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476B1 -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 - Google Patents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476B1
KR102563476B1 KR1020180032711A KR20180032711A KR102563476B1 KR 102563476 B1 KR102563476 B1 KR 102563476B1 KR 1020180032711 A KR1020180032711 A KR 1020180032711A KR 20180032711 A KR20180032711 A KR 20180032711A KR 102563476 B1 KR102563476 B1 KR 102563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cap
housing
wheel senso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0804A (ko
Inventor
김영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2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476B1/ko
Publication of KR20190110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4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00Details of instruments
    • G01P1/02Housings
    • G01P1/026Housings for speed measuring devices, e.g. pulse genera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4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은 캡 하우징; 상기 캡 하우징에 장착되는 홀소자 바디; 상기 캡 하우징에 결합되는 인서트 바디 및 상기 홀소자 바디와 인서트 바디를 캡 하우징에 고정하는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휠 센서의 교체시 센서만을 교체 가능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휠 센서 캡의 장착시에 주변의 간극이 부족한 경우에도 위치를 조정하여 설치가 가능하므로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 {INSERT LAYOUT VARIABLE WHEEL SENSOR CAP}
본 발명은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 교체가 가능하고 조립시에 주변부에 대한 간극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의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감속하거나 정지하기 위해서는 제동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제동장치는 브레이크 디스크와 패드 사이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차륜을 제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 중에 제동하게 되면 브레이크 디스크에 패드가 완전히 밀착하게 되어 차륜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Lock, 이하 "로킹 상태"라 한다.)가 된다. 이 때, 차량은 핸들의 조작과는 무관하게 가속도가 발생하는 방향으로 미끄러지게 되고, 다른 차량 또는 도로상의 공작물 등을 충격하여 교통사고를 유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차량의 주행 도중에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할 시, 일시적으로 위 차륜의 로킹 상태를 해제하여 원활하게 제동되도록 하는 ABS(Anti-lock Brake System) 시스템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ABS 시스템은 차량이 제동될 경우 차량의 속도 센서에서 검출된 차속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전자제어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ECU)에서 차량이 로킹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이 로킹 상태에 있을 경우 차륜에 대한 제동상태를 해제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위 ABS 시스템에 의하여, 차량이 로킹 상태에서 제동될 때,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높은 주행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자동차의 ABS는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작동시킬 때 자동차가 전복되거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동차가 주행중에 차륜이 브레이크에 의해 완전히 잠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ABS는 4개의 차륜이 동일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감속되도록 제어하기 위해, 차륜의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휠스피드 센서가 필요하다. 휠스피드 센서는 차륜의 회전축에 결합된 톤휠(tonewheel)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톤휠은 차륜과 함께 회전하며, 휠스피드 센서는 톤휠이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유도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차륜의 회전수로 환산하여 차륜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ABS는 이와 같이 감지된 차륜의 속도정보를 이용하여 각 차륜의 감속을 제어한다.
휠 센서 어셈블리는 회전륜에 장착되는 엔코더(Encoder)와 정지륜에 장착되는 센서(Senso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 엔코더는 그 둘레를 따라 N극성과 S극성을 가지는 영구자석이 교대로 배치되는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엔코더가 회전륜과 함께 회전하게 되면, 센서에서는 단위 시간당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차륜의 회전 속도 또는 회전 방향을 검출하게 된다.
한편, 차량의 주행을 위해 엔진의 동력을 휠에 전달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에는 구름 베어링이 주로 이용된다. 휠 베어링은 엔진의 동력이 차량의 휠을 통하여 지면에 전달되는 동안 동력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휠 샤프트와 휠 사이에 설치된다.
