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0536A - 생체 치유 촉진제 - Google Patents

생체 치유 촉진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0536A
KR20090080536A KR1020097010923A KR20097010923A KR20090080536A KR 20090080536 A KR20090080536 A KR 20090080536A KR 1020097010923 A KR1020097010923 A KR 1020097010923A KR 20097010923 A KR20097010923 A KR 20097010923A KR 20090080536 A KR20090080536 A KR 20090080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ing
aureobasidium
promoting
promote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0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유키 모리야
유키코 모리야
고지 구보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우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우레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우레오
Publication of KR20090080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5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62Ascomyco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6Antianaemi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5Fung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iabet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Obesit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On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물의 독성이나 창상에 의해 입은 세포 및 조직 손상의 치유에 관여하는 생체의 재생능을 촉진하고, 또한 안전성이 높아, 장기 투여해도 부작용을 발생시키지 않는 생체 치유 촉진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우레오바시디움속(Aureobasidium sp.)에 속하는 미생물을 배양한 배양액과 균사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생체 치유 촉진제로 과제를 해결하였다. 본 발명은 항암제의 부작용을 저감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창상 치유 촉진을 위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혈당치 정상화 촉진이나 백혈병의 병태 개선을 위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Description

생체 치유 촉진제{Agent for promoting healing of living body}
본 발명은 아우레오바시디움속(Aureobasidium sp.)에 속하는 미생물을 배양한 배양액과 균사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생체 치유 촉진제에 관한 것이다.
아우레오바시디움속에 속하는 미생물을 배양한 배양액은, 음식품이나 식품첨가물로서 이용되고 있다. 이 배양액 중에는 β글루칸이 포함되어 있고, 이 β글루칸은 β-1,3 결합의 글루코오스 잔기를 주쇄로 하여, 이 글루코오스 잔기에 β-1,6 결합 글루코오스 잔기를 측쇄(분기쇄)로서 갖는, 1,3, 1,6-β-D-글루칸인 것이 알려져 있다(하기 비특허문헌 1, 2 참조).
또한,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아우레오바시디움속에 속하는 미생물을 배양한 배양액이 경구적으로 높은 항종양활성 및 면역부활활성을 가져, 각종 질병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아우레오바시디움속에 속하는 미생물을 배양한 배양액과 균사체의 혼합물이, 세포 및 조직의 재생능을 촉진하는 작용을 갖는 것은 아직 보고되어 있지 않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아우레오바시디움속에 속하는 미생물을 배양한 배양액을 각종 질병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 개시되고, 그 일례로서 당뇨병이 거론되고 있지만, 당뇨병에 관한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시사하는 실험 데이터는 조금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동일 특허문헌 1에는, 아우레오바시디움속에 속하는 미생물을 배양한 배양액이 배양세포 실험계에서 백혈병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동물실험에 의한 약리효과를 나타내는 실험 데이터는 조금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비특허문헌 1: Acta Chemica Scandinavia 17, 1351-1356(1963)
비특허문헌 2: Agric. Biol. Chem. 47(6), 1167-1172(1983)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2-204687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약물에는 효과와 부작용이 있다. 효과가 높고, 부작용이 낮으면, 일반적으로는 그 약물은 「안전성이 높다」고 인식된다. 그러나, 항암제나 스테로이드제와 같이, 부작용이 비교적 강한 것을 용인하면서 투약해야만 하는 약물도 적지 않다. 이는 독성과 유효성을 안전하게 분리할 수 없는 현재 약물의 한계라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 약물의 독성을 경감시키는 것은, 생사를 가를 정도로 중대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
항암제를 예로 들자면, 골수억제, 간독성, 신독성 등의 독성의 발현 때문에 세포 및 조직이 손상을 입어, 그 이상 투약할 수 없는 경우에도, 조금더 투약을 계속할 수 있다면 바람직한 결과가 얻어질 가능성이 있다. 즉, 이 때 항암제의 독성을 경감할 수 있다면, 그 유효성을 최대한으로 발휘시키는 형태로 투약의 속행이 가능해진다. 이는 사느냐 죽느냐의 선택을 해야만 하는 임상현장에서는 절실한 과제이다.
또한, 외과수술에 수반되는 피부 또는 점막의 절개나, 화상, 열상 등에 의해 발생하는 창상도 또한 세포 및 조직의 손상이라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항생물질의 경구투여 또는 외상으로의 직접적인 도포에 의한 세균감염증의 예방, 항염증제의 투여에 의한 염증의 저감, 진통제 투여에 의한 동통의 경감 등의 치료가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 외과수술 후의 피부 또는 점막의 창상에 대한 치료는, 세균감염, 염증, 동통 등의 2차적인 장애를 저감하고자 하는 치료일 뿐, 창상의 치유는 생체의 피부 재생능력에 의지하고 있는 것이 현재 상황이다. 이 때문에, 회복까지 시간을 필요로 하여, 투약에 의한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었다.
이에, 생체에 구비되는 치유능을 촉진하는 약물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나, 효과, 안전성, 제조비용 등의 모두에 대해서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은 없었다.
이와 같이, 임상의 현장에서는, 약제의 독성에 의한 조직손상이나 화상 등에 의한 창상의 치유를 촉진하는 생체 치유 촉진제의 제공이 강하게 갈망되고 있다.
또한, 당뇨병 등의 질환에 의해 혈당치가 상승한 경우에, 혈당치를 정상으로 되돌리는 생체 치유력을 증강할 수 있는 생체 치유 촉진제의 제공도 요망되고 있다.
