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5605A - 가루약 분배 장치 - Google Patents

가루약 분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5605A
KR20090055605A KR1020097006288A KR20097006288A KR20090055605A KR 20090055605 A KR20090055605 A KR 20090055605A KR 1020097006288 A KR1020097006288 A KR 1020097006288A KR 20097006288 A KR20097006288 A KR 20097006288A KR 20090055605 A KR20090055605 A KR 20090055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ed medicine
angle
supply
trough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6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4617B1 (ko
Inventor
도오루 다나까
히로야스 하마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90055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5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04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vibratory fee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가루약 분할 포장기의 원반의 외주 홈 전체 둘레에 균일하면서 신속하게 가루약을 공급한다. 가루약 분배 장치는 고리 형상의 외주 홈(10)이 형성된 원반(7A, 7B)을 회전시키는 펄스 모터(11A, 11B)와, 회전 중인 원반(7A, 7B)의 외주 홈(1O)에 대하여 일정한 공급 위치로부터 가루약을 공급하는 가루약 공급 장치(8A, 8B)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72)는 미리 설정된 설정 각도(RAs)를 기억하고, 또한 검출된 원반(7A, 7B)의 누적 회전 각도(RAac)가 설정 각도(RAs)에 도달할 때마다 가루약 공급 장치(8A, 8B)로부터 외주 홈(10)으로의 가루약의 공급량을 증가시킨다.
각도 제어 모터, 압전 소자, 펄스 모터, 인코더, 솔레노이드

Description

가루약 분배 장치 {POWDERED DRUG DISTRIBU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가루약을 규정량으로 분할하여 포장하는 가루약 분할 포장기에 사용하는 가루약 분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외주부에 단면 원호 형상의 외주 홈이 형성된 원반을 회전 구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회전 중인 원반의 외주 홈으로 가루약 공급 장치로부터 가루약을 공급하고 외주 홈으로 공급한 가루약을 가루약 긁어내기 장치에 의해 1포분씩 긁어내어 포장 장치로 공급하여 1포분씩 포장하도록 한 가루약 분할 포장기가 알려져 있다. 가루약 공급 장치는 트로프에 진동을 부여하여 가루약을 원반의 외주 홈으로 낙하시키는 진동 발생기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특허 문헌1 및 2에 이러한 종류의 가루약 분할 포장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1에는 가루약 공급 장치로부터 원반으로의 가루약의 공급 개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진동 발생기로부터 트로프에 인가하는 진동을 단계적으로 높이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 제어에 의해, 트로프로부터 원반으로 공급되는 가루약의 공급량(단위 시간당 트로프로부터 원반의 외주 홈으로 공급되는 가루약의 양)은 시간 경과에 수반하여 증가한다. 그러나,이 제어에서는 전술한 진동을 높이는 시간 간격의 설정에 따라서는 진동값이 증가하는 위치가 외주 홈의 어느 일점에 집중되어, 그것에 의하여 외주 홈에 퇴적되는 가루약의 두께에 편차가 발생한다. 외주 홈 상에 퇴적되는 가루약의 두께에 편차가 있으면 첫포와 최종포를 제외하고 동일 간격의 각도로 원반을 회전시켜 가루약 긁어내기 장치에 의해 긁어내는 경우, 퇴적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에서는 두께분의 차만큼 가루약이 많이 긁어내어지는 한편, 퇴적의 두께가 얇은 부분에서는 가루약의 긁어내기량이 적어져 분포간의 오차가 된다. 또한, 진동값을 증가시키는 위치가 외주 홈의 어느 일점에 집중되면 그 오차는 증폭되어 분포간의 오차는 확대된다.
특허 문헌2에는 트로프로부터 원반의 외주 홈으로 유입되는 가루약의 유량 속도가 일정하게 되도록 진동 발생기는 트로프에 부여하는 진동을 제어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원반으로의 가루약의 공급 개시 시에 비교적 강한 진동을 진동 발생기로부터 트로프에 부여하여, 트로프 및 호퍼 내의 가루약의 잔류량의 감소에 수반하여 진동 발생기로부터 트로프에 부여되는 진동을 약하게 하는 제어를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정량 공급된다. 그러나,이 제어에서는 잘 흘러가는 가루약의 경우에는 공급 개시 직후에 대량의 가루약이 한번에 외주 홈으로 공급되어 버려, 퇴적량의 불균일로 이어진다. 반대로, 잘 흘러가지 않는 가루약의 경우에는 모든 가루약을 원반의 외주 홈으로 공급하기 때문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 문헌1 : 일본 특허 제2809898호 명세서
특허 문헌2 : 일본 특허 출원 공개2004-137051호 공보
본 발명은, 가루약 분배 장치에 있어서, 가루약 공급 장치로부터 원반의 외주 홈 전체 둘레에 대하여 균일하고 또한 단시간에 가루약을 공급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고리 형상의 홈부가 형성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장치와, 상기 회전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중인 상기 회전판의 홈부에 대하여, 가루약을 공급하는 가루약 공급 장치와, 적어도 상기 가루약 공급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가루약 분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펄스 카운터를 포함하는 각도 검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미리 설정된 1개 이상의 설정 각도를 기억하고, 또한 각도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된 상기 회전 각도가 상기 설정 각도에 도달하면 가루약 공급 장치로부터 홈부로의 가루약의 공급량을 증가시키는 제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약 분배 장치를 제공한다.
