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991B1 - 홍차 흑효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산화, 미백,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홍차 흑효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산화, 미백,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991B1
KR101978991B1 KR1020170016709A KR20170016709A KR101978991B1 KR 101978991 B1 KR101978991 B1 KR 101978991B1 KR 1020170016709 A KR1020170016709 A KR 1020170016709A KR 20170016709 A KR20170016709 A KR 20170016709A KR 101978991 B1 KR101978991 B1 KR 101978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tea
skin
black
fermented product
tea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1991A (ko
Inventor
여민아
김영은
한정희
이지언
이정민
권순상
정석균
정현아
Original Assignee
(주)모아캠
주식회사 메가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아캠, 주식회사 메가코스 filed Critical (주)모아캠
Priority to KR1020170016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991B1/ko
Publication of KR20180091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4Preser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차 추출물을 흑효모 균사체로 발효하여 수득한 흑효모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 식물로부터 얻어지는 추출물의 흑효모 발효물을 포함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도 저자극성을 나타내는 미백, 항노화, 항산화 특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홍차 흑효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산화, 미백,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ureobasidium pullulans fermented product of black tea extracts for skin anti-oxidation, skin-whitening and skin-regeneration}
본 발명은 홍차 추출물의 홍차 흑효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산화, 미백,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내부의 수분 및 유용성분이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장벽기능, 체온조절 또는 배설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중요한 기관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는 다양한 외부자극과 접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다른 기관들에 비해 주름이 발생하기 쉽다. 그 중에서도 얼굴 피부는 태양광선, 건조한 환경, 공해 물질 등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피부보다 주름 등의 노화현상이 조기에 발생한다. 피부 조직의 노화에 따른 가장 특징적인 변화는 피부 기질(matrix)의 변화로서, 진피층에 있는 섬유아세포(human skin fibroblast)가 노화되어 섬유질과 기질의 생성능력이 줄어들게 되고, 기질의 양이 전반적으로 감소하여 피부의 두께가 얇아져 피부의 탄력이 저하되면서 주름이 형성되는 것이다. 즉,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피부는 탄력성의 저하, 혈액순환의 장애, 피부 장벽의 약화 등이 더욱 심해지게 된다.
최근 국내 기능성화장품 도입 이후 신소재의 개발이 중요성이 부각되고, 기능성 신원료의 개발이 활발히 되고 있으나, 실제 상업화에 이른 항노화용 기능성 원료는 그리 많지 않다.
크게 항노화용 기능성 원료의 연구 방향은 피부 주름 개선 및/또는 피부 탄력 증진을 위해, 자외선, 활성산소, 건조피부 등과 같은 환경요인들을 제거하여 피부노화 자체를 지연시키는 것, 피부주름의 생성 메카니즘에 대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엘라스티나제의 저해, 콜라겐의 생합성 촉진 및 분해억제, 히아루론산의 합성촉진 등의 예방대책을 마련하는 것, 직접 콜라겐이나 히아루론산을 주입하여 생성된 피부 주름을 완화시키거나 감소된 피부 메트릭스 성분이나 세포를 보충하여 발생한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것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대표적인 피부 주름 개선 및/또는 피부 탄력 증진을 위한 항노화용 기능성 원료로는 레티노이드(Retinoids), 비타민 C 등이 있다. 레티노이드 중 레티노인산(Retinoic acid)은 강력한 항노화용 치료제로서 사용되고 있으나, 피부에 강한 자극성을 가지고 있어 치료제로는 제한적으로 사용되며, 피부 자극이 비교적 적은 레티놀, 팔미틸산 레티놀 등이 화장품 소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레티놀, 팔미틸산 레티놀 등은 빛을 받았을 경우 빛에 의해 변성되면서 피부에 자극을 일으키는 광독성과 그 안정성이 문제가 되어왔으며, 비타민C도 널리 사용되는 주름개선 치료제이나 강한 산성으로 인한 피부 자극을 유발하고, 물질 자체의 안정성이 낮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항노화용 기능성 원료의 또 다른 연구 방향은 자외선 등에 의해 피부 중 멜라노사이트가 활성화되어 효소 티로시나제 및 TRP1, TRP2의 작용에 의해 멜라닌 생성이 촉진되어된다. 생성된 멜라닌은 피부 중에 침착되어 "검버섯", "주근깨"로 발전하는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백 원료의 개발이다. 대표적인 피부 미백 증진을 위한 항노화용 기능성 원료로는 아스코르브산인산에스테르염, 하이드로퀴논 유도체, 태반 추출물, 코지산, 엘라그산 등이 화장품 소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근래에는 태반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화장품이 각광을 받고 있으나 이런 태반 추출물은 그 공급량이 한정적이고 윤리적인 문제와 결합하여 그 사용이 제한적이다.
