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8750A - 하부 게이트를 갖는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하부 게이트를 갖는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8750A
KR20090058750A KR1020070125489A KR20070125489A KR20090058750A KR 20090058750 A KR20090058750 A KR 20090058750A KR 1020070125489 A KR1020070125489 A KR 1020070125489A KR 20070125489 A KR20070125489 A KR 20070125489A KR 20090058750 A KR20090058750 A KR 20090058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stallization
active layer
layer
region
sil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4328B1 (ko
Inventor
주승기
강일석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1020070125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4328B1/ko
Publication of KR20090058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56Special treatments
    • H01L21/02664Aftertreatments
    • H01L21/02667Crystallisation or recrystallisation of non-monocrystalline semiconductor materials, e.g. regrowth
    • H01L21/02672Crystallisation or recrystallisation of non-monocrystalline semiconductor materials, e.g. regrowth using crystallisation enhanc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59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 H01L27/127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with a particular formation, treatment or patterning of the active layer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 H01L27/1274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with a particular formation, treatment or patterning of the active layer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using crystallisation of amorphous semiconductor or recrystallisation of crystalline semiconductor
    • H01L27/1277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with a particular formation, treatment or patterning of the active layer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using crystallisation of amorphous semiconductor or recrystallisation of crystalline semiconductor using a crystallisation promoting species, e.g. local introduction of Ni catalys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742Thin film unipolar transistors
    • H01L29/6675Amorphous silicon or polysilicon transistors
    • H01L29/66765Lateral single gate single channel transistors with inverted structure, i.e. the channel layer is formed after the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0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 H01L29/78618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drain or the source properties, e.g. the doping structure, the composition, the sectional shape or the contact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9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channel, e.g. multichannel, transverse or longitudinal shape, length or width, doping structure, or the overlap or alignment between the channel and the gate, the source or the drain, or the contacting structure of the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유도 측면 결정화법(MILC)을 이용하여 활성층을 결정화할 때 게이트 절연막을 실리콘층보다 먼저 형성하는 하부 게이트 구조를 채용함에 의해 게이트 절연막의 증착시 실리콘층이 플라즈마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투명기판 위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 위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활성층 위에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이 연결되는 위치에 제1 및 제2 결정화 유도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을 열처리하여 활성층의 일부분은 금속유도 결정화(MIC)에 의해 결정화시키고, 나머지 활성층 부분은 MILC에 의해 결정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활성층에 이온주입 마스크를 형성하고 불순물을 주입한 후에 열처리하여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 위에 층간 절연막을 형성한 후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결정 실리콘, TFT, 실리콘층 손상, 하부 게이트, MILC

Description

하부 게이트를 갖는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Poly Crystalline Silicon Thin Film Transistor Having Bottom Gate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부 게이트(Bottom gate)를 갖는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속유도 측면 결정화법(MILC)을 이용하여 채널 영역의 결정화 효율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게이트 절연막을 실리콘층보다 먼저 형성하는 하부 게이트 구조를 채용함에 의해 게이트 절연막의 증착시 실리콘층이 플라즈마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여 동작 전류가 높은 트랜지스터를 구현할 수 있는 하부 게이트를 갖는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소자(LCD: Liquid Crystal Display), OLE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는 통상 유리, 석영 등의 투명 기판에 실리콘을 증착한 후, 게이트 절연막 및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고,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에 도펀트를 주입한 후 어닐링 처리를 하여 활성화시키고 층간절연층을 형성하여 완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및 채널 영역을 형성하는 활성층(active layer)은 통상 유리 등의 투명 기판 상에 화학기상증착(CVD) 방법을 사용하여 실리콘층을 증착시켜 형성된다.
그러나, CVD 등의 방법에 의하여 직접 기판에 증착된 실리콘층은 비정질(amorphous) 실리콘막으로서 낮은 전자 이동도(electron mobility)를 가진다. 박막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빠른 동작 속도를 요하고 소형화됨에 따라 구동 IC의 집적도가 커지고 화소영역의 개구율이 감소되기 때문에 실리콘막의 전자 이동도를 높여 구동회로를 화소 TFT와 동시에 형성하고 개개의 화소 개구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비정질 실리콘층을 열처리하여 높은 전자 이동도를 가지는 다결정 구조의 결정질 실리콘층으로 결정화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의 비정질 실리콘층을 결정질 실리콘층으로 결정화시키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었다.
