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7674A - 무선 통신 단말,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단말,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7674A
KR20090077674A KR1020080133319A KR20080133319A KR20090077674A KR 20090077674 A KR20090077674 A KR 20090077674A KR 1020080133319 A KR1020080133319 A KR 1020080133319A KR 20080133319 A KR20080133319 A KR 20080133319A KR 20090077674 A KR20090077674 A KR 20090077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
field strength
electric field
limit thres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4159B1 (ko
Inventor
나리요시 니시이께
히데오 이께다
다까시 후꾸시마
마사까쯔 마루야마
치따까 마나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090077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7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6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6Reselection control by user or terminal equipment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당해 무선 통신 단말의 지향성 안테나가 이동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도록 배치되는 경우에 있어서, 대용량의 데이터 통신을 확보하는 동시에, 기지국의 절환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의 도중 끊김을 방지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단말,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무선 통신 단말과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를 측정하여(스텝 S1), 그 측정된 전계 강도가 미리 설정된 상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스텝 S2의 '예'측),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기지국의 선택을 개시하고(스텝 S3 내지 스텝 S10), 그 결과 선택된 기지국으로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무선 통신의 확립처를 절환한다(스텝 S11).
전계 강도 측정 수단,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단말, 안테나 소자

Description

무선 통신 단말,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제어 방법{RADIO COMMUNICATION TERMINAL,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단말이 복수의 기지국 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단말이 이동하면서 무선 통신의 확립처의 기지국을 절환하는 소위 핸드 오버 처리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LAN이나 무선 MAN 등의 무선 통신망에서는, 무선 통신 단말이 이동하면서 복수의 기지국 중에서 하나의 기지국을 선택하여 무선 통신의 확립처를 절환하는 소위 핸드 오버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핸드 오버 처리는 통신 가능한 복수의 기지국 중에서 전계 강도(무선 신호의 강도와 동의)가 가장 높은 기지국을 선택하여, 그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을 확립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인 무선 통신 단말은, 이동하면서 임의의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을 때에, 그 통신의 전계 강도가 하한 임계값을 하회하면, 다음 기지국을 찾기 시작하는 인터페이스를 갖고 구성된다. 여기서, 무선 통신 단말 및 기지국의 안테나에 무지향성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상기 핸드 오버 처리에서는, 2개의 기지국의 중간 지점 주변에서 기지국의 절환이 행해지게 된다. 즉, 2개의 기지국의 전계 강도의 레벨차가 작은 상태에서 기지국의 절환이 행해진다. 그로 인해, 전파 전반 환경의 일시적 변화 등에 의한 전계 강도의 요동에 의해 2개의 기지국의 절환이 복수회 반복되는 경우가 있다(이하,「스위치백 현상」이라 함).
한편, 특허 문헌 1에는, 상기 스위치백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무선 통신 단말 및 기지국의 안테나에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도9는 특허 문헌 1의 도3을 인용한 것이다.
도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통신 단말(100)이 열차(300)의 최후미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통신 단말(100)은 열차(300)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향해진 수신 영역(150)의 범위에서 전파를 송수신한다. 즉, 통신 단말(100)은 열차(300)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무선 통신의 지향성을 갖고 있다.
한편, 기지국(201, 202)은 열차(300)의 이동 방향으로 향해진 서비스 영역(251, 252)의 범위에서 전파를 송수신한다. 즉, 기지국(201, 202)은 열차(300)의 이동 방향으로 무선 통신의 지향성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통신 단말(100)이 기지국(201, 202) 중 전계 강도가 높은 쪽의 기지국을 선택하여 무선 통신을 행하는 핸드 오버 처리를 실행한다. 이 경우, 기지국(201)으로부터 기지국(202)으로의 절환은 상기 기지국(202)을 조금 지난 위치에서 행해지게 된다. 즉, 기지국(201, 202)의 전계 강도의 레벨차가 큰 상황에서 기지국(201)으로부터 기지국(202)으로의 절환이 행해진다. 따라서, 무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한 스위치백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항상 통신 가능한 기지국의 검색이나 전계 강도의 측정을 행하여, 그 통신 가능한 기지국 중 가장 전계 강도가 높은 기지국으로 절환하는 방법을 채용한 핸드 오버 처리가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이 방법을 채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는, 무선 통신용 안테나 및 핸드 오버 처리용 안테나를 개별로 설치하는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무선 통신 단말에 2개의 안테나를 설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1개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 및 핸드 오버 처리를 행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 단말이 항상 통신 가능한 기지국의 검색이나 전계 강도의 측정을 행하면, 무선 통신으로 전송 가능한 데이터량(단위 시간당의 데이터 통신 용량)은 적어진다. 그로 인해,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의 전계 강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가 된 경우에, 가장 전계 강도가 높은 기지국의 선택을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필요가 발생한 경우에만 기지국의 선택을 행함으로써, 무선 통신 단말에서는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319593호 공보
그런데,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통신 단말(100)이 열차(300)의 최후미에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예를 들어 열차(300)의 선두부에 설치한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무선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경우에는, 그 카메라가 설치된 열차(300)의 선두부로부터, 통신 단말(100)이 설치되는 최후미까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생긴다. 따라서,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의 신호 레벨이 통신 단말(100)에 전송될 때까지의 동안에 감쇠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카메라로부터 통신 단말(100) 사이에서 영상 데이터의 신호 레벨을 증폭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단, 그를 위해서는 증폭을 행하는 증폭 장치가 필요해져, 시스템 구성이 번잡하고 또한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무선 통신 단말을 차량의 선두부에 배치하는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도1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X)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한, 도10은 무선 통신 시스템(X)에 있어서 전계 강도가 하한 임계값 K1 이하가 되었을 때에 다음 기지국의 선택을 개시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10에 있어서의 이점 쇄선 A 내지 이점 쇄선 C는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 각각의 전계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1에 도시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X)에서는, 무선 통신 단말(Y)이 차량(1)의 이동 방향으로 무선 통신의 지향성을 갖고,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 각각이 차 량(1)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무선 통신의 지향성을 갖고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X)에 있어서,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의 전계 강도가 미리 설정된 하한 임계값 K1 이하로 되었을 때에,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기지국의 선택을 개시하는 핸드 오버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여기서, 도1은 차량(1)이 무선 통신 단말(Y)과 기지국 A 사이에서 무선 통신이 확립하는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차량(1)이 도1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기지국 B의 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단말(Y)의 이동이 개시되어, 시간의 경과와 함께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이 기지국 A에 근접하면, 무선 통신 단말(Y)에서 얻어지는 기지국 A의 전계 강도는 서서히 높아진다. 그 후, 무선 통신 단말(Y)이 기지국 A를 통과할 때, 상기 기지국 A의 전계 강도는 급격히 저하되어, 하한 임계값 K1 이하에 도달한다(시점 T11). 이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은 가장 전계 강도가 높은 기지국의 검색을 개시한다. 그 후,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은 가장 전계 강도가 높은 기지국으로서 기지국 B를 선택하면, 기지국 A로부터 기지국 B로의 절환을 행한다(시점 T12). 또한, 기지국 B로부터 기지국 C로의 절환시에도 마찬가지이다(시점 T13, 시점 T14).
이와 같이, 무선 통신 단말(Y)이 이동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 구성에서는, 기지국 A의 전계 강도가 하한 임계값 K1 이하가 될 때, 상기 전계 강도는 급격하게 저하되고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다음 기지국 B의 선택이 개시되어 통신처를 절환할 수 있으므로, 그 절환이 행해질 때에 기지국 A의 전계 강도가 지 나치게 저하되어 무선 통신이 도중에 끊길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당해 무선 통신 단말의 지향성 안테나가 이동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도록 배치되는 경우에 있어서, 대용량의 데이터 통신을 확보하는 동시에, 기지국의 절환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의 도중 끊김을 방지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단말,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미리 정해진 이동 경로를 따라 소정 간격마다 배치되고,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당해 무선 통신 단말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 기지국용 지향성 안테나를 구비하는 복수의 기지국 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적용되는 것이며, 하기의 (1) 내지 (4)의 구성 요소를 갖추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로서 구성된다.
(1) 당해 무선 통신 단말의 이동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 이동용 지향성 안테나.
(2)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를 측정하는 제1 전계 강도 측정 수단.
(3) 상기 제1 전계 강도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전계 강도가 미리 설정된 상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기지국의 선택을 개시하는 제1 기지국 선택 수단. 또한, 상기 상한 임계값은, 미리 행해진 실험에서 얻어 진 결과를 기초로 하여 미리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무선 통신 단말과 상기 기지국 사이의 무선 통신에서 얻어지는 전계 강도의 최대값보다도 소정량 낮은 값으로 설정된다.
(4) 상기 제1 기지국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기지국으로 무선 통신의 확립처를 절환하는 제1 기지국 절환 수단.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서는, 상기 제1 전계 강도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전계 강도가 상기 상한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기지국의 선택이 개시된다. 즉,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은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의 전계 강도가 급격하게 저하되기 전에 다음 기지국을 선택하여 절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이동용 지향성 안테나가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열차 등의 이동체의 선두부에 탑재되는 경우라도,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서는 기지국을 절환할 때의 무선 통신의 도중 끊김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서는, 상기 제1 전계 강도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전계 강도가 상기 상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기지국의 선택을 행하게 되므로, 통상의 무선 통신에서는 대용량의 데이터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통신 가능한 기지국 각각과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를 측정하는 제2 전계 강도 측정 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기지국 선택 수단이 상기 제2 전계 강도 측정 수단에 의한 측정 결과를 기초로 하여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기 지국을 선택하는 것인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계 강도 측정 수단에 의한 측정 대상으로는,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도 포함된다.