또한, 장기 투여해도 부작용이 없는 백혈병 치료를 위한 생체 치유 촉진제의 제공도 요망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여, 약물의 독성이나 창상에 의해 받은 세포 및 조직 손상의 치유에 관여하는 생체의 재생능을 촉진하고, 또한, 안전성이 높아, 장기 투여해도 부작용을 발생시키지 않는 생체 치유 촉진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 등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체로의 안전성이 높고, 자원적으로 풍부하게 존재하는 생물을 기원으로 하는 천연물을 예의 탐색하였다. 그 과정에서, 아우레오바시디움속에 속하는 미생물을 배양한 배양액과 균사체의 혼합물이, 약물의 독성이나 창상에 의해 받은 세포 및 조직 손상의 치유에 관여하는 생체의 재생능을 촉진하는 작용을 나타내는 것, 당뇨병에 의한 혈당치의 상승을 억제하는 작용을 나타내는 것, 및 백혈병 유래 암세포를 이식한 마우스에 대해 연명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이 사실을 토대로 생체 치유 촉진제로서 유용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의 하나는, 아우레오바시디움속(Aureobasidium sp.)에 속하는 미생물을 배양한 배양액과 균사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치유 촉진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는, 생체 치유 촉진제의 제조에 사용한다는, 아우레오바시디움속(Aureobasidium sp.)에 속하는 미생물을 배양한 배양액과 균사체의 혼합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는, 생체 치유를 촉진시킬 필요성이 있는 사람 또는 동물에, 아우레오바시디움속(Aureobasidium sp.)에 속하는 미생물을 배양한 배양액과 균사체의 혼합물을, 생체 치유를 촉진하는데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치유 촉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생체 치유 촉진제는 항암제의 부작용을 저감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 경우, 상기 항암제가 5-플루오로우라실(5-FU)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생체 치유 촉진제는 창상 치유 촉진을 위해 사용된다. 이 경우, 상기 창상이 외과수술 후의 피부의 창상 또는 화상으로, 환부에 도포하여 사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생체 치유 촉진제는 혈당치 정상화 촉진을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생체 치유 촉진제는 백혈병의 병태 개선을 위해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아우레오바시디움속(Aureobasidium sp.)에 속하는 미생물이, 아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스 균주 M-1(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종합연구소 특허생물기탁센터 기탁번호 FERM BP-08615), 또는 아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스 균주 M-2(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종합연구소 특허생물기탁센터 기탁번호 FERM BP-10014)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아우레오바시디움속(Aureobasidium sp.)에 속하는 미생물을 배양한 배양액과 균사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생체 치유 촉진제가 제공되고, 이 생체 치유 촉진제를 섭취함으로써, 항암제의 부작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 치유 촉진제를 도포함으로써, 화상 등의 창상 치유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 치유 촉진제를 섭취함으로써, 고혈당증 환자의 혈당치의 정상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 치유 촉진제를 섭취함으로써, 백혈병의 병태를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생체 치유 촉진제에 의하면, 세포 및 조직 손상의 치유에 관여하는 생체의 재생능을 촉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양체적의 추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체중의 추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백혈구 수의 추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장기중량의 감소에 미치는 아우레오바시디움 배양액의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시구(施灸) 3일째의 홍반면적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6은 시험시료의 투여 전후에 있어서의 혈당치의 변화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7은 백혈병 유래 암세포 담암(擔癌) 마우스의 생존율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아우레오바시디움속에 속하는 미생물」은, 환경 중(예를 들면 식품, 토양, 실내 등)에 의해 분리된 균주라면,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다.
그 예로서 바람직한 것은, 아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스(Aureobasidium pullulans)에 속하는 균주로, 구체적으로는 IFO4464, IFO4466, IFO6353, IFO7757, ATCC9348, ATCC3092, ATCC42023, ATCC433023 등의 단균(單菌) 분리된 보존주이며, 특히, 아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스 균주 M-1(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종합연구소 특허생물기탁센터 기탁번호 FERM BP-08615)은, 1,3, 1,6-β-D-글루칸의 생산량이 높은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단균 분리된 보존주를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변이 조작을 실시한 변이주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변이조작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UV 조사, 또는 니트로소구아니딘, 에티디움 브로마이드, 메탄설폰산에틸, 아질산나트륨 등에 의한 화학처리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아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스 균주 M-2(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종합연구소 특허생물기탁센터 기탁번호 FERM BP-10014)는, 1,3, 1,6-β-D-글루칸의 생산량이 높고, 또한 배양액 중으로의 색소 축적성이 그 친균주 M-1보다 낮은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아우레오바시디움속에 속하는 미생물을 배양한 배양액과 균사체의 혼합물」은, 아우레오바시디움속에 속하는 미생물을 배양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아우레오바시디움속에 속하는 미생물의 배양은, 공지의 방법(일본국 특허공개 소57-149301호 공보 등 참조)에 준하여 행할 수 있다. 즉, 탄소원(예를 들면 수크로오스) 0.5~1.0 질량%, N원 0.1 질량%, 기타 미량물질(예를 들면, 비타민류, 무기질)을 첨가한 배지(pH 5.2~6.0)에 균을 접종하고, 온도 20~30℃에서 2~3일간 통기 배양, 바람직하게는 통기 교반 배양하면 된다. β-1,3-1,6-글루칸이 생성됨에 따라 배양액의 점도가 상승하여, 점성이 높은 젤상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배양액에는, 통상, 0.6~1.8 질량%의 고형분이 포함되어 있고, 그 고형분 중에는 β-1,3-1,6-글루칸이 5~80 질량%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고형분 중에 β-1,3-1,6-글루칸을 1 질량% 이상 포함하는 배양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고형분 중에 β-1,3-1,6-글루칸을 5 질량% 이상 포함하는 배양물이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배양물 중의 β-1,3-1,6-글루칸 농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그 글루칸의 생리활성효과를 충분히 기대할 수 없다.
