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0715A - 휠 베어링과 너클을 고정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휠 베어링과 너클을 고정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0715A
KR20090050715A KR1020070117307A KR20070117307A KR20090050715A KR 20090050715 A KR20090050715 A KR 20090050715A KR 1020070117307 A KR1020070117307 A KR 1020070117307A KR 20070117307 A KR20070117307 A KR 20070117307A KR 20090050715 A KR20090050715 A KR 20090050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uckle
fixing device
wheel bearing
flange
knuck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5752B1 (ko
Inventor
이영춘
임종근
김원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to KR1020070117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752B1/ko
Publication of KR20090050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4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5/06Mounting or dismounting of ball or roller bearings; Fixing them onto shaft or in housing
    • F16C35/067Fixing them in a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78Hubs characterised by the fixation of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5/00Axle units; Parts thereof ; Arrangements for lubrication of axles
    • B60B35/12Torque-transmitting axles
    • B60B35/18Arrangement of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3/00Assembling bearings
    • F16C43/04Assembling rolling-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1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18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balls
    • F16C19/181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balls with angular contact
    • F16C19/183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balls with angular contact with two rows at opposite angles
    • F16C19/18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balls with angular contact with two rows at opposite angles in O-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2Wheel hubs or cas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78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 F16C33/7869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mounted with a cylindrical portion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race and having a radial portion extending inward
    • F16C33/7879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mounted with a cylindrical portion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race and having a radial portion extending inward with a further sealing 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 베어링과 너클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정장치는 휠 베어링을 너클에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고정장치로서, 일부에 개방부를 갖는 환형이며 탄성을 갖는 플랜지부와, 플랜지부를 따라 제공되며 플랜지부를 너클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과, 플랜지부를 따라 제공되며 휠 베어링의 외륜을 탄성에 의해 가압하여 일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탄성 가압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고정장치는 적은 힘으로 탈착이 용이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다.
너클, 베어링, 고정장치, 체결링, 지그

Description

휠 베어링과 너클을 고정하는 장치{DEVICE FOR LOCKING A WHEEL BEARING AND A KNUCKLE}
본 발명은 휠 베어링과 너클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적은 힘으로도 장착 및 해체가 용이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휠 베어링을 너클에 견고하게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스냅링과 같은 고정장치는 휠 베어링과 너클 사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특히 필요하다.
도 1a 및 도 1b에는 종래의 체결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장치(10)는 베어링 외륜(16)의 내부면과 맞물리는 고정 요소(13), 환형의 홈(14)의 내부에 배치된 돌기부(11), 및 고정 요소(13)와 돌기부(11)를 서로 연결하고 축방향으로 제공되며, 휠 허브의 환형 홈(14)에 돌기부(11)를 안내하기 위해서 돌기부(11) 자체와 상호작용하는데 적절한 탄성 지지물(12)을 포함한다.
종래의 고정장치가 갖는 문제 중 하나는 예를 들면 파손된 휠 베어링을 교환하기 위해 고정장치를 해체해야 할 때 그 해체가 힘들다는 것이다. 특히, 종래의 고정장치는 구조적으로 해체가 불가능하여 고정장치를 파손할 수 밖에 없거나 아주 큰 힘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고, 또한 해체 과정에서 세심한 주의가 주어지지 않으 면 주위 부품을 손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착되었을 때 휠 베어링을 너클에 유지시키기 위한 충분한 결속력을 발휘하면서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장착 가능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장치를 해체하는 경우에, 장착시에 필요한 정도의 적은 힘으로도 해체할 수 있으며, 고정장치 및 너클 홈의 훼손 없이 해체가능하고 추후에 재사용 또는 재장착이 가능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는 휠 베어링을 너클에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고정장치로서, 일부에 개방부를 갖는 환형이며 탄성을 갖는 플랜지부와, 플랜지부를 따라 제공되며 플랜지부를 너클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과, 플랜지부를 따라 제공되며 휠 베어링의 외륜을 탄성에 의해 가압하여 일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탄성 가압수단을 포함한다.
개방부의 개방 각도는 30°내지 45°가 바람직하다.
유지 수단은 플랜지부로부터 돌출하여 너클에 형성된 홈에 삽입 가능한 L자 형의 복수의 제 2돌기부이다.
