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9772A - 콘택 저항 및 리셋 커런트를 개선할 수 있는 상변화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콘택 저항 및 리셋 커런트를 개선할 수 있는 상변화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9772A
KR20090069772A KR1020070137553A KR20070137553A KR20090069772A KR 20090069772 A KR20090069772 A KR 20090069772A KR 1020070137553 A KR1020070137553 A KR 1020070137553A KR 20070137553 A KR20070137553 A KR 20070137553A KR 20090069772 A KR20090069772 A KR 20090069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orming
electrode contact
lower electrode
interlayer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5591B1 (ko
Inventor
금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70137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5591B1/ko
Priority to US12/169,501 priority patent/US7964498B2/en
Publication of KR20090069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5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5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20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 H10N70/231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based on solid-state phase change, e.g. between amorphous and crystalline phases, Ovshinsky effec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3/0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 H10B63/2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comprising selection components having two electrodes, e.g. di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3/0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 H10B63/3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comprising selection components having three or more electrodes, e.g. transis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011Manufacture or treatment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21Device geometry
    • H10N70/826Device geometry adapted for essentially vertical current flow, e.g. sandwich or pillar typ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41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2Compounds of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e.g. chalcogenides
    • H10N70/8825Selenides, e.g. GeS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81Switching materials
    • H10N70/882Compounds of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e.g. chalcogenides
    • H10N70/8828Tellurides, e.g. GeSb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상변화막의 리셋 전류를 감소시키면서, 스위칭 소자와의 콘택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하부 전극 콘택을 갖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변화 메모리 소자는, 스위칭 소자를 갖는 반도체 기판, 상기 스위칭 소자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스위칭 소자의 구동에 의해 상변화를 일으키는 상변화막, 및 상기 스위칭 소자와는 제 1 면적으로 콘택되고 상기 상변화막과는 제 1 면적보다 좁은 제 2 면적으로 콘택되는 벌브(bulb) 형태의 하부 전극 콘택으로 구성된다.
PRAM, 하부 전극 콘택(BEC), 벌브, 리셋 전류

Description

콘택 저항 및 리셋 커런트를 개선할 수 있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Phase-Change Memory Device Being Able To Improve Contact Resistance And Reset Curr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부 전극 콘택을 갖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IT 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대용량의 정보를 무선으로 처리하는 휴대 정보 통신 시스템 및 기기의 개발에 적합한 초고속 및 대용량등의 특성을 갖는 차세대 메모리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차세대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일반적인 플래쉬 메모리 장치의 비휘발성,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의 고속 동작, 및 DRAM(Dynamic RAM)의 고집적성등을 포함하면서, 더 낮은 소비 전력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차세대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는 일반적인 메모리 장치에 비해 전력, 데이터의 유지 및 기입/독취 특성이 우수한 FRAM(Ferroelectric RAM), MRAM(Magnetic RAM), PRAM(Phase-change RAM) 또는 NFGM(Nano Floating Gate Memory)등의 소자가 연구되고 있다. 그 중 PRAM은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고속 동작이 가능하므로 차세대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 다.
