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5461A - 콘택트 및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콘택트 및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5461A
KR20090065461A KR1020080128235A KR20080128235A KR20090065461A KR 20090065461 A KR20090065461 A KR 20090065461A KR 1020080128235 A KR1020080128235 A KR 1020080128235A KR 20080128235 A KR20080128235 A KR 20080128235A KR 20090065461 A KR20090065461 A KR 20090065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component
contact
portions
lead termina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8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로 오모리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65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54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0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by means of a mounting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7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 F21V19/008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H01R33/083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characterised by the lamp hold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2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for fuses with ferrule type end contac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13Lamp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265Metallic coils or springs, e.g. as part of a connection ele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295Metallic connector elements partly mounted in a hole of the PC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393Clamping a component by an element or a set of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Common Detailed Techniques For Electron Tubes Or Discharge Tub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냉음극 형광램프 등의 전자부품을 중공(中空)으로 안정되게 접속 지지할 수 있는 콘택트 및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그 구성에 있어서, 콘택트(200)는, 냉음극 형광램프(10)가 접속되는 것으로서, 베이스부(210)와, 베이스부(210) 위에 형성되고,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리드단자(12)를 지지 가능한 지지부(220)와, 베이스부(210) 위에 지지부(220)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각각 형성되고, 해당 지지부(220)와의 사이에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리드단자(12)를 각각 협지(挾持) 가능한 적어도 2개의 클램프부(23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택트 및 접속장치{CONTACT AND CONNECTION DEVICE}
본 발명은, 냉음극 형광램프 등의 전자부품이 접속되는 콘택트 및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콘택트로서는, 냉음극 형광램프의 단부에 씌워지는 캡형상의 어댑터를 끼워 유지하는 한 쌍의 클램프편을 가진 것(특허문헌 1 참조)이나, 상기 어댑터가 재치(載置)되는 재치부 및 이 재치부 위의 상기 어댑터를 끼워 유지하는 한 쌍의 클램프편을 가지는 것(특허문헌 2 참조)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실개소64-4885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06-351529호 공보
전자는, 클램프편으로 어댑터를 끼워 유지하여 중공 지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냉음극 형광램프가 진동 등을 하면, 냉음극 형광램프와의 접속이 불안정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후자는, 클램프편이, 재치부 위의 어댑터를 끼워 유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냉음극 형광램프와의 접속이 전자보다도 안정되지만, 냉음극 형광램프를 중공 지지하기 위해서는, 후자 자체를 탑재하기 위한 받침대가 별도로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냉음극 형광램프 등의 전자부품을 중공으로 안정되게 접속 지지할 수 있는 콘택트 및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콘택트는, 전자부품이 접속되는 콘택트로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 위에 형성되고, 전자부품의 리드단자를 지지 가능한 지지부와, 베이스부 위에 지지부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각각 형성하고, 해당 지지부와의 사이에 전자부품의 리드단자를 각각 협지 가능한 적어도 2개의 클램프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콘택트에 의한 경우, 베이스부 위에 지지부 및 클램프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자부품의 리드단자가 지지부에 의해 중공으로 지지되는 동시에, 클 램프부 및 지지부에 의해 끼워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콘택트는, 전자부품을 중공으로 안정되게 접속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베이스부는, 평면에서 보면 대략 U자 형상 또는 평면에서 보면 대략 O자 형상의 판체로서, 제 1의 판부와, 이 제 1의 판부의 양측 단부에 각각 연속되어 있으며 또한 동일방향을 향해서 절곡된 2개의 제 2의 판부를 가지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지지부는 제 1의 판부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제 2의 판부와 동일방향을 향해서 절곡된 판체이며, 클램프부는 제 2의 판부의 상단부에 각각 위쪽을 향해서 형성된 판체이다.
이 경우, 클램프부의 사이에 전자부품의 리드단자가 삽입되면, 해당 리드단자가 클램프부 및 지지부의 사이에 끼워 유지된다. 이런 연유로, 리드단자의 장착 및 분리가 매우 간단해진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가 평면에서 보면 대략 U자 형상 또는 평면에서 보면 대략 0자 형상이므로, 기판 등의 전자기기의 설치부 위에 설치됨으로써, 그 설치 상태가 안정된다. 이런 연유로, 전자부품을 중공으로 안정되게 접속 지지하는 데에 이점이 있다. 또, 상기 베이스부, 지지부 및 클램프부는 일체적으로 형성된 판체이므로, 프레스 성형 등에 의해 간단히 작성할 수 있다. 따라서, 콘택트의 저비용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콘택트가 기판 실장 타입인 경우, 상기 콘택트는 베이스부의 하단부에 아래쪽을 향해서 형성된 판체이며 또한 기판에 접속되는 접점부 및 베이스부의 하단부에 아래쪽을 향해서 형성된 판체이며 또한 기판에 걸리게 되는 걸림부의 적어도 한쪽을 부가해서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점부가 기판에 접속 된 상태 및 걸림부가 기판에 걸리게 된 상태의 적어도 한쪽의 상태에서, 베이스부의 하단부면이 기판 위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점부가 기판에 접속 및/또는 걸림부가 기판에 걸리게 된 상태에서, 베이스부의 하단부면이 기판 위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콘택트의 기판에의 접속 및/또는 걸림과 동시에, 해당 콘택트를 기판 위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접점부는 베이스부의 제 1의 판부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걸림부는 베이스부의 제 2의 판부의 하단부에 각각 아래쪽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접점부가 기판에 접속되고 또한 걸림부가 기판에 각각 걸리게 된 상태에서, 베이스부의 하단부면이 기판 위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접점부가 기판에 땜납 등에 의해 접속되고 또한 걸림부가 기판에 각각 걸리게 됨으로써, 베이스부가 기판에 적어도 3점에서 장착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베이스부가 기판 위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므로, 전자부품을 중공으로 안정되게 접속 지지하는 