탄성 가압수단은 플랜지부로부터 휠 베어링의 외륜을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한 복수의 제1 돌기부이다.
플랜지부를 따라 유지수단과 탄성 가압수단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에는 개방부에 대향하는 대향부를 갖고 유지수단 및 탄성 가압수단은 대향부를 제외한 부분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장착이 가능하며, 장착이 된 이후에는 충분한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는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고정장치를 해체하는 경우에, 너클 홈 및 고정장치의 훼손의 우려가 없고 장착시 필요한 정도의 힘으로도 충분히 해체할 수 있으며 재사용 또는 재장착 가능한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고정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휠 베어링의 외측"은 휠 베어링에서 보다 휠에 인접해 있는 부분을 의미하고 "휠 베어링의 내측"은 그 반대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외측으로 가압한다"는 휠이 있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내측으로 가압한다"는 휠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휠 베어링 조립체(20)는 휠 허브(25), 내륜(30), 외륜(40), 전동체, 씰, 및 리테이너로 구성된다.
도 2 및 도 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100)의 측면도, 정면도 및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한 고정장치(100)의 Ⅲ-Ⅲ' 선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고정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장치(100)는 복수의 제1 돌기(110), 복수의 제2 돌기(120) 및 이들을 지지하는 플랜지부(130)로 구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돌기(110)는 플랜지부(130)의 주면과 소정의 각도(θ)를 가지고 그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1 돌기(110)는 일 예로 플랜지부(130)로부터 천공된 이후에 적절한 각도(θ)만큼 벤딩 가공될 수 있다. 그 각도(θ) 및 길이(l)는 후술되는 릴리프면(60)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 돌기(110)의 형상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돌기(110)는 휠 베어링을 너클(50)에 유지시키기 위해 너클(50)에 대해 외륜(40)을 가압하는 기능을 한다.
제2 돌기(120)는 플랜지부(130)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플랜지부(130)에 평행하게 형성된 걸림부(120a)를 포함하며 대략 L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돌기(120)는 고정장치(100)를 너클(50)에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돌기(120)의 걸림부(120a)의 높이(h1)는 플랜지부(130)의 높이(h2)보다 낮다. 걸림부(120a)의 높이(h1) 및 플랜지부(130)와 걸림부(120a)의 길이(w)는 후술되는 너클(50)에 형성된 홈(80)의 깊이 및 위치 등에 의해 결정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돌기(110) 및 제2 돌기(120)는 각각 교대로 플랜지부(130)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모든 제1 돌기(110)의 형상은 서로 동일하고 모든 제2 돌기(120)의 형상은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돌기(110) 및 제2 돌기(120)는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부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더욱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100)는 일부가 개방된 환형이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플랜지부(130)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변형이 가능하고 이때 제1 및 제2 돌기(110, 120)가 정해진 범위 내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변위될 수 있다. 개방부(140)의 각도(φ)는 고정장치(100)가 제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강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대략 20°내지 50°가 허용된다. 개방부(140)의 각도(φ)가 20°미만인 경우에는 고정장치(100)의 변형이 감소하여 고정장치(100)의 장착 및 해체 작업이 어려워질 수 있다. 개방부(140)의 각도(φ)가 50°초과한 경우에는 고정장치(100)에 형성된 제1 돌기 및 제2 돌기(110, 120)의 수량이 감소하여 휠 베어링과 너클(50) 사이의 체결력이 감소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개방부(140)의 각도(φ)는 30° 내지 45°이다.
