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9649B1 -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허브 베어링 조립체 - Google Patents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허브 베어링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649B1
KR100799649B1 KR1020070002505A KR20070002505A KR100799649B1 KR 100799649 B1 KR100799649 B1 KR 100799649B1 KR 1020070002505 A KR1020070002505 A KR 1020070002505A KR 20070002505 A KR20070002505 A KR 20070002505A KR 100799649 B1 KR100799649 B1 KR 100799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knuckle
bearing assembly
bearing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동영
임종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to KR1020070002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9649B1/ko
Priority to PCT/KR2008/000141 priority patent/WO200808498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78Hubs characterised by the fixation of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6Hubs adapted to be fixed on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5/00Axle units; Parts thereof ; Arrangements for lubrication of axles
    • B60B35/12Torque-transmitting axles
    • B60B35/18Arrangement of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8Steering knuckles; King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4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5/06Mounting or dismounting of ball or roller bearings; Fixing them onto shaft or in housing
    • F16C35/067Fixing them in a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15Hubs for driven wheels
    • B60B27/0036Hubs for driven wheels comprising homokinetic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1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18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balls
    • F16C19/181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balls with angular contact
    • F16C19/183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balls with angular contact with two rows at opposite angles
    • F16C19/18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balls with angular contact with two rows at opposite angles in O-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2Wheel hubs or ca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휠(Wheel)에 연결되는 허브(10)와, 차체에 연결되며 요홈부(21a)가 형성된 너클(20)과, 내륜(31)은 상기 허브(10)의 외경면(19)에 안착하고 외륜(33)은 너클(20)의 내경면(29)에 안착하여 상기 허브(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30)과, 상기 너클(20)의 요홈부(21a)에 삽입되어 너클(20)과 베어링(30)을 축방향으로 결합하는 결합 부재(50)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 부재(50)는 요홈부(21a)에 삽입되는 원호 형상의 환형부(51)와, 상기 환형부(51)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축방향 연장부(53)와, 상기 축방향 연장부(53)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경방향 연장부(5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환형부(51)의 양단에 인접한 경방향 연장부(55) 부분에 공구 삽입구(55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허브 베어링 조립체(1)에 관한 것으로; 너클(20)과 베어링(30)을 외측에서 결합 부재(50)로서 결합함으로써, 베어링(30)을 허브(10)에 장착한 후 허브(10)와 베어링(30)의 조립체를 외측으로부터 너클(20)에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며, 베어링(30) 교체 시에도 결합 부재(50)의 파손 없이 결합 부재(50)를 제거하고 허브(10)와 베어링(30) 조립체를 외측으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오비탈 포밍에 의하여 베어링(30)을 허브(10)에 고정하는 경우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공구 삽입구(55a)가 경방향으로 환형부(51)의 외경보다 외측에 형성되므로 결합 부재(50)의 결합과 분해가 용이해지며, 축방향 연장부(53)를 사다리꼴로 형성함으로써 축방향 연장부(53)에 소요되는 부재의 양을 최 소화하면서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너클, 베어링, 허브, 결합 부재

Description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허브 베어링 조립체{Hub Bearing Assembly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도 1은 종래의 허브 베어링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다른 형태의 허브 베어링 조립체로서 도 2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또 다른 형태의 허브 베어링 조립체를 도시한 도 2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또 다른 형태의 허브 베어링 조립체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허브 베어링 조립체를 도시한 도 2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허브 베어링 조립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 2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6 및 도 7의 허브 베어링 조립체에 결합한 결합 부재의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형태의 공구 삽입구가 형성된 결합 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다른 형태의 결합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8 내지 12에 도시된 결합 부재를 공구에 의해 분해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허브 베어링 조립체 10 : 허브
18 : 성형부 20 : 너클
21 : 측면부 21a : 요홈부
23 : 걸림돌기부 30 : 베어링
31 : 내륜 33 : 외륜
35 : 전동체 37 : 케이지
40 : 등속 조인트 41 : 외륜체
43 : 스핀들 17, 45 : 스플라인
47 : 체결 너트 50 : 결합 부재
51 : 환형부 53 : 축방향 연장부
55 : 경방향 연장부 55a : 공구 삽입구
90 : 체결 공구
본 발명은 허브 베어링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어링 외륜의 외측과 접촉하며, 너클의 요홈부에 삽입 장착되는 결합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먼저 허브와 베어링을 조립하고, 허브와 베어링 조립체를 외측으로부터 너클에 분해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며, 결합 부재를 파손하지 않고 허브와 베어링 조립체를 너클로부터 분해할 수 있으며, 너클의 내경면에 안착되는 베어링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허브 베어링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허브 베어링 조립체는 도 1 및 2에 도면부호 10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휠(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는 허브(110)와, 차체(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는 너클(120)과, 상기 허브(110)와 너클(120) 사이에 장착되어 허브(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130)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도 2 및 도 3의 좌측을 '외측'이라고 하고, 도 2 및 도 3의 우측을 '내측'이라고 한다.