PRAM은 인가되는 전류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따라 그 결정 상태가 변화되는 상변화막을 갖는다. 현재 PRAM에 적용되는 상변화막으로는 게르마늄(Ge), 안티몬(Sb) 및 텔루트(Te)로 구성된 칼코게나이드 화합물(Ge-Sb-Te:GST)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GST와 같은 상변화막은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 및 시간에 따라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그 결정 상태가 변화된다. 이러한 GST는 비정질 상태에서 높은 비저항을 갖는 반면, 결정 상태에서는 낮은 비저항을 가지므로,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저장 매체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현재 상변화 메모리 장치 역시 저전력 및 고집적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저전력 및 고집적화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GST막의 동작 전류, 즉, 리셋 전류(reset current)를 낮추고자 하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리셋 전류를 낮추기 위한 방법으로 현재에는 GST막과 콘택되는 하부 전극 콘택(Bottom electric contact)의 면적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집적 밀도가 증대됨에 따라, 패턴 및 홀을 형성하기 위한 포토리소그라피 기술이 거의 한계에 봉착된 상태이므로, 원하는 리셋 전류를 얻기 위한 초미세 하부 전극 콘택을 형성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한편, 현재의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에서 얻을 수 있는 최소 선폭으로 하부 전극 콘택을 형성하게 되는 경우, 하부 전극 콘택과 스위칭 소자(예컨대 다이오드)와의 콘택 면적이 매우 작아진다. 이러한 콘택 면적의 감소는 하부 전극 콘택과 스위칭 소자간의 콘택 저항을 증대시키는 원인이 되어, 신호 지연 문제를 유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변화막의 리셋 전류를 감소시키면서, 스위칭 소자와의 콘택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하부 전극 콘택을 갖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하부 전극 콘택을 갖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소자는, 스위칭 소자를 갖는 반도체 기판, 상기 스위칭 소자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스위칭 소자의 구동에 의해 상변화를 일으키는 상변화막, 및 상기 스위칭 소자와는 제 1 면적으로 콘택되고 상기 상변화막과는 제 1 면적보다 좁은 제 2 면적으로 콘택되는 벌브(bulb) 형태의 하부 전극 콘택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스위칭 소자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을 준비한다음, 상기 반도체 기판상에 층간 절연막을 형성한다. 그 후에, 상기 층간 절연막 내에 상기 스위칭 소자의 상부를 노출시키는 벌브 형태의 하부 전극 콘택홀을 형성한다음, 상기 하부 전극 콘택홀 내부에 하부 전극 콘택을 형성한다. 그 후, 상기 하부 전극 콘택이 형성된 상기 층간 절연막 상부에 상변화막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벌브 형태의 하부 전극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층간 절연막 상부에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위칭 소자와 대응되는 상기 층간 절연막의 소정 부분이 노출되도록 버퍼층을 식각하여 예비 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버퍼층 상부 및 상기 예비 홀 표면에 블록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위칭 소자와 대응되는 부분의 상기 층간 절연막이 노출되도록 상기 블록킹층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잔류하는 블록킹층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노출된 층간 절연막을 등방성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부 전극 콘택을 상부보다 하부의 면적이 넓은 벌브 형태로 형성함에 따라, 다이오드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상변화막과의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어,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면서 리셋 커런트를 개선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고농도 n형 불순물 영역(105)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00)이 준비된다. 이러한 반도체 기판(100) 상부에 기판 보호막으로서, 패드 산화막(110) 및 패드 질화막(115)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패드 질화막(115) 상부에 소정 두께의 제 1 층간 절연막(120)을 형성한다. 제 1 층간 절연막(120)은 예를 들어, 층간 평탄화 특성이 우수한 HDP(High density plasma) 산화막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그것의 두께는 이후 형성될 다이오드의 높이 정도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고농도 n형 불순물 영역(105)이 노출될 수 있도록 제 1 층간 절연막(120), 패드 질화막(115) 및 패드 산화막(110)을 소정 부분 식각하여, 다이오드가 형성될 콘택홀(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한다. 