그런데, 상기 제1 전계 강도 측정 수단이나 상기 제2 전계 강도 측정 수단은, 소정 기간 내의 전계 강도의 평균값을 측정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전계 강도 측정시의 전파 전반 환경의 순간적인 변화 등의 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기지국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 방법의 구체적인 예를 든다.
상기 제1 기지국 선택 수단은, 상기 제2 전계 강도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전계 강도가 상위로부터 2번째의 기지국을 선택하는 것인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의 전계 강도가 급격하게 저하되기 시작하기 전에, 상기 제1 기지국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이 행해지면, 그 기지국 다음으로 전계 강도가 높은 기지국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의 전계 강도가 상기 상한 임계값 이상에 도달한 직후에 급격하게 저하되기 시작할 가능성도 있다. 이 경우에는,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의 전계 강도가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할 기지국의 전계 강도를 하회해 버리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한 바와 같이 상위로부터 2번째의 기지국을 선택하면, 계속해서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이 선택되게 된다. 그로 인해,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으로부터 다음 기지국으로의 절환이 행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 다.
그래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상기 제2 전계 강도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전계 강도의 상위 2개의 기지국을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기지국의 후보로서 선택하는 후보 선택 수단과, 상기 후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2개의 기지국 각각과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의 소정 기간 내의 분산값을 측정하는 분산값 측정 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제1 기지국 선택 수단은, 상기 후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2개의 기지국 중 상기 분산값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전계 강도의 분산값이 작은 쪽의 기지국을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 기지국 선택 수단은, 상기 후보 선택 수단에 의해 둘로 좁혀진 기지국 중 상기 분산값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분산값이 작은 쪽의 기지국을 선택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의 전계 강도가 급격하게 저하되기 시작하고 나서 상기 제1 기지국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이 행해지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때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의 전계 강도는 급격하게 저하되고 있으므로, 상기 분산값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분산값은 현저히 커진다. 따라서, 상기 제1 기지국 선택 수단은,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의 전계 강도가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할 기지국의 전계 강도를 하회하는 경우라도,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의 전계 강도가 급격하게 저하되기 전에, 다른 쪽의 기지국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의 전계 강도가 급격하게 저하되기 시작하기 전 에, 상기 제1 기지국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그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을 계속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상기 기지국의 전계 강도가 급격하게 저하되기 시작한 시점에서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이 아닌 쪽의 기지국으로 절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한 임계값이 복수의 상기 기지국마다 대응하여 미리 설정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기지국 선택 수단이, 상기 제1 전계 강도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전계 강도가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상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기지국의 선택을 개시하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개별로 설정된 상기 상한 임계값에 따라 적절한 타이밍에서 기지국의 절환을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무선 단말 및 상기 기지국 각각에 설치된 상기 이동용 지향성 안테나, 상기 기지국용 지향성 안테나, 기타 주변 기기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열화나,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이동하는 이동 경로 주변의 환경 변화 등은, 상기 무선 통신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각각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에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경로 주변에 건조물(建造物)이 있는 경우에는, 그 건조물이 무선 통신의 장해가 되는 경우가 있다. 그로 인해, 상기 이동 경로 주변에 새롭게 건조물이 세워진 경우나 건조물이 철거된 경우에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각각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가 변화된다.
따라서, 항상 일정한 상한 임계값을 지표로 하여 기지국의 절환 개시 타이밍을 판단하면, 상기 무선 통신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각각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에 있 어서의 전계 강도가 상기 상한 임계값 이상에 달하는 타이밍이 변화한다. 혹은, 상기 무선 통신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각각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가 상기 상한 임계값 이상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기지국의 절환 개시 타이밍을 적절한 타이밍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당해 무선 통신 단말의 관리자 등이 정기적으로 상기 무선 통신 단말과 상기 기지국 각각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 환경의 해석 등을 행하고, 상기 상한 임계값을 설정 변경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정기적으로 이들 작업을 행하는 것은 관리자 등에 있어서 매우 수고스럽다.
그래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하기 (5) 내지 (7)의 구성 요소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상기 제1 전계 강도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전계 강도가 미리 설정된 강제 절환 설정값 이하인 경우에,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기지국의 선택을 개시하는 제2 기지국 선택 수단.
(6) 상기 제2 기지국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기지국으로 무선 통신의 확립처를 절환하는 제2 기지국 절환 수단.
(7) 상기 제2 기지국 절환 수단에 의해 기지국이 절환된 경우에, 상기 절환 전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상한 임계값을 현 상태보다도 낮은 값으로 설정하는 상한 임계값 하향 수정 설정 수단.
이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서는, 상기 상한 임계값 하향 수정 설정 수단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기 상한 임계값이 변경되므로, 관리자에 의한 상기 상한 임계값의 변경 작업의 수고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한 임계값 하향 수정 설정 수단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기 상한 임계값이 현 상태보다 낮은 값으로 변경되면, 다음에, 동일한 기지국과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무선 통신이 행해질 때에, 상기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가 상기 상한 임계값 이상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무선 통신의 전계 강도가 상기 강제 절환 설정값 이하로 저하되기 전의 적절한 타이밍에 있어서의 기지국의 절환을 장기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한 임계값 하향 수정 설정 수단은, 상기 제2 기지국 절환 수단에 의한 절환 전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상한 임계값을 상기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의 피크 값, 또는 상기 피크값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소정값만큼 낮은 값으로 설정하는 것인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다음에 동일한 기지국과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무선 통신이 행해질 때에 상기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가 상기 상한 임계값 이상에 도달할 가능성을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한 임계값이 너무 낮게 설정되어, 현재 확립되어 있는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가 상기 상한 임계값에 너무 빨리 도달하는 경우에도 문제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에서는 충분히 높은 전계 강도를 얻을 수 없는 상황에서 기지국의 절환이 행해질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이하의 (8), (9)의 구성 요소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8) 상기 제1 기지국 절환 수단에 의해 기지국이 절환된 경우에, 상기 절환 후의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를 측정하는 제3 전계 강도 측정 수단.
(9) 상기 제1 기지국 절환 수단에 의해 기지국이 절환되었을 때에 상기 제3 전계 강도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전계 강도가 미리 설정된 하한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제1 기지국 절환 수단에 의한 절환 전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상한 임계값을 현 상태보다도 높은 값으로 설정하는 상한 임계값 상향 수정 설정 수단.
이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서는, 상기 상한 임계값 상향 수정 설정 수단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기 상한 임계값이 변경되므로, 관리자에 의한 상기 상한 임계값의 변경 작업의 수고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한 임계값 상향 수정 설정 수단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기 상한 임계값이 현 상태보다 높은 값으로 변경되면, 다음에, 동일한 기지국과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무선 통신이 행해질 때에, 상기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가 상기 상한 임계값 이상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늦출 수 있다. 따라서, 절환 직후의 다음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가 지나치게 낮아지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한 임계값 상향 수정 설정 수단은, 상기 제2 기지국 절환 수단에 의한 절환 전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상한 임계값을 현 상태의 상기 상한 임계값보다도 미리 설정된 소정값만큼 높은 값으로 설정하는 것인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은,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을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혹은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제어 방법의 발명으로서 파악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미리 정해진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무선 통신 단말과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기지국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무선 통신 단말과 복수의 상기 기지국 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며, 상기 기지국 각각이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 기지국용 지향성 안테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상기 (1) 내지 (4)의 상기 이동용 지향성 안테나, 상기 제1 전계 강도 측정 수단, 상기 제1 기지국 선택 수단, 및 상기 제1 기지국 절환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명으로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당해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도, 상기 상한 임계값이 복수의 상기 기지국마다 대응하여 미리 설정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기지국 선택 수단이, 상기 제1 전계 강도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전계 강도가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상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기지국의 선택을 개시하는 것인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상기 (5) 내지 (9)에 기재된 상기 제2 기지국 선택 수단, 상기 제2 기지국 절환 수단, 상기 상한 임계값 하향 수정 설정 수단, 상기 제3 전계 강도 측정 수단, 상기 상한 임계값 상향 수정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관리자 에 의한 상기 상한 임계값의 변경 작업의 수고를 줄이는 동시에, 적절한 타이밍에 있어서의 기지국의 절환을 장기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정해진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그 이동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 이동용 지향성 안테나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단말과,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 기지국용 지향성 안테나를 구비하는 복수의 기지국 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무선 통신 제어 방법이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과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를 측정하여, 그 측정된 전계 강도가 미리 설정된 상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기지국의 선택을 개시하고, 그 결과 선택된 기지국으로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무선 통신의 확립처를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의 전계 강도가 급격하게 저하되기 전에 다음 기지국을 선택하여 절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이동용 지향성 안테나가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열차 등의 이동체의 선두부에 탑재되는 경우라도,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서는 기지국을 절환할 때의 무선 통신의 도중 끊김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의 전계 강도가 상기 상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기지국의 선택이 이루어지므로, 통상의 무선 통신에서는 대용량의 데 이터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한 임계값 하향 수정 설정 수단이나 상기 상한 임계값 상향 수정 설정 수단 등을 구비함으로써, 관리자에 의한 상기 상한 임계값의 변경 작업의 수고를 줄이는 동시에, 적절한 타이밍에 있어서의 기지국의 절환을 장기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여, 본 발명의 이해에 이바지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례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성격의 것은 아니다.
