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914Y1 -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914Y1
KR200285914Y1 KR2019980009200U KR19980009200U KR200285914Y1 KR 200285914 Y1 KR200285914 Y1 KR 200285914Y1 KR 2019980009200 U KR2019980009200 U KR 2019980009200U KR 19980009200 U KR19980009200 U KR 19980009200U KR 200285914 Y1 KR200285914 Y1 KR 2002859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ator
vibration
dustproof member
brake system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9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2087U (ko
Inventor
세 진 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2019980009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914Y1/ko
Publication of KR199900420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20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9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914Y1/ko

Links

Landscapes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차체의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부재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지지장치는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의 체결구멍과 마운팅볼트의 외주면 사이에 끼워지는 방진부재의 내주면에 금속재질로 마련된 부시를 설치하고, 이 부시는 그 양측 단부가 방진부재에 의해 감싸여 지지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차체에 진동이 발생될 때 부시와 마운팅볼트의 외주면 사이에 마찰이 일어나게 되므로, 진동에 의한 방진부재의 마모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지지장치
본 고안은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를 차체에 안정되게 결합시키기 위한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제동을 위한 브레이크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장착되는데, 최근에는 보다 강력하고 안정된 제동력을 얻기 위한 여러 종류의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이중에서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이 가장 진보적인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은 전륜과 후륜에 각각 유압에 의해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드럼 또는 캘리퍼식의 유압 브레이크가 설치되며, 제동유압을 형성하여 브레이크로 전달하는 배력장치와 마스터실린더 등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배력장치는 엔진의 흡입유로에 발생되는 부압과 대기와의 압력차이를 이용하여 작은 힘으로 큰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운전석에 마련된 브레이크패달과 연계되어 이에 의해 작동된다. 마스터실린더는 배력장치로부터 증폭된 힘을 전달받아 제동유압을 형성하는 것으로, 각 브레이크와는 유압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 브레이크의 입구측과 출구측에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되어 있어서 각 브레이크로 전달되는 유압을 제어한다. 이것은 입구측에 배치되는 노말오픈형 솔레노이드밸브와 출구측에 배치되는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로 구별되며, 전기제어장치(E.C.U)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강력하고 안정된 제동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 때, 전기제어장치는 전륜과 후륜에 마련된 휠센서를 통해 차속을 감지하고, 이들을 제어한다.
그리고 전륜측과 후륜측의 노말클로즈형 솔레노이드밸브의 하류측에는 제 1,제 2저압어큐뮬레이터가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감압모드시 브레이크에서 토출된 오일이 일시 저장된다. 또한 제 1, 제 2저압어큐뮬레이터의 후방에는 제 1, 제 2고압어큐뮬레이터가 설치되며, 이들 사이에는 하나의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제 1, 제 2펌프가 구성되어 제 1,제 2저압어큐뮬레이터에 저장되어 있는 저압오일을 가압하여 제 1,제 2고압어큐뮬레이터로 펌핑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에 제 1, 제 2저압어큐뮬레이터, 제 1,제 2펌프, 제 1,제 2고압어큐뮬레이터 및 솔레노이드밸브 등은 알루미늄합금재로 마련된 모듈레이터(modulator) 내부에 설치되어 일체로 구성되고, 이 모듈레이터 몸체는 차량의 적소에 결합이 되게 된다.
그런데, 이 모듈레이터 몸체는 자동차 차체에 직접 장착할 수 없기 때문에 차체에 고정된 별도의 고정브라켓을 통해 결합되는데, 이러한 모듈레이터의 결합구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차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브라켓(3)에는 원형상의 체결구멍(4)이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알루미늄합금재로 이루어진 모듈레이터 몸체(1)의 외측면에도 역시 체결구멍(4)과 상응하게 볼트구멍(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브라켓의 체결구멍(4)에는 차체에서 발생된 진동이 모듈레이터 몸체(1)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진부재(5)가 설치되어 있다. 즉, 고정브라켓(3)을 통해 차체의 진동이 모듈레이터 몸체(1)에 그대로 전달되면,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모터와 솔레노이드밸브 등의 오동작과 손상의 원인이 되는데, 이러한 것은 고무재로 이루어진 방진부재(5)에 의해 방지된다.
방진부재(5)는 원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브라켓의 체결구멍(4)에 끼워져 설치되는데, 방진부재(5)의 중심부에는 마운팅볼트(7)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방진부재(5)의 외측면 중심부에는 고리형상으로 오목하게 패인 체결홈(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를 결합시킬 때에는 고정브라켓(3)의 체결구멍(4)에 방진부재의 체결홈(6) 부위가 결합되도록 억지끼움한 후, 마운팅볼트(7)를 방진부재(5)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모듈레이터 몸체(1)의 볼트구멍(2)에 체결한다.