도 5를 참조하여 고정장치(100)가 휠 베어링 조립체(20) 및 너클(50) 외측에 장착되어 휠 베어링과 너클(50)을 고정시키고 있는 상태를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휠 베어링의 내륜(30)은 휠 허브(25)에 압입되어 있다. 외륜(40)은 그 외주면 외측에 릴리프면(60)을 구비하고 있다. 릴리프면(60)은 외륜(40)의 외주면 외측의 두께를 일정 비율로 감소시켜서 형성된 함몰부(70)와 외 륜(40)의 나머지 부분의 외주면 사이의 경계면을 형성한다. 릴리프면(60)과 두께가 감소된 외륜(40) 부분인 함몰부(70)를 제외한 외륜(40) 부분의 나머지 외측은 너클(50)과 접촉하고 있다. 본 발명의 고정장치(100)가 장착 완료된 상태에서 제1 돌기(110)는 릴리프면(60)을 가압하여 휠 베어링 외륜(40)을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하게 되고 제2 돌기(120)는 너클(50)의 선단부에 형성된 홈(80)에 삽입된 상태에 있게 된다. 홈(80)은 고정장치(100)의 제2 돌기(120)의 걸림부(120a)가 삽입될 수 있도록, 걸림부(120a)의 형상에 대응하는 폭 및 깊이를 갖는다. 너클(50)의 후단부에는 외륜(40)의 내측 단부에 접촉하며 스토퍼 역할을 하는 돌기부(50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돌기(120)에 의해 너클(50)에 고정된 고정장치(100)는 제1 돌기(110)가 외륜(40)을 내측으로 가압함으로써 휠 베어링과 너클(50)을 고정시키고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고정장치(100)는 지그를 사용하여 제2 돌기(120)의 걸림부(120a)의 단부가 너클(50)의 내경보다 낮은 위치로 내려오게 한 뒤 내측방향으로 전진시켜 너클(50)에 고정된다. 장착이 완료되면 제2 돌기(120)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복원하려는 힘에 의해 고정장치(100)는 너클(50)에 계속 유지될 수 있다.
도 6은 휠 베어링 조립체(20)를 본 발명의 고정장치(100)가 장착된 너클(50)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도 6에서 화살표는 휠 베어링 조립체(20)의 이동방향을 나타냄).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장치(100)가 너클(50) 에 장착된 상태에서 휠 베어링 조립체(20)를 너클(50)의 내측으로 이동시켜 너클(50)에 조립한다. 이 과정에서 제1 돌기(110)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변형되면서 휠 베어링 조립체(20)의 전진을 크게 방해하지 않는다. 휠 베어링의 외륜(40)이 돌기부(50a)에 접촉할 때 제1 돌기(110)는 외륜(40)의 릴리프면(60)에 그 단부가 안착되어 긴밀하게 외륜(40)과 너클(50)을 고정시키게 된다.
도 7에는 너클(50)에 장착된 고정장치(100)를 해체시키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고정장치(100)를 너클(50)로부터 해체하는 과정은 걸림부(120a)를 홈(80)으로부터 빠져나오게 한 후에 외측으로 빼내는 것이다. 걸림부(120a)를 홈(80)으로부터 이탈시키는데 지그(90)가 사용될 수 있다. 지그(90)는 고정장치(100)의 플랜지부(130)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하여 걸림부(120a)가 홈(80)으로부터 이탈되는 위치로 용이하게 변위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다른 목적의 지그에 보조지그(90a)를 삽입하여 적절히 지그(90)의 내경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200)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200)는 장착 및 해체시 고정장치(200)를 반경방향으로 가압할 때 제2 돌기(220)의 반경방향 이동이 가장 적게 일어나는 플랜지부(230)에 있는 제1 돌기(210) 및 제2 돌기(220)를 제거한 형태이다. 반경방향 이동이 가장 적게 일어나는 부분(이하, 대향부(250)이라 함)은 고정장치(200)의 개방부(240)에 대향하는 플랜지부(230)에 위치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부(250)를 제외한 나머지 플랜지부(230)에만 제1 돌 기(210) 및 제2 돌기(220)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2 실시예의 고정장치(200)는 고정장치(200)의 장착 또는 해체시에 제2 돌기(220)의 걸림부(미도시, 도 2의 120a 와 동일)가 홈(80)에 장착되거나, 혹은 홈(80)으로부터 해체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체결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b는 종래의 체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측면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고정장치의 Ⅲ-Ⅲ' 선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고정장치가 휠 베어링과 너클 인접부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휠 베어링 조립체를 본 발명의 고정장치가 장착된 너클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너클에 장착된 본 발명의 고정장치를 지그를 이용하여 너클로부터 해체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고정장치 20 : 휠 베어링 조립체
25 : 휠 허브 30 : 내륜
40 : 외륜 50 : 너클
60 : 릴리프면 70 : 함몰부
80 : 홈 110, 210 : 제1 돌기
120, 220 : 제2 돌기 130, 230 : 플랜지부

Claims (6)

  1. 휠 베어링을 너클에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고정장치로서,
    일부에 개방부를 갖는 환형이며 탄성을 갖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를 따라 제공되며 상기 플랜지부를 상기 너클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과,
    상기 플랜지부를 따라 제공되며 상기 휠 베어링의 외륜을 탄성에 의해 가압하여 일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탄성 가압수단
    을 포함하는 휠 베어링과 너클의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의 개방 각도는 30°내지 45°인
    휠 베어링과 너클의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너클에 형성된 홈에 삽입 가능한 L자 형의 복수의 제 2돌기부인
    휠 베어링과 너클의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가압수단은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상기 휠 베어링의 외륜을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한 복수의 제1 돌기부인
    휠 베어링과 너클의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를 따라 상기 유지수단과 상기 탄성 가압수단이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휠 베어링과 너클의 고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개방부에 대향하는 대향부를 갖고 상기 유지수단 및 탄성 가압수단은 상기 대향부를 제외한 부분에 제공되는
    휠 베어링과 너클의 고정장치.