데에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의 접속장치는, 본체부 및 이 본체부의 단부에 그 길이방향을 향해서 형성된 리드단자를 가지는 전자부품에 접속되는 어댑터와, 이 어댑터를 개재해서 전자부품에 접속되는 상기 콘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어댑터는, 전자부품의 리드단자에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제 1의 접속부와, 전자부품의 본체부의 단부에 대향 배치되는 제 2의 접속부와, 제 1, 제 2의 접속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전자부품의 길이방향의 열팽창 또는 열수축에 의해서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변형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콘택트의 지지부는, 전자부품의 리드단자가 아니라, 제 2의 접속부를 지지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클램프부는, 전자부품의 리드단자가 아니라, 제 2의 접속부를 상기 지지부와의 사이에 협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 1의 접속장치에 의한 경우, 어댑터의 제 1의 접속부가 리드단자에 접속되고 또한 해당 어댑터의 제 2의 접속부가 콘택트의 클램프부 및 지지부에 끼워 유지된 상태에서, 전자부품이 상기 열팽창 또는 열수축하면, 탄성변형부가 전자부품의 길이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이에 의해, 전자부품의 열팽창 또는 열수축이 흡수된다. 이런 연유로, 전자부품이 상기 열팽창 또는 열수축됨으로써, 어댑터의 제 1의 접속부에 접속된 전자부품의 리드단자 및 본체부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클램프부는, 내측을 향해서 만곡되어 있으며 또한 전자부품의 리드단자에 탄성적으로 접촉함으로써, 해당 리드단자를 지지부와의 사이에 협지 가능한 접촉부와, 이 접촉부의 상단부에 연속되고 또한 외측을 향해서 경사진 경사부를 각각 가지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경사부의 상단부의 사이의 거리가 전자부품의 리드단자의 폭치수보다도 크고, 접촉부의 정상부의 사이의 거리가 상기 폭치수보다도 작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경사부의 사이에 전자부품의 리드단자가 삽입되면, 접촉부가 리드단자에 압압되고, 클램프부가 탄성변형되어, 외측으로 변위한다. 리드단자가 접촉 부를 타고 넘어가면, 클램프부가 복귀하여, 내측으로 변위한다. 이에 의해, 접촉부가 리드단자에 접촉되고, 지지부와의 사이에 해당 리드단자를 끼워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클램프부의 상단부인 경사부가 외측으로 경사지고 또한 그 사이의 거리가 리드단자의 폭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으므로, 삽입 시에, 리드단자가 클램프부의 상단부에 의해 손상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의 접속장치는, 본체부 및 이 본체부의 단부에 해당 길이방향을 향해서 형성된 리드단자를 가지는 전자부품에 접속되는 어댑터와, 어댑터를 개재해서 전자부품에 접속되는 상기 콘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어댑터는, 전자부품의 리드단자에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제 1의 접속부와, 전자부품의 본체부의 단부에 대향 배치되는 제 2의 접속부와, 제 1, 제 2의 접속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전자부품의 길이방향의 열팽창 또는 열수축에 의해서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변형부를 가지고 있다. 콘택트의 지지부는, 전자부품의 리드단자가 아니라, 제 2의 접속부를 지지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클램프부의 접촉부는, 전자부품의 리드단자가 아니라, 제 2의 접속부에 접촉함으로써, 해당 제 2의 접속부를 지지부와의 사이에 협지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경사부의 상단부의 사이의 거리는, 전자부품의 리드단자의 폭치수가 아니라, 제 2의 접속부의 폭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으며, 접촉부의 정상부의 사이의 거리는, 전자부품의 리드단자의 폭치수가 아니라, 제 2의 접속부의 폭치수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 2의 접속장치에 의한 경우, 경사부 사이에 어댑터의 제 2의 접속부가 삽입되면, 접촉부가 제 2의 접속부에 압압되고, 클램프부가 탄성변형되어, 외측으로 변위한다. 제 2의 접속부가 접촉부를 타고 넘어가면, 클램프부가 복귀하여, 내측으로 변위한다. 이에 의해, 접촉부가 제 2의 접속부에 접촉되고, 지지부와의 사이에 해당 제 2의 접속부를 끼워 유지한다. 이와 같이 클램프부의 상단부인 경사부가 외측으로 경사지고 또한 그 사이의 거리가 제 2의 접속부의 폭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으므로, 삽입 시에, 제 2의 접속부가 클램프부의 상단부에 의해 손상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어댑터의 제 1의 접속부가 리드단자에 접속되고 또한 해당 어댑터의 제 2의 접속부가 콘택트의 클램프부 및 지지부에 끼워 유지된 상태에서, 전자부품이 상기 열팽창 또는 열수축하면, 탄성변형부가 전자부품의 길이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이에 의해, 전자부품의 열팽창 또는 열수축이 흡수된다. 이런 연유로, 전자부품이 상기 열팽창 또는 열수축함으로써, 어댑터의 제 1의 접속부에 접속된 전자부품의 리드단자 및 본체부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콘택트는, 베이스부의 제 2의 판부의 상단부에 각각 위쪽을 향해서 형성되고 또한 전자부품의 본체부의 단부를 협지 가능한 적어도 2개의 유지부를 부가해서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유지부에서 전자부품의 본체부를 유지함으로써, 전자부품의 진동등을 억제할 수 있고, 해당 진동에 의한 부하가 전자부품 전체에 걸리거나, 상기 진동에 의해 전자부품의 일부가 어댑터에 충돌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유지부는, 전자부품의 본체부의 외형에 의해서 외측으로 만곡된 유지부 본체와, 이 유지부 본체의 상단부에 연속되고 또한 외측을 향해서 경사진 경사부를 각각 가지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경사부의 상단부의 사이의 거리가 전자부품의 본체부의 폭치수보다도 크고, 해당 경사부의 하단부의 사이의 거리가 상기 폭치수보다도 작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지부의 경사부의 사이에 전자부품의 본체부가 삽입되면, 해당 경사부의 하단부가 본체부에 압압되고, 유지부가 탄성변형되어, 외측으로 변위한다. 본체부가 경사부의 하단부를 타고 넘어가면, 유지부가 복귀하여, 내측으로 변위한다. 이에 의해, 유지부 본체가 본체부를 끼워 유지한다. 이와 같이 유지부의 상단부인 경사부가 외측으로 경사지고 또한 그 사이의 거리가 전자부품의 본체부의 폭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으므로, 삽입 시에, 본체부가 유지부의 상단부에 의해 손상될 수 있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의 접속부는 전자부품의 본체부의 단부가 삽입 가능한 환상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 2의 접속부를 환상체로 하면, 콘택트의 클램프부 및 지지부의 사이에 끼워 유지하기 쉬워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접속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접속장치의 램프접속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동일장치의 램프접속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a)가 정면도, 도 2(b)가 배면도, 도 3은 동일장치의 램프접속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a)가 평면도, 도 3(b)가 측면도, 도 4는 동일장치의 어댑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a)가 측면도, 도 4(b)가 정면도, 도 5는 동일장치의 콘택트를 도시한 사 시도로서, 도 5(a)가 정면 상측에서 본 도면, 도 5(b)가 배면 상측에서 본 도면, 도 6은 동일장치의 램프접속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 6(a)가 초기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b)는 냉음극 형광램프가 열팽창하여, 어댑터의 탄성변형부가 연신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c)는 냉음극 형광램프가 열수축하여, 어댑터의 탄성변형부가 수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접속장치는, 냉음극 형광램프(10)(전자부품)의 리드단자(12)에 접속되는 어댑터(100)와, 이 어댑터(100)를 개재해서 냉음극 형광램프(10)에 접속되고 또한 전자기기(도시하지 않음)의 기판(20) 위에 실장되는 콘택트(20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냉음극 형광램프(10)는, 램프 본체부(11)와, 이 램프 본체부(11)의 길이방향의 양측 단부에 동일방향을 향해서 형성된 한 쌍의 리드단자(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에 있어서는, 도시의 편의상, 램프 본체부(11)의 일단부만을 도시하고 있다.