도 2에서와 같이 허브(110)는 복수의 볼트공(113a)이 형성된 플랜지(113)를 구비하며, 내경면에 스플라인(117)이 형성되고, 허브(110)의 외경면(119)에 베어링(130)의 내륜(131)이 안착한다. 상기 스플라인(117)이 형성된 내경면으로 등속 조인트(140)의 스핀들(143)이 삽입되어, 스핀들(143)에 형성된 스플라인(145)과 상 기 허브(110)의 스플라인(117)이 서로 치합하여, 등속 조인트(140)를 통하여 전달되는 회전력이 허브(110)로 전달된다.
차체에 고정되는 너클(120)의 내경면(129)에 베어링(130)의 외륜(133)이 안착 고정된다. 상기 너클(120)은 상기 베어링(130)의 외륜(133)을 축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외측에 경방향으로 돌출한 멈춤돌기(121)를 구비한다. 그리고 내측으로 요홈(120b)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120b)에 베어링(130)의 외륜(133) 측면을 지지하는 멈춤링(150)을 삽입한다.
허브(110)와 너클(120) 사이에 설치되어 허브(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130)은 허브(110)의 외경면(119)에 안착하는 내륜(131)과, 너클(120)의 내경면(129)에 안착하는 외륜(133)과, 상기 내륜(131)과 외륜(133)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전동체(135)와, 상기 전동체(135)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케이지(137)로 구성된다.
위와 같은 종래의 허브 베어링 조립체(100)에서 도 1에 도시된 조인트축(149)을 통하여 전달되는 회전력은 등속조인트(140)의 외륜체(141)를 거쳐 외륜체(141)에서 연장 형성된 스핀들(143)로 전달되며, 이 스핀들(143)의 회전은 스핀들(143) 외경면에 형성되는 스플라인(145)과 치합하는 허브(110)의 스플라인(117)에 의하여 허브(110)로 전달되고, 다시 허브(110) 플랜지(113)의 볼트공(113a)에 삽입되는 허브볼트(115)를 통하여 차륜(도시하지 않음)으로 전달되어 자동차를 구동시키게 된다.
도 2에서 미설명 부호 147은 등속 조인트(140)를 허브(110)에 고정하는 체결 너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종래의 허브 베어링 조립체(100)는 외측으로부터 베어링(130)을 너클(120)에 삽입할 수 없는 구조이므로, 내측으로부터 베어링(130)을 너클(120)에 삽입하여 조립하고, 너클(120)의 내측에 형성된 요홈(120b)에 멈춤링(150)을 삽입하여 너클(120)과 베어링(130)의 조립을 완료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너클(120)과 베어링(130)이 조립된 상태에서 베어링(130)의 내륜(131) 내경면에 허브(110)를 삽입하고, 상기 허브(110)에 등속 조인트(140)의 스핀들(143)을 삽입하여 조립하여야 한다. 그리고 분해는 상기 조립 순서의 역순으로 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허브 베어링 조립체(100)는 베어링(130)으로부터 너클(120)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너클(120) 내측의 멈춤링(150)을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먼저 조립체(100) 자체를 해체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3은 내측으로 허브(210)에 성형부(218)를 구비하여 베어링(230)을 허브(210)에 장착하는 구조의 허브 베어링 조립체(20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성형부(218)는 내측으로 설치되는 내륜(231)을 축방향으로 지지하여 베어링(230)이 허브(210)에 고정 장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내측의 내륜(231)을 지나 연장된 허브(210) 부분을 도 3에서 상방향으로 성형하여 형성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 베어링 조립체(200)가 오비탈 성형 되는 성형부(218)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허브(210)에 베어링(230)을 먼저 조립하여야 하며, 허브(210)와 베어링(230)의 조립이 완료된 후, 허브(210)와 베어링(230) 조립체를 너클(220)과 등속 조인트(240) 사이에 고정 장착한다.
