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0572A - 치과용 부속품 조립체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치과용 부속품 조립체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0572A
KR20090080572A KR1020097014500A KR20097014500A KR20090080572A KR 20090080572 A KR20090080572 A KR 20090080572A KR 1020097014500 A KR1020097014500 A KR 1020097014500A KR 20097014500 A KR20097014500 A KR 20097014500A KR 20090080572 A KR20090080572 A KR 20090080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head
cap
pedestal member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4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9250B1 (ko
Inventor
스콧 무랄리
폴 티. 제스트
Original Assignee
제스트 앵커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스트 앵커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제스트 앵커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80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9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9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5Sliding or snap attachments
    • A61C13/2656Snap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3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gular adjustment means, e.g. ball and socket jo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7Means for sterile storage or manipulation of dental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5Total denture implant

Abstract

치과용 부속품 시스템은 치아 치근,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부착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받침대 부재를 갖는다. 상기 받침대 부재는 헤드 및 상기 헤드에 인접한 고리모양의 시트를 포함한다. 탄성 링은 상기 받침대 부재 상의 상기 시트 내에서 분리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리테이너 링 내에서 유지된다. 상기 리테이너 링은 캡의 공동의 오목한 내부 표면과 회전 맞물림을 이룬다. 상기 캡은 틀니, 부분 틀니 등과 같은 치과용 기구의 리세스 내에 안착된다.
치과용 부속품, 임플란트, 회전 맞물림, 캡, 리테이너 링, 탄성링, 받침대 부재

Description

치과용 부속품 조립체 및 방법{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완전 틀니, 보철물, 부분 틀니 등과 같은 제거 가능한 치과용 기구를 잔존하는 비생체 치근, 인접한 치아 또는 골내(endosseous) 임플란트에 부착하기 위한 치과용 부속품 또는 고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기구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치근들 또는 임플란트들 또는 인접한 치아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치과용 부속품들이 존재한다. 대부분의 경우에, 상기 부속품들은 교합(mating), 스냅 결합 가능한 수(male) 부와 암(female) 부를 포함하며, 이것들 중 하나는 틀니에 부착되고 다른 하나는 치근,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부착된다. 알려진 부속품 중 하나는, 임플란트 내에 안착된 캡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파트와, 임플란트, 치근 등에 안착되는 제2 파트를 갖는다. 이러한 일반적인 형태의 몇몇 부속품들은 예를 들면, 미국 특허 5,417,570호, 6,030,219호 및 6,299,447호 등에서 개시되어 있다.
또 다른 알려진 부속품은 임플란트 받침대(abutment) 또는 포스트의 끝부분에서, 볼(ball) 상에서 결합되는 오-링을 사용한다. 일 예로, 오-링은 틀니에 부착되는 리테이너 내에서 결합된다. 오-링 또는 유사한 탄성 링 부속품들의 문제점은 그것들이 완전히 일직선 형태일 때에만 최상으로 동작한다는 점이다. 상기 받침대 의 자세와 상관 없이, 불평등하게 물리는 힘으로 인하여, 상기 링을 마모시키거나 롤-아웃(roll-out)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치근,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치과용 보철물을 부착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속품 시스템은 치아 치근,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부착되도록 형성되며, 헤드와 상기 헤드에 인접한 고리모양의 시트(seat)를 갖는 받침대 부재; 상기 받침대 부재 상의 시트 내에서 분리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탄성 링; 상기 탄성 링 상에서 맞물리며, 상기 탄성 링보다 강성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지고, 둥근 외부 표면을 갖는 리테이너 링; 및 치과용 기구 또는 보철물 내의 리세스 내에 안착되며, 상기 리테이너 링의 둥근 외부 표면 상에서 회전 맞물림이 가능하도록 조절된 둥글고 오목한 내부 표면을 갖는 캡을 포함한다.
이러한 배치는 상기 탄성 링으로 인한 수직 탄성과, 다양한 임플란트들에 대하여 보상할 수 있는 피봇 동작을 제공한다. 상기 받침대 부재는 치근에 접합되는 비생체 치근 또는 임플란트 내의 교합 보어 내에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테일 엔드 부분을 가지거나, 인접한 치아, 크라운 또는 바의 엔드에 안착될 수 있는 말단 연장부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받침대 부재들은 둘 이상의 임플란트들에 안착되는 연장 바 상에서 주조된다. 상기 캡, 리테이너 링 및 탄성 링은 오-링 부속품에 대한 기존의 받침대와 분리되어 사용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는 이러한 기존의 받침대들이 피봇 또는 회전하는 캡 부속품에 맞게 수정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부재는 나사산 샤프트 또는 테일 부분을 갖는 소형 또는 작은 직경의 임플란트일 수 있다. 상기 나사산 샤프트 또는 테일 부분은 환자의 턱 뼈 내에 준비된 보어 내로 직접 이식되도록 조절된다. 이러한 일련의 작은 받침대 부재들은 추가적인 안정성을 위해 상대적으로 작은 횡단면 치수를 갖는 바에 의하여, 서로 간에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을 참조하면 당해 업계에서 통상의 기술을 갖는 자에게 보다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내용은, 그 구조 및 동작의 측면에서, 동일한 파트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갖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여기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환자의 구강 내에서, 틀니, 보철물(overdenture), 부분 틀니 등과 같은 치과용 기구를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개시된 하나의 방법은 캡이 탄력성 있는 링 및 상기 캡 내에 장착되는 외부의 링-형상의 리테이너를 갖는 기구와 접합되도록 한다. 상기 리테이너는 환자의 구강 내에 적절한 위치에 안착되는 받침대의 헤드와 스냅 맞물림 되도록 조절된다.
본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다양한 대안적인 실시예들 및 대안적인 응용들에서 본 발명이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가는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여기서 설명되지만, 이러한 실시예들은 예시일 뿐이고 한정사항이 아님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대안적인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되는 청구항들에서 제시되는 본 발명의 범주 또는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내지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부속품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체(10)는 4 개의 파트들을 포함하는데, 특히, 비생체 치근, 임플란트 등에 부착하기 위한 받침대 부재(12), 오-링 등으로 구현될 수 있는 탄성 링(14), 탄성 링(14)을 위한 외부 리테이너 링(15) 및 틀니 또는 부분 틀니 내의 인덴트(indent) 내에 안착되는 캡(16)을 포함한다.
받침대 부재(12)는 도 5에 분해되어 도시되는데, 헤드(18), 헤드(18)에 인접한 고리모양의 시트(seat) 또는 그루브(20), 육각형 부분(22), 상기 육각형 부분에 인접한 고리모양 플랜지(24) 및 플랜지(24)로부터 연장되어 부재(12)의 헤드로부터 멀어지는 테일(tail) 또는 샤프트(25)를 갖는다. 상기 받침대 부재는 티타늄, 티타늄 합금 또는 티타늄 질화물 코딩을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강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샤프트(25)는, 도 2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치아 치근 내에 준비된 보어 또는 임플란트(28)의 보어 내의 부속품을 위한, 나사산 엔드 부분(26)을 갖는다. 상기 헤드(18)는 둥근 또는 볼록한 외부 주변 형상을 갖고, 평평한 상부 엔드(30)을 갖는다. 상기 육각형의 부분은 상기 부재(12)를 치아 치근 또는 임플란트 보어 내로 스크류 결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적합한 툴에 의한 결합을 위해, 평평한 표면들을 갖는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적합한 툴에 의해 결합되기 위한 평면들을 갖는 다른 비구형의 또는 다각형의 형상들은, 사각형, 팔각형 등과 같은, 툴-맞물림(tool-engaging) 부분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탄성 링(14)은 오-링 또는 탄성 재료로 된 유사한 고리모양 부재로 구현될 수 있다. 링(14)을 위한 적합한 재료들의 예는, 70 내지 90 경도를 갖는 부나 또는 실리콘 고무와 같은, 천연 또는 합성 고무 재료이다. 상기 오-링은 어떤 희망하는 강도 또는 경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링(14)은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30) 상으로 펼쳐질 때, 고리모양의 시트 또는 그루브(20) 내에서 맞물리도록 조절된다. 상기 오-링을 유지하는 리테이너 링(15)은,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티타늄, 또는 강상 플라스틱 재료와 같이, 오-링보다 강성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고리모양 부재이다. 상기 강성 플라스틱 재료는 듀퐁 사(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에 의하여 제조되는 Delrin®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리모양 부재는, 탄성 링(14)을 유지하기 위하여 적합한 치수들로 된 둥글고 오목한 내부 표면(32)과, 일반적으로 볼록하고 둥근 외부 표면(34)를 갖는다.