따라서, 기존의 항노화용 조성물보다 생체에 안전하고 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상업화 가능한 새로운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여러 천연 추출물에 대한 화장품으로의 응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심화한 결과, 홍차 추출물을 흑효모 균사체로 발효함으로써, 홍차 추출물의 유효성분의 함량 및 이에 따른 효과의 유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여,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홍차 추출물의 흑효모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홍차 추출물로부터 유효성분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효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홍차 추출물의 흑효모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흑효모 균사체를 이용한 발효를 통해 홍차 추출물의 유효성분 중 특히, 테아플라빈 및 테아루비긴 등의 함량을 현저하기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산화 효과, 미백 효과, 피부 주름 개선 효과, 피부 탄력 증진 등의 항노화 특성에 탁월한 효과와 더불어 이의 유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홍차 추출물로부터 유효성분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효방법인 홍차 추출물의 흑효모 발효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홍차 추출물의 흑효모 발효물 제조방법은 선별된 홍차 잎을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홍차 추출물을 제조한 후 이를 정제수 대신 투입하여 흑효모 균사체 배양용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배지에 흑효모 균사체를 접종한 후 발효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발효 완료 후 가열하여 반응을 종료하고, 발효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상기 발효액을 수득하는 단계 이후 여과 단계, 추출 단계, 건조 단계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항노화 특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항노화 특성은 항산화 효과, 미백 효과, 피부 주름 개선 효과, 피부 탄력 증진 효과 등으로, 보다 낮은 사용 농도에도 불구하고 고가의 종래 항노화용 기능성 원료 대비 동등 이상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 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 식물로부터 얻어지는 추출물의 흑효모 발효물을 포함하는 친환경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시에도 내성이 적게 생기며, 저자극성이라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흑효모 발효물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의 평가(DPPH 라디칼 소거능)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흑효모 발효물의 형광물질을 이용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 억제능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흑효모 발효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흑효모 발효물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 평가 (Melan-a)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흑효모 발효물의 a-MSH에 의해 유도된 멜라닌 생합성 억제 평가 (B16F10)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흑효모 발효물의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홍차 추출물의 흑효모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이하 상술하나,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의 "흑효모(Aureobasidium pullulans)"는 맥주, 포도주 등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미생물로서, 곰팡이나 버섯 무리이지만 균사가 없고, 광합성능이나 운동성도 가지지 않는 단세포 생물의 총칭이다. 이는 5천 년 전부터 인간이 식품에 이용해 온 미생물이며, 효모 자체는 값싼 지방이나 단백질원으로 사용된다. 비타민 B군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고, 비타민 D를 함유하는 것도 있다. 또한, 흑효모균은 베타-글루칸(β-Glucan)을 생산하는 미생물로 흑효모 발효물 자체만으로도 보습효과, 항산화, 진정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흑효모균의 베타-글루칸(β-glucan)은 항암, 인슐린 분비 억제 등의 생리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의 "항노화"는 피부 보호 및 피부 상태 개선, 피부 미백, 피부 노화 및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 모공 수축, 축소, 피부 보호,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피부자극 완화, 피부 세포 증식 및 재생능, 항산화능, 콜라겐 합성 증진능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피부 미백, 항산화능, 피부 주름 개선 효과, 피부 탄력 증진 효과 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도포로 주름의 발생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하며, 본 발명에서의 "개선"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도포로 주름 상태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거나, 피부 탄력이 이전보다 강해지거나, 노화로 인한 피부의 탄력 소실의 속도를 늦추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의 "주름"이란, 피부가 쇠하여 생긴 잔줄을 의미하는데, 유전자에 의한 원인, 피부 진피에 존재하는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감소, 외부환경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탄력"이란, 피부의 진피층에 존재하는 엘라스틴(elastin)으로 구성된 탄력섬유에 의해 나타나는 탄성을 말한다.
