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1463A -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1463A
KR20090061463A KR1020070128487A KR20070128487A KR20090061463A KR 20090061463 A KR20090061463 A KR 20090061463A KR 1020070128487 A KR1020070128487 A KR 1020070128487A KR 20070128487 A KR20070128487 A KR 20070128487A KR 20090061463 A KR20090061463 A KR 20090061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bble
water level
washing
value measure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웅현
이병순
황상일
권순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8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1463A/ko
Priority to CN2008101279933A priority patent/CN101307548B/zh
Publication of KR20090061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4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0Washing liquid condition,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거품방지방법은, 수위센서에서 측정된 수위 값을 이용하지 않고, 거품감지수단(광센서 또는 탁도센서)으로 거품을 감지한다. 또는, 수위센서에서 측정된 수위 값과 거품감지수단을 모두 이용하여 거품을 감지한다.
따라서, 정확하게 거품을 감지할 수 있어, 종래의 수위센서가 거품을 제대로 감지하지 못하여 거품이 세제박스를 통해 흘러 넘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또한, 세탁성능은 제대로 나오지 않음에도 계속적으로 에너지가 소비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의 소비가 증가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흘러넘친 거품이 바닥으로 떨어져 소비자가 미끄러지거나, 전기합선을 일으켜 화재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결과적으로, 거품발생으로 인한 애프터서비스 요인이 없어져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소비자의 만족도가 증가한다.
세탁기, 거품감지, 수위 값, 광센서, 탁도센서

Description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METHOD FOR DETECTING BUBBLE OF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세탁코스 진행 중에 거품을 감지하는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세탁코스 진행 중 거품의 감지 및 제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세탁코스는 급수과정(S10), 세탁과정(S11), 배수과정(S14), 탈수과정(S15) 순으로 진행된다. 이때, 세탁과정(S11)에서 수위센서를 이용하여 거품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S12). 보통 수위센서에서 측정된 수위 값이 기준 수위 값(23.O KHz)보다 작은 경우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진행 중인 세탁과정(S11)을 종료하고 거품제거동작(S13)을 수행한 후 다시 배수과정(S14)과 탈수과정(S15)을 진행한다. 이때, 거품제거동작(S13)은 급수를 하면서 드럼을 저속으로 정/역회전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이루어진다.
한편, 종래의 세탁코스 진행 중 거품의 감지 및 제거 방법은 세탁과정(S11) 중 수위센서에 의해 측정된 수위 값에만 전적으로 의존한다. 따라서, 수위센서가 오작동할 경우, 세탁과정(S11) 중 거품을 정상적으로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 었다.
또한, 히팅을 하지 않거나, 히팅이 없는 세탁기 모델의 경우는, 거품이 발생 하더라도 수위 변화가 거의 발생 하지 않음으로, 세탁 중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수위센서라도 거품을 제대로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렇게, 수위센서가 거품을 제대로 감지하지 못할 경우, 거품이 세제박스를 통해 흘러 넘치게 된다. 또한 세탁성능은 제대로 나오지 않음에도 계속적으로 에너지가 소비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의 소비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흘러넘친 거품이 바닥으로 떨어질 경우 소비자가 미끄러지거나, 전기합선을 일으켜 화재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거품발생으로 인한 애프터서비스 요인이 증가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지고 소비자의 불만을 유발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수위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세탁 중 거품감지를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수위센서를 보완하여 세탁 중 거품감지를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은, 세탁코스 진행 중 거품감지수단으로 거품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거품감지수단에 의해 측정된 감지값과 거품발생 전 상기 거품감지수단에 의해 측정된 기준 감지값과의 차이를 비교하여 거품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세탁코스 진행 중 세탁수의 수위를 수위센서로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거품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위센서에서 측정된 수위값이 거품발생 전에 측정된 수위값보다 작은 경우 거품이 발생 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품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위센서에서 측정된 수위값이 거품발생 전에 측정된 수위값와 같거나 크고,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측정된 감지값이 기준 감지값과 차이가 있을 경우에 거품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거품감지수단은 광센서이며, 상기 감지값은 상기 광센서에서 드럼에 비쳐져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상기 광센서로 반사되는 빛의 세기이고, 상기 기준 감지값은 거품발생 전 측정된 빛의 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거품감지수단은 탁도센서이며, 상기 감지값은 상기 탁도센서의 감지부 양단간을 흐르는 전류값이고, 상기 기준 감지값은 거품발생 전 측정된 전류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거품방지방법에 따르면, 수위센서에서 측정된 수위 값을 이용하지 않고, 거품감지수단(광센서 또는 탁도센서)으로 거품을 감지한다. 또는, 수위센서에서 측정된 수위 값과 거품감지수단을 모두 이용하여 거품을 감지한다.