상기한 결정화 방법 중 하나로서, TFT를 600℃ 이하의 저온에서 제작하기 위해 저압 증기 증착법(LPCVD)에 의해 비정질 실리콘을 유리기판 위에 증착한 뒤에 채널 영역을 금속유도 측면 결정화(MILC: Metal Induced Lateral Crystallization) 현상에 의해 결정화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상기 MILC는 비정질 실리콘 박막을 열처리에 의해 결정화할 때 비정질 실리콘과 금속 니켈 사이의 실리사이드 반응을 이용하여 600℃ 이하의 저온에서 큰 결정립 크기의 우수한 다결정 실리콘 박막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MILC 현상을 이용하여 비정질 실리콘층을 결정화시키는 경우에는 결정 화 유도 금속(니켈)을 포함한 실리사이드 계면이 실리콘층의 상변화가 전파됨에 따라 측면으로 이동하여 MILC 현상을 이용하여 결정화되는 채널 영역에는 결정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사용된 금속 성분(니켈)이 거의 잔류하지 않아 트랜지스터 활성화층의 전류 누설 및 기타 동작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MILC 현상을 이용하는 경우에 300℃ 내지 500℃의 비교적 저온에서 실리콘의 결정화를 유도할 수 있고, 고로(furnace)를 이용하여 기판의 손상 없이 여러 장의 기판을 동시에 결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에 MILC를 이용하여 채널 영역의 비정질 실리콘을 결정화를 도모한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부(top) 게이트를 갖는 구조에서 구현되었고, 상부 게이트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는 활성층을 이루는 비정질 실리콘층이 게이트 절연막 보다 먼저 형성된다. 이 경우 게이트 절연막은 플라즈마 유도 화학 증기 증착법으로 형성된다.
그 결과, 게이트 절연막을 증착하는 과정에서 먼저 형성된 비정질 실리콘층이 플라즈마 손상을 직접 받기 때문에 이러한 공정을 통하여 제작된 TFT는 구동 전류면에서 약점을 지닌다.
따라서, 금속유도 측면 결정화법(MILC)에 의해 비정질 실리콘층을 결정화시키는 상부(top) 게이트를 갖는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에서는 게이트 절연막을 비정질 실리콘층보다 먼저 형성하는 하부 게이트를 갖는 다결정 실리 콘 박막 트랜지스터가 상부(top) 게이트를 갖는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보다 바람직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금속유도 측면 결정화법(MILC)을 이용하여 채널 영역의 결정화 효율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게이트 절연막을 실리콘층보다 먼저 형성하는 하부 게이트 구조를 채용함에 의해 게이트 절연막의 증착시 실리콘층이 플라즈마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여 동작 전류가 높은 트랜지스터를 구현할 수 있는 하부 게이트를 갖는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명기판 위에 전도성막을 증착한 후 이를 패터닝하여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 위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 비정질 실리콘을 증착하고 이를 패터닝하여 활성층을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활성층 위에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이 연결되는 위치에 제1 및 제2 결정화 유도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을 열처리하여 상기 제1 및 제2 결정화 유도금속막의 하부에 위치한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활성층 부분은 금속유도 결정화(MIC)에 의해 결정화시키고, 제1 및 제2 결정화 유도금속막과 접촉되지 않은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활성층 부분과 게이트 전극 상측의 채널 영역은 금속유도 측면 결정화(MILC)에 의해 결정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활성층의 채널 영역 상부를 차단하는 이온주입 마스크를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주입한 후에 열처리하여 소스 영역 및 드레 인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 위에 층간 절연막을 형성한 후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에 대한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게이트를 갖는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게이트 전극용 전도성막은 금속막과 불순물이 도핑된 실리콘 박막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플라즈마 유도 화학 증기 증착법에 의해 형성된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과의 적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온주입 마스크는 채널 부분을 가리는 노광 마스크나 하부면 노광을 통해 채널 부분을 