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7568A - 탄소재료를 알루미늄 속에 캡슐화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탄소재료를 알루미늄 속에 캡슐화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7568A
KR20090067568A KR1020070135267A KR20070135267A KR20090067568A KR 20090067568 A KR20090067568 A KR 20090067568A KR 1020070135267 A KR1020070135267 A KR 1020070135267A KR 20070135267 A KR20070135267 A KR 20070135267A KR 20090067568 A KR20090067568 A KR 20090067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carbon
carbon material
carbon nanotubes
encap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5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6746B1 (ko
Inventor
이영희
소강표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대유신소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대유신소재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35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746B1/ko
Priority to JP2008191440A priority patent/JP5296438B2/ja
Priority to DE200860003181 priority patent/DE602008003181D1/de
Priority to US12/179,543 priority patent/US20090162654A1/en
Priority to EP20080161044 priority patent/EP2072635B1/en
Priority to CNA2008101352816A priority patent/CN101463435A/zh
Publication of KR20090067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7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8Carbon nanotubes
    • C01B32/168After-treatment
    • C01B32/174Derivatisation; Solubilisation; Dispersion in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4Burning or sinte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05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carbon not covered by groups C01B32/15, C01B32/20, C01B32/25, C01B32/3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10Alloys containing non-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10Alloys containing non-metals
    • C22C1/1005Pretreatment of the non-metall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10Alloys containing non-metals
    • C22C1/1084Alloys containing non-metals by mechanical alloying (blending, mi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6/00Alloys containing diamond or cubic or wurtzitic boron nitride, fullerenes or 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2/00Non-ferrous alloys containing at least 5% by weight but less than 50% by weight of oxides, carbides, borides, nitrides, silicides or other metal compounds, e.g. oxynitrides, sulfides, whether added as such or formed in situ
    • C22C32/0084Non-ferrous alloys containing at least 5% by weight but less than 50% by weight of oxides, carbides, borides, nitrides, silicides or other metal compounds, e.g. oxynitrides, sulfides, whether added as such or formed in situ carbon or graphite as the main non-metallic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2/00Structure or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 C01B2202/06Multi-walled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2/00Structure or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 C01B2202/20Nanotubes characterized by their properties
    • C01B2202/28Solid content in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2/00Structure or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 C01B2202/20Nanotubes characterized by their properties
    • C01B2202/34Length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2/00Structure or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 C01B2202/20Nanotubes characterized by their properties
