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567B1 - 닭발 가공시스템 - Google Patents

닭발 가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567B1
KR102591567B1 KR1020200110754A KR20200110754A KR102591567B1 KR 102591567 B1 KR102591567 B1 KR 102591567B1 KR 1020200110754 A KR1020200110754 A KR 1020200110754A KR 20200110754 A KR20200110754 A KR 20200110754A KR 102591567 B1 KR102591567 B1 KR 102591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ntact panel
pair
auxiliary contact
chicken f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8994A (ko
Inventor
김상희
Original Assignee
김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희 filed Critical 김상희
Priority to KR1020200110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567B1/ko
Publication of KR20220028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5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46Suppor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23Dividing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53Transferring or conveying devices for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2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from offal, e.g. rinds, skins, marrow, tripes, feet, ears or snou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닭발 가공시스템이 제공된다. 닭발 가공시스템은, 닭발이 수용되는 수용체; 및 상기 수용체로부터 배출되는 닭발이 1차 위치되는 테이블; 및 상기 테이블상에 구비되어 상기 닭발이 2차 위치되어 손질되는 거치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닭발 가공시스템{CHICHEN FOOT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닭발 가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상물에 대한 가공은 어느 분야에서나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육류가공에 있어서도 대상 육류의 특정 부위별 가공이 중요하다. 예컨데 닭의 닭발 부분을 가공함에 있어 가공이 중요하나, 닭발에 적합한 일련의 가공을 위한 기술이 그 효과와 적합성 등에 있어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즉, 신속하고 효과적인 가공은 물론 가공의 작업 안정성을 모두 확보하여 닭발 가공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0090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닭발에 적합한 일련의 가공을 통해 신속하고 효과적인 닭발 가공이 가능하며, 가공 작업 안정성을 모두 확보하여 닭발 가공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닭발 가공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닭발 가공시스템의 일 면은, 닭발 가공시스템으로서, 닭발이 수용되는 수용체(2); 및 상기 수용체(2)로부터 배출되는 닭발이 1차 위치되는 테이블(3); 및 상기 테이블(3)상에 구비되어 상기 닭발이 2차 위치되어 손질되는 거치구(4)를 포함하는 닭발 가공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닭으로부터 닭발을 절단하기 위한 육류절단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육류절단장치는, 기체(10)에 한쌍의 띠톱풀리(21)를 구성시켜 구동모터(M1)로 연동하는 구동장치부(A)와, 띠톱가이드(22)에는 원형상태의 가이드판(30)의 처음 단부(31)가 함께 체결되어 지는 절단장치부(B)와, 상기 기체(10)가 상부로 구비되는 구조물인 베이스프레임부(10a) 하단에 구비되는 제1 지지대(110)와, 상기 제1 지지대(110) 좌측에 구비되는 제2 지지대(120)와, 상기 제1 지지대(110) 우측에 구비되는 제3 지지대(13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대(110) 내지 상기 제3 지지대(130)를 매개로 베이스프레임부(10a) 및 상기 기체(10)를 지탱고정시키기 위한 지탱유닛을 개사한다. 