어댑터(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성을 지니는 코일스프링으로서,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리드단자(12)에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제 1의 접속부(110)와,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램프 본체부(11)의 일단부에 대향 배치되는 제 2의 접속부(120)와, 제 1, 제 2의 접속부(110, 120)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냉음극 형광램프(10)의 길이방향의 열팽창 또는 열수축에 의해서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변형부(130)를 구비하고 있다.
제 2의 접속부(120)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좌권(座卷)부이다. 이 제 2의 접속 부(120)의 내경은,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램프 본체부(11)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즉, 램프 본체부(11)의 일단부의 기단부분이 제 2의 접속부(120)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램프 본체부(11)의 일단부가 제 2의 접속부(120)에 삽입됨으로써, 제 2의 접속부(120)가 상기 일단부에 대향 배치된다.
탄성변형부(130)는, 제 2의 접속부(120)의 단부에 연속되어 있으며 또한 코일 간격이 제 2의 접속부(120)보다도 성긴 상기 코일스프링의 코일스프링부이다. 이 탄성변형부(130)의 탄성력은, 신축할 때에,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리드단자(12) 및 램프 본체부(11)의 리드단자(12)의 밀봉부에 부하가 걸리지 않게 되는 힘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탄성변형부(130)의 내경은 제 2의 접속부(120)의 내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램프 본체부(11)의 단부의 선단부분 및 리드단자(12)의 기단부분이 탄성변형부(130)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1의 접속부(110)는, 대략 L자 형상의 봉상체로서, 탄성변형부(130)의 단부에 연속되고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의 중심을 향해서 절곡된 기단부와, 이 기단부에 연속되고 또한 상기 길이방향의 일단부측을 향해서 직각으로 절곡된 선단부를 가지고 있다. 이 제 1의 접속부(110)의 선단부가 리드단자(12)의 선단부분에 납땜 또는 용접 등에 의해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어댑터(100)는 다음과 같이 냉음극 형광램프(10)에 접속된다. 우선,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램프 본체부(11)의 단부 및 리드단자(12)를 어댑터(100)의 제 2의 접속부(120) 및 탄성변형부(130)에 순차적으로 삽입하고, 해당 리드단자(12)의 선단부분을 제 1의 접속부(110)의 선단부에 접촉시킨다. 그러면, 램프 본체부(11)의 단부의 선단부분 및 리드단자(12)의 기단부분이 탄성변형부(130) 내에 배치되고, 램프 본체부(11)의 단부의 기단부분이 제 2의 접속부(120)내에 배치된다.
그 후,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리드단자(12)와 제 1의 접속부(110)의 선단부를 납땜 또는 용접 등에 의해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한다. 이와 같이 해서 어댑터(100)가 냉음극 형광램프(10)에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기판(20)은, 주지된 프린트기판으로서, 2개의 걸림구멍(21)과, 관통구멍(22)을 가지고 있다. 걸림구멍(21) 및 관통구멍(22)은 기판(20)을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타원형의 긴 구멍이다.
콘택트(20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스성형된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으로서, 평면에서 보면 대략 U자 형상의 베이스부(210)와, 베이스부(210)의 중간부(제 1의 판부)의 상단부에 연설된 지지부(220)와, 베이스부(210)의 양측 단부(제 2의 판부)의 기단부측 부분의 상단부에 각각 위쪽을 향해서 연설된 2개의 클램프부(230)와, 베이스부(210)의 양측 단부의 선단부측 부분의 상단부에 각각 위쪽을 향해서 연설된 2개의 유지부(240)와, 베이스부(210)의 중간부의 하단부에 아래쪽을 향해서 연설된 접점부(250)와, 베이스부(210)의 양측 단부의 하단부에 각각 아래쪽을 향해서 연설된 2개의 걸림부(260)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부(210)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체인 중간부와, 이 중간부의 양측 단부에 각각 연속되고 또한 해당 중간부에 대해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양측 단부를 가진다. 이 베이스부(210)의 양측 단부는, 상기 중간부와 동일한 높이의 대략 직사 각형상의 판체인 상기 기단부측 부분과, 이 기단부측 부분의 하단부에 연속되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판체인 상기 선단부측 부분을 가지고 있다.