    • C01B2202/36Diame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18Rod, strand, filament or fiber including free carbon or carbide or therewith [not as ste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78Of met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Alloys Or Alloy Compound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 탄소재료에 결함과 기능화를 유도하는 단계; (ii) 상기 기능화된 탄소재료를 알루미늄과 혼합하는 단계; 및 (iii) 비활성 기체 분위기 하에서 상기 혼합물을 볼밀(ball mill)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소재료를 알루미늄 속에 캡슐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탄소재료, 알루미늄, 복합체, 캡슐화, 볼밀

Description

탄소재료를 알루미늄 속에 캡슐화하는 방법{Encapsulation of carbon material within aluminum}
본 발명은 탄소재료를 알루미늄 속에 캡슐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루미늄은 주방에서 사용하는 포일(foil)에서, 일회용 식기, 창문, 자동차, 항공기 및 우주선까지 생활에 다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알루미늄의 특성으로는 철의 중량의 1/3 정도로 가볍고, 다른 금속과 합금을 시킬 경우 뛰어난 강도를 갖는다. 또한 알루미늄 표면에는 화학적으로 안정한 산화막이 존재하여 수분이나 산소 등에 의해 부식이 진행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화학적으로 안정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알루미늄은 자동차와 항공기 등에 사용되어 왔다. 특히 자동차의 경우 알루미늄 휠은 기존의 철제 휠에 비하여 가벼워 자체의 하중을 줄일 수 있으며, 이것은 차체 무게의 경량화를 가져와 연비 감소에 기여할 수 있는 일거양득의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알루미늄은 철에 비해 인장 강도가 약 40 %정도밖에 되지 않아 구조용재로 사용할 경우 구조용 알루미늄관이나 판재의 두께가 매우 두꺼워지고, 이는 결국 재료가 과다하게 소요되고, 과다한 재료비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인장 강도가 우수한 탄소 재료와 알루미늄의 복합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다. 탄소재료와 알루미늄과의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극복해야할 문제점들이 있다. 그 첫 번째는 탄소재료끼리의 반데르발스(Van der waals) 힘에 의한 상호 강한 자체 응집성을 가지고 있어서 알루미늄 복합재료 기재에 균일 분산시키기가 힘들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탄소재료와 알루미늄 매트릭스 간의 강한 상호 작용이다. 최근 연구된 논문에 의하면 알루미늄은 표면 에너지는 955 mN/m 이고 탄소재료의 한 예인 탄소나노튜브의 경우는 45.3 mN/m로 밝혀졌다[참고문헌: J.M. Molina et al. international Journal of adhesion Adhesives 27 (2007) 394-401, S. Nuriel, L. Liu, A.H. Barber, H.D. Wagner. Direct measurement of multiwall nanotube surface tension, Chemical Physics Letters 404 (2005) 263-266]. 이 결과에 따르면 탄소재료는 알루미늄과는 확연히 다른 표면적인 성질 때문에 약한 상호 작용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탄소재료가 가진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알루미늄과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그 예로 기상 배합 방법, 용액 분산 방법, 전기 도금 방법, 볼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기상 배합 방법은 금속 분말과 탄소나노튜브를 기상으로 혼합하는 기술이다. 그 예로 일본 공개 특허 2007-16262(2007.1.25)를 들 수 있다. 기상 혼합은 알루미늄을 포함한 다양한 금속 분말을 사용이 가능하고 탄소나노튜브와 균일 혼합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탄소나노튜브는 산화막을 가진 알루미늄 입자 내부로 침투하기 어려워 견고한 알루미늄-탄소재료 복합체를 제조하기 힘들다는 점에 대하여 한계점을 가진다.
용액을 이용한 분산 복합체 제조 방법에서는 미세한 알루미늄 입자를 용액에 분산시킨 후 탄소나노튜브를 분산시킨 용액과 섞어 용매만 건조하는 기술이다. 그 예로 중국 공개 특허 CN1465729A가 있다. 용액 속에서 섞는 방법은 탄소나노튜브를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용액을 이용한 방법은 알루미늄 입자의 크기가 작은 것을 이용해야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크기가 작은 알루미늄 입자를 사용할 경우 폭발의 위험성을 지닌다. 이 방법 또한 탄소나노튜브가 알루미늄 입자의 산화막 내부로 침투하기 힘들다는 점에서 한계점이 있다.
전기 도금 방법으로서 복합재료 도금 용액을 만들고 전위를 인가하여 복합재료가 도금되게 하는 방법이 있다. 그 예로 일본 공개 특허 2007-070689(2007.03.22)를 들 수 있다. 이 기술은 나노 카본을 알루미늄 도금액 속에 분산시켜 나노카본-알루미늄 복합재가 음극(cathode) 표면에 도금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또한, 도금액을 구성하는 나노 카본의 함유율을 0.1 ~ 50%, 바람직하게는 0.1 ~ 20%로 한정하는 단점이 있다. 나노 카본의 함유율이 0.1% 이하이면 나노 카본의 특성이 나타나기 어렵고 50% 이상이면 알루미늄과 나노 카본의 결합력이 약화 되어 강도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이 방법은 정제된 알루미늄 매트릭스를 제조하는데 1 주일 이상 소요되며, 반응에 사용된 복합재료 도금용액 전체를 수거하기 어려워서 시료의 손실이 많고, 이로 인하여 수율이 떨어지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볼밀 법은 물리적인 강도가 뛰어난 볼을 이용하여 강한 물리적인 충격으로 탄소나노튜브와 알루미늄을 혼합하는 기술이다. 