여기서는 단순한 플레이트형상의 받침 몸체역할로서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상하이동을 위한 기능은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지탱유닛은, 상기 제1 지지대(110) 내지 상기 제3 지지대(130)가 거치되는 거치몸체(210)와, 상기 거치몸체(210)상에서 상기 제1 지지대(110)의 하단부 영역을 사이에두고 양측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접촉패널(220)과, 상기 제1 접촉패널(220)의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대(110)의 상단부 영역을 사이에두고 양측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보조접촉패널(230)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보조접촉패널(230)은 상기 제1 지지대(110)의 상단부 영역에 삽입장착되는 제1 삽입돌기(231)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접촉패널(220)은 상기 거치몸체(210)에서 상기 제1 지지대(110)를 사이에 둔채 회전을 통하여 양측에서 압입힘을 가하여 고정하며, 상기 지탱유닛은, 상기 거치몸체(210)상에서 상기 제1 지지대(110)의 하단부 영역을 사이에두고 양측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접촉패널(240)과, 상기 제2 접촉패널(240)의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2 지지대(120)의 상단부 영역을 사이에두고 양측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보조접촉패널(250)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보조접촉패널(250)은 상기 제2 지지대(120)의 상단부 영역에 삽입장착되는 제2 삽입돌기(251)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보조접촉패널(250)은 상기 제2 접촉패널(240)에서 상기 제2 지지대(120)를 향하여 전진하여 고정힘을 가하며, 상기 지탱유닛은, 상기 거치몸체(210)상에서 상기 제3 지지대(130)의 하단부 영역을 사이에두고 양측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3 접촉패널(260)과, 상기 제3 접촉패널(260)의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3 지지대(130)의 상단부 영역을 사이에두고 양측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3 보조접촉패널(270)이 구비되며, 상기 제3 보조접촉패널(270)은 상기 제3 지지대(130)의 상단부 영역에 삽입장착되는 제3 삽입돌기(271)가 구비되며, 상기 제3 보조접촉패널(270)은 상기 제3 접촉패널(260)에서 상기 제3 지지대(130)를 향하여 전진하여 고정힘을 가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부(10a)는, 상기 제1 지지대(110)와 상기 제2 지지대(120) 사이로 위치되어 상기 거치몸체(210)에 삽입관통하는 제1 보강지지대(310)와, 상기 제1 지지대(110)와 상기 제3 지지대(130) 사이로 위치되어 상기 거치몸체(210)에 삽입관통하는 제2 보강지지대(320)가 구비되며,상기 제1 보강지지대(310)는 하부로 제1 연장부(311)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보강지지대(320)는 하부로 제2 연장부(321)가 구비되며, 상기 거치몸체(210)의 일측 외곽에는 상기 거치몸체(210)의 일단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제1 상부연장몸체(410)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상부연장몸체(410)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접촉패널(220)의 외측을 누르기 위한 제1 푸시패널(411)이 구비되며, 상기 거치몸체(210)의 타측 외곽에는 상기 거치몸체(210)의 타단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제2 상부연장몸체(420)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상부연장몸체(420)의 내측에는 상기 제2 접촉패널(240)의 외측을 누르기 위한 제2 푸시패널(421)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푸시패널(411)과 상기 제2 보조접촉패널(240) 사이에는 제1 완충부재(L1)가 가압 접촉력을 높이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푸시패널(421)과 상기 제3 보조접촉패널(260) 사이에는 제2 완충부재(L2)가 가압 접촉력을 높이도록 구비되며, 상기 거치몸체(210)의 일측 외곽하부에는 제1 외곽다리(510)가 구비되며, 상기 거치몸체(210)의 타측 외곽하부에는 제2 외곽다리(520)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외곽다리(510)와 상기 제1 연장부(311)는 제1 연동장치(610)에 의하여 상호간에 당겨지는 힘이나 밀어내는 힘이 가해지며, 상기 제1 연동장치(610)는, 상기 제1 외곽다리(510)에 외삽되는 제1-1 외삽몸체(612)와, 상기 제1 연장부(311)에 외삽되는 제1-2 외삽몸체(613)와, 양측으로 구비되는 상기 제1-1 외삽몸체(612)와 상기 제1-2 외삽몸체(613) 앞과 뒤로 유동시키도록 하기 위한 제1 구동체(611)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외곽다리(520)와 