여기서,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X)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무선 통신 단말(Y)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무선 통신 단말(Y)이 실행하는 핸드 오버 처리의 순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무선 통신 단말(Y)이 실행하는 핸드 오버 처리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X)은 무선 통신 단말(Y) 및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X)에서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Y)과 상기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 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무선 신호의 송수신이 행해진다.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은 미리 정해진 선로나 도로 등의 궤도(L)(이동 경 로)를 따라 주행(이동)하는 차량(열차나 자동차 등)(1)의 선두부에 탑재되어 있다. 여기서, 도1에 있어서의 우측 방향은 상기 차량(1)의 진행 방향이며 상기 차량(1)의 전방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이 상기 차량(1)에 탑재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생산 공장 등에 있어서 벨트 컨베이어(이동 경로의 일례) 상을 이동하는 이동 물체에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이 탑재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는, 상기 궤도(L)를 따라 소정 간격마다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1에는 상기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기지국 A의 전단이나 상기 기지국 C의 후단에도 소정 간격마다 같은 기지국이 배치된다.
우선, 도2를 참조하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의 개략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은 안테나 유닛(11)[이동용 지향성 안테나의 일례, 이하「안테나(11)」라 약칭함], 카메라(12) 및 무선 통신 제어 장치(13)[이하「제어 장치(13)」라 약칭함]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안테나(11)는 일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 안테나 소자(11a, 11b)를 갖고 있다. 상기 안테나(11)는 상기 안테나 소자(11a, 11b) 중 전파 상황이 우수한 쪽을 우선적으로 이용하는 다이버시티 안테나이다. 또한, 상기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목적이 아니면, 상기 안테나 소자(11b)를 생략해도 좋다.
상기 안테나(11)에서는, 상기 안테나 소자(11a, 11b)가 지향 방향이 상기 차 량(1)의 이동 방향(도1에 있어서의 우측 방향)이 되도록 쪽으로 향하고 있다. 즉, 상기 안테나(11)는 상기 궤도(L)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차량(1)에 탑재된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의 이동 방향으로 무선 통신의 지향성을 갖고 있다.
상기 카메라(12)는 상기 차량(1)의 선두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차량(1)의 전방에 보이는 영상을 촬영한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12)는 아날로그 비디오 카메라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이다.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은 상기 카메라(12)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안테나(11)로부터 무선 통신에 의해 송신한다.
상기 제어 장치(13)는 CPU 등의 연산 장치나 각종 기억 장치 등의 제어 기기를 갖고 있다. 상기 제어 장치(13)는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당해 무선 통신 단말(Y)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장치(13)는 상기 안테나(11)를 사용하여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장치(13)는 상기 카메라(12)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안테나(11)로부터 송신하기 위한 송신 처리나, 상기 안테나(11)에서 수신된 수신 신호에 대해 각종 신호 처리를 실시하는 수신 처리 등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단말(Y)과 상기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와의 사이의 무선 통신에는, TCP/IP 등의 통신 프로토콜이 채용된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13)는 상기 안테나(11)에서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강도인 전계 강도를 측정하는 전계 강도 측정 기능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장치(13)는 상기 안테나(11)에서 수신되는 무선 신호에 의해 상기 안테나(11) 에 유기(誘起)된 전력을 측정함으로써 전계 강도를 측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13)가 갖는 전계 강도 측정 기능은, 상기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로부터 송신되는 후술하는 비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 각각의 전계 강도를 개별로 측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13)는 상기 안테나(11)만을 사용하여, 상기 전계 강도 측정 기능에 의한 전계 강도의 측정과 상기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와의 사이의 무선 통신을 시분할 처리 등에 의해 병행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장치(13)는 상기 전계 강도 측정 기능으로 측정된 전계 강도를 기초로 하여 무선 통신의 확립처(통신 상대)가 되는 기지국을 절환하는 핸드 오버 처리(도3의 흐름도 참조)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은 상기 핸드 오버 처리의 방법에 특징을 갖고 있고, 이 점에 대해서는 후단락에서 상세하게 서술한다.
다음에, 도1로 복귀하여, 상기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 각각의 개략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 각각은, 안테나 유닛(21, 22)[이하「안테나(21, 22)」라 약칭함], 및 무선 통신 유닛(23, 24)을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공통되고 있다.
한편, 상기 기지국 A는 상기 무선 통신 유닛(23)에 관리 유닛(3)이 유선 접속되어 있고, 상기 관리 유닛(3)과의 사이에서 유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점에서 상기 기지국 B, C와 다르다. 상기 관리 유닛(3)은 상기 차량(1)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도시 생략한 모니터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기 지국 A는 상기 관리 유닛(3)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 안테나(21)(기지국용 지향성 안테나의 일례)는 상기 안테나(11)와 마찬가지로, 일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 2개의 안테나 소자로 이루어지는 다이버시티 안테나이다. 그리고, 상기 안테나(21)에서는, 그 2개의 안테나 소자가 지향 방향이 상기 차량(1)의 이동 방향(도1에 있어서의 좌측 방향)과 반대 방향이 되도록 향해지고 있다. 즉, 상기 안테나(21)는 상기 궤도(L)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차량(1)에 탑재된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무선 통신의 지향성을 갖고 있다.
한편, 상기 안테나(22)는, 예를 들어 좌우 쌍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 2개의 안테나 소자로 이루어지는 다이버시티 안테나이다. 그리고, 상기 안테나(22)에서는, 그 2개의 안테나 소자가, 지향 방향이 상기 차량(1)의 이동 방향 및 상기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의 쌍방향(도1에 있어서의 좌우 쌍방향)이 되도록 향해지고 있다. 즉, 상기 안테나(22)는 상기 차량(1)의 이동 방향 및 상기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무선 통신의 지향성을 갖고 있다.
상기 무선 통신 유닛(23, 24)은 CPU 등의 연산 장치나 각종 기억 장치 등의 제어 기기를 갖고 있다. 상기 무선 통신 유닛(23, 24)은 상기 기억 장치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안테나(21, 22)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유닛(23, 24)은 유선 접속되어 있고, 상호간에 유선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유닛(23)은 상기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의 식별 정 보(예를 들어, IP 어드레스 등)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라 불리는 프레임을 계속적 혹은 정기적으로 상기 안테나(21)로부터 송신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은 상기 무선 통신 유닛(23)으로부터 송신된 비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여기서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이 상기 비콘 신호를 기초로 하여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를 식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지만,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마다 주파수 채널이 다른 경우에는, 그 주파수 채널에 의해 식별해도 좋다.
한편, 상기 무선 통신 유닛(24)은 상기 안테나(22)를 사용하여 인접하는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 A의 무선 통신 유닛(24)은 상기 기지국 A의 도1에 있어서의 우측에 배치된 상기 기지국 B나, 상기 기지국 A의 도1에 있어서의 좌측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한다.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X)에서는, 상기 관리 유닛(3)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기지국 A를 제외한 기지국은, 상기 무선 통신 유닛(24)에 의해 상기 기지국 A와의 사이에서 직접 또는 사이의 기지국을 통해 간접적으로 무선 통신을 행함으로써, 상기 관리 유닛(3)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 C가 상기 무선 통신 단말(Y)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기지국 C는 그 무선 신호를 상기 기지국 B, A를 순서대로 거쳐서 상기 관리 유닛(3)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X)은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이 이동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고 있고, 상기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가 상기 무선 통신 단 말(Y)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 구성이다. 그로 인해,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이 상기 기지국 A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확립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이 상기 기지국 A에 근접할수록 상기 기지국 A로부터 수신하는 무선 신호의 강도는 높아진다.