캡(16)은 스테인레스 스틸, 티타늄 등과 같은 강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테이너 링(15) 및 탄성 링(14)을 수용하기 위한 개방된 엔드 및 내부 공동(35)을 갖는다. 공동(35)은,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 링(15)의 둥근 외부 표면(34) 상에서 피봇 또는 회전 맞물리기 위한 일반적으로 오목하고 둥근 내부의 고리모양 표면(36)을 갖는다. 캡(16)의 상기 외부 표면은 틀니 리세스 내에서 우수하게 보존하기 위하여 도 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울퉁불퉁하거나 거칠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동작 시에는, 받침대 부재(12)가 임플란트 또는 치근 내의 적합한 보어 내에 설치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받침대 부재들은 상기 틀니 내에 위치하는 대응되는 캡들(16)과 함께, 환자의 구강 내의 적합한 위치들에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 링 및 둘러 싸여진 오-링(14)은 상기 캡 내에서 유지되고, 상기 틀니를 설치하기 위하여 정렬된 받침대 부재의 헤드 상에서 스냅될 수 있다. 도 2 및 3은 상기 설치된 상태에서의 부속품 조립체를 도시한다. 오프-각도의 받침대들을 보상하기 위하여, 도 3 및 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이 상기 링(15) 상에서 피봇되는 동안, 상기 탄성 링(14)은 수직 운동을 제공한다. 이러한 배치는 따라서, 상당한 운동의 크기를 허용하고, 응력들을 상기 임플란트 및 받침대로부터 분산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피봇 캡은 상기 오-링(14)을 수축시키지 않고서 피봇 움직임을 허용한다. 상기 받침대 부재의 평평한 엔드(30)는, 상기 틀니가 구형 또는 볼-형상의 헤드를 갖는 받침대와 함께라기 보다는, 상기 받침대 상에서 안착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상기 부속품 조립체는 서로 다른 크기의 환자들 및 치과용 임플란트들에 따른 서로 다른 크기들에 적합한 범위 내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부재들의 헤드들은 1.8mm로부터 6.0mm까지의 직경의 범위와, 7mm로부터 18mm까지의 길이의 범위 내에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오-링(14)은 시트(20)와 정확한 스냅 맞물림을 이루기 위한 적합한 치수를 가지며, 상기 시트(20)의 직경은 1.0mm에서 3.0mm까지의 범위에 있다. 상기 캡, 탄성 링 및 리테이너는 어떠한 오-링 볼 받침대와 꼭 맞도록 분리되어 판매될 수 있다.
도 6 내지 8은 치근 또는 임플란트 보다는, 인접한 치아 또는 크라운에 부착되도록 설계되는 변형된 받침대 조립체(40)를 도시한다. 상기 조립체는 받침대 부재(42) 및 유사한 파트들에 대하여 사용되는 참조 번호를 제외하고는 이전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받침대 부재(42)는 헤드(44)와, 상기 헤드(44)에 인접한 고리모양의 시트 또는 그루브(45)와, 상기 헤드 및 그루브와 정렬된 샤프트 부분(46) 및 말단 연장부 또는 연결 아암(48)을 갖는다. 상기 말단 연장부 또는 연결 아암(48)은 샤프트 부분(46)으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고, 인접한 치아 또는 크라운의 측면에 제공되는 적합한 슬롯 내에 안착되는 플레이트 부분(50)에서 끝난다.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헤드(44)는 감소된 높이를 위한 평평한 엔드(52)를 갖는다.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탄성 링(14)은, 도 7 및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44) 상에서 그리고 그루브(45) 내에서 스냅 맞물림 되도록 조절되고, 리테이너 링(15)은 링(14) 상에서 맞물린다. 리테이너 링(15) 및 탄성 링(14)은 캡(16) 내의 공동(35) 내에서 피봇 가능하도록 맞물린다.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리테이너 및 탄성 링들은 받침대 부재(42)의 헤드(44)와 축방향 정렬을 이루도록 유지되고, 상기 캡(16)은 서로 다른 치아 치근들 또는 임플란트 배치들을 조절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 링(15) 상에서 피봇 또는 회전할 수 있다.
도 7 및 8은 설치된 또는 조립된 상태의 임플란트 조립체를 도시한다. 리테이너 링(15) 및 오-링 또는 탄성 링(14)을 포함하는 상기 캡은 틀니 내의 리세스 내에서 적합하게 처리(본딩)된다. 상기 틀니는 헤드(44) 상에서 펼쳐지는 오-링(14)과 함께 제 위치로 푸시(push)된 후, 그루브(45) 내로 스냅되어, 분리 가능하도록 보유된다. 동시에, 상기 캡(16)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링을 수축시키지 않고서, 직선이 아닌 임플란트들 또는 치아 치근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들의 치수들은 이전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도 9 내지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틀니 부속품 조립체의 파트를 형성하는 임플란트를 유지하는 주조 바(cast bar, 60)를 도시한다. 바(60)는 상기 바를 따라 이격된 위치들에서 주조된 다중 받침대 부재들(62)을 갖는다. 또한, 말단 연장 받침대 부재들(64)은 상기 바(60)의 각각의 말단에서 안착된다. 각각의 받침대 부재(62, 64)는 이전의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받침대 부재들의 헤드, 고리모양의 시트 또는 그루브 부분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바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각각의 주조 받침대 부재(62)는, 평평한 엔드(66), 상기 헤드(65)에 인접한 고리모양의 시트 또는 그루브(68)와 함께, 이전의 실시예들의 헤드(18, 44)와 동등한 형상을 갖는 헤드(64)를 가지며, 상기 그루브(68)에 인접한 상기 바에 결합된다. 상기 엔드 또는 말단 연장 받침대 부재들은 또한, 각각 평평한 엔드(65)를 갖는 헤드(65), 상기 헤드에 인접한 그루브(68) 및 포스트(70)를 갖는다. 상기 포스트(70)는 그루브(68)로부터 연장되고, 포스트(70)로부터의 말단 연장부(72)를 통하여 바(60)와 통합적으로 주조된다. 상기 말단 연장부들(72)은 환자의 턱 내에서의 각각의 위치에서 검(gum) 및 턱 리세션(jaw recession)에 따라, 적절한 드롭 다운(drop down)과 함께 선택된다.
주에스트 등(Zuest et al)의 미국 특허 5,630,717호(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병합됨)에서 설명되는 방식과 같이, 상기 바를 이격된 임플란트들 또는 치아 치근들에 안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는 이격된 간격으로 고정 기구들(fastener devices)을 가질 수 있다. 고정 스크류 기구들(미도시 됨)은 부속품 형태로, 받침대 부재들(62)에 대해 상기 바(60)의 반대 면 상에서, 소켓들(74) 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바(60) 상의 받침대 부재들(62, 64)은 이전의 실시예들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링(14)와 분리 가능하게 스냅 맞물림 되도록 조절되고, 상기 헤드 및 시트는 이전의 실시예들에서와 유사한 치수들을 가질 수 있다. 바(6)에 부착하기 위한 보철물은, 회전 가능하게 하는 리테이너 링 및 각각의 헤드(65) 상에서 스냅 맞물림 되도록 둘러 싸여진 탄성 링(14)을 포함하는 적절히 위치된 캡들(16)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도 12 내지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조립체(80)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속품 조립체는 바(84)에 의하여 부목 고정되는 복수의 소형 또는 작은 직경의 임플란트들(82)을 포함한다. 캡(85)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임플란트와의 정렬을 위해 보철물(86) 내에 위치할 수 있고, 각각의 캡은 회전 가능하게 하는 리테이너 링(90)과, 소형 임플란트(82)의 헤드 상에서 스냅 맞물림 되기 위해 적합한 치수를 갖는 링(86)에 의해 유지되는 탄성 링(88)을 갖는다. 상기 리테이너 링(90), 탄성 링(88) 및 캡(85)는 형상 및 동작에 있어서, 이전의 실시예들에서의 대응되는 구성요소들과 동일하지만, 소형 임플란트들(82)의 작은 치수에 대응될 수 있도록 작은 치수를 갖는다.