따라서, 정확하게 거품을 감지할 수 있어, 종래의 수위센서가 거품을 제대로 감지하지 못하여 거품이 세제박스를 통해 흘러 넘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또한, 세탁성능은 제대로 나오지 않음에도 계속적으로 에너지가 소비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의 소비가 증가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흘러넘친 거품이 바닥으로 떨어져 소비자가 미끄러지거나, 전기합선을 일으켜 화재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결과적으로, 거품발생으로 인한 애프터서비스 요인이 없어져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소비자의 만족도가 증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을 상세하게 설 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거품감지방법을 수행하는 세탁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거품감지방법을 포함한 세탁코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거품감지방법을 수행하는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5); 캐비넷(5) 내부에 설치되며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3); 터브(3)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9); 드럼(9)을 회전시키는 세탁모터(7,8); 세탁모터(7,8)의 회전력을 드럼(9)에 전달하는 회전축(17); 회전축(17)을 지지하는 베어링(11); 터브(3)와 드럼(9) 사이의 물이 베어링(11)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막는 실링부재(13); 터브(3)에 세제와 혼합된 물을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30); 세제공급장치(30)로 물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해 복수개의 밸브로 구성된 급수장치(20); 터브(3)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펌핑하여 버리는 배수펌프(40); 터브(3)의 하측에 설치되어 터브(3)내 세탁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50);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받아 세탁기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70); 및 터브(3)의 상측에 설치되어 거품을 감지하는 거품감지수단(100);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넷(5)의 전방에는 도어(1)가 설치되며, 도어(1)와 터브(3)사이에는 가스켓(2)이 설치된다.
상기 캐비넷(5)의 상부면 내측과 터브(3)의 외주면 상측 사이에는 터브(3)를 지지하는 걸림스프링(4)이 설치되고, 캐비넷(5)의 하부면 내측과 터브(3)의 외주면 하측 사이에는 터브(3)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마찰댐퍼(10)가 설치된다.
상기 드럼(9)의 내부에는 세탁물을 들어올리고 내리는 복수개의 리프터(9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탁모터(7,8)는, 직결식 모터로 슬롯에 권선된 코일을 구비한 스테이터(7)와 스테이터(7)의 외주면에서 회전하며 내측에 영구자석(12)을 구비한 로터(8)로 구성된다.
상기 스테이터(7)는, 터브(3)의 후벽에 복수개의 체결부재(19)로 체결된다.
상기 로터(8)는 회전축(17)의 후단부에 체결부재(18)로 체결된다.
상기 스테이터(7)의 코일에 전원이 공급되어 전자석화되면, 로터(8)의 내측에 부착된 영구자석(12)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로터(8)가 회전하게 된다. 로터(8)의 회전력은 회전축(17)을 통해 드럼(9)으로 전달된다.
상기 베어링(11)은, 회전축(17)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회전축(17)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실링부재(13)는, 회전축(17)의 외주에 삽입 설치되어, 터브(3)와 드럼(9) 사이의 물이 베어링(11)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세제공급장치(30)는 공급받은 물과 세제를 혼합하여 터브(3)로 공급관(31)을 통해 공급한다. 이러한 세제공급장치(30)는 일 예로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즉, 세제공급장치(30)는 케이스와 그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각종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세제통의 바닥에는 사이폰(siphon)관이 형성되며, 케이스의 상측에는 연결관(22)과 연결된 공급구가 형성되고, 케이스의 바닥에는 공급관(31)과 연결된 세제배출구가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으로 연결관(22)을 통해 공급된 물이 세제통에 저장된 세제와 섞인 다음, 일정 수위가 되면 사이폰관을 통해 세제통을 빠져나온다. 세제통을 빠져나온 세제와 혼합된 물은 공급관(31)을 통해 터브(3)로 공급된다.