지지부(220)는, 베이스부(210)의 양측 단부와 동일방향을 향해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측면에서 보면 가로방향의 대략 L자 형상의 판체로서, 베이스부(210)의 중간부의 상단부에 연속되는 수직부와, 이 수직부의 상단부에 연속되고 또한 해당 수직부에 대해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수평부를 가진다. 상기 수평부는 어댑터(100)의 제 2의 접속부(120)가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램프 본체부(11)와 함께 재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수평부의 길이치수는 베이스부(210)의 양측 단부의 기단부측 부분의 길이치수보다 약간 길고 또한 베이스부(210)의 양측 단부의 선단부측 부분 위의 유지부(240)의 절곡부(241)에 간섭하지 않는 길이로 되어 있다.
각 클램프부(230)는, 베이스부(210)의 상기 기단부측 부분의 길이치수보다도 약간 짧은 폭치수를 가지는 판체로서, 상기 기단부측 부분의 상단부에 연속되는 연장부(231)와, 이 연장부(231)의 상단부에 연속되는 접촉부(232)와, 접촉부(232)의 상단부에 연속되는 경사부(233)를 가지고 있다.
연장부(231)는, 베이스부(210)의 양측 단부의 기단부측 부분에 연속되는 직선형상의 판부로서, 지지부(220)의 옆쪽에 위치하고 있다. 접촉부(232)는 내측을 향해서 산형으로 만곡된 판부이다. 경사부(233)는 외측을 향해서 경사지도록 절곡된 판부이다.
양측 경사부(233)의 상단부의 사이의 거리는 어댑터(100)의 제 2의 접속부(120)의 직경(즉, 폭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양측 접촉부(232)의 정상부의 사이의 거리는 제 2의 접속부(120)의 직경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이런 연유로, 경사부(233)의 사이에 제 2의 접속부(120)가 삽입되면, 접촉부(232)가 제 2의 접속부(120)에 각각 압압되고, 클램프부(230)가 각각 탄성변형되어 외측으로 변위한다. 제 2의 접속부(120)가 접촉부(232)를 타고 넘어가면, 클램프부(230)가 각각 복귀하여 내측으로 변위한다. 이에 의해, 접촉부(232)가 제 2의 접속부(120)에 비스듬히 위쪽으로부터 접촉되고, 해당 제 2의 접속부(120)를 지지부(220)와의 사이에 끼워 유지한다. 또한, 양측 경사부(233)의 상단부의 사이의 거리가 어댑터(100)의 제 2의 접속부(120)의 직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음으로써, 경사부(233)의 사이에 제 2의 접속부(120)가 삽입될 때에, 경사부(233)의 상단부가 제 2의 접속부(120)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다.
각 유지부(240)는, 판체로서, 베이스부(210)의 상기 선단부측 부분의 상단부에 연속되는 절곡부(241)와, 이 절곡부(241)의 상단부에 연속되는 유지부 본체(242)와, 이 유지부 본체(242)의 상단부에 연속되는 경사부(243)를 가지고 있다.
절곡부(241)는 내측을 향해서 경사지도록 절곡된 직선형상의 판부이다. 유지부 본체(242)는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램프 본체부(11)의 외형에 의해서 외측으로 원호형상으로 만곡된 판부이다. 경사부(243)는 외측을 향해서 경사지도록 절곡된 직선 형상의 판부이다.
양측 경사부(243)의 상단부의 사이의 거리는 램프 본체부(11)의 직경(즉, 폭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으며, 해당 경사부(243)의 하단부의 사이의 거리는 램프 본체부(11)의 직경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이런 연유로, 경사부(243)의 사이에서 램프 본체부(11)가 삽입되면, 경사부(243)의 하단부가 각각 압압되고, 유지부(240)가 각각 탄성변형되어 외측으로 변위한다. 램프 본체부(11)가 경사부(243)의 하단부를 타고 넘어가면, 유지부(240)가 각각 복귀하여 내측으로 변위한다. 이에 의해, 유지부 본체(242)가 램프 본체부(11)를 끼워 유지한다. 또한, 경사부(243)의 상단부의 사이의 거리가 램프 본체부(11)의 직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음으로써, 경사부(243)의 사이에 램프 본체부(11)가 삽입될 때에, 경사부(243)의 상단부가 램프 본체부(11)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접점부(250)는, 선단부의 양측 모서리부가 잘려진 직선형상의 판체로서, 기판(20)의 관통구멍(22)에 삽입되고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각 걸림부(260)는, 탄성변형 가능한 대략 역 U자 형상의 암부(261)와, 이 암부(261)의 양측 선단부에 각각 형성된 외측으로 볼록한 한 쌍의 걸림클로(262)를 가진다.
한 쌍의 걸림클로(262)는, 기판(20)의 걸림구멍(21)에 삽입되고, 해당 걸림구멍(21)의 길이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부분의 하부면에 걸리게 된다. 이에 의해, 콘택트(200)가 기판(20) 위에 장착된다.
암부(261)의 양측 선단부의 길이치수는 기판(20)의 두께치수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런 연유로, 걸림클로(262)가 기판(20)의 걸림구멍(21)의 양측 가장자리부분에 각각 걸리게 된 상태에서, 베이스부(210)의 하단부면이 기판(20) 위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콘택트(200)는 다음과 같이 기판(20) 위에 실장된다. 우 선, 콘택트(200)의 2개의 걸림부(260)를 기판(20)의 2개의 걸림구멍(21)에 위치맞춤을 하면서 삽입한다. 그러면, 걸림부(260)의 한 쌍의 걸림클로(262)가 걸림구멍(21)의 양측 가장자리부분의 상단부에 각각 압압되고, 해당 걸림부(260)의 암부(261)의 양측 선단부가 내측으로 탄성변형된다.
그리고, 걸림부(260)의 한 쌍의 걸림클로(262)가 걸림구멍(21)의 양측 가장자리부분을 타고 넘어가면, 걸림부(260)의 암부(261)의 양측 선단부가 외측으로 탄성변형된다. 이에 의해, 걸림클로(262)가 걸림구멍(21)의 양측 가장자리부분의 하부면에 걸리게 된다. 그러면, 베이스부(210)의 하단부면이 기판(20) 위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해서 콘택트(200)가 기판(20) 위에 장착된다.