가리는 방법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제작된 포토레지스트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결정화 유도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의 전면에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한 후, 사진식각 공정에 의해 활성층의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이 형성되는 위치에 소스 및 드레인 영역에 대한 접촉창을 형성하는 노광 마스크를 이용하여 포토레지스트층에 한쌍의 접촉창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화 유도금속막을 기판 전면에 증착한 후, 리프트-오프(lift-off)법에 의해 포토레지스트층을 제거함에 의해 활성층을 이루는 비정질 실리콘에 형성된 제1 및 제2 결정화 유도금속막 만을 남기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투명기판과; 상기 투명기판 위에 아일랜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게이트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전극이 형성된 투명기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아일랜드 형상을 가지며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지고, 영역의 양측에 각각 이온이 도핑되어 형성된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상기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 사이에 이온이 도핑되지 않은 채널 영역을 포함하는 활성층과; 상기 활성층을 덮도록 기판위에 형성된 층간 절연막과; 상기 층간 절연막을 관통하여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연결된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활성층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 일부는 상기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의 상부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결정화 유도금속막을 이용한 MIC 결정화에 의해 비정질 실리콘이 다결정 실리콘으로 결정화되고; 상기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의 나머지 영역과 채널 영역은 상기 제1 및 제2 결정화 유도금속막을 이용한 금속유도 측면 결정화(MILC)에 의해 비정질 실리콘이 다결정 실리콘으로 결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게이트 구조를 가지는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금속유도 측면 결정화법(MILC)을 이용하여 채널 영역의 결정화 효율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게이트 절연막을 실리콘층보다 먼저 형성하는 하부 게이트 구조를 채용함에 의해 게이트 절연막의 증착시 실리콘층이 플라즈마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여 동작 전류가 높은 트랜지스터를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상기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은 각각 본 발명에 따라 실리콘층의 하부에 게이트 절연막과 게이트를 형성한 하부 게이트 구조를 갖는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 게이트를 갖는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는 투명기판(1)과; 상기 투명기판(1) 위에 아일랜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게이트 전극(2)과; 상기 게이트 전극(2)이 형성된 투명기판(1)의 상부면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3)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3) 상에 아일랜드 형상을 가지며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지고, 영역의 양측에 각각 이온이 도핑되어 형성된 소스 영역(9a) 및 드레인 영역(9b)과, 상기 소스 영역(9a)과 드레인 영역(9b) 사이에 이온이 도핑되지 않은 채널 영역(9c)을 포함하는 활성층(6)과; 상기 활성층(6)을 덮도록 기판(1) 위에 형성된 층간 절연막(10)과; 상기 층간 절연막(10)을 관통하여 소스 영역(9a) 및 드레인 영역(9b)과 연결된 소스 전극(11a) 및 드레인 전극(11b)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활성층(6)의 소스 영역(9a) 및 드레인 영역(9b) 일부는 상기 소스 영역(9a) 및 드레인 영역(9b)의 상부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결정화 유도금속막(5a,5b)을 이용한 MIC 결정화에 의해 비정질 실리콘이 다결정 실리콘으로 결정화되고; 상기 소스 영역(9a) 및 드레인 영역(9b)의 나머지 영역과 채널 영역(9c)은 상기 제1 및 제2 결정화 유도금속막(5a,5b)을 이용한 금속유도 측면 결정화(MILC)에 의해 비정질 실리콘이 다결정 실리콘으로 결정화된다.