상기 제2 연장부(321)는 제2 연동장치(620)에 의하여 상호간에 당겨지는 힘이나 밀어내는 힘이 가해지며, 상기 제2 연동장치(620)는, 상기 제2 외곽다리(520)에 외삽되는 제2-1 외삽몸체(712)와, 상기 제2 연장부(321)에 외삽되는 제2-2 외삽몸체(713)와, 양측으로 구비되는 상기 제2-1 외삽몸체(712)와 상기 제2-2 외삽몸체(713) 앞과 뒤로 유동시키도록 하기 위한 제2 구동체(711)가 구비되며,상기 제1 보강지지대(310)와 상기 제2 접촉패널(240) 사이, 상기 제1 보강지지대(310)와 상기 제1 보조접촉패널(250) 사이에는 고무재질의 제3 완충부재(L3)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보강지지대(320)와 상기 제3 접촉패널(260) 사이와, 상기 제2 보강지지대(320)와 상기 제3 보조접촉패널(270) 사이에는 고무재질의 제4 완충부재(L4)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상부연장몸체(410)는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하는 제1 이동플레이트(412)가 구비되어 상기 제1 푸시패널(411)과 상기 제1 푸시패널(411)과 이웃하는 제1 완충부재(L1)를 눌러 고정하며, 상기 제2 상부연장몸체(420)는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하는 제2 이동플레이트(422)가 구비되어 상기 제2 푸시패널(421)과, 상기 제2 푸시패널(421)과 이웃하는 제2 완충부재(L2)를 눌러 고정하며, 상기 제1 외곽다리(510), 상기 제1 연장부(311), 상기 제2 연장부(321) 및 상기 제2 외곽다리(520)는 하단부 일부가 지면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닭발 가공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닭발에 적합한 일련의 가공을 통해 신속하고 효과적인 닭발 가공이 가능하며, 가공 작업 안정성을 모두 확보하여 닭발 가공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닭발 가공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닭발 가공시스템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닭발 가공시스템의 절단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1b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 실시되는 가동방식은 실린더, 모터, 액추에이터, 기타 공지된 유사 동종의 기술을 기반으로 그 자체로 적용되거나 응용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닭발 가공시스템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1a를 참조하면, 닭발 가공시스템으로서, 닭발이 수용되는 수용체; 및 상기 수용체로부터 배출되는 닭발이 1차 위치되는 테이블; 및 상기 테이블상에 구비되어 상기 닭발이 2차 위치되어 손질되는 거치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닭발의 취급 전후에 있어 절단을 자동절단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b은 본 발명 절단수단의 중요부분을 절단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두께설정수단의 작동상태를 보인 배면도이며 도 3의 (a)(b)(c)는 본 발명의 대상물(예: 닭발 등) 적재박스의 이송상태를 보인 것으로 특히 두께조절수단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대상물적재박스의 이송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중요부분 절단수단을 보인 설명도 및 도 6은 도 5의 A부분 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대상물적재박스의 고정수단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은 도 1b의 본 발명 절단수단의 중요부분을 절단한 정면도와 도 2의 본 발명의 두께설정수단의 작동상태를 보인 배면도에서와 같이 기체(10)에 한쌍의 띠톱풀리(21)를 구성함과 함께 구동모터(M1)로 연동하는 구동장치부(A)가 구성된다.
그리고 도 5의 본 발명의 중요부분 절단수단을 보인 설명도와 도 6의 도 5의 A부분 확대도에서와 같이 띠톱풀리(21)에 구성된 띠톱(20)과 근접된 이면부에 일직선상의 띠톱가이드(22)를 기체(10)의 절결된 양단에 체결함과 함께 띠톱가이드(22)에는 원형상태의 가이드판(30)의 처음 단부(31)가 함께 체결되어 띠톱(20)의 소정 높이로 고정되는 절단장치부(B)로 구성된다. 이때에 띠톱가이드(22)에는 삼각뿔형상으로 상하측에 동일한 대각면을 형성하여 절단뼈가 한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정간격으로 체결된 복수개의 띠톱안내편(23)을 양측으로 고정시켜 이에끼워진 띠톱(20)의 흔들림 등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의해 처음단부(31)가 고정된 가이드판(30)은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도 3과 4의 평면도에서와 같이 끝단부(32)가 띠톱(20)과 근접된 위치에서 단절(斷切)된다.
