비하고, 상기 조임 너트를 상기 척 본체에 조인 상태에서, 상기 증력 콜릿의 상기 제 1 접촉면보다 전방이 상기 콜릿을 전방으로 압압하는 상태로 상기 콜릿의 외주면과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릿 척의 조임 너트이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내부가 가는 형상의 척 본체와, 상기 테이퍼 구멍에 끼워 맞추는 제 1 테이퍼면을 구비한 직경을 축소 가능한 콜릿과, 상기 척 본체에 결합되는 조임 너트를 구비한 콜릿 척에 있어서, 상기 콜릿의 전단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외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2 테이퍼면과, 상기 조임 너트의 전단부 내주면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내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3 테이퍼면과, 각각과 접촉하는 제 1 접촉면 및 제 2 접촉면을 갖는 증력 콜릿을 구비하고, 상기 조임 너트를 상기 척 본체에 조인 상태에서 상기 증력 콜릿의 상기 제 1 접촉면보다 전방이 상기 콜릿을 전방으로 압압하는 상태로 상기 콜릿의 외주면과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릿 척이다.
상기 청구항 1~4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콜릿의 전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끝이 가는 형상의 제 2 테이퍼면과 접촉하는 제 1 접촉면과, 조임 너트의 전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끝이 가는 형상의 제 3 테이퍼면과 접촉하는 제 2 접촉면을 구비한 콜릿 척의 구성 부재(증력 콜릿)가 콜릿 척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임 너트(60)의 조임에 의해 발생하는 축 방향의 압압력을 증폭할 수 있다.
또한, 조임 너트를 척 본체에 조인 상태에서, 상기 구성 부재(증력 콜릿)의 제 1 접촉면보다 전방이 콜릿을 전방으로 압압하는 상태로 콜릿의 외주면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증폭된 힘을 축방향으로 상쇄하여 감손되지 않고 콜릿에 부여할 수 있고, 공구 파지력을 효율적으로 증강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은 내부가 가는 형상의 테이퍼 구멍을 갖는 척 본체와, 상기 테이퍼 구멍에 끼워 맞추는 제 1 테이퍼면을 구비한 직경을 축소 가능한 콜릿과, 상기 척 본체에 결합되는 조임 너트를 구비한 콜릿 척의 구성 부재에 있어서, 상기 콜릿의 전단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외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2 테이퍼면과, 상기 조임 너트의 전단부 내주면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내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3 테이퍼면과, 각각과 접촉하는 제 1 접촉면 및 제 2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조임 너트를 상기 척 본체에 조인 상태에서, 상기 콜릿의 상기 제 2 테이퍼면 보다 전방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외부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진 제 4 테이퍼면과 접촉하는 제 3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콜릿 척의 직경 방향에 대한 상기 제 3 접촉면의 각도가 상기 콜릿 척의 직경 방향에 대한 상기 제 1 접촉면의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릿 척의 구성 부재이다.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은 내부가 가는 형상의 테이퍼 구멍을 갖는 척 본체와, 상기 테이퍼 구멍에 끼워 맞추는 제 1 테이퍼면을 구비한 직경을 축소 가능한 콜릿과, 상기 척 본체에 결합되는 조임 너트를 구비한 콜릿 척의 콜릿에 있어서, 상기 콜릿의 전단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외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2 테이퍼면과, 상기 조임 너트의 전단부 내주면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내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3 테이퍼면과, 각각과 접촉하는 제 1 접촉면 및 제 2 접촉면을 갖는 증력 콜릿을 구비하고, 상기 증력 콜릿은 상기 조임 너트를 상기 척 본체에 조인 상태에서, 상기 콜릿의 상기 제 2 테이퍼면보다 전방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외부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진 제 4 테이퍼면과 접촉하는 제 3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콜릿 척의 직경 방향에 대한 상기 제 3 접촉면의 각도가 상기 콜릿 척의 직경 방향에 대한 상기 제 1 접촉면의 각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릿 척의 콜릿이다.
청구항 7에 따른 발명은 내부가 가는 형상의 테이퍼 구멍을 갖는 척 본체와, 상기 테이퍼 구멍에 끼워 맞추는 제 1 테이퍼면을 구비한 직경을 축소 가능한 콜릿과, 상기 척 본체에 결합되는 조임 너트를 구비한 콜릿 척의 조임 너트에 있어서, 상기 콜릿의 전단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외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2 테이퍼면과, 상기 조임 너트의 전단부 내주면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내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3 테이퍼면과, 각각과 접촉하는 제 1 접촉면 및 제 2 접촉면을 갖는 증력 콜릿을 구비하고, 상기 증력 콜릿은 상기 조임 너트를 상기 척 본체에 조인 상태에서, 상기 콜릿의 상기 제 2 테이퍼면 보다 전방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외부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진 제 4 테이퍼면과 접촉하는 제 3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콜릿 척의 직경 방향에 대한 상기 제 3 접촉면의 각도가 상기 콜릿 척의 직경 방향에 대한 상기 제 1 접촉면의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릿 척의 조임 너트이다.