본 발명자는 다양한 추출물의 발효물에 대한 항노화 특성에 있어, 피부 보호 및 피부 상태 개선, 피부 미백, 피부 노화 및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 모공 수축, 축소, 피부 보호,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피부자극 완화, 피부 세포 증식 및 재생능, 항산화능, 콜라겐 합성 증진능 등의 다양한 기작에 대한 효과와 이의 유효성을 연구하던 차, 홍차 추출물의 흑효모 발효물이 상술된 항노화 특성에 있어 획기적인 향상능을 보임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는 우선적으로 홍차 추출물을 이용한 발효물을 스크리닝하여 흑효모(Aureobasidium pullulans)를 이용한 발효물에서, 항산화능, 피부 미백, 피부 노화,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 등에 탁월한 효과를 가짐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심화하였다.
이때, 상기 스크리닝에 사용된 진균 또는 세균은 통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았으며, 구체적으로 사카로마이세스(Saccaromycessp.), 스키조사카로마이세스(Schizosaccharomycessp.), 토룰로프시스(Torulopsis sp.), 로도토룰라(Rhodotorula sp.), 칸디다(Candida ap.), 흑효모(Aureobasidium pullulans) 갈락토미세스(Galactomyces),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락토코쿠스(Lactococcus), 아스페르길루스 (Aspergillus sp.)등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홍차 추출물은 통상의 추출 및 분리 방법을 사용하여 수득된 것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홍차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모두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홍차 추출물은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에테르,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의 추출물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글리세린 등의 극성용매 단독 또는 상기 극성용매와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에테르,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헥산 등의 비극성용매의 혼합용매의 추출물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홍차 추출물의 흑효모 발효물은 상기 홍차 추출물에 흑효모 균사체를 접종하여 호기성 발효 후 수득되는 발효물로, 이에서 얻어지는 발효산물 모두를 포함한다. 일예로, 상기 호기성 발효에 의한 홍차 추출물의 흑효모 배양 발효액; 상기 홍차 추출물의 흑효모 배양 발효액을 원심분리한 후 여과하여 수득된 상등액; 상기 홍차 추출물의 흑효모 배양 발효액에 프로판올,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에테르,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 등의 분획추출용 용매를 이용하여 수득된 추출 분획물; 등 일 수 있으며, 상술된 발효액, 상등액, 분획물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홍차 추출물의 흑효모 발효물은 홍차 추출물에 함유하고 있는 유효성분의 함량을 향상시켜 항노화 특성에 시너지 효과를 부여한다. 자유 라디칼 소거 및/또는 활성산소종의 억제에 의한 항산화능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홍차 추출물의 흑효모 발효물은 비타민 E유도체인 Trolox 대비 동등 이상의 효과의 구현이 가능할 뿐 아니라 대표적인 항산화제인 비타민 C 대비에서도 우수한 효과를 보인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홍차 추출물의 흑효모 발효물물의 유효성분은 테아플라빈 및 테아루비긴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흑효모 균사체를 이용한 발효를 통해 홍차 추출물의 상술된 유효성분의 함량을 120 내지 200 % 함량으로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홍차 추출물의 전체 중량% 대비 테아플라빈은 0.0001 내지 5.0 중량% 및 테아루비긴은 0.0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며, 좋게는 0.001 내지 3.0 중량%의 테아플라빈 및 0.001 내지 1.0 중량%의 테아루비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보다 좋게는 0.01 내지 3.0 중량%의 테아플라빈 및 0.01 내지 1.0 중량%의 테아루비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홍차 추출물의 흑효모 발효물은 피부 미백,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 등에 탁월한 효과를 부여한다. 미백 효과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홍차 추출물의 흑효모 발효물은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하여, 피부 노화로 기인되는 기미, 주근깨, 점 또는 피부 색소 침착 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치료하는 등 뛰어난 효과를 보인다. 또한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홍차 추출물의 흑효모 발효물은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가 우수할 뿐 아니라 콜라겐 생합성 증가율이 홍차 추출물의 흑효모 발효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향상되고, 미량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를 보인다(도 6 참조, 5 ppm의 농도에서도 효과를 보임).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흑효모 발효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ppm이상이라면 제한되지는 않으나, 다양한 기작에서의 상술된 효과의 바람직한 구현을 위해서는 0.0001 내지 10 중량%, 보다 바람직한 구현을 위해서는 0.0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파라벤류, 페녹시에탄올 및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등의 화학 방부제를 배합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미생물이 발육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더불어, 방부성분과 배합되어 방부 효과에서 시너지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부성분은 당업계에서 사용될 수 있는 원료라면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인 일예로는 1,3-프로판디올, 1,5-펜탄디올, 1,2-헥산디올, 1,8-옥탄디올, 1,10-데칸디올, 에틸헥실글리세린, 비타민E아세테이트(vitamin E acetate), 카프릴하이드록사믹애씨드 및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1,2-헥산디올, 카프릴하이드록사믹애씨드 및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방부성분과 배합됨으로써, 세균류 뿐 아니라 진균류에 대해서도 우수한 방부 효과에서 탁월함을 보여 본 발명에서 우선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홍차 