또한, 상기 하부 게이트를 갖는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은 투명기판(1) 위에 전도성막을 증착한 후 이를 패터닝하여 게이트 전극(2)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1) 위에 게이트 절연막(3)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절연막(3) 위에 비정질 실리콘을 증착하고 이를 패터닝하여 활성층(4)을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활성층(4) 위에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11a)과 드레인 전극(11b)이 연결되는 위치에 제1 및 제2 결정화 유도금속막(5a,5b)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을 열처리하여 상기 제1 및 제2 결정화 유도금속막(5a,5b)의 하부에 위치한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활성층 부분은 금속유도 결정화(MIC)에 의해 결정화시키고, 제1 및 제2 결정화 유도금속막(5a,5b)과 접촉되지 않은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활성층 부분과 게이트 전극(2) 상측의 채널 영역(9c)은 금속유도 측면 결정화(MILC)에 의해 결정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결정화된 활성층(6)의 채널 영역(9c) 상부를 차단하는 이온주입 마스크를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주입한 후에 열처리하여 소스 영역(9a) 및 드레인 영역(9b)을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 위에 층간 절연막(10)을 형성한 후 소스 영역(9a) 및 드레인 영역(9b)에 대한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11b)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각 공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하면, 예를 들어, 유리기판(제품명 : Corning 1737)(1)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의 형성을 위해서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기판 전면에 약 1000Å 두께의 몰리브데늄텅스텐(MoW) 박막을 증착하고, 사진 식각법으로 아일랜드 형상으로 패턴을 형성하여 게이트 전극(2)을 형성한다. 이 경우 게이트 전극(2)은 금속막 이외에 불순물이 도핑된 실리콘 박막으로 이루어진 전도성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후, 도 2와 같이, 상기 게이트 전극(2)을 포함한 기판 전체면 위에 플라즈마 유도 화학 증기 증착법으로 게이트 절연막(3)으로 사용될 100∼10000Å의 실리콘 산화막(SiO2)이나 실리콘 질화막과의 적층 구조를 형성한다. 이 경우 게이트 전극(2)이 금속막으로 이루어진 경우는 실리콘 질화막이 먼저 형성되고 그 위에 실리콘 산화막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3) 위에 플라즈마를 이용한 화학 증기 증착법에 의해 약 600Å의 비정질 실리콘(a-Si)을 증착하고, 사진 식각법으로 패턴을 형성하여 아일랜드 형상의 활성층(4)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기판의 전면에 포토레지스트층(PR)(20)을 형성한 후, 니켈 오프셋(Ni-offset) MILC를 위하여 사진식각 공정에 의해 활성층(4)의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이 형성되는 위치, 즉 게이트 전극(2)으로부터 1∼10㎛ 정도 떨어진 위치에 소스 및 드레인 영역에 대한 접촉창을 형성하는 노광 마스크(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포토레지스트층(20)에 한쌍의 접촉창(21)을 형성한다.
그 후, 결정화 유도금속막(5)을 예를 들어, 스퍼터링, 가열증발, PECVD, 솔루션 코팅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1 내지 20nm, 예를들어 5nm 두께로 기판 전면 에 증착한다. 이 때, 적용 가능한 결정화 유도금속막(5)의 재료는 Ni, Pd, Ti, Ag, Au, Al, Sn, Sb, Cu, Co, Cr, Mo, Tr, Ru, Rh, Cd, Pt 등이 주로 사용된다.
이어서, 리프트-오프(lift-off)법에 의해 포토레지스트층(21)을 제거함에 의해 포토레지스트층(20) 상부에 형성된 결정화 유도금속막(5)을 제거하고 활성층(4)을 이루는 비정질 실리콘에 형성된 제1 및 제2 결정화 유도금속막(5a,5b)만을 남긴다.
그 후, 300℃ 내지 580℃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예를 들어, 580℃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를 행하면 도 5와 같이, 제1 및 제2 결정화 유도금속막(5a,5b)의 하부에 위치한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활성층(4) 부분은 금속 유도 결정화(Metal Induced Crystallization; MIC)에 의해 결정화가 이루어지고, 제1 및 제2 결정화 유도금속막(5a,5b)과 접촉되지 않은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활성층(4) 부분과 게이트 전극(2) 상측의 채널 영역(9c: 도 7 참조) 포함)은 MILC에 의해 결정화가 이루어진다. 그 결과 결정화된 영역으로 이루어진 활성층(6)이 얻어진다.
이어서, 제1 및 제2 결정화 유도금속막(5a,5b)을 제거한 후, 포토레지스트층을 전면에 형성하고, 채널 영역(9c: 도 7 참조)을 가리는 노광 마스크(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거나, 또는 도 6과 같이 금속으로 이루어진 게이트 전극(2)을 이용한 하부면 노광을 통해 채널 영역(9c: 도 7 참조)을 가리는 방법(Backside exposure)을 사용하여 선택적인 노광을 실시한다.