허브(210)와 베어링(230) 조립체를 너클(220)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허브(210)와 베어링(230) 조립체를 외측으로부터 너클(220)에 조립하여야 하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에서는 너클(220)이 외측에 멈춤돌기(221)를 구비하므로 허브(210)와 베어링(230) 조립체를 너클(220)에 조립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성형부(218)를 가지는 허브 베어링 조립체(200)에 있어서, 허브(210)와 베어링(230) 조립체를 외측으로부터 너클(220)에 조립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허브 베어링 조립체(300, 400)가 제안되었다.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다른 허브 베어링 조립체(300)는 너클(320)의 선단부(321)에 걸림홈(321a)을 형성하고, 베어링(330)의 외륜(333) 외측에 삽입된 체결링(350)을 구비한다.
상기 체결링(350)은 베어링(330)의 외륜(333) 외측 측면에 접촉하는 걸림부(353)와, 상기 걸림부(353)로부터 연장되어 베어링(330)의 외륜(333) 외경면에 삽입되는 원통부(355)와, 상기 원통부(355)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반경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복수의 스냅핀(351)으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링(350)을 베어링(330)의 외륜(333)에 삽입하고, 체결링(350)과 베어링(330)을 일체로 외측으로부터 가압하면 너클(320)의 내경면(329)에 베어링(330)의 외륜(333)이 안착하고, 체결링(350)의 스냅핀(351)은 걸림홈(321a)에 걸리게 되어, 베어링(330)은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상기 체결링(350)의 스냅핀(351) 이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고, 스냅핀(351)과 걸림홈(321a)의 스냅 결합에 의해 너클(320)과 베어링(330)의 체결이 유지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허브 베어링 조립체(300)는 스냅핀(351)이 일방향 결합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도 4와 같이 너클(320)과 베어링(330)이 일단 결합되면 스냅핀(351)을 파손하지 않으면 분해할 수가 없으며, 스냅핀(351)을 파손하기 위하여 큰 외력을 가하여야 하므로 전용 공구를 이용해 작업을 하지 않는 한, 베어링(330)과 너클(320)을 용이하게 분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4에서 미설명 부호 310은 허브를, 318은 성형부를, 319는 허브의 외경면을, 331은 베어링(330)의 내륜을, 335는 전동체를, 337은 케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또 다른 허브 베어링 조립체(400)와 같이 너클(420)과 베어링(430)의 결합을 위해 베어링(430)의 외륜(433) 외경면 전후단 에지에 절곡링(450)을 결합하고, 이 링(450)의 노출단(451)을 너클(420)의 양 측면으로 절곡하여 축방향으로 지지하도록 하는 경우에도, 베어링(430)에서 너클(420)을 분해하고자 할 때 너클(420)의 양 측면으로 절곡된 절곡링(450)의 노출단(451)을 곧게 펴야 하므로 전용 공구가 필요하며, 절곡링(450)의 굽힘 강도가 높고, 절곡된 노출단(451)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작업이 까다롭고 번거로우며, 한번 사용한 절곡링(450)은 재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5에서 미설명 부호 429는 너클(420)의 내경면을, 433a는 외륜(433)의 외경부에 형성되는 요홈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허브 베어링 조립체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허브 베어링 조립체의 너클과 베어링을 결합함에 있어 허브와 베어링을 먼저 조립하고 허브와 베어링 조립체를 외측으로부터 너클에 조립할 수 있으며, 베어링 교체 시 허브와 베어링 조립체를 너클로부터 외측으로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으며, 허브 베어링 조립체 전체를 해체하거나 결합 부재 자체를 파쇄 또는 손상시키지 않고도 너클로부터 베어링을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도록 한 허브 베어링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는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허브 베어링 조립체는 자동차의 휠에 연결되는 허브와, 차체에 연결되며 요홈부가 형성된 너클과, 상기 허브의 외경면에 안착하는 내륜과, 너클의 내경면에 안착하는 외륜과, 상기 내륜과 외륜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전동체를 구비하여 상기 허브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너클의 요홈부에 삽입되어 너클과 베어링을 축방향으로 결합하는 결합 부재로 이루어지는 허브 베어링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요홈부에 삽입되는 원호 형상의 환형부와, 상기 환형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축방향 