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6156A - 닭발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닭발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6156A
KR20090076156A KR1020080001919A KR20080001919A KR20090076156A KR 20090076156 A KR20090076156 A KR 20090076156A KR 1020080001919 A KR1020080001919 A KR 1020080001919A KR 20080001919 A KR20080001919 A KR 20080001919A KR 20090076156 A KR20090076156 A KR 20090076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cken
chicken foot
foot
unit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1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0025B1 (ko
Inventor
김태한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01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0025B1/ko
Publication of KR20090076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69Deboning poultry or parts of poultry
    • A22C21/0076Deboning poultry legs and drumstick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46Suppor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53Transferring or conveying devices for poult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닭발뼈 제거장치는 닭발 공급장치부(2)와 뼈제거 장치부(4)로 구성하며, 뼈제거 장치부(4)에서는 닭발 공급장치부(2)에서 공급되는 닭발(A)에서 발목뼈 및 발가락뼈를 포함한 내부뼈를 자동으로 추출 및 제거한다.
닭발, 닭발뼈, 제거, 자동

Description

닭발뼈 제거장치{APPARATUS FOR ELIMINATING BONE IN FOOT OF CHICKEN}
본 발명은 육류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닭발뼈를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닭발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식용식품으로 쉽게 접할 수 있는 닭발에는 피부미용, 건강에 효과적인 기능성물질인 콜라겐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닭발은 우리나라에서 1일 평균 55만수 정도가 뼈를 제거시킨 살코기로서, 일명“뼈 없는 닭발”로서 복음요리, 육수용 재료 등으로 시장에 유통되고 있다. 뼈 없는 닭발의 국내 및 국외의 소비는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현재 닭발로부터 뼈를 제거시키는 작업은 거의 대부분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닭발로부터 뼈를 제거하는 작업을 기계화 및 자동화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닭발로부터 뼈를 제거하는 작업을 기계화 및 자동화할 수 있는 닭발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뼈없는 닭발을 생산하는데 있어 위생적이며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닭발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닭발의 뼈 추출 및 제거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닭발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닭발뼈 제거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닭발들을 정렬시켜서 하나씩 공급해주는 닭발공급장치부(2)와; 닭발공급장치부(2)에서 하나씩 공급되는 닭발(A)에서 발목뼈 및 발가락뼈를 포함한 내부뼈를 추출 및 제거하는 뼈 제거장치부(4)로 구성하며; 뼈 제거장치부(4)는; 제1 로더(100) 및 제2 로더(102)를 갖으며, 제1 로더(100)에 의해서 닭발 공급장치부(2)에서 처리완료된 닭발(A)과 제2 로더(102)에 의해서 닭발 새끼발가락 절단부(82)에서 작업완료된 닭발(A)을 각각 이후 진행될 작업위치로 옮겨주는 닭발 이송부(80)와, 닭발 이송부(80)의 제1 로더(100)에 의해서 닭발 공급장치부(2)에서부터 이송되어온 닭발(A)의 새끼발가락을 새끼발가락 절단구동부(112)의 커터(110)로 절단하는 닭발 새끼발가락 절단부(82)와, 닭발 이송부(80)의 제2 로더(102)에 의해서 닭발 새끼발가락 절단부(82)에서부터 이송되어온 닭발(A)을 파지작동부(122)의 파지구(120)로 파지하고, 파지구이송부(124)로 파지구(120)를 이송시키면서 닭발(A)의 발등부가 회전날작동부(126)의 회전날(128)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절개되게 하는 닭발 발목등 절개부(84)와, 닭발(A)의 절개부위를 통해서 닭발의 내부 뼈가 돌출될 수 있도록 받침레버(148)에 얹힌 닭발(A)의 발가락측 발등을 고정구(138)로 파지고정하고 파지홀더(142)로 닭발(A)의 발목부 저부살을 잡아 고정한 상태에서 받침레버(148)를 작동시키고 닭발(A)의 발목부측이 들려올려짐에 따라 푸쉬작동부(144)의 푸쉬편(146)으로 돌출 뼈를 푸쉬하여 내부 뼈(150)가 꺾어세워져 돌출되게 하는 닭발뼈 추출부(86)와, 닭발뼈 추출부(86)에 의해 돌출된 내부 뼈(150)가 회전하는 원판형 뼈 제거날(154)의 이송을 통한 컷팅으로 제거되게 하는 내부뼈 컷팅부(88)와, 뼈제거 장치부(4)의 각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주제어부(16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닭발로부터 뼈를 제거하는 작업을 기계화 및 자동화함으로써 작업의 생략화에 따른 생산원가의 절감을 도모함과 아울러 위생적인 닭발을 생산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 다.
본 발명자는 닭발의 물성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닭발뼈 제거장치를 구현하였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닭발뼈 제거장치는 닭발의 발가락부가 먼저 투입되어서 그 뼈가 제거되도록 구현한 일 예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발뼈 제거장치의 전체 구성도로서, 크게 도 1의 닭발 공급장치부(2)와 도 2의 뼈 제거장치부(4)로 구성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닭발 공급장치부(2)의 정면도이고, 도 20은 닭발(A)의 실제 사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발뼈 제거장치에서, 도 1의 닭발공급장치부(2)는 다수의 닭발들을 정렬시켜서 하나씩 자동 공급해주는 장치부이고, 도 2의 뼈제거 장치부(4)는 닭발공급장치부(2)에서 하나씩 공급되는 닭발(A)에서 발목뼈 및 발가락뼈를 포함한 내부뼈를 자동 추출 및 제거하는 장치부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닭발 공급장치부(2)는, 파츠피더(parts feeder)로 구성된 공급정렬부(10)와, 파츠피더의 말단에 형성되며 1차 이송부(14)로 공급될 닭발(A)의 공급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공급조절부(12)와, 1차 이송부(14)에 설치되며 닭발(A)의 진행 배치방향이 일정하게 되도록 방향 조절하는 제1 방향조절부(16)와, 1차 이송부(14)의 말단측까지 이송된 닭발(A)을 클램핑하고 닭발등이 위를 향하도록 회전시킨후 2차 이송부(20)의 컨베이어(20a)로 옮겨주는 이송클램프(18)와, 2차 이송부(20)에 설치되며 닭발(A)을 도 2의 뼈 제거장치부(4)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그 배치방향을 조절해주는 제2 방향조절부(22)와, 닭발 공급장치부(2)의 각부를 전 반적으로 제어하는 닭발공급 제어회로부(24)를 포함한다.
