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3999A - 차량용 도어 프레임의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프레임의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3999A
KR20090063999A KR1020070131554A KR20070131554A KR20090063999A KR 20090063999 A KR20090063999 A KR 20090063999A KR 1020070131554 A KR1020070131554 A KR 1020070131554A KR 20070131554 A KR20070131554 A KR 20070131554A KR 20090063999 A KR20090063999 A KR 20090063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calibration
door frame
out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1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6833B1 (ko
Inventor
정재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1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6833B1/ko
Publication of KR20090063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3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8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determining relative positions by measur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12Straightening vehicle body parts o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4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four parallel pins and two arms
    • E05D3/145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four parallel pins and two arm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의 도어 장착부 스킨 데이터와 도어 어셈블리 데이터를 추출하여 차체를 기준으로 도어 프레임의 조립산포를 교정함으로써 도어의 외관 간격 및 단차 품질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도어 프레임의 교정장치를 제공한다.
도어 프레임, 교정장치, 차체, 도어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프레임의 교정장치{APPARATUS FOR CORRECTING SHAPE OF DOOR FRAME}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프레임의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의 도어 장착부 스킨 데이터와 도어 어셈블리 데이터를 추출하여 차체를 기준으로 도어 프레임의 조립산포를 교정함으로써 도어의 외관 간격 및 단차 품질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도어 프레임의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도어는 차체에 도어힌지를 통하여 장착되어 힌지 작동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도어는 도어 조립라인에서 도어 어셈블리로 조립된 상태로, 차체 장착라인으로 이송되어 차체의 필러상에 형성되는 힌지좌면에 도어힌지를 통하여 체결볼트로 장착된다.
그러나 현재의 도어 장착방법은 차체의 도어 장착부 스킨 데이터와 도어 어셈블리 데이터 특히 도어 프레임의 데이터를 미확인한 상태로 장착 후, 작업자의 육안으로 장착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작업인원이 많이 필요하며, 도어 프레임의 횡강성 저하 및 단차 품질 저하 등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의 도어 장착부 스킨 데이터와 도어 어셈블리 데이터를 추출하여 차체를 기준으로 도어 프레임의 조립산포를 먼저 교정함으로써 도어의 외관 간격 및 단차 품질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도어 프레임의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프레임의 교정장치는 도어 아웃터 패널을 사이드 아웃터 패널의 스킨면을 기준면으로 이에 대응하도록 고정한 상태로 상기 사이드 아웃터 패널의 스킨면에 대한 도어 프레임의 조립산포를 교정하기 위한 것으로, 교정지그 베이스; 상기 교정지그 베이스 상에 장착되어 도어패널의 하단부와 양측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도어고정수단; 상기 도어고정수단에 고정된 도어패널 상의 도어 프레임을 차체의 도어 장착부 스킨 데이터에 맞도록 도어 어셈블리 데이터와의 차이만큼 교정하는 교정지그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고정수단은 상기 도어패널의 하단부와 양측단부에 대응하여 상기 교정지그 베이스 상에 장착되며, 상부 일측에는 상하로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는 장착 프레임; 상기 장착 프레임의 일측에 상향 설치되며, 그 회전축은 스크루축으로 형성되는 스크루 모터; 상기 장착 프레임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그 하부면에는 상기 스크루축이 체결되는 스크루홀이 형성되는 승하강 블록; 상기 승하강 블록의 상부면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도어의 아웃터 패널이 안착되는 로케이터; 상기 승하강 블록의 상부면 타측에 힌지 브라켓을 통하여 중앙 일측이 힌지 장착되는 클램퍼; 상기 힌지 브라켓의 일측에 힌지 장착되며, 그 작동로드의 선단은 상기 클램퍼의 후단과 힌지 연결되는 작동 실린더; 상기 장착 프레임의 측방에서, 상기 도어의 아웃터 패널의 스킨면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는 레이저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케이터와 승하강 블록 사이에는 도어의 아웃터 패널의 장착 기준면을 조정하도록 심(SHIM)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정지그수단은 상기 도어 프레임의 선단에 대응하여 교정지그 베이스 상에 설치되며, 내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교정레일을 형성하는 가이드 프레임;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교정레일을 따라 승하강 하도록 설치되며, 선단면에는 상기 도어 프레임의 선단을 클램핑하는 클램핑 포크를 구성하는 교정블록;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단에 내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연장 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며, 그 작동로드는 상기 교정블록과 연결되어 교정블록을 승하강 작동시키는 교정 실린더; 상기 연장 프레임의 측방에 센서 브라켓을 통하여 장착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의 스킨면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는 프레임 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 감지센서는 레이저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프레임의 교정장치에 의하면, 차체의 도어 장착부 스킨 데이터와 도어 어셈블리 데이터를 추출하여 차체를 기준으로 도어 프레임의 조립산포를 먼저 교정함으로써 차체 장착시에 도어의 외관 간격 및 단차 품질 등의 외관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프레임의 교정장치에 적용할 도어 장착부 스킨 데이터와 도어 어셈블리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위치를 도시한 차체 및 도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프레임의 교정장치의 측면 구성도이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프레임의 교정장치에 적용할 도어 장착부 스킨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위치는, 상기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에 대응하는 차체(10)의 후방 상측 2개소(P1,P2)와 차체의 후방측 4개소(P3,P4,P5,P6) 및 힌지좌면(S1,S2,S3,S4)이 되며, 측정 로보트가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도어 어셈블리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로 셋팅한다.
