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9664B1 - 베어링캡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베어링캡 조립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89664B1 KR100589664B1 KR1020040039525A KR20040039525A KR100589664B1 KR 100589664 B1 KR100589664 B1 KR 100589664B1 KR 1020040039525 A KR1020040039525 A KR 1020040039525A KR 20040039525 A KR20040039525 A KR 20040039525A KR 100589664 B1 KR100589664 B1 KR 1005896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aring cap
- bearing
- outer ring
- ring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3024 troubleshoo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4—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5/06—Mounting or dismounting of ball or roller bearings; Fixing them onto shaft or in housing
- F16C35/063—Fixing them on the shaf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15—Hubs for driven wh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78—Hubs characterised by the fixation of bear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2—Wheel hubs or ca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Description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전륜과 후륜을 제동하기 위한 유압브레이크와, 유압브레이크 측으로 제동유압을 형성하여 전달하는 마스터실린더 등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으면 제동유압이 형성되며 이것이 유압브레이크로 전달되어 제동력이 발생된다. 그러나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아 제동력 증가/유지 상태로 제어하는 중에 제동압력이 노면상태보다 크거나, 유압브레이크에서의 마찰력이 타이어나 노면에서 발생하는 제동력보다 크면, 타이어가 노면에서 미끄러지는 슬립현상이 발생된다.
베어링외륜(10)에는 환형 요입부(11)를 형성하고, 베어링캡(15)에는 압입부(16)를 형성하여, 압입부(16)를 환형 요입부(11)에 강제로 압입함으로써 베어링외륜(10)에 센서(17)를 갖춘 베어링캡(15)을 장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축과 함께 회전하는 톤휠의 회전속도 감지를 위한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외륜에 결합되는 베어링캡의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캡 단부에 마련된 플랜지와, 상기 베어링외륜의 외면에 형성된 링홈과, 일측이 상기 플랜지를 덮도록 결속하고 타측이 상기 링홈에 걸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베어링캡을 결속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축과 함께 회전하는 톤휠의 회전속도 감지를 위한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외륜에 결합되는 베어링캡의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외륜에 형성된 요입부와, 상기 요입부에 걸리도록 상기 베어링캡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위치의 상기 베어링캡 외면에 결합된 압축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베어링캡(28)은 베어링외륜(20)의 선단에 형성된 환형 요입부(21)에 결합된다. 그리고 베어링외륜(20)에는 요입부(21)로 진입한 베어링캡(28) 선단을 고정하는 스냅링(26)을 장착할 수 있도록 링홈(22)이 형성된다. 베어링외륜(20)의 환형 요입부(21)에 결합되는 베어링캡(28)의 삽입부(29)는 억지 끼움이 되지 않도록 한다.
링홈(22)에 결합되는 스냅링(26)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다수의 돌기들(27)을 구비한다. 또 베어링외륜(20)의 링홈(22) 쪽에는 스냅링(26)의 돌기들(27)이 관통하여 환형 요입부(21) 쪽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돌기들(27)과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들(23)이 형성된다. 그리고 베어링캡(28)의 삽입부(29)에는 스냅링(26)의 돌기들(27)이 결합될 수 있도록 돌기들(27)과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홀들(30)이 형성된다.
이러한 베어링캡(28)을 베어링외륜(20)에 결합시킬 때는 베어링캡(28)의 삽입부(29)를 베어링외륜(20)의 환형 요입부(21)에 진입시킨다. 그리고 베어링외륜(20)의 링홈(22)에 스냅링(26)을 장착한다.
스냅링(26)을 장착하면, 스냅링(26)의 돌기들(27)이 관통공(23)을 통과하여 베어링캡(28) 삽입부에 형성된 홀(30)로 진입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베어링캡(28)은 삽입부(29)가 베어링외륜(20)의 환형 요입부(21)에 진입한 상태에서 홀들(30)이 스냅링(26)의 돌기들(27)에 의해 걸리게 되므로 확실히 결속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이러한 결합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본 발명은 베어링캡(28)을 환형 요입부(21)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하지 않기 때문에 베어링캡(28)을 큰 힘 들이지 않고서도 손쉽게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프레스설비와 같은 가압장치(억지끼움을 위한 가압장치)가 없이도 베어링캡(28)을 손쉽게 장착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 예는 베어링캡(28)의 단부에 플랜지(281)가 마련되고, 베어링외륜(20)에 링홈(220)이 형성된다. 그리고 베어링외륜(20)의 링홈(220)과 플랜지(281)에는 링홈(220)과 플랜지(281)를 결속할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된 탄성부재(40)가 설치된다.