이와 함께 상기 가이드판(30)은 기체(10)에서 승하강되는 승강판(40)에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판(41)으로 고정되어며 이 승강판(40)의 승하강 이동으로 가이드판(30)이 함께 상하 이동되게 된다. 이때에 상기 가이드판(30)은 처음단부(31)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성이 부여됨으로 기체(10)에 고정된 처음단부(31)는 띠톱가이드(22)에 고정되어 승하강을 제어시켜 소정위치와 높이로 고정되어 각각의 단부(31)(32)는 높낮이를 달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가이드판(30)은 상기 도 (a)에서와 같이 전체를 일체로 구성함과 함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10)의 전면부에서 절단하고 다시 두께조절판(33)을 별도로 구성시키며, 또는 상기 두께조절판(33)을 이송콘베이어(50)와 밀접된 위치에서 단절하여 이송 적재대상물(100)가 이송콘베이어(50)로 이송되고 이송콘베이어(50)와 띠톱(20)의 높낮이에 따른 절단두께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또한 이러한 구성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때의 이송콘베이어(50)는 상기와 같이 승강판(40)에 일정한 높이로 고정되어 있어 상기 승강판(40)의 상하이동으로 띠톱(20)과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하는 절단두께 조절장치부(C)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판(40)은 기체(10)의 중심축상에 형성된 승강봉(42)에 체결되어 상하이송되며 이 승강봉(40)은 일체의 승강스크류(43)에 체결된 이송너트(44)가 도 5에서와 같이 모터(M2)와 웜(45)으로 연동되어 승강스크류(43)를 승하강시켜 승강봉(40)을 상하이동시키는 승하강이송장치(D)로 구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대상물적재박스의 고정수단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상기 대상물적재박스(60)는 승강봉(40)과 동일축상에서 회전되는 회전축(61)을 구성시켜 기체의 고정간(11) 상단에 서 힌지구성함과 함께 상하부에 체결판(62)을 구성하여 복수개의 대상물적재박스(60)를 체결가능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회전축(61)은 모터(M3)와 감속기(63)로 회전시키도록 구성하여 상기 대상물적재박스(60)가 원형의 가이드판(30)상에서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대상물 적재박스(60)에는 안내장공(64)을 형성하여 중량물로 구성된 중량추(65)가 이송되고 손잡이(66)와 걸림턱을 형성하여 높은 위치에서 중량추(65)가 정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중량추(65)는 복수개의 자유이동형으로 구분되고 이들의 각각에는 발톱(67)을 구성시켜 하부에 위치되는 적재대상물(100)의 상면부와 양측면을 지지하여 고정되도록 함과 하부의 지지체로 전후 이동가능하고 체결이 용이한 가압봉(68)으로 구성된 적재장치부(E)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본 발명의 도면과 설명에서 회전풀리, 모터 등은 미관과 위험방지를 위한 보호커버를 구성하고 있음은 물론이며 회전되는 대상물적재박스는 커버와 함께 미닫이문이 형성되어 안전과 대상물의 적재를 용이하도록 하였으나, 도면의 이해력을 높이기 위하여 이러한 관용된 구성의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였다. 미설명부호 101은 절단대상물이고 51은 이송콘베어구동장치 12는 콘트롤박스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량의 대상물를 절단할 때에 상기 도면에 도시된바와 같이 본 발명을 사용하여 대량으로 절단작업을 하게된다. 즉, 본 발명의 기체(10)에 형성된 가이드판상에서 회전되고 회전축(61)에 의해 회전되는 복수개의 대상물적재박스(60)에 절단할 대상물를 수납시키게 된다. 상기 대상물은 갈비, 뼈있는 고기 또는 냉동 고기 등을 절단하도록 하며 냉동 고기 또는 생육을 절단하기 위하여 상기띠톱(20)은 띠형의 칼로 대처될 수있음은 물론이며 이하에서는 띠형칼을 포함하여 띠톱이라 한다. 상기 대상물적재박스(60)의 안내장공(64)의해 승하강되는 중량추(65)를 손잡이(66)로 이동시켜 미도시된 스톱퍼에 의해 체결시킨 상태에서 상기 중량추(65)에 형성된 발톱(67)하부로 절단할 대상물를 넣는다.