청구항 8에 따른 발명은 내부가 가는 형상의 테이퍼 구멍을 갖는 척 본체와, 상기 테이퍼 구멍에 끼워 맞추는 제 1 테이퍼면을 구비한 직경을 축소 가능한 콜릿과, 상기 척 본체에 결합되는 조임 너트를 구비한 콜릿 척에 있어서, 상기 콜릿의 전단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외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2 테이퍼면과, 상기 조임 너트의 전단부 내주면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내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3 테이퍼면과, 각각과 접촉하는 제 1 접촉면 및 제 2 접촉면을 갖는 증력 콜릿을 구비하고, 상기 증력 콜릿은 상기 조임 너트를 상기 척 본체에 조인 상태에서, 상기 콜릿의 상기 제 2 테이퍼면보다 전방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외부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진 제 4 테이퍼면과 접촉하는 제 3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콜릿 척의 직경 방향에 대한 상기 제 3 접촉면의 각도가 상기 콜릿 척의 직경 방향에 대한 상기 제 1 접촉면의 각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릿 척이다.
상기 청구항 5~8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콜릿의 전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끝이 가는 형상의 제 2 테이퍼면과 접촉하는 제 1 접촉면과, 조임 너트의 전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끝이 가는 형상의 제 3 테이퍼면과 접촉하는 제 2 접촉면을 구비한 콜릿 척의 구성 부재(증력 콜릿)가 콜릿 척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임 너트의 조임에 의해 발생하는 축 방향의 압압력을 증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 부재(증력 콜릿)는 조임 너트를 척 본체에 조인 상태에서 콜릿의 제 2 테이퍼면보다 전방에 형성된 내부가 가는 형상의 제 4 테이퍼면과 접촉하는 제 3 접촉면을 구비하고, 콜릿이 제 3 접촉면보다 전방으로 압압되게 되지만, 콜릿 척의 직경 방향에 대한 제 3 접촉면의 각도가 콜릿 척의 직경 방향에 대한 제 1 접촉면의 각도 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축방향 전방의 분력(分力)을 작게 설정하여 제 2 테이퍼면에 부여되는 축방향 후방의 압압력이 감손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콜릿 척의 내부를 향한 직경 방향의 분력을 크게 설정하여 효율적으로 콜릿의 선단 부분에 공구 파지 방향의 압압력을 부여할 수 있고, 공구 파지력을 증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구항 1~8에 따른 발명에서, 상기 콜릿 척의 직경 방향에 대한 상기 제 2 접촉면의 각도가 상기 콜릿 척의 직경 방향에 대한 상기 제 1 접촉면의 각도보다 크게 설치되어도 좋고, 이에 의해 더 효과적으로 공구의 파지력을 증강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임 너트로부터의 압압력을 증폭하는 증력 콜릿이 콜릿과 조임 너트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콜릿 척의 공구 파지력을 더 증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척 콜릿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척 콜릿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증력 콜릿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척 콜릿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척 콜릿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척 콜릿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척 콜릿을 도시한 단면도, 및
도 8은 종래의 긴정 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콜릿 척 20 : 척 본체
22 : 테이퍼 구멍 26 : 숫나사부
40 : 콜릿 44 : 제 1 테이퍼면
46 : 제 2 테이퍼면 60 : 조임 너트
64 : 너트 본체 66 : 링
70 : 제 3 테이퍼면 80 : 증력 콜릿
82 : 제 1 접촉면 86 : 제 2 접촉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좋은 형태)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도 1~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콜릿 척(collet chuck)(10)의 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상기 콜릿 척(10)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증력 콜릿(80)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콜릿 척(10)은 전단부에 테이퍼 구멍(22)을 갖는 척 본체(20), 테이퍼 구멍(22)과 끼워 맞추는 콜릿(40), 척 본체(20)에 장착하는 조임 너트(60), 콜릿(40)과 조임 너트(60) 사이에 설치되는 증력 콜릿(boosting collet)(80)을 구비한다.
척 본체(20)는 공구(1)가 삽입되는 전단측에 있어서 후단측을 향해 가늘어지 는 내부가 가는 형상의 테이퍼 구멍(2)을 갖고, 또한 후단측에 공작 기계의 주축(도시하지 않음)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척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척 본체(20)의 전단부의 외주면에는 조임 너트(60)의 암나사부(62)와 결합되는 숫나사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콜릿(40)은 공구(1)가 삽입되는 공구 삽입 통과 구멍(42)을 갖는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루고, 전단측과 후단측에 번갈아 절개되어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홈에 의해 직경을 축소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콜릿(40)의 후단부 외주면에는 척 본체(20)의 테이퍼 구멍(22)에 끼워 맞춰지는 제 1 테이퍼면(4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단부 외주면에는 전단으로 갈수록 콜릿(40)의 외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지는 제 2 테이퍼면(46)이 제 1 테이퍼면(44)과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 제 2 테이퍼면(46)의 전단측에 고리 형상 볼록부(48)가 형성되어 있다. 고리 형상 볼록부(48)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단측 둘레측벽(48a)이 전단으로 갈수록 외부 직경이 작아지는 전착(前窄)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또한 후단측 둘레측 벽(48b)이 후단으로 갈수록 외부 직경이 작아지는 후착(後窄)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다.