추출물의 흑효모 발효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우수한 피부 개선 효과, 즉 항노화 특성이 우수하고, 피부에 대한 자극이나 부작용이 없고, 안정성이 매우 뛰어나 다양한 양태의 화장료 조성물로의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흑효모 발효물 외 다양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첨가제는 안정화제, 유화제, 점증제, 보습제, 액정 막강화제, pH 조절제, 항균제, 수용성 고분자, 피막제, 금속 이온 봉쇄제, 아미노산, 유기 아민, 고분자 에멀션, pH조정제, 피부 영양제, 산화 방지제, 산화 방지조제, 방부제, 향료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성 첨가제; 및 유지류, 왁스류, 탄화 수소유, 고급 지방산유, 고급 알콜, 합성 에스테르유 및 실리콘유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성 첨가제;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성 첨가제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원료라면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인 일예로는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메칠프로판디올, 솔비톨, 디글리세린, 에리스리톨, 펜타에리스리톨, 폴리부틸렌글라이콜-10, 폴리글리세린-3, 폴리글리세린-4, 폴리글리세린-6, 폴리글리세린-10, 폴리글리세린-20, 폴리글리세린-40, 소르베스-5, 소르베스-6, 소르베스-20, 소르베스-30, 소르베스-40, 이노시톨, 말티톨, 말토스, 만난, 만니톨, 만노스,락티톨, 락토스, 디하이드록시프로필 PG-글루코사이드, 디치아옥탄디올, 프룩토오스, 글루카민, 메칠글루카민, 글루코스, 1,2,6-헥산치올, 메칠글루세스-10, 메칠글루세스-20, 오조니즈드글리세린, 피탄트리올, 치오글리세린, 트레이톨, 트리메칠올프로판, 자일리톨, 이디티에이(EDTA), 구아검, 쿠인스시드, 카라기난, 갈락탄, 아라비아검, 펙틴, 만난, 전분, 잔탄검, 커들란,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에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콘드로이틴 황산, 데르마탄황산, 글리코겐, 헤파란 황산,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 나트륨, 트라간트검, 케라탄 황산, 콘드로이틴, 무코이틴 황산, 하이드록시 에틸 구아검, 카르복시메틸 구아검, 덱스트란, 케라트 황산, 로커스트빈검, 숙시 노글루칸, 카로닌산, 키틴, 키토산, 카르복시메틸키틴, 한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 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폴리에틸렌 글리콜, 벤토나이트,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페녹시에탄올, 1,2-헥산디올, 에틸헥실글리세린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성 첨가제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원료라면 한정되지 않으며, 올리브유, 동백유, 호호바유, 트리글리세라이드, 트리옥탄산글리세린, 트리이소팔미트산글리세린 등의 액상 유지와 야자유, 경화야자유, 팜유, 경화유, 경화피마자유 등의 고체 유지, 밀랍, 칸데릴라 왁스, 카나우바 왁스, 라놀린, 호호바 왁스 등이 예시된다. 탄화수소유로는 유동 파라핀, 스쿠알렌, 바셀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등이 예시된다. 고급 지방산으로는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헤닌산 등의 왁스류, 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베헤닐알콜, 미리스틸알콜, 세토스테아릴알콜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합성 에스테르유는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세틸옥타노에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헥실라우레이트, 미리스틸미리스테이트, 세틸락테이트, 이소세틸이소스테아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카프레이트, 에틸헥실글리세린,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에틸헥실팔미테이트, 세토스테아릴알콜 등의 고급 알코올,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등의 사슬형 실리콘유, 도데카메틸사이클로헥사실록산,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등의 환상형 실리콘유 등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에 특별히 개시된 제조방법 이외에도, 통상적으로 알려진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일예로,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 크림,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파우더, 에센스, 팩 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형화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홍차 추출물의 흑효모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홍차 추출물의 흑효모 발효물은 선별된 홍차 잎을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홍차 추출물을 제조한 후 이를 정제수 대신 투입하여 흑효모 균사체 배양용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배지에 흑효모 균사체를 접종한 후 발효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발효 완료 후 가열하여 반응을 종료하고, 발효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홍차 추출물은 1 내지 30 중량%의 홍차 잎을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에테르,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를 사용하는 추출하여 제조된다. 상기 추출은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하에서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 ℃의 온도범위에서 열수추출법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홍차 추출물의 사용량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흑효모 균사체 배양용 배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9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발효는 호기성 조건에서 수행되는 호기성 발효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24 내지 30 ℃에서 10 내지 80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가열은 상기 호기성 발효를 종결시킬 수 있는 온도라면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 ℃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열 시간은 0.5 내지 5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흑효모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에서 특별히 기재하지 않은 첨가물의 단위는 중량%일 수 있다.