단,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이 상기 기지국 A를 통과할 때에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이 상기 기지국 A의 무선 통신의 지향 범위로부터 갑자기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이 상기 기지국 A를 통과할 때,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에서 얻어지는 상기 기지국 A로부터의 전계 강도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이 상기 기지국 A에 근접함으로써 소정의 위치에서 최대값이 되고, 그 후, 급격하게 저하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에서 얻어지는 상기 기지국 A로부터의 전계 강도가 최대가 되는 위치를 P1, 상기 기지국 A로부터의 전계 강도가 최대로 되는 위치를 P2라 하자. 또한, 사전의 실험에 의해 상기 위치 P1, P2에서 얻어진 전계 강도의 최대값이 (K + α)였다고 하자. 이하,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에서는, 실험 결과로서 얻어진 전계 강도의 최대값 (K + α)로부터 소정값 α만큼 낮은 값 K가, 후술하는 핸드 오버 처리에 있어서 다음 기지국의 선택을 개시하기 위한 판단 지표로서 사용되는 상한 임계값으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상기 상한 임계값 K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이 통신 확립 중의 기지국에 근접함으로써 전계 강도가 최대값 근방에 도달한 것을 판단하기 위한 값으로서 설정된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한 임계값 K는 -58[dBm]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한 임계값 K는 상기 제어 장치(13) 내의 기억 장치에 미리 기억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서 참조된다. 또한, 여기서는 상기 상한 임계값 K가 일률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상기 상한 임계값 K는, 미리 상기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마다 대응하여 개별로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이하, 도3의 흐름도를 따라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의 제어 장치(13)에 의해 실행되는 핸드 오버 처리의 순서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3 중 S1, S2,…은 처리 순서(스텝)의 번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당해 핸드 오버 처리의 각 공정을 실행하는 무선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당해 핸드 오버 처리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Y)과 상기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 중 어느 하나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이 확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 장치(13)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처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기지국은, 예를 들어 그 시점에서 가장 전계 강도가 높은 기지국이다. 그 후,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에서는, 당해 핸드 오버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상기 차량(1)의 이동에 수반하여 무선 통신의 확립처의 기지국이 상기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로 순차 절환된다. 이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X)에서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의 카메라(12)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상기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 중 어느 하나에 송신되어,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관리 유닛(3)에 전송된다.
(스텝 S1 내지 스텝 S2)
상기 제어 장치(13)는 상기 전계 강도 측정 기능에 의해, 계속적으로 혹은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마다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를 측정한다(스텝 S1). 여기서, 이러한 측정 처리를 실행할 때의 상기 제어 장치(13)가 제1 전계 강도 측정 수단에 상당한다. 여기서 측정되는 전계 강도는 소정 기간마다의 평균값이라도 좋다.
다음에, 스텝 S2에서는, 상기 제어 장치(13)는 상기 스텝 S1에서 측정된 전계 강도가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상기 상한 임계값 K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스텝 S1에서 측정된 전계 강도가 상기 상한 임계값 K 이상이라 판단된 경우에는(S2의 '예'측),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이 통신 중의 기지국에 접근하였다고 판단되어, 처리는 스텝 S3으로 이행한다.
또한, 상기 스텝 S2에 있어서, 상기 스텝 S1에서 측정된 전계 강도가 상기 상한 임계값 K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되고 있는 동안은(S2의 '아니오'측), 상기 스텝 S1 내지 스텝 S2의 처리가 반복해서 실행된다. 따라서,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가 상기 상한 임계값 K 이상이 될 때까지의 동안은, 그 기지국을 제외한 기지국의 전계 강도의 측정이 행해지지 않는다. 그로 인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의 통상의 무선 통신에서는, 상기 안테나(11)만을 사용하여 상기 카메라(12)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 등의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스텝 S3 내지 스텝 S5)
스텝 S3에서는, 상기 제어 장치(13)가 상기 전계 강도 측정 기능에 의해, 상기 궤도(L) 상에 설치된 복수의 기지국 중 통신 가능한 기지국 각각과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를 소정 시간(예를 들어 10 ms)마다 측정하는 샘플링 처리를 개시한다. 또한, 통신 가능한 기지국은 주파수 스캔에 의해 판정된다.
이 샘플링 처리는 스텝 S4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3)가 미리 설정된 샘플링 시간 t1(예를 들어 200 ms 내지 250 ms)이 경과하였다고 판단할 때까지 실행된다(S4의 '아니오'측). 그리고, 상기 제어 장치(13)는 스텝 S4에 있어서 샘플링 시간 t1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S4의 '예'측), 처리는 스텝 S5로 이행한다.
다음 스텝 S5에서, 상기 제어 장치(13)는 상기 스텝 S3 내지 스텝 S4에서 실행된 샘플링 처리에 의해 얻어진 기지국 각각의 전계 강도를 기초로 하여, 그 기지국마다 샘플링 시간 t1 동안의 전계 강도의 평균값을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스텝 S3 내지 스텝 S5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통신 가능한 기지국마다의 전계 강도를 측정할 때의 상기 제어 장치(13)가 제2 전계 강도 측정 수단에 상당한다. 또한, 여기서는 전파 전반 환경의 순간적인 변화에 의한 전계 강도의 변화를 고려하여 평균값을 이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텝 S6 내지 스텝 S7)
그리고, 스텝 S6에서는, 상기 제어 장치(13)가 상기 스텝 S5에서 산출된 전계 강도의 평균값의 상위 2개의 기지국이,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기지국의 후보로서 선택된다. 여기서, 이러한 처리를 실행할 때의 상기 제어 장치(13)가 후 보 선택 수단에 상당한다.
다음에, 스텝 S7에서는, 상기 제어 장치(13)가 상기 스텝 S6에서 선택된 2개의 기지국 각각과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를 소정 시간(예를 들어 10 ms)마다 측정하는 샘플링 처리를 개시한다. 이 샘플링 처리는 스텝 S8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3)가 미리 설정된 샘플링 시간 t2(예를 들어 800 ms 내지 1 s)가 경과하였다고 판단할 때까지 실행된다(S8의 '아니오'측). 여기서, 당해 핸드 오버 처리에서는, 상기 스텝 S6에서 전계 강도가 상위 2개의 기지국으로 후보가 좁혀져 있으므로, 상기 스텝 S7 내지 스텝 S8에서는 단시간에 많은 측정 결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스텝 S8에 있어서 샘플링 시간 t2가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S8의 '예'측), 처리는 스텝 S9로 이행한다.
(스텝 S9)
스텝 S9에서는, 상기 제어 장치(13)는 상기 스텝 S7 내지 스텝 S8에서 실행된 샘플링 처리에 의해 얻어진 2개의 기지국 각각의 전계 강도를 기초로 하여, 그 기지국마다 샘플링 시간 t2 사이의 전계 강도의 분산값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산값은 하기의 수학식1을 기초로 하여 산출된다. 여기서, 이러한 분산값의 측정을 행할 때의 상기 제어 장치(13)가 분산값 측정 수단에 상당한다. 또한, RSSI(t)는 전계 강도, AVR은 전계 강도의 평균치, V는 분산값이다.
Figure 112008088791926-PAT00001
(스텝 S10 내지 스텝 S11)
그리고, 스텝 S10에서는, 상기 제어 장치(13)에 의해 상기 S6에서 선택된 2개의 기지국 중, 상기 스텝 S9에서 산출된 분산값(V)이 낮은 쪽의 기지국이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이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기지국으로서 선택된다. 이와 같이, 당해 핸드 오버 처리에서는, 상기 제어 장치(13)가 상기 스텝 S1에서 측정된 전계 강도가 상기 상한 임계값 K 이상인 경우에, 통신 가능한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하여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기지국을 선택한다. 여기서, 이러한 선택 처리를 실행할 때의 상기 제어 장치(13)가 제1 기지국 선택 수단에 상당한다. 또한, 상한 임계값이 상기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마다 대응하여 개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 장치(13)는 상기 스텝 S1에서 측정된 전계 강도가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S2의 '예'측),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기지국의 선택을 개시한다(S3 이후).
그 후, 스텝 S11에서는, 상기 제어 장치(13)가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스텝 S10에서 선택된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할 기지국으로 통신처를 절환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이러한 절환 처리를 실행할 때의 상기 제어 장치(13)가 제1 기지국 절환 수단에 상당한다. 이에 의해, 상 기 무선 통신 단말(Y)과 상기 스텝 S10에서 선택된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이 확립된다. 이때, 상기 스텝 S10에 있어서,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이 계속된다. 또한, 상기 스텝 S11 이후, 처리는 스텝 S1에 복귀되어, 당해 핸드 오버 처리가 반복해서 실행된다.
이하, 도4를 이용하여 도3을 참조하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X)에 있어서 상기 핸드 오버 처리가 실행된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의 무선 통신에서 얻어지는 전계 강도의 천이에 대해 설명하여, 본 발명의 이해에 이바지한다. 여기서, 도4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Y)과 상기 기지국 A의 무선 통신이 확립된 상태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이 탑재된 상기 차량(1)이 이동한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에서 얻어지는 통신 확립 중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전계 강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상기 무선 통신 단말(Y)과 상기 기지국 A 사이에서 무선 통신이 확립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이 상기 기지국 A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기지국 A와의 무선 통신에서 얻어지는 전계 강도의 측정 결과는 서서히 상승한다(도4의 이점 쇄선 A 참조).
그 후,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이 도1에 나타내는 상기 위치 P1에 도달하는 시점 T1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에서 측정되는 전계 강도는 상기 상한 임계값 K 이상이 된다(도3의 스텝 S2의 '예'측).
그로 인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은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할 기지국을 선택하기 위한 처리를 개시한다(도3의 스텝 S3 내지 스텝 S10). 그리고, 상기 기지국 A의 전계 강도가 급격하게 저하되기 시작해서 그 분산값이 커지면,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할 기지국인 상기 기지국 B가 선택된다. 이에 의해,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선택이 행해진 시점 T2에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의 무선 통신의 확립처가 상기 기지국 B로 절환된다(도4의 이점 쇄선 B 참조).