이어서 채널영역 이외의 부분에 위치한 감광된 포토레지스트층(7)을 현상에 의해 제거하고, 채널 영역(9c) 상부의 포토레지스트 패턴(8) 만을 이온주입 마스크 로 남기면 도 7과 같이 얻어진다.
그 후, 도 7과 같이 채널 영역(9c) 상부에 남아 있는 포토레지스트 패턴(8)을 이온주입 마스크로 이용하여, 이온 질량 도핑(IMD: Ion Mass Doping) 장치를 이용하여 활성층(6)에 불순물을 주입하고 580℃ 온도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주입된 불순물을 활성화시킴에 의해 소스 영역(9a) 및 드레인 영역(9b)을 형성하며, 그 결과 소스 영역(9a)과 드레인 영역(9b) 사이에는 채널 영역(9c)이 정의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은 공정으로 제작된 기판 위에 도 8과 같이, 층간절연막(10)을 형성하고 소스 영역(9a)과 드레인 영역(9b)에 대한 콘택홀(contact hole)을 형성한 후 예를 들어, 몰리부데늄텅스텐(MoW)과 같은 금속막으로 형성한 후, 이를 패터닝하여 소스 전극(11a) 및 드레인 전극(11b)을 형성한다.
한편, 종래에 활성층으로서 니켈 오프셋에 의해 비정질 실리콘을 결정화시키는 상부(top) 게이트 구조의 MILC를 이용한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은 게이트 전극형성용 몰리브데늄텅스텐과 실리콘 산화막의 증착 공정이 비정질 실리콘층보다 먼저 형성되어 있어 게이트 절연막 증착시 비정질 실리콘층이 플라즈마 손상을 입으므로 상기 종래의 문제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 전류에서 약점이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본 발명의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에서는 게이트 절연막을 실리콘층보다 먼저 형성하는 하부 게이트 구조를 채용함에 의해 게이트 절연막의 증착시 실리콘층이 플라즈마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여 동작 전류가 높은 트랜지스터를 구현할 수 있게 되었고, 또한 금속유도 측면 결정화법(MILC)을 이용 하여 채널 영역의 비정질 실리콘에 대한 결정화를 진행하여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금속유도 측면 결정화법(MILC)을 이용하여 채널 영역의 결정화 효율성을 도모할 때 게이트 절연막을 실리콘층보다 먼저 형성하는 하부 게이트 구조를 채용함에 의해 게이트 절연막의 증착시 실리콘층이 플라즈마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여 동작 전류가 높은 하부 게이트를 갖는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에 적용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하부 게이트를 갖는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기판 2: 게이트 전극
3: 게이트 절연막 4: 활성층
5,5a,5b: 결정화 유도금속막 6: 결정화된 활성층
7: 포토레지스트층 8: 포토레지시트 패턴
9a: 소스 영역 9b: 드레인 영역
9c: 채널 영역 10: 층간 절연막
11a: 소스 전극 11b: 드레인 전극
20: 포토레지스트 21: 접촉창

Claims (6)

  1. 투명기판 위에 전도성막을 증착한 후 이를 패터닝하여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 위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 비정질 실리콘을 증착하고 이를 패터닝하여 활성층을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활성층 위에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이 연결되는 위치에 제1 및 제2 결정화 유도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을 열처리하여 상기 제1 및 제2 결정화 유도금속막의 하부에 위치한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활성층 부분은 금속유도 결정화(MIC)에 의해 결정화시키고, 제1 및 제2 결정화 유도금속막과 접촉되지 않은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활성층 부분과 게이트 전극 상측의 채널 영역은 금속유도 측면 결정화(MILC)에 의해 결정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활성층의 채널 영역 상부를 차단하는 이온주입 마스크를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주입한 후에 열처리하여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 위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한 후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에 대한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게이트를 갖는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용 전도성막은 금속막과 불순물이 도핑된 실리콘 박막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게이트를 갖는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은 플라즈마 유도 화학 증기 증착법에 의해 형성된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과의 적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게이트를 갖는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주입 마스크는 채널 부분을 가리는 노광 마스크나 하부면 노광을 통해 채널 부분을 가리는 방법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제작된 포토레지스트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게이트를 갖는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정화 유도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의 전면에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한 후, 사진식각 공정에 의해 활성층의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이 형성되는 위치에 소스 및 드레인 영역에 대한 접촉창을 형성하는 노광 마스크를 이용하여 포토레지스트층에 한쌍의 접촉창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화 유도금속막을 기판 전면에 증착한 후, 리프트-오프(lift-off)법 에 의해 포토레지스트층을 제거함에 의해 활성층을 이루는 비정질 실리콘에 형성된 제1 및 제2 결정화 유도금속막 만을 남기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하부 게이트를 갖는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6. 투명기판과;
    상기 투명기판 위에 아일랜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게이트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전극이 형성된 투명기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아일랜드 형상을 가지며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지고, 영역의 양측에 각각 이온이 도핑되어 형성된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상기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 사이에 이온이 도핑되지 않은 채널 영역을 포함하는 활성층과;