(실시예 1)
요크셔 골드 홍차잎(스리랑카산, 인도네시아산, 인도산, 케나산, 르완다산 혼합) 3 중량%를 3차 증류수에 가하여, 60분 동안 80℃ 조건에서 열수추출을 수행한 후 홍차잎을 제거하여 홍차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균사체 배양을 위해 YM broth를 사용하였다. 이때 균사체 배양을 위한 배지는 정제수 대신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차 추출물을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상기 배지에 미생물자원센터에서 분양받은 흑효모균사체(Aureobasidium pullulans var. melanogenum : KCTC No. 6081)를 접종하여, 27℃, 200 rpm 조건에서 48시간 동안 호기성 발효를 시켰다. 발효가 완료되면, 85 ℃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수득된 반응용액을 8000 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 후 최종필터를 하여, 홍차 추출물의 흑효모 발효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수득된 홍차 추출물의 흑효모 발효물을 이용하여, 하기 시험예의 방법에 따라 항노화 특성을 분석하여 하기 표 1 내지 6에 도시하였다. 또한, 방부 효과를 분석하여 하기 표 7 내지 8에 도시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홍차 추출물 대신 정제수를 사용하여 흑효모 발효물을 수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하기 시험예의 방법에 따라 항노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방부 효과를 분석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된 홍차 추출물을 이용하여(흑효모 발효하지 않음), 하기 시험예의 방법에 따라 항노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방부 효과를 분석하였다.
(항노화 특성 분석)
시험예 1: DPPH 라디칼 소거능 확인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이용하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Blois(1958)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하기 표 1에 도시하고 있는 각각의 시료 0.1 mL에 0.2 mM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Sigma) 용액을 0.1 mL 분주하여, 30분간 방치시킨 후 520 nm에서 ELISA reader(Biotek, USA)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구는 시료대신 용매를 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시료 자체의 색에 대한 흡광도 값을 보정해주기 위해 0.2 mM DPPH 대신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흡광도를 측정한 후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하기 식 1로 계산하여, 하기 도 1 및 표 1에 도시하였다. 이때, DPPH 라디칼 소거능의 양성대조구로써 비타민 C를 사용하여 이의 효과를 대비 판단하였다.
[식 1]
DPPH 라디칼 소거능 = (1-시료 첨가구의 흡광도/무첨가구의 흡광도)×100
Figure 112017012567003-pat00001
표 1 및 도 1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홍차 추출물의 흑효모 발효물은 흑효모 발효물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1 대비 380% 이상으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홍차 추출물의 흑효모 발효물은 농도에 의존적으로 자유 라디칼 소거능이 향상되며, 특히 500 ppm 내지 1,000 ppm 범위에서 라디칼 소거능이 현저하게 향상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형광물질을 이용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 억제능 확인
시험에 사용한 세포주는 인간 각질형성세포 HaCaT 세포주(Human keratinocytes HaCaT cell line)로 형광측정용 96 well 블랙 플레이트에 각 well당 5.0x104개로 분주하고,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DMEM(Dulbeccos Modification of Eagles Medium, FBS 10%) 배지를 사용하여, 37 ℃, 5% CO2조건에서 1 일간 배양한 후 시험시료를 처리하였다. 사용된 배지로 무혈청 DMEM (FBS free)을 사용하고 37 ℃, 5% CO2조건에서 1 일간 배양하였다.