또한, 그 후, 마찬가지로 상기 무선 통신 단말(Y)과 상기 기지국 B의 무선 통신이 확립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이 상기 기지국 B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기지국 B와의 무선 통신에서 얻어지는 전계 강도의 측정 결과가 서서히 상승한다(도4의 이점 쇄선 B 참조). 그리고,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이 도1에 나타내는 상기 위치 P2에 도달하는 시점 T3에서, 전계 강도가 상기 상한 임계값 K 이상이 된다. 이에 의해,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할 기지국의 선택이 개시되고, 상기 기지국 C가 선택된다. 그리고, 그 선택이 행해진 시점 T4에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의 무선 통신의 확립처가 상기 기지국 C로 절환된다(도4의 이점 쇄선 C 참조).
또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 B의 전계 강도가 상기 상한 임계값 K 이상에 도달한 후, 순조롭게 추이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 B의 전계 강도의 분산값이 작아, 바로 다음 기지국 C로의 절환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결국 그 후, 상기 기지국 B의 전계 강도가 급격하게 저하되기 시작하면, 그 시점에서 상기 기지국 B의 전계 강도의 분산값이 커지므로, 다음 기지국 C로의 절환이 행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X)에서는, 통신 확립 중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전계 강도가 상기 상한 임계값 K 이상에 도달한 것을 조건으로, 다음에 접속하는 기지국의 선택이 개시된다. 그로 인해, 통신 확립 중의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가 급격하게 저하되기 전에,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할 기지국으로의 절환이 행해진다. 따라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X)에서는, 상기 기지국 A로부터 상기 기지국 B로의 절환시나, 상기 기지국 B로부터 상기 기지국 C로의 절환시 등, 기지국을 절환할 때의 무선 통신의 도중 끊김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점, 종래 시스템에서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 중의 기지국의 전계 강도가 급격하게 저하된 후에 절환이 행해지므로, 그 절환시에 무선 통신이 도중에 끊길 우려가 있었다.
그런데, 상기 핸드 오버 처리에서는, 상기 스텝 S6에서 2개의 기지국으로 후보를 줄인 후, 그 2개의 기지국에 대한 전계 강도의 분산값을 측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스텝 S3 내지 스텝 S4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의 샘플링을 상기 샘플링 시간 t1 + 상기 샘플링 시간 t2 동안 실행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샘플링 시간 t1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하여 통신 가능한 기지국 각각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그 후, 그 평균값이 상위 2개의 기지국에 대한 상기 샘플링 시간 t2의 측정 결과를 기초로 하여 분산값을 산출하면 된다. 또한, 이때, 상기 샘플링 시간 t1은 상기 샘플링 시간 t2의 4배 정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예]
여기서, 도5는 상기 핸드 오버 처리(도3 참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제1 실시예에서는, 도5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상기 핸드 오버 처리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3에 나타낸 핸드 오버 처리와 같은 처리 순서에는 동일한 처리 순서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5에서 통신 가능한 기지국마다 전계 강도의 평균값이 측정될 때까지의 처리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핸드 오버 처리(도3 참조)와 같다.
그러나, 본 제1 실시예에 관한 핸드 오버 처리에서는,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텝 S5에 이어지는 스텝 S2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3)는 상기 스텝 S5에서 측정된 통신 가능한 기지국마다의 전계 강도의 평균값을 기초로 하여, 상기 평균값이 상위로부터 2번째인 기지국을 선택한다. 여기서, 이러한 선택 처리를 실행할 때의 상기 제어 장치(13)는 상기 제1 기지국 선택 수단의 일례이다. 그리고, 상기 스텝 S11에서는, 상기 스텝 S21에서 선택된 기지국으로의 절환이 행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 단말(Y)과 상기 기지국 A의 무선 통신이 확립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통신의 전계 강도가 상기 상한 임계값 K 이상에 도달한 경우에, 그 시점에서 통신 가능한 기지국 중에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에서 얻어지는 전계 강도가 2번째로 높은 기지국이 선택되어 접속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의 전계 강도가 상기 상한 임계값 K 이상에 도달한 직후에,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할 기지국으로 절환 되므로, 상기 무선 통신 단말(Y)과 상기 기지국 A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가 급격하게 저하되기 전에, 다음 기지국 B로의 절환을 행할 수 있고, 그 절환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의 도중 끊김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여기서, 도6은 핸드 오버 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7 및 도8은 핸드 오버 처리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제2 실시예에서는, 도6 내지 도8을 사용하여, 상기 핸드 오버 처리(도3, 도5 참조)의 또 다른 개량 점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3, 도5에 나타낸 핸드 오버 처리와 같은 처리 순서에는 같은 처리 순서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X)에서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Y) 및 상기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에 설치된 상기 안테나(11), 상기 안테나(21), 그 밖의 주변 기기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열화나, 상기 차량(1)이 주행하는 상기 궤도(L) 주변의 환경 변화 등이, 상기 무선 통신 단말(Y)과 상기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와의 사이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에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상기 궤도(L) 주변에 건조물이 있는 경우에는, 그 건조물이 무선 통신의 장해가 되는 경우가 있다. 그로 인해, 상기 궤도(L) 주변에 새롭게 건조물이 세워진 경우나 건조물이 철거된 경우에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Y)과 상기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와의 사이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가 변화된다.
따라서, 상기 핸드 오버 처리의 상기 스텝 S2에 있어서, 항상 일정한 상한 임계값 K를 지표로 하여 기지국의 절환 개시 타이밍을 판단하면, 상기 무선 통신 단말(Y)과 상기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와의 사이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가 상기 상한 임계값 K 이상에 도달하는 타이밍이 변화된다. 혹은, 상기 무선 통신 단말(Y)과 상기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와의 사이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가 상기 상한 임계값 K 이상으로 달하지 않은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기지국의 절환 개시 타이밍을 적절한 타이밍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당해 무선 통신 시스템(X)의 관리자 등이 정기적으로 상기 무선 통신 단말(Y)과 상기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와의 사이의 무선 통신 환경의 해석 등을 행하여, 상기 상한 임계값 K를 설정 변경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정기적으로 이들 작업을 행하는 것은 관리자 등에게 있어서 매우 수고스럽다.
그래서, 본 제2 실시예에 관한 핸드 오버 처리(도6의 흐름도 참조)에서는, 도3을 이용하여 설명한 상술한 핸드 오버 처리에 더하여, 후술하는 스텝 S31 내지 스텝 S33 및 스텝 S41 내지 스텝 S43의 처리 순서가 상기 제어 장치(13)에 의해 실행된다. 이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에서는, 현 상태의 상기 무선 통신 단말(Y)과 상기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와의 사이의 무선 통신 환경에 따라서, 기지국의 절환 타이밍을 판단하기 위한 상한 임계값이 자동적으로 설정 변경된다. 또한, 도5를 이용하여 설명한 상술한 핸드 오버 처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스텝 S31 내지 스텝 S33 및 스텝 S41 내지 스텝 S43의 처리 순서를 추가하면 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여기서 설명하는 스텝 S31 내지 스텝 S33 및 스텝 S41 내지 스텝 S43의 처리 순서는, 상기 제어 장치(13)와는 별도로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에 설치된 다른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어도 상관없다.
우선, 전제로서, 본 제2 실시예에 관한 핸드 오버 처리를 실행하는 상기 제어 장치(13)에서는,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기지국의 선택을 개시하는 타이밍을 판단하기 위한 상한 임계값이 상기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마다 미리 설정되어 있다. 상기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마다 설정된 상한 임계값 각각은 상기 제어 장치(13) 내의 기억 장치에 미리 기억되어 있고, 상기 제어 장치(13)는 상기 상한 임계값 각각을 필요에 따라서 참조하거나 혹은 변경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장치(13)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텝 S2에 상당하는 스텝 S2'에 있어서 상기 상한 임계값을 참조하여, 상기 스텝 S1에서 측정된 전계 강도가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상한 임계값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에(S2'의 '예'측), 처리를 상기 스텝 S3으로 이행시키고,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기지국의 선택을 개시한다(S3 이후).
한편, 상기 스텝 S2에 있어서, 상기 스텝 S1에서 측정된 전계 강도가 상한 임계값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S2의 '아니오'측), 상기 제어 장치(13)는 처리를 스텝 S31로 이행시킨다.
(스텝 S31)
스텝 S31에서는, 상기 제어 장치(13)는 현재 확립되어 있는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가 미리 설정된 강제 절환 설정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강제 절환 설정값은,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으로부터 다음 기지국으로의 절환을 강제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판단 지표로서 미리 정해진 전계 강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강제 절환 설정값은 상기 무선 통신 단말(Y)과 상기 기지국 사이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가 상기 상한 임계값에 도달하지 않고 저하되었으므로 기지국의 절환이 행해지지 않고, 현재의 기지국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을 계속할 수 없게 될 우려가 발생한 경우에, 무선 통신의 확립처를 다음 기지국으로 절환하여 무선 통신을 계속해서 행하기 위해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스텝 S31에 있어서, 현재 확립되어 있는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가 상기 강제 절환 설정값 이하라고 판단되면(S31의 '예'측), 처리는 스텝 S32로 이행된다. 또한, 상기 강제 절환 설정값 이하가 아니라고 판단되고 있는 동안은(S31의 '아니오'측), 처리는 상기 스텝 S1로 복귀된다.