소형 받침대 부재 또는 임플란트(82)는 도 12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평평한 엔드(94)를 갖는 헤드와, 상기 헤드(90)에 인접한 탄성 링(88)을 수용하는 고리모양의 시트 또는 그루브와, 육각형 또는 다른 다각형의 횡단면 형상들을 갖는 툴-맞물림 부분(96)과, 부드러운 고리모양의 인터페이스 부분(97)과, 부분(97)으로부터 임플란트(82)의 엔드로 연장되는 테이퍼진 나사산 샤프트(98)를 갖는다. 상기 임플란트(82)는 적절한 강성 재료, 예를 들면, 티타늄 또는 다른 금속과의 티타늄의 합금, 또는 티타늄 질화물 코딩을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나사산 샤프트(98)는 도 14에 표시된 바와 같이, 골내 뼈(endosseous bone, 100) 안에 준비된 보어 내부에서 나사산 맞물림을 하기 위하여 설계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상기 헤드 직경들은 대략 1.5mm에서 4.0mm의 범위에 있고, 시트(95)의 직경은 1.0mm에서 3.0mm의 범위에 있으며, 상기 임플란트 길이는 대략 7.0mm에서 22.0mm의 범위에 있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헥스 보어(hex bore, 104) 및 테이퍼진 외부 표면(105)를 갖는 코핑 또는 칼라(102)는 바(84)의 주조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임플란트(82)의 육각형의 부분(96) 상에서 헐거운 끼워맞춤이 되도록 설계된다. 상기 바(84)를 만들기 위하여, 먼저, 적절한 수의 임플란트들(82)이 환자의 턱 내부의 바람직한 위치들에서 적절히 안착된다. 그 다음, 상기 턱 내의 상기 임플란트 위치들에 치형(impression)이 적용된다. 이러한 치형은 환자의 턱의 모델을 제조하기 위하여 치과용 연구실에서 사용된다. 상기 모델은 대응되는 상대적 방향성을 갖는 임플란트 위치들에서의 임플란트 유사체들을 포함한다. 그 다음, 코핑 또는 칼라(102)는 각각의 임플란트 유사체 상에서 맞물리고, 왁스 바(wax bar) 섹션이 각각의 인접한 칼라들(102)의 쌍 사이에 안착된다. 결과적으로 주조 가능한 프레임워크가 환자의 턱 내에 맞추어지고, 상기 적절한 맞춤에 필요하도록 재형성된다. 결국, 상기 맞추어지는 플라스틱 또는 왁스 바 프레임워크는 상기 임플란트들의 상기 헥스 부분들(97) 상에서 맞물리도록, 적절한 위치 및 방향에서 갖는 헥스 보어들(106)을 갖는 매칭 금속을 주조하는 데에 사용된다. 그 다음, 상기 바는 상기 환자들의 턱 내의 모든 임플란트들 상에서 맞물리고 제 자리에서 굳는다.
이러한 배치는 상기 임플란트들 사이에 하중을 분산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목을 제공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니(86)는 바(84)에 의하여 연결되는 임플란트들(82)의 헤드들(92) 상에서 설치될 때 조직 상에서 부유한다. 이는 이전의 바에 의해 지지되는 배치들에서, 틀니(86)가 바 상에서 위치하던 것과는 차이가 있다. 상기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틀니는 상기 바에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대신에, 그것은 상기 바 위에 배치되는 오-링 부속품들 상에서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바는 부목의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2 내지 14의 임플란트의 헤드의 평평한 상부(94)는 공간을 유지하고 상기 검(gum) 또는 조직 위에서 상기 임플란트의 높이를 감소시킨다. 상기 바의 치수들은 상대적으로 작은데, 몇몇 실시예들에서의 두께는 대략 2.0mm 정도일 수 있다.
도 15는 도 12 내지 14의 배치와 유사한 변형된 바 부속품 조립체(120)를 도시한다. 같은 구성요소들에는 같은 참조 번호가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변형은 각각의 연장부의 외부 엔드에서의 통합 포스트(124)와 함께, 상기 바(84)의 각각의 엔드에서의 말단 연장부(122)가 추가된 점이다. 각각의 포스트(124)는 각각의 임플란트(82)의 상부에서, 헤드(92)와 동일한 확대된 헤드(125)를 가지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임플란트들 중 하나의 헤드에 대해, 리테이너 링(90) 내에 오-링(88)을 수용하기 위하여, 헤드(125) 및 포스트(124) 사이에 고리모양의 시트 또는 그루브를 갖는다. 임플란트들을 설치하기 위하여 충분한 공간이나 뼈의 깊이가 확보되지 않았을 때, 이것은 상기 턱의 영역을 넘어서 틀니의 설치를 위한 부속품 지점들을 제공한다.
도 16 내지 20은 도 1 내지 6의 제1 실시예의 변형인 치과용 부속품 조립체(150)를 도시한다. 여기서, 같은 구성요소에는 같은 참조 번호가 사용될 것이다. 상기 조립체는 짧은 육각형의 부분(154), 탄성 링(14), 상기 탄성 링 또는 오-링(14)을 유지하기 위한 외부 리테이너 링(155) 및 인덴트를 틀니나 부분 틀니 내에 안착시키기 위한 캡(156)과는 별도로, 도 1 내지 4의 받침대 부재(12)와 유사한 받침대 부재(152)를 포함한다. 상기 조립체(150)의 구성요소들의 재료는 제1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재료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료일 수 있다.
상기 받침대 부재(152)는 도 19에 분리되어 도시되는데, 헤드(18)와, 헤드(18)에 인접한 고리모양의 시트 또는 그루브(20)와, 육각형 또는 다른 다각형의 형상들을 가질 수 있는 툴-맞물림 부분(154)과, 플랜지(24)와, 나사산 엔드 부분(26)을 갖는 샤프트(25)를 가진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재(152)의 툴-맞물림 부분(154)은 도 1 내지 6의 받침대 부재의 툴-맞물림 부분(22)보다 짧다. 따라서, 상기 조립체의 총 높이는 감소된다.
상기 리테이너 링(155)은, 자신을 유지하기 위해 오-링(14)의 외부 표면 상에서 맞물리기 위한 둥글게 된 내부 표면(158)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테이너 링의 외부 표면은 변형된다. 이전의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둥글게 된 연속된 외부 표면을 갖는 대신에, 본 실시예의 리테이너 링(155)은 상부 또는 하부 노치들 또는 인덴트들(162)을 갖는 중심 아치 또는 둥글게 된 부분(160)을 갖는다. 상기 리테이너 링(155)의 총 높이는 대략 0.050 인치 정도이고, 상기 중심의 둥글게 된 부분의 높이는 대략 0.030 인치 정도이다.
상기 캡(156)은 또한 본 실시예에서 변형된다. 이전의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외부의 울퉁불퉁한 표면을 갖는 대신, 상기 캡은 자신의 외부 표면 상에 그루브들(164)을 갖는다. 상기 내부의 공동(35)는 이전의 실시예들에서의 캡 공동과 유사하거나 동일하며, 같은 구성요소에는 같은 참조 번호가 사용된다.
도 16 내지 20의 부속품 조립체의 동작은 도 1 내지 6에서와 유사하다. 받침대 부재(152)의 나사산 부분(26)은 치아 치근 또는 임플란트 내에서 맞물리고, 상기 리테이너 링(155) 및 오-링(14)을 포함하는 캡은 틀니 또는 다른 치과용 기구 내의 인덴트 내에서 접합된다. 상기 오-링은 도 17 및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 부재(152)의 헤드(18) 상에서 시트(20) 내로 스냅될 수 있다. 일단 설치되면, 상기 캡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테이너 링에 대하여 피봇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 링의 상부 엔드에 있는 노치는 상기 캡이 링(156)의 상부 에지에 접촉하기 전에, 보다 큰 각도로 피봇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이는 도 3 및 18을 비교해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도시된 실시예에서, 최대 피봇 각도는 대략 15도 정도이다.