하기 표 2에 도시하고 있는 각각의 시료를 넣고 24 시간 배양한 후 HBSS(Hanks’ Balanced Salt solution)로 세척하여 남아있는 배지를 제거하고, HBSS 에 50 μM로 준비된 DCFH-DA(2',7'-Dichlorofluorescein diacetate, Sigma)를 100 μl 가하고 37 ℃, 5% CO2조건에서 1 시간 배양하고, HBSS 로 세척하였다. 이 후 HBSS에 50 μM 로 준비된 H2O2자극원 100 μl 를 가한 다음, 초기에 ROS로 산화된 DCF (dichlorofluorescein)의 형광도를 형광플레이트 리더(tecan plate reader, Ex=485 nm, Em=530nm)로 형광 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도 2 및 표 2에 도시하였다.
Figure 112017012567003-pat00002
표 2 및 도 2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흑효모 발효물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1의 경우, ROS 생성 억제능이 확인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홍차 추출물의 흑효모 발효물은 양성대조구인 Trolox과의 대비시에도 현저하게 향상된 ROS 생성 억제능을 가짐을 확인 할 수 있었다(Trolox의 10%에 해당하는 농도에서도 동등이상의 ROS 생성 억제능이 확인됨).
시험예 3: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 확인
0.1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6.5) 220 ㎕에 농도별로 희석한 시료 20 ㎕를 첨가 후 2000 unit/ml mushroom tyrosinase 20 ㎕를 첨가한다. 기질 1.5 mM L-tyrosine 40 ㎕씩 첨가하여 잘 섞은 후 37 ℃에서 10분 반응 후 490 nm에서 ELISA reader(Biotek, USA)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고, 아래의 식에 따라 시료의 처리 농도에 따른 억제율(Inhibition %)을 구하여 하기 도 3 및 표 3에 도시하였다. 이때,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의 양성대조구로써 코직산(Kojic acid)를 사용하여 이의 효과를 대비 판단하였다.
[식 2]
Inhibition % = 100-(A-B)/(C-D)x100
A: 시료액의 반응 후의 흡광도
B: tyrosinase 대신 완충액으로 대체하여 측정한 시료액의 흡광도
C: 공시료액의 반응 후의 흡광도
D: tyrosinase 대신 완충액으로 대체하여 측정한 공시료액의 흡광도
Figure 112017012567003-pat00003
표 3 및 도 3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기질인 L-tyrosine과 효소인 mushroom tyrosinase에 의해 산화되어 생성되는 멜라닌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멜라닌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인 tyrosinase의 억제 활성 측정 결과(250 ppm 농도), 홍차 추출물의 흑효모 발효물(실시예 1)이 흑효모 발효물(비교예 1) 대비 129% 이상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활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멜라닌 생합성 억제 확인 (Melan-a)
멜라닌 생성세포인 Melan-a 세포(Dr. Dorothy C.Bennett, St.George's Hospital Medical School, Lodon, UK)를 24 well 플레이트에 각 well당 1×105개가 되도록 넣고,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RPMI(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 medium, 10% FBS) 배지에 하기 표 4에 도시하고 있는 각각의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고 6 일 간 배양해주었다. 배양이 끝난 후, 세포를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 후 1N NaOH 200 ul 에 녹이고 50℃에서 1시간 방치해주었다. 이후 ELISA reader(Biotek, USA)를 이용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결과는 대조군의 흡광도 값과 비교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주었다.
Figure 112017012567003-pat00004
표 4 및 도 4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멜라닌 생성세포인 Melan-a 세포 에 홍차 추출물의 흑효모 발효물을 처리한 경우, 양성대조구인 알부틴 대비 동등 이상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흑효모 발효물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1 대비시에도 세포내 멜라닌 생합성 양이 현저히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5: a-MSH에 의해 유도된 멜라닌 생합성 억제 확인(B16F10)
B16F10 melanoma 세포주(ATCC, american type of culture collection, Manassas, VA, USA)를 24 well 플레이트에 각 well당 2×104개가 되도록 넣고,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DMEM(Dulbeccos Modification of Eagles Medium, FBS 10%) 배지에 시료 및 α-MSH(alpha-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처리하고 72 시간 배양해주었다. 배양이 끝난 후, 세포를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 후 1N NaOH 200 ㎕ 에 녹이고 50 ℃에서 1시간 방치해주었다. 이후 ELISA reader(Biotek, USA)를 이용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결과는 대조군의 흡광도 값과 비교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주었다.