회전 각도가 미리 정해진 설정 각도에 도달하면 약 공급 장치로부터 홈부로의 가루약의 공급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홈부의 둘레 방향의 어느 위치가 가루약 공급 장치의 트로프로부터의 가루약의 공급 위치에 있을 때에 가루약의 공급 속도가 증가되는지, 즉 가루약의 퇴적량의 증가가 발생하는 홈부의 둘레 방향의 위치(퇴적량 증가 위치)를 미리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홈부가 있는 각도 범위에 있는 가루약을 긁어내기 장치로 긁어내어 가루약 포장부로 공급할 경우, 1회에 긁어내는 홈부의 각도 범위를 조절함으로써 가루약 포장부로 공급하는 가루약의 양을 고정밀도로 균일화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각도가 설정 각도에 도달하면 공급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가루약 공급 장치로부터 원반의 홈부로의 가루약의 공급량을 빠르게 상승시켜 홈부로의 가루약의 공급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설정 각도는 그 누적값이 홈부의 둘레 방향의 서로 상이한 위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정 각도를 이렇게 설정함으로써 퇴적량 증가 위치가 중복되지 않고, 둘레 방향의 복수의 위치로 분산된다. 그 결과, 홈부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가루약의 퇴적량의 분포가 고정밀도로 균일화된다. 따라서, 전술한 긁어내기 장치에 더 정확하게 원하는 양의 가루약을 긁어내어 가루약 포장부로 공급하여 고정밀도의 분할 포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설정 각도는 미리 정해진 360도에서 정확히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각도이다. 대안으로서는, 미리 정해진 일정 각도인 기준 설정 각도에 대하여, 어긋남값을 가산 또는 감산하여 얻어진 것이다. 이 어긋남값은 예를 들어 360도를 자연수로 제산한 몫이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회전 각도가 설정 각도에 도달했을 때의 공급 위치가 중복되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체를 설정 각도에 대하여 보정량을 가산 또는 감산한 각도만큼 회전시킨 후에 가루약 공급 장치로부터 홈부로의 가루약의 공급량을 증가 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제어 장치가 이 제어를 실행함으로써도 퇴적량 증가 위치는 중복되는 일 없이 홈부의 둘레 방향의 복수의 위치로 분산되어 가루약의 퇴적량의 분포가 고정밀도로 균일화된다.
상기 가루약 공급 장치는, 예를 들어 가루약이 투입되는 호퍼와, 호퍼의 하부에 설치된 트로프와, 트로프에 대하여 진동을 인가하여 가루약을 회전판의 홈부로 낙하시키는 진동 발생기를 구비한다. 이 경우, 제어 장치는 회전 각도가 설정 각도에 도달하면 진동 발생 장치가 트로프에 인가하는 진동의 강도를 높인다.
상기 가루약 공급 장치의 호퍼는 트로프와 호퍼가 대향하는 위치의 간극이 증감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가루약 공급 장치는 상기 간극을 증감시키는 간극 조정 장치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 장치는 누적 회전 각도가 설정 각도에 도달하면 상기 간극을 증대시킨다.
상기 각도 검출 장치는 인코더이어도 되고, 펄스 모터로 공급되는 구동 펄스수를 계수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제어 장치에 복수의 설정 각도를 수동 입력하는 입력 장치를 더 구비하고, 제어 장치는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설정 각도를 검사하여 입력된 설정 각도가 중복되면 당해 입력을 금지한다.
본 발명의 가루약 분배 장치에 따르면, 회전체의 누적 회전 각도가 미리 정해진 설정 각도에 도달할 때마다 가루약 공급 장치로부터 홈부로의 공급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고리 형상의 홈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가루약의 퇴적량이 증가하는 위치(퇴적량 증가 위치)를 미리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누적 회전 각도가 설정 속도에 도달하면 공급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가루약 공급 장치로부터 원반의 홈부로의 가루약의 공급량을 빠르게 상승시켜 홈부로의 가루약의 공급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특히, 설정 각도에 도달하는 누적 회전 각도가 복수개 있고, 설정 각도에 도달한 개개의 누적 회전 각도에 있어서의 공급 위치가, 홈부의 둘레 방향의 서로 상이한 위치로 설정되면 퇴적량 증가 위치가 중복되지 않고 홈부의 둘레 방향의 위치로 분산된다. 그 결과, 고리 형상의 홈부의 둘레 방향에서 가루약의 퇴적량의 분포가 고정밀도로 균일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가루약 분할 포장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루약 분할 포장기의 가루약 분배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가루약 분할 포장기의 가루약 분배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가루약 공급 장치를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 5는 가루약 공급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6은 가루약 공급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가루약 분할 포장기의 제어 장치 및 그것에 관련되는 요소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8A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개개의 설정 각도(RAs)에서의 공급 위치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기준 설정 각도(RAsta)는 415도].
도 8B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개개의 설정 각도(RAs)에서의 공급 위치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 기준 설정 각도(RAsta)는 289도].
도 9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누적 회전 각도와 진동 강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도.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누적 회전 각도와 진동 강도의 관계를 나 타내는 선도.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누적 회전 각도와 유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도.
도 12는 진동 인가 개시 직후의 가루약 낙하 검출 센서의 상태를 도시하는 선도.
도 13A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보정값(RAc1부터 RAc8)의 분포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평면도.
도 13B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어긋남값(RAc9부터 RAc16)의 분포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평면도.
도 13C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어긋남값(RAc17부터 RAc32)의 분포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평면도.
도 13D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어긋남값(RAc33부터 RAc63)의 분포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평면도.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누적 회전 각도와 진동 강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도.