그 예로 일본 공개 특허 2006-315893(2006.11.24)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특허에 기술되어 있는 볼밀 방법은 누에꼬치의 실과 같이 복잡하게 꼬여있는 탄소나노튜브를 분쇄하여 알루미늄 입자와 분산 혼합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탄소나노튜브를 분쇄/분산 혼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탄소나노튜브가 알루미늄 입자와 분리되어있다. 또한 탄소재료를 분쇄하기 때문에 손상을 입히는 점과 알루미늄 산화막 내에 침투할 수 없다는 것에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볼밀(ball mill) 방법에 의해 탄소재료를 알루미늄 입자 속에 캡슐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캡슐화된 탄소재료는 그 구조가 깨지지 않고 탄소재료의 결정성을 그대로 확보하여 강도 향상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제조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탄소재료의 결정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알루미늄 속에 캡슐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탄소재료를 알루미늄 속에 캡슐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볼밀(ball mill) 방법을 이용하여 기능화된 탄소재료를 알루미늄 속에 캡슐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은 (i) 탄소재료에 결함과 기능화를 유도하는 단계; (ii) 상기 기능화된 탄소재료를 알루미늄과 혼합하는 단계; 및 (iii) 비활성 기체 분위기 하에서 상기 혼합물을 볼밀(ball mill)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소재료를 알루미늄 속에 캡슐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탄소재료로는 흑연, 흑연 섬유, 탄소섬유, 탄소나노 섬유 및 탄소나노튜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현재 입수가능한 탄소재료는 직경이 0.4 ㎚ 내지 16 ㎛이고, 길이가 10 ㎚ 내지 10 cm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탄소나노튜브는 현재까지 보고된 자료(Science 292 , 2462 (2001))로 제일 작은 직경의 크기는 0.4 ㎚로 알려져 있으며, 탄소 섬유는 상용화된 제품의 직경이 최대 16 ㎛로 알려져 있다(Taiwan Carbon Technology Co). 본 발명에서 사용한 탄소재료로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는 직경이 10 내지 20 ㎚, 길이가 10 내지 20 ㎛인 것을 사용하였고, NK 탄소나노튜브는 직경이 40 내지 60 ㎚, 길이가 20 ㎛ 내외인 것을 사용하였다. 탄소섬유(toray)는 직경 7~8 ㎛에 길이 5 mm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은 탄소재료의 크기에 어떠한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다.
상기 (i) 단계에서, 탄소재료의 결함과 기능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산 처리할 수 있다. 산 처리는 질산(HNO3), 황산(H2SO4) 또는 질산과 황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산을 사용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의 경우 sp2 혼성결합을 이루고 원통형 형태를 이루고 있는 구조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 구조는 표면이 매끈하여 다른 물질과 결합을 하기 어렵다. 따라서 복합체로 사용되는 탄소나노튜브는 매트릭스와 결합 을 할 수 있게 흠과 같은 결함을 만들어 이용한다. 또한 기능화는 결함에 특정한 반응성을 갖는 -OH, -COOH, -CHO 등의 작용기 등을 부착하여 반응성을 높이는 것이다.
상기 (i) 단계에서, 탄소재료의 결함과 기능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웨이브 처리할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처리는 용매로서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질산(HNO3) 및 황산(H2SO4)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처리 시간은 1분 내지 10분일 수 있다.
상기 (i) 단계에서, 탄소재료의 결함과 기능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플라즈마 처리할 수 있다. 플라즈마 처리는 산소, 아르곤 및 헬륨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가스를 사용할 수 있다. 전력은 50 W 내지 1000 W를 사용할 수 있으며, 처리시간은 1분 내지 1시간일 수 있다.
상기 (i) 단계에서, 탄소재료의 결함과 기능화를 유도하기 위한 방법으로 산, 마이크로웨이브 또는 플라즈마 처리를 예로 들고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ii) 단계에서, 탄소 재료와 알루미늄의 혼합비율은 0.1 내지 50 wt%일 수 있다.
상기 (iii) 단계에서, 상기 혼합물의 비활성 기체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하여 비활성 기체인 아르곤, 질소, 헬륨 또는 네온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탄소재 료에 알루미늄 분말을 캡슐화하기 위해서 100 rpm 내지 5000 rpm으로 30분 내지 7일 동안 볼밀(ball mill)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은 볼밀하는 상기 rpm 및 시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캡슐화된 알루미늄-탄소재료 복합체는 두께가 원자 단일층인 0.3 ㎚부터 가능할 수 있다. 캡슐화된 알루미늄-탄소재료 복합체는 두께가 0.3 ㎚ 내지 10 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슐화된 알루미늄-탄소재료 복합체는 탄소재료를 한 개 이상 포함한다.