이와 동시에, 콘택트(200)의 접점부(250)가 기판(20)의 관통구멍(22)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콘택트(200)가 기판(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냉음극 형광램프(10)가 접속된 어댑터(100)를 기판(20) 위에 실장된 콘택트(200)에 접속되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어댑터(100)의 제 2의 접속부(120)를 콘택트(200)의 2개의 클램프부(230)의 경사부(233)의 사이,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램프 본체부(11)의 단부를 콘택트(200)의 2개의 유지부(240)의 경사부(243)의 사이에 압입한다.
그러면, 클램프부(230)의 접촉부(232)가 제 2의 접속부(120)에 각각 압압되고, 클램프부(230)가 각각 탄성변형되어 외측으로 변위한다. 제 2의 접속부(120)가 접촉부(232)를 타고 넘어가면, 클램프부(230)가 각각 복귀하여 내측으로 변위한다. 이에 의해, 접촉부(232)가 제 2의 접속부(120)에 비스듬히 위쪽으로부터 접촉되고, 해당 제 2의 접속부(120)를 지지부(220)와의 사이에 끼워 유지한다.
이와 동시에, 경사부(243)의 하단부가 램프 본체부(11)에 각각 압압되고, 유지부(240)가 각각 탄성변형되어 외측으로 변위한다. 램프 본체부(11)가 경사부(243)의 하단부를 타고 넘어가면, 유지부(240)가 각각 복귀하여 내측으로 변위한다. 이에 의해, 유지부 본체(242)가 램프 본체부(11)를 끼워 유지한다. 이와 같이 해서 냉음극 형광램프(10) 및 어댑터(100)가 콘택트(200)에 중공 지지되는 동시에, 냉음극 형광램프(10)가 어댑터(100)를 개재해서 콘택트(2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어댑터(100) 및 냉음극 형광램프(10)가 콘택트(200)에 접속된 상태에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음극 형광램프(10)가 그 길이방향으로 열팽창하면, 어댑터(100)의 탄성변형부(130)가 연신하고, 어댑터(100)의 제 1의 접속부(110)가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리드 단자(12)와 함께 상기 길이방향의 도시한 우측으로 이동한다.
한편,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음극 형광램프(10)가 그 길이방향으로 열수축하면, 어댑터(100)의 탄성변형부(130)가 수축하고, 어댑터(100)의 제 1의 접속부(110)가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리드단자(12)와 함께 상기 길이방향의 도시한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어댑터(100)의 제 2의 접속부(120)는 콘택트(200)의 2개의 클램프부(230)에 끼워 유지되어 있으므로,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램프 본체부(11)의 열팽창 또는 열수축에 의해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해서 냉음극 형광램프(10)의 열팽창 또는 열수축이 어댑터(100)의 탄성변형부(130)의 탄성변형에 의해 흡수된다.
이하, 냉음극 형광램프(10) 및 어댑터(100)를 콘택트(200)로부터 분리시키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냉음극 형광램프(10)를 위쪽으로 들어 올린다. 그러면, 클램프부(230)의 접촉부(232)가 어댑터(100)의 제 2의 접속부(120)에 각각 압압되고, 클램프부(230)가 각각 탄성변형되어 외측으로 변위한다. 그 후, 제 2의 접속부(120)가 접촉부(232)를 타고 넘어가면, 제 2의 접속부(120)를 클램프부(230)의 경사부(233)의 사이로부터 빼낼 수 있다. 그 후, 클램프부(230)가 각각 복귀하여 내측으로 변위한다.
이와 동시에, 콘택트(200)의 유지부 본체(242)의 상단부가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램프 본체부(11)에 각각 압압되고, 유지부(240)가 각각 탄성변형되어 외측으로 변위한다. 램프 본체부(11)가 유지부 본체(242)의 상단부를 타고 넘어가면, 램프 본체부(11)를 유지부(240)의 경사부(243)의 사이로부터 빼낼 수 있다. 그 후, 유지부(240)가 각각 복귀하여 내측으로 변위한다. 이와 같이 냉음극 형광램프(10) 및 어댑터(100)를 콘택트(200)로부터 간단히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속장치에 의한 경우, 콘택트(200)의 평면에서 보면 대략 U자 형상의 베이스부(210)의 하단부면이 기판(20) 위에 접촉됨으로써, 해당 기판(20) 위에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또, 베이스부(210)의 상단부에 형성된 지지부(220) 및 클램프부(230)에 의해, 어댑터(100)의 제 2의 접속부(120)가 냉음극 형광램프(10)와 함께 끼워 유지된다. 이런 연유로, 상기 접속장치의 콘택트(200)는, 냉음극 형광램 프(10)를 중공으로 안정적으로 접속 유지할 수 있다. 또, 콘택트(200)의 유지부(240)에 의해,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램프 본체부(11)가 끼워 유지되므로, 램프 본체부(11)의 진동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런 연유로, 상기 진동에 의한 부하가 냉음극 형광램프(10) 전체에 걸리거나, 상기 진동에 의해 냉음극 형광램프(10)의 일부가 어댑터에 충돌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콘택트(200)는 프레스성형품이므로, 염가로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저비용화를 도모하는 데에 이점이 있다.
또한, 어댑터(100)는, 탄성변형부(130)의 탄성변형에 의해, 냉음극 형광램프(10)가 열팽창 또는 열수축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런 연유로, 냉음극 형광램프(10)의 램프본체부(11)의 단부 및 리드단자(12)가, 열팽창 또는 열수축에 의해, 콘택트(200)에 끼워 유지된 어댑터(100)에 압압되거나 해당 어댑터(100)로부터 떼어내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열팽창 또는 열수축 시에, 냉음극 형광램프(10)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장치는 특허청구의 범위의 취지에 적합하면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어댑터의 제 1의 설계변경예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도 7(a)는 측면도, 도 7(b)는 냉음극 형광램프에 접속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어댑터의 제 2의 설계변경예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도 8(a)는 사시도, 도 8(b)는 냉음극 형광램프에 접속된 상태의 측면도, 도 9는 도 9(a)가 어댑터의 제 3의 설계변경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9(b)가 어댑터의 제 4의 설계변경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10은 콘택트의 제 1의 설계변경예를 예시한 사시도로서, 어댑터 및 냉 음극 형광램프가 접속된 상태의 도면, 도 11은 콘택트의 제 2의 설계변경예를 예시한 사시도로서, 도 11(a)가 정면 상측에서 본 도면, 도 11(b)가 배면 상측에서 본 도면이다.