<부호의 설명>
1 : 가루약 분배부
2 : 가루약 포장부
3 : 개폐 도어
5 : 장치 본체
6 : 테이블
7A, 7B : 원반
8A, 8B : 가루약 공급 장치
9 : 긁어내기 장치
10 : 외주 홈
11A, 11B : 펄스 모터
14A, 14B : 압전 소자
16 : 조작 패널
20 : 기대
21 : 호퍼
21a : 상단부 개구
21b : 하단부 개구
22 : 트로프
22a : 선단부
23 : 호퍼 지지부
23a : 호퍼 지지 프레임
23b : 지지 아암
23c : 보조 아암
25 : 받침대부
27 : 회전축
29 : 캠 팔로워
31 : 캠
33 : 각도 제어 모터
33a : 회전축
34 : 각도 검출 장치
35 : 자석
36 : 피검출부
37 : 홀 소자
38 : 호퍼 타격 기구
39 : 솔레노이드
39a : 출력축
40 : 호퍼 타격 부재
41 : 트로프 지지 부재
42 : 밸런스 부재
44 : 스프링
45 : 브래킷
46 : 고정 블록
48 : 진동 센서
49 : 밸런서
50 : 가루약 낙하 검출 센서
51A, 51B, 51C, 51D : D/A 컨버터
52A, 52B, 52C : A/D 컨버터
60 : 퍼스널 컴퓨터
61 : 고정 블록
71A, 71B : 구동 회로
72 : 제어 장치
73 : 기억부
74 : 처리부
75 : 입력 장치
76 : 인코더
77 : 감사 시스템
다음에, 도면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가루약 분할 포장 장치(1)는 가루약 분배부(2)와 가루약 포장부(3)를 구비한다. 가루약 분배부(2)는 상부 커버(4)로 개방 가능하게 덮여 있는 장치 본체(5)의 테이블(6) 위에 제1 및 제2 원반(회전체)(7A, 7B), 가루약 공급 장치(8A, 8B) 및 긁어내기 장치(9)를 각각 배치한 구성이다. 도 2에서는 긁어내기 장치(9)를 생략하고 있다. 원반(7A, 7B), 가루약 공급 장치(8A, 8B) 및 후술하는 제어 장치(72)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가루약 분배 장치를 구성한 다.
원반(7A, 7B)은, 각각 펄스 모터(11A, 11B)에 의해 축 구멍(7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구동된다. 개개의 펄스 모터(11A, 11B)에는 구동 회로(71A, 71B)(도 7 참조)로부터 구동 펄스가 공급된다. 원반(7A, 7B)에는 단면 원호 형상의 외주 홈(소위 R 홈)(10)이 형성되어 있다. 원반(7A, 7B)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대응하는 가루약 공급 장치(8A, 8B)로부터 외주 홈(10)으로 가루약이 공급된다. 제1 원반(7A)은 제2 원반(7B)보다도 약간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평면에서 볼 때에 양자의 외주부가 부분적으로 겹쳐 있다. 또한, 테이블(5) 위에는 원반(7A, 7B)의 외주 홈(10)을 청소하기 위한 클리닝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나, 도 2 및 도 3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긁어내기 장치(9)는 각 원반(7A, 7B)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있다. 개개의 긁어내기 장치(9)는 가루약 공급 장치(8A, 8B)에 의해 외주 홈(10)으로 공급된 가루약을 1포분씩 긁어내어 가루약 포장부(2)로 낙하시킨다.
가루약 포장부(3)는 반송 장치, 호퍼 부재 및 시일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 장치는 롤에 감아 돌려진 포장지를 자동적으로 반송한다.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포장지에 대하여 호퍼 부재로부터 가루약이 공급된다. 가루약이 포장지로 공급된 후에 시일 장치가 포장지를 히트 시일한다.
다음에,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며 가루약 공급 장치(8A, 8B)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루약 공급 장치(8A, 8B)는 동일 구조이므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가루약 공급 장치(8A)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루약 공급 장치(8A)는 가루약 분할 포장 장치(1)의 테이블(6)(도 2 및 도 3 참조) 위에 배치되는 기대(20) 위에 가루약이 투입되는 호퍼(21)와 호퍼(21)로부터 가루약이 공급되는 트로프(22)를 구비하고 있다.
호퍼(21)는 호퍼 지지부(23)의 호퍼 지지 프레임(23a)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호퍼 지지부(23)는 호퍼 지지 프레임(23a)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아암(23b)을 구비하고 있다. 이 지지 아암(23b)은 기대(20) 위에 고정된 받침대부(25)에 대하여 수평 방향의 회전축(27)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호퍼(21)는 회전축(27)을 지점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다.
호퍼 지지부(23)의 전방측에는 요동 구동용의 보조 아암(23c)이 설치되어 있다. 이 보조 아암(23c)의 하단부측에는 캠 팔로워(29)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기대(20) 위에는 그 회전축(33a)에 호퍼 각도 조정용의 캠(31)이 고정되어 있는 각도 제어 모터(33)가 고정되어 있다. 캠(31)의 자세 변화에 캠 팔로워(29)가 추종되므로 각도 제어 모터(간극 조정 장치)(33)의 회전축(33a)의 회전 각도 위치에 따라 회전축(27)을 중심으로 호퍼(21)의 각도가 변화된다.
호퍼(21)가 도 4에 있어서 화살표 A1의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호퍼(21)의 하단부 개구부(21b)의 전방에 배치된 규제 부재(28)의 하단부와 트로프(22)의 저부의 간극이 좁아져 트로프(22) 위를 이동하는 가루약의 두께가 감소된다. 반대로, 호퍼(21)가 도 4에 있어서 화살표 A2의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규제 부재(28)의 하단부와 트로프(22)의 저부의 간극이 넓어져 트로프(22) 위를 이동하는 가루약의 두께가 증대된다. 또한, 규제 부재(28)의 하단부와 트로 프(22)의 저부의 간극을 조정함으로써 트로프(22)로부터 원반(7A)의 외주 홈(10)으로의 가루약의 공급량[단위 시간당 트로프(22)로부터 원반(7A)의 외주 홈(10)으로 공급되는 가루약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규제 부재(28)의 하단부와 트로프(22)의 저부의 간극이 넓어지면 트로프(22)로부터 외주 홈(10)으로의 가루약의 공급량이 증가되고, 규제 부재(28)의 하단부와 트로프(22)의 저부의 간극이 좁아지면 트로프(22)로부터 외주 홈(10)으로의 가루약의 공급량은 감소된다.
또한, 가루약 공급 장치(8A)에는 회전축(27)을 중심으로 한 호퍼(21)의 각도를 검출하기 위한 각도 검출 장치(34)가 설치되어 있다. 각도 검출 장치(34)는 피검출부(36)와 홀 소자(37)를 구비하고 있다. 피검출부(36)는 각도 제어 모터(33)의 회전축(33a)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피검출부(36)의 외주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자석(35)이 설치되어 있다. 홀 소자(37)에 의해 자석(35)이 발생하는 자력을 검출함으로써 회전축(33a)의 회전 각도 위치가 검출된다.