닭발공급 제어회로부(24)는 도 21에 도시된 블록도와 같이, 파츠피더구동부(50), 개폐구 구동부(52), 제1 콘베이어구동부(54), 제1 방향조절 구동부(56), 작동플레이트 구동부(58), 이송클램프 작동부(60), 제2 콘베이어구동부(62), 제2 방향조절 구동부(64), 입력부(68) 및 표시부(69)를 갖는 조작판넬부(66), 주제어부(70), 뼈제거 장치부(4)내 뼈제거 제어회로부(도 22의 90)와의 통신인터페이스를 위한 인터페이스부(72), 및 다수 센서들(S1)~(S5)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 20의 사진도에서와 같은 형태의 다수 닭발(A)들은 파츠피더로 구성된 공급정렬부(10) 상부의 원형 공급대에 얹혀진다. 공급정렬부(10)의 파츠피더는 닭발공급 제어회로부(24)의 주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진동을 일으키게 구동되는 파츠피더구동부(50)에 의해서 상부 원형 공급대에 얹혀진 닭발(A)들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경사진 나선형 레일(30)을 타고 진행해 나가다가 후미부에서부터 하향 경사진 나선형 진행로를 지나 직선진행로로 향하게 된다. 나선형 레일(30)의 후미부인 나선형진행로 및 직선진행로 부분은 그 종단면이 양측 가이드턱을 갖는 반원형 요홈 형태이며 또 도 3에서와 같이 약간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출구측에서의 닭발(A) 흐름이 더욱 원활하게 해준다.
파츠피더로 된 공급정렬부(10)의 후미부로 진행하는 닭발(A)은 파츠피더의 진동 떨림에 의해서 대부분이 닭발(A)의 발등은 바닥에 닿이고 닭발(A)의 발바닥부는 하늘로 향한 상태이다.
나선형 레일(30)의 후미부인 파츠피더 직선진행로에는 다음 단계인 1차 이송 부(14)로 공급될 닭발(A)의 공급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공급간격 조절부(12)가 장치되어 있다. 공급간격 조절부(12)에는 닭발공급 제어회로부(24)의 주제어부(70)의 제어 하에 개폐구 구동부(52)에 의해서 구동되는 두개의 개폐구(32a)(32b)가 도 3에서와 같이 이격 설치되며, 또 1차 이송부(14)의 초입부와 말단부 각각에 설치된 제1 센서(S1) 및 제3 센서(S3)도 공급간격 조절부(12)의 구성요소로 포함된다. 두개의 개폐구(32a)(32b)는 닭발공급 제어회로부(24)의 주제어부(70)의 제어하에 상보적으로 개폐작동을 한다. 초기에는 제1 개폐구(32a)는 닫혀있고 제2 개폐구(32b)는 열려 있다. 그러므로 공급정렬부(10)의 닭발(A)은 제1 개폐구(32a)에 막혀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한다.
초기에는 작업자가 1차 이송부(14)의 제1 콘베이어(14a)에 닭발(A)을 직접 올려주게 되면 개폐구(32a)(32b)는 자동으로 개폐작동을 시작하게 되는데, 작업자에 의해 1차 이송부(14)의 콘베이어(14a)에 올려진 닭발(A)이 1차 이송부(14)의 초입부에 위치한 제1 센서(S1)를 통과할 시에는 제2 개폐구(32b)는 닫힌상태로 제어함과 동시에 파츠피더의 진동은 일시중지되게 제어하며, 제1 개폐구(32a)는 열려 있게 제어한다.
미리 투입된 1차 이송부(14)의 선행 닭발(A)이 1차 이송부(14)의 초입부에 위치한 제1센서(S1)를 통과시에는 파츠피더의 진동떨림이 복귀되므로 공급정렬부(10)의 닭발(A)은 개방된 제1 개폐구(32a)를 통과해 폐쇄된 제2 개폐구(32b)에서 멈추고 된다. 또 선행 닭발(A)이 1차 이송부(14)의 말단부에 위치한 제3 센서(S3)를 통과하게 되면 제1 개폐구(32a)가 닫힘과 동시에 제2 개폐구(32b)가 열려서 새 로운 닭발(A)이 1차 이송부(14)의 제1 콘베이어(14a)로 투입되어진다. 또 제1 콘베이어(14a)에 투입된 닭발(A)이 1차 이송부(14)의 초입부에 위치한 제1 센서(S1)를 통과할시에 상기와 같이 제2 개폐구(32b)가 닫히고 파츠피더의 진동은 일시중지되며, 제1 개폐구(32a)가 열려 있게 제어한다.
이러한 공급간격 조절부(12)의 공급 조절로 닭발(A)은 1차 이송부(14)에 일정한 간격으로 공급되어진다.