그리고 전면측에 형성된 가압봉(68)을 밀어 적재대상물(100)가 대상물적재박스(60)에 밀착되도록 함과 함께 상기 체결된 상태의 중량추(65)의 스톱퍼를 해지함으로서 중량추와 발톱(67)이 하강하여 불규칙한 대상물를 가압시켜 고정하게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발톱(67)은 각각의 중량으로 소정거리 하강되어 적재대상물(100)의 형상에 따라 소정위치에서 적재대상물를 가압시켜 고정하게 됨으로 적재대상물은 대상물적재박스 내에서 좌우 및 전후로 이동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절단할 대상물를 적재하고 상기 대상물의 절단두께를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에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콘트롤박스의 조절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모터(M2)와 웜(45)이 구동되어 이송너트(44)를 연동하고 이 이송너트(44)는 승강스크류(43)를 승하강시켜 승강봉(40)을 상하 이동시키게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봉(42)에는 승강판(40)이 고정되어 상기 승강봉(42)의 승하강에 의하여 상하 이동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승강판(40)에는 복수개의 고정판(41)에 의해 가이드판(30)이 고정되어 짐으로 상기 승강봉(40)의
승하강에 따라 가이드판(30)을 상하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판(30)은 처음단부(31)가 띠톱(20)의 높이에서 기체(10)에 고정된 상태에서 그 이면부가 상하 이동됨으로서 원형의 가이드판(30)은 비틀림에 의하여 기체(10)에 고정된 처음단부(31)와 끝단부(32,33)의 높낮이를 달리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으로 기체에 소정높이로 고정된 띠톱(20)과 가이드판(30)의 끝단부(32,33)의 높낮이를 소정간격 즉, 절단대상물의 두께로 설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절단대상물(101)의 두께를 조절하여 설정한 다음 콘트롤에 의하여 작업개시 버튼을 온함으로서 기체(10)의 구동장치부(A)의 구동모터(M1)이 회전되고 이에 의하여 한쌍의 띠톱풀리(21)와 이 띠톱풀리(21)에 형성된 띠톱(20)이 고속회전하게 되며 소정속도로 도달되면 기체 상단의 모터(M3)가 회전되어 회전축(61)을 회전함에 따라 이회전축 상하에 형성된 체결판(62)과 체결판(62)에 고정된 복수개의 대상물적재박스(60)가 회전하며 대상물적재박스(60)는 가이드판(30)상에서 회전이동한다. 이때에 상기 대상물적재박스(60)에 적재된 절단할 대상물은 상부의 중량으로 하강되어 가이드판(30)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송하게 된다.
상기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물은 소정높이 즉, 띠톱(20) 높이의 처음단부(31)에서 전기한 설명에서 끝단부(32,33)가 비스듬히 높이를 낮추어진 상태로 형성된 가이드판(30)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낮아진 길이만큼 하강하여 이송된다. 이송되는 대상물은 가이드판(30)의 끝단부(32,33)를 지나면서 띠톱(20)과 교차되고 고속회전하는 띠톱(20)은 이송되는 대상물를 설정두께 즉, 띠톱(20)높이와 가이드판(30) 끝단부(32,33)의 높이 차이만큼의 두께로 절단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가이드판의 끝단부(32) 및 두께조절판(33)은 가이드판과 일체로 구성되고 또는 소정크기로 별도 구성되어질 수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작업여건 또는 제조상의 문제 및 작용효과에 따라 선택하여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 의해 절단된 절단육류(101)는 하부에 구성된 이송콘베이어(50)에 낙하됨과 함께 기체(10)의 이면부로 이송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단과 함께 그 절단면은 띠톱(20)상부와 띠톱가이드(22) 및 이에 체결된 가이드판(30)의 처음단부(31)를 따라 이송되어 가이드판에 밀착된 상태로 다시 가이드판을 선회하고 또다시 소정길이를 하강시키게 되면서 상기한 절단작업을 연속하여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업을 도시된 6개의 육류적재박스(60)가 회전되면서 연속된 절단작업을 실시함으로 신속한 절단과 대량절단작업으로 생산성을 크게 증대하게 되는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육류절단장치의 구성들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육류절단장치는, 닭으로부터 닭발을 절단하기 위한 육류절단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육류절단장치는, 기체(10)에 한쌍의 띠톱풀리(21)를 구성시켜 구동모터(M1)로 연동하는 구동장치부(A)와, 띠톱가이드(22)에는 원형상태의 가이드판(30)의 처음 단부(31)가 함께 체결되어 지는 절단장치부(B)와, 상기 기체(10)가 상부로 구비되는 구조물인 베이스프레임부(10a) 하단에 구비되는 제1 지지대(110)와, 상기 제1 지지대(110) 좌측에 구비되는 제2 지지대(120)와, 상기 제1 지지대(110) 우측에 구비되는 제3 지지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프레임부는 상기 기체와 기타 구성들을 모두 상부에 수용하는 몸체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형상과 크기는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탱유닛은, 