이어서, 콘택홀이 충분히 매립되도록 n형의 SEG(selective epitaxial growth)층(125)을 성장시킨 다음, n형의 SEG층(125) 상부에 p형의 불순물을 주입하여 n형의 SEG층(125)의 상부 영역에 p형의 불순물 영역(128)을 형성한다. 이에, 콘택홀내에 스위칭 소자의 역할을 하는 PN 다이오드(130)가 형성된다. 그 후, 다이오드(130) 상부, 즉, p형의 불순물 영역(128) 상부에 오믹 콘택층(135)을 선택적으로 형성한다. 상기 오믹 콘택층(135)은 예컨대, 티타늄/티타늄 질화막(Ti/TiN)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다이오드(130)가 형성된 제 1 층간 절연막(120) 상부에 제 2 층간 절연막(140) 및 버퍼층(145)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제 2 층간 절연막(140)은 이후 형성될 하부 전극 콘택간을 절연시키기 위해 제공되며, 버퍼층(145)은 상기 하부 전극 콘택의 형태를 변형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여기서, 제 2 층간 절연막(140)은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막일 수 있고, 버퍼층(145)은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140)과 식각 선택비가 상이한 막을 포함하는 막, 예컨대, 텅스텐막(14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버퍼층(145)이 상기와 같이 난반사를 일으킬 수 있는 금속막으로 형성되는 경우, 금속막 상부에 실리콘 질화막(144)과 같은 하드 마스크막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부 전극 콘택을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도시되지 않음) 및 공지의 포토리소그라피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버퍼층(145)의 소정 부분을 식각 한다. 이에, 버퍼층(145)내에 상기 다이오드(130)의 상부와 대응되는 예비 홀(148)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예비 홀(148)은 현 노광 장치에서 제작할 수 있는 최소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예비 홀(148)이 형성된 버퍼층(145) 상부에 블록킹층(150)을 형성한다. 블록킹층(150)은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140)과 식각 선택비가 상이한 막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블록킹층(150)을 균일한 두께로 형성한다고 하여도, 평탄 지역인 버퍼층(145) 상부에 형성되는 블록킹층(150)이 예비 홀(148)의 측벽 및 저면에 형성되는 블록킹층(150)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다.
그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층간 절연막(140)이 노출되도록 블록킹층(150)을 이방성으로 전면식각한다. 이에 의해, 예비 홀(148)의 저면 및 버퍼층(145) 상면에 위치되는 블록킹층(150)이 선택적으로 식각되고, 예비 홀(148)의 측벽에 위치되는 블록킹층(150)은 식각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전면 식각은 제 2 층간 절연막(140)이 노출되는 시점을 식각 종말점으로 하여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록킹층(150)은 예비 홀(148)의 저면(즉, 제 2 층간 절연막(140) 상부)보다 버퍼층(145) 상부에 더 두껍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예비 홀(148) 저면에 위치하는 블록킹층(150)이 모두 제거되었더라도, 버퍼층(145) 상부에는 블록킹층(150)이 잔류하게 된다.
다음, 잔류하는 블록킹층(150)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노출된 제 2 층간 절연막(140)을 등방성 식각한다. 이에 따라, 제 2 층간 절연막(140)내에 벌브(blub) 형태의 하부 전극 콘택홀(15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벌브 형태의 하부 전극 콘택 홀(155)은 그것의 상부 부분은 예비 홀(148)보다 좁은 직경을 갖게 되고, 하부 부분은 상기 등방성 식각에 의해 예비 홀(148)보다 큰 직경을 갖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하부 전극 콘택홀(155)의 상부 부분은 노광 한계치 보다 작은 직경을 갖게 된다.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킹층(150)을 제거한다. 상기 블록킹층(150)이 실리콘 산화막인 경우, 반도체 기판 결과물을 HF 용액에 딥핑(dipping)하여, 블록킹층(150)을 제거한다. 그 후, 버퍼층(145)을 제거한다. 버퍼층(145)은 예를 들어 화학적 기계적 연마 방식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그 후, 벌브 형태의 하부 전극 콘택홀(155)내에 도전물을 충진하여, 하부 전극 콘택(160)을 형성한다. 하부 전극 콘택(160)은 하부 전극 콘택홀(155) 표면에 형성되는 장벽 금속막(161), 및 장벽 금속막(161) 표면에 하부 전극 콘택홀(155)을 충진하도록 형성되는 도전막(16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장벽 금속막(161)으로는 티타늄/티타늄 질화막이 이용될 수 있고, 도전막(163)은 텅스텐 금속막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음, 하부 전극 콘택(160)이 형성된 제 2 층간 절연막(140) 상부에 상변화막, 예컨대 GST막(165)을 형성한다.