또한, 가루약 공급 장치(8A)에는 호퍼(21)에 대하여 간헐적으로 충격을 가하기 위한 호퍼 타격 기구(38)가 설치되어 있다. 이 호퍼 타격 기구(38)는 솔레노이드(39)와 호퍼 타격 부재(40)를 구비하고 있다. 호퍼 타격 부재(40)의 기단부측은 솔레노이드(39)의 출력축(39a)에 고정되어 있다. 솔레노이드(39)가 작동하면 호퍼 타격 부재(40)의 선단부가 호퍼(21)의 측부에 충돌하여 충격을 인가한다.
트로프(22)는 호퍼(21)의 하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그 선단부(22a)는 하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트로프(22)는 트로프 지지 부재(41)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 트로프 지지 부재(41)의 저부에는 밸런스 부 재(42)가 고정되어 있다. 트로프 지지 부재(41)는 압전 소자(14A, 14B)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압전 소자(14A, 14B)의 타단부는 고정 블록(46)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고정 블록(46)은 브래킷(45)에 고정되어 있다. 이 브래킷(45)은 4개의 스프링(44)을 통하여 기대(20)에 연결되어 있다. 압전 소자(14A, 14B)에 전압을 인가하여 두께 방향으로 신축시키면 트로프 지지 부재(41)를 통하여 트로프(22)에 대하여 전후 방향의 진동이 인가된다. 트로프(22)에 대하여 인가되는 진동 강도, 즉 압전 소자(14A, 14B)의 진동 출력을 검출하기 위해 브래킷(45)에 진동 센서(4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45)의 후단부측에는 압전 소자(14A, 14B)의 구동 시에 브래킷(45)의 전후 이동의 균형을 잡기 위한 밸런서(49)가 고정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호퍼(21)의 하단부 개구부(21b)와 트로프(22)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부 개구부(21a)로부터 호퍼(21)에 투입된 가루약은 이 간극으로부터 트로프(22) 위로 공급된다. 트로프(22)로 공급된 가루약은 압전 소자(14A, 14B)로부터 트로프(22)에 인가되는 진동에 의해 트로프(22) 위를 선단부(22a)를 향하여 이동하여 선단부(22a)로부터 원반(7A)의 외주 홈(10)으로 낙하된다. 또한, 가루약 공급 장치(8A)에는 트로프(22)로부터 원반(7A)으로 낙하되는 가루약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해 반사식의 가루약 낙하 검출 센서(50)가 설치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가루약 분할 포장 장치(1)의 제어 장치(72)는 기억부(73)와 처리부(74)를 구비한다. 기억부(73)에는 제어에 필요한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처리부(74)는 기억부(73)에 기억된 정보에 따라 진동 센서(48), 가루약 낙하 검출 센서(50), 각도 검출 장치(34), 구동 회로(71A, 71B)를 포함하는 다양한 센서류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솔레노이드(39), 각도 제어 모터(33), 압전 소자(14A, 14B), 펄스 모터(11A, 11B), 긁어내기 장치(9)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조작 패널(입력 장치)(16)에 의해 제어 장치(72)의 기억부(73)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72)는 처방 데이터의 송수신 등을 위한 퍼스널 컴퓨터(75)와 접속되어 있다.
이하, 제어 장치(72)에 의해 실행되는 가루약 공급 장치(8A)로부터 원반(7A)의 외주 홈(10)으로의 가루약의 공급량의 제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한다.
제어 장치(72)는 펄스 모터(11A)에 의해 구동되는 원반(7A)이 회전을 개시한 후의 현 시점까지의 회전 각도의 누적값(누적 회전 각도)(RAac)을 감시하고 있다. 또한, 제어 장치(72)는 이 누적 회전 각도(RAac)를 사용하여 가루약 공급 장치(8A)로부터 외주 홈(10)으로의 가루약의 공급량을 제어하고 있다. 이 누적 각도(RAac)는 구동 회로(71A)로부터 펄스 모터(11A)로 공급되는 구동 펄스의 펄스수를 계수하면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0만개의 구동 펄스에서 원반(7A)이 30회전할 경우, 1만개의 구동 펄스는 원반(7A)의 1회전[누적 회전 각도(RAac)는 360도], 1만 5000개의 구동 펄스는 원반(7A)의 1회전과 180도[누적 회전 각도(RAac)는 540도], 15만개의 구동 펄스는 15회전[누적 회전 각도(RAac)는 5400도], 15만 5000개의 구동 펄스는 15회전과 180도[누적 회전 각도(RAac)는 5580도]가 된다. 또한, 원반(7A)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인코더(76)(도 7 참조)를 설치하고, 이 인코더(76)에 의해 누적 회전 각도(RAac)를 검출해도 된다. 또한, 구동 펄스의 계수와 인코 더(76)를 병용해도 된다. 원반(7A)의 누적 회전 각도(RAac)를 검출하는 각도 검출 장치의 형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펄스 카운터를 구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 장치(72)는 누적 회전 각도(RAac)가 기억부(73)에 기억되어 있는 미리 설정된 설정 각도(RAs)에 도달할 때마다 압전 소자(14A, 14B)에 대하여 인가하는 전압을 일정량만큼 늘리고, 그것에 의하여 압전 소자(14A, 14B)로부터 트로프(22)에 대하여 인가하는 진동의 강도를 높인다. 진동 강도가 높아지면, 그것에 수반하여 트로프(22)로부터 원반(8A)으로의 가루약의 공급량이 증가된다.