조임 너트(60)는 척 본체(20)의 숫나사부(26)와 결합하는 암나사부(62)를 후단부 내주면에 형성한 너트 본체(64)와, 너트 본체(64)의 전단부 내주면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된 링(66)을 구비하고, 너트 본체(64)의 내주면과 링(66)의 외주면의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단면이 반원 형상인 고리 형상 홈이 형성되어 있고, 양 고리 형상 홈 사이에 볼(68)을 조밀하게 조립하여 너트 본체(64)와 링(66)을 서로 회동 자유롭게 하여 축 방향(L)으로 일체가 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 조임 너트(60)의 전단부 내주면, 즉 링(66)의 내주면은 전단으로 갈수록 내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3 테이퍼면(70)이 형성되어 있다.
제 3 테이퍼면(70)은 콜릿 척(10)의 직경 방향에 대한 각도(θ2)(단, 0°〈θ2 〈 90°)가 콜릿 척(10)의 직경 방향에 대한 제 2 테이퍼면(46)의 각도(θ1)(단, 0°〈 θ1 〈 90°)보다 크게 설치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각도(θ1)는 30°~ 40°, 각도(θ2)는 60°~ 80°의 범위 내로 설치되어 있다.
증력 콜릿(8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형이 선단을 잘라낸 원추 형상을 이루는 링 형상의 부재로서, 전단측과 후단측에서 번갈아 절개되어 형성된 홈(88)에 의해 직경을 축소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증력 콜릿(80)은 콜릿(4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콜릿 척(10)의 전단부에서 콜릿(40)과 조임 너트(60) 사이에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력 콜릿(80)의 내주면에는 후단측에서 콜릿 척(10)의 직경 방향에 대한 각도가 제 2 테이퍼면(46)과 동일하고, 제 2 테이퍼면(46)과 면 접촉 가능한 제 1 접촉면(82)이 형성되며, 제 1 접촉면(82)의 전단측에서 콜릿(40)의 고리 형상 볼록부(48)가 틈을 두고 계입(係入)되는 고리 형상 오목부(8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리 형상 오목부(84)는 콜릿(40)의 고리 형상 볼록부(48)에 대응하여 전단측 둘레측 벽(84a)이 전착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후단측 둘레벽 측벽(84b)이 후착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한편, 증력 콜릿(80)의 외주면에는 콜릿 척(10)의 직경 방향에 대한 각도가 링(66)의 제 3 테이퍼면(70)과 동일하고, 제 3 테이퍼면(70)과 면 접촉 가능한 제 2 접촉면(86)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콜릿 척(10)에서는 조임 너트(60)를 척 본체(20)에 조임으로써 제 3 테이퍼면(70)이 증력 콜릿(80)의 제 2 접촉면(86)에 압접하고, 조임 너트(60)로부터 압압력을 받은 증력 콜릿(80)은 제 1 접촉면(82)이 콜릿(40)의 제 2 테이퍼면(46)에 압접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임 너트(60)를 조여 증력 콜릿(80)이 홈(88)의 작용에 의해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도 제 1 접촉면(82)의 전방에 설치된 고리 형상 오목부(84)와 콜릿(40)에 설치된 고리 형상 볼록부(48) 사이에 형성된 틈을 유지할 수 있는 강성을 구비하고 있다.
즉, 고리 형상 볼록부(48)의 후착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후단측 둘레측 벽(48b)과 증력 콜릿(80)이 접촉하지 않고, 증력 콜릿(80)의 제 1 접촉면(82)보다 전방이 콜릿(40)을 전방으로 압압하는 상태로 콜릿(40)의 외주면과 접촉하고 있지 않다.
또한, 증력 콜릿(80)의 고리 형상 오목부(84)가 콜릿(40)의 고리 형상 볼록부(48)에 대응하여 전단측 둘레측 벽(84a)이 전착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후단측 둘레측 벽(84b)이 후착 테이퍼 형상을 이루므로 콜릿(40)에 대해 증력 콜릿(80)의 착탈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콜릿 척(10)에 공구(1)를 고정하는 데에는 우선 조임 너 트(60)의 제 3 테이퍼면(70)에 증력 콜릿(80)의 제 2 접촉면(86)을 접촉시켜 조임 너트(60)에 증력 콜릿(80)을 끼워 넣는다. 계속해서 조임 너트(60)에 장착된 증력 콜릿(80)에 콜릿(40)의 전단부를 끼워 넣고, 콜릿(40)의 공구 삽입 통과 구멍(42)에 공구(1)를 삽입한다. 계속해서 콜릿(40)의 제 1 테이퍼면(44)을 척 본체(20)의 테이퍼 구멍(24)에 끼워 맞추고, 이 상태에서 조임 너트(60)의 암나사부(62)를 척 본체(20)의 숫나사부(26)에 맞추고, 이 조임 너트(60)의 너트 본체(64)를 조임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콜릿 척(10)에 공구(1)를 고정한다.