연장부와, 상기 축방향 연장부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경방향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원호 형상의 환형부 양단에 인접하여 경방향 연장부에 공구 삽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는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허브 베어링 조립체는 자동차의 휠에 연결되며 내륜을 지나 연장되어 내륜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성형부를 구비하는 허브와, 차체에 연결되며 요홈부가 형성된 너클과, 상기 허브의 외경면에 안착하는 내륜과, 너클의 내경면에 안착하는 외륜과, 상기 내륜과 외륜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전동체를 구비하여 상기 허브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너클의 요홈부에 삽입되어 너클과 베어링을 축방향으로 결합하는 결합 부재로 이루어지는 허브 베어링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요홈부에 삽입되는 원호 형상의 환형부와, 상기 환형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축방향 연장부와, 상기 축방향 연장부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경방향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원호 형상의 환형부 양단에 인접하여 경방향 연장부에 공구 삽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연장부는 원호 형상의 환형부 양단 부분에 인접한 부분에서만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경방향 연장부는 원호 형상의 환형부 양단 부분에 인접한 부분에서만 축방향 연장부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환형부와 접하는 축방향 연장부의 원주 방향 길이는, 경방향 연장부와 접하는 축방향 연장부의 원주 방향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방향 연장부의 외경은 환형부의 외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경방향 연장부에 형성되는 공구 삽입구는 관통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경방향 연장부에 형성되는 관통공은 반지름 방향으로 환형부의 외경보다 외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경방향 연장부에 형성되는 공구 삽입구는 'U'자형 홈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허브 베어링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 기술과 동등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며, 종래 기술의 설명에서와 같이 도 6, 도 7 및 도 13의 좌측을 '외측'이라고 하며, 도 6, 도 7 및 도 13의 우측을 '내측'이라고 한다.
도 6 및 도 7은 결합 부재가 허브 베어링 조립체에 체결된 상태의 베어링 조립체(1)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결합 부재는 도 12의 A-A'선에 따르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도 6 및 도 7의 허브 베어링 조립체에 조립되는 결합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한 결합 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결합 부재의 변형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1은 도 6의 허브 베어링 조립체에 조립되는 다른 형태의 결합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결합 부재의 정면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허브 베어링 조립체(1)에 있어서 결합 부재(50)의 착탈 과정을 도시한 도 6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허브 베어링 조립체(1)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 브(10)와, 너클(20)과, 베어링(30)과, 결합 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허브(10)는 자동차 휠(도시하지 않음)이 장착되는 허브 볼트(15)가 삽입되는 볼트공(13a)이 형성된 플랜지(13)와, 내경부로 형성된 스플라인(17)과, 베어링(30)의 내륜(31)이 안착하는 외경면(19)을 구비하며,
자동차 차체에 연결되는 상기 너클(20)은 베어링(30)의 외륜(33)이 안착하는 내경면(29)을 구비하며, 측면부(21)의 내측으로 결합 부재(50)가 삽입되는 요홈부(21a)가 형성되며, 내측으로는 소정의 축방향 두께를 가지며 내경면(29)보다 반지름이 작은 걸림돌기부(23)를 구비한다. 상기 걸림돌기부(23)은 너클(20)과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베어링(30)은 허브(10)의 외경면(19)에 안착하는 내륜(31)과, 너클(20)의 내경면(29)에 안착하는 외륜(33)과, 상기 내륜(31)과 외륜(33) 사이에 위치하는 다수의 전동체(35)와, 상기 전동체(35)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작용하는 케이지(37)로 이루어진다.