1차 이송부(14)의 제1 콘베이어(14a)는 닭발공급 제어회로부(24)의 주제어부(70)의 제어하에 제1 콘베이어 구동부(54)에 의해 구동이 되며, 제1 콘베이어(14a)에 얹혀진 닭발(A)은 1차 이송부(14)의 초입부에서부터 양측으로 설치된 가이드(34)를 따라 안내되면서 1차 이송부(14)의 중반부에 설치된 제1 방향조절부(16)로 진입하게된다.
도 4는 도 1의 닭발 공급부(2)에서 1차 이송부(14)의 출구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제1 방향 조절부(16)를 설명함에 있어 도 1,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한다. 제1 방향조절부(16)는, 클램핑 홀더를 갖는 180°선회작동구(16a)와, 닭발공급 제어회로부(24)의 주제어부(70)의 제어하에 180°선회작동구(16a)의 선회 및 승강 작동을 위한 제1 방향조절 구동부(56)와, 제2 센서(S2)가 장착된 작동플레이트(16b)와, 닭발공급 제어회로부(24)의 주제어부(70)의 제어하에 작동플레이트(16b)를 좌우 직선운동 제어하는 작동플레이트 구동부(58)로 구성된다.
180°선회작동구(16a)의 후부에 설치된 작동플레이트(16b)는 선단내측이 반 원형상으로 된 좌우플레이트가 연동되어 좌우로 전후진 제어되면서 닭발(A)이 지나가는 게이트를 형성하되, 초기 상태에서는 약간만 개방되어서 깔때기모양의 안내로를 형성한다. 그에 따라 닭발(A)의 발목부가 선두로 향해진 정방향의 닭발(A)이 이송되어 오게되면 작동플레이트(16b)의 제2 센서(S2)가 이 상태를 감지하게 되고 주제어부(70)의 제어하에 좌우 작동플레이트(16b)가 후진되게 함으로써 닭발(A)이 그 게이트를 통과하도록 해주고 다시 초기상태로 복귀한다.
하지만 좌우 작동플레이트(16b)는 닭발(A)의 발가락부가 선두로 향해진 역방향의 닭발(A)이 진행되어 오면, 좌우 작동플레이트(16) 사이의 깔대기모양 안내로로 깊숙히 들어오지 못하게되는데 이 상태를 제 2센서(S2)가 감지하게 된다. 그에 따라 닭발공급 제어회로부(24)의 주제어부(70)의 제어하에 180°선회작동구(16a)가 하강하면서 그 클램핑홀더로 닭발(A)을 눌러잡고 180°선회시킨 후 다시 놓아주게 되고, 닭발(A)은 정방향으로 위치조절되어진다.
닭발(A)이 정방향으로 위치조절되어 닭발(A)의 발목부가 선두로 향하게 되면 작동플레이트(16b)의 제2 센서(S2)가 이를 감지하여서 작동플레이트(16b)가 개방작동되게 하므로, 그 닭발(A)은 좌우 작동플레이트(16b)로 된 게이트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작동플레이트(16)를 통과한 닭발(A)은 여전히 그 발바닥이 하늘을 향하고 있다.
좌우 작동플레이트(16b)로 된 게이트를 통과한 닭발(A)은 1차 이송부(14)의 말단부에 위치한 제3 센서(S3)를 통과하면서 그 위치가 감지되고, 닭발공급 제어회로부(24)의 주제어부(70)의 제어하에 구동되는 이송클램프 작동부(60)에 의해 이송 클램프(18)가 작동된다.
도 5는 도 1의 이송클램프(18)의 부분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이송클램프(18)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3,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이송클램프(18)는 집게지그(19)와 이송클램프 작동부(60)로 구성되며, 그 집게지그(19)로 닭발(A)의 발목부를 클램핑하고 180°축회전한 후 옆측에 위치한 2차 이송부(20)측으로 슬라이딩 이송한 다음 집게지그(19)에 클램핑된 닭발(A)을 2차 이송부(20)의 제2 콘베이어(20a)에 놓는다.
그에 따라 2차 이송부(20)의 제2 콘베이어(20a)에 놓여진 닭발(A)은 1차 이송부(14)에서와 마찬가지로 그 발목부는 선두를 향하지만 180°축회전이 이루어진 관계로 그 발등부가 하늘로 향하게 된다.
2차 이송부(20)의 제2 콘베이어(20a)는 닭발공급 제어회로부(24)의 주제어부(70)의 제어하에 제2 콘베이어 구동부(62)에 의해 구동이 되며, 제2 콘베이어(20a)에 얹혀진 닭발(A)은 2차 이송부(20)의 초입부에서부터 설치된 가이드(36)를 따라 안내되면서 2차 이송부(20)의 중반부에 설치된 제2 방향조절부(22)로 진행하게된다.
도 7은 도 1의 닭발 공급부(2)에서 2차 이송부(20)의 출구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2차 이송부(20)에서 제2 방향조절부(22)의 배면도이다.
제2 방향조절부(22)는 차단대(21)를 갖으며 90°선회와 승강작동이 가능한 클램핑홀더(23)와, 닭발공급 제어회로부(24)의 주제어부(70)의 제어하에 클램핑홀 더(23)의 90°선회 및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제2 방향조절 구동부(64)로 구성하며, 제2 방향조절부(22)의 클램핑홀더(23) 전단에 위치한 제4 센서(S4)도 제2 방향 조절부(22)에 포함된다.