또한, β-1,3-1,6-글루칸의 정량은 일본국 특허공고 평3-48201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행할 수 있다. 즉, 배양종료 후, 배양액을 살균하고,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제거하고, 얻어진 용액에 클로로포름/부탄올 혼합액을 10%(v/v) 첨가하여 진탕(Sevage법)한 후, 원심처리하여 클로로포름과 불용물을 제거한다. 이 조작을 2회 반복한 후, 에탄올침전에 의해 침전물을 회수하여 증류수에 용해하고, 산소처리에 의해, 플루란을 분해하고, 증류수 중에서 투석을 행하여, 투석액을 에탄올침전하고, 침전물(β-1,3-1,6-글루칸)을 회수하여 수량(收量)을 구하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배양액을 그대로 가열 또는 가압 가열 살균하여 사용해도 되고, 또한, 필요에 따라 농축한 것, 더 나아가서는 건조한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아우레오바시디움속(Aureobasidium sp.)에 속하는 균의 배양물은, 증점 안정제 등의 식품첨가물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안전성은 높다.
아우레오바시디움속에 속하는 미생물을 배양한 배양액과 균사체의 혼합물을 농축하는 경우, 농축은 저온 감압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농축은 건고될 때까지 행해도 되고, 그 경우에는, 동결건조 또는 감압 분무 건조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농축하기 전에 여과하여, 여액을 농축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아우레오바시디움속에 속하는 미생물을 배양한 배양액과 균사체의 혼합물」은 정제처리해도 된다. 정제처리방법으로서는, 크로마토그래프법, 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하는 용리법 등을 단독 또는 조합해서 사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크로마토그래프법으로서는, 순상(順相) 크로마토그래피, 역상(逆相) 크로마토그래피,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원심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때의 담체, 용출용매 등의 정제조건은, 각종 크로마토그래피에 대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순상 크로마토그래피의 경우에는 클로로포름-메탄올계의 용매,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의 경우에는 물-메탄올계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하는 용리법으로서는, 얻어진 추출액을 물 또는 저급 알코올에 희석/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이온 교환 수지에 접촉시켜서 흡착시킨 후, 저급 알코올 또는 물로 용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저급 알코올은 전술한 바와 같고, 그 중에서도 메탄올이 바람직하다. 이온 교환 수지로서는, 통상, 당해 분야의 정제처리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거대 망상 구조이며 다공성인 가교된 폴리스티렌계 수지, 어반라이트, 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체 치유 촉진제」는, 약물이나 창상에 의해 손상된 세포 및 조직의 재생을 촉진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항암제에 의한 골수억제, 간독성, 신독성 등의 부작용에 의해 손상된 세포 및 조직의 재생을 촉진하는 용도나, 외과수술에 수반되는 피부 또는 점막의 절개, 화상, 열상 등에 의해 발생하는 창상에 의해 손상된 조직의 치유를 촉진하는 용도를 들 수 있다. 또한, 고혈당 환자의 혈당치의 정상화를 촉진하는 용도로도 유효하다. 또한, 백혈병 환자의 병태를 개선하는 용도로도 유효하다.
본 발명의 「생체 치유 촉진제」는, 경구섭취 등에 의해 투여해도 되고, 피부 등에 도포하는 외용제로서 투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항암제의 부작용을 저감시키기 위해, 또는 혈당치 정상화 촉진을 위해, 또는 백혈병의 병태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에는, 경구섭취에 의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과수술에 수반되는 피부의 절개, 화상, 열상 등에 의해 발생하는 창상에 의해 손상된 조직의 치유를 촉진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에는, 환부에 도포함으로써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생체 치유 촉진제」는, 그 상태로도 제품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나, 일반적으로는, 풍미를 높이거나, 필요한 형상으로 하거나 하기 위해 각종 성분을 첨가, 배합하고, 추가적으로 플레이버를 첨가하여 최종제품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체 치유 촉진제」에 첨가, 혼합되는 성분으로서는, 각종 당질이나 유화제, 감미료, 산미료, 과즙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글루코오스, 수크로오스, 푸룩토오스, 봉밀 등의 당류, 소르비톨, 크실리톨, 에리스리톨, 락티톨, 팔라티니트 등의 당알코올,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당 지방산 에스테르, 레시틴 등의 유화제를 들 수 있다. 이 외에도, 비타민 A, 비타민 B류, 비타민 C, 비타민 E 등의 각종 비타민류나 허브 추출물, 곡물성분, 야채성분, 유성분 등을 배합해도, 우수한 풍미의 생체 치유 촉진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체 치유 촉진제」에 첨가할 수 있는 플레이버로서는, 요구르트계, 베리계, 오렌지계, 모과계, 차조기계, 시트러스계, 애플계, 민트계, 그레이프계, 배(pear), 카스타드크림, 복숭아, 멜론, 바나나, 트로피컬, 허브계, 홍차, 커피계 등의 플레이버를 들 수 있고, 이들을 1종 또는 2종 이상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플레이버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풍미면에서 0.05~0.5 질량%, 특히 0.1~0.3 질량%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생체 치유 촉진제」는 고형상, 액상 등 중 어느 형태의 제품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생체 치유 촉진제」는, 의약적으로 수용한 염, 부형제, 보존제, 착색제, 교미제 등과 함께, 약물 또는 식품의 제조분야에 있어서 공지의 방법에 의해, 과립, 정제, 캡슐제 등의 각종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생체 치유 촉진제」는 건강식품에 이용할 수 있다. 