현재의 탄소나노튜브 및 탄소재료 복합체 분야에서 극복해야 할 문제는 탄소재료를 금속 기재 내에 고르게 분산 시키고 그들과 상호작용을 하게 만들어 주는 것이며, 그럼으로써 우수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참고문헌: Carbon Nanotube/Aluminium Composites with Uniform Dispersion*, Materials Transactions, Vol. 45, No. 2 (2004) pp. 602-604]. 탄소재료 특히 탄소나노튜브를 금속 기재 내에 고르게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그들 간의 물리적인 분자 혹은 원자의 상호작용하는 성질이 비슷해야 잘 섞이는 특성을 보인다. 이 예는 흔히 우리 생활에서 물과 기름이 분리되는 현상으로 관찰할 수 있는데, 원인은 둘 간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척도인 표면장력(Surface tension)이 다르기 때문이다. 물의 경우는 표면장력이 72 mN/m 기름(benzene)이 28.9 mN/m로 두 배 이상이 차이가 있다. 탄소나노튜브와 알루미늄의 경우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둘 간의 표면장력의 차이는 20 배 정도가 차이가 난다. 따라서 알루미늄 속에 탄소재료 또는 탄소나노튜브를 캡슐화할 경우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으므로 탄소재료의 알루미늄 기 재 속에 분산적하는 측면에서 볼 때 향상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은 우수한 기계적 성질과 관련지을 수 있으므로 고 강도 복합체를 기대할 수 있다. [참고자료: Processing and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reinforced aluminum composites,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A 444 (2007) 138-45]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알루미늄 캡슐화된 탄소재료는 탄소재료의 알루미늄 캡슐화 후의 색변화 관찰, 전자현미경 사진, 라만 분석, 알루미늄 캡슐 제거 등을 통하여 탄소재료의 알루미늄 캡슐화가 이루어진 것과 탄소재료의 결정성이 그대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탄소재료-알루미늄 복합체는 무게가 가볍고, 역학적 강도가 우수하여 현재 사용되는 자동차 부품 및 알루미늄 휠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 목적은 볼밀 방법을 이용하여 탄소재료를 알루미늄 속에 캡슐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i) 탄소재료에 결함과 기능화를 유도하는 단계; (ii) 상기 기능화된 탄소재료를 알루미늄과 혼합하는 단계; 및 (iii) 비활성 기체 분위기 하에서 상기 혼합물을 볼밀(ball mill)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소재료를 알루미늄 속에 캡슐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요소와 기술적 특징을 다음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을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구성요소의 기술적 범위를 실시예들에 예시한 것들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인용된 문헌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참조로서 통합된다.
실시예
실시예 1: 탄소재료의 알루미늄속 캡슐화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도 1에서의 실험 공정을 따른다. 탄소재료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일진나노텍), NK 탄소나노튜브(nanokarbon 업체), 탄소섬유(도래이-일본)를 사용하였다.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는 직경 10 ~ 20 ㎚에 길이 10 ~ 20 ㎛, NK 탄소나노튜브는 직경 40 ~ 60 ㎚에 길이 20 ㎛를 사용하였다.
1-1. 산 처리에 의한 탄소재료의 기능화 유도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70% 질산(HNO3)에 3시간 동안 수조형 반응기에서 초음파 반응하여 기능화를 유도하였다. NK 탄소나노튜브는 기능화된 제품을 구매하였다. 탄소 섬유는 황산(H2SO4)과 질산(HNO3)을 1:1로 섞은 것에 2시간 동안 초음파 반응하여 기능화를 유도하였다.
1-2. 마이크로웨이브 처리에 의한 탄소재료의 기능화 유도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기능화 유도 방법은 에틸렌 클리콜(ethylene glycol) 또는 질산(HNO3)을 용매로, 그리고 염소산나트륨(NaClO3 )을 산화 촉진제로 사용하였고 상기 용매에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분산하였다. 마이크로웨이브는 전자렌지(대우일렉트로닉스, KR-U20AB)를 이용하여 3분 동안 처리하였으며, 처리 시간은 1분에서 6분까지 가능하다.
1-3.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탄소재료의 기능화 유도
플라즈마 처리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상압에서 소비전력 500 W를 사용하여 플라즈마를 형성하였으며, 가스원료는 산소 500 sccm과 헬륨 300 sccm을 이용하였다. 플라즈마는 A-tech system 제품을 이용하여 5분 동안 처리함으로써 결함과 기능화를 유도하였다.