그리고 도어 어셈블리 데이터의 추출위치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 도어(20)의 경우, 차체의 힌지좌면(S1,S2)의 셋팅치를 기준으로 차체(10)의 스킨 데이터(P3,P4,P5,P6)의 값을 교정장치의 값과 동일하게 설정하여 외판기준으로 리어 도어 프레임의 2개소(PP1,PP2)의 단차각도를 설정한다.
또한, 프런트 도어(30)의 경우, 차체(10)의 힌지좌면(S3,S4) 셋팅치를 기준으로 리어 도어 스킨 데이터(P7,P8,P9)의 값을 교정장치의 값과 동일하게 설정하여 외판기준으로 프런트 도어 프레임(31)의 2개소(PP3,PP4)의 단차각도를 설정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차체(10)와 리어 및 프론트 도어(20,30)의 추출위치에서 추출된 차체의 도어 장착부 스킨 데이터와 도어 어셈블리 데이터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프레임의 교정장치에서 교정치수를 결정하는 데이터로 적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프레임의 교정장치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어 프레임을 차체에 맞추어 교정하기 위한 장치로, 도어 아웃터 패널을 사이드 아웃터 패널의 스킨면을 기준면으로 이에 대응하도록 고정한 상태로 상기 사이드 아웃터 패널의 스킨면에 대한 도어 프레임의 조립산포를 교정하기 하게 된다.
즉, 차량용 도어 프레임의 교정장치의 구성은 교정지그 베이스(1)가 구비된다.
상기 교정지그 베이스(1) 상에는 도어패널(40)의 하단부와 양측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도어고정수단(50)이 구성된다.
상기 도어고정수단(50; 일측은 도면부호 미기재)은 상기 도어패널(40)의 하단부와 양측단부에 대응하여 상기 교정지그 베이스(1) 상에 장착 프레임(3)이 장착되며, 상기 장착 프레임(3)의 상부 일측에는 상하로 가이드 레일(4)을 형성한다.
상기 장착 프레임(3)의 일측에는 스크루 모터(5)가 상향하여 설치되는데, 상기 스크루 모터(5)는 회전축이 스크루축(7)으로 형성된다.
상기 장착 프레임(3)의 가이드 레일(4)을 따라서는 승하강 블록(9)이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이 승하강 블록(9)은 그 하부면에 상기 스크루축(7)이 체결되는 스크루홀(8)이 형성된다.
상기 승하강 블록(9)의 상부면 일측에는 상기 도어의 아웃터 패널(41)이 안착되는 로케이터(11)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로케이터(11)와 승하강 블록(9) 사이에는 도어의 아웃터 패널(41)의 장착 기준면을 조정하도록 심(13;SHIM)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하강 블록(9)의 상부면 타측에는 힌지 브라켓(15)을 통하여 클램퍼(17)가 그 중앙 일측이 힌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브라켓(15)의 일측에는 작동 실린더(19)가 힌지 장착되며, 이 작동 실린더(19)의 작동로드(21) 선단은 상기 클램퍼(17)의 후단과 힌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장착 프레임(3)의 측방에는 상기 도어의 아웃터 패널(41)의 스킨면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는 레이저 센서(23)가 센서 프레임(25)을 통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도어고정수단(50)에 고정된 도어패널(40) 상의 도어 프레임(42)을 차체(10)의 도어 장착부 스킨 데이터에 맞도록 도어 어셈블리 데이터와의 차이만큼 교정하는 교정지그수단(60)이 구비된다.