건강식품이란, 통상의 식품 보다도 적극적인 의미로, 보건, 건강 유지·증진 등의 목적으로 한 식품을 의미하고, 예를 들면, 액체 또는 반고형, 고형의 제품, 구체적으로는 쿠키, 전병, 젤리, 양갱, 요구르트, 찐빵 등의 과자류, 청량음료, 영양음료, 수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상태로 달여 차제(茶劑)로 해도 된다. 이들 식품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또는 최종제품에, 본 발명의 생체 치유 촉진제를 혼합 또는 도포, 분무 등 하여 건강식품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생체 치유 촉진제」의 사용량은, 연령, 증상 등에 따라 다르나, 예를 들면, 경구섭취하는 경우에는, 성인 1회당 젤상의 경우에는 3~100 g 정도, 분말의 경우에는 200 ㎎~3 g 정도, 추출 진액의 경우에는 정제의 정도나 수분 함량 등에 따라 50 ㎎~2 g 정도를 들 수 있고, 식전 30분 정도에 1일 3회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건강식품으로서의 사용시에는, 식품의 맛이나 외관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양, 예를 들면, 대상이 되는 식품 1 ㎏에 대해 분말의 형태로 1~100 g 정도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생체 치유 촉진제」는, 로션(화장수), 화장용 크림류, 유액, 화장수, 팩제, 스킨밀크(유제), 젤제, 파우더, 립크림, 립스틱,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선케어, 욕용제, 바디샴푸, 바디린스, 비누, 클렌징폼, 연고, 첩부제, 젤리제, 에어졸제 등 각종 제품형태로 피부외용제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생체 치유 촉진제」를 피부외용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화장품, 의약부외품, 약물에 있어서 통상 사용되는, 하기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각종 성분이나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즉, 글리세린, 바셀린, 요소, 히알루론산, 헤파린 등의 보습제; PABA 유도체(파라아미노안식향산, 에스카롤 507 등), 계피산 유도체(네오헤리오판, 팔솔 MCX, 선가드 B 등), 살리실산 유도체(옥틸살리실레이트 등), 벤조페논 유도체(ASL-24, ASL-24S 등), 디벤조일메탄 유도체(팔솔 A, 팔솔 DAM 등), 헤테로 고리 유도체(티누빈계 등), 산화티탄 등의 자외선흡수제·산란제;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타르타르산, 타르타르산나트륨, 젖산, 사과산,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등의 금속봉쇄제; 살리실산, 황, 카페인, 탄닌 등의 피지억제제;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글루콘산클로로헥시딘 등의 살균·소독제; 염산디펜히드라민, 트라넥삼산, 구아이아줄렌, 아줄렌, 알란토인, 히노키티올, 글리시리진산 및 그의 염, 글리시리진산 유도체, 글리시레틴산 등의 항염증제; 비타민 A, 비타민 B군(B1, B2, B6, B12, B15), 엽산, 니코틴산류, 판토텐산류, 비오틴, 비타민 C, 비타민 D군(D2, D3), 비타민 E, 유비퀴논류, 비타민 K(K1, K2, K3, K4) 등의 비타민류;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알라닌, 리신, 글리신, 글루타민, 세린, 시스테인, 시스틴, 티로신, 프롤린, 아르기닌,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등의 아미노산 및 그의 유도체; 레티놀, 초산토코페롤, 아스코르브산 인산 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 글루코시드, 알부틴, 코지산, 에데트산, 태반추출액 등의 미백제; 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몰식자산 프로필 등의 항산화제; 염화아연, 황산아연, 석탄산아연, 산화아연, 황산알루미늄칼륨 등의 수렴제; 글루코오스, 프룩토오스,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트레할로오스, 에리스리톨, 만니톨, 크실리톨, 락티톨 등의 당류; 감초, 카밀레, 마로니에, 범의귀, 작약, 모과, 황금, 황벽나무, 황련, 삼백초, 은행나무잎 등의 각종 식물 추출물 등 외에, 유성성분, 계면활성제, 증점제, 알코올류, 분말성분, 색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체 치유 촉진제」를 피부외용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그 도포량은 젤상의 경우에는 10~1,000 ㎎/㎠ 정도, 분말의 경우에는 1~50 ㎎/㎠ 정도, 추출 진액의 경우에는 정제의 정도나 수분 함량 등에 따라 1~500 ㎎/㎠ 정도가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조금도 제약을 받지 않는다.
또한, 시험에는 아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스 균주 M-2를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배양함으로써 얻은 배양액과 균사체의 혼합물(고형분 1.5~2 질량%; 이하, 아우레오바시디움 배양액이라 한다.)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항암제의 부작용 저감 시험]
시험은 육종 이식 마우스에 항암제 5-FU(20 ㎎/㎏/day)를 아우레오바시디움 배양액(2 g/㎏~30 g/㎏/day)과 함께 부여하고, 부작용의 지표로서, 체중, 백혈구 수, 장기중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각 시험시료는 수흡수 병에 넣고 식수로서 자유 섭취시킴으로써 종양이식 직후부터 경구적으로 투여하였다. 표 1에 시험동물의 배당과, 항암제 및 아우레오바시디움 배양액의 1일당 평균 투여량을 나타내었다. 시험의 결과를 도 1부터 도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32115612-PCT00001
·결과 1 [항암제에 의한 독성사를 회피하는 작용]
도 1의 세로축은 종양체적을, 가로축은 항암제의 투여 개시부터의 경과 일수를 나타낸다. 시험군의 배당은, 표 1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시험 A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항암제 치료에 의해 종양의 체적은, 어떤 치료도 행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현저히 억제되었다. 그러나, 항암제 치료 개시 21일 후에는, 대조군에서는 종양의 증식은 인정되었지만 1마리의 사망예도 보이지 않았으나, 항암제 치료를 행한 시험 A군에서는 9마리 중 4마리가 사망하였다.