(스텝 S32)
스텝 S32에서는, 상기 제어 장치(13)는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으로부터 다음 기지국으로의 절환을 강제적으로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장치(13)는 현재 통신 가능한 기지국 각각의 전계 강도를 샘플링하여, 그중에서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기지국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기지국으로 무선 통신의 확립처를 절환한다. 여기서, 이러한 처리를 실행할 때의 상기 제어 장치(13)가 제2 기지국 선택 수단 및 제2 기지국 절환 수단에 상당한다. 또한, 상기 선택 처리나 상기 절환 처리는 상기 스텝 S3 내지 스텝 S11과 동등한 순서로 행해져도 좋다. 또한,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스위치백 현상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으므로, 현 상태에 전계 강도가 가장 높은 기지국을 선택하여, 그 기지국으로 즉시 절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스텝 S33)
상기 스텝 S32에 있어서 기지국이 절환된 경우, 이어지는 스텝 S33에서는, 상기 제어 장치(13)는 상위 스텝 S32에 있어서의 절환 전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한 임계값을 현 상태보다도 낮은 값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이러한 설정 처리를 실행할 때의 상기 제어 장치(13)가 상한 임계값 하향 수정 설정 수단에 상당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장치(13)는, 상기 스텝 S1에 있어서 측정되고 있던 당해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의 피크값보다도 소정값만큼 낮은 값을 새로운 상한 임계값으로서 설정한다. 또한, 상기 피크값을 상한 임계값으로서 설정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다음에 당해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이 행해졌을 때에, 상기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를 확실하게 상기 상한 임계값 이상으로 도달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피크값보다도 다소 낮은 값으로 설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13)에 의해 실행되는 당해 스텝 S33에 있어서의 상한 임계값의 설정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현 상태의 상한 임계값으로부터 소정값을 감산한 값을 새로운 상한 임계값으로서 설정하는 것 등도 다른 실시예로서 생각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텝 S31 내지 스텝 S33이 실행됨으로써 상기 상한 임계값이 변경되면, 다음에 상기 상한 임계값이 변경된 기지국과 상기 무선 통신 단말(Y) 사이에서 무선 통신이 확립된 경우는, 상기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가 상기 상한 임계값 이상에 도달하는 것이므로, 상기 스텝 S2'에 있어서 처리를 스텝 S3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X)에서는, 기지국의 절환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의 도중 끊김을 방지할 수 있다.
(스텝 S41)
한편, 상기 스텝 S2'에 있어서, 현재 확립되어 있는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가 그 무선 통신의 확립처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한 임계값 이상이라 판단된 경우에는(S2'의 '예'측), 이어지는 상기 스텝 S3 내지 스텝 S11에 의해 무선 통신의 확립처의 기지국의 절환이 행해진다.
단, 상기 스텝 S11에서 무선 통신의 확립처의 기지국이 절환되었을 때, 다음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가 지나치게 낮은 경우에는, 기지국의 절환 타이밍이 너무 빨랐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제2 실시예에 관한 상기 핸드 오버 처리에서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텝 S11에서 기지국이 절환된 경우, 상기 제어 장치(13)에 의해 이하의 스텝 S41 내지 스텝 S43의 처리 순서가 실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장치(13)는, 스텝 S41에 있어서 상기 스텝 S11에 있어서의 절환 후의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를 측정한다. 여기서, 이러한 처리를 실행할 때의 상기 제어 장치(13)가 제3 전계 강도 측정 수단에 상당한다.
(스텝 S42)
그리고, 상기 제어 장치(13)는 다음의 스텝 S42에 있어서, 상기 스텝 S41에서 측정된 전계 강도가 미리 설정된 하한 임계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 서, 상기 하한 임계값은 다음 기지국으로의 절환의 타이밍이 너무 빨랐던 것을 검출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값이다. 또한, 상기 하한 임계값은, 상기 스텝 S11에서 다음 기지국으로의 절환이 행해지기 직전에 행해지고 있던 앞의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로부터 소정값을 감산한 값이라도 좋다.
여기서, 상기 하한 임계값 이하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S42의 '아니오'측), 상기 제어 장치(13)는 상기 스텝 S11에 있어서의 절환 전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한 임계값이 적절하였다고 판단하여, 처리를 상기 스텝 S1로 복귀시킨다.
그러나, 상기 스텝 S42에 있어서, 상기 하한 임계값 이하라고 판단된 경우에는(S42의 '예'측), 상기 제어 장치(13)는 상기 스텝 S11에 있어서의 절환 전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한 임계값이 적절하게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이라고 판단하여, 처리를 스텝 S43으로 이행한다.
(스텝 S43)
스텝 S43에서는, 상기 제어 장치(13)는 상기 스텝 S11에 있어서의 절환 전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상한 임계값을 현 상태보다도 높게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장치(13)는 상기 스텝 S11에 있어서의 절환 전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상한 임계값을 현 상태의 상기 상한 임계값보다도 소정값만큼 높은 값을 새로운 상한 임계값으로서 설정한다. 여기서, 이러한 설정 처리를 실행할 때의 상기 제어 장치(13)가 상한 임계값 상향 수정 설정 수단에 상당한다. 또한, 상기 상한 임계값에 가산되는 상기 소정값은,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고정값인 것이나, 상기 상한 임계값의 소정 비율인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스텝 S41 내지 스텝 S43이 실행됨으로써 상기 상한 임계값이 변경되면, 다음에 상기 상한 임계값이 변경된 기지국과 상기 무선 통신 단말(Y) 사이에서 무선 통신이 확립된 경우에는, 상기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가 상기 상한 임계값 이상에 도달하는 타이밍을 늦출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X)에서는, 기지국을 절환한 직후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가 지나치게 낮다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드 오버 처리(도6 참조)에서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의 무선 통신의 확립처의 기지국을 절환하는 타이밍이 너무 빠른 경우에는 상기 상한 임계값이 현 상태보다도 높게 설정되고(S43), 너무 늦은 경우에는 상기 상한 임계값이 현 상태보다도 낮게 설정된다(S33). 즉,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에서는, 상기 기지국 각각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에 대한 환경을 고려하여 상기 상한 임계값이 적절하게 갱신된다.
따라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에서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Y)과 상기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 각각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에 대한 환경이 변화된 경우에도, 그 변화에 추종하여 갱신되는 상기 상한 임계값을 기초로 하여, 통신처의 기지국의 절환을 적절한 타이밍에서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의 관리자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Y)과 상기 기지국 각각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에 대한 환경이 변화되는 것을 고려하여 정기적으로 상기 상한 임계값을 변경하기 위한 유지 보수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어, 시스템 관리의 수고를 줄일 수 있다.
이하, 도7 및 도8을 참조하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X)에 있어서 상기 핸드 오버 처리(도6 참조)가 실행된 경우의 결과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에 이바지한다.
여기서, 도7 및 도8은 상기 무선 통신 단말(Y)과 상기 기지국 A의 무선 통신이 확립된 상태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이 탑재된 상기 차량(1)이 상기 궤도(L) 상을 이동한 경우의 전계 강도의 천이 및 기지국의 절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도7은 상기 기지국 A에 대응하는 상한 임계값이 Q(A), 상기 기지국 B에 대응하는 상한 임계값이 Q(B), 상기 기지국 C에 대응하는 상한 임계값이 Q(C)에 미리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1)이 이동한 경우의 전계 강도의 천이 및 기지국의 절환 위치 P21 내지 P23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8은 도7의 상태에서 상기 차량(1)이 상기 궤도(L) 상을 이동하고 있을 때에 상기 핸드 오버 처리(도6 참조)가 실행되고, 상기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 각각에 대응하는 상한 임계값 Q(A), Q(B), Q(C)가 Q'(A), Q'(B), Q'(C)로 변경 설정된 후, 다시 상기 차량(1)이 상기 궤도(L) 상을 이동한 경우의 전계 강도의 천이 및 기지국의 절환 위치 P31 내지 P33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7 및 도8에 나타내는 전계 강도(M)는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으로부터 다음 기지국으로의 절환을 강제적으로 실행할지 여부를 상기 스텝 S31에 있어서 판단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강제 절환 설정값이다. 또한, 도7 및 도8에 도시하는 전계 강도 Q(D)는 다음 기지국으로의 절환의 타이밍이 너무 빨랐는 지 여부를 상기 스텝 S42에 있어서 판단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하한 임계값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7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 단말(Y)과 상기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와의 사이의 무선 통신의 환경이 변화되어, 상기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상한 임계값 Q(A) 내지 Q(C)가 적절하지 않게 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핸드 오버 처리(도6 참조)가 실행된 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 통신 단말(Y)과 상기 기지국 A 사이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의 피크값 Q(A1)는, 상기 기지국 A에 대응하는 상기 상한 임계값 Q(A) 미만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무선 통신 단말(Y)과 상기 기지국 C 사이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의 피크값 Q(C1)는 상기 기지국 C에 대응하는 상기 상한 임계값 Q(C) 미만이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단말(Y)과 상기 기지국 B 사이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의 피크값 Q(B1)는 상기 기지국 B에 대응하는 상기 상한 임계값 Q(B)보다도 충분히 높은 값이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무선 통신 단말(Y)과 상기 기지국 A 사이에서 무선 통신이 확립된 상태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이 상기 기지국 A, B, C의 순서로 통과하도록 이동할 때에, 통신처의 기지국의 절환이 미리 상정된 적절한 타이밍에서 행해지지 않는다.