상기 교정지그수단(60)은 상기 도어 프레임(42)의 선단에 대응하여 교정지그 베이스(1) 상에 가이드 프레임(61)이 설치되는데, 상기 가이드 프레임(61)은 그 내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교정레일(63)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61)의 교정레일(63)에는 교정블록(65)이 승하강 하도록 설치되며, 이 교정블록(65)의 선단면에는 상기 도어 프레임(42)의 선단을 클램핑하는 클램핑 포크(67)를 구성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61)의 상단에는 내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연장 프레임(69)이 구성되고, 이 연장 프레임(69)의 하부에는 교정 실린더(71)가 장착된다.
상기 교정 실린더(71)의 작동로드(73)는 상기 교정블록(65)과 연결되어 교정블록(65)을 승하강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 프레임(69)의 측방에는 센서 브라켓(75)을 통하여 프레임 감지센서(77)가 장착되는데, 이 프레임 감지센서(77)는 도어 프레임(42)의 스킨면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는 레이저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차량용 도어 프레임의 교정장치의 작동은, 상기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로케이터(11) 상에 도어 어셈블리를 로딩한 상태로, 작동 실린더(19)를 전진시켜 클램퍼(17)로 도어패널(40)의 하단부와 양측단부를 고정한다.
이때, 상기 각 레이저 센서(23)는 도어(40)의 아웃터 패널(41) 스킨면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차체 장착시의 기준면과 비교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각 레이저 센서(23)에서 감지한 도어패널(40)의 하단부와 양측단부가 기준면과 동일할 때까지 스크루 모터(5)를 전후진 구동하여 도어패널(40)의 고정위치를 교정해 주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도어패널(40)의 하단부와 양측단부가 설정된 기준면의 동일하게 되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감지센서(77)가 도어 프레임(42)의 선단을 감지하여 설정값과 비교함으로써 도어 프레임(42)의 교정치를 설정하게 된다.
즉, 도어 프레임(42)의 교정각도가 결정되면, 상기 교정 실린더(71)가 전후진 하면서 교정블록(65)을 승하강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클램핑 포크(67)가 상기 도어 프레임(42)의 선단을 상하방향으로 교정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프레임의 교정장치에 적용할 도어 장착부 스킨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위치를 도시한 차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프레임의 교정장치에 적용할 도어 어셈블리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위치를 도시한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프레임의 교정장치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프레임의 교정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Claims (5)

  1. 도어 아웃터 패널을 사이드 아웃터 패널의 스킨면을 기준면으로 이에 대응하도록 고정한 상태로 상기 사이드 아웃터 패널의 스킨면에 대한 도어 프레임의 조립산포를 교정하기 위한 차량용 도어 프레임의 교정장치에 있어서,
    교정지그 베이스;
    상기 교정지그 베이스 상에 장착되어 도어패널의 하단부와 양측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도어고정수단;
    상기 도어고정수단에 고정된 도어패널 상의 도어 프레임을 차체의 도어 장착부 스킨 데이터에 맞도록 도어 어셈블리 데이터와의 차이만큼 교정하는 교정지그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프레임의 교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고정수단은
    상기 도어패널의 하단부와 양측단부에 대응하여 상기 교정지그 베이스 상에 장착되며, 상부 일측에는 상하로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는 장착 프레임;
    상기 장착 프레임의 일측에 상향 설치되며, 그 회전축은 스크루축으로 형성되는 스크루 모터;
    상기 장착 프레임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그 하부면에는 상기 스크루축이 체결되는 스크루홀이 형성되는 승하강 블록;
    상기 승하강 블록의 상부면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도어의 아웃터 패널이 안착되는 로케이터;
    상기 승하강 블록의 상부면 타측에 힌지 브라켓을 통하여 중앙 일측이 힌지 장착되는 클램퍼;
    상기 힌지 브라켓의 일측에 힌지 장착되며, 그 작동로드의 선단은 상기 클램퍼의 후단과 힌지 연결되는 작동 실린더;
    상기 장착 프레임의 측방에서, 상기 도어의 아웃터 패널의 스킨면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는 레이저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프레임의 교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터와 승하강 블록 사이에는
    도어의 아웃터 패널의 장착 기준면을 조정하도록 심(SHIM)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프레임의 교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지그수단은
    상기 도어 프레임의 선단에 대응하여 교정지그 베이스 상에 설치되며, 내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교정레일을 형성하는 가이드 프레임;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교정레일을 따라 승하강 하도록 설치되며, 선단면에는 상기 도어 프레임의 선단을 클램핑하는 클램핑 포크를 구성하는 교정블록;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단에 내측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연장 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며, 그 작동로드는 상기 교정블록과 연결되어 교정블록을 승하강 작동시키는 교정 실린더;
    상기 연장 프레임의 측방에 센서 브라켓을 통하여 장착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의 스킨면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는 프레임 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프레임의 교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감지센서는
    레이저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프레임의 교정장치.