이는 항암제의 특징을 현저히 나타내는 것으로, 종양의 증식을 억제하는 한편으로, 그 독성 때문에 정상적인 세포까지 피해를 입은 결과이다. 이것으로는 항암제 치료의 의미가 없다. 그런데, 항암제 치료에 아우레오바시디움 배양액(약 2 g/㎏/day)을 병용한 시험 C군에서는, 종양의 증식을 현저(p<0.01)하게 억제할 뿐 아니라, 대조군과 마찬가지로 1마리의 사망예도 보이지 않았다. 이 2 g/㎏/day 투여량은, 고형분 환산(1.5%)으로는 30 ㎎/㎏/day에 상당하여, 투여한 항암제와 동일 정도의 양으로 효과를 나타내었다 할 수 있다. 또한, 아우레오바시디움 배양액의 단독 치료(29 g/㎏/day)를 행한 시험 B군에서도, 통계학적으로 유의(p<0.05)한 제암효과가 사망예 없이 인정되었다.
·결과 2 [항암제에 의한 체중의 감소를 완화하는 작용]
도 2의 세로축은 체중을, 가로축은 항암제의 투여 개시부터의 경과 일수를 나타낸다. 시험군의 배당은, 표 1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시험 A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항암제 치료에 의한 부작용은, 체중의 26% 감소라는 형태로 나타났다. 그런데, 항암제 치료에 아우레오바시디움 배양액(약 2 g/㎏/day)을 병용한 시험 C군에서는, 이 항암제 치료에 의한 체중의 감소를 13%로까지 완화할 수 있었다. 이 부작용에 의한 체중 억제의 완화는, 항암제 치료뿐인 경우에 비해 통계학적인 유의차(p<0.01)가 인정되었다.
·결과 3 [항암제에 의한 백혈구 수의 감소를 회복하는 작용]
도 3의 세로축은 백혈구 수를, 가로축은 항암제의 투여 개시부터의 경과 일수를 나타낸다. 시험군의 배당은, 표 1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시험 A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항암제 치료에 의한 부작용은, 백혈구 수의 42% 감소라는 형태로 나타났다. 그런데, 항암제 치료에 아우레오바시디움 배양액(약 2 g/㎏/day)을 병용한 시험 C군에서는, 백혈구는 항암제 치료 7일 후까지는 감소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그 후 회복 경향으로 전향하여, 치료 21일 후에는 백혈구 수의 감소를 16%로까지 완화할 수 있었다. 이 부작용에 의한 백혈구 억제의 완화는, 항암제 치료뿐인 경우에 비해 통계학적인 유의차(p<0.05)가 인정되었다.
·결과 4 [항암제에 의한 장기 위축을 완화하는 작용]
도 4의 세로축은 장기 중량을, 가로축은 항암제의 투여 개시부터 21일 경과 후의 각 시험군의 장기 중량을, 간장, 비장, 신장에서 측정한 것이다. 시험군의 배당은, 표 1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시험 A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항암제 치료에 의한 장기 중량의 감소에 미치는 부작용이, 간장에서는 48% 감소, 비장에서는 72% 감소, 신장에서는 28% 감소라는 형태로 나타났다. 특히, 림프구의 저장고라 할 수 있는 비장의 위축이 현저하고, 도 3에서 채택한 백혈구 수의 감소와 밀접하게 관계하고 있다. 항암제 치료에 아우레오바시디움 배양액을 병용한 시험 C군과 D군에서는, 이 항암제 치료에 의한 장기 중량의 감소를 완화할 수 있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아우레오바시디움 배양액이 항암제의 부작용을 저감하는 결과, 항암제에 의한 독성사를 일으키지 않고, 그 치료효과를 끌어올리는 것이 명확해졌다.
<실시예 2> [화상 치유 촉진시험]
시험은 피험자 12명(피험자의 연령 구성을 표 2에 나타낸다)에 대해 양 팔의 곡지(曲池)에 시구하여 화상을 만들고, 왼팔의 화상 부위에 아우레오바시디움 배양액을 도포하여, 치유에 미치는 영향을 무처치의 오른팔과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뜸을 양 팔의 곡지에 떠서 화상을 만든 후에, 왼팔의 시구 부위에는 아우레오바시디움 배양액을 1.5 mL 스며들게 한 1.5 ㎝×1.2 ㎝의 탈지면을 붙이고, 반창고로 고정하여, 마르면(4~5시간 후) 탈지면을 박리하는 처치를 1일 1회, 3일간 매일 실시하였다. 한편, 오른팔의 시구 부위는 무처치로 하였다. 매일 화상에 의한 홍반을 사진 찍어, 아픔, 얼얼한 느낌, 수포, 가려움에 대한 자각증상을 문진하였다.
Figure 112009032115612-PCT00002
시구 3일째의 결과를 도 5에 나타낸다. 도 5A는 피험자 각각의 홍반면적값을, 또한 도 5B는 그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특히, 번호 3, 4, 5, 10의 피험자에게 현저한 차가 확인되고, 평균값은 아우레오바시디움 배양액을 도포한 왼팔에서는, 통계학적인 유의차(p<0.01)를 가져, 무처치인 오른팔의 51%로까지 축소되는 것이 명확해졌다.