이처럼 종래의 모듈레이터 지지장치는 모듈레이터 몸체(1)에 결합되는 마운팅볼트(7)와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3)사이에 방진부재(5)가 설치됨에 따라, 차체에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방진부재(5)가 이를 흡수하게 되어, 모듈레이터 몸체(1)에는 진동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종래 모듈레이터 지지장치는 차체가 진동을 하게 되면 방진부재(5)의 중공부와 마운팅볼트(7)의 외면사이의 접촉부에 심한 마찰이 발생되고, 이 마찰로 인해 방진부재(5)의 중공부가 마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시간이 지날수록 심화되어 방진부재(5) 중공부의 내경이 점차 커지게 되고, 이 때, 차체에 진동이 발생되면 모듈레이터 몸체(1)가 오히려 더 크게 흔들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방진부재의 중공부에 마모를 방지하는 부재를 부설함으로써 방진부재의 내경 마모에 의한 진동을 방지하는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모듈레이터 지지장치의 상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장치가 채용된 모듈레이터 몸체의 결합구조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모듈레이터 지지장치의 상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모듈레이터 몸체, 11: 볼트구멍,
20: 고정브라켓, 21: 체결구멍,
30: 마운팅볼트, 40: 방진부재,
41: 체결홈, 50: 부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측면에 볼트구멍이 형성된 모듈레이터 몸체와, 차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구멍이 형성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체결구멍과 상기 볼트구멍을 통해 상기 모듈레이터 몸체를 상기 고정브라켓에 고정시키는 마운팅볼트와, 상기 마운팅볼트의 외주면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체결구멍 사이에 개재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부재를 구비하는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에 있어서,
차체의 진동에 의해 상기 방진부재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방진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방진부재에 의해 그 양측단부가 감싸여져 지지되는 원통상의 부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장치가 채용된 모듈레이터 몸체의 결합구조를 보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모듈레이터 지지장치의 상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본 고안은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종래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모듈레이터의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는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재로 구성된 몸체(10)의 내부에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 모터, 펌프, 고압 및 저압어큐뮬레이터 등이 콤팩트하게 내장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이러한 몸체(10)는 차체에 별도로 고정이 되어 있는 고정브라켓(20)에 마운팅볼트(30)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이 때, 차체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모듈레이터 몸체(10)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듈레이터 몸체(10)의 고정부에는 탄성재질의 방진부재(40)가 설치된다. 이러한 결합구조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모듈레이터 몸체(10)의 측면부에는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볼트구멍(11)이 마련되고, 모듈레이터 몸체(10)의 둘레를 감싸는 구조를 마련된 고정브라켓(20)에는 상기 볼트구멍(11)이 형성된 곳과 대응되는 곳에 체결구멍(21)이 형성된다. 이 때, 체결구멍(21)의 직경은 볼트구멍(11)보다 훨씬 크게 형성되어, 여기에 차체의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부재(40)가 끼워지게 된다.
방진부재(40)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마련되는데, 그 외주면에는 방진부재(40)가 고정브라켓(20)의 체결구멍(21)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고리형상으로 패인 체결홈(41)이 형성된다. 또한, 방진부재(40)의 중심부에는 마운팅볼트(3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중공부가 형성되고, 이 중공부의 내주면에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요소로 방진부재(40)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금속재질의 부시(50)가 끼워져 결합된다.
이 부시(50)는 그 형상이 원통상으로 마련되어 방진부재(40)의 내주면에 일체가 되도록 결합되는데, 부시(50)의 길이는 방진부재(40)의 길이보다 약간 작게 마련되고, 양측 단부에는 단부에는 단이 지게 형성된 결합턱(51)이 구비되어, 방진부재(40)의 양단부가 부시(50)의 양단부를 감싸 지지하는 구조로 마련된다.
이는 방진부재(40)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부시(50)가 결합된 상태의 유동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방진부재(40)와 부시(50)가 일체가 되게 함으로써 부품 조립성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모듈레이터 몸체(10)를 지지하기 위하여 마운팅볼트(30)와, 방진부재(40) 등을 결합했을 때에 방진부재(40)에 결합된 부시(50)가 모듈레이터의 몸체(10)나 마운팅너트(30)의 머리부에 직접 닿지 않게 함으로써, 차체에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부시(50)에 의한 금속성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에서 방진부재(40)와 부시(50)는 상호 별도로 제작된 다음, 나중에 상호 결합되는 방법을 취할 수도 있지만, 내측에 끼워지는 부시(50)를 먼저 가공한 다음에 이 부시(50)의 외면에 고무재질의 방진부재(40)를 사출 등을 통하여 입히는 방법으로 제작할 수도 있게 된다. 이 때, 두 구성요소간의 결합성과, 방진부재(40)를 체결하는 과정에서의 작업성을 고려한다면 후자의 방법을 통해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모듈레이터 지지장치의 체결방법과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모듈레이터 몸체(10)를 고정브라켓(20)에 결합시킬 때에는 먼저, 고정브라켓의 체결구멍(21)에 부시(50)가 결합된 상태로 제작된 방진부재(40)의 체결홈(41) 부위가 끼워지도록 억지끼움한 후, 마운팅볼트(30)를 방진부재(40)의 중심부에 설치된 부시(50)를 관통하여 모듈레이터 몸체(10)의 볼트구멍(11)에 체결한다.