휠 베어링 조립체는 엔진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륜 휠 베어링 조립체와 구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종동륜 휠 베어링 조립체로 구성되며, 구동륜 휠 베어링에는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는 드라이브 샤프트가 연결된다. 즉, 휠 베어링은 회전하지 않는 요소인 차체에 회전하는 요소인 휠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도 1은 종래의 휠 센서 캡 조립구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이 이동하면 베어링이 회전하게 되고, 베어링의 회전은 축(12)과 함께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그 축(12)에는 요철부(14)가 구비된 톤휠(13)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베어링캡(15)에 구비된 센서(17)가 요철부(14)를 감지하여 차속을 감지하고 슬립현상을 감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휠 베어링은 베어링외륜(10)에 환형 요입부(11)를 형성하고, 베어링캡(15)에는 압입링(16)을 형성하여 압입링(16)을 환형 요입부(11)에 강제로 압입함으로써 베어링외륜(10)과 센서(17)가 구비된 베어링캡(15)의 조립을 완료하였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종래의 베어링캡(15)은 베어링캡(15)에 구비된 센서(17) 앞을 축(12)과 함께 회전하는 톤휠(13)의 요철부(14)가 지날 때마다 그 요철부(14)가 지나가는 신호를 커넥터핀(18)을 통해 전달하여 차속을 감지하고 슬립현상을 감지하였으나, 이러한 베어링외륜(10)과 베어링캡(15)의 조립은 고정 조립시에 강제 압입하기 위하여 정밀한 지그를 사용해야 하고, 많은 힘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휠 센서는 IC칩 손상이 고장의 주요 원인이고, 이를 교체하려면 휠 센서 캡 전체를 교체해야 하며, 휠 센서 캡 교체를 하는 과정에서 특수 장비가 필요하여 고가의 장비를 구비해야 하는 비용 문제가 발생한다.
더욱이, 설계시에 휠 센서 캡의 인서트 단자의 레이아웃은 결합되는 커넥터와 주변부(캐리어, 트레일링 암)의 간극 부족에 영향을 준다. 이러한 간극 부족은 커넥터를 휠 센서 캡과 조립이 불가능하게 만든다. 휠 센서 캡의 인서트 레이아웃은 가변성이 없고, 주변부의 설계 변경이 발생하면 이에 따라 휠 센서 캡 형상도 변경되어야 하므로 그에 따른 재설계도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출원 제 10-2005-0114788 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휠 센서의 고장시 고가의 장비를 구비함이 없이 IC칩만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설계 및 장착시에 커넥터와 주변부의 간극 부족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재설계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캡 하우징; 상기 캡 하우징에 장착되는 홀소자 바디; 상기 캡 하우징에 결합되는 인서트 바디 및 상기 홀소자 바디와 인서트 바디를 캡 하우징에 고정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하우징은 상단에 홀소자 바디가 결합되는 만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 하우징은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단에 인서트 바디가 결합되는 복수 개의 고정 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 하우징은 커넥터와 결합되는 커넥터 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가이드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가이드는 캡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는 홈들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홀소자 바디는 홀소자 및 상기 홀소자가 장착되어 있는 홀소자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소자는 신호 발생부; 자기장을 검출하는 자기장 검출부 및 상기 신호 발생부와 자기장 검출부를 연결하는 홀소자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 바디는 인서트 단자 및 상기 인서트 단자가 장착되는 인서트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 바디는 하부에 커넥터가 삽입되는 홈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 하우징은 하단에 캡 하우징에 고정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 바디는 캡 하우징에 수평으로 회전하여 장착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커넥터 단자 및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단자는 커넥터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측에 커넥터 하우징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하부가 집게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캡 하우징의 커넥터 가이드에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은 휠 센서의 교체시 센서만을 교체하여 휠 센서 캡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휠 센서 캡의 장착시에 주변의 간극이 부족한 경우에도 재설계할 필요가 없이 위치만 조정하여 설치가 가능하므로 비용 및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휠 센서 캡 조립구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의 결합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의 캡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의 홀소자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의 인서트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의 결합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의 가변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기서의 "연결"이란 일 부재와 타 부재의 직접적인 연결, 간접적인 연결을 포함하며, 접착, 부착, 체결, 접합, 결합 등 모든 물리적인 연결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의 결합 모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1000)은 베어링 결합부에 압입 장착되는 구조로서, 휠 센서 캡의 홀소자는 베어링 톤 휠과 상호 작용하여 검출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검출신호는 휠 센서 캡(1000)의 인서트 단자를 거쳐, 인서트 단자에 결합된 휠 센서 커넥터를 통해 제어부로 전달되며, 휠 센서 캡(1000)의 구성 및 구조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의 분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1000)은 캡 하우징(1100), 상기 캡 하우징(1100)에 장착되는 홀소자 바디(1200), 상기 캡 하우징(1100)에 결합되는 인서트 바디(1300) 및 상기 홀소자 바디(1200)와 인서트 바디(1300)를 캡 하우징(1100)에 고정하는 커넥터(1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인서트 바디(1300)는 인서트 단자(1310) 및 상기 인서트 단자(1310)가 장착되는 인서트 하우징(13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홀소자 바디(1200)는 홀소자(1210) 및 상기 홀소자(1210)가 장착되어 있는 홀소자 하우징(12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1400)는 커넥터 단자(1410) 및 커넥터 하우징(14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의 캡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5를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캡 하우징(1100)은 베어링을 외부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하는 쉘형 캡 구조로서, 캡 하우징(1100)의 캡 하우징 하단부(1101)의 바깥지름이 베어링 결합부 안지름보다 작아 압입 고정되고, 캡 외측 돌출부(1102)는 휠 센서 캡(1000)의 압입 깊이를 제한한다.