상기 급수장치(20)에는 외부의 물 공급원(온수 또는 냉수)과 연결되는 공급관(21)과, 세제공급장치(30)와 연결되는 연결관(2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수펌프(40)에는 터브(3)의 하측과 연결되는 배수관(41)과 외부의 배수구와 연결되는 연결관(42)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수위센서(50)는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10-042512호)에 공개된 바와 같이, 몸체와 몸체 내부에 수용된 코일과, 세탁수의 수위에 의하여 상하운동하여 코일의 인덕턴스 값을 변화시키는 코어와, 코어를 수용하는 코어홀더와, 벨로우즈 또는 다이어프램과 같은 수압전달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거품감지수단(100)은 발광부(101)와 수광부(102)로 구성된 광센서로서, 발광부(101)에서 방출된 빛은 드럼(9)의 외벽(9a)에 부딪쳐 반사되어 수광부(102)로 입사된다. 여기서, 화살표는 빛의 흐름을 나타낸다.
한편, 광센서(110)와 드럼(9) 사이의 공간(S)에 거품이 존재할 경우, 공간(S)에 거품이 없는 경우에 비해 반사되는 빛의 세기가 약하게 된다. 즉, 거품이 존재할 경우 거품에 의해 빛이 산란 되어 빛의 세기가 약해지게 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거품의 발생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세탁코스는 급수과정(S20), 세탁과정(S21),배수 과정(S24), 탈수과정(S25) 순으로 진행된다. 이때, 세탁과정(S21)에서 광센서(100)에서 감지되는 빛의 세기의 강약을 이용하여 거품을 감지하게 된다(S22).
즉, 거품이 존재할 경우, 거품이 없는 경우에 비해 수광부(102)로 입사되는 빛의 세기가 약하게 된다. 그 이유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따라서, 거품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 빛의 세기를 미리 측정하여 이를 마이컴(미도시)에 기준 빛의 세기로 저장하고, 이 후 측정된 빛의 세기가 기준 빛의 세기보다 작을 경우 거품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만약, 거품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진행 중인 세탁과정(S21)을 종료하고 거품제거동작(S23)을 수행한 후 다시 배수과정(S24)과 탈수과정(25)을 진행한다.
상기 거품제거동작(S23)은 급수장치(20)를 통해 급수를 하면서 드럼(9)을 저속으로 정 역회전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광센서(100)에서 감지되는 빛의 세기의 강약을 이용하여 거품을 감지함으로써, 수위센서(50)의 오작동 및 히터의 유무에 따른 온도 조건과 관계없이 정확하게 거품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거품감지방법을 포함한 세탁코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참고로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세탁코스는 급수과정(S30), 세탁과정(S31), 배수과정(S35), 탈수과정(S36) 순으로 진행된다. 이때, 세탁과정(S31)에서 수위센서(50)에 의해 측정된 수위 값 및 광센서(100)에서 감지되는 빛의 세기의 강약을 이용하여 거품을 감지하게 된다(S32, S33).
먼저, 수위센서(50)에서 측정된 수위 값이 기준 수위 값(23.O KHz)보다 작을 경우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S32), 진행 중인 세탁과정(S31)을 종료하고 거품제거동작(S34)을 수행한 후 다시 배수과정(S35)과 탈수과정(S36)을 진행한다.
그러나, 수위센서(50)에서 측정된 수위 값이 기준 수위 값(23.O KHz) 보다 같거나 클 경우에도, 배수과정(S35)과 탈수과정(S36)을 진행하지 않는다.
즉, 수위센서(50)의 오작동 및 히터의 유무에 따른 온도 조건과 관계없이 정확하게 거품을 감지할 수 있도록, 광센서(100)에서 감지되는 빛의 세기의 강약을 이용하여 거품을 또 한번 감지하게 된다(S33).