도 21 및 22는, 도 16 내지 18의 받침대 부재(152)가 보다 긴 툴-맞물림 부분(22)을 갖는 도 1의 받침대 부재(12)에 의하여 대체되는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모든 다른 파트들은 도 16 내지 20에서와 동일하며, 같은 구성요소에는 같은 참조번호가 사용된다. 상기 리테이너 링(155)과 상기 플랜지(24) 사이에서 큰 간격을 제공함에 의하여, 상기 캡은 이전의 실시예에서보다 큰 각도로 피봇될 수 있다. 이는 도 18 및 22을 비교하여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상기 캡이 도 17 및 21에서의 받침대 부재와 정렬될 때, 상기 플랜지(24)의 하부면과 상기 캡(156)의 상부면 사이의 간격(L)은 도 17에서는 대략 0.141인치(3.6mm)이고 도 21에서는 대략 0.154인치(3.9mm)이다. 이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긴 받침대가 사용될 때, 상기 캡이 플랜지(24)와 부딛히기 전에 대략 20도를 피봇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도 16 내지 22의 변형된 리테이너 링 및 캡은 도 6 내지 15의 대안적인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사용되는 상기 리테이너 링(15) 및 캡(16)을 대신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3 및 24는 다양한 임플란트들로 인하여 큰 각도 교정이 필요할 때, 변형된 부속품 조립체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피봇 캡(156), 리테이너 링(155) 및 오-링(14)은 도 2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6 내지 22에서와 동일하며, 같은 구성요소들에는 같은 참조번호가 사용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도 16 내지 22의 일체의 축방향으로 정렬된 받침대 부재(152)는 두 개의 파트로 된 받침대 기구(200)로 대체된다. 상기 받침대 기구(200)는 다양한 치아 치근 또는 임플란트 내에서 맞물리기 위해 나사산 샤프트(204)를 갖는 제1의 파트(202)와, 제2의 각도 조절 파트(205)를 갖는다. 상기 각도 조절 파트(205)는 제1의 헤드 부분(206)과, 상기 헤드 부분(206)으로 소정의 각도로 연장되는 제2의 경사진 부분(208)을 갖는다.
제1 파트(202)의 샤프트(204)는 나사산 엔드 부분(210), 고리모양 플랜지(212) 및 상기 받침대의 제2 파트(205)와의 맞물림을 위해 플랜지(212)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교합 부분 또는 포스트(214)를 갖는다. 도 23 및 2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파트의 헤드 부분(206)은 중심 축(215), 평평한 엔드(218)를 갖는 헤드(216), 오-링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헤드에 인접한 고리모양 그루브(220), 및 육각형 또는 다른 다각형의 형상들을 기지며 상기 그루브에 인접한 툴-맞물림 부분(222)을 갖는다. 상기 경사진 부분(208)은 경사지고 평평한 엔드 면(225)과, 상기 제1 받침대 파트(202)와 맞물리기 위하여 설계된, 상기 엔드 면(225) 내에 위치하는 보어(226)를 갖는다.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어(226)는 헤드 부분 축(215)을 향해 어떤 각도를 가지고 엔드 면(225)에 수직인 중심 축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보어가 포스트(214) 상에서 동축으로(co-axially) 맞물릴 때, 상기 헤드 부분(206)은 샤프트(204)의 축을 향하여 어떤 각도로 연장된다. 이는 소정의 각도 연결을 제공하고, 수직이 아닌 임플란트 구조 또는 치근에 대하여 적어도 몇 도 정도의 보상을 제공한다. 상기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어(226) 및 포스트(214)는 교합된 육각형의 형상을 갖지만,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는 다른 다각형의 형상들을 가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헤드 부분(206)은 경사진 부분(208) 내의 상기 보어의 축과 약 20도의 각도에 위치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다른 각도들(예를 들어, 도 25에서는 10도)을 가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파트(202)는 먼저, 나사산 엔드 부분(210)을 사용하여, 다양한 치아 치근 또는 임플란트 내에 안착된다. 적합한 헥스 도구는 상기 받침대의 제1 파트(202)를 설치하기 위하여 포스트(214)를 개입시킬 수 있다. 그 후, 상기 포스트(214)는 축(224)을 따라서, 다양한 치근 또는 임플란트와 동일한 각도로 연장된다. 그 다음, 적절한 각도에 있는 제2 파트(205)가 상기 다양한 치근 또는 임플란트의 각도를 기초로 선택된다. 그 다음, 상기 제2 파트(205)는 상기 포스트(214) 상에서 맞물림으로써, 상기 헤드 부분 축(215)은 상기 다양한 임플란트 또는 치근 각도에도 불구하고, 상기 턱 내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향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보어(226)는 포스트(214) 상에서 제 위치에 생성된다.
상기 설치된 받침대 기구(200)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의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캡 내의 피봇 오-링 또는 탄성 링과, 분리 가능한 교합 맞물림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된다. 본 실시예의 상기 캡(156), 리테이너 링(155) 및 오-링(14)은 도 16 내지 22에서와 동일하지만, 상기 기구는 대안적인 오-링 부속품 조립체에 있어서, 도 1 내지 15의 캡, 리테이너 링 및 오-링과 함께 사용될 수 도 있다. 피봇하는 리테이너 링(155) 및 오-링(14)을 포함하는 상기 캡(156)은 틀니 또는 다른 치과용 기구 내의 인덴트 내에서 먼저 접합된다. 그 다음,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링(14)은 상기 받침대 기구의 헤드(216) 상에서 스냅되고 그루브(220) 내에서 맞물린다.
그 다음, 상기 캡(156)은 상기 받침대 기구의 헤드에 대하여 피봇될 수 있다. 이는 오프-각도의 임플란트들과 상기 수직 방향으로부터 헤드 부분(206)의 편차에 대한 더 많은 보상을 제공한다. 상기 피봇하는 캡을 갖는 상기 경사진 받침대 기구는 상기 캡이 상기 받침대 기구의 제1 파트의 중심 축(224)에 대하여, 따라서 상기 임플란트 기구가 안착되는 상기 치아 치근 또는 임플란트의 축에 대하여 40도나 피봇될 수 있다.
도 25의 부속품 조립체는, 상기 받침대 기구의 제2 파트(230) 내의 보어의 축(224)이 제1 파트에 대하여 10도를 유지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이전의 실시예(20도를 유지하였음)와 유사한 두 파트로 된 받침대 기구를 갖는다. 도 25의 조립체는 이외에는 도 23 및 24와 동일하고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되며, 같은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 번호가 사용된다.
도 23 내지 25의 받침대 부재들의 두 개의 파트 사이의 교합용 반대회전 형성물(214, 226)이 상기 제1 파트 상의 다각형의 포스트와, 상기 제2 파트 상의 교합 보어를 포함하지만, 이러한 배치는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는, 파트(202)의 엔드에 보어를 갖고 파트(205, 230) 상에 교합하는 경사진 포스트를 가지는 반대의 방식으로 될 수도 있다.
도 26 내지 28은, 제1 파트(252)와, 일단 상기 적절한 방향이 결정된 후에 제1 파트로 안착되는 제2의 각도-조절된 파트(254)를 갖는 또 다른 경사진 받침대 또는 임플란트 기구를 포함하는 부속품 조립체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피봇하는 캡(156), 리테이너 링(155) 및 오-링(14)은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며, 같은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번호가 사용된다. 상기 소형-임플란트 기구(200)의 제1 파트(252)는 도 12 내지 14의 소형 임플란트의 샤프트와 유사하고 유사한 치수를 갖는, 테이퍼진 나사산 샤프트(255)를 갖는다. 샤프트(255)는 골내 뼈(endosseous bone)에서 준비된 보어 내에서 나사산 맞물림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되고, 보다 큰 직경의 말단에서 나사산 없는 부분(256)을 갖는다. 헥스 또는 다른 반대회전 포스트(258)는 상기 샤프트의 나사산 없는 부분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경사진 받침대 또는 임플란트(250)의 제1 파트(252)는 도 23 내지 25의 상기 받침대 기구의 제1 파트와 유사하며, 중심 축(260)을 정의하는 헤드 부분(253)과 상기 헤드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경사진 부분(261)을 갖는다. 상기 헤드 부분은, 축(260)과 수직이 아닌 경사지고 평평한 엔드 면(262)과, 엔드 면(262) 내에 보어(264)를 갖는다. 상기 보어(264)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260)에 대해 어떤 각도를 가지며 엔드 면(262)에 대하여 수직인 중심 축(265)을 갖는다. 헤드 부분(253)은 평평한 엔드(267)을 갖는 둥글게 된 헤드(266)와, 상기 헤드에 인접하여 오-링을 수용하기 위한 고리모양 그루브(268)와, 육각형 또는 다른 다각형의 형상들을 가지는 상기 그루브에 인접한 툴-맞물림 부분(270)을 갖는다.