이 조임에 의해 조임 너트(60)의 링(66)에 형성된 제 3 테이퍼면(70)이 증력 콜릿(80)의 제 2 접촉면(86)에 압접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력 콜릿(80)에는 조임 너트(60)로부터 축 방향(L)의 압압력(α1)이 작용하고, 또한 내부 방향 직경 방향으로 압압력(α2)이 작용한다. 여기서 콜릿 척(10)의 직경 방향에 대한 제 2 접촉면(86)의 각도(θ2), 압압력(α1, α2) 사이에는 하기 수학식 1의 관계가 성립한다.
Figure 112008084688613-PCT00001
그리고, 조임 너트(60)로부터 압압력을 받은 증력 콜릿(80)의 제 1 접촉면(82)이 콜릿(40)의 제 2 테이퍼면(46)에 압접하고, 콜릿(40)에는 증력 콜릿(80)으로부터 축 방향(L)의 압압력(β1)이 작용하고, 또한 내부 방향 직경 방향으로 압압력(β2)가 작용한다. 여기서 콜릿 척(10)의 직경 방향에 대한 제 1 접촉면(82) 의 각도(θ1), 압압력(β1, β2) 사이에는 하기 수학식 2의 관계가 성립한다. 또한, 콜릿(40)에 작용하는 내부 방향 직경 방향의 압압력(β2)은 증력 콜릿(80)에 작용하는 내부 방향 직경 방향의 압압력(α2)과 동일하므로, 하기 수학식 2는 하기 수학식 3이 된다.
Figure 112008084688613-PCT00002
Figure 112008084688613-PCT00003
본 실시 형태의 콜릿 척(10)에서는 조임 너트(60)를 조인 상태에서 증력 콜릿(80)의 제 1 접촉면(82)보다 전방이 콜릿(40)의 외주면과 접촉하지 않고, 증력 콜릿(80)이 콜릿(40)을 전방으로 누르지 않으므로 콜릿(40)에 작용하는 축 방향(L)의 합력(F)은 하기 수학식 4가 된다.
Figure 112008084688613-PCT00004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콜릿 척(10)에서는 조임 너트(60)의 조임에 의해 발생하는 축 방향(L)의 압압력(α1)보다 큰 압압력(F)이 축 방향으로 상쇄되어 감손되지 않고 콜릿(40)에 작용함으로써 공구(1)의 파지력을 증강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와 같이 콜릿 척(10)의 직경 방향에 대한 제 2 접촉면(86)의 각도(θ2)를 제 1 접촉면(82)의 각도(θ1)보다 크게 설치하여 tanθ2/tanθ1 〉1이 되 고, 더 효과적으로 축 방향(L)의 압압력(F)을 증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테이퍼면(46)이 제 1 테이퍼면(44)과 인접하여 콜릿(40)의 전단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고리 형상 볼록부(48)의 전단측의 둘레측 벽(48a)을 제 2 테이퍼면으로서 증력 콜릿(80)의 제 1 접촉면과 면접촉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실시예)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실시예 및 비교예 의해 발명의 구체예 및 효과를 나타내지만,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및 2의 콜릿 척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콜릿(40)과 조임 너트(60) 사이에 증력 콜릿(80)이 설치된 콜릿 척(10)으로서, 직경 방향에 대한 제 1 접촉면(82) 및 제 2 접촉면(86)의 각도(θ1, θ2)는 실시예 1이 θ1=30°, θ2=60°, 실시예 2가 θ1=40°, θ2=80°로 설정되어 있다.
비교예의 콜릿 척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에 내부가 가는 형상의 테이퍼 구멍(102)을 갖는 척 본체(104)와, 테이퍼 구멍(102)에 끼워 맞추는 제 1 테이퍼면(106)을 갖고 직경을 축소 가능한 콜릿(108)과, 상기 콜릿(108)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척 본체(104)에 결합되는 조임 너트(110)를 구비하고, 콜릿(108)의 전단부 외주면에 고리 형상 홈(112)이 형성되고, 또한 이 고리 형상 홈(112)의 제 1 테이퍼면(106)과 인접하는 둘레측 벽에 제 1 테이퍼면과 역경사의 제 2 테이퍼면(114)이 형성되며, 조임 너트(110)의 내주면에 테이퍼면(116)이 형성되고, 콜릿 척(100)의 직경 방향에 대한 제 2 테이퍼면(114)의 각도(θ1)가 30°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 1, 2 및 비교예의 콜릿 척에 대해 공구의 파지력 시험을 실시했다. 파지력 시험은 조임 너트를 3.0~6.0Kgf/m까지 1.0Kgf/m마다 각 너트 조임 토크로 조인 경우에 생기는 공구 파지력을 측정하고, 4회의 측정 결과의 평균값을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상기 표 1로부터 명확해진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의 콜릿 척에서는 비교예의 콜릿 척에 비해 파지력이 1.2배~1.8배가 되고, 공구 파지력을 증강할 수 있었다.
(제 2 실시형태)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상위점은 조임 너트(60)를 척 본체(20)에 조인 상태에서 증력 콜릿(80)의 제 1 접촉면(82)보다 전방이 상기 콜릿(40)과 접촉하는 점에 있다.