1-4. 볼밀에 의한 탄소재료의 알루미늄 속 캡슐화
알루미늄은 19 g 분말을 사용하였고 탄소재료로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NK 탄소나노튜브 또는 탄소섬유를 1g을 사용하였다. 알루미늄 입자의 직경은 70 ㎛로 삼전화학에서 구매한 제품을 사용하였다. 기능화가 유도된 상기 탄소재료를 각각 알루미늄 분말과 비율 5 wt%로 볼밀하여 혼합하였다. 밀링을 위한 볼은 3 mm의 직경을 가진 지르코니아 볼로 전체 혼합용기의 1/3 부피를 채워 사용하였다. 혼합된 알루미늄과 탄소재료 분말을 볼밀을 위한 강철 용기에 볼과 함께 넣고 산화 방지를 위해 비활성 기체인 아르곤을 이용하여 20분 동안 비활성 분위기를 유지하였다. 비활성 분위기가 유지된 혼합분말을 400 rpm으로 12시간 동안 볼밀(ball mill)을 진행하였다. 볼밀 후 알루미늄 캡슐화된 탄소재료를 수 mm 구멍의 망을 이용하여 수거하였다.
실시예 2: 탄소재료의 알루미늄 캡슐화 후의 색 변화 관찰
알루미늄으로 탄소재료를 캡슐화 하기 전과 후의 색 변화를 디지털 카메라(니콘, koolpix-3700)로 촬영하였다.
도 2의 (a)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의 알루미늄 캡슐화 전의 사진이다. 알루 미늄으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캡슐화 하기 위한 실제의 부피를 나타내었다. 도 2의 (b)는 탄소나노튜브의 알루미늄 캡슐화 후의 사진이다. 도 2의 (a) 실험전의 사진과 비교하여 보면 탄소나노튜브의 겉보기 색이 알루미늄과 같은 은백색을 나타냄을 볼 수 있다. 이 결과로서 탄소나노튜브는 모두 알루미늄 캡슐화가 되었음을 예측할 수 있다.
도 2의 (c)는 NK 탄소나노튜브의 알루미늄 캡슐화 전의 사진이다. NK 탄소나노튜브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의 일종으로 직경이 일반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보다 두껍고 표면에 많은 관능기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겉보기 부피는 알루미늄 분말보다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의 (d) NK 탄소나노튜브의 알루미늄 캡슐화 후의 사진이다. 위와 같이 겉보기 색을 관찰하여 보았을 때 알루미늄과 같은 은백색을 띄는 것을 보아 알루미늄 캡슐화가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의 (e)는 탄소 섬유의 알루미늄 캡슐화 전의 사진이다. 탄소섬유의 겉보기 부피는 NK 탄소나노튜브와 마찬가지로 알루미늄 분말보다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의 (f)는 탄소섬유의 알루미늄 캡슐화 후의 사진이다. 광택이 은백색을 나타내는 것을 보아 모든 탄소섬유가 알루미늄 캡슐화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3: 탄소재료의 알루미늄 캡슐화 후의 전자 현미경 사진
도 3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의 알루미늄 캡슐화 후의 전자 현미경(JEOL, JSM7000F) 사진이다. 도 3의 (a)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의 알루미늄 캡슐화 후 표면을 10,000x에서 전자현미경으로 관측한 사진이다. 도 3의 (b)는 (a)와 같은 부 위를 30,000 x에서 관측한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의 (c)는 알루미늄 캡슐화 하기 전의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30,000x에서 관측한 전자현미경 사진다. 알루미늄 캡슐화하기 전과 후의 사진인 도 3의 (b)와 (c)을 비교하여 보았을 때 같은 배율임을 감안하여 보면 탄소나노튜브의 관측되지 않은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원소분석 결과 도3의 (b)에서 관측한 물질이 알루미늄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는 알루미늄 캡슐화가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4: 알루미늄 캡슐화 후의 탄소재료의 라만 분석
도 4는 알루미늄 캡슐화 된 탄소재료의 라만 분석 자료이다. 라만분석은 캡슐화된 시편의 표면을 측정하였다. 라만 장비는 Renishaw의 Invia Basic 모델로 633 ㎚ He/Ne laser를 사용하였다. 도 4의 (a)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의 알루미늄 캡슐화 후의 라만 스펙트럼이다. 그래프에서 탄소나노튜브의 결정성을 나타내는 G 피크(peak)와 D 피크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결과는 알루미늄 캡슐화가 진행된 후에도 탄소나노튜브의 결정성은 그대로 남아 있음을 의미한다. 도 4의 (b)와 (c)는 각각 NK 탄소나노튜브와 탄소 섬유에 대한 라만 분석 결과이다. 이 결과들도 마찬가지로 탄소재료의 결정성이 여전히 존재함을 나타낸다.