도 6, 도 7 및 도 13에는 두 개로 분리된 내륜(31)으로 이루어지며, 전동체(35)로 볼을 가지는 베어링(30)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외측의 내륜(31)은 허브(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전동체에 있어서 볼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전동체로서 테이퍼 로울러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 도 7,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 부재(50)는 너클(20)의 외측 측면부(21) 부분에 형성되는 요홈부(21a)에 삽입되는 원호 형상의 환형부(51)와, 상기 환형부(51)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축방향 연장부(53)와, 상기 축방향 연장부(53)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외향 연장 형성되는 경방향 연장부(5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환형부(51)의 양끝단과 인접하여 경방향 연장부(55)에는 공구(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하여 결합 부재(50)에 변형을 발생시키도록 하기 위한 공구 삽입구(55a)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환형부(51)를 원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접선 방향으로 탄력적인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결합 부재(50)의 제조에 있어서 환형부(51)를 원형으로 형성하고 원형의 일부 원호 부분을 제거하여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며, 초기 형상이 원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제조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에 있어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방향 연장부(53)와 경방향 연장부(55)도 환형부(51)와 같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호 형상 환형부(51)의 양단과 인접한 부분에서만 축방향으로 연장하여 축방향 연장부(53)를 형성하여, 환형부(51)의 양단에 인접한 부분에서만 연장 형성된 서로 분리된 2개의 축방향 연장부(53)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원호 형상 환형부(51)의 양단과 인접한 부분에서만 축방향 연장부(53)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하여 서로 분리된 2개의 경방향 연장부(55)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와 같이 서로 분리된 형태로 축방향 연장부(53)와 경방향 연장부(55)를 구비함으로써 결합 부재(50)의 강성이 작아지게 되어 결합 부재(50)의 체 결과 분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에서 경방향 연장부(55)에 형성되는 공구 삽입구(55a)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공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U'자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결합 부재(50)의 환형부(51)가 너클(3)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요홈부(21a)에 삽입되면서, 측면부(21)의 내경면이 결합 부재(50)의 축방향 연장부(53)에 안착하며, 너클(20)의 외측 측면은 결합 부재(50)의 경방향 연장부(55)와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결합 부재(50)의 축방향 강성은 환형부(51)만으로 베어링(30)을 지지하는 경우보다 대폭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베어링(30)에 축방향 하중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결합 부재(50)의 의하여 충분하게 베어링(30)을 축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결합 부재(50)는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 형태를 취하고 있으므로 접선방향을 따라 탄력적으로 벌였다 좁혔다 하면서 반지름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50)에 있어서 환형부(51)와 접하는 축방향 연장부(53)의 원주 방향 길이는, 경방향 연장부(55)와 접하는 축방향 연장부(53)의 원주 방향 길이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축방향 연장부(53)의 측면 형상을 사다리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축방향 연장부(53)를 형성함으로써 공구를 공구 삽입구(55a)에 삽입하고 도 9 화살표 방향으로 하중을 주어 환형부(51)의 반지름을 작게 하는 경우, 상기 하중에 대한 축방향 연장부(53)의 강도를 크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 부재(50)에 있어서 도 9, 도 10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방향 연장부(55)의 외경을 환형부(5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경방향 연장부(55)에 형성되는 공구 삽입구(55a)는 반지름 방향으로 환형부(51)의 외경보다 외측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경방향 연장부(55)의 외경을 환형부(5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고, 공구 삽입구(55a)를 환형부(51)의 외경보다 외측으로 형성함으로써, 결합 부재(50)를 너클(20)의 요홈부(21a)에 장착하거나, 장착된 결합 부재(50)를 너클(20)의 요홈부(21a)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공구 삽입구(55a)에 공구를 보다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허브 베어링 조립체(1)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 부재(50)를 이용하여 허브 베어링 조립체(1)를 조립하는 경우에는 먼저 너클(20)과 베어링(30)을 결합하고, 이 베어링(30)에 허브(10)를 삽입한 다음, 허브(10) 중심에 등속조인트(40)의 스핀들(43)을 삽입 장착하고 스핀들(43) 선단을 체결 너트(47)로 고정할 수도 있으며,
베어링(30)에 허브(10)를 삽입하며, 허브(10) 중심에 등속조인트(40)의 스핀들(43)을 삽입 장착하고 스핀들(43) 선단을 체결 너트(47)로 고정한 후에, 너클(20)을 베어링(30)과 결합할 수도 있게 된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내륜(31)이 허브(10)에 구비되는 성형부(18)에 의하여 지지되는 경우에는, 먼저 베어링(30)을 허브(10)의 외경면(19)에 안착하고 내측 내륜(31)을 통하여 연장된 허브(10) 부분을 외향 성형하여 성형부(18)를 형성하고 내륜(31)을 허브(10)에 고정한다. 그리고 허브(10)와 베어링(30) 조립체를 외측으로부터 너클(20)의 내경면(29)에 안착시키고 결합 부재(50)를 너클(20)에 장착하여 너클(20)과, 허브(10)와 베어링(30) 조립체를 결합한다.
상기 결합 부재(50)는 너클(20)의 요홈부(21a)에 삽입되어 선단 측면부(21) 부분을 감싸도록 결합 되며, 요홈부(21a) 내측으로 노출된 환형부(51) 부분이 베어링(30)을 외측에서 축방향으로 지지하게 된다.