상기 어댑터에 대해서는, 전자부품의 리드단자에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제 1의 접속부와, 전자부품의 본체부의 단부에 대향 배치되는 제 2의 접속부와, 제 1, 제 2의 접속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전자부품의 길이방향의 열팽창 또는 열수축에 의해서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변형부를 구비하고 있으면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는, 제 1의 접속부가 원통형상의 코일체이며, 탄성변형부가 원추형상의 코일체인 상기 실시예와 다른 코일스프링 타입으로 할 수 있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스성형된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으로 구성된 타입으로 할 수도 있다.
후자의 어댑터는, 단면 대략 L자 형상의 판체이며 또한 중심부에 상기 리드단자가 삽입되는 삽입구멍이 형성된 제 1의 접속부와, 선단부면 상호간이 대향하도록 원통형상으로 만곡된 제 2의 접속부와, 제 1, 제 2의 접속부의 사이에 형성된 탄성변형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탄성변형부는, 제 1, 제 2, 제 3의 베이스판 및 변형부를 가진다. 제 1의 베이스부는, 제 2의 접속부의 중간부의 단부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제 2, 제 3의 베이스부는, 상기 제 1의 베이스부와 제 1의 접속부의 기단부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 1의 변형부는 제 1 및 제 2의 베이스부의 양측 단부의 사이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U자 형상 부재를 가지고 있다. 제 2의 변형부는 제 2 및 제 3의 베이스부의 양측 단부의 사이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U자 형상 부재를 가지고 있다. 제 3의 변형부는 제 3의 베이스부와 제 1의 접속부의 기단부와의 사이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U자 형상 부재를 가지고 있다. 각 U자 형상 부재는 반원호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이 양측 단부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 또는 이간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각 U자 형상 부재의 탄성변형에 의해, 전자부품의 열팽창 또는 열수축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제 2의 접속부의 후단부에,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커트부를 형성하거나,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플랜지부를 형성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콘택트에 대해서는, 전자부품이 접속되는 콘택트로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 위에 형성되고, 전자부품의 리드단자를 지지 가능한 지지부와, 베이스부 위에 지지부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각각 형성되고, 해당 지지부와의 사이에 전자부품의 리드단자를 각각 협지 가능한 적어도 2개의 클램프부를 구비하고 있으면 임의로 설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서는, 상기 유지부 및 적어도 2개의 클램프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어떠한 설계 변경을 실행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는, 평면에서 보면 대략 O자 형상의 판체로서, 유지부가 연설된 제 1의 판체와, 이 제 1의 판체의 양측 단부로부터 동일방향을 향해서 절곡되어 있으며 또한 클램프부가 위쪽을 향해서 연설된 2개의 제 2의 판체와, 제 2의 판체의 단부로부터 선단부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절곡된 2개의 제 3의 판체를 구비하 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가 평면에서 보면 대략 O자 형상의 판체라 하더라도, 기판 위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 상기 베이스부는 판체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부를 수지제의 대좌 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해당 일부를 상기 지지부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접점부가 기판에 접속 및/또는 걸림부가 기판에 걸리게 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면이 기판 위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지부에 대해서는 상기 어댑터의 제 2의 접속부를 지지한다고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냉음극 형광램프 등의 전자부품의 리드단자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클램프부에 대해서는 상기 지지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어댑터의 제 2의 접속부 또는 냉음극 형광램프 등의 전자부품의 리드단자를 협지 가능한 구성이면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클램프부를 외측으로 볼록한 원호형상의 판체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클램프부는 2개라고 했지만, 그 이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3개의 클램프부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하고, 상기 지지부와의 사이에 제 2의 접속부 또는 리드단자를 끼워 유지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유지부에 대해서는 형성할지의 여부는 임의이다. 즉,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유지부에 대해서는, 전자부품의 본체부를 끼워 유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임의로 설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지부를 클램프부(230)와 동일형상으로 하고, 상기 지지부에 어댑터의 제 2의 접속부와 함께 지지되는 전자부품의 본체부를 끼워 유지시키도록 해도 된다.