이는 아우레오바시디움 배양액을 도포함으로써, 화상의 치유가 빨라진 것을 의미한다. 그 생각할 수 있는 메커니즘은, 세포 및 조직의 재생을 촉진한다는 것으로, 그것이 항암제의 독성으로 손상된 조직의 재생을 앞당기거나, 화상의 치유를 앞당기는 형태로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들 결과로부터, 아우레오바시디움 배양액이 항암제의 부작용을 저감시키는 것, 및 화상에 의한 창상의 치유를 촉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혈당치 정상화 촉진시험]
시험은 스트렙토조토신으로 당뇨병을 유발한 마우스를 사용하여, 시험시료의 투여 전후에 있어서의 혈당치를 비교함으로써 행하였다. 하기 표 3에 시험동물의 배당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정상군」이란, 스트렙토조토신으로 처치하지 않은 정상상태에 있어서의 혈당치를 나타내고 있다. 「음성 대조군」이란, 스트렙토조토신으로 당뇨병으로 한 상태의 혈당치를 나타내고 있다. 「양성 대조군」이란, 스트렙토조토신으로 당뇨병으로 한 마우스에, 인슐린 분비 촉진제인 톨부타미드(200 ㎎/㎏)를 투여했을 때의 혈당치를 나타내고 있다. 「시험 A군」과 「시험 B군」은 스트렙토조토신으로 당뇨병으로 한 마우스에, 아우레오바시디움 배양액(2 g/㎏ 및 10 g/㎏)을 투여했을 때의 혈당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시험시료는 모두 복강내에 투여하였다.
Figure 112009032115612-PCT00003
도 6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의 세로축은 혈당치를, 가로축은 마우스에 어떠한 처치를 했는지를 군별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각 군의 왼쪽의 막대는 투여 전을, 오른쪽의 막대는 투여 후의 혈당치의 평균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아우레오바시디움 배양액을 투여함으로써, 용량 의존적으로 혈당 강하작용이 확인되었다. 그 혈당 강하율은 2 g/㎏ 투여에서 15.1%(도 6 중의 시험 A군), 10 g/㎏ 투여에서는 47.3%(도 6 중의 시험 B군)에 미쳤다. 여기서, 아우레오바시디움 배양액을 10 g/㎏ 투여한 시험 B군에 있어서는, 투여 후의 혈당치가 투여 전에 비해 통계학적으로도 유의(p<0.05)하게 감소하고, 그 감소에 의해 혈당치는 정상역으로까지 조절되었다. 한편, 양성 대조인 톨부타미드 200 ㎎/㎏ 투여에 의한 혈당 강하율이 17.4%(도 6 중의 양성 대조군)였던 것으로부터, 아우레오바시디움 배양액 10 g/㎏ 투여에서, 양성 대조약 보다도 강한 혈당 강하작용이 얻어지는 것이 명확해졌다. 이 10 g/㎏ 투여량은, 고형분 환산(1.5%)으로는 150 ㎎/㎏(그 중 β글루칸은 32% 함유)에 상당한다. 따라서, 아우레오바시디움 배양액에는 톨부타미드와 동등, 또는 그 이상으로 강한 유효성분이 함유되어 있을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실시예 4> [항백혈병 시험]
시험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마우스 복강에 백혈병 유래 종양세포 P388을 이식한 마우스를 사용하여, 시험시료를 투여한 후의 마우스의 생존율을 비교함으로써 행하였다. 각 시험시료는 수흡수 병에 넣어 식수로서 자유 섭취시킴으로써 종양이식 직후부터 경구적으로 투여하였다. 하기 표 4에는 시험동물의 배당과, 항암제, 유산균(상품명「EC-12」, 콤비 주식회사제) 및 아우레오바시디움 배양액의 1일당 평균 투여량을 나타낸다. 또한, 1 시험시료군당 마우스 10마리를 사용하였다.
Figure 112009032115612-PCT00004
이 시험의 결과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생존율을 비교한 결과, 0.05%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용매만을 투여한 대조군에 있어서는, 30%의 생존률밖에 확보할 수 없었으나, 아우레오바시디움 배양액의 투여(B군)에 의해, 이식 40일 후의 생존율을 60%로까지 개선할 수 있었다. 또한, 아우레오바시디움 배양액과 유산균의 병용 투여(C군)에 의해, 이식 40일 후의 생존율을 항암제의 투여(A군)와 동일 정도의 생존율(80%)로 유지할 수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 아우레오바시디움 배양액이 항백혈병 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유산균과의 병용에 의해 그 효과가 높아지는 것이 시사되었다.
한편, 항암제와 아우레오바시디움 배양액을 병용한 경우(D군), 또는 추가적으로 유산균을 병용한 경우(E군)에는, 아우레오바시디움 배양액 단독(B군)과 동일 정도의 생존율밖에 확보할 수 없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우레오바시디움 배양액을 사용함으로써, 항암제의 부작용을 저감시키는 것, 화상에 의한 창상의 치유를 촉진하는 것, 혈당치의 정상화를 촉진할 수 있는 것, 및 백혈병 유래 암세포를 이식한 마우스에 대해 연명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항암제의 독성을 경감시킴으로써, 그 유효성을 최대한으로 발휘시키는 형태로 투약의 속행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사느냐 죽느냐의 선택을 해야만 하는 임상현장에서 매우 유용하다 할 수 있다.
또한, 화상 등의 창상에 대해 그 조직 손상의 치유를 앞당기는 것은, 사회활동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매우 유용하다 할 수 있다.
또한, 혈당치의 정상화를 촉진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혈당에 수반되는 합병증의 예방·저감에 있어 매우 유용하다 할 수 있다.
또한, 장기간 투여해도 부작용이 없기 때문에, 백혈병의 병태 개선에 있어 매우 유용하다 할 수 있다.

Claims (24)

  1. 아우레오바시디움속(Aureobasidium sp.)에 속하는 미생물을 배양한 배양액과 균사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치유 촉진제.
  2. 제1항에 있어서,
    항암제의 부작용을 저감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생체 치유 촉진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가 5-플루오로우라실(5-FU)인 생체 치유 촉진제.
  4. 제1항에 있어서,
    창상 치유 촉진을 위해 사용되는 생체 치유 촉진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이 외과수술 후의 피부의 창상 또는 화상으로, 환부에 도포하여 사용되는 생체 치유 촉진제.