광센서(100)에서 감지되는 빛의 세기의 강약을 이용하여 거품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이렇게, 수위센서(50)에서 측정된 수위 값과 광센서(100)에서 감지되는 빛의 세기의 강약을 모두 이용하여 거품을 감지함으로써, 수위센서(50)의 오작동 및 히터의 유무에 따른 온도 조건과 관계없이 정확하게 거품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거품감지방법을 수행하는 세탁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B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6의 거품감지방법을 포함한 세탁코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참고로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거품감지방법을 수행하는 세 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5); 캐비넷(5) 내부에 설치되며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3); 터브(3)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9); 드럼(9)을 회전시키는 세탁모터(7,8); 세탁모터(7,8)의 회전력을 드럼(9)에 전달하는 회전축(17); 회전축(17)을 지지하는 베어링(11); 터브(3)와 드럼(9) 사이의 물이 베어링(11)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막는 실링부재(13); 터브(3)에 세제와 혼합된 물을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30); 세제공급장치(30)로 물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해 복수개의 밸브로 구성된 급수장치(20); 터브(3)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펌핑하여 버리는 배수펌프(40); 터브(3)의 하측에 설치되어 터브(3)내 세탁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50);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받아 세탁기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70); 및 터브(3)의 상측에 설치되어 거품을 감지하는 거품감지수단(200);을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거품감지수단(200)은 제1전극(101)와 제2전극(102)으로 구성된 탁도센서로서, 제1전극(101)과 제2전극(102)사이를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측정한다. 여기서, 화살표는 전류의 흐름을 나타낸다.
한편, 제1전극(101)과 제2전극(102) 사이의 공간(S)에 거품이 존재할 경우, 공간(S)에 거품이 없는 경우에 비해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약하게 된다. 즉, 거품이 존재할 경우 거품에 의한 저항으로 인해 전류의 세기가 약해지게 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거품의 발생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세탁코스는 급수과정(S40), 세탁과정(S41),배수과정(S44), 탈수과정(S45) 순으로 진행된다. 이때, 세탁과정(S41)에서 탁도센서 서(200)에서 감지되는 전류의 세기의 강약을 이용하여 거품을 감지하게 된다(S42).
즉, 거품이 존재할 경우, 거품이 없는 경우에 비해 제1전극(101)과 제2전극(102)사이를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약하게 된다. 그 이유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따라서, 거품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 전류의 세기를 미리 측정하여 이를 마이컴(미도시)에 기준 전류 값으로 저장하고, 이 후 측정된 전류의 세기가 기준 전류 값보다 작을 경우 거품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만약, 거품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진행 중인 세탁과정(S41)을 종료하고 거품제거동작(S43)을 수행한 후 다시 배수과정(S44)과 탈수과정(45)을 진행한다.
상기 거품제거동작(S43)은 급수장치(20)를 통해 급수를 하면서 드럼(9)을 저속으로 정 역회전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탁도센서(200)에서 감지되는 전류의 세기의 강약을 이용하여 거품을 감지함으로써, 수위센서(50)의 오작동 및 히터의 유무에 따른 온도 조건과 관계없이 정확하게 거품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거품감지방법을 포함한 세탁코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세탁코스는 급수과정(S50), 세탁과정(S51), 배수과정(S55), 탈수과정(S56) 순으로 진행된다. 이때, 세탁과정(S51)에서 수위센서(50)에 의해 측정된 수위 값 및 탁도센서(200)에서 감지되는 전류의 세기의 강약을 이용하여 거품을 감지하게 된다(S52, S53).
먼저, 수위센서(50)에서 측정된 수위 값이 기준 수위 값(23.O KHz)보다 작을 경우 거품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S52), 진행 중인 세탁과정(S51)을 종료하고 거품제거동작(S54)을 수행한 후 다시 배수과정(S55)과 탈수과정(S56)을 진행한다.
그러나, 수위센서(50)에서 측정된 수위 값이 기준 수위 값(23.O KHz) 보다 같거나 클 경우에도, 배수과정(S55)과 탈수과정(S56)을 진행하지 않는다.
즉, 수위센서(50)의 오작동 및 히터의 유무에 따른 온도 조건과 관계없이 정확하게 거품을 감지할 수 있도록, 탁도센서(200)에서 감지되는 전류의 세기의 강약을 이용하여 거품을 또 한번 감지하게 된다(S53).
