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389B1 - 미역 발효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미역 발효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역 발효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미역 발효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75389B1 KR101675389B1 KR1020140027536A KR20140027536A KR101675389B1 KR 101675389 B1 KR101675389 B1 KR 101675389B1 KR 1020140027536 A KR1020140027536 A KR 1020140027536A KR 20140027536 A KR20140027536 A KR 20140027536A KR 101675389 B1 KR101675389 B1 KR 1016753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weed
- parts
- rice
- weight
- fermented produ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5/00—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 C09K15/34—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containing plant or animal materials of unknown composi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r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역 발효물 또는 상기 발효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과 미역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미역을 버섯 균사체로 발효시킴으로써 발효공정 전의 미역이나 버섯 균사체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된 항산화능을 갖는 미역 발효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고, 미역을 이용하여 새로운 항산화 소재를 제공함으로써 미역의 고부가가치를 증진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미역을 버섯 균사체로 발효시킴으로써 발효공정 전의 미역이나 버섯 균사체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된 항산화능을 갖는 미역 발효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고, 미역을 이용하여 새로운 항산화 소재를 제공함으로써 미역의 고부가가치를 증진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미역 발효물 또는 상기 미역 발효물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과 미역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연간 1500 만 톤의 해조류가 생산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다시마, 미역, 김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해조류 생산량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나, 1차 가공에 의한 제품이 주를 이루고 있을 뿐 해조류를 이용한 기능성 고품질의 제품을 개발하여 소비자들의 적극적인 소비 촉진을 일으키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다.
한편, 산화는 생물체의 생물학적 과정에 연료를 공급하는 에너지 생성에 있어 필수적이나, 생체 내에서 끊임없이 생성되는 자유 라디칼 및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세포사멸과 조직의 손상을 가져온다(Turkoglu, Duru, Mercan, Kivrak, & Gezer, 2007). 산화적 스트레스는 활성산소종의 생성과 세포의 항산화 방어 시스템 사이의 불균형으로 나타나는데, 과도한 활성산소종 생성은 산화적 스트레스, 세포 기능의 손실, 최종적으로 세포자살(apoptosis)이나 괴사(necrosis)를 야기하며 활성산소종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는 만성 질병을 유발하므로, 항산화 활성 또는 자유 라디칼 억제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되는 독성 물질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는 1969년 McCord와 Fridovich가 수퍼옥사이드 라디칼을 소거하는 효소인 SOD를 발견한 것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최근에는 노화나 성인병 등의 질환이 활성산소와도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져 활성산소를 조절할 수 있는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고, 합성 항산화제의 잠재적인 부작용 위험으로 인해 천연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미역의 발효공정을 통해 미역에 기능성을 부여하고 새로운 항산화 소재를 제공하고자 하며,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제10-1363029호(우뭇가사리, 미역, 밀싹 및 베르가못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노화 예방 효과를 갖는 있는 화장료 조성물), 한국 등록특허 제10-0852464호(동충하초의 초미분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역을 버섯 균사체로 발효시키는 발효공정을 통해 항산화능이 우수한 새로운 천연물 소재를 제공하고 미역의 고부가가치를 증진시킴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역을 버섯 균사체로 발효시킨 미역 발효물 또는 상기 발효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버섯 균사체는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상황버섯 균사체, 영지버섯 균사체, 표고버섯 균사체 또는 동충하초 균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섯 균사체는 미역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부에 해당하는 양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역 발효물은 미역에 쌀을 첨가하고 버섯 균사체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쌀은 미역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에 해당하는 양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미역을 수세하여 염을 제거하는 단계; (2) 쌀을 수세하고 침지시키는 단계; (3) 상기 (1)단계에서 염을 제거한 미역과 상기 (2)단계에서 침지시킨 쌀을 혼합하여 멸균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멸균시킨 혼합물에 버섯 균사체를 접종하고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역 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3)단계에서 쌀은 미역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4)단계에서 버섯 균사체는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상황버섯 균사체, 영지버섯 균사체, 표고버섯 균사체 또는 동충하초 균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4)단계에서 버섯 균사체는 미역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부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4)단계에서 발효는 20 내지 40 ℃에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미역을 버섯 균사체로 발효시킴으로써 발효공정 전의 미역이나 버섯 균사체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된 항산화능을 갖는 미역 발효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역을 이용하여 새로운 항산화 소재를 제공함으로써 미역의 고부가가치를 증진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역 발효 추출물의 제조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한 미역 발효물의 사진. 