설정 각도(RAs)는 누적 회전 각도(RAac)가 개개의 설정 각도(RAs)에 도달했을 때의 상기 트로프(22)의 선단부 위치, 즉 가루약 공급 장치(8A)로부터 외주 홈(10)으로의 가루약의 공급 위치가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설정 각도(RAs)는 누적 회전 각도(RAac)가 개개의 설정 각도(RAs)에 도달했을 때의 트로프(22)의 선단부 위치가 ±2도 정도 이상 떨어지도록 설정된다. 설정 각도(RAs)를 이렇게 설정함으로써 가루약의 퇴적량의 증가가 발생하는 외주 홈(10)의 둘레 방향의 위치(퇴적량 증가 위치)가 중복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외주 홈(10)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가루약의 퇴적량의 분포가 고정밀도로 균일화된다. 퇴적량의 분포를 고정밀도로 균일화함으로써 긁어내기 장치(9)에 더 정확하게 규정량의 가루약을 긁어내어 가루약 포장부(2)로 공급할 수 있어 고정밀도의 분할 포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누적 회전 각도(RAac)가 설정 각도(RAs)에 도달할 때마다 공급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가루약 공급 장치(8A)로부터 원반(7A)의 외주 홈(10) 으로 가루약을 낙하시키는 분배 공정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퇴적량 증가 위치를 중복시키지 않기[가능한 한 외주 홈(10)의 둘레 방향으로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누적 회전 각도(RAac)가 설정 각도(RAs)에 도달했을 때의 공급 위치를 중복하지 않도록[가능한 한 외주 홈(10)의 둘레 방향으로 분산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한 설정 각도(RAs)의 설정은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정 각도(RAs)를 미리 정해진 360도에서 정확히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각도로 하고 있다. 하기의 표1에 본 실시 형태의 설정 각도(RAs)를 나타낸다.
Figure 112009018462262-PCT00001
표1에 있어서 레벨1로부터 레벨5는 누적 회전 각도(RAac)의 증가에 대한 진동 강도를 상승시키는 시간당 변화 간격이 상이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통상, 원반(7A)의 회전 속도는 1분간 28회전 정도이나, 레벨1은 설정 각도(RAs)의 값이 415도이기 때문에, 415도의 누적 회전 각도(RAac)를 검출할 때마다 진동값을 증가시키나, 레벨5는 설정 각도(RAs)의 값이 289도이기 때문에, 289도의 누적 회전 각도(RAac)를 검출할 때마다 진동값을 증가시킨다. 즉 양자를 비교하면 레벨1은 누적 회전 각도(RAac)의 간격이 길기 때문에 진동을 변화시키는 시간적 간격도 길게 되어 있으며, 레벨5는 누적 회전 각도(RAac)의 간격이 짧기 때문에 시간적 간격도 짧아, 진동을 제어하는 시간 간격도 레벨1보다 짧게 되어 있다. 즉, 레벨5로부터 레벨1의 순으로 누적 회전 각도(RAac)의 증가에 대한 진동 강도의 상승이 빠르게 되어 있다. 레벨1로부터 레벨5의 설정 각도(RAs)인 415도, 393도, 327도, 305도 및 289도는 모두 자연수를 배로 한 경우에 가능한 한 외주 홈(10) 위에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하고 있다. 설정 각도(RAs)는 표1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레벨1로부터 레벨5를, 예를 들어 480도, 420도, 390도, 330도 및 300도로 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기 수학식1의 관계가 성립될 때마다 진동 강도의 상승이 실행된다.
Figure 112009018462262-PCT00002
N:자연수
도 8A에 있어서, P0은 원반(8A)의 회전 개시 시의 공급 위치를 나타내고, P1 로부터 P20은 레벨1[설정 각도(RAs)는 415도]일 때의 N=1부터 N=20까지의 개개의 설정 각도(RAs)에 있어서의 공급 위치의 변화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도 8B에 있어서 P1부터 20은 레벨5[설정 각도(RAs)는 289도]에 있어서의 N=1부터 N=20까지의 개개의 설정 각도(RAs)에 있어서의 공급 위치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9는 레벨1[설정 각도(RAs)는 415도] 및 레벨5[설정 각도(RAs)는 289도]에 대해 누적 회전 각도(RAac)가 N=5인 설정 각도(RAs)에 도달할 때까지의 진동 강도 의 상대값을 나타낸다. 레벨1과 레벨5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일정한 간격으로 일정량씩(부호 δ로 나타낸다) 진동 강도가 증가하고 있다. 누적 회전 각도(RAac)의 상승에 대한 진동 강도의 상승의 비율은, 레벨5가 레벨1보다도 더 크다. 도 10은 보다 광범위한 누적 회전 각도(RAac)에 대하여 레벨1로부터 레벨5의 진동 출력의 증가를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 강도의 초기값은 레벨5부터 레벨1의 순으로 강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 부호α는 진동 강도의 상한값을 나타낸다. 도 11은 레벨1부터 레벨5에 관한 누적 회전 각도의 증가와 가루약 공급 장치(8A)로부터 외주 홈(10)으로 공급된 가루약의 총량(유량)의 관계를 나타낸다.
PC(60)가 감사 시스템(77)으로부터 분포하는 가루약의 중량 데이터를 수신하여 거기에 기초하여 전술한 레벨1부터 레벨5 중 어느 것을 선택할지 결정하고, 제어 장치(72)는 결정된 레벨에 따라 가루약 공급 장치(8A)로 가루약의 공급을 실행시켜도 된다. 이 경우, 하기의 표2에 나타낸 바와 같이 PC(60)는 가루약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 유동 계수(가루약을 반송하기 위하여 부여할 필요가 있는 진동의 지표) 및 중량과 레벨의 관계를 기억하고 있다.
Figure 112009018462262-PCT00003
중량이 무거울수록, 또한 유동 계수가 클수록(잘 흘러가지 않는 가루약일수록), 레벨을 큰 값으로 설정한다. 유동 계수는 값이 커짐에 따라 강한 진동을 부여할 필요가 있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중량1(0g 이상 5g 이하)이고 유동 계수가 「1」인 경우에는 레벨1이 선택되는 것에 비해, 중량5(100g을 상회한다)이고 유동 계수가 「5」인 경우에는 레벨5가 선택된다. 약제의 종류가 불분명한 경우에는 유동 계수는 가장 약한 진동을 나타내는 레벨1을 사용한다. 또한, 복수의 약제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들의 유동 계수 중 가장 약한 것을 사용한다. 또한, 중량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최소량에 대응하는 중량1을 사용한다.