Figure 112017012567003-pat00005
표 5 및 도 5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B16F10 세포에 홍차 추출물의 흑효모 발효물을 처리한 경우, 양성대조구인 알부틴 대비 동등 이상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흑효모 발효물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1 대비시에도 세포내 멜라닌 생합성 양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6: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확인
인체 섬유아세포(HDF, Human Dermal Fibroblasts) 를 48 well 플레이트에 각 well당 1.5×104개가 되도록 넣고, 24시간 배양하였다 이 후 DMEM 배양 배지에 홍차 흑효모 발효물과 흑효모 발효물을 각각 첨가하여 대조군 (무 처리)과 함께 이를 5 % 농도의 CO2배양기에 37 ℃로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상기 배양액을 취하여 Procollagen ELISA Kit(R&D)로 각 농도에서 콜라겐 생합성 정도를 ELISA reader(Biotek, USA) 이용하여 450 nm에서 측정하였다. 콜라겐 생합성능은 대조군 (무첨가)에 대한 상대적인 합성능으로 증가율을 계산하여 하기 도 6 및 표 6 에 도시하였다.
Figure 112017012567003-pat00006
표 6 및 도 6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은 비교예 1 대비 135% 이상의 프로콜라겐 생합성 양을 보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시험예 7: 방부 효과 확인
1)항균 효과 확인(Paper Disc)
하기 표 7에 도시하고 있는 각각의 시료의 항균 활성 스펙트럼을 조사하기 위해 세균으로서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8739), 스태필로코코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ATCC 99027)를 각각 Nutrient agar(Difco 사)에, 효모균으로서 캔디다 알비칸(Candida albicans ATCC 10231), 진균으로서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ATCC 16404)를 각각 사보로드 덱스트로스 아가(Sabouraud dextrose agar, Difco 사)에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1차 항균 활성으로서, 한천 확산법을 통해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배양한 각각의 균주를 응고된 평판 배지 위에 약 100㎕를 가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각 추출물을 지름이 10mm인 페이퍼디스크(paper disk)에 약 60㎕를 흡수시킨 후 용매를 건조시키고 균주가 도말된 배지 표면상에 밀착시켜 25 ~ 35℃ 조건의 배양기에서 48시간 이상 배양 후 페이퍼디스크 주변에 형성된 투명환 (clear zone)의 크기를 측정하여 항균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대조군으로 종래의 합성 방부제로 사용되는 메틸파라벤(methy paraben)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항균효과를 비교하였다.
Figure 112017012567003-pat00007
2)방부 효과 시험
하기 표 8에 도시하고 있는 각각의 시료 20g에 대장균(Escherichiacoli; ATCC 8739),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lyococcusaureus; ATCC 6538) 및 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Pseudomonasaeruginosa; ATCC 99027) 등의 혼합균액을 시료당 초기농도 106 cfu(집락형성단위, colony forming unit)/g가 되도록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이들을 22.5 ℃ 항온조에서 4 주간 배양하면서, 0, 7, 14, 21 및 28일의 간격으로 각 화장료를 1g씩 취하여 생균 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효모균으로서 캔디다 알비칸(Candida albicans ATCC 10231), 진균의 경우에는 아스퍼질러스니거(Aspergillus niger; ATCC 16404)의 혼합균액을 시료당 초기농도 105 cfu/g가 되도록 첨가하여 혼합한 후 25 ℃ 항, 온조에서 배양하면서, 7일 간격으로 변취유무와 시료표면의 균사 및 포자발생 유무를 관찰하였다(4주간 관찰).