2차 이송부(20)에 설치된 가이드(36)를 따라 안내되면서 제2 콘베이어(20a)상에 이송되어 오는 닭발(A)은 클램핑홀더(23) 전단에 위치한 제4 센서(S4)에 의해서 감지되며, 그에 따라 닭발공급 제어회로부(24)의 주제어부(70)의 제어 하에 제2 방향조절부(22)의 제2방향 조절구동부(64)가 클램핑홀더(23)를 하강시켜 클램핑홀더(23)의 차단대(21)에 의해 닭밝(A)이 우선 정지되게하고, 그 후 정지된 닭발(A)의 발목부를 클램핑홀더(23) 하강으로 눌러잡고는 90°선회시키고, 그 후 놓아준다.
그러면 제2 방향조절부(22)를 통과한 닭발(A)은 90°선회하며 발등부는 상방을 향한 상태로 이송되어 2차 이송부(20)의 말단에 고정되며 제5 센서(S5)를 갖는 위치감지 플레이트(38)에 머무르게 된다. 위치감지 플레이트(38)의 제5 센서(S5)가 닭발(A)의 위치를 감지하게 되면 닭발공급 제어회로부(24)의 주제어부(70)는 제2 콘베이어 구동부(62)를 통해서 제2 콘베이어(20a)의 작동을 멈추게 한다.
위치감지 플레이트(38)의 닭발 접촉부에는 V자형 쐐기홈부를 형성하여서 닭발(A)의 발가락들로 인해서 위치감지 플레이트(38)의 측면에 제대로 면착되지 못하는 경우가 없도록 해준다.
위치감지 플레이트(38)에 제대로 면착한 닭발(A)은 도 2에 도시된 뼈 제거장치부(4)로 이송된 후 닭발(A)의 발목뼈 및 발가락뼈를 포함한 내부 뼈가 자동 제 거되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뼈 제거장치부(4)는 닭발 이송부(80), 닭발 새끼발가락 절단부(82), 닭발 발목등 절개부(84), 닭발 선회 및 이송부(85), 닭발뼈 추출부(86), 내부뼈 컷팅부(88), 뼈제거 제어회로부(90)로 구성한다.
닭발 이송부(80)는 이송구동부(104)의 수평이송대에 설치된 제1 로더(100) 및 제2 로더(102)를 갖으며, 닭발 공급장치부(2)의 위치감지 플레이트(38)에 있는 닭발(A)과 닭발 새끼발가락 절단부(82)에서 작업완료된 닭발(A) 각각을 이후 진행될 작업위치로 옮겨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닭발 새끼발가락 절단부(82)는 닭발 이송부(80)의 제1 로더(100)에 의해서 닭발 공급장치부(2)의 위치감지 플레이트(38)에서부터 이송되어온 닭발(A)의 새끼발가락을 절단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닭발 발목등 절개부(84)는 닭발 이송부(80)의 제2 로더(102)에 의해서 닭발 새끼발가락 절단부(82)에서부터 이송되어온 닭발(A)의 발목등부를 절개날로 길이방향 절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닭발뼈 추출부(86)는 절개부위를 통해서 내부 뼈가 돌출될 수 있도록 발목부를 꺾어 세우는 역할을 담당한다. 내부뼈 컷팅부(88)는 닭발뼈 추출부(86)에 의해 돌출된 내부 뼈가 회전날 이송을 통한 컷팅으로 제거되게 한다.
뼈제거 제어회로부(90)는 도 22에 도시된 블록도와 같이, 닭발 이송부(80)의 제1로더(100) 및 제2로더(102)의 이동구동 및 각 로더(100)(102)내 그립퍼 작동 구동을 위한 이송구동부(104)와, 닭발새끼발가락 절단부(82)에 해당하는 누름구(106)의 구동을 위한 발목누름 구동부(108)와, 닭발새끼발가락 절단부(82)에 해당하는 커터(110)를 작동시키기 위한 새끼발가락 절단 구동부(112)와, 닭발 발목등 절개 부(84)에 해당하는 파지구(120)가 발목 고정을 시킬 수 있도록 작동하는 발목고정 작동부(122)와, 파지구(120)를 이송시키기 위한 파지구 이송부(124)와, 닭발 발목등 절개부(84)에 해당하는 회전날(128)를 작동시키기 위한 회전날 작동부(126)를 포함한다. 또 뼈제거 제어회로부(90)는 선회 및 이송부(85)에 해당하는 확개날(132) 및 고정클램프(134)를 구동시키기 위한 선회 및 이송 구동부(130)와, 닭발뼈 추출부(86)에 해당하는 고정구(138)를 작동시키기 위한 고정구 작동부(136)와, 닭발뼈 추출부(86)에 해당하는 파지홀더(142)를 작동시키기 위한 발목살 파지 작동부(140)와, 닭발뼈 추출부(86)에 해당하는 푸쉬편(146)을 갖는 푸쉬작동부(144)와, 내부뼈 컷팅부(88)에 해당하는 뼈제거날(154)를 작동시키기 위한 뼈제거날 작동부(152)와, 다수 센서들(S6)~(S9)과, 뼈제거 제어회로부(90)의 각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주제어부(160)와, 및 닭발공급제어회로부(24)와의 통신인터페이스를 위한 인터페이스부(162)를 포함한다.
도 9는 도 2의 뼈제거 장치부(4)에서 닭발 이송부(80), 닭발 새끼발가락 제거부(82), 닭발 발목등 절개부(84)의 배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도 2 및 도 9에서의 닭발 새끼발가락 제거부(82)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9 내지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도 2의 뼈제거 제어회로부(90)와 도 1의 닭발공급 제어회로부(24)간은 인터페이스부(72)(162)를 통해 통신인터페이스를 수행하므로, 도 1의 닭발공급장치부(2)의 위치감치 플레이트(38)에 닭발(A)이 위치하게 되면 도 2의 뼈제거 제어회로부(90)의 주제어부(160)는 이를 도 1의 닭발공급 제어회로부(24)의 주제어부(70)으로부터 전달받아서 닭발 공급장치부(2)의 위 치감지 플레이트(38)에 있는 닭발(A)을 닭발 새끼발가락 절단부(82)로 위치이동되게 닭발 이송부(80)내의 이송구동부(104)를 제어한다.