보어(264)는 상기 제1 받침대 파트(252)의 포스트(258)과 교합하여 반대회전 맞물림 되도록 설계된다. 상기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어(264) 및 포스트(258)은 교합하는 육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는 다른 다각형의 형상들을 가질 수도 있다. 도 26 및 27에서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어(264)는 헤드 부분(253)의 축(260)에 대해 약 10도의 각도로 연장된다(즉, 평평한 엔드 면(262)은 축(260)에 대하여 80도를 이루게 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다른 각도들(예를 들어, 도 28에서는 20도임)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8의 상기 부속품 조립체는 이외에는, 도 26 및 27과 동일하며, 같은 구성요소들에는 같은 참조번호가 사용된다.
상기 임플란트 또는 받침대 기구(250)의 각도 조절 파트(254)는, 상기 툴-맞물림 부분(27)이 툴-맞물림 부분(222)보다 길고 상기 경사진 부분(261)이 경사진 부분(208)보다 길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이전의 실시예의 파트(205)와 유사하다.
상기 부속품 조립체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소형 임플란트 기구(250)의 제1 파트(252)는 나사산 샤프트(255)를 사용하여 골내 뼈(endosseous bone) 내에서 준비된 보어 내에서 먼저 안착된다. 상기 받침대의 제1 파트(252)를 설치하기 위하여 적합한 헥스 도구는 포스트(258)를 개입시킬 수 있다. 상기 포스트(258)는 다양한 보어와 동일한 각도로 연장된다. 그 다음, 적절한 각도를 이루는 제2 파트(254)가 상기 다양한 보어의 각도, 즉 포스트(258)의 각도를 기초로 선택된다. 포스트(258)의 각도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파트(254)는 정확한 각도가 될 때까지 회전된다. 즉, 상기 헤드 부분은 상기 턱 내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포스트(258) 상에서 맞물린 후, 제 자리에서 굳혀진다.
상기 설치된 받침대 기구(250)는, 도 27 및 2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의 실시예들에서의 캡 내의 피봇하는 오-링 또는 탄성 링과 분리 가능하게 교합 맞물림 되도록 설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캡(156), 리테이너 링(155) 및 오-링(14)은 도 16 내지 22에서와 같지만, 상기 기구는 대안적인 조립체들에 있어서, 도 1 내지 15의 캡, 리테이너 링 및 오-링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피봇하는 리테이너 링(155) 및 오-링(14)을 포함하는 상기 캡(156)은 틀니 또는 다른 치과용 기구 내의 인덴트 내에서 먼저 접합된다. 그 다음, 상기 오-링(14)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구(250)의 헤드 상에서 스냅되고 그루브(268) 내에서 맞물린다. 상기 캡(156)은, 그 후, 상기 받침대 또는 임플란트 기구의 헤드에 대하여 피봇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는 오프-각도 임플란트들 및 수직 방향으로부터 헤드 부분(253)의 편차를 더욱 보상할 수 있게 한다. 도 26의 피봇하는 캡을 갖는 상기 경사진 받침대 또는 임플란트 기구(250)는 상기 캡이 상기 나사산 소형 임플란트(252)의 중심 축(265) 및 상기 임플란트 기구의 제1 파트의 보어(264)에 대하여, 결국, 상기 임플란트가 안착되는 상기 보어의 축에 대하여 30도나 피봇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도 28의 부속품 조립체는, 상기 받침대 기구의 헤드 부분이 상기 제1 파트(252)의 축(265) 및 설치된 보어(264)에 대하여 20도로 경사진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이전의 실시예(상기 헤드 부분이 10도로 경사짐)와 유사한 두 파트로 된 소형-임플란트 또는 받침대 기구를 갖는다. 이는 다양한 임플란트 배치에 대하여 더 큰 교정 각도가 필요한 곳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립체는, 도 28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이 상기 임플란트의 축(265)에 대하여 40도나 피봇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도 28의 조립체는 이외에는 도 26 및 27과 동일하며,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된다. 또한, 같은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번호가 사용된다.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 캡 내의 피봇하는 오-링 또는 탄성 링은 상기 받침대 또는 임플란트와 별도로 판매될 수 있고, 필요하다면 볼 헤드를 갖는 기존의 받침대 부재들 상에서 맞추어지도록 다양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잇다. 이는 오-링에 부착되도록 설계되는 기존의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들이 부착된 틀니의 수직 움직임 및 회전 움직임을 허용하는 회전 캡과 함께 수정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각각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오-링의 탄력성에 의하여 허용되는 수직 움직임과, 상기 외부 리테이너 상에서 상기 캡의 회전 또는 피봇 움직임의 조합은 상기 틀니의 더 많은 움직임을 허용한다. 상기 피봇 움직임은 오프-각도 임플란트 배치를 보상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 부재의 헤드 상에 둥근 볼의 형태보다는 평평한 상부가 제공되어 상기 받침대의 총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은 당해 업계에서 숙련된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당해 업계에서 숙련된 자에 의해 이러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고, 여기서 설명된 일반적인 원리들이 상기 발명의 사상 또는 범주를 일탈하지 않고서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여기서 제시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하여,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여 광범위하게 고려되는 청구 대상을 예시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는 점은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범주는 당해 업계에서 숙련된 자에게 명백하게 되는 다른 실시예들을 완전히 포함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상기 첨부된 청구항 이외의 기재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도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분해된 조립체의 파트들을 갖는 치과용 부속품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조립된 파트들을 갖는 치과용 부속품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캡의 피봇 동작을 도시하는 도 2와 유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조립체의 잔류물과의 정렬로부터 피봇되는 캡을 갖는, 도 1 내지 3에서 상기 조립된 치과용 부속품 조립체의 측면 입면도(side elevation view)이다.
도 5는, 도 1 내지 4의 부속품 조립체의 받침대 부재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6은 분리된 파트들을 갖는, 인접한 치아 또는 크라운에 부착되도록 설계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말단 연장(말단 연장부) 치과용 부속품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조립된 파트들을 갖는, 도 6의 치과용 부속품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캡의 피봇 동작을 도시하는, 도 7과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부속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바(bar)의 상면 입면도(top plan view)이다.
도 11은 도 9 및 10의 바의 전방 입면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형 치과용 임플란트 및 분리된 칼라(collar) 또는 코핑(coping)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13은 바를 갖는 도 12의 임플란트들의 부목(splinting)을 도시하는 사시 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라인 14-14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15는 대안적인 바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 13과 유사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상기 분해된 조립체의 파트들을 갖는, 도 1 내지 5의 치과용 부속품 조립체의 변형 실시예의 파열(exploded) 단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조립된 파트들을 갖는, 도 16의 치과용 부속품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캡의 피봇 동작을 도시하는 도 17과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6 내지 18의 부속품 조립체의 받침대 부재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20은 상기 조립체의 잔류물과의 정렬로부터 피봇되는 캡을 갖는, 도 16 내지 19의 조립된 치과용 조립체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21은 변형된 받침대 부재를 도시하는 도 17과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피봇 동작의 범위를 도시하는 도 21의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링 부속품을 위한 각도 교정 받침대 부재의 두 개의 파트들의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각도 교정 받침대 부재를 사용하여 조립된 오-링 부속품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서로 다른 각도 조절을 위한 변경된 각도 교정 받침대 부재를 갖는 오-링 부속품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 24와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2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속품 조립체를 위한 각도 교정 임플란트 부재의 두 개의 파트들의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각도 교정 임플란트 부재를 사용하여 조립된 오-링 부속품 조립체의 횡단면도이다.