한편, 상기 방진부재(40)와 부시(50)가 별도로 제작이 되어 상호 결합시켜야 하는 경우라면, 고정브라켓(20)에 방진부재(40)를 끼우기에 앞서서 방진부재(40)와 부시(50)를 상호 결합시키는 절차가 있어야 한다.
여기에서 작업자가 마운팅볼트(30)를 체결할 때에 방진부재(40)의 양단부가 모듈레이터의 몸체(10)와 마운팅볼트(30)의 머리부에 의해 약간 압착될 정도로 조여주게 되면, 모듈레이터 몸체(10)는 차체에 고정된 고정브라켓(20)에 견고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차체에서 진동이 전달되더라도 방진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해 흡수되어 모듈레이터 몸체(10)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른 모듈레이터 지지장치는 모듈레이터 몸체(10)에 결합되는 마운팅볼트(30)와 고정브라켓(20) 사이에 방진부재(40)가 설치됨에 따라, 차체에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방진부재(40)가 이를 흡수하게 되어, 모듈레이터에는 진동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또한, 방진부재(40)의 내주면에 금속재질로 마련된 부시(50)가 설치됨에 따라 차체의 진동이 발생될 때, 이 마찰은 부시(50)와 마운팅볼트(30)의 외주면 사이에 발생되게 되므로, 진동에 의한 방진부재(40)의 마모가 방지되고, 이로써 장기간 사용을 하더라도 품질의 변화가 거의 없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지지장치는 고정브라켓의 체결구멍과 마운팅볼트의 외주면 사이에 끼워지는 방진부재의 내주면에 금속재질로 마련된 부시를 설치하고, 이 부시는 양측 단부가 방진부재에 의해 감싸여 지지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차체에 진동이 발생될 때 이 마찰은 부시와 마운팅볼트의 외주면 사이에 일어나게 되므로, 진동에 의한 방진부재의 마모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외측면에 볼트구멍이 형성된 모듈레이터 몸체와, 차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구멍이 형성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체결구멍과 상기 볼트구멍을 통해 상기 모듈레이터 몸체를 상기 고정브라켓에 고정시키는 마운팅볼트와, 상기 마운팅볼트의 외주면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체결구멍 사이에 개재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부재를 구비하는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에 있어서,
    차체의 진동에 의해 상기 방진부재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방진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방진부재에 의해 그 양측단부가 감싸여져 지지되는 원통상의 부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지지장치.
KR2019980009200U 1998-05-30 1998-05-30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지지장치 KR2002859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200U KR200285914Y1 (ko) 1998-05-30 1998-05-30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200U KR200285914Y1 (ko) 1998-05-30 1998-05-30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087U KR19990042087U (ko) 1999-12-27
KR200285914Y1 true KR200285914Y1 (ko) 2002-10-19

Family

ID=69512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9200U KR200285914Y1 (ko) 1998-05-30 1998-05-30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9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087U (ko) 199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1352B2 (en) Device for vibration-damping mounting of a fluid assembly and associated fluid assembly
US6098949A (en) Mounting arrangement for supporting a hydraulic control unit of a vehicular braking system
US6499970B1 (en) Pump unit for a vehicle brake system
KR200285914Y1 (ko)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지지장치
US11578769B2 (en) Brake hydraulic pressure controller
JP2002510579A (ja) アキュムレータを有する電子的に制御されたブレーキシステム
KR200281978Y1 (ko)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지지장치
US5622483A (en) Motor end cover located resilient mount for a motor pump unit
KR200278667Y1 (ko)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방진부재
KR20030006155A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고압 어큐뮬레이터
KR0114488Y1 (ko) 유압식 브레이크 및 클러치장치의 튜브 체결구조
JPH0712148A (ja)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のキャリパボディ取付け構造
KR200281991Y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솔레노이드
KR100289306B1 (ko) 차량의전륜휠스피드센서용로터
KR101971533B1 (ko) 유압블록의 차량 장착 구조
JP2596553Y2 (ja) アンチスキッド装置のアクチュエータ
KR200278672Y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KR200184670Y1 (ko) 앤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모터
US5072607A (en) Brake booster-mounting instruction
KR970000338Y1 (ko) 브레이크 마스타실린더의 1차측 피스턴 어셈블리
KR200141709Y1 (ko) 차량용 마스터브레이크유니트의 마운팅구조
JPH1029512A (ja) 基体の取付け構造
KR200278668Y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JP3447444B2 (ja) 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KR100907866B1 (ko) 브레이크시스템의 모터 실링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