닭발 이송부(80)에서 이송구동부(104)의 수평이송대에 설치된 제1 로더(100) 및 제2 로더(102)는 각각 집게지그(101)를 갖으며 이송구동부(104) 구동시 동시에 연동 작동한다. 그중 제1로더(100)는 닭발 공급장치부(2)의 위치감지 플레이트(38)에 있는 닭발(A)을 닭발 새끼발가락 절단부(82)의 합성수지재질 작업다이(114)상으로 옮겨 놓되, 그 발목부가 작업다이(114)상에 장치된 안내틀(116)사이에 위치되게 한다. 그리고, 제2로더(102)는 닭발 새끼발가락 절단부(82)에서 작업완료된 닭발(A)을 닭발 발목등 절개부(84)의 안내다이(121)로 옮겨 놓는다.
닭발 이송부(80)의 제1로더(100)에 의해서 닭발(A)이 닭발 새끼발가락 절단부(82)의 다이(114)상으로 옮겨지게 되면, 작업다이(114)에 위치된 제6센서(도 22의 S6)에 의해 감지되며, 그에 따라 뼈제거 제어회로부(90)의 주제어부(160)의 명령을 받은 발목누름 구동부(108)가 도 10과 같이 작동하여 집게형태의 누름구(106)가 전진후 하방 이동으로 닭발(A)의 발목부를 강하게 누름 고정시켜준다.
그 다음 뼈제거 제어회로부(90)의 주제어부(160)는 커터(110)를 갖는 새끼발가락 절단 구동부(112)가 구동되게 하여서 커터(110)가 하방으로 작동하면서 닭발(A)의 새끼 발가락(118)를 도 11과 같이 절단시켜준다. 상기 커터(110)는 원통형이고 원중심을 향해 서로 마주하는 양측부에 날이 일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새끼 발가락(118)만이 절단되어진다.
닭발 새끼발가락 절단부(82)에서 새끼발가락 절단된 닭발(A)은 닭발 이송 부(80)의 제2 로더(102)에 의해서 닭발 발목등 절개부(84)내 파지구(120)는 초기위치한 안내다이(121)로 옮겨진다.
도 12는 닭발 발목등 절개부(84)와, 닭발 선회 및 이송부(85)의 측면도이다.
도 2, 도 9 및 도 12를 함께 참조하여 닭발 발목등 절개부(84)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닭발 발목등 절개부(84)는 파지구(120)를 갖는 파지 작동부(122)와, 파지구(120)를 푸쉬하여서 이동되게 하는 파지구 이송부(124)와, 회전날(128)을 갖는 회전날 작동부(126)를 포함하며, 또 파지구(120)가 초기위치된 부근의 안내다이(121)에는 제7 센서(S7)가 장치된다.
닭발 새끼발가락 절단부(82)에서 새끼발가락 절단된 닭발(A)은 닭발 이송부(80)의 제2로더(102)에 의해서 닭발 발목등 절개부(84)내 두개의 파지구(120) 사이에 옮겨지게 되면 제7 센서(S7)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뼈제거 제어회로부(90)의 주제어부(160)의 명령을 받은 파지 작동부(122)가 도 9에서와 같이 파지작동하여서 양측 파지구(120)의 내향 고정핀들이 닭발(A)을 견고하게 파지 고정하게된다. 그 후 뼈제거 제어회로부(90)의 주제어부(160)가 파지구 이송부(124)와 회전날 작동부(126)를 작동시키게 되는데, 그에 따라 파지구 이송부(124)가 닭발(A)을 파지고정한 파지구(120)를 천천히 푸쉬하여서 회전날 작동부(126)측으로 이동되게 하고, 회전날 작동부(126)는 원판형 회전날(128)을 회전시킨다. 파지구(120)에 파지고정된 닭발(A)이 회전날 작동부(126)를 통과하게되면서 상방의 원판형 회전날(128)에 의해서 닭발(A)의 발등부가 절개되어진다.
닭발 발목등 절개부(84)를 통과하는 닭발(A)은 닭발 선회 및 이송부(85)로 진행하는데, 닭발 선회 및 이송부(85)에서의 동작을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은 닭발 선회 및 이송부(85)의 배면도이다.
파지구 이송부(124)의 푸쉬에 의한 파지구(120)의 이송진행이 닭발 발목등 절개부(84)를 통과하여 그 말단부에 도달할 즈음, 그 말단부 초입에는 닭발 선회 및 이송부(85)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말단부까지 닭발(A)이 진행되어올 즈음 그 닭발(A)은 닭발 선회 및 이송부(85)의 선회 및 이송구동부(130) 하부에 설치된 확개날(132)에 의해 닭발(A)의 발등부의 절개된 부위가 더 확개되어지면서 그 말단부에 최종 도달하게 된다.
상기 닭발(A)이 말단부에 도달하면 그 말단부에 위치한 제8 센서(S8)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뼈제거 제어회로부(90)의 주제어부(160)의 명령을 받은 선회 및 이송구동부(130)가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고정클램프(134)를 하강시켜서 닭발(A)의 발목부를 클램핑하여 고정한 다음 닭발(A)을 180°선회시키며, 그 다음으로는 이후 이어지는 작업을 위해서 닭발뼈 추출부(86)측으로 닭발(A)을 직선 이송시킨다.