우선, 상기 무선 통신 단말(Y)과 상기 기지국 A 사이에서 무선 통신이 확립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1)이 이동하기 시작하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이 상기 기지국 A에 근접함에 따라서 전계 강도가 서서히 상승한 다. 그러나, 그 전계 강도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이 상기 기지국 A에 근접해도 상기 상한 임계값 Q(A) 이상에 도달하지 않고, 상기 상한 임계값 Q(A)보다도 낮은 피크값 Q(A1)에 도달한 후, 저하된다.
그로 인해, 상기 핸드 오버 처리(도6 참조)에 있어서의 상기 스텝 S2'에서는, 상기 상한 임계값 Q(A) 이상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차량(1)이 다시 이동하여 상기 기지국 A를 통과하여 위치 P21에 도달하면, 전계 강도가 상기 강제 절환 설정값 M 이하에 도달하므로(S31의 '예'측), 통신처의 기지국이 기지국 A로부터 기지국 B로 절환된다(S32). 이 경우에는, 상기 피크값 Q(A1) 근방에 도달한 타이밍, 즉 적절한 절환 타이밍보다도 느린 타이밍에서, 기지국을 절환하기 위한 처리가 개시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 장치(13)는 상기 기지국 A에 대응하는 상한 임계값 Q(A)를 상기 피크값 Q(A1)보다 소정값만큼 낮은 상한 임계값 Q'(A)로 변경한다(S33).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장치(13)는 상한 임계값 Q(A)가 -52 dBm, 피크값 Q(A1)가 -56 dBm인 경우, 새로운 상한 임계값 Q'(A)를 피크값 Q(A1)보다도 2 dBm만큼 낮게, 상한 임계값 Q(A)보다도 6 dBm만큼 낮은 -58 dBm으로 설정한다.
다음에, 상기 무선 통신 단말(Y)과 상기 기지국 B 사이에서 무선 통신이 확립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1)이 이동하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이 상기 기지국 B에 근접함에 따라서 전계 강도가 서서히 상승한다. 그러나, 그 전계 강도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Y)과 상기 기지국 B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의 피크값 Q(B1) 근방에 도달하기보다도 전에, 상기 상한 임계값 Q(B) 이상에 도달한다.
그로 인해, 상기 핸드 오버 처리(도6 참조)에 있어서의 상기 스텝 S2'에서는 상기 상한 임계값 Q(A) 이상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고(S2'의 '예'측), 그 후, 상기 스텝 S3 이후의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통신처의 기지국이 기지국 B로부터 기지국 C로 절환된다(S11).
이 경우에는, 상기 피크값 Q(B1) 근방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타이밍, 즉 적절한 절환 타이밍보다도 빠른 타이밍에서 기지국을 절환하기 위한 처리가 개시되어 있게 된다. 그로 인해, 상기 기지국 C로 절환된 위치 P22에서는, 상기 기지국 C와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는 상기 하한 임계값 M 이하가 된다.
따라서, 상기 스텝 S42에서는, 절환된 후의 기지국 C와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가 상기 하한 임계값 M 이하라고 판단되고(S42의 '예'측), 이어지는 상기 스텝 S43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3)가 상기 기지국 B에 대응하는 상한 임계값 Q(B)를, 상기 상한 임계값 Q(B)보다도 소정값만큼 낮은 상한 임계값 Q'(B)로 변경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장치(13)는 상한 임계값 Q(B)가 -60 dBm인 경우, 새로운 상한 임계값 Q'(B)를 상한 임계값 Q(B)보다도 1 dBm만큼 높은 -59 dBm로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Y)과 상기 기지국 B의 무선 통신은, 그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가 실제의 피크값에 도달하기 전으로 절환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실제의 전계 강도의 피크값은 불분명하다. 그로 인해, 상기 상한 임계값 Q'(B)를 설정할 때에 그 값을 너무 높게 하면, 상기 상한 임계값 Q'(B)가 피크값 Q(B)를 초과하여 설정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상한 임계값 Q(B)로부터 상기 상한 임계값 Q'(B)로의 상승폭은 작은 값(여기서는 1 dBm)으로 설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도, 상기 핸드 오버 처리(도6 참조)가 반복해서 실행됨으로써, 상기 기지국 B에 대응하는 상한 임계값은 서서히 상기 피크값 Q(B1) 근방의 적절한 값으로 수렴시킬 수 있다.
그 후, 상기 무선 통신 단말(Y)에서는, 상기 기지국 C와의 사이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도 상기 기지국 A와의 무선 통신이 행해지고 있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차량(1)이 상기 기지국 C를 통과한 위치 P23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C로부터 다음 기지국(도시 생략)으로 절환되고, 상기 상한 임계값 Q(C)가 피크값 Q(C1)보다도 소정값만큼 낮은 상한 임계값 Q'(C)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장치(13)는 상한 임계값 Q(C)가 -52 dBm, 피크값 Q(C1)가 -55 dBm인 경우, 새로운 상한 임계값 Q'(C)를 피크값 Q(C1)보다도 2 dBm만큼 낮게, 상한 임계값 Q(C)보다도 5 dBm만큼 낮은 -57 dBm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상기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 각각에 대응하는 상한 임계값 Q'(A) 내지 Q'(C)가 새롭게 설정되면, 다음에 상기 차량(1)이 마찬가지로 이동할 때에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의 확립처의 기지국의 절환을 도7에 도시한 경우에 비해 적절한 타이밍에서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8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기지국 A를 기지국 B로 절환하기 위한 처리(S3 내지 스텝 S11)는, 전계 강도가 피크값 Q(A1) 근방에 설정된 상기 상한 임계값 Q'(A)에 도달한 시점에서 개시되어, 전계 강도가 급격하게 저하되기 시 작한 위치 P31에 있어서 기지국의 절환이 행해진다.
또한, 기지국 B를 기지국 C로 절환하기 위한 처리(S3 내지 스텝 S11)는, 전계 강도가 상한 임계값 Q(B)보다도 높은 상한 임계값 Q'(B)에 도달한 시점에서 개시되므로, 도7의 위치 P22보다도 느린 위치 P32에 있어서 기지국의 절환이 행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한 임계값 Q'는 상기 핸드 오버 처리(도6 참조)가 반복해서 실행됨으로써, 어느 상기 피크 값 Q(B) 근방의 값에 수렴한다.
또한, 기지국 C를 다음 기지국(도시하지 않음)으로 절환하기 위한 처리(S3 내지 스텝 S11)는, 전계 강도가 피크값 Q(C1) 근방으로 설정된 상한 임계값 Q'(C)에 도달한 시점에서 개시되어, 전계 강도가 급격하게 저하되기 시작하는 위치 P33에 있어서 기지국의 절환이 행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X)에서는, 무선 통신 단말(Y)에 의해 상기 핸드 오버 처리(도6 참조)가 실행됨으로써, 상기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 각각과의 무선 통신의 상황에 따라서 상기 기지국 A 내지 기지국 C 각각에 대응하는 상한 임계값이 자동적으로 갱신되므로, 통신처의 기지국의 절환 타이밍을 장기적으로 적절한 타이밍으로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X)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무선 통신 단말(Y)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무선 통신 단말(Y)이 실행하는 핸드 오버 처리의 순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무선 통신 단말(Y)이 실행하는 핸드 오버 처리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핸드 오버 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6은 핸드 오버 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7은 핸드 오버 처리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핸드 오버 처리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는 특허 문헌 1의 도3을 인용한 도면.