한편, 조립된 상태에서 허브 베어링 조립체(1)를 분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부재(50)의 경방향 연장부(55)에 형성된 공구 삽입구(55a)에 공구를 삽입하여, 도 9에 도시한 방향으로 하중을 주어 결합 부재(50)의 반지름을 작게 함으로써 너클(20)로부터 쉽게 결합 부재(50)를 분해할 수 있다. 따라서 허브(10)와 베어링(30) 조립체를 너클(20)로부터 외측으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어, 허브 베어링 조립체(1)의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게 된다.
도 6, 도 7 및 도 13에서 미설명 부호 41은 등속 조인트(40)의 외륜체를 도시한 것이며, 45는 스핀들(43)의 외경면에 형성되어 허브(10) 내경면에 형성된 스플라인(17)과 치합하는 스플라인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의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는 것 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허브 베어링 조립체(1)에 의하면, 원호 형상의 환형부(51)와, 축방향 연장부(53)와, 공구 삽입구(55a)가 형성된 경방향 연장부(55)로 이루어지는 결합 부재(50)로서 외측에서 너클(20)과 베어링(30)을 결합함으로써, 먼저 허브(10)와 베어링(30)을 조립하고 허브(10)와 베어링(30) 조립체를 외측으로부터 너클(20)에 조립할 수 있으며, 허브(10)나 등속 조인트(40)를 분해하지 않고 베어링(30)으로부터 너클(20)을 분해할 수 있으므로 허브 베어링 조립체(1)의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게 되며, 공구 삽입구(55a)가 경방향으로 환형부(51)의 외경보다 외측에 형성되므로 결합 부재(50)의 결합과 분해가 용이해지며, 결합 부재(50)를 파손하지 않고 조립과 분해를 할 수 있으므로 결합 부재(50)의 반복 사용이 가능하며, 축방향 연장부(53)를 사다리꼴로 형성함으로써 축방향 연장부(53)에 소요되는 부재의 양을 최소화하면서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자동차의 휠에 연결되는 허브(10)와, 차체에 연결되며 요홈부(21a)가 형성된 너클(20)과, 상기 허브(10)의 외경면(19)에 안착하는 내륜(31)과, 너클(20)의 내경면(29)에 안착하는 외륜(33)과, 상기 내륜(31)과 외륜(33)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전동체(35)를 구비하여 상기 허브(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30)과, 상기 너클(20)의 요홈부(21a)에 삽입되어 너클(20)과 베어링(30)을 축방향으로 결합하는 결합 부재(50)로 이루어지는 허브 베어링 조립체(1)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50)는 요홈부(21a)에 삽입되는 원호 형상의 환형부(51)와, 상기 환형부(51)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축방향 연장부(53)와, 상기 축방향 연장부(53)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경방향 연장부(5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원호 형상의 환형부(51) 양단에 인접하여 경방향 연장부(55)에 공구 삽입구(55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허브 베어링 조립체(1).
  2. 자동차의 휠에 연결되며 내륜(31)을 지나 연장되어 내륜(31)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성형부(18)를 구비하는 허브(10)와, 차체에 연결되며 요홈부(21a)가 형성된 너클(20)과, 상기 허브(10)의 외경면(19)에 안착하는 내륜(31)과, 너클(20)의 내경면(29)에 안착하는 외륜(33)과, 상기 내륜(31)과 외륜(33)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전동체(35)를 구비하여 상기 허브(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30)과, 상기 너클(20)의 요홈부(21a)에 삽입되어 너클(20)과 베어링(30)을 축방향으로 결합 하는 결합 부재(50)로 이루어지는 허브 베어링 조립체(1)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50)는 요홈부(21a)에 삽입되는 원호 형상의 환형부(51)와, 상기 환형부(51)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축방향 연장부(53)와, 상기 축방향 연장부(53)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경방향 연장부(5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원호 형상의 환형부(51) 양단에 인접하여 경방향 연장부(55)에 공구 삽입구(55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허브 베어링 조립체(1).
  3. 제1 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연장부(53)는 원호 형상의 환형부(51) 양단 부분에 인접한 부분에서만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경방향 연장부(55)는 원호 형상의 환형부(51) 양단 부분에 인접한 부분에서만 축방향 연장부(53)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허브 베어링 조립체(1).