도 14는 닭발뼈 추출부(86)의 평면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닭발뼈 추출부(86)의 우측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닭발뼈 추출부(86)와 내부뼈 컷팅부(88)의 우측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4 내지 도 16에서 고정구(132)와 그 고정구 작동부(136)에 대한 우측면도이며, 도 19는 도 14 내지 도 16에서 발목살 파지작동부(140)와 그 파지홀더(142)의 평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9를 함께 참조하면, 선회 및 이송구동부(130)에 의해서 닭발(A)이 닭발뼈 추출부(86)의 작업위치로 오게되면, 제9 센서(S9)를 갖는 받침레버(148)상에 얹혀지고 제9 센서(S9)가 이를 감지하게 된다. 그에 따라 뼈제거 제어회로부(90)의 주제어부(160)의 명령을 받은 닭발뼈 추출부(86)의 고정구 작동부(136)가 도 15에서와 같이 선단저부에 파지핀들이 형성된 "ㄱ"자 형태의 고정구(138)를 축회전되게 하여 받침레버(148)에 얹혀진 닭발(A)의 발가락측 발등을 파지고정한다. 그후 뼈제거 제어회로부(90)의 주제어부(160)는 닭발뼈 추출부(86)내 고정구(138)의 맞은편에 있는 발목살 파지작동부(140)를 작동시켜 좌우의 파지홀더(142)가 도 19에서와 같이 닭발(A)의 발목부 저부살을 잡아 고정하고, 그 다음에는 고정구 작동부(136)를 약간 하강시켜서 도 16에서와 같이 받침레버(148)를 레버작동시켜 받침레버(148)에 얹힌 닭발(A)의 발목부측이 들려올려지게 한다. 그에 따라 닭발(A)의 발목부 절개부위를 통해서 내부뼈가 약간 돌출되어진다.
이 상태에서 뼈제거 제어회로부(90)의 주제어부(160)가 푸쉬작동부(144)를 작동시켜서 전면 홈부를 갖는 푸쉬편(146)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돌출된 내부뼈(150)를 밀어올려 발목뼈뿐만 아니라 하부 밑둥치의 발가락뼈까지 꺾어져 상방으로 충분히 돌출되게 한다.
그 후에는 뼈제거 제어회로부(90)의 주제어부(160)가 내부뼈 컷팅부(88)의 뼈제거날 작동부(152)를 작동시켜서 원판형상의 뼈제거날(154)이 하향 경사이송하면서 상부로 돌출된 내부뼈(150)의 하부 밑둥부를 절단한다. 그 후 뼈제거날 작동부(512)는 후퇴하여 원래의 제자리로 돌아가고, 제거된 내부뼈(150)부분은 아래쪽 에 준비된 수거통에 떨어지게 된다.
뼈제거 장치부(4)에서 완전하게 뼈를 제거한 닭발은 반송장치에 의해 다음 세척공정으로 넘어가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발명은 닭발 뼈를 제거하는 작업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발뼈 제거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닭발공급부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닭발 공급부에서 1차 이송부의 출구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도 1의 이송클램프 부분의 정면도,
도 6은 도 1의 이송클램프 부분의 평면도,
도 7은 도 1의 닭발 공급부에서 2차 이송부의 출구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도 1의 2차 이송부에서 제2 방향조절부 배면도,
도 9는 도 2의 뼈제거 장치부에서 닭발 이송부, 닭발 새끼발가락 제거부, 닭발 발목등 절개부의 배면도,
도 10은 닭발 새끼발가락 제거부 측면도,
도 11은 닭발 새끼발가락 제거부 평면도,
도 12는 닭발 발목등 절개부와 닭발 선회 및 이송부의 측면도,
도 13은 닭발 선회 및 이송부의 배면도,
도 14는 닭발뼈 추출부의 평면도,
도 15 및 도 16은 닭발뼈 추출부의 우측 단면도,
도 17은 닭발뼈 추출부와 뼈 추출부의 우측 단면도,
도 18은 도 14 내지 도 16에서 고정구와 그 고정구 작동부에 대한 우측면도,
도 19는 도 14 내지 도 16에서 발목살 파지작동부와 그 파지홀더의 평단면도,
도 20은 닭발 사진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닭발공급 제어회로부 블록 구성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런 뼈제거 제어회로부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닭발 공급장치부 (4)-- 뼈 제거장치부
(10)-- 공급정렬부 (12)-- 공급조절부
(14)-- 1차 이송부 (16)-- 제1 방향조절부
(16a)-- 180°선회작동구 (16b)-- 작동플레이트
(18)-- 이송클램프 (20)-- 2차 이송부
(20a)-- 제2 콘베이어 (22)-- 제2 방향조절부
(23)-- 클램핑홀더 (24)-- 닭발공급 제어회로부
(38)-- 위치감지 플레이트 (50)-- 파츠피더 구동부
(52)-- 개폐구 구동부 (54)-- 제1콘베이어 구동부
(56)-- 제1방향조절 구동부 (58)-- 작동플레이트 구동부
(60)-- 이송클램프 작동부 (62)-- 제2콘베이어 구동부
(64)-- 제2 방향조절 구동부 (66)-- 조작판넬부
(80)-- 닭발 이송부 (82)-- 닭발새끼발가락 절단부
(84)-- 닭발발목등 절개구 (85)-- 닭발 선회 및 이송부
(86)-- 닭발 추출부 (88)-- 내부뼈 컷팅부

Claims (5)