상기 제1 지지대(110) 내지 상기 제3 지지대(130)가 거치되는 거치몸체(210)와, 상기 거치몸체(210)상에서 상기 제1 지지대(110)의 하단부 영역을 사이에두고 양측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접촉패널(220)과, 상기 제1 접촉패널(220)의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대(110)의 상단부 영역을 사이에두고 양측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보조접촉패널(230)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보조접촉패널(230)은 상기 제1 지지대(110)의 상단부 영역에 삽입장착되는 제1 삽입돌기(2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패널(220)은 상기 거치몸체(210)에서 상기 제1 지지대(110)를 사이에 둔채 회전을 통하여 양측에서 압입힘을 가하여 고정하며, 상기 지탱유닛은, 상기 거치몸체(210)상에서 상기 제1 지지대(110)의 하단부 영역을 사이에두고 양측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접촉패널(240)과, 상기 제2 접촉패널(240)의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2 지지대(120)의 상단부 영역을 사이에두고 양측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보조접촉패널(2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보조접촉패널(250)은 상기 제2 지지대(120)의 상단부 영역에 삽입장착되는 제2 삽입돌기(251)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보조접촉패널(250)은 상기 제2 접촉패널(240)에서 상기 제2 지지대(120)를 향하여 전진하여 고정힘을 가하며, 상기 지탱유닛은, 상기 거치몸체(210)상에서 상기 제3 지지대(130)의 하단부 영역을 사이에두고 양측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3 접촉패널(260)과, 상기 제3 접촉패널(260)의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3 지지대(130)의 상단부 영역을 사이에두고 양측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3 보조접촉패널(2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 보조접촉패널(270)은 상기 제3 지지대(130)의 상단부 영역에 삽입장착되는 제2 삽입돌기(251)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보조접촉패널(250)은 상기 제2 접촉패널(240)에서 상기 제2 지지대(120)를 향하여 전진하여 고정힘을 가하며, 상기 제3 보조접촉패널(270)은 상기 제3 접촉패널(260)에서 상기 제3 지지대(130)를 향하여 전진하여 고정힘을 가하며, 상기 기체는, 상기 제1 지지대(110)와 상기 제2 지지대(120) 사이로 위치되어 상기 거치몸체(210)에 삽입관통하는 제1 보강지지대(310)와, 상기 제1 지지대(110)와 상기 제3 지지대(130) 사이로 위치되어 상기 거치몸체(210)에 삽입관통하는 제2 보강지지대(320)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보강지지대(310)는 하부로 제1 연장부(311)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보강지지대(320)는 하부로 제2 연장부(3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치몸체(210)의 일측 외곽에는 상기 거치몸체(210)의 일단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제1 상부연장몸체(410)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상부연장몸체(410)의 내측에는 상기 제1 접촉패널(220)의 외측을 누르기 위한 제1 푸시패널(411)이 구비되며, 상기 거치몸체(210)의 타측 외곽에는 상기 거치몸체(210)의 타단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제2 상부연장몸체(4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연장몸체(420)의 내측에는 상기 제2 접촉패널(240)의 외측을 누르기 위한 제2 푸시패널(421)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푸시패널(411)과 상기 제1 보조접촉패널(230) 사이에는 제1 완충부재(L1)가 가압 접촉력을 높이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푸시패널(421)과 상기 제2 보조접촉패널(250) 사이에는 제2 완충부재(L2)가 가압 접촉력을 높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치몸체(210)의 일측 외곽하부에는 제1 외곽다리(510)가 구비되며, 상기 거치몸체(210)의 타측 외곽하부에는 제2 외곽다리(520)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외곽다리(510)와 상기 제1 연장부(311)는 제1 연동장치(610)에 의하여 상호간에 당겨지는 힘이나 밀어내는 힘이 가해지며, 상기 제1 연동장치(610)는, 상기 제1 외곽다리(510)에 외삽되는 제1-1 외삽몸체(612)와, 상기 제1 연장부(311)에 외삽되는 제1-2 외삽몸체(613)와, 양측으로 구비되는 상기 제1-1 외삽몸체(612)와 상기 제1-2 외삽몸체(613) 앞과 뒤로 유동시키도록 하기 위한 제1 구동체(6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외곽다리(520)와 상기 제2 연장부(321)는 제2 연동장치(620)에 의하여 상호간에 당겨지는 힘이나 밀어내는 힘이 가해지며, 상기 제2 연동장치(620)는, 