  4. 제3 항에 있어서, 환형부(51)와 접하는 축방향 연장부(53)의 원주 방향 길이는, 경방향 연장부(55)와 접하는 축방향 연장부(53)의 원주 방향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허브 베어링 조립체(1).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경방향 연장부(55)의 외경은 환형부(51)의 외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허브 베어링 조립체(1).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경방향 연장부(55)에 형성되는 공구 삽입구(55a)는 관통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허브 베어링 조립체(1).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경방향 연장부(55)에 형성되는 관통공은 반지름 방향으로 환형부(51)의 외경보다 외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허브 베어링 조립체(1).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경방향 연장부(55)에 형성되는 공구 삽입구(55a)는 'U'자형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허브 베어링 조립체(1).
KR1020070002505A 2007-01-09 2007-01-09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허브 베어링 조립체 KR100799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505A KR100799649B1 (ko) 2007-01-09 2007-01-09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허브 베어링 조립체
PCT/KR2008/000141 WO2008084988A1 (en) 2007-01-09 2008-01-09 Hub bearing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505A KR100799649B1 (ko) 2007-01-09 2007-01-09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허브 베어링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9649B1 true KR100799649B1 (ko) 2008-01-30

Family

ID=39219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505A KR100799649B1 (ko) 2007-01-09 2007-01-09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허브 베어링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99649B1 (ko)
WO (1) WO20080849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5403B1 (ko) 2016-08-29 2017-12-06 (주)화신 전륜구동 차량용 프론트 액슬의 스핀들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46494B (zh) * 2016-09-28 2023-05-19 重庆圣巴巴拉实业有限公司 汽车轮毂回转弯曲试验机
CN106338432B (zh) * 2016-09-28 2024-02-20 重庆圣巴巴拉实业有限公司 转向节刚性固定轮毂回转弯曲试验机轮毂夹紧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918U (ko) * 1995-07-14 1997-0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변속기의 기어 베어링용 슬리브
JP2003042174A (ja) 2001-07-27 2003-02-13 Koyo Seiko Co Ltd 転がり軸受の取付け構造
JP2003130072A (ja) 2001-10-24 2003-05-08 Nsk Ltd 車輪用回転支持装置
KR100642549B1 (ko) 2004-08-20 2006-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918U (ko) * 1995-07-14 1997-0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변속기의 기어 베어링용 슬리브
JP2003042174A (ja) 2001-07-27 2003-02-13 Koyo Seiko Co Ltd 転がり軸受の取付け構造
JP2003130072A (ja) 2001-10-24 2003-05-08 Nsk Ltd 車輪用回転支持装置
KR100642549B1 (ko) 2004-08-20 2006-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5403B1 (ko) 2016-08-29 2017-12-06 (주)화신 전륜구동 차량용 프론트 액슬의 스핀들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84988A1 (en) 2008-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1314B2 (en) Multiple sprocket assembly
JP5472890B2 (ja) ピニオンシャフト及びキャリアを含む遊星ギヤセット
US69390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a shaft within a hollow member
JP2014523829A (ja) 複合ホイールの取付装置
KR100799649B1 (ko)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허브 베어링 조립체
EP3372422B1 (en) Wheel mounting structure
US20060284472A1 (en) Brakable wheel hub device
JP2004340311A (ja) 車輪用軸受ユニット
US20070284934A1 (en) Hub for assembly with straight spokes
JP6546053B2 (ja) 組立式ノズルダイヤフラム及び蒸気タービン
JP3988447B2 (ja) 転がり軸受の取付け構造
KR20110127952A (ko) 자동차용 코너모듈
KR100794467B1 (ko) 차량용 프론트 액슬 장치
JP7504339B2 (ja) チェーンスプロケットホイール
KR100846049B1 (ko) 차량용 허브 베어링 고정 장치
JP5713228B2 (ja) 車両のホイールハブ
CN210257854U (zh) 一种便于快速拆卸的汽车半轴
JP2009154629A (ja) 車輪用軸受装置
KR20100058085A (ko) 드라이브샤프트 체결구조
KR100701533B1 (ko) 차량용 휠 엔드 어셈블리
KR100984427B1 (ko) 유체 커플링의 사이드 커버 분해용 지그
JP2005351401A (ja) 十字軸継手
BR102019021718A2 (pt) conjunto de freio a disco, e método de montagem de conjunto de freio a disco
KR20090059551A (ko) 자동차 너클의 허브베어링 장착구조
JP2523394B2 (ja) 案内リング付トルク伝達用フレキシブル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13