도 7은 GST막(165)과 벌브 형태의 하부 전극 콘택(160)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에 의하면, 하부 전극 콘택(160)이 벌브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다이오드(130) 상부의 오믹 금속층(135)과 충분한 접촉 면적을 가지고 콘택되므로, 콘택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벌브 형태의 하부 전극 콘택(160)은 하부에 비해 상부가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을 가짐으로 인해, 상변화막(165)과는 하부보다는 좁은 면적을 가지고 접촉된다. 이에 의해, 상변화막(165)의 리셋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 전극 콘택(160)을 상부보다 하부의 면적이 넓은 벌브 형태로 형성함에 따라, 다이오드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상변화막과의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어,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면서 리셋 커런트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칭 소자로서 SEG층에 형성되는 PN 다이오드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모스 트랜지스터등 다양한 스위치 소자들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브 형태의 하부 전극 콘택을 갖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공정별로 나타낸 단면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브 형태의 하부 전극 콘택과 다이오드 및 상변화막의 콘택 형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반도체 기판 130 : 다이오드
140 : 제 2 층간 절연막 145 : 버퍼층
150 : 블록킹층 155 : 벌브 형태의 하부 전극 콘택홀
160 : 하부 전극 콘택

Claims (13)

  1. 스위칭 소자를 갖는 반도체 기판;
    상기 스위칭 소자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스위칭 소자의 구동에 의해 상변화를 일으키는 상변화막; 및
    상기 스위칭 소자와는 제 1 면적으로 콘택되고, 상기 상변화막과는 제 1 면적보다 좁은 제 2 면적으로 콘택되는 벌브(bulb) 형태의 하부 전극 콘택을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SEG(selective epitaxial growth)층으로 된 PN 다이오드인 상변화 메모리 소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PN 다이오드 및 상기 하부 전극 콘택 사이에 오믹 콘택층이 더 개재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 콘택은,
    장벽 금속막; 및
    장벽 금속막 상부에 형성되는 도전막으로 형성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
  5. 스위칭 소자를 갖는 반도체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상에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층간 절연막 내에 상기 스위칭 소자의 상부를 노출시키는 벌브 형태의 하부 전극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부 전극 콘택홀 내부에 하부 전극 콘택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부 전극 콘택이 형성된 상기 층간 절연막 상부에 상변화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벌브 형태의 하부 전극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층간 절연막 상부에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위칭 소자와 대응되는 상기 층간 절연막의 소정 부분이 노출되도록 버퍼층을 식각하여 예비 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버퍼층 상부 및 상기 예비 홀 표면에 블록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스위칭 소자와 대응되는 부분의 상기 층간 절연막이 노출되도록 상기 블록킹층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잔류하는 블록킹층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노출된 층간 절연막을 등방성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층간 절연막과 식각 선택비가 상이한 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층간 절연막 상부에 텅스텐 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텅스텐막 상부에 실리콘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킹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버퍼층과 식각 선택비가 상이한 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킹층은 실리콘 산화막인 상변화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절연막이 노출되도록 블록킹층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층간 절연막이 노출되는 시점을 식각 종말점으로 하여, 상기 블록킹층을 전면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절연막을 등방성 식각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잔류하는 블록킹층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버퍼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 콘택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부 전극 콘택홀 표면에 장벽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부 전극 콘택홀이 충진되도록 상기 장벽 금속막 상부에 도전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70137553A 2007-12-26 2007-12-26 콘택 저항 및 리셋 커런트를 개선할 수 있는 상변화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935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553A KR100935591B1 (ko) 2007-12-26 2007-12-26 콘택 저항 및 리셋 커런트를 개선할 수 있는 상변화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12/169,501 US7964498B2 (en) 2007-12-26 2008-07-08 Phase-change memor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contact resistance and reset curr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553A KR100935591B1 (ko) 2007-12-26 2007-12-26 콘택 저항 및 리셋 커런트를 개선할 수 있는 상변화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772A true KR20090069772A (ko) 2009-07-01