    상기 활성층을 덮도록 기판위에 형성된 층간 절연막과;
    상기 층간 절연막을 관통하여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연결된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활성층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 일부는 상기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의 상부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결정화 유도금속막을 이용한 MIC 결정화에 의해 비정질 실리콘이 다결정 실리콘으로 결정화되고;
    상기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의 나머지 영역과 채널 영역은 상기 제1 및 제2 결정화 유도금속막을 이용한 금속유도 측면 결정화(MILC)에 의해 비정질 실리콘이 다결정 실리콘으로 결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 게이트 구조를 가지는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KR1020070125489A 2007-12-05 2007-12-05 하부 게이트를 갖는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제조방법 KR100934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489A KR100934328B1 (ko) 2007-12-05 2007-12-05 하부 게이트를 갖는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489A KR100934328B1 (ko) 2007-12-05 2007-12-05 하부 게이트를 갖는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750A true KR20090058750A (ko) 2009-06-10
KR100934328B1 KR100934328B1 (ko) 2009-12-29

Family

ID=40989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489A KR100934328B1 (ko) 2007-12-05 2007-12-05 하부 게이트를 갖는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43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431B1 (ko) * 2014-03-13 2018-06-11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디바이스, 그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989B1 (ko) * 2004-05-28 2007-03-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바텀 게이트 형 박막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21555B1 (ko) * 2004-08-13 2007-05-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0685402B1 (ko) * 2004-09-21 2007-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바텀 게이트형 박막트랜지스터, 그를 구비하는평판표시장치 및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0659759B1 (ko) * 2004-10-06 2006-1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바텀 게이트형 박막트랜지스터, 그를 구비하는평판표시장치 및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431B1 (ko) * 2014-03-13 2018-06-11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디바이스, 그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4328B1 (ko) 2009-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13232B2 (ja) 結晶質シリコン活性層を含む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US7521303B2 (en) Method of crystallizing amorphous semiconductor thin film and method of fabricating poly crystalline thin film transistor using the same
JP6503459B2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84233B1 (ko) 박막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US20060286727A1 (en) Polycrystalline silic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6833561B2 (en) Storage capacitor structure for LCD and OELD panels
KR100958826B1 (ko) 금속유도 측면 결정화를 이용한 하부 게이트 구조를 갖는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0057382A (ko)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1274697B1 (ko) 실리콘 결정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박막 트랜지스터제조방법
KR100965980B1 (ko) 금속 유도 측면 결정화를 이용한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34328B1 (ko) 하부 게이트를 갖는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제조방법
KR100753635B1 (ko) 금속유도측면결정화를 이용한 ldd 구조를 갖는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0525436B1 (ko) 다결정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KR20000052006A (ko) 다결정/비정질 실리콘 이중 활성층을 가지는 박막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0504538B1 (ko) 비정질 실리콘의 결정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장치의제조방법
KR100489167B1 (ko) 박막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425156B1 (ko) 다결정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0442289B1 (ko) 다결정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0525434B1 (ko) 다결정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KR20050078392A (ko) 비정질 반도체 박막의 결정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과 박막 반도체 장치
KR100421906B1 (ko) 다결정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0434314B1 (ko) 다결정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1031702B1 (ko) 금속유도결정화에 의한 액정표시소자 제조방법
KR100525435B1 (ko) 다결정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0608570B1 (ko) 박막트랜지스터 및 그것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용 기판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