상기 접점부에 대해서도 형성할지의 여부는 임의이다. 즉, 상기 베이스부를 기판 등에 직접 접속시키도록 해도 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신호선을 접속하여 해당 신호선을 통해서 기판 등에 접속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 접점부의 형상에 대해서는, 기판에 접속할 수 있으면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점부가 베이스부의 양측 단부에 대해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판체이며, 기판 위의 패턴에 접속되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접점부는, 납땜 등에 의해 기판에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됨으로써, 해당 기판에의 장착수단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상기 걸림부에 대해서도 형성할지의 여부는 임의이다. 또, 걸림부의 형상에 대해서는 걸림 가능하면 임의로 설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상기 걸림부는, 걸림클로 등의 수(雄)측뿐만이 아니라, 기판 등에 형성한 걸림 볼록부를 거는 걸림구멍 또는 걸림홈의 암(雌)측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자부품이 냉음극 형광램프라고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부품의 본체부 및 리드단자는 원주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부의 형상 및 배치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같은 기능을 실현 가능하면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접속장치의 램프접속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동일장치의 램프접속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a)가 정면도, 도 2(b)가 배면도;
도 3은 동일장치의 램프접속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a)가 평면도, 도 3(b)가 측면도;
도 4는 동일장치의 어댑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a)가 측면도, 도 4(b)가 정면도;
도 5는 동일장치의 콘택트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5(a)가 정면 상측에서 본 도면, 도 5(b)가 배면 상측에서 본 도면;
도 6은 동일장치의 램프접속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 6(a)가 초기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b)가 냉음극 형광램프가 열팽창하고, 어댑터의 탄성변형부가 연신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c)가 냉음극 형광램프가 열수축하고, 어댑터의 탄성변형부가 수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어댑터의 제 1의 설계변경예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도 7(a)는 측면도, 도 7(b)는 냉음극 형광램프에 접속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어댑터의 제 2의 설계변경예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도 8(a)는 사시도, 도 8(b)는 냉음극 형광램프에 접속된 상태의 측면도;
도 9는 도 9(a)가 어댑터의 제 3의 설계변경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9(b)가 어댑터의 제 4의 설계변경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10은 콘택트의 제 1의 설계변경예를 예시한 사시도로서, 어댑터 및 냉음극 형광램프가 접속된 상태의 도면;
도 11은 콘택트의 제 2의 설계변경예를 예시한 사시도로서, 도 11(a)가 정면 상측에서 본 도면, 도 11(b)가 배면 상측에서 본 도면.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냉음극 형광램프(전자부품) 11: 램프 본체부(본체부)
12: 리드단자 20: 기판
21: 걸림구멍 22: 관통구멍
100: 어댑터 110: 제 1의 접속부
120: 제 2의 접속부 130: 탄성변형부
200: 콘택트 210: 베이스부
220: 지지부 230: 클램프부
232: 접촉부 233: 경사부
240: 유지부 242: 유지부 본체
243: 경사부 250: 접점부
260: 걸림부

Claims (10)

  1. 전자부품이 접속되는 콘택트에 있어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 위에 형성되고, 전자부품의 리드단자를 지지 가능한 지지부와,
    베이스부 위에 지지부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각각 형성되고, 해당 지지부와의 사이에 전자부품의 리드단자를 각각 협지(挾持) 가능한 적어도 2개의 클램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2. 제 1항에 있어서,
    베이스부는, 평면에서 보면 대략 U자 형상 또는 평면에서 보면 대략 0자 형상의 판체로서, 제 1의 판부와, 이 제 1의 판부의 양측 단부에 각각 연속되어 있으며 또한 동일방향을 향해서 절곡된 2개의 제 2의 판부를 가지고,
    지지부는 제 1의 판부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제 2의 판부와 동일방향을 향해서 절곡된 판체이며,
    클램프부는 제 2의 판부의 상단부에 각각 위쪽을 향해서 형성된 판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3. 제 2항에 있어서,
    기판에 실장되고,
    베이스부의 하단부에 아래쪽을 향해서 형성된 판체이며 또한 기판에 접속되는 접점부 및 베이스부의 하단부에 아래쪽을 향해서 형성된 판체이며 또한 기판에 걸리게 되는 걸림부의 적어도 한쪽을 부가해서 구비하고 있으며,
    접점부가 기판에 접속된 상태 및 걸림부가 기판에 걸리게 된 상태의 적어도 한쪽의 상태에서, 베이스부의 하단부면이 기판 위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4. 제 3항에 있어서,
    접점부는 베이스부의 제 1의 판부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걸림부는 베이스부의 제 2의 판부의 하단부에 각각 아래쪽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접점부가 기판에 접속되고 또한 걸림부가 기판에 각각 걸리게 된 상태에서, 베이스부의 하단부면이 기판 위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5. 제 2항에 있어서,
    클램프부는, 내측을 향해서 만곡되어 있으며 또한 전자부품의 리드단자에 탄성적으로 접촉함으로써, 해당 리드단자를 지지부와의 사이에 협지 가능한 접촉부와, 이 접촉부의 상단부에 연속되고 또한 외측을 향해서 경사진 경사부를 각각 가지고 있으며,
    경사부의 상단부의 사이의 거리가 전자부품의 리드단자의 폭치수보다도 크고, 접촉부의 정상부의 사이의 거리가 상기 폭치수보다도 작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6. 본체부 및 이 본체부의 단부에 해당 길이방향을 향해서 형성된 리드단자를 가지는 전자부품에 접속되는 어댑터와,
    이 어댑터를 개재해서 전자부품에 접속되는 제 1항 내지 제 4항의 콘택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어댑터는, 전자부품의 리드단자에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제 1의 접속부와,
    전자부품의 본체부의 단부에 대향 배치되는 제 2의 접속부와,
    제 1, 제 2의 접속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전자부품의 길이방향의 열팽창 또는 열수축에 의해서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변형부를 가지고 있으며,
    지지부는, 전자부품의 리드단자가 아니라, 제 2의 접속부를 지지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클램프부는, 전자부품의 리드단자가 아니라, 제 2의 접속부를 상기 지지부와의 사이에 협지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7. 본체부 및 이 본체부의 단부에 해당 길이방향을 향해서 형성된 리드단자를 가지는 전자부품에 접속되는 어댑터와,
    이 어댑터를 개재해서 전자부품에 접속되는 제 5항에 기재된 콘택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어댑터는, 전자부품의 리드단자에 전기적 또한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제 1의 접속부와,
    전자부품의 본체부의 단부에 대향 배치되는 제 2의 접속부와,
    제 1, 제 2의 접속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전자부품의 길이방향의 열팽창 또는 열수축에 의해서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변형부를 가지고 있으며,
    콘택트의 지지부는, 전자부품의 리드단자가 아니라, 제 2의 접속부를 지지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클램프부의 접촉부는, 전자부품의 리드단자가 아니라, 제 2의 접속부에 접촉함으로써, 해당 제 2의 접속부를 지지부와의 사이에 협지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경사부의 상단부의 사이의 거리는, 전자부품의 리드단자의 폭치수가 아니라, 제 2의 접속부의 폭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으며,
    접촉부의 정상부의 사이의 거리는, 전자부품의 리드단자의 폭치수가 아니라, 제 2의 접속부의 폭치수보다도 작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콘택트는, 베이스부의 제 2의 판부의 상단부에 각각 위쪽을 향해서 형성되고 또한 전자부품의 본체부의 단부를 협지 가능한 적어도 2개의 유지부를 부가해서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유지부는, 전자부품의 본체부의 외형에 의해서 외측으로 만곡된 유지부 본체와, 이 유지부 본체의 상단부에 연속되고 또한 외측을 향해서 경사진 경사부를 각각 가지고 있으며,