KR100935591B1 KR100935591B1 (ko) 2010-01-07

Family

ID=40796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553A KR100935591B1 (ko) 2007-12-26 2007-12-26 콘택 저항 및 리셋 커런트를 개선할 수 있는 상변화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64498B2 (ko)
KR (1) KR1009355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6703B2 (en) 2010-03-23 2013-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s and electronic systems
US8933430B1 (en) 2013-07-11 2015-01-13 SK Hynix Inc. Variable resistanc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3470A (ko) * 2008-10-20 2010-04-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상변화 메모리 소자의 하부 전극 콘택 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101486984B1 (ko) * 2008-10-30 2015-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 저항 메모리 소자 및 그 형성방법
KR101069673B1 (ko) * 2009-05-12 2011-10-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잔류 열을 제거할 수 있는 상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03160A (ko) * 2010-03-12 2011-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40083591A (ko) * 2012-12-26 2014-07-0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US11035044B2 (en) 2017-01-23 2021-06-15 Versum Materials Us, Llc Etching solution for tungsten and GST films
CN113594202A (zh) * 2021-07-07 2021-11-02 长江先进存储产业创新中心有限责任公司 相变存储器及其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944B1 (ko) * 2005-01-12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상전이 램 동작 방법
KR100682946B1 (ko) * 2005-05-31 200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상전이 램 및 그 동작 방법
KR100655082B1 (ko) * 2005-12-23 2006-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상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94657B1 (ko) * 2006-06-28 2008-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배리어 금속막 형성 방법
KR100858083B1 (ko) * 2006-10-18 2008-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부전극 콘택층과 상변화층 사이에 넓은 접촉면적을 갖는상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6703B2 (en) 2010-03-23 2013-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s and electronic systems
US8933430B1 (en) 2013-07-11 2015-01-13 SK Hynix Inc. Variable resistanc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66602A1 (en) 2009-07-02
KR100935591B1 (ko) 2010-01-07
US7964498B2 (en) 201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5591B1 (ko) 콘택 저항 및 리셋 커런트를 개선할 수 있는 상변화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7723716B2 (en) Phase change memory device
US7811879B2 (en) Process for PCM integration with poly-emitter BJT as access device
US8133758B2 (en) Method of fabricating phase-change memory device having TiC layer
KR20100076274A (ko) 상변화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9212369A (ja)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並びにデータ処理システム
EP1966841A1 (en) A vertical phase change memory cell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reof
US7777214B2 (en) Phase change memory device with a novel electrode
US8558210B2 (en) Polysilicon emitter BJT access device for PCRAM
US20090221146A1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US20230100433A1 (en) Buffer layer in memory cell to prevent metal redeposition
CN111146340B (zh) 一种相变存储器单元及其制备方法
KR20080100053A (ko) 피엔 다이오드를 이용한 상변화 기억 소자의 제조방법
KR101096445B1 (ko) 상변화 기억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98258B1 (ko)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US20090101885A1 (en) Method of producing phase change memory device
KR101782844B1 (ko) 상변화 구조물, 상변화 물질층의 형성 방법, 상변화 메모리 장치 및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00077535A (ko) 콘택 구조체, 그것의 제조방법, 그것을 구비한 상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7985693B2 (en) Method of producing phase change memory device
KR100985757B1 (ko) 하부전극콘택층을 구비한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KR20120133677A (ko)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CN113330594A (zh) 具有双向驱动特性的切换器件及其操作方法
TWI411021B (zh) 自會聚底部電極環
KR100831159B1 (ko) 상변화 메모리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61978A (ko) 상변화 물질의 들뜸(Peeling)현상 방지를 위한 식각조건 변경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