상세하게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력 콜릿(80)의 내주면에는 후단측에서 콜릿 척(10)의 직경 방향에 대한 각도가 제 2 테이퍼면(46)과 동일하고, 제 2 테이퍼면(46)과 면 접촉 가능한 제 1 접촉면(82)이 형성되며, 제 1 접촉면(82)의 전단측에서 콜릿(40)의 고리 형상 볼록부(48)가 걸어 맞춰지는 고리 형상 오목부(8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리 형상 오목부(84)는 콜릿(40)의 고리 형상 볼록부(48)에 대응하여 전단측 둘레측 벽(84a)이 전착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후단측 둘레측 벽(84b)이 후착 테이퍼 형상을 이루며, 고리 형상 오목부(84)의 후단측 둘레측 벽(84b)이 고리 형상 볼록부(40)의 후단측 둘레측 벽(48b)과 면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리 형상 오목부(84)의 후단측 둘레측 벽(84b)이 제 3 접촉면(84b)이 되고, 고리 형상 볼록부(48)의 후단측 둘레측 벽(48b)이 제 4 테이퍼면(48b)이 된다. 고리 형상 오목부(84)의 후단측 둘레측 벽(제 3 접촉면)(84b)은 콜릿 척(10)의 직경 방향에 대한 각도(θ3)(단, 0°〈 θ3 〈 90°)가 콜릿 척(10)의 직경 방향에 대한 제 1 접촉면(82)의 각도(θ1) 보다 크게 설치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각도(θ3)는 60°∼80°의 범위 내로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콜릿 척(10)에서는 조임 너트(60)를 척 본체(20)에 조임으로써 제 3 테이퍼면(70)이 증력 콜릿(80)의 제 2 접촉면(86)에 압접한다. 조임 너트(60)로부터 압압력을 받은 증력 콜릿(80)은 탄성 변형에 의해 직경이 축소되어 제 1 접촉면(82)이 콜릿(40)의 제 2 테이퍼면(46)에 압접하고, 또한 제 3 접촉면(84b)이 콜릿(40)의 제 4 테이퍼면(48b)에 압접한다. 또한, 조임 너트(60)를 조이기 전에는 제 3 접촉면(84b)은 콜릿(40)의 제 4 테이퍼면(48b)에 접촉하지 않아도 좋다.
이에 의해 콜릿(40)에는 증력 콜릿(80)의 제 1 접촉면(82)으로부터 축 방향(L) 전방의 압압력(β1)과 내부 방향 직경 방향으로 압압력(β2)이 작용하고, 또한 증력 콜릿(80)의 제 3 접촉면(84b)으로부터 축 방향(L) 후방의 압압력(γ1)과 내부 방향 직경 방향으로 압압력(γ2)이 작용한다.
여기서, 콜릿 척(10)의 직경 방향에 대한 제 3 접촉면(84b)의 각도(θ3), 압압력(γ1, γ2) 사이에는 하기 수학식 5의 관계가 성립한다.
Figure 112008084688613-PCT00006
본 실시형태의 콜릿 척(10)에서는 조임 너트(60)를 조인 상태에서 증력 콜릿(80)의 제 3 접촉면(84b)이 콜릿(40)의 제 4 테이퍼면(48b)과 접촉하고, 증력 콜릿(80)이 콜릿(40)을 전방으로 압압하게 되지만, 콜릿 척(10)의 직경 방향에 대한 제 3 접촉면(84b)의 각도(θ3)가 콜릿 척(10)의 직경 방향에 대한 제 1 접촉면(82)의 각도(θ1)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축 방향(L) 전방의 분력(γ1)을 작게 설정하여 제 2 테이퍼면(46)에 부여되는 축 방향(L) 후방의 압압력(β1)이 감손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콜릿 척(10)의 내부 방향 직경 방향의 분력(γ2)을 크게 설정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콜릿(40)의 전단부에 설치된 제 4 테이퍼면(48)에 대해 콜릿 척(10)의 내부 방향 직경 방향으로 큰 힘(γ2)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콜릿(40)의 직경을 축소시키기 쉽고, 효율적인 공구 파지력을 증강할 수 있다.

Claims (12)

  1. 내부가 가는 형상의 테이퍼 구멍을 갖는 척 본체와, 상기 테이퍼 구멍에 끼워 맞추는 제 1 테이퍼면을 구비한 직경을 축소 가능한 콜릿과, 상기 척 본체에 결합되는 조임 너트를 구비한 콜릿 척의 구성 부재에 있어서,
    상기 콜릿의 전단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외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2 테이퍼면과, 상기 조임 너트의 전단부 내주면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내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3 테이퍼면과, 각각과 접촉하는 제 1 접촉면 및 제 2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조임 너트를 상기 척 본체에 조인 상태에서, 상기 제 1 접촉면보다 전방이 상기 콜릿을 전방으로 압압하는 상태로 상기 콜릿의 외주면과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릿 척의 구성 부재.