상기 캡 하우징(1100)의 상단 외주부의 일측에는 홀소자 바디(1200)가 결합되는 만입홈(110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캡 하우징(1100)은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상단에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인서트 바디(1300)가 결합되는 고정 홈들(1104)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고정 홈들(1104)은 복수개가 캡 하우징(1100)의 만입홈(1103)에서 중앙부측으로 일렬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캡 하우징(1100)은 커넥터(1400)와 결합되는 커넥터 가이드(1105)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커넥터 가이드(1105)는 캡 하우징(1100)에 형성되어 있는 홈들, 즉 만입홈(1103)과 고정 홈들(1104)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이격되어 있으며, 커넥터 가이드(1105)에는 커넥터(1400)가 결합되는 가이드 홈(1106)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의 홀소자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6을 도 5와 함께 참조하면, 홀소자 바디(1200)는 홀소자(1210) 및 상기 홀소자(1210)가 장착되어 있는 홀소자 하우징(12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홀소자(1210)는 신호 발생부(1211), 자기장을 검출하는 자기장 검출부(1212) 및 상기 신호 발생부(1211)와 자기장 검출부(1212)를 연결하는 홀소자 단자(121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홀소자 단자(1213)는 홀소자 단부들(1213a, 1213b)이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홀소자 바디(1200)는 홀소자(1210)와 홀소자 하우징(1220)이 인서트 성형되어 캡 하우징(1100)의 만입홈(1103)에 장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의 인서트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인서트 바디(1300)는 인서트 단자(1310) 및 상기 인서트 단자(1310)가 장착되는 인서트 하우징(13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인서트 단자(1310)는 상기 인서트 단자(1310) 하부에 결합홈(1313)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홈(1313)의 하부에는 결합홈 접속부(131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 팁(1312)이 뾰족한 침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인서트 하우징(1320)은 이러한 상기 인서트 단자(1310)에 대응하는 굽은형 형상으로 상기 인서트 단자(1310)가 삽입되는 홀(132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서트 하우징(1320)에는 상기 인서트 단자(1310)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13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서트 하우징(1320)은 내측에 인서트 단자(1310)를 안내하는 가이드 돌출부(132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인서트 하우징(1320)은 측면에 결합부(1325)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결합부(1325)는 쐐기형 구조이다.
한편, 상기 인서트 하우징(1320)의 하단 좌우에는 체결홈(1322)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인서트 하우징(1320)은 하단에 캡 하우징(1100)에 고정되는 V자 치형(1326)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V자 치형(1326)은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고, 도면에서는 3개의 V자 치형들(1326)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인서트 바디(1300)는 V자 치형들(1326)을 V자형 캡 하우징(도 5: 1100)의 고정 홈들(도 5: 1104)에 결합하되, 캡 하우징(도 5: 1100)에 대해 수평으로 회전하여 장착 가능한 구조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400)는 커넥터 단자(1410) 및 커넥터 하우징(14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 단자(1410)는 세장형 형상이며, 커넥터 하우징(14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420)은 상측에 커넥터 하우징 돌출부(14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1420)은, 예를 들어 하부가 집게형 형상의 날개부(1401)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커넥터 하우징(1420)은 캡 하우징(도 5: 1100)의 커넥터 가이드(도 5: 1105)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구조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의 결합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의 가변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도 2 내지 도 8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의 작동 관계를 기술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1000)은 캡 하우징(1100), 상기 캡 하우징(1100)에 장착되는 홀소자 바디(1200), 상기 캡 하우징(1100)에 결합되는 인서트 바디(1300) 및 상기 홀소자 바디(1200)와 인서트 바디(1300)를 캡 하우징(1100)에 고정하는 커넥터(14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홀소자 바디(1200)를 상기 캡 하우징(1100)의 직사각형 형상의 만입홈(1103)에 결합한다.