설정 각도(RAs)는 조작 패널(16)에 의해 수동 입력 가능하다. 제어 장치(72)는 조작 패널(16)에 의해 새롭게 입력된 설정 각도(RAs)를 이미 입력되어 있는 설정 각도(RAs)와 비교한다. 제어 장치(72)는 새롭게 입력된 설정 각도(RAs)가 이미 입력되어 있는 설정 각도(RAs)와 중복되어 있으면 당해 새롭게 입력된 설정 각도(RAs)의 기억부(73)로의 입력을 금지한다. 또한, 제어 장치(72)는, 단순히 입력을 금지할 뿐만 아니라 입력 불가인 것이나, 입력 가능한 설정 각도(RAs)의 후보를 조작 패널(16)에 표시해도 된다.
제어 장치(72)는, 이하의 수순으로 가루약 공급 장치(8A)로부터 외주 홈(10)으로의 가루약의 공급 개시의 검출을 행한다.
예를 들어 당의정 등의 정제를 으깬 것을 분포할 경우인데, 껍질이 잘 흘러가고 으깨진 약제는 잘 흘러가지 않는 경우, 껍질만이 가루약 낙하 센서(60)에 의해 검출됨으로써 약제 자체는 전혀 트로프(22)로부터 외주 홈(10)으로 공급되어 있지 않은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가루약 공급 장치(8A)로부터 외주 홈(10)으로의 약제의 공급이 개시되고 있다고 판단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판단의 오류를 회피하기 위해 가루약 낙하 센서(50)가 미리 정해진 충분한 시간(예를 들어 2초) 연속하여 온 상태(트로프로부터의 약제의 낙하를 검출하는 상태)가 계속되는 것을 가루약의 공급이 개시되고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도 12와 같이 가루약 낙하 검출 센서(50)의 상태가 변화된 경우, 부호B로 나타낸 바와 같이 온 상태와 온 상태 사이에 40㎳ 이상의 오프 상태가 있으면 온 상태의 계속 시간의 시간 경과를 리셋한다. 그리고, 시각t와 같이 온 상태가 끊어지는 일 없이 2초 계속된 시점에서 약제의 공급이 개시되고 있다고 판단한다. 단, 가루약의 종류에 따라서는 공급 개시 시에는 가루약이 단속적으로 흐를 경우도 있으므로, 이 처리는 배분 개시부터 60초 동안으로 한정하는 제어이며, 그 이후에는 어느 정도의 시간(예를 들어 40㎳) 연속하여 가루약 낙하 검출 센서(50)가 온 상태로 되면, 약제의 공급이 개시되고 있다고 판단한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는 설정 각도(RAs)의 결정 방법만이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미리 정해진 일정 각도인 기준 설정 각도(RAsta)에 대하여 다양한 값의 어긋남값(RAc)을 가산하여 설정 각도(RAs)로서 사용한다. 이하의 수학식2에 설정 각도(RAs), 기준 설정 각도(RAsta) 및 어긋남값(RAc)의 관계를 나타낸다. 또한, 기준 설정 각도(RAsta)에 어긋남값(RAc)을 감산한 것을 설정 각도(RAs)로서 사용해도 된다.
RAs=RAsta+RAc
이하, 설정 각도(RAs)의 일례를 설명한다. 또한, 진동 강도의 증가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일정량씩(부호 δ)으로 한다.
레벨1부터 레벨5의 기준 설정 각도(RAsta)는, 각각 300도, 330도, 390도, 420도 및 510도이다. 또한, 어긋남값(RAc)은 360도를 64로 제산한 몫(5.625도)의 자연수의 배이다. 하기의 표3 및 표4에, 레벨1부터 레벨5의 No.1부터 63(1회째부터 64회째까지의 진동 강도 상승)에 대하여 어긋남값(RAc), 설정값(RAs) 및 설정값(RAs)의 적산값을 나타낸다.
Figure 112009018462262-PCT00004
Figure 112009018462262-PCT00005
도 13A를 참조하면 No.1부터 No.8까지의 어긋남값(RAc1부터 RAc8)은 360도를 8분할한 8개의 각도 위치(0도, 45도, 90도, 135도, 180도, 225도, 270도, 315도)를 사용한다. 또한, 어긋남값(RAc1)이 360도인 것에 대하여 어긋남값(RAc2)이 180도이며, 어긋남값(RAc3)이 90도인 것에 대하여 어긋남값(RAc2)이 270도이며, 어긋남값(RAc)을 회전 중심(O)에 대하여 대칭한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도 13B를 참조하면 No.9부터 No.16까지의 어긋남값(RAc9부터 RAc16)은 360도를 16분할한 각도 위치 중 어긋남값(RAc1부터 RAc8)으로서 사용한 각도 위치를 제외한 8개의 각도 위치(22.5도, 67.5도, 112.5도, 157.5도, 202.5도, 247.5도, 292.5도 및 337.5도)를 사용한다. 어긋남값(RAc1부터 RAc8)(도 13A)과 마찬가지로, 보정값(RAc9부터 RAc16)도 회전 중심(O)에 대하여 대칭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3C를 참조하면 No.17부터 No.32까지의 어긋남값(RAc17부터 RAc32)은 360도를 32분할한 각도 위치로부터 360도를 8분할 및 16분할한 16개의 각도 위치[어긋남값(RAc1부터 RAc16)으로서 사용한 각도 위치]를 제외한 16개의 각도 위치를 사용한다. 어긋남값(RAc17부터 RAc32)도 회전 중심(O)에 대하여 대칭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3D를 참조하면 No.33부터 No.63까지의 어긋남값(RAc33부터 RAc63)은 360도를 64분할한 각도 위치로부터 360도를 8분할, 16분할 및 32분할한 32개의 각도 위치[어긋남값(RAc1부터 RAc32)으로서 사용한 각도 위치]를 제외한 31개의 각도 위치를 사용한다. 