  2. 내부가 가는 형상의 테이퍼 구멍을 갖는 척 본체와, 상기 테이퍼 구멍에 끼워 맞추는 제 1 테이퍼면을 구비한 직경을 축소 가능한 콜릿과, 상기 척 본체에 결합되는 조임 너트를 구비한 콜릿 척의 콜릿에 있어서,
    상기 콜릿의 전단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외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2 테이퍼면과, 상기 조임 너트의 전단부 내주면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내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3 테이퍼면과, 각각과 접촉하는 제 1 접촉면 및 제 2 접촉면을 갖는 증력 콜릿을 구비하고,
    상기 조임 너트를 상기 척 본체에 조인 상태에서, 상기 증력 콜릿의 상기 제 1 접촉면보다 전방이 상기 콜릿을 전방으로 압압하는 상태로 상기 콜릿의 외주면과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릿 척의 콜릿.
  3. 내부가 가는 형상의 테이퍼 구멍을 갖는 척 본체와, 상기 테이퍼 구멍에 끼워 맞추는 제 1 테이퍼면을 구비한 직경을 축소 가능한 콜릿과, 상기 척 본체에 결합되는 조임 너트를 구비한 콜릿 척의 조임 너트에 있어서,
    상기 콜릿의 전단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외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2 테이퍼면과, 상기 조임 너트의 전단부 내주면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내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3 테이퍼면과, 각각과 접촉하는 제 1 접촉면 및 제 2 접촉면을 갖는 증력 콜릿을 구비하고,
    상기 조임 너트를 상기 척 본체에 조인 상태에서, 상기 증력 콜릿의 상기 제 1 접촉면보다 전방이 상기 콜릿을 전방으로 압압하는 상태로 상기 콜릿의 외주면과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릿 척의 조임 너트.
  4. 내부가 가는 형상의 테이퍼 구멍을 갖는 척 본체와, 상기 테이퍼 구멍에 끼워 맞추는 제 1 테이퍼면을 구비한 직경을 축소 가능한 콜릿과, 상기 척 본체에 결합되는 조임 너트를 구비한 콜릿 척에 있어서,
    상기 콜릿의 전단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외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2 테이퍼면과, 상기 조임 너트의 전단부 내주면에 형성되어 전단으 로 갈수록 내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3 테이퍼면과, 각각과 접촉하는 제 1 접촉면 및 제 2 접촉면을 갖는 증력 콜릿을 구비하고,
    상기 조임 너트를 상기 척 본체에 조인 상태에서, 상기 증력 콜릿의 상기 제 1 접촉면보다 전방이 상기 콜릿을 전방으로 압압하는 상태로 상기 콜릿의 외주면과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릿 척.
  5. 내부가 가는 형상의 테이퍼 구멍을 갖는 척 본체와, 상기 테이퍼 구멍에 끼워 맞추는 제 1 테이퍼면을 구비한 직경을 축소 가능한 콜릿과, 상기 척 본체에 결합되는 조임 너트를 구비한 콜릿 척의 구성 부재에 있어서,
    상기 콜릿의 전단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외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2 테이퍼면과, 상기 조임 너트의 전단부 내주면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내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3 테이퍼면과, 각각과 접촉하는 제 1 접촉면 및 제 2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조임 너트를 상기 척 본체에 조인 상태에서, 상기 콜릿의 상기 제 2 테이퍼면 보다 전방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외부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진 제 4 테이퍼면과 접촉하는 제 3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콜릿 척의 직경 방향에 대한 상기 제 3 접촉면의 각도가 상기 콜릿 척의 직경 방향에 대한 상기 제 1 접촉면의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릿 척의 구성 부재.
  6. 내부가 가는 형상의 테이퍼 구멍을 갖는 척 본체와, 상기 테이퍼 구멍에 끼워 맞추는 제 1 테이퍼면을 구비한 직경을 축소 가능한 콜릿과, 상기 척 본체에 결합되는 조임 너트를 구비한 콜릿 척의 콜릿에 있어서,
    상기 콜릿의 전단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외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2 테이퍼면과, 상기 조임 너트의 전단부 내주면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내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3 테이퍼면과, 각각과 접촉하는 제 1 접촉면 및 제 2 접촉면을 갖는 증력 콜릿을 구비하고,
    상기 증력 콜릿은 상기 조임 너트를 상기 척 본체에 조인 상태에서, 상기 콜릿의 상기 제 2 테이퍼면보다 전방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외부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진 제 4 테이퍼면과 접촉하는 제 3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콜릿 척의 직경 방향에 대한 상기 제 3 접촉면의 각도가 상기 콜릿 척의 직경 방향에 대한 상기 제 1 접촉면의 각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릿 척의 콜릿.
  7. 내부가 가는 형상의 테이퍼 구멍을 갖는 척 본체와, 상기 테이퍼 구멍에 끼워 맞추는 제 1 테이퍼면을 구비한 직경을 축소 가능한 콜릿과, 상기 척 본체에 결합되는 조임 너트를 구비한 콜릿 척의 조임 너트에 있어서,
    상기 콜릿의 전단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외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2 테이퍼면과, 상기 조임 너트의 전단부 내주면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내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3 테이퍼면과, 각각과 접촉하는 제 1 접촉면 및 제 2 접촉면을 갖는 증력 콜릿을 구비하고,
    상기 증력 콜릿은 상기 조임 너트를 상기 척 본체에 조인 상태에서, 상기 콜릿의 상기 제 2 테이퍼면 보다 전방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외부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진 제 4 테이퍼면과 접촉하는 제 3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콜릿 척의 직경 방향에 대한 상기 제 3 접촉면의 각도가 상기 콜릿 척의 직경 방향에 대한 상기 제 1 접촉면의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릿 척의 조임 너트.