  1. 닭발뼈 제거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닭발들을 정렬시켜서 하나씩 공급해주는 닭발공급장치부(2)와; 닭발공급장치부(2)에서 하나씩 공급되는 닭발(A)에서 발목뼈 및 발가락뼈를 포함한 내부뼈를 추출 및 제거하는 뼈 제거장치부(4)로 구성하며;
    뼈 제거장치부(4)는;
    제1 로더(100) 및 제2 로더(102)를 갖으며, 제1 로더(100)에 의해서 닭발 공급장치부(2)에서 처리완료된 닭발(A)과 제2 로더(102)에 의해서 닭발 새끼발가락 절단부(82)에서 작업완료된 닭발(A)을 각각 이후 진행될 작업위치로 옮겨주는 닭발 이송부(80)와,
    닭발 이송부(80)의 제1 로더(100)에 의해서 닭발 공급장치부(2)에서부터 이송되어온 닭발(A)의 새끼발가락을 새끼발가락 절단구동부(112)의 커터(110)로 절단하는 닭발 새끼발가락 절단부(82)와,
    닭발 이송부(80)의 제2 로더(102)에 의해서 닭발 새끼발가락 절단부(82)에서부터 이송되어온 닭발(A)을 파지작동부(122)의 파지구(120)로 파지하고, 파지구이송부(124)로 파지구(120)를 이송시키면서 닭발(A)의 발등부가 회전날작동부(126)의 회전날(128)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절개되게 하는 닭발 발목등 절개부(84)와,
    닭발(A)의 절개부위를 통해서 닭발의 내부 뼈가 돌출될 수 있도록 받침레버(148)에 얹힌 닭발(A)의 발가락측 발등을 고정구(138)로 파지고정하고 파지홀 더(142)로 닭발(A)의 발목부 저부살을 잡아 고정한 상태에서 받침레버(148)를 작동시키고 닭발(A)의 발목부측이 들려올려짐에 따라 푸쉬작동부(144)의 푸쉬편(146)으로 돌출 뼈를 푸쉬하여 내부 뼈(150)가 꺾어세워져 돌출되게 하는 닭발뼈 추출부(86)와,
    닭발뼈 추출부(86)에 의해 돌출된 내부 뼈(150)가 회전하는 원판형 뼈 제거날(154)의 이송을 통한 컷팅으로 제거되게 하는 내부뼈 컷팅부(88)와,
    뼈제거 장치부(4)의 각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주제어부(16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닭발뼈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닭발 이송부(80)는 이송구동부(104)의 수평이송대에 집게지그를 갖는 제1 로더(100) 및 제2 로더(102)가 설치되게 하되 이송구동부(104) 구동시 동시 연동작동되게 하고, 제1로더(100)는 닭발 공급장치부(2)에서 작업완료된 닭발(A)을 닭발 새끼발가락 절단부(82)의 합성수지재질 다이(114)상으로 옮겨 놓고, 제2로더(102)는 닭발 새끼발가락 절단부(82)에서 작업완료된 닭발(A)을 닭발 발목등 절개부(84)의 안내다이로 옮겨 놓도록 작동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닭발뼈 제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닭발 새끼발가락 절단부(82)는 뼈제거 제어회로 부(90)의 명령을 받은 발목누름 구동부(108)가 작동하여 집게형태의 누름구(106)가 닭발(A)의 발목부를 누름 고정시키고, 원통형 커터(110)를 갖는 새끼발가락 절단 구동부(112)가 구동되게 하여서 커터(110)가 하방으로 작동하면서 닭발(A)의 새끼 발가락(118)를 절단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닭발뼈 제거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닭발 발목등 절개부(84)과 닭발뼈 추출부(86) 사이에 선회 및 이송부(85)를 더 구비하되, 선회 및 이송부(85)는 파지구 이송부(124)의 푸쉬에 의한 파지구(120)의 이송이 닭발 발목등 절개부(84)를 통과한 말단부에 위치하며, 선회 및 이송구동부(130) 하부에 설치된 확개날(132)에 의해서 이송되어오는 닭발(A) 발등부의 절개된 부위가 확개되게 구성하며, 절개부위 확개상태에서 고정클램프(134)로 닭발(A)의 발목부를 클램핑 고정하고 선회 및 이송구동부(130)에 의해 닭발(A)을 다음 작업에 맞게 선회 및 닭발뼈 추출부(86)측으로 직선 이송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닭발뼈 제거장치.
  5. 닭발뼈 제거장치에 있어서:
    닭발 공급장치부(2)에서부터 이송되어온 닭발(A)의 새끼발가락을 새끼발가락 절단구동부(112)의 커터(110)로 절단하는 닭발 새끼발가락 절단부(82)와,
    닭발 새끼발가락 절단부(82)에서부터 이송되어온 닭발(A)을 파지작동부(122) 의 파지구(120)로 파지하고, 파지구이송부(124)로 파지구(120)를 이송시키면서 닭발(A)의 발등부가 회전날작동부(126)의 회전날(128)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절개되게 하는 닭발 발목등 절개부(84)와,
    닭발(A)의 절개부위를 통해서 닭발의 내부 뼈가 돌출될 수 있도록 받침레버(148)에 얹힌 닭발(A)의 발가락측 발등을 고정구(138)로 파지고정하고 파지홀더(142)로 닭발(A)의 발목부 저부살을 잡아 고정한 상태에서 받침레버(148)를 작동시키고 닭발(A)의 발목부측이 들려올려짐에 따라 푸쉬작동부(144)의 푸쉬편(146)으로 돌출 뼈를 푸쉬하여 내부 뼈(150)가 꺾어세워져 돌출되게 하는 닭발뼈 추출부(86)와,
    닭발뼈 추출부(86)에 의해 돌출된 내부 뼈(150)가 회전하는 원판형 뼈 제거날(154)의 이송을 통한 컷팅으로 제거되게 하는 내부뼈 컷팅부(88)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닭발뼈 제거장치.