어긋남값(RAc33부터 RAc34)도 회전 중심(O)에 대하여 대칭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어긋남값(RAc33부터 RAc63)을 원반(7A)의 외주 홈(1O)의 둘레 방향의 위치가 중복되지 않도록 분산시켜 배치함으로써 누적 회전 각도(RAac)가 개개의 설정값(RAs)에 도달했을 때의 공급 위치도 중복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가루약의 퇴적량의 증가가 발생하는 외주 홈(10)의 둘레 방향의 위치(퇴적량 증가 위치)가 중복되지 않고, 외주 홈(10)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가루약의 퇴적량의 분포가 고정밀도로 균일화된다. 퇴적량의 분포를 고정밀도로 균일화함으로써 긁어내기 장치(9)에 의해 정확하게 규정량의 가루약을 긁어내어 가루약 포장부(2)로 공급할 수 있어 고정밀도의 분할 포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누적 회전 각도(RAac)가 설정 각도(RAs)에 도달할 때마다 공급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가루약 공급 장치(8A)로부터 원반(7A)의 외주 홈(10)으로 가루약을 낙하시키는 분배 공정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4는 레벨1[기준 설정 각도(RAsta)는 510도] 및 레벨5[기준 설정 각도(RAsta)는 300도]에 대해 누적 회전 각도(RAac)에 대한 진동 강도의 상대값을 나타낸다. 레벨1, 5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누적 회전 각도(RAac)가 설정값(RAs)에 도달할 때마다[누적 회전 각도(RAac)가 설정값(RAs)의 누적 가산값과 동일해질 때마다] 일정량씩(부호 δ로 나타낸다) 진동 강도가 증가하고 있다. 누적 회전 각도(RAac)의 상승에 대한 진동 강도의 상승의 비율은 레벨5가 레벨1보다도 더 크다. 보다 광범위한 누적 회전 각도(RAac)에 대한 진동 출력의 증가 및 누적 회전 각도의 증가와 가루약 공급 장치(8A)로부터 외주 홈(10)으로 공급된 가루약의 총량(유량)의 관계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된다(도 10 및 도 11 참조).
(제3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는, 설정 각도(RAs)의 결정 방법이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하기의 표5 및 표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360도를 64분할한 값 (5.625도)의 자연수의 배인 어긋남값(RAc)을 그대로 설정 각도(RAs)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누적 회전 각도(RAac)가 설정 각도(RAs)에 도달했을 때의 압전 소자(14A, 14B)로부터 트로프(22)에 대하여 인가하는 진동 강도의 증분을 다르게 함으로써 누적 회전 각도(RAac)에 대한 진동 강도의 증가 비율에 대해 5개의 레벨을 설정하고 있다. 즉, 레벨1부터 5의 각각에 대하여 누적 회전 각도(RAac)가 설정 각도(RAs)에 도달할 때마다 압전 소자(14A, 14B)에 대한 인가 전압을 1㎸, 1.5㎸, 2㎸, 2.5㎸, 3㎸씩 증가시킨다.
Figure 112009018462262-PCT00006
Figure 112009018462262-PCT00007
누적 회전 각도(RAac)에 대한 진동 출력의 증가 및 누적 회전 각도의 증가와 가루약 공급 장치(8A)로부터 외주 홈(10)으로 공급된 가루약의 총량(유량)의 관계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된다(도 10 및 도 11 참조).
(제4 실시 형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압전 소자(14A, 14B)에 대하여 인가하는 전압을 바꿈으로써 압전 소자(14A, 14B)로부터 트로프(22)에 대하여 인가하는 진동의 강도를 제어하고, 그것에 의하여 트로프(22)로부터 원반(8A)으로의 가루약의 공급량을 변화시키고 있다. 그러나, 압전 소자(14A, 14B)에 인가하는 전압뿐만 아니라, 호퍼(22)의 각도를 변경하여 호퍼(22)로부터 트로프(22)로 가루약이 공급되는 양을 조정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72)는 누적 회전 각도(RAac)가 설정 각도(Ra)에 도달할 때마다 호퍼(22)의 규제 부재(28)의 하단부와 트로프(22)의 저부의 간극이 넓어지도록 각도 제어 모터(33)에 의해 회전축(27)을 중심으로 하는 호퍼(22)의 각도를 변화시켜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호퍼(21)가 화살표 A1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트로프(22)로부터 원반(8A)으로의 가루약의 공급량이 증가되고, 화살표 A2 방향으로 회전하면 트로프(22)로부터 원반(8A)으로의 가루약의 공급량이 감소된다. 또한, 압전 소자(14A, 14B)에 인가하는 전압과 호퍼(22)의 각도의 양쪽을 조정해도 좋다.