도 28은 서로 다른 각도 조절을 갖는 부속품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 27과 유사한 횡단면도이다.

Claims (21)

  1. 치아 치근,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부착되도록 형성되며, 헤드와 상기 헤드에 인접한 고리모양의 시트(seat)를 갖는 받침대 부재;
    상기 받침대 부재 상의 시트 내에서 분리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탄성 링;
    상기 탄성 링 상에서 맞물리며, 상기 탄성 링보다 강성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지고, 둥근 외부 표면을 갖는 리테이너 링; 및
    치과용 기구 또는 보철물 내의 리세스 내에 안착되며, 상기 리테이너 링의 둥근 외부 표면 상에서 회전 맞물림이 가능하도록 조절된 둥글고 오목한 내부 표면을 갖는 캡을 포함하는, 치과용 부속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부재는 상기 고리모양의 시트로부터 동축으로 연장되는 샤프트를 가지며, 상기 샤프트는 비생체 치근 또는 임플란트 나사산 내의 교합 보어 내에서 골내 뼈(endosseous bone)로 맞물림 되도록 형성되는 테일 엔드 부분을 갖는, 치과용 부속품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고리모양의 시트에 인접한 다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툴- 맞물림(tool-engaging) 부분을 포함하는, 치과용 부속품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툴-맞물림 부분 및 테일 엔드 부분 사이에 고리모양의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부속품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 엔드 부분은 적어도 그 길이의 일부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치과용 부속품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둥근 주변 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부 표면을 포함하는, 치과용 부속품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부재는 상기 받침대 부재를 인접한 치아 또는 크라운에 안착시키도록 형성되는 말단 연장부를 갖는, 치과용 부속품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바와, 상기 바 상에서 안착되는 적어도 두 개의 이격된 받침대 부재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바는 적어도 두 개의 임플란트들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치과용 부속품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부재는 소형 임플란트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환자의 턱 내에 준비된 보어 내로 직접 이식되도록 형성되는 나사산 테일 부분을 가지는, 치과용 부속품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복수의 소형 임플란트들과, 상기 소형 임플란트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바를 포함하는, 치과용 부속품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링은 둥근 외부 표면을 가지며, 상기 리테이너 링은 상기 탄성 링의 외부 표면 상에서 교합 맞물림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오목한 내부 표면을 갖는, 치과용 부속품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링은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오-링인, 치과용 부속품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링의 외부 표면은 상기 링의 반대쪽 축 말단에 인접한 노치들을 갖는, 치과용 부속품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부재는 비생체 치근 내의 교합 보어 내에서 또는 골내 뼈의 임플란트 나사산 내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샤프트를 갖는 제1 파트와, 상기 제1 파트를 향해 어떤 각도로 연장되는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캡이 상기 샤프트에 대해 어떤 각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받침대 부재의 제2 파트 상에 고리모양의 시트가 위치하는, 치과용 부속품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제2 파트와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턱 내에 제1 파트가 설치된 후에 상기 제2 파트가 상기 제1 파트와 맞물리도록 상기 제1 및 제2 파트가 교합용 반대회전 형성물을 갖는, 치과용 부속품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는 헤드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 부분은 헤드와 고리모양의 시트(seat)를 갖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교합용 반대회전 형성물을 가지며,
    상기 반대회전 형성물은 상기 헤드 부분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연장되고, 상기 받침대 부재의 제2 부분 상에서 상기 반대회전 형성물과 맞물리는 상기 샤프트와 정렬되어, 상기 헤드 부분이 상기 샤프트를 향하여 상기 소정의 각도로 연장되는, 치과용 부속품 시스템.
  17. 환자의 구강 내에서 안착되는 받침대 부재 또는 임플란트 상에서 분리 가능하게 스냅 맞물림 되는 부속품 조립체로서,
    치과용 기구 내의 리세스 내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치과용 기구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하는 개방된 엔드를 갖는 공동을 포함하는 캡으로서, 상기 공동은 둥글고 오목한 내부 표면을 갖는 상기 캡;
    상기 공동 내에서 맞물리며, 상기 공동의 둥글고 오목한 내부 표면과 피봇 가능하게 맞물리는 둥근 외부 표면과 오목한 내부 표면을 갖는 리테이너 링; 및
    상기 리테이너 링 내에 유지되고, 환자의 구강 내에 안착되는 받침대 부재 또는 임플란트의 상기 헤드 상에서 스냅 맞물림 되도록 형성되는 탄성 링을 포함하는, 부속품 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링은 오-링인, 부속품 조립체.
  19. 환자와 구강 내에 치과용 기구를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환자의 턱으로부터 반대편에 헤드를 갖는 받침대 부재를 환자의 구강 내에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캡을 치과용 기구 내의 리세스에 안착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캡은 둥글고 오목한 내부 표면을 갖는 공동과, 상기 공동의 둥근 내부 표면과 회전 맞물림되는 리테이너 링을 갖는 상기 단계;
    캡이 상기 받침대의 헤더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하면서 상기 기구를 상기 구강 내에 위치시키고, 상기 리테이너 링 내에 유지된 탄성 링이 상기 헤드에 맞물릴 때까지 상기 기구를 상기 받침대 부재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리테이너 링 내에 유지된 탄성 링을 상기 받침대 부재의 헤드 상에서 스냅하고, 상기 헤드에 인접한 고리모양의 시트와 맞물리도록 하는 단계로서, 이에 의하여, 상기 탄성 링이 상기 치과용 기구가 상기 받침대 부재에 대하여 수직 운동을 하도록 허용하고 상기 리테이너 링 및 캡 간의 회전 맞물림이 상기 치과용 기구가 상기 받침대 부재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허용하면서, 상기 치과용 기구가 상기 받침대 부재 상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유지되는 상기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와 구강 내에 치과용 기구를 설치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부재를 환자의 구강 내에 안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바와 함께 복수의 이격된 받침대 부재들을 상기 환자의 구강 내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캡을 치과용 기구 내의 리세스에 안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바 상의 받침대 부재들 간의 간격에 대응하는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캡들을 치과용 기구 내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구를 상기 구강 내에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캡들을 상기 각각의 받침대 부재들과 실질적으로 정렬하고, 각각의 캡 내에서 맞물리는 탄성 링이 상기 각각의 받침대 부재의 헤드 상에서 스냅될 때까지 상기 기구를 상기 받침대 부재들을 향해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와 구강 내에 치과용 기구를 설치하는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상기 받침대 부재를 환자의 구강 내에 안착시키는 단계는,
    환자의 구강 내에 이격된 간격으로 임플란트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받침대 부재들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턱 내에서 상기 임플란트 위치들의 치형을 적용하는 단계와,
    상기 임플란트 위치들에서 임플란트 유사체를 사용하여 상기 환자의 턱의 모델을 제조하는 단계와,
    보어를 갖는 코핑을 각각의 임플란트 유사체 상에서 맞물리는 단계와,
    바 프레임워크를 생성하기 위하여 코핑의 각각의 쌍 사이에 바 섹션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프레임워크를 상기 환자의 턱 내에 맞추는 단계와,
    상기 바 프레임워크로부터 매칭 금속 바를 주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바는 상 기 코핑들 내의 보어들에 대응하는 보어들을 갖는 상기 단계와,
    상기 바를 상기 환자의 턱 내의 상기 임플란트들 상에 맞물리는 단계와,
    상기 바를 제 위치에 안착하여 상기 임플란트들이 서로간에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와 구강 내에 치과용 기구를 설치하는 방법.