상기 제2 외곽다리(520)에 외삽되는 제2-1 외삽몸체(712)와, 상기 제2 연장부(321)에 외삽되는 제2-2 외삽몸체(713)와, 양측으로 구비되는 상기 제2-1 외삽몸체(712)와 상기 제2-2 외삽몸체(713) 앞과 뒤로 유동시키도록 하기 위한 제2 구동체(7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보강지지대(310)와 상기 제1 접촉패널(220) 사이, 상기 제1 보강지지대(310)와 상기 제1 보조접촉패널(230) 사이에는 고무재질의 제2 완충부재(L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보강지지대(320)와 상기 제2 접촉패널(240) 사이에 제3 완충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보강지지대(320)와 상기 제2 보조접촉패널(250) 사이에는 고무재질의 제4 완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연장몸체(410)는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하는 제1 이동플레이트(412)가 구비되어 상기 제1 푸시패널(411)과 상기 제1 푸시패널(411)과 이웃하는 제1 완충부재(L1)를 눌러 고정하며, 상기 제2 상부연장몸체(420)는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하는 제2 이동플레이트(422)가 구비되어 상기 제2 푸시패널(421)과, 상기 제2 푸시패널(421)과 이웃하는 제2 완충부재(L2)를 눌러 고정하며, 상기 제1 외곽다리(510), 상기 제1 연장부(311), 상기 제2 연장부(321) 및 상기 제2 외곽다리(520)는 하단부 일부가 지면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대상물
2: 수용체
3: 테이블
4: 거치구

Claims (2)

  1. 닭발 가공시스템으로서,
    닭발이 수용되는 수용체(2); 및
    상기 수용체(2)로부터 배출되는 닭발이 1차 위치되는 테이블(3); 및
    상기 테이블(3)상에 구비되어 상기 닭발이 2차 위치되어 손질되는 거치구(4)를 포함하고,
    닭으로부터 닭발을 절단하기 위한 육류절단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육류절단장치는,
    기체(10)에 한쌍의 띠톱풀리(21)를 구성시켜 구동모터(M1)로 연동하는 구동장치부(A)와, 띠톱가이드(22)에는 원형상태의 가이드판(30)의 처음 단부(31)가 함께 체결되어 지는 절단장치부(B)와, 상기 기체(10)가 상부로 구비되는 구조물인 베이스프레임부(10a) 하단에 구비되는 제1 지지대(110)와, 상기 제1 지지대(110) 좌측에 구비되는 제2 지지대(120)와, 상기 제1 지지대(110) 우측에 구비되는 제3 지지대(13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대(110) 내지 상기 제3 지지대(130)를 매개로 베이스프레임부(10a) 및 상기 기체(10)를 지탱고정시키기 위한 지탱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탱유닛은,
    상기 제1 지지대(110) 내지 상기 제3 지지대(130)가 거치되는 거치몸체(210)와,
    상기 거치몸체(210)상에서 상기 제1 지지대(110)의 하단부 영역을 사이에두고 양측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접촉패널(220)과,
    상기 제1 접촉패널(220)의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대(110)의 상단부 영역을 사이에두고 양측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보조접촉패널(230)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보조접촉패널(230)은 상기 제1 지지대(110)의 상단부 영역에 삽입장착되는 제1 삽입돌기(231)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접촉패널(220)은 상기 거치몸체(210)에서 상기 제1 지지대(110)를 사이에 둔채 회전을 통하여 양측에서 압입힘을 가하여 고정하며,
    상기 지탱유닛은,
    상기 거치몸체(210)상에서 상기 제1 지지대(110)의 하단부 영역을 사이에두고 양측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접촉패널(240)과,
    상기 제2 접촉패널(240)의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2 지지대(120)의 상단부 영역을 사이에두고 양측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보조접촉패널(250)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보조접촉패널(250)은 상기 제2 지지대(120)의 상단부 영역에 삽입장착되는 제2 삽입돌기(251)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보조접촉패널(250)은 상기 제2 접촉패널(240)에서 상기 제2 지지대(120)를 향하여 전진하여 고정힘을 가하며,
    상기 지탱유닛은,
    상기 거치몸체(210)상에서 상기 제3 지지대(130)의 하단부 영역을 사이에두고 양측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3 접촉패널(260)과,
    상기 제3 접촉패널(260)의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3 지지대(130)의 상단부 영역을 사이에두고 양측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3 보조접촉패널(270)이 구비되며,
    상기 제3 보조접촉패널(270)은 상기 제3 지지대(130)의 상단부 영역에 삽입장착되는 제3 삽입돌기(271)가 구비되며,
    상기 제3 보조접촉패널(270)은 상기 제3 접촉패널(260)에서 상기 제3 지지대(130)를 향하여 전진하여 고정힘을 가하는, 닭발 가공시스템.