(제5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로부터 제3 실시 형태에서는 가능한 한 외주 홈(10) 위에서 설정 각도(RAs)가 겹치지 않도록 설정 각도(RAs)를 정하고 있다. 그러나, 조작 패널(16)에 의해 설정 각도(RAs)를 임의의 값으로 설정 가능하게 하여 설정 각도(RAs)의 중복이 발생한 경우에만 가루약 공급 장치(8A)로부터 외주 홈(10)으로의 공급량의 증가를 행하는 위치를 어긋나게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72)는 누적 회전 각도(RAac)가 설정 각도(RAs)에 도달했을 때의 공급 위치가, 그 이전에 누적 회전 각도(RAac)가 설정 각도(RAs)에 도달했을 때의 공급 위치와 중복된 경우, 원반(7A)을 설정 각도(RAs)에 대하여 보정량(예를 들어 5도 정도)을 가산 또는 감산한 각도만큼 더 회전시킨 후에, 가루약 공급 장치(8A)로부터 외주 홈(10)으로의 가루약의 공급량을 증가시킨다. 제어 장치(72)가 이상과 같은 제어를 행함으로써도 외주 홈(10)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가루약 퇴적량의 분포를 고정밀도로 균일화하면서 외주 홈(10)으로의 가루약의 공급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Claims (11)

  1. 고리 형상의 홈부가 형성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장치와, 상기 회전 구동 장치에 의해 회전 중인 상기 회전판의 홈부에 대하여, 가루약을 공급하는 가루약 공급 장치와, 적어도 상기 가루약 공급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가루약 분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펄스 카운터를 포함하는 각도 검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미리 설정된 1개 이상의 설정 각도를 기억하고, 또한 각도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된 상기 회전 각도가 상기 설정 각도에 도달하면 가루약 공급 장치로부터 홈부로의 가루약의 공급량을 증가시키는 제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약 분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각도는 그 누적값이 홈부의 둘레 방향의 서로 상이한 위치로 설정되어 있는, 가루약 분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각도는 미리 정해진 360도에서 정확히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약 분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각도는 미리 정해진 일정 각도인 기준 설정 각도에 대하여, 어긋남값을 가산 또는 감산하여 얻어진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 약 분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긋남값은 360도를 자연수로 제산한 몫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약 분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회전 각도가 설정 각도에 도달했을 때의 공급 위치가 중복된 경우에는 상기 회전체를 설정 각도에 대하여 보정량을 가산 또는 감산한 각도만큼 회전시킨 후에 가루약 공급 장치로부터 홈부로의 가루약의 공급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약 분배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루약 공급 장치는 가루약이 투입되는 호퍼와, 호퍼의 하부에 설치한 트로프와, 트로프에 대하여 진동을 인가하여 가루약을 회전판의 홈부에 낙하시키는 진동 발생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회전 각도가 설정 각도에 도달하면 진동 발생 장치가 트로프로 인가하는 진동의 강도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약 분배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루약 공급 장치의 호퍼는 트로프와 호퍼가 대향하는 위치의 간극이 증감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가루약 공급 장치는 상기 간극을 증감시키는 간극 조정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누적 회전 각도가 설정 각도에 도달하면 상기 간극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약 분배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검출 장치는 인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약 분배 장치.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 장치는 펄스 모터이며, 상기 회전 각도 검출 장치는 펄스 모터로 공급되는 구동 펄스수를 계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약 분배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에 복수의 설정 각도를 수동 입력하는 입력 장치를 더 구비하고, 제어 장치는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설정 각도를 검사하여 입력된 설정 각도가 중복되어 있으면, 당해 입력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루약 분배 장치.
KR1020097006288A 2006-09-28 2007-09-25 가루약 분배 장치 KR1013446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65135 2006-09-28
JP2006265135A JP5055920B2 (ja) 2006-09-28 2006-09-28 散薬分配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605A true KR20090055605A (ko) 2009-06-02
KR101344617B1 KR101344617B1 (ko) 2013-12-26

Family

ID=39268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6288A KR101344617B1 (ko) 2006-09-28 2007-09-25 가루약 분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055920B2 (ko)
KR (1) KR101344617B1 (ko)
TW (1) TWI454409B (ko)
WO (1) WO20080415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499B1 (ko) * 2018-08-31 2019-12-05 임현모 가루약 분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3237B2 (ja) * 2009-02-26 2012-03-28 株式会社エルクエスト 分包機
JP5803075B2 (ja) 2010-09-03 2015-11-04 株式会社タカゾノテクノロジー 薬剤供給装置
JP5786210B2 (ja) 2010-09-03 2015-09-30 株式会社タカゾノテクノロジー ホッパー及びこれを備えた薬剤供給装置
CN104061789B (zh) * 2012-06-04 2016-02-24 云南建水锰矿有限责任公司 布料设备的布料方法
CN107539530B (zh) * 2017-08-29 2022-10-18 桂林电子科技大学 半自动单种粒料分装机及其运行方法
CN107444696B (zh) * 2017-08-29 2022-10-14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半自动单种粒料分装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9898B2 (ja) * 1991-07-23 1998-10-15 園部 尚俊 回転式分包機における粉粒体供給方法及び粉粒体供給制御装置
JP3476935B2 (ja) * 1994-12-14 2003-12-10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の容量分割方法と分割装置
JPH09299449A (ja) 1996-05-13 1997-11-25 Yuyama Seisakusho:Kk 散薬分割装置
JP4468498B2 (ja) * 1998-08-18 2010-05-2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散薬分割装置の調整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499B1 (ko) * 2018-08-31 2019-12-05 임현모 가루약 분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55920B2 (ja) 2012-10-24
TW200819205A (en) 2008-05-01
WO2008041538A1 (fr) 2008-04-10
JP2008079956A (ja) 2008-04-10
TWI454409B (zh) 2014-10-01
KR101344617B1 (ko) 201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4617B1 (ko) 가루약 분배 장치
JP6308395B2 (ja) 薬剤フィーダ及び薬剤払出し装置
JP4787338B2 (ja) 薬剤分包機
EP1927828B1 (en) Combinatorial weighing system
KR20170034383A (ko) 약제 카세트
EP2862558B1 (en) Medicine filling device
KR200459198Y1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JP2010195436A (ja) 分包機
KR100623387B1 (ko) 가루약 분배장치
JP2008079956A5 (ko)
JP2007137446A (ja) 散薬カセット及び分包機
KR20200063584A (ko) 가루약 분배기
JP5723936B2 (ja) 薬剤供給装置および薬剤供給方法
US10843823B2 (en) Drug packaging unit and drug transfer method for same
KR200454178Y1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KR101020620B1 (ko) 산약공급장치
CN100462286C (zh) 散药供给装置
JP2012086912A (ja) 紛体供給装置
CN112689599A (zh) 小粒子药剂排出匣
JPH08133203A (ja) 散薬の定量供給方法
KR100650287B1 (ko) 가루약 자동 포장기의 낙하량 조절장치
JP3377631B2 (ja) 散薬の定量供給装置
JP2745144B2 (ja) 定量体積供給の制御方法
JP3787114B2 (ja) 散薬の定量供給装置
JP2021060265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