  6. 제1항에 있어서,
    혈당치 정상화 촉진을 위해 사용되는 생체 치유 촉진제.
  7. 제1항에 있어서,
    백혈병의 병태 개선을 위해 사용되는 생체 치유 촉진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레오바시디움속(Aureobasidium sp.)에 속하는 미생물이, 아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스 균주 M-1(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종합연구소 특허생물기탁센터 기탁번호 FERM BP-08615), 또는 아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스 균주 M-2(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종합연구소 특허생물기탁센터 기탁번호 FERM BP-10014)인 생체 치유 촉진제.
  9. 생체 치유 촉진제의 제조에 사용한다는, 아우레오바시디움속(Aureobasidium sp.)에 속하는 미생물을 배양한 배양액과 균사체의 혼합물의 용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치유 촉진제가 항암제의 부작용을 저감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인 용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가 5-플루오로우라실(5-FU)인 용도.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치유 촉진제가 창상 치유 촉진을 위해 사용되는 것인 용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치유 촉진제가, 외과수술 후의 피부의 창상 또는 화상의 치유 촉진을 위해, 환부에 도포하여 사용되는 것인 용도.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치유 촉진제가 혈당치 정상화 촉진을 위해 사용되는 것인 용도.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치유 촉진제가 백혈병의 병태 개선을 위해 사용되는 것인 용도.
  16.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레오바시디움속(Aureobasidium sp.)에 속하는 미생물이, 아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스 균주 M-1(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종합연구소 특허생물기탁센터 기탁번호 FERM BP-08615), 또는 아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스 균주 M-2(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종합연구소 특허생물기탁센터 기탁번호 FERM BP-10014)인 용도.
  17. 생체 치유를 촉진시킬 필요성이 있는 사람 또는 동물에, 아우레오바시디움속(Aureobasidium sp.)에 속하는 미생물을 배양한 배양액과 균사체의 혼합물을, 생체 치유를 촉진하는데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치유 촉진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항암제가 투여되는 사람 또는 동물의 항암제에 의한 부작용을 경감시키기 위해, 아우레오바시디움속(Aureobasidium sp.)에 속하는 미생물을 배양한 배양액과 균사체의 혼합물을, 항암제에 의한 부작용을 저감시키는데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생체 치유 촉진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가 5-플루오로우라실(5-FU)인 생체 치유 촉진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창상을 입은 사람 또는 동물의 창상 치유를 촉진하기 위해, 아우레오바시디움속(Aureobasidium sp.)에 속하는 미생물을 배양한 배양액과 균사체의 혼합물을, 창상 치유를 촉진하는데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생체 치유 촉진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창상이 외과수술 후의 피부의 창상 또는 화상으로, 상기 배양액과 상기 균사체의 혼합물을 환부에 도포하는 생체 치유 촉진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혈당치가 정상이 아닌 사람 또는 동물의 혈당치 정상화 촉진을 위해, 아우레오바시디움속(Aureobasidium sp.)에 속하는 미생물을 배양한 배양액과 균사체의 혼합물을, 혈당치의 정상화를 촉진하는데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생체 치유 촉진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아우레오바시디움속(Aureobasidium sp.)에 속하는 미생물을 배양한 배양액과 균사체의 혼합물을, 백혈병의 병태를 개선하는데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생체 치유 촉진방법.
  24. 제17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레오바시디움속(Aureobasidium sp.)에 속하는 미생물이, 아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스 균주 M-1(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종합연구소 특허생물기탁센터 기탁번호 FERM BP-08615), 또는 아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스 균주 M-2(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종합연구소 특허생물기탁센터 기탁번호 FERM BP-10014)인 생체 치유 촉진방법.
KR1020097010923A 2006-11-02 2007-10-22 생체 치유 촉진제 KR200900805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98478 2006-11-02
JPJP-P-2006-298478 2006-1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536A true KR20090080536A (ko) 2009-07-24

Family

ID=39344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0923A KR20090080536A (ko) 2006-11-02 2007-10-22 생체 치유 촉진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100068184A1 (ko)
EP (2) EP2098240B1 (ko)
JP (2) JP5331482B2 (ko)
KR (1) KR20090080536A (ko)
CN (1) CN101626773B (ko)
HK (1) HK1136492A1 (ko)
TW (1) TWI364284B (ko)
WO (1) WO200805372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110B1 (ko) * 2012-08-24 2013-01-25 재단법인 경북해양바이오산업연구원 오리오바시디움 플루란스 균주로부터 생성되는 신규한 생물학적 계면활성제
WO2020096379A1 (ko) * 2018-11-09 2020-05-14 ㈜아모레퍼시픽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저자극 피부 재생 또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US11504409B2 (en) 2017-11-20 2022-11-22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damage by fine dust comprising culture or its extract of Aureobasidium pullula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96578B (zh) * 2009-10-08 2015-08-21 Aureo Co Ltd 流感病毒感染症的治療劑
US8802433B2 (en) 2009-12-03 2014-08-12 Aureo Co., Ltd. Macrophage phagocytosis-activating composition and/or composition promoting cytokine production in macrophages
JP5554221B2 (ja) * 2010-12-13 2014-07-23 株式会社アウレオ ウシの乳房炎の予防・治療用組成物及びウシの乳房炎の予防・治療方法
WO2012147978A1 (ja) * 2011-04-28 2012-11-01 株式会社アウレオサイエンス 安定同位体2Hおよび/または安定同位体13Cで標識されたβ-1,3-1,6グルカン、これを用いたプローブ、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KR101978991B1 (ko) * 2017-02-07 2019-05-17 (주)모아캠 홍차 흑효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산화, 미백,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CN111227049B (zh) * 2018-11-29 2022-08-12 内蒙古伊利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维持褐色植物基酸奶货架期内组织状态稳定性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61112A (en) * 1977-10-24 1979-05-17 Ono Pharmaceut Co Ltd Oncostatic polysaccharide* its preparation* and oncostatic drugs containing it as an effective component