도10은 무선 통신 시스템(X)에 있어서 전계 강도가 하한 임계값 K1 이하가 되었을 때에 다음 기지국의 선택을 개시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내지 C : 기지국
X : 무선 통신 시스템
Y : 무선 통신 단말
1 : 차량
11, 21, 22 : 안테나 유닛
11a, 11b : 안테나 소자
12 : 카메라
13 : 무선 통신 제어 장치
23, 24 : 무선 통신 유닛
3 : 관리 유닛

Claims (13)

  1. 미리 정해진 이동 경로를 따라 소정 간격마다 배치되고,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당해 무선 통신 단말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 기지국용 지향성 안테나를 구비하는 복수의 기지국 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단말이며,
    당해 무선 통신 단말의 이동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 이동용 지향성 안테나와,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를 측정하는 제1 전계 강도 측정 수단과,
    상기 제1 전계 강도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전계 강도가 미리 설정된 상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기지국의 선택을 개시하는 제1 기지국 선택 수단과,
    상기 제1 기지국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기지국으로 무선 통신의 확립처를 절환하는 제1 기지국 절환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통신 가능한 기지국 각각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를 측정하는 제2 전계 강도 측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기지국 선택 수단이 상기 제2 전계 강도 측정 수단에 의한 측정 결과를 기초로 하여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기지국을 선택하는 것인 무선 통신 단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계 강도 측정 수단 및/또는 상기 제2 전계 강도 측정 수단이 소정 기간 내의 전계 강도의 평균값을 측정하는 것인 무선 통신 단말.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지국 중 상기 제2 전계 강도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전계 강도의 상위 2개의 기지국을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기지국의 후보로서 선택하는 후보 선택 수단과, 상기 후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2개의 기지국 각각과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의 소정 기간 내의 분산값을 측정하는 분산값 측정 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기지국 선택 수단이 상기 후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2개의 기지국 중 상기 분산값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전계 강도의 분산값이 작은 쪽의 기지국을 선택하는 것인 무선 통신 단말.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 선택 수단이 상기 제2 전계 강도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전계 강도가 상위로부터 2번째의 기지국을 선택하는 것인 무선 통신 단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한 임계값이 복수의 상기 기지국마다 대응하여 미리 설정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기지국 선택 수단이, 상기 제1 전계 강도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전계 강도가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상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기지국의 선택을 개시하여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 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계 강도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전계 강도가 미리 설정된 강제 절환 설정값 이하인 경우에,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기지국의 선택을 개시하는 제2 기지국 선택 수단과,
    상기 제2 기지국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기지국으로 무선 통신의 확립처를 절환하는 제2 기지국 절환 수단과,
    상기 제2 기지국 절환 수단에 의해 기지국이 절환된 경우에, 상기 절환 전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상한 임계값을 현 상태보다도 낮은 값으로 설정하는 상한 임계값 하향 수정 설정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 단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한 임계값 하향 수정 설정 수단이 상기 제2 기지국 절환 수단에 의한 절환 전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상한 임계값을, 상기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의 피크값, 또는 상기 피크값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소정값만큼 낮은 값으로 설정하는 것인 무선 통신 단말.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 절환 수단에 의해 기지국이 절환된 경우에, 상기 절환 후의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를 측정하는 제3 전계 강도 측정 수단과,
    상기 제1 기지국 절환 수단에 의해 기지국이 절환되었을 때에 상기 제3 전계 강도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전계 강도가 미리 설정된 하한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제1 기지국 절환 수단에 의한 절환 전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상한 임계값을 현 상태보다도 높은 값으로 설정하는 상한 임계값 상향 수정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한 임계값 상향 수정 설정 수단이 상기 제1 기지국 절환 수단에 의한 절환 전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상한 임계값을 현 상태의 상기 상한 임계값보다도 미리 설정된 소정값만큼 높은 값으로 설정하는 것인 무선 통신 단말.
  11. 미리 정해진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무선 통신 단말과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기지국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무선 통신 단말과 복수의 상기 기지국 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며,
    상기 기지국 각각이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지향 성을 갖는 기지국용 지향성 안테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당해 무선 통신 단말의 이동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 이동용 지향성 안테나와,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를 측정하는 제1 전계 강도 측정 수단과, 상기 제1 전계 강도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전계 강도가 미리 설정된 상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기지국의 선택을 개시하는 제1 기지국 선택 수단과, 상기 제1 기지국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기지국으로 무선 통신의 확립처를 절환하는 제1 기지국 절환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한 임계값이 복수의 상기 기지국마다 대응하여 미리 설정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기지국 선택 수단이 상기 제1 전계 강도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전계 강도가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상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기지국의 선택을 개시하는 것이며,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상기 제1 전계 강도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전계 강도가 미리 설정된 강제 절환 설정값 이하인 경우에,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기지국의 선택을 개시하는 제2 기지국 선택 수단과, 상기 제2 기지국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기지국으로 무선 통신의 확립처를 절환하는 제2 기지국 절환 수단과, 상기 제2 기지국 절환 수 단에 의해 기지국이 절환된 경우에 상기 절환 전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상한 임계값을 현 상태보다도 낮은 값으로 설정하는 상한 임계값 하향 수정 설정 수단과, 상기 제1 기지국 절환 수단에 의해 기지국이 절환된 경우에 상기 절환 후의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를 측정하는 제3 전계 강도 측정 수단과, 상기 제1 기지국 절환 수단에 의해 기지국이 절환되었을 때에 상기 제3 전계 강도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전계 강도가 미리 설정된 하한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제1 기지국 절환 수단에 의한 절환 전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상기 상한 임계값을 현 상태보다도 높은 값으로 설정하는 상한 임계값 상향 수정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
  13. 미리 정해진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고, 그 이동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 이동용 지향성 안테나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단말과,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지향성을 갖는 기지국용 지향성 안테나를 구비하는 복수의 기지국 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무선 통신 제어 방법이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과 현재 무선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를 측정하여, 그 측정된 전계 강도가 미리 설정된 상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다음에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기지국의 선택을 개시하고, 그 결과 선택된 기지국으로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무선 통신의 확립처를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제어 방법.
KR1020080133319A 2008-01-10 2008-12-24 무선 통신 단말,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제어 방법 KR1010241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03381 2008-01-10
JP2008003381 2008-01-10
JPJP-P-2008-304552 2008-11-28
JP2008304552A JP4928531B2 (ja) 2008-01-10 2008-11-28 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674A true KR20090077674A (ko) 2009-07-15
KR101024159B1 KR101024159B1 (ko) 2011-03-22

Family

ID=41071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319A KR101024159B1 (ko) 2008-01-10 2008-12-24 무선 통신 단말,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928531B2 (ko)
KR (1) KR1010241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167B1 (ko) * 2012-02-29 2014-01-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선로 곡선부의 효율적인 광대역 무선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후방 양방향 무선송수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6424B2 (ja) * 2010-01-07 2013-11-0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制御方法
WO2011111452A1 (ja) 2010-03-10 2011-09-15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5301616B2 (ja) * 2011-07-14 2013-09-2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ハンドオーバ方法および無線通信装置
CN103298045B (zh) * 2012-02-24 2016-08-10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控制小区重选的方法和装置
JP2015095678A (ja) * 2013-11-08 2015-05-18 富士通株式会社 通信先切替装置、通信先切替方法、及び通信先切替プログラム
JP6591233B2 (ja) * 2015-08-19 2019-10-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ならびに制御方法
JP6241895B2 (ja) * 2015-10-28 2017-12-06 公立大学法人岩手県立大学 位置推定システム、位置推定方法、プログラム
JP6777043B2 (ja) * 2017-08-03 2020-10-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遠隔操作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9861B2 (ja) * 1994-10-07 2004-05-24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列車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ゾーン切替方法及び列車無線通信装置
JPH10107721A (ja) * 1996-09-27 1998-04-24 Sumitomo Electric Ind Ltd 車載通信機
JP3001570B1 (ja) * 1999-02-22 2000-01-24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適応アンテナ指向性制御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3601767B2 (ja) * 1999-07-30 2004-12-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移動車運行制御システムと無線通信方法
JP4297568B2 (ja) * 1999-09-02 2009-07-15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制御装置および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2027521A (ja) * 2000-07-03 2002-01-25 Toyota Motor Corp 移動体通信装置
JP2006101342A (ja) * 2004-09-30 2006-04-13 Kyocera Corp 移動通信端末および移動通信端末の基地局接続先の切替判定方法
KR100737075B1 (ko) * 2005-02-18 2007-07-06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기지국 및 그 데이터 송신 방법
JP2007006351A (ja) * 2005-06-27 2007-01-11 Nec Corp 移動体無線通信方法および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167B1 (ko) * 2012-02-29 2014-01-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선로 곡선부의 효율적인 광대역 무선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후방 양방향 무선송수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4159B1 (ko) 2011-03-22
JP4928531B2 (ja) 2012-05-09
JP2009188983A (ja) 200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4159B1 (ko) 무선 통신 단말,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제어 방법
KR101631477B1 (ko) 적응적으로 단일 포인트 송/수신 및 협력 멀티 포인트 송/수신을 적용하는 통신 시스템
US8874115B2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handover between macro base station and vehicular base station
KR10072505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 결정 방법 및 장치
KR10097571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결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US8886197B2 (en) Handover measurements transmission depending on handover probability
JP4218697B2 (ja) マルチホップ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方法、移動通信端末、基地局及びハンドオーバ制御プログラム
US8351944B2 (en) Soft handover for mobile device
CN108141770B (zh) 终端移动性管理的方法、网络设备及终端
CN109275168B (zh) 优化公共运输平台上终端的切换参数设置的系统与方法
EP2919523B1 (en) Downlink-direction remote radio unit selection decision method and device
US10588067B2 (en)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connection-destination selection method
KR20060136277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결정 방법
US9578579B2 (en) Efficient measurement reporting by a user equipment (UE)
CN107302778B (zh) 一种宏基站与家庭基站间的垂直向下切换判决方法
CN111970736A (zh) 网络连接方法及装置
US9854620B2 (en) Connection setup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 moving base station based on joint movement detection
JP5336424B2 (ja) 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制御方法
CN108135017A (zh) 一种无人机漫游通信方法及装置
JP2005354448A (ja) ハンドオーバー方法
KR101436187B1 (ko) 단말기에서 수신신호 세기와 시신속도를 이용한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KR20160012952A (ko) 가시선 기반 셀 선택 방법 및 장치
CN106385698B (zh) 移动终端小区切换控制方法及装置
US20240107413A1 (en) Connection destination switching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rogram
US11533668B2 (en) Mobile station and cell-switching control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