실시예 5: 알루미늄 캡슐의 제거
도 5는 알루미늄 캡슐의 제거 과정을 나타낸 광학 사진이다. 알루미늄 캡슐을 10 vol% HCl 용액 속에 4시간 동안 부식시켰다. 도 5의 (a)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고 있는 알루미늄 캡슐을 10 vol% HCl에 넣은 후의 광학 사진이다. 도 5의 (b)는 4시간 부식과정 후의 광학 사진이다. 4시간 동안 알루미늄을 부식시 킨 후 용액의 색을 관찰해보면 검정색 혼탁용액을 볼 수 있다. 도 6은 알루미늄 캡슐이 제거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혼탁용액으로부터 진공 필터링으로 분리하여 측정한 전자현미경(JEOL, JSM7000F) 사진이다. 전자 현미경 사진 분석결과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는 깨지지 않고 기다란 선의 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 결과는 도 4의 탄소나노튜브가 손상되지 않고 남아있는 라만 분석결과와 일치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기능화'는 탄소재료에 결함을 형성하여 관능기 또는 작용기를 붙이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캡슐화'는 탄소재료를 알루미늄으로 피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탄소재료-알루미늄 복합체는 무게가 가볍고, 역학적 강도가 우수하여 현재 사용되는 자동차 부품 및 알루미늄 휠에 적용 가능하며, 승용차 위주인 알루미늄 휠 시장을 상용차 및 대형 트럭으로까지 확대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고강도가 요구되는 항공기, 우주선, 선박 등의 소재로서도 활용이 기대된다. 또한, 탄소재료-알루미늄 복합체의 고열전도성으로 컴퓨터 부품 및 각종 냉각기 부품 등에 응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알루미늄으로 탄소재료를 캡슐화 하기 위한 공정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알루미늄으로 캡슐화된 탄소재료의 실험 전과 후의 광학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알루미늄으로 캡슐화된 탄소재료의 전자 현미경 분석 결과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알루미늄으로 캡슐화된 탄소재료의 라만 분석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알루미늄으로 캡슐화된 탄소재료의 알루미늄 캡슐 부식 제거 과정에 대한 광학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알루미늄으로 캡슐화된 탄소재료의 알루미늄 캡슐 부식 제거 후에 대한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Claims (6)

  1. (i) 탄소재료에 결함과 기능화를 유도하는 단계;
    (ii) 상기 기능화된 탄소재료를 알루미늄과 혼합하는 단계; 및
    (iii) 비활성 기체 분위기에서 상기 혼합물을 볼밀(ball mill)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소재료를 알루미늄 속에 캡슐화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탄소재료는 흑연, 흑연섬유, 탄소섬유, 탄소나노섬유 및 탄소나노튜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재료를 알루미늄 속에 캡슐화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탄소재료는 직경이 0.4 ㎚ 내지 16 ㎛이고, 길이가 10 ㎚ 내지 10 cm임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재료를 알루미늄 속에 캡슐화하는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산, 마이크로웨이브 또는 플라즈마를 처리하여 탄소재료에 결함과 기능화를 유도함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재료를 알루미늄 속에 캡슐화하는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알루미늄-탄소재료 혼합물을 100 rpm 내지 5000 rpm으로 30분 내지 7일 동안 볼밀(ball mill)함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재료를 알루미늄 속에 캡슐화하는 방법.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캡슐화된 알루미늄-탄소재료 복합체는 두께가 0.3 ㎚ 내지 10 mm임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재료를 알루미늄 속에 캡슐화하는 방법.