  8. 내부가 가는 형상의 테이퍼 구멍을 갖는 척 본체와, 상기 테이퍼 구멍에 끼워 맞추는 제 1 테이퍼면을 구비한 직경을 축소 가능한 콜릿과, 상기 콜릿 본체에 결합되는 조임 너트를 구비한 콜릿 척에 있어서,
    상기 콜릿의 전단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외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2 테이퍼면과, 상기 조임 너트의 전단부 내주면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내부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제 3 테이퍼면과, 각각과 접촉하는 제 1 접촉면 및 제 2 접촉면을 갖는 증력 콜릿을 구비하고,
    상기 증력 콜릿은 상기 조임 너트를 상기 척 본체에 조인 상태에서, 상기 콜릿의 상기 제 2 테이퍼면보다 전방에 형성되어 전단으로 갈수록 외부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진 제 4 테이퍼면과 접촉하는 제 3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콜릿 척의 직경 방향에 대한 상기 제 3 접촉면의 각도가 상기 콜릿 척의 직경 방향에 대한 상기 제 1 접촉면의 각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릿 척.
  9.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콜릿 척의 직경 방향에 대한 상기 제 2 접촉면의 각도가 상기 콜릿 척의 직경 방향에 대한 상기 제 1 접촉면의 각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릿 척의 구성 부재.
  10. 제 2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콜릿 척의 직경 방향에 대한 상기 제 2 접촉면의 각도가 상기 콜릿 척의 직경 방향에 대한 상기 제 1 접촉면의 각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릿 척의 콜릿.
  11. 제 3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콜릿 척의 직경 방향에 대한 상기 제 2 접촉면의 각도가 상기 콜릿 척의 직경 방향에 대한 상기 제 1 접촉면의 각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릿 척의 조임 너트.
  12. 제 4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콜릿 척의 직경 방향에 대한 상기 제 2 접촉면의 각도가 상기 콜릿 척의 직경 방향에 대한 상기 제 1 접촉면의 각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릿 척.
KR1020087030034A 2006-10-31 2007-09-13 콜릿 척의 구성 부재, 콜릿, 조임 너트 및 콜릿 척 KR200900850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WOPCT/JP2006/321756 2006-10-31
PCT/JP2006/321756 WO2008053529A1 (fr) 2006-10-31 2006-10-31 Composant pour pince de serrage, douille, écrou de serrage et pince de serr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001A true KR20090085001A (ko) 2009-08-06

Family

ID=39343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0034A KR20090085001A (ko) 2006-10-31 2007-09-13 콜릿 척의 구성 부재, 콜릿, 조임 너트 및 콜릿 척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90322042A1 (ko)
EP (1) EP2078573A1 (ko)
JP (1) JPWO2008053638A1 (ko)
KR (1) KR20090085001A (ko)
CN (1) CN101479067A (ko)
CA (1) CA2657903A1 (ko)
IL (1) IL197253A0 (ko)
RU (1) RU2009120614A (ko)
TW (2) TW200819226A (ko)
WO (2) WO200805352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929A (ko) * 2016-09-06 2018-10-19 빅 다이쇼와 가부시키가이샤 공구용 척 및 공구 유지 방법 및 공구 분리 방법
KR20190032510A (ko) * 2016-07-25 2019-03-27 에요트페 마쉬넨 게엠베하 인발 기계용 인발 캐리지 및 인발 기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58910A1 (en) * 2005-09-07 2007-03-07 Hardinge Inc. Workholding clamping assembly
US8888420B2 (en) * 2007-03-15 2014-11-18 Primetool Mfg, Inc. Tool chucking apparatus
JP5444579B2 (ja) * 2009-05-20 2014-03-19 ビッグアルファ株式会社 チャック装置
US9044803B1 (en) * 2012-03-05 2015-06-02 Jeffrey A. Propst Flaring tool
US8672592B2 (en) 2012-05-16 2014-03-18 Iscar, Ltd. Milling collet having pull-out preventer for retaining a fluted milling tool
US9022393B2 (en) 2012-08-23 2015-05-05 Iscar, Ltd. Cutting tool lock nut having grooved collet-locking surface and cutting tool incorporating same
ITFI20120280A1 (it) * 2012-12-12 2014-06-13 Pear S R L Dispositivo di bloccaggio dell'albero di un mandrino di fresatura per l'esecuzione di lavori di tornitura
KR101718644B1 (ko) * 2013-03-18 2017-03-21 시티즌 도케이 가부시키가이샤 가이드 부시 제어 장치 및 가이드 부시의 조정 방법
CA2843304A1 (en) * 2013-07-22 2015-01-22 Narr Beteiligungs Gmbh Clamping device
CN103633410B (zh) * 2013-08-27 2016-01-06 苏州工业园区凯艺精密科技有限公司 隔离器腔体的侧板固定装置及隔离器腔体加工机
CN104191295A (zh) * 2014-09-10 2014-12-10 芜湖市甬微制冷配件制造有限公司 一种车床夹头