KR1020097014500A 2006-12-20 2007-12-12 치과용 부속품 조립체 및 방법 KR1011892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613,464 2006-12-20
US11/613,464 US7704076B2 (en) 2006-12-20 2006-12-20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
PCT/US2007/087284 WO2008079699A2 (en) 2006-12-20 2007-12-12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572A true KR20090080572A (ko) 2009-07-24
KR101189250B1 KR101189250B1 (ko) 2012-10-09

Family

ID=39543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4500A KR101189250B1 (ko) 2006-12-20 2007-12-12 치과용 부속품 조립체 및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7704076B2 (ko)
EP (1) EP2094187B1 (ko)
JP (1) JP5480628B2 (ko)
KR (1) KR101189250B1 (ko)
CN (1) CN101557773B (ko)
AU (1) AU2007337164B2 (ko)
CA (1) CA2672045C (ko)
ES (1) ES2586415T3 (ko)
HK (1) HK1135589A1 (ko)
IL (1) IL199211A (ko)
WO (1) WO2008079699A2 (ko)
ZA (1) ZA200903876B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8843A2 (en) * 2009-05-04 2010-11-11 Moe Keng Ang Metal/plastic housing
WO2013151258A1 (ko) * 2012-04-04 2013-10-10 Wang Je Won 각도조절과 위치조절이 자유로운 틀니 고정용 어태치먼트
KR101386560B1 (ko) * 2013-11-21 2014-04-17 김윤자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KR20140113996A (ko) * 2012-01-06 2014-09-25 헤레우스 쿨처 게엠베하 치아 임플란트
KR20200029330A (ko) 2019-04-02 2020-03-18 하명헌 임플란트 구조물
WO2020054948A1 (ko) * 2018-09-10 2020-03-19 하명헌 임플란트 구조물
KR20200080546A (ko) 2018-12-27 2020-07-0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용 픽스쳐
KR20200094458A (ko) * 2019-01-30 2020-08-07 하명헌 임플란트 식립장치
KR20210026894A (ko) * 2019-09-02 2021-03-10 박연희 탈착이 가능한 어버트먼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68751B1 (de) * 2006-10-02 2018-09-19 Cendres + Métaux SA Verankerung zur befestigung eines zahnersatzes
US8142192B2 (en) * 2007-02-21 2012-03-27 Nobel Biocare Services Ag Device for transferring the position of an angled abutment from a model to an implant
US20090263763A1 (en) * 2008-04-16 2009-10-22 Shepard John S Denture Abutment & Retention System
US9314318B2 (en) * 2008-08-26 2016-04-19 Zest Ip Holdings, Llc Dental anchor apparatus and method
ITCR20080024A1 (it) * 2008-11-05 2010-05-06 Pier Giuseppe Preda Attacco odontoiatrico a pallina con perno intra-radicolare per protesi rimovibili o fisse e relativo procedimento di realizzazione
US8454363B2 (en) 2008-11-06 2013-06-04 William B. Worthington Dental implant system
KR101042372B1 (ko) 2009-04-09 2011-06-1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일체형 임플란트
IT1394182B1 (it) * 2009-05-07 2012-06-01 Nardi Gruppo di accoppiamento, particolarmente per impianti dentali
JP5514972B2 (ja) * 2009-12-10 2014-06-04 株式会社ナントー精密 インプラント
US20120003606A1 (en) * 2010-07-02 2012-01-05 Elisabeth Fischler Connection of a prosthesis structure with an implant structure
US20120058449A1 (en) * 2010-09-02 2012-03-08 Sterngold Dental, Llc Machined overdenture bar
EP2624781B1 (de) 2010-10-07 2015-04-22 Bredent Gmbh & Co. Kg Abutment und zahnprothetische anordnung mit einem solchen abutment
US9155599B2 (en) 2010-11-03 2015-10-13 Global Dental Science Llc Systems and processes for forming anatomical features in dentures
CN103501723B (zh) * 2011-02-02 2016-12-07 Mid公司 骨移植体和用于移植骨移植体的牙移植体钻孔设备
EP2489326A3 (de) 2011-02-18 2012-09-12 BoneCare Biomechanics d.o.o. Verbindungsanordnung zwischen einer Zahnprothese und einem Implantatpfosten
JP5100918B2 (ja) * 2011-03-28 2012-12-19 株式会社T・U・M 義歯システム、入れ歯の作成方法および補修方法
EP2717800B1 (en) 2011-06-08 2018-08-08 Zest IP Holdings, LLC Detachable dental attachment device
US9398939B2 (en) * 2011-09-09 2016-07-26 Gordon Ray Morehead Dynamic dental crown
CL2011003323A1 (es) * 2011-12-28 2012-03-09 Univ Concepcion Sistema de retencion protesica para pacientes desdentados, comprende una barra prefabricada y dos implantes, donde dicha barra esta compuesta por una pieza tubular con seccion transversal redonda o semejante a un ovoide de entre 1 a 2 mm de diametro y 2 capsulas huecas en sus extremos, las que presentan una forma conica.
US8875398B2 (en) * 2012-01-04 2014-11-04 Thomas J. Balshi Dental prosthesis and method of its production utilizing standardized framework keys and matching premanufactured teeth
US9364302B2 (en) 2012-02-08 2016-06-14 Global Dental Science Llc Process and systems for molding thermosetting plastics
TWI487507B (zh) * 2012-05-07 2015-06-11 Univ Nat Cheng Kung 具有緩衝的牙科植入物
US20140134566A1 (en) * 2012-11-14 2014-05-15 Robert Lemke Dental Prosthesis With Reference Points For Imaging When Fabricating A Denture
EP2931167B1 (de) * 2012-12-11 2019-03-06 Kulzer GmbH Ein- oder mehrteiliges implantatsystem mit einem aufbauelement mit einem oder mehreren aussenringen
US9452029B2 (en) * 2012-12-11 2016-09-27 Zest Ip Holdings Llc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device and methods of using same
DE102013002517A1 (de) 2013-02-13 2014-08-14 Heraeus Kulzer Gmbh Ein- oder mehrteiliges Implantatsystem mit einem Aufbauelement mit einem oder mehreren Außenringen
DE102012024230A1 (de) 2012-12-11 2014-06-12 Thomas Jehle Ein- oder mehrteiliges Implantatsystem mit einem Aufbauelement mit einem oder mehreren Außenringen
US9867684B2 (en) 2013-03-14 2018-01-16 Global Dental Sciences LLC System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of dentures
ES2525402B1 (es) * 2013-06-21 2015-11-30 Bista Eder Clínica Dental, S.L. Sistema de anclaje dental
US9055993B2 (en) 2013-08-29 2015-06-16 Global Dental Science Llc Denture reference and registration system
FR3012319B1 (fr) * 2013-10-25 2016-09-02 Anthogyr Sa Dispositif de liaison entre un implant dentaire et une prothese dentaire trans-fixee
TWI611796B (zh) * 2013-11-01 2018-01-21 捷鈦生醫股份有限公司 具有雙重緩衝的牙科植入物
US10251733B2 (en) 2014-03-03 2019-04-09 Global Dental Science Llc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ayered dentures
US10206764B2 (en) 2014-03-03 2019-02-19 Global Dental Sciences, LLC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ayered dentures
US9033709B1 (en) 2014-06-06 2015-05-19 Zest Ip Holdings, Llc Dental attachment assembly cap and method of use
WO2016014730A1 (en) * 2014-07-22 2016-01-28 Zest Ip Holdings, Llc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US9931181B2 (en) * 2014-07-22 2018-04-03 Zest Ip Holdings, Llc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US10383710B2 (en) * 2015-02-10 2019-08-20 Zimmer, Inc. Configurations for the connection of dental restorations with abutments
US9320577B1 (en) 2015-03-27 2016-04-26 King Saud University Joint assembly for dental implant abutment
US11648084B2 (en) 2015-06-11 2023-05-16 Global Dental Science Llc Positioning method and system for implant-supported dentures
CN108770340A (zh) * 2015-08-25 2018-11-06 Acrodent株式会社 可下沉以及可拆装的弹性结合型种植体系统
US11266486B2 (en) 2016-06-20 2022-03-08 Global Dental Science, LLC Positioning handle and occlusal locks for removable prosthesis
CN109890319B (zh) * 2016-08-31 2021-10-29 安迪·博伊安古 牙科植入物覆盖件
WO2018154610A1 (en) * 2017-02-24 2018-08-30 Rhein 83 S.R.L. Dental technology kit
WO2019018848A2 (en) * 2017-07-21 2019-01-24 Dentatus Usa Ltd. REMOTE IMPLANT PILLAR
IT201700123725A1 (it) * 2017-10-31 2019-05-01 Francesco Rueca Moncone per impianti o “abutment”, in particolare per operazioni odontoiatriche in chirurgia assistita
FR3078881B1 (fr) * 2018-03-15 2022-06-10 Claude Segura Ensemble de liaison pour prothese amovible complete supra-implantaire
WO2019222714A1 (en) * 2018-05-18 2019-11-21 Zimmer Dental, Inc. Mid-gingival implant system
WO2019237062A1 (en) * 2018-06-07 2019-12-12 Apollonian Holdings LLC Implant attachment system
US11596504B2 (en) 2021-08-04 2023-03-07 Zest Ip Holdings, Llc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US11779438B2 (en) 2021-08-04 2023-10-10 Zest Ip Holdings, Llc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US20230414329A1 (en) * 2022-06-23 2023-12-28 Igor Roshkovan Dental implant attachment system in screw-retained configuration for implant-supported and implant-retained removable dentures and method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4858A (en) 1969-04-14 1970-06-02 Ralph H Silverman Denture securing apparatus
US4290755A (en) 1979-03-05 1981-09-22 Scott Edward S Dental post and method of installing
EP0037864A1 (en) 1980-04-09 1981-10-21 Edward S. Scott Dental post and method of installing
US4488874A (en) 1982-04-29 1984-12-18 Jack Soifer Detachable mounting for a dental fixture and method for using same
CH651462A5 (fr) 1983-02-23 1985-09-30 Helmut Hader Partie femelle d'un accouplement pour la fixation en bouche d'une prothese dentaire.