Figure 112017012567003-pat00008
본 발명에 따른 홍차 추출물의 흑효모 발효물은 단독의 사용으로도 피부 자극없이 충분한 항균 및 방부 효과를 나타냄은 물론이거니와 기존의 방부성분과 함께 사용시에도 방부 효과의 저하를 일으키지 않음과 동시에 우수한 방부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표 7-8 참조).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홍차 추출물을 흑효모(Aureobasidium pullulans)균사체로 발효시킨 홍차 흑효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차 흑효모 발효물은 테아플라빈 및 테아루비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차 추출물은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에테르,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의 추출물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차 흑효모 발효물은 배양 발효액, 이의 상등액 또는 이의 추출 분획물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홍차 흑효모 발효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3-프로판디올, 1,5-펜탄디올, 1,2-헥산디올, 1,8-옥탄디올, 1,10-데칸디올, 에틸헥실글리세린, 비타민E아세테이트(vitamin E acetate), 카프릴하이드록사믹애씨드 및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방부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 크림,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파우더, 에센스 또는 팩으로 제형화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선별된 홍차 잎을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홍차 추출물을 제조한 후 이를 정제수 대신 투입하여 흑효모(Aureobasidium pullulans) 균사체 배양용 배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배지에 흑효모 균사체를 접종한 후 발효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발효 완료 후 가열하여 반응을 종료하고, 발효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홍차 흑효모 발효물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24 내지 30 ℃에서 10 내지 80 시간 동안 수행되는 호기성 발효인 홍차 흑효모 발효물의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는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에테르,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홍차 흑효모 발효물의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은 60 내지 90 ℃에서 0.5 내지 5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인 홍차 흑효모 발효물의 제조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액을 수득하는 단계 이후 여과 단계, 추출 단계 및 건조 단계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홍차 흑효모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20170016709A 2017-02-07 2017-02-07 홍차 흑효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산화, 미백,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78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709A KR101978991B1 (ko) 2017-02-07 2017-02-07 홍차 흑효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산화, 미백,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709A KR101978991B1 (ko) 2017-02-07 2017-02-07 홍차 흑효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산화, 미백,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991A KR20180091991A (ko) 2018-08-17
KR101978991B1 true KR101978991B1 (ko) 2019-05-17

Family

ID=63408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709A KR101978991B1 (ko) 2017-02-07 2017-02-07 홍차 흑효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산화, 미백,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9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8755A1 (ko) * 2019-04-25 2020-10-29 ㈜아모레퍼시픽 테아플라빈을 포함하는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
KR102359446B1 (ko) * 2019-04-25 2022-02-09 (주)아모레퍼시픽 테아플라빈을 포함하는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
JP2021014439A (ja) * 2019-07-16 2021-02-12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カテプシンv活性促進剤及びgata−3産生抑制剤
CN114145368A (zh) * 2020-08-18 2022-03-08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红茶叶提取物及其制备方法
KR20220099669A (ko) 2021-01-07 2022-07-14 (주)심플스틱 항노화를 위한 피부 리프팅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열 피부케어 방법
CN116211766A (zh) * 2023-02-14 2023-06-06 仙婷(广州)科技研发有限公司 一种红茶发酵产物及其应用
CN117338666B (zh) * 2023-11-09 2024-06-04 浙江摩天轮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红茶发酵产物的美白组合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68184A1 (en) 2006-11-02 2010-03-18 Aureo Co., Ltd. Living body healing accelerator
KR101485896B1 (ko) * 2014-10-27 2015-01-26 주식회사 더트루메틱 홍차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증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9407A (ko) * 2010-12-17 2012-08-1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홍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675389B1 (ko) * 2014-03-10 2016-11-11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미역 발효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미역 발효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68184A1 (en) 2006-11-02 2010-03-18 Aureo Co., Ltd. Living body healing accelerator
KR101485896B1 (ko) * 2014-10-27 2015-01-26 주식회사 더트루메틱 홍차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증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Agric Food Chem,제52권,9호,2455-2461면(2004.04.01)*
네이버 카페, 토니모리 신제품 블랙티 2중 솔루션 세럼, [0nline], 2016.09.01., 인터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991A (ko) 201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991B1 (ko) 홍차 흑효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산화, 미백,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EP2110123B1 (en) Fibroblast proliferator
JP2017165727A (ja) 組成物及び皮膚外用剤
JP6246578B2 (ja) 皮膚化粧料
JP6754166B2 (ja) 化粧料
KR20190063549A (ko) 대나무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9038760A (ja) 皮膚外用剤
KR101716428B1 (ko) 해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773356B2 (ja) 化粧料
CN113143840A (zh) 一种含有海洋来源肌肤dna修复细胞抗老化复合物的面膜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421537B1 (ko) 다시마 아임계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03757B1 (ko) 생약재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571321B2 (ja) 皮膚外用組成物、及び経口用組成物
KR102351382B1 (ko) 포도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5134737A (ja) 皮膚外用剤
KR101775485B1 (ko) 계혈등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87904B1 (ko) 비피더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559948B2 (ja) 皮膚ターンオーバー改善剤
JP6375087B2 (ja) 化粧料
KR101997231B1 (ko) 효소반응을 이용하여 제조된 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7360A (ko) 히비스커스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KR20210144725A (ko) 항노화제, 항산화제, 항염증제 및 미백제, 그리고 화장료
KR101176525B1 (ko) 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7425B1 (ko) 갯버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07560B1 (ko) 빗죽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