이어서, 상기 캡 하우징(1100)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 홈들(1104)에 인서트 바디(1300)를 결합하되, 상기 고정 홈들(1104)은 복수개가 캡 하우징(1100)의 만입홈(1103)에서 중앙부측으로 일렬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서트 단자(1310)의 하부에는 체결홈(1322)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 팁(1312)이 뾰족한 침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되, 인서트 바디(1300)를 복수개의 상기 고정 홈들(1104) 중에서 주변부와의 간극을 고려하여 결합한다.
이때, 상기 인서트 바디(1300)는 인서트 단자(1310) 및 상기 인서트 단자(1310)가 장착되는 인서트 하우징(13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되, 상기 인서트 단자(1310)는 굽은형 형상으로 상기 인서트 단자(1310) 하부에 결합홈(1313)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 팁(1312)이 뾰족한 침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인서트 단자(1310)의 결합홈(1313)이 상기 인서트 하우징(1320)의 체결홈(1322)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인서트 단자(1310)는 상기 인서트 하우징(1320)의 홀(1327)에 삽입되되, 상기 인서트 하우징(1320)에는 상기 인서트 단자(1310)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1323)과, 상기 인서트 하우징(1320)의 내측에 인서트 단자(1310)를 안내하는 가이드 돌출부(1324)에 의해 인서트 하우징(1320)에 결합 고정된다.
한편, 상기 인서트 바디(1300)는 주변부와의 간극을 고려하여 캡 하우징(1100)에 결합하되, 주변부의 간극이 부족한 경우에는 상기 인서트 바디(1300)를 수평으로 회전시켜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인서트 바디(1300)를 캡 하우징(1100)에 결합하고 커넥터(1400)를 결합하되, 캡 하우징(1100)에는 커넥터 가이드(1105)가 구비되어 있어 커넥터 가이드(1105)에 슬라이드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 가이드(1105)에는 가이드 홈(1106)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홈(1106)은 커넥터 하우징(1420)의 날개부(140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고정 결합된다.
이때, 상기 인서트 바디(1300)의 체결홈(1322)과 V자 치형(1326)의 공간에 커넥터(1400)의 날개부(1401)가 삽입되어 인서트 바디(1300)가 고정된다.
이 경우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1420)의 하부에는 커넥터 단자(1410)가 구비되어 있어 커넥터 단자(1410)와 결합홈(1313)의 하부의 결합홈 접속부(1313a)가 상호 접속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은 휠 센서의 교체시 휠 센서 캡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휠 센서 캡의 장착시에 주변의 간극이 부족한 경우에도 재설계할 필요가 없이 위치를 조정하여 설치가 가능하므로 비용 및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 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 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 예가 가능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가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0: 휠 센서 캡 1100: 캡 하우징
1101: 캡 하우징 하단부 1102: 캡 외측 돌출부
1103: 만입홈 1104: 고정 홈들
1105: 커넥터 가이드 1106: 가이드홈
1200: 홀소자 바디 1210: 홀소자
1211: 신호 발생부 1212: 자기장 검출부
1213: 홀소자 단자 1213a, 1213b: 홀소자 단부들
1220: 홀소자 하우징 1300: 인서트 바디
1310: 인서트 단자 1312: 상단 팁
1313: 결합홈 1313a: 결합홈 접속부
1320: 인서트 하우징 1322: 체결홈
1323: 가이드 홈 1324: 가이드 돌출부
1325: 결합부 1326: V자 치형들
1327: 홀 1400: 커넥터
1401: 날개부 1410: 커넥터 단자
1420: 커넥터 하우징 1421: 커넥터 하우징 돌출부

Claims (17)

  1. 캡 하우징;
    상기 캡 하우징에 장착되는 홀소자 바디;
    상기 캡 하우징에 결합되는 인서트 바디;
    상기 홀소자 바디와 인서트 바디를 캡 하우징에 고정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는,
    커넥터 단자; 및
    커넥터 하우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하우징은 상단에 홀소자 바디가 결합되는 만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하우징은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단에 인서트 바디가 결합되는 복수 개의 고정 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하우징은 커넥터와 결합되는 커넥터 가이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가이드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가이드는 캡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는 홈들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소자 바디는,
    홀소자; 및
    상기 홀소자가 장착되어 있는 홀소자 하우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홀소자는,
    신호 발생부;
    자기장을 검출하는 자기장 검출부; 및
    상기 신호 발생부와 자기장 검출부를 연결하는 홀소자 단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바디는,