탁도센서(200)에서 감지되는 전류의 세기의 강약을 이용하여 거품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이렇게, 수위센서(50)에서 측정된 수위 값과 탁도센서(200)에서 감지되는 전류의 세기의 강약을 모두 이용하여 거품을 감지함으로써, 수위센서(50)의 오작동 및 히터의 유무에 따른 온도 조건과 관계없이 정확하게 거품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세탁코스 진행 중 거품의 감지 및 제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거품감지방법을 수행하는 세탁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도 2의 거품감지방법을 포함한 세탁코스를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거품감지방법을 포함한 세탁코스를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거품감지방법을 수행하는 세탁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B부분의 확대도,
도 8은 도 6의 거품감지방법을 포함한 세탁코스를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거품감지방법을 포함한 세탁코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터브 9: 드럼
7,8: 세탁모터 100: 광센서
200: 탁도센서

Claims (8)

  1. 세탁코스 진행 중 거품감지수단으로 거품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거품감지수단에 의해 측정된 감지값과 거품발생 전 상기 거품감지수단에 의해 측정된 기준 감지값과의 차이를 비교하여 거품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코스 진행 중 세탁수의 수위를 수위센서로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위센서에서 측정된 수위값이 거품발생 전에 측정된 수위값보다 작은 경우 거품이 발생 된 것으로 판단하는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위센서에서 측정된 수위값이 거품발생 전에 측정된 수위값와 같거나 크고,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측정된 감지값이 기준 감지값과 차이가 있을 경우에 거품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감지수단은 광센서인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값은 상기 광센서에서 드럼에 비쳐져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상기 광센서로 반사되는 빛의 세기이고, 상기 기준 감지값은 거품발생 전 측정된 빛의 세기인 세탁기의 거품방지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감지수단은 탁도센서인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값은 상기 탁도센서의 감지부 양단간을 흐르는 전류값이고, 상기 기준 감지값은 거품발생 전 측정된 전류값인 세탁기의 거품방지방법.
KR1020070128487A 2007-12-11 2007-12-11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KR2009006146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487A KR20090061463A (ko) 2007-12-11 2007-12-11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CN2008101279933A CN101307548B (zh) 2007-12-11 2008-07-03 洗衣机的泡沫检测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487A KR20090061463A (ko) 2007-12-11 2007-12-11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463A true KR20090061463A (ko) 2009-06-16

Family

ID=40124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487A KR20090061463A (ko) 2007-12-11 2007-12-11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90061463A (ko)
CN (1) CN10130754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9915B2 (en) 2013-12-26 2017-11-07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71859B (zh) * 2015-01-04 2018-09-07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洗衣机控制方法和洗衣机
CN109487494A (zh) * 2017-09-11 2019-03-19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泡沫的控制方法及洗衣机
CN107422616A (zh) * 2017-09-27 2017-12-0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影液承载装置及显影设备
CN109576955A (zh) * 2017-09-29 2019-04-05 上海小吉互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滚筒洗衣机及其泡沫检测方法
CN114517375A (zh) * 2020-11-20 2022-05-20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滚筒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12575508A (zh) * 2020-11-26 2021-03-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泡沫控制方法及洗衣机
CN114098582A (zh) * 2021-11-18 2022-03-01 瀚乐电子机械(南京)有限公司 一种用于检测家用电器内的泡沫量的系统和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9915B2 (en) 2013-12-26 2017-11-07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07548B (zh) 2011-07-20
CN101307548A (zh) 2008-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61464A (ko)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KR20090061465A (ko)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KR20090061463A (ko)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JP4822974B2 (ja) 洗濯機
KR101463809B1 (ko)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EA017259B1 (ru) Способ устранения пены в режиме центрифугирования в барабанной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е и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этого способа
KR20090130669A (ko) 세탁기의 제어 방법
JP4501980B2 (ja) 洗濯機
EP2305872B1 (en) Residual-water discharge control method for a washing machine
JP2011229650A (ja) 洗濯機
KR101455775B1 (ko) 가전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71670A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0035953A (ja) 洗濯機
JP2018011810A (ja) 洗濯機
KR102466662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JP2013123555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3090736A (ja) 洗濯機
KR100934016B1 (ko) 세탁기의 누수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69009B1 (ko)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JP4806436B2 (ja) 洗濯機
JP6630918B2 (ja) 洗濯機
JP2008307414A (ja) 洗濯機
JP4859900B2 (ja) 洗濯機
KR101462178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457781B1 (ko) 세탁기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