KR1020080001919A 2008-01-07 2008-01-07 닭발뼈 제거장치 KR100940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919A KR100940025B1 (ko) 2008-01-07 2008-01-07 닭발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919A KR100940025B1 (ko) 2008-01-07 2008-01-07 닭발뼈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156A true KR20090076156A (ko) 2009-07-13
KR100940025B1 KR100940025B1 (ko) 2010-02-04

Family

ID=41333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1919A KR100940025B1 (ko) 2008-01-07 2008-01-07 닭발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002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04817A (zh) * 2015-06-04 2015-09-16 重庆广播电视大学 鸡爪自动化去骨机
CN104938597A (zh) * 2015-06-04 2015-09-30 重庆广播电视大学 鸡爪脱骨装置
CN105028591A (zh) * 2015-06-04 2015-11-11 重庆广播电视大学 鸡爪脱骨机
CN106695973A (zh) * 2016-12-13 2017-05-24 重庆顺泰食品有限公司 用于定位切割鸡爪的装置
CN106853650A (zh) * 2016-12-13 2017-06-16 重庆顺泰食品有限公司 用于鸡爪剔骨的装置
CN107751333A (zh) * 2017-11-29 2018-03-06 重庆市川瑞俞厨食品有限公司 鸡爪自动化去骨机
CN109874852A (zh) * 2019-04-17 2019-06-14 江南大学 一种鸡爪去骨设备及鸡爪去骨工艺
CN112825899A (zh) * 2020-12-31 2021-05-25 重庆麟麟科技有限公司 一种家禽爪子夹持机构
CN116058400A (zh) * 2022-09-06 2023-05-05 马鞍山马商食品有限公司 一种用于无骨鸡爪加工的脱骨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5554B1 (ko) 2016-08-08 2017-07-07 김선욱 가금류 절단 및 부위별 분류장치
KR102591567B1 (ko) * 2020-09-01 2023-10-19 김상희 닭발 가공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499A (ko) * 1999-03-22 1999-07-05 홍선기 닭발뼈제거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04817A (zh) * 2015-06-04 2015-09-16 重庆广播电视大学 鸡爪自动化去骨机
CN104938597A (zh) * 2015-06-04 2015-09-30 重庆广播电视大学 鸡爪脱骨装置
CN105028591A (zh) * 2015-06-04 2015-11-11 重庆广播电视大学 鸡爪脱骨机
CN106695973A (zh) * 2016-12-13 2017-05-24 重庆顺泰食品有限公司 用于定位切割鸡爪的装置
CN106853650A (zh) * 2016-12-13 2017-06-16 重庆顺泰食品有限公司 用于鸡爪剔骨的装置
CN106695973B (zh) * 2016-12-13 2018-08-17 重庆顺泰食品有限公司 用于定位切割鸡爪的装置
CN107751333A (zh) * 2017-11-29 2018-03-06 重庆市川瑞俞厨食品有限公司 鸡爪自动化去骨机
CN107751333B (zh) * 2017-11-29 2019-08-06 重庆市川瑞俞厨食品有限公司 鸡爪自动化去骨机
CN109874852A (zh) * 2019-04-17 2019-06-14 江南大学 一种鸡爪去骨设备及鸡爪去骨工艺
CN112825899A (zh) * 2020-12-31 2021-05-25 重庆麟麟科技有限公司 一种家禽爪子夹持机构
CN116058400A (zh) * 2022-09-06 2023-05-05 马鞍山马商食品有限公司 一种用于无骨鸡爪加工的脱骨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0025B1 (ko) 201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025B1 (ko) 닭발뼈 제거장치
KR100940023B1 (ko) 닭발뼈 제거장치
WO2009139031A1 (ja) 骨付き肉の載架方法及び装置、並びに載架用動作プログラム
JP5057407B2 (ja) 食肉用家畜屠体の脱骨方法及び装置
KR101861466B1 (ko) 컨베이어 섹션을 따라 이송하는 방향으로 단일 파일로 이송된 가금류 다리를 위치잡기 위한 위치 장치 및 가금류 다리로부터 넓적다리 고기를 분리하기 위하여 위치잡기를 포함하는 방법
US9033774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veying bone-in meat and deboning system of bone-in meat including the device
US4663805A (en) Shellfish processing
JP4908148B2 (ja) 骨付き肉の自動脱骨装置
JP3603981B2 (ja) 豚もも除骨機と豚もも除骨方法
CA2555649C (en) Banding machine for applying elastic bands onto objects
KR101661044B1 (ko) 가금류 사체로부터 이미 부분적으로 분리된 가슴필렛을 내장이 제거된 가금류 몸체의 사체로부터 완전히 분리하는 장치와 방법
KR101260964B1 (ko) 과일제피 자동화장치 및 방법
US4599765A (en) Device for decapitating fish by a cutting action
TWI749512B (zh) 用於從魚片自動移除由紅肉即所謂的深色肉組成之條的裝置及方法
JP4908147B2 (ja) 骨付き肉の脱骨方法及び装置
KR101819690B1 (ko) 고구마 잎자루의 껍질 제거장치
EP11906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eting fish
JP2004236577A (ja) 食肉脱骨方法と食肉脱骨装置
JPH08149920A (ja) 接木装置
KR20160080214A (ko) 약용작물 줄기제거장치
KR200464084Y1 (ko) 귀 절단부가 구비된 오징어 가공기
KR100547611B1 (ko) 방적용 보빈의 잔사처리기
JP4867050B2 (ja) 食肉用家畜屠体の筋入れ方法及び装置、並びに筋入れ用切断動作プログラム
US9596863B2 (en) Automatic leg skinner
TW202327457A (zh) 肉附著物去除裝置以及肉附著物去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