탄성부재(4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곡면(41)을 구비한다. 따라서 베어링캡(28)을 베어링외륜(20)에 결합한 후 그 외측에 탄성부재(40)를 장착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40)의 일측이 링홈(220)에 진입하여 걸리고 탄성부재(40)의 타측이 플랜지(281)의 외면을 덮는 형태로 플랜지(281)를 결속하므로 베어링캡(28)이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외륜(20)의 삽입부 외면과 베어링캡(28) 내면 사이에는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실(282)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내측곡면(41)을 구비하는 탄성부재(40)의 탄성에 의해 베어링캡(28)의 플랜지(281)가 결속됨으로써 베어링캡(28)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고장수리가 필요할 때 탄성부재(40) 만을 분리하는 것으로 베어링캡(28)을 손쉽게 분해할 수 있도록 하여 A/S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실시 예는 베어링외륜(20)에 결합되는 베어링캡(28)의 단부 쪽에 반구형 돌출부(283)가 마련되고, 베어링외륜(20)에는 반구형 돌출부(283)가 결합되는 요입부(230)가 형성된다. 그리고 반구형 돌출부(283)가 형성된 위치의 베어링캡(28)의 외면에는 베어링캡(28)을 조여줄 수 있도록 압축링(50)이 설치된다. 또 베어링외륜(20)의 외면과 베어링캡(28) 내면 사이에는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실(282)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베어링외륜(20)에 베어링캡(28)을 결합시킨 후 압축링(50)을 장착하여 베어링캡(28)을 조여줌으로써 베어링캡(28)이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고장수리를 위해 베어링캡(28)을 분리하고자 할 때는 압축링(50)을 분해함으로써 베어링캡(28)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냅링, 탄성부재, 압축링과 같은 결속수단의 분해만으로 베어링캡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센서의 고장수리나 센서가 구비된 베어링캡의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고장수리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 차량의 축과 함께 회전하는 톤휠의 회전속도 감지를 위한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외륜에 결합되는 베어링캡의 조립구조에 있어서,상기 베어링캡의 결합을 위해 상기 베어링외륜의 단부에 형성된 환형요입부와, 상기 베어링캡의 고정을 위해 상기 베어링외륜에 장착되는 스냅링과, 상기 스냅링의 결합을 위해 상기 베어링외륜에 형성된 링홈과, 상기 링홈으로부터 상기 요입부 쪽으로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베어링캡에 결합되도록 상기 스냅링 내주부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돌기가 결합되도록 상기 요입부로 진입되는 상기 베어링캡의 삽입부에 형성된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캡 조립구조.
- 삭제
- 차량의 축과 함께 회전하는 톤휠의 회전속도 감지를 위한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외륜에 결합되는 베어링캡의 조립구조에 있어서,상기 베어링캡 단부에 마련된 플랜지와, 상기 베어링외륜의 외면에 형성된 링홈과, 일측이 상기 플랜지를 덮도록 결속하고 타측이 상기 링홈에 걸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베어링캡을 결속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캡 조립구조.
- 차량의 축과 함께 회전하는 톤휠의 회전속도 감지를 위한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외륜에 결합되는 베어링캡의 조립구조에 있어서,상기 베어링외륜에 형성된 요입부와, 상기 요입부에 걸리도록 상기 베어링캡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위치의 상기 베어링캡 외면에 결합된 압축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어링캡 조립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39525A KR100589664B1 (ko) | 2004-06-01 | 2004-06-01 | 베어링캡 조립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39525A KR100589664B1 (ko) | 2004-06-01 | 2004-06-01 | 베어링캡 조립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14788A KR20050114788A (ko) | 2005-12-07 |
KR100589664B1 true KR100589664B1 (ko) | 2006-06-14 |
Family
ID=37288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39525A KR100589664B1 (ko) | 2004-06-01 | 2004-06-01 | 베어링캡 조립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8966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5752B1 (ko) * | 2007-11-16 | 2009-11-11 |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 휠 베어링과 너클을 고정하는 장치 |
KR101734232B1 (ko) | 2016-07-08 | 2017-05-24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센서캡 교환용 툴장치 |
KR102563476B1 (ko) | 2018-03-21 | 2023-08-0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 |
KR102403957B1 (ko) * | 2020-08-10 | 2022-06-02 | (주)카츠코리아 | 보트 트레일러용 밀폐형 허브구조 |
-
2004
- 2004-06-01 KR KR1020040039525A patent/KR100589664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14788A (ko) | 2005-1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89664B1 (ko) | 베어링캡 조립구조 | |
EP3366533A1 (en) | Sensing member, sensing unit, wheel speed transducing device and vehicle | |
CA2195063C (en) | Brake bracket assembly | |
EP1158195A3 (en) | Disc brake actuator with caliper and heat protection of the boot | |
ATE303287T1 (de) | Vorrichtung zum montieren einer bremstrommel an einen fahrradrahmen | |
US20100276234A1 (en) | Pump element, hydraulic block with pump element, and installation method | |
JP4066715B2 (ja) |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ビーム | |
KR200278667Y1 (ko) |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방진부재 | |
JP2000028022A (ja) | 油圧機器のエア抜き部構造 | |
JPH0645067Y2 (ja) |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 | |
JP3019719U (ja) | 自動車用ホイ−ル | |
JP2998360B2 (ja) | ブレーキキャリパ突き合わせ部の液封構造 | |
KR100406502B1 (ko) | 차량용 휠 착탈장치 | |
CA2037336C (en) | Brake assembly backing means | |
US5727660A (en) | Indented rotor and wheel assembly | |
KR100289306B1 (ko) | 차량의전륜휠스피드센서용로터 | |
JPH0610236Y2 (ja) | 密閉型車両用ドラムブレーキのブリーザパイプ接続構造 | |
JPH0610234Y2 (ja) | 2リーディングシュー式ドラムブレーキ | |
JPH11230211A (ja) | ディスクブレーキ用シール装置 | |
KR100726228B1 (ko) | 클러치 디스크 오조립 방지용 지그 개선 구조 | |
KR0140388Y1 (ko) | 차량용 드럼브레이크 | |
JP2000027893A (ja) | 油圧式クラッチ遮断装置 | |
JPH0511382Y2 (ko) | ||
KR200285914Y1 (ko) |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지지장치 | |
KR200349477Y1 (ko) | 농업용 트랙터의 최종구동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6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6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4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3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4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1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3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