    경사부의 상단부의 사이의 거리가 전자부품의 본체부의 폭치수보다도 크고, 해당 경사부의 하단부의 사이의 거리가 상기 폭치수보다도 작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10.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제 2의 접속부는 전자부품의 본체부의 단부가 삽입 가능한 환상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KR1020080128235A 2007-12-17 2008-12-17 콘택트 및 접속장치 KR200900654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25011A JP2009146820A (ja) 2007-12-17 2007-12-17 コンタクト及び接続装置
JPJP-P-2007-325011 2007-1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461A true KR20090065461A (ko) 2009-06-22

Family

ID=40481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235A KR20090065461A (ko) 2007-12-17 2008-12-17 콘택트 및 접속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156026A1 (ko)
EP (1) EP2073614A3 (ko)
JP (1) JP2009146820A (ko)
KR (1) KR20090065461A (ko)
CN (1) CN101465503A (ko)
CA (1) CA2641165A1 (ko)
TW (1) TW2009297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696B1 (ko) * 2009-12-18 2015-03-20 베바스토 에스이 회로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접촉 소자, 접착 소자를 회로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 및 회로 기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38982A1 (en) * 2007-10-12 2009-04-12 Hosiden Corporation Buffer, adapter, and connecting device for attaching the same buffer or adapter
JP2010061971A (ja) * 2008-09-03 2010-03-18 Hosiden Corp 接続装置の基板接続構造
TWI381225B (zh) 2009-04-08 2013-01-01 Au Optronics Corp 具纏繞體電連接套的燈管裝置及光源模組
FR2951849B1 (fr) * 2009-10-26 2020-02-07 Sela Dispositif articule et lumineux pour la signalisation et l'eclairage
JP5075227B2 (ja) * 2010-06-11 2012-11-21 ホシデン株式会社 アダプタ及びこれに接続される接続装置
DE102015225159A1 (de) * 2015-12-14 2017-06-1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Magnetfeldsensor mit einem Steckersockel
EP3550672B1 (de) * 2018-04-06 2021-08-04 Tecan Trading Ag Verbindungselement
FR3084970B1 (fr) * 2018-08-13 2021-12-10 Valeo Siemens Eautomotive France Sas Equipement electrique
DE102023109279A1 (de) * 2023-04-13 2024-10-17 Eberspächer Catem Gmbh & Co. Kg Leitungsweg für eine elektrische Heizvorrichtung und entsprechende elektrische Heiz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5299A (en) * 1964-03-17 Vehicle lamp mounting
US2958020A (en) * 1956-08-15 1960-10-25 Sarkes Tarzian Diode
JPS49151262U (ko) * 1973-04-28 1974-12-27
US4928210A (en) * 1986-10-24 1990-05-22 Kabushiki Kaisha Hybec Linear lamp unit with contacts at both ends
JPS6448851U (ko) 1987-09-21 1989-03-27
JPH0392383U (ko) * 1990-01-08 1991-09-19
FR2689829B1 (fr) * 1992-04-08 1998-04-10 Valeo Vision Dispositif d'eclairage ou de signalisation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e lampe navette.
JPH08203579A (ja) * 1995-01-24 1996-08-09 Kyoshin Kogyo Kk ヒューズクリップ
DE29823559U1 (de) * 1998-11-09 2000-03-30 Wickmann-Werke GmbH, 58453 Witten Sicherungshalter
DE19912032C1 (de) * 1999-03-17 2000-11-30 Heraeus Noblelight Gmbh Strahlereinheit aus beidseitig gesockelter Entladungslampe und Lampen-Fassung
US7059888B2 (en) * 2004-08-31 2006-06-13 Osram Sylvania Inc. High temperature lamp connector and socket for double-ended lamp
KR20060131242A (ko) 2005-06-15 2006-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음극 형광램프, 이의 제조 방법, 이를 갖는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액정표시장치
JP4406935B2 (ja) * 2006-03-03 2010-02-03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放電管用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放電管
KR101208726B1 (ko) * 2006-09-28 2012-1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와램프 모듈의 조립방법
JP4252086B2 (ja) * 2006-11-17 2009-04-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A2638982A1 (en) * 2007-10-12 2009-04-12 Hosiden Corporation Buffer, adapter, and connecting device for attaching the same buffer or adap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696B1 (ko) * 2009-12-18 2015-03-20 베바스토 에스이 회로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접촉 소자, 접착 소자를 회로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 및 회로 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65503A (zh) 2009-06-24
US20090156026A1 (en) 2009-06-18
TW200929752A (en) 2009-07-01
JP2009146820A (ja) 2009-07-02
CA2641165A1 (en) 2009-06-17
EP2073614A3 (en) 2010-03-10
EP2073614A2 (en) 200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65461A (ko) 콘택트 및 접속장치
KR101358281B1 (ko) 표면 실장 클립
KR101472172B1 (ko) 전기 부품 장착 조립체
US9160087B2 (en) Board connecting terminal
EP3407428B1 (en) Metal leaf spring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KR101471673B1 (ko) 완충구 및 어댑터, 및 완충구 또는 어댑터가 장착되는 접속장치
TWI430323B (zh) A cushioning device and a connecting device having a cushioning device
US6442036B2 (en) Substrate mount type terminal
EP3407429A1 (en) Metal leaf spring protection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US7503774B2 (en) Surface mount contact member
JP2008300147A (ja) ランプ用コネクタおよびランプ用コネクタユニット
JP2010061971A (ja) 接続装置の基板接続構造
JP5428709B2 (ja) ヒューズホルダ
KR101581175B1 (ko) 전기 회로 장치
JP2008300146A (ja) ランプ用コネクタ
JP2010108856A (ja) コネクタ
US6580349B2 (en) Guiding device for guiding conducting wire soldered on printed circuit board
JP4702449B2 (ja) シールド構造
US5080602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exerting multiple elastic forces
JP5381566B2 (ja) ヒューズホルダ
US11839017B2 (en) Thermal press-fit terminal
JP2018078078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電子部品
KR101177739B1 (ko) 컨택트 및 커넥터
JP2008300145A (ja) ランプ用コネクタ
JP2017199750A (ja) プリント基板への電気部品の固定方法、並びに、該固定方法に用いられるプリント基板、電気部品および補助プリント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