KR1020070131554A 2007-12-14 2007-12-14 차량용 도어 프레임의 교정장치 KR101316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554A KR101316833B1 (ko) 2007-12-14 2007-12-14 차량용 도어 프레임의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554A KR101316833B1 (ko) 2007-12-14 2007-12-14 차량용 도어 프레임의 교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999A true KR20090063999A (ko) 2009-06-18
KR101316833B1 KR101316833B1 (ko) 2013-10-10

Family

ID=40992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1554A KR101316833B1 (ko) 2007-12-14 2007-12-14 차량용 도어 프레임의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68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856B1 (ko) * 2015-07-27 2016-11-23 주식회사화신 차량부품용 지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291B1 (ko) * 2016-09-01 2018-03-08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핫 스탬핑 부품의 치수 교정장치 및 방법
KR102075423B1 (ko) * 2018-09-05 2020-02-10 주식회사 동서기공 알루미늄합금소재 자동차 섀시부품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9093B1 (ko) * 1997-12-23 2001-01-15 정몽규 도어 프레임 교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856B1 (ko) * 2015-07-27 2016-11-23 주식회사화신 차량부품용 지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6833B1 (ko)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80732B2 (ja) 自動車のトランクリッド組付装置
KR101316833B1 (ko) 차량용 도어 프레임의 교정장치
KR20100066186A (ko) 용접용 지그장치
KR20180106228A (ko) 루프 패널 능동 위치 보정 시스템
JP2009040345A (ja) 自動車のドアヒンジ取付治具及びドアヒンジ取付方法
JP5304342B2 (ja) ドア建付け方法及びヒンジ締結構造
KR20150071491A (ko) 도어 어셈블리 검사장치
KR100482601B1 (ko) 프레임리스 도어 글라스 조정장치
JP2884904B2 (ja) ドアガラスの建付位置調整方法
JP3767335B2 (ja) 自動車のドアヒンジ取付治具及びドア建付方法
KR100527472B1 (ko) 도어 힌지 선 장착 장치
CN2928294Y (zh) 车底架校正夹具
JP4832539B2 (ja) エレベータドアスイッチの調整治具および調整方法
CN208496175U (zh) 一种车头架焊装设备
JP4646041B2 (ja) 自動車の車輪アライメント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250459B1 (ko) 도어 장착장치
KR20180001127A (ko) 차량 샤시 모듈 시험 장치
KR20150100159A (ko) 선루프의 리어 레일 조립장치
EP2451698A1 (fr) Dispositif et procede de montage d'ailes avant sur des supports d'aile avant d'un vehicule
KR20100022380A (ko) 프론트 엔드 모듈 자동 장착 로봇
KR100279093B1 (ko) 도어 프레임 교정장치
JP3460972B2 (ja) カウンタウエイト付きフォークリフト
KR20070054387A (ko) 자동차용 루프랙 브라켓 세팅 장치
CN210502411U (zh) 座椅零部件安装角度装校结构
JP3997942B2 (ja) ドアガラス艤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