KR1020070135267A 2007-12-21 2007-12-21 탄소재료를 알루미늄 속에 캡슐화하는 방법 KR100906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267A KR100906746B1 (ko) 2007-12-21 2007-12-21 탄소재료를 알루미늄 속에 캡슐화하는 방법
JP2008191440A JP5296438B2 (ja) 2007-12-21 2008-07-24 炭素材料をアルミニウムの中にカプセル化する方法
DE200860003181 DE602008003181D1 (de) 2007-12-21 2008-07-24 Einkapselung von Kohlenstoffmaterial in Aluminium
US12/179,543 US20090162654A1 (en) 2007-12-21 2008-07-24 Encapsulation of carbon material within aluminum
EP20080161044 EP2072635B1 (en) 2007-12-21 2008-07-24 Encapsulation of carbon material within aluminum
CNA2008101352816A CN101463435A (zh) 2007-12-21 2008-08-07 碳材料在铝中的包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267A KR100906746B1 (ko) 2007-12-21 2007-12-21 탄소재료를 알루미늄 속에 캡슐화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568A true KR20090067568A (ko) 2009-06-25
KR100906746B1 KR100906746B1 (ko) 2009-07-09

Family

ID=39971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5267A KR100906746B1 (ko) 2007-12-21 2007-12-21 탄소재료를 알루미늄 속에 캡슐화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162654A1 (ko)
EP (1) EP2072635B1 (ko)
JP (1) JP5296438B2 (ko)
KR (1) KR100906746B1 (ko)
CN (1) CN101463435A (ko)
DE (1) DE602008003181D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893B1 (ko) * 2009-02-24 2012-03-23 (주) 디에이치홀딩스 탄소나노튜브(cnt)-알루미늄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KR101275125B1 (ko) * 2010-11-12 2013-06-18 주식회사 엘피나노연구소 고온볼밀을 이용한 금속/탄소나노튜브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53530B1 (ko) * 2012-09-06 2014-01-22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볼밀을 이용한 금속-탄소나노튜브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79718B1 (ko) * 2018-07-30 2019-05-17 문지훈 저소음 및 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용 cnt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6432A (ko) * 2008-08-29 2010-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 플레이트 제조 방법
KR101091272B1 (ko) * 2009-09-24 2011-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와 금속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분말의 제조방법
KR101197581B1 (ko) * 2009-12-09 2012-11-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기지 복합재 및 그 제조 방법
CN101898895B (zh) * 2010-07-13 2012-11-28 武汉科技大学 一种纳米晶尖晶石-碳复合粉体及其制备方法
DE102011000395A1 (de) * 2011-01-28 2012-08-02 Hydro Aluminium Rolled Products Gmbh Thermisch und elektrisch hochleitfähiges Aluminiumband
KR101242529B1 (ko) * 2011-02-22 2013-03-12 주식회사 대유신소재 나노 실리콘카바이드 코팅을 이용한 탄소재료 계면강화 방법
KR101169355B1 (ko) 2011-03-31 2012-07-30 주식회사 대유신소재 Step법에 의한 탄소재료를 알루미늄 속에 캡슐화하는 방법
CN103602933B (zh) * 2013-12-09 2016-03-02 国家电网公司 高导碳纳米管改性铝材料及其制备方法
WO2015157542A1 (en) 2014-04-09 2015-10-15 The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Carbon-based nanotube/metal composit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2016048698A (ja) * 2016-01-04 2016-04-07 日立化成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正極用導電剤並びにこれ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材料、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合剤、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MX2018011340A (es) * 2016-03-18 2019-02-18 Seerstone Llc Metodos para funcionalizar nanotubos de carbono y composiciones que comprenden nanotubos de carbono funcionalizados.
JP6782678B2 (ja) 2017-10-20 2020-11-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基複合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電線並びにアルミニウム基複合材料の製造方法
CN115057409B (zh) * 2022-06-28 2024-03-08 华南理工大学 一种与碱性水反应制氢的铝/碳复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3032A (ja) * 1988-09-28 1990-04-03 Honda Motor Co Ltd 繊維強化軽合金複合材
JPH10168502A (ja) * 1996-12-10 1998-06-23 Osaka Gas Co Ltd 高熱伝導率複合材
JP4105894B2 (ja) * 2002-05-16 2008-06-25 Tdk株式会社 センサの製造方法
CN1186469C (zh) 2002-06-06 2005-01-26 中国科学院金属研究所 一种纳米碳管增强纳米金属基复合材料及制备方法
KR100599404B1 (ko) * 2003-02-25 2006-07-12 한국과학기술원 탄소나노튜브로 강화된 나노복합분말의 제조방법
KR100556978B1 (ko) * 2003-10-20 2006-03-03 한국과학기술원 금속나노분말을 이용한 탄소나노튜브/금속 나노복합재료제조방법
WO2005040066A1 (ja) * 2003-10-29 2005-05-06 Sumitomo Precision Products Co., Ltd.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分散複合材料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適用物