아래 사진은 미역 발효물을 반으로 쪼갠 사진으로 발효물의 안쪽까지 균사체가 고르게 자란 모습을 나타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역 발효 추출물의 전자스핀공명기기(ESR)에 의한 DPPH radical 소거활성 측정 결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역 발효 추출물의 전자스핀공명기기(ESR)에 의한 alkyl radical 소거활성 측정 결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역 발효 추출물의 전자스핀공명기기(ESR)에 의한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 측정 결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한 미역 발효물의 사진. 아래 사진은 미역 발효물을 반으로 쪼갠 사진으로 발효물의 안쪽까지 균사체가 고르게 자란 모습을 나타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역 발효 추출물의 전자스핀공명기기(ESR)에 의한 DPPH radical 소거활성 측정 결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역 발효 추출물의 전자스핀공명기기(ESR)에 의한 alkyl radical 소거활성 측정 결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역 발효 추출물의 전자스핀공명기기(ESR)에 의한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 측정 결과.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미역을 버섯 균사체로 발효시킨 미역 발효물 또는 상기 미역 발효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버섯 균사체로는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상황버섯 균사체, 영지버섯 균사체, 표고버섯 균사체, 동충하초 균사체 등이 있으나, 버섯 균사체의 종류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버섯 균사체는 미역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부에 해당하는 양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원활한 발효공정이 일어나지 않고 시간적, 비용적인 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지며 부패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 내의 버섯 균사체를 접종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미역 발효물은 미역에 쌀을 첨가하고 버섯 균사체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쌀은 미역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에 해당하는 양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첨가되는 곡류의 종류가 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쌀을 첨가함으로써 발효 효율을 증진시키고 항산화 활성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 미역을 수세하여 염을 제거하는 단계; (2) 쌀을 수세하고 침지시키는 단계; (3) 상기 (1)단계에서 염을 제거한 미역과 상기 (2)단계에서 침지시킨 쌀을 혼합하여 멸균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멸균시킨 혼합물에 버섯 균사체를 접종하고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역 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3)단계에서 쌀은 미역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4)단계에서 버섯 균사체로는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상황버섯 균사체, 영지버섯 균사체, 표고버섯 균사체, 동충하초 균사체 등이 있고, 미역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부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4)단계에서 발효는 20 내지 40 ℃에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발효 온도가 너무 높거나 낮을 경우 원활한 발효공정이 일어나지 않고 시간적, 비용적인 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지며 부패되거나 균사체가 활성화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버섯 균사체를 이용하여 미역을 발효시켜 항산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범위 내에서 발효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4)단계에서 발효공정을 통해 제조된 미역 발효물은 용매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또는 초음파 추출법 등의 방법으로 추출될 수 있으며, 냉침추출, 열수추출, 환류냉각추출 또는 가열추출에 의해 추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 추출법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부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추출용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버섯 균사체를 이용하여 최적의 조건으로 발효시킨 미역 발효물 또는 미역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은 화장료, 피부 외용제 또는 건강기능식품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미역 발효물의 제조
동충하초 균사체를 이용하여 미역(Undaria Pinnatifida)을 발효시켰다.
먼저 미역을 흐르는 물에 수회 깨끗이 수세하여 염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염의 제거 정도는 전기투석기를 사용하여 수세한 물의 염도를 측정하여 판단하였다. 이렇게 염이 제거된 미역은 물기를 제거하고 동결건조한 후 파쇄하여 분말 형태로 만들었다. 한편, 현미를 수세하여 12 시간 동안 물에 침지시킨 후, 3 시간 가량 물기를 제거하였다. 상기 제조된 미역 분말을 배양통에 넣고 현미를 미역 무게의 5 중량%로 첨가하여 혼합된 혼합물을 121 ℃에서 1 시간 동안 멸균시킨 다음, 냉장고에서 냉각시키고 미역 무게의 10 중량%로 동충하초 균사체를 접종하여 인큐베이터에서 발효를 수행하였다. 동충하초 균사체의 배양온도는 25 ℃에서 수행되었고 발효시작 후 20 일째에 발효를 완료하여 미역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미역 발효 추출물의 제조
상기 발효를 끝낸 미역 발효물을 동결건조한 후 -20 ℃에서 보관하면서 추출에 사용하였다. 시료 무게의 10배에 해당하는 물을 첨가하여 1시간 30분 동안 열수추출한 후 실온에서 식히고 여과지 No.41과 No.5를 사용하여 잔사를 걸러낸 후 농축하고 다시 동결건조하여 미역 발효 추출물 시료를 제조하였다. 건조된 시료는 냉동실에서 보관하면서 활성 측정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항산화 측정
(1) 전자스핀공명기기(ESR)에 의한 DPPH radical 소거활성 측정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Yamaguchi 등의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60 ㎕ 시료 용액에 60 ㎕ DPPH 용액(60 μM)을 첨가하여 10초 동안 교반한 다음, 혼합용액을 quartz capillary tube에 옮겨 2분 후에 ESR로 측정하였다.