    인서트 단자; 및
    상기 인서트 단자가 장착되는 인서트 하우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바디는 하부에 커넥터가 삽입되는 홈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하우징은 하단에 캡 하우징에 고정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바디는 캡 하우징에 수평으로 회전하여 장착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단자는 커넥터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측에 커넥터 하우징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하부가 집게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캡 하우징의 커넥터 가이드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
KR1020180032711A 2018-03-21 2018-03-21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 KR102563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711A KR102563476B1 (ko) 2018-03-21 2018-03-21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711A KR102563476B1 (ko) 2018-03-21 2018-03-21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804A KR20190110804A (ko) 2019-10-01
KR102563476B1 true KR102563476B1 (ko) 2023-08-04

Family

ID=68207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711A KR102563476B1 (ko) 2018-03-21 2018-03-21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4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7985A1 (en) * 2005-06-13 2006-12-14 Faetanini Steven E Blind hole plug-in wheel speed sensor
KR100979884B1 (ko) 2008-10-27 2010-09-02 한국하니웰 주식회사 속도 감지 장치
JP4907459B2 (ja) 2007-08-01 2012-03-28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車両用軸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8725A (en) * 1970-01-16 1971-12-21 Mattel Inc Compact toy lap counter
JPS638145A (ja) * 1986-06-27 1988-01-13 Hitachi Ltd ハンドラ
KR100307678B1 (ko) * 1999-06-30 2001-11-01 정주호 센서 하우징과 센서 바디의 결합장치
KR100589664B1 (ko) 2004-06-01 2006-06-14 주식회사 만도 베어링캡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7985A1 (en) * 2005-06-13 2006-12-14 Faetanini Steven E Blind hole plug-in wheel speed sensor
JP4907459B2 (ja) 2007-08-01 2012-03-28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車両用軸受装置
KR100979884B1 (ko) 2008-10-27 2010-09-02 한국하니웰 주식회사 속도 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804A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8939A (en) Apparatus for sensing the direction and speed of a steering wheel shaft using hall effect sensors in a detachable sensor mounting
CN107269686A (zh) 配置成用于安装在悬架的转向节上的轮毂轴承单元
US10700559B2 (en) Stator core, a stator and a motor
KR960011394B1 (ko) 회전 부재의 회전을 감지하는 장치
JP2003336653A (ja) センサ付きハブユニット
KR102563476B1 (ko) 인서트 레이아웃 가변형 휠 센서 캡
CN102691720A (zh) 车辆用轴承装置
JPH0237065A (ja) 自動車の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装置用の転がり軸受ユニット
JP4029736B2 (ja) センサ付き転がり軸受ユニットおよびセンサ付きハブユニット
US5998987A (en) Structure for mounting a wheel revolution detecting device
CN103129372A (zh) 轮辋驱动系统
US10060770B2 (en) Rotational speed sensor which is installed in a mechanically overdetermined manner with an elastic injection-moulded encapsulation
GB2385044A (en) Reach type fork lift truck with rotation sensor
US20100135605A1 (en) Sensor device and sensor-integrated rolling bearing device
JP4135399B2 (ja) センサ付きハブユニット
KR100841644B1 (ko) 더스트 쉴드 기능을 구비하는 abs 브레이크용 센서링
CN210199133U (zh) 汽车用冗余轮速检测系统
KR101857191B1 (ko) 휠 베어링용 센서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JP5458497B2 (ja) 転がり軸受ユニットの状態量測定装置
JP4032890B2 (ja) 車両用転がり軸受装置
JP2003307229A (ja) パルス生成環内蔵軸受およびハブユニット軸受
JP4492436B2 (ja) 磁気エンコーダ及びこれを用いた転がり軸受装置
JP4182763B2 (ja) センサ付きハブユニット
JP2006177479A (ja) センサ付きハブユニット
JP2005076696A (ja) 転がり軸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