JPS55113718A (en) * 1979-02-27 1980-09-02 Yakult Honsha Co Ltd Antitumor agent
JPS57149301A (en) 1981-03-11 1982-09-14 Daiichi Togyo Kk Novel polysaccharide having coagulating property
JPS62252730A (ja) * 1986-01-16 1987-11-04 Takeda Chem Ind Ltd 抗腫瘍剤
JPH0692441B2 (ja) * 1986-03-03 1994-11-16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β−D−グルカンと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US5622939A (en) * 1992-08-21 1997-04-22 Alpha-Beta Technology, Inc. Glucan preparation
AUPN166195A0 (en) * 1995-03-13 1995-04-06 Norvet Research Pty Limited Process for glucan extraction
AUPN398295A0 (en) * 1995-07-05 1995-07-27 Carlton And United Breweries Limited Chemical compounds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US5980918A (en) * 1997-10-24 1999-11-09 Brennen Medical, Inc. β-D-glucan topical composition
US6251877B1 (en) * 1998-03-24 2001-06-26 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a β-1,6-branched-β-1,3-glucan
JP2002204687A (ja) 2000-11-09 2002-07-23 Onaka Yasushi β−1.3−1.6グルカン(アウレオバシジウム培養液)の医療、保健、福祉、食品および各種産業分野での応用
US6956120B2 (en) * 2000-11-09 2005-10-18 Yasushi Onaka β-1.3-1.6 glucan (Aureobasidium medium)
JP3523220B2 (ja) * 2001-05-14 2004-04-26 一光化学株式会社 皮膚塗布剤
JP2003113097A (ja) * 2001-10-02 2003-04-18 Onaka Yasushi アウレオバシジウム培養液を含有する外用剤
ATE519490T1 (de) * 2003-03-07 2011-08-15 Aureo Co Ltd Zusammensetzung mit beta-glucan und obstipationslinderndes mittel, immunopotentiator und hautbefeuchtungsmittel unter verwendung der zusammensetzung
JP4054697B2 (ja) * 2003-03-07 2008-02-27 株式会社アウレオ 便秘改善剤
CN1244683C (zh) * 2003-11-21 2006-03-08 金华夏洋生物技术有限公司 短枝束孢霉菌
JP4268105B2 (ja) * 2004-09-09 2009-05-27 株式会社アウレオ β−グルカン含有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該組成物を含む飲食品若しくは皮膚用保湿剤
AU2005287470B2 (en) * 2004-09-24 2011-02-03 Bionext Compositions for use against one or more pathogens
JP4216268B2 (ja) * 2005-06-20 2009-01-28 株式会社タキザワ漢方廠 黒酵母菌の培養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110B1 (ko) * 2012-08-24 2013-01-25 재단법인 경북해양바이오산업연구원 오리오바시디움 플루란스 균주로부터 생성되는 신규한 생물학적 계면활성제
US8642793B1 (en) 2012-08-24 2014-02-04 Gyeongbuk Institute for Marine Bio-industry Biosurfactant produced by Aureobasidium pullulans
US11504409B2 (en) 2017-11-20 2022-11-22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damage by fine dust comprising culture or its extract of Aureobasidium pullulans
WO2020096379A1 (ko) * 2018-11-09 2020-05-14 ㈜아모레퍼시픽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저자극 피부 재생 또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98240B1 (en) 2013-09-11
EP2630961A1 (en) 2013-08-28
CN101626773B (zh) 2013-04-17
EP2098240A1 (en) 2009-09-09
JP2013155203A (ja) 2013-08-15
EP2630961B1 (en) 2014-11-26
CN101626773A (zh) 2010-01-13
TWI364284B (en) 2012-05-21
WO2008053728A1 (fr) 2008-05-08
TW200826953A (en) 2008-07-01
JP5331482B2 (ja) 2013-10-30
US20150297651A1 (en) 2015-10-22
US20100068184A1 (en) 2010-03-18
EP2098240A4 (en) 2010-11-03
JPWO2008053728A1 (ja) 2010-02-25
HK1136492A1 (en) 2010-07-02
JP5715659B2 (ja) 2015-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5659B2 (ja) 生体治癒促進剤
KR101776071B1 (ko) 붉은 작두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및 미백용 조성물
KR20170050062A (ko) 병풀로부터 분리한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 아시아틱산 및 마데카식산을 포함하는 음료 및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17218B1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2207995B1 (ko) 여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항염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WO2009145345A1 (ja) 冬虫夏草菌セミタケを含む外用剤
KR102495397B1 (ko) 당 확산 추출공법으로 추출한 생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장벽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60116800A (ko) 피부보습용 조성물
KR101838404B1 (ko) 올리고키토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114786A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제비집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20210047594A (ko) 하이드란제놀 또는 필로둘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2004150B1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인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1941183B1 (ko)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77889A (ko) 송엽 또는 송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73234B1 (ko) 코쿠리아 바리안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180114783A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2239415B1 (ko) 발효 삼칠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2484422B1 (ko) 사막 선인장 추출물 및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7214328B1 (ja) 皮膚常在菌叢改善剤及び皮膚外用組成物
KR102322782B1 (ko) 산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1564668B1 (ko) 본초 발효 키토산의 제조방법 및 그 이용
CN114788796B (zh) 一种含福鼎白茶提取物的美白抗菌化妆品及其制备方法
KR20170136801A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40014022A (ko) 큐티박테리움 아비둠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240002617A (ko) 알카니보락스 보르쿠멘시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410100409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630

Effective date: 2016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