(2) 전자스핀공명기기(ESR)에 의한 alkyl radical 소거활성 측정
Alkyl radical 소거활성은 Vajragupta 등의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즉, 10 mM AAPH, 10 mM 4-POBN 및 다양한 농도의 시료가 포함된 phosphate-buffered saline(pH 7.4) 반응물을 37 ℃에서 30분간 incubation시킨 후 혼합용액을 quartz capillary tube에 옮겨 ESR로 측정하였다.
(3) 전자스핀공명기기(ESR)에 의한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 측정
Hydroxyl radical 소거 활성은 Tang 등의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즉, 시료를 일정한 농도가 되도록 0.2 ml 증류수에 녹이고 여기에 0.3 M 5,5-dimethyl-1-pyrroline N-oxide(DMPO) 0.2 ml, 10 mM FeSO4 0.2 ml 및 10 mM H2O2/0.1 M phosphate buffer(pH 7.4) 0.2 ml를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2.5분간 방치한 후 quartz capillary tube에 옮겨 ESR로 측정하였다.
(4) ABTS 라디칼을 이용한 총 항산화력 측정
ABTS 라디칼을 이용한 항산화능의 측정은 potassium persulfate와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ABTS 유리 라디칼이 추출물 내의 항산화 물질에 의해 제거되어 라디칼 특유의 색인 청록색이 탈색되는 것을 이용한 방법으로, 7 mM ABTS 용액에 potassium persulfate를 2.4 mM이 되도록 용해시킨 다음 암실에서 12 내지 1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를 414 nm에서 흡광도가 1.5가 되도록 증류수로 조정한 후 3.0 ml를 취하여 추출물 1.0 ml를 가하여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고 41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5) FRAP(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을 이용한 총 항산화력 측정
FRAP법은 전자공여 능력을 통해 항산화 활성을 검증하는 방법으로, 산화제로 작용하는 Fe3 +과 항산화제와의 반응을 통해 생성된 Fe2 +을 흡광도를 통해 정량할 수 있는 방법이다. 300 mM acetate buffer(pH 3.6), 40 mM HCl에 용해한 10 mM TPTZ 및 20 mM FeCl3·6H2O를 각각 10:1:1(v/v/v)의 비율로 혼합하여 FRAP 시약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고형분 함유량이 1 mg이 되도록 희석한 시료액 0.15 ml과 3.0 ml의 FRAP 시약을 혼합하고 37 ℃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593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FeSO4·7H2O를 표준물질로 하여 mM FeSO4 eq./mg extracts로 표시하였다.
실험결과.
동충하초 균사체로 발효한 미역 발효물의 추출물에 대한 여러 가지 라디칼 소거활성을 미역 추출물과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활성과 비교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라디칼 소거능은 라디칼을 50 % 소거하는 값인 IC50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미역 자체 추출물은 0.773 mg/ml이며,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은 0.318 mg/ml인 반면, 동충하초 균사체로 발효한 미역 발효 추출물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이 0.022 mg/ml로 활성이 10배 이상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미역 발효 추출물의 alkyl 라디칼 소거능 및 hydroxyl 라디칼 소거능 모두 미역 추출물과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과 비교하여 볼 때 현저하게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미역 발효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을 Trolox를 이용하여 equivalent 값으로 나타낸 결과, 미역 발효 추출물은 미역 추출물과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보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이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FRAP assay를 이용하여 항산화능을 측정한 결과, 미역 발효 추출물이 미역 추출물이나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보다 항산화 활성이 현저하게 증가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 미역 및 쌀의 혼합물을 동충하초 균사체로 발효시킨 발효물 또는 상기 발효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식품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역 및 쌀의 혼합물에 상기 동충하초 균사체를 상기 미역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부에 해당하는 양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기능성 식품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쌀은 상기 미역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에 해당하는 양으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기능성 식품 조성물.
- 미역 및 쌀의 혼합물을 동충하초 균사체로 발효시킨 발효물 또는 상기 발효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미역 및 쌀의 혼합물에 상기 동충하초 균사체를 상기 미역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부에 해당하는 양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쌀은 상기 미역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에 해당하는 양으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미역 및 쌀의 혼합물을 동충하초 균사체로 발효시킨 발효물 또는 상기 발효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피부 외용제 조성물.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미역 및 쌀의 혼합물에 상기 동충하초 균사체를 상기 미역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부에 해당하는 양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기능성 피부 외용제 조성물.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쌀은 상기 미역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에 해당하는 양으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기능성 피부 외용제 조성물.