US4540367A (en) 1984-05-02 1985-09-10 Sulc Josef M Dental attachment structure
US4993950A (en) 1988-06-20 1991-02-19 Mensor Jr Merrill C Compliant keeper system for fixed removable bridgework and magnetically retained overdentures
DE3904340A1 (de) * 1989-02-14 1990-08-16 Kirsch Axel Steckverbindung
US5049072A (en) * 1990-06-26 1991-09-17 Calcitek, Inc. O-ring attachment system for dental prosthesis
US5120222A (en) 1990-09-07 1992-06-09 Sulc Josef M Dental attachment structure
US5195891A (en) * 1990-12-06 1993-03-23 Sulc Josef M Adjustable dental implant system
CH685188A5 (fr) 1991-05-28 1995-04-28 Metaux Precieux Sa Dispositif d'accouplement pour prothèse dentaire.
US5520540A (en) 1992-06-19 1996-05-28 Rhein 83 S.N.C. Di Nardi Ezio & C. Zago, 10 Quick coupling device for dental prosthesis
US5234341A (en) 1992-08-17 1993-08-10 Johansen Raymond J Wearer-removable dental implant attachment
US5246368A (en) 1993-01-22 1993-09-21 Rannar Sillard Method for manufacture and fitting of partial dental appliance
US5413480A (en) 1993-09-08 1995-05-09 Essential Dental Systems, Inc. Overdenture attachment system
IT233018Y1 (it) 1993-09-22 2000-01-26 Rhein 83 S N C Di Nardi Ezio & Dispositivo per realizzare attacchi rapidi per protesi dentarie
US5417570A (en) 1994-01-03 1995-05-23 Zest Anchors, Inc. Dental anchor assembly
US5556280A (en) 1994-05-31 1996-09-17 Pelak; Mark S.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ance mounting
US5630717A (en) 1995-05-01 1997-05-20 Zest Anchors, Inc. Dental implant bar system and method
US5749732A (en) 1995-10-03 1998-05-12 Sendax; Victor Dental implantation
US5871357A (en) * 1998-04-15 1999-02-16 Tseng; Hsien-Jung Fixing device for a removable denture
US6030219A (en) 1998-10-13 2000-02-29 Zest Anchors, Inc. Dental attachment assembly
US6299447B1 (en) * 1998-10-13 2001-10-09 Zest Anchors, Inc. Dental attachment assembly
US8043089B2 (en) * 1999-04-23 2011-10-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ne piece dental implant and use thereof in prostodontic and orthodontic applications
US6716030B1 (en) * 1999-04-23 2004-04-06 Imtec Corporation Universal O-ball mini-implant, universal keeper cap and method of use
WO2001050977A1 (de) 2000-01-13 2001-07-19 Robert Laux Aufbaupfosten und befestigungseinrichtung für die zahnprothetik bzw. implantologie
US6302693B1 (en) * 2000-09-08 2001-10-16 Raul R. Mena Engagement mechanism for dental prostheses
US6981871B2 (en) * 2002-07-05 2006-01-03 Zest Anchors, Inc.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
DE102005027401A1 (de) 2005-06-13 2006-12-14 Heraeus Kulzer Gmbh Verfahren zur Sicherung eines medizinischen Elements in einem Implantat und medizinisches Element
US20090298013A1 (en) * 2008-05-27 2009-12-03 Daniel Baruc Inclined dental abutment assembly device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8843A2 (en) * 2009-05-04 2010-11-11 Moe Keng Ang Metal/plastic housing
WO2010128843A3 (en) * 2009-05-04 2011-04-21 Moe Keng Ang Metal/plastic housing
KR20140113996A (ko) * 2012-01-06 2014-09-25 헤레우스 쿨처 게엠베하 치아 임플란트
WO2013151258A1 (ko) * 2012-04-04 2013-10-10 Wang Je Won 각도조절과 위치조절이 자유로운 틀니 고정용 어태치먼트
KR200471489Y1 (ko) * 2012-04-04 2014-02-28 왕제원 각도조절과 위치조절이 자유로운 틀니 고정용 어태치먼트
US9474587B2 (en) 2012-04-04 2016-10-25 Je Won Wang Denture-fixing attachment having freely adjustable angle and position
WO2015076530A1 (ko) * 2013-11-21 2015-05-28 채희진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KR101386560B1 (ko) * 2013-11-21 2014-04-17 김윤자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US11191621B2 (en) 2013-11-21 2021-12-07 Heejin CHAE Dental implant structure
WO2020054948A1 (ko) * 2018-09-10 2020-03-19 하명헌 임플란트 구조물
KR20200080546A (ko) 2018-12-27 2020-07-0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용 픽스쳐
KR20200094458A (ko) * 2019-01-30 2020-08-07 하명헌 임플란트 식립장치
KR20200029330A (ko) 2019-04-02 2020-03-18 하명헌 임플란트 구조물
KR20210026894A (ko) * 2019-09-02 2021-03-10 박연희 탈착이 가능한 어버트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99211A (en) 2012-06-28
EP2094187B1 (en) 2016-05-11
WO2008079699A2 (en) 2008-07-03
WO2008079699A3 (en) 2008-08-28
US20100159420A1 (en) 2010-06-24
EP2094187A2 (en) 2009-09-02
HK1135589A1 (zh) 2010-06-11
CA2672045A1 (en) 2008-07-03
ES2586415T3 (es) 2016-10-14
IL199211A0 (en) 2010-03-28
US20080153063A1 (en) 2008-06-26
CN101557773A (zh) 2009-10-14
JP2010512975A (ja) 2010-04-30
JP5480628B2 (ja) 2014-04-23
US8512039B2 (en) 2013-08-20
EP2094187A4 (en) 2012-02-29
AU2007337164B2 (en) 2013-05-09
KR101189250B1 (ko) 2012-10-09
ZA200903876B (en) 2012-11-28
AU2007337164A1 (en) 2008-07-03
CN101557773B (zh) 2014-02-26
US7704076B2 (en) 2010-04-27
CA2672045C (en) 201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9250B1 (ko) 치과용 부속품 조립체 및 방법
JP6339093B2 (ja) 固定ハイブリッド歯科用アタッチメント装置
US5169309A (en) Abutment for dental appliances and the like
EP0688193B1 (en) Dental anchor assembly
US4793808A (en) Enossal implant
EP2717800B1 (en) Detachable dental attachment device
CA2639721A1 (en) Dental bar implant system
CA2853327C (en) Dental replacement mounting systems
US9610142B1 (en) Adjustable bite recording tool for dental implants
KR101789045B1 (ko) 임플란트에 의치를 고정하기 위한 치과기구
US20230038772A1 (en) Dental attachment assemblies, angled implant assemblies, and methods of use
KR20240040796A (ko) 치과용 부착 조립체, 각형성된 임플란트 조립체, 및 사용 방법
IL264788A (en) Adjustable dynamic structure
CN117915856A (zh) 牙科附接组件、成角度的植入体组件以及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