KR1020070117307A 2007-11-16 2007-11-16 휠 베어링과 너클을 고정하는 장치 KR100925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307A KR100925752B1 (ko) 2007-11-16 2007-11-16 휠 베어링과 너클을 고정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307A KR100925752B1 (ko) 2007-11-16 2007-11-16 휠 베어링과 너클을 고정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715A true KR20090050715A (ko) 2009-05-20
KR100925752B1 KR100925752B1 (ko) 2009-11-11

Family

ID=40859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307A KR100925752B1 (ko) 2007-11-16 2007-11-16 휠 베어링과 너클을 고정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7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047A (ko) * 2018-08-29 2020-03-10 현대위아 주식회사 자동차용 허브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2174A (ja) 2001-07-27 2003-02-13 Koyo Seiko Co Ltd 転がり軸受の取付け構造
KR100589664B1 (ko) * 2004-06-01 2006-06-14 주식회사 만도 베어링캡 조립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047A (ko) * 2018-08-29 2020-03-10 현대위아 주식회사 자동차용 허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752B1 (ko) 200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7785B1 (en) Self-tightening clip
JP4790751B2 (ja) クリップ
JP5472890B2 (ja) ピニオンシャフト及びキャリアを含む遊星ギヤセット
US10436265B2 (en) Rivet-less rotor clip design
BRPI0508667B1 (pt) Elementos intermediários para uma combinação de disco do freio com o cubo do disco do freio e combinação de disco do freio com o cubo do disco do freio
JP5319586B2 (ja) 部品の締結構造及びこれに用いるクリップ
CN107407386B (zh) 用于流体动力止推轴承的轴向保持和防转动结构
JP2006521507A (ja) 軸部材とリング部材との確実な結合構造
US20200141525A1 (en) Clamping collar with foldable retaining finger tabs
JP6823602B2 (ja) メカニカルシール
JP2005291231A (ja) 複列円すいころ軸受装置の組立方法
JP2012251583A (ja) 部品締結構造
KR100925752B1 (ko) 휠 베어링과 너클을 고정하는 장치
KR20070097109A (ko) 지지 부재 내에 형성된 지지 부재 리세스에 고정되는 장치
CN112088263A (zh) 用于在电机的转子轴上固定行星齿轮传动级的太阳齿轮的轴向位置的组件以及这种组件的用途
KR101934011B1 (ko) 자동차용 드라이브 샤프트
JP6537420B2 (ja) 軸受用シール及び引抜治具
WO2012165478A1 (ja) 組み立て連結具
KR100799649B1 (ko)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허브 베어링 조립체
JPS6217429A (ja) クラツチ・ベアリング組立体
JP2004040886A (ja) スピンドルモータ
JPWO2012137718A1 (ja) シール部材及びエンジンのプラグチューブシール構造
JP2007263351A (ja) 転がり軸受の固定構造
JP2005069350A (ja) 円すいころ軸受
JPH01108414A (ja) ベアリング担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