  2. 삭제
KR1020200110754A 2020-09-01 2020-09-01 닭발 가공시스템 KR102591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754A KR102591567B1 (ko) 2020-09-01 2020-09-01 닭발 가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754A KR102591567B1 (ko) 2020-09-01 2020-09-01 닭발 가공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994A KR20220028994A (ko) 2022-03-08
KR102591567B1 true KR102591567B1 (ko) 2023-10-19

Family

ID=80813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754A KR102591567B1 (ko) 2020-09-01 2020-09-01 닭발 가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5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9401A (ko) 2022-10-27 2024-05-07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초음파 세척기능을 갖는 닭발 세척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926B1 (ko) 2003-05-29 2005-03-29 정운조 육류 자동절단장치
KR100940025B1 (ko) 2008-01-07 2010-02-0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닭발뼈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499A (ko) * 1999-03-22 1999-07-05 홍선기 닭발뼈제거장치
KR20050020064A (ko) * 2003-08-20 2005-03-04 정운조 육류 자동절단기의 고기고정장치
KR102238782B1 (ko) 2019-02-18 2021-04-12 이정숙 닭가슴살 분말을 이용한 과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926B1 (ko) 2003-05-29 2005-03-29 정운조 육류 자동절단장치
KR100940025B1 (ko) 2008-01-07 2010-02-0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닭발뼈 제거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 https://blog.naver.com/geumfood/130155841960(2013.01.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994A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820B1 (ko) 절입량 및 세절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야채 절단기
US5513945A (en) Apparatus for removing the upper waste layer resulting in cutting plastic porous concrete blocks or the like
CN108907335B (zh) 一种全自动锯片切割机
US4320570A (en) Apparatus for disassembling wooden pallets
KR102591567B1 (ko) 닭발 가공시스템
CA2340552C (en) Improv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oversized wood chips
DE4444184C2 (de) Vorrichtung zum Teilen von Verbundglas
KR102182465B1 (ko) 파이프 절단장치
CN110587716A (zh) 一种家具生产用实木板切割成型设备
US3768101A (en) Trimming apparatus
CN110722640A (zh) 一种双端横锯装置
US4270423A (en) Slab trimming apparatus
US20110209439A1 (en) Bale cutter
JP7284900B2 (ja) パイナップルの果肉削ぎ取り装置及び方法
JPH05236923A (ja) 野菜、果物処理装置
US4146945A (en) Carcass splitting machine
US5813307A (en) Band saw woodworking machine
CN214138614U (zh) 一种便于上料的建材运输装置
CN115024114A (zh) 步履式全地形竹子砍伐切片输送一体机
US6776202B1 (en) Log peeling apparatus
CN211185524U (zh) 一种用于桑蚕养殖的喂食装置
CN210233264U (zh) 一种热固板切割线
US2822004A (en) Machine for cutting non-rigid material into blocks
US5086820A (en) Wood splitting apparatus
CZ284467B6 (cs) Zařízení k likvidaci starých zasklených ok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