- 미역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 미역을 수세하여 염을 제거하는 단계;
(2) 쌀을 침지시키는 단계;
(3) 상기 (1)단계에서 염을 제거한 미역과 상기 (2)단계에서 침지시킨 쌀을 혼합하여 멸균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멸균시킨 혼합물에 동충하초 균사체를 접종하고 20 내지 40 ℃에서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3)단계에서 상기 쌀은 상기 미역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상기 (4)단계에서 상기 동충하초 균사체는 상기 (3)단계의 미역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부를 접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역 발효물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7536A KR101675389B1 (ko) | 2014-03-10 | 2014-03-10 | 미역 발효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미역 발효물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7536A KR101675389B1 (ko) | 2014-03-10 | 2014-03-10 | 미역 발효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미역 발효물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5679A KR20150105679A (ko) | 2015-09-18 |
KR101675389B1 true KR101675389B1 (ko) | 2016-11-11 |
Family
ID=54244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7536A KR101675389B1 (ko) | 2014-03-10 | 2014-03-10 | 미역 발효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미역 발효물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7538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78991B1 (ko) * | 2017-02-07 | 2019-05-17 | (주)모아캠 | 홍차 흑효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항산화, 미백,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08104A (ja) * | 2007-02-28 | 2008-09-11 | Noda Shokukin Kogyo Kk | 抗酸化剤及び飲食品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132208A (ko) * | 2011-05-27 | 2012-12-05 | (주) 해뜰날 | 버섯균사체쌀과 해조류를 이용한 발효주의 제조방법 |
-
2014
- 2014-03-10 KR KR1020140027536A patent/KR10167538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08104A (ja) * | 2007-02-28 | 2008-09-11 | Noda Shokukin Kogyo Kk | 抗酸化剤及び飲食品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김연숙 외,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Undaria pinnatifida with Ganoderma lucidum mycelia", 2013, 한국식품과학회 제80차 학술대회 초록집, 페이지 49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5679A (ko) | 2015-09-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Hajimahmoodi et al. | Evaluation of antioxidant properties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some strains of microalgae | |
Wu et al. |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polysaccharides from Pleurotus tuber-regium (Fr.) Sing. | |
Fabrowska et al. | Biomass and extracts of algae as material for cosmetics | |
KR101729209B1 (ko) | 미선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활용한 스킨케어 제품 조성물 | |
Zhao et al. | Drying kinetic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diabetic potential of Sargassum fusiforme processed under four drying techniques | |
JP5913988B2 (ja) | Aureobasidiumpullulans菌体抽出物を含む多機能化粧品原料 | |
KR100981184B1 (ko) | 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천연 항산화용 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 |
CN108245479A (zh) | 一种含有乳双歧杆菌发酵活性提取物的面膜 | |
Karawita et al. | Protective effect of enzymatic extracts from microalgae against DNA damage induced by H 2 O 2 | |
CN106726949B (zh) | 一种葡萄籽发酵原浆化妆品及其制备方法与应用 | |
EP3234167A1 (en) | Chitin and chitosan producing methods | |
KR101737940B1 (ko) | 발효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KR102009486B1 (ko) | 다단복합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 |
CN114796087A (zh) | 一种海茴香干细胞提取物的制备方法及在化妆品中的应用 | |
KR101675389B1 (ko) | 미역 발효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미역 발효물의 제조방법 | |
KR20100021260A (ko) | 항산화 활성효능을 가진 원적외선 건조에 의한 감태의 에탄올 추출물 | |
CN115006297A (zh) | 一种复活草发酵提取液、制备方法、应用 | |
JP2009072132A (ja) | 健康機能性成分高含有褐藻類の製造方法 | |
CN112472634B (zh) | 一种红景天提取物、其制备方法及应用 | |
CN115569096B (zh) | 一种山茶花发酵滤液及发酵工艺 | |
Stoica et al. | The influence of ethanol concentration on the total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cenedesmus opoliensis algal biomass extracts | |
Chen et al. | Effects of processing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nefits of algae products: Trade-offs among food carbon footprint, nutrient profiles, health properties, and consumer acceptance | |
KR101931654B1 (ko) |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누에고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Wizi et al. | Analysis of Bioactive Compounds from different Algae samples extracted with Ultrasound: characterizations, phytochemical contents and antioxidant potentials | |
JP2009013104A (ja) | 抗酸化作用を有するキサントン誘導体、それらの製造方法、それらからなる化粧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