US7754054B2 (en) * 2005-03-11 2010-07-13 New Jersey Institute Of Technology Microwave induced functionalization of single wall carbon nanotubes and composites prepared therefrom
US7851055B2 (en) * 2005-03-29 2010-12-14 Hitachi Metals, Ltd. High-thermal-conductivity graphite-particles-dispersed-composite and its production method
JP2006315893A (ja) 2005-05-11 2006-11-24 Sumitomo Precision Prod Co Ltd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分散複合材料の製造方法
JP2007016262A (ja) 2005-07-06 2007-01-25 Nissan Motor Co Ltd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含有複合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070689A (ja) 2005-09-07 2007-03-22 Nissan Motor Co Ltd ナノカーボン/アルミニウム複合材、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めっき液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893B1 (ko) * 2009-02-24 2012-03-23 (주) 디에이치홀딩스 탄소나노튜브(cnt)-알루미늄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KR101275125B1 (ko) * 2010-11-12 2013-06-18 주식회사 엘피나노연구소 고온볼밀을 이용한 금속/탄소나노튜브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53530B1 (ko) * 2012-09-06 2014-01-22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볼밀을 이용한 금속-탄소나노튜브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79718B1 (ko) * 2018-07-30 2019-05-17 문지훈 저소음 및 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용 cnt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6746B1 (ko) 2009-07-09
JP5296438B2 (ja) 2013-09-25
DE602008003181D1 (de) 2010-12-09
EP2072635B1 (en) 2010-10-27
EP2072635A1 (en) 2009-06-24
CN101463435A (zh) 2009-06-24
US20090162654A1 (en) 2009-06-25
JP2009149972A (ja) 200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6746B1 (ko) 탄소재료를 알루미늄 속에 캡슐화하는 방법
KR100907334B1 (ko) 알루미늄과 탄소재료 간의 공유결합을 형성하는 방법, 알루미늄과 탄소재료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알루미늄과 탄소재료 복합체
Islam et al. Grafting carbon nanotubes directly onto carbon fibers for superior mechanical stability: Towards next generation aerospace composites and energy storage applications
Kumar et al. Recent advances in aluminium matrix composites reinforced with graphene-based nanomaterial: A critical review
Rashad et al. Powder metallurgy of Mg–1% Al–1% Sn alloy reinforced with low content of graphene nanoplatelets (GNPs)
So et al. SiC formation on carbon nanotube surface for improving wettability with aluminum
Xavior et al. Processing and characterization techniques of graphene reinforced metal matrix composites (GRMMC); a review
US20110256014A1 (en) Graphene/metal nanocomposite powd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rinivasan et al. A brief review of carbon nanotube reinforced metal matrix composites for aerospace and defense applications
EP1637617A1 (en) Composite metal material, a method of producing it and its use in brakes.
Kim et al. Effect of graphene oxide/graphitic nanofiber nanohybrids on interfacial properties and fracture toughness of carbon fibers-reinforced epoxy matrix composites
EP1619262B1 (en) Carbon-based material, its manufacturing process, composite material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Vaziri et al. Synthesis of WS2/CNT hybrid nanoparticles for fabrication of hybrid aluminum matrix nanocomposite
JP2014169193A (ja) ナノカーボンとグラフェンまたはグラファイトが複合した炭素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Singh et al. Effect of hybrid reinforcement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opper nanocomposites
KR100940044B1 (ko) 급속 가열 방법을 이용한 알루미늄과 탄소 재료 복합체 및이의 제조방법
Yang et al. Large‐diameter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synthesized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Young et al. Graphene and graphene-based nanocomposites
KR101169355B1 (ko) Step법에 의한 탄소재료를 알루미늄 속에 캡슐화하는 방법
KR101341900B1 (ko) 금속 나노 입자-그래핀 산화물 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금속 나노 입자-그래핀 산화물 복합체
KR100962429B1 (ko) 알루미늄과 탄소재료 간의 공유결합을 형성하는 방법, 알루미늄과 탄소재료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알루미늄과 탄소재료 복합체
Gohar et al. Achieving enhanced tensile properties of polyurethane-multiwall carbon nanotubes nanocomposites
Rao et al. Investigation of flexural and impact strength of carbon nanotube reinforced AA7075 metal matrix
KR100971372B1 (ko) 응집 방법에 의한 탄소재료와 알루미늄 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1114628B1 (ko) 탄소재료를 이용하여 알루미늄의 전기전도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