DE102015002943A1 (de) * 2015-03-10 2016-09-15 Franz Haimer Maschinenbau Kg Neuartiges Spannzangenfutter
US10207379B2 (en) * 2016-01-21 2019-02-19 Colibri Spindles Ltd. Live tool collar having wireless sensor
CN106322010A (zh) * 2016-10-24 2017-01-11 深圳建康管道科技有限公司 一种螺旋伸缩连接管连接件
TWI644755B (zh) * 2017-04-17 2018-12-21 吳亞爵 Indexing chuck
US10654112B1 (en) * 2018-11-13 2020-05-19 Shin-Yain Industrial Co., Ltd. Cutter holder with reduced assembly tolerances
CN112238405A (zh) * 2020-09-28 2021-01-19 创新超硬模具(深圳)有限公司 一种模具紧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58300A (en) * 1942-11-23 1944-09-19 Benjamin Precision chuck
US2778651A (en) * 1954-03-26 1957-01-22 Erickson Tool Co Chuck stops for drills
US3195909A (en) * 1963-06-06 1965-07-20 Erickson Tool Co Collet chuck and the like
US3332693A (en) * 1964-07-10 1967-07-25 Armstrong Collet and holder
US3385606A (en) * 1965-04-06 1968-05-28 Erickson Tool Co Collet chuck
US3556540A (en) * 1969-02-28 1971-01-19 Erickson Tool Co Collet chuck and the like
JPS5934739Y2 (ja) * 1979-03-23 1984-09-26 黒田精工株式会社 ねじの緩み止め装置
JPS596964Y2 (ja) * 1983-01-10 1984-03-03 聖和精機株式会社 コレツトチヤツク
US5193825A (en) * 1991-10-03 1993-03-16 Jacobs Chuck Technology Corporatio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center of a collet
US5522605A (en) * 1994-08-10 1996-06-04 Kennametal Inc. Collet chuck having parpallel force loaded bearing
JP2928222B2 (ja) * 1997-03-07 1999-08-03 豊 前田 コレ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緊定具
JPH11309613A (ja) * 1998-04-30 1999-11-09 Seiwa Seiki Kk コレットチャック
US6179512B1 (en) * 1998-05-29 2001-01-30 Power Tool Holders Incorporated Collet nut
JP2000000705A (ja) * 1998-06-15 2000-01-07 Seiwa Seiki Kk 工具チャック
JP2001219310A (ja) 2000-02-07 2001-08-14 Daishowa Seiki Co Ltd コレットチャックにおけるコレット及び締付ナット
US7306238B2 (en) * 2005-03-01 2007-12-11 Kennametal Inc. Collet and lock nu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510A (ko) * 2016-07-25 2019-03-27 에요트페 마쉬넨 게엠베하 인발 기계용 인발 캐리지 및 인발 기계
US11498102B2 (en) 2016-07-25 2022-11-15 Ejp Maschinen Gmbh Drawing carriage for a drawing machine, and drawing machine
KR20180114929A (ko) * 2016-09-06 2018-10-19 빅 다이쇼와 가부시키가이샤 공구용 척 및 공구 유지 방법 및 공구 분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27065A (en) 2008-07-01
JPWO2008053638A1 (ja) 2010-02-25
WO2008053638A1 (fr) 2008-05-08
CA2657903A1 (en) 2008-05-08
RU2009120614A (ru) 2010-12-10
CN101479067A (zh) 2009-07-08
TW200819226A (en) 2008-05-01
WO2008053529A1 (fr) 2008-05-08
IL197253A0 (en) 2009-12-24
EP2078573A1 (en) 2009-07-15
US20090322042A1 (en) 200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85001A (ko) 콜릿 척의 구성 부재, 콜릿, 조임 너트 및 콜릿 척
US8029216B2 (en) Chuck and article having mating features to prevent axial slippage
JP3258626B2 (ja) 工具ホルダ
CA2405760C (en) Tool joint
US20110129313A1 (en) Tool Hold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9676039B2 (en) Tool holder
WO2010134473A1 (ja) チャック装置
US20100189520A1 (en) Cutting Tool Having a Clamping Mechanism
KR20050033442A (ko) 관 조인트
US20200240556A1 (en) Ferrule for a conduit fitting
JP2013505142A (ja) コレットチャック
JP2011220032A (ja) ワンサイドボルト
JP2006105269A (ja) 管継手
CN108778587B (zh) 工具用夹头、工具保持方法以及工具拆卸方法
US20010017448A1 (en) Cutting tool attaching and detaching apparatus of ultrasonic vibration machining device
GB2162098A (en) Chuck assembly
JP2001087929A (ja) エンドミル
WO2018158920A1 (ja) 工具ホルダの工具締付方法及び工具ホルダ
JP4742222B2 (ja) フレア継手
JP2005313263A (ja) コレットチャック工具ホルダ及びコレット
CN211708670U (zh) 一种顶尖定位装置
JP3940112B2 (ja) 管継手
JPH04146010A (ja) 切削工具とその着脱方法
JP2010094784A (ja) 軸受用油圧ナ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転がり軸